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0834B1 - 차량 유리 탈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유리 탈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0834B1
KR101650834B1 KR1020150105353A KR20150105353A KR101650834B1 KR 101650834 B1 KR101650834 B1 KR 101650834B1 KR 1020150105353 A KR1020150105353 A KR 1020150105353A KR 20150105353 A KR20150105353 A KR 20150105353A KR 101650834 B1 KR101650834 B1 KR 101650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rotary shaft
glass
bas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5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두현
Original Assignee
윤두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두현 filed Critical 윤두현
Priority to KR1020150105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08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0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0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6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doors, windows, openable roofs, lids, bonnets, or weather strips or sea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7/00Hand cutting tool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e.g. finger rings for cutting string, devices for cutting by means of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윈도우 프레임과 유리 사이에 와이어를 끼워 실러를 절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 차량 유리 탈거장치가 소개된다. 그 탈거장치는 흡착기가 하부에 설치된 베이스; 베이스의 상부 어느 일측에 설치된 고정 프레임; 고정 프레임에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단부에 와이어가 감길 수 있도록 구성된 회전축; 및 회전축과 간섭될 수 있도록 고정 프레임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스토퍼;를 포함한다. 스토퍼에 의해 회전축의 회전방향이 규제된다.

Description

차량 유리 탈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A VEHICLE WINDOW GLASS}
본 발명은 차량 유리, 특히 전방이나 후방 유리의 탈거에 사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전방이나 후방 유리는 실러를 이용하여 윈도우 프레임에 접착 고정되며, 그 전면 가장자리는 몰딩으로 마감된다.
이러한 구조하에서 유리를 윈도우 프레임으로부터 탈거하기 위해서는, 먼저 몰딩이나 패스너 등을 분리한 다음, 윈도우 프레임과 유리 사이에 개재된 실러를 제거 또는 절단하는 작업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종래에는 실러의 절단에 커터칼이 이용되었다. 그러나 커터칼을 사용하게 되면 탈거과정에 유리나 윈도우 프레임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문제를 피할 수 없었다. 따라서 실러 방수 문제로 유리를 탈거하는 경우에도 기존 유리를 재사용하지 못하고 교환해야 했다.
종래기술의 다른 예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210307호의 차량 유리 탈거장치가 있다. 이 탈거장치는 윈도우 프레임과 유리 사이에 와이어를 끼워 테두리를 따라 사방으로 실러를 절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탈거과정에 유리나 윈도우 프레임의 손상 문제를 야기하지 않는다.
그러나 위 특허의 탈거장치는 구조가 복잡하며 사이즈가 크고 무겁다. 차량 유리의 탈거는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데, 사이즈가 크고 무거운 탈거장치는 한 명의 작업자가 가지고 작업하기에 버겁고 불편하다. 보다 간단하고 사용하기 편리한 탈거장치가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210307호(2012년 12월 4일 등록)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에 기초한 것으로, 탈거과정에 유리나 윈도우 프레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 유리 탈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이 간편하며 간단한 구조의 차량 유리 탈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유리 탈거장치는 윈도우 프레임과 유리 사이에 와이어를 끼워 실러를 절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유리 탈거장치는 흡착기가 하부에 설치된 베이스; 베이스의 상부 어느 일측에 설치된 고정 프레임; 고정 프레임에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단부에 와이어가 감길 수 있도록 구성된 회전축; 및 회전축과 간섭될 수 있도록 고정 프레임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스토퍼;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토퍼는 고정 프레임에 고정된 몸체에 탄성 지지되어 외력에 의해 후방 이동 가능한 로드를 구비하며, 로드와 간섭되는 회전축 부위에는 로드에 의해 회전방향이 규제될 수 있는 구성이 마련된다. 예로서 로드 둘레에 마련된 복수의 일방향 돌기나 단턱 또는 홈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유리 탈거장치에 의하면, 와이어를 사용하여 실러를 절단하므로 탈거과정에 유리나 윈도우 프레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유리 탈거장치는 구조가 간단하여 잔고장이 발생되지 않으며 조작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유리 탈거장치는 가볍게 제작될 수 있으며, 롤러나 기타 별도의 보조롤러를 이용하여 간편하고 손쉽게 유리 탈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유리 탈거장치는 사용하기 편리하여 작업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유리 탈거장치의 한 실시예,
도 2는 도 1의 탈거장치에서 핸들이 제거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3은 도 1의 탈거장치의 핸들을 별도로 보인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탈거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A-A로 표시된 선을 따라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에 의한 회전축 간섭상태를 보인 개략도,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간섭이 해제된 상태를 보인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프레임의 저면을 보인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개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유리 탈거장치를 보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유리 탈거장치를 보인 도면,
도 12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유리 탈거장치를 이용한 유리 탈거 과정의 예를 순차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들에서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시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유리 탈거장치는 베이스(10) 하부에 마련된 흡착기(20)를 이용하여 유리에 고정할 수 있으며, 핸들(50)을 조작하여 실러를 절단하기 위한 와이어(미도시)를 팽팽하게 감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베이스(10)는 하부에 흡착기(20)를 고정하고 상부에 고정 프레임(30)을 설치하기 위한 부재로서,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10)는 무게 감소를 위해 플레이트로 구성된다.
