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1225B1 - 덴트 복원장치 - Google Patents

덴트 복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1225B1
KR100631225B1 KR1020050066281A KR20050066281A KR100631225B1 KR 100631225 B1 KR100631225 B1 KR 100631225B1 KR 1020050066281 A KR1020050066281 A KR 1020050066281A KR 20050066281 A KR20050066281 A KR 20050066281A KR 100631225 B1 KR100631225 B1 KR 100631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lever
shaft
dent
adsor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6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정승
송경흥
Original Assignee
양정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정승 filed Critical 양정승
Priority to KR1020050066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12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1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1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00Straightening, restoring form or 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sheet metal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Stretching sheet metal combined with rolling
    • B21D1/12Straightening vehicle body parts or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00Straightening, restoring form or 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sheet metal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Stretching sheet metal combined with rolling
    • B21D1/06Removing local dist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33/00Hand tools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찌그러진 부분(덴트, dent)을 원상태로 복원시키는 복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한손으로 파지한 후 쥐었다 폈다함으로서 손쉽게 덴트를 복원하는 덴트 복원장치로, 몸체의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며, 이 몸체의 일단부에 손잡이가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 하부에 통로가 형성되는 하우징; 몸체의 일부가 상기 통로를 관통하고, 그 선단부가 상기 수용공간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동하는 레버;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그 하단부가 상기 레버에 탑재되는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가 상기 레버의 구동에 의해 승하강할 때 흔들리지 않도록하는 가이드수단;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되어 사용 장소에 지지하는 지지수단; 상기 하우징과 상기 레버와 상기 승강부재 및 지지수단를 연속적으로 관통되게 설치되고, 상부에 헤드와 하부에 수용홈이 구비되며, 사용자의 레버 조작 시 승강부재에 의해 승강하는 샤프트; 상기 하우징과 상기 샤프트 사이에 개재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승강되는 샤프트를 제자리로 복원시키는 스프링; 및 흡착판을 구비하며, 이 흡착판의 상부에 상기 수용홈에 착탈 가능하도록 돌기가 형성되는 흡착부재;로 구성된다.
차량, 차체, 덴트, 하우징, 손잡이, 레버, 승강부재, 샤프트, 스프링

Description

덴트 복원장치{A denteu restoration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덴트 복원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덴트 복원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우징
20 : 레버
30 : 승강부재
40 : 가이드수단
50 : 지지수단
60 : 샤프트
70 : 스프링
80 : 흡착부재
본 발명은 차량의 차체에 발생된 찌그러짐(덴트, dent)을 원상태로 복원시키는 복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차체에 경미한 충격이나 차량의 충돌에 의해 오목하게 형성된 덴트에 흡착부재를 붙인 다음에 레버를 쥐었다 폈다하면, 흡착부재와 연결된 샤프트가 승하강 하면서 덴트를 복원시키는 덴트 복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덴트(dent)라고 하는 것은 차량의 차체에 경미한 충격(예를 들어 돌멩이 혹은 야구공 등)이나 가벼운 접촉사고 등에 의한 충돌로 인하여 차체에 오목하게 탄성변형된 흠집이 생기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덴트가 특히 차체외관의 미감을 중요시하는 고급승용차나 신차의 차체에 생기는 경우에는 차량의 가치를 현저히 저하시키는 요인이된다.
