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1067B1 - 무선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1067B1
KR100651067B1 KR1020047004328A KR20047004328A KR100651067B1 KR 100651067 B1 KR100651067 B1 KR 100651067B1 KR 1020047004328 A KR1020047004328 A KR 1020047004328A KR 20047004328 A KR20047004328 A KR 20047004328A KR 100651067 B1 KR100651067 B1 KR 100651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path
base station
antenna array
radio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4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7112A (ko
Inventor
마츠시타나오히로
Original Assignee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37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7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1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1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2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04B5/28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the near field of leaky cables, e.g. of leaky coaxial cab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3/00Waveguide horns or mouths; Slot antennas; Leaky-waveguide antennas; Equivalent structures causing radiation along the transmission path of a guided wave
    • H01Q13/20Non-resonant leaky-waveguide or transmission-line antennas; Equivalent structures causing radiation along the transmission path of a guided wave
    • H01Q13/203Leaky coaxial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 Waveguide Aerial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LAN을 가동시키는 옥내(11)의 천장 부분에 누설 도파관(12)이 사행 배치된다. 누설 도파관은 그 일단이 무선 기지국 장치(13)에 접속되고, 그 타단이 종단기(14)에 접속되어 있다. 무선 기지국 장치(13)는 무선 단말 장치(17)와 누설 도파관(12)을 경유하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변조(OFDM) 방식의 변복조를 이용해서 무선 통신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옥내에서 무선 기지국 장치와 무선 단말 장치간에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내에서 무선 기지국 장치와 무선 단말 장치 사이에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는 도 14에 도시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도면에서는 무선 LAN을 가동시키는 옥내(1)의 천장 부분에 복수의 무선 기지국 장치(2)가 배치되어 있고, 외부로부터 이들 무선 기지국 장치(2)에 LAN 케이블(3) 및 전원 케이블(4)이 접속되어 있다.
각 무선 기지국 장치(2)는 무선 통신 범위가 되는 셀(5) 내에 있는 무선 단말 장치(6)와 무선 통신을 한다. 이 때문에, 셀(5)이 옥내(1)의 바닥면 전체를 망라하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안전을 생각해서 각 셀이 어느 정도 중복되도록 무선 기지국 장치(2)가 배치되어 있다. 예컨대, 무선 기지국 장치(2)에 의한 바닥면 상에 셀(5)의 반경이 20 m 정도로 설정된다. 따라서 바닥면이 50 m 사방이라고 할 때, 최저 4대의 무선 기지국 장치(2)를 배치해야 한다.
또한, 기지국이 서비스 영역 내의 단말국과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하기 위한 안테나 경유 송수신 수단과, 기지국으로부터 방사되는 전파가 유효하게 닿지 않 는 불감 영역이 있는 단말국과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하기 위한 비교적 큰 출력의 급전선 경유 송수신 수단을 구비하고, 안테나 또는 누설 급전선이 불감 영역 내에 불감 영역의 형상에 따라 배치되며, 또한 이 안테나 또는 누설 급전선과 기지국의 급전선 경유 송수신 수단을 소정의 감쇠 정수와 소정의 길이를 갖는 급전선으로 접속함으로써 안테나 또는 누설 급전선으로부터 방사되는 전파의 출력 레벨이 기지국의 안테나 경유 송수신 수단으로부터 방사되는 전파의 레벨을 넘지 않도록 설정한 무선 통신 시스템이 일본 특허 공개 평06-18882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자와 같이 셀 분할 방식의 경우, 전파 전송에 장해가 되는 집기 등이 많은 옥내 환경에서는 집기에 의한 불감 영역을 해소하기 위해서 더 많은 무선 기지국 장치를 배치해야 한다. 이 때문에, 사용하는 무선 기지국 장치의 대수가 전체적으로 증가하며, 또한, 그것에 수반하는 무선 기지국 장치의 설치 공사가 증가하며, 전체 설비 비용이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배치하는 무선 기지국 장치의 대수를 늘릴 경우, 각 무선 기지국 장치로부터의 도래파가 수신측 안테나단에서 반송파간에 서로 부정하는 간섭을 야기한다. 이 때문에,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변조(이하, OFDM이라 칭함) 방식과 같은 멀티패스 간섭에 강한 변복조 방식을 이용하여도 효과가 없다. 따라서, 각 무선 기지국 장치로부터 동시에 전파를 출력하여 모든 무선 단말 장치에 대하여 동보 전송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시분할 방식으로 각 무선 기지국 장치마다 순서대로 송신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하면 전체적으로 정보 전송을 완료하는 데 많은 시간이 걸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후자는 통상의 기지국을 설치한 무선 LAN 시스템에 추가하여, 불감 영역에 누설 급전선을 배치하고, 이것에 전용의 급전선 경유 송수신 수단인 무선 설비를 설치하는 구성이다. 이 때문에, 설비적으로 대규모가 되고, 전체의 설비 비용이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옥내에서의 불감 영역의 발생을 해소할 수 있고, 더욱이 부호간 간섭이 없는 고속의 동보 전송을 저비용으로 실현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은 옥내에 배치되고, 안테나로서 기능하는 전송로와, 옥내에 배치된 무선 단말 장치와, 상기 전송로를 통해 상기 무선 단말 장치와 무선 통신을 하는 무선 기지국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무선 단말 장치와 무선 기지국 장치간의 무선 통신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변조 방식으로 행해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은 옥내에서의 불감 영역의 발생을 해소할 수 있고, 더욱이 부호간 간섭이 없는 고속의 동보 전송을 저비용으로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각 부분의 배치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누설 도파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b는 도 2a에 도시한 누설 도파관의 단면도.
