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2997B1 - 두 개의 평활관 사이의 밀봉 연결을 위한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두 개의 평활관 사이의 밀봉 연결을 위한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2997B1
KR100642997B1 KR1020017015418A KR20017015418A KR100642997B1 KR 100642997 B1 KR100642997 B1 KR 100642997B1 KR 1020017015418 A KR1020017015418 A KR 1020017015418A KR 20017015418 A KR20017015418 A KR 20017015418A KR 100642997 B1 KR100642997 B1 KR 100642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ue
cutout
sleeve
ring
s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5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9054A (ko
Inventor
데따블빠스칼
앙드레미쉘
Original Assignee
에따블리스망 까이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따블리스망 까이요 filed Critical 에따블리스망 까이요
Publication of KR20020019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9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2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2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02Sleeves or nipples for pipes of the same diameter; Reduction pieces
    • F16L21/005Sleeves or nipples for pipes of the same diameter; Reduction pieces made of elastic material, e.g. partly or completely surrounded by clamp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16L21/065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tightened by tangentially-arranged threaded pi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14Bale and package ties, hose clamps
    • Y10T24/1412Bale and package ties, hose clamps with tighteners
    • Y10T24/1441Tangential scre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asket Seals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부 대 단부(end-to-end)로 배치된 두 개의 평활관들을 누출방지식으로 함께 결합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상기 디바이스는 조임 수단의 작용하에 그 직경이 감소되는 수단을 구비한 슬리브와, 두 개의 관들의 단부들을 둘러싸도록 상기 슬리브 내측에 배치되기에 적합한 밀봉링(24)을 포함하고, 상기 링은 슬리브가 관들(20, 22)의 대면 단부들 둘레에서 조여질 때, 서로 접촉하게 되는 두 개의 종방향 단부들(26a, 26b)을 가진 루프형의 평탄한 스트립(26)으로 구성된다. 상기 링의 제 1 종방향 단부는 절결부(28)를 구비하고, 상기 링의 제 2 종방향 단부는 상기 절결부내로 삽입되기에 적합한 설상부(30) 형태이다. 상기 설상부의 폭과, 상기 절결부의 폭 양자 모두는 상기 스트립을 따라 제 1 종방향 단부로부터 제 2 종방향 단부로 진행하는 방향으로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다. 설상부가, 설상부가 절결부내로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있는 부분 삽입 위치에 있을 때, 설상부의 두 측면들(30a, 30b)은 절결부의 두 측면들(28a, 28b)과 접촉하게 되기에 적합하고, 설상부의 자유 단부(30a)는 절결부의 단부벽(28c)으로부터 이격 배치된 상태로 남아 있게 되며, 상기 부분 삽입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설상부는 조임의 영향하에 상기 절결부내로 추가로 침입하기에 적합하다.

Description

두 개의 평활관 사이의 밀봉 연결을 위한 디바이스{DEVICE FOR SEALED CONNECTION BETWEEN TWO SMOOTH TUBES}
본 발명은 단부 대 단부(end-to-end)로 배치되어 있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의 두 개의 평활관(smooth tube)들을 누출 방지식(leaktight manner)으로 함께 결합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프랑스 특허 제 2 662 486호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형태의 디바이스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 디바이스는 두 개의 관들의 대면 단부(facing end)들 둘레에 배치되기에 적합한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는 조임 수단(tightening)의 작용하에 그 직경이 감소되는 수단을 구비한다. 이 디바이스는 두 개의 관들의 대면 단부들을 둘러싸도록 슬리브 내측에 배치되기에 적합한 밀봉링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링은, 링이 슬리브 내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슬리브가 관들의 대면 단부들 둘레에서 조여지게될 때, 서로 접촉하게되는 제 1 및 제 2 종방향 단부들을 가진 루프형의 평탄한 스트립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로서, 슬리브는 조립 립(assembly lip)을 구비한 두 개의 자유 단부들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조립 립들은 그들 사이에 축방향 슬롯을 형성하고 있다. 조립 립들은 슬리브를 조이기 위한 수단과 상호협력적으로 작용하기에 적합하며, 상기 슬리브를 조이기 위한 수단은 슬리브의 직경을 감소시키도록, 립들을 서로를 향해 이동시키기에 적합하다.
