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5467B1 - 회전식 가스 구이기 - Google Patents

회전식 가스 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5467B1
KR100635467B1 KR1020040078863A KR20040078863A KR100635467B1 KR 100635467 B1 KR100635467 B1 KR 100635467B1 KR 1020040078863 A KR1020040078863 A KR 1020040078863A KR 20040078863 A KR20040078863 A KR 20040078863A KR 100635467 B1 KR100635467 B1 KR 100635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sting
burner
gas
case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8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9984A (ko
Inventor
양태식
Original Assignee
양태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태식 filed Critical 양태식
Priority to KR1020040078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5467B1/ko
Publication of KR20060029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9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5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5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60Devices for simultaneous control of gas and combustion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6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 F24C15/164Rotisserie spits inside ov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이물의 크기나 종류와 관계없이 구이물을 호환적으로 구울 수 있음은 물론, 구이물의 가해지는 화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구이물을 내부에 다단으로 적층하여 많은 양의 구이물을 동시에 구울 수 있는 가스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전방에는 구이물 고정수단의 전방이 삽입되는 개방장홈이 구비되어 있고 개방장홈과 마주보는 후방에는 모터 구동부를 통해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구이물 고정수단의 후방이 삽입되는 삽입 회전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내부 양측에는 공간부가 구비되어 있는 케이스와, 상기 양측 공간부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구이물 고정수단에 구비되는 구이물의 크기를 자유로이 할 수 있으며 내측으로 가스화염을 분출하는 버너부, 및 상기 버너부의 외측인 열기가 차단되는 공간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고 상기 버너부의 좌우 이동에 따라 연동되게 움직이는 개폐 밸브를 포함한 하나 이상의 가스 공급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버너부는 외측에 구비되어 내측으로 발산되는 화염의 열이 버너부의 외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열 차단판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회전식 가스 구이기{A gas roaster of the rot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 구이기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1c는 도 1a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1d는 요부를 확대한 일부 절개 개략사시도이다.
도 1e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버너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버너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버너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이물 고정수단의 여러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일 실시예의 구이물 고정수단을,
도 4b는 다른 실시예의 구이물 고정수단을,
도 4c는 또 다른 실시예의 구이물 고정수단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 구이기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5a는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 구이기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 구이기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7a는 사시도이고,
도 7b는 가스 구이기가 테이블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11 : 개방장홈
12 : 삽입 회전부
121 : 회전체, 122 : 삽입홀
13 : 공간부
14 : 하부 공간부
141 : 기름받이
15 : 개방부
151 : 투명창
16 : 케스터
17 : 둘레 돌출턱
18 : 재치판
2 : 버너부
21 : 미끄럼 브라켓
22 : 돌출 브라켓
221 : 수평 탭부
23 : 수평 나선축
24 : 외부 조작부
241 : 핸들, 242 : 모터, 243 : 작동 스위치
25 : 프레임
26 : 가스실
261 : 버너판, 262 : 염공, 263 : 점화수단
27 : 파이프버너
271 : 염공, 272 : 점화수단
28 : 가스 공급관
281 : 개폐 밸브
29 : 열 차단판
30 : 돌출턱
3 : 구이물 고정수단
31 : 회전봉
32 : 양 꼬치봉
33 : 구이판
34 : 돌출축
35 : 삽입축
36 : 고정 직사각링체
361 : 전방 돌출봉, 362 : 후방 돌출봉, 363 : 축,
364 : 양 삽입축, 365 : 손잡이부, 366 : 스프링,
367 : 돌출돌기
37 : 회전 직사각링체
371 : 관통홀
4 : 모터 구동부
41, 42 : 모터, 43 : 체인
5 : 지지대
51 : 수평축
6 : 고리 와이어
61 : 고리
8 : 테이블
81 : 개방홀
9 : 구이판
본 발명은 각종 육류와 생선 등의 구이물을 회전시키면서 굽는 가스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구이물의 크기나 종류와 관계없이 구이물을 호환적으로 구울 수 있음은 물론, 구이물의 가해지는 화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구이물을 내부에 다단으로 적층하여 많은 양의 구이물을 동시에 구울 수 있는 가스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 구이기라 함은 가스의 발산을 통한 가스화염열을 이용하여 구이물을 굽는 구이기를 말하는 것이다.