도 3a 및 도 3b 각각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누설 도파관의 전파 복사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통신에서 사용하는 OFDM 방식의 변조 심볼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통신에서 사용하는 OFDM 방식의 가드 구간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누설 도파관의 다른 배치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누설 도파관의 다른 배치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각 부분의 배치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상품 진열장의 배치와 누설 도파관의 사행 배치와의 관계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상품 진열장의 배치와 누설 도파관의 배치와의 관계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어레이 케이블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어레이 케이블의 제1 안테나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어레이 케이블의 제2 안테나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3a 및 도 13b 각각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어레이 케이블의 전파 복사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종래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점포 등의 옥내, 예컨대 무선 LAN을 가동시키는 옥내(11)의 천장 부분에는 누설 전송로의 일종인 누설 도파관(12)이 사행(蛇行)으로 배치되어 있다. 누설 도파관(12)은 안테나로서 기능하는 전송로이다.
상기 누설 도파관(12)은, 예컨대 천장 패널의 겉면, 천장 패널의 이면 또는 천장 패널 내에 배치된다. 또한, 천장 패널이 없는 경우는 상기 누설 도파관(12)은 지붕의 내측에 매달아 옥내(11)의 상부 공간 부분에 배치된다.
또한, 누설 전송로로서 누설 도파관 이외에 누설 동축 케이블을 이용할 수도 있다. 전송 손실이 적은 누설 도파관 쪽이 무선 LAN과 같은 저송신 전력 시스템에 적합하다.
상기 누설 도파관(12)은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형 도체(12a)에 소정의 길이의 슬롯(12b)이 일정한 간격으로 전체에 걸쳐 설치된다. 이 슬롯(12b)은 피복재(12c)로 덮여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도파관(12) 내 부와 외부 공간 사이에서 슬롯(12b)을 통해 전파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누설 도파관(12)의 전파 복사 특성은 휘프 안테나(whip antenna) 또는 다이폴 안테나와 같은 일반 단일형 안테나와 다르게,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복사 패턴이 된다. 즉, 복사 패턴은 누설 도파관(12)의 축방향에서 볼 때 부채형이 되며, 이것이 도파관 전체에 걸쳐 있다. 그리고, 누설 도파관(12)의 근방에서 전계 강도가 크고, 멀어짐에 따라 서서히 약해지는 전계 강도 분포를 얻을 수 있다.
송신 전력이 수십 내지 수백 mW인 2.4 GHz대 또는 5 GHz대의 무선 LAN 시스템의 경우, 통신 성능과 경제성의 양립이라는 점에서 사행 배치되는 상기 누설 도파관(12)의 간격은 6∼10 m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상기 누설 도파관(12)은 일단이 무선 기지국 장치(13)에 접속되고, 타단이 도파관의 특성 임피던스와 같은 부하 저항치를 갖는 종단 부하로서의 종단기(14)에 접속된다. 상기 무선 기지국 장치(13)는 보수 작업이 용이한 벽면에 설치되거나 또는 천장 패널 등에 설치되어도 좋다.
상기 무선 기지국 장치(13)는 LAN 케이블(15) 및 전원 케이블(16)에 접속된다. 상기 옥내(11)의 바닥면에는 상기 무선 기지국 장치(13)와 무선 통신하는 복수의 무선 단말 장치(17)가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무선 LAN 시스템에 있어서, LAN 케이블(15)에 의해 무선 기지국 장치(13)로 전송된 정보는 OFDM 방식으로 변조되고, 2.4 GHz대 또는 5 GHz대의 고주파 신호로서 누설 도파관(12)에 송출된다. 이 고주파 신호는 누설 도파관(12) 내에 전파되면서, 그 일부가 다수의 슬롯(12b)에서 바닥면 방향의 공간 약 180°의 각도 범위에서 전파로서 복사된다.