상술한 형태의 디바이스들은 특히, 두 개의 배기관들을 상호연결하도록 기능한다. 피팅의 누출 방지성에 관한 요구조건은 점증적으로 강화되고 있다. 슬리브가 관들상에 보다 많이 조여지게되면 될수록, 누출 방지성은 개선되게 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실제로, 누출 방지성을 획득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들 중 하나가 링의 내주가 반드시 관들의 외주와 누출방지식으로 접촉하여야만 한다는 것이라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슬리브가 보다 많이 조여지게되면 될수록, 밀봉 링의 직경이 보다 많이 감소된다. 따라서, 링의 종방향 단부들 사이의 접합부의 영역에서 누출 방지성을 얻기 위해서는, 상기 단부들이 소정의 조임 수준으로 누출방지 접촉될 필요가 있으며, 부가적으로, 상기 접촉이 성립된 이후의 추가적인 조임이 예로서, 두 개의 종방향 단부들이 중첩되게 함으로써 누출 방지성을 열화시키게 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아야 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프랑스 특허 제 2 662 486호에서는 그 종방향 단부들이 경사져있는 링을 제안하고 있으며, 상기 링은 종방향 단부들이 서로에 대항해 적용될 수 있고, 링의 직경이 감소될 때 서로에 대해 횡단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이런 해결 방법은 이런 조임이 과도한 경우에도 조임시 중첩현상을 회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대체로 만족스럽다. 하지만, 이는 두 개의 자유 단부들이 서로에 대해 가압하는 정도를 완전히 제어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그래서, 함께 가압하는 작용이 접촉부가 누출방지 상태가 되기에 불충분할 수가 있다. 부가적으로, 링의 단부들이 서로에 대해 횡단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링을 슬리브 내측에 설치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프랑스 특허 출원 제 2 748 542호는 밀봉링에 변형 용량을 제공하고, 그래서, 상기 링의 자유 단부들이 서로에 대해 접하는 상태로 밀어붙여질 때 그 길이가 감소되도록 구성된 다른 해결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특허 출원에서는 링의 에지들 중 하나의 근방에 천공부들을 제공하는 것을 추천한다.
이 디바이스는 만족스러우며, 특히, 밀봉링이 알루미늄 같은 연성 재료로 제조되어 있을 때 양호한 결과들을 제공한다. 특히, 알루미늄 피복 강철 같은 다른 재료들에 대하여, 링의 자유 에지들의 변형 특성은 제어가 보다 어려워지고, 이는 제조 비용에 영향을 미친다.
특허 US 1 978 195호는 링의 일 단부가 U형 절결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폭이 균일한 설상부 형태인 나머지 단부가 상기 절결부내로 삽입되게 되는 디바이스를 개시하고 있다. 이들 설비들도 링의 단부들이 중첩되는 것을 방지하지만, 이들은 누출 방지식으로 함께 가압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수용하면서, 링의 두 개의 자유 단부들을 함께 가압하는 것을 완전히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따라서, 조임이 정상적인 조임 정도를 초과하더라도 상기 두 단부들 사이의 누출 방지식 접촉을 보증하는 개선된 디바이스를 제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링이 알루미늄이 아닌 다른 재료들, 예로서, 선택적으로 알루미늄이 피복될 수 있는 비교적 연성의 강철 로 제조되는 경우에도, 단순하면서 저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는 디바이스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조임 수단의 작용하에 그 직경이 감소되는 수단을 구비하면서, 상기 두 개의 관들의 대면 단부들 둘레에 배치되기에 적합한 슬리브를 포함하고, 두 개의 관들의 대면 단부들을 둘러싸도록 상기 슬리브 내측에 배치되기에 적합한 밀봉링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링은, 상기 링이 상기 슬리브 내측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슬리브가 상기 관들의 대면 단부들 둘레에서 조여질 때, 서로 접촉하게되는 제 1 및 제 2 종방향 단부들을 가진 루프형의 평탄한 스트립으로 구성되며, 상기 밀봉 링의 제 1 종방향 단부는 절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링의 제 2 종방향 단부는 상기 절결부내로 삽입되기에 적합한 설상부 형태인,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은, 상기 설상부의 일 측면으로부터 그 다른 측면까지, 스트립에 횡단하는 방향으로 측정한, 상기 설상부의 폭과, 절결부의 일 측면으로부터 다른 측면까지, 스트립에 횡단하는 방향으로 측정한 상기 절결부의 폭 양자 모두가 상기 스트립을 따라 제 1 종방향 단부로부터 제 2 종방향 단부로 진행하는 방향으로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다는 사실과, 상기 설상부가, 상기 설상부가 절결부내에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있는 부분 삽입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설상부의 두 측면들은 절결부의 두 측면들과 접촉하게 되기에 적합하고, 상기 설상부의 자유 단부는 상기 절결부의 단부벽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남아 있게된다는 사실 및 상기 부분 삽입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설상부는 조임의 영향하에 상기 절결부내로 추가적으로 침입하기에 적합하다는 사실에 의해 달성된다.
