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5164B1 - 경사면을 갖는 판상 작업물 표면 클리닝 장치 및 그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경사면을 갖는 판상 작업물 표면 클리닝 장치 및 그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5164B1
KR100635164B1 KR1020050055270A KR20050055270A KR100635164B1 KR 100635164 B1 KR100635164 B1 KR 100635164B1 KR 1020050055270 A KR1020050055270 A KR 1020050055270A KR 20050055270 A KR20050055270 A KR 20050055270A KR 100635164 B1 KR100635164 B1 KR 100635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roller
unit
workpiec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5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4403A (ko
Inventor
안동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영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영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영테크
Priority to KR1020050055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5164B1/ko
Publication of KR20050074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4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5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5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H01L21/67028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028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adhesive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사면을 갖는 판상 작업물 표면 클리닝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하게는 작업물의 경사면에 대응하여 작업과정에서 클리닝 롤러가 자동 승강되도록 하므로써 작업물의 불량원인 해소 및 클리닝 효율을 상승시키도록 한 구성을 구현하며, 그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방법을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프레임의 양측에 컨베이어가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는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작업물의 진행구간 상, 하부에 클리닝 롤러가 설치되며, 클리닝 롤러에 의해 탈리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점착롤러가 클리닝 롤러와 접촉되도록 설치된 클리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의 클리닝 롤러와 점착롤러의 양단에 결합되며, 프레임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승강베이스와; 상기 승강베이스 외측의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베이스에서 돌출된 상부 클리닝 롤러와 프레임에서 돌출된 하부 클리닝 롤러의 각 끝단과 동력전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 하부의 클리닝 롤러를 동시에 회전시키는 동시회전유닛과; 상기 승강베이스 외측의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베이스가 상, 하로 이동되기 위한 동력전달 가능하게 결합된 롤러승강유닛과; 상기 진행되는 작업물의 경사정도에 따라 동시회전유닛과 롤러승강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작업물이 상, 하부의 클리닝 롤러를 통과하며 표면의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한 클리닝 장치를 제어하는 과정에 있어 서, 상기 컨베이어에 이송되는 작업물이 클리닝 롤러로 진입하기 전에 클리닝 롤러의 표면 경사도가 감지부에서 감지/검출되는 단계와; 상기 감지부에 의해 검출된 신호가 제어부에 입력되면, 이미 입력된 데이터 테이블에 의해 상부 롤러의 승강정도를 판단하고, 구동부를 구동하여 상부 클리닝 롤러를 승강시켜 클리닝 작업이 수행되는 단계와; 상기 클리닝 작업을 수행하여 작업물이 상, 하부 클리닝 롤러의 작업구간에서 벗어나면 상부 클리닝 롤러가 초기의 위치로 복원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라미네이팅, LCD, 클리닝, 점착, 경사면

Description

경사면을 갖는 판상 작업물 표면 클리닝 장치 및 그 제어방법{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of surface in plate type object having slant}
도 1은 종래 클리닝 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클리닝 장치 중 클리닝 롤러의 구동부분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클리닝 장치 중 클리닝 롤러의 승강부분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클리닝 장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클리닝 장치의 평면도.
도 6는 도 2의 클리닝 롤러 구동부분 사시도.
도 7은 도 3의 클리닝 롤러 승강부분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클리닝 장치의 컨트롤부 회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클리닝 장치의 제어과정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12: 컨베이어 20: 작업장치부
21: 프레임 22, 23: 상, 하부 클리닝 롤러
24, 25: 상, 하부 점착롤러 30: 승강베이스
40: 동시회전유닛 41: 가이드축
42: 기어결합체 43: 승강블록
44, 52: 모터 50: 롤러승강유닛
51: 나사축
본 발명은 경사면을 갖는 판상 작업물 표면 클리닝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하게는 작업물의 경사면에 대응하여 작업과정에서 클리닝 롤러가 자동 승강되도록 하므로써 작업물의 불량원인 해소 및 클리닝 효율을 상승시키도록 한 구성을 구현하며, 그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방법을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표면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클리닝 작업이 수행되는 판상작업물은 주로 박형의 필름이나 라미네이트 판넬이며, 최근들어 수요가 급증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액정표시장치)판넬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판상작업물은 제작, 운반 등의 과정에서 표면에 많은 오염물질이 잔류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오염물질은 별도 구비된 오염물 클리닝 장치에 의해 제거된다.