무선 단말 장치(17)에 있어서, 누설 도파관(12)의 각 슬롯(12b) 중에서 비교적 근처에 있는 슬롯군(18a, 18b)으로부터 복사되는 복수의 송신파가 도래파로서 특히 강하게 수신된다. 이 강하게 수신된 도래파에 의해 수신 전력이 큰 주전력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송신파간에는 각 송신파가 수신점에 도달하여 도래파로서 수신되기까지의 시간차가 있다. 누설 도파관(12)의 간격이 10 m, 누설 도파관(12)의 바닥면으로부터의 높이가 3 m, 누설 도파관(12) 상에서의 슬롯군(18a)과 슬롯군(18b)의 거리를 20 m으로 하면, 무선 단말 장치(17)가 수신하는 도래파의 최대 시간차는 90 nsec 정도가 된다.
무선 LAN에 사용되는 OFDM 방식의 규격에서는 지연파의 영향을 배제할 수 있는 가드 구간이 800 nsec로 설정된다. OFDM은 멀티 캐리어 전송 방식의 일종이며, 송신 데이터는 서로 직교하는 다수의 서브 캐리어에 의해 전송된다. 그리고, 각 서브 캐리어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유효 심볼 구간과, 그 일부를 카피한 가드 구간의 2개로 구성된 변조 심볼(다진 부호)을 전송한다.
송수신 사이에는 직접 경로뿐만 아니라 복수의 반사 경로도 존재한다. 따라서, 수신측에서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접파, 반사파(R1, R2, R3)이라는 시간차가 있는 복수의 심볼이 수신된다. 수신측에 있어서, Ts 구간의 합성파에는 유효 심볼 j의 구성 요소만이 포함된다. 이것은 송신측에서 가드 구간을 부가함으로써 가드 구간의 시간차 이내에 있는 지연파이면, 전후의 심볼 i, k 성분이 구간 Ts에 포함되지 않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수신측에서는 이 구간 Ts에서 추출한 부 분을 푸리에 변환함으로써 인접하는 심볼 구간의 간섭없이 OFDM 복조를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OFDM 방식으로 정보를 무선 기지국 장치(13)와 무선 단말 장치(17)에 송수신함으로써, 무선 단말 장치(17)가 슬롯군(18a) 및 슬롯군(18b)으로부터의 도래파를 수신하고 OFDM 복조하여, 정보를 확실하게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슬롯군(18a)으로부터의 송신파가 사람이나 집기 등의 장해물로 완전히 차단되더라도 남은 슬롯군(18b)으로부터의 송신파가 수신 안테나에 도달한다.
즉, 무선 단말 장치(17)와 누설 도파관(12) 상의 어느 하나의 슬롯(12b)과의 사이에서 장해물의 영향을 받지 않는 전파 전송로가 존재하기 때문에 무선 단말 장치(17)로부터의 송신파는 확실하게 누설 도파관(12)에 도달한다.
또한, 무선 단말 장치(17)의 수신 안테나는 다수의 도래파를 수신한다. 이들 다수의 도래파는 다수의 슬롯(12b)에서 각각 복사된 것이다. 따라서, 각 도래파의 위상차는 매우 작은 스텝에서 다르기 때문에, 무선 단말 장치(17)의 수신 안테나에 수신되는 다수의 도래파는 거의 연속적이라고 볼 수 있다. 그 때문에, 수신 안테나에 있어서 180°의 위상차가 되어 완전히 서로 부정하는 도래파의 조합이 일부에 있었다고 해도, 남은 대다수의 도래파에 의한 유효한 수신 전력이 존재한다.