이에 통상적으로 알려진 가스 구이기는, 버너부의 상부에 구이판을 올려놓고 구이물을 굽는 구이기와, 양 버너부 사이에 회전되는 꼬치봉을 구비하여 회전 구이를 하는 구이기로 나누어지는데, 본 발명은 후술한 회전 구이식 구이기를 개량한 것으로서 먼저 통상적으로 알려진 회전 구이식 구이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인 회전 구이식 구이기(이하, 편의상 '구이기'라 칭함)는, 상부가 개방된 케이스와 이 케이스의 내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되게 삽입되는 다수의 버너부 및 각각의 버너부 사이마다 모터를 통해 회전되게 구비되는 꼬치봉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꼬치봉에 구이물을 끼운 상태에서 꼬치봉을 회전시키는 과정을 통해 구이물을 구울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다수로 삽입 고정된 버너부의 사이에서 꼬치봉에 끼워진 구이물을 구움에 있어, 버너부의 양측 폭이 한정되어 있어 크기가 큰 육류 및 생선 등의 구이가 불가능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구이기를 음식점의 테이블에 장착시켜 사용할 경우에는 구이기의 양측폭이 한정되어 있음에 따라서 많은 양의 구이물을 동시에 구울 수 없으며, 만약 많은 양의 구이물을 동시에 굽기 위해서는 꼬치봉의 갯수를 늘릴 수 있도록 구이기를 구성하는 케이스의 양측 폭을 길게 구성하여야 함으로서 구이기의 제작에 많은 비용이 낭비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으로서, 버너부의 상호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구이물을 크기와 종류(유형)에 관계없이 구이물을 타지 않고 적절하게 익힐 수 있도록 하는 가스 구이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케이스의 내부 중앙의 수직공간에 구이물을 다단으로 적층함으로서 케이스의 양측 폭을 늘리지 않고도 많은 양의 구이물을 동시에 구울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있다.
또 구이물을 굽는 과정에서 구이물에서 배출되는 기름이 양측에 구비되어 있는 화염 쪽으로 유입되지 않고 하부에 구비된 기름받이로만 유입되도록 하는 목적도 있다.
또 다단으로 적층된 구이물의 익힘 상태의 확인 및 삽입,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있다.
또 버너의 상호간격을 외부에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있다.
또 회전구이는 물론 구이판을 통한 구이도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있다.
또 구이물을 꽂지 않고도 회전구이를 가능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달걀, 감 자 등도 손상 없이 회전구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있다.
또 구이기를 테이블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있다.
또 구이기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전방에는 구이물 고정수단의 전방이 삽입되는 개방장홈이 구비되어 있고 개방장홈과 마주보는 후방에는 모터 구동부를 통해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구이물 고정수단의 후방이 삽입되는 삽입 회전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내부 양측에는 공간부가 구비되어 있는 케이스와, 상기 양측 공간부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구이물 고정수단에 구비되는 구이물의 크기를 자유로이 할 수 있으며 내측으로 가스화염을 분출하는 버너부, 및 상기 버너부의 외측인 열기가 차단되는 공간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고 상기 버너부의 좌우 이동에 따라 연동되게 움직이는 개폐 밸브를 포함한 하나 이상의 가스 공급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버너부는 외측에 구비되어 내측으로 발산되는 화염의 열이 버너부의 외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열 차단판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 구이기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1c는 도 1a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1d는 요부 확대 일부절개 개략도이며, 도 1e는 본 발명에 따른 버너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의 가스 구이기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전방에는 구이물 고정수단(3)의 전방이 삽입되는 개방장홈(11)이 구비되어 있고, 개방장홈(11)과 마주보는 후방에는 모터 구동부(4)를 통해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구이물 고정수단(3)의 후방이 삽입되는 삽입 회전부(12)가 구비되어 있으며, 내부 양측에는 공간부(13)가 구비되어 있는 케이스(1)와;
상기 양측 공간부(13)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구이물 고정수단(3)에 구비되는 구이물의 크기를 자유로이 할 수 있으며 구이물에 가해지는 가스화염열을 조정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가스화염을 분출하는 버너부(2), 및
상기 버너부(2)의 외측인 열기가 차단되는 공간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고 상기 버너부(2)의 좌우 이동에 따라 연동되게 움직이는 개폐 밸브(281)를 포함한 하나 이상의 가스 공급관(28)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의 내부 공간의 하부에는 하판과 거리를 두고 버너부(2)가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게 올려지는 하나 이상의 지지대(5)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지지대(5)와 하판의 사이에는 하부 공간부(14)가 형성되고 이 하부 공간부(14)에는 구이물을 구울 때 발생되는 기름을 회수하는 기름받이(141)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구이물을 굽는 과정에서 구이물에서 배출되는 기름이 양측에 구비되어 있는 화염 쪽으로 유입되지 않고 하부에 구비된 기름받이(141)로만 유입됨으로서 구이물을 위생적으로 구울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삽입 회전부(12)의 하부인 케이스(1)의 내부 후방에는 모터 구동부(4)를 통해 회전되며 구이물 고정수단(3)의 후방이 삽입되는 삽입 회전부(12)가 높이를 달리하여 하나 이상으로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삽입 회전부(12)와 마주보 는 케이스(1)의 전방에는 케이스(1)의 전방 상측에서 인출되어 구이물 고정수단(3)의 전방을 걸어주는 고리(61)가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고리 와이어(6)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양 버너부(2)의 상부 외측에는 구이물 재치판(18)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재치판(18)은 상기 버너부(2)의 좌우 이동과 상응되게 좌우로 이동되는 것이다.
