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9289B1 - 감시 정보 제공 장치, 감시 정보 제공 방법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감시 정보 제공 장치, 감시 정보 제공 방법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9289B1
KR100629289B1 KR1020050046645A KR20050046645A KR100629289B1 KR 100629289 B1 KR100629289 B1 KR 100629289B1 KR 1020050046645 A KR1020050046645 A KR 1020050046645A KR 20050046645 A KR20050046645 A KR 20050046645A KR 100629289 B1 KR100629289 B1 KR 100629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monitoring
period
representative value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6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0847A (ko
Inventor
모또히사 나까무라
다까유끼 마에하라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80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0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9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9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4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4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 G06F11/3452Performance evaluation by statistical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4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 G06F11/3466Performance evaluation by tracing or monitoring
    • G06F11/3476Data log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리소스 소비를 억제하면서, 실용상 충분한 감시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타이머 처리부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소정의 샘플링 간격으로 현재값 데이터 취득부가 감시 대상 콤포넌트의 동작 상황을 나타내는 현재값을 취득하고, 저장 제어부가, 감시 데이터 기억부가 갖는 현재값 버퍼 및 대표값 버퍼의 저장 제어를 행함으로써, 현재값 및 대표값의 기억을 행하며, 제공 요구 접수부가 단말 장치로부터 감시 정보 제공 요구를 접수하면, 감시 정보 제공부를 통해 통지를 받은 제공 데이터 산출부가, 최대값이나 평균값 등의 감시 기간의 대표값을 산출하고, 감시 정보 제공부가 이러한 산출 결과를 포함한 그래프를, 마크업 언어를 이용하여 작성하여, 요구원의 단말 장치에 송신한다.
단말 장치, 감시 대상 장치, 현재값 버퍼, 대표값 버퍼, 감시 기간, 구간 대표값, 기간 대표값

Description

감시 정보 제공 장치, 감시 정보 제공 방법 및 기록 매체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ONITORING-INFORMATION, AND RECORDING MEDIUM}
도 1은 감시 정보 제공 처리의 개요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감시 대상 콤포넌트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종래의 최대값 및 평균값의 산출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감시 정보 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
도 5는 평균값 및 최대값의 계산 처리 개요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버퍼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저장 제어부의 처리 수순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8은 최소 구성의 버퍼를 이용한 평균값 및 최대값의 계산 처리 개요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가상 감시 기간 및 각 버퍼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버퍼가 최소 구성인 경우에 있어서의 저장 제어부의 처리 수순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11은 감시 정보 제공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컴퓨터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감시 정보 제공 장치
2 : 통신부
10 : 감시 정보 제공 처리부
11 : 제공 요구 접수부
12 : 감시 정보 제공부
13 : 제공 데이터 산출부
14 : 현재값 데이터 취득부
15 : 저장 제어부
16 : 타이머 처리부
20 : 기억부
21 : 감시 데이터 기억부
50 : 감시 정보 제공 장치(컴퓨터)
51 : 입력 장치
52 : 출력 장치
53 : 디스크 제어 I/F부
54 : 네트워크 I/F부
55 : HDD
55a : 감시 정보 제공 프로그램
56 : RAM
56a : 현재값 데이터
56b : 대표값 데이터
57 : CPU
57a : 감시 정보 제공 프로세스
[비특허 문헌1] 후지쯔주식회사, "Server View 3.3", [online], [평성16년 12월 13일 검색], 인터넷<http://www.fmworld.net/biz/primergy/serverview/>
[특허 문헌1] 일본 특개2000-347905호 공보
본 발명은, 감시 대상의 동작 상황을 나타내는 현재값을 소정의 감시 간격마다 취득하여 소정의 감시 기간에 대한 감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그 감시 정보를 감시 단말기에 제공하는 감시 정보 제공 장치, 감시 정보 제공 방법 및 감시 정보 제공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스템 감시에 수반되는 리소스 소비를 억제하면서, 실용상 충분한 감시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감시 정보 제공 장치, 감시 정보 제공 방법 및 감시 정보 제공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안정 가동이 요구되는 서버 장치 등에서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사용율이나, 메모리 사용율 등의 동작 상황을 취득하고, 취득한 동작 상황을 시계열로 그래프화하거나 하여 시스템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면, 비특허 문헌1에는, 서버 장치를 구성하는 주요한 콤포넌트의 동작 상황을 서버 장치가 취득하여 네트워크 접속된 감시 단말기에 송신하고, 수신한 동작 상황을 감시 단말기가 그래프화함으로써 서버 장치의 동작 상황을 감시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1에는, CPU의 순간 사용율의 변동폭을 조정함으로써 CPU의 사용율을 산출하는 CPU 사용율 산출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종래 기술을 이용하였다고 해도 감시에 수반되는 리소스의 소비를 효율적으로 억제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즉, 최근의 서버 장치는, 다수의 CPU나 다수의 스토리지 장치를 구비하는 경우가 많아, 감시 대상으로 되는 콤포넌트의 수량은 증가 경향에 있다. 이 때문에, 취득한 동작 정보를 축적하는 것만으로도 많은 기억 영역을 소비하게 된다.
