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9434B1 - 체결밴드 - Google Patents

체결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9434B1
KR101049434B1 KR1020100065434A KR20100065434A KR101049434B1 KR 101049434 B1 KR101049434 B1 KR 101049434B1 KR 1020100065434 A KR1020100065434 A KR 1020100065434A KR 20100065434 A KR20100065434 A KR 20100065434A KR 101049434 B1 KR101049434 B1 KR 101049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band
screw
plat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5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성환
Original Assignee
윤성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성환 filed Critical 윤성환
Priority to KR1020100065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94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9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9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F16L33/04Hose-clips tightened by tangentially-arranged threaded pin and nut
    • F16L33/06Hose-clips tightened by tangentially-arranged threaded pin and nut in which the threaded pin is rigid with the hose-encircling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판의 상부 옆에서 수평방향으로 뚫려진 수평구멍을 통해 스크류의 나사봉을 간단히 인입시킨 후 곧바로 하향시키는 동작만으로 스크류의 조립을 완료할 수 있도록 하고 수직구멍의 중심에 직선방향으로 일치되도록 경사판에 뚫려진 안내구멍을 통해 드라이버의 조립동작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 체결밴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체결밴드{CLAMPING BAND}
본 발명은 체결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직판의 상부 옆에서 수평방향으로 뚫려진 수평구멍을 통해 스크류의 나사봉을 간단히 인입시킨 후 곧바로 하향시키는 동작만으로 스크류의 조립을 완료할 수 있도록 하고 수직구멍의 중심에 직선방향으로 일치되도록 경사판에 뚫려진 안내구멍을 통해 드라이버의 조임동작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한 체결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덕트나 호스 등은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거나 공장 등의 매연 가스 또는 먼지 등을 외부로 유도하기 위하여 설치되고, 이러한 덕트나 호스는 체결밴드의 조립으로 그 길이가 연장되거나, 다른 각도로 꺾여진 덕트 또는 호스 등에 연결되어 공기 통로의 변화를 모색하곤 한다.
"체결밴드"의 다른 명칭으로 "신축형 덕트의 체결용 밴드" 또는 "호스용 밴드"라고 제시된 실용신안등록출원 등이 다수 있으며, 이들 선행기술문헌을 게시하면 아래와 같다.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0-0017478호(2000.12.15 공고, 신축형 덕트의 체결용 밴드; 이하, 제 1 선출원이라 함) 도 1은 제 1 선출원에 게시된 신축형 덕트의 체결용 밴드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제 1 선출원에 게시된 신축형 덕트의 체결용 밴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띠형태의 권취부(131), 이 권취부(131)의 일단에 절곡 형성된 고리부(133) 및 타단에 용접된 고리부(135), 고리부(133)에 끼워지며 체결나사(137)가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관통핀(139)과 고리부(135)에 끼워지며 체결나사(137)가 결합되는 나사공이 형성된 체결핀(141), 와셔(143)를 사이에 두고 관통핀(139)에 관통 삽입되어 체결핀(141)에 체결되는 체결나사(137)로 구성된다. 그런데, 제 1 선출원에 따른 신축형 덕트의 체결용 밴드는 신축형 덕트의 외주연에 권취부(131)를 휘감은 후 체결핀(141)의 나사공을 경유하여 관통핀(139)의 관통공에 이르기까지 체결나사(137)를 끼워 드라이버로 회전시켜야만 하여 그 체결작업이 쉽지 않은 단점이 있다. 