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8585B1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8585B1
KR100648585B1 KR1020040103902A KR20040103902A KR100648585B1 KR 100648585 B1 KR100648585 B1 KR 100648585B1 KR 1020040103902 A KR1020040103902 A KR 1020040103902A KR 20040103902 A KR20040103902 A KR 20040103902A KR 100648585 B1 KR100648585 B1 KR 100648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detergent
lock
washing machine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3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8209A (ko
Inventor
반다요시까즈
다께우찌마꼬또
다나까히로유끼
오제끼유우지
오오니시가쯔지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58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8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8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8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4Quantity, e.g. weight or variation of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4Opening, closing or locking of do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상부 덮개의 내측에 세제 용기가 배치된 세탁기에 있어서, 세제 용기에 세제 수용시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사용의 편리성을 높인다.
상부 덮개가 폐쇄되고 개방 금지를 위한 로크 상태에서 드럼을 회전 구동시켜 세탁물의 양을 검지한다(S2 내지 S6). 그 후, 드럼을 로크 위치까지 회전시켜 로크하고(S7), 상부 덮개의 로크를 해제하여 상부 덮개의 개방을 허가한다(S8). 부하량 검지가 종료된 시점에서 부하량에 따른 적절한 세제량 기준이 판명되지만, 상부 덮개의 로크가 해제되기 전에는 세제량 기준 표시를 수행하지 않고 상부 덮개의 로크가 해제된 이후에 표시를 수행한다(S9). 따라서, 부하량 검지시 등 드럼이 로크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부 덮개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세제량 기준 표시를 보았을 때는 상부 덮개의 로크가 해제되어 있으므로, 이를 참고하여 세제를 투입하려는 경우에 상부 덮개가 열리지 않는 등의 상황을 회피할 수 있다.
세탁기, 덮개, 드럼, 로크, 세제량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도1은 본 실시예의 드럼식 세탁기의 상부 덮개를 폐쇄한 상태의 외관 사시도.
도2는 본 실시예의 드럼식 세탁기의 상부 덮개를 개방한 상태의 상부 외관 사시도.
도3은 본 실시예의 드럼식 세탁기의 상면 일부 파단도.
도4는 본 실시예의 드럼식 세탁기의 조작 패널의 외관 평면도.
도5는 본 실시예의 드럼식 세탁기 내부의 요부 정면 종단면도.
도6은 본 실시예의 드럼식 세탁기 내부의 좌측면도.
도7은 본 실시예의 드럼식 세탁기의 전기계 구성도.
도8은 본 실시예의 드럼식 세탁기에 있어서 운전 개시 지시가 수행된 이후 세탁 운전이 개시되기까지의 제어·처리를 도시한 플로어 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외부 케이스
2: 상부 덮개
2d: 결합 구멍
4: 세탁물 투입구
5: 조작 패널
51: 조작부
52: 표시부
53: 부저
5f: 세제량 기준 표시기
6: 세제 용기
7: 상부 덮개 로크 기구
7a: 결합 봉
7b: 토크 모터
8: 상부 덮개 개폐 검지부
8a: 자석
8b: 리드 스위치
111: 외조
14: 드럼
21: 드럼 로크 기구
22a: 토크 모터
30: 제어부
31: 부하 구동부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조 내에 수용된 세탁물의 양을 검지하고, 그에 따른 세제 투입량의 기준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기능을 갖는 전자동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회오리식 세탁기 및 드럼식 세탁기에 있어서, 세탁 운전 개시 이전에 내조 내에 수용된 세탁물의 양(부하량)을 검지하고, 그 부하량에 따라 수위를 설정하는 동시에 그에 대응하는 세제 투입량의 기준을 표시하는 것은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기능을 갖는 전자동 세탁기에서는 사용자가 이 표시를 참고하여 적정량의 세제를 외조 내에 투입하거나, 세제 용기에 충전하여 두면 세탁 운전의 급수시에 세제 용기에 공급된 물과 함께 세제가 내조 내로 투입된다.
회오리식 세탁기에서는 일반적으로 급수가 수행되고 있을 때나 급수가 종료되어 펄소미터가 회전하기 시작한 후에도 상부 덮개를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세제량 기준 표시를 확인한 후, 상부 덮개를 열어 세제를 직접 내조 내에 투입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드럼식 세탁기에서는 일반적으로 운전이 일단 개시되면 도어를 열고 드럼 내에 세제를 직접 투입하는 작업이 어렵기 때문에 세제를 수용하기 위한 세제 용기가 외부 케이스에 설치되며, 사용자는 세제량 기준 표시를 확인한 이후에 세제를 세제 용기 내에 수용하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드럼식 세탁기는 세제 용기에 세제를 충전시키는 적절한 타이밍을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하여 세제량 기준 표시기를 점멸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드럼식 세탁기에서는 세탁물 투입구가 형성된 드럼의 일단면이 전방면을 향해 있고, 외부 케이스의 전방면에 이 세탁물 투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가 가로 개방식으로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동일한 드럼식 세탁기라도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드럼식 세탁기에서는 드럼 및 외조의 외주면에 각각 개구가 설치되어 있고, 통상의 회오리식 세탁기와 마찬가지로 외부 케이스의 상면에 세탁물 투입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을 개폐하는 상부 덮개가 후방측으로 열리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드럼식 세탁기에서는 상부 덮개의 좌우 양측에 세제 용기와 조작 패널이 나뉘어 배치되어 있는데, 세제 용기는 상부 덮개의 개폐시 장해가 되지 않도록 전후 방향으로 긴 형상의 인출식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처럼 외부 케이스의 상면에 상부 덮개를 설치한 드럼식 세탁기는 일반 회오리식 세탁기와 동일한 사용 편리성을 가지며, 또한 드럼식 세탁기의 특징인 높은 세정 성능이나 절수성 등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서는 상부 덮개를 폭넓게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에 대용량 타입과 같이 충분한 가로폭 사이즈를 취할 수 있는 경우에는 그다지 문제가 되지 않지만 소용량 타입과 같이 가로폭 사이즈를 작게 하는 경우에는 상부 덮개의 폭 및 개구폭이 좁아져 사용하기에 불편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의 하나로, 상면이 개방된 세제 용기를 상부 덮개에 의해 가려지는 위치에 설치하여 상부 덮개의 면적을 크게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단,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부 덮개를 개방하고 세제 용기 내에 세제를 넣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에 서는 드럼 내에 수용된 세탁물의 양에 적합한 세제량을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급수 개시까지 세제가 세제 용기에 수용되도록 하는 동시에 세제를 투입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상부 덮개를 개방하였을 때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또한 부적절한 상태에서 상부 덮개가 개방됨으로 인한 파손 등을 방지하는 것이 요구된다.
