KR200227737Y1 - 배관의 연결밴드 - Google Patents

배관의 연결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7737Y1
KR200227737Y1 KR2020000036077U KR20000036077U KR200227737Y1 KR 200227737 Y1 KR200227737 Y1 KR 200227737Y1 KR 2020000036077 U KR2020000036077 U KR 2020000036077U KR 20000036077 U KR20000036077 U KR 20000036077U KR 200227737 Y1 KR200227737 Y1 KR 2002277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ghtening
band
head
tightening bolt
band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60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건상
Original Assignee
노건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건상 filed Critical 노건상
Priority to KR20200000360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77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77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7737Y1/ko

Links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관의 연결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연결밴드는 밴드몸체에 단순히 절곡부를 갖춘 걸이부재에 조임보울트의 머리부를 걸어놓고 조이게 되면 밴드몸체와 수직을 이루는 절곡부에만 집중적으로 조임보울트의 조임력이 전달되어 펴지게 되면서 조임보울트의 머리부가 끼움홈에서 벗어나게 되어 연결밴드의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예시도 3 내지 5도에 표현된 바와 같이 밴드몸체(100)의 타단부(44)와 일체를 이루고 있는 걸이부재(12)에 절곡부와 접하는 관통홀(16)을 형성하여 조임보울트(26)의 머리부(28)가 관통홀(16)에 걸리도록 하고, 접합부(18)에 타원홈(24) 또는 등간격의 홈줄(44)을 형성함으로서, 조임보울트(26)의 조임력을 밴드몸체(100) 전체로 분산되어 절곡부(14)가 펴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배관의 곡면과 동일하게 접합부(18)가 굽혀지므로 그 결합력을 보다 확보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배관의 연결밴드{Connecting band for pipes}
본 고안은 배관의 연결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조임보울트의 결합을 간단히 할 수 있도록 하고, 걸림부재에 관통홀을 형성하여 조임보울트의 머리부가 걸리도록 하여 그 결합력을 향상시킨 배관의 연결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결밴드는 관과 관을 연결할 때 이음부분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밴드의 양단에 각각 너트와 보울트가 설치되어 보울트의 길이만큼 조임력을 갖도록 되어있다.
이와 같은 연결밴드는 예시도 1에 표현된 바와 같이 걸이부재(2)와 고정부재(3)가 밴드몸체(1)에 아크용접에 의해 일체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걸이부재(2)에는 밴드몸체(1)와 수직을 이루는 절곡부(4)가 갖춰지고, 절곡부(4)의 단부에 끼움홈(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재(3)는 조임홀(8)을 갖춘 너트부(6)와 머리부(9)를 갖춘 조임보울트(7)가 설치되어 밴드몸체(1)의 일단부와 일체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너트부(6)는 양단부에 돌부(10)가 형성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힌지결합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연결밴드는 도 2에 표현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너트부(6)의 조임홀(8)에 조임보울트(7)의 단부가 나합되어 일체를 이루어 회전가능 하도록 되어있다.
상기 조임보울트(7)의 머리부(9)를 걸이부재(2)의 끼움홈(5)에 끼우고 조임보울트(7)를 조이게 되면 조임보울트(7)는 너트부(6)측으로 이동되고, 머리부(9)에 걸려있는 절곡부(4)에 의해 고정부재(3)와 걸이부재(2)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므로 연결밴드로서의 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연결밴드는 밴드몸체(1)에 단순히 절곡부(4)를 갖춘 걸이부재(2)에 조임보울트(7)의 머리부(9)를 걸어놓고 조이게 되면 밴드몸체(1)와 수직을 이루는 절곡부(4)에만 집중적으로 조임보울트(7)의 조임력이 전달되어 펴지게 되면서 조임보울트(7)의 머리부(9)가 끼움홈(5)에서 벗어나게 되어 연결밴드의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종래의 연결밴드가 지닌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걸림부재에 관통홀을 형성하여 조임보울트의 머리부가 걸리도록 하여 그 결합력을 향상시킨 배관의 연결밴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걸이부재의 절곡부와 외경이 접하도록 접합부에 관통홀을 형성하여 끼움홈과의 사이에 지지부를 형성하고, 밴드몸체의 폭방향으로 타원홈을 형성하며, 조임보울트의 머리부에 와샤를 삽입하되, 와샤의 외주에 걸이돌부를 형성하여 관통홀에 걸리도록 함으로서, 상기 와샤의 걸이돌부와 조임보울트의 머리부 일부가 관통홀에 걸림과 동시에 절곡부의 지지부에 걸리게 되어 조임보울트의 조임력이 밴드몸체 전체로 분산되어 절곡부가 펴지지 않게 된다.
