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4099B1 - 리이드 프레임 시이트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리이드 프레임 시이트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4099B1
KR100204099B1 KR1019960076984A KR19960076984A KR100204099B1 KR 100204099 B1 KR100204099 B1 KR 100204099B1 KR 1019960076984 A KR1019960076984 A KR 1019960076984A KR 19960076984 A KR19960076984 A KR 19960076984A KR 100204099 B1 KR100204099 B1 KR 100204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sheet
pulley
hand
lea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6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7685A (ko
Inventor
육진홍
강규찬
Original Assignee
이해규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해규,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해규
Priority to KR1019960076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4099B1/ko
Publication of KR19980057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7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4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40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soldered or bonded constructions
    • H01L23/495Lead-frames or other flat lea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프레임 부재와, 리이드 프레임 시이트 및 간지 흡착 수단과, 상기 프레임 부재에 대하여 상기 흡착 수단이 탑재되고 수평 왕복 운동 및 수직 승강 운동을 할 수 있는 트랜스 조립체와, 리이드 프레임 시이트와 간지를 적재한 팔레트를 투입 이송시키는 공급 수단과, 상기 팔레트를 취출 이송시키는 취출 수단과, 상기 트랜스 조립체에 대하여 상기 팔레트를 근접시켜 상기 흡착 수단에 의해 리이드 프레임 시이트와 간지를 분리 흡착 가능하게 상기 팔레트를 이동시키는 팔레트 승강 수단과, 상기 흡착 수단에 의해 분리된 간지를 적재하는 간지 적재 수단을 포함하는 리이드 프레임 시이트 공급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리이드 프레임 시이트 공급 장치
본 발명은 리이드 프레임 시이트 공급 장치(lead frame sheet supplying apparatus)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이트와 시이트 사이에 게재된 간지(間紙)를 제거하는 공정과 에칭 단계를 수행하기 위하여 콘베이어에 시이트를 공급하는 공정이 자동적으로 수행되는 리이드 프레임 시이트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팩키지에서 반도체 칩의 지지 기능 및 칩의 단자 기능을 수행하는 리이드 프레임은 시이트 형태의 소재로부터 제조된다. 리이드 프레임 시이트는 소정의 면적을 가진 금속 재료의 얇은 박판으로서, 다수의 리이드 프레임이 한장의 시이트로부터 제조된다. 예를 들면, 실제의 리이드 프레임 제조 공정에서 시이트는 그 폭과 길이가 각각 450 mm 와 220 내지 500 mm 로 절단된 상태로 각각의 공정, 이를테면 노광 및 현상 공정을 거친 후에 에칭 공정으로 투입된다. 시이트는 50 장을 차례로 포개놓은 상태에서 팔레트위에 배치되며, 팔레트가 콘베이어에 의해 이동함으로써 공정간의 리이드 프레임 시이트에 대한 수수가 이루어진다. 시이트는 통상적으로 표면이 손상되기 쉬우며, 시이트 표면의 손상은 최종 제품의 품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이를 방지할 수 있는 대책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팔레트상에 포개지는 시이트 사이에는 간지(間紙)를 게재시키게 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간지의 제거는 수동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시이트가 에칭 공정에 투입되기 전에 작업자는 팔레트상에 포개진 시이트들을 각각 손으로 들어올려 에칭 공정용 콘베이어에 올려놓게 되며, 또한 간지를 수작업으로 제거한다. 이러한 수작업에 의한 방식은 여러가지 문제점을 야기한다. 우선 작업자는 단순 작업을 반복하여야 하므로 작업 능률이 저하되며, 인건비의 상승 요인을 가진다. 또한 작업 현장이 에칭 설비가 있는 곳이므로 작업 환경이 불량하며, 따라서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더우기 제품 취급상의 부주의로 인하여 불량 발생의 요인마저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지의 제거와 시이트의 공급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는 리이드 프레임 시이트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a, 도 1b 및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리이드 프레임 시이트 공급 장치의 주요 부분에 대한 전체적인 입면도, 좌측면도 및 평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2a 및 도 2b는 팔레트의 평면도 및 좌측면도.