[특허문헌 1] 특개 2003-290591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주된 목적은 내조 내에 수용된 세탁물의 양을 검지하여 적절한 세제량 기준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세탁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세제 투입량 기준을 참고하여 상부 덮개를 개방하고 세제를 세제 용기 또는 내조 내에 투입할 때에 높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부적절한 시기에서의 상부 덮개의 개방으로 인한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술된 것처럼 세제의 투입시 사용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은, 외형을 이루는 외부 케이스와, 이 외부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외조와, 이 외조 내에 회전 자재로 설치되며 내부에 세탁물이 수용되는 내조를 구비한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내조를 회전 구동하여 내조 내에 수용된 세탁물의 양을 검지하는 부하량 검지 수단과,
상기 외부 케이스에 형성된 세탁물 투입구를 개폐하는 덮개체를 폐쇄 상태로 로크하는 덮개체 로크 수단과,
이 덮개체 로크 수단에 의해 덮개체가 로크된 상태에서 상기 부하량 검지 수단을 통해 부하량 검지를 실행하고, 이 부하량 검지를 위한 내조의 회전이 정지된 이후에 상기 내조 내 또는 상기 덮개체에 의해 덮여지는 위치에 배치된 세제 용기 내에 세제류를 충전할 수 있도록 상기 덮개체 로크 수단에 의한 덮개체의 로크를 해제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세탁기에서는 사용자가 내조에 세탁물을 수용한 이후에 소정의 조작을 통해 운전 개시를 지시하면, 덮개체 로크 수단이 덮개체의 개방을 금지하도록 덮개체를 로크한다. 덮개체가 로크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덮개체를 개방하려고 하여도(덮개체를 개방하기 위한 정규 수순에 따른 조작은 제외) 덮개체가 개방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부하량 검지 수단은 내조를 소정의 수순으로 회전시키고, 이 때의 부하를 측정하여 내조 내의 세탁물의 양을 검지한다. 부하량이 정해지면 그에 적합한 세제량 기준을 정할 수 있다. 부하량 검지를 위한 내조의 회전 동작이 종료되고 내조가 정지하면, 제어 수단은 덮개 로크 수단을 통해 덮개체의 로크를 해제한다. 여기서 내조의 정지란, 내조가 완전히 정지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부하량 검지를 위한 내조의 회전이 종료되고 있으며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정도의 느린 속도로 내조가 회전하고 있는 상태이어도 된다. 따라서, 내조가 거의 정지된 상태에서 비로소 사용자가 덮개체를 수동으로 개방할 수 있으므로, 덮개체를 개방하여 예를 들면 부하량에 따른 적절량의 세제를 내조 내, 또는 덮개체로 덮여있는 위치에 배치된 세제 용기 내에 충전할 수 있다.
부하량 검지가 종료되지 않았으며 내조가 아직 안전성을 확보할 수 없는 정 도의 속도로 회전하고 있을 때에는 덮개체가 개방되지 않아 사용자가 내조에 닿을 일이 없으므로, 높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드럼의 주면에 세탁물 투입구가 설치된 드럼식 세탁기에서는 드럼이 소정의 회전 위치에 정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외조의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조작이 이루어지면 외조 도어나 드럼 도어가 파손될 우려가 있지만, 외조의 덮개체가 개방되지 않음에 따라 이러한 파손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세제 용기 내에 세제를 충전하려는 경우, 부하량 검지가 종료되고 덮개체가 개방 가능한 이후에 신속하게 세제를 투입하면 급수시에 세제가 내조 내로 확실하게 투입됨에 따라 세제 투입의 타이밍을 놓치는 일도 없다.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이 드럼이 소정의 회전 위치에 있을 때에만 외조 도어 및 드럼 도어를 개방하도록 된 구성에서는, 덮개체의 로크를 해제하기 이전에 반드시 드럼을 그 회전 위치에 정지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 관한 세탁기는 상기 내조(예를 들면 드럼)를 소정의 회전 위치에서 주지(駐止)시키는 내조 로크 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제어 수단은 내조 로크 수단을 통해 내조의 로크를 실행한 후, 상기 덮개체 로크 수단에 의한 덮개체의 로크를 해제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부하량 검지가 종료된 이후에 내조가 내조 로크 수단에 의한 로크 위치까지 회전 구동되고, 내조가 로크 위치에 도달하면 내조 로크 수단이 내조를 로크하여 내조의 위치를 고정한다. 그 후, 덮개체 로크 수단에 의한 덮개체의 로크가 해제된다. 부하량 검지 종료 시점에서의 내조의 회전 위치로부터 로크 위치에 도달하기까지 필요한 시간은 부하량 검지 종료 시점에서의 내조의 회전 위치에 따라 상위하지만, 그 시간의 길고 짧음에 상관없이 내조가 완전히 정지하고 내조가 로크된 이후에 덮개체의 개방이 허가된다. 따라서, 이 구성에 따르면 외조 도어 및 드럼 도어의 개방을 적절하게 수행할 수 있는 상태에서 덮개체가 개방되는 것을 보증할 수 있으므로, 외조 도어나 드럼 도어 등의 파손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세제량 기준 표시 수단에 세제량 기준이 표시되는 것을 세탁기 옆에서 기다리고 있다가 세제량 기준이 표시되면 바로 덮개체를 열고 표시를 참고하여 세제를 계량한 후, 내조 내 또는 세제 용기 내에 투입한다. 