도 1은 상기된 클리닝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클리닝 장치는 작업물을 이송하기 위해 좌, 우측에 설치된 컨베이어(1)와, 양측의 컨베이어(1)의 사이에 설치된 클리닝 롤러(2)와, 각각의 클리닝 롤러(2)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점착롤러(3) 및 도시되지 않은 롤러회전유닛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판상의 작업물은 컨베이어(1)에 의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클리닝 롤러(2)에 상, 하면이 접촉되어 오염물질이 탈리되고, 탈리된 오염물질은 클리닝 롤러(2)와 접촉된 점착롤러(3)에 점착되어 제거된다.
여기서, 상기된 점착롤러(3)는 판상의 점착지가 여러겹 중첩되어 감겨진 형태(즉, 감겨진 접착테입의 형태)로 점착력이 소진되면 최외곽의 점착지를 벗겨내고 새로운 점착면이 노출되도록 하여 오염물질을 장치 상에서 완전제거하게 된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1)는 일정간격으로 회전축을 배치하고 회전축간에 밸트를 걸어 구성되는 밸트컨베이어의 형태로 자체구동됨은 당연하며, 상기 롤러 회전유닛은 롤러와 동력전달가능하게 연결된 모터구동기구 등으로 적용됨은 주지된 것과 같다.
상기된 것과 같은 종래의 클리닝 장치는 단지 상, 하면이 수평을 유지하는 평판상의 작업물에 대해서는 작업상의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지만, 예컨데 특정의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상, 하면이 경사형성된 LCD판넬의 경우 심각한 문제점을 야기시키게 된다.
즉, 상기 작업면이 경사형성된 LCD판넬이 상, 하 클리닝 롤러의 사이로 진행될 때 경사형성된 전면을 가압하는 상태가 불균일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가압력은 오염물질을 탈리효율을 얻기 위해 위해 주로 합성고무재질로 된 롤러의 외면이 작업면으로 제공하는 압력임은 주지된 것과 같고, 이를 감안하면, 상기 불균일한 가압력에 의해 작업면 일측(두꺼운측)의 오염물질은 제거되는 반면, 반대측(얇은측)의 오염물질은 제거되지 않게 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상, 하의 클리닝 롤러의 간격을 얇은 측 작업면을 기준으로 설정할 경우, 상기 오염물질이 제거되는 두꺼운 측의 작업면은 LCD판넬의 내부에 설치된 화소전극이 상당한 힘으로 가압되어 전극배열이 정위치를 이탈하게 되고, 이로인해 LCD판넬의 불량이 발생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노출된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써, 클리닝 작업과정에서 작업물의 경사면에 대응하여 클리닝 롤러가 가장 이상적인 작업위치로 이동되도록 하여 클리닝 효율의 상승 및 작업물의 불량요인을 해소하도록 한 클리닝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물의 경사면에 대응하여 클리닝 롤러가 이동되는 장치를 최적화된 상태로 제어하여 클리닝 효율의 상승 및 작업물의 불량요인을 해소하도록 한 클리닝 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아래의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은, 프레임의 양측에 컨베이어가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는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작업물의 진행구간 상, 하부에 클리닝 롤러가 설치되며, 클리닝 롤러에 의해 탈리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점착롤러가 클리닝 롤러와 접촉되도록 설치된 클리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의 클리닝 롤러와 점착롤러의 양단에 결합되며, 프레임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승강베이스와; 상기 승강베이스 외측의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베이스에서 돌출된 상부 클리닝 롤러와 프레임에서 돌출된 하부 클리닝 롤러의 각 끝단과 동력전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 하부의 클리닝 롤러를 동시에 회전시키는 동시회전유닛과; 상기 승강베이스 외측의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베이스가 상, 하로 이동되기 위한 동력전달 가능하게 결합된 롤러승강유닛과; 상기 진행되는 작업물의 경사정도에 따라 동시회전유닛과 롤러승강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아래의 과정을 갖는다.
