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3038B1 - 박막트랜지스터형 광센서 어레이 기판 - Google Patents

박막트랜지스터형 광센서 어레이 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3038B1
KR100643038B1 KR1020000051295A KR20000051295A KR100643038B1 KR 100643038 B1 KR100643038 B1 KR 100643038B1 KR 1020000051295 A KR1020000051295 A KR 1020000051295A KR 20000051295 A KR20000051295 A KR 20000051295A KR 100643038 B1 KR100643038 B1 KR 100643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film
film transistor
semiconductor layer
optical sensor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1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7781A (ko
Inventor
주인수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51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3038B1/ko
Priority to US09/939,634 priority patent/US6570197B2/en
Publication of KR20020017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7781A/ko
Priority to US10/319,637 priority patent/US681205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3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3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742Thin film unipolar transistors
    • H01L29/6675Amorphous silicon or polysilicon transistors
    • H01L29/66765Lateral single gate single channel transistors with inverted structure, i.e. the channel layer is formed after the g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5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integrated with passive devices, e.g. auxiliary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09Pixel-elements with integrated switching, control, storage or amplification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81Bipolar transistor ima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olid State Image Pick-Up Elements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막트랜지스터형 광센서 어레이 기판에서 센서 박막트랜지스터의 효율을 높이고 스위치 박막트랜지스터의 누설 전류에 의한 오프 전류를 감소시켜 노이즈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박막트랜지스터형 광센서 어레이 기판에서 센서 박막트랜지스터는 에치 스타퍼 방식형으로 채널을 형성하고 스위치 박막트랜지스터는 백 채널 에치형으로 채널을 형성한다. 따라서, 센서 박막트랜지스터에서는 반도체층 상부의 에치 스타퍼가 하부의 반도체층이 식각되는 것을 방지하고, 스위치 박막트랜지스터에서는 반도체층의 채널 부분이 일부 제거되므로 두 반도체층의 두께를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광센서, 박막트랜지스터, 에치 스타퍼, 백 채널 에치

Description

박막트랜지스터형 광센서 어레이 기판{optical sensor array panel}
도 1은 일반적인 박막트랜지스터형 광센서의 배치도.
도 2는 종래의 박막트랜지스터형 광센서 어레이 기판의 평면도.
도 3은 도 2에서 Ⅲ-Ⅲ´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박막트랜지스터형 광센서 어레이 기판의 평면도.
도 5는 도 4에서 Ⅴ-Ⅴ´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에 따른 박막트랜지스터형 광센서 어레이 기판의 제조 공정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2 : 센서 게이트 126 : 스위치 게이트
124 : 제1 스토리지 전극 164 : 제2 스토리지 전극
141 : 센서 반도체층 142 : 스위치 반도체층
162 : 센서 소스 전극 163 : 센서 드레인 전극
166 : 스위치 소스 전극 167 : 스위치 드레인 전극
145 : 에치 스타퍼 180 : 차광막 패턴
본 발명은 박막트랜지스터형 광센서 어레이 기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팩시밀리(facsimile) 또는 디지털 복사기(digital copying machine) 등의 영상처리 장치에서 영상 판독기(image reader)로 사용되는 광센서는 내부 광원으로부터 빛을 받은 피사체에서 반사된 빛의 세기에 따라 전하를 저장하고, 저장된 전하를 구동회로를 통해서 외부로 출력하는 장치이다. 정보화 시대로 발전함에 따라 광센서는 개인을 식별하는 인식장치인 지문 감지기에도 적용되고 있다.
박막트랜지스터형 광센서는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과 감지하려는 피사체로 빛을 투과시키는 윈도우, 윈도우를 통해 광원으로부터 빛을 받은 피사체에서 반사된 빛의 세기에 따라 광 전류를 발생시키는 센서 박막트랜지스터, 그리고 전달받은 전하량을 정보로서 저장하는 스토리지 커패시터 및 외부 제어신호에 따라 스토리지 커패시터에 저장된 전하량 형태의 정보를 스위칭하는 스위치 박막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박막트랜지스터형 광센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박막트랜지스터형 광센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박막트랜지스터형 광센서는 외부로부터의 정보를 감지하고 이를 저 장 및 전달하는 어레이 기판(1)과 빛을 발생시켜 어레이 기판(1)으로 전달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2)로 이루어지는데, 어레이 기판(1)이 백라이트 어셈블리(2)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도 2는 종래의 박막트랜지스터형 광센서 어레이 기판의 배치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Ⅲ-Ⅲ´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박막트랜지스터형 광센서 어레이 기판에서는 투명 기판(10) 상의 영역을 감광영역(A), 저장영역(B) 및 스위칭 영역(C)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각 영역에는 금속과 같은 도전 물질로 이루어진 센서 게이트 전극(22), 제1 스토리지 전극(24), 스위치 게이트 전극(26)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것처럼, 센서 게이트 전극(22)과 스위치 게이트 전극(26)은 각각 센서 게이트 배선(21) 및 스위치 게이트 배선(25)의 일부일 수 있으며, 또는 분지일 수도 있다. 제1 스토리지 전극(24)은 센서 게이트 배선(21)과 연결되어 있다.
