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3980B1 - 침구류 클리닝장치 - Google Patents

침구류 클리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3980B1
KR101133980B1 KR1020110094619A KR20110094619A KR101133980B1 KR 101133980 B1 KR101133980 B1 KR 101133980B1 KR 1020110094619 A KR1020110094619 A KR 1020110094619A KR 20110094619 A KR20110094619 A KR 20110094619A KR 101133980 B1 KR101133980 B1 KR 101133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ding
dust
suction
pressure air
clean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4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진권
Original Assignee
(주)나이테산기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이테산기개발 filed Critical (주)나이테산기개발
Priority to KR1020110094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39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3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39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B08B5/043Cleaning travelling wor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08B5/023Cleaning travell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2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distortion, beating, or vibration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2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 F26B3/3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from infrared-emit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구류 클리닝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침구류의 두께에 따라 컨베이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고, 침구류에 진동을 가해 침구류에 내재되어진 먼지를 효과적으로 흡입하도록 함과 아울러 먼지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침구류 클리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는 내부에 공간을 갖고, 정면에 침구류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며, 후면에 배출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고, 침구류의 하측을 지지함과 아울러 이송시키는 제1컨베이어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고, 침구류의 상측을 지지함과 아울러 이송시키는 제2컨베이어와, 상기 케이스의 양측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2 컨베이어 중 어느 하나가 결합되어지는 이동판과, 상기 이동판을 승하강 시키는 이동수단과, 상기 제1,2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침구류의 폭방향에서 침구류의 먼지를 흡입하는 먼지흡입부와, 상기 먼지흡입부를 상,하로 연속반복적으로 진동을 가하는 진동수단과, 상기 먼지흡입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먼지가 제거된 침구류를 살균시키는 살균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진동수단은, 상기 먼지흡입부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부에 설치되어진 안내봉과, 상기 먼지흡입부의 전,후면 중 어느 일면과 지지바 사이에 설치되되, 제1부재는 먼지흡입부에 고정되고, 제2부재는 지지바에 고정되어 상기 먼지흡입부를 상하 유동되도록 하는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제1부재의 하부에 고정되되, 전류를 인가받는 코일이 감겨져 고정되고, 상기 먼지흡입부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부에 결합되어진 보빈, 상기 코일에서 발생된 자장에 의해 상기 보빈의 중심축에 관통하여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코어 및 상기 코어의 돌출턱과 보빈 사이에 결합되어 외부 전류 미인가시 초기 위치를 유지해주는 스프링 부재로 구성되어진 솔레로이드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침구류 클리닝장치{Cleaning apparatus of a bedclothes}
본 발명은 침구류 클리닝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침구류의 두께에 따라 컨베이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되,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적절한 압력으로 침구류를 누르고, 침구류에 진동을 가해 침구류에 내재되어진 먼지를 효과적으로 흡입하도록 함과 아울러 먼지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침구류 클리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구류 클리닝장치는, 이불, 메트리스, 카펫 등(이하 '침구류'라 총칭함.) 부피가 크고 무거워 쉽게 세탁 및 청소하여 사용하기에 어려움이 있고, 오랜 건조시간이 요구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개발된 장치이다.
이러한 종래의 침구류 클리닝장치의 일예로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10-0809652호의 "이동식 침구류 클리닝장치"에서 찾아 볼 수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침구류 클리닝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외부와 격리된 클리닝공간에 다단으로 엇갈리게 설치되어 연동하며, 외부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동력원을 이용하여 회전되는 미세구멍이 형성된 컨베이어(1)와; 상기 컨베이어(1)를 따라 이송되는 침구류에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먼지를 불어서 제거하는 공기분사기(2)와; 이 공기분사기(2)에 근접 설치되어 침구류에서 제거된 먼지를 흡입하는 먼지흡입부(3)와; 이 먼지흡입부(3)와 공기분사기(2)를 통해 먼지가 제거된 침구류의 세균을 박멸하는 살균기(4)와; 상기 침구류를 건조하는 건조기(5)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1)는 클리닝공간의 상부에 제1컨베이어(1a)가 설치되어 회전되고, 이 제1컨베이어(1a)의 하부에는 이송공간(5)을 두고 제2컨베이어(1b)가 설치되어 역방향 회전되며, 이 제2컨베이어(1b)의 하부에는 배출공간(6)을 두고 제3컨베이어(1c)가 엇갈리게 설치되어 역방향 회전된다.
