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6483B1 - 광경화성 실록산 중합체 - Google Patents

광경화성 실록산 중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6483B1
KR100646483B1 KR1020017004599A KR20017004599A KR100646483B1 KR 100646483 B1 KR100646483 B1 KR 100646483B1 KR 1020017004599 A KR1020017004599 A KR 1020017004599A KR 20017004599 A KR20017004599 A KR 20017004599A KR 100646483 B1 KR100646483 B1 KR 100646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oxane
polysiloxane copolymer
photoinitiator
lens
polysilox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4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9296A (ko
Inventor
호드케네쓰에이
노르비스베르커
Original Assignee
에이엠오 그로닌겐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엠오 그로닌겐 비.브이. filed Critical 에이엠오 그로닌겐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010089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92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6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64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42Block-or graft-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 C08G77/44Block-or graft-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containing only polysiloxane seque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18Macromolecular material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20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unsaturated aliphatic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22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rganic group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and oxygen
    • C08G77/24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rganic group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and oxygen halogen-containing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C08L83/08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rganic group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and oxyge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02B1/041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02B1/041Lenses
    • G02B1/043Contact le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0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06Flowable or injectable impl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16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reconstruction of eye parts, e.g. intraocular lens, corne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70Siloxanes defined by use of the MDTQ nomencla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ransplantation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Silicon Polymers (AREA)
  • Prostheses (AREA)
  • Eyeglass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 수정체(IOL)의 제조에 유용한, 작용성 아크릴 기를 갖는 광경화성 실록산 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중합체는 실록산 공중합체이고, 여기서 실록산은 디페닐실록산, 페닐알킬 실록산, 디알킬 실록산 및 트리플루오로알킬 알킬 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록산 중합체의 제조 방법 뿐만 아니라 눈의 수정체낭 주머니에 렌즈가 형성됨을 의미하는 조절 렌즈의 생체내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광경화성 실록산 중합체{PHOTOCURABLE SILOXANE POLYMERS}
본 발명은 인공 수정체(intraocular lense: IOL)의 제조에 유용한, 작용성 아크릴 기를 갖는 광경화성 폴리실록산 중합체(실리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중합체를 포함하는 엘라스토머의 제조 방법 뿐만 아니라 눈의 수정체낭 주머니에 렌즈가 형성됨을 의미하는 조절 렌즈의 생체내에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백내장을 적출한 후에 인공 수정체(IOL)를 이식하는 것은 현재 전형적인 안과 수술 절차이다. 천연 수정체를 대체하기 위해 사용되는 통상적인 IOL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인 PMMA와 같은 단단한 플라스틱 또는 실리콘과 같은 엘라스토머로부터 제조된 고정 초점 렌즈이다. 이러한 렌즈의 이식은 통상적으로 환자가 독서를 위해 상당한 교정물을 사용할 것을 요구한다. 통상적인 IOL의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2-초점 렌즈 및 다중 초점 렌즈에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조절 IOL 및 조절 수정체낭 렌즈(accommodating capsular lense: ACL)를 위한 백내장 적출 기술 및 렌즈 교체 기술은, 저점도 액체를 작은 절개(약 1mm 직경)를 통해 수정체낭 주머니로 계량 주입시키고, 이어서 수정체낭 주머니의 형태를 주형으로서 사용하여 요구되는 형태의 렌즈를 생성시키기 위한 성형 압력하에 액체를 중합시킴을 포함한다. 천연 수정체의 광학적 성능을 재현하기 위해, 대체 렌즈는 1.41에 근접한 굴절률이 요구된다. 눈의 조절력에 감응하기 위해, IOL의 압축 탄성률은 약 1 내지 5kPa 범위인 천연 수정체의 압축 탄성률에 필적해야 한다. ACL의 모순되는 요구조건의 균형을 맞추는 물질을 고안하는 것은 독특한 시스템의 고안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고려로 인해 다수의 연구가들이 ACL의 개발을 제안하고 연구해 왔다. 조절용 리필(re-fill) 렌즈는 엘라스토머의 전구체로 수정체낭 주머니를 채우고 엘라스토머를 천연 수정체의 형태로 경화되도록 유발시키거나 경화되도록 방치함으로써 형성된 IOL이다. 또한, 수정체낭 주머니에 삽입되고 목적하는 시스템으로 채워질 수 있는 실리콘 고무로 제조된 얇은 벽의 팽창성 풍선이 개발되었다.
조절용 리필 렌즈를 개발하는 대부분의 연구가들은 수정체낭 주머니를 채우기 위해 실리콘 오일 또는 LTV(low temperature vulcanizing: 저온 가황화) 실리콘 엘라스토머의 형태인 실리콘-유도된 시스템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시스템은, 디메틸 실리콘이 제한된 굴절률(1.40)을 갖고, LTV가 느리게 경화되고, 경화를 완결하기 위해 12시간 이하의 시간이 필요할 수 있고, 이러한 느린 경화는 외과수술 절개를 통해 수정체낭 주머니로부터의 물질의 손실을 초래할 수 있고, 또한 일부 실리콘 오일 및 중간체의 고점도는 이들의 기포 없는 주입을 매우 어렵게 한다는, 리필 렌즈 형성 측면에서의 단점을 갖는다.
인간 눈의 수정체낭 주머니에서의 직접적인 IOL 제조를 위한 폴리실록산의 주입가능한 배합물이 게라세(Gerace)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278,258 호, 제 5,391,590 호('590호) 및 제 5,411,553 호 뿐만 아니라 쿠시비키(Kushibiki) 등의 미국 특허 제 5,116,369 호에 제시되어 있다. 이들 특허에는 눈의 수정체낭 주머니 안에서 IOL로 체온에서 경화될 수 있는, 비닐-함유 폴리오가노실록산, 하이드라이드 기를 포함하는 오가노실리콘 및 백금족 금속 촉매의 혼합물이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조성물은 외과 의사가 경화 과정을 조절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저온 경화의 일반적인 약점을 갖는다. 실리콘계 ACL의 원리를 설명하는 실리콘 유체의 용도가 문헌[Haefliger, E. and Parel, J-M.(1994) J. Refractive and Corneal Surgery 10, 550-555]에 기재되어 있지만, 시스템이 가교결합되지 않았기 때문에 조절성의 증가가 감소되었다.
이어서, 열경화성 실리콘의 수정체낭 주머니로의 도입의 어려움이 증명되었다. Pt-경화 비닐 부가 반응에 기초한 시스템과 같은 열경화성 시스템을 "주머니 주형" 접근법을 위해 사용하는 경우의 주요한 단점은, 망상구조 형성의 3가지 특징적 상, 즉 (a) 예비 겔화; (b) 겔화 및 (c) 경화를 고려하면 이해된다. 렌즈는 예비 겔화 상에서만 성공적으로 성형될 수 있고, 일단 시스템이 겔화 상으로 변화된 경우에는 정밀하게 성형될 수 없다. 이것은 겔화점에서 및 겔화점 이후에 형성된 겔(무한 분자량의 중합체)은 탄성 기억을 갖기 때문에, 성형 조건과 관계없이 항상 시간에 따라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간다. IOL 또는 ACL을 성형하는 경우에, 이러한 회복 과정은 렌즈 품질의 심각한 손상을 유발하는 잔물결 또는 주름과 같은 표면 결함으로서 분명하게 나타난다. 열적으로 유도된 중합반응을 포함하여 실리콘 시스템으로부터 렌즈를 성형하는 경우, 신체 외부에서는 이러한 현상이 촉매의 유형 및 농도, 시간, 온도 및 압력의 공정 변수를 조정함으로써 용이하게 조절된다. 수술 동안 눈 안에서 ACL을 성형시키는 경우 이러한 공정 변수의 선택에는 상당한 제한이 있어서, 성형 온도는 체온이고, 성형 시간은 임의의 환자에게 요구되는 수술대 위에서의 체류 시간에 필적하는 최소 시간이고, 즉 이상적으로는 안과 의사 및 환자 둘 다의 외과수술적 요구의 긴급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변화가능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Pt-촉매에 기초한 시스템과 같은 열경화 실리콘 시스템에서, 예비 겔화 및 경화 상의 지속 시간은 연결되고, 짧은 경화 시간을 갖는 시스템은 짧은 예비 겔화 시간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경화 시간을 길게 하지 않으면서 예비 겔화 시간을 길게 하는 것은 복잡한 것으로 간주된다.