특히, 신축형 덕트는 대부분 건물의 천정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손을 높이 들고 체결작업을 하여야만 하는데, 이러할 경우 신축형 덕트의 외주연에 권취부(131)를 휘감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체결나사(137)를 체결핀(141)의 나사공 및 관통핀(139)의 관통공으로 한꺼번에 끼우면서 드라이버를 조작하여야만 하여 그 조립작업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을 안고 있다.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2-0024888호(2002.11.29 공고, 호스용 밴드; 이하, 제 2 선출원이라 함) 도 2는 제 2 선출원에 게시된 호스형 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제 2 선출원에 게시된 호스형 밴드의 펼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 2 선출원에 따른 호스용 밴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얇은 띠 형상의 밴드 본체(10)의 양쪽 끝 부분에 체결수단(20)을 구비하고, 이 체결수단(20)은 상하측에 회전핀(21a)을 구비하고, 이 회전핀(21a)에 대해 수직하게 체결구멍(21b)이 형성되는 힌지부재(21)와, 이 힌지부재(21)가 회전 가능하도록 이것의 회전핀(21a)을 감싼 채 양쪽 끝 부분이 포개져 밴드 본체(10)의 한쪽 끝 부분에 접합되는 지지부재(22)와, 힌지부재(21)의 체결구멍(21b)에 나선 결합되는 체결나사(23)와, 이 체결나사(23)의 머리부(23a)를 끼워 걸 수 있도록 삽입구멍(24a) 및 이 삽입구멍(24a)과 연이어 통하는 걸림구멍(24b)이 형성되어 밴드 본체(10)의 다른 한쪽 끝 부분에 접합되는 걸림부재(24)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 2 선출원에 따른 호스용 밴드는 체결나사(23)의 머리부(23a)를 걸림부재(24)에 끼워 거는 것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체결나사(23)와 나선 결합되는 힌지부재(21)를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도 4a 내지 도 4d는 제 2 선출원에 따른 호스용 밴드의 체결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핀(21a)의 체결구멍(21b)에 체결나사(23)를 끼운 상태에서 호스의 외주연에 밴드 본체(10)를 휘감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재(24)를 호스의 반대방향으로 들어올려 걸림구멍(24b)이 확보되도록 한 상태에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나사(23)의 머리부(23a)를 삽입구멍(24a)에 끼우면서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구멍(24b)으로 체결나사(23)를 이동시켜 드라이버로 체결하는 동작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제 2 선출원에 따른 호스용 밴드는 체결나사(23)를 체결구멍(24b)으로 끼우기 위하여 걸림부재(24)를 호스의 반대방향으로 들어올려 걸림구멍(24b)이 확보되도록 하여야만 하여 높은 위치의 호스를 체결하고자 할 때 밴드 본체(10)의 탄성에 의해 체결나사(23)가 체결구멍(24b)에 맞춰져 있지 않고 걸림구멍(24b)으로 이동되거나 오히려 걸림구멍(24b)으로부터 이탈되어 체결작업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0-0017641호(2000.12.15 공고, 호스용 밴드; 이하, 제 3 선출원이라 함) 도 5는 제 3 선출원에 게시된 호스형 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 3 선출원에 게시된 호스용 밴드는 얇은 금속 밴드부재(111)의 양측 끝단에 체결용 수단(120)을 가지며, 이 체결용 수단(120)은 나사공(122)을 가지는 힌지핀(121)과, 힌지핀(121)이 회동 가능토록 감합한 채 양측 끝단을 모아 밴드부재(111)의 내중단부(112)에 용접 연결한 힌지핀 연결부재(123)와, 힌지핀 연결부재(123)의 반대편에서 용접 연결하되 위로 개방된 나사걸이홈(125b)을 가지는 체결 고리부재(125)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제 3 선출원에 게시된 호스형 밴드는 호스의 체결작업 중 힌지핀(121)의 나사공(122)에 끼워진 나사(7)가 체결고리부재(125)의 나사걸이홈(125b)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어 작업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직판의 상부 옆에서 수평방향으로 뚫려진 수평구멍을 통해 스크류의 나사봉을 간단히 인입시킨 후 곧바로 하향시키는 동작만으로 스크류의 조립을 완료할 수 있도록 하여 조립성, 작업성 및 견고성을 보장토록 한 체결밴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평구멍이 