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4798B1 - 액정 셀의 편광판 부착 시스템 - Google Patents

액정 셀의 편광판 부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4798B1
KR100384798B1 KR1019960018696A KR19960018696A KR100384798B1 KR 100384798 B1 KR100384798 B1 KR 100384798B1 KR 1019960018696 A KR1019960018696 A KR 1019960018696A KR 19960018696 A KR19960018696 A KR 19960018696A KR 100384798 B1 KR100384798 B1 KR 100384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cell
moving
unit
atta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8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5990A (ko
Inventor
이정모
Original Assignee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60018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4798B1/ko
Publication of KR970075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5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4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47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 셀의 편광판 부착 시스템을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은, 다수의 액정 셀(C)이 안치된 카세트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장치(E); 상기 승강장치(E)에 의해 일정 높이로 상승된 카세트내의 액정 셀(C)을 하나씩 홀딩하여 이송시키는 반입장치(L); 상기 반입장치(L)에 의해 이송된 액정 셀(C)의 표면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나이프 세척장치(K); 상기 나이프 세척장치(K)에 의해 세척된 액정 셀(C)의 일측면에 편광판을 부착시키는 제 1 부착장치(B1); 상기 제 1 부착장치(B1)에 의해 일측면에 편광판이 부착된 액정 셀(C)을 180 °로 반전시키는 장치(R); 상기 반전장치(R)에 의해 반전된 액정 셀(C)의 타측면에 편광판을 부착시키는 제 2 부착장치(B2); 및 상기 제 2 부착장치(B2)에서 편광판이 부착된 액정 셀(C)을 빈 카세트에 안치시켜 반출시키는 장치(U)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정 셀의 편광판 부착 시스템
[본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액정 셀(liquid crystal display cell)의 편광판 부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액정 셀의 양면에 편광판을 자동으로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 액정 셀의 편광판 부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일반적으로, 액정의 위상을 변화시켜 원하는 글자나 문자 또는 숫자를 디스플레이시키는 액정표시소자는 화소전극이 형성된 상하 유리기판의 내측면에 전계 효과를 좋게하는 배향막을 설치하고 이들 양 유리기판을 러빙한 후, 상기 2개의 유리기판 중 어느 하나의 유리기판상에는 접착제를 프린트하고, 다른 하나의 유리기판에는 스페이서를 코팅한 후, 봉착 공정에서 이들 2개의 유리기판을 겹쳐 포갠 상태로 압착장치에 설치하여 건조 오븐에 넣고 열압착을 실시함으로써 제작되어 진다.
이러한 액정표시소자는 입사되는 빛이 일정한 방향으로만 입사되도록 상하부 기판의 외측면에 편광판을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부착하게 된다.
또한, 이렇게 액정 셀에 편광판을 부착하는 작업을 하기 바로 직전에, 액정 셀 표면에 흡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작업, 즉 나이프로 액정 셀의 표면을 긁어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 작업이 실시된다.
그러나, 종래의 편광판 부착장치는 액정 셀의 한 면에만 편광판을 부착할 수 있는 단면 부착장치이기 때문에 액정 셀의 양면에 편광판을 부착하기 위해서는 2대의 편광판 부착장치를 연속으로 설치하여 반입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카세트에 안치된 액정 셀을 한 작업자가 한 장씩 꺼내서 편광판 부착장치에 반입시키고, 다른 한 작업자는 빈 카세트를 다시 반출컨베이어에 안치시켜야 하기때문에 작업의 번거로움에 따른 작업능률의 저하와 인력의 낭비로 인해 결과적으로 생산성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편광판 부착장치로 액정 셀을 반입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액정 셀이 저장된 카세트에서 액정 셀을 손으로 꺼내서 편광판 부착장치의 스테이지에 올려놓아야 하는 관계로 작업 시간이 길어지고 작업 능률도 저하되며, 따라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나이프 세척작업에서, 종래에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나이프로 수회 반복하여 긁어서 이물질을 제거하였기 때문에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서 이물질 제거 정도의 차이가 발생되어 편광판의 손상을 가져오며 액정 셀의 품질의 불균일화로 인해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작업자가 세척 작업을 수작업으로 LCD 하나씩 실시하는 관계로 세척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편광판 부착장치는 전술된 바와 같이, 액정 셀 한면에만 편광판을 부착할 수 있는 단면 부착용 장비인 관계로 액정 셀 양면에 편광판을 부착하기 위해서는 편광판 부착장치가 2대 연속,설치된 라인에 한명의 작업자는 편광판 부착장치를 가동시키고, 다른 작업자는 한면에 편광판이 부착된 액정 셀을 다음 편광판 부착장치로 이송되기 전에 액정 셀을 뒤집는 작업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의 번거로움과 인력의 낭비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편광판 부착장치에서 양면에 편광판이 부착된 액정 셀을 카세트에 다시 집어넣는 작업을 작업자가 손으로 일일이 직접 했던 관계로 작업 시간이 길어지고, 작업 능률이 저하되어서 생산성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1인의 작업자만으로 카세트에 안치된 액정 셀을 편광판 부착장치에 반입시키고, 빈 카세트를 반출시켜 컨베이어로 이송되게 하는 액정 셀의 편광판 부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액정 셀을 편광판 부착장치에 자동으로 반입하여 작업 시간의 단축과 작업 능률의 향상을 기할 수 있는 액정 셀의 편광판 부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나이프를 자동으로 구동시켜 균일하고 완벽한 이물질 제거가 이루어지고, 편광판이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생산성이 증대될 수 있는 액정 셀의 편광판 부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1인의 작업자만으로 액정 셀의 양면에 편광판을 부착할 수있도록 하는 액정 셀의 편광판 부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주목적이 있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은 편광판이 부착된 액정 셀을 자동으로 카세트에 반출하여 작업 시간의 단축을 기하고 작업 능률을 향상시켜 생산성을 증대할 수 있는 액정 셀의 편광판 부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소자의 편광판 부착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소자의 편광판 부착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제 1 도의 정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카세트 승강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제 4 도 및 제 5 도는 본 발명의 카세트 승강장치의 주요부인 승강기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 4 도는 정면도
제 5 도는 측면도
제 6 도 내지 제 8 도는 본 발명의 카세트 승강장치의 주요부인 홀더 유니트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 6 도는 정면도
제 7 도는 측면도
제 8 도는 평면도
제 9 도 및 제 10 도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반입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 9 도는 정면도
제 10 도는 측면도
제 11 도 및 제 12 도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나이프 세척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 11 도는 정면도
제 12 도는 측면도
제 13 도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액정 셀 반전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제 14 도 및 제 15 도는 본 발명의 액정 셀 반전장치의 주요부인 회전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 14 도는 정면도
제 15 도는 측면도
제 16 도 내지 제 17 도는 본 발명의 액정 셀 반전장치의 주요부인 이동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 16 도는 정면도
제 17 도는 측면도
제 18 도 및 제 19 도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반출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 18 도는 평면도
제 19 도는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 : 승강장치 L : 반입장치
K : 나이프 세척장치 R : 반전장치
U : 반출장치 P : 제어반