도 3a, 도 3b, 도 3c는 투입 및 취출 콘베이어와 간지 승강기의 주요 부분에 대한 입면도, 좌측면도 및 평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4는 도 3a에서 원 A로 지시된 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5a, 도 5b, 도 5c는 팔레트 승강기의 주요 부분에 대한 입면도, 좌측면도 및 평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6은 도 5a에서 원 B로 지시된 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7a, 도 7b, 도 7c는 트랜스 조립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입면도, 우측면도 및 평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8은 센서 장치에 대한 확대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1. 프레임 12. 투입 콘베이어
13. 취출 콘베이어 14. 팔레트 승강기
15. 간지 승강기 16. 트랜스 조립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프레임 부재와, 리이드 프레임 시이트 및 간지 흡착 수단과, 상기 프레임 부재에 대하여 상기 흡착 수단이 탑재되고 수평 왕복 운동 및 수직 승강 운동을 할 수 있는 트랜스 조립체와, 리이드 프레임 시이트와 간지를 적재한 팔레트를 투입 이송시키는 공급 수단과, 상기 팔레트를 취출 이송시키는 취출 수단과, 상기 트랜스 조립체에 대하여 상기 팔레트를 근접시켜 상기 흡착 수단에 의해 리이드 프레임 시이트와 간지를 분리 흡착 가능하게 상기 팔레트를 이동시키는 팔레트 승강 수단과, 상기 흡착 수단에 의해 분리된 간지를 적재하는 간지 적재 수단을 포함하는 리이드 프레임 시이트 공급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공급 수단과 취출 수단은 그 위에 놓여지는 팔레트를 수평 이송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공회전 롤러 및 동력 회전 롤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공급 수단은 그 위에서 이송중인 팔레트를 정지시킬 수 있는 스토퍼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스토퍼 장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로드에 일 단부가 연결되고 타 단부는 회전 가능하게 힌지되어 있는 링크 부재와, 상기 링크 부재의 타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링크 부재에 대해 소정 각도를 유지하는 스토퍼 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팔레트 승강 수단은, 승강 운동을 하는 서포트 부재, 상기 서포트 부재의 상부에 설치된 다수의 공회전 롤러 및 동력 회전 롤러, 상기 서포트 부재의 일측에 지지된 부쉬, 상기 부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팔레트 승강기의 승강 높이에 연장된 리이드 스크류, 상기 리이드 스크류의 상단부에 설치된 제 1 풀리, 구동 수단, 상기 구동 수단의 회전축에 설치된 제 2 풀리 및, 상기 제 1 풀리와 제 2 풀리를 연결하는 벨트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팔레트 승강기에는 상기 팔레트 승강기의 승강 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리이드 스크류와 평행하게 설치된 최소한 하나의 안내부재와, 상기 안내 부재의 일측에 설치된 비임과, 상기 서포트 부재의 승강 높이를 상기 투입 및 취출 콘베이어의 높이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정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비임에 설치된 센서 수단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팔레트 승강기는 그 상부에 배치된 팔레트의 이송을 정지시킬 수 있는 스토퍼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스토퍼 장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로드에 일 단부가 연결되고 타 단부는 회전 가능하게 힌지되어 있는 링크 부재와, 상기 링크 부재의 타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링크 부재에 대해 소정 각도를 유지하는 스토퍼 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간지 적재 수단은, 승강 운동을 하며 그 위에 간지를 적재하는 서포트 플레이트 부재,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 부재의 일측에 지지된 부쉬, 상기 부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간지 승강기의 승강 높이를 따라 연장된 리이드 스크류, 상기 리이드 스크류의 상단부에 설치된 제 1 풀리, 구동 수단, 상기 구동 수단의 회전축에 설치된 제 2 풀리 및, 상기 제 1 풀리와 제 2 풀리를 연결하는 벨트 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간지 적재 수단은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 부재에 적재된 간지의 수량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 부재는 단계적으로 하강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트랜스 조립체는, 상기 시이트 핸드 및 간지 핸드를 지지하도록 평면에서 보았을때 V 자 형태의 평판으로 형성된 서포트 브랙킷 부재, 상기 서포트 브랙킷 부재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지지된 