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3802Y1 - 부품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부품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3802Y1
KR200153802Y1 KR2019960040600U KR19960040600U KR200153802Y1 KR 200153802 Y1 KR200153802 Y1 KR 200153802Y1 KR 2019960040600 U KR2019960040600 U KR 2019960040600U KR 19960040600 U KR19960040600 U KR 19960040600U KR 200153802 Y1 KR200153802 Y1 KR 2001538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rot
parts
frame
conveyed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06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7646U (ko
Inventor
최우배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600406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3802Y1/ko
Publication of KR199800276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76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38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38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17Feeding with belts or 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0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a single group of articles arranged in orderly pattern, e.g. workpieces in magaz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Stack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패럿에 다층으로 적층되어 컨베이어 등의 부품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어 오는 부품들을 소정의 위치로 순차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부품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부품 공급장치를 채용하게 되면, 패럿 상에 적층된 상태로 이송되어 온 부품들이 소정의 위치로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도중에도 그 패럿을 부품들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패럿의 분리 및 배출을 위한 별도의 시간을 마련하지 않더라도 부품 공급작업이 연속적으로 행해질 수 있게 되어 작업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부품 공급장치
본 고안은 패럿에 다층으로 적층되어 컨베이어 등의 부품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어 오는 부품들을 소정의 위치로 순차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부품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전자제품 등을 대량 생산하는 공정은 일반적으로 자동화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자동화 공정에는 원하는 부품을 소정의 위치로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부품 공급장치가 마련된다. 이와 같은 부품 공급장치의 일례를 도 1에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 부품 공급장치(1)는 프레임(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모터(3)의 축에 연결된 볼스크류(4)와, 이 볼스크류(4)에 나사결합된 볼너트(5)와, 볼너트(5)에 고정되어 있는 이송대(6)를 구비하고 있다. 다수의 부품(99)이 적층된 상태로 예를 들어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어 온 패럿(7)이 상기 이송대(6) 상에 놓여진 후, 모터(3)를 구동하게 되면 볼스크류(4)의 회전에 의해 이송대(6)가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은 부품 공급장치(1)는 예를 들어, 부품들을 승강 가능한 진공흡착패드(P)에 의해 흡착될 수 있는 위치로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공정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모터(3)를 회전시켜 패럿(7) 상의 부품(99)들 중 최상단의 부품이 진공흡착패드(P)에 의해 흡착될 수 있는 높이에 위치하도록 이송대(6)를 상승시킨다. 그리고, 진공흡착패드(P)가 상기 최상단의 부품을 흡착하여 정해진 위치로 그 부품을 이송한 후, 다시 모터(3)에 의해 이송대(6)를 부품(99)의 높이만큼 상승시키게 되면, 상기 정해진 위치로 이송된 최상단의 부품 바로 밑에 있던 부품이 진공흡착패드(P)에 의해 흡착될 수 있는 위치로 공급되고, 상술한 과정들을 거쳐 패럿(7) 상의 부품(99)들을 순차적으로 소정위치 즉 진공흡착패드(P)에 의해 흡착될 수 있는 위치로 공급되게 된다.