본 발명은,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작업물이 상, 하부의 클리닝 롤러를 통과하며 표면의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한 클리닝 장치를 제어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에 이송되는 작업물이 클리닝 롤러로 진입하기 전에 클리닝 롤러의 표면 경사도가 감지부에서 감지/검출되는 단계와; 상기 감지부에 의해 검출된 신호가 제어부에 입력되면, 이미 입력된 데이터 테이블에 의해 상부 롤러의 승강정도를 판단하고, 구동부를 구동하여 상부 클리닝 롤러를 승강시켜 클리닝 작업이 수행되는 단계와; 상기 클리닝 작업을 수행하여 작업물이 상, 하부 클리닝 롤러의 작업구간에서 벗어나면 상부 클리닝 롤러가 초기의 위치로 복원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상기 구성과 과정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클리닝 장치 중 클리닝 롤러의 구동부분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클리닝 장치 중 클리닝 롤러의 승강부분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클리닝 장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클리닝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클리닝 장치는 양측에 판상의 작업물(O)을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11,, 12)가 설치되고, 이송된 작업물(O) 표면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장치부(20)로 구성된다.
상기 작업장치부(20)는 외장이 되는 프레임(21)의 내부에 컨베이어(11, 12)에 의해 이송되는 작업물(O)의 진행선상 상, 하부에 다수개(도면상 2개 1조로 하여 2조 구비됨)의 클리닝 롤러(22, 23)가 구비되고, 각 클리닝 롤러(22, 23)의 상측, 하측에 접촉되어 점착롤러(24, 25)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클리닝 롤러(22, 23)는 주로 고무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제작되고 그 외면에 오염물이 점착되는 접착면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점착롤러(24, 25)는 클리닝 롤러(22, 23)에 의해 이동한 오염물질을 외면에 점착한 후, 오염물질이 일정량 점착되면 그 외면의 1겹을 제거하는 테입(tape)형태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점착롤러(24, 25)는 외면이 제거되는 상황에 비례하여 그 직경이 점차 작아지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점착롤러(24, 25)가 상, 하부의 클리닝 롤러(22, 23)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점착롤러(24, 25)를 클리닝 롤러(22, 23)로 가압하는 가압기구(26)가 구비된다.
상기 가압기구(26)는 점착롤러(24, 25)의 양단과 프레임(21) 사이에서 스프링(27)이 개재된 상태로 설치되어 점착롤러(24, 25)가 스프링(27)에 의해 클리닝 롤러(22, 23)와 항상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프레임(21) 내부에 클리닝 롤러(22, 23), 점착롤러(24, 25), 가압기구(26) 등의 구성은 이미 주지된 것과 같고, 이들 구성과 결합되어 본 발명에 의한 클리닝 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 6은 도 2에서 동시회전유닛을 발췌한 사시도, 도 7은 도 3에서 롤러승강유닛을 발췌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클리닝 장치는 승강베이스(30), 동시회전유닛(40), 롤러승강유닛(50), 컨트롤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승강베이스(30)는 프레임(21)의 양측에 상, 하로 승강이동 가능하게 결 합되며, 상부의 클리닝 롤러(22)와 점착롤러(24)의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결합되고, 점착롤러(24)가 결합된 상부에는 점착롤러(24)를 클리닝 롤러(22)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기구(26)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클리닝 롤러(22)와 점착롤러(24)는 그 일 끝단부가 승강베이스(30)의 외측으로 일부가 돌출되며, 돌출된 구간에 상기 동시회전유닛(40)이 결합된다.