뚫려진 수직판의 윗 단이 스크류의 머리를 지지하면서 나사봉의 이탈을 방지토록 하여 조립성을 크게 향상시킨 체결밴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직구멍의 중심에 직선방향으로 일치되도록 경사판에 뚫려진 안내구멍에 의해 드라이버의 조임동작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 체결밴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이르기까지 띠형으로 된 밴드와, 나사구멍을 구비하면서 상기 밴드의 일단에 고정된 체결구와, 상기 나사구멍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봉 및 머리를 지닌 스크류와, 상기 밴드의 타단에 고정되어 상기 머리를 잡아주는 홀더를 포함하는 체결밴드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밴드의 타단에 고정되는 수평판 및 이 수평판으로부터 절곡된 수직판으로 된 고정판과, 상기 수직판의 상부 옆에서 수평방향으로 뚫려져 상기 나사봉을 수평방향으로 가이드하면서 인입시키는 수평구멍과, 상기 수직판의 수평구멍으로부터 직하방향으로 뚫려져 상기 나사봉을 수직방향으로 가이드하면서 안착시킴과 동시에 상기 머리를 지지하는 수직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이르기까지 띠형으로 된 밴드와, 나사구멍을 구비하면서 상기 밴드의 일단에 고정된 체결구와, 상기 나사구멍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봉 및 머리를 지닌 스크류와, 상기 밴드의 타단에 고정되어 상기 머리를 잡아주는 홀더를 포함하는 체결밴드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밴드의 타단에 고정되는 수평판, 상기 수평판으로부터 절곡된 수직판, 상기 수직판으로부터 절곡된 덮개판, 상기 덮개판으로부터 절곡되는 경사판, 상기 경사판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수평판에 합치되어 고정되는 상면 수평판으로 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상부 옆에서 수평방향으로 뚫려져 상기 나사봉을 수평방향으로 가이드하면서 인입시키는 수평구멍과; 상기 수직판의 수평구멍으로부터 직하방향으로 뚫려져 상기 나사봉을 수직방향으로 가이드하면서 안착시킴과 동시에 상기 머리를 지지하는 수직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다음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직판의 상부 옆에서 수평방향으로 뚫려진 수평구멍을 통해 스크류의 나사봉을 간단히 인입시킨 후 곧바로 하향시키는 동작만으로 스크류의 조립을 완료할 수 있게 되어 조리동작이 매우 간편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수평구멍이 뚫려진 수직판의 윗 단이 스크류의 머리를 지지하면서 나사봉의 이탈을 방지토록 하여 조립성이 월등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밴드의 탄성에 의해 그 일단 및 타단이 서로 벌어지는 힘이 발생하더라도 나사봉이 수직판의 윗 단에 의해 커버링되어 수직구멍으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철저히 방지함으로써 조립성은 물론이거니와 드라이버를 이용한 작업성까지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수평구멍이 외협내광(外狹內廣)으로 이루어져 스크류의 나사봉이 수평구멍을 통해 인입되었을 경우 수직구멍으로의 방향전환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반면 역으로 수평상태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토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수직구멍이 상협하광(上狹下廣)으로 이루어져 스크류의 나사봉이 수직구멍에 안착될 경우 상측방향으로의 이탈 현상을 방지하면서 스크류의 회전은 보장토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밴드의 탄성에 의해 그 일단 및 타단이 서로 벌어지려는 힘이 발생하더라도 나사봉이 덮개판에 의해 커버링되어 수직구멍으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철저히 방지함으로써 조립성은 물론이거니와 드라이버를 이용한 작업성까지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드라이버로 스크류를 조였을 때 홀더와 체결구가 점점 근접하면서 수직판이 휘어질 수 있는 부작용을 경사판 및 상면 수평판으로 상쇄시켜 더욱 견고한 체결을 가능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수직구멍의 중심에 직선방향으로 일치되도록 경사판에 뚫려진 안내구멍에 의해 드라이버의 조임동작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제 1 선출원에 게시된 신축형 덕트의 체결용 밴드를 나타내는 구조도.