또한, 상기 제3컨베이어(1c)에는 침구류가 공급되는 과정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가이드 암(7)이 설치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침구류 클리닝장치는, 외부와 격리된 클리닝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9)의 일면에 출입구(7a)가 형성되어 침구류(8)를 투입하게 되고, 투입된 침구류(8)는 동력원의 구동으로 제1컨베이어(1a), 제2컨베이어(1b) 및 제3컨베이어(1c)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침구류(8)에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먼지를 불어서 제거하게 되고, 이를 먼지흡입부(3)로 빨아 당기게 된다.
또한, 먼지가 제거된 침구류(8)에 살균기(4)로 살균하면, 건조기(5)로 건조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침구류 클리닝장치는 출입구(7a)로 투입된 침구류(8)의 두께에 관계없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제1컨베이어(1a) 및 제2컨베이어(1b) 사이를 통과하고, 압축공기를 침구류(8) 사이에 분사하여 먼지를 제거하게 되어 먼지를 제거하는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침구류(8)의 내부에 포집되어진 먼지는 압축공기를 분사하여도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되고, 제1컨베이어(1a) 및 제2컨베이어(1b) 이격거리가 너무 넓게 되면 침구류(8)의 하부면은 제2컨베이어(1b)에 밀착되어지나 침구류(8)의 상부면은 제1컨베이어(1a)에 이격되어 효과적인 먼지제거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압축공기를 침구류(8) 사이로 분사하여 먼지를 클리닝 공간에서 비산되고, 이에 따라 출입구 측이나 모터 등의 방열을 위해 형성된 슬롯 등의 먼지가 누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침구류의 두께에 따라 컨베이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되,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적절한 압력으로 침구류를 누르고, 침구류에 진동을 가해 침구류에 내재되어진 먼지를 효과적으로 흡입하도록 함과 아울러 먼지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침구류 클리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침구류 클리닝장치는, 내부에 공간을 갖고, 정면에 침구류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며, 후면에 배출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고, 침구류의 하측을 지지함과 아울러 이송시키는 제1컨베이어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고, 침구류의 상측을 지지함과 아울러 이송시키는 제2컨베이어와, 상기 케이스의 양측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2 컨베이어 중 어느 하나가 결합되어지는 이동판과, 상기 이동판을 승하강 시키는 이동수단과, 상기 제1,2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침구류의 폭방향에서 침구류의 먼지를 흡입하는 먼지흡입부와, 상기 먼지흡입부를 상,하로 연속반복적으로 진동을 가하는 진동수단과, 상기 먼지흡입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먼지가 제거된 침구류를 살균시키는 살균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진동수단은, 상기 먼지흡입부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부에 설치되어진 안내봉과, 상기 먼지흡입부의 전,후면 중 어느 일면과 지지바 사이에 설치되되, 제1부재는 먼지흡입부에 고정되고, 제2부재는 지지바에 고정되어 상기 먼지흡입부를 상하 유동되도록 하는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제1부재의 하부에 고정되되, 전류를 인가받는 코일이 감겨져 고정되고, 상기 먼지흡입부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부에 결합되어진 보빈, 상기 코일에서 발생된 자장에 의해 상기 보빈의 중심축에 관통하여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코어 및 상기 코어의 돌출턱과 보빈 사이에 결합되어 외부 전류 미인가시 초기 위치를 유지해주는 스프링 부재로 구성되어진 솔레로이드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2컨베이어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전,후방에 설치된 제1,2 로울러와, 상기 제1,2 로울러의 하측에 배치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3,4로울러와, 상기 로울러들에 감겨져 로울러의 회전함에 따라 무한궤도 운동하고, 미세구멍이 형성된 컨베이어 메쉬벨트로 구성되며, 상기 로울러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설치된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이동판에 전면에 고정되고, 일면에 기어가 형성된 래크와, 상기 래크에 이맞물림되어진 피니언이 고정되고, 정,역가능한 모터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먼지흡입부는, 상기 제1,2컨베이어의 폭방향 상,하측 중 어느 일측에 각각 배치되고, 침구류에서 내재된 먼지를 흡입하는 복수의 흡입슬롯이 형성된 흡입조립체와, 상기 흡입조립체에서 흡입된 먼지를 흡입탱크로 