즉, 상기 동시회전유닛(40)은 승강베이스(30) 외측의 프레임(21)에 설치되며, 승강베이스(30)에서 돌출된 상부 클리닝 롤러(22)와 프레임(21)에서 돌출된 하부 클리닝 롤러(23)의 각 끝단과 동력전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 하부의 클리닝 롤러(22, 23)를 동시에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동시회전유닛(40)은 가이드축(41), 동력전달기구인 기어결합체(42), 승강블록(43), 동력발생기구인 모터(44)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축(41)은 프레임(21) 상에서 회전가능하게 세워져 설치되는데, 그 외면에 방사상 1지점 이상의 요철(41a)이 형성된 스플라인축(spline shaft)으로 구성되며, 이 요철(41a)과 대응결합되는 가이드홀(43a)이 승강블록(43)에 형성되어, 상부 클리닝 롤러(22)가 승강되며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기어결합체(42)는 승강베이스(30), 프레임(21)에서 돌출된 상, 하부 클리닝 롤러(22, 23)의 끝단부와 가이드축(41)에 각각 결합되어 가이드축(41)의 회전동력을 상, 하부 클리닝 롤러(22, 23)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기어결합체(42)의 구성으로 가이드축(41)에는 하측과, 하측과 가변되는 간격을 유지하는 상측에 각각 베벨기어(41b, 41c)가 설치되고, 이 베벨기어(41b, 41c)와 결합되는 베벨기어(45a, 45b)가 승강베이스(30)와 프레임(21)에 각각 결합된 연결축(45)의 일 끝단에 결합되며, 연결축(45)의 타 끝단에 결합된 각각의 스퍼기어(45c, 45d)가 상, 하부 크리닝 롤러(22, 23)의 돌출된 끝단에 결합된 스퍼기어(22a, 23a)와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승강블록(43)은 가이드축(41)에 끼워져 상, 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상측의 베벨기어(41b)와 고정결합되고, 전술된 것과 같이 가이드축(41) 상에서 상, 하로 이동가능하기 위해 가이드축(41)의 외면과 대응되는 형태의 가이드홀(43a)이 형성됨은 당연한 구성이다.
이 때, 상기 가이드홀(43a)은 승강블록(43)과 고정결합된 베벨기어(41b)에도 연장형성되어 베벨기어(41b)와 승강블록(43)이 일체화되어 승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모터(44)는 가이드축(41)에 동력전달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위치가 일정한 하측의 베벨기어(41c) 또는 하부 클리닝 롤러(23)와 연결되는 연결축(45)의 베벨기어(41), 스퍼기어(45d) 등에 동력전달가능하게 결합되며, 프레임(21)의 가이드축(41) 인근에 설치된다.
상기 롤러승강유닛(50)은 승강베이스(30) 외측의 프레임(21)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베이스(30)가 상, 하로 이동되기 위한 동력전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나사축(51)과 동력발생기구인 모터(52)로 구성된다.
상기 나사축(51)은 프레임(21) 상에 회전가능하게 세워져 설치되며, 승강베이스(30)에서 일체로 돌출형성되거나 고정결합되어 승강베이스(30)와 일체화된 브 래킷(31)과 나사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브래킷(31)은 나사축(51)과의 결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양측에 다수개 형성되며, 나사결합되어 구동되는 상태를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 베어링부시(53)가 개재되어 구성된다.
상기 모터(52)는 나사축(51)에 동력전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프레임(21)에 설치되며, 나사축(51)의 회전속도의 감속 등을 위해 나사축(51)과 결합된 사이에 감속기어박스 등의 구성이 개재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된 나사축(51)과 승강베이스(30)의 결합구성은 프레임(21)의 양측에 적용되어 구동안정성을 부여하고, 양측의 나사축(51)은 밸트/풀리(55) 또는 체인/스프로킷 등의 동력전달구성에 의해 동시회전되도록 한다.
도면 중 부호 54는 프레임(21)에 상, 하로 설치되고 승강베이스(30)의 브래킷(31)에 관통결합되어, 승강베이스(30)가 상, 하로 승강될 때의 궤도를 안내하는 가이더이다.
도 8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클리닝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부의 회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컨트롤부(60)는 진행되는 작업물(O)의 경사정도에 따라 동시회전유닛(40)과 롤러승강유닛(50)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감지부(70), 제어부인 마이크로 프로세서(80), 구동부(90)로 구성된다.