또 상기 케이스(1)의 전면판 중앙에는 개방부(15)가 더 구비되어 이 개방부(15)에는 구이물의 구이 상태를 육안으로 식별하고 개폐가 가능한 투명창(151)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즉 상기 투명창(151)은 상,하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미닫이식 투명창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여닫이식의 투명창으로도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투명창(151)의 개방을 통해 상기 고리 와이어(6)에 걸려있는 구이물 고정수단(3)을 케이스의 외부로 이탈시킬 수 있으며 반대로 구이물 고정수단(3)을 외부에서 케이스(1)의 내부에 설치 구비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양 버너부(2)의 사이인 케이스(1)의 전,후판의 상단에는 구이판(9)을 더 올려놓을 수 있음으로서, 양 버너부(2)의 가스화염열을 이용하여 케이스(1)의 상부에서 고기 및 야채 등을 구울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그리고 상기 버너부(2)는 도 1b 및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세워지는 프레임(25)과, 상기 프레임(25)에 구비되며 가스 공급관(28)을 통해 내부에 가스가 공급되는 내측이 개방된 하나나 높이를 달리하는 다수의 가스실(26)과, 상기 가스실(26)의 내측에 구비되어 점화수단(263)을 통해 다수의 염공(262)에서 화염을 분출하는 하나 이상의 버너판(261)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스실(26)과 버너판(261)을 다단으로도 구비함으로서 상기 구이물 고정수단(3)의 사용 위치에 따라 버너판(261)을 선택하여 화염을 분출하는 것이다. 즉 상기 가스실(26)에 각기 연결되어 있는 가스 공급관(28)에 구비된 개폐밸브(28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각 버너판(261)의 가스 분출(화염분출)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25)의 외측에는 내측으로 발산되는 화염의 열이 버너부(2)의 외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열 차단판(29)이 더 구비됨으로서, 가스 공급관(28)이 열로 인하여 녹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가스 구이기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c 및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 회전부(12)는, 상기 모터 구동부(4)를 통해 케이스(1)의 내부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전방에 한 쌍의 삽입홈(122)이 형성된 회전체(121)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 회전부(12)를 회전시키는 모터 구동부(4)는, 각 삽입 회전부(12)를 구성하는 회전체(121)를 직접적으로 회전시키는 각각의 구동 모터(41)로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의 모터(42)와 체인(43)등의 동력전달 수단을 통해 각각의 삽입 회전부(12)를 구성하는 회전체(121)를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버너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버너부(2)는, 수직으로 세워지는 프레임(25)과, 상기 프레임 (25)에 구비되며 가스 공급관(28)을 통해 내부로 가스가 공급되며 내측에 염공(271)과 점화수단(272)를 구비한 하나나 높이를 달리하는 다수의 파이프 버너(2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 버너(27)을 다단으로도 구비함으로서 상기 구이물 고정수단(3)의 사용 위치에 따라 파이프 버너(27)을 선택하여 화염을 분출시키는 것이다. 즉 상기 파이프 버너(27)에 각기 연결되어 있는 가스 공급관(28)에 구비된 개폐밸브(28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각 파이프 버너(27)의 가스 분출(화염분출)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25)의 외측에는 내측으로 발산되는 화염의 열이 버너부(2)의 외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열 차단판(29)이 더 구비됨으로서, 가스 공급관(28)이 열로 인하여 녹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버너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 발명에 또 다른 실시예의 버너부(2)는, 상기 케이스(1)의 전,후면 상단에 버너부(2)가 걸릴 수 있도록 상부 전,후방에 돌출 구비된 돌출턱(30)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버너부(2)의 전,후방에 구비된 돌출턱(30)이 케이스(1)의 상부에 걸친 상태를 유지함으로서 버너부(2)를 좌,우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이물 고정수단의 여러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일 실시예의 구이물 고정수단을, 도 4b는 다른 실시예의 구이물 고정수단을, 도 4c는 또 다른 실시예의 구이물 고정수단을 나타낸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이물 고정수단(3)은,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개방장홈(11)이나 고리 와이어(6)에 걸리는 회전봉(31)과 회전봉(31)의 후단에 구이물이 끼워질 수 있도록 양측으로 갈라져 구비되어 상기 회전체(121)의 삽입홈(122)에 삽입되는 양 꼬치봉(3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양 꼬치봉(32)에 육류 등의 구이물을 끼운 상태에서 상기 삽입 회전부(12)를 통해 회전봉(31)과 양 꼬치봉(32)을 회전시킴으로서 가스 화염열을 통해 구이물을 골고루 익힐 수 있는 것이다.