한편, 상술한 구성의 부품 공급장치(1)에 있어서는, 이송대(6) 상의 패럿(7)을 소정간격씩 상승시킴으로써, 패럿(7) 상의 부품(99)들을 순차적으로 진공흡착패드(P)의 흡착위치로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부품(99)을 공급하는 도중에 패럿(7)의 분리 및 배출을 행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부품(99)의 공급이 완료된 후에 별도의 취출장치를 통해 그 빈 패럿(7)을 이송대(6)로부터 취출해야 하며, 빈 패럿(7)이 이송대(6)로부터 취출된 후에야 다시 부품이 적층된 새로운 패럿을 이송대 상에 올려서 그 새로운 패럿 상의 부품을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부품 공급장치는 패럿에 적층된 부품들을 순차적으로 소정위치로 공급하는 도중에 그 패럿의 취출을 행할 수 없고 부품의 공급이 완료된 후 그 빈 패럿을 부품이 적층되어 있는 새로운 패럿으로 교환하여 주어야 하므로 부품 공급작업이 연속적으로 행해지지 않게 되어 작업성이 저하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패럿 상에 적층된 부품을 순차적으로 소정위치로 공급하는 도중에도 상기 패럿을 부품들로부터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부품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부품 공급장치의 일례의 개략적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부품 공급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패럿의 일 예의 개략적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부품 공급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 평면도,
도 4는 및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장치의 Ⅳ-Ⅳ선 개략적 단면도로서, 도 4는 이송대와 공급대가 구동되기 전의 상태, 도 5는 이송대가 구동되고 공급대가 구동되는 도중의 상태를 보인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부품 공급장치10...프레임
20...이송대21...롤러
22...절결부30...공급대
31...돌출부35...볼너트
40...모터45...볼스크류
50...공압실린더
90...패럿92...절제부
99...부품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부품 공급장치는, 이송되어 오는 패럿 상에 적층되어 있는 다수의 부품을 순차적으로 소정의 위치로 공급하기 위한 부품 공급장치에 있어서, 프레임과, 상기 이송되어 온 패럿을 지지하며 상기 프레임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대와, 상기 이송대를 승강시키기 위한 이송대 승강수단과, 상기 이송되어 온 패럿 상의 부품들 중 최하단의 부품 하면에 접촉 가능하며 상기 프레임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공급대와, 상기 공급대를 승강시키기 위한 공급대 승강수단을 구비하여 된 점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따른 부품 공급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패럿의 일례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패럿(90)은 다층으로 적층되는 부품(99)들 중 최하단의 부품의 하면 일부가 그 패럿(90)의 하방으로 노출되도록 복수의 절제부(92)를 구비하고 있으며, 적층된 부품(99)들의 외측면을 가이드하여 유동을 방지하는 복수의 가이드봉(91)을 구비하고 있다.
도 3 내지 도 5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패럿(90) 상의 부품(99)들을 순차적으로 소정위치로 공급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부품 공급장치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부품 공급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장치의 Ⅳ-Ⅳ선 개략적 단면도로서, 도 4는 이송대와 공급대가 구동되기 전의 상태, 도 5는 이송대가 구동되고 공급대가 구동되는 도중의 상태를 보인다.
도 3 내지 도 5를 상기 도 2와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부품 공급장치(100)는, 프레임(10)의 안내봉(35)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이송대(20)와, 공급대(3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이송대(20)에는 다수의 롤러(21)가 2열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 롤러(21)들 중 하나는 이송대(20)에 설치된 모터(60)의 동력을 벨트(69)를 통해 전달받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롤러컨베이어(8)의 롤러(8a)들과 구름접촉되면서 화살표(A) 방향을 따라 이송대(20) 측으로 이송되어 오는 패럿(90)은 상기 모터(60)의 회전시에 이송대(20)의 롤러(21)들과 구름접촉되면서 그 이송대(20) 상방으로 이송되어 와서 지지되게 된다. 이송대(20)에는 상기 안내봉(3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베어링부재(29)가 고정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이송대(20)는 적절한 이송대 승강수단에 의해 그 안내봉(35)을 따라 승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이송대 승강수단으로서 공압실린더(50)가 마련되어 있다. 