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3614A - 맥문동을 주재로 한 한약재술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맥문동을 주재로 한 한약재술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3614A
KR20010073614A KR1020000002374A KR20000002374A KR20010073614A KR 20010073614 A KR20010073614 A KR 20010073614A KR 1020000002374 A KR1020000002374 A KR 1020000002374A KR 20000002374 A KR20000002374 A KR 20000002374A KR 20010073614 A KR20010073614 A KR 20010073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ggets
days
ginseng
mal
li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2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표진
Original Assignee
윤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표진 filed Critical 윤표진
Priority to KR1020000002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73614A/ko
Publication of KR20010073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3614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약재로 빚은 술에 관한 것이다. 한약재들이 가지고 있는 효능을 술로 빚어서 복합적인 효과를 얻기 위하여 맥문동, 생지황, 하수오, 천문동, 숙지황, 구기자, 우술, 당귀, 인삼을 각각 조쇄(粗碎)하고 황미(黃米 : 점소미)를 증숙하여 상기 생약재 분말과 누룩을 함께 혼합한 후 물을 가하여 소나무통에서 10∼25일 발효시켜 술을 빚음으로써 한약재의 여러 가지 효능이 나타나는데 특히 맥문동을 주재로 하므로 심장을 보호하고 폐를 맑게 하며 정신과 맥박을 안정되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인삼의 항산화 물질(사포닌)을 비롯한 이들 한약재들이 갖는 상승작용에 의하여 노화방지, 정력증진, 탈모·변색방지, 혈액순환 촉진, 자율신경작용 활성화에 의한 에너지소비 활성화로 체지방을 감소시키는 부작용없는 비만방지 등 성인병 예방 및 보약의 효능과 함께 한약재들이 발효되면서 조화되어 소나무통에서 숙성되는 동안 이들 한약재가 어우러진 특유의 향취미를 즐길 수 있는 한약재술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맥문동을 주재로 한 한약재술 및 그 제조방법{Rice wine fermented with herbs including Maekmoondoong, and manufacturing process of it}
본 발명은 한약재로 빚은 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맥문동을 주재로 한 한약재들을 누룩으로 빚는 한약재술에 관한 것이다. 술의 주성분인 알코올 자체는 일반적으로 인체에 좋은 영향을 끼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한방에서는 한약재를 복용할 때 인체에 한약재의 유효성분이 체내에 잘 흡수 되도록 술과 함께 복용하기도 한다. 한약처방의 특징은 어느 한약재 하나의 효과보다는 각 한약재들의 유기적인 결합에 의한 상승효과를 얻는 데에 있다. 한약처방에 의하면 부작용을 가져오지 않으면서 회춘(回春), 정력증진, 모발의 변색·탈모방지, 비만방지 등 서양의학에서 찾아볼 수 없는 성인병 예방 내지 치료효과를 가져오는 놀라운 사실이 속속 밝혀지고 있다. 이와 같이 오랜 경험이나 동의보감 등 한의서에 의하여 인체에 유효한 한약성분을 술로 복용하기 위하여 종래에도 과실주나 한약재로 만든 술이 있었지만 매실주나 오가피주와 같이 한 두 가지 종류의 재료로 술을 만들었기 때문에 한약재의 복합처방에 의한 여러 가지 한약재들의 상승효과를갖지 못하였고, 또한 이들 시판 술은 매실이나 오가피 등을 소주 등의 알코올 용매에 담아서 과일이나 한약재의 용질을 추출(Extract)한 침출주에 불과하고 한약재를 직접 발효시킨 것은 아니므로 엄격한 의미의 한약재 술은 아니었고 또한, 한약재를 누룩으로 빚어 한약재들의 조화된 향취미를 맛볼 수 있는 한약재 술은 없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한약재를 원료로 한 술의 단조로움을 해소하고 한약재들이 가지고 있는 효능을 술로 빚어서 소량씩 복용함으로써 한약재들의 상승된 효능뿐 아니라 그 조화된 향취미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약재 중에서 성인병 예방에 유효하고 보신(補身)의 기능을 가지면서 술로 빚어 조화될 수 있는 약재를 선발하여 누룩과 함께 발효시켜서 한약재의 특유한 향취미를 즐길 수 있는 명실 공히 한약재 술을 빚는데 본 발명의 특징이 있다.