즉 양 꼬치봉(32)에 끼워진 구이물의 회전구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구이물 고정수단(3)은, 수평의 구이판(33) 및 구이판(33)의 전방에 돌출되어 상기 개방장홈(11)이나 고리 와이어(6)에 걸리는 돌출축(34)과 구이판(33)의 후방에 돌출되어 상기 회전체(121)의 삽입홈(122)에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축(35)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구이판(33)은 망 형상의 석쇠나 금속판 또는 돌판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방장홈(11)이나 고리 와이어(6) 및 삽입 회전부(12)에 상기 구이판(33)을 수평으로 장착한 상태에서 구이판(33)의 상부에 육류 등의 구이물을 올려놓음으로서 구이물을 가스 화염열로 익힐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구이판에 올려지는 구이물은 가스 화염열이 양측에서 유입됨으 로서 구이물이 골고루 익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또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구이물 고정수단(3)은, 전,후방의 횡형대와 양측 종형대로 이루어진 직사각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방 횡형대의 중간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된 전방 돌출봉(361) 및 상기 후방에 구비되는 후방 돌출봉(362)으로 이루어진 고정 직사각링체(36)와, 상기 고정 직사각링체(36)를 구성하는 전,후방 돌출봉(361,362)에 전,후방 횡형대의 중간에 형성된 관통홀(371)이 관통 조립되고 상기 전,후방 횡형대의 양측에는 종형대가 구비된 직사각링 형상의 회전 직사각링체(3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고정 직사각링체(36)의 후방 돌출봉(362)은 후방 횡형대의 중간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축(363)과, 이 축(363)의 후단에서 후방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전체(121)의 삽입홈(122)에 삽입되는 양 삽입축(364)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후방 돌출봉(361,362) 중 하나는, 상기 고정 직사각링체(36)를 구성하는 전,후방 횡형대 중 하나에 관통 조립을 통해 비 회전되게 고정(억지끼워맞춤 조립)되어 있는 것이다. 왜냐하면 상기 전,후방 돌출봉(361,362) 중 하나를 조립을 통해 고정 직사각링체(36)에 고정해야만 고정, 회전 직사각링체(36,37)를 상호 조립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고정 직사각링체(36)의 전방 돌출봉(361)에는 손잡이부(365)가 더 삽입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손잡이부(365)의 후방인 전방 돌출봉(361)에는, 상기 회전 직사각링체(37)의 전방 횡형대를 눌러주어 회전 직사각링체(37)의 회전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스프링(366)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또 상기 고정 직사각링체(36)의 전방 횡형대의 중간에는 회전 직사각링체(37)의 직교 위치를 유지하는 한 쌍의 구형 돌출돌기(367)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이물 고정수단(3)을 통해 구이물을 고정할 경우에는 먼저 고정 직사각링체(36)와 회전 직사각링체(37)를 상호 포겐 상태에서 달걀이나 감자 등의 구이물을 고정, 회전 직사각링체(36,37)의 사이에 삽입한다.
다음 회전 직사각링체(37)를 고정 직사각링체(36)의 전,후방에 구비되어 있는 전,후방 돌출봉(361,362)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고정, 회전 직사각링체(36,37)가 상호 직교되게 함으로서 구이물을 상기 고정, 회전 직사각링체(36,37)의 내부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 실시예의 가스 구이기의 작동관계를 도 1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회전구이와 내부 구이판을 이용하는 과정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내지 도 3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구이를 할 경우에는, 양 꼬치봉(32)이 포함되는 구이물 고정수단(3)에 구이물을 관통되게 꽂는다.
그리고 양 꼬치봉(32)이 포함된 구이물 고정수단(3)을 케이스(1)의 내부 또는 제일 상부에 설치하거나 내부 및 제일 상부에 모두 삽입한다. 즉 구이물 고정수 단(3)을 구성하는 양 꼬치봉(32)을 케이스(1)의 후방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삽입 회전부(12)의 회전체(121)에 삽입하고, 전방에 구비된 회전봉(31)을 케이스(1)의 전방 상부에 구비된 개방장홈(11) 또는 하부로 인출되는 다수의 고리 와이어(6)의 고리(61)에 거는 과정을 통해 양 꼬치봉(32)이 포함되는 구이물 고정수단(3)을 케이스(1)의 내부에 구비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구이물 고정수단(3)을 케이스(1)의 내부에 삽입할 경우에는 전방에 구비된 투명창(151)을 개방한 상태에서 용이하게 삽입 구비하는 것이다.
다음 상기 삽입 회전부(12)의 회전체(121)를 모터 구동부(4)를 통해 회전시킴으로서 양 꼬치봉(32)이 포함되는 구이물 고정수단(3)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이 구이물 고정수단(3)의 양측에 구비되어 있는 버너부(2)의 위치를 좌우로 조정하여 적정한 가스화염열로 회전구이를 수행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버너부(2)의 상호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구이물을 크기 및 종류와 관계없이 구이물을 구울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양 버너부(2)의 상호 간격을 조정하여 구이물에 가해지는 가스화염열을 적정하게 함으로서 구이물을 태우지 않고 적절하게 골고루 익힐 수 있는 것이다.