이어, 센서 게이트 전극(22)과 제1 스토리지 전극(24), 그리고 스위치 게이트 전극(26) 상부에는 제1 절연막(30)이 형성되어 이들을 덮고 있다.
제1 절연막(30) 위에는 각각 센서 반도체층(41)과 스위치 반도체층(42)이 형성되어 있고, 그 위에 센서 오믹 콘택층(51, 52)과 스위치 오믹 콘택층(53, 5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 위에 도전 물질로 이루어진 센서 소스 전극(62)과 센서 드레인 전극(63), 제2 스토리지 전극(64), 그리고 스위치 소스 전극(66) 및 스위치 드레인 전극(67)이 형성되어 있다. 센서 소스 전극(62)은 센서 데이터 배선(61)과 연결되어 있으며 센서 게이트 전극(62)을 중심으로 센서 드레인 전극(63)과 마주 대하고 있고, 스위치 소스 전극(66)은 스위치 데이터 배선(65)과 연결되어 있으며 스위치 게이트 전극(26)을 중심으로 스위치 드레인 전극(67)과 마주 대하고 있다. 또한, 제2 스토리지 전극(64)은 제1 스토리지 전극(24)과 중첩되어 있으며 센서 드레인 전극(63) 및 스위치 드레인 전극(67)과 연결되어 있다.
다음, 제2 절연막(70)이 센서 소스 전극(62) 및 센서 드레인 전극(63), 제2 스토리지 전극(64), 그리고 스위치 소스 전극(66) 및 스위치 드레인 전극(67)을 덮고 있다.
이어, 스위치 반도체층(42) 상부의 제2 절연막(70) 위에는 불투명 물질로 이루어진 차광막 패턴(80)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박막트랜지스터형 광센서 어레이 기판에서는 센서 박막트랜지스터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센서 반도체층(41)의 두께를 3,000 Å 이상으로 형성한다. 그런데, 센서 박막트랜지스터와 스위치 박막트랜지스터는 같은 공정으로 형성되므로 스위치 박막트랜지스터의 반도체층(42)도 센서 반도체층(41)과 같은 두께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두께는 스위치 박막트랜지스터의 오프 전류(off-current)를 증가시키고, 이는 노이즈(noise)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박막트랜지스터형 광센서 어레이 기판의 센서 박막트랜지스터와 스위치 박막트랜지스터의 반도체층 두께를 다르게 형성하여, 센서 박막트랜 지스터의 효율을 높이면서도 스위치 트랜지스터에서 누설 전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박막트랜지스터형 광센서 어레이 기판에서는 투명 기판 위에 조사된 빛의 세기에 따라 전하량을 발생시키고 제1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박막트랜지스터인 감지 소자가 형성되어 있고, 감지 소자의 전하량 형태의 정보를 저장하는 스토리지부와 스토리지부의 정보를 외부 제어신호에 따라 출력하며 제1 반도체층보다 적은 두께를 가지는 제2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박막트랜지스터인 스위칭 소자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반도체층의 두께는 3,000 Å 이상이고, 제2 반도체층의 두께는 500 내지 1,500 Å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박막트랜지스터형 광센서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에서는 기판을 구비하고, 기판 상에 다수의 제1 게이트 전극과 제2 게이트 전극 및 제1 스토리지 전극을 형성한다. 이어, 제1 절연막과 비정질 실리콘층 및 제2 절연막을 연속하여 증착하고, 제2 절연막을 패터닝하여 제1 게이트 전극 상부에 에치 스타퍼를 형성한다. 다음, 불순물로 도핑된 비정질 실리콘층을 증착하고 비정질 실리콘층과 함께 패터닝하여 제1 반도체층과 제2 반도체층, 제1 및 제2 오믹 콘택층을 형성한다. 이어, 금속층을 증착하고 패터닝하여 제1 소스 및 드레인 전극과 제2 소스 및 드레인 전극, 그리고 제1 스토리지 전극과 중첩되어 있는 제2 스토리지 전극을 형 성한다. 다음, 제1 소스 및 드레인 전극과 제2 소스 및 드레인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오믹 콘택층을 제거하고 드러난 제2 반도체층의 상부를 제거한다.