평판 부재이며 수직 방향 이송이 가능한 제 1 서포트 플레이트 부재, 상기 제 1 서포트 플레이트 부재에 대하여 평행하게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 부재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송 가능하게 설치된 제 2 서포트 플레이트 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트랜스 조립체는, 상기 제 1 서포트 플레이트 부재를 안내 이송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서포트 플레이트 부재상에 설치된 승강 실린더 및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며, 또한 상기 제 2 서포트 플레이트 부재를 수평 방향으로 안내 이송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 부재에 설치된 왕복 이송 실린더 및 가이드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트랜스 조립체는, 상기 서포트 브랙킷에 고정된 구동 수단, 상기 구동 수단의 회전축에 고정된 제 1 풀리, 상기 시이트 핸드를 상기 서포트 브랙킷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샤프트 부재, 상기 샤프트 부재의 상단부에 설치된 제 2 풀리 및, 상기 제 1 풀리와 제 2 풀리를 상호 연결하는 벨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수단의 회전력을 상기 제 1 및 제 2 풀리와 상기 벨트 부재를 통해 전달함으로써 상기 시이트 핸드가 소정 각도로 회전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트랜스 조립체는 상기 시이트 핸드의 회전 각도를 검지할 수 있도록 센서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센서 수단은 상기 구동 수단의 상단부에 설치된 소정 형상의 감지 패드 플레이트와 상기 감지 패드 플레이트의 회전을 감지하는 포토 센서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흡착 수단은 시이트 흡착 헤드를 가지는 시이트 핸드와 간지 흡착 헤드를 가지는 간지 핸드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내지 도 1c에는 본 발명에 따른 리이드 프레임 시이트 공급 장치의 주요 부분에 대한 전체적인 입면도, 우측면도 및 평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리이드 프레임 시이트 공급 장치는 프레임(11)에 설치된 팔레트 투입 콘베이어(12)와, 팔레트 취출 콘베이어(13)와, 팔레트 승강기(14)와, 간지 승강기(15)와, 시이트 핸드(17) 및 간지 핸드(18)를 구비하는 트랜스 조립체(16)를 포함한다. 리이드 프레임 시이트와 간지는 상호 교대로 포개진 상태에서 팔레트(20, 제 2 도)의 상부에 놓여지며, 팔레트(20)는 투입 콘베이어(12)를 따라 투입된다. 팔레트 승강기(14)는 팔레트(20)가 상부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어 가능하게 승강될 수 있으며, 팔레트(20)를 투입 콘베이어(12)의 높이 또는 취출 콘베이어(13)의 높이로 승강시킬 수 있다. 팔레트 승강기(14)가 그 상부면의 롤러(52)를 투입 콘베이어(12)의 높이에 일치되도록 유지하고 있을때, 팔레트(20)는 투입 콘베이어(12)를 통과한 이후에 팔레트 승강기(14)의 롤러(52)의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또한 팔레트 승강기(14)가 그 상부면의 롤러(52)를 취출 콘베이어(13)의 높이에 일치되도록 유지하고 있을때, 팔레트(20)는 롤러(52)로부터 취출 콘베이어(13)를 통과하여 취출될 수 있다. 간지 핸드(18)는 리이드 프레임 시이트 사이에 끼인 간지를 차례로 흡착하여 간지 승강기(15)에 적재하는 기능을 가진다. 간지 승강기(15)는 충분한 수량의 간지가 적재되면 하강하게 되며, 이후에 다시 상승하여 간지를 적재할 수 있는 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시이트 핸드(17)는 리이드 프레임 시이트를 흡착하여 에칭 라인 콘베이어(19)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도 2a 및 도 2b에는 팔레트(20)의 평면도 및 좌측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팔레트(20)는 도 1a에 도시된 투입 콘베이어(12), 취출 콘베이어(13) 및, 팔레트 승강기(14)에 설치된 롤러(52)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평탄한 저면(21)을 가지고 있으며, 리이드 프레임 시이트와 간지를 그 위에 유지할 수 있도록 측면에 설치된 브랙킷(22)과 벽면(23)을 가지고 있다.
도 3a 내지 도 3c에는 투입 및 취출 콘베이어와, 그 상부에 배치된 간지 승강기의 주요 부분에 대한 입면도, 우측면도 및 평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간지 승강기(15)는 서포트(34)상에 지지된 간지 플레이트(31)를 구비하며, 서포트(34)는 리이드 스크류(33)가 부쉬(33a)에 고정된다. 상기 서포트(34)와 간지 플레이트(31)는 모터(32)의 구동력으로 승강된다. 모터(32)의 회전축에는 풀리(38a)가 설치되며, 리이드 스크류(33)의 상단부에도 풀리(38b)가 설치된다. 상기 풀리(38a,38b)는 서로 벨트(39)로 연결된다. 따라서 모터(32)가 회전하면 리이드 스크류(33)는 부쉬(33a)내에서 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간지 플레이트(31)가 승강할 수 있다. 각각의 콘베이어(12,13)는 각각 다수개의 롤러(12a,13a)를 포함한다. 롤러(12a,13a)들은 공회전하는 롤러와 도시되지 아니한 동력 발생 기구로 회전하는 롤러를 포함한다. 따라서 콘베이어(12,13)상에 배치된 팔레트(20)는 이동할 수 있다.