유도하도록 하는 진공펌프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흡입조립체는, 복수의 흡입체로 구성하되, 상기 흡입체는 상부에는 일정간격으로 격벽이 형성된 흡입슬롯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체적이 감소된 집진부가 형성되며, 상기 흡입슬롯과 집진부에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먼지를 흡입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진동수단은, 전류를 인가받는 코일이 감겨져 고정되고, 상기 먼지흡입부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부에 결합되어진 보빈과, 상기 코일에서 발생된 자장에 의해 상기 보빈의 중심축에 관통하여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코어와, 상기 양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코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편과, 상기 보빈과 상기 지지편 중 어느 하나의 사이에 결합되어 외부 전류 미인가시 초기 위치를 유지해주는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살균수단은, 살균기능을 수행하는 자외선 램프를 반사판 내부에 설치한 것이다.
또한, 상기 살균수단의 측면에는 건조수단을 더 설치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건조수단은 건조기능을 수행하는 적외선 램프를 반사판 내부에 설치한 것이다.
또한, 상기 먼지흡입부에 대향되게 고압공기를 분사하는 고압공기 분사부를 더 설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압공기 분사부는, 상기 제1,2컨베이어의 폭방항에 미세홀을 일정간격을 형성시킨 고압공기 분사조립체와, 상기 고압공기 분사조립체에 고압공기를 공급하도록 고압공기를 발생시키는 공기압축기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압공기 분사조립체는, 복수의 고압공기 분사체로 구성하되, 상기 고압공기 분사체는 상부에 미세홀이 형성된 분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압축기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공급구를 통해 공급되어 각각의 미세홀에 공기를 일정한 압력으로 공급하도록 칸막이 형성된 확장부를 통과하도록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침구류 클리닝장치는, 케이스 내부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 제1,2컨베이어의 어느 하나를 이동판에 결합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하고, 상기 제1,2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침구류의 폭방향에서 침구류의 먼지를 흡입부로 흡입함과 아울러 진동을 가하도록 함으로서, 침구류의 두께에 따라 컨베이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되,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적절한 압력으로 침구류를 누르고, 침구류에 진동을 가해 침구류에 내재되어진 먼지를 효과적으로 흡입하도록 함과 아울러 먼지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침구류 클리닝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침구류 클리닝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침구류 클리닝장치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침구류 클리닝장치의 이동수단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침구류 클리닝장치의 먼지흡입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침구류 클리닝장치의 먼지흡입부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침구류 클리닝장치의 흡입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침구류 클리닝장치의 흡입조립체가 진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침구류 클리닝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침구류 클리닝장치의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침구류 클리닝장치의 이동수단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침구류 클리닝장치의 먼지흡입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침구류 클리닝장치의 먼지흡입부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침구류 클리닝장치의 흡입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침구류 클리닝장치의 흡입조립체가 진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침구류 클리닝장치(100)는, 케이스(10), 제1컨베이어(20), 제2컨베이어(30), 이동판(40), 이동수단(50), 먼지흡입부(60), 진동수단(70) 및 살균수단(80)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0)는, 내부에 공간을 갖고, 정면에 침구류(B)가 투입되는 투입구(11)가 형성되며, 후면에 배출구(12)가 형성된다.
상기 제1컨베이어(20)는, 상기 케이스(10)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고, 침구류(B)의 하측을 지지함과 아울러 이송시키는 것이다.