열적으로 유도된 경화를 조절하는데 있어서의 어려움을 다루기 위해, 경화가 외과 의사에 의해 제어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광경화성(즉, 광중합) 조성물이 고려되었다. 유럽 특허 제 0414219 호에는 액체 조성물이 이작용성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메타크릴레이트 에스테르 및 400 내지 500nm 파장의 광에 의해 활성화되는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주입가능한 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 헤틀리히(Hettlich) 등의 문헌[German J. Ophthalmol. vol. 1, 346-349, 1992]은 그중에서도 수정체낭 주머니내에서 물질을 경화시키기 위한 다른 접근법으로서 단량체 시스템의 광중합의 사용을 제안한 첫 번째 예이다. 헤틀리히는 치과 용도에 대한 청색광 광경화성 수지의 임상적 성공에 주목하고 죽은 돼지와 살아있는 토끼의 눈으로부터의 수정체낭 주머니를 채우기 위한 주입가능한 물질로서의 이러한 시스템의 용도를 조사하였다. 그러나, 헤틀리히에 의해 사용된 시스템은 탄성률(modulus)이 너무 높아서 조절 작용이 허용되지 않는 물질을 형성한다. 또한, 아크릴계 단량체는 높은 생리적 활성을 갖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아크릴계 단량체를 눈으로 도입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UV 광에 의해 경화가능한 작용성 아크릴 말단 기를 갖는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콘택트 렌즈의 제조용으로 이전에 개시되었다. 경화성 아크릴 실리콘 그 자체는 실제로 미국 특허 제 4,778,862 호 및 제 4,348,454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산업 용도에서 상당한 시간 동안 알려져 있었다. 미국 특허 제 5,321,108 호 및 일본 특허 공보 제 91-257420 호, 제 92-159319 호 및 제 93-164995 호에는 콘택트 렌즈 제조에 적합한 아크릴-말단 폴리실록산의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은 인간 눈 내부에서 직접적으로 인공 수정체를 제조하는 데에는 부적합하고, 여기서 주입가능한 렌즈 형성 물질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폴리실록산에 대한 특별한 고려가 필요하다.
결과적으로, 인간 눈의 수정체낭 주머니로의 주입에 적합한 조성물에 포함되기에 알맞은 광경화성 중합체 및 그의 주입가능한 조성물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중합체 및 이들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완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이들은 주입가능한 렌즈 물질에 대한 필요 조건을 만족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시광선, 특히 청색광의 존재하에 인공 수정체로 중합될 수 있는 광경화성 폴리실록산 공중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중요한 목적은 불완전한 천연 수정체가 수술에 의해 제거되는 것과 직접적으로 관련하여 인간 눈의 수정체낭 주머니에 직접적으로 주입하기에 알맞은 폴리실록산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중요한 목적은 수정체낭 주머니에서의 최종 경화에 의해 고형의 엘라스토머 렌즈를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광개시제 및 추가의 보충 첨가제와 함께 상기 폴리실록산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면에서, 본 발명은 약 1.0보다 큰 비중을 갖고 천연 수정체의 굴절력을 회복시키기에 적합한 굴절률을 갖는, 고형의 인공 수정체로 광중합될 수 있는 작용성 아크릴 기를 갖는 폴리실록산 공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폴리실록산 공중합체는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일반식 -RaRbSiO-의 아릴실록산, 아릴알킬실록산, 알킬(알킬)실록산중에서 선택된 실록산 단량체 단위를 갖는다. 폴리실록산 공중합체의 적절히 높은 굴절률을 달성하기 위해, 하나의 실록산 단량체 단위가 아릴실록산 또는 아릴알킬실록산인 것이 바람직하고, 디페닐실록산 또는 페닐메틸실록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치환체가 플루오로치환체인 것이 매우 바람직하고, 특히 하나의 실록산 단량체 단위가 플루오로알킬 기를 혼입한 것이 바람직하고, 하나의 실록산 단량체가 플루오로알킬(알킬)실록산인 것 이 더욱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양태에 따라서, 플루오로알킬(알킬)실록산 단위의 양은 약 4몰%를 초과한다. 이것은 안과용으로 보고된 통상적인 폴리실록산에 비해 더 높은 비중을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의 폴리실록산이 특별히 유리하게 한다.
본원에서 작용성 아크릴 기는, 폴리실록산 분자에서 폴리실록산 주쇄, 그의 말단 종결부 또는 둘 다의 실록산 단량체에 대한 아크릴의 부착에 의해 아크릴을 함유하게 되는, 아크릴 기 부분을 비롯하여 여기에 부착된 작용기를 갖는 것으로 정의된다. 상기 작용기중 아크릴 기는 스페이서에 의해 규소 원자에 연결될 수 있다. 작용성 아크릴 기의 예는 아크릴아미도프로필, 메타크릴아미도프로필, 아크릴옥시헥실 및 메타크릴옥시헥실이다. 바람직하게는, 작용성 아크릴 기는 아크릴아미도프로필-, 메타크릴아미도프로필-, 아크릴옥시헥실- 및 메타크릴옥시헥실-말단 폴리실록산으로 예시되는 바와 같이, 폴리실록산 분자의 말단 종결부에 부착된다. 당업자는 후속적으로 폴리실록산 분자를 광개시제와 함께 더 큰 망상구조로 가교결합/중합시키기 위해 아크릴 기를 갖는다는 기본적인 기능을 유지시킨 다수의 대안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방식으로, 아크릴 기의 의미는 에스테르, 아미드 및 우레탄 연결기를 비롯한 다양한 연결기를 통해 부착된 아크릴 잔기, 또는 치환된 아크릴(예컨대, 메타크릴) 잔기, 또는 광개시제와 함께 가교결합 반응을 수행할 수 있는 아크릴의 작용적 동종체를 포함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추가의 양태에서, 본 발명은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작용성 아크릴 기를 갖는 폴리실록산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일반적으로 하기 실시예에 기재되고 숙련가는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른 공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해 적합한 변화를 가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작용성 아크릴 기를 갖는 폴리실록산 공중합체는 약 1.41의 굴절률을 갖는 천연 수정체의 굴절률을 복구하기 위해 약 1.39보다 큰 굴절률을 가져야 한다. 본 발명의 중요한 양태는 실록산 단량체 조성물의 선택에 의한 폴리실록산의 굴절률 및 그에 따른 최종 이식된 렌즈의 굴절 결과를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이다. 굴절률이 특정한 광학 용도에 요구된다면 본 발명에 있어서 굴절률은 약 1.60 이하일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것은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 미국 특허원 제 09/170,160 호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동일 출원일을 갖는 동시계류중인 국제 특허 출원에서 추가로 고려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라서, 작용성 아크릴 기를 갖는 폴리실록산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1을 갖는 공중합체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Figure 112001008246016-pct00001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C1-C6 알킬이고,
R3은 페닐이고,
R4는 페닐 또는 C1-C6 알킬이고,
R5는 CF3(CH2)x(여기서 x는 1 내지 5이다)이고,
R6은 C1-C6 알킬 또는 플루오로알킬이고,
l은 0 내지 0.95의 몰분율의 범위이고,
m은 0 내지 0.7의 몰분율의 범위이고,
n은 0 내지 0.65의 몰분율의 범위이다.
R1이 메틸인 것, R2가 메틸인 것, R4가 페닐인 것, x가 2인 것이 독립적으로 또는 이들이 조합을 이룬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선택에 따라서 R6은 메틸이다. 하나의 양태에 따라서, 폴리실록산은 말단 아크릴 기를 갖는 디페닐 또는 페닐알킬실록산 및 디알킬실록산의 공중합체이다. 추가의 양태에 따라서, 폴리실록산은 디페닐 또는 페닐알킬실록산 및 트리플루오로알킬(알킬)실록산의 공중합체, 또는 디페닐 및/또는 페닐알킬실록산, 디알킬실록산 및 트리플루오로알킬 알킬 실록산의 삼원공중합체 또는 더 고차인 중합체이다. 특히 바람직한 양태에 따라서, 폴리실록산은 디메틸실록산, 디페닐실록산 또는 페닐메틸실록산 및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메틸실록산의 아크릴-말단 삼원공중합체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실록산은 트리플루오로프로필메틸실록산 약 4몰% 이상, 디페닐실록산 1 내지 50몰% 및/또는 페닐메틸실록산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실록산은 트리플루오로프로필메틸실록산 약 4 내지 65몰%, 디페닐실록산 1 내지 50몰% 및 디메틸실록산 단량체 단위를 포함한다. 하나의 적합한 아크릴-말단 폴리실록산 조성물은 트리플루오로프로필메틸 실록산 약 28몰%, 디페닐실록산 약 4몰% 및 디메틸실록산 단량체 단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18게이지(Gauge)의 바늘 또는 더 가는 바늘을 갖는 표준 배관을 통해 주입되기에 적합한 점도를 갖는 주입가능한 렌즈 물질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물질은 21게이지의 바늘을 통해 용이하게 주입될 수 있기 위해 약 60,000cSt 미만 또는 약 8000cSt 미만의 점도를 가져야 한다. 주입가능한 렌즈 물질은 상기 임의의 정의에 따른 하나 이상의 유형의 폴리실록산, 광개시제, 필요에 따라 그 자체가 작용성 아크릴 기를 갖는 실록산 올리고머 또는 중합체일 수 있는 가교결합제, 및 렌즈를 제조하기 위해 필요한 추가의 생리학적으로 또는 안과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로 이루어진 조성물이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조성물은 저장 동안 반응성으로부터 보호되어 별도로 저장된 성분으로부터 유체 혼합물로서 형성된다. 혼합 장치를 갖는 이러한 유형의 키트(kit) 또는 다중 채임버 약포(multi-chamber cartridge) 및 그의 조작법은 약학 또는 실리콘 제품 분야에 잘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서 더 상세하게 논의하지는 않는다. 생리학적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저분자량 및 고분자량(중합체) 형태의 아실 포스핀 옥사이드 및 비스아실 포스핀 옥사이드로부터 유도된 청색광 활성화되는 유형 및 티타노센 광개시제를 비롯한 가시광 범위에서 활성화되는 의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광개시제와 함께, 아크릴만이 치환된 실록산 중합체를 수정체낭 주머니로 도입한다. 주입가능한 렌즈의 용도를 위한 이러한 광개시제의 중요한 특징은, 이들이 가시광, 바람직하게는 청색광에 노출되는 경우 아크릴 기의 광중합을 일으키고 이들은 "광퇴색(photobleaching)"되어 두꺼운 단편(1 내지 5mm)의 신속한 경화를 위한 광개시제로서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주입가능한 렌즈 형성 조성물에 적합한 광개시제는, 또한 본원에 둘 다 참고로 인용된 국제 특허 공개공보 제 WO 99/47185 호 및 스웨덴 특허원 제 9900935-9 호에 논의되어 있다. 상기 스웨덴 특허원 제 9900935-9 호에서 논의된 양태에 있어서, 광개시제는 아크릴-말단 폴리실록산과의 가교결합 반응에 참여할 수 있는 광활성 기와 거대분자의 접합체(conjugate)이고, 이러한 광가교제에서의 거대분자는 상기 첫 번째 폴리실록산과 양립가능한 폴리실록산이어야 한다. 주입가능한 렌즈 물질의 조성물은 또한 작용성 아크릴 기를 갖는 상기 폴리실록산, 상기에 따른 광개시제 및 별도의 가교결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가교결합제는 작용성 아크릴 기를 갖는 실록산 올리고머 및 중합체를 포함하는 디- 또는 트리- 및 더 높은 차수의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중에서 찾을 수 있다. 짧은 분자의 가교결합제는 헥산디올 아크릴레이트 및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주입가능한 IOL 용도에 적합한 중합체성 가교결합제는 (메타크릴옥시프로필)메틸실록산 단위를 혼입시킨 공중합체 또는 더 높은 차수의 중합체로 예시된다.