또 양 버너부(2)의 사이에 구이물 고정수단(3)을 다단으로 삽입 구비함으로서 많은 양의 구이물을 동시에 구울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1내지 도 3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구이판을 이용한 구이를 할 경우에는, 구이판(33)이 포함되는 구이물 고정수단(3)에 구이물을 올려놓는다.
그리고 구이판(33)이 포함된 구이물 고정수단(3)을 케이스(1)의 내부 또는 제일상부에 설치하거나 내부 및 제일 상부에 모두 삽입한다. 즉 구이물 고정수단(3)을 구성하는 후방의 삽입축(35)을 케이스(1)의 후방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삽입 회전부(12)의 회전체(121)에 삽입하고, 전방에 구비된 돌출축(34)을 케이스(1)의 전방 상부에 구비된 개방장홈(11) 또는 하부로 인출되는 다수의 고리 와이어(6)의 고리(61)에 거는 과정을 통해 구이판(33)이 포함되는 구이물 고정수단(3)을 케이스(1)의 내부에 구비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구이물 고정수단(3)을 케이스(1)의 내부에 삽입할 경우에는 전방에 구비된 투명창(151)을 개방한 상태에서 용이하게 삽입 구비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 다음 구이판(33)를 포함하는 구이물 고정수단(3)의 양측에 구비되어 있는 버너부(2)의 위치를 좌우로 조정하여 적정한 가스화염열로 구이판 구이를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구이판(33)을 통한 구이를 수행 할 경우에는 구이판(33)이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 회전부(12)를 회전시키는 모터 구동부(4)의 작동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수행하는 것이다.
또한, 도 1내지 도 3 및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이물을 감싸는 회전 구이를 할 경우에는, 먼저 고정, 회전 직사각링체(36,37)를 포함하는 구이물 고정수단(3)을 통해 구이물을 고정한다. 즉 고정 직사각링체(36)와 회전 직사각링체(37)를 상호 포겐 상태에서 달걀이나 감자 등의 구이물을 고정, 회전 직사각링체(36,37)의 내부에 삽입한 다음, 상기 회전 직사각링체(37)를 고정 직사각링체(36) 의 전,후방 돌출봉(361,36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켜 고정, 회전 직사각링체(36,37)가 상호 직교되게 하여 구이물을 내부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구이물이 내부에 고정된 구이물 고정수단(3)을 케이스(1)의 내부 또는 제일상부에 설치하거나 내부 및 제일 상부에 모두 삽입한다. 즉 구이물 고정수단(3)을 구성하는 후방 돌출봉(362)을 구성하는 양 삽입축(364)을 케이스(1)의 후방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삽입 회전부(12)의 회전체(121)에 삽입하고, 전방 돌출봉(361)을 케이스(1)의 전방 상부에 구비된 개방장홈(11) 또는 하부로 인출되는 다수의 고리 와이어(6)의 고리(61)에 거는 과정을 통해 구이물이 내부에 고정된 구이물 고정수단(3)을 케이스(1)의 내부에 구비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구이물 고정수단(3)을 케이스(1)의 내부에 삽입할 경우에는 전방에 구비된 투명창(151)을 개방한 상태에서 용이하게 삽입 구비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 상기 삽입 회전부(12)의 회전체(121)를 모터 구동부(4)를 통해 회전시킴으로서 구이물이 고정된 구이물 고정수단(3)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이 구이물 고정수단(3)의 양측에 구비되어 있는 버너부(2)의 위치를 좌우로 조정하여 적정한 가스화염열로 회전구이를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구이물을 관통시키지 않고도 회전구이를 가능하게 할 수 있음에 따라서, 달걀, 감자 등의 구이물을 전혀 손상시키지 않고도 회전구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 구이기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5a는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C-C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가스 구이기는, 먼저 버너부(2)를 지지하는 지지대(5)의 구성 이외의 구성은 상술한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함을 전제한다.
이에 상기 지지대(5)는 버너부(2)가 상부에 올려져 버너부(2)의 좌우 이동을 안내하는 수평축(51)으로 구성됨으로서 버너부(2)가 상기 수평축(51)을 따라 자유로이 좌우로 이동이 가능한 것이다.