상기 감지부(70)는 작업물(O)이 컨베이어(11)에 의해 이송되어 작업장치부 (20)로 진입하는 위치를 감지하여 검출하는 위치감지센서(71)와, 진입하는 작업물(O)의 작업면 경사도(상면이 수평한 컨베이어의 면에서 유지되는 기울기이며, 하면은 컨베이어 상에서 이미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가정하게 됨)를 감지하여 검출하는 경사감지센서(7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위치감지센서(71)와 경사감지센서(72)는 컨베이어(11) 상에 설치되어 클리닝 작업이전 설치됨이 당연하며, 위치, 경사도 데이터를 검출하는 통상의 것으로 적용된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80)는 감지부(70)에서 수신된 작업물(O)의 위치, 경사도 데이터(또는 신호)를 수신하여 동시회전유닛(40)과 롤러승강유닛(50)의 각 모터(44, 52)가 구동되어야 할 상황을 판단하고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80)는 작업면의 경사도별로 각 모터(44, 52)의 구동상황에 대한 데이터 등의 데이터 테이블이 미리 저장된 저장매체인 메모리(81)를 포함하여, 작업시 데이터 테이블을 실시간 호출하여 각 모터(44, 52)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80)는 작업의 시작/끝, 작업에러 등의 상태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LCD 등의 디스플레이부(82)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부져, LED(발광다이오드) 등의 표시소자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9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80)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컨베이어(11, 12), 동시회전유닛(40), 롤러승강유닛(50) 등의 구동원인 모터(44, 52) 등을 구동시키기 위한 컨베이어구동부(91), 모터구동부1(92), 모터구동부2(93)로 구분된 다.
여기서, 상기 모터구동부1, 2(92, 93)는 단일의 구성으로 구현할 수 있지만, 이해의 편의를 위해 동시회전유닛(40)과 롤러승강유닛(50)을 별개로 구분하여 기재한다.
도 9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클리닝 장치를 제어하여 작업물에 대한 오염물질 제거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클리닝 장치는 클리닝 작업이 수행될 작업물(O)이 컨베이어(11) 상에 공급되면, 컨베이어(11)가 구동되어 작업물(O)이 작업장치부(20)로 이송된다.(S10)
이 때, 상기 작업물(O)이 이송되어 진행될 때, 위치감지센서(71), 경사도감지센서(72)에 의해 작업물(O)의 위치와 작업면의 경사도가 감지되어 검출되고,(S20, S30) 검출된 신호는 마이크로 프로세서(80)로 전송되며,(S40) 동시에 작업물(O)이 작업장치부(20)의 내부로 진입하게 된다.(S50)
상기된 신호를 수신한 마이크로 프로세서(80)에서는 모터구동부1(92)을 통해 클리닝 롤러(22, 23)를 구동(S60, 구체적으로는 롤러의 구동을 위한 모터의 작동)시킴과 동시에 이미 입력된 데이터 테이블에 의해 상부 롤러(22)의 승강정도를 판단하여 모터구동부2(93)를 구동하여 상부 클리닝 롤러(22)를 승강시키므로써 클리닝 작업이 수행하게 된다.(S70)
여기서, 상기 클리닝 작업은 클리닝 롤러(22, 23)의 회전에 의해 작업물(O) 이 진행되기 때문에 상기 상, 하부 클리닝 롤러(22, 23)는 작업도중 항상 작업물(O)의 상, 하면에 접촉된 상태가 되며, 상기 상부 클리닝 롤러(22)의 승강정도는 이에 근거하여 수행되는 것이다.
이 후, 상기 클리닝 작업이 완료되는 시점은 작업물(O)이 클리닝 롤러(22, 23)의 구동구간을 벗어나 컨베이어(12)에 의해 이송되어지는 시점이며, 이 시점에서 상부 클리닝 롤러(22)가 초기의 위치로 복원되어 다음 작업을 대기하게 된다.