따라서, 덮개체 로크가 해제되기 이전에 세제량 기준을 표시하면, 그 시점에서 덮개체를 개방할 가능성이 높다. 이 때, 덮개체가 개방되지 않으므로 안전성은 확보되나, 세제량 기준을 알고 세제를 투입하려고 함에도 불구하고 덮개체가 개방되지 않는다는 것은 사용자의 입장에서 사용의 편리성에 대한 불만이 된다. 또한, 로크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무리하게 덮개체를 개방하려고 하면 파손이나 고정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에 본 발명에 관한 세탁기는, 상기 부하량 검지 수단을 통한 부하량 검지 결과에 따른 세제량 기준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세제량 기준 표시 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덮개체 로크 수단에 의한 덮개체의 로크를 해제하는 동시에, 또는 그 이후에 상기 세제량 기준 표시 수단에 세제량 기준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덮개체가 개방 가능한 상태가 된 이후에 세제량 기준이 표시되므로, 사용자가 이를 보고 세제를 투입하기 위해 덮개체를 개방하려는 조작을 수행하였을 때에 덮개체가 개방되지 않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음에 따라 사용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관한 세탁기에 상기 덮개체의 개폐를 검지하는 덮개체 개폐 검지 수단을 더 구비시키되,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세제량 기준 표시 수단을 통한 표시 이후에 상기 덮개체 개폐 검지 수단을 통해 덮개체의 개방과 폐쇄가 검지되면, 상기 덮개체 로크 수단을 통해 덮개체를 로크하여 세탁 운전을 개시하는 구성으로 하면 좋다.
즉, 세제량 기준 표시 수단에 세제량 기준을 표시한 이후에 덮개체의 개방 및 폐쇄가 수행되면 사용자가 세제를 투입하기 위해 덮개체를 개방·폐쇄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따라서, 덮개체의 개폐 동작이 검지되면 세제의 투입 완료라고 간주하여 덮개체를 로크하고 세탁 운전을 개시한다. 이에 따라, 세제가 투입되고 덮개체가 폐쇄된 이후에 신속하게 세탁 운전을 개시할 수 있으므로, 세탁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세제 투입 완료에 대하여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단, 덮개체의 개방 시간이 세제의 투입이 불가능할 정도로 짧은 경우에는 예를 들면 사용자가 덮개체를 개방하는 도중에 의도하지 않게 닫혀버리거나, 혹은 의도적으로 닫아버린 등의 상황을 상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바로 덮개체를 로크하여 세탁 운전을 개시한다면, 사용자가 세제를 넣으려고 하였으나 넣을 기회를 놓친 채로 세탁 운전이 시작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덮 개체의 개방 시간이 소정 시간 이하인 경우에는 덮개체의 개폐를 무시하고, 즉 덮개체의 개폐가 없었던 것으로 간주하여도 된다.
또한, 세탁기를 자주 사용하는 사용자 등은 세제량 기준 표시를 참고하지 않고 내조에 세탁물의 투입과 동시에, 즉 부하량 검지보다 먼저 내조 또는 세제 용기 내에 세제를 충전하는 경우도 많다. 이러한 경우에는 세제량 기준 표시 수단에 세제량 기준이 표시된 이후에도 덮개체의 개폐가 수행되지 않으며, 더우기 사용자가 세탁기 주변에 없는 상황도 상정된다.
이에 본 발명에 관한 세탁기는,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덮개체 로크 수단에 의한 덮개체의 로크를 해제한 이후, 또는 상기 세제량 기준 표시 수단을 통해 세제량 기준을 표시한 이후에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덮개체 로크 수단을 통해 덮개체를 로크하여 세탁 운전을 개시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덮개체의 개폐 동작이 수행된 경우에 덮개체 로크를 수행하고 세탁 운전을 개시하는 동시에 덮개체의 개폐 동작이 없거나, 또는 없다고 간주할 수 있는 상태로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도 자동적으로 덮개체 로크를 수행하고 세탁 운전을 개시한다면, 부하량 검지 이후에 세제가 투입되었을 때에는 그 투입 후 신속하게, 한편 부하량 검지 이전에 세제가 투입되고 사용자가 당해 세탁기 주변에서 떨어져 있는 경우에도 상기 소정 시간 경과 후에는 자동적으로 세탁 운전을 개시할 수 있다. 또한, 덮개체의 개폐 동작 유무와 상관없이 상기와 같이 소정 시간이 경과하였을 때에 자동적으로 세탁 운전을 개시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이 세제량 기준 표시 이후에 덮개체의 개폐가 검지되거 나 소정 시간이 경과하였을 때에 자동적으로 운전을 개시하는 것은 즉각적인 세탁 운전의 실행이 지시되었을 경우이며, 예를 들면 예약 운전 등에 의해 적절한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운전이 개시되도록 지시된 경우에는 덮개체를 바로 로크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 즉, 세탁 운전이 개시되기까지 사용자가 세탁물의 넣거나 꺼낼 수 있으며 세제를 추가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는데, 덮개체가 로크되어 있으면 이러한 작업이 번거로워지기 때문이다.
