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5440B1 - 맥문동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세포 보호 및 기억력 증진용조성물 - Google Patents

맥문동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세포 보호 및 기억력 증진용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5440B1
KR100635440B1 KR1020047015278A KR20047015278A KR100635440B1 KR 100635440 B1 KR100635440 B1 KR 100635440B1 KR 1020047015278 A KR1020047015278 A KR 1020047015278A KR 20047015278 A KR20047015278 A KR 20047015278A KR 100635440 B1 KR100635440 B1 KR 100635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ete delete
extract
composition
chloroform
methan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5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4826A (ko
Inventor
김성진
Original Assignee
김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진 filed Critical 김성진
Publication of KR20050004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4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5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5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0Fish, e.g. seahorses; Fish egg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eur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sychia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맥문동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세포 보호 또는 기억력 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각종 스트레스, 음주, 흡연 등 환경적 요인으로 인하여 뇌손상을 받고 있는 현대인들의 뇌세포 보호와 기억력의 증진을 유발하여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와 기억력 증진 효과를 유발하는 약제, 식품 및 음료에 이용할 수 있다.
맥문동, 뇌세포 보호, 기억증진, 치매

Description

맥문동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세포 보호 및 기억력 증진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liriopsis tuber for protecting brain cells and improving memory}
본 발명은 맥문동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세포 보호 또는 기억력 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뇌세포의 손상에 관여하는 중요한 인자중의 하나는 아미노산인 글루타메이트이다. 글루타메이트는 주로 4가지의 수용체 즉, NMDA (N-methyl-D-aspartate) 수용체, AMPA (L-α-amino-3-hydroxy-5-methyl-4-isoxazolepropionate)수용체, 카이네이트(Kainate) 수용체 및 1S,3R-ACPD 수용체에 결합하여 작용을 나타낸다[Craig CR, Stitzel RE, Modern Pharmacology with Clinical Applications, p293-302, 1997]. 뇌허혈과 같은 자극이 있을 경우, 뇌세포에 산소공급이 줄어들게 되고 결과적으로 혐기성 해당작용이 증가하며, 조직내의 에너지원인 ATP가 줄어 들어 이온펌프의 작용이 감소하게 되고, 세포외의 포타슘 이온의 양이 증가하여 신경세포막의 탈분극이 유도된다. 이렇게 되면 흥분성 신경전달물질이 분비되어 NMDA, AMPA, 카이네이트 수용체의 활성화로 인하여 뇌손상이 일어나게 된다.
흥분성 신경 전달물질에 의한 흥분성 독성(excito-toxicity)은 세포 스트레 스를 유발하여,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뇌졸증 및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등의 퇴행성 신경질환(neurodegenerative disorders)과 같은 병리학적 상태를 유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Haloween, B., Reactive oxygen species and the central nervous system. J. Neurochem. 59, p1609-1623, 1992; Coyle, J. T. 및 Puttfarcken, P., Oxidative stress, glutamate, and neurodegenerative disorders. Science 262, p689-695, 1993; Olanow, C. W., A radical hypothesis for neurodegeneration. Trends Neurosci. 16, p439-444, 1993]. 중추신경계의 퇴행성 신경질환(neurodegenerative disorders)은 때로 기억과 인지기능의 저하를 수반한다. 특히, 치매는 현대와 같은 고령화 사회의 중대한 문제로서, 그 원인으로 유전, 노화, 뇌손상, 흡연 및 음주와 같은 환경적 요인 및 기타 복합인자들을 들 수 있다. 치매로 고통 받는 환자들의 해마(hippocampus)가 많이 손상되며, 이는 뇌의 아세틸콜린 함량의 감소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 현재, 뇌의 아세틸콜린 양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아세틸콜린 에스테라제 억제제(acetylcholine esterase inhibitor)들이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에 임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외에도, 이러한 뇌손상을 억제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Gagliardi RJ, Neuroprotection, excitotoxicity and NMDA antagonists, Arq. Neuro-Psiquiatr. p58, 2000], 예를 들어, NMDA 길항제, AMPA 길항제, GABA 효능제, 세포내 칼슘감소제, 산화질소(nitric oxide) 억제제, 유리 라디칼 제거제(free radical scavenger), 나트륨 채널 억제제, 글루타메이트 유리 억제제, 성장인자, 산성화(acidosis), 저체온법(hypothermia), 칼륨 채널 활 성제(potassium channel activators)등의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NMDA 길항제로 도조사일핀(dozocyilpin) (MK 801), 셀포텔(selfotel), 세레스테이트(cerestat), 덱스트로메톨판(dextrometorfan) 등이 개발되었으나, 이 약물들은 저용량으로 투여시, 지각인지의 변화, 불쾌감, 안구진탕증(nystagmus), 저혈압 등을 유발하며, 고용량으로 투여시 흥분, 집착(paranoia), 환각과 같은 정신적인 부작용을 나타낸다. 또한, AMPA 길항제로 NBQX가 개발되었으나, 심각한 신장독성의 발현으로 의약품으로서의 실용가능성이 아주 낮다.
따라서, 독성이 없는 뇌보호제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AMPA 수용체의 활성화에 의한 신경세포 손상은 특히, 알츠하이머병과 관련된 전뇌 기저 콜린성 뉴런(basal forebrain cholinergic neurons: BFCNs)에 선택적으로 발생함으로써, AMPA 수용체는 알츠하이머병의 발생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즉, AMPA 길항제를 이용하여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개발을 시도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Weiss, J. H. et al., Basal forebrain cholinergic neurons are selectively vulnerable to AMPA/kainate receptor-mediated neurotoxicity. Neuroscience 60, p659-664].
인슐린 수용체는 말초조직에서는 주로 당 대사에 관여하지만, 중추신경계에서는 당 대사보다는 기억력 조절과 같은 신경활성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사실 인슐린 수용체는 뇌조직의 다양한 부분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특히 해마(hippocampus)에 과량으로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해마는 인슐린의 중추신경계에서의 작용에 중요한 표적이 되고 있다. 최근 인슐린과 인슐린 수용체의 활성화가 뇌에서 기억력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보고가 많이 제시되고 있다[Park, C. P., Seeley, R. J., Craft, S, and Woods, S. C. (2000) Intracerebroventricular insulin enhances memory in a passive avoidance task. Physiol. Behav. 68, 509-514; Zhao, W., Chen, H., Xu, H., Moore, E., Meiri, N., Quon, M. J., Alkon, D. L. (1999) Brain insulin receptors and spatial memory. J. Biol. Chem., 274, 34893-34902].