한편, OFDM 방식은 수신측의 복조 과정에서 가드 구간에 도래하는 지연파에 대해서 내성을 갖는다. 이 때문에, 송신파원이 복수개인 경우나 반사파에 의해 멀티패스가 있는 경우에, 수신측에서 복수의 시간차가 있는 도래파를 수신하더라도 복조 단계에서 부호간 간섭에 의한 전송 품질의 열화는 적다. 따라서, 위상이 연속 적으로 다른 다수의 도래파를 수신한 경우에 주전력을 차지하는 복수의 도래파의 최대 시간차가 가드 구간 내에 있으면, 정상적인 복조를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선 기지국 장치(13)의 안테나로서 누설 도파관(12)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가령 옥내(11)에 다수의 집기가 존재하더라도 누설 도파관(12)과 옥내(11)의 무선 단말 장치(17)의 사이에서 전파 전송로를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무선 기지국 장치(13)와 각 무선 단말 장치(17)의 변복조에 OFDM 방식을 이용하기 때문에 다수의 전파 전송로에서 도래하는 도래파의 시간차에 의한 부호간 간섭의 영향을 해소할 수 있다. 더구나, 옥내(11)에 다수의 무선 기지국 장치를 배치할 필요가 없고, 그에 따라 설비 비용도 들지 않는다. 따라서, 옥내(11)에서의 불감 영역의 발생을 해소할 수 있고, 더구나, 부호간 간섭이 없는 고속의 동보 전송을 저비용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옥내(11)의 천장 부분에 누설 도파관(12)이 사행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무선 단말 장치(17)의 바로 위에 누설 도파관(12)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이 무선 단말 장치(17)에 대해서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서 2개의 누설 도파관(12)이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이 무선 단말 장치(17)에 대하여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 다수의 슬롯(12b)이 존재하게 되고, 무선 단말 장치(17)는 누설 도파관(12)과의 사이에서 양호한 무선 전파 경로를 확보할 수 있다.
또, 여기서는 옥내(11)의 천장 부분에 누설 도파관을 사행으로 배치하였지만,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 6에 도시하는 식으로 옥내(11)의 천장 부분에 누설 도파관(12)을 소용돌이형으로 배치하거나, 도 7에 도 시하는 식으로 옥내(11)의 천장 부분에 누설 도파관(12)을 지그재그로 배치하여도 좋다. 또한, 누설 도파관(12)을 옥내(11)의 바닥 밑에 배치하여도 좋다.
(제2 실시예)
여기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선 LAN을 가동시키는 옥내(11)의 천장 부분에 누설 전송로로서, 예컨대 3개의 누설 도파관(21, 22, 23)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각 누설 도파관(21, 22, 23)은 제1 실시예의 누설 도파관(12)과 같이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송신 전력이 수십 내지 수백 mW인 2.4 GHz대 또는 5 GHz대의 무선 LAN 시스템인 경우, 상기 각 누설 도파관(21, 22, 23)의 간격은 6∼10 m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통신 성능과 경제성의 양립이라는 점에서 합리적이다.
상기 각 누설 도파관(21, 22, 23)은 그 일단이 전력 합성 분배기(24)에 접속되고, 그 타단이 각 도파관의 특성 임피던스와 같은 부하 저항치를 갖는 종단 부하로서의 종단기(25, 26, 27)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력 합성 분배기(24)의 공통 단자와 무선 기지국 장치(13)를 동축 케이블(28)로 접속하고 있다.
이 구성에서도 누설 도파관(21, 22, 23)은 무선 기지국 장치(13)의 안테나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가령 옥내(11)에 다수의 집기가 존재하더라도 누설 도파관(21, 22, 23)과 옥내(11)의 무선 단말 장치(17) 사이에서 전파 전송로를 확 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무선 기지국 장치(13)와 각 무선 단말 장치(17)의 변복조에 OFDM 방식을 이용하기 때문에, 다수의 전파 전송로로부터 도래하는 도래파의 시간차에 의한 부호간 간섭의 영향을 해소할 수 있다. 더구나, 옥내(11)에 다수의 무선 기지국 장치를 배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설비 비용이 들지 않는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전술한 실시예와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제3 실시예)
여기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것은, 예컨대 점포의 옥내 등에서 실내의 바닥 상에 길이가 긴 다수의 상품 진열장(31)이 늘어서 있는 상태를 예로 하여 진술한다.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같이 누설 도파관(12)을 옥내의 천장 부분에 사행 배치하는 경우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상품 진열장(31)에 대하여 누설 도파관(12)을 이 각 상품 진열장(31)을 전후로 가로지르도록 사행 배치한다.
또한, 전술한 제2 실시예와 같이 복수의 누설 도파관(21, 22, 23)을 옥내의 천장 부분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하는 경우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상품 진열장(31)에 대하여 누설 도파관(21, 22, 23)을 이 각 상품 진열장(31)을 전후로 가로지르도록 배치한다.
이와 같이, 상품 진열장(31)을 전후로 가로지르도록 누설 도파관을 배치함으로써 상품 진열장(31) 사이에 있는 통로에 무선 단말 장치(17)가 설치된 경우라도 무선 단말 장치(17)로부터 누설 도파관을 항상 간파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단말 장치(17)는 상품 진열장(31)에 방해되지 않고서 누설 도파관을 경유하여 무선 기지국 장치(13)와 확실하게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단말 장치(17)로부터 간파할 수 있는 누설 도파관이 복수개 존재하기 때문에, 가령 그 중 하나가 사람 등에 의해 일시적으로 차단되더라도 누설 도파관과의 전파 경로는 확보되기 때문에, 정상적인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도 9 또는 도 10에 도시하는 무선 LAN 시스템은 다수의 상품 진열장이 늘어서고 다수의 손님이 출입하는 유통 소매 점포와 같은 환경에서도, 누설 도파관의 균일한 전파 복사 및 수신 특성에 의해 상품 진열장이나 혼잡한 사람의 그림자에 가려지는 불감 영역이 해소되며, 통신 품질의 안정성 확보가 가능해진다.