이에 본 발명에 관한 세탁기는,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또는 소정 시각에 자동적으로 세탁 운전을 개시하는 예약 운전 설정이 가능한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예약 운전이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세제량 기준 표시 수단을 통한 세제량 기준 표시 직후에 상기 덮개체 로크 수단을 통한 덮개체의 로크를 수행하지 않으며, 예약 운전에 의한 소정의 운전 개시 시각이 도래하였을 때에 상기 덮개체 로크 수단을 통해 덮개체를 로크하여 세탁 운전을 개시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예약 운전시에 세탁 운전이 실제로 개시되기 직전까지 사용자는 번거로운 수순을 밟지 않고 덮개체를 개방하여 세탁물의 넣거나 꺼낼 수 있으며, 세제의 추가 등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세탁기의 일 실시예인 드럼식 세탁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며 설명한다.
도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드럼식 세탁기의 상부 덮개를 폐쇄한 상태의 외관 사시도, 도2는 상부 덮개를 개방한 상태의 상부 외관 사시도, 도3은 상면 일부 파 단도, 도4는 조작 패널의 외관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드럼식 세탁기에 있어서, 외부 케이스(1)의 상면은 약간 둥글면서 전방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커다란 세탁물 투입구(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세탁물 투입구(4)를 개폐하기 위한 상부 덮개(2)는 전방측 덮개체(2a)와 후방측 덮개체(2b)로 이루어져 있는데, 사용자가 전방측 덮개체(2a)에 설치된 손잡이(2c)를 잡고 상방으로 들어올리면서 후방으로 밀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 수평으로 연신된 축(3a, 3b)에 의해 세탁물 투입구(4)의 후방으로 2절 상태로 상부 덮개(2)가 기립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덮개(2)는 좌측으로 치우쳐 배치되어 있으며, 상부 덮개(2)의 우측 전방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는 복수의 조작 키나 표시기가 설치된 조작 패널(5)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세탁물 투입구(4)를 사이에 두고 조작 패널(5)의 반대쪽 좌측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는 상면이 개방된 트레이형 세제 용기(6)가 배치되어 있다. 상부 덮개(2)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세제 용기(6)가 상부 덮개(2)에 가려 보이지 않는다. 즉, 세탁물 투입구(4)를 개폐하는 상부 덮개(2)가 세제 용기(6)의 덮개를 겸하고 있으므로, 상부 덮개(2)를 개방한 상태에서 세제 용기(6) 내에 세제류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조작 패널(5)의 앞쪽 하방에는 좌우 방향으로 진퇴 가능한 결합 봉(7a)을 갖는 본 발명의 덮개 로크 수단인 상부 덮개 로크 기구(7)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부 덮개(2)가 폐쇄된 상태에서 결합 봉(7a)이 좌측으로 진출하면 상부 덮개(2)의 측부 이면에 형성된 결합 구멍(2d)에 결합 봉(7a)이 관통함에 따라 상부 덮개(2)는 폐쇄 상태로 로크된다. 또 한, 상부 덮개(2)의 우측 전연부(前緣部)에 장착된 자석(8a)과 그 아래의 외부 케이스(1)의 상면판 내부에 장착된 리드 스위치(8b)에 의해 본 발명의 덮개체 개폐 검지 수단인 상부 덮개 개폐 검지부(8)가 구성되는데, 상부 덮개(2)의 개폐에 따라 검지 신호가 리드 스위치(8)로부터 출력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패널(5)에는 조작부(51)로서, 전원 키(5a), 세탁 행정의 개시 및 일시 정지를 지시하기 위한 스타트 키(5b), 세탁, 세탁 건조 및 건조의 각 운전 코스를 선택하기 위한 코스 선택 키(5c) 등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표시부(52)로서, 상기 코스 선택 키(5c)의 조작에 의해 선택된 운전 코스를 도시하는 복수의 코스 표시기(5d), 지시된 특정 행정의 세탁 시간이나 헹굼 횟수 등의 수치 및 남은 시간이나 예약 시간을 표시하기 위한 수치 표시기(5e) 및 자동적으로 검지된 부하량에 따른 세제량 기준이 표시되는 본 발명의 세제량 기준 표시 수단인 세제량 기준 표시기(5f)가 구비되어 있다.
다음에는 도5 및 도6에 의거하여 본 드럼식 세탁기의 내부 구성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5는 드럼식 세탁기 내부의 요부 정면 종단면도, 도6은 마찬가지로 내부의 우측면도이다. 도5, 도6에서는 외형을 이루는 외부 케이스(1)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대좌부(10)의 위에 외주면이 대략 원통 형상이며 양단면이 거의 폐색된 외조(11)가 외부 케이스(1)의 좌우측면에 각각 단면이 대향하는 상태에서 좌우 양측 상방으로부터 매달아 지지하는 2개의 스프링(12)과, 전후 방향으로 외조(11)의 하부를 지지하는 2개의 댐퍼(13)에 의해 적절하게 요동 가능하게 유지된다. 외조(11) 의 내부에는 본 발명의 내조인 다수의 통수공이 천공된 대략 원통 형상의 외주면의 양단면이 거의 폐색되어 있는 가로형의 드럼(14)이 좌우 방향으로 연신된 수평 축선(C)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드럼(14)의 좌단면 중앙에 고착되어 있는 주축(15)은 외조(11)의 좌단면에 고정된 제1 베어링 케이스(17)에 유지되어 있는 베어링(18)에 의해 지승(支承)된다. 한편, 드럼(14)의 우단면 중앙에 고착되어 있는 보조축(16)은 외조(11)의 우단면에 고정된 제2 베어링 케이스(19)에 유지되어 있는 베어링(20)에 의해 지승된다. 이 주축(15) 및 보조축(16)에 의해 수평 축선(C)이 형성된다.