상기 제2컨베이어(30)는, 상기 케이스(10)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고, 침구류(B)의 상측을 지지함과 아울러 이송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2컨베이어(20)(30)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전,후방에 설치된 제1,2 로울러(R1)(R2)와, 상기 제1,2 로울러(R1)(R2)의 하측에 배치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3,4 로울러(R3)(R4)와, 상기 로울러들에 감겨져 로울러의 회전함에 따라 무한궤도 운동하고, 미세구멍이 형성된 컨베이어 메쉬벨트(CB)로 구성되며, 상기 로울러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설치된 구동모터(M)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제1,2컨베이어(20)(30)는 제1,2 로울러(R1)(R2)만으로도 기능을 수행할 수 있지만, 후술하는 먼지흡입부(60) 등의 설치를 위해 제3,4 로울러(R3)(R4)가 필요하며, 상기 구동모터(M)는 제1,2 컨베이어(20)(30)의 로울러에 각각 설치되어 컨베이어를 별도의 동력으로 회전시킬 수도 있고, 별도의 동력전달장치를 이용하여 하나의 구동모터로 회전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이동판(40)은, 상기 케이스(10)의 양측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2 컨베이어(20)(30) 중 어느 하나가 결합되어지는데, 본 발명에서는 제2컨베이어(30)가 설치되는 예를 나타냈다.
상기 이동수단(50)은, 상기 이동판(40)을 승하강 시키는 것으로, 상기 이동판(40)에 전면에 고정되고, 일면에 기어가 형성된 래크(51)와, 상기 래크(51)에 이맞물림되어진 피니언(52)이 고정되고, 정,역가능한 모터(53)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동수단(50)의 이동판(40)에는 압력센서(41)가 설치되어 이동판(40)이 하강하여 압력센서(41)가 침구류(B)에 밀착되면 압력센서(41)가 감지하여 이동수단(50)의 하강을 정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동수단(50)은 일예를 들어 설명한 것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볼스크류나 공압실린더 등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밝혀둔다.
상기 먼지흡입부(60)는, 상기 제1,2컨베이어(20)(30)를 따라 이송되는 침구류(B)의 폭방향에서 침구류(B)의 먼지를 흡입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먼지흡입부(60)는, 상기 제1,2컨베이어(20)(30)의 폭방향 상,하측 중 어느 일측에 각각 배치되고, 침구류(B)에서 내재된 먼지를 흡입하는 복수의 흡입슬롯(61c)이 형성된 흡입조립체(61)와, 상기 흡입조립체(61)에서 흡입된 먼지를 흡입탱크(62)로 유도하도록 하는 진공펌프(63)를 포함하는 것이다.
즉, 상기 먼지흡입부(60)는 상기 제1,2컨베이어(20)(30)에 각각 배치되어 침구류(B)의 상,하측의 먼지를 동시에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흡입조립체(61)는, 복수의 흡입체(61a)로 구성하되, 상기 흡입체(61a)는 상부에는 일정간격으로 격벽(61b)이 형성된 흡입슬롯(61c)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체적이 감소된 집진부(61d)가 형성되며, 상기 흡입슬롯(61c)과 집진부(61d)에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먼지를 흡입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집진부(61d)에는 각각의 호스(61g)가 연결되고, 각각의 호스(61g)는 흡입탱크(62)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대형 호스(61h)를 연결하게 된다.