예를 들면, 서버 장치에서 1sec의 감시 간격으로 스토리지 장치 내의 가상 볼륨의 사용율을 감시하는 경우에 있어서, 1회당의 동작 정보량이 1바이트이었다고 해도, 1000sec 동안의 감시 기간에서의 평균 사용율을 구하는 경우에는 통상 1000바이트의 기억 영역이 필요로 된다. 또한, 필요로 되는 기억 영역은 감시 대상인 가상 볼륨의 증가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서버 장치의 리소스는, 본래의 업무 처리 등에 이용되어야 하며, 동작 감시를 위해 리소스를 너무 소비하면, 오히려 안정 가동에 지장을 초래하게 될지도 몰라 바람직하지 못하다.
한편, 서버 장치의 기억 영역의 소비를 억제하기 위해, 서버 장치가 취득한 동작 정보를 수시 감시 단말기에 송신하여 감시 단말기측에서 평균값 등을 구하는 것도 생각되지만, 기억 영역의 소비처를 이전한 것에 지나지 않아, 감시에 수반되는 리소스 소비를 해결한 것이라고는 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시스템 감시에 수반되는 리소스 소비를 억제하면서, 실용상 충분한 감시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서버 장치를 어떻게 실현할지가 큰 과제로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과제는 서버 장치에 한한 것이 아니라 감시 대상의 동작 상황을 취득하여 감시 정보를 제공하는 감시 정보 제공 장치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발생하는 과제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시스템 감시에 수반되는 리소스 소비를 억제하면서, 실용상 충분한 감시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감시 정보 제공 장치, 감시 정보 제공 방법 및 감시 정보 제공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감시 대상의 동작 상황을 나타내는 현재값을 소정의 감시 간격마다 취득하여 소정의 감시 기간에 대한 감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그 감시 정보를 감시 단말기에 제공하는 감시 정보 제공 장치로서, 상기 현재값을 시계열로 기억하는 소정 수의 현재값 버퍼와, 상기 감시 기간에 포함되는 소정의 구간에 속하는 상기 현재값에 기초하여 산출된 구간 대표값을 시계열로 기억하는 소정 수의 구간 대표값 버퍼를 갖는 기억 수단과, 상기 현재값이 취득되었을 때에, 상기 현재값 버퍼 및 상기 구간 대표값 버퍼에의 데이터 저장 제어를 행하는 기억 제어 수단과,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현재값 및 상기 구간 대표값에 기초하여 상기 감시 기간의 기간 대표값을 산출하는 산출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데이터 및/또는 상기 산출 수단이 산출한 상기 기간 대표값을 포함한 상기 감시 정보를 마크업 언어에 의해 생성하는 감시 정보 생성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억 제어 수단은, 상기 기억 수단이 갖는 모든 상기 현재값 버퍼에 상기 현재값이 기억되었다면, 그 현재값에 기초하여 최신 구간의 구간 대표값을 산출하고, 그 최신 구간의 구간 대표값을 상기 구간 대표값 버퍼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상기 구간 대표값 및 상기 산출 수단이 산출하는 상기 기간 대표값은, 각각, 구간 평균값 및 기간 평균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억 제어 수단은, 상기 구간 대표값 버퍼가 1개인 경우에, 상기 감시 기간에 포함되는 모든 상기 구간에서 그 구간 대표값 버퍼의 값을 취한 것으로 하여 상기 기간 평균값을 산출하여 그 구간 대표값 버퍼에 저장하고, 상기 산출 수단은, 그 구간 대표값 버퍼의 값을 그대로 상기 기간 대표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상기 구간 대표값 및 상기 산출 수단이 산출하는 상기 기간 대표값은, 각각, 구간 최대값 및 기간 최대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억 제어 수단은, 상기 구간 최대값을 기억하기 위한 상기 구간 대표값 버퍼가 1개인 경우에, 그 구간 대표값 버퍼의 값을 유지하는 기간을 나타내는 최대값 유지 기간이 만료될 때까지 그 구간 대표값 버퍼의 값을 유지하고, 상기 현재값이 취득되었을 때에, 그 구간 대표값 버퍼의 값과, 상기 현재값 버퍼의 값을 대비함으로써, 새로운 구간 대표값을 그 구간 대표값 버퍼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억 제어 수단은, 상기 현재값이 취득될 때마다 상기 구간 대표값 버퍼의 값을 감소시키고, 감소시킨 그 구간 대표값 버퍼의 값과, 상기 현재값 버퍼의 값을 대비함으로써, 새로운 구간 대표값을 그 구간 대표값 버퍼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감시 기간에 포함되는 상기 구간의 개수를 사전에 정해진 개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감시 기간 및 상기 감시 간격에 기초하여 상기 기억 수단이 갖는 버퍼 수가 최소로 되도록, 상기 감시 기간에 포함되는 상기 구간의 개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억 수단은, 감시 대상마다의 상기 현재값 버퍼 및 상기 구간 대표값 버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감시 정보 생성 수단은, 상기 마크업 언어에 의해 그래프화한 상기 감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정보 제공 장치, 감시 정보 제공 방법 및 감시 정보 제공 프로그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우선, 본 실시예의 특징 부분인 감시 정보 제공 처리의 개요에 대하여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감시 정보 제공 처리의 개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서버 장치 상에서, 감시 정보 제공 처리가 행해지는 것으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특징 부분인 감시 정보 제공 처리가 동작하는 서버 장치에는, CPU, 메모리, 파일 시스템(가상 볼륨), 디스크 장치(실 볼륨) 등의 콤포넌트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감시 정보 제공 처리에서는, 이들 콤포넌트의 동작 상태를 정기적으로 취득하여 감시 정보를 작성하고, 작성한 감시 정보를 감시 단말기(단말 장치)에 송신한다.