차체에 생긴 덴트를 바로잡기 위해서는 어느 부위에 어느정도의 덴트가 생겨 있는지를 검출장치로써 먼저 검출하고, 공구를 이용하여 덴트의 후면을 타격하거나 밀어내는 작업으로 덴트를 복원하고 있다. 이와같은 종래의 덴트 복원은 찌그러진 차체의 뒷면에 다양한 공구를 넣어 작업을 하는 방법인데, 예를 들어 도어(door)에 생긴 덴트를 복원하기 위해서는 창문과 차체의 사이 틈으로 각종 공구를 밀어넣어 덴트의 후면을 타격 또는 밀어서 복원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방법은 차체의 틈으로 덴트의 후면까지 다양한 종 류의 공구를 삽입하여야 하고, 덴트를 밀어내는 힘의 전달이 어려워 만족할만한 복원이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틈을 찾기 어려운 위치에서는차체를 분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 작업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거나 이차적인 차체 손상의 문제점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여러가지 종류의 공구를 사용하여 밀어내거나 타격함으로써, 덴트 복원 작업임에도 불구하고 작업상 피할 수없는 미세한 덴트의 발생도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경우 덴트를 복원하기 위한 공구가 70여종에 이르고, 이를 이용하여 숙달된 작업이 가능하기까지는 오랜시간이 소요되어 비숙련자인 경우 덴트 복원작업이 불가하며, 이로인해 표준화된 작업이 이루어질 수가 없어 단지 작업자의 감각에 의존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차량의 차체에 경미한 충격이나 차량의 충돌에 의해 오목하게 형성된 덴트에 흡착부재를 붙인 다음에 레버를 쥐었다 폈다하면, 흡착부재와 연결된 샤프트가 승하강 하면서 덴트를 복원시키는 덴트 복원장치를 제공함에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덴트 복원장치의 특징은, 몸체 의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며, 이 몸체의 일단부에 손잡이가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 하부에 통로가 형성되는 하우징; 몸체의 일부가 상기 통로를 관통하고, 그 선단부가 상기 수용공간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동하는 레버;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그 하단부가 상기 레버에 탑재되는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가 상기 레버의 구동에 의해 승하강할 때 흔들리지 않도록하는 가이드수단;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되어 사용 장소에 지지하는 지지수단; 상기 하우징과 상기 레버와 상기 승강부재 및 지지수단를 연속적으로 관통되게 설치되고, 상부에 헤드와 하부에 수용홈이 구비되며, 사용자의 레버 조작 시 승강부재에 의해 승강하는 샤프트; 상기 하우징과 상기 샤프트 사이에 개재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승강되는 샤프트를 제자리로 복원시키는 스프링; 및 흡착판을 구비하며, 이 흡착판의 상부에 상기 수용홈에 착탈 가능하도록 돌기가 형성되는 흡착부재;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덴트 복원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덴트 복원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덴트 복원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덴트 복원장치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20)와 상기 레버에 탑재되는 승강부재(30); 상기 승강부재가 상기 레버의 회동에 의해 승하강할 때 흔들리지 않도록하는 가이드수단(40);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되며, 사용장소(차체)에 지지되는 지지수단(50); 상기 하우징(10)과 상기 레버(20)와 상기 승강부재(30) 및 지지수단(50)를 연속적으로 관통되게 설치되며, 사용자의 레버 조작 시 승강부재(30)에 의해 승강하는 샤프트(60); 상기 하우징(10)과 상기 샤프트(60) 사이에 개재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승강되는 샤프트(60)를 제자리로 복원시키는 스프링(70); 및 상기 샤프트(60)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흡착부재(80);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은 몸체(11)의 내부에 수용공간(12)을 가지며, 이 몸체(11)의 일단부에 손잡이(13)가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13) 하부에 통로(1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60)가 상기 하우징(10)의 수용공간(12)을 관통하여 개재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관통공(15a,15b)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레버(3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상기 하우징(10)의 양측벽에 힌지공(16)이 형성된다.
상기 레버(20)는 몸체(21)의 일부가 상기 하우징(10)의 통로(14)를 관통하여 수용공간(12)에 수용되며, 그 선단부가 힌지핀(22)에 의해 상기 하우징(10)의 힌지공(16)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21)는 상기 승강부재(30)를 탑재하도록 수용부(24)를 갖는 "∪"자형 몸체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샤프트(60)가 관통도록 상기 하우징(10)의 상하부면에 형성된 관통공(15a,15b)과 동일선상에 통공(2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21)의 타측부에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파지부(25)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부재(30)는 상기 하우징(10)의 수용공간(12)에 수용되며, 그 하부가 상기 레버(20)의 수용부(24)에 탑재되고, 상기 샤프트(60)가 관통되도록 몸체(31)의 내부에 수직공(32)이 형성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상기 레버(20)를 조작하면 회동하는 레버(20)에 의해 승강부재(30)가 승강하며, 이때 승강부재(30)는 수직공(32)에 관통된 샤프트(60)를 상승시킨다.