외조(11)의 좌단면으로부터 좌측으로 돌출된 주축(15)의 선단에는 아우터 로터형 직류 모터인 드럼 모터(21)의 로터(212)가 고정되어 있으며, 모터대를 겸하는 제1 베어링 케이스(17)에는 드럼 모터(21)의 스테이터(211)가 고정되어 있다. 도시되지 않은 제어 회로로부터 스테이터(211)로 구동 전류가 공급되면, 그에 따라 로터(212)가 회전하고, 주축(15)을 통해 로터(212)와 동일한 회전 속도로 드럼(14)이 회전 구동된다.
외조(11)의 외주면에 상부로부터 사선 전방에 걸쳐 외부 케이스(1)의 세탁물 투입구(4)와 일치하는 위치에는 세탁물을 넣거나 꺼내기 위한 외조 개구(111)가 설치되어 있는데, 외조 개구(111)는 외조 도어(112)에 의해 개폐 가능하다. 또한, 드럼(14)의 외주면에도 세탁물을 넣거나 꺼내기 위한 드럼 개구(141)가 설치되어 있는데, 드럼 개구(141)는 전후로 관음 개방 구조를 갖는 2장의 도어체로 이루어진 드럼 도어(142)에 의해 개폐 가능이다. 드럼(14)이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드럼 개 구(141)가 외조 개구(111)와 직경 방향으로 일치하는 위치에서 드럼(14)이 정지 상태를 유지하도록 스테이터(211)의 하방에는 본 발명의 내조 로크 수단인 드럼 로크 기구(22)가 설치되어 있다. 이 드럼 로크 기구(22)로부터 돌출되는 결합 볼록부와 로터(212)에 형성된 결합 오목부가 맞물림으로써, 드럼(14)의 정지 위치(로크 위치)가 정해진다.
상기와 같이 본 세탁기는 드럼식 세탁기이면서 외부 케이스(1)의 상면에 설치된 상부 덮개(2), 외조(11)의 외주면에 설치된 외조 도어(112) 및 드럼(14)의 외주면에 설치된 드럼 도어(142) 3개를 개방한 상태에서 위나 사선 전방으로부터 드럼(14) 내에 세탁물을 넣거나 꺼낼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회오리식 세탁기와 동일한 사용의 편리함이 달성된다.
도7은 본 실시예의 드럼식 세탁기의 전기계 구성도이다. 제어부(30)는 CPU, ROM, RAM, 타이머 등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마이컨)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ROM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세탁, 헹굼, 탈수 및 건조의 각 행정의 운전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제어를 실행한다. 제어부(30)에는 조작 패널(5)에 설치된 조작부(51)로부터 키 입력 신호가 주어지는 동시에 외조(11) 내에 고인 물의 수위를 검지하는 수위 센서(32), 세탁이나 헹굼 행정시에 수온을, 건조 행정시에 드럼(14) 내의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 센서(33), 상술된 상부 덮개 개폐 검지부(8) 등으로부터 각각 검지 신호가 입력된다. 또한, 제어부(30)에는 부하 구동부(31)가 접속되어 있으며, 이 부하 구동부(31)를 통해 이미 설명된 드럼 모터(21) 이외의 물 가열 히터(35), 급수 밸브(36), 목욕물 펌프(37), 배수 밸브(38), 건조시에 송풍을 수행하는 팬 모터(39), 건조용 히터(40), 드럼 로크 기구(22)에 포함된 토크 모터(22a), 상부 덮개 로크 기구(7)에 포함된 토크 모터(7b) 등의 동작을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또한, 조작 패널(5)에 설치된 표시부(52)에 각종 표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동시에 필요에 따라 부저(53)로 구동 신호를 전송한다. 즉, 제어부(30)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어 수단인 동시에 후술되는 것처럼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부하 구동부(31)를 통해 드럼 모터(21)를 구동하여 드럼(14) 내에 수용된 세탁물의 양(부하량)을 검지하기 때문에 제어부(30)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부하량 검지 수단이기도 하다.
다음에는 본 실시예의 드럼식 세탁기의 특징적인 제어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8은 운전 개시의 지시가 수행된 이후에 세탁 운전이 개시되기까지의 제어부(30)를 중심으로 실행되는 제어·처리를 도시한 플로어 차트이다.
사용자는 드럼(14) 내에 세탁물을 투입하고 조작부(51)의 코스 선택 키(5c)를 통해 소정의 설정을 수행한 후 스타트 키(5b)를 누른다(스텝S1). 제어부(30)가 이 조작 명령을 수신하는데, 먼저 상부 덮개 개폐 검지부(8)로부터의 검지 신호를 통해 상부 덮개(2)가 폐쇄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S2). 상부 덮개(2)가 개방되어 있다고 판정되면, 부저(53)를 울리는 동시에 표시부(52)에 상부 덮개 열림 표시를 수행하여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시킨다(스텝S3). 상부 덮개(2)가 개방되어 있는 경우에 사용자는 상부 덮개(2)를 폐쇄한다.