최근의 서버 장치에서는, 감시 대상으로 되는 콤포넌트는 증가하는 경향에 있어, 서버 장치의 안정 가동을 위해서는, 다수의 콤포넌트의 동작 이상을 적확하게 파악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최근의 서버 장치가 감시 대상으로 하는 콤포넌트의 일례에 대하여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감시 대상 콤포넌트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멀티 CPU의 서버 장치에서는, 각 CPU의 사용율을 취득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32개의 CPU를 탑재하고 있는 것이면, 32개의 CPU의 사용율을 감시 대상으로 해야만 한다. 또한, 32개의 하드디스크 장치(HDD)가 접속되어 있고, 각 하드디스크 장치 내에 15개의 파티션이 구축되어 있는 경우에는, 감시 대상으로 되는 파티션의 사용율은, 32×15개 존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서버 장 치에서의 감시 대상 콤포넌트는 매우 많기 때문에, 개개의 감시 대상마다 사용하는 현재값 기억용의 기억 영역을 억제하지 않으면, 서버 장치 자체의 동작을 압박하게 될지도 모른다. 이와 같이, 감시 대상으로 되는 콤포넌트가 증가되어 가면, 감시에 수반되는 기억 영역 소비의 문제가 현재화되었다.
즉, 종래의 감시 정보 제공 처리에서는, 소정의 간격으로 취득한 현재값을, 이용자 등에 의해 지정된 감시 기간에 걸쳐 기억 영역에 기억하고, 기억한 현재값에 기초하여 감시 기간의 최대값이나 평균값을 산출하는 것으로 하였다. 여기서, 종래의 감시 정보 제공 처리에서의 최대값 및 평균값의 산출 방법에 대하여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종래의 최대값 및 평균값의 산출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에서는, 소정의 샘플링 간격으로 취득한 각 현재값을 「○」로 나타내고 있으며, 종축이 감시 대상 콤포넌트의 사용율을, 횡축이 시간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도시한 모든 현재값의 평균값을 구하는 경우에는, 각 「○」의 사용율을 합계하여, 「○」의 개수로 나눌 필요가 있기 때문에, 각 「○」의 사용율을 일시적으로 기억해 둘 필요가 있다.
한편, 최대값을 구하는 경우에는, 새롭게 취득한 현재값이 최대값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이 현재값이 최대값인 경우에는, 기억해 둔 값으로 치환하면 되기 때문에, 도 3에 도시한 모든 현재값을 기억해 둘 필요는 없다. 그러나, 기억해 둔 값이 1개만인 경우에는, 일시적으로 사용율이 1.0 등의 큰 값을 취하게 되면, 이 값은 장래에 걸쳐 갱신되지 않기 때문에, 직근의 기간에서의 최대값을 얻을 수는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평균값의 산출 방법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감시 기간이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많은 기억 영역을 소비하게 된다. 가령, 현재값의 이동 평균을 취하는 것으로 해도, 감시 기간이 길어지면 많은 현재값을 기억해 둘 필요가 있기 때문에 기억 영역 소비의 문제는 해소되지 않는다. 또한, 종래의 최대값의 산출 방법에서도, 직근의 기간에서의 최대값을 얻고자 하면, 평균값 산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현재값을 기억해 둘 필요가 있다.
서버 장치의 리소스 소비를 억제하기 위해, 취득한 현재값의 기억을 서버 장치에서는 행하지 않고, 현재값을 취득할 때마다 감시 단말기(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방법도 생각된다. 그러나, 이 방법은 리소스 소비처를 감시 장치로부터 감시 단말기(단말 장치)로 이전한 것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감시에 수반되는 리소스 소비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특징 부분인 감시 정보 제공 처리에서는, 지정된 감시 기간에서의 최대값 및 평균값의 산출 처리에서, 현재값에 기초한 구간 대표값(최대값이나 평균값 등)을 적절하게 이용하는 것으로 하여, 일시적으로 기억해 둘 필요가 있는 현재값의 개수를 감소시킴으로써 기억 영역의 소비를 억제함과 함께, 실용상 충분한 최대값 및 평균값을 제공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으로 하였다.