또한, ERK(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I/II는 성장인자들에 의한 세포막 수용체의 활성화로부터 세포의 증식, 분화 및 유전자 발현의 변화를 연결시켜주는 중요한 신호전달 단백질이며, 또한 이 같은 세포신호전달기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ERK(Extracellular signal Regulated Kinase) I/II의 활성화는 기억력 증진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고되었다(Siddhanti 등, Endocrinology, 136, 4834-4841 (1995); Hipskind and Bilbe, Front Biosci., 1, D804-816 (1998); Thiels, E, Klann, E.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synaptic plasticity, and memory. Rev. Neurosci. 12, 327-345 (2001); Sweat J. D. The neuronal MAP kinase cascade: a biochemical signal integration system subserving synaptic plasticity and memory. J. Neurochem. 76, 1-10, (2001)).
따라서, 아세틸콜린 에스테라제 억제제 뿐 아니라 인슐린 수용체와 ERK I/II의 활성화를 유도하는 물질을 기억력 증진제 또는 치매치료제로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각종 스트레스, 음주, 흡연 등 환경적 요인으로 인하 여 뇌 손상을 받고 있는 현대인들의 뇌세포 보호효과 및 기억력 증진효과를 유발하는 물질에 대한 오랜 연구 결과, 맥문동 추출물이 뇌세포 보호작용과 더불어 기억력 증진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맥문동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세포 보호 또는 기억력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맥문동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세포 보호 또는 기억력 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뇌세포 보호 또는 기억력 증진용 조성물은,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맥문동 추출물을 0.5~ 50 중량%로 포함한다.
맥문동(Liriopsis Tuber)은 백합과에 속하는 다년초로, 맥문동(활엽맥문동, Liriope platyphylla Wang et Tang), 소엽맥문동(연개초, Ophiopogon japonicus Ker-Gawl., O. stolonifer Levl. et Vant., Mondo japonicum (L.f.) Farwell) 및 개맥문동(대엽맥문동, Liriope spicata (Thunb.) Lour.)이 있으며, 주로 뿌리의 팽대부가 약용으로 사용된다. 글루코스(glucose), 과당(fructose), 수크로스(sucrose), 오피오포고논 A, B(opiopogonone A, B), 메틸오피오고논 A, B(methylopiogonone A, B), 오피오포고나논 A(ophiopogonanone A), 메틸오피오포고나논 A, B(methylopiopogonanone A, B), 호모이소플라보노이드 I~V(homoisoflavonoid I~V), 보르네올 글리코사이드(borneol glycoside), β-시토스테롤(β-sitosterol), 스티그마스테롤(stigmasterol), β-시토스테롤 글리코시드 (β-sitosterol glucoside), 올리고사카라이드(oligosaccharides), 폴리사카라이드(polysaccharides), 3-O-알파-L-팜노피라노실(1-2)-베타-D-글루코피라노실오피오게닌(3-O-alpha-L-Rhamnopyranosyl(1-2)-beta-D-glucopyranosylophiogenin), 5,7-디히드록시-6-포르밀-8-메틸-3-(3,4-메틸렌디옥시벤질)크로만-4-온(5,7-Dihydroxy-6-formyl-8-methyl-3-(3,4-methylenedioxybenzyl
)chroman-4-one), 6-알데히도-이소오피오포고나논 A(6-Aldehydo-isoophiopogonanone A), 6-알데히도-이소오피오포고논 A(6-Aldehydo-isoophiopogonone A), 6-알데히도-이소오피오포고논 B(6-Aldehydo-isoophiopogonone B), 6-알데히도-오피오포고논 A(6-Aldehydo-ophiopogonone A), 7-O-알파-L-아라비노퓨라노실(1-6)-베타-D-글루코피라노실보르네올(7-O-alpha-L-Arabinofuranosyl(1-6)-beta-D-glucopyranosylborneol), 7-O-베타-D-글루코피라노실-보르네올(7-O-beta-D-glucopyranosyl-borneol), 아제티딘-2-카르복실산
(Azetidine-2-carboxylic acid), 듀코스테롤(Daucosterol), 메틸오피오포고나논 A(Methylophiopogonanone A), 메틸오피오포고나논 B(Methylophiopogonanone B), 모노-O-아세틸오피오포고닌 D(Mono-O-acetylophiopogonin D), 오피오포곤 C(Ophiopogon C), 오피오포곤 아미드 Ⅵ(Ophiopogon amide VI), 오피오포곤 호모이소플라보노이드 Ⅰ(Ophiopogon homoisoflavonoid I), 오피오포곤 호모이소플라보노이드 Ⅱ(Ophiopogon homoisoflavonoid Ⅱ), 오피오포곤 호모이소플라보노이드 Ⅲ(Ophiopogon homoisoflavonoid Ⅲ), 오피오포곤 호모이소플라보노이드 Ⅳ(Ophiopogon homoisoflavonoid IV), 오피오포곤 호모이소플라보노이드 Ⅴ(Ophiopogon homoisoflavonoid V), 오피오포고나논 A(Ophiopogonanone A), 오피오포고닌 A(Ophiopogonin A), 오피오포고닌 B'(Ophiopogonin B'), 오피오포고닌 B(Ophiopogonin B), 오피오포고닌 C'(Ophiopogonin C'), 오피오포고닌 D(Ophiopogonin D), 오피오포고닌 D'(Ophiopogonin D'), 튤리파닌(Tulipanin), 비세닌 2(Vicenin 2), 25(S)-루스코게닌-1-O-알파-L-람노푸라노실(1-2)-베타-D-푸코피라노사이드(25(S)-Ruscogenin-1-O-alpha-L-rhamnopuyranosyl(1-2)-beta-D-fucopyranoside), 25(S)-루스코게닌-1-O-베타-D-크실로피라노실(1-3)-베타-D-푸코피라노사이드(25(S)-Ruscogenin-1-O-beta-D-xylopyranosyl(1-3)-beta-D-fucopyranoside), 아스테르 사포닌 Hb 메틸 에스테르(Aster saponin Hb methyl ester), Lm-2, Lm-3, Ls-2, Ls-3, Ls-4, Ls-5, Ls-6, Ls-7, 루스코게닌-1-설페이트-3-O-알파-L-람노피라노사이드(Ruscogenin-1-sulfate-3-O-alpha-L-rhamnopyranoside), 1-설페이트-3-O-알파-L-람노피라노실-루스코게닌(1-Sulfate-3-O-alpha-L-rhamnopyranosyl-ruscogenin), 루스코게닌-3-O-알파-L-람노피라노사이드(Ruscogenin-3-O-alpha-L-rhamnopyranoside), 루스코게닌-3-O-베타-D-글루코피라노실(1-3)-알파-L-람노피라노사이드(Ruscogenin-3-O-beta-D-glucopyranosyl(1-3)-alpha-L-rhamnopyranoside)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동양의약에서 진해, 거담, 자양, 강장, 이뇨, 지갈, 혈당조절, 구강건조, 변비 등에 사용된다(정보섭, 신민교저, 도해향약대사전, 영림사 p177-178, 1998년 및 신동의약보감 전통동양약물 데이터베이스(TradMed) 서울대학교 천연물과학연구소, 개정판, 1999년).