여기서, 에치 스타퍼는 실리콘 질화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박막트랜지스터형 광센서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에서는 제3 절연막을 증착하는 단계와 제2 반도체층 상부의 상기 제3 절연막 위에 차광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박막트랜지스터형 광센서 어레이 기판의 센서 박막트랜지스터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반도체층의 두께를 유지하면서 스위치 박막트랜지스터의 반도체층 두께를 얇게 하여 오프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노이즈를 방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박막트랜지스터형 광센서에서 박막트랜지스터의 구조로 역 스태거드(inverted staggered)형 구조가 많이 이용되는데, 이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성능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역 스태거드형 박막트랜지스터는 채널 형성 방법에 따라 백 채널 에치형(back channel etch)과 에치 스타퍼형(etch stopper)으로 나뉘는데, 백 채널 에치형의 경우 채널 부분의 반도체층이 일부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서는 센서 박막트랜지스터와 스위치 박막트랜지스터를 각각 에치 스타퍼형과 백 채널 에치형으로 형성함으로써 반도체층의 두께를 서로 다르게 한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막트랜지스터형 광센서 어레이 기판 및 제조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막트랜지스터형 광센서 어레이 기판에서는 투명 기판(110) 위의 영역이 감광영역(A´), 저장영역(B´) 및 스위칭 영역(C´)으로 정의되어 있고, 각 영역에는 금속과 같은 도전 물질로 이루어진 센서 게이트 전극(122), 제1 스토리지 전극(124), 스위치 게이트 전극(126)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 게이트 전극(122)과 스위치 게이트 전극(126)은 각각 센서 게이트 배선(121) 및 스위치 게이트 배선(125)의 일부일 수 있으며, 또는 분지일 수도 있다. 제1 스토리지 전극(124)은 센서 게이트 배선(121)과 연결되어 있다.
이어, 센서 게이트 전극(122)과 제1 스토리지 전극(124), 그리고 스위치 게이트 전극(126) 상부에는 실리콘 산화막(SiO2) 또는 실리콘 질화막(SiNx)으로 이루어진 제1 절연막(130)이 형성되어 이들을 덮고 있고, 센서 게이트 전극(122)과 스위치 게이트 전극(126) 상부의 제1 절연막(130) 위에는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센서 반도체층(141)과 스위치 반도체층(14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센서 반도체층(141) 위에는 실리콘 질화막과 같은 물질로 이루어진 에치 스타퍼(145)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에치 스타퍼(145)는 실리콘 질화막 이외의 다른 투명한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반도체층(141, 142) 위에는 불순물로 도핑된 비정질 실리콘으로 오믹 콘택층(151, 152, 153, 154)이 형성되어 있다.
그 위에 금속과 같은 도전 물질로 센서 소스 전극(162) 및 센서 드레인 전극(163), 제2 스토리지 전극(164), 그리고 스위치 소스 전극(166) 및 스위치 드레인 전극(167)이 형성되어 있다. 센서 소스 전극(162)은 센서 데이터 배선(161)과 연결되어 있으며 센서 게이트 전극(162)을 중심으로 센서 드레인 전극(163)과 마주 대하고 있고, 스위치 소스 전극(166)은 스위치 데이터 배선(165)과 연결되어 있으며 스위치 게이트 전극(126)을 중심으로 스위치 드레인 전극(167)과 마주 대하고 있다. 또한, 제2 스토리지 전극(164)은 제1 스토리지 전극(124)과 중첩되어 있으며 센서 드레인 전극(163) 및 스위치 드레인 전극(167)과 연결되어 있다.
다음, 제2 절연막(170)이 센서 소스 전극(162)과 센서 드레인 전극(163), 제2 스토리지 전극(164), 그리고 스위치 소스 전극(166) 및 스위치 드레인 전극(167)을 덮고 있다.