또한, 산출한 최대값 및 평균값을 마크업 언어에 의해 그래프화하여 감시 단말기(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것으로 하였기 때문에, 단말 장치측에서도, 감시 정보를 기억해 둘 필요가 없기 때문에, 단말 장치측의 리소스 소비를 효율적으로 억제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특징 부분인 감시 정보 제공 처리를 포함한 감시 정보 제공 장치(1)의 구성에 대하여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감시 정보 제공 장치(1)의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시 정보 제공 장치(1)는, 통신부(2)와, 감시 정보 제공 처리부(10)와, 기억부(2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감시 정보 제공 처리부(10)는, 제공 요구 접수부(11)와, 감시 정보 제공부(12)와, 제공 데이터 산출부(13)와, 현재값 데이터 취득부(14)와, 저장 제어부(15)와, 타이머 처리부(16)를 더 구비하고 있고, 기억부(20)는, 감시 데이터 기억부(21)를 더 구비하고 있다.
통신부(2)는, LAN(Local Area Network) 보드나 WAN(Wide Area Network) 보드 등의 통신 디바이스로 구성되어, 감시 단말기로 되는 단말 장치와의 통신이나, 감시 대상 장치와의 통신을 행하여 감시 정보 제공 처리부(10)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처리부이다. 예를 들면, 단말 장치로부터 감시 정보의 제공 요구를 접수한 경우에는, 이 제공 요구를 감시 정보 제공 처리부(10)의 제공 요구 접수부(11)에 전달하고, 감시 정보 제공부(12)로부터 감시 정보를 접수한 경우에는, 이 감시 정보를 단말 장치에 송신한다. 또한, 감시 대상 장치로부터 동작 상황을 나타내는 현재값 데이터를 접수한 경우에는, 이 데이터를 현재값 데이터 취득부(14)에 전달하는 처리를 행한다.
감시 정보 제공 처리부(10)는, 본 실시예의 특징 부분으로 되는 처리부이다. 구체적으로는, 이 감시 정보 제공 처리부(10)는, 감시 정보 제공 장치(1)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이나, 외부의 감시 대상 장치로부터 감시 대상의 동작 상황을 나타내는 현재값 데이터를 수취하여, 이들 데이터를 기억부(20)에 일시적으로 저장함과 함께, 감시 단말기로 되는 단말 장치의 요구에 따라 감시 대상의 동작 상황을 나타내는 현재값 데이터의 이력, 평균값, 최대값 등을 마크업 언어에 의해 그래프화하여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처리를 행하는 처리부이다.
제공 요구 접수부(11)는, 통신부(2)를 통해 감시 단말기로 되는 단말 장치로부터 감시 정보 제공 요구 메시지를 접수하여, 제공 요구가 있었다는 취지를 감시 정보 제공부(12)에 통지하는 처리부이다. 이 감시 정보 제공 요구 메시지는, 시스템 관리자에 의한 단말 장치의 조작이나, 사전에 지정된 정의 파일에 기초한 처리에 의해, 감시 정보 제공 장치에 송신되는 메시지이다. 예를 들면, 이러한 감시 정보 제공 요구 메시지에는, 감시 대상명, 감시 기간, 제공 형식 등이 포함된다.
감시 정보 제공부(12)는, 제공 요구 접수부(11)로부터 제공 요구가 있었다는 취지를 통지받은 경우에, 제공 데이터 산출부(13)에 제공 데이터의 산출을 요구함과 함께, 산출 결과를 수취하였으면, 이 산출 결과를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이나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등의 마크업 언어를 이용하여 그래프화하고, 통신부(2)를 통해 요구원의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처리를 행하는 처리부이다.
이 감시 정보 제공부(12)는, 예를 들면, 단말 장치로부터 CPU의 사용율에 대하여 100sec의 평균값의 제공과, 100sec간의 이력의 제공을 요구받은 경우에는, 이 러한 내용의 요구를 제공 데이터 산출부(13)에 행하고, 100sec가 경과하였을 때에 제공 데이터 산출부(13)로부터 해당하는 데이터를 수취하였다면, CPU 사용율의 이력 및 평균값을, 마크업 언어를 이용하여 그래프화하여 단말 장치에 송신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감시 정보 제공부(12)가 마크업 언어를 이용하여 감시 정보를 그래프화하여,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지만, 마크업 언어를 이용하지 않고, 예를 들면, 「*」 등의 캐릭터를 배열함으로써 그래프화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마크업 언어를 이용하는 경우라도, 제공하는 값을 수치 데이터 그대로 마크업 언어에 포함시키는 것으로 해도 된다.
제공 데이터 산출부(13)는, 감시 정보 제공부(12)의 요구에 따라 기억부(20)의 감시 데이터 기억부(21)에 저장된 현재값 데이터 및 구간 대표값 데이터로부터 평균값이나 최대값을 산출함과 함께, 산출한 평균값이나 최대값을 감시 데이터 기억부(21)의 데이터와 함께 감시 정보 제공부(12)에 돌려주는 처리를 행하는 처리부이다.