그러나, 지금까지 맥문동 추출물이 뇌세포 보호 또는 기억력 증진 효과가 있다는 보고는 없었다.
본 발명의 맥문동 추출물은 하기와 같은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제 1추출방법: 맥문동을 탄소수 1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 저급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아세톤,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테르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에서,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또는 메탄올과 물의 1:0.2~ 1.5 범위의 혼합용매에서 추출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때 반응온도는 5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5℃이 바람직하며, 반응시간은 15분 내지 48시간, 바람직하게는 30분 내지 12시간이 바람직하다.
이때 얻어진 용매 가용분획은 테르페노이드(terpenoids) 및 페놀성(phenolic) 물질들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제 2추출방법: 상기 제 1추출방법로부터 얻어진 용매 가용분획을 탄소수 1내지 4의 저급알콜 및 물의 혼합용매에 녹인 후, 산으로 pH 2~4로 조절하고, 동량의 클로로포름으로 더 추출함으로써 클로로포름 가용분획을 얻을 수 있다.
제3 추출방법: 상기 제 2 추출방법에 따라 얻어진 분획부 중 클로로포름 용매에 용해되지 않는 분획부를 수산화암모늄으로 pH 9~12로 조절하여 동량의 클로로포름:메탄올 혼합용매로 추출하고, 이중 클로로포름:메탄올 혼합용매에 용해되지 않는 분획부를 메탄올로 더 추출, 분획하여, 메탄올 가용분획 및 메탄올에 용해되 지 않는 물분획을 얻을 수 있다.
이때 클로로포름:메탄올 혼합용매의 혼합비는 1:0.1~1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로로포름에 용해되지 않은 분획부 중 클로로포름:메탄올 혼합용매로 추출시 용해된 분획부에는 대부분의 알칼로이드(alkaloids)들이 함유되어 있으며, 클로로포름:메탄올 혼합용매에 용해되지 않는 분획부 중 메탄올에 용해되는 분획부에는 4급 알칼로이드(quaternary alkaloids) 및 N-옥시드들이 함유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맥문동 추출물은 통상의 분획방법으로 추가의 분획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Harborne J.B. Phytochemical methods: A guide to modern techniques of plant analysis. 3rd Ed. pp 6-7, 1998).
본 발명의 맥문동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및 첨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 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문동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는 일반적으로 부형제 또는 희석제로 칭하는 물질도 함께 포함하며, 예를 들면,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이성화 당, 백당,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파라옥시벤조에이트, 메틸 파라옥 시벤조에이트, 파라옥시프로필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로 이루어진 군으로 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맥문동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첨가제로는, 천연 탄수화물, 향미제,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풍미제(합성 풍미제, 천연 풍미제 등), 착색제, 충진제(치즈, 초콜렛 등), 팩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화제 및 과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 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맥문동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맥문동 추출물의 사용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0.1 내지 500 mg/㎏의 양을 일일 1회 내지 수회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맥문동 추출물 및 그 분획물의 투여량은 투여경로, 질병의 정도, 성별, 체중, 나이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으며,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맥문동 추출물 자체는 독성 및 부작용은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맥문동 추출물은 또한,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와 함께,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와 같은 식품 또는 음료로 이용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맥문동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에 있어서, 맥문동 추출물은 식품 총 중량에 대해 0.1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맥문동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에 있어서, 맥문동 추출물은 음료 100㎖를 기준으로 1∼30g, 바람직하게는 3∼10g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품 또는 음료에 포함되는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로는, 천연 탄수화물, 향미제,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풍미제(합성 풍미제, 천연 풍미제 등), 착색제, 충진제(치즈, 초콜렛 등), 팩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산화 방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화제 및 과육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식품 또는 음료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1~25 중량부의 범위로 첨가제를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천연 탄수화물로는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 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및 크실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과 같은 당알콜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음료 조성물 100m1당 일반적으로 약 1∼20g, 바람직하게는 약 5∼12g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향미제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과 같은 천연 향미제; 및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향미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맥문동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 외에는 액체성분에 있어서 특별한 제한점은 없다.
도 1은 맥문동 추출물(분획 T)의 AMPA에 의한 신경세포 탈분극 억제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나타낸 값 (도1 B)은 평균±표준편차(n=5)이며, 대조군에 대한 유의성은 *: P<0.05이다.
도 2는 맥문동 추출물(분획 A, C, CM, M)의 AMPA에 의한 신경세포 탈분극 억제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나타낸 값은 평균±표준편차(n=5)이며, 대조군에 대한 유의성은 *: P<0.05, **: P<0.01 이다.
도 3은 맥문동 추출물(분획 T)의 기억력 증진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나타낸 값은 평균±표준편차(n=8)이며, 대조군에 대한 유의성은 *: P<0.05 이다.
도 4는 맥문동 추출물(분획 T, A, C, CM 및 M)의 기억력 증진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나타낸 값은 평균±표준편차(n=7)이며, 대조군에 대한 유의성은 *: P<0.05 이다.
도 5는 맥문동 추출물(분획 T, A, C 및 M)의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억제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나타낸 값은 평균±표준편차(n=6)이며, 대조군에 대한 유의성은 ***: P<0.001 이다.
도 6는 맥문동 추출물(분획 T, A, C 및 M)의 ERK I 및 ERK II 활성 증진효과를 나타낸다.
