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7738Y1 - 배관의 연결밴드 - Google Patents

배관의 연결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7738Y1
KR200227738Y1 KR2020000036078U KR20000036078U KR200227738Y1 KR 200227738 Y1 KR200227738 Y1 KR 200227738Y1 KR 2020000036078 U KR2020000036078 U KR 2020000036078U KR 20000036078 U KR20000036078 U KR 20000036078U KR 200227738 Y1 KR200227738 Y1 KR 2002277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hook
tightening bolt
tighten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60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건상
Original Assignee
노건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건상 filed Critical 노건상
Priority to KR20200000360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77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77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7738Y1/ko

Links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관의 연결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연결밴드는 밴드몸체에 단순히 절곡부를 갖춘 걸이부재에 조임보울트의 머리부를 걸어놓고 조이게 되면 밴드몸체와 수직을 이루는 절곡부에만 집중적으로 조임보울트의 조임력이 전달되어 펴지게 되면서 조임보울트의 머리부가 끼움홈에서 벗어나게 되어 연결밴드의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예시도 3 내지 5도에 표현된 바와 같이 걸이부재(20)에 고리형상의 걸림고리(30)를 설치하여 조임보울트(7)의 머리부(9)가 걸림고리(30)의 공간부(36)를 통해 끼워지고, 이때 걸이부재(20)를 놓게 되면 밴드몸체(1)의 탄성에 의해 머리부(9)는 자연스럽게 걸림고리(30)의 걸림부(34)에 걸리게 되며, 또한 조임보울트(7)의 조임력이 걸림고리(30) 전체에 전달되고, 머리부(9)는 고리형상의 걸림부(34)에 의해 안정된 상태로 걸려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관의 연결밴드{Connecting band for pipes}
본 고안은 배관의 연결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조임보울트의 결합을 간단히 할 수 있도록 하고, 걸림부재에 걸림고리를 설치하여 조임보울트의 머리부가 걸림고리에 끼워져 벗어나지 못하도록 한 배관의 연결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결밴드는 관과 관을 연결할 때 이음부분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밴드의 양단에 각각 너트와 보울트가 설치되어 보울트의 길이만큼 조임력을 갖도록 되어있다.
이와 같은 연결밴드는 예시도 1에 표현된 바와 같이 걸이부재(2)와 고정부재(3)가 밴드몸체(1)에 아크용접에 의해 일체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걸이부재(2)에는 밴드몸체(1)와 수직을 이루는 절곡부(4)가 갖춰지고, 절곡부(4)의 단부에 끼움홈(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재(3)는 조임홀(8)을 갖춘 너트부(6)와 머리부(9)를 갖춘 조임보울트(7)가 설치되어 밴드몸체(1)의 일단부와 일체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너트부(6)는 양단부에 돌부(10)가 형성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힌지결합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연결밴드는 도 2에 표현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너트부(6)의 조임홀(8)에 조임보울트(7)의 단부가 나합되어 일체를 이루어 회전가능 하도록 되어있다.
상기 조임보울트(7)의 머리부(9)를 걸이부재(2)의 끼움홈(5)에 끼우고 조임보울트(7)를 조이게 되면 조임보울트(7)는 너트부(6)측으로 이동되고, 머리부(9)에 걸려있는 절곡부(4)에 의해 고정부재(3)와 걸이부재(2)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므로 연결밴드로서의 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연결밴드는 밴드몸체(1)에 단순히 절곡부(4)를 갖춘 걸이부재(2)에 조임보울트(7)의 머리부(9)를 걸어놓고 조이게 되면 밴드몸체(1)와 수직을 이루는 절곡부(4)에만 집중적으로 조임보울트(7)의 조임력이 전달되어 펴지게 되면서 조임보울트(7)의 머리부(9)가 끼움홈(5)에서 벗어나게 되어 연결밴드의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종래의 연결밴드가 지닌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조임보울트의 결합을 간단히 할 수 있도록 하고, 걸림부재에 걸림고리를 설치하여 조임보울트의 머리부가 걸림고리에 한번 걸리게 되면 자연적으로는 벗어날 수 없도록 한 배관의 연결밴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걸이부재와 고정부재 및 밴드몸체로 이루어진 연결밴드에 있어서, 걸이부재의 일단을 접어 걸림홀을 갖추도록 하고, 상기 걸림홀에 걸림고리를 설치하여 일체를 이루게 하되, 상기 걸림고리는 양단부를 절곡하여 걸림홀에 끼워지도록 하고, 양단부측이 넓고 중앙부를 좁게하여 중앙부에 걸림부를 갖추도록 하며, 걸림부를 다단으로 절곡하여 그 하측에 공간부를 갖추도록 함으로서, 고정부재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너트부와 나합된 조임보울트의 머리부를 공간부에 끼워 넣으면 밴드몸체의 탄성에 의해 펼쳐지면서 머리부는 자연스럽게 걸이부측으로 올라가면서 걸리게 되어 머리부가 걸림고리로부터 벗어나지 못하게 된다.