도 4는 도 3a에 지시된 원 A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로서, 이것은 팔레트(20)가 투입 콘베이어(12)상에서 이동할때 이를 정지시킬 수 있는 스토퍼 장치를 표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실린더(41)의 작용에 따라서 왕복 운동하는 로드(41a)는 회전축(44)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링크(43)의 일단부와 연결되어 있다. 링크(43)의 타단부는 스토퍼(42)와 소정 각도로 결합되어 있으며, 스토퍼(42)도 상기 회전축(44)에 힌지 가능하게 결합된다. 로드(41a)의 이동에 따라 링크는 도면 번호 43으로 지시된 제 1 위치와 도면 번호 43'로 지시된 제 2 위치 사이에서 회전한다. 따라서 스토퍼도 도면 번호 42로 지시된 제 1 위치와 도면 번호 42'로 지시된 제 2 위치 사이에서 회전한다. 제 2 위치에 정지한 스토퍼(42')는 투입 콘베이어(12)에 구비된 롤러의 상부 표면위로 돌출하기 때문에,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팔레트(20)의 이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 에는 팔레트 승강기의 주요 부분에 대한 입면도, 우측면도 및 평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팔레트 승강기(14)는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서포트(55)와, 상기 서포트(55)의 상부에 배치된 다수개의 롤러(52)를 포함한다. 롤러(52)들은 공회전하는 롤러와 도시되지 아니한 동력 발생 기구에 의해 회전하는 동력 롤러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팔레트 승강기(14)의 롤러(52)상에 배치된 팔레트(20)는 이동할 수 있다. 서포트(55)는 부쉬(54a)에 고정된다. 모터(53)의 회전 구동은 모터(53)의 단부에 설치된 풀리(58a)와 리이드 스크류(54)의 단부에 설치된 풀리(58b)를 상호 연결하는 벨트(59)를 통해서 리이드 스크류(54)가 회전할 수 있게 한다. 리이드 스크류(54)의 회전은 부쉬(54a)에 고정된 서포트(55)가 승강될 수 있게한다. 서포트(51)의 승강을 안내할 수 있도록 가이드(57)가 서포트(51)의 양측에 설치된다. 롤러(52)의 상부에는 팔레트(20)가 이동될 수 있다.
도 1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팔레트 승강기(14)는 롤러(52)의 높이가 투입 콘베이어(12) 또는 취출 콘베이어(13)의 높이와 일치되도록 승강될 수 있다. 이러한 작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가이드(57)들중 하나와 평행하게 비임(57a)이 설치되고, 비임(57a)에는 각각 센서(57b,57c)가 설치된다. 상기 센서(57b,57c)들은 팔레트 승강기(14)가 승강할때 소정 높이에 도달하면 팔레트 승강기(14)의 승강 작동을 정지시킴으로써 팔레트(20)가 투입 콘베이어(12)로부터 팔레트 승강기(14)의 롤러(52)로, 또는 팔레트 승강기(14)의 롤러(52)로부터 취출 콘베이어(13)로 이동될 수 있게 한다.
도 6은 도 5a에 지시된 원 B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로서, 이것은 팔레트(20)가 팔레트 승강기(14)상에서 이동할때 이를 정지시킬 수 있는 스토퍼 장치를 표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실린더(61)의 작용에 따라서 왕복 운동하는 로드(61a)는 회전축(65)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링크(63)의 일단부와 연결되어 있다. 링크(63)의 타단부는 스토퍼(64)와 소정 각도로 결합되어 있으며, 스토퍼(64)도 상기 회전축(65)에 힌지 가능하게 결합된다. 로드(61a)의 이동에 따라 링크는 도면 번호 63으로 지시된 제 1 위치와 도면 번호 63'로 지시된 제 2 위치 사이에서 회전한다. 따라서 스토퍼도 도면 번호 64로 지시된 제 1 위치와 도면 번호 64'로 지시된 제 2 위치 사이에서 회전한다. 제 2 위치에 정지한 스토퍼(64')는 팔레트 승강기(14)에 구비된 롤러의 상부 표면위로 돌출하기 때문에,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팔레트(20)의 이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트랜스 조립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입면도, 평면도 및 우측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트랜스 조립체(16)는 리이드 프레임의 시이트(17)를 집어올리는 시이트 핸드(17)와, 간지를 집어올리는 간지 핸드(18)를 포함하며, 이들을 프레임(11)에 대하여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각각의 기구를 포함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시이트 핸드(17)와 간지 핸드(18)는 평면에서 보았을때 V 자 형태의 평판으로 형성된 서포트 브랙킷(71a)에 지지되며, 이는 다시 상기 서포트 브랙킷(71a)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평판 부재인 제 1 서포트 플레이트(71c)와, 상기 제 1 서포트 플레이트(71c)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로 이격되어 설치된 평판 부재인 제 2 서포트 플레이트(71b)를 통해서 프레임(11)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 2 서포트 플레이트(71b)는 왕복 실린더(72)의 작동에 의해 프레임(11)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 2 서포트 플레이트(71b)의 수평 방향 이동은 프레임(11)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된 가이드(73)에 의해서 안내될 수 있다. 한편, 서포트 브랙킷(71a)과 그것을 지지하는 제 1 서포트 플레이트(71c)는 승강 실린더(74)에 의해서 수직 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다. 서포트 브랙킷(71a) 과 제 1 서포트 플레이트(71c)의 수직 방향 운동은 제 2 서포트 플레이트(71c)상에서 수직 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된 가이드(75)에 의해서 안내된다.