동의보감에 의하면 한약재 중 맥문동(麥門冬)은 보심(補心), 청폐(淸肺)하고 정신을 보호하며 맥난(脈難)을 정(定)하고, 생지황(生地黃)은 해열하고 어혈(瘀血)을 쫓으며 이뇨(利尿)를 돕고 출혈을 다스리며, 하수오(何首烏)는 근골(筋骨)을 강하게 하고 골수(骨髓)를 메우며 모발(毛髮)을 검게하고 주안연년(駐顔延年) 즉 얼굴을 항상 젊게 하고 나이를 연장시키며, 천문동(天門冬)은 폐질환을 고치고 신기(腎氣)를 통(通)하게 하여 심진정(心鎭定), 보냉(補冷)하며 얼굴빛을 좋게 하고, 숙지황(熟地黃)은 보혈(補血)하고 수염과 머리털을 검게하며, 구기자(枸杞子)는 근골 (筋骨)과 음(陰)을 강(强)하게 하고 정기(精氣)를 보하고 안색을 좋게하며, 명목(明目), 안신(安神), 장수(長壽)하게 한다. 또한 은 십이경맥(十二經脈)과 피의 생성을 도우며 관절통 등을 다스리는 등 신경계통과 경맥에 좋으며, 당귀(當歸)는 피를 생성하고 심장과 허한 것을 보하며 어혈(瘀血)을 내몰고, 인삼(人蔘)은 장기(臟氣)의 부족(不足)을 치료하고 안심(安心), 명목(明目)한다라고 기재되어 있으며 특히 최근 연구(한국인삼연초연구소, 경희대의대)에 의하면 인삼은 사포닌(Saponin) 성분에 의한 항산화작용 등으로 노화방지, 숙취제거(알콜 해독), 정력증진, 모발의 변색·탈모 방지는 물론 자율신경활성화에 의한 비만증 해소 효능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온바 있고, 황미(黃米 : 시판 또는 계약 재배로 구득할 수 있음)는 예로부터 선가(仙家)에서 황미로 만든 술을 중하게 여긴다고 전래되고 있어 이들 한약재를 복방(複方) 차원에서 배합하여 누룩(시판)으로 발효시켜 본 발명의 술을 빚는 것으로 배합비율과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증숙한 황미 2.5∼5말(45.1∼90.2ℓ)과 분쇄(粉碎)한 누룩 6∼12되(10.824∼21.648ℓ)를 물 7.5∼15말(135.3∼270.6ℓ)에 넣고 20℃이하에서 4∼5일간 1차 발효시키고(이 때 잡균이 생기지 않도록 산도(pH)를 조절할 수 있다), 1차 발효 시킨 것에 맥문동 30∼50냥(1,125∼1,875g), 생지황 10∼30냥(375∼1,125g), 하수오 10∼30냥(375∼1,125g), 천문동 5∼15냥(187.5∼562.5g), 숙지황 5∼15냥 (187.5 ∼562.5g) , 구기자 5∼15냥(187.5∼562.5g), 우술 5∼15냥(187.5∼562.5g), 당귀5∼15냥(187.5∼562.5g), 인삼 5냥(187.5g)을 각각 분쇄(紛碎)한 것과 증숙한 황미(黃米) 7.5∼20말(135.3∼360.8ℓ)와 분쇄한 누룩 약 16∼40되(28.864∼72.16ℓ)를 넣고 소나무통에서 10∼25일 상온에서 2차 발효시켜 술을 빚는다. 이 때 온도는 20-25℃의 비교적 낮은 온도가 바람직하나 발효속도와 관계가 있으며 쌀과 누룩과 물의 배합비는 목적하는 술의 종류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본 발명의 술이 녹말의 주원료인 쌀로부터 발효에 의하여 알콜화되는 양(도수)은 이론값의 80로서 다음식으로 추정할 수 있다.