여기서, 이 제공 데이터 산출부(13)가 행하는 계산 처리의 개요에 대하여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는 평균값 및 최대값의 계산 처리 개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특징 부분인 감시 정보 제공 처리에서는, 「구간」이라는 개념을 도입하고, 취득한 현재값의 구간마다의 평균값 및 최대값을 산출하는 것으로 하였다. 그리고, 최신 구간 이외의 구간에서는, 산출한 「구간마다의 평균값 및 최대값」만을 기억부(20)에 기억함으로써 소비 리소스를 억제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도 5에 도시한 「○」는, 취득한 현재값의 이력을 나타내고 있어, 종래의 감시 정보 제공 처리에서는 기억 영역에 기억되어 있었던 데이터에 해당한다. 본 실시예의 감시 정보 제공 처리에서는, 최신 구간에서만 현재값을 기억하는 것으로 하고(도 5의 「●」), 이 최신 구간의 현재값을 저장하기 위한 「현재값 버퍼」가 전부 메워진 경우에, 이들 현재값의 구간 평균값(도 5의 「흑사각」) 및 구간 최대값(도 5의 「흑삼각」)을 산출하여 구간 대표값을 저장하기 위한 「대표값 버퍼」에 저장하고, 상기의 현재값 버퍼를 클리어하는 것으로 하였다.
따라서, 도 5에 도시한 경우에는, 1개의 구간에 속하는 6개의 현재값은, 1개의 평균값과, 1개의 최대값으로 치환되어 기억부(20)에 기억되게 되기 때문에, 기억 영역은 종래의 1/3로 삭감할 수 있다. 또한, 1개의 구간의 길이는 임의의 길이로 할 수 있기 때문에, 1개의 구간에 200개의 현재값이 포함되도록 구간 길이를 설정하면, 기억 영역은 종래의 1/100로 삭감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현재값을 구간 대표값으로 치환하여 감시 기간 전체에 걸치는 대표값을 산출하는 것으로 하면, 모든 현재값에 기초하여 감시 기간 전체에 걸치는 대표값을 산출하는 경우에 비해 산출 정밀도가 떨어지게 된다. 그러나, CPU 사용율이나 메모리 사용율 등의 동작 상황을 감시하는 경우에는, 과거의 동작 상황을 개관할 수 있을 정도의 정밀도만이 요구되는 경우가 많아, 과거 데이터의 정밀도보다 직근에 취득한 데이터의 정밀도를 높게 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가 많다. 즉, 과거 데이터의 추이의 개략과, 직근에 취득한 데이터의 추이를 비교할 수 있으면, 장래의 동작 이상을 사전에 예측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데이터 정밀도의 악화에 의한 단점보다, 리소스 소비(기억 영역 소비) 억제의 장점이 크기 때문에, 복수의 현재값을 구간 대표값으로 치환하는 것은 문제로는 되지 않는다.
도 4의 설명으로 되돌아가서, 현재값 데이터 취득부(14)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현재값 데이터 취득부(14)는, 타이머 처리부(16)로부터의 통지를 트리거로 하여, 오퍼레이팅 시스템 등으로부터 CPU 사용율이나 메모리 사용율 등의 감시 대상 콤포넌트의 현재값 데이터를 정기적으로 취득하고, 취득한 현재값 데이터를 저장 제어부(15)에 전달하는 처리를 행하는 처리부이다.
저장 제어부(15)는, 현재값 데이터 취득부(14)로부터 수취한 현재값 데이터를 감시 데이터 기억부(21)가 갖는 버퍼에 저장하는 처리를 행하는 처리부이다. 또한, 감시 데이터 기억부(21)가 갖는 버퍼에는, 상기한 「현재값 버퍼」 및 「대표값 버퍼」가 있다. 여기서, 이들 버퍼에 대하여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버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버퍼는, 도 5에 도시한 각 값을 저장하기 위한 버퍼로서, 최신 구간의 현재값 데이터(도 5의 「●」)를 저장하는 버퍼가 new(0)∼new(n-1)의 n개의 버퍼이다. 또한, 최신 구간 이외의 구간의 평균값(도 5의 「흑사각」)을 저장하는 버퍼가 Zave(0)∼Zave(m-1)의 m개의 버퍼이고, 동일하게 구간의 최대값(도 5의 「흑삼각」)을 저장하는 버퍼가 Zmax(0)∼Zmax(m-1)의 m개의 버퍼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재값을 저장하기 위한 n개의 버퍼와, 구간의 평 균값 및 최대값을 저장하기 위한 m×2개의 버퍼를 이용하는 것으로 하면, 버퍼의 총 개수는, 「n+2m」으로 나타내어진다. 버퍼의 총 개수는, 사전에 지정한 고정값으로 할 수도 있지만, 기억 영역을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이러한 버퍼의 총 개수를 가변값으로 할 수도 있다.