베이스(10)는 무게 감소를 위해 분기된 연장부(11a,11b)를 가지며 이 연장부(11a,11b) 각각에는 와이어가 감기는 롤러(70a,70b: 70)가 설치된다. 연장부(11a,11b)에는 또한 무게 감소를 위해 복수의 홀이 마련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고정 프레임(30)은 베이스(10)의 상부 일측에 마련된다. 고정 프레임(30)의 중앙부에는 상하방향으로 회전축(40)이 설치되며, 이 회전축(40)의 하단부는 와이어의 일단을 고정하고 그 둘레에 감기 위해 외부로 노출된다.
한편 고정 프레임(30)과 롤러(70)의 사이를 가로질러 수평하게 배치된 파이프가 브래킷(12)에 의해 베이스(10)에 고정되며, 이 파이프 선단에 펌핑 부재(13)가 연결된다. 사용자가 파이프를 잡고 흡착기를 유리에 맞댄 후, 펌핑 부재(13)를 연속해서 누르면 흡착기(20) 내의 공기가 빠져나와 흡착기(20)가 유리에 고정된다.
도 3을 참조하면, 핸들(50)은 샤프트(51)의 일단에 사각의 단면을 갖는 고정부(52)가 마련되고, 샤프트(51)의 타단에 고정부(52)와는 반대방향으로 연장된 수직부(53)에 핸들노브(54)가 마련된 구조를 갖는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고정 프레임(30)에 설치된 회전축(40)의 상단부는 외부로 노출되며 그 상단면에 사각의 홈(41)이 형성된다. 이 홈(41)에 핸들(50)의 고정부(52)가 압입 고정되며, 핸들노브(54)를 잡고 핸들(50)을 회전시키면 회전축(40)이 회전하게 된다.
회전축(40)의 상단에 마련된 홈(41)은 반드시 핸들(50)만을 위한 것은 아니다. 손쉽게 회전축(40)을 회전시키기 위해 전동공구의 툴이 삽입될 수도 있다. 홈(41)이나 핸들(50)의 고정부(52)는 상용의 전동공구의 툴 규격에 부합하는 것이 좋다.
도 2를 참조하면, 고정 프레임(30)에는 측방향으로 스토퍼(60)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스토퍼(60)는 회전축(40)의 회전을 일방향으로 규제하기 위한 것으로, 평상시에는 회전축(40)에 간섭되어 회전방향을 규제하며 이를 후방으로 잡아당기면 간섭 상태가 해제되도록 구성된다.
도 4를 참조하여 탈거장치의 각 구성품, 특히 고정 프레임(30)과 회전축(40)에 대해 더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4에서 보듯이, 고정 프레임(30)은 베이스(10) 상에 이격 배치된 상부 프레임(31)과 이들 사이에 개재된 좌우 한 쌍의 칼럼(34)으로 구성된다. 고정 프레임(30)은 수리나 제작의 편리성을 위해 각 구성부를 별물로 제작하여 볼트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와 함께 도 1을 참조하면, 상부 프레임(31)과 베이스(10) 그리고 칼럼(34)에 의해 규정되는 공간은 개방되어 있다. 회전축(40)의 하단부는 이 공간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이 공간을 통해 와이어를 회전축(40), 정확하게는 감개(90)에 감거나 푸는 작업이 가능해진다.
상부 프레임(31)의 중앙부에는 관통홀(32)이 형성된다. 회전축(40)은 이 관통홀(32)에 삽입 설치되며, 그 하단은 베이스(10)에 마련된 홈부(14)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홈부(14)에는 회전축(40)을 감싸는 베어링(80b)이 설치된다. 베어링(80b)은 회전축(40)을 수평방향으로 지지하고 그 회전을 원활하게 한다.
