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3859Y1 - 편광판 부착 시스템의 액정 셀 카세트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편광판 부착 시스템의 액정 셀 카세트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3859Y1
KR200193859Y1 KR2019950012449U KR19950012449U KR200193859Y1 KR 200193859 Y1 KR200193859 Y1 KR 200193859Y1 KR 2019950012449 U KR2019950012449 U KR 2019950012449U KR 19950012449 U KR19950012449 U KR 19950012449U KR 200193859 Y1 KR200193859 Y1 KR 2001938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liquid crystal
crystal cell
polarizing plate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24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2712U (ko
Inventor
이정모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20199500124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3859Y1/ko
Publication of KR9700027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7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38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38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편광판 부착 시스템의 액정 셀(liquid crystal display cell) 카세트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컨베이어와 편광판 부착기 사이에 설치되어 액정 셀이 안치된 카세트를 컨베이어 자동으로 로딩 및 언로딩할 수 있게 한 편광판 부착 시스템의 액정 셀 카세트 승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에는 액정 셀이 안치된 카세트를 이송하는 컨베이어가 연결되고 타측에는 액정 셀에 편광판을 부착하는 편광판 부착기가 연결된 승강기 본체, 상기 승강기 본체의 상하를 가로질러 설치된 리드 스크류, 상기 리드 스크류의 구동원인 모터, 상기 리드 스크류에 장착되어 상하이동되는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에 장착되어 카세트를 지지하는 홀더 유니트로 구성되어서 액정 셀이 저장된 카세트를 1인의 작업자만으로 컨베이어에 자동으로 로딩 및 언로딩함으로써 작업 시간 및 인력이 절감되어서 생산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편광판 부착 시스템의 액정 셀 카세트 승강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편광판 부착 시스템의 액정 셀 카세트 승강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주요부인 승강기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2(a)도는 정면도.
제2(b)도는 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주요부인 홀더 유니트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3(a)도는 정면도.
제3(b)도는 측면도.
제3(c)도는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컨베이어 2 : 카세트
4 : 위치감시 센서 10 : 승강기
11 : 승강기 본체 12 : 리드 스크류
14 : 모터 15 : 이동부재
19 : 고정암 20 : 홀더 유니트
21 : 제1에어 실린더 22 : 이동부
23 : 제2에어 실린더 24 : 홀더부
25 : 홀더 26 : 안치축
본 고안은 편광판 부착 시스템의 액정 셀(liquid crystal display cell) 카세트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컨베이어(conveyor)와 편광판 부착기 사이에 설치되어 액정 셀이 안치된 카세트 컨베이어 자동으로 로딩(loading) 및 언로딩(unloading)할 수 있게 한 편광판 부착 시스템의 액정 셀 카세트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의 위상을 변화시켜 원하는 글자나 문자 또는 숫자를 디스플레이시키는 액정표시소자는 화소전극이 형성된 상하 유리기판의 내측면에 전계 효과를 좋게하는 배향막을 설치하고 이들 양 유리기판을 러빙한 후, 상기 2개의 유리기판 중 어느 하나의 유리기판상에는 접착제를 프린트하고, 다른 하나의 유리기판에는 스페이서를 코팅한 후, 봉착 공정에서 이들 2개의 유리기판을 겹쳐 포갠 상태로 압착장치에 설치하여 건조 오븐에 넣고 열압착을 실시함으로써 제작되어 진다.
이러한 액정표시소자는 입사되는 빛이 일정한 방향으로만 입사되도록 상하부 기판의 외측면에 편광판 부착기를 이용하여 편광판을 부착하게 된다.