(실시예)
증숙한 황미 3.5말(63.14ℓ), 누룩(시판) 9되(16.236ℓ)를 혼합하여 물 10.5말(189.42ℓ)에 넣고 20℃에서 4일간 1차 발효시킨 것에, 맥문동 40냥(1,500g), 생지황 20냥(750g), 하수오 20냥(750g), 천문동 10냥(375g), 숙지황 10냥(375g), 구기자 10냥(375g), 우술 10냥(375g), 당귀 10냥(375g), 인삼 5냥(187.5g)을 각각 분쇄(紛碎)한 것과 증숙한 황미(黃味) 10.5말(189.42ℓ)과 누룩 26되(46.904ℓ)를 가하여 소나무통에서 15일간 상온에서 2차 발효시켜 술을 빚었다.
한약재 각각이 갖는 특유의 향미가 누룩의 발효와 함께 조화되고 소나무통에서 숙성되면서 어우러진 한약재술 특유의 향미를 맛볼 수 있으며, 특히 맥문동을 주재로 하여 심장을 보호하고 폐를 맑게 하며 정신과 맥박을 안정되게 하는 등 기타 한약재에 의한 효험(效驗)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인삼의 항산화 물질(사포닌)을 함유한 인삼과 이들 한약재들이 갖는 상승작용에 의하여 노화방지, 정력증진, 모발의 변색·탈모방지, 혈액순환 촉진, 자율신경작용 활성화에 의한 에너지소비 활성화로 체지방을 감소시키는 부작용없는 비만방지 등 성인병 예방 및 보약의 기능을 한약제들의 조화된 향취미와 함께 즐길 수 있는바, 본 발명의 한약재술과 시판중인 오가피주, 솔잎주에 대한 관능평가를 한 결과 다음 <표1>과 같이 본 발명의 생약재 복방(複方)에 의한 한약재술이 향취미에서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표1> 본 발명의 한약재술과 시판중인 한약재술의 관능평가 비교
종류 종 합 평 가 비 고
오가피주 + ++ 오가피 단일 한약재의 향취미 시음자는 연령 30∼50대 남자 8명과 여자 2명
솔잎주 ++ + 청량한 향취미
본 발명의 한약재술 +++ +++ 한약재들이 발효되면서 조화되고 소나무통에서 숙성되면서 어우러진 특유의 향취미

Claims (2)

  1. 증숙한 황미 2.5∼5말(45.1∼90.2ℓ)과 분쇄한 누룩 6∼12되(10.824∼21.648ℓ)를 물 7.5∼15말(135.3∼270.6ℓ)에 넣고 20℃이하에서 4∼5일간 1차 발효 시킨 것에, 맥문동 30∼50냥(1,125∼1,875g), 생지황 10∼30냥(375∼1,125g), 하수오 10∼30냥(375∼1,125g), 천문동 5∼15냥(187.5∼562.5g), 숙지황 5∼15냥 (187.5 ∼ 562.5g), 구기자 5∼15냥(187.5∼562.5g), 우술 5∼15냥(187.5∼562.5g), 당귀 5∼15냥(187.5∼562.5g), 인삼 5냥(187.5g)을 각각 분쇄(紛碎)한 것과 증숙한 황미(黃米) 7.5∼20말(135.3∼360.8ℓ)과 분쇄한 누룩 16∼40되(28.864∼72.16ℓ)를 함께 넣고 소나무통에서 10∼25일 상온에서 발효시켜 술을 빚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문동을 주재로 한 한약재술의 제조방법.