도 7는 맥문동 추출물(분획 T, A, C 및 M)의 인슐린 수용체 활성 증진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되나, 본 발명이 이들에 의해 제한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맥문동 추출물 제조
맥문동 250g을 세절하여 속실렛 장치를 이용하여 70% 메탄올 (750 ㎖)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여과한 후, 회전진공농축기(rotary evaporator: EYELA N-N Series)를 이용하여 감압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메탄올 조추출물을 얻었다(분획 T).
동결건조한 메탄올 추출물 10g을 다른 유기용매로 분획하기 위하여, 200 ㎖의 메탄올: 물 (4:1)에 녹인 후 2M 황산으로 pH 3으로 조절하여 동량의 클로로포름으로 3회 연속 추출하고 이를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클로로포름 가용분획 0.12g을 얻었으며(분획 C), 수용성이고 클로로포름에 불용성인 분획은 수산화암모늄으로 pH 10으로 조절한 후, 동량의 클로로포름:메탄올 (3:1)로 2회 추출하였다. 클로로포름:메탄올(3:1)에 녹는 층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클로로포름-메탄올 가용분획 0.09g을 얻었다(분획 CM), 수용성이고 클로로포름:메탄올(3:1)에 불용성 인 분획은 동량의 메탄올로 3회 추출,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를 수행하여 2.94g의 메탄올 가용분획 (분획 M)과 2.75g의 메탄올에 불용성인 분획(분획 A)을 각각 얻어, 이를 하기의 활성실험에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험예 1: 그리스 갭 분석시험(Grease Gap assay)
1) 실험방법
백서 대뇌피질의 "웨지(Wedges)"를 제조하여 두 구획의 브레인 배스(two compartment brain bath)에 장치한 후, 시험을 시행하였다[Harrison NL, Simmonds, MA, Quantitative studies on some antagonists of N-methyl D-aspartate in slices of rat cerebral cortex. Br. J. Pharmacol. 84, p381-391, 1985년]. 뇌를 신속히 꺼내어 뇌조직 절편기를 이용하여 앞쪽 2~3 mm를 제거하고, 나머지 부위를 수직으로 잘라 500~600 ㎛ 두께의 관상 절편(coronal section)을 제조하여 신속히 산화된 크랩스 배지(oxygenated Krebs medium)에 넣은 후, 정중선을 중심으로 2등분하여 대뇌피질과 뇌량(corpus callosum)을 포함하는 배측(dorsal) 피질면의 폭이 약 1.5 mm이고, 앞면(ventral surface)의 폭이 약 1 mm인 조직의 웨지를 제조하였다. 산소가 공급된 크렙스 배지에 상온에서 2시간 동안 배양한 후, 고압 실리콘 그리스(high vacuum silicone grease)를 발라서 높은 저항력을 갖는 밀봉이 형성되도록 한 장벽을 통하여 웨지들을 두 구획으로 구성된 뇌 챔버에 위치시켰다. 두 구획 모두 1분당 2 ㎖의 속도로 적어도 1시간 동안 크랩스배지를 관류시켰다. 맥문동 추출물(분획 T, A, C, CM 및 M)을 10㎍/㎖의 농도로 10분간 피질구획에 관류시 켰으며, 그후 흥분성 아미노산인 AMPA(α-amino-3-hydroxy-5-methyl-4-isoxazole propionic acid)를 40μM 농도을 2분간 적용시켰다. 두 구획사이의 d.c.전위를 Ag/AgCl 전극을 통하여 측정하고, 이를 증폭기(amplifier)를 통하여 증폭한 후 맥랩 데이타 포착시스템(McLab Data Acquisition System)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대조군들은 AMPA 만으로 수행되었다.
2) 실험결과
AMPA에 의한 신경세포의 탈분극(depolarization) 유발은 신경세포의 손상에 의한 자극의 척도로 간주되어지고 있다. 실험결과, 도 1A 및 도 1B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AMPA 40μM을 두 구획의 브레인 배스(two compartment brain bath)에 투여한 경우 0.44 mV의 탈분극이 유도되는 반면, 맥문동 추출물(분획 T)(10㎍/㎖)을 전처리하고 AMPA를 투여한 경우, 탈분극 정도가 0.24 mV로 현저히 줄어들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맥문동 추출물의 다른 분획들(분획 A, C 및 M)을 전처리한 결과, AMPA에 의한 탈분극을 각각 66%, 48%, 63% 억제함이 밝혀졌다(도 2).
따라서, 맥문동 추출물 중의 여러가지 성분들에 의하여 신경보호작용이 유발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NaNO 2 기억 시험
NaNO2에 의한 뇌의 산소대사 결핍과 기억 및 학습과 관련있는 콜린성 신경전도는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Schindler등, Nootropic drugs: Animal models for studying effects on cognition. Drug Develop Res 4: p567-576, 1984], 특히 NaNO2에 의한 뇌의 산화적 대사(oxidative metabolism) 장애와 콜린성 신경억제로 인한 기억장애는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다. 따라서 약물처리 후 NaNO2에 의한 사망유발 시간의 지연이 나타난다면 그것은 그 약물의 기억력 증가효과를 나타내는 척도의 하나로 간주될 수 있다.
1) 실험방법
웅성생쥐(20 g)에 맥문동 추출물(분획 T)을 10 mg/kg, P.O.로 투여하고, 60분 후에 NaNO2를 250 mg/kg, s.c.로 주사하고 호흡이 정지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호흡이 지속되는 시간을 대조군에 비교하여 기억향상효과를 평가하였다.
2) 실험결과
실험결과 도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NaNO2에 의한 뇌대사 장애로 인한 사망유도 시간에 비하여, 맥문동 추출물(분획 T) (10 mg/kg, P.O.)을 전처리한 경우 45%의 증가를 유발하므로써 맥문동 추출물에 의한 기억력 증가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3: 수동 회피 기억 시험 (Passive Avoidance Test)
1) 실험방법
웅성생쥐(20 g)에 맥문동 추출물(분획 T, 분획 A, 분획 C, 분획 CM, 분획 M)을 하루에 10 mg/kg, P.O.로 3일간 투여하고, 제미니 회피 시스템(Gemini Avoidance System, San Diego Instruments, USA) 을 이용하여 수동회피 기억시험을 시행하였다. 실험은 쿠마르 등의 방법을 기본으로 하여 약간의 수정을 가하여 다음과 같이 시행하였다[Kumar, V., Singh, P.N., Muruganandan, A. V., Bhattacharya. Effect of Indian Hypericum perforatum Linn on animal models of cognitive dysfunction. J. Ethnopharmacology 72, p119-128, 2000].