상기된 것과 같은 클리닝 장치에 의한 클리닝 작업은 컨트롤부(60)의 마이크로 프로세서(80)에 의해 그 일련의 과정이 자동화되어 수행되며, 작업물(O)의 공급 및 배출을 수행하는 기타 여러 장치의 컨베이어와 연동하여 자동화라인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작업면의 경사정도를 실시간 감지하여, 작업수행시 클리닝 롤러가 작업면 전체에 최적의 가압력을 제공하며 클리닝 작업이 수행되므로써 보다 높은 클리닝 효율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최적의 가압력 제공에 의해 LCD판넬 등과 같은 작업물의 불량발생요인이 해소되어 작업신뢰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6)

  1. 프레임(21)의 양측에 컨베이어(11, 12)가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21)의 내부에는 컨베이어(11, 12)에 의해 이송되는 작업물(O)의 진행구간 상, 하부에 클리닝 롤러(22, 23)가 설치되며, 클리닝 롤러(22, 23)에 의해 탈리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점착롤러(24, 25)가 클리닝 롤러(22, 23)와 접촉되도록 설치된 클리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의 클리닝 롤러(22)와 점착롤러(24)의 양단에 결합되며, 프레임(21)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승강베이스(30)와;
    상기 승강베이스(30) 외측의 프레임(21)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베이스(30)에서 돌출된 상부 클리닝 롤러(22)와 프레임(21)에서 돌출된 하부 클리닝 롤러(23)의 각 끝단과 동력전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 하부의 클리닝 롤러(22, 23)를 동시에 회전시키는 동시회전유닛(40)과;
    상기 승강베이스(30) 외측의 프레임(21)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베이스(30)가 상, 하로 이동되기 위한 동력전달 가능하게 결합된 롤러승강유닛(50)과;
    상기 진행되는 작업물(O)의 경사정도에 따라 동시회전유닛(40)과 롤러승강유닛(50)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부(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을 갖는 판상 작업물 표면 클리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시회전유닛(40)은
    프레임(21) 상에서 회전가능하게 세워져 설치된 가이드축(41)과;
    상기 승강베이스(30), 프레임(21)에서 돌출된 상, 하부 클리닝 롤러(22, 23)의 끝단부와 가이드축(41)에 각각 결합되어 가이드축(41)의 회전동력을 상, 하부 클리닝 롤러(22, 23)로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42)와;
    상기 가이드축(41)에 끼워져 상, 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 클리닝 롤러(22)와 결합된 동력전달기구(42)와 고정결합된 승강블록(43)과;
    상기 가이드축(41)에 동력전달가능하도록 프레임(21)에 설치된 동력발생기구(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을 갖는 판상 작업물 표면 클리닝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축(41)은
    그 외면에 방사상 1지점 이상의 요철(41a)이 형성되고, 이 요철(41a)과 대응결합되는 가이드홀(43a)이 승강블록(43)에 형성되어, 상부 클리닝 롤러(22)가 승강되며 회전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을 갖는 판상 작업물 표면 클리닝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승강유닛(50)은
    프레임(21) 상에 회전가능하게 세워져 설치되며, 승강베이스(30)와 나사결합되는 나사축(51)과;
    상기 나사축(51)에 동력전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프레임(21)에 설치된 동력발생기구(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을 갖는 판상 작업물 표면 클리닝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부(60)는
    작업물(O)이 클리닝 롤러(22, 23)로 진입하기 이전의 컨베이어(11)에 설치되어 진행되는 작업물(O)의 작업면 기울기를 감지하고 검출하는 감지부(70)와;
    상기 감지부(70)에서 검출된 신호를 수신하여 동시회전유닛(40)과 롤러승강유닛(50)의 구동을 판단하고 제어하며, 경사도별로 동시회전유닛(40)과 롤러승강유닛(50)의 구동될 제어상황이 저장된 저장매체(81)를 포함하는 제어부(80)와;
    상기 제어부(80)에 의해 판단된 신호에 의해 동시회전유닛(40)과 롤러승강유닛(50)을 구동시키는 구동부(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을 갖는 판상 작업물 표면 클리닝 장치.