이들 사항들에 의해, 부분 삽입 위치가 얻어지자 마자, 설상부의 측면들이 절결부의 측면들과 누출 방지 접촉하게 되며, 설상부가 추가로 절결부내로 침입하여 조임이 증가될 때에도 상기 접촉이 유지된다. 따라서, 누출은 절결부의 단부벽과 설상부의 자유 단부 사이에 제공된 개구에 한정된다. 상기 디바이스를 누출 방지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하여서는, 조립시, 누출을 방지하는 영역인, 슬리브의 연속적 영역 아래에 개구가 배치되도록 조치하기만 하면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디바이스는 링의 종방향 단부들을 상기 슬리브내에 제공된 조임 개구에 대해 각도 방향으로 오프셋시키도록 슬리브내에서 밀봉링의 위치를 한정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결부는 두 개의 탭들에 의해 측방향으로 한정되며, 상기 탭들은 설상부가 부분 삽입 위치로부터 절결부내로 전진할 때, 개별적으로 이동함으로써 변형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제로, 절결부는 두 탭들 중 남아있는 어느 한쪽상에 단지 절삭가공부를 형성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전체적으로 만족스러운 가장 단순한 실시예에서는, 조임이 증가함에따라 개별적으로 이동됨으로써 소성 변형될 수 있도록 각 탭에 폭을 부여하기만 하면 된다.
비제한적 실시예를 통해 예시된 실시예에 관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을 읽음으로써, 본 발명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그 장점들도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되어 있다.
도 1은 내측에 관들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본 발명의 디바이스의 측 면도.
도 2는 도 1의 화살표 II를 따라 도시한, 슬리브 외측의 평면도.
도 3은 스트립이 평탄하게 전개되어 있는, 링을 구성하는 스트립의 평면도.
도 4는 직선 Ⅳ-Ⅳ를 따른, 도 3의 스트립의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설상부가 절결부내로 삽입되기 이전과, 링이 조임 상태에 있을 때의, 루프형 스트립을 각각 도시하는 부분 평면도.
도 6은 도 1의 세부 Ⅵ을 도시하는, 본 발명의 디바이스의 중앙 평면을 횡단하는 부분 단면도.
도 7은 도 3의 직선 Ⅶ-Ⅶ을 따른, 단면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 및 도 2에는 두 개의 자유 단부들을 가진 슬리브(10)를 포함하는 디바이스가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두 개의 자유 단부들은 실질적으로 축방향으로 연장하며, 조립 립들(12a 및 12b)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립들은 그들 사이에 축방향 슬롯(14)을 형성하며, 이 축방향 슬롯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가 조여질 때 폐쇄되게 된다. 립들(12a 및 12b)은 슬리브를 조이기 위한 수단과 상호 작용하며, 상기 수단은 상기 립들을 합쳐지게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조임 수단은 볼트(16)와 너트(18)를 포함하는 볼트-너트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볼트(16)는 그 솅크(shank)가 상기 립들(12a 및 12b) 각각에 제공된 두 개의 오리피스들(13a 및 13b)을 통과하며, 상기 너트(18)는 솅크상에 나사결합된다.
특히, 조임시 진동의 영향을 감쇠시키도록 기능하는 중간판들(미도시)이 첫 번째로, 볼트 헤드(16)와 립(12b) 사이에, 그리고, 두 번째로, 너트(18)와 립(12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볼트 헤드는 다각형일 수 있으며, 상기 판의 구조와 상호협력 작용하여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의 두 개의 관들을 상호연결하도록 기능하는 상기 디바이스는 두 개의 관들의 대면한 단부들 둘레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단부들은 도 2에 일점 쇄선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각각 참조부호 20 및 22로 표시되어 있다.
상기 디바이스는 밀봉링(24)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밀봉링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관들(20 및 22)의 대면 단부들을 둘러싸도록 슬리브(10)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링(24)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루프형의 평탄한 스트립(26)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트립(26)의 두 개의 종방향 단부들(26a 및 26b)은, 링이 슬리브 내측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슬리브가 관들의 단부들 둘레에서 조여지게 될 때, 서로 접촉하게 되기에 적합하다.