그러나 기존의 편광판 부착기는 액정 셀의 한 면에만 편광판을 부착할 수 있는 단면 부착기이기 때문에 액정 셀의 양면에 편광판을 부착하기 위해서는 그대의 편광판 부착기를 연속으로 설치하여 로딩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카세트에 안치된 액정 셀을 한 작업자가 한 장씩 꺼내서 편광판 부착기에 반입시키고, 다른 한 작업자는 빈 카세트를 다시 언로딩 컨베이어에 안치시켜야 하기 때문에 번거로움에 따른 저하와 인력의 낭비로 인해 결과적으로 생산성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1인의 작업자만으로 카세트에 안치된 액정 셀을 편광판 부착기에 반입시키고, 빈 카세트를 언로딩시켜 컨베이어로 이송되게 하는 편광판 부착 시스템의 액정 셀 카세트 승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일측에는 액정 셀이 안치된 카세트를 이송하는 컨베이어가 연결되고 타측에는 액정 셀에 편광판을 부착하는 편광판 부착기가 연결된 승강기 본체, 상기 승강기 본체의 상하를 가로질러 설치된 리드 스크류, 상기 리드 스크류의 구동원인 모터, 상기 리드 스크류에 장착되어 상하이동되는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에 장착되어 카세트를 지지하는 홀더 유니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더 유니트는 상기 이동부재에 연결된 고정암, 상기 고정암의 상부에 위치하여 좌우이동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이동력을 부여하도록 상기 이동부제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고정암에 고정된 제1에어 실린더, 상기 이동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좌우이동하면서 상기 카세트를 홀딩하는 홀딩부 및 상기 홀딩부에 이동력을 부여하도록 상기 홀딩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이동부에 고정된 제2에어 실린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편광판 부착 시스템의 액정 셀 카세트 승강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주요부인 승강기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2(a)도는 정면도, 제2(b)도는 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주요부인 홀더 유니트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3(a)도는 정면도, 제3(b)도는 측면도, 제3(c)도는 평면도이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카세트 승강장치의 우측 상부에는 편광판 부착기(미도시)로 액정 셀이 안치된 카세트(2)를 이송하는 로딩 컨베이어(1a)가 설치되고, 그 하부에는 빈 카세트(2)의 이송라인인 언로딩 컨베이어(1b)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로딩, 언로딩 컨베이어(1a,1b)의 좌측 끝단, 즉 상기 카세트 승강장치에 접하는 부위에 상기 카세트(2)의 이송동작을 멈추게 하는 스토퍼(3)가 부착되고, 또한 상기 스토퍼(3)에 의해 멈추어진 카세트(2)를 감지하는 제1위치감지 센서(4a)가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로딩,언로딩 컨베이어(1a,1b)의 모터(1c)가 상기 로딩 컨베이어(1a)의 상부에 장착된다.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카세트(2)를 지지하는 홀더 유니트(20), 상기 홀더 유니트(20)를 상하이동시키는 승강기(10) 및 상기 승강기(10)와 홀더 유니트(20)의 동작은 제어하는 5개의 위치감지 센서로 구성된다.
제2도에 승강기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같이 승강기 본체(11)의 상하를 가로질러 리드 스크류(12)가 장착되고, 그 상부는 베어링(12a)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하부에는 제1폴리(12b)가 결합되어서 벨트(13)에 의해 상기 리드 스크류(12)의 구동원인 모터(14)의 축에 결합된 제2풀리(14a)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리드 스크류(12)의 회전에 따라 상하이동하는 이동부재(15)가 장착되는데, 상기 이동부재(15)의 축공에는 당연히 상기 리드 스크류(12)의 나사선에 형상에 부합하는 나사선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리드 스크류(12)의 양측으로 평행하게 2개의 고정축(16)이 상기 승강기 본체(11)로 가로질러 설치되고, 상기 고정축(16)에는 부시(17)이 결합되어 상하로 왕복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부시(17)은 연결단(18)에 의해 상기 이동부재(15)에 연결되어 상하 이동려을 부여받게 된다. 상기 연결단(18)의 상단에 상기 홀더 유니트(20)를 고정하는 고정암(19)이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기 본체(11)의 측부에는 소정 간격으로 5개의 위치감지 센서(4b,c,d,e,f)가 부착되는데, 그 역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제3도에 홀더 유니트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고정암(19)의 상단에 제1에어 실린더(21)가 장착되고, 상기 제1에어실린더(21)의 로드(21a)에 이동부(22)의 수직부(22a)가 결합되어서 상기 이동부(22)가 좌우이동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22a)는 수평부(22b)에 연결된다.