도 2는 제 2 선출원에 게시된 호스형 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제 2 선출원에 게시된 호스형 밴드의 펼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d는 제 2 선출원에 따른 호스용 밴드의 체결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5는 제 3 선출원에 게시된 호스형 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체결밴드의 펼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체결밴드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체결밴드의 사용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체결밴드의 펼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체결밴드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체결밴드의 사용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
본 발명에 따른 체결밴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체결밴드의 펼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체결밴드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체결밴드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이르기까지 띠형으로 된 밴드(10)와, 나사구멍(24a)을 구비하면서 밴드(10)의 일단에 고정된 체결구(20)와, 나사구멍(24a)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봉(31) 및 머리(32)를 지닌 스크류(30)와, 밴드(10)의 타단에 고정되어 상기 머리(32)를 잡아주는 홀더(40)를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이때, 홀더(40)는 밴드(10)의 타단에 고정되는 수평판(42) 및 이 수평판(42)으로부터 절곡된 수직판(43)으로 된 고정판(41)과, 수직판(43)의 상부 옆에서 수평방향으로 뚫려져 나사봉(31)을 수평방향으로 가이드하면서 인입시키는 수평구멍(44)과, 수직판(43)의 수평구멍(44)으로부터 직하방향으로 뚫려져 나사봉(31)을 수직방향으로 가이드하면서 안착시킴과 동시에 머리(32)를 지지하는 수직구멍(45)을 핵심구성으로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체결밴드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직판(43)의 상부 옆에서 수평방향으로 뚫려진 수평구멍(44)을 통해 스크류(30)의 나사봉(31)을 간단히 인입시킨 후 곧바로 하향시키는 동작만으로 스크류(30)의 조립을 완료할 수 있게 되어 조립동작이 간편하다.
둘째, 수평구멍(44)이 뚫려진 수직판(43)의 윗 단이 스크류(30)의 머리(32)를 지지하면서 나사봉(31)의 이탈을 방지토록 하여 조립성이 월등하다.
셋째, 밴드(10)의 탄성에 의해 그 일단 및 타단이 서로 벌어지려는 힘이 발생하더라도 나사봉(31)이 수직판(43)의 윗 단에 의해 커버링되어 수직구멍(45)으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철저히 방지함으로써 조립성은 물론이거니와 드라이버를 이용한 작업성까지 보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작용에 더하여, 수평구멍(44)이 외협내광(外狹內廣)으로 이루어져 스크류(30)의 나사봉(31)이 수평구멍(44)을 통해 인입되었을 경우 수직구멍(45)으로의 방향전환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반면 역으로 수평상태로의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토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수직구멍(45)은 상협하광(上狹下廣)으로 이루어져 이 역시 일단 스크류(30)의 나사봉(31)이 수직구멍(45)에 안착될 경우 상측방향으로의 이탈 현상을 방지하면서 스크류(30)의 회전은 보장토록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체결밴드의 사용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체결밴드의 사용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핀(24)의 나사구멍(24a)에 스크류(30)의 나사봉(31)을 끼운 상태에서 호스의 외주연에 밴드(10)를 휘감고,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봉(31)을 수직판(43)의 수평구멍(44)을 통해 끼운 후 하강시켜 수직구멍(45)에 안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스크류(30)를 조임으로써 체결밴드의 조립을 간단히 완료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체결밴드의 펼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체결밴드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체결밴드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이르기까지 띠형으로 된 밴드(10)와, 나사구멍(24a)을 구비하면서 밴드(10)의 일단에 고정된 체결구(20)와, 나사구멍(24a)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봉(31) 및 머리(32)를 지닌 스크류(30)와, 밴드(10)의 타단에 고정되어 상기 머리(32)를 잡아주는 홀더(40)를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이때, 홀더(40)는 밴드(10)의 타단에 고정되는 수평판(42), 수평판(42)으로부터 절곡된 수직판(43), 수직판(43)으로부터 절곡된 덮개판(46), 덮개판(46)으로부터 절곡되는 경사판(47), 경사판(47)으로부터 절곡되어 수평판(42)에 합치되어 고정되는 상면 수평판(48)으로 된 고정판(41)과; 고정판(41)의 상부 옆에서 수평방향으로 뚫려져 나사봉(31)을 수평방향으로 가이드하면서 인입시키는 수평구멍(44)과; 수직판(43)의 수평구멍(44)으로부터 직하방향으로 뚫려져 나사봉(31)을 수직방향으로 가이드하면서 안착시킴과 동시에 머리(32)를 지지하는 수직구멍(45)을 핵심구성으로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체결밴드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직판(43)의 상부 옆에서 수평방향으로 뚫려진 수평구멍(44)을 통해 스크류(30)의 나사봉(31)을 간단히 인입시킨 후 곧바로 하향시키는 동작만으로 스크류(30)의 조립을 완료할 수 있게 되어 조립동작이 간편하다.