링의 제 1 종방향 단부(26a)는 절결부(28)를 구비하고 있고, 제 2 종방향 단부(26b)는 설상부(30; tongue) 형태이며, 이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결부(28)내로 삽입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결부의 일 측면(28a)으로부터 그 다른 측면(28b)까지 스트립에 횡단하는 방향으로 측정한 절결부의 폭은 스트립을 따라 제 1 단부(26a)로부터 제 2 단부(26b)로의 화살표 F 방향으로 테이퍼가 형성된다. 또한, 이는 설상부(30)에도 적용되며, 상기 설상부는 일 측면(30a)으로부터 다른 측면(30b)까지 그 폭이 동일한 방향(F)으로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절결부가 절결부의 단부벽(28c)에서 폭 l로 테이퍼 형성되어 있는 것 을 볼 수 있으며, 설상부의 폭이 상기 설상부의 자유 단부(30c)에서 폭 L로 테이퍼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설상부(30)가 절결부(28)내로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있고, 설상부의 두 측면들(30a 및 30b)이 절결부의 두 측면들(28a 및 28b)과 접촉하며, 설상부의 자유 단부(30c)가 상기 절결부의 단부벽(28c)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남아있어서 상기 자유 단부와 상기 단부벽 사이에 개구(32)가 제공되어 있는 부분 삽입 위치(도 5A에 일점 쇄선으로 도시됨)가 존재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설상부의 자유 단부의 폭(L)은 절결부의 단부벽(28c)의 폭(l) 보다 다소 크며, 그래서, 상기 설상부의 자유 단부가 상기 측면들(28a 및 28b) 사이의 간격이 상기 폭 L과 동일한 절결부의 영역에 도달할 때, 상기 부분 삽입 위치가 얻어진다.
이 부분 삽입 위치에서, 링(24)의 외경이 관들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그리고, 선택적으로, 링(24)의 외경이 상기 관들의 외경 보다 매우 미소하게 크게 준비되는 것이 적합하다. 이 상황으로부터 시작하여, 추가로, 관들의 외주들과 링의 내면 사이에 누출 방지 접촉을 형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링을 조이는 것이 가능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조임이 설상부의 측면들과 절결부의 측면들 사이의 누출 방지 접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는 것을 보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그 이유는, 조임 동안 설상부(30)가 절결부내로 추가로 전진할 수 있기 때문, 즉, 개구(32)의 길이를 감소시킴으로써, 자유 단부(30c)가 단부벽(28c)을 향해 이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용량은 링을 제조하는 재료의 선택에 관련될 수 있거나, 또는, 양호하게는, 상기 링의 기하학적 형상에 관련될 수 있다.
따라서, 미소하게 소성 변형될 수 있는 강철, 특히, 선택적으로, 알루미늄으로 피복된 것일 수 있는 비교적 연성의 강철로 제조된 링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는 알루미늄 같은 재료로도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링(24)이 상기 슬리브의 조임 동안 슬리브에 의해 포획되어 유지되기 때문에, 추가적인 조임 동작은 설상부가 절결부내로 전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절결부의 에지들 및/또는 설상부의 에지들의 미소한 변형만을 유발하게된다. 어떠한 경우에도, 예로서, 그 자유 단부(30c)에 가장 근접한 설상부(30)의 측면들(30a 및 30b)의 영역들과, 상기 측면들 28a 및 28b의 대응하는 영역들 사이에서, 항상 누출 방지 접촉이 유지된다. 자연적으로, 누출 방지 접촉을 획득하기 위해서, 첫째로 상기 측면들 30a 및 28a에 대하여, 그리고, 둘째로 측면들 30b 및 28b에 대하여 그 전체 중첩 길이에 걸쳐 친밀한 접촉이 이루어져야할 필요가 없다. 단지 중첩 길이 중 일부에 걸쳐 상기 접촉이 실제로 유효해지는 것을 보장하기만 하면 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결부(28)는 두 개의 탭들(34 및 36)에 의해 측방향이 한정되며, 상기 탭들은 실질적으로 절결부의 각 측면상에 배치되어 스트립의 종방향 에지들(26c 및 26d)와 정렬되어 있다. 도 5B에 화살표 f로 표시된 바와 같이, 탭들은, 부분 삽입 위치로부터 설상부(30)를 절결부내로 전진시킬 때, 개별적으로 이동됨으로써 변형될 수 있다. 예로서, 절결부의 단부벽의 폭(l)은 그 주 영역내의 스트립의 전체폭(lt)의 6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그들이 스트립의 주 부분에 연결되어 있는 영역의 각 탭들(34 및 36)의 폭(lp)은 상기 폭 lt의 2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조임시, 스트립은 슬리브에 의해 포획되어 유지되며, 설상부(30)는 적어도 L과 동일한 폭으로 이루어지며, 폭 lP 보다 현저히 크다는 조건에서, 조임시 작용되는 응력들의 영향하에서 변형하게 되는 것은 탭들(34 및 36)이며, 그에 의해, 설상부가 절결부내로 전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탭들(34 및 36)의 외측면들은 스트립(26)의 종방향 에지들(26c 및 26d)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측으로 들어간 상태로 연장하는 것이 적합하다. 