B1 : 제 1 부착장치 B2 : 제 2 부착장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수의 액정 셀이 안치된 카세트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장치; 상기 승강장치에 의해 일정 높이로 상승된 카세트내의 액정 셀을 하나씩 홀딩하여 이송시키는 반입장치; 상기 반입장치에 의해 이송된 액정 셀의 표면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나이프 세척장치; 상기 나이프 세척장치에 의해 세척된 액정 셀의 일측면에 편광판을 부착시키는 제 1 부착장치; 상기 제 1 부착장치에 의해 일측면에 편광판이 부착된 액정 셀을 180 ˚로 반전시키는 장치; 상기 반전장치에 의해 반전된 액정 셀의 타측면에 편광판을 부착시키는 제 2 부착장치; 및 상기 제 2 부착장치에서 편광판이 부착된 액정 셀을 빈 카세트에 안치시켜 반출시키는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장치는 일측에 액정 셀이 안치된 카세트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가 연결되고, 타측에는 상기 반입장치가 연결된 승강기 본체; 상기 승강기 본체의 상하를 가로질러 설치된 리드 스크류; 상기 리드 스크류의 구동 원인 모터; 상기 리드 스크류에 장착되어 상하이동되는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에 장착되어 카세트를 지지하는 홀더 유니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더 유니트는 상기 이동부재에 연결된 고정암; 상기 고정암의 상부에위치하여 좌우이동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이동력을 부여하도록 상기 이동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고정암에 고정된 제 1 에어 실린더; 상기 이동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좌우이동되어서 상기 카세트를 홀딩하는 홀딩부; 및 상기 홀딩부에 이동력을 부여하도록 상기 홀딩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이동부에 고정된 제 2 에어 실린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반입장치는 상기 승강장치에 의해 상승된 액정 셀을 하나씩 흡착하는 핑거; 상기 핑거에 진공을 부여하는 진공수단; 상기 핑거에 이동력을 부여하는 이동수단; 상기 이동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 핑거에 흡착된 액정 셀을 나이프 세척장치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핑거의 X축 이동력을 부여하는 X축 구동부; 상기 핑거의 Y축 이동력을 부여하는 Y축 구동부; 및 상기 핑거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회전 구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X축 구동부는 서보 모터로 제어되고, 상기 Y축 구동부는 로드리스(rodless) 실린더로 제어되며, 상기 회전 구동부는 로타리(rotary) 실린더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가적으로, 상기 승강기의 일측부에 상기 핑거와 동일한 높이로 액정 셀의 유,무를 감지하는 센서가 부착되고, 상기 센서로는 액정 셀에 손상을 주지 않는 파이버(fiber) 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나이프 세척장치는 상기 반입장치에 의해 이송된 액정 셀이 안치되는 스테이지; 상기 스테이지 위에 안치된 액정 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나이프유니트; 상기 나이프 유니트를 상하이동시키는 수단; 상기 나이프 유니트를 좌우이동시키는 수단; 및 상기 나이프 유니트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상하 및 좌우 이동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이프 유니트는 액정표시소자의 표면을 긁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나이프; 상기 나이프를 지지하는 홀더; 및 상기 홀더를 탄력지지하는 지지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하이동 수단은 상기 나이프 유니트 상부에 연결된 에어 실린더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좌우이동 수단은 구동원인 모터; 상기 모터에 장착된 제 1 풀리; 상기 제 1 풀리에서 소정 거리로 별도의 치구에 의해 지지되는 제 2 풀리; 상기 제 1 및 제 2 풀리를 연결하는 타이밍 벨트; 상기 타이밍 벨트에 고정된 브래키트; 및 상기 브래키트와 나이프 유니트를 연결하는 연결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모터는 교류유도 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나이프 유니트의 초기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나이프 유니트를 하강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상하이동 수단을 구동시키는 초기감지 센서와; 종기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나이프 유니트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상하이동 수단을 구동시키는 종기감지 센서로 구성된다.
상기 초기 및 종기감지 센서로는 액정 셀에 손상을 주지 않는 파이버 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전장치는 상기 제 1 편광판 부착장치에서 일측면에 편광판이 부착된 액정 셀이 안치되는 스테이지; 상기 스테이지 상부에 위치하여 액정 셀을 이송시키는 장치; 및 상기 이동장치에 의해 이송된 액정 셀을 180 ˚로 회전시키는 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장치는 상기 스테이지에 안치된 액정 셀을 180˚로 반전시키는 수 개의 회전날개; 상기 회전날개의 동력원인 모터; 및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날개로 전달하는 동력전달 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날개는 액정 셀이 안치되는 개구부가 구비되고, 상기 개구부는 중심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날개에는 액정 셀의 유,무를 감지하는 센서가 부착되고, 상기 센서로는 액정 셀에 손상을 주지않는 파이버(fiber) 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 장치는 상기 회전날개에 삽입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결합된 제 1 풀리; 상기 제 1 풀리에 연결된 벨트; 및 상기 벨트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모터 축이 장착된 제 2 풀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장치는 액정 셀을 상기 회전장치로 밀어서 공급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를 홀딩하는 플레이트 홀더; 상기 플레이트 홀더를 지지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상하 및 좌우 이동력을 부여하는 에어 실린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푸셔 플레이트는 액정 셀을 밀때 손상을 주지않기 위해 완충작용을 하도록 상기 플레이트 홀더에 스프링으로 탄력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반출장치는 상기 제 2 부착장치에 의해 편광판이 부착된 액정 셀을 흡착하는 핑거; 상기 핑거에 진공을 부여하는 수단; 상기 핑거에 상하 및 좌우 이동력을 부여하는 수단; 상기 핑거에 흡착된 액정 셀을 카세트에 안치시키도록 정렬시키는 수단; 상기 카세트를 고정하는 수단이 구비되고, 카세트를 일정 간격씩 상하이동시키는 수단; 및 상기 핑거로 액정 셀을 전달하는 전달장치; 및 상기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핑거 이동수단은 상기 핑거의 X축 방향의 이동력을 부여하는 X축 구동부와; 상기 X축 구동부에 수직하게 장착되고, 상기 핑거가 상부면에 부착되어 상기 핑거의 Y축 방향의 이동력을 부여하는 Y축 구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X 및 Y축 구동부는 서보 모터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정렬수단은 상기 핑거에 안치된 액정 셀을 양측에서 밀착하여 정렬시키는 한 쌍의 밀착부재와; 상기 밀착부재에 구동원인 에어 실린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세트 이동수단은 상기 카세트를 고정하는 수단이 구비된 승강기 본체; 상기 승강기 본체의 구동원인 모터; 및 상기 모터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승강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동력을 일정 간격씩 전달하는 볼 스크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달장치는 구동원인 모터; 상기 모터가 장착되는 고정암; 상기 고정암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액정 셀을 흡착하는 진공 패드가 구비된 회전암;및 상기 진공 패드로 진공을 부여하는 진공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액정 셀의 양측면에 편광판을 부착시키는 작업이 작업자의 투입없이도 가능하게 되어 작업능률이 향상되고, 작업시간이 크게 단축되며, 따라서 생산성이 크게 향상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소자의 편광판 부착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제 2 도는 정면도이며, 제 3 도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카세트 승강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제 4 도 및 제 5 도는 본 발명의 카세트 승강장치의 주요부인 승강기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 4 도는 정면도, 제 5 도는 측면도이며, 제 6 도 내지 제 8 도는 본 발명의 카세트 승강장치의 주요부인 홀더 유니트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 6 도는 정면도, 제 7 도는 측면도, 제 8 도는 평면도이고, 제 9 도 및 제 10 도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반입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 9 도는 정면도, 제 10 도는 측면도이며, 제 11 도 및 제 12 도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나이프 세척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 11 도는 정면도, 제 12 도는 측면도이고, 제 13 도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액정 셀 반전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제 14 도 및 제 15 도는 본 발명의 액정 셀 반전장치의 주요부인 회전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 14 도는 정면도, 제 15 도는 측면도이며, 제 16 도 내지 제 17 도는 본 발명의 액정 셀 반전장치의 주요부인 이동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 16 도는 정면도, 제 17 도는 측면도이고, 제 18 도 및 제 19 도는 본발명의 주요부인 반출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 18 도는 평면도, 제 19 도는 정면도이다.