도 1 은 종래의 연결밴드를 나타낸 부분확대 사시도.
도 2 는 종래의 연결밴드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밴드의 조임보울트가 걸림고리에 끼워지기 전 상태의 부분확대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밴드의 조임보울트가 걸림고리에 끼워진 상태의 부분확대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밴드의 사용상태 단면도 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걸림부재, 22 - 걸림홀,
30 - 걸림고리, 32 - 양단부,
34 - 걸림부, 36 - 공간부.
이하 본 고안에 대하여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과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시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밴드의 조임보울트가 걸림고리에 끼워지기 전 상태의 부분확대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밴드의 조임보울트가 걸림고리에 끼워진 상태의 부분확대 사시도이며,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밴드의 사용상태 단면도 이다.
상기 도면에 표현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고정부재와 걸이부재 및 밴드몸체로 이루어진 연결밴드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재(20)의 일단을 접어 걸림홀(22)을 갖추도록 하고, 상기 걸림홀(22)에 걸림고리(30)를 설치하여 일체를 이루게 하되, 상기 걸림고리(30)는 양단부(32)를 절곡하여 걸림홀(22)에 끼워지도록 하고, 양단부측이 넓고 중앙부를 좁게 하여 중앙부에 걸림부(34)를 갖추도록 하며, 걸림부(34)를 다단으로 절곡하여 그 하측에 공간부(36)를 갖추도록 한 것이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40은 걸이부재(20)와 아크용접 되어 있는 밴드몸체(1)의 일단부이고, 42는 밴드몸체(10)의 타단부이고, 종래의 구성부분과 동일한 부분은 그 부호를 동일하게 사용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면에 표현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밴드몸체(1)의 일단부(40)에 걸림홀(22)을 갖춘 걸이부재(20)가 아크용접에 의해 일체을 이루며, 밴드몸체(1)의 타단부(42)에는 너트부(6)의 양 돌부(10)을 잡아주고 있는 고정부재(3)가 아크용접에 의해 일체를 이루고 있다.
상기 고정부재(3)에 설치되어 있는 너트부(6)의 양 돌부(10)는 힌지결합으로 되어 있어 너트부(6)는 양 돌부(10)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조임보울트(7)가 나합되어 있다.
상기 걸이부재(20)의 걸림홀(22)에는 절곡된 양단부(32)를 갖춘 걸림고리(30)가 끼워져 양단부(32)를 축으로 회전가능 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기 걸림고리(30)는 양단부(32)측이 넓고 중앙부측이 좁게 되어 중앙부에 걸림부(34)가 갖춰지되, 걸림부(34)는 다단으로 절곡되어 그 하측으로 공간부(36)가 갖춰지게 된다.
이와 같은 걸이부재(20)가 밴드몸체(1)의 일단부(40)와 일체를 이루고 있는 상태에서, 밴드몸체(1)의 타단부(42)와 일체를 이루고 있는 고정부재(3)의 너트부(6)에 나합된 조임보울트(7)의 머리부(9)를 걸림고리(30)의 공간부(36)를 통해 끼워 넣게 되면, 탄성을 지닌 밴드몸체(1)에 의해 조임보울트(7)의 머리부(9)는 걸림부34측으로 이동하면서 걸리게 된다.