보다 명확하게 말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탭(34)의 외측면은 스트립의 종방향 에지(26c)를 연장하는 직선(D1)에 대해 스트립(26)의 종방향 중앙축(M)을 향해 내향 경사져 있는 부분(34a)을 가진다. 탭(36)의 외측면은 상기 영역 34a의 형상에 대해 상사관계인 형상의 영역(36a)을 갖는다. 이 구성은, 절결부의 측면들(28a 및 28b)의 구성과 함께, 탭들(34 및 36)이 방향 F를 따라 벌어지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탭들이 설상부의 절결부내로의 전진으로 인해 개별적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탭들(34 및 36)의 영역내의 스트립의 일 에지로부터 다른 에지까지의 폭이 그 주 부분내의 스트립의 폭(lt)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남아있게 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도 5B 참조). 이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10)가 양호하게, 외향 돌출하는 실질적으로 환형인 타출부에 의해 형성된 오목부 영역(60)을 구 비하게 되고, 이 오목부 영역이 링(24)이 배치될 수 있는 좌대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양호하다. 좌대(60)의 축방향 치수(lg)는 링이 정확히 배치되도록 링의 폭(lt)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탭들의 영역들(34a 및 36b)의 특정 형상으로 인하여, 탭이 각각 이동하는 경우에도 어떠한 중첩도 발생하지 않고 좌대내에 정확히 배치된다.
도면들에서, 설상부의 측면 30a는 절결부의 측면 28a와 평행하며, 설상부의 측면 30b는 절결부의 측면 28b와 평행하다. 예로서, 이들 측면들은 스트립의 종방향 중앙축(M)에 대해 경사 배치될 수 있으며, 종방향에 대해, 이들은 약 10°의 각도를 형성하게 된다. 탭들(34 및 36)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범위로 각각 이동하도록 하기 위해서, 스트립은 그 종방향 중앙축(M) 둘레에서 대칭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부분 삽입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서, 예로서,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 L을 폭 l 보다 크게 선택하고, 설상부의 측면들과 절결부(28)의 측면들을 쌍으로 평행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변용에서, 다른 가능성들 중에서, 폭들 L 및 l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선택되고, 설상부의 측면들이, 적어도 그 자유 단부의 근방에서, 절결부의 측면들 보다 스트립의 종방향에 대해 보다 큰 범위로 경사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밀봉링은 관들(20 및 22)의 단부들이 함께 연결되어 있는 연결 영역에서 폐쇄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폐쇄 공간은 관들의 외주들과 링의 내주 사이에 위치된다. 이 공간내의 유일한 개구는 설상부의 자유 단부(30c)와 절결부의 단부벽(28c) 사이에 제공된 개구(32)이다. 따라서, 모든 누출들은 상기 개구(32)에서 함께 모이 게 된다.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개구(32)가 슬리브의 연속부(uninterrupted portion)에 대면하게 배치되도록 링을 슬리브 내측에 배치하기만 하면 된다. 결과적으로, 링의 종방향 단부들을 슬리브내의 상술한 슬롯(14)에 대해 오프셋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다. 조작자의 주의에 의존하지 않고 정확한 위치설정이 얻어지도록 보증하기 위하여, 상기 디바이스는 위치설정 수단을 구비한다. 예로서, 이들 수단은 링이 루프형일 때, 링(24)내에 형성되어 그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돌출하는 타출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슬리브(10)의 외주는 함몰부(set back) 또는 천공부(42)를 구비하고, 그내부에 타출부(40)가 수용되게 된다. 상기 함몰부 또는 천공부는 최종 부재(end piece; 10)의 외주를 따라 연장하는 돌출부(sill)내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돌출부는 되접힘(folded back)에 의해 조립 립들(12a 및 12b)이 형성될 때 남겨지게 되고, 그 내부에 개구들(13a 및 13b) 중 하나가 절삭 가공되게 된다.