추가로, 본 발명은 이전에 정의된 바와 같은 작용성 아크릴 기를 갖는 폴리실록산 공중합체를 제조하고, 상기 공중합체를 광개시제 및 필요에 따라 가교결합제와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렌즈 성형 주형으로 주입하고, 주입된 혼합물에 광을 조사시켜 고형의 엘라스토머를 형성시킴으로써, 엘라스토머, 바람직하게는 인공 수정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은 인간의 눈에 주입되어 천연 수정체를 대체하는 이식물을 형성하지만, 상기 방법은 또한 사출 성형에 의한 통상적인 렌즈 제조와 같은 비-외과수술적 과정에서도 고려될 수 있다.
인공 수정체의 생체내 제조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작용성 아크릴 기를 갖는 폴리실록산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공중합체 및 광개시제, 바람직하게는 의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청색광 광개시제를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공중합체 및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상기 조성물을 눈의 수정체낭 주머니로 주입하는 단계; 및 중합 반응을 개시하여 수정체낭 주머니에서 렌즈를 생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된 엘라스토머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엘라스토머는 바람직하게는 1.39 내지 1.46의 굴절률, 더욱 바람직하게는 1.41에 근접한 굴절률을 갖는 광학 렌즈의 형태이다. 목적하는 굴절률을 갖는 광학 렌즈를 수득하기 위해, 공중합체의 전구체들 사이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하기 제공된 실시예에서 나타낸 비율에 가까워야 한다. 그러나,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만약 특정한 임상적 용도에서 특이적 굴절값을 수득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약 1.60 이하의 더 높은 굴절률을 갖는 고도의 렌즈를 본 발명에 따라 수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작용성 아크릴 기를 갖는 폴리실록산을 이용함으로써, 눈의 힘으로 조절하기에 적합한 압축 탄성률을 갖는 본 발명의 렌즈의 주입가능한 물질 및 그의 제조 방법이 수득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본 발명을 이용함으로써 약 55kPa 미만 및 약 20 내지 50kPa 범위의 탄성률을 갖는 렌즈가 용이하게 수득되고, 이러한 렌즈는 인간의 눈에 의해 기능적으로 조절가능하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엘라스토머는 또한 UV 흡수성 화합물 또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다른 통상적인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작용성 아크릴 기를 갖는 폴리실록산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a) 부분; 및 임상적으로 허용가능한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b) 부분으로 이루어진 의료적 키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조합은 청색광에 노출시 광중합에 의해 "제어 경화"될 수 있는 조절된 광-반응성의 액체 실리콘 중합체를 제공한다. 이러한 광가교성 시스템의 상술은, 광경화된 겔의 굴절률, 탄성률 및 압축 특성 뿐만 아니라, 초기 중합체 용액의 점도와 주입 밀도의 상호작용으로부터 유래된다.
본 발명의 물질의 특별한 이점은 플루오로알킬 실록산의 혼입으로 인해 안과용의 실리콘으로 이전에 보고된 물질에 비해 더욱 높은 비중의 물질이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이다. 굴절률이 1.403이고 비중이 약 0.97 내지 0.98인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은 주입가능한 IOL을 위한 물질로서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PDMS의 굴절률은 인간 수정체의 굴절률과 거의 일치하지만, PDMS의 보다 낮은 비중은 PDMS가 수용액에서 떠오르기 때문에 외과 의사에게 상당한 어려움을 제공할 수 있다. 이것은 직접적인 주입의 경우에 곤란한 수성 유체를 배제함으로써 수정체낭 주머니를 완전히 충전하게 한다. 디메틸 실록산과 디페닐실록산의 공중합체는 PDMS에 비해 더 높은 비중을 갖는다. 그러나, 공중합체의 디페닐 함량은 굴절률을 증가시키므로, 예를 들면 비중이 1.0보다 크고 굴절률이 약 1.44 미만인 디메틸-디페닐 공중합체를 수득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공중합체, 삼원공중합체 또는 더 높은 차수의 중합체이고 플루오로알킬 실록산 단위를 혼입시킨 본 발명의 물질은 1.0보다 큰 비중의 실리콘이 이전에 보고된 것에 비해 더 넓은 범위의 굴절률에 걸쳐 제조될 수 있도록 한다.
하기 실시예는 작용성 아크릴 기를 갖는 폴리실록산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의 후속적인 광중합을 예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아크릴 말단 실록산의 제조 방법은 문헌[참조: Thomas, D.R.: p.610 in "Siloxane Polymers"(Clarson, S.J. and Semlyen, J.A., eds.) New Jersey, 1993]에 보고되어 있고, 하기 제시된 실시예는 다수의 경로중 바람직한 것이다. 디메틸실록산/디페닐실록산/메틸,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실록산의 아크릴 말단 삼원공중합체의 제조 방법은 보고되지 않았다.
아미노프로필-말단 폴리(디메틸-co-디페닐)실록산의 제조
증류된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27.5g, 92.9mmol, 82.1몰%), 재결정된 옥타페닐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16.1g, 20.3mmol, 17.9몰%) 및 1,3-비스(3-아미노프로필)테트라메틸디실록산(0.641g, 2.73mmol)을 3목 플라스크에 조심스럽게 투입하 였다. 플라스크에 기계식 교반기를 장착하고, 질소로 퍼징시킨 후, 수산화칼륨(80mg) 촉매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60℃로 가열하고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36% 수성 HCl 0.24g을 3mL 에탄올중의 용액으로서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촉매를 중화시키고, 혼합물을 25℃로 냉각시켰다. 수득된 투명한 무색 실리콘 유체를 디에틸 에테르 100mL로 희석시키고 분별 깔대기로 옮겼다. 물 각각 100mL에 의해 2회 추출하여 촉매를 제거한 후에, 용액을 황산 마그네슘에 의해 건조시켰다. 생성물을 여과하고, 용매를 증발시켰다. 투명한 점성의 유체를 진공(0.2torr)하의 110℃에서 가열하여 잔류 용매 및 휘발성 생성물을 제거하였다. 수율은 42.05g(95%)이었다.
실시예 2
아미노프로필-말단 폴리(디메틸-co-디페닐-co-트리플루오로프로필메틸)실록산의 제조
증류된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83.56g, 0.282mol), 옥타페닐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11.77g, 0.0148mol) 및 증류된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메틸사이클로트리실록산(27.56g, 0.0588mol)을 칭량하여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80℃에서 30분 동안 진공하에 건조시켰다. 플라스크를 질소로 퍼징시키고, 말단 종결부인 1,3-비스(3-아미노프로필)테트라메틸디실록산(3.107g, 0.0125mol)을 마개를 통해 주입하였다. 포타슘 실라놀레이트 개시제(0.055g)를 첨가하고, 온도를 160℃로 상승시키고, 혼합물을 36시간 동안 가열하고 교반시켰다. 투명한 무색 생성물을 냉각시키고, 클로로포름 57mL로 희석하고, 물 각각 88mL에 의해 3회, 메탄올 각각 88mL에 의해 2회 세정한 후, 생성물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44mL로 희석하고 메탄올 각각 88mL에 의해 2회 더 세정하였다. 진공하에(압력을 1mbar 미만으로 낮춤) 100℃에서 가열함으로써 용매 및 휘발물을 제거하였다. 수득된 생성물은 투명하고 무색이었다. 수율: 90.72g(71.9%). 분석 결과, 25℃에서의 굴절률이 1.417(이론값: 1.417), 밀도가 1.048g/mL(이론값: 1.059g/mL), 폴리스티렌 표준물을 갖는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한 분자량이 Mn 25,900, Mw 71,800이었다. (GPC 결과에서 나타난 고도의 다분산성은 반응이 36 내지 40시간 후에 완전히 완결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문제는 비스아미노실록산 올리고머성 말단 종결부를 사용하여 개선될 수 있다). 500MHz H-NMR에 의한 중합체 단위 비율, 즉 디메틸/디페닐/트리플루오로프로필은 0.816/0.047/0.137이었다(출발 단량체 비율은 0.792/0.042/0.165이었다). 이러한 경로에 의해 제조된 아미노-말단 폴리실록산을 아크릴아미도알킬- 및 메타크릴아미도알킬-말단 실리콘의 제조용 출발 물질로서 사용하였다.