이 공압실린더(50)의 본체(51)는 로드(52)가 수직으로 왕복이동하도록 프레임(10)에 설치되어 있으며, 그 로드(52)는 이송대(20)에 대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 공급대(30)에는 복수의 돌출부(31)가 마련되어 있다. 공급대(30)의 각 돌출부(31)는, 이송대(20)에 형성된 절결부(22)를 통해서, 이송대(20) 상의 패럿(90)에 형성된 각 절제부(92)의 수직 하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공급대(30)의 각 돌출부(31)는, 이송대(20) 상의 패럿(90)에 적층된 부품(99)들 중 최하단의 부품의 하측면 일부(패럿(90)의 절제부(92)를 통해 패럿(90)의 하방으로 노출되는 부위)와 대면하게 된다. 공급대(30)에는 상기 안내봉(3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베어링부재(39)가 고정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공급대(30)는 적절한 공급대 승강수단에 의해 그 안내봉(35)을 따라 승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공급대 승강수단으로서 프레임(10)에 설치된 모터와,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풀리(41,42)와 벨트(49)를 통해 상기 모터(4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볼스크류(45)와, 이 볼스크류(45)와 나사결합되며 상기 공급대(30)에 대해 고정된 볼너트(35)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부품 공급장치(100)는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종래 부품 공급장치(1)와 마찬가지로, 승강 가능하며 내부에 형성되는 진공의 흡인력에 의해 물체를 흡착할 수 있도록 된 진공흡착패드(P)의 흡착위치로 부품을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공정에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의 부품 공급장치(100)에 의해 패럿(90) 상에 적재된 부품(99)들을 진공흡착패드(P)의 흡착위치로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패럿(90)이 다수의 부품(99)을 적층한 상태로 롤러컨베이어(8)의 롤러(8a)들 상에 놓여져서 그 롤러(8a)들과 구름접촉되면서 이송대(20) 측으로 이송되어 오면, 모터(60)를 작동시켜서 이송대(20) 상의 롤러(21)들 중 그 모터(60)와 연결된 롤러를 회전시킨다. 이러한 과정중에 상기 컨베이어(8)에 의해 이송되어 오는 패럿(90)의 일부가 상기 모터(60)에 의해 회전되는 롤러와 접촉되며 그 롤러와 패럿(90)과의 마찰력에 의해 패럿(90)이 이송대(20) 상의 롤러(21)들과 구름접촉되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대(20) 상에 지지되게 된다. 이처럼 다수의 부품(99)을 적층한 패럿(90)이 이송대(20) 상에 지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모터(40)를 작동시키면 풀리(41,42)와 벨트(49)를 통해 볼스크류(45)가 회전하게 되고, 그 회전되는 볼스크류(45)와 나사결합된 볼너트(35)가 고정되어 있는 공급대(30)가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공급대(30)가 상승되는 도중에 그 공급대(30)의 돌출부(31)들은 패럿(90)의 절제부(92)들을 통과하여 그 패럿(90)에 적층된 부품(99)들 중 최하단의 부품 하면에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공급대(30)가 계속 상승함에 따라 그 공급대(30)의 돌출부(31)는 그에 접촉되어 있는 상기 최하단의 부품을 통해 패럿(90) 상의 모든 부품(99)들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시키고, 상승되는 부품(99)들 중 최상단의 부품이 진공흡착패드(P)의 흡착위치로 공급되는 시점에서 모터(40)의 작동이 멈추어진다. 그 후, 진공흡착패드(P)가 흡착위치로 하강하여 상기 부품(99)들 중 최상단의 부품을 흡착하여 정해진 위치로 이송시킨 후 다시 공급대(30) 상의 부품(99)들 상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진공흡착패드(P)가 상기 최상단의 부품을 정해진 위치로 이송하고 돌아오는 사이에 다시 모터(40)가 작동하여 상기 최상단의 부품 바로 밑에 있던 부품이 흡착위치로 공급될 때까지 공급대(30)를 상승시키게 되고, 그 부품은 다시 진공흡착패드(P)에 의해 흡착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부품(99)들이 순차적으로 소정의 흡착위치로 공급되게 된다.
한편, 공급대(30) 상의 부품(99)들이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도중에 공압실린더(50)가 작동하여 그 공압실린더(50)의 로드(52)에 대해 고정된 이송대(20)를 하강시킨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이송대(20)에 지지되어 있던 패럿(90)은 상기 부품(99)들로부터 분리되면서 그 이송대(20)와 함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하게 된다. 그 후, 모터(60)가 작동하여 벨트(69)를 통해 그 모터(60)에 연결된 롤러가 회전하면서 상기 부품(99)들로부터 분리되어 하강된 빈 패럿(90)을 배출컨베이어(9)의 롤러(9a)들 상으로 이송시킨다. 이 빈 패럿(90)은 배출컨베이어(9)의 작동에 의해 화살표(B) 방향을 따라 정해진 위치로 배출되게 된다.