즉 사용자가 버너부(2)를 구성하는 프레임(26)을 좌우로 이동시킴에 따라서 양 버너부(2)의 사이에 구비된 구이물 고정수단(3)의 가열 열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버너부(2)의 하부에는 상기 각 수평축(51)에 삽입되어 버너부(2)가 좌우로 슬라이딩이 되게 하는 하부 개방장홀을 포함하는 미끄럼 브라켓(21)이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버너부(22)의 하부에는 수평 탭부(221)가 포함되는 돌출 브라켓(22)이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 탭부(221)에는 외부 조작부(24)를 통해 회전되어 버너부(2)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하나 이상의 수평 나선축(23)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평 나선축(23)은 단일로 구성되며 양측은 왼나사부 및 오른나사부로 구성되고, 상기 수평나선축(23)의 왼,오른나사부의 각각에는 양 버너부(2)의 하부에 구비된 돌출 브라켓(22)의 수평탭부(221)가 관통 체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외부 조작부(24)는 상기 수평 나선축(23)의 단부에 고정되어 케이스(1)의 외부에서 수동 회전을 통해 수평 나선축(23)을 회전시키는 핸들(241)로 구성된다.
또 상기 외부 조작부(24)는, 상기 수평 나선축(23)과 연결되어 있는 모터(242)와 케이스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모터(242)를 정역으로 구동시켜 수평 나선축(23)을 정역으로 회전시키는 작동 스위치(243)로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외부 조작부(24)를 통해 수평 나선축(23)을 회전시키게 되면 수평 나선축(23)을 구성하는 왼,오른 나사부를 통해 양 버너부가 구이물 고정수단(3)으로부터 동시에 멀어지거나 가까워 질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수평 나선축(23)의 정역 회전을 통해 양 버너부의 간격을 동시에 줄이거나 넓힐 수 있음에 따라 가스화염열 조정에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 구이기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가스 구이기는, 상기 제1,2 실시예의 가스 구이기에 있어서, 가스 구이기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케이스(1)의 하부에 다수의 케스터(16)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중량체인 가스 구이기를 하부에 구비된 케스터(16)를 통해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음으로서, 실내는 물론 실외의 사용에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 구이기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7a는 사시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의 가스 구이기가 테이블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의 가스 구이기는, 상기 제1,2 실시예의 가스 구이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의 외측 둘레에는 일정한 높이로 둘레 돌출턱 (17)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둘레 돌출턱(17)을 이용하여 가스 구이기를 테이블(8)에 구비된 개방홀(81)에 삽입되게 장착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둘레 돌출턱(17)을 개방홀(81)의 둘레에 걸치게 함으로서 가스 구이기를 테이블(8)에 삽입 장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가스 구이기를 테이블(8)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음식점에 널리 보급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이물의 크기와 관계없이 구이물을 태우지 않고 골고루 적절하게 익힐 수 있는 가스화염열 조절이 가능한 가스 구이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케이스의 내부 중앙의 수직공간을 통해 많은 양의 구이물을 동시에 구울 수 있도록 함으로서 효율성을 극대화 하는 가스 구이기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 구이물을 굽는 과정에서 구이물에서 배출되는 기름이 하부에 구비된 기름받이로만 배출되게 함으로서 구이시 기름이 타는 현상을 예방하여 보다 위생적인 구이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도 가지는 것이다.
또 다단으로 적층된 구이물의 익힘 상태의 확인 및 삽입,배출을 용이하게 함으로서 구이 중 구이물이 타는 것을 사전에 예방하는 효과도 있다.
또 버너부의 상호간격을 외부에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화력 조 정은 물론 다양한 크기의 구이물의 내부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 회전구이는 물론 구이판을 이용한 구이도 가능하게 하는 다용도의 가스 구이기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 구이물을 꽂지 않고도 회전구이를 가능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달걀, 감자 등도 손상 없이 회전구이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도 있다.