제 1 도 및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시되는 액정 셀의 편광판 부착 시스템은 크게 다수의 액정 셀(C)이 상하로 안치된 카세트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장치(E)와, 상기 승강장치(E)에 의해 상승된 카세트내의 액정 셀(C)을 하나씩 홀딩하여 이송시키는 반입장치(L)와, 상기 반입장치(L)에서 반입된 액정 셀(C)의 표면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나이프 세척장치(K)와; 상기 나이프 세척장치(K)에서 이물질이 제거된 액정 셀의 일측면에 편광판을 부착시키는 제 1 부착장치(B1)와; 상기 제 1 부착장치(B1)에서 일측면에 편광판이 부착된 액정 셀(C)을 180 ˚로 반전시키는 장치(R)와; 상기 반전장치(R)에 의해 180 ˚로 반전된 액정 셀(C)의 타측면에 편광판을 부착시키는 제 2 부착장치(B2), 상기 제 2 부착장치(B2)를 지나 양측면에 편광판이 모두 부착된 액정 셀(C)을 반출시키는 장치(U), 및 상기 각 장치들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반(P)으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 각 장치들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승강장치(E)는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 셀(C)이 안치된 카세트(2)를 이송하는 반입 컨베이어(1a)가 설치되고, 그 하부에는 빈 카세트(2)의 이송라인인 반출 컨베이어(1b)가 설치된다.
상기 반입 및 반출 컨베이어(1a,1b)의 좌측 끝단에 접하는 부위에 상기 카세트(2)의 이송동작을 멈추게 하는 스토퍼(3)가 부착되고, 또한 상기 스토퍼(3)에 의해 멈추어진 카세트(2)를 감지하는 제 1 위치감지 센서(4a)가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반입 및 반출 컨베이어(1a,1b)의 구동원인 모터(1c)가 상기 반입 컨베이어(1a)의 상부에 장착된다.
상기 승강장치(E)는 상기 카세트(2)를 지지하는 홀더 유니트(20), 상기 홀더 유니트(20)를 상하이동시키는 승강기(10), 및 상기 승강기(10)와 홀더 유니트(20)의 동작을 제어하는 5개의 위치감지 센서로 구성된다.
제 4 도에 상기 승강기(10)가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기 본체(11)의 상하를 가로질러 리드 스크류(12)가 장착되고, 그 상부는 베어링(12a)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하부에는 제 1 풀리(12b)가 결합되어서 벨트(13)에 의해 상기 리드 스크류(12)의 구동원인 모터(14)의 축에 결합된 제 2 풀리(14a)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리드 스크류(12)의 회전에 따라 상하이동하는 이동부재(15)가 장착되는데, 상기 이동부재(15)의 축공에는 당연히 상기 리드 스크류(12)의 나사선에 형상에 부합하는 나사선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리드 스크류(12)의 양측으로 평행하게 2개의 고정축(16)이 상기 승강기 본체(11)를 가로질러 설치되고, 상기 고정축(16)에는 부시(17)이 결합되어 상하로 왕복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부시(17)은 연결단(18)에 의해 상기 이동부재(15)에 연결되어 상하 이동력을 부여받게 된다. 상기 연결단(18)의 상단에 상기 홀더 유니트(20)를 고정하는 고정암(19)이 외측으로 연장,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기 본체(11)의 측부에는 소정 간격으로 5개의 위치감지 센서(4b,4c,4d,4e,4f)가 부착되는데, 그 역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제 5 도 내지 제 8 도에 홀더 유니트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상기 고정암(19)의 상단에 제 1 에어 실린더(21)가 장착되고, 상기 제 1 에어 실린더(21)의 로드(21a)에 이동부(22)의 수직부(22a)가 결합되어서 상기 이동부(22)가 좌우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32a)는 수평부(22b)에 연결된다.
상기 수평부(22b)의 상부에 중앙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게 2개의 제 2 에어 실린더(23)가 장착되고, 그 외측으로 연장된 로드(23a)에는 플랜지(23b)가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23b)에 고정 플레이트(23c)가 고정,결합되고, 그 상부에 상기 카세트(2)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는 홀더부(24)가 장착된다. 상기 양측의 홀더부(24)의 내측으로 직접 카세트(2)를 홀딩하는 홀더(25)가 중앙과 양측부에 각각 부착되는데, 그 형상은 카세트(2)의 돌출부(미도시)에 부합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홀더(25)는 양측에 전부 6개가 부착되어서 내측으로 이동되면서 카세트(2)를 홀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부(22b)의 중앙에는 4개의 안치축(26)이 상부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카세트(2)를 홀딩하기 전에 안치시킨다. 또한, 상기 고정암(19)의 하단에는 파이버 센서(19a)가 부착된다.