실시예 3
아미노프로필-말단 폴리(디메틸-co-디페닐-co-트리플루오로프로필메틸)실록산의 제조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84.54g, 0.285mol), 옥타페닐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16.15g, 0.0204mol), 증류된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메틸사이클로트리실록산(21.20g, 0.0452mol), 1,3-비스(3-아미노프로필)테트라메틸디실록산(3.118g, 0.0125mol) 및 포타슘 실라놀레이트 개시제(0.056g)의 상이한 단량체 혼합물에 의해 실시예 2를 반복하였다. 수율은 88.44g(70.6%)이었다. 분석 결과, 25℃에서의 굴절률이 1.425(이론값: 1.426), 밀도가 1.046g/mL(이론값: 1.051g/mL), 분자량이 Mn 19,600, Mw 69,400이었다. H-NMR에 의한 중합체 단위 비율, 즉 디메틸/디페닐/트리플루오로프로필은 0.832/0.065/0.104이었다(출발 단량체 비율은 0.813/0.058/0.129이었다).
실시예 4
아미노프로필-말단 폴리(디메틸-co-디페닐-co-트리플루오로프로필메틸)실록산의 제조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62.66g, 0.211mol), 옥타페닐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34.38g, 0.0433mol), 증류된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메틸사이클로트리실록산(24.87g, 0.0531mol), 1,3-비스(3-아미노프로필)테트라메틸디실록산(3.327g, 0.0134mol) 및 포타슘 실라놀레이트 개시제(0.055g)의 상이한 단량체 혼합물에 의해 실시예 2를 반복하였다. 수율은 77.07g(61.0%)이었다. 분석 결과, 25℃에서의 굴절률이 1.455(이론값: 1.456), 밀도가 1.083g/mL(이론값: 1.090g/mL)이었다. NMR에 의한 중합체 단위 비율, 즉 디메틸/디페닐/트리플루오로프로필은 0.696/0.161/0.143이었다(출발 단량체 비율은 0.686/0.141/0.173이었다).
실시예 5
히드록시헥실-말단 폴리(디메틸-co-디페닐)실록산의 제조
증류된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27.54g, 92.9mmol, 82.1몰%) 및 재결정된 옥타페닐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16.11g, 20.3mmol, 17.9몰%)을 조심스럽게 3목 플라스크에 투입하였다. 반응기에 기계식 교반기를 장착하고, 질소로 퍼징하고, 테트라메틸암모늄 히드록사이드(60mg) 촉매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1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가열하였고, 점성이 된 후에 160℃에서 3시간 가열하여 테트라메틸암모늄 히드록사이드 촉매를 분해시켰다. 1,3-비스(6-히드록시에틸)테트라메틸디실록산(0.916g, 2.74mmol) 말단 종결부(계산된 Mn: 16,000) 및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 촉매 1m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60℃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점성의 유체를 100mL 테트라하이드로푸란에 의해 희석시키고, 25℃에서 5% 수산화나트륨과 함께 격렬하게 교반시켜서 히드록실 말단 기를 유리시켰다. 샘플을 때때로 취하면서 비누화 과정을 IR 분광학에 의해 관측하였다. 12시간 후에, 반응은 95% 완결된 것으로 IR에 의해 나타났다. (더 긴 시간은 염기 촉매된 과정에 의한 말단 기의 절단 위험이 있다). 혼합물을 분별 깔대기로 옮기고, 2층으로 분리시키고, 유기층을 물(100mL, 3회)로 세정하였다. 용액을 우선 황산 나트륨에 의해 건조시키고, 이어서 황산 마그네슘에 의해 건조시킨 후, 여과하였다. 용매를 우선 증발시킨 후에, 투명한 점성의 유체를 110℃에서 진공(0.2torr)하에 가열하여 잔류 용매 및 일부 휘발성 생성물을 제거하여 무색의 점성 유체인 최종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32.81g(73.6%). 1H-NMR(400MHz, CDCl3)에 의한 공중합체 단위 조성은 진공 처리 이전에는 디페닐-단위 17.9몰%이었고, 진공 처리 이후에는 디페닐-단위가 19.1몰%이었다. 이러한 경로로 제조된 히드록시-말단 폴리실록산은 아크릴옥시- 및 메타크릴옥시-말단 실리콘을 제조하기 위한 출발 물질로서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6
아크릴아미도프로필-말단 폴리(디메틸-co-디페닐)실록산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아미노프로필-말단 폴리(디메틸-co-디페닐)실록산[40g, 4.25밀리당량(meq)]을 무수 디클로로메탄 100mL에 용해시키고, 수소화 칼슘 2g을 3회로 나누어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키고,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640mg, 570㎕, 7.0mmol)를 첨가하였다. 현탁액을 하룻밤 동안 교반하고, 수소화 칼슘 및 염화 칼슘을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다. 여액을 물(100mL)로 세정한 후, 황산 나트륨(이후에 황산 마그네슘)에 의해 건조시켰다. 실온에서 우선 20torr하에, 이어서 0.2torr하에 용매를 증발시켰다. 이 샘플을 레올로지(rheology) 측정 및 돼지 사체의 눈으로의 주입을 위해 사용하였다. 그러나, 후속적인 GPC 분석은 사이클릭 불순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나서, 추가의 세정을 수행하였다. 샘플의 일부 20.35g을 톨루엔 20mL로 희석시켰고, 용액을 교반되는 메탄올에 대해 침전시켰다. 실리콘을 분리되도록 하고, 다시 톨루엔으로 희석시키고, 이전과 같이 메탄올에 대해 침전시켰다. 실리콘을 플라스크로 옮기고, 용매를 반응대에서의 약간의 가열에 의해 진공하에(1.5mbar까지) 제거하였다. 이 샘플을 실시예 6의 '후-세정' 샘플이라 칭한다. NMR(500MHz)에 의해 아크릴아미도프로필 말단 기는 Mn 21,000(0.095meq/g)을 나타냈다.
실시예 7
아크릴아미도프로필-말단 폴리(디메틸-co-디페닐-co-트리플루오로프로필메틸)실록산의 제조
실시예 2의 아미노프로필-말단 삼원공중합체(15.02g, 이론적인 Mn 10,000을 기준으로 1.50mmol)를 무수 플라스크에 칭량하여 투입하고, 질소 기류를 적용하였다. 무수 디클로로메탄(40mL)을 첨가한 후, 수소화 칼슘(1g)을 소량씩 첨가하였다. 내용물의 온도가 0℃가 될 때까지 플라스크를 빙수중에서 냉각시키고, 이어서 증류된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0.380g, 4.2mmol)를 마개를 통해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0℃에서 30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얼음을 제거하고, 혼합물을 3.5시간에 걸쳐 주변 온도로 가온시켰다. 디클로로메탄으로 헹구면서 탁한 혼합물을 감압하에 여과하여 CaH2 및 CaCl2를 제거하였다. 용액을 물 50mL로 세정하고, 황산 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용매를 초기에는 회전 증발기 상에서 진공하에 제거하고, 이어서 <1mbar의 압력에 의해 50℃의 욕 상에서 제거하였다. 수율: 13.28g(87%). H-NMR 스펙트럼은 부착되지 않은 아크릴 시약이 존재함을 나타내어서, 생성물을 각각 디클로로메탄 20mL에서의 희석 및 교반되는 메탄올 200mL에 대한 침전에 의해 2회 재침전시켰다. 이어서, 이전과 같이 용매를 진공하에 제거하여 투명한 무색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6.43g(42%). 500MHz H-NMR에 의한 분석 결과, 부착되지 않은 아크릴 시약이 나타나지 않았고, 디메틸실록산/디페닐-/트리플루오로프로필-/아크릴아미드의 단위 비율이 0.817/0.0468/0.131/0.0102인 것으로 나타났고, Mn은 17,800이었다. 아미노 기의 전환은 정량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8
메타크릴아미도프로필-말단 폴리(디메틸-co-디페닐-co-트리플루오로프로필메틸)실 록산의 제조
변화 시약으로서 메타크릴로일 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6을 반복하였다. 실시예 3의 아미노프로필-말단 삼원공중합체(15.11g, 이론적인 Mn 10,000을 기준으로 1.50mmol)를 증류된 메타크릴로일 클로라이드(0.439g, 4.2mmol)와 반응시켰고, 다른 시약 및 방법은 동일하였다. 최종 수율은 10.06g(66%)이었다. 500MHz H-NMR에 의한 분석 결과, 디메틸실록산/디페닐-/트리플루오로프로필-/아크릴아미드의 단위 비율이 0.827/0.064/0.099/0.0105인 것으로 나타났고, Mn은 17,200이었다. 다시 아미노 기의 전환은 정량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9
광경화된 물질의 레올로지 측정
상기와 같이 제조된 실리콘(실시예 6, 7 및 8)을 청색광에 의해 광경화시켜서 무색의 유리처럼 투명한 엘라스토머를 제조하고, 이들의 탄성률을 측정하였다. 시판중인 광경화성 실리콘으로부터의 엘라스토머와 비교하고, 추가의 가교결합제의 존재 및 부재하에도 측정을 수행하였다. 레올로지 시험을 위한 조성물을 ±0.01mg까지 칭량하여 약한 광 아래에서 약 3g의 1회분으로 제조하였다. 실리콘에서의 용해를 보장하기 위해, 광개시제를 우선 디클로로메탄 1 내지 1.5mL에 용해시키고, 이 용액을 실리콘과 함께 3분 동안 교반시킨 후, 실온에서 일정한 중량까지 진공 건조(전형적으로 0.3mbar의 압력에 의해 약 30분)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분석을 위한 편편한 원반을 테플론(Teflon) 주형(직경 25mm, 깊이 1.0mm)에서 주조하였고, 이 때 상기 주형을 조성물로 채우고, 이어서 현미경 미끄럼판으로 덮어서 주형의 전체 직경에 걸쳐 부드러운 접촉면을 제공하고, 이어서 조성물을 청색광을 사용하여 경화시켰다. [청색광의 공급원은 400 내지 525nm를 방출하는 비바덴트 헬리오룩스(Vivadent Heliolux) DLX 치과용 총을 사용하였고, 주형의 22mm 위에 장치하였고 이 거리에서 광의 세기는 13 내지 14mW/cm2이었다]. 이어서, 35℃에서 레오메트릭스(Rheometrics) RDA 2 레오미터를 사용하여 원반에 대한 전단(저장) 탄성률의 측정을 수행하였다. 청색광 영역에서 활성인 광개시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 옥사이드[시바 이르가큐어(Ciba Irgacure) 819]를 사용하였다. 사용된 광개시제의 농도는 본원에서 인용된 모든 실시예에서 0.20%ww이었다. 비교를 위해, 시판중인 광경화성 실리콘인 메타크릴옥시프로필-말단 폴리디메틸실록산[겔레스트(Gelest)-ABCR DMS-R31, NMR에 의해 측정된 Mn이 24,800, 메타크릴옥시 0.081meq/g] 및 아크릴옥시-말단 폴리디메틸실록산(겔레스트-ABCR DMS-U22, NMR에 의해 측정된 Mn이 768, 아크릴옥시 2.60meq/g, 낮은 Mn으로 인해 여기서는 가교제로서 이용됨)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알킬 가교결합제인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TPGDA[게노머(Genomer) 1230]를 또한 사용하였다.