또 구이기를 테이블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음식점에 널리 보급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 구이기의 이동을 용이하게 함으로서 가정이나 야외에서의 사용 시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21)

  1.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전방에는 구이물 고정수단(3)의 전방이 삽입되는 개방장홈(11)이 구비되어 있고 개방장홈(11)과 마주보는 후방에는 모터 구동부(4)를 통해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구이물 고정수단(3)의 후방이 삽입되는 삽입 회전부(12)가 구비되어 있으며 내부 양측에는 공간부(13)가 구비되어 있는 케이스(1)와, 상기 양측 공간부(13)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구이물 고정수단(3)에 구비되는 구이물의 크기를 자유로이 할 수 있으며 구이물에 가해지는 화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가스화염을 분출하는 버너부(2), 및 상기 버너부(2)의 외측인 열기가 차단되는 공간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고 상기 버너부(2)의 좌우 이동에 따라 연동되게 움직이는 개폐 밸브(281)를 포함한 하나 이상의 가스 공급관(28)으로 구성되고;
    상기 버너부(2)는, 외측에 구비되어 내측으로 발산되는 화염의 열이 버너부(2)의 외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열 차단판(29)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가스 구이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부(2)는,
    수직으로 세워지는 프레임(25)과,
    상기 프레임(25)에 구비되며 가스 공급관(28)을 통해 내부에 가스가 공급되는 내측이 개방된 하나나 높이를 달리하는 다수의 가스실(26)과,
    상기 가스실(26)의 내측에 구비되어 점화수단(263)을 통해 다수의 염공(262)에서 화염을 분출하는 하나 이상의 버너판(261)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구이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부(2)는,
    수직으로 세워지는 프레임(25)과,
    상기 프레임(25)에 구비되며 가스 공급관(28)을 통해 내부로 가스가 공급되며 내측에 염공(271)과 점화수단(272)이 구비된 하나나 높이를 달리하는 다수의 파이프 버너(2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구이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의 내부 공간의 하부에는,
    하판과 사이에 하부 공간부(14)를 두고 상기 버너부(2)가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올려지는 하나 이상의 지지대(5)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가스 구이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공간부(14)에는,
    전방으로 삽탈되는 기름받이(141)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가스 구이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5)는 버너부(2)가 상부에 올려져 버너부(2)의 좌우 이동을 안내하는 수평축(51)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가스 구이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부(2)의 하부에는 상기 각 수평축(51)에 삽입되어 버너부(2)가 좌우로 슬라이딩이 되게 하는 하부 개방 장홀을 포함하는 미끄럼 브라켓(21)이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버너부(2)의 하부에는 수평 탭부(221)가 포함되는 돌출 브라켓(22)이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 탭부(221)에는 외부 조작부(24)를 통해 회전되어 버너부(2)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하나 이상의 수평 나선축(23)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가스 구이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나선축(23)은 단일로 구성되며 양측은 왼나사 및 오른나사로 구성되며,
    상기 수평나선축(23)의 왼,오른나사의 각각에는 양 버너부(2)의 하부에 구비된 돌출 브라켓(22)의 수평 탭부(221)가 관통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가스 구이기.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조작부(24)는
    상기 수평 나선축(23)의 단부에 고정되어 케이스(1)의 외부에서 수동 회전을 통해 수평 나선축(23)을 회전시키는 핸들(241)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가스 구이기.
  10. 제 7항 또는 제 8항 있어서, 상기 외부 조작부(24)는,
    상기 수평 나선축(23)과 연결되어 있는 모터(242)와 케이스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모터(242)를 정역으로 구동시켜 수평 나선축(23)을 정역으로 회전시키는 작동 스위치(24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가스 구이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회전부(12)의 하부인 케이스(1)의 내부 후방에는 모터 구동부(4)를 통해 회전되며 구이물 고정수단(3)의 후방이 삽입되는 삽입 회전부(12)가 높이를 달리하여 하나 이상으로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삽입 회전부(12)와 마주보는 케이스의 전방에는 케이스(1)의 전면판의 상측에서 인출되어 구이물 고정수단(3)의 전방을 걸어주는 고리(61)가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고리 와이어(6)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가스 구이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 버너부(2)의 상부 외측에는 상기 케이스(1)의 상부에서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올려지는 구이물 재치판(18)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가스 구이기.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의 전면판 중앙에는 개방부(15)가 더 구비되어 이 개방부(15)에는 구이물의 구이 상태를 육안으로 식별하고 개폐가 가능한 투명창(151)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가스 구이기.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 버너부(2)의 사이인 케이스(1)의 전,후판의 상단에는 구이판(9)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가스 구이기.
  15. 제 1항 또는 제 11항 있어서, 상기 삽입 회전부(12)는, 상기 모터 구동부(4)를 통해 케이스(1)의 내부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전방에 한 쌍의 삽입홈(122)이 형성된 회전체(121)로 구성되고;
    상기 구이물 고정수단(3)은,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개방장홈(11)이나 고리 와이어(6)에 걸리는 회전봉(31)과 회전봉(31)의 후단에 구이물이 끼워질 수 있도록 양측으로 갈라져 구비되어 상기 회전체(121)의 삽입홈(122)에 삽입되는 양 꼬치봉(3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가스 구이기.
  16. 제 1항 또는 제 11항 있어서, 상기 삽입 회전부(12)는, 상기 모터 구동부(4)를 통해 케이스(1)의 내부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전방에 한 쌍의 삽입홈(122)이 형성된 회전체(121)로 구성되고;
    상기 구이물 고정수단(3)은, 수평의 구이판(33) 및 구이판(33)의 전방에 돌출되어 상기 개방장홈(11)이나 고리 와이어(6)에 걸리는 돌출축(34)과 구이판(33)의 후방에 돌출되어 상기 회전체(121)의 삽입홈(122)에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축(35)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가스 구이기.