승강장치(E)의 구성을 전술된 바와 같고, 승강장치(E)에 의해 상승된 카세트(2)내의 액정 셀을 하나씩 홀딩하여 나이프 세척장치(K)로 이송시키는 반입장치(L)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 9 도 및 제 10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1)의 중앙을 가로질러 제 1 부착장치(B1)로 연결되고, 모터(32a)에 의해 무한궤도식으로 회전하는 컨베이어(32)가 설치되고, 상기 컨베이어(32)의 상부에 액정 셀(C)이 저장된 카세트(33)를 상하이동시키는 승강기(34)가 설치된다. 상기 승강기(34)에는 상기 카세트(33)를 고정하는 브래키트(35)가 장착되고, 상기 승강기(34)는 교류유도형 모터(도시되지 않음)로 일정한 피치(pitch), 본 실시예에서는 6mm씩 상하이동된다. 또한, 상기 승강기(34)의 일측부에 액정 셀(C)의 유,무를 감지하는 파이버 센서(36)가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32)의 상부에는 액정 셀(C)을 흡착하는 핑거(37)가 위치하고, 상기 핑거(37)에는 액정 셀(C)을 흡착하기 위한 진공수단(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되는데, 상기 진공수단은 통상의 진공 펌프를 이용하거나, 공정 라인에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진공 라인을 연결하여 사용해도 무방하다. 상기 핑거(37)는 수평판(37a)과 수직판(37b)로 구분되고, 상기 수평판(37a)에 액정 셀(C)이 흡착되며, 상기 수직판(37b)에 X축 구동부(38)가 장착되고, 상기 X축 구동부(38)의 상부면에 Y축 구동부(39)가 설치되어 X,Y 방향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X축 구동부(38)는 서보 모터(도시되지 않음)로 제어되고, 상기 Y축 구동부(39)는 로드리스 실린더로 제어된다. 상기 로드리스 실린더는 공압을 이용한 실린더로서 실린더 내부에 공압에 의해 이동하는 로드가 없이 단순히 공압만으로 동작됨으로써 로드의 행정거리에 구애받지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핑거(37)와 X축 구동부(38)의 연결부에 상기 핑거(17)의 수평판(37a)이 Y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회전력을 부여하는 로타리 실린더(40)가 설치된다.
즉, 상기 파이버 센서(36)는 상기 핑거(37)의 수평판(37a)의 설치 높이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여 액정 셀(C)의 유,무를 감지하게 된다.
반입장치(L)의 구성을 전술한 바와 같고, 이 반입장치(L)에 의해 반입된 액정 셀(C)의 표면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나이프 세척장치(K)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 1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41)의 상부에 고정단(42)이 설치되고, 그 상부에 교류유도 모터(43)가 장착된다. 상기 교류유도 모터(43)에서 하부로, 상기 본체(41)의 상단까지 연장된 축(43a)에 모터 풀리(43b)가 결합되고, 상기 모터 풀리(43b)의 좌측으로 연결 풀리(43c)가 설치되어 밸트(44)로 서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 풀리(43c)에는 제 1 풀리 축(45a)이 삽입되어 상기 본체(41)를 관통하여 하부로 연장되고, 그 끝단에 제 1 풀리(45)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 1 풀리(45)의 우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떨어진 곳에 제 2 풀리 축(46a)이 상기 본체(41)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끝단에 제 2 풀리(46)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풀리(45,46)는 타이밍 벨트(47)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타이밍 벨트(47)에는 제 1 브래키트(48)가 고정되어서 상기 타이밍 벨트(47)의 이동에 따라 좌우이동된다. 상기 브래키트(48)의 하단에는 액정표시소자 표면의 이물질을 긁어서 제거하는 나이프 유니트를 지지하는 지지판(49)이 연결되고, 상기 지지판(49)에는 나이프 유니트의 상하이동 동작을 제어하는 에어 실린더(50)가 장착되고, 상기 에어 실린더(50)는 상기 본체(41)의 상부에 고정된 제 2 브래키트(51)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에어 실린더(50)에는 에어 실린더에서 발생된 공압에 의해 상하이동되는 로드(52)가 구비되고, 하부로 연장된 그 끝단이 연결단(53)의 중앙에 고정된다.상기 연결단(53)의 우측에는 연결축(54)이 삽입,관통되어 하부로 연장되고, 그 끝단에 나이프 유니트를 지지하는 제 1 지지대(55a)가 고정된다.
상기 제 1 지지대(55a)의 하부에 소정간격으로 제 2 지지대(55b)가 대향,설치되어서 볼트(56)로 서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볼트(56)에는 스프링(57)이 끼워져서 나이프 유니트를 탄력지지하게 된다.
상기 제 2 지지대(55b)의 하부에는 끝단이 하부로 소정의 각으로 절곡된 연결편(58)이 장착되고, 그 경사면에 나이프 홀더(59)가 고정된다. 상기 나이프 홀더(59)는 액정표시소자에 손상을 주지않는 고무 재질을 사용한다.
상기 나이프 홀더(59)의 중앙에는 개구부(59a)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59a)에 액정표시소자의 표면을 긁어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나이프(60)가 끼워지는데, 그 연결부에는 볼(60a)이 삽입되어 상기 나이프(60)의 원활한 미끄럼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나이프(60)의 끝단 근접 위치에 액정표시소자가 안치되는 스테이지(61)가 설치된다. 상기 스테이지(61)의 좌측 끝단에는 상기 나이프(60)의 초기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에어 실린더(50)를 구동시켜 나이프 유니트를 하강시키는 초기감지 센서(62a)가 부착되고, 우측 끝단에는 상기 나이프(60)의 종기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에어 실린더(50)를 구동시켜 나이프 유니트를 상승시키는 종기감지 센서(62b가 부착된다.
제 12 도는 측면도로서, 상기 각 구성요소들의 위치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고, 부가적으로 상기 본체(41)의 상부 좌우측에 레일(23)이 설치되고, 상기레일(23)의 형상에 부합하는 가이드(24)가 맞물리고, 하부로 연장된 끝단은 상기 연결단(53)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연결축(54)은 상기 연결단(53)의 좌우측에 2개가 설치되고, 상기 볼트(56)는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대(55a,55b)의 중앙과 좌우측에 3개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나이프 세척장치(K)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액정 셀(C)의 일측면에는 제 1 부착장치(B1)에 의해 편광판이 부착되고, 타측면에도 편광판을 부착하기 위해 반전장치(R)에 의해 180 ˚로 반전되는데, 이 반전장치를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 1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부착장치(B1)에서 일면에 편광판이 부착된 액정 셀(C)이 안치되는 스테이지(71)의 일측에 액정 셀(C)을 180˚로 반전시키는 회전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회전장치에는 액정 셀(C)의 유,무를 감지하는 파이버 센서(3)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스테이지(71)의 상부에는 액정 셀(C)을 상기 회전장치로 밀어서 공급하는 이동장치가 통상의 치구에 의해 고정,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장치의 타측에는 180˚로 반전된 액정 셀(C)을 제 2 부착장치(B2)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72)가 설치된다.
제 14 도에는 상기 회전장치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80)에는 상기 스테이지(71)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에 회전축(81)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81)에 액정 셀(C)이 안치되고 180˚로 반전시켜 상기 컨베이어(72)로 공급하는 각각이 90˚의 각을 이루며 한 쌍으로 이루어진 4개의 회전날개(82)가 장착된다. 상기 회전날개(82)는 직육면체 형상으로서 내부에 액정 셀(C)이 안치되는 개구부(82a)가 형성되는데, 중심에서 바깥쪽으로 단면적이 넓어지도록 형성된다.