상기 집진부(61d)에 각각의 호스(61g)를 연결하는 이유는 흡입체(61a)에 형성된 각각의 흡입슬롯(61c) 흡입력을 향상시켜 침구류(B)에 내재된 먼지의 흡입을 일정한 압력으로 고르게 흡입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흡입체(61a)의 폭방향 상부의 양측에는 복수의 로울러(61i)가 결합되어 컨베이어 메쉬벨트(CB)가 회전될 때 원할한 회전이 가능토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흡입체(61a)는 복수개 결합된 상태에서 양측에 가이드부(61e)가 형성된 결합편(61f)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진동수단(70)은, 상기 먼지흡입부(60)를 상,하로 연속반복적으로 진동을 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진동수단(70)은, 상기 먼지흡입부(60)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부(61e)에 설치되어진 안내봉(71)과, 상기 먼지흡입부(60)의 전,후면 중 어느 일면과 지지바(13) 사이에 설치되되, 제1부재는 먼지흡입부(60)에 고정되고, 제2부재(72b)는 지지바(13)에 고정되어 상기 먼지흡입부(60)를 상하 유동되도록 하는 슬라이딩부재(72)와, 상기 슬라이딩부재(72)의 제1부재(72a)의 하부에 고정되되, 전류를 인가받는 코일이 감겨져 고정되고, 상기 먼지흡입부(60)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부(61e)에 결합되어진 보빈(73a), 상기 코일에서 발생된 자장에 의해 상기 보빈(73a)의 중심축에 관통하여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코어(73b) 및 상기 코어(73b)의 돌출턱(73b-1)과 보빈(73a) 사이에 결합되어 외부 전류 미인가시 초기 위치를 유지해주는 스프링 부재(73c)로 구성되어진 솔레로이드(7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부재(72)의 제1부재(72a)와 제2부재(72b)의 사이에는 복수의 볼이 형성되어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바(13)는 케이스(10)의 양단부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살균수단(80)은, 상기 먼지흡입부(60)의 후방에 배치되고, 먼지가 제거된 침구류(B)를 살균시키는 것으로, 살균기능을 수행하는 자외선 램프(81)를 반사판(82) 내부에 설치한 것이다.
또한, 상기 살균수단(80)의 측면에는 건조수단(80a)을 더 설치하며, 상기 건조수단(80a)은, 건조기능을 수행하는 적외선 램프(81a)를 반사판(82a) 내부에 설치하여 침구류(B)에 열을 가해 수분 등을 제거하게 된다.
한편, 상기 먼지흡입부(60)에 대향되게 고압공기를 분사하는 고압공기 분사부(90)를 더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압공기 분사부(90)는, 상기 제1,2컨베이어(20)(30)의 폭방항에 미세홀(91a-2)을 일정간격을 형성시킨 고압공기 분사조립체(91)와, 상기 고압공기 분사조립체(91)에 고압공기를 공급하도록 고압공기를 발생시키는 공기압축기(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압공기 분사조립체(91)는, 복수의 고압공기 분사체(91a)로 구성하되, 상기 고압공기 분사체(91a)는 상부에 미세홀(91a-2)이 형성된 분사부(91a-1)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압축기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공급구(91a-3)를 통해 공급되어 각각의 미세홀(91a-2)에 공기를 일정한 압력으로 공급하도록 칸막이(91a-4)가 형성된 확장부(91a-5)를 통과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미세홀(91a-2)에서 분사된 압축공기는 주변에 먼지를 비산시키지 않고 미세먼지를 곧바로 먼지흡입부(60)로 밀어내도록 하여 먼지흡입부(60)의 흡입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침구류 클리닝장치(100)는 케이스(10)의 투입구(11)로 침구류(B)를 투입하게 되면, 투입된 침구류(B)는 제1,2컨베이어(20)(30)의 회전에 의해 그 사이를 통과하면서 먼지흡입부(60) 및 살균수단(80)을 거친 후 케이스(10)의 후면에 형성된 배출구(12)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침구류(B)의 두께에 따라 이동판(40)에 고정된 제2컨베이어(30)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수단(50)을 이용하여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즉, 모터(53)를 회전시키게 되면 피니언(52)에 의해 래크(51)가 승,하강되고, 이에 따라 래크(51)가 고정된 이동판(40)이 이동되어 제2컨베이어(30)의 높이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동수단(50)에 의해 제2컨베이어(30)가 침구류(B)에 밀착되면 압력센서(41)가 감지하여 이동수단(50)을 정지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먼지흡입부(60)는 제1,2컨베이어(20)(30) 상,하측 중 어느 일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흡입슬롯(61c)이 형성된 흡입조립체(61)를 진공펌프(63)를 동작시켜 진공압으로 먼지를 흡입하여 흡입탱크(62)로 유도하게 된다.