스텝S2에서 상부 덮개(2)가 폐쇄되어 있다고 판정되면, 제어부(30)는 상부 로크용 토크 모터(7b)를 구동하여 상부 덮개(2)의 개방을 저지하도록 상부 덮개 로 크를 실행한다(스텝S4). 그 후, 드럼 로크 기구(22)의 토크 모터(22a)를 구동하여 드럼 로크를 해제하고 드럼(14)을 회동 가능하게 한다(스텝S5). 그리고, 드럼(14) 내에 수용된 세탁물의 양을 검지하기 위하여 부하량 검지를 실행한다(스텝S6). 예를 들면, 부하량 검지에서는 드럼(14)에 소정의 구동력을 부여하고, 이 때의 드럼(14)의 회전 부하를 측정한다. 또한, 부하량 검지에는 그 외에도 각종 방법이 알려져 있는데, 예를 들면 드럼(14)을 일정한 회전 속도로 구동하고, 구동을 정지시킨 후의 드럼(14)의 타성 회전 시간을 측정하는 등의 방법을 채택할 수도 있다. 이렇게 부하량이 검지되면, 제어부(30)는 그 부하량에 따라 세탁 수위와 세제량 기준을 정한다. 단, 후술되는 것처럼 이 시점에서는 세제량 기준이 정해지기는 하나 표시되지는 않는다.
부하량 검지를 위한 드럼(14)의 회전이 종료되면, 드럼(14)을 드럼 로크 위치까지 회전시키고 드럼 로크용 토크 모터(22a)를 동작시켜 드럼 로크를 실행한다(스텝S7). 그리고, 상부 덮개 로크용 토크 모터(7b)를 동작시켜 상부 덮개(2)의 로크를 해제한다(스텝S8). 이이 따라, 사용자는 상부 덮개(2)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상부 덮개 로크의 해제와 동시에 또는 그 보다 약간 지연시켜 앞에서 결정된 세제량 기준을 표시부(52)의 세제량 기준 표시기(5f)에 표시한다(스텝S9). 따라서, 이 시점에서 비로소 사용자는 세탁물의 양에 맞는 적절한 세제량을 알게 된다.
상기 스텝S6에서 부하량 검지 종료시의 드럼(14)의 회전 위치는 정해져 있지 않기 때문에 그 위치로부터 드럼 로크 위치까지 드럼(14)을 회전시키는 데에 필요한 시간도 일정하지 않다. 최악의 경우, 즉 부하량 검지 종료시에 드럼(14)이 드 럼 로크 위치로부터 가장 먼 회전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스텝S7의 동작에 5 내지 6초 정도의 시간이 걸린다. 상술된 것처럼 부하량 검지가 종료된 시점에 세제량 기준을 알 수 있으나, 스텝S8에서 상부 덮개 로크가 해제되기까지 세제량 기준의 표시는 수행되지 않는다. 세제량 기준이 표시되면 그것을 본 사용자가 세제를 세제 용기(6) 내에 충전하려고 바로 상부 덮개(2)를 개방할 가능성이 높으며, 상부 덮개 로크가 해제되기까지 실제로는 상부 덮개(2)를 개방할 수 없으므로, 조작성 면에서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반해, 본 실시예의 드럼식 세탁기의 상기 제어 순서에 따르면, 세제량 기준이 표시되는 시점에 이미 상부 덮개 로크가 해제되어 있으므로, 세제량 기준 표시를 본 사용자가 바로 상부 덮개(2)를 열고 세제를 세제 용기(6)에 충전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30)는 예약 운전인지 여부를 판정하고(스텝S10), 예약 운전인 경우에는 바로 세탁 운전을 개시하지 않으므로 스텝S20으로 나아간다. 예약 운전이 아닌 경우, 즉 통상의 세탁 운전이 지시된 경우에는 상부 덮개 개폐 검지부(8)로부터의 검지 신호를 통해 상부 덮개(2)가 3초간 연속해서 개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S11). 상부 덮개(2)가 3초 이상 개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세제를 충전하기 위해 상부 덮개(2)를 개방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한편, 상부 덮개(2)의 개방이 검지되어도 그 개방 시간이 3초 미만인 경우, 예를 들면 사용자가 상부 덮개(2)를 개방하다 닫아버린 경우 등에는 세제 투입이 적절하게 수행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 이에, 스텝S11에서는 상부 덮개(2)의 개방 시간이 3초 미만인 경우에는 상부 덮개(2)의 개방이 없었던 것으로 간주한다. 따라서, 상 기와 같은 오조작 등에 기인하는 상부 덮개(2)의 개폐를 배제할 수 있다.
상부 덮개(2)가 3초 이상 개방되어 있었다고 판정되면 상부 덮개(2)가 폐쇄되었다고 판정될 때까지 대기한다(스텝S13). 사용자가 세제량 기준 표시를 보고 적정량의 세제를 정량하여 세제 용기(6)에 충전한 후에 상부 덮개(2)를 폐쇄하면, 상부 덮개 개폐 검지부(8)에 의해 상부 덮개(2)의 폐쇄가 검지되며, 제어부(30)는 토크 모터(7b)를 동작시켜 상부 덮개의 로크를 실행한다(스텝S14). 이에 따라, 상부 덮개(2)가 다시 로크되므로, 사용자가 상부 덮개(2)를 들어올리려고 하여도 개방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어부(30)는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외조(11)로의 급수를 개시하고, 세제 용기(6)에 수용되어 있는 세제를 외조(11) 내에 자동 투입하여 세탁 운전을 개시한다.
한편, 스텝S11에서 상부 덮개(2)가 3초 이상 개방되어 있지 않았다고 판정되면 30초 이상 그 상태, 즉 폐쇄 상태가 계속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S14). 세제량 기준 표시를 참고하여 세제를 세제 용기(6)에 충전하는 경우, 30초 이내에 상부 덮개(2)가 개방되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세제량 기준 표시후 30초 이상 상부 덮개(2)의 폐쇄 상태가 계속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이 시점에서 세제를 투입할 의지가 없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가사에 능숙한 주부인 경우에는 세탁물을 드럼(14)에 넣는 시점에 스스로 적절한 세제량을 판단하여 세제를 세제 용기(6)에 충전하는 경우도 많은데, 이 경우에는 스타트 키(5b)를 조작한 이후에 세탁기 옆에 사용자가 없을 수도 있다. 이에, 상술된 것처럼 세제량 기준 표시 이후에 세제를 투입할 의사가 없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는 경우에는 이미 세제가 세제 용기(6)에 충전되어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으므로, 그대로 스텝S14로 나아가 상부 덮개(2)를 로크하여 세탁 운전을 개시한다.