도 1 은 종래의 연결밴드를 나타낸 부분확대 사시도.
도 2 는 종래의 연결밴드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3 의 (a)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밴드가 풀린상태를 나타낸 부분확대 사시도,
(b)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밴드가 걸린상태를 나타낸 부분확대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밴드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밴드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밴드몸체,
12 - 걸이부재, 14 - 절곡부,
16 - 관통홀, 18 - 접합부,
20 - 까움홈, 22 - 지지부,
24 - 타원홈, 26 - 조임보울트,
28 - 머리부, 30 - 와샤,
32 - 걸이돌부.
이하 본 고안에 대하여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과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시도 3 의 (a)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밴드가 풀린상태를 나타낸 부분확대 사시도이고, (b)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밴드가 걸린상태를 나타낸 부분확대 사시도이며,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밴드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표현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밴드몸체와 걸이부재 고정부재로 이루어진 연결밴드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재(12)의 절곡부(14)와 외경이 접하는 관통홀(16)을 접합부(18)에 형성하여 끼움홈(20)과의 사이에 지지부(22)를 형성하고, 밴드몸체(100)의 폭방향으로 타원홈(24)을 형성하며, 조임보울트(26)의 머리부(28)에 와샤(30)를 설치하되, 와샤(30)의 외주에 걸이돌부(32)를 형성하여 관통홀(16)에 걸리도록 한 것이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40은 걸이부재(12)와 아크용접되어 있는 밴드몸체(10)의 일단부이고, 42는 걸이부재(12)의 접합부(18)에 형성된 폭방향의 홈줄이며, 44는 밴드몸체(10)의 타단부이고 종래의 구성부분이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면에 표현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밴드몸체(10)의 일단부(40)에 'ㄴ'자 형상의 걸이부재(12)가 아크용접에 의해 일체을 이루며, 밴드몸체(10)의 타단부(44)에는 너트부(6)의 양 돌부(10)을 잡아주고 있는 고정부재(3)가 아크용접에 의해 일체를 이루고 있다.
상기 고정부재(3)에 설치되어 있는 너트부(6)은 양 돌부(10)가 힌지결합으로 되어 있어 너트부(6)는 양 돌부(10)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조임보울트(26)가 나합되어 있다.
상기 걸이부재(12)의 절곡부(14)에는 끼움홈(20)이 형성되어 있어 조임보울트(26)의 머리부(28)가 끼워지게 되고, 끼워진 조임보울트(26)의 머리부(28)는 접합부(18)에 형성된 관통홀(16)에 일부가 걸치게 된다.