스트립(26)의 다른 표면에 형성된 타출부들(41)은 관들의 단부들(20 및 22)을 서로에 대해 배치하는 기능을 한다.
자연적으로, 특히, 설상부의 자유 단부(30c)에 의해, 그리고, 절결부의 단부벽(28c)에 의해, 구성되는 개구(32)의 에지들과 슬리브들의 내주 사이에 누출 방지 접촉이 형성될 때, 누출이 회피되게 된다. 이런 누출 방지 접촉은 일반적으로 단지 접촉부의 표면들이 평활하고 서로에 대해 접하기 때문에 성립된다.
변용에서, 개구(32)의 에지들상에 외향 돌출 여백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다 명확하게, 링의 단부들을 절삭가공할 때, 절결부의 측면들(28a 및 28b)에 대하여, 상기 절결부의 단부벽(28c)과 상기 설상부의 자유 단부(30c)가 다소 외향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돌출 여백은 설상부가 절결부내로 전진하는 범위에 무관하게, 개구(32)의 전체 둘레에 걸쳐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여백은 예로서, 스트립(26)의 두께의 5% 내지 30%의 범위로 작은 두께로 형성되며, 그에 의해, 상대적 유연성을 부여하게 되고, 그래서, 링에 대해 슬리브를 가압할 때 변형될 수 있으며, 그에 의해, 슬리브의 내주와 개구의 에지들 사이에 누출 방지 접촉을 달성한다.
유사하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의 내측을 향해 접어올려져서 그 종방향 에지들(26c 및 26d)에 걸쳐 연장하는 여백을 스트립에 제공하도록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관들의 외주에 대해 링을 조일 때, 여백들이 상기 외주들과 상호 협력작용하기에 적합하며, 그들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작게 함으로써, 이들이 누출 방지 접촉을 달성하도록 변형되게 될 수 있다. 여백들은 탭들(34 및 36)의 외측면들, 또는, 설상부의 각 측면들(30a 및 30b) 중 일부까지도 포함하는, 링의 종방향 에지들(26c 및 26b) 전체에 걸쳐 연장하는 것이 적합하다. 따라서, 이들은 밀봉링(24)의 전체 외주 둘레에 배치된 밀봉 비드를 구성할 수 있으며, 개구(32)의 상술한 돌출 여백의 존재와 공존할 수 있다.

Claims (11)

  1. 조임 수단(16, 18)의 작용하에 그 직경이 감소되는 수단(14)을 구비하면서, 상기 두 개의 관들의 대면 단부들 둘레에 배치되기에 적합한 슬리브(10)를 포함하고; 두 개의 관들의 대면 단부들을 둘러싸도록 상기 슬리브(10) 내측에 배치되기에 적합한 밀봉링(24)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링은, 상기 링(24)이 상기 슬리브(10) 내측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슬리브가 상기 관들(20, 22)의 대면 단부들 둘레에서 조여질 때, 서로 접촉하게되는 제 1 및 제 2 종방향 단부들(26a, 26b)을 가진 루프형의 평탄한 스트립(26)으로 구성되며; 상기 밀봉 링의 제 1 종방향 단부(26a)는 절결부(28)를 구비하고, 상기 링의 제 2 종방향 단부(26b)는 상기 절결부내로 삽입되기에 적합한 설상부(30) 형태인,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가진, 단부 대 단부로 배치된 두 개의 평활 관들(20, 22)을 누출 방지식으로 함께 결합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설상부의 일 측면으로부터 그 다른 측면까지, 스트립에 횡단하는 방향으로 측정한, 상기 설상부(30)의 폭과, 절결부의 일 측면(28a)으로부터 다른 측면(28b)까지, 스트립에 횡단하는 방향으로 측정한 상기 절결부(28)의 폭 양자 모두는 상기 스트립을 따라 제 1 종방향 단부(26a)로부터 제 2 종방향 단부(26b)로 진행하는 방향으로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설상부(30)가, 상기 설상부가 절결부(28)내에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있는 부분 삽입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설상부의 두 측면들(30a, 30b)은 절결부의 두 측면들(28a, 28b)과 접촉하게 되기에 적합하고, 상기 설상부의 자유 단부(30a)는 상기 절결부의 단부벽(28c)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남아 있게되며,
    상기 부분 삽입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설상부는 조임의 영향하에 상기 절결부내로 추가적으로 침입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활관 결합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28)는 두 개의 탭들(34, 36)에 의해 측방향으로 한정되며,