(제4 실시예)
이 실시예는 안테나로서 기능하는 전송로로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안테나 어레이 케이블(31)을 사용한다. 상기 안테나 어레이 케이블(31)은 고주파 케이블(32)의 도중에, 예컨대 50 cm 내지 1 m의 간격으로 제1 안테나부(33)를 배치하는 동시에 고주파 케이블(31)의 끝에도 종단기가 아니라 제2 안테나부(34)를 배치한 것이다.
도 1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안테나부(33)는 고주파 결합기(331)와 안테나 소자(332)를 인쇄 기판 상에 패턴 형성한 것이다. 이 안테나 소자(332)는 평면 패치 안테나로 되어 있다. 이 제1 안테나부(33)와 고주파 케이블(32)의 접속은 예컨대 커넥터를 통해 행해진다.
도 1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2 안테나부(34)에는 고주파 결합기가 없고, 안테나 소자(341)만이 인쇄 기판 상에 패턴 형성된다. 이 안테나 소자(341)도 평면 패치 안테나로 되어 있다. 이 제2 안테나부(34)와 고주파 케이블(32)의 접속도 커넥터를 통해 행해진다.
천장에 부설한 경우에 이러한 구성의 안테나 어레이 케이블(31)의 전파 복사 특성은, 전술한 누설 도파관과 같이, 휘프 안테나나 다이폴 안테나와 같은 일반의 단일형 안테나와는 달리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은 띠형의 복사 패턴을 갖는다.
그리고, 이 안테나 어레이 케이블(31)은 누설 도파관과 같이, 예컨대 천장 패널의 표면측이나 이면측, 또는 천장 패널내 등의 천장 부분에 배치된다. 또한, 천장 패널이 없는 경우에는 지붕의 내측에 매달아 옥내의 상부 공간 부분에 배치된다.
그리고, 배치 패턴으로서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사행 배치하거나,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천장 부분에 소용돌이형으로 배치 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천장 부분에 지그재그로 배치한다. 또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력 합성 분배기를 사용하여 복수개의 안테나 어레이 케이블(31)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병렬로 배치한다.
게다가,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상품 진열장이 늘어서 있는 경우에는 각 상품 진열장을 전후로 가로지르도록 하여 배치한다.
이와 같이 누설 도파관 대신에 안테나 어레이 케이블(31)을 사용하여도 전술 한 각 실시예와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안테나로 기능하는 전송로로서, 누설 전송로 및 안테나 어레이 케이블을 사용하였지만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전술한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을 무선 LAN 시스템에 적용한 것에 관해서 진술했지만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LAN을 사용하지 않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옥내에서의 불감 영역의 발생을 해소할 수 있고, 더구나 부호간 간섭이 없는 고속의 동보 전송을 저비용으로 실현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얻을 수 있다.

Claims (19)

  1. 옥내에 배치되고 안테나로서 기능하는 전송로와,
    옥내에 배치된 무선 단말 장치와,
    상기 전송로를 통해 상기 무선 단말 장치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 기지국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무선 단말 장치와 무선 기지국 장치간의 무선 통신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변조 방식을 사용하고,
    복수의 도래파가 상기 무선 단말 장치에 수신될 때, 복수의 도래파 중에서 주전력을 차지하는 복수의 도래파의 시간차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변조 방식의 가드 구간 내에 포함되도록, 상기 전송로가 배치되는 것인 무선 통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는 누설 전송로로 구성되는 것인 무선 통신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 전송로는 상기 옥내에 하나의 전송로가 사행(蛇行), 지그재그 또는 소용돌이형으로 배치되고, 그 일단은 상기 무선 기지국 장치에 접속되며, 그 타단은 종단 부하에 접속되는 것인 무선 통신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는 안테나 어레이 케이블로 구성되는 것인 무선 통신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어레이 케이블은 하나의 고주파 전송로와, 이 고주파 전송로의 도중에 설치된 복수의 고주파 결합기 및 안테나를 구비하고, 상기 안테나 어레이 케이블은 상기 옥내에 사행, 지그재그 또는 소용돌이형으로 배치되고, 상기 안테나 어레이 케이블의 일단은 상기 무선 기지국 장치에 접속되는 것인 무선 통신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는 상기 옥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병렬로 배치된 복수개의 전송로로 구성되고, 이들 복수개의 전송로의 각 전송로의 일단은 전력 분배 합성기에 접속되고, 이 전력 분배 합성기는 상기 무선 기지국 장치에 접속되는 것인 무선 통신 시스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는 실내에 배치된 복수의 상품 진열장을 전후로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것인 무선 통신 시스템.