상기 가이드수단(40)은 상기 승강부재(30)가 상기 레버(20)의 회동에 의해 승하강할 때 흔들리지 않도록 하며, 상기 하우징(10)의 양측벽에 형성되는 가이드공(41)과 상기 승강부재(30)의 양측부에 형성되는 가이드돌기(42)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수단(50)은 양측부에 슬롯(51a)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0)의 하부에 설치되는 플레이트(51)와, 상부에 나사산(52a)과 이 나사산(52a)에 한 쌍의 너트(52b)가 구비되며 하단부에 수평봉(52c)이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51)에 고정되는 다리부재(52) 및 상기 다리부재(52)의 수평봉(52c)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밀착부재(53)로 이루어진다.
상기 플레이트(51)는 상기 샤프트(60)가 관통되도록 몸체의 중앙에 관통공(51b)이 형성되며, 양측부에 장공형성의 슬롯(51a)이 구비되며, 체결수단(51c)에 의해 상기 하우징(10)의 저면에 체결되도록 상기 관통공(51b)과 슬롯(51a) 사이에 볼트공(51d)이 형성된다.
상기 다리부재(52)는 상부에 나사산(52a)이 형성된 수직봉(52d)과, 상기 수직봉(52d)의 나사산(52a)에 체결되는 한 쌍의 너트(52b)와 상기 수직봉(52d)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수평봉(52c)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다리부재(52)의 나사산(52a) 부분을 상기 슬롯(51a)에 관통되게 개재시키고, 한 쌍의 너트(52b)를 상기 플레이트(51)의 상부와 하부에 위치하도록 한 다음에 상기 한 쌍의 너트(52b)를 조임하여 상기 플레이트(51)에 상기 다리부재(52)를 고정시킨다.
상기 밀착부재(53)는 몸체 상면에 일측부가 개구된 호형상의 홈(53a)을 갖는 돌출부(53b)가 형성되며, 상기 홈(53a)에 상기 다리부재(52)의 수평봉(52c)이 회전 가능하게 개재된다.
상기 샤프트(60)는 상기 승강부재(30)의 수직공(32)에 수용되는 몸체(61)가 낙하하지 않도록 상기 수직공(32)의 지름보다 더 큰 지름을 갖는 헤드(62)가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수용홈(63)이 구비되며, 상기 몸체(61)는 상기 하우징의 상·하면에 형성된 관통공(15a,15b)과, 상기 승강부재(30)의 수직공(32)과, 상기 레버(20)의 통공(23) 및 상기 플레이트(51)의 관통공(51b)을 연속적으로 관통되게 개재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홈(63)은 상기 몸체(61)의 하단부 중앙과 일측부가 동시에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일측부을 정면으로 바라보았을 때 상부가 넓고 하부가 작도록 단턱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61)의 하부에는 후술할 스프링(70)이 개재되도록 단턱부(64)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60)의 몸체(61)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몸체로 이루어지며, 상부 몸체(65)의 하면에 체결홈 또는 체결돌기(66)가 형성되고, 하부 몸체(67)의 상면에는 체결돌기 또는 체결홈(68)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방법으로 다수개의 몸체(61)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샤프트(60)는 사용자가 레버(20)를 조작하면, 상기 레버(20)에 탑재된 승강부재(30)가 승강함으로서, 상기 승강부재(30)의 상면과 접촉하는 헤드(62)에 의해 승강한다.
상기 스프링(70)은 상기 샤프트(60)의 단턱부(64)에 개재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승강한 샤프트(60)를 제자리로 복원시킨다.
상기 흡착부재(80)는 차량의 차표면에 발생된 덴트에 붙는 흡착판(81)과, 상기 흡착판(81)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60)의 수용홈(63)에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돌기(8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흡착부재(80)는 차량의 차 표면에 발생되는 덴트의 크기가 다양하기 때문에 각각 다른 지름을 갖는 흡착판(81)이 필요함으로서, 각각 다른 지름의 흡착판이 형성된 다수개의 흡착부재(8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발명에 따른 덴트 복원장치의 조립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우징(10)의 통로(14)를 통해 레버(20)의 일측 몸체(21)를 삽입한 후 그 선단부를 상기 하우징(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승강부재(30)가 상기 레버(20)에 탑재되도록 상기 하우징(10)의 수용공간(12)에 수용시킨다.
이때, 상기 승강부재(30)의 양측벽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41)가 상기 하우징(10)에 형성된 가이드공(42)에 개재되도록 한다.
계속해서, 체결수단(51c)을 이용하여 플레이트(51)를 상기 하우징(10)의 하부에 고정시킨다.