  6. 컨베이어(11, 12)에 의해 이송된 작업물(O)이 상, 하부의 클리닝 롤러(22, 23)를 통과하며 표면의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한 클리닝 장치를 제어하는 과정에 있 어서,
    상기 컨베이어(11)에 의해 이송되는 작업물(O)이 클리닝 롤러(22, 23)로 진입하기 전에 작업물(O)의 표면 경사도가 감지부(70)에서 감지/검출되는 단계와;
    상기 감지부(70)에 의해 검출된 신호가 제어부(80)에 입력되면, 이미 입력된 데이터 테이블에 의해 상부 클리닝 롤러(22)의 승강정도를 판단하고, 구동부(90)를 구동하여 상부 클리닝 롤러(22)를 승강시켜 클리닝 작업이 수행되는 단계와;
    상기 클리닝 작업을 수행하여 작업물(O)이 상, 하부 클리닝 롤러(22, 23)의 작업구간에서 벗어나면 상부 클리닝 롤러(22)가 초기의 위치로 복원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을 갖는 판상 작업물 표면 클리닝 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50055270A 2005-06-24 2005-06-24 경사면을 갖는 판상 작업물 표면 클리닝 장치 및 그제어방법 KR100635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5270A KR100635164B1 (ko) 2005-06-24 2005-06-24 경사면을 갖는 판상 작업물 표면 클리닝 장치 및 그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5270A KR100635164B1 (ko) 2005-06-24 2005-06-24 경사면을 갖는 판상 작업물 표면 클리닝 장치 및 그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4403A KR20050074403A (ko) 2005-07-18
KR100635164B1 true KR100635164B1 (ko) 2006-10-17

Family

ID=37263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5270A KR100635164B1 (ko) 2005-06-24 2005-06-24 경사면을 갖는 판상 작업물 표면 클리닝 장치 및 그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51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077B1 (ko) 2009-03-31 2011-06-24 (주)삼텍엔지니어링 강판소재 세척장비의 상부 프레임 업다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980B1 (ko) * 2011-09-20 2012-04-05 (주)나이테산기개발 침구류 클리닝장치
JP2018051439A (ja) * 2016-09-26 2018-04-05 株式会社レヨーン工業 クリーンローラ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077B1 (ko) 2009-03-31 2011-06-24 (주)삼텍엔지니어링 강판소재 세척장비의 상부 프레임 업다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4403A (ko) 2005-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5164B1 (ko) 경사면을 갖는 판상 작업물 표면 클리닝 장치 및 그제어방법
KR100540632B1 (ko) 평판표시장치 제조용 기판 절단장치
CN212989813U (zh) 一种全自动背光组装机
KR101031105B1 (ko) 소형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
US7225917B2 (en) Conveyor system having width adjustment unit
KR101011727B1 (ko) 반전수단을 구비한 컨베이어 장치
JP2011026143A (ja) ワーク貼合装置、およびワーク貼合方法
KR102093949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제조용 일괄 필름 분리 및 검사 장치
CN100464223C (zh) 偏光板贴覆装置
KR101129032B1 (ko) 점착척 클리닝장치 및 방법
KR100681500B1 (ko) 기판의 자동 언로딩 장치
WO2022252349A1 (zh) 一种用于双层输送机的传送系统及其传送方法
JP2008272704A (ja) 除塵装置
CN217394625U (zh) 压合钢板抛光装置以及抛光机
KR100384798B1 (ko) 액정 셀의 편광판 부착 시스템
KR100666730B1 (ko) 액정표시장치 판넬용 러빙천 권포기
CN217919727U (zh) 一种可换向的自动传输系统
KR20050074404A (ko) 라미네이팅 자동화 장치
CN215656087U (zh) 干胶流水线
CN220299580U (zh) 一种三层取件运输装置
CN211322229U (zh) 一种耐用型苗床升降机
CN219468909U (zh) 一种兼容多种尺寸规格玻璃基板的浮动式对中结构
CN212461635U (zh) 一种刻蚀出料翻片装置
KR101058834B1 (ko) 점착척 클리닝장치
KR100807250B1 (ko) 기판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