이때 흡입조립체(61)는 복수의 흡입체(61a)로 구성되며, 상기 흡입체(61a)는, 상부에는 일정간격으로 격벽(61b)이 형성된 흡입슬롯(61c)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체적이 감소된 집진부(61d)가 형성되어 먼지의 흡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집진부(61d)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호스(61g)에 의해 침구류(B)에 내재된 먼지의 흡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먼지흡입부(60)의 양측에 형성된 진동수단(70)에 의해 흡입조립체(61)는 상,하로 진동되면서 침구류(B)에 내재되어진 먼지를 타격에 의해 외측으로 배출시킨 후 흡입슬롯(61c)으로 흡입시키게 된다.
즉, 먼지흡입부(60)와 지지바(13) 사이에 설치된 제1,2부재(72a)(72b)로 이루어진 슬라이딩부재(72)의 제1부재(72a)의 하측에 솔레노이드(73)를 설치하여 솔레노이드(73)의 보빈(73a)에 감겨진 코일에 전류를 인가시키게 되면 코어(73b)가 동작되고, 전류의 미인가시에는 스프링부재(73c)로 초기위치를 유지하여 먼지흡입부(60)를 상,하로 작동시키게 되고, 먼지흡입부(60)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부(61e)에 설치된 안내봉(71)에 의해 용이하게 상,하작동되면서 침구류(B)에 타격을 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먼지흡입부(60)에 대향되게 고압공기를 분사하는 고압공기 분사부(90)에서 고압공기를 침구류(B)에 분사하게 되는데, 이는 공기압축기에서 발생된 고압의 공기를 복수의 고압공기 분사체(91a)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고압공기 분사체(91a)로 공급된 고압공기는 공급구(91a-3)를 통해 확장부(91a-5)의 칸막이(91a-4)를 통과하면서 분사부(91a-1)에 형성된 미세홀(91a-2)에 일정한 압력으로 공기를 분사하도록 하여 침구류(B)에 표면에 골고루 고압공기를 분사하게 되어 주변에 먼지를 비산시키지 않고 미세먼지를 곧바로 먼지흡입부(60)로 밀어내도록 하여 먼지흡입부(60)의 흡입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먼지를 흡입한 후 침구류(B)는 먼지흡입부(60)의 후방에 설치된 반사판(82)의 내부에 형성된 자외선 램프(81)를 거치면서 살균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살균수단(80)을 통과한 침구류(B)는 건조수단(80a)을 통과하게 되는데, 이는 반사판(82a) 내부에 형성된 적외선 램프(81a)를 거치면서 건조가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한 것이나,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는 다양한 변형 및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100: 침구류 클리닝장치
10: 케이스 11: 투입구
12: 배출구 20: 제1컨베이어
30: 제2컨베이어 R1, R2: 제1,2 로울러
R3, R4: 제3,4 로울러 CB: 컨베이어 메쉬벨트
M: 구동모터 40: 이동판
50: 이동수단 51: 래크
52: 피니언 53: 모터
60: 먼지흡입부 61: 흡입조립체
61a: 흡입체 61b: 격벽
61c: 흡입슬롯 61d: 집진부
61e: 가이드부 61f: 결합편
62: 흡입탱크 63: 진공펌프
70: 진동수단 71: 보빈
72: 코어 73: 지지편
74: 스프링 부재 80: 살균수단
81: 자외선램프 82: 반사판
80a: 건조수단 81a: 적외선램프
82a: 반사판 90: 고압공기 분사부
91: 고압공기 분사조립체 91a: 고압공기 분사체
91a-1: 분사부 91a-2: 미세홀
91a-3: 공급구 91a-4: 칸막이
91a-5: 확장부 B: 침구류

Claims (12)

  1. 내부에 공간을 갖고, 정면에 침구류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며, 후면에 배출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고, 침구류의 하측을 지지함과 아울러 이송시키는 제1컨베이어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고, 침구류의 상측을 지지함과 아울러 이송시키는 제2컨베이어와, 상기 케이스의 양측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2 컨베이어 중 어느 하나가 결합되어지는 이동판과, 상기 이동판을 승하강 시키는 이동수단과, 상기 제1,2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침구류의 폭방향에서 침구류의 먼지를 흡입하는 먼지흡입부와, 상기 먼지흡입부를 상,하로 연속반복적으로 진동을 가하는 진동수단과, 상기 먼지흡입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먼지가 제거된 침구류를 살균시키는 살균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진동수단은, 상기 