즉, 기억 영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버퍼의 총 개수를 최소로 하는 것과 등가이기 때문에, 「n+2m」을 최소로 하는 「n」과 「m」의 관계를 발견하면, 기억 영역을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n+2m」이 최소로 되는 것은, 상가상승평균의 관계로부터 「n=2m」인 경우이기 때문에, 「n」과 「m」의 비를 「2 : 1」로 하면 된다.
예를 들면, 샘플링 간격을 1sec로 하고, 구간 길이를 10sec로 한 경우에는, n의 값은 10으로 되기 때문에, 「n=2m」의 관계로부터 m의 값을 5로 하면 기억 영역을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경우의 총 버퍼 수는 20개(10+5×2)로 된다.
그런데, 저장 제어부(15)는, 현재값 데이터를 상기의 현재값 버퍼(도 6의 「현재값 저장용 버퍼」) 및 대표값 버퍼(도 6의 「구간 평균값 저장용 버퍼」 및 「구간 최대값 저장용 버퍼」)에 저장하는 처리를 행할 때에, 현재값 데이터의 구간 평균값 및 구간 최대값의 산출을 행하여 대표값 버퍼에 저장하는 처리와, 대표값 버퍼의 버퍼 시프트 처리를 행한다. 다음으로, 이들 처리에 대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저장 제어부(15)는, 현재값 버퍼(new(0)∼new(n-1))의 모두에 현재값 데이터 가 저장된 경우에는, 「new(0)∼new(n-1)」의 총합을, 현재값 버퍼의 총수(n)로 나눔으로써, 최신 구간의 평균값(Zave)을 산출한다. 또한, 평균값의 산출과 아울러, 「new(0)∼new(n-1)」을 각각 대비함으로써 최신 구간의 최대값(Zmax)을 산출한다.
그리고, 대표값 버퍼의 최고의 데이터(도 6의 Zave(m-1) 및 Zmax(m-1))를 삭제함과 함께, 버퍼 시프트(예를 들면, Zave(m-2)를 Zave(m-1)로, Zave(m-3)을 Zave(m-2)로 시프트)를 행한다. 그리고, 산출한 최신 구간의 평균값(Zave) 및 최대값(Zmax)을, 각각 Zave(0) 및 Zmax(0)에 저장한다.
현재값 버퍼(new(0)∼new(n-1))의 모두에 현재값 데이터가 저장된 경우에, 상기의 처리를 반복해 감으로써, 도 6에 도시한 각 구간의 버퍼에는, 구간의 대표값인 구간 평균값 및 구간 최대값이 순차적으로 저장되어 가게 된다. 또한, 현재값 버퍼에 빈 부분이 있는 경우에는, 취득된 현재값 데이터가 현재값 버퍼에 순차적으로 저장되어, 대표값 버퍼의 갱신은 행해지지 않는다. 또한, 현재값 버퍼의 모두에 현재값 데이터가 저장된 경우에는, 최신 구간의 대표값(평균값 및 최대값)을 산출하여 대표값 저장용 버퍼에 저장한 후에, 현재값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는 모두 소거(올 클리어)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시계열로 배열된 복수의 버퍼를 이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사이클릭으로 배열된 링 형상의 버퍼를 이용하는 것으로 하고, 저장 제어부(15)가, 이 링 형상 버퍼의 저장 제어를 행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저장 제어부(15)는, 현재값 데이터 취득부(14)로부터 수취한 현재값 데이터를 씨닝하여, 감시 데이터 기억부(21)가 갖는 버퍼에 저장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도 4의 설명으로 되돌아가서, 타이머 제어부(16)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타이머 제어부(16)는, 현재값 데이터의 샘플링 간격을 계측하여, 현재값 데이터 취득부(14)에 대하여 현재값 데이터 취득의 지시를 내리는 처리부이다. 이러한 지시를 접수한 현재값 데이터 취득부(14)는, 각 감시 대상의 현재값 데이터를 취득하게 된다.
기억부(20)는,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의 메모리로 구성되어, 감시 정보 제공 처리부(10)의 지시에 의해 현재값 데이터나 구간 대표값 데이터를 기억하고, 기억한 데이터를 감시 정보 제공 처리부(10)에 제공하는 기억부이다. 또한, 감시 데이터 기억부(21)는, 도 6을 이용하여 이미 설명한 현재값 버퍼 및 대표값 버퍼를 구비한 기억부이다.
다음으로, 상술한 저장 제어부(15)의 처리 수순에 대하여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저장 제어부(15)의 처리 수순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장 제어부(15)가 현재값 데이터 취득부(14)로부터 현재값을 취득하면(단계 S101), 현재값 저장 버퍼의 저장 위치를 시프트하여(단계 S102), 취득한 현재값을 현재값 저장 버퍼의 new(i)에 저장한다(단계 S103). 여기서, 「new(i)」란, 총수 n개의 현재값 버퍼의 「i」번째의 버퍼의 것을 나타낸다.