    상기 탭들은 설상부(30)가 부분 삽입 위치로부터 절결부(28)내로 전진할 때, 개별적으로 이동함으로써 변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활관 결합 디바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탭들(34, 36)의 외측면들(34a, 36a)은 스트립(26)의 종방향 에지들(26c, 26d)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측으로 들어간 상태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활관 결합 디바이스.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상부(30)의 자유 단부(30c)의 폭(L)은 절결부(28)의 단부벽(28c)의 폭(l)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활관 결합 디바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 서로 접촉하도록 구성된 상기 절결부의 측면들(28a, 28b) 및 상기 설상부(30)의 측면들(30a, 30b)은 각각 서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활관 결합 디바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26)의 종방향 단부들(26a, 26b)이 상기 슬리브(10)내에 제공된 조임 개구(14)에 대해 각도방향으로 오프셋되도록 상기 슬리브(10)내의 밀봉링(24)의 위치를 한정하기 위한 수단(40, 42)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활관 결합 디바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링(24)은 그 외주 둘레에 배치된 밀봉 비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활관 결합 디바이스.
  8.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 서로 접촉하도록 구성된 상기 절결부의 측면들(28a, 28b) 및 상기 설상부(30)의 측면들(30a, 30b)은 각각 서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활관 결합 디바이스.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링(26)의 종방향 단부들(26a, 26b)이 상기 슬리브(10)내에 제공된 조임 개구(14)에 대해 각도방향으로 오프셋되도록 상기 슬리브(10)내의 밀봉링(24)의 위치를 한정하기 위한 수단(40, 42)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활관 결합 디바이스.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링(24)은 그 외주 둘레에 배치된 밀봉 비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활관 결합 디바이스.
  11. 제 4 항에 있어서, 각각 서로 접촉하도록 구성된 상기 절결부의 측면들(28a, 28b) 및 상기 설상부(30)의 측면들(30a, 30b)은 각각 서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활관 결합 디바이스.
KR1020017015418A 1999-06-02 2000-06-02 두 개의 평활관 사이의 밀봉 연결을 위한 디바이스 KR1006429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906935A FR2794517B1 (fr) 1999-06-02 1999-06-02 Dispositif pour le raccordement etanche de deux tubes lisses
FR9906935 1999-06-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9054A KR20020019054A (ko) 2002-03-09
KR100642997B1 true KR100642997B1 (ko) 2006-11-10

Family

ID=9546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5418A KR100642997B1 (ko) 1999-06-02 2000-06-02 두 개의 평활관 사이의 밀봉 연결을 위한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398267B1 (ko)
EP (1) EP1181477B1 (ko)
JP (1) JP2003501600A (ko)
KR (1) KR100642997B1 (ko)
AR (1) AR030147A1 (ko)
AT (1) ATE285540T1 (ko)
AU (1) AU5411400A (ko)
BR (1) BR0011089A (ko)
DE (1) DE60016915T2 (ko)
ES (1) ES2234620T3 (ko)
FR (1) FR2794517B1 (ko)
TW (1) TW475045B (ko)
WO (1) WO20000755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58501B2 (en) * 2000-06-23 2004-07-06 Breeze-Torca Products, Llc Pipe coupler
US6877780B2 (en) 2000-06-23 2005-04-12 Breeze-Torca Products, Llc Clamp for joining tubular bodies
US7086131B2 (en) * 2004-05-14 2006-08-08 Victaulic Company Deformable mechanical pipe coupling
FR2884563B1 (fr) 2005-04-13 2011-03-18 Caillau Ets Dispositif de serrage a oreilles de serrage renforcees
FR2884582B1 (fr) * 2005-04-13 2010-01-08 Caillau Ets Dispositif pour l'accouplement etanche de deux tubes lisses
ES1064088Y (es) * 2006-11-07 2007-05-01 Metalurgicas Pabur S L Dispositivo de union estanca de dos tubos cilindricos de diametros diferentes
US7644955B1 (en) * 2008-07-03 2010-01-12 Naris Komolrochanaporn Quick coupling type fitting
JP5426972B2 (ja) * 2009-09-14 2014-02-26 未来工業株式会社 管接続装置及び管継手