  9. 옥내에 배치되고 안테나로서 기능하는 전송로와,
    옥내에 배치된 무선 단말 장치와,
    상기 전송로를 통해 상기 무선 단말 장치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 기지국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무선 단말 장치와 무선 기지국 장치간의 무선 통신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변조 방식으로 행해지고,
    상기 전송로는 누설 전송로로 구성되고, 이 누설 전송로는 상기 옥내에 하나의 전송로가 사행(蛇行), 지그재그 또는 소용돌이형으로 배치되고, 그 일단은 상기 무선 기지국 장치에 접속되며, 그 타단은 종단 부하에 접속되는 것인 무선 통신 시스템.
  10. 옥내에 배치되고 안테나로서 기능하는 전송로와,
    옥내에 배치된 무선 단말 장치와,
    상기 전송로를 통해 상기 무선 단말 장치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 기지국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무선 단말 장치와 무선 기지국 장치간의 무선 통신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변조 방식으로 행해지고,
    상기 전송로는 안테나 어레이 케이블로 구성되고, 이 안테나 어레이 케이블은 하나의 고주파 전송로와, 이 고주파 전송로의 도중에 설치된 복수의 고주파 결합기 및 안테나를 구비하고, 상기 안테나 어레이 케이블은 상기 옥내에 사행, 지그재그 또는 소용돌이형으로 배치되고, 상기 안테나 어레이 케이블의 일단은 상기 무선 기지국 장치에 접속되는 것인 무선 통신 시스템.
  11. 옥내에 배치되고 안테나로서 기능하는 전송로와,
    옥내에 배치된 무선 단말 장치와,
    상기 전송로를 통해 상기 무선 단말 장치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 기지국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무선 단말 장치와 무선 기지국 장치간의 무선 통신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변조 방식으로 행해지고,
    상기 전송로는 실내에 배치된 복수의 상품 진열장을 전후로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것인 무선 통신 시스템.
  12. 무선 단말 장치 및 이 무선 단말 장치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기지국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무선 통신의 변복조 방식으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변조 방식을 사용하여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누설 전송로로서,
    상기 누설 전송로는 상기 무선 기지국에 접속되며, 상기 무선 단말 장치가 복수의 도래파를 수신할 때 이 복수의 도래파 중에서 주전력을 차지하는 복수의 도래파의 시간차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변조 방식의 가드 구간 내에 포함되도록 옥내에 배치된 안테나로써 기능하는 것인 누설 전송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 전송로는 옥내에서 하나의 누설 전송로로써 사행, 지그재그 또는 소용돌이형으로 배치되고, 그 일단은 상기 무선 기지국 장치에 접속되며, 그 타단은 종단 부하에 접속되는 것인 누설 전송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 전송로는 복수 개의 누설 전송로로써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병렬로 배설되고, 각각의 누설 전송로의 일단은 전력 분배 합성기에 접속되고, 이 전력 분배 합성기는 상기 무선 기지국 장치에 접속되는 것인 누설 전송로.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 전송로는 상기 옥내에 배치된 복수의 상품 진열장을 전후로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것인 누설 전송로.
  16. 무선 단말 장치 및 이 무선 단말 장치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기지국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무선 통신의 변복조 방식으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변조 방식을 사용하여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안테나 어레이 케이블로서,
    상기 안테나 어레이 케이블은 상기 무선 기지국에 접속되며, 상기 무선 단말 장치가 복수의 도래파를 수신할 때 이 복수의 도래파 중에서 주전력을 차지하는 복수의 도래파의 시간차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변조 방식의 가드 구간 내에 포함되도록 옥내에 배치된 안테나로써 기능하는 것인 안테나 어레이 케이블.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어레이 케이블은 옥내에서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 케이블로써 사행, 지그재그 또는 소용돌이형으로 배치되고, 그 일단은 상기 무선 기지국 장치에 접속되며, 그 타단은 종단 부하에 접속되는 것인 안테나 어레이 케이블.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어레이 케이블은 복수 개의 안테나 어레이 케이블로써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병렬로 배설되고, 각각의 안테나 어레이 케이블의 일단은 전력 분배 합성기에 접속되고, 이 전력 분배 합성기는 상기 무선 기지국 장치에 접속되는 것인 안테나 어레이 케이블.