그런 다음에, 상기 플레이트(51)의 슬롯(51a)에 상기 다리부재(52)의 나사산(52a) 부분을 삽입시킨다.
이때, 상기 나사산(52a)에 체결되는 한 쌍의 너트(52b)는 상기 플레이트(5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하나씩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너트(52b)를 조임하여 상기 다리부재(52)를 상기 플레이트(51)에 고정시킨다.
그런 후에, 일측이 개구되고 호형상으로 이루어진 밀착부재(53)의 홈(53a)에 상기 다리부재(52)의 수평봉(52c)이 수용되도록 끼워 넣는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60)의 몸체(61)가 상기 하우징(10)의 상·하면에 형성된 관통공(15a,15b)과, 상기 승강부재(30)의 수직공(32)과, 상기 레버(20)의 통공(23) 및 상기 플레이트(51)의 관통공(51b)을 연속적으로 관통되게 개재한다.
그런 다음, 상기 샤프트(60)의 수용홈(63)에 상기 흡착부재(80) 돌기(82)를 수용시킨다.
이와 같이 조립된 본발명에 따른 덴트 복원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량의 차체에 발생된 덴트에 흡착부재(80)의 흡착판(81)을 붙인다.
그리고, 상기 흡착부재(80)의 돌기(82)가 샤프트(60)의 수용홈(63)에 수용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에, 차량의 차체에 발생된 덴트의 크기에 맞도록 다리부재(52)의 위치 조절한다.
이때, 밀착부재(53)의 저면이 차체에 밀착되도록 한다.
계속해서, 상기 다리부재(52)의 나사산(52a)에 체결된 한 쌍의 너트(52b)를 조임하여 다리부재(52)를 플레이트(51)에 고정시킨다.
그런 다음에, 사용자는 상기 하우징(10) 일측에 형성된 손잡이(13)와 레버(20)의 파지부(25)를 손으로 파지한다.
그리고, 차량의 차체에 발생된 덴트를 바라보면서 상기 레버(20)를 쥐었다 폈다하면, 레버(20)에 탑재된 승강부재(30)에 의해 샤프트(60)가 승강하고, 하우징(10)과 샤프트(60)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70)에 의해 하강한다.
상기와 같이, 레버(20)를 파지하고 쥐었다 폈다를 계속적으로 반복하면 차량의 차체에 발생된 덴트가 복원된다.
그런 후에, 상기 다리부재(52)의 나사산(52a)에 체결된 한 쌍의 너트(52b)의 조임을 해제한다.
그런 다음에, 상기 흡착부재(80)와 상기 샤프트(60)를 분리시킨다.
계속해서, 차체에 부착된 흡착부재(80)를 띄워낸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의 차체에 경미한 충격이나 차량의 충돌에 의해 오목하게 형성된 덴트에 흡착부재를 붙인 다음에 레버를 쥐었다 폈다하면, 흡착부재와 연결된 샤프트가 승하강 하면서 덴트를 손쉽게 복원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몸체의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며, 이 몸체의 일단부에 손잡이가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 하부에 통로가 형성되는 하우징;
    몸체의 일부가 상기 통로를 관통하고, 그 선단부가 상기 수용공간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동하는 레버;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그 하단부가 상기 레버에 탑재되는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가 상기 레버의 구동에 의해 승하강할 때 흔들리지 않도록하는 가이드수단;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되어 사용 장소에 지지하는 지지수단;
    상기 하우징과 상기 레버와 상기 승강부재 및 지지수단를 연속적으로 관통되게 설치되고, 상부에 헤드와 하부에 수용홈이 구비되며, 사용자의 레버 조작 시 승강부재에 의해 승강하는 샤프트;
    상기 하우징과 상기 샤프트 사이에 개재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승강되는 샤프트를 제자리로 복원시키는 스프링; 및
    흡착판을 구비하며, 이 흡착판의 상부에 상기 수용홈에 착탈 가능하도록 돌기가 형성되는 흡착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덴트 복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양측벽에 형성되는 가이드공과 상기 승강부재의 양측부에 형성되는 가이드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덴트 복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양측부에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되는 플레이트;와 상부에 나사산과 이 나사산에 한 쌍의 너트가 구비되며, 하단부에 수평봉이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다리부재; 및 상기 다리부재의 수평봉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밀착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덴트 복원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수용홈은 상부가 넓고 하부가 작도록 단턱지게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의 하단부 중앙과 일측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덴트 복원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재의 흡착판은 텐트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지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복원장치.