제 15 도에는 상기 한 쌍의 회전날개(82)와 상기 회전축(82)으로 회전력을 부여하는 동력원 및 동력전달 수단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날개(82)는 한 쌍(82a,82b)으로 이루어지고, 좌측 회전날개(82a)는 본체(80)에 고정되고, 우측 회전날개(82b)는 좌우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81)에는 소정 길이의 스플라인(100)이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스플라인(100)의 외주면에 상기 우측 회전날개(82b)가 장착된 원통부재(101)가 삽입,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81)의 연직 하부의 동일 축 방향으로 일측이 상기 본체(8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리드 스크류(102)가 설치되고, 그 중간부에 상기 원통부재(101)에 연결펀(103)으로 연결되고 축공에 나사선이 형성된 볼 스크류(104)가 결합된다. 상기 리드 스크류(102)의 타측은 동력원인 제 2 모터(105)에 연결되는데, 그 구조는 상기 리드 스크류(102)에 장착된 풀리(102a), 상기 제 2 모터(105)에 장착된 풀리(105a) 및 상기 풀리(102a,105a)를 연결하는 벨트(105b)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축(81)의 일측 끝단은 제 1 풀리(81a)가 장착되고, 상기 제 1 풀리(81a)에는 벨트(83)가 연결되고, 하부로 연장된 타단에는 제 2 풀리(84a)가 연결된다. 상기 제 2 풀리(84a)에 상기 회전날개(82)의 구동원인 교류유도형 제 1 모터(84)의 축(84b)이 장착된다.
제 15 도에는 이동장치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 셀(C)을 상기 회전날개(82)의 개구부(82a)로 밀어넣는 플레이트(90)가 플레이트 홀더(91)에 고정되는데, 그 연결부에는 스프링(92)이 개재되어서 플레이트(90)가 액정 셀(C)을 밀때 완충작용을 하게된다. 상기 플레이트(90)는 상기 플레이트 홀더(91)에 고정되는 고정부(90a)와 상기 고정부(90a)와 일측 끝단에서 하부로 연장,형성되어서 액정 셀(C)을 미는 밀착부(90b)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홀더(91)는 지지대(92)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지지대(92)는 상기 플레이트(90)를 상하이동시키는 제 1 에어 실린더(93)의 로드(93a)에 연결된다.
상기 제 1 에어 실린더(93)는 수평 고정단(94)에 고정되고, 상기 수평 고정단(94)과 지지대(92)는 2개의 고정축(95)에 의해 가로질러 연결되어 상하 이동시에 요동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 고정단(94)에는 제 1 수직 고정단(97a)이 연결,설치되고, 상기 제 1 수직 고정단(97a)에는 상기 플레이트(90)를 좌우이동시키는 제 2 에어 실린더(96)의 로드(96a)가 연결된다.
상기 제 2 에어 실린더(96)는 상기 제 1 수직 고정단(97a)과 소정 거리로 대향,설치된 제 2 수직 고정단(97b)에 고정된다. 또한, 고정축(95)에 의해 상기 제 1,2 수직 고정단(97a,97b)이 서로 연결되어 좌우이동시에 요동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92)의 우측 하단에는 상기 플레이트(90)가 액정 셀(C)을 밀어서 회전날개(82)의 개구부(82a)내로 완전히 진입하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에어 실린더(93,96)의 동작을 멈추게 하고, 또한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신호를 발송하는 포토 센서(98)가 부착된다. 즉, 상기 포토 센서(98)는 상기 플레이트(90)의 고정부(90a)의 타측 끝단에 접하게 되면 상기 제 1 및 제 2 에어 실린더(93,96)의 동작을 멈추게 함과 동시에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신호를 발송하게 된다.
상기 반전장치(R)에 의해 180 ˚로 반전된 액정 셀(C)의 타측면에 제 2 부착장치(B2)에 의해 편광판이 부착되고, 반출장치(U)에 의해 전체 시스템에서 반출되는데, 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 18 도 및 제 19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하부면에 승강기(112)가 장착되고, 상기 승강기(112) 하부에는 구동원인 모터(도시되지 않음)가 볼 스크류(도시되지 않음)로 연결되어 그 동력이 일정 간격씩 상기 승강기(112)로 전달된다. 여기서 상기 모터는 교류유도형 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강기(112)에는 액정 셀(C)이 안치되는 카세트를 고정하는 지그(113)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10)의 상부면에 액정 셀(C)을 흡착하여 카세트로 집어넣는 핑거(114)가 위치하고, 상기 핑거(114)는 Y축 구동부(115)의 상부면에 장착되어 Y축 방향, 즉 상하이동하게 된다. 상기 Y축 구동부(115)는 Y축 구동부(115)에 수직하게 장착된 X축 구동부(116)에 의해 X축 방향, 즉 좌우 이동하게 된다. 상기 X,Y축 구동부(116,115)는 서보 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상기 핑거(114)의 양측에는 액정 셀(C)을 양측에서 밀착하여 카세트의 위치와 동일하게 정렬시키는 밀착부재(117)가 설치되고, 상기 밀착부재(117)는 에어 실린더(118)에 연결되어 좌우이동된다.
상기 승강기(112)의 우측에 제 1 및 제 2 부착장치(B1,B2)에서 양면에 편광판이 부착된 액정 셀(C)을 흡착하여 상기 핑거(114)로 전달하는 전달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전달장치는 상기 본체(110)에 고정된 고정암(119), 상기 고정암(119)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액정 셀(C)을 흡착하는 진공 패드(120)가 상부면에 부착된 회전암(121), 상기 고정암(119)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암(121)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교류유도형 모터(122)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10)의 좌측면에는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조작반(123)이 부착된다.