상기 수평부(22b)의 상부에 중앙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게 2개의 제2에어 실린더(23)가 장착되고, 그 외측으로 연장된 로드(23a)에는 플랜지(23b)가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23b)에 고정 플레이트(23c)가 고정,결합되고, 그 상부에 상기 카세트(2)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는 홀더부(24)가 장착된다. 상기 양측의 홀더부(24)의 내측으로 직접 카세트(2)를 홀딩하는 홀더(25)가 중앙과 양측부에 각각 부착되는데, 그 형상은 카세트(2)의 돌출부(미도시)에 부합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홀더(25)는 양측에 전부 6개가 부착되어서 내측으로 이동되면서 카세트(2)를 홀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부(22b)의 중앙에는 4개의 안치축(26)이 상부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카세트(2)를 홀딩하기 전에 안치시킨다. 또한, 상기 고정암(19)의 하단에는 파이버 센서(19a)가 부착된다.
이와같이 구성되어서 작업자가 액정 셀이 저장된 카세트(2)를 로딩 컨베이어(1a)에 올려놓은 후, 모터(1c)를 구동시키면 카세트(2)가 좌측으로 이동되어 스토퍼(3)까지 도달하면 정지하게 된다. 그러면 제1위치감지 센서(4a)가 이를 감지하여 제1에어 실린더(21)가 구동되고, 그 공압에 의해 홀더 유니트(20) 전체가 카세트(2) 하부로 이동된다. 이때의 위치는 제2위치 감지 센서(4b)의 높이이다. 그 다음 승강기(10)의 모터(14)가 작동되어 그 회전력이 리드 스크류(12)로 전달되고, 따라서 이동부재(15)가 상승되어서 홀더 유니트(20)를 제3위치감지 센서(4c)의 높이까지 상승시키게 되면 카세트(2)가 로딩 컨베이어(1a)에서 분리되면서 안치축(26)에 의해 지지되면서 약간 상승된다. 그러면 제2에어 실린더(23)가 작동되어 홀딩부(24)가 서로 내측으로 이동되고, 따라서 홀더(25)가 카세트(2)를 견고히 고정하게 된다. 카세트(2)가 고정되면 모터(14)가 다시 가동되는데, 상기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력을 리드 스크류(12)가 전달하여 홀더 유니트(20)가 일정 피치씩 하강하게 된다. 여기서 승강기 본체(11)의 일측부에 장착된 브라켓트(5)에 일정 피치 간격으로 형성된 홈(미도시)을 파이버 센서(19a)가 감지하여 일정 거리씩 하강하게 된다. 이와같이 하강하다가 편광판 부착기에 구비된 로보트(미도시)의 설치 위치에 도달되면 로보트이 카세트(2)에 저장된 액면 셀(C)을 한 장씩 집어서 편광판 부착기에 로딩하게 된다. 카세트(2)에 저장된 액정(C)이 모두 편광판 부착기로 로딩이 완료되면 홀딩 유니트(20)는 제4위치감지 센서(4d)의 높이로 도달된다. 더 하강하여 제5위치감지 센서(4e)의 위치에 도달하여 제2에어 실린더(23)가 복귀하여 홀딩을 해제하면, 제1에어 실린더(21)가 구동되어 제6위치감지 센서(4f)의 위치로 하강하면서 빈 카세트(2) 언로딩 컨베이어(1b)에 안치시키고, 이를 제6위치 감지 센서(4f)가 감지하면 제2에어 실린더(23)가 복귀하여 카세트(2)의 고정이 해제된다. 그리고 모터(1c)가 가동되어 빈 카세트(2)가 언로딩 컨베이어(1b)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또한, 홀더 유니트(20)가 제6위치감지 센서(4f)의 위치에 도달하면 제1에어 실린더(21)가 복귀하면서 모터(14)가 가동되어 홀더 유니트(20)를 제2위치감지 센서(4b)의 높이까지 다시 상승시켜 다음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액정 셀이 저장된 카세트를 1인의 작업자만으로 컨베이어에 자동으로 로딩 및 언로딩함으로써 작업 시간 및 인력이 절감되어서 생산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1)

  1. 일측에는 액정 셀이 안치된 카세트를 이송하는 컨베이어가 연결되고 타측에는 액정 셀에 편광판을 부착하는 편광판 부착기가 연결된 승강기 본체(11); 상기 승강기 본체(11)의 상하를 가로질러 설치된 리드 스크류(12); 상기 리드 스크류(12)의 구동원인 모터(14); 상기 리드 스크류(12)에 장착되어 상하이동되는 이동 부재(15); 및 상기 이동 부재(15)에 장착되어 카세트를 지지하는 홀더 유니트(20)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 유니트(20)는 이동 부재(15)에 연결된 고정암(17); 상기 고정암(17)의 상부에 위치하여 좌우 이동되는 이동부(22); 상기 고정암(17)에 부착되어, 상기 이동부(22)의 위치를 감지하는 파이버 센서(19a); 상기 이동부(22)에 이동력을 부여하도록 상기 이동(22)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고정암(17)에 고정된 제1에어 실린더(21); 상기 이동부(22)의의 상부에 위치하여 좌우 이동하면서 카세트를 홀딩하는 홀딩부(25); 및 상기 홀딩부(25)에 이동력을 부여하도록 상기 홀딩부(25)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이동부(22)에 고정된 제2에어 실린더 (2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부착 시스템의 액정 셀 카세트 승강 장치.