시이트 핸드(17)와 간지 핸드(18)에는 각각 흡착 헤드(78,79)들이 설치된다. 도 1b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시이트 핸드(17)에는 8 개의 흡착 헤드(78)가 2 열로 배치되어 있으며, 간지 핸드(18)에는 6 개의 흡착 헤드(79)가 2 열로 배치되어 있다. 흡착 헤드(78,79)에는 도시되지 아니한 진공원으로부터 진공이 제공되며, 진공의 힘으로 리이드 프레임 시이트 또는 간지를 흡착할 수 있으며, 진공을 차단함으로써 흡착된 리이드 프레임 시이트 또는 간지를 소정 위치에 내려놓을 수 있다. 시이트 핸드(17)와 간지 핸드(18)의 일측에는 센서(82,83)가 설치되는데, 이것은 시이트 또는 간지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즉, 시이트나 간지가 2 장이상 겹쳐있을 경우에 이를 감지함으로써 장치의 오작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시이트 핸드(17)는 서포트 브랙킷(71a)에 대하여 샤프트(17a)를 통해서 연결되며, 간지 핸드(18)는 서포트 브랙킷(71b)에 대하여 샤프트(18a)를 통해서 연결된다. 시이트 핸드(17)를 지지하는 샤프트(17a)에는 베어링(17b)이 설치됨으로써 시이트 핸드(17)는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는 리이드 프레임 시이트를 시이트 핸드(17)로 집어올려서 콘베이어 공정에 투입할때 소정 각도로 회전시킴으로써 투입 작용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도 7c 에는 도면 번호 85 로 지시된 시이트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도 7c에 도시된 시이트 핸드(17)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시이트를 콘베이어 공정에 투입한 결과를 예시하는 것이다.
시이트를 회전시킨 상태로 투입하기 위해서, 서포트 브랙킷(71a)의 하부에는 모터(80)가 설치되며, 모터(80)의 회전축에는 풀리(76a)가 설치된다. 또한 시이트 핸드(17)를 지지하는 샤프트(17a)의 상단부에도 풀리(76b)이 설치되며, 상기 풀리(76a,76b)들은 상호 벨트(77)로서 연결된다. 따라서 모터(80)가 회전하면 풀리(76a)가 소정 각도로 회전하고, 다시 풀리(76b)가 회전하게 되며, 그에 따라서 시이트 핸드(17)도 회전할 수 있다. 시이트 핸드(17)의 회전 각도를 검지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풀리(76a)의 상부로 연장된 모터(80)의 회전축에는 센서 장치(81)가 설치된다.
도 8은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센서 장치(81)를 보다 상세히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모터의 회전축(17a)은 감지 패드 플레이트(86)에 연결된다. 따라서 모터(80)의 회전에 따라 감지 패드 플레이트(86)도 회전하게 되며, 이것의 회전은 포토 센서(87)에 감지될 수 있다. 포토 센서(87)는 모터(80)의 회전을 감지함으로써 그 회전 각도가 미리 설정한 소정값, 예를 들면 15 도 또는 20 도에 도달하면 모터(80)의 회전을 정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시이트 핸드(17)의 회전도 정지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리이드 프레임 시이트 공급 장치의 전체적인 작용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팔레트(20)상에는 리이드 프레임 시이트와 간지가 교대로 적재된다. 예를 들면 50 장의 시이트가 그 사이 사이에 간지를 끼운 상태로 적재될 수 있다. 팔레트(20)는 투입 콘베이어(12)를 따라 팔레트 승강기(14)의 롤러(52) 위로 투입될 수 있다. 이때 팔레트 승강기(14)는 투입 콘베이어(14)의 높이에 해당하는 위치로 하강하여 있으며, 이는 센서(57b)의 감지 작용에 의해 가능하다. 일단 팔레트 승강기(14)의 상부에 팔레트(20)가 배치되면 스토퍼(64)가 작동하여 팔레트(20)를 고정시킨다. 또한 투입 콘베이어(14)를 통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다음 차례의 팔레트(20)는 투입 콘베이어(14)에 설치된 스토퍼(42)가 실린더(41)의 작동으로 회전함으로써 정지된다.