이어, 스위치 반도체층(142) 상부의 제2 절연막(170) 위에는 불투명 물질로 이루어진 차광막 패턴(180)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센서 박막트랜지스터의 반도체층(141)의 두께는 스위 박막트랜지스터의 반도체층(142)의 두께보다 더 두껍다.
이하, 도 6a 내지 도 6e 및 앞서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막트랜지스터형 광센서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 기판(110) 위에 금속과 같은 물질로 센서 게이트 전극(122), 제1 스토리지 전극(124) 및 스위치 게이트 전극(126)을 형성한다.
다음,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절연막(130)과 비정질 실리콘층(140), 실리콘 질화막을 차례로 증착하고 패터닝하여 스위치 영역에 에치 스타퍼(145)를 형성한다.
이어,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불순물로 도핑된 비정질 실리콘층을 증착하고 패터닝하여 센서 게이트 전극(122)과 스위치 게이트 전극(126) 상부에 불순물 반도체층(155, 156)과 센서 반도체층(141), 스위치 반도체층(142)을 각각 형성한다.
다음, 도 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층을 스퍼터링과 같은 방법으로 증착한 후, 패터닝하여 센서 소스 전극(162)과 센서 드레인 전극(163), 제2 스토리지 전극(164), 그리고 스위치 소스 전극(166)과 드레인 전극(167)을 형성하고, 드러난 불순물 반도체층(155, 156)을 식각하여 오믹 콘택층(151, 152, 153, 154)을 형성한다.
여기서, 비정질 실리콘과 불순물 비정질 실리콘은 식각선택비 차이가 거의 없기 때문에 스위치 박막트랜지스터에서 불순물 반도체층(156) 하부에 있는 반도체층(142)도 일부 제거되며, 센서 박막트랜지스터에서는 반도체층(141) 상부에 에치 스타퍼(145)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반도체층(142)이 제거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스위치 반도체층(142)의 두께가 센서 반도체층(141)의 두께보다 얇아진다. 이때, 센서 박막트랜지스터의 효율을 좋게 하기 위해 센서 반도체층(141)의 두께는 3,000 Å 이상이 되도록 형성하고, 스위치 박막트랜지스터의 오프 전류를 감소시키기 위해 식각되고 남은 스위치 반도체층(142)의 두께는 500 내지 1,500 Å 정도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 도 6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절연막(170)을 증착하여 센서 소스 및 드레인 전극(162, 163)과 스위칭 소스 및 드레인 전극(165, 166)을 덮어 보호한다.
다음,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치 박막트랜지스터의 채널 상부에 불투명 물질로 차광막 패턴(180)을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스위치 박막트랜지스터의 채널로 빛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센서 박막트랜지스터와 스위치 박막트랜지스터의 반도체층 두께를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박막트랜지스터형 광센서 어레이 기판에서는 센서 박막트랜지스터와 스위치 박막트랜지스터의 반도체층 두께를 다르게 형성하여 센서 박막트랜지스터의 효율을 높이면서도 스위치 박막트랜지스터에서 오프 전류를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센서 박막트랜지스터의 반도체층 두께를 얇게 하여 오프 전류를 감소시키고 노이즈를 방지한다.

Claims (6)

  1. 투명 기판,
    상기 기판 위에 조사된 빛의 세기에 따라 전하량을 발생시키고 제1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박막트랜지스터인 감지 소자,
    상기 감지 소자의 전하량 형태의 정보를 저장하는 스토리지부,
    상기 스토리지부의 정보를 외부 제어신호에 따라 출력하며 상기 제1 반도체층보다 적은 두께를 가지는 제2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박막트랜지스터인 스위칭 소자
    를 포함하는 박막트랜지스터형 광센서 어레이 기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반도체층의 두께는 3,000 Å 이상인 박막트랜지스터형 광센서 어레이 기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반도체층의 두께는 500 내지 1,500 Å인 박막트랜지스터형 광센서 어레이 기판.