실시예 실리콘 중합체 가교결합제 전단 탄성률
유형 %ww G'/kPa (35℃에서)
9(a) 메타크릴옥시프로필-말단 폴리디메틸실록산 ABCR DMS-R31 - - 21.0
9(b) 메타크릴옥시프로필-말단 폴리디메틸실록산 ABCR DMS-R31 TPGDA 0.57 46.1
9(c) 메타크릴옥시프로필-말단 폴리디메틸실록산 ABCR DMS-R31 TPGDA 1.14 48.1
9(d) 메타크릴옥시프로필-말단 폴리디메틸실록산 ABCR DMS-R31 아크릴옥시-말단 폴리디메틸실록산 ABCR DMS-U22 0.76 45.3
9(e) 아크릴아미도프로필-말단 폴리(디메틸-co-디페닐)실록산(실시예 6) - - 46.5
9(f) 아크릴아미도프로필-말단 폴리(디메틸-co-디페닐)실록산(실시예 6) TPGDA 1.05 51.6
9(g) 아크릴아미도프로필-말단 폴리(디메틸-co-디페닐)실록산(실시예 6의 후-세정 샘플) - - 52.7
9(h) 아크릴아미도프로필-말단 폴리(디메틸-co-디페닐-co-트리플루오로프로필)실록산(실시예 7) - - 55.8
9(i) 아크릴아미도프로필-말단 폴리(디메틸-co-디페닐-co-트리플루오로프로필)실록산(실시예 8) - - 65.3

실시예 10
광경화된 인공 수정체의 제조
광개시제(이르가큐어 819, 0.20%ww) 및 가교결합제(TPGDA, 0.57%)를 함유하는 아크릴아미도프로필-말단 폴리(디메틸-co-디페닐)실록산(실시예 2)을 실시예 9(b)와 같이 제조하였다. 신선한 돼지 사체의 눈을 준비하고, 수정체낭 주머니로의 작은 구멍을 절개하고 수정체를 제거하였다. 실리콘 조성물을 21게이지의 배관을 통해 수정체낭 주머니로 주입하여 주머니를 다시 채우고 적절한 곡률을 제공하였다. 각막 전방의 0.5 내지 1.0cm에 놓인 비바덴트 헬리오룩스 DLX 치과용 총으 로부터의 청색광에 의해 실리콘을 경화시키고, 시험할 수 있도록 렌즈를 추출하였다. 투명한 무색의 점성이 없는 렌즈는 12.0 ±0.5mm의 전방 반경, 5.19 ±0.1mm의 후방 반경, 5.06 ±0.02mm의 두께 및 8.9 ±0.1mm의 직경을 가졌다. 공기중에서의 렌즈의 배율은 108 ±2 디옵터(diopter)이고, 초점 거리는 9.2 ±0.2mm였다(물에서는 배율이 27.1±0.5 디옵터, 초점 거리가 37.0 ±0.7mm).
실시예 11
실시예 11.1
(a) 디메틸실록산/디페닐실록산/메틸,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실록산 삼원공중합체의 제조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D4)(6.0g, 20mmol), 옥타페닐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DPh4)(1.7g, 2mmol) 및 트리메틸-트리스(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사이클로트리실록산(23% 시스 및 77% 트랜스, F3)(7.3g, 16mmol)을 비스(3-아미노프로필)디메틸디실록산(0.15 내지 0.3g)에 첨가하고 아르곤으로 퍼징하였다. 온도를 +120℃로 상승시키고, 비스(테트라메틸암모늄)-폴리디메틸실록사놀레이트 촉매(0.01g)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120℃에서 2 내지 3시간, +160℃에서 3시간 가열하였다. 주변 온도로 냉각되었을 때 중합체를 테트라하이드로푸란에 용해시키고, 메탄올에 의해 침전 및 세정을 수행하고, 원심분리하고, 진공하에 건조시켰다. 생성된 폴리실록산은 수평균 분자량 10kDa 미만, 굴절률 1.40 미만 및 밀도 1.10 미만을 가졌다.
(b) 아크릴 기의 도입
상기 유형 (a)의 제조 방법으로부터의 디메틸실록산/디페닐실록산/메틸,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실록산 삼원공중합체(4.0g, 0.04mmol)를 메틸렌 디클로라이드에 용해시켜서 10 내지 20중량% 용액을 제조하고, 과량의 미분 CaH를 첨가하고, 생성된 현탁액을 0℃로 냉각시키고, 아르곤으로 퍼징시켰다. 메틸렌 디클로라이드(3mL)에 용해된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0.15g, 0.14mmol)를 적가하면서 교반 및 냉각을 수행하여 반응 온도가 0℃보다 높게 상승하지 않도록 하였다.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를 완전히 첨가한 후에, 용액을 4시간 동안 교반하고 주변 온도로 가온시켰다. 현탁액을 여과하고 여액을 NaHCO3로 중화시키고, 물로 세정하고, 무수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 증발시켰다. 생성된 아크릴계 말단 삼원공중합체를 하이드로퀴논 1 내지 3ppm을 첨가하여 안정화시켰다. 생성된 폴리실록산을 죽은 돼지의 수정체낭 주머니 또는 실리콘 풍선 또는 투명한 플라스틱 주형과 같은 적합한 주형에 유지시키면서 청색광에 노출하여 광중합시켜 매우 낮은 탄성률의 가요성 렌즈를 형성시킬 수 있었다. 광개시는 청색광의 부재하에 완결된 실록산의 단리 이전에, 예컨대 2% TMPO를 포함시킴으로써 유발되었다.
실시예 11.2
(a) 실라놀-말단 폴리실록산의 형성
헥사메틸사이클로트리실록산(D3)(6.0g, 27mmol), 헥사페닐-사이클로트리실록산(DPh3)(1.7g, 2.7mmol) 및 트리메틸-트리스(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사이클로트리실록산(시스 및 트랜스 F3)(7.3g, 21mmol)을 메틸렌 클로라이드에 용해시키고, 여기에 트리메틸실릴 트리플레이트(TMST)(0.23g) 및 2,6-디-t-부틸피리딘(0.15 내지 0.2g)을 첨가하고, 무수 아르곤으로 퍼징시켰다. 삼원공중합 반응을 주변 온도에서 진행시키고 24시간 이내에 완결시켰다. 중합은 비종결 쇄 증가 메카니즘에 의해 진행되어서 공중합체의 분자량은 단량체 대 TMST의 비율에 따라 달라졌고, 반응을 과량의(TMST에 비해) NaHCO3의 첨가에 의해 종결시켰다. 생성된 삼원공중합체 용액을 묽은 HCl(0.2M) 및 물(3회)로 세정하고, 무수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저온에서의 진공 증류에 의해 용매 및 잔류성 사이클릭 물질을 제거하였다. 실록산 삼원공중합체는 수평균 분자량>10kDa, 굴절률>1.40 및 밀도>1.10을 가졌다. TMST 대신에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트리플산) 및 그의 유도체, 예컨대 벤질디메틸 트리플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b) 아크릴 말단 삼원공중합체 실라놀의 제조
헥사메틸-사이클로트리실록산(D3), 헥사페닐사이클로트리실록산(DPh3) 및 트리메틸트리스(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사이클로트리실록산(시스 및 트랜스 F3)의 실라놀 말단 삼원공중합체를 아크릴옥시메틸디메틸-아크릴옥시실란[록타이트 코포레이션(Loctite Corporation)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179,134 호에서 츄(Chu) 등에 의해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됨]과 동일한 몰비로 주변 온도에서 혼합하였다. 2시간 동안 정치시킨 후에, 부생성물인 아크릴산을 진공 스트립핑에 의해 제거하였다.