도 4와 함께 도 9를 참조하면, 관통홀(32)에 삽입된 회전축(40)은 감개(90)의 관통홀(92)을 지나 그 하단이 홈부(14)에 안착된다. 감개(90)는 회전축(40)과 함께 회전하면서 그 둘레에 와이어를 감기 위한 부재로서, 말하자면 앞서 설명된 노출 공간에서 상부 프레임(31)과 베이스(10) 사이에 배치된다.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부 프레임(31)의 저면에는 베어링(80a)의 설치를 위한 홈부(35)가 마련된다. 이 베어링(80a)은 스토퍼(60)에 의해 간섭을 받는, 혹은 일방향 힘을 받는 회전축(40)을 지지하고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이 베어링(80a)은 홈부(35)에 안착된 상태에서 감개(90)에 의해 지지된다.
도 1 및 도 4에서 보듯이, 상부 프레임(31)의 측부에는 스토퍼(60)의 장착을 위한 고정홀(33)이 마련된다. 고정홀(33)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가공되며, 이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외면(61)에 형성된 스토퍼(60)가 고정홀(33)에 나사결합된다. 회전축(40)은 회전 과정에 스토퍼(60)의 간섭을 받는다.
스토퍼(60)와 간섭되는 회전축(40) 부위에는 스토퍼(60)에 의해 회전방향이 규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간섭부(42)가 마련된다. 이 간섭부(42)는 둘레에 복수의 일방향 돌기나 단턱, 또는 홈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확실한 회전방향의 규제를 위해 돌기나 단턱 구조가 선호된다.
도 5에는 간섭부(42)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서 보듯이, 간섭부(42)는 다각형, 예로서 육각의 단면 구조를 가지며 모서리 부위에 일방향 구름면을 갖는 돌기 또는 단턱(43)이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간섭부(42)가 홈 구조를 갖는 경우, 회전축(40)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깊이가 깊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토퍼(60)의 간섭을 받는 회전축(40)은 홈의 깊이가 얕아지는 방향으로는 회전 가능하나 그 반대방향으로는 회전할 수 없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스토퍼(60)의 구조 및 회전축(40) 간섭구조를 살펴본다. 도 6 및 도 7은 상부 프레임(31)을 위에서 바라본 것을 보인 도면이나, 간섭구조의 설명을 위해 실제 보이는 바와는 달리 일부의 과장이나 왜곡이 있음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도 6 및 도 7에서 보듯이, 스토퍼(60)는 상부 프레임(31)에 나사 고정된 몸체(61) 내에서 탄성 지지되어 외력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 가능한 로드(62)를 구비한다. 로드(62)의 둘레에는 스프링(63)이 감아져 있고, 이 스프링(63)이 멈춤돌기(64)를 미는 힘에 의해 로드(62)가 전진 방향으로 탄성 지지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스토퍼(60)가 상부 프레임(31)에 고정된 평상 시의 상태에서 로드(62)는 회전축(40)의 간섭부(42)와 간섭 가능한 상태에 있다. 회전축(40)은 로드(62)의 미는 힘을 이기고 시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나 일방향 돌기(43)로 인해 그 반대방향으로의 회전은 제한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스토퍼(60)는 로드(62)의 후단에 연결된 노브(65)를 잡고 후방으로 당기면 회전축(40)과의 간섭 상태가 완전히 해제된다. 이때 회전축(40)은 양방향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으며, 노브(65)가 제자리로 원위치되면 다시 회전축(40)은 회전방향이 일방향으로 제한된다.
도 7에서와 같이, 노브(65)를 잡고 스토퍼(60)에 의한 회전축(40) 간섭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것은 매우 유용하다. 탈거장치를 이용하여 유리 탈거작업을 하거나 완료를 한 후 와이어 정리하거나 할 때, 와이어를 감개(90)에 풀거나 감아야 하는데, 노브(65)를 잡아 당겨 간섭 상태를 간단히 해제한 후 이러한 작업을 하면 매우 편리하다. 이때 전동공구를 사용하면 더 편리하다.
도 9에서 보듯이, 감개(90)는 중공의 원통형 몸체(9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플랜지(93a,93b)가 마련된 기본구조를 갖는다. 이 감개(90)의 관통홀(92) 내주면에는 회전축(40) 회전 시 감개(9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그루브(93)가 상하방향으로 마련되며, 이 그루브(93)에 대응하여 회전축(40)의 하단부에는 돌부(43)가 마련(도 4 참조)된다.
한편 감개(90)의 몸체(91) 측부에는 관통홀(94a,94b)가 마련된다. 이 관통홀(94a,94b)은 와이어의 일단을 끼워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회전축(40)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즉 회전축(40)이 끼워지는 관통홀(92)을 통과하지 않도록 몸체(91)의 두께 면에 측방향으로 형성된다.