  4. 기판을 구비하는 단계,
    상기 기판 상에 제1 게이트 전극과 제2 게이트 전극 및 제1 스토리지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게이트 전극과 상기 제1 스토리지 전극 상부에 제1 절연막과 비정질 실리콘층 및 제2 절연막을 연속하여 증착하는 단계,
    상기 제2 절연막을 패터닝하여 상기 제1 게이트 전극 상부에 에치 스타퍼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비정질 실리콘 및 상기 에치 스타퍼 상부에 불순물로 도핑된 비정질 실리콘층을 증착하고 상기 비정질 실리콘층과 함께 패터닝하여 제1 반도체층과 제2 반도체층, 제1 및 제2 오믹 콘택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오믹 콘택층 상부에 금속층을 증착하고 패터닝하여 제1 소스 및 드레인 전극과 제2 소스 및 드레인 전극, 그리고 상기 제1 스토리지 전극과 중첩되어 있는 제2 스토리지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소스 및 드레인 전극과 상기 제2 소스 및 드레인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제1 및 제2 오믹 콘택층을 제거하고 드러난 상기 제2 반도체층의 상부를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박막트랜지스터형 광센서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에치 스타퍼는 실리콘 질화막으로 이루어진 박막트랜지스터형 광센서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제3 절연막을 증착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반도체층 상부의 상기 제3 절연막 위에 차광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박막트랜지스터형 광센서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
KR1020000051295A 2000-08-31 2000-08-31 박막트랜지스터형 광센서 어레이 기판 KR100643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1295A KR100643038B1 (ko) 2000-08-31 2000-08-31 박막트랜지스터형 광센서 어레이 기판
US09/939,634 US6570197B2 (en) 2000-08-31 2001-08-28 Optical device having sensing TGTs and switching TFTs with different active layer thickness
US10/319,637 US6812054B2 (en) 2000-08-31 2002-12-16 TFT type optical detecting sensor implementing different TFTs and the fabrica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1295A KR100643038B1 (ko) 2000-08-31 2000-08-31 박막트랜지스터형 광센서 어레이 기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7781A KR20020017781A (ko) 2002-03-07
KR100643038B1 true KR100643038B1 (ko) 2006-11-10

Family

ID=19686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1295A KR100643038B1 (ko) 2000-08-31 2000-08-31 박막트랜지스터형 광센서 어레이 기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6570197B2 (ko)
KR (1) KR1006430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48163B2 (en) 2011-07-04 2015-06-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istor,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ransistor,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KR101899482B1 (ko) * 2011-11-25 2018-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센싱 회로, 상기 광센싱 회로의 제조 방법 및 상기 광센싱 회로를 포함하는 광터치 패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3038B1 (ko) * 2000-08-31 2006-11-10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박막트랜지스터형 광센서 어레이 기판
KR100964586B1 (ko) * 2003-04-25 2010-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지문 인식장치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100524141B1 (ko) * 2003-05-09 2005-10-26 (주)실리콘이미지웍스 고개구율 박막 트랜지스터형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15581A (ko) * 2003-08-06 2005-02-21 실리콘 디스플레이 (주) 오프셋을 가지는 박막트랜지스터형 광센서로 이루어진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방법.
TWI267195B (en) * 2005-06-20 2006-11-21 Au Optronics Corp Switching device for a pixel electrode and methods for fabricating the same
CN100446274C (zh) * 2005-07-07 2008-12-24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像素电极的开关元件及其制造方法
KR20070017695A (ko) * 2005-08-08 2007-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256663B1 (ko) * 2005-12-28 2013-04-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와 그의 제조 및 구동방법
KR101350609B1 (ko) * 2005-12-30 2014-01-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US8570468B2 (en) * 2006-06-30 2013-10-29 L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5567770B2 (ja) * 2007-09-21 2014-08-0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20100023151A (ko) * 2008-08-21 2010-03-0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US20120241769A1 (en) * 2009-11-27 2012-09-27 Sharp Kabushiki Kaisha Photodiod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ame, substrate for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9891102B2 (en) 2010-04-22 2018-0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implified light sensing circuit, light sensing apparatus including the light sensing circuit, method of driving the light sensing apparatus, and image acquisition apparatus and optical touch screen apparatus including the light sensing apparatus
KR101652786B1 (ko) 2010-04-22 2016-09-12 삼성전자주식회사 단순화된 광센싱 회로 및 상기 광센싱 회로를 채용한 리모트 광터치 패널 및 영상 획득 장치
KR101611418B1 (ko) * 2010-05-06 2016-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터치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CN102054874B (zh) * 2010-11-01 2012-01-04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薄膜晶体管及其制造方法