  2. 증숙한 황미 2.5∼5말(45.1∼90.2ℓ)과 분쇄한 누룩 6∼12되(10.824∼21.648ℓ)를 물 7.5∼15말(135.3∼270.6ℓ)에 넣고 20℃이하에서 4∼5일간 1차 발효 시킨 것에, 맥문동 30∼50냥(1,125∼1,875g), 생지황 10∼30냥(375∼1,125g), 하수오 10∼30냥(375∼1,125g), 천문동 5∼15냥(187.5∼562.5g), 숙지황 5∼15냥(187.5∼ 562.5g), 구기자 5∼15냥(187.5∼562.5g), 우술 5∼15냥(187.5∼562.5g), 당귀 5∼15냥(187.5∼562.5g), 인삼 5냥(187.5g)을 각각 분쇄(紛碎)한 것과 증숙한 황미(黃米) 7.5∼20말(135.3∼360.8ℓ)과 분쇄한 누룩 16∼40되(28.864∼72.16ℓ)를 함께 넣고 소나무통에서 10∼25일 상온에서 발효시켜 술을 빚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문동을 주재로 한 한약재술.
KR1020000002374A 2000-01-19 2000-01-19 맥문동을 주재로 한 한약재술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736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2374A KR20010073614A (ko) 2000-01-19 2000-01-19 맥문동을 주재로 한 한약재술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2374A KR20010073614A (ko) 2000-01-19 2000-01-19 맥문동을 주재로 한 한약재술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3614A true KR20010073614A (ko) 2001-08-01

Family

ID=19639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2374A KR20010073614A (ko) 2000-01-19 2000-01-19 맥문동을 주재로 한 한약재술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7361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9980A (ko) * 2001-02-28 2002-09-05 주식회사 두산 기능성 약주의 제조방법
WO2003082309A1 (en) * 2002-03-29 2003-10-09 Sung-Jin Kim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liriopsis tuber for protecting brain cells and improving memor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9980A (ko) * 2001-02-28 2002-09-05 주식회사 두산 기능성 약주의 제조방법
WO2003082309A1 (en) * 2002-03-29 2003-10-09 Sung-Jin Kim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liriopsis tuber for protecting brain cells and improving memor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0284B1 (ko) 홍삼과 녹용 추출물을 포함하는 드링크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04979B1 (ko) 숙취해소용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CN103125710A (zh) 一种女士用八珍茶
CN103602557A (zh) 一种杜仲巴戟天山药桑葚枸杞复合发酵中草药保健酒
KR20040001683A (ko) 천연발모제의 제조 방법
KR101334827B1 (ko) 참외씨오일을 주성분으로 하는 미용 팩 제조방법
CN103642626B (zh) 一种促进老年人强身健体复方中草药发酵保健酒
CN1093170C (zh) 低酒精度药液营养酒及其制作工艺
CN103642627A (zh) 一种甘草五味子山药山楂枸杞复合发酵中草药保健酒
CN103589572A (zh) 一种补肝益肾发酵中草药保健酒
CN106754148A (zh) 一种露酒、制备方法及其在制备补肾保健品或药剂的应用
CN105985895A (zh) 一种养生酒及其制备工艺
KR20160014073A (ko) 쌍화커피 제조방법
CN103181431B (zh) 一种养肝保健茶及其制备方法
CN104774719A (zh) 一种药食两用的养生酒及其制备方法
KR20010073614A (ko) 맥문동을 주재로 한 한약재술 및 그 제조방법
CN107125521A (zh) 一种改善睡眠的发酵植物饮料及其制备方法
CN106520491A (zh) 一种红参果石斛混合风味果酒
KR20170002050A (ko) 머드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천연 양조식초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67275A (ko) 허브 농축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73617A (ko) 우술을 주재로 한 한약재술 및 그 제조방법
KR20060117460A (ko) 알로에를 이용한 전통곡주의 제조방법 및 알로에 곡주
KR101630949B1 (ko) 밤 약술 및 그 제조방법
KR0152687B1 (ko) 복숭아 발효음료 및 그 제조방법
CN108450608A (zh) 一种蜂蜜菊花姜茶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