이때, 머리부(28)에 끼워져 있는 와샤(30)의 걸이돌부()가 관통홀()에 완전히 끼워져 있는 상태를 이루고 있고, 관통홀(16)과 끼움홈(20) 사이에 지지부(22)가 갖춰져 있어 조임보울트(26)의 머리부(28)를 지지부(22)가 받쳐주게 됨으로, 조임보울트(26)의 조임력이 절곡부(14)에 집중되지 않고 걸이부재(12)를 통해 밴드몸체(100) 전체로 분산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조임보울트(26)를 조일 때, 걸이부재(12)의 접합부(18)에 타원홈(24)이 형성되어 있어 도면상 미도시 되었으나 배관의 곡면을 따라 걸이부재(12)의 접합부(18)가 자연스럽게 굽혀지게 됨으로서 그 결합력을 보다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조임보울트(26)를 조일 때 접합부(18)가 배관의 곡면과 동일하게 굽혀지도록 하는 타원홈(24) 대신에 예시도 5에 표현된 바와 같이 밴드몸체(100)의 폭방향으로 등간격의 홈줄(42)이 형성되어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조임보울트(26)의 머리부(28)를 크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제조원가를 절감하기 위해서 일반적인 보울트를 사용해도 무방하도록 하기 위해 걸이돌부(32)를 갖춘 와샤(30)가 조임보울트(26)의 머리부(28)에 끼워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예시도 3 내지 5도에 표현된 바와 같이 밴드몸체(100)의 타단부(44)와 일체를 이루고 있는 걸이부재(12)에 절곡부와 접하는 관통홀(16)을 형성하여 조임보울트(26)의 머리부(28)가 관통홀(16)에 걸리도록 하고, 접합부(18)에 타원홈(24) 또는 등간격의 홈줄(44)을 형성함으로서, 조임보울트(26)의 조임력을 밴드몸체(100) 전체로 분산되어 절곡부(14)가 펴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배관의 곡면과 동일하게 접합부(18)가 굽혀지므로 그 결합력을 보다 확보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밴드몸체와 걸이부재 고정부재로 이루어진 연결밴드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재(12)의 절곡부(14)와 외경이 접하는 관통홀(16)을 접합부(18)에 형성하여 끼움홈(20)과의 사이에 지지부(22)를 형성하고, 밴드몸체(100)의 폭방향으로 타원홈(24)을 형성하며, 조임보울트(26)의 머리부(28)에 와샤(30)를 설치하되, 와샤(30)의 외주에 걸이돌부(32)를 형성하여 관통홀(16)에 걸리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의 연결밴드.
KR2020000036077U 2000-12-22 2000-12-22 배관의 연결밴드 KR2002277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077U KR200227737Y1 (ko) 2000-12-22 2000-12-22 배관의 연결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077U KR200227737Y1 (ko) 2000-12-22 2000-12-22 배관의 연결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7737Y1 true KR200227737Y1 (ko) 2001-06-15

Family

ID=73061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6077U KR200227737Y1 (ko) 2000-12-22 2000-12-22 배관의 연결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773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7224B1 (ko) * 2005-12-26 2007-01-12 고필석 관 연결용 수밀벨트
KR101049434B1 (ko) * 2010-07-07 2011-07-15 윤성환 체결밴드
KR20200001156U (ko) 2018-11-26 2020-06-03 조태용 제조가 용이한 배관용 연결밴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7224B1 (ko) * 2005-12-26 2007-01-12 고필석 관 연결용 수밀벨트
KR101049434B1 (ko) * 2010-07-07 2011-07-15 윤성환 체결밴드
KR20200001156U (ko) 2018-11-26 2020-06-03 조태용 제조가 용이한 배관용 연결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8100811A (ja) 長尺型材用の固定ナット
SK145199A3 (en) Pipe clamp
KR970016254A (ko) 관이음매
KR100652018B1 (ko) 파이프 이음부재
JP2005069225A (ja) パイプクランプ
KR200227737Y1 (ko) 배관의 연결밴드
KR200227738Y1 (ko) 배관의 연결밴드
KR100745653B1 (ko) 전방 삽입형 유니언
KR200179436Y1 (ko) 주철관 이탈방지용 압륜
KR200382039Y1 (ko) 배관의 연결밴드
EP0623777A1 (fr) Collier de fixation articulé
KR200226270Y1 (ko) 호스고정용 클램프
JP4245264B2 (ja) フエンス
JP3889581B2 (ja) フランジ用クランプ装置
KR200187865Y1 (ko) 배관용 파이프 고정구의 파이프행어와 연결부재 체결상태고정구조
KR200234952Y1 (ko) 파이프 연결용 밴드
JP3719463B2 (ja) 手摺取付装置
JPH022149Y2 (ko)
KR200183071Y1 (ko) 도로에 설치되는 신호등 걸이바 구조물
KR200257532Y1 (ko) 밴드 클램프
JPH1151269A (ja) 配管ジョイント
KR19980013506U (ko) 고정 클립을 갖는 밴드 클램프
KR200325947Y1 (ko) 호스연결구용 록킹장치
JP2655132B2 (ja) 円筒部材の支持金具
KR200376767Y1 (ko) 양변기 배수관 연결용 플랜지의 체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2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