KR2019950012449U 1995-06-01 1995-06-01 편광판 부착 시스템의 액정 셀 카세트 승강장치 KR2001938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2449U KR200193859Y1 (ko) 1995-06-01 1995-06-01 편광판 부착 시스템의 액정 셀 카세트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2449U KR200193859Y1 (ko) 1995-06-01 1995-06-01 편광판 부착 시스템의 액정 셀 카세트 승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2712U KR970002712U (ko) 1997-01-24
KR200193859Y1 true KR200193859Y1 (ko) 2000-09-01

Family

ID=19414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2449U KR200193859Y1 (ko) 1995-06-01 1995-06-01 편광판 부착 시스템의 액정 셀 카세트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385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5733B1 (ko) * 1999-04-19 2003-03-15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액정 셀 세정 및 반송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2314B1 (ko) * 1999-12-21 2006-01-12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베젤 벤딩 및 플렉서블 프린티드 서킷솔더링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5733B1 (ko) * 1999-04-19 2003-03-15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액정 셀 세정 및 반송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2712U (ko) 199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1053B1 (ko) 기판에 편광판을 부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193859Y1 (ko) 편광판 부착 시스템의 액정 셀 카세트 승강장치
KR20170115635A (ko) 스크라이빙 장치
JPH10236636A (ja) 基板反転方法及び装置
KR20100001852A (ko) 기판세정장치
KR100384798B1 (ko) 액정 셀의 편광판 부착 시스템
KR20080048813A (ko) 랙 마스터 및 이를 구비하는 스토커
CN216762471U (zh) 贴标系统平台、贴标系统
CN216419974U (zh) 一种自动点胶设备
CN116142756A (zh) 一种钢片贴合机
KR200193857Y1 (ko) 편광판 부착 시스템의 로딩 장치
CN214022083U (zh) 模块化屏幕光学检测补偿设备
CN109342451A (zh) 一种正反aoi检测系统
CN209765220U (zh) 一种适用于贴合微小型偏光片的设备
KR0137803B1 (ko) 나이프 세척 장치
KR101541864B1 (ko) 솔라 웨이퍼의 카세트 로딩장치
CN213477559U (zh) 一种整体卫浴美缝剂涂胶模组
KR100204099B1 (ko) 리이드 프레임 시이트 공급 장치
CN219602535U (zh) 一种钢片贴合机
CN214421741U (zh) 一种液晶屏进料装置
EP0344131A2 (en) Apparatus for the glueing of metal bases on glass substrates
CN218256888U (zh) 一种全自动胶带支架贴附机
CN219959070U (zh) 电车动力单元点胶上盖装置
CN210452634U (zh) 一种线束组装工装架
CN212501250U (zh) 一种开关面板覆膜包装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2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