  17. 제 1항 또는 제 11항 있어서, 상기 삽입 회전부(12)는, 상기 모터 구동부(4)를 통해 케이스(1)의 내부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전방에 한 쌍의 삽입홈(122)이 형성된 회전체(121)로 구성되고;
    상기 구이물 고정수단(3)은, 전,후방의 횡형대와 양측 종형대로 이루어진 직사각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방 횡형대의 중간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된 전방 돌출봉(361) 및 상기 후방에 구비되는 후방 돌출봉(362)으로 이루어진 고정 직사각링체(36)와, 상기 고정 직사각링체(36)를 구성하는 전,후방 돌출봉(361,362)에 전,후방 횡형대의 중간에 형성된 관통홀(371)이 관통 조립되고 상기 전,후방 횡형대의 양측에는 종형대가 구비된 직사각링 형상의 회전 직사각링체(37)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 직사각링체(36)의 후방 돌출봉(362)은 후방 횡형대의 중간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축(363)과, 이 축(363)의 후단에서 후방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전체(121)의 삽입홈(122)에 삽입되는 양 삽입축(364)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가스 구이기.
  18. 제 1항 또는 제 11항 있어서, 상기 버너부(2)는,
    상기 케이스(1)의 전,후면 상단에 버너부(2)가 걸릴 수 있도록 상부 전,후방에 돌출 구비된 돌출턱(30)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가스 구이기.
  19. 제 1항 또는 제 11항 있어서, 상기 케이스(1)는,
    가스 구이기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부에 다수로 구비된 케스터(16)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가스 구이기.
  20. 제 1항 또는 제 11항 있어서, 상기 케이스(1)는,
    가스 구이기를 테이블(8)에 구비된 개방홀(81)에 삽입되어 걸릴 수 있도록 둘레 돌출턱(17)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가스 구이기.
  21. 삭제
KR1020040078863A 2004-10-04 2004-10-04 회전식 가스 구이기 KR100635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8863A KR100635467B1 (ko) 2004-10-04 2004-10-04 회전식 가스 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8863A KR100635467B1 (ko) 2004-10-04 2004-10-04 회전식 가스 구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9984A KR20060029984A (ko) 2006-04-07
KR100635467B1 true KR100635467B1 (ko) 2006-10-18

Family

ID=37140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8863A KR100635467B1 (ko) 2004-10-04 2004-10-04 회전식 가스 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546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74367U (ko) 1976-11-17 1978-06-21
JPS63117447U (ko) 1987-01-26 1988-07-29
JP2001046237A (ja) 1999-08-12 2001-02-20 Meyake Seisakusho:Kk 回転式焼き物機
KR200297825Y1 (ko) 2002-09-09 2002-12-11 박재근 할로겐 히터 바베큐기
WO2004032693A2 (de) 2002-10-04 2004-04-22 Tan Mutfak Makina, Gida Sanayi Ve Ticaret Ltd. Sti. Drehspies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74367U (ko) 1976-11-17 1978-06-21
JPS63117447U (ko) 1987-01-26 1988-07-29
JP2001046237A (ja) 1999-08-12 2001-02-20 Meyake Seisakusho:Kk 回転式焼き物機
KR200297825Y1 (ko) 2002-09-09 2002-12-11 박재근 할로겐 히터 바베큐기
WO2004032693A2 (de) 2002-10-04 2004-04-22 Tan Mutfak Makina, Gida Sanayi Ve Ticaret Ltd. Sti. Drehspi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9984A (ko) 2006-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6834B1 (ko) 열전달이 용이한 회전식 구이기
KR20020061116A (ko) 바비큐 그릴 스핏 어셈블리
KR20120103012A (ko) 자동으로 작동되는 꼬치구이기
KR20100090673A (ko) 야외 구이기용 꽂이 회전장치
KR100610271B1 (ko) 회전식 숯불 구이기
KR100732337B1 (ko) 꼬지타입 육류 구이장치
KR101334913B1 (ko) 자동 숯불구이장치
KR100635467B1 (ko) 회전식 가스 구이기
KR200169888Y1 (ko) 회전식 고기구이기
KR20080054925A (ko) 회전식 바베큐 장치
KR200374786Y1 (ko) 회전식 숯불 구이기
CN213721531U (zh) 烹饪装置
KR100205120B1 (ko) 식탁설치용 바베큐 구이기
KR100684381B1 (ko) 회전식 전기 구이기
KR200166404Y1 (ko) 고기 구이기
KR100586732B1 (ko) 구이기
KR200157979Y1 (ko) 숯불바베큐기
KR100950183B1 (ko) 간접열을 이용한 균일 가열이 이루어지게 한 구이장치
KR200166344Y1 (ko) 맥반석통닭구이기
KR200411328Y1 (ko) 장군 적외선 구이통
KR20120007809U (ko) 회전 구이기
KR200169890Y1 (ko) 회전식 고기 구이기
KR200359418Y1 (ko) 소시지/핫도그 구이기
KR101823824B1 (ko) 복합 조리기기
KR200179457Y1 (ko) 회전식 고기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