예약 운전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S20으로 나아가 예약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대기한다. 이 때 상부 덮개(2)가 로크되어 있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언제든지 상부 덮개(2)를 개방하여 세제를 추가하거나 드럼(14) 내에 세탁물을 추가할 수 있다. 그리고, 예약 시간이 되면 상부 덮개(2)가 폐쇄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며(스텝S21), 폐쇄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S14로 나아가 상부 덮개(2)를 로크하고 세탁 운전을 개시한다. 또한, 상부 덮개(2)가 개방되어 있는 경우에는 부저(53)를 울리는 동시에 표시부(52)에 상부 덮개 열림 표시를 수행하여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시킨다(스텝S22).
상기와 같은 제어에 의해, 예약 운전 이외의 경우에는 세제량 기준 표시기(5f)에 세제량 기준이 표시된 이후에 사용자가 상부 덮개(2)를 개방하여 세제 용기(6)에 적정량의 세제를 넣고 상부 덮개(2)를 닫으면 신속하게 세탁 운전이 개시되고, 부하량 검지 이전에 이미 드럼(14) 내 또는 세제 용기(6) 내에 세제가 투입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아무런 조작을 수행하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세탁 운전이 개시된다.
물론, 상부 덮개(2)의 개폐 검지 결과를 이용하지 않고, 예를 들면 세제량 기준 표시기(5f)에 세제량 기준을 표시한 이후에 소정 시간(30초 내지 그 보다 긴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상부 덮개(2)가 폐쇄되어 있으면 상부 덮개의 로크를 실행하고 세탁 운전을 개시하여도 된다. 또한, 세제량 기준 표시기(5f)에 세제량 기준을 표시한 이후, 예를 들면 스타트 키(5b)가 다시 눌려지는 등의 조작이 이루어지면 상부 덮개의 로크를 실행하고 세탁 운전을 개시하여도 된다. 이에 따르면, 부하량 검지 이전에 이미 세제를 드럼(14) 내 또는 세제 용기(6) 내에 투입한 경우, 세제량 기준이 표시된 이후에 사용자가 바로 스타트 키(5b)를 누르면, 신속하게 세탁 운전을 개시할 수 있으므로 세탁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 예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취지의 범위에서 적절한 변형이나 수정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상기 실시예는 세제 용기가 상부 덮개에 의해 덮여지는 위치에 설치되며, 이에 따라 상부 덮개를 개방하고 세제를 세제 용기에 충전할 수 있는 구성이지만, 세제 용기를 설치하지 않고 드럼(또는 세탁조)에 직접 세제를 투입하는 구성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세탁기에 따르면, 부하량 검지시에 회동한 내조가 정지하여 회동하지 않는 상태가 된 이후에 비로소 덮개체의 개방이 가능하므로, 높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내조가 동작하고 있는 상태에서 부적절한 조작이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짐으로 인한 파손이나 고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덮개체의 개방이 가능하게 된 이후에 신속하게 세제를 세제 용기에 충전시키면 그 세제가 세탁 운전의 급수시에 확실하게 내조로 투입되므로 양호한 세탁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덮개체의 로크를 해제한 이후에 세제량 기준을 표시하도록 구성하면, 이 표시를 참고하여 사용자가 세제를 내조 또는 세제 용기에 충전하고자 할 때에 덮개체의 로크가 확실하게 해제되어 있으므로 덮개체가 개방된다. 따라서, 세제를 넣으려고 할 때에 덮개체가 개방되지 않는 사태를 경감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켜 고객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덮개체의 로크 해제나 세제량 기준 표시 이후에 덮개체의 개폐를 검지한 경우에 자동적으로 덮개체를 로크하여 세탁 운전을 개시하도록 구성하면, 사용자가 세제를 투입한 직후에 세탁 운전을 개시할 수 있으므로 세탁 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아울러 사용자의 번거로운 조작이 불필요하므로 사용하기에도 편리하다. 또한, 덮개체의 개폐가 검지되지 않은 경우에도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적으로 덮개체를 로크하여 세탁 운전을 개시하도록 구성하면, 사용자가 먼저 세제를 투입하고 세탁기 옆을 떠나버린 경우에도 자동적으로 세탁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예약 운전시에 세제량 기준 표시 이후에도 덮개체를 로크하지 않도록 구성하면, 예약된 시간이 될 때까지 번거로운 조작을 하지 않고 사용자가 덮개체를 개방하여 세탁물의 넣거나 꺼내는 등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리성이 한층 높아진다.