KR1020050066281A 2005-07-21 2005-07-21 덴트 복원장치 KR100631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6281A KR100631225B1 (ko) 2005-07-21 2005-07-21 덴트 복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6281A KR100631225B1 (ko) 2005-07-21 2005-07-21 덴트 복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1225B1 true KR100631225B1 (ko) 2006-10-02

Family

ID=37622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6281A KR100631225B1 (ko) 2005-07-21 2005-07-21 덴트 복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1225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152B1 (ko) * 2009-08-24 2012-03-19 이동균 차량 찌그러진 부위 복원장치
KR101154458B1 (ko) 2009-08-24 2012-06-13 이동균 차량 찌그러진 부위 복원장치
KR101414166B1 (ko) * 2014-03-18 2014-07-02 주식회사 세정기술개발 덴트 복원장치
KR101414165B1 (ko) * 2014-03-18 2014-07-02 주식회사 세정기술개발 덴트 복원장치
KR101414167B1 (ko) * 2014-03-18 2014-08-07 주식회사 세정기술개발 덴트 복원장치
KR200486688Y1 (ko) * 2017-04-26 2018-06-21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파이프의 데미지 복원 치공구
CN109590351A (zh) * 2017-10-03 2019-04-09 林昱宏 拉拔装置
CN110814092A (zh) * 2019-11-19 2020-02-21 黎迎文 一种用于汽车维修的钣金修复装置
KR20220101928A (ko) 2021-01-12 2022-07-19 신용주 차량용 덴트 복원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152B1 (ko) * 2009-08-24 2012-03-19 이동균 차량 찌그러진 부위 복원장치
KR101154458B1 (ko) 2009-08-24 2012-06-13 이동균 차량 찌그러진 부위 복원장치
KR101414166B1 (ko) * 2014-03-18 2014-07-02 주식회사 세정기술개발 덴트 복원장치
KR101414165B1 (ko) * 2014-03-18 2014-07-02 주식회사 세정기술개발 덴트 복원장치
KR101414167B1 (ko) * 2014-03-18 2014-08-07 주식회사 세정기술개발 덴트 복원장치
KR200486688Y1 (ko) * 2017-04-26 2018-06-21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파이프의 데미지 복원 치공구
CN109590351A (zh) * 2017-10-03 2019-04-09 林昱宏 拉拔装置
CN110814092A (zh) * 2019-11-19 2020-02-21 黎迎文 一种用于汽车维修的钣金修复装置
CN110814092B (zh) * 2019-11-19 2021-08-20 刘水玉 一种用于汽车维修的钣金修复装置
KR20220101928A (ko) 2021-01-12 2022-07-19 신용주 차량용 덴트 복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1225B1 (ko) 덴트 복원장치
US7690408B2 (en) Workbench for power tool
US4789134A (en) Forcible entry tool
US3689977A (en) Hinge pin remover
US4322103A (en) Door holding device
KR100250079B1 (ko) 스프링 탈.장착기
US3280455A (en) Axle puller with sliding hammer
US5292106A (en) Staple remover
US7158385B1 (en) Securing device for securing/separating two adjacent side boards of a computer main frame
GB2320454A (en) Portable clamp
KR101883165B1 (ko) 자동차용 그립 핸들 어셈블리의 브라켓 마운팅 구조
US6676498B1 (en) Bi-directional grinder
JP3953866B2 (ja) サッシの位置決め具及び位置決め方法
KR101650834B1 (ko) 차량 유리 탈거장치
US3811654A (en) Camber and caster adjustment tool
JP2016155668A (ja) ベルトテンション調整ブラケットの位置調整装置
US20040031541A1 (en) Corner chisel device for doors and the like
US20090309390A1 (en) Removably Clamped Platform
CN211604401U (zh) 一种方便收纳的音乐教学装置
WO2004101230A3 (en) Work bench
KR100435709B1 (ko) 다웰핀 제거장치
CN109040390B (zh) 电子设备支架
CN117566005A (zh) 一种新型简易的门盖装具及其操作方法
KR0151689B1 (ko) 피스톤 핀 탈거장치
JP3251700B2 (ja) マンホール用開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