  19.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어레이 케이블은 상기 옥내에 배치된 복수의 상품 진열장을 전후로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것인 안테나 어레이 케이블.
KR1020047004328A 2002-06-25 2003-06-23 무선 통신 시스템 KR1006510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84564 2002-06-25
JP2002184564 2002-06-25
JP2002244092 2002-08-23
JPJP-P-2002-00244092 2002-08-23
JPJP-P-2002-00312867 2002-10-28
JP2002312867A JP3749513B2 (ja) 2002-06-25 2002-10-28 無線通信システム
PCT/JP2003/007938 WO2004002178A1 (ja) 2002-06-25 2003-06-23 無線通信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7112A KR20040037112A (ko) 2004-05-04
KR100651067B1 true KR100651067B1 (ko) 2006-12-01

Family

ID=30003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4328A KR100651067B1 (ko) 2002-06-25 2003-06-23 무선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7302228B2 (ko)
EP (1) EP1422957B1 (ko)
JP (1) JP3749513B2 (ko)
KR (1) KR100651067B1 (ko)
CN (1) CN100499928C (ko)
AU (1) AU2003243953A1 (ko)
CA (1) CA2464612A1 (ko)
DE (1) DE60335167D1 (ko)
TW (1) TWI224437B (ko)
WO (1) WO20040021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49513B2 (ja) * 2002-06-25 2006-03-01 東芝テ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
US8776146B2 (en) * 2004-12-28 2014-07-08 Livetv, Llc Aircraft in-flight entertainment system including a distributed digital radio service and associated methods
JP3961541B2 (ja) * 2005-06-17 2007-08-22 東芝テック株式会社 無線基地局アンテナ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20070049346A1 (en) * 2005-08-29 2007-03-01 Pjb Technologies, Llc Antenna distribution system
US7606592B2 (en) * 2005-09-19 2009-10-20 Becker Charles D Waveguide-based wireless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JP2007135151A (ja) * 2005-11-14 2007-05-31 Toshiba Tec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
JP2007243821A (ja) * 2006-03-10 2007-09-20 Toshiba It & Control Systems Corp 無線タグ移動検出システム
EP2495882A1 (en) * 2011-02-28 2012-09-05 Alcatel Lucent Distributed antenna system
US9620860B2 (en) 2011-02-28 2017-04-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lotted wave guide antenna with angled subsection
JP5412476B2 (ja) * 2011-07-29 2014-02-12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
JP5674732B2 (ja) * 2012-08-30 2015-02-25 東芝テ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
JP5703271B2 (ja) * 2012-08-30 2015-04-15 東芝テ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
CN103096351B (zh) * 2013-01-07 2016-08-03 北京全路通信信号研究设计院集团有限公司 Wifi参数确定方法及装置、信号传输方法及系统
KR101336833B1 (ko) * 2013-02-01 2013-12-04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방호시설 차폐효과 감시 시스템
DE102013012551A1 (de) * 2013-07-25 2015-02-26 KATHREIN Sachsen GmbH Bodenantenne
CN103985937A (zh) * 2014-03-26 2014-08-13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等离子体微波隔离装置、微波隔离方法及装置应用
US10305198B2 (en) 2015-02-25 2019-05-2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Facilitating wireless communications via wireless communication assembly apparatuses
BR112017020741A2 (pt) 2015-04-03 2018-07-17 Wlanjv Inc sistema de antenas distribuídas de múltiplos serviços
US9740897B1 (en) * 2016-08-22 2017-08-22 The Boeing Company Inventor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JP6597651B2 (ja) * 2017-01-18 2019-10-30 株式会社デンソー 携帯端末検出装置、携帯端末検出方法
JP6825380B2 (ja) * 2017-01-19 2021-02-0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Rfidシステム
JP7224762B2 (ja) * 2018-02-27 2023-02-2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飛しょう体
CN111385810A (zh) * 2018-12-29 2020-07-07 中天射频电缆有限公司 室内分布系统
CN111432330B (zh) * 2020-03-13 2022-07-08 中天射频电缆有限公司 室内通导一体化网络
WO2023118989A1 (en) * 2021-12-21 2023-06-29 Poynting Antennas (Pty) Limited In-line signal distribution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6732A (en) * 1985-02-04 1989-09-12 Mitel Telecom Limited Wireless telephone system
US5586167A (en) * 1991-05-23 1996-12-17 Mitel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zone managemen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08778B (en) * 1985-02-04 1989-07-05 Mitel Telecom Ltd Wireless telephone system