도 10에는 회전축(40) 상단과 핸들(50)의 결합구조가 앞서의 실시예와 다른 차량 유리 탈거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서 보듯이, 회전축(40)의 상단부는 그 형상 자체가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핸들(50)의 고정부(52a)는 사각홀 구조로 형성된다. 물론 이 경우에도 전동공구의 툴을 이용하여 회전축(40a)을 회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11에는 베이스(100)의 구조가 앞서의 실시예들과 다른 차량 유리 탈거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에서 보듯이, 베이스(100)의 타측에는 원호 형상의 장홀(101)이 형성되고, 이 장홀(101)에는 고정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하나의 롤러(110)가 마련된다. 롤러(110)의 위치는 볼트,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의 체결 상태를 느슨하게 한 후 이동시킬 수 있다.
앞서의 실시예에서는 2개의 롤러(70a,70b)가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었다. 그러나 작업을 하다보면 롤러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는데, 앞선 실시예는 탈거장치 자체를 유리로부터 탈거한 후 위치를 다시 잡아야 하나, 본 실시예의 경우 롤러(110) 위치의 이동이 매우 간편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롤러(110)를 1개만 사용할 수 있으므로 비용 절감이 가능하고 무게도 가벼워 운반 이동이 편리하다는 장점도 있다. 무게 감소를 위한 베이스(100)에는 홀(102)이 형성된다.
도 12 내지 도 14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이용한 유리 탈거 작업에 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차량 내부 운전석 측에서 유리 탈거를 시작한 예를 도시한 것으로, 조수석에서 시작할 수도 있다.
도 12에서 보듯이, 탈거장치를 실내에서 유리(200)에 흡착 고정한 상태에서, 와이어(W)의 일단(S)은 실외의 와이퍼 고정부 측에 고정되며, 타단은 유리의 둘레를 따라 사방에 감아져 운전석 측에서 실내로 삽입된 후 롤러(17b)에 감아진 다음 감개(90)에 고정된다.
도 12의 상태에서 핸들(50)을 돌리면 와이어(W)가 팽팽해지면서 유리(W)의 좌측 부분이 윈도우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된다. 이후 도 13에서와 같이 탈거장치를 조수석 측으로 옮긴 후 핸들(50)을 돌리면, 유리(W)의 상단 부분이 윈도우 프레임으로부터 뜯겨진다.
그 다음 도 14에서와 같이 탈거장치를 옮겨 앞서와 동일한 작업을 수행하면 유리(W)의 우측 부분이 윈도우 프레임으로부터 뜯겨지고, 이 과정을 다시 운전석 측에서 한번 더 하면 유리가 윈도우 프레임으로부터 완전히 탈거된다.
한편 와이어(W)는 감개(90)에 감아진 상태로 보관되는데, 이 경우 유리 탈거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감개(90)에 감긴 와이어(W)를 풀어야 한다. 이 때 스토퍼(60)를 후방으로 당겨 간섭 상태를 해제한 다음 와이어를 풀면 편리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210307호에서는 와이어가 감긴 회전축의 회전방향을 양방향 모두 규제하기 위하여 복잡한 구성을 필요로 했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스토퍼(60)를 후방으로 당겨 간섭을 해제하여 와이어를 풀 수 있으므로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하며 사용하기에도 편리하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 유리 탈거장치는 경량이며 또 구조가 간단하여 작업자가 이를 가지고 작업하기가 편리하며 잔고장이 없다. 회전축 상단에 전동공구의 툴을 연결하여 모터 힘으로 와이어를 감을 수 있으므로 작업이 편리하며 작업시간의 단축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은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될 수 있고 또 이것이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는 것이 이해될 필요가 있다.