한편, 공급대(30) 상의 부품(99)들이 모두 소정위치로 공급 완료된 후에는 모터(40)에 의해 공급대(30)가 하강되고 공압실린더(50)에 의해 이송대(20)가 상승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컨베이어(8)로부터 부품들이 적층된 새로운 패럿이 이송대(20) 상으로 이송되어 올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부품 공급장치(100)에 있어서는, 패럿(90)상에 적층된 상태로 이송되어 온 부품(99)들이 소정의 위치로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도중에도, 패럿(90)을 지지하고 있는 이송대(20)를 하강시킴으로써 그 패럿(90)을 부품들(99)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패럿(90)의 분리 및 배출을 위한 별도의 시간을 마련하지 않더라도 부품 공급작업이 연속적으로 행해질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부품(99)들을 적층한 패럿(90)이 롤러컨베이어(8)에 의해 이송되어 오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부품을 적층한 패럿(90)이 로봇에 의해 이송대(20) 상으로 이송되어 오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공급될 부품(99)들로부터 분리된 빈 패럿(90)을 배출컨베이어(9)에 의해 배출되도록 되어 있으나, 이는 본 고안에 요지와는 별로 관계가 없으며, 예를 들어 빈 패럿(90)은 로봇이나 작업자에 의해 배출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부품 공급장치를 채용하게 되면, 패럿 상에 적층된 상태로 이송되어 온 부품들이 소정의 위치로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도중에도 그 패럿을 부품들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패럿의 분리 및 배출을 위한 별도의 시간을 마련하지 않더라도 부품 공급작업이 연속적으로 행해질 수 있게 되어 작업성이 향상된다.

Claims (3)

  1. 이송되어 오는 패럿 상에 적층되어 있는 다수의 부품을 순차적으로 소정의 위치로 공급하기 위한 부품 공급장치에 있어서,
    프레임과,
    상기 이송되어 온 패럿을 지지하며 상기 프레임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대와,
    상기 이송대를 승강시키기 위한 이송대 승강수단과,
    상기 이송되어 온 패럿 상의 부품들 중 최하단의 부품 하면에 접촉 가능하며 상기 프레임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공급대와,
    상기 공급대를 승강시키기 위한 공급대 승강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대 승강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대해 고정되며 그 로드가 상기 이송대에 대해 고정되는 공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대 승강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모터와,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볼스크류와,
    상기 볼스크류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공급대에 대해 고정된 볼너트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공급장치.
KR2019960040600U 1996-11-18 1996-11-18 부품 공급장치 KR2001538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0600U KR200153802Y1 (ko) 1996-11-18 1996-11-18 부품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0600U KR200153802Y1 (ko) 1996-11-18 1996-11-18 부품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646U KR19980027646U (ko) 1998-08-05
KR200153802Y1 true KR200153802Y1 (ko) 1999-08-02

Family

ID=19474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0600U KR200153802Y1 (ko) 1996-11-18 1996-11-18 부품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380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646U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056276A (zh) 一种板材运输清灰系统及板材运输清灰方法
CN211894979U (zh) 一种板材运输清灰系统
KR101213052B1 (ko) 판유리 수납장치
JPH11171334A (ja) 複合加工ラインにおけるワーク旋回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153802Y1 (ko) 부품 공급장치
JP3389759B2 (ja) 物品移載装置
CN210880905U (zh) 超薄电子玻璃离线覆膜生产线
KR200286751Y1 (ko) 반도체패키지 제조 장비의 트레이 공급장치
KR100204099B1 (ko) 리이드 프레임 시이트 공급 장치
KR200354550Y1 (ko) 블록고무자동로딩장치
JP3241135B2 (ja) ケース積下ろし装置
JP3143230B2 (ja) 小製品の仕分け集積装置
JPH09136718A (ja) パレット出し入れ装置
JPH05306003A (ja) パレットストッカー
JPH0585608A (ja) パレツトストツカー
JP7294478B1 (ja) 巻取ロール搬送システム
JPH0376247A (ja) ウエハの移し替え方法
JP3604420B2 (ja) ケース分離装置
JPH09136713A (ja) 物品移載装置
JPH0638817Y2 (ja) シートパレタイザ
JP2935816B2 (ja) 薄板の分離供給装置
KR200200837Y1 (ko) 기판의 자동 언로딩장치
JPS60132836A (ja) 整列装置
CN117485835A (zh) 循环输送装置和工件托盘运输方法
JPS634464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0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