실시예 11.3
실라놀 말단 디메틸디페닐실록산(점도 2000 내지 3000cSt; 분자량 35kDa; 몰% 디페닐-실록산 1 내지 2)(4.0g, 0.12mmol)을 메틸렌 클로라이드에 용해시켜 15중량% 용액을 제조하고, 과량의 미분 CaH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아르곤으로 퍼징시키고 0℃로 냉각하고, 이 때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 50ppm을 함께 첨가하면서 메틸렌 클로라이드에 용해된 아세톡시(비스아크릴로에틸)메틸실란(0.15g, 1.4mmol)을 교반하면서 적가하였다. 반응을 추가로 4시간 동안 계속 교반시키고 생성된 현탁액을 여과하였다. 여액을 무수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 건조되도록 증발시켰다.
실시예 12
아크릴-말단 폴리실록산 삼원공중합체의 광중합
다수의 가시광 광개시제가 상기 기재된 아크릴-말단 D3/DPh3/F3 삼원공중합체의 아크릴 광중합을 개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이들은 비스(η5-사이클로펜타디에닐)-비스[2,6-디플루오로-3-(1H-피르-1-일)페닐]티타늄(Ti1)과 같은 티타노센, 및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 옥사이드(TMPO)와 같은 아실포스핀 옥사이드, 및 루시린(Lucirin)[TMPO의 중합체성 유도체; 안지올리니(Angiolini, L.) 등의 문헌 참조[J. Appl. Polym. Sci. 57(1995), 519)]과 같은 중합체 변형물을 포함한다.
실시예 12.1
아크릴-말단 D3/DPh3/F3 삼원공중합체 및 Ti1(0.5%)을 혼합하고 488nm A-레 이저로부터 광을 조사시켰다. 혼합물은 신속하게 겔화되어 굴절률>1.40, 밀도>1.10인 저탄성률의 엘라스토머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12.2
아크릴-말단 D3/DPh3/F3 삼원공중합체 및 TMPO(3.0%)를 혼합하고 청색의 광선총으로부터 광을 조사시켰다. 혼합물은 신속하게(3분 미만) 겔화되어 굴절률>1.40, 밀도>1.10인 저탄성률의 엘라스토머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12.3
아크릴-말단 D3/DPh3/F3 삼원공중합체 및 루시린(2%)을 혼합하고 청색의 광선총으로부터 광을 조사시켰다. 혼합물은 신속하게 겔화되어 굴절률>1.40, 밀도>1.10인 저탄성률의 엘라스토머를 수득하였다.

Claims (30)

  1. 고형의 인공 수정체로 광중합될 수 있는 작용성 아크릴 기를 갖고,
    약 1.0보다 큰 비중 및 천연 수정체의 굴절력을 회복시키기에 적합한 굴절률을 가지며,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아릴실록산, 아릴알킬실록산 및 알킬(알킬)실록산중에서 선택된 실록산 단량체 단위를 갖고,
    하나 이상의 아릴실록산, 아릴알킬실록산 및 알킬(알킬)실록산 단량체 단위가 하나 이상의 불소 원자로 치환된
    폴리실록산 공중합체.
  2. 제 1 항에 있어서,
    말단 종결부에 작용성 아크릴 기를 갖는 폴리실록산 공중합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약 1.39보다 큰 굴절률을 갖는 폴리실록산 공중합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약 1.60 이하의 굴절률을 갖는 폴리실록산 공중합체.
  5. 제 1 항에 있어서,
    디페닐 또는 페닐알킬 실록산 및 트리플루오로알킬(알킬) 실록산의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실록산 공중합체.
  6. 제 1 항에 있어서,
    디페닐 및/또는 페닐알킬 실록산, 디알킬 실록산 및 트리플루오로알킬(알킬) 실록산의 삼원공중합체 또는 더 고차의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실록산 공중합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삼원공중합체가 디메틸 실록산, 디페닐실록산 또는 페닐메틸 실록산 및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 메틸 실록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실록산 공중합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삼원공중합체가 아크릴-말단 삼원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실록산 공중합체.
  9. 제 5 항에 있어서,
    약 4몰% 이상의 트리플루오로프로필메틸 실록산 및 1 내지 50몰%의 디페닐실록산 또는 페닐메틸 실록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실록산 공중합체.
  10. 제 6 항에 있어서,
    4 내지 65몰%의 트리플루오로프로필메틸 실록산, 1 내지 50몰%의 디페닐실록산 및 디메틸 실록산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실록산 공중합체.
  11. 제 6 항에 있어서,
    디메틸 실록산, 디페닐실록산 및 트리플루오로프로필 메틸 실록산의 삼원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실록산 공중합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약 28몰%의 트리플루오로프로필메틸 실록산, 약 4몰%의 디페닐실록산 및 디메틸 실록산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실록산 공중합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아크릴-말단 폴리실록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실록산 공중합체.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실록산 공중합체 및 광개시제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포함하고, 표준 배관을 통해 약 60,000cSt 미만의 점도를 갖는 주입가능한 렌즈 물질.
  15. 제 14 항에 있어서,
    광개시제가 청색광에 의해 활성화되는 주입가능한 렌즈 물질.
  16. 삭제
  17. 제 14 항에 있어서,
    폴리실록산 공중합체가 약 8,000cSt 미만의 점도를 갖는 주입가능한 렌즈 물질.
  18. 광개시제의 존재하에 제 1 항 내지 제 13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실록산 공중합체를 광중합함을 포함하는 엘라스토머의 제조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광개시제가 의료적으로 허용가능한 청색광 광개시제인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비-외과수술적 공정인 방법.
  21. 제 18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엘라스토머.
  22. 제 21 항에 있어서,
    광학 렌즈의 형태인 엘라스토머.
  23. 제 22 항에 있어서,
    광학 렌즈가 1.41에 근접한 굴절률을 갖는 엘라스토머.
  24. 제 22 항에 있어서,
    광학 렌즈가 약 55kPa 미만의 압축 탄성률을 갖는 엘라스토머.
  25. 제 22 항에 있어서,
    UV 흡수성 화합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엘라스토머.
  26. (i) 제 1 항 내지 제 13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실록산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ii) 제조된 공중합체를 광개시제와 혼합하는 단계;
    (iii) 생성된 혼합물을 렌즈 성형 주형으로 주입하는 단계; 및
    (iv) 주입된 혼합물에 광을 조사시켜 고형의 엘라스토머를 형성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엘라스토머의 제조 방법.
  27. 삭제
  28. 제 26 항에 있어서,
    광개시제가 의료적으로 허용가능한 청색광 광개시제인 방법.
  29. 삭제
  30. (a) 제 1 항 내지 제 13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실록산 공중합체, (b) 의료적으로 허용가능한 광개시제, 및 (c) 용기(contain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키트(kit).