10: 베이스 20: 흡착기
30: 고정 프레임 31: 상부 프레임
32: 관통홀 40: 회전축
50: 핸들 60: 스토퍼
61: 몸체 62: 로드
63: 스프링 70: 롤러
80: 베어링 90: 감개

Claims (13)

  1. 흡착기가 하부에 설치된 베이스;
    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된 고정 프레임;
    고정 프레임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며 그 둘레에 와이어가 감길 수 있도록 구성된 회전축; 및
    탄성력에 의해 그 선단이 회전축과 간섭 가능하도록 고정 프레임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스토퍼;를 포함하며,
    스토퍼와 간섭되는 회전축 부위에는 스토퍼에 의해 회전방향이 규제될 수 있도록 둘레에 복수의 일방향 돌기나 단턱 또는 홈이 형성되며,
    스토퍼는,
    고정 프레임에 고정된 몸체;
    선단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몸체 내에서 탄성 지지되는 로드; 및
    로드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잡아 당길 수 있도록 몸체 외부로 노출된 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리 탈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와 간섭되는 회전축 부위는 단면 형상이 다각형이며, 이 다각형의 모서리 부위에 돌기 또는 단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리 탈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홈은 회전축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깊이가 깊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리 탈거장치.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은,
    베이스로부터 상방향 이격 배치된 상부 프레임과 이 상부 프레임을 지지하는 칼럼을 구비하며,
    회전축의 하단부는 상부 프레임 및 칼럼에 의해 규정되는 공간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리 탈거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공간을 통해 노출된 회전축 하단부 둘레에는 회전축과 함께 회전 가능하게 감개가 설치되며,
    감개에는 와이어 일단의 고정을 위한 관통홀이 측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리 탈거장치.
  8.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부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리 탈거장치.
  9.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의 저면에는 안착홈이 마련되며, 여기에 회전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리 탈거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그 상단부가 고정 프레임 외부로 노출되며, 상단 면에 다각형의 홈이 형성되거나 또는 그 상단부의 형상이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리 탈거장치.
  1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을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축 상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핸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리 탈거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타측에는 와이어의 안내를 위한 복수의 롤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리 탈거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타측에는 원호 형상의 장홀이 형성되고, 이 장홀에는 고정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하나의 롤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리 탈거장치.
KR1020150105353A 2015-07-24 2015-07-24 차량 유리 탈거장치 KR101650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5353A KR101650834B1 (ko) 2015-07-24 2015-07-24 차량 유리 탈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5353A KR101650834B1 (ko) 2015-07-24 2015-07-24 차량 유리 탈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0834B1 true KR101650834B1 (ko) 2016-08-24

Family

ID=56884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5353A KR101650834B1 (ko) 2015-07-24 2015-07-24 차량 유리 탈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08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564B1 (ko) * 2016-11-07 2017-03-29 권용진 자동차 유리 제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16800B2 (en) * 2001-03-05 2003-09-09 Rolf O. Eriksson Method and device for removing windshields
JP2010023824A (ja) * 2004-09-14 2010-02-04 Belron Hungary Kft - Zug Branch 自動車窓ガラスを切り抜く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1210307B1 (ko) 2011-03-08 2012-12-10 심명섭 차량용 유리 탈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16800B2 (en) * 2001-03-05 2003-09-09 Rolf O. Eriksson Method and device for removing windshields
JP2010023824A (ja) * 2004-09-14 2010-02-04 Belron Hungary Kft - Zug Branch 自動車窓ガラスを切り抜く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1210307B1 (ko) 2011-03-08 2012-12-10 심명섭 차량용 유리 탈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564B1 (ko) * 2016-11-07 2017-03-29 권용진 자동차 유리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00361A1 (en) Method and a device for removing vehicle windows
RU2592330C2 (ru) Способ работы с проволокой для вырезания стеклянной панел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01650834B1 (ko) 차량 유리 탈거장치
US20100031575A1 (en) Window regulator and jig
EP3339952B1 (en) Handheld cloud platform and battery cover tightening mechanism thereof
WO2014129476A1 (ja) タイヤ固定機構及びタイヤチェンジャ
WO2017203771A1 (ja) 筐体分離機構
DE102015006042A1 (de) Schleifwerkzeug
WO2005029176A1 (ja) 映写スクリーンの取付構造
US7793699B2 (en) Apparatus for mounting tires on large wheels
JP2010260500A (ja) ツールの取付け構造及びタイヤ着脱装置
KR101748357B1 (ko) 자동차 캘리퍼로드 교체 공구.
CN102555701A (zh) 将轮胎的胎圈分离的装置
JP2001040992A (ja) シールド機のカッタビット交換装置
CN211252049U (zh) 一种多功能美术工具箱
JPH0544013Y2 (ko)
JP5552554B1 (ja) 車両用吊上げ具
JP2005054421A (ja) マンホール蓋の操作工具孔用カバー装置
JP6494537B2 (ja) プリント基板取り外し治具
KR200478376Y1 (ko) 볼헤드 패닝 잠금 장치
CN215880728U (zh) 一种方便调整位置的机床
CN218558414U (zh) 一种刻章设备
CN211371861U (zh) 显示器用快拆支架
CN215714216U (zh) 一种鞋用抽条机
CN107914241B (zh) 用于单作用气动执行器弹簧装配的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