다음에 팔레트 승강기(14)는 작업 위치로 상승하며, 이때 간지 승강기(15)도 상승되어 있는 상태이다.(이것은 도 1a에 도시된 위치에 해당한다.) 다음에 트랜스 조립체(16)의 작동에 의해서 시이트의 투입 및 간지의 제거 작업이 개시된다. 우선 트랜스 조립체(16)는 실린더(72)의 작동으로 우측으로 이동하며, 이러한 위치에서 시이트 핸드(17)는 에칭 공정 라인의 상부에 위치하고 간지 핸드(18)는 팔레트 승강기(14)의 상부에 위치한다. 다음에 실린더(74)의 작동으로 트랜스 조립체(16)는 하강한다. 이때 시이트 핸드(17)의 흡착 헤드(78)에는 아무것도 접촉되지 않지만, 간지 핸드(18)의 흡착 헤드(79)에는 팔레트(20)상의 간지가 접촉된다. 따라서 진공을 이용하여 간지를 흡착 헤드(79)에 흡착할 수 있다.
다음에 트랜스 조립체(16)는 실린더(74)의 구동으로 승강하며, 다시 실린더(72)의 구동으로 좌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시이트 핸드(17)는 다시 팔레트(20)의 상부에 위치하고, 간지 핸드(18)는 간지 승강기(15)의 상부에 위치한다. 실린더(74)가 작동하여 트랜스 조립체(16)가 하강하면, 시이트 핸드(17)는 팔레트(20)상의 시이트에 접촉하고, 간지 핸드(18)의 흡착 헤드(79)에 흡착된 간지는 간지 승강기(15)의 간지 플레이트(31)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번에는 시이트 핸드(17)의 흡착 헤드(78)에 진공을 제공함으로써 리이드 프레임 시이트를 흡착하게 되고, 반대로 간지 핸드(18)의 흡착 헤드(79)에는 진공을 해제함으로써 간지를 간지 플레이트(31)에 놓게 된다.
다시 트랜스 조립체(16)가 상승하여 수평 이송하게 되면, 시이트 핸드(17)에 흡착된 시이트는 에칭 공정 라인에 놓이게 되고, 간지 핸드(18)는 팔레트(20) 위의 간지를 흡착할 수 있는 위치에 해당하게 된다. 리이드 프레임 시이트를 에칭 공정 라인에 투입할때에는 소정 각도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따라서 트랜스 조립체(16)의 병진 이동중에 또는 병진 이동이 끝난 이후에 시이트 핸드(17)의 회전 운동이 이루어진다. 이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터(80)의 회전력을 풀리(76a,76b)와 벨트(77)를 통해서 시이트 핸드(17)를 지지하는 샤프트(17a)에 전달함으로써 가능해진다. 에칭 라인 공정으로 이동할때 소정 각도로 회전된 시이트 핸드(17)가 팔레트 승강기(14)의 상부로 복귀할때에는 다시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시이트 핸드(17)의 회전 각도는 센서 장치(81)에 의해서 감지된다.
팔레트(20)위에 시이트 또는 간지가 2 장 이상 연속적으로 겹쳐진 경우에는 시이트 핸드(17) 또는 간지 핸드(18)에 설치된 센서(82,83)가 이를 감지하게 되며, 따라서 연속적인 시이트의 공급 작업 또는 간지의 제거 작업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간지가 연속적으로 3 장 겹쳐있을 경우, 센서(82)는 리이드 프레임 시이트를 감지할 수 없게 되며, 따라서 시이트 핸드(17)의 흡착 헤드(78)가 팔레트(20)상에 하강했을때 흡착 헤드(78)에는 진공이 제공되지 않는다. 반면에 간지 핸드(18)의 흡착 헤드(79)가 팔레트(20)상에 하강했을때는 계속 진공이 제공됨으로써 연속적인 간지 제거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간지 플레이트(31)에 적재되는 간지의 수량은 센서(35)에 의해서 감지된다. 센서(35)에 의해서 소정 수량 이상으로 간지가 적재되면 간지 승강기(15)는 단계적으로 하강한다. 이러한 작동을 통해서, 간지 핸드(18)가 하강하여 간지를 플레이트(31)에 내려놓을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간지 승강기(15)가 완전히 하강하면 경보음등을 통해서 이를 작업자에게 알리게 되며, 작업자는 장치의 작동을 중단시키고 간지를 간지 플레이트(31)로부터 제거한다.