먼지흡입부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부에 설치되어진 안내봉과, 상기 먼지흡입부의 전,후면 중 어느 일면과 지지바 사이에 설치되되, 제1부재는 먼지흡입부에 고정되고, 제2부재는 지지바에 고정되어 상기 먼지흡입부를 상하 유동되도록 하는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제1부재의 하부에 고정되되, 전류를 인가받는 코일이 감겨져 고정되고, 상기 먼지흡입부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부에 결합되어진 보빈, 상기 코일에서 발생된 자장에 의해 상기 보빈의 중심축에 관통하여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코어 및 상기 코어의 돌출턱과 보빈 사이에 결합되어 외부 전류 미인가시 초기 위치를 유지해주는 스프링 부재로 구성되어진 솔레로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류 클리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컨베이어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전,후방에 설치된 제1,2 로울러와,
    상기 제1,2 로울러의 하측에 배치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3,4로울러와,
    상기 로울러들에 감겨져 로울러의 회전함에 따라 무한궤도 운동하고, 미세구멍이 형성된 컨베이어 메쉬벨트로 구성되며, 상기 로울러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설치된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류 클리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이동판에 전면에 고정되고, 일면에 기어가 형성된 래크와,
    상기 래크에 이맞물림되어진 피니언이 고정되고, 정,역가능한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류 클리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흡입부는,
    상기 제1,2컨베이어의 폭방향 상,하측 중 어느 일측에 각각 배치되고, 침구류에서 내재된 먼지를 흡입하는 복수의 흡입슬롯이 형성된 흡입조립체와,
    상기 흡입조립체에서 흡입된 먼지를 흡입탱크로 유도하도록 하는 진공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류 클리닝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조립체는, 복수의 흡입체로 구성하되, 상기 흡입체는 상부에는 일정간격으로 격벽이 형성된 흡입슬롯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체적이 감소된 집진부가 형성되며, 상기 흡입슬롯과 집진부에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먼지를 흡입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류 클리닝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수단은,
    살균기능을 수행하는 자외선 램프를 반사판 내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류 클리닝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수단의 측면에는 건조수단을 더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류 클리닝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수단은
    건조기능을 수행하는 적외선 램프를 반사판 내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류 클리닝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흡입부에 대향되게 고압공기를 분사하는 고압공기 분사부를 더 설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류 클리닝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공기 분사부는, 상기 제1,2컨베이어의 폭방항에 미세홀을 일정간격을 형성시킨 고압공기 분사조립체와,
    상기 고압공기 분사조립체에 고압공기를 공급하도록 고압공기를 발생시키는 공기압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류 클리닝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공기 분사조립체는,
    복수의 고압공기 분사체로 구성하되, 상기 고압공기 분사체는 상부에 미세홀이 형성된 분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압축기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공급구를 통해 공급되어 각각의 미세홀에 공기를 일정한 압력으로 공급하도록 칸막이 형성된 확장부를 통과하도록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류 클리닝장치.