또한, 상기 핑거(114) 및 진공 패드(120)에 진공을 부여하는 진공수단은 통상의 진공모터를 사용하거나 공정 라인에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진공라인을 연결하여 사용해도 무방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작업자가 액정 셀이 저장된 카세트(2)를 반입 컨베이어(1a)에 올려놓은 후, 모터(1c)를 구동시키면 카세트(2)가 좌측으로 이동되어 스토퍼(3)까지 도달되면 정지하게 된다. 그러면 제 1 위치감지 센서(4a)가 이를 감지하여 제 1 에어 실린더(21)가 구동되고, 그 공압에 의해 홀더 유니트(20) 전체가 카세트(2) 하부로 이동된다. 이때의 위치는 제 2 위치감지 센서(4b)의 높이이다. 그 다음 승강기(10)의 모터(14)가 작동되어 그 회전력이 리드 스크류(12)로 전달되고, 따라서 이동부재(15)가 상승되어서 홀더 유니트(20)를 제 3 위치감지 센서(4c)의 높이까지 상승시키게 되면 카세트(2)가 반입 컨베이어(1a)에서 분리되면서 안치축(26)에 의해 지지되면서 약간 상승된다. 그러면 제 2 에어 실린더(23)가 작동되어 홀딩부(24)가 서로 내측으로 이동되고, 따라서 홀더(25)가 카세트(2)를 견고히 고정하게 된다. 카세트(2)가 고정되면 모터(14)가 다시 가동되는데, 상기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력을 리드 스크류(12)로 전달하여 홀더 유니트(20)가 일정 피치씩 하강하게 된다. 여기서 승강기 본체(11)의 일측부에 장착된 브래키트(5)에 일정 피치 간격으로 형성된 홈(미도시)을 파이버 센서(19a)가 감지하여 일정 거리씩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강하다가 편광판 부착장치에 구비된 로보트(미도시)의 설치 위치에 도달되면 로보트가 카세트(2)에 저장된 액정 셀(C)을 한 장씩 집어서 편광판 부착장치에 반입하게 된다. 카세트(2)에 저장된 액정 셀(C)이 모두 편광판 부착장치로 반입이 완료되면 홀딩 유니트(20)는 제 4 위치감지 센서(4d)의 높이에 도달된다. 더 하강하여 제 5 위치감지 센서(4e)의 위치에 도달하여 제 2 에어 실린더(23)가 복귀하여 홀딩을 해제하면, 제 1 에어 실린더(21)가 구동되어 제 6 위치감지 센서(4f)의 위치로 하강하면서 빈 카세트(2)를 반출 컨베이어(1b)에 안치시키고, 이를 제 6 위치감지 센서(4f)가 감지하면 제 2 에어 실린더(23)가 복귀하여 카세트(2)의 고정이 해제된다. 그리고 모터(1c)가 가동되어 빈 카세트(2)가 반출 컨베이어(1b)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또한, 홀더 유니트(20)가 제 6 위치감지 센서(41)의 위치에 도달하면 제 1 에어 실린더(21)가 복귀하면서 모터(14)가 가동되어 홀더 유니트(20)를 제 2 위치감지 센서(4b)의 높이까지 다시 상승시켜 다음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승강동작이 완료되면, X축 구동부(38)의 서보 모터가 가동되어핑거(37)가 입력 위치로 이동된다. 그 다음, Y축 구동부(39)의 로드리스 실린더가 작동되어 핑거(37)가 카세트(33)에 정렬된 액정 셀(C) 중 최하단의 밑면 6mm위치로 전진한다. 그러면 승강기(34)의 교류유도형 모터가 구동되어 카세트(33)가 하강하면 파이버 센서(36)가 액정 셀(C)을 감지하여 6mm 하강한 후 정지하게 되고, 따라서 진공수단에 의해 진공이 형성된 핑거(37)의 수평판(37a)에 액정 셀(C)이 흡착되고 액정 셀(C)의 반입 위치로 후진한다. 반입 위치에 도달하면 로타리 실린더(40)가 작동되어 핑거(37)가 90˚ 회전하여 액정 셀(C)을 컨베이어(32)에 반입하게 되고, 컨베이어(32)에 의해 액정 셀(C)은 편광판 부착장치로 이송되어 편광판 부착 작업이 수행되게 된다. 이와같은 동작은 카세트(33)에 저장된 액정 셀(C)을 모두 반입할 때까지 계속 수행된다.
그런 다음, 액정 셀이 컨베이어를 타고 스테이지(61)에 도착하면, 상기 스테이지(61)가 약 10mm정도 상승한다. 그러면 교류유도 모터(43)가 작동되어 그 동력이 축(43a), 모터 풀리(43b), 벨트(44), 연결 풀리(43c), 제 1 풀리축(45a) 및 제 1 풀리(45)로 순차적으로 전달되어서 제 1 브래키트(48)가 좌측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나이프(60)도 좌측으로 이동되다가 초기감지 센서(62a)가 나이프(60)를 감지하여 에어 실린더(50)를 구동시키면 그 공압에 의해 로드(52)가 하부로 이동되어 나이프(60)가 액정표시소자의 좌측 끝단에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교류유도 모터(43)는 계속 작동되어 나이프(60)가 우측으로 이동되면서 액정표시소자 표면의 이물질을 긁어서 제거하게 된다. 이때, 나이프(60)는 볼트(56)에 삽입된 스프링(57)에 의해 탄력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액정표시소자 표면의 형상에 따라 선택적인 하방 압착이 가능하고, 또한 볼(60a)에 의해 자연스런 이동이 가능하고, 나이프 홀더(59)의 재질이 고무이기 때문에 나이프(60)와 액정표시소자간의 미세한 높이차를 보상하여 액정표시소자 표면의 이물질 제거가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액정표시소자에 손상을 입히지 않는다.
이렇게 나이프(60)가 액정표시소자의 우측 끝단까지 이동되어 이물질 제거가 완료되면 종기감지 센서(62b)가 나이프(60)를 감지하여 에어 실린더(50)를 가동시켜 나이프(60)를 초기 위치로 상승시킨다. 그리고 교류유도 모터(43)가 역회전되어 나이프 유니트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켜서 다음 동작에 대비하게 된다.
상기된 세척동작이 완료된 액정 셀(C)은 제 1 부착장치(B1)에 의해 일측면에 편광판이 부착된 후, 액정 셀(C)의 사이즈에 대응되도록 제 2 모터(105)의 가동으로 볼 스크류(104)를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키면, 원통부재(101)도 같이 이동되므로 액정 셀(C)의 사이즈에 대응하는 위치로 우측 회전날개(82)가 이동된다.
이와같이 회전날개(82)의 위치를 설정한 다음, 제 1 부착장치(B1)에서 일측면에 편광판이 부착된 액정 셀(C)이 스테이지(71)에 안치되면 제 1 에어 실린더(93)가 작동되어 로드(93a)가 하강되면서 플레이트(90)가 액정 셀(C)의 근접 위치까지 내려오게 된다. 즉, 밀착부(90b)가 이동하여 액정 셀(C)을 밀도록 액정 셀(C)의 측면에 위치하게 된다. 그 다음 제 2 에어 실린더(96)가 작동되어 플레이트(90)가 이동되어서 액정 셀(C)이 회전날개(82)의 개구부(82a)내로 밀어넣게 된다. 이때, 개구부(82a)는 중심으로부터 바깥쪽으로 가면서 그 단면적이 점점 넓어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액정 셀(C)의 안치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플레이트(90)가 액정 셀(C)을 개구부(82a)내로 완전히 밀어넣게 됨과 동시에 플레이트(90)의 고정부(90a)의 끝단이 포토 센서(98)에 접촉하게 되면, 포토 센서(98)가 이를 감지하여 제 1 및 제 2 에어 실린더(93,96)의 동작을 멈추게 함과 동시에 원위치로 복귀시키게 한다.