KR1020017004599A 1998-10-13 1999-10-11 광경화성 실록산 중합체 KR1006464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803481A SE9803481D0 (sv) 1998-10-13 1998-10-13 Photocurable siloxane polymers
SE9803481-2 1998-10-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9296A KR20010089296A (ko) 2001-09-29
KR100646483B1 true KR100646483B1 (ko) 2006-11-14

Family

ID=20412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4599A KR100646483B1 (ko) 1998-10-13 1999-10-11 광경화성 실록산 중합체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2) US6399734B1 (ko)
EP (1) EP1137955B1 (ko)
JP (1) JP2002527171A (ko)
KR (1) KR100646483B1 (ko)
CN (1) CN1199057C (ko)
AU (1) AU759775B2 (ko)
BR (1) BR9914429B1 (ko)
CA (1) CA2349566C (ko)
CZ (1) CZ303236B6 (ko)
EA (1) EA004653B1 (ko)
HK (1) HK1040292A1 (ko)
HU (1) HUP0103942A3 (ko)
ID (1) ID29222A (ko)
IL (1) IL142224A (ko)
NO (1) NO20011836L (ko)
NZ (1) NZ510810A (ko)
PL (1) PL347251A1 (ko)
SE (1) SE9803481D0 (ko)
SK (1) SK4102001A3 (ko)
TR (1) TR200101044T2 (ko)
WO (1) WO20000224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73790A2 (en) 1999-03-01 2002-01-23 Boston Innovative Opt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increasing the depth of focus of the human eye
SE9900935D0 (sv) * 1999-03-16 1999-03-16 Pharmacia & Upjohn Bv Macromolecular compounds
US20030060881A1 (en) 1999-04-30 2003-03-27 Advanced Medical Optics, Inc. Intraocular lens combinations
US20060238702A1 (en) 1999-04-30 2006-10-26 Advanced Medical Optics, Inc. Ophthalmic lens combinations
AUPQ197899A0 (en) 1999-08-02 1999-08-26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Biomedical compositions
AU780010B2 (en) * 1999-08-02 2005-02-24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Biomedical compositions
US6638307B2 (en) * 1999-12-29 2003-10-28 Igor Valyunin Methods of surface treatment for enhancing the performance of a floating phakic refractive lens design
US20050113911A1 (en) * 2002-10-17 2005-05-26 Peyman Gholam A. Adjustable intraocular lens for insertion into the capsular bag
US20070031473A1 (en) * 2005-08-05 2007-02-08 Peyman Gholam A Drug delivery system and method
US8162927B2 (en) * 2000-03-21 2012-04-24 Gholam A. Peyma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US6414049B1 (en) * 2000-03-22 2002-07-02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Stable initiator system
SE0001352D0 (sv) * 2000-04-12 2000-04-12 Pharmacia & Upjohn Bv Injectable intraocular accommodating lens
US20050277864A1 (en) * 2000-04-14 2005-12-15 David Haffner Injectable gel implant for glaucoma treatment
US6598606B2 (en) 2000-05-24 2003-07-29 Pharmacia Groningen Bv Methods of implanting an intraocular lens
SE0004393D0 (sv) 2000-11-29 2000-11-29 Pharmacia Groningen Bv A device for use in eye surgery
US7055120B2 (en) 2000-12-06 2006-05-30 Cadence Design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lacing circuit modules
US20120016349A1 (en) 2001-01-29 2012-01-19 Amo Development, Llc. Hybrid ophthalmic interface apparatus and method of interfacing a surgical laser with an eye
DE60225815T2 (de) 2001-04-07 2009-02-05 Glaukos Corp., Laguna Hills Glaukom-stent für die glaukom-behandlung
US7560499B2 (en) * 2001-12-28 2009-07-14 Calhoun Vision, Inc. Initiator and ultraviolet absorber blends for changing lens power by ultraviolet light
US7173073B2 (en) 2002-01-14 2007-02-06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Ophthalmic device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and methods for their production
US7763069B2 (en) 2002-01-14 2010-07-27 Abbott Medical Optics Inc.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with outer support structure
US9301875B2 (en) 2002-04-08 2016-04-05 Glaukos Corporation Ocular disorder treatment implants with multiple opening
SE0201478D0 (sv) 2002-05-16 2002-05-16 Pharmacia & Upjohn Bv Method in eye surgery
SE0201479D0 (sv) 2002-05-16 2002-05-16 Pharmacia Groningen Bv Kit and method in eye surgery
US7160324B2 (en) 2002-05-17 2007-01-09 Amo Groningen, B.V. Method in eye surgery
AU2002950469A0 (en) 2002-07-30 2002-09-12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Improved biomedical compositions
US20040150788A1 (en) 2002-11-22 2004-08-05 Ann-Margret Andersson Antimicrobial lenses, processes to prepare them and methods of their use
US20040082993A1 (en) 2002-10-25 2004-04-29 Randall Woods Capsular intraocular lens implant having a refractive liquid therein
US7662180B2 (en) 2002-12-05 2010-02-16 Abbott Medical Optics Inc.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CN100451070C (zh) * 2003-04-07 2009-01-14 陶氏康宁公司 用于光波导的固化性有机聚硅氧烷树脂组合物,光波导及其制造方法
US7276544B2 (en) * 2003-09-08 2007-10-02 Bausch & Lomb Incorporated Process for manufacturing intraocular lenses with blue light absorption characteristics
WO2005048674A1 (ja) * 2003-11-14 2005-05-26 Bridgestone Corporation 電磁波シールド性光透過窓材及びその製造方法
US7416737B2 (en) 2003-11-18 2008-08-26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Antimicrobial lenses, processes to prepare them and methods of their use
US20050131535A1 (en) 2003-12-15 2005-06-16 Randall Woods Intraocular lens implant having posterior bendable optic
US9713527B2 (en) * 2004-04-30 2017-07-25 Rxsight, Inc. Multilens intraocular lens system with injectable accommodation material
US9005282B2 (en) * 2004-04-30 2015-04-14 Calhoun Vision, Inc. Intraocular lens system with injectable accommodation material
CA2564816A1 (en) * 2004-04-30 2005-11-17 Calhoun Vision, Inc. Injectable accommodation composition
SE0403091D0 (sv) * 2004-12-20 2004-12-20 Amo Groningen Bv New composition for injectable ophtalmic lenses
WO2006068986A1 (en) * 2004-12-20 2006-06-29 Amo Groningen B.V. Polysiloxanes, method of synthesis and ophthalmic compositions
SE0403093D0 (sv) * 2004-12-20 2004-12-20 Amo Groningen Bv New polysiloxanes; synthesis and use thereof
US7279538B2 (en) * 2005-04-01 2007-10-09 Bausch & Lomb Incorporated Aromatic-based polysiloxane prepolymers and ophthalmic devices produced therefrom
US20060229492A1 (en) * 2005-04-08 2006-10-12 G & L Consulting Llc Materials and methods for in situ formation of a heart constrainer
US9052438B2 (en) 2005-04-08 2015-06-09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Ophthalmic devices comprising photochromic materials with reactive substituents
US8158037B2 (en) 2005-04-08 2012-04-17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Photochromic materials having extended pi-conjugated systems and compositions and articles including the same
WO2006127100A1 (en) * 2005-05-26 2006-11-30 Dow Corning Corporation Process and silicone encapsulant composition for molding small shapes
WO2006138213A1 (en) * 2005-06-13 2006-12-28 Alcon, Inc. Ophthalmic and otorhinolaryngological device materials
US8263721B2 (en) * 2005-06-13 2012-09-11 Novartis Ag Ophthalmic and otorhinolaryngological device materials
US20070065484A1 (en) * 2005-09-21 2007-03-22 Chudzik Stephen J In situ occlusion using natural biodegradable polysaccharides
US9636213B2 (en) * 2005-09-30 2017-05-02 Abbott Medical Optics Inc. Deformable intraocular lenses and lens systems
US20090146175A1 (en) * 2006-01-17 2009-06-11 Maneesh Bahadur Thermal stable transparent silicone resi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and use
CN101336383B (zh) * 2006-02-01 2012-05-09 陶氏康宁公司 抗冲击的光波导管及其制造方法
KR20080104279A (ko) * 2006-02-24 2008-12-02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 실리콘으로 캡슐화된 발광 장치 및 실리콘 제조용의 경화성실리콘 조성물
SG174010A1 (en) 2006-05-03 2011-09-29 Vision Crc Ltd Eye treatment
CA2651706A1 (en) * 2006-05-03 2007-11-15 Vision Crc Limited Biological polysiloxanes
US7968650B2 (en) 2006-10-31 2011-06-28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Polymeric compositions comprising at least one volume excluding polymer
US20080102095A1 (en) 2006-10-31 2008-05-01 Kent Young Acidic processes to prepare antimicrobial contact lenses
JP2010512225A (ja) 2006-12-12 2010-04-22 ボーシュ アンド ローム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規則性ポリマーシステムおよび眼内レンズ
US8048156B2 (en) 2006-12-29 2011-11-01 Abbott Medical Optics Inc. Multifocal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US20080161914A1 (en) 2006-12-29 2008-07-03 Advanced Medical Optics, Inc. Pre-stressed haptic for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US7713299B2 (en) 2006-12-29 2010-05-11 Abbott Medical Optics Inc. Haptic for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US9944031B2 (en) * 2007-02-13 2018-04-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olded optical articl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WO2008100991A1 (en) 2007-02-13 2008-08-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ed devices having lens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GB0711313D0 (en) * 2007-06-11 2007-07-25 Dow Corning A method for making phenylalkylsiloxanes