둘째, 덮개판(46)이 스크류(30)의 머리(32)를 지지하면서 나사봉(31)의 이탈을 방지토록 하여 조립성이 월등하다.
셋째, 밴드(10)의 탄성에 의해 그 일단 및 타단이 서로 벌어지려는 힘이 발생하더라도 나사봉(31)이 덮개판(46)에 의해 커버링되어 수직구멍(45)으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철저히 방지함으로써 조립성은 물론이거니와 드라이버를 이용한 작업성까지 보장할 수 있다.
넷째, 드라이버로 스크류(30)를 조였을 때 홀더(40)와 체결구(20)가 점점 근접하면서 수직판(43)이 휘어질 수 있는 부작용을 경사판(47) 및 상면 수평판(48)의 지지력으로 상쇄시켜 더욱 견고한 체결을 가능케 할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체결밴드는 수직구멍(45)의 중심에 직선방향으로 일치되도록 경사판(47)에 뚫려진 안내구멍(49)을 핵심구성으로 포함하고, 이 안내구멍(49)은 드라이버를 가이드하면서 지지하여 스크류(30)의 머리(32)를 회전시키고자 할 때 드라이버의 이탈을 방지하여 작업성을 보장토록 한다.
그리고, 수직구멍(45)은 상협하광(上狹下廣)으로 이루어져 이 역시 일단 스크류(30)의 나사봉(31)이 수직구멍(45)에 안착될 경우 상측방향으로의 이탈 현상을 방지하면서 스크류(30)의 회전은 보장토록 한다.
한편, 체결구(20)는 밴드(10)의 일단에 고정되며 중앙에 센터홀(23)을 구비하면서 양측에 힌지구멍(22)을 지닌 체결판(21)과, 힌지구멍(22)에 끼워지면서 나사구멍(24a)을 구비하여 센터홀(23)에 배치되는 힌지핀(2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체결밴드의 사용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핀(24)의 나사구멍(24a)에 스크류(30)의 나사봉(31)을 끼운 상태에서 호스의 외주연에 밴드(10)를 휘감고,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봉(31)을 수직판(43)의 수평구멍(44)을 통해 끼운 후 하강시켜 수직구멍(45)에 안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구멍(49)을 경유한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스크류(30)를 조임으로써 체결밴드의 조립을 간단히 완료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각종 덕트나 호스 등을 조이고자 하는 산업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10 : 밴드 20 : 체결구
21 : 체결판 22 : 힌지구멍
23 : 센터홀 24 : 힌지핀
24a : 나사구멍 30 : 스크류
31 : 나사봉 32 : 머리
40 : 홀더 41 : 고정판
42 : 수평판 43 : 수직판
44 : 수평구멍 45 : 수직구멍
46 : 덮개판 47 : 경사판
48 : 상면 수평판 49 : 안내구멍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이르기까지 띠형으로 된 밴드(10)와, 나사구멍(24a)을 구비하면서 상기 밴드(10)의 일단에 고정된 체결구(20)와, 상기 나사구멍(24a)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봉(31) 및 머리(32)를 지닌 스크류(30)와, 상기 밴드(10)의 타단에 고정되어 상기 머리(32)를 잡아주는 홀더(40)를 포함하는 체결밴드에 있어서,
    상기 홀더(40)는 상기 밴드(10)의 타단에 고정되는 수평판(42), 상기 수평판(42)으로부터 절곡된 수직판(43), 상기 수직판(43)으로부터 절곡된 덮개판(46), 상기 덮개판(46)으로부터 절곡되는 경사판(47), 상기 경사판(47)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수평판(42)에 합치되어 고정되는 상면 수평판(48)으로 된 고정판(41)과; 상기 고정판(41)의 상부 옆에서 수평방향으로 뚫려져 상기 나사봉(31)을 수평방향으로 가이드하면서 인입시키는 수평구멍(44)과; 상기 수직판(43)의 수평구멍(44)으로부터 직하방향으로 뚫려져 상기 나사봉(31)을 수직방향으로 가이드하면서 안착시킴과 동시에 상기 머리(32)를 지지하는 수직구멍(4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밴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구멍(45)의 중심에 직선방향으로 일치되도록 상기 경사판(47)에 뚫려진 안내구멍(4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밴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46)은 상기 머리(32)를 지지하면서 상기 나사봉(31)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밴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구멍(45)은 상협하광(上狹下廣)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밴드.