첫째 날의 트레이닝 실험에는, 마우스를 밝은 박스에 넣고 300초 동안 순화 (acclimation)시킨 후, 자동으로 문이 열리게 하여 어두운 박스로 이동하도록 한다. 어두운 박스로 이동하면 0.3 mA의 전기 자극을 1초간 가하였다. 트레이닝 세션이 끝나자마자, 곧 스코폴아민을 1 mg/kg 용량으로 복강투여 하였다. 24시간 후의 테스트 실험에는, 마우스를 밝은 박스에 300초 동안 순화시킨 후 문을 열어주어 어두운 박스로 이동하게 하였다. 이때 어두운 박스로 이동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둘째 날에는 전기자극을 주지 않았다. 만약, 마우스가 500초 동안 어두운 박스로 이동하지 않으면 최대 점수인 500초를 주었다.
2) 실험결과
도 4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첫째날의 실험에서는 실험 그룹 간에 유의성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도 4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둘째날의 테스트 실험에서는 스코폴아민(scopolamine) 처치로 치매가 유발된 마우스는 대조군에 비하여 83%의 기억능력이 떨어졌다. 하지만 맥문동 분획 T, A, C 및 M을 3일간 투여한 마우스의 경우, 스코폴아민에 의한 기억 장애를 각각 33%, 32%, 45%, 158% 까지 회복시키는 우수한 기억회복력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4: 엑스 비보에서의 콜린에스테라제 시험( Ex vivo Cholinesterase assay)
1) 실험방법
웅성 SD 랫트에 맥문동 추출물을 10mg/kg 용량으로 경구 투여하고 60분후에 뇌를 꺼내어 해마를 분리하고, 50mM Tris HCl, 1mM EDTA, 1 mM EGTA, 150 mM NaCl, 1% Triton X-100, 0.5 mM PMSF, 1 mM Na3VO4, 1 ㎍/㎖ 류펩틴(leupeptin), 1 ㎍/㎖ 아프로티닌(aprotinin)을 함유하는 분리 완충액에 넣은 후, 포터-엘베헴(Potter-Elvehjem) 호모게나이저를 이용하여 균질화 하였다. 비가용성 물질은 10,000 ×g의 속도로 20분간 4℃에서 원심분리하여 제거하였다. 분리된 해마를 분쇄한 후 콜린에스테라제(cholinesterase) 활성을 엘만(Ellman) 등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Ellman, G. L., Courtney, K. D., Andres, V., Featherstone, R. M. A new and rapid colorimetric determination of acetylcholinesterase activity. Biochem. Pharmacol. 7, 88-95.1961]. 3 ㎖의 완충액 Ⅰ(buffer I; 100 mM phosphate, pH 8.0), 0.2 ㎖의 75 mM 아세틸티오콜린 요오드화물(acetylthiocholine iodide) 및 0.1㎖ 의 완충 엘만 시약(buffered Ellmans reagent; DTNB 10 mM, NaHCO3 15 mM)을 혼합하고 10분간 25℃에서 반응시켰다. 이 반응물에 20㎕의 해마 분해질(lysate)을 넣고 30초 간격으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퍼센트 억제율을 대조군과 비교하여 계산하였다.
2) 실험결과
맥문동 분획 T, A, C 및 M을 투여했을 때, 대조군에 비하여 해마 콜린에스테라제 활성도(hippocampal cholinesterase activity)를 각각 56%, 64%, 56% 및 44% 억제하였다(도 5).
실험예 5: ERK I/II 활성에 미치는 효과
1) 실험방법
맥문동 추출물이 ERK(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I/II의 활성에 미치는 효과를 다음과 같이 조사하였다.
맥문동 추출물의 각 분획을 랫트에 10 mg/kg의 농도로 경구 투여하고, 1시간 후에 해마를 분리하고 상기 분리완충액 (실험예 4에서 제조된 것)에 넣고 포터-엘베헴 호모게나아제(Potter-Elvehjem homogenizer)를 이용하여 균질화한 후,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소듐 도데실 설페이트 폴리아크릴아마이드젤 전기영동(SDS-PAGE) 및 아래에 기재된 웨스턴 블럿팅에 의해 ERK I/II 활성을 측정하였다.
에스디에스 폴리아크릴아마이드젤 전기영동(SDS-PAGE)을 수행하기 위하여 동일한 함량의 단백질을 함유하는 30 ㎕ 시료를 적용하였다. 5× 램리 시료 완충액(Laemmli's sample buffer)를 가하여 물에서 5분간 끓인 후 로딩하여 100 V로 전기영동하였다. SDS-PAGE는 분리 젤 7.5 %를 사용하였다. SDS-PAGE 시행후, 미니 트랜스-블럿 일렉트로포레틱 트랜스퍼 셀(Mini Trans-Blot Electrophoretic Transfer Cell(Bio-Rad))을 이용하여 100 V에서 1시간 동안 니트로셀룰로스 막으로 단백질을 이동, 부착시켰다. 0.1 % 트윈 20을 포함하는 PBS 용액(PBS-T)에 5 % 탈지우유를 녹여 만든 블로킹 용액에, 니트로셀룰로스 막을 담가 4℃ 냉장고에서 하룻밤을 배양하였다. 니트로셀룰로스 막에 1차 항체(anti ERK I/II Ab와 anti-phospho ERK I/II Ab; New England Biolab사제, USA)를 PBS-T에 1:1000으로 희석한 용액을 가하여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니트로셀룰로스 막을 PBS-T로 15분간 1회, 5분간 3회 세척한 후, 2차 항체로서 서양고추냉이 퍼옥시다제(horseradish peroxidase)에 결합된 염소 항-토끼 IgG(Pierce)를 PBS-T에 1:1000으로 희석한 용액을 가하여 40분간 반응시켰다. ERK 2(42 kDa) 단백질의 밴드를 증진된 화학발광(enhanced chemiluminescence (ECL), Pierce) 방법을 써서 확인하였다(Harlow E. and Lane D., Antibodies: A laboratory manual., 726, 1988).
2) 실험결과
실험결과, 인산화되어 활성화된 포스포-ERK I/II(phospho-ERK I/II)는 맥문동 추출물(분획 T, A, C 및 M)의 투여 후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히 증가하였다(도 6A). 한편 ERK I/II의 단백질 함량은 대조군과 투여군 모두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도 6B). 이 결과로부터 맥문동 추출물 분획 T, A, C 및 M이 랫트 해마의 ERK I/II를 활성화시켜 기억력 증진 작용을 일으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6: 인슐린 수용체 활성에 미치는 효과
인슐린 수용체의 활성화는 기억력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인슐린 수용체의 활성화는 인슐린 수용체 β서브유닛의 타이로신 인산화를 통하여 유도되므로, 맥문동 추출물이 인슐린 수용체의 활성에 미치는 효과를 다음과 같이 시험하였다. .