계속해서, 저장 제어부(15)는, 현재값 저장 버퍼(new(0)∼new(n-1))의 모두에 현재값이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04). 그리고, 현재값 저장 버퍼에 빈 부분이 있는 경우에는(단계 S104 부정), 현재값 저장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값(new(0)∼new(i)) 및 구간 대표값(Zave(0)∼Zave(m-1) 및 Zmax(0)∼ Zmax(m-1))에 기초하여, 감시 기간에 걸치는 평균값 및 최대값을 산출하고(단계 S108),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MAX(인수1, 인수2, ∼)」는, 인수로 지정된 최대값을 돌려주는 함수이다.
한편, 모든 현재값 저장 버퍼에 현재값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단계 S104 긍정), 구간값 저장 버퍼를 시프트하여 최고의 구간값 저장 버퍼의 값을 삭제함과 함께, 최신의 구간값 저장 버퍼(Zave(0) 및 Zmax(0))를 비게 한다(단계 S105). 그리고, 현재값 버퍼의 평균값 및 최대값을, 각각 Zave(0) 및 Zmax(0)에 저장한다(단계 S106).
계속해서, 현재값 저장 버퍼의 값을 모두 삭제(올 클리어)하고(단계 S107), 감시 기간에 걸치는 평균값 및 최대값을 산출하여(단계 S108)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이 경우 「i」의 값은 「0」이고, 현재값 저장 버퍼(new(0)∼new(i))의 값은 모두 「0」이기 때문에, 구간값 저장 버퍼(Zave(0)∼Zave(m-1) 및 Zmax(0)∼Zmax(m-1))의 값에만 기초하여 감시 기간의 평균값 및 최대값이 산출된다.
상술한 감시 정보 제공 처리에서는, 현재값을 저장하기 위한 n개의 버퍼와, 구간의 평균값 및 최대값을 저장하기 위한 m×2개의 버퍼를 이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정보 제공 처리에서는, n 및 m이, 각각 1인 경우라도 감시 기간에 걸치는 평균값 및 최대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후에서는, 현재값 버퍼가 1개 및 대표값 버퍼가 2개(평균값용 1개 및 최대값용 1개)인 경우에, 감시 기간에 걸치는 평균값 및 최대값을 산출하는 수순에 대하여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도 8은 최소 구성의 버퍼를 이용한 평균값 및 최대값의 계산 처리 개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소 구성의 버퍼(현재값 버퍼 1개 및 대표값 버퍼 2개)를 이용한 계산 처리에서는, 평균값 산출에 이용되는 「가상 감시 기간」, 최대값 산출에 이용되는 「최대값 유지 기간」 및 「의사 최대값 함수」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평균값 및 최대값을 산출한다.
「가상 감시 기간」이란, 평균값을 구하는 대상으로 되는 기간을 가상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종래, 평균값 저장용의 대표값 버퍼(이하, 「평균값 버퍼」라고 함)가 1개인 경우에, 이 평균값 버퍼와, 1개의 현재값 버퍼를 이용하여 평균값을 산출하면, 평균값이 변화되기 어렵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면, 1sec의 샘플링 간격으로 취득한 현재값을 저장한 현재값 버퍼는, 100sec에 걸치는 평균값을 저장한 평균값 버퍼와 비교하여, 1/100의 영향도밖에 갖지 못한다. 따라서, 감시 기간이 장기간으로 되면, 현재값의 움직임에 대하여 둔감한 평균값밖에 산출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감시 정보 제공 처리에서는, 「가상 감시 기간」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대표값 버퍼의 영향도를 삭감함으로써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으로 하였다. 여기서, 이 가상 감시 기간에 대하여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하며, 도 9는 가상 감시 기간 및 각 버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1개의 평균값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평균값을, m 회의 샘플링 처리에서 계속해서 취한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 샘플링 간격의 m배의 기간이 상기한 「가상 감시 기간」으로 된다. 그리고, 최고의 평균값(Zave) 을 버림과 함께, 현재값(new)을 가한 후에, m-1개의 Zave와 1개의 new로부터 새로운 평균값을 산출하는 것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m-1)×Zave+new)/m에 의해 구해진 값을 새로운 평균값으로 하여 Zave에 기억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감시 기간이 장기간으로 된 경우에, 평균값이 현재값의 움직임에 대하여 둔감하게 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가상 감시 기간」은 임의의 길이의 기간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이용자의 니즈에 맞춰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의 설명으로 되돌아가서, 「최대값 유지 기간」 및 「의사 최대값 함수」에 대하여 설명한다. 「최대값 유지 기간」이란, 최대값을 유지해 두는 소정의 기간의 것을 나타내며, 「의사 최대값 함수」란, 최대값 유지 기간을 초과한 최대값을 감소시켜 가기 위한 함수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샘플링 간격이 1sec인 경우에, 최대값 유지 기간을 5sec, 의사 최대값 함수를 Zmax×0.5로 설정한 것으로 한다.