US20090168013A1 (en) * 2007-12-27 2009-07-02 Kunzler Jay F Trimethylsilyl-Capped Polysiloxane Macromonomers Containing Polar Fluorinated Side-Chains
US8034108B2 (en) 2008-03-28 2011-10-11 Abbott Medical Optics Inc. Intraocular lens having a haptic that includes a cap
US8646916B2 (en) 2009-03-04 2014-02-11 Perfect Ip, Llc System for characterizing a cornea and obtaining an opthalmic lens
US8292952B2 (en) 2009-03-04 2012-10-23 Aaren Scientific Inc. System for forming and modifying lenses and lenses formed thereby
KR101603816B1 (ko) * 2009-03-04 2016-03-16 퍼펙트 아이피, 엘엘씨 렌즈 형성 및 변경을 위한 시스템 그리고 그에 따라 형성된 렌즈
CN101565506B (zh) * 2009-05-25 2012-08-29 威海华康生物芯片有限公司 医用高活性硅油的制备方法
AU2010266020B2 (en) 2009-06-26 2015-03-26 Johnson & Johnson Surgical Vision, Inc.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es
US8343217B2 (en) 2009-08-03 2013-01-01 Abbott Medical Optics Inc. Intraocular lens and methods for providing accommodative vision
US8877103B2 (en) 2010-04-13 2014-11-04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Process for manufacture of a thermochromic contact lens material
US9690115B2 (en) 2010-04-13 2017-06-27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Contact lenses displaying reduced indoor glare
US8697770B2 (en) 2010-04-13 2014-04-15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Pupil-only photochromic contact lenses displaying desirable optics and comfort
US10278810B2 (en) 2010-04-29 2019-05-07 Ojo, Llc Injectable physiologically adaptive intraocular lenses (IOL's)
US10251781B2 (en) 2011-03-21 2019-04-09 Adventus Technologies, Inc. Restoration of accommodation by lens refilling
JP5966500B2 (ja) 2011-05-02 2016-08-10 株式会社リコー シリコーン化合物、該シリコーン化合物を用いた光硬化型液体インク及びその製造方法
US8865685B2 (en) 2011-06-30 2014-10-21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Esters for treatment of ocular inflammatory conditions
US20130083286A1 (en) 2011-09-30 2013-04-04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Method of creating a visible mark on lens using a leuco dye
US20130083287A1 (en) 2011-09-30 2013-04-04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Method of creating a visible mark on lens using a leuco dye
EP2785296B1 (en) 2011-12-02 2018-06-20 AcuFocus, Inc. Ocular mask having selective spectral transmission
US9554940B2 (en) 2012-03-26 2017-01-31 Glauko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multiple ocular implants
US9084674B2 (en) 2012-05-02 2015-07-21 Abbott Medical Optics Inc. Intraocular lens with shape changing capability to provide enhanced accomodation and visual acuity
US9204962B2 (en) 2013-03-13 2015-12-08 Acufocus, Inc. In situ adjustable optical mask
US9427922B2 (en) 2013-03-14 2016-08-30 Acufocus, Inc. Process for manufacturing an intraocular lens with an embedded mask
US10756241B2 (en) 2014-07-22 2020-08-25 Lumileds Llc Siloxane ligands to be used for dispersing quantum dots in silicone hosts to obtain color converters for LED lighting
JP6451165B2 (ja) 2014-09-12 2019-01-16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紫外線硬化型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組成物及びシリコーンゲル硬化物並びに圧力センサー
CA3024891A1 (en) 2016-05-31 2017-12-07 Qura, Inc. Implantable intraocular pressure sensors and methods of use
US11104802B2 (en) 2016-09-26 2021-08-31 University Of Washington PDMS resin for stereolithographic 3D-printing of PDMS
AU2018330604A1 (en) 2017-09-11 2020-04-02 Amo Groningen B.V. Methods and apparatuses to increase intraocular lenses positional stability
WO2019164940A1 (en) * 2018-02-20 2019-08-29 Qura, Inc. Coating for implantable devices
TW202035638A (zh) 2019-01-17 2020-10-01 日商電化股份有限公司 密封劑、硬化體、有機電致發光顯示裝置、及裝置之製造方法
CN110003475B (zh) * 2019-03-20 2022-01-25 广东工业大学 一种可紫外光固化羧基硅油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11724471B2 (en) 2019-03-28 2023-08-15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photoabsorbing contact lenses and photoabsorbing contact lenses produced thereby
WO2021201013A1 (ja) 2020-04-01 2021-10-07 デンカ株式会社 封止剤、硬化体、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の製造方法
CN115109464B (zh) * 2022-07-06 2023-07-14 杭州福斯特应用材料股份有限公司 墨水组合物、封装结构和半导体器件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2613A (en) * 1974-04-23 1977-08-16 Dai Nippon Printing Co., Ltd. Benzophenone derivatives and their preparation and application
US4423195A (en) * 1976-04-15 1983-12-27 Danker Laboratories, Inc. Ocular membrane and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JPS6043869B2 (ja) * 1977-12-28 1985-09-30 東芝シリコ−ン株式会社 常温硬化性ポリオルガノシロキサン組成物
US4348454A (en) 1981-03-02 1982-09-07 General Electric Company Ultraviolet light curable acrylic functional silicone compositions
EP0094153A2 (en) * 1982-05-10 1983-11-16 Dow Corning Corporation Inherently wettable silicone resin optical devices
US4675346A (en) * 1983-06-20 1987-06-23 Loctite Corporation UV curable silicone rubber compositions
US4778862A (en) 1987-01-28 1988-10-18 The Glidden Company Fluorine and acrylic modified silicone resins
US4810764A (en) * 1988-02-09 1989-03-07 Bausch & Lomb Incorporated Polymeric materials with high oxygen permeability and low protein substantivity
JP2618426B2 (ja) * 1988-03-04 1997-06-11 株式会社メニコン 眼内レンズ形成体
DE3927667A1 (de) 1989-08-22 1991-02-28 Espe Stiftung Verwendung von photopolymerisierbaren massen als introkularlinsen-fuellmaterial bei der bekaempfung von katarakt und anderen augenkrankheiten
JPH03257421A (ja) * 1990-03-08 1991-11-15 Asahi Chem Ind Co Ltd ソフトコンタクトレンズ材料
JPH03257420A (ja) 1990-03-08 1991-11-15 Asahi Chem Ind Co Ltd 酸素透過性コンタクトレンズ材料
JP2954688B2 (ja) 1990-10-23 1999-09-27 ノバルティ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酸素透過性高分子材料の製造方法
WO1993002639A1 (en) * 1991-08-06 1993-02-18 Autogenesis Technologies, Inc. Injectable collagen-based compositions for making intraocular lens
JPH05164995A (ja) 1991-12-17 1993-06-29 Asahi Chem Ind Co Ltd 耐汚れ付着性ソフトコンタクトレンズ材料
US5278258A (en) 1992-05-18 1994-01-11 Allergan, Inc. Cross-linked silicone polymers, fast curing silicone precursor compositions, and injectable intraocular lenses
JP3335216B2 (ja) * 1992-06-29 2002-10-15 株式会社メニコン 眼用レンズ材料
JPH06175083A (ja) * 1992-12-10 1994-06-24 Menicon Co Ltd 眼用レンズ材料
US5391590A (en) * 1993-01-12 1995-02-21 Allergan, Inc. Injectable intraocular lens compositions and precursors thereof
US5321108A (en) 1993-02-12 1994-06-14 Bausch & Lomb Incorporated Fluorosilicone hydrogels
GB2278846B (en) * 1993-06-10 1997-04-16 Gen Electric Fluorosilicone terpolymeric fluid
JPH08245734A (ja) * 1995-03-10 1996-09-24 Asahi Chem Ind Co Ltd 3次元架橋性ポリマー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眼科医療用ソフト材料
JP3441024B2 (ja) * 1995-03-10 2003-08-25 旭化成アイミー株式会社 親水性含フッ素シロキサンモノマー及びその樹脂からなる眼科用レンズ材料
JP3406112B2 (ja) * 1995-03-10 2003-05-12 旭化成アイミー株式会社 眼科用レンズ材料の製造方法
DE69615393T2 (de) * 1995-12-07 2002-07-04 Bausch & Lomb Monomere zur reduzierung des modulus von siloxynhydrogele
US5928282A (en) * 1997-06-13 1999-07-27 Bausch & Lomb Surgical, Inc. Intraocular lens
SE9800853D0 (sv) * 1998-03-16 1998-03-16 Pharmacia & Upjohn Bv Intraocular lens
CZ20002905A3 (cs) * 1999-02-12 2001-06-13 Pharmacia And Upjohn Ab Lékařský implantát a nitrooční implantá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20011836L (no) 2001-06-13
TR200101044T2 (tr) 2001-08-21
US6399734B1 (en) 2002-06-04
EP1137955A1 (en) 2001-10-04
CN1199057C (zh) 2005-04-27
SK4102001A3 (en) 2001-11-06
CA2349566C (en) 2011-01-25
HUP0103942A3 (en) 2003-05-28
WO2000022460A1 (en) 2000-04-20
JP2002527171A (ja) 2002-08-27
US20030088044A1 (en) 2003-05-08
KR20010089296A (ko) 2001-09-29
NO20011836D0 (no) 2001-04-10
BR9914429A (pt) 2001-06-26
CZ20011289A3 (cs) 2001-11-14
AU759775B2 (en) 2003-05-01
PL347251A1 (en) 2002-03-25
EP1137955B1 (en) 2013-01-02
CZ303236B6 (cs) 2012-06-13
ID29222A (id) 2001-08-16
HUP0103942A2 (hu) 2002-02-28
IL142224A (en) 2007-03-08
US6737496B2 (en) 2004-05-18
SE9803481D0 (sv) 1998-10-13
EA200100433A1 (ru) 2001-10-22
NZ510810A (en) 2003-02-28
EA004653B1 (ru) 2004-06-24
HK1040292A1 (zh) 2002-05-31
CA2349566A1 (en) 2000-04-20
AU6472499A (en) 2000-05-01
BR9914429B1 (pt) 2011-07-26
CN1323399A (zh) 2001-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6483B1 (ko) 광경화성 실록산 중합체
EP1827522B1 (en) Compositions for injectable ophthalmic lenses
US6613343B2 (en) Injectable intraocular accommodating lens
CN1173194C (zh) 可注射的眼内镜片
EP1272233B1 (en) Injectable intraocular lens
AU2001263848A1 (en) Injectable intraocular lens
MXPA01003612A (en) Photocurable siloxane polymers
AU766854B2 (en) Injectable intraocular le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