1) 실험방법
맥문동 추출물의 각 분획을 랫트에 10 mg/kg의 농도로 경구 투여하고 1시간 후에 해마를 분리하고 해마 중량의 4배의 완충액 (50mM Tris HCl, 1mM EDTA, 1 mM EGTA, 150 mM NaCl, 1% triton X-100, 0.5 mM PMSF, 1 mM Na3VO4, 1 ㎍/㎖ leupeptin, 1 ㎍/㎖ aprotinin)에 넣은 후, 포터-엘베헴 호모게나이저(Potter-Elvehjem homogenizer)를 이용하여 균질화하였다. 이후 하기와 같이 면역침강반응 및 소듐 도데실 설페이트 폴리아크릴아마이드 전기영동(SDS-PAGE), 및 웨스턴 블럿팅에 의해 인슐린 수용체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균질화한 해마 분해질(lysate) 100㎕를 완충액 (0.5M NaCl, 1% NP-40, 10% deoxycholate, 0.1% SDS) 100㎕에 혼합하고 1시간 동안 4℃에 반응시킨 후, 용해된 단백질들은 원심분리를 수행하여 분리하였다. 상등액에 인슐린 수용체 항체(Transduction laboratories) 5㎕를 넣었다. 그 후 1시간 동안 로터를 이용하여 회전하면서 반응시키고, 단백질 A 세파로스(protein A Sepharose) 20 ㎕를 가한 후 4℃에서 1시간 동안 로터를 이용하여 반응시켰다. 이 면역복합체는 원심분리를 수행하여 침전시켰다. 그 침전물을 세척 완충액(wash buffer) A (0.01M Tris, pH 7.4, 1M NaCl, 1% Nonidet P-40), B (0.01M Tris, pH 7.4, 0.1M NaCl, 0.01M EDTA, 1% Nonidet P-40, 0.3% SDS) 및 C (0.01M Tris, pH 7.4, and 1% Nonidet P-40) 로 순서대로 세척하였다. 최종 침전물은 100 mM 디티오트레이톨(dithio threitol)을 함유하는 램리 시료 완충액(Laemmli's sample buffer)에 용해시키고, 5분간 끓인 후, 소형 원심분리기에 넣고 원심분리하였다. 그리고 상등액을 취하여 7.5% 분리젤에 적용하여 에스디에스 폴리아크릴아미이드 젤 전기영동(SDS-PAGE)을 시행하였다. 전기영동 후 웨스턴 블롯반응을 실험예 3에서와 동일하게 시행하였으며 항체는 포스 포타이로신 Ab(phosphotyrosine Ab; Transduction laboratories)를 이용하여 인슐린 수용체 β서브유닛(Insulin receptor βsubunit)의 타이로신 인산화를 관찰하였다.
2) 실험결과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맥문동 추출물 분획 T는 강력하게 인슐린 수용체를 활성화시켰으며, 분획 C도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히 인슐린 수용체를 활성화하는 작용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인슐린 수용체의 활성화가 실험예 3에서 나타난 분획 T와 분획C에 의한 기억력 증진효과에 지대한 역할을 하고 있음이 알 수 있다.
제제예 1. 정제
하기의 조성에 따라, 통상의 정제 제조방법으로 각각 제제화하였다.
1-1. 정제 조성물
맥문동의 메탄올 추출물 500.0 mg
유당 500.0 mg
탈크 5.0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1.0 mg
1-2. 정제 조성물
맥문동의 메탄올 추출물의 클로로포름 분획 50.0 mg
유당 50.0 mg
탈크 0.5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1 mg
1-3. 정제 조성물
맥문동의 메탄올 추출물의 메탄올 분획 50.0 mg
유당 50.0 mg
탈크 0.5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1 mg
1-4. 정제 조성물
맥문동의 메탄올 추출물의 메탄올 비가용 분획 50.0 mg
유당 50.0 mg
탈크 0.5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1 mg
제제예 2. 캡슐제
하기의 조성에 따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맥문동 추출물을 체질하여 부형제와 혼합한 후, 젤라틴 캡슐중에 충전하여 캡슐을 제조하였다.
2-1. 캡슐제 조성물
맥문동의 메탄올 추출물 500.0 ㎎
전분 1500 10.0 ㎎
스테아르산마그네슘 BP 100.0 ㎎
2-2. 캡슐제 조성물
맥문동의 메탄올 추출물의 클로로포름 분획 50.0 ㎎
전분 1500 1.0 ㎎
스테아르산마그네슘 BP 10.0 ㎎
2-3. 캡슐제 조성물
맥문동의 메탄올 추출물의 메탄올 분획 50.0 ㎎
전분 1500 1.0 ㎎
스테아르산마그네슘 BP 10.0 ㎎
2-4. 캡슐제 조성물
맥문동의 메탄올 추출물의 메탄올 비가용 분획 50.0 ㎎
전분 1500 1.0 ㎎
스테아르산마그네슘 BP 10.0 ㎎
제제예 3. 시럽제
하기의 조성에 따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시럽제를 제조하였다. 먼저 정제수에 백당을 용해시키고 파라옥시벤조에이트, 파라옥시프로필벤조에이트 및 맥문동 추출물을 가하여 60℃에서 용해시킨 후 냉각하고, 정제수를 가하여 150 ㎖로 만들었다.
3-1. 시럽제 조성물
맥문동의 메탄올 추출물 5.0 g
백당 95.1 g
파라옥시벤조에이트 80.0 ㎎
파라옥시프로필벤조에이트 16.0 ㎎
정제수 to 150 ㎖
3-2. 시럽제 조성물
맥문동의 메탄올 추출물의 클로로포름 분획 50.0 mg
백당 95.1 g
파라옥시벤조에이트 80.0 ㎎
파라옥시프로필벤조에이트 16.0 ㎎
정제수 to 150 ㎖
3-3. 시럽제 조성물
맥문동의 메탄올 추출물의 메탄올 분획 50.0 mg
백당 95.1 g
파라옥시벤조에이트 80.0 ㎎
파라옥시프로필벤조에이트 16.0 ㎎
정제수 to 150 ㎖
3-4. 시럽제 조성물
맥문동의 메탄올 추출물의 메탄올 비가용 분획 50.0 mg
백당 95.1 g
파라옥시벤조에이트 80.0 ㎎
파라옥시프로필벤조에이트 16.0 ㎎
정제수 to 150 ㎖
제제예 4. 액제
하기의 성분을 통상의 액제 제제방법으로 제제화하고, 갈색병에 충전하여 액제를 제조하였다.