팔레트(20)에 적재된 간지 및 시이트가 모두 소진되면 팔레트 승강기(14)는 취출 콘베이어(13)의 높이에 해당되는 위치로 하강한다. 이러한 작용은 센서(57b)에 팔레트 승강기(14)가 검지될때 하강 작용을 정지함으로써 가능해진다. 팔레트 승강기(14)에 놓인 팔레트(20)가 취출 콘베이어(13)를 통해 취출되려면 우선 스토퍼(64)가 열려야 한다. 실린더(61)의 작용으로 스토퍼(64)가 열리면 팔레트(20)는 취출 콘베이어(13)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다음에 다시 팔레트 승강기(14)가 투입 콘베이어(12)의 높이로 상승하고, 투입 콘베이어(12)에 설치된 스토퍼(42)가 개방되면 다음 차례의 팔레트가 팔레트 승강기(14)로 투입될 수 있다. 이하 위에 설명된 작용이 동일하게 반복될 수 있다.
도면을 통해 설명되지는 않았으나, 에칭 공정 라인에도 시이트와 간지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설치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공급 장치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품에 간지가 달라붙은 상태로 공급되었을때 경보가 작동되도록 하여 작업자가 이를 수작업으로 제거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이드 프레임 시이트 공급 장치는 시이트의 공급을 자동화함으로써 작업 생산성을 향상시켰으며, 특히 단위 시간당 작업 속도가 빨라질뿐만 아니라 시이트에 불량이 발생하는 가능성도 감소시켰다. 또한 인력과 비용의 감소를 가져오는 효과를 가진다. 특히 작업자가 열악한 환경에서 단순 반복 작업하는 것을 배제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프레임 부재와,
    리이드 프레임 시이트 및 간지 흡착 수단과,
    상기 프레임 부재에 대하여 상기 흡착 수단이 탑재되고 수평 왕복 운동 및 수직 승강 운동을 할 수 있는 트랜스 조립체와,
    리이드 프레임 시이트와 간지를 적재한 팔레트를 투입 이송시키는 공급 수단과,
    상기 팔레트를 취출 이송시키는 취출 수단과,
    상기 트랜스 조립체에 대하여 상기 팔레트를 근접시켜 상기 흡착 수단에 의해 리이드 프레임 시이트와 간지를 분리 흡착 가능하게 상기 팔레트를 이동시키는 팔레트 승강 수단과,
    상기 흡착 수단에 의해 분리된 간지를 적재하는 간지 적재 수단을 포함하는 리이드 프레임 시이트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수단과 취출 수단은 그 위에 놓여지는 팔레트를 수평 이송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공회전 롤러 및 동력 회전 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이드 프레임 시이트 공급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수단은 그 위에서 이송중인 팔레트를 정지시킬 수 있는 스토퍼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스토퍼 장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로드에 일 단부가 연결되고 타 단부는 회전 가능하게 힌지되어 있는 링크 부재와, 상기 링크 부재의 타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링크 부재에 대해 소정 각도를 유지하는 스토퍼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이드 프레임 시이트 공급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 승강 수단은,
    승강 운동을 하는 서포트 부재,
    상기 서포트 부재의 상부에 설치된 다수의 공회전 롤러 및 동력 회전 롤러,
    상기 서포트 부재의 일측에 지지된 부쉬,
    상기 부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팔레트 승강기의 승강 높이에 연장된 리이드 스크류,
    상기 리이드 스크류의 상단부에 설치된 제 1 풀리,
    구동 수단,
    상기 구동 수단의 회전축에 설치된 제 2 풀리 및,
    상기 제 1 풀리와 제 2 풀리를 연결하는 벨트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이드 프레임 시이트 공급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 승강기에는 상기 팔레트 승강기의 승강 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리이드 스크류와 평행하게 설치된 최소한 하나의 안내부재와, 상기 안내 부재의 일측에 설치된 비임과, 상기 서포트 부재의 승강 높이를 상기 투입 및 취출 콘베이어의 높이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정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비임에 설치된 센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이드 프레임 시이트 공급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 승강기는 그 상부에 배치된 팔레트의 이송을 정지시킬 수 있는 스토퍼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스토퍼 장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로드에 일 단부가 연결되고 타 단부는 회전 가능하게 힌지되어 있는 링크 부재와, 상기 링크 부재의 타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링크 부재에 대해 소정 각도를 유지하는 스토퍼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이드 프레임 시이트 공급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지 적재 수단은,
    승강 운동을 하며 그 위에 간지를 적재하는 서포트 플레이트 부재,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 부재의 일측에 지지된 부쉬,
    상기 부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간지 승강기의 승강 높이를 따라 연장된 리이드 스크류,
    상기 리이드 스크류의 상단부에 설치된 제 1 풀리,
    구동 수단,
    상기 구동 수단의 회전축에 설치된 제 2 풀리 및,