  9. 제 5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20)는 상기 밴드(10)의 일단에 고정되며 중앙에 센터홀(23)을 구비하면서 양측에 힌지구멍(22)을 지닌 체결판(21)과, 상기 힌지구멍(22)에 끼워지면서 상기 나사구멍(24a)을 구비하여 상기 센터홀(23)에 배치되는 힌지핀(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밴드.



KR1020100065434A 2010-07-07 2010-07-07 체결밴드 KR101049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5434A KR101049434B1 (ko) 2010-07-07 2010-07-07 체결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5434A KR101049434B1 (ko) 2010-07-07 2010-07-07 체결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9434B1 true KR101049434B1 (ko) 2011-07-15

Family

ID=44923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5434A KR101049434B1 (ko) 2010-07-07 2010-07-07 체결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943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0626A (en) 1988-11-03 1991-04-30 Mikalor, S.A. Hose clamp with flanged captive tensioning nut and pivoted bridging element
KR200227737Y1 (ko) * 2000-12-22 2001-06-15 노건상 배관의 연결밴드
JP2004036706A (ja) * 2002-07-02 2004-02-05 Akagi:Kk 配管支持金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0626A (en) 1988-11-03 1991-04-30 Mikalor, S.A. Hose clamp with flanged captive tensioning nut and pivoted bridging element
KR200227737Y1 (ko) * 2000-12-22 2001-06-15 노건상 배관의 연결밴드
JP2004036706A (ja) * 2002-07-02 2004-02-05 Akagi:Kk 配管支持金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71234B2 (ja) 吊り金具用補助部材及びそれを備えた吊り金具
JP2017145933A (ja) 更新用天吊り部材及びその据付方法
JP6108580B1 (ja) 天井施工用ハンガー
JP2017146064A (ja) 天吊り用部材
KR101049434B1 (ko) 체결밴드
JP5576235B2 (ja) 壁つなぎ取付金具
KR20120029524A (ko) 비계용 클램프
KR200415840Y1 (ko) 창호 스틸 커튼 월의 스틸 기저부
JP2010129427A (ja) 照明器具
JP6014919B2 (ja) 他物固定具
JP5271584B2 (ja) 化粧カバー
ES2585033T3 (es) Dispositivo para el montaje de dos elementos
JP2011241977A (ja) 配線・配管材配設具、配線・配管材配設装置、配線・配管材の配設方法、および配線・配管材配設装置体
JP3150922U (ja) 空調室内機のドレンアップ配管
KR20140005485U (ko) 천정판 고정구조
KR20140002573U (ko) 래더형 케이블 트레이의 클램프
CN110336222B (zh) 窄缝电缆穿束工具
JP6715674B2 (ja) 樹脂製枠体用の取付器具及びこれを備える建具
JP2011256677A (ja) 天井消火システム
JP2013023853A (ja) 雨除け装置及び雨除け構造
JP5377006B2 (ja) 架台、及び、それを備えた配管システム
JP2017189055A (ja) 分線金物留め具
KR20160064434A (ko) 조립식건물의 벽체 시설물 고정 장치
KR100758182B1 (ko) 파이프 행거 클램프
US7941880B2 (en) Connecting structure for a bed fo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