4-1. 액제 조성물
맥문동의 메탄올 추출물 500.0 mg
이성화당 20.0 g
산화방지제 5.0 mg
메틸 파라옥시벤조에이트 2.0 mg
정제수 to 100.0 ㎖
4-2. 액제 조성물
맥문동의 메탄올 추출물의 클로로포름 분획 500.0 mg
이성화당 20.0 g
산화방지제 5.0 mg
메틸 파라옥시벤조에이트 2.0 mg
정제수 to 100.0 ㎖
4-3. 액제 조성물
맥문동의 메탄올 추출물의 메탄올 분획 500.0 mg
이성화당 20.0 g
산화방지제 5.0 mg
메틸 파라옥시벤조에이트 2.0 mg
정제수 to 100.0 ㎖
4-4. 액제 조성물
맥문동의 메탄올 추출물의 메탄올 비가용 분획 500.0 mg
이성화당 20.0 g
산화방지제 5.0 mg
메틸 파라옥시벤조에이트 2.0 mg
정제수 to 100.0 ㎖
제제예 5. 산제
하기의 성분을 통상의 산제의 제조방법으로 혼합하고, 봉지에 넣어 밀봉한 후 산제를 제조하였다.
5-1. 산제 조성물
맥문동의 메탄올 추출물 50.0 mg
유당 100.0 mg
탈크 5.0 mg
5-2. 산제 조성물
맥문동의 메탄올 추출물의 클로로포름 분획 50.0 mg
유당 100.0 mg
탈크 5.0 mg
5-3. 산제 조성물
맥문동의 메탄올 추출물의 메탄올 분획 50.0 mg
유당 100.0 mg
탈크 5.0 mg
5-4. 산제 조성물
맥문동의 메탄올 추출물의 메탄올 비가용 분획 50.0 mg
유당 100.0 mg
탈크 5.0 mg
제제예 6. 주사제
하기의 성분을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으로 2.0 ㎖의 용량의 앰플에 충전하고, 멸균시켜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6-1. 주사제 조성물
맥문동의 메탄올 추출물 50.0 mg
산화방지제 1.0 mg
트윈 80 1.0 mg
주사용 증류수 to 2.0 ㎖
6-2. 주사제 조성물
맥문동의 메탄올 추출물의 클로로포름 분획 50.0 mg
산화방지제 1.0 mg
트윈 80 1.0 mg
주사용 증류수 to 2.0 ㎖
6-3. 주사제 조성물
맥문동의 메탄올 추출물의 메탄올 분획 50.0 mg
산화방지제 1.0 mg
트윈 80 1.0 mg
주사용 증류수 to 2.0 ㎖
6-4. 주사제 조성물
맥문동의 메탄올 추출물의 메탄올 비가용 분획 50.0 mg
산화방지제 1.0 mg
트윈 80 1.0 mg
주사용 증류수 to 2.0 ㎖
제제예 7.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및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만들었다. 검정콩, 검정깨 및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만들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건조 맥문동 추출물을 다음의 비율로 배합하여 과립을 만들었다.
7-1. 선식 제조예
곡물류 : 현미 30중량%, 율무 15중량%, 보리 20중량%, 찹쌀 9%
종실류 : 들깨 7중량%, 검정콩 8중량%, 검정깨 7중량%,
맥문동 메탄올 추출물 건조분말 : 3 중량%, 영지 0.5중량%, 지황 0.5중량%
7-2. 선식 제조예
곡물류 : 현미 30중량%, 율무 15중량%, 보리 20중량%, 찹쌀 9%
종실류 : 들깨 7중량%, 검정콩 8중량%, 검정깨 7중량%,
맥문동의 메탄올 추출물의 클로로포름 분획물 건조분말 : 3 중량%, 영지 0.5중량%, 지황 0.5중량%
7-3. 선식 제조예
곡물류 : 현미 30중량%, 율무 15중량%, 보리 20중량%, 찹쌀 9%
종실류 : 들깨 7중량%, 검정콩 8중량%, 검정깨 7중량%,
맥문동의 메탄올 추출물의 메탄올 분획물 건조분말 : 3 중량%, 영지 0.5중량%, 지황 0.5중량%
7-4. 선식 제조예
곡물류 : 현미 30중량%, 율무 15중량%, 보리 20중량%, 찹쌀 9%
종실류 : 들깨 7중량%, 검정콩 8중량%, 검정깨 7중량%,
맥문동의 메탄올 추출물의 메탄올 비가용 분획물 건조분말 : 3 중량%, 영지 0.5중량%, 지황 0.5중량%
맥문동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뇌세포 손상으로 발생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 효과 뿐 아니라 기억력 향상 유발 효과를 나타내며, 각종 환경적 스트레스로 인한 뇌 손상의 위험을 안고 있는 현대인의 뇌세포 보호 기능 및 치매환자를 포함하는 기억력이 저하된 사람에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46)

  1. 맥문동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세포 보호 또는 기억력 증진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맥문동 추출물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5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맥문동 추출물이 맥문동을 탄소수 1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 저급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아세톤,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테르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에서 추출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맥문동 추출물이 제 3항에 따른 방법으로 얻어진 용매 가용분획을 탄소수 1내지 4의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에 녹이고 산으로 pH 2~4로 조절한 후, 동량의 클로로포름으로 더 추출, 분획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맥문동 추출물이 제 3항에 따른 방법으로 얻어진 용매 가용분획을 탄소수 1내지 4의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에 녹이고 산으로 pH 2~4로 조절하여 동량의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한 후, 클로로포름에 용해되지 않는 분획부를 수산화암모늄으로 pH 9~12로 조절하여 동량의 클로로포름:메탄올 혼합용매로 추출하고, 이중 클로로포름:메탄올 혼합용매에 용해되지 않는 분획부를 메탄올로 더 추출, 분획하여 메탄올에 용해되는 분획으로부터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맥문동 추출물이 제 3항에 따른 방법으로 얻어진 용매 가용분획을 탄소수 1내지 4의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에 녹이고 산으로 pH 2~4로 조절하여 동량의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한 후, 클로로포름에 용해되지 않는 분획부를 수산화암모늄으로 pH 9~12로 조절하여 동량의 클로로포름:메탄올 혼합용매로 추출하고, 이중 클로로포름:메탄올 혼합용매에 용해되지 않는 분획부를 메탄올로 더 추출, 분획하여, 메탄올에 용해되지 않는 분획으로부터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희석제 또는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1항에 따른 조성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를 포함하는 식품.