    상기 제 1 풀리와 제 2 풀리를 연결하는 벨트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이드 프레임 시이트 공급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간지 적재 수단은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 부재에 적재된 간지의 수량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 부재는 단계적으로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이드 프레임 시이트 공급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 조립체는,
    상기 시이트 핸드 및 간지 핸드를 지지하도록 평면에서 보았을때 V 자 형태의 평판으로 형성된 서포트 브랙킷 부재,
    상기 서포트 브랙킷 부재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지지된 평판 부재이며 수직 방향 이송이 가능한 제 1 서포트 플레이트 부재,
    상기 제 1 서포트 플레이트 부재에 대하여 평행하게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 부재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송 가능하게 설치된 제 2 서포트 플레이트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이드 프레임 시이트 공급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 조립체는, 상기 제 1 서포트 플레이트 부재를 안내 이송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서포트 플레이트 부재상에 설치된 승강 실린더 및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며, 또한 상기 제 2 서포트 플레이트 부재를 수평 방향으로 안내 이송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 부재에 설치된 왕복 이송 실린더 및 가이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이드 프레임 시이트 공급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 조립체는,
    상기 서포트 브랙킷에 고정된 구동 수단,
    상기 구동 수단의 회전축에 고정된 제 1 풀리,
    상기 시이트 핸드를 상기 서포트 브랙킷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샤프트 부재,
    상기 샤프트 부재의 상단부에 설치된 제 2 풀리 및,
    상기 제 1 풀리와 제 2 풀리를 상호 연결하는 벨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수단의 회전력을 상기 제 1 및 제 2 풀리와 상기 벨트 부재를 통해 전달함으로써 상기 시이트 핸드가 소정 각도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이드 프레임 시이트 공급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 조립체는 상기 시이트 핸드의 회전 각도를 검지할 수 있도록 센서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센서 수단은 상기 구동 수단의 상단부에 설치된 소정 형상의 감지 패드 플레이트와 상기 감지 패드 플레이트의 회전을 감지하는 포토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이드 프레임 시이트 공급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수단은 시이트 흡착 헤드를 가지는 시이트 핸드와 간지 흡착 헤드를 가지는 간지 핸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이드 프레임 시이트 공급 장치.
KR1019960076984A 1996-12-30 1996-12-30 리이드 프레임 시이트 공급 장치 KR100204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6984A KR100204099B1 (ko) 1996-12-30 1996-12-30 리이드 프레임 시이트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6984A KR100204099B1 (ko) 1996-12-30 1996-12-30 리이드 프레임 시이트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685A KR19980057685A (ko) 1998-09-25
KR100204099B1 true KR100204099B1 (ko) 1999-06-15

Family

ID=19492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6984A KR100204099B1 (ko) 1996-12-30 1996-12-30 리이드 프레임 시이트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40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95425A (zh) * 2018-01-29 2018-06-22 湖北西控同创石墨烯应用科技有限公司 一种石墨烯远红外电热膜片检测流水线
KR102550166B1 (ko) * 2018-07-18 2023-07-03 삼성전기주식회사 기판 이송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685A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07282A (en) Depalletizing and dispensing apparatus and method
KR102057571B1 (ko) 플랫보드 그립장치
KR100862795B1 (ko) 판재의 연속공급장치
KR100204099B1 (ko) 리이드 프레임 시이트 공급 장치
JPH11171334A (ja) 複合加工ラインにおけるワーク旋回方法及びその装置
CN114873262A (zh) 一种板料揭开分离物料的装置及方法
JP3790003B2 (ja) 板材搬送装置
JPH09136723A (ja) ウェーハ取出し装置
JPH10167483A (ja) シート供給装置
KR200153802Y1 (ko) 부품 공급장치
JP4066331B2 (ja) ベニヤ単板供給方法及びその装置
JP3241135B2 (ja) ケース積下ろし装置
KR0127651B1 (ko) 유리적재장치의 적재간격 유지방법 및 장치
JPH0585608A (ja) パレツトストツカー
JPH05306003A (ja) パレットストッカー
KR100402947B1 (ko) 웨이퍼 프레임에 접착된 테이프제거기용 트랜스퍼
JPS626048Y2 (ko)
JPH0747386Y2 (ja) 木工機用の材料自動挿入装置
JPH0376247A (ja) ウエハの移し替え方法
JP2663168B2 (ja) 巻取装置の巻取ロール排出方法及び装置
JPH0810443Y2 (ja) ワーク搬送装置
JP2575887B2 (ja) 板材一枚取り装置
CN117485835A (zh) 循环输送装置和工件托盘运输方法
JP2001130738A (ja) 材料搬入搬出装置
JP3757026B2 (ja) レーザ加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