US20130328305A1 (en) * 2012-06-12 2013-12-12 Avi Chiproot Seal holding device for pipe clamp
FR3004505B1 (fr) 2013-04-11 2015-05-08 Caillau Ets Dispositif de serrage pour l'accouplement etanche de tubes lisses
GB2518220A (en) * 2013-09-13 2015-03-18 Taylor Kerr Couplings Ltd Pipe coupling
FR3062702B1 (fr) 2017-02-07 2020-08-21 Caillau Ets Dispositif pour l'accouplement de deux tubes avec pre-montage
FR3095683B1 (fr) 2019-05-03 2022-12-09 Caillau Joint d’étanchéité et dispositif et ensemble de serrage comprenant un tel joint d’étanchéité
FR3095682B1 (fr) * 2019-05-03 2023-01-06 Caillau Dispositif de serrage comprenant un collier et un joint d’étanchéité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5698A (en) * 1896-08-11 Half to j
US1978195A (en) * 1933-10-21 1934-10-23 Buffalo Pressed Steel Company Clamp band
US4299012A (en) * 1979-05-08 1981-11-10 Hans Oetiker Hose clamp
US5564167A (en) * 1984-06-20 1996-10-15 Hans Oetiker Ag Maschinen -Und Apparatefabrik Reinforced ear structure for clamps
CA1274069A (en) * 1984-06-20 1990-09-18 Hans Oetiker Hose clamp
FR2597169B1 (fr) * 1986-04-10 1989-06-02 Awab Sa Collier de serrage
FR2662486B1 (fr) 1990-05-23 1992-09-11 Caillau Ets Dispositif d'accouplement etanche de deux tubes lisses, disposes bout a bout.
FR2748542B1 (fr) 1996-05-13 1998-07-31 Caillau Ets Dispositif pour l'accouplement etanche de deux tubes lisses
GB2326920A (en) * 1997-07-01 1999-01-06 Rasmussen Gmbh Clamp for clamping a hose on a pipe por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5411400A (en) 2000-12-28
DE60016915D1 (de) 2005-01-27
AR030147A1 (es) 2003-08-13
EP1181477B1 (fr) 2004-12-22
DE60016915T2 (de) 2005-12-15
EP1181477A1 (fr) 2002-02-27
BR0011089A (pt) 2002-03-19
ES2234620T3 (es) 2005-07-01
KR20020019054A (ko) 2002-03-09
FR2794517A1 (fr) 2000-12-08
ATE285540T1 (de) 2005-01-15
FR2794517B1 (fr) 2001-08-24
US6398267B1 (en) 2002-06-04
JP2003501600A (ja) 2003-01-14
WO2000075548A1 (fr) 2000-12-14
TW475045B (en) 2002-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2997B1 (ko) 두 개의 평활관 사이의 밀봉 연결을 위한 디바이스
US3955834A (en) Apparatus for connecting ducts with a self-sealing joint
CA1056416A (en) Pipe joint locking ring and groove arrangement
CA2582537C (en) Pipe lap joint with improved sealing slot for increased circumferential closure
US4429907A (en) Pipe coupler
JP4853464B2 (ja) 締め付けバンドクランプ
US4564220A (en) Elastic gasket pipe coupling for pressurized plumbing systems
US4473246A (en) Pipe coupling
CZ281230B6 (cs) Zařízení pro těsné spojení dvou hladkých trubek
US4175754A (en) Seal for fluid ducts
JPH08338577A (ja) リング付き管の締結用管継手
JP2544698B2 (ja) 管の継手
JP2678125B2 (ja) 樹脂管用継手のシールリング及び該シールリングを用いた樹脂管と継手本体との接続構造
JP2005090531A (ja) 管継手
JP4881188B2 (ja) 管継手
JP2550157Y2 (ja) 波形管用管継手
JP2020051532A (ja) ガスケットの仮保持構造
JP3382029B2 (ja) コルゲート管用管継ぎ手
JPH085438Y2 (ja) 管接続部品
KR101304551B1 (ko) 회전식 파이프 연결 장치
JP2003329187A (ja) 配管継手
JP4100810B2 (ja) フレキシブルチューブ用継手
WO2020066884A1 (ja) ガスケットの仮保持構造
GB2334316A (en) Pipe connection
JPH0533890A (ja) 管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