KR101906974B1 (ko) * 2011-04-25 2018-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센싱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TWI492389B (zh) * 2012-07-13 2015-07-11 Au Optronics Corp 畫素結構及畫素結構的製作方法
KR102046996B1 (ko) 2012-10-16 2019-11-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KR102068275B1 (ko) 2012-12-20 2020-01-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 제조 방법
CN103928470B (zh) * 2013-06-24 2017-06-13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氧化物半导体tft阵列基板及其制造方法
KR102130139B1 (ko) 2013-07-30 2020-07-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산화물 반도체를 이용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4752345B (zh) * 2015-04-27 2018-01-30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薄膜晶体管阵列基板及其制作方法
CN105702682B (zh) * 2016-01-25 2019-01-22 昆山龙腾光电有限公司 薄膜晶体管阵列基板及制作方法与液晶显示面板
GB2558398B (en) * 2016-02-05 2019-11-27 Lg Display Co Ltd Photo senso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20180052166A (ko) * 2016-11-09 2018-05-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포토 센서 및 그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CN108091572A (zh) * 2017-12-14 2018-05-29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薄膜晶体管的制作方法及薄膜晶体管
CN109273493B (zh) * 2018-08-31 2021-08-3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Oled显示基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CN111430407B (zh) * 2019-01-09 2022-09-13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面板制备方法及显示设备
CN112415825B (zh) * 2020-11-11 2023-05-09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激光感应阵列基板制备方法及显示装置
CN113433730A (zh) * 2021-06-24 2021-09-24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液晶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4188390A (zh) * 2021-12-09 2022-03-15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8216A (ko) * 1998-12-04 2000-07-05 구본준 박막트랜지스터 광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50791A (ko) * 1999-01-14 2000-08-05 구본준 박막 트랜지스터형 광 감지소자
JP2001320040A (ja) * 2000-05-11 2001-11-16 Canon Inc 光電変換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416363T2 (de) * 1993-03-23 1999-09-23 Tdk Corp Abbildendes festkörperbauteil und herstellungsverfahren dafür
KR100643038B1 (ko) * 2000-08-31 2006-11-10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박막트랜지스터형 광센서 어레이 기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8216A (ko) * 1998-12-04 2000-07-05 구본준 박막트랜지스터 광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50791A (ko) * 1999-01-14 2000-08-05 구본준 박막 트랜지스터형 광 감지소자
JP2001320040A (ja) * 2000-05-11 2001-11-16 Canon Inc 光電変換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48163B2 (en) 2011-07-04 2015-06-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istor,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ransistor,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KR101899482B1 (ko) * 2011-11-25 2018-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센싱 회로, 상기 광센싱 회로의 제조 방법 및 상기 광센싱 회로를 포함하는 광터치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122165A1 (en) 2003-07-03
US20020024097A1 (en) 2002-02-28
US6570197B2 (en) 2003-05-27
KR20020017781A (ko) 2002-03-07
US6812054B2 (en) 2004-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3038B1 (ko) 박막트랜지스터형 광센서 어레이 기판
US5525813A (en) Image sensor having TFT gate electrode surrounding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US20210013238A1 (en) Active matrix substr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6242769B1 (en) Thin film transistor type photo sensor
US6445003B1 (en) Thin film transistor (TFT) type optical detecting sensor
CN108336092A (zh) 晶体管阵列面板
EP1505654A2 (en) Image sensor comprising thin film transistor optical sensor having offset reg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525044B1 (ko) 박막 트랜지스터형 광 감지소자 제조방법
KR101211110B1 (ko) 이미지 센서 내장형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및 그제조 방법
KR100783702B1 (ko)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0608571B1 (ko) 박막 트랜지스터형 광 감지소자
KR100560347B1 (ko) 지문인식장치의 tft 지문입력기 제조방법
KR100867517B1 (ko) 박막 트랜지스터형 광감지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100383920B1 (ko) 박막트랜지스터형 광센서
KR20080047923A (ko) 광 감지 센서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532025B1 (ko) 박막트랜지스터 광센서 및 그 제조방법_
KR100443901B1 (ko) 박막 트랜지스터형 광 감지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583589B1 (ko) 박막트랜지스터형 광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100552286B1 (ko)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503269B1 (ko) 센싱 및 스위칭 겸용 단일 박막트랜지스터를 이용한광감지소자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552294B1 (ko)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060069186A (ko) 개구율이 향상된 박막 트랜지스터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910005603B1 (ko) 광전 변환 장치
JPH07118526B2 (ja) 固体撮像装置
JPH11261097A (ja) フォトセンサ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