그 다음, 액정 셀(C)이 개구부(82a)내로 완전진입되면 파이버 센서(73)가 이를 감지하여 교류유도형 모터(84)를 동작시키고, 그 동력이 모터 축(84b), 제 2 풀리(84a), 벨트(83), 제 1 풀리(81a) 및 회전축(81)으로 순차적으로 전달되어 회전날개(82)가 시계반대 방향으로 90˚회전하게 된다. 즉, 액정 셀(C)이 안치된 회전날개는 수평 상태에서 수직 상태로 바뀌고, 위와같은 동작이 1회 더 실시되어서 회전날개(82)가 시계반대 방향으로 90˚회전하게 되면 액정 셀(C)이 180˚로 반전되어 컨베이어(72)로 미끄러져 내려오게 되어서 컨베이어(72)를 타고 제 2 편광판 부착장치로 이동되어서 타측면에 편광판을 부착하는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상기된 동작에 의해 액정 셀(C)이 180 ˚로 반전되면, 제 2 부착장치(B2)에 의해 액정 셀(C)의 타측면에도 편광판이 부착된 후, 반출장치로 이송된다.
반출장치로 이송된 액정 셀(C)은 전달장치에 진입하면 진공 패드(120)가 액정 셀(C)을 흡착하고, 교류유도형 모터(122)가 가동되어 회전암(121)이 180˚회전하여 액정 셀(C)을 핑거(114)의 상부면에 안치시킨다. 그러면 에어 실린더(118)가 가동되어 밀착부재(117)가 양측에서 액정 셀(C)을 밀착하여 카세트의 위치와 평행하게 정렬시킨다. 액정 셀(C)의 위치가 정렬되면 X축 구동부(116)가 조작반(123)에 미리 입력된 위치로 이동하고, Y축 구동부(115)가 작동되어 핑거(114)에 흡착된 액정 셀(C)이 카세트에 밀어넣어지게 되고, 핑거(114)는 원위치로 복귀된다.
액정 셀(C)이 카세트에 완전진입하면 승강기(112)의 모터가 작동되어 그 동력이 볼 스크류를 통해서 승강기(112)로 일정 간격, 즉 카세트의 1 피치 만큼 전달되어 다음 액정 셀(C)의 반입을 준비한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액정 셀의 양측면에 편광판을 부착시키는 작업이 작업자의 투입없이도 전자동으로 가능하게 되므로써, 작업능률이 향상되고, 작업시간이 단축되며, 따라서 편광판 부착작업의 생산성이 크게 향상된다.
기타,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Claims (31)

  1. 다수의 액정 셀이 안치된 카세트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장치; 상기 승강장치에 의해 일정 높이로 상승된 카세트내의 액정 셀을 하나씩 홀딩하여 이송시키는 반입장치; 상기 반입장치에 의해 이송된 액정 셀의 표면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나이프 세척장치; 상기 나이프 세척장치에 의해 세척된 액정 셀의 일측면에 편광판을 부착시키는 제 1 부착장치; 상기 제 1 부착장치에 의해 일측면에 편광판이 부착된 액정 셀을 180 ˚로 반전시키는 장치; 상기 반전장치에 의해 반전된 액정 셀의 타측면을 편광판을 부착시키는 제 2 부착장치; 및 상기 제 2 부착장치에서 편광판이 부착된 액정 셀을 빈 카세트에 안치시켜 반출시키는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셀의 편광판 부착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일측에 액정 셀이 안치된 카세트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가 연결되고, 타측에는 상기 반입장치가 연결된 승강기 본체; 상기 승강기 본체의 상하를 가로질러 설치된 리드 스크류; 상기 리드 스크류의 구동원인 모터; 상기 리드 스크류에 장착되어 상하이동되는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에 장착되어 카세트를 지지하는 홀더 유니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셀의 편광판 부착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유니트는 상기 이동부재에 연결된 고정암; 상기 고정암의 상부에 위치하여 좌우이동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이동력을 부여하도록 상기 이동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고정암에 고정된 제 1 에어 실린더; 상기 이동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좌우이동되어서 상기 카세트를 홀딩하는 홀딩부; 및 상기 홀딩부에 이동력을 부여하도록 상기 홀딩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이동부에 고정된 제 2 에어 실린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셀의 편광판 부착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입장치는 상기 승강장치에 의해 상승된 액정 셀을 하나씩 흡착하는 핑거; 상기 핑거에 진공을 부여하는 진공수단; 상기 핑거에 이동력을 부여하는 이동수단; 상기 이동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 및 상기 핑거에 흡착된 액정 셀을 나이프 세척장치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셀의 편광판 부착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핑거의 X축 이동력을 부여하는 X축 구동부; 상기 핑거의 Y축 이동력을 부여하는 Y축 구동부; 및 상기 핑거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회전 구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셀의 편광판 부착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X축 구동부는 서보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셀의 편광판 부착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Y축 구동부는 로드리스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셀의 편광판 부착 시스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동부는 로타리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셀의 편광판 부착 시스템.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의 일측부에 상기 핑거와 동일한 높이로 액정 셀의 유,무를 감지하는 센서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셀의 편광판 부착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액정 셀에 손상을 주지 않는 파이버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셀의 편광판 부착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이프 세척장치는 상기 반입장치에 의해 이송된 액정 셀이 안치되는 스테이지; 상기 스테이지 위에 안치된 액정 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나이프 유니트; 상기 나이프 유니트를 상하이동시키는 수단; 상기 나이프 유니트를 좌우이동시키는 수단; 및 상기 나이프 유니트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상하 및 좌우 이동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셀의 편광판 부착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나이프 유니트는 액정표시소자의 표면을 긁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나이프; 상기 나이프를 지지하는 홀더; 및 상기 홀더를 탄력지지하는 지지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셀의 편광판 부착 시스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 수단은 상기 나이프 유니트 상부에 연결된 에어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셀의 편광판 부착 시스템.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이동 수단은 구동원인 모터; 상기 모터에 장착된 제 1 풀리; 상기 제 1 풀리에서 소정 거리로 별도의 치구에 의해 지지되는 제 2 풀리; 상기 제 1 및 제 2 풀리를 연결하는 타이밍 벨트; 상기 타이밍 벨트에 고정된 브래키트; 및 상기 브래키트와 나이프 유니트를 연결하는 연결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셀의 편광판 부착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교류유도형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셀의 편광판 부착 시스템.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나이프 유니트의 초기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나이프 유니트를 하강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상하이동 수단을 구동시키는 초기감지 센서와; 종기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나이프 유니트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상하이동 수단을 구동시키는 종기감지 센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셀의 편광판 부착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및 종기감지 센서는 액정 셀에 손상을 주지 않는 파이버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셀의 편광판 부착 시스템.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전장치는 상기 제 1 편광판 부착장치에서 일측면에 편광판이 부착된 백정 셀이 안치되는 스테이지; 상기 스테이지 상부에 위치하여 액정 셀을 이송시키는 장치; 및 상기 이동장치에 의해 이송된 액정 셀을 180 ˚로 회전시키는 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셀의 편광판 부착 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장치는 상기 스테이지에 안치된 액정 셀을 180˚로 반전시키는 수 개의 회전날개; 상기 회전날개의 동력원인 모터; 및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날개로 전달하는 동력전달 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셀의 편광판 부착 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개는 액정 셀이 안치되는 개구부가 구비되고, 상기 개구부는 중심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셀의 편광판 부착 시스템.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개에 액정 셀의 유,무를 감지하는 센서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셀의 편팡판 부착 시스템.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액정 셀에 손상을 주지않는 파이버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셀의 편광판 부착 시스템.