즉, 밴드몸체(1)는 탄성계수가 높은 스테인레스강으로 이루어져 있어 고정부재(3)에 설치되어 있는 조임보울트(7)를 걸이부재(20)에 걸리게 하기 위해서는 밴드몸체(1)의 양단부(40)(42)를 맞닿도록 해야 함으로 밴드몸체(1)는 펴진 상태로 복귀하려는 힘을 갖게 되어 걸림고리(30)에 머리부(9)를 끼워 넣고 양단을 놓게 되면 머리부(9)는 자연히 걸림부(34)에 걸리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걸림부(34)에 걸려있는 조임보울트(7)의 머리부(9)를 돌리면, 조임보울트(7)는 너트부(6)의 조임홀(8)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밴드몸체(1)는 조여지게 되며, 이때 조임보울트(7)의 조임력은 걸림고리(30) 전체에 전달되고 고리형상으로 이루어진 걸림고리(30)에 의해 조임보울트(7)의 머리부(9)는 안정된 상태로 걸려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예시도 3 내지 5도에 표현된 바와 같이 걸이부재(20)에 고리형상의 걸림고리(30)를 설치하여 조임보울트(7)의 머리부(9)가 걸림고리(30)의 공간부(36)를 통해 끼워지고, 이때 걸이부재(20)를 놓게 되면 밴드몸체(1)의 탄성에 의해 머리부(9)는 자연스럽게 걸림고리(30)의 걸림부(34)에 걸리게 되며, 또한 조임보울트(7)의 조임력이 걸림고리(30) 전체에 전달되고, 머리부(9)는 고리형상의 걸림부(34)에 의해 안정된 상태로 걸려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밴드몸체와 걸이부재 고정부재로 이루어진 연결밴드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재(20)의 일단을 접어 걸림홀(22)을 갖추도록 하고, 상기 걸림홀(22)에 걸림고리(30)를 설치하여 일체를 이루게 하되, 상기 걸림고리(30)는 양단부(32)를 절곡하여 걸림홀(22)에 끼워지도록 하고, 양단부측이 넓고 중앙부를 좁게 하여 중앙부에 걸림부(34)를 갖추도록 하며, 걸림부(34)를 다단으로 절곡하여 그 하측에 공간부(36)를 갖추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의 연결밴드.
KR2020000036078U 2000-12-22 2000-12-22 배관의 연결밴드 KR2002277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078U KR200227738Y1 (ko) 2000-12-22 2000-12-22 배관의 연결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078U KR200227738Y1 (ko) 2000-12-22 2000-12-22 배관의 연결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7738Y1 true KR200227738Y1 (ko) 2001-06-15

Family

ID=73061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6078U KR200227738Y1 (ko) 2000-12-22 2000-12-22 배관의 연결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773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06580A (ko) 신속 부착형 티볼트 클램프
SK145199A3 (en) Pipe clamp
KR100652018B1 (ko) 파이프 이음부재
JPH05214749A (ja) カランの取付構造
CA2646946A1 (en) Plumbing test cap with pivotal latch
KR200227738Y1 (ko) 배관의 연결밴드
KR200227737Y1 (ko) 배관의 연결밴드
US5516155A (en) Water pipe connecting structure
JP2004159452A (ja) 電線保護カバ−、及びその取付け方法
KR200179436Y1 (ko) 주철관 이탈방지용 압륜
JPH06193151A (ja) 拡開アンカー
KR200187865Y1 (ko) 배관용 파이프 고정구의 파이프행어와 연결부재 체결상태고정구조
JP2005036940A (ja) 締結金具の抜け止め構造及び配管用バンド
KR200179175Y1 (ko) 레듀샤 설치용 고정브라켓
JP2002228048A (ja) 配管用吊りバンド
KR200253858Y1 (ko) 가스배관의 고정을 위한 피형밴드
KR200143357Y1 (ko) 부채
JP3474734B2 (ja) ホースのクランプ構造
EP1018618B1 (en) Pipe-suspension bracket
JPH0229340Y2 (ko)
JP2004060800A (ja) 配管用吊りバンド
KR200205476Y1 (ko) 악세서리
JPH0426786Y2 (ko)
KR200188854Y1 (ko) 등기구암 고정편
KR200240275Y1 (ko) 대시아이솔레이션패드장착용플러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2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