JPS62200924A (ja) * 1986-02-28 1987-09-04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室内通信方法
JPS63290416A (ja) 1987-05-23 1988-11-28 Sumitomo Electric Ind Ltd 多導体撚り対型漏洩ケ−ブル無線通信方式
US5157393A (en) 1989-02-28 1992-10-20 Kabushiki Kaisha Toshiba Communication system for transmitting data between a transmitting antenna utilizing leaky coaxial cable and a receive antenna in relative movement to one another
JPH03289838A (ja) 1990-04-06 1991-12-19 Tokimec Inc データ通信システム
JPH04113727A (ja) * 1990-09-04 1992-04-15 Ocean Cable Co Ltd 屋内無線方式とその伝送線路
JPH0548502A (ja) * 1991-08-09 1993-02-2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ワイヤレス信号伝送方式
JPH06188821A (ja) * 1992-12-22 1994-07-08 Sekisui Chem Co Ltd 小電力無線通信システム
EP0630070A1 (en) * 1993-05-29 1994-12-21 Yoshiro Niki Leaky antenna for personal communications system
US5537637A (en) * 1993-09-21 1996-07-16 Nhk Integrated Technology, Inc. Medium-frequency radio broadcasting retransmission system for confined and electromagnetically shielded areas
JPH07263937A (ja) 1994-03-18 1995-10-13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移動体通信用アンテナシステム
JPH08274702A (ja) 1995-03-31 1996-10-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無線通信システム
JP3880092B2 (ja) * 1996-02-08 2007-02-14 独立行政法人 日本原子力研究開発機構 建築構造物
TW317058B (en) 1996-04-23 1997-10-01 Ibm Data communication system for a wireless access to an atm network
JPH10105878A (ja) 1996-09-25 1998-04-24 Hitachi Cable Ltd 交通信号制御装置
JP3821177B2 (ja) 1997-04-21 2006-09-13 国土交通省国土技術政策総合研究所長 漏洩同軸ケーブル
JP3008946B2 (ja) * 1997-12-25 2000-02-14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路車間通信システム
JPH11248827A (ja) 1998-02-26 1999-09-17 Hitachi Cable Ltd 擬レーダ式障害物検知装置
JP4338818B2 (ja) * 1999-04-09 2009-10-07 株式会社イシダ 棚札表示変更システム
JP2001028576A (ja) * 1999-07-14 2001-01-30 Sumitomo Electric Ind Ltd 車載受信装置
KR100630195B1 (ko) * 1999-12-29 2006-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피코-기지국의 전력 분배 장치 및 방법
JP4359691B2 (ja) * 2000-03-03 2009-11-04 学校法人慶應義塾 通信システム
JP3749513B2 (ja) * 2002-06-25 2006-03-01 東芝テ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6732A (en) * 1985-02-04 1989-09-12 Mitel Telecom Limited Wireless telephone system
US5586167A (en) * 1991-05-23 1996-12-17 Mitel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zone managemen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335167D1 (de) 2011-01-13
US20080049858A1 (en) 2008-02-28
KR20040037112A (ko) 2004-05-04
US20040185910A1 (en) 2004-09-23
US7499672B2 (en) 2009-03-03
TWI224437B (en) 2004-11-21
CA2464612A1 (en) 2003-12-31
JP2004140765A (ja) 2004-05-13
CN100499928C (zh) 2009-06-10
AU2003243953A1 (en) 2004-01-06
CN1557106A (zh) 2004-12-22
JP3749513B2 (ja) 2006-03-01
EP1422957A4 (en) 2004-11-24
WO2004002178A1 (ja) 2003-12-31
EP1422957B1 (en) 2010-12-01
EP1422957A1 (en) 2004-05-26
US7302228B2 (en) 2007-11-27
TW200412045A (en) 2004-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106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US20100033390A1 (en) Millimeter-wave communication system with directional antenna and one or more millimeter-wave reflectors
US11563491B2 (en) Geometric configuration of device for launching tranverse magnetic waves
JP2002204240A (ja) 無線lanシステムおよび無線lanシステム用導波装置
JP4044589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漏洩伝送路並びにアンテナアレイケーブル
EP1411584B1 (en) Built-in antenna system for indoor wireless communications
JP2007336577A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漏洩伝送路並びにアンテナアレイケーブル
EP2580803B1 (en) Coaxial line to waveguide transition with folded monopole variable signal coupler
EP0630070A1 (en) Leaky antenna for personal communications system
JP2005012822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US11133916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4210096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2004179756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WO2012156276A1 (en) Transmission line and passenger information system
WO2023098989A1 (en) High voltage install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power electronic cells and waveguide
CN1305243A (zh) 同轴辐射高频电缆
JP2000165139A (ja) アンテ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