  2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 장치는 상기 회전날개에 삽입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결합된 제 1 풀리; 상기 제 1 풀리에 연결된 벨트; 및 상기 벨트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모터 축이 장착된 제 2 풀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셀의 편광판 부착 시스템.
  24.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는 액정 셀을 상기 회전장치로 밀어서 공급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를 홀딩하는 플레이트 홀더; 상기 플레이트 홀더를 지지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상하 및 좌우 이동력을 부여하는 에어 실린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셀의 편광판 부착 시스템.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 플레이트는 액정 셀을 밀때 손상을 주지않기 위해 완충작용을 하도록 상기 플레이트 홀더에 스프링으로 탄력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셀의 편광판 부착 시스템.
  26. 제 1 항에 있어서, 반출장치는 상기 제 2 부착장치에 의해 편광판이 부착된 액정 셀을 흡착하는 핑거; 상기 핑거에 진공을 부여하는 수단; 상기 핑거에 상하 및 좌우 이동력을 부여하는 수단; 상기 핑거에 흡착된 액정 셀을 카세트에 안치시키도록 정렬시키는 수단; 상기 카세트를 고정하는 수단이 구비되고, 카세트를 일정 간격씩 상하이동시키는 수단; 및 상기 핑거로 액정 셀을 전달하는 전달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셀의 편광판 부착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 이동수단은 상기 핑거의 X축 방향의 이동력을 부여하는 X축 구동부와; 상기 X축 구동부에 수직하게 장착되고, 상기 핑거가 상부면에 부착되어 상기 핑거의 Y축 방향의 이동력을 부여하는 Y축 구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셀의 편광판 부착 시스템.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X 및 Y축 구동부는 서보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셀의 편광판 부착 시스템.
  29.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수단은 상기 핑거에 안치된 액정 셀을 양측에서 밀착하여 정렬시키는 한 쌍의 밀착부재와; 상기 밀착부재에 구동원인 에어 실린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셀의 편광판 부착 시스템.
  30.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 이동수단은 상기 카세트를 고정하는 수단이구비된 승강기 본체; 상기 승강기 본체의 구동원인 모터; 및 상기 모터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승강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동력을 일정 간격씩 전달하는 볼 스크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셀의 편광판 부착 시스템.
  31.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장치는 구동원인 모터; 상기 모터가 장착되는 고정암; 상기 고정암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액정 셀을 흡착하는 진공 패드가 구비된 회전암; 및 상기 진공 패드로 진공을 부여하는 진공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셀의 편광판 부착 시스템.
KR1019960018696A 1996-05-30 1996-05-30 액정 셀의 편광판 부착 시스템 KR100384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8696A KR100384798B1 (ko) 1996-05-30 1996-05-30 액정 셀의 편광판 부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8696A KR100384798B1 (ko) 1996-05-30 1996-05-30 액정 셀의 편광판 부착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5990A KR970075990A (ko) 1997-12-10
KR100384798B1 true KR100384798B1 (ko) 2003-11-01

Family

ID=37417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8696A KR100384798B1 (ko) 1996-05-30 1996-05-30 액정 셀의 편광판 부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47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4775B1 (ko) 2009-03-12 2011-01-04 한동희 보호필름 자동 부착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5465B1 (ko) * 2002-12-10 2008-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편광판 부착 설비
KR100879806B1 (ko) * 2007-10-26 2009-01-22 세광테크 주식회사 폴부착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9363A (ko) * 1991-10-30 1993-05-22 강진구 카메라 녹화 우선 방법
KR940002632A (ko) * 1992-07-30 1994-02-17 이헌조 액정표시소자의 편광필름 부착장치
KR940015603A (ko) * 1992-12-31 1994-07-21 김주용 편광판 자동공급 장치
KR950007029U (ko) * 1993-08-24 1995-03-21 액정표시패널의 편광판 부착장치
KR950009320A (ko) * 1993-09-28 1995-04-21 엄길용 대형 액정디스플레이 판넬 편광필름 부착장치 및 방법
JPH0887007A (ja) * 1994-09-19 1996-04-02 Ookubo Seisakusho:Kk 偏光板の貼り付け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9363A (ko) * 1991-10-30 1993-05-22 강진구 카메라 녹화 우선 방법
KR940002632A (ko) * 1992-07-30 1994-02-17 이헌조 액정표시소자의 편광필름 부착장치
KR940015603A (ko) * 1992-12-31 1994-07-21 김주용 편광판 자동공급 장치
KR950007029U (ko) * 1993-08-24 1995-03-21 액정표시패널의 편광판 부착장치
KR950009320A (ko) * 1993-09-28 1995-04-21 엄길용 대형 액정디스플레이 판넬 편광필름 부착장치 및 방법
JPH0887007A (ja) * 1994-09-19 1996-04-02 Ookubo Seisakusho:Kk 偏光板の貼り付け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4775B1 (ko) 2009-03-12 2011-01-04 한동희 보호필름 자동 부착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5990A (ko) 1997-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99571B2 (ja) 基板搬送ロボット
CN110202920B (zh) 玻璃自动丝印机
CN209888372U (zh) 玻璃自动丝印机
KR101400676B1 (ko) 필름 부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필름 부착 방법
CN112172297A (zh) 柔性oled盖板贴合组装设备
KR20170115635A (ko) 스크라이빙 장치
KR100384798B1 (ko) 액정 셀의 편광판 부착 시스템
JP3427808B2 (ja) 偏光板貼付方法及び装置
KR101031105B1 (ko) 소형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
KR20180069677A (ko) 기판 절단 장치
JP3184167B2 (ja) 表示パネル移載装置及び表示パネル移載ユニット
CN216419974U (zh) 一种自动点胶设备
CN216738071U (zh) 划片装置
CN110935666A (zh) 一种酒精清洁设备及方法
JP3563851B2 (ja) 基板搬送装置
JPH07276174A (ja) ワーク加工方法および装置
KR20050111448A (ko) 티에프티-엘시디 모듈 어셈블리 조립장치 및 이조립장치를 이용한 티에프티-엘시디 모듈 어셈블리 조립방법
KR101550655B1 (ko) 패널 반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패널 반전 방법
KR20190037830A (ko) 기판 절단 장치
KR20140003717A (ko) 선입, 선출이 가능한 기판 버퍼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S62211245A (ja) ガラス基板搬送装置
KR200193859Y1 (ko) 편광판 부착 시스템의 액정 셀 카세트 승강장치
KR20170115636A (ko) 스크라이빙 장치
JP3578278B2 (ja) ガラス物品の移載装置
CN112509944A (zh) 一种制程终端检测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