Claims (6)

  1. 외형을 이루는 외부 케이스와, 이 외부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외조와, 이 외조 내에 회전 자재로 설치되며 내부에 세탁물이 수용되는 내조와, 상기 외부 케이스에 형성된 세탁물 투입구를 개폐하는 덮개체와, 상기 덮개체로 덮여지는 위치에 배치되고 세제류를 수용하는 세제용기를 구비하고, 외조내로의 급수에 의해 세제용기에 수용되어 있는 세제류를 외조내로 자동적으로 투입하도록 이루어진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내조를 회전 구동하는 것에 의해 이 내조내에 수용되어 있는 세탁물의 양을 검지하는 부하량 검지 수단과,
    상기 외부 케이스를 폐쇄 상태로 로크하는 덮개체 로크 수단과,
    상기 부하량 검지 수단에 의한 부하량 검지 결과에 따라서 세제량 기준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세제량 기준 표시 수단과,
    이 덮개체 로크 수단에 의해 덮개체가 로크된 상태에서 상기 부하량 검지 수단에 의해 부하량 검지를 실행하고, 이 부하량 검지를 위한 내조의 회전이 정지된 이후에 상기 세제 용기내에 세제류를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 덮개체 로크 수단에 의한 덮개체의 로크를 해제하는 것과 함께, 상기 세제량 기준 표시 수단에 세제량 기준을 표시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조를 소정의 회전 위치에서 주지(駐止)시키는 내조 로크 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제어 수단은 내조 로크 수단을 통해 내조의 로크를 실행한 후, 상기 덮개체 로크 수단에 의한 덮개체의 로크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덮개체 로크 수단에 의해 덮개체의 로크를 해제하는 동시에, 또는 그 이후에 상기 세제량 기준 표시 수단에 세제량 기준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의 개폐를 검지하는 덮개체 개폐 검지 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세제량 기준 표시 수단을 통한 표시 이후에 상기 덮개체 개폐 검지 수단을 통해 덮개체의 개방과 폐쇄가 검지되면, 상기 덮개체 로크 수단을 통해 덮개체를 로크하여 세탁 운전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덮개체 로크 수단에 의한 덮개체의 로크를 해제한 이후, 또는 상기 세제량 기준 표시 수단을 통해 세제량 기준을 표시한 이후에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덮개체 로크 수단을 통해 덮개체를 로크하여 세탁 운전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6. 제5항에 있어서,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또는 소정 시각에 자동적으로 세탁 운전을 개시하는 예약 운전 설정이 가능한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예약 운전이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세제량 기준 표시 수단을 통한 세제량 기준 표시 직후에 상기 덮개체 로크 수단을 통한 덮개체의 로크를 수행하지 않으며, 예약 운전에 의한 소정의 운전 개시 시각이 도래하였을 때에 상기 덮개체 로크 수단을 통해 덮개체를 로크하여 세탁 운전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20040103902A 2003-12-11 2004-12-10 세탁기 KR1006485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412898A JP2005168790A (ja) 2003-12-11 2003-12-11 洗濯機
JPJP-P-2003-00412898 2003-12-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8209A KR20050058209A (ko) 2005-06-16
KR100648585B1 true KR100648585B1 (ko) 2006-11-24

Family

ID=34733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3902A KR100648585B1 (ko) 2003-12-11 2004-12-10 세탁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5168790A (ko)
KR (1) KR100648585B1 (ko)
CN (1) CN10045800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31867A (ja) * 2010-12-20 2012-07-12 Sekisui Chem Co Ltd 熱膨張性マイクロカプセル、樹脂組成物及び発泡シート
JP6603042B2 (ja) * 2015-05-25 2019-11-06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洗濯機
CN105568619A (zh) * 2015-12-15 2016-05-11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洗衣机及其门锁控制方法
CN107237099B (zh) * 2016-03-29 2023-07-14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洗衣机
JP7156911B2 (ja) * 2018-11-06 2022-10-19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洗濯機
JP7236607B2 (ja) * 2019-05-13 2023-03-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洗濯機
JP7285414B2 (ja) * 2019-10-23 2023-06-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洗濯機
JP7113314B2 (ja) * 2020-03-09 2022-08-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KR102573396B1 (ko) * 2021-12-03 2023-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572464B1 (ko) * 2021-12-03 2023-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573395B1 (ko) * 2021-12-03 2023-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572468B1 (ko) * 2021-12-03 2023-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573393B1 (ko) * 2021-12-03 2023-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1719A (ko) * 1992-11-30 1994-06-21 이헌조 세탁기의 도어록 장치와 도어록 제어방법
KR20020022448A (ko) * 2000-09-20 2002-03-27 구자홍 세탁기의 포량감지 표시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442539A (zh) * 2002-03-05 2003-09-17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洗衣机使用洗涤剂的引导装置和使用方法
CN100375803C (zh) * 2002-03-05 2008-03-19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洗衣机浸泡量感应显示装置和方法
JP2003284896A (ja) * 2002-03-28 2003-10-07 Mitsubishi Electric Corp 洗濯機の蓋開閉検知装置
JP3609796B2 (ja) * 2002-04-04 2005-01-12 三洋電機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1719A (ko) * 1992-11-30 1994-06-21 이헌조 세탁기의 도어록 장치와 도어록 제어방법
KR20020022448A (ko) * 2000-09-20 2002-03-27 구자홍 세탁기의 포량감지 표시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26719A (zh) 2005-06-15
CN100458000C (zh) 2009-02-04
JP2005168790A (ja) 2005-06-30
KR20050058209A (ko) 2005-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8585B1 (ko) 세탁기
RU2287627C1 (ru)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барабанного типа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такой машиной
EP3296445A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3436729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KR100529981B1 (ko) 드럼식 세탁기
JP6603042B2 (ja) 洗濯機
KR20180048501A (ko) 세탁기
KR101215450B1 (ko) 드럼세탁기의 세탁제어방법
JP2013022395A (ja) 二槽式洗濯機
JPH09201483A (ja) ドラム式全自動洗濯機
JPH06254284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KR101103090B1 (ko) 세탁기
JP4275164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4455637B2 (ja) 洗濯機
JP4591285B2 (ja) ドラム式洗濯機
CN112805431B (zh) 洗衣机
JPH04231997A (ja) ドラム式洗濯機
JP4922054B2 (ja) 洗濯機
JP2002035469A (ja) 洗濯機
JP2003126585A (ja) 洗濯機
JPH0938375A (ja) コイン式洗濯機
KR100562548B1 (ko) 드럼 세탁기의 도어 제어 방법
JP6069263B2 (ja) 洗濯機
JP3160481B2 (ja) 洗濯機
JP2023059102A (ja) 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