  10. 제9항에 있어서, 맥문동 추출물이 식품 총 중량에 대하여 0.1~1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가 천연 탄수화물, 향미제, 영양제, 비타민, 광물, 풍미제, 착색제, 충진제, 팩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화제 및 과육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 임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12. 제1항에 따른 조성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를 포함하는 음료.
  13. 제12항에 있어서, 맥문동 추출물이 음료 100㎖에 대해 1~30g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가 천연탄수화물, 향미제, 영양제, 비타민, 광물, 풍미제, 착색제, 충진제, 팩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화제 및 과육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 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15. 제1항에 있어서, 맥문동 추출물이 0.1~500 mg/kg의 양으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6. 제15항에 있어서, 맥문동 추출물이 일단위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조성물.
  17. 제15항에 있어서, 경구투여, 국소적용, 멸균주사, 흡입 및 직장투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루트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8. 제1항에 있어서, 퇴행성 신경질환 또는 치매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뇌세포 보호 또는 기억력 증진용 조성물.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KR1020047015278A 2002-03-29 2003-03-26 맥문동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세포 보호 및 기억력 증진용조성물 KR1006354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20017233 2002-03-29
KR1020020017233 2002-03-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4826A KR20050004826A (ko) 2005-01-12
KR100635440B1 true KR100635440B1 (ko) 2006-10-17

Family

ID=28673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5278A KR100635440B1 (ko) 2002-03-29 2003-03-26 맥문동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세포 보호 및 기억력 증진용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20050238741A1 (ko)
KR (1) KR100635440B1 (ko)
AU (1) AU2003215958A1 (ko)
CA (1) CA2480436C (ko)
WO (1) WO200308230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8861B1 (ko) 2013-03-08 2013-05-29 주식회사 대호양행 요한초 주정추출물의 수용화 분말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07298B (zh) * 2017-11-21 2021-08-24 绵阳市农业科学研究院 一种具有美毛作用的麦冬宠物饲料添加剂
CN114767783B (zh) * 2022-04-26 2023-04-28 澳门大学 麦冬提取物在制备预防或治疗帕金森病的药物中的应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9182A (en) * 1993-12-06 1996-12-31 Tashiro; Renki Compositions and method of treating cardio-, cerebro-vascular and alzheimer's diseases and depression
KR20010073614A (ko) * 2000-01-19 2001-08-01 윤표진 맥문동을 주재로 한 한약재술 및 그 제조방법
US6416806B1 (en) * 2000-03-20 2002-07-09 James H. Zhou Herbal caffeine replacement composition and food products incorporating same
KR100391195B1 (ko) * 2000-09-29 2003-07-16 이인자 맥문동 열수추출을 이용한 다기능음료제조방법
KR100449245B1 (ko) * 2001-08-23 2004-09-18 주식회사 내츄로바이오텍 맥문동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경성 질환 치료용 조성물
KR100451455B1 (ko) * 2001-11-23 2004-10-06 김순동 맥문동 음료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8861B1 (ko) 2013-03-08 2013-05-29 주식회사 대호양행 요한초 주정추출물의 수용화 분말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480436C (en) 2014-11-18
US20190030087A1 (en) 2019-01-31
CA2480436A1 (en) 2003-10-09
WO2003082309A1 (en) 2003-10-09
US20050238741A1 (en) 2005-10-27
AU2003215958A1 (en) 2003-10-13
KR20050004826A (ko) 2005-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73821B2 (ja) 桑椹子およびブクリョウ皮の混合抽出物を含有する退行性神経疾患の予防、改善または治療用組成物
WO2013055127A2 (ko) 어성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매, 파킨슨병 또는 간질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7514104B2 (en) Composition containing an extract of pericarpium zanthoxyli for protecting brain cells and improving memory
KR101307501B1 (ko) 민들레 열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질환의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798639B1 (ko) 복분자, 석곡 또는 고련피의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스트레스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793503B1 (ko) 퇴행성 뇌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6186349A2 (ko) 사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190030087A1 (en)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Liriopsis Tuber for Protecting Brain Cells and Improving Memory
KR101569813B1 (ko) 생약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질환 또는 신경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860540B1 (ko) 포도나무 수피로부터 분리된 bace-1 저해 효과를 갖는활성물질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조성물
KR20180131770A (ko) 황련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629624B1 (ko) 항염증 활성을 갖는 복분자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0523462B1 (ko) 노루오줌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아스틸빅산 및펠토보이키놀릭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항염증 또는 항알러지조성물
KR100550358B1 (ko) 쥐눈이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알츠하이머씨병을 비롯한 노인성 치매, 중증 근무력증, 위장관 및 방광평활근의 무력증, 및 녹내장 질환에 유효한 식품 및 사료
KR20150043867A (ko) 생약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질환 또는 신경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117501A (ko) 신경세포 손상 개선 또는 신경세포 사멸 억제용 조성물
KR20220170316A (ko) 퇴행성 질환을 예방 및 치료하고 기억력을 높이는 뇌 세포 보호 효과를 유도하는 건강보조식품
KR100665087B1 (ko) 진세노사이드 Rg5 및 Rk1을 함유하는 뇌기능 및인지기능 개선을 위한 조성물
WO2013133677A1 (ko) 홍삼 추출물의 감식초 반응 혼합물을 함유한 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50116199A (ko) 인지력 향상효과를 갖는 음양곽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20040102871A (ko) 노루오줌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아스틸빅산 및펠토보이키놀릭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항염증 또는항알러지 조성물
KR20220075968A (ko) 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 신경질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의약 조성물
KR20040069413A (ko) 신경보호 활성을 갖는 팔카린디올 유도체를 포함하는 약학조성물
KR20230087210A (ko) 한삼덩굴 잎 추출물, 고욤나무 잎 추출물, 생강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166610A (ko) 천초 추출물을 함유한 무독성 뇌보호 증진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