KR1020110094619A 2011-09-20 2011-09-20 침구류 클리닝장치 KR101133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4619A KR101133980B1 (ko) 2011-09-20 2011-09-20 침구류 클리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4619A KR101133980B1 (ko) 2011-09-20 2011-09-20 침구류 클리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3980B1 true KR101133980B1 (ko) 2012-04-05

Family

ID=46143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4619A KR101133980B1 (ko) 2011-09-20 2011-09-20 침구류 클리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398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0757B1 (ko) * 2012-04-25 2012-11-14 (주) 디에이티 병원용 침대 매트리스 자동 세척 및 소독 장치
CN103611710A (zh) * 2013-11-29 2014-03-05 云南名泽烟草机械有限公司 育苗盘清洗消毒机
CN107377525A (zh) * 2017-08-08 2017-11-24 上海派可瑞包装设备有限公司 一种可有效清除药品粉尘的除尘装置
KR101825322B1 (ko) * 2017-02-16 2018-02-02 우성용 스팀 세척장치
KR20190024191A (ko) * 2017-08-31 2019-03-08 허창수 Uv를 이용한 필터 살균장치
EP4159910A4 (en) * 2020-05-27 2024-04-17 Jin Won Suh AUTOMATIC MATTRESS STERILIZATION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61174A (en) 1976-11-13 1978-06-01 Japan Field Kk Vibratory washing apparatus
KR20050074403A (ko) * 2005-06-24 2005-07-18 주식회사 대영테크 경사면을 갖는 판상 작업물 표면 클리닝 장치 및 그제어방법
KR100918703B1 (ko) * 2007-03-26 2009-09-22 케이제이알텍(주) 이동식 매트리스 클리닝장치
KR20110068304A (ko) * 2009-12-16 2011-06-22 유진엠씨 주식회사 이동식 매트리스 크리닝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61174A (en) 1976-11-13 1978-06-01 Japan Field Kk Vibratory washing apparatus
KR20050074403A (ko) * 2005-06-24 2005-07-18 주식회사 대영테크 경사면을 갖는 판상 작업물 표면 클리닝 장치 및 그제어방법
KR100918703B1 (ko) * 2007-03-26 2009-09-22 케이제이알텍(주) 이동식 매트리스 클리닝장치
KR20110068304A (ko) * 2009-12-16 2011-06-22 유진엠씨 주식회사 이동식 매트리스 크리닝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0757B1 (ko) * 2012-04-25 2012-11-14 (주) 디에이티 병원용 침대 매트리스 자동 세척 및 소독 장치
CN103611710A (zh) * 2013-11-29 2014-03-05 云南名泽烟草机械有限公司 育苗盘清洗消毒机
KR101825322B1 (ko) * 2017-02-16 2018-02-02 우성용 스팀 세척장치
CN107377525A (zh) * 2017-08-08 2017-11-24 上海派可瑞包装设备有限公司 一种可有效清除药品粉尘的除尘装置
KR20190024191A (ko) * 2017-08-31 2019-03-08 허창수 Uv를 이용한 필터 살균장치
KR101988023B1 (ko) 2017-08-31 2019-09-30 허창수 Uv를 이용한 필터 살균장치
EP4159910A4 (en) * 2020-05-27 2024-04-17 Jin Won Suh AUTOMATIC MATTRESS STERILIZATION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3980B1 (ko) 침구류 클리닝장치
KR101531653B1 (ko) 터널식 용기 세정장치
US10434452B2 (en) Air purification plant
US10954077B1 (en) Conveyor belt cleaning apparatus
AU2016200925B2 (en) Container rinsing system and method
JP2009519826A5 (ko)
JP2015202471A (ja) 薄形状物体用クリーニング装置
KR20080035323A (ko) 컵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KR20150009178A (ko) 용기용 먼지 제거장치
KR20090010728A (ko) 컵 세척장치
KR20130131688A (ko) 탄두의 탄대부 제청기와 분진흡수장치
JP4451852B2 (ja) 書籍清浄装置
KR100767436B1 (ko) 매트 청소기
KR100919444B1 (ko) 계란 자동 투입기
KR200408684Y1 (ko) 이불살균 세척장치
KR101161655B1 (ko) 이동식 매트리스 크리닝장치
TWM499265U (zh) 清潔機構
KR100682856B1 (ko) 이불살균 세척장치
JP2021020174A (ja) 容器洗浄装置
KR20130135666A (ko) 카페트 청소 로봇
KR101076386B1 (ko) 컴퓨터 청소장치
KR20060122261A (ko) 전자기기 청소장치
KR100952133B1 (ko) 도서 자동 먼지 제거 시스템
KR200310855Y1 (ko) 김 살균 장치
CN201078968Y (zh) 一种蚊香集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