이러한 경우에, 임의의 샘플링 처리에서 취득한 CPU 사용율이 0.8(80%)이었다고 하면, 5sec 동안은 Zmax가 0.8 그대로이다. 그리고, 6sec 후에는, Zmax의 값은 의사 최대값 함수를 이용하여 산출함으로써 0.4(0.8×0.5)로 되며, 이 값과 6sec에 취득된 new의 값이 대비되게 된다. 6sec 후, 7sec 후에 취득된 new의 값이 모두 0.3이었다고 하면, 의사 최대값 함수를 이용하여 산출되는 Zmax의 값은, 6sec 후, 7sec 후에는 각각, 0.4, 0.2로 되기 때문에, 7sec 후에는 new의 값이 상회하여, 7sec 후의 Zmax는 0.2와 0.3을 대비함으로써 0.3으로 산출된다.
종래, 최대값 저장용의 대표값 버퍼(이하, 「최대값 버퍼」라고 함)가 1개인 경우에, 이 대표값 버퍼와, 1개의 현재값 버퍼를 이용하여 최대값을 산출하면, 일단 상한값 부근의 최대값을 취하게 되면 그 이후의 최대값이 변화되지 않는다고 하는, 소위 「최대값의 고정」이 문제로 되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감시 정보 제공 처리에서는, 상기한 「최대값 유지 기간」 및 「의사 최대값 함수」를 도입함으로써, 최대값의 고정 문제를 해소하고 있다. 또한, 「최대값 유지 기간」은, 감시 데이터 기억부(21)에 기억해 두는 것으로 해도 되지만, 「의사 최대값 함수」로서 「최대값 유지 기간」을 포함한 함수를 이용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최대값 유지 기간」 및 「의사 최대값 함수」를 이용함으로써, 최대값의 고정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최대값 유지 기간」은 임의의 길이의 기간으로 할 수 있으며, 「의사 최대값 함수」는 임의의 감소 함수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이용자의 니즈에 맞춰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버퍼가 최소 구성인 경우의 저장 제어부(15)의 처리 수순에 대하여 도 1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버퍼가 최소 구성인 경우에 있어서의 저장 제어부(15)의 처리 수순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장 제어부(15)가 현재값 데이터 취득부(14)로부터 현재값을 취득하면(단계 S201), 전회의 평균값(Zave) 및 현재값(new)으로부터 새로운 평균값(Zave)을 산출한다(단계 S202). 또한, 이 경우의 계산식이, Zave=((m-1)×Zave+new)/m으로 되는 것은 상기한 바와 같다.
계속해서, 저장 제어부(15)는, 최대값을 산출하기 위해 최대값 유지 기간을 초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203). 그리고, 최대값 유지 기간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에는(단계 S203 부정), 전회 최대값을 그대로 의사 최대값으로 한 후에(단계 S205), 이 의사 최대값 및 현재값을 대비함으로써 큰 쪽을 새로운 최대값으로서 산출하고(단계 S206),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최대값 유지 기간을 초과하고 있는 경우에는(단계 S203 긍정), 전회 최대값에 c(단, 0≤c<1)를 곱한 것을 의사 최대값으로 한 후에(단계 S204), 이 의사 최대값 및 현재값을 대비함으로써 큰 쪽을 새로운 최대값으로서 산출하고(단계 S206), 처리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현재값 버퍼 및 대표값 버퍼를 최소 구성으로 한 경우(n=1 또한 m=1)라도, 본 실시예에 따른 감시 정보 제공 처리에서는, 「가상 감시 기간」, 「최대값 유지 기간」 및 「의사 최대값 함수」를 이용함으로써 감시 기간에 걸치는 평균값 및 최대값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타이머 처리부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소정의 샘플링 간격으로 현재값 데이터 취득부가 감시 대상 콤포넌트의 동작 상황을 나타내는 현재값을 취득하고, 저장 제어부가, 감시 데이터 기억부가 갖는 현재값 버퍼 및 대표값 버퍼의 저장 제어를 행함으로써, 현재값 및 대표값의 기억을 행하며, 제공 요구 접수부가 단말 장치로부터 감시 정보 제공 요구를 접수하면, 감시 정보 제공부를 통해 통지를 받은 제공 데이터 산출부가, 최대값이나 평균값 등의 감시 기간의 대표값을 산출하고, 감시 정보 제공부가 이러한 산출 결과를 포함한 그래프를, 마크업 언어를 이용하여 작성하여, 요구원의 단말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 성하였기 때문에, 시스템 감시에 수반되는 리소스 소비를 억제하면서, 실용상 충분한 감시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각종 처리는, 사전에 준비된 프로그램을 컴퓨터에서 실행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1을 이용하여, 상기의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 감시 정보 제공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컴퓨터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11은 감시 정보 제공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컴퓨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시 정보 제공 장치로서의 컴퓨터(50)는, 입력 장치(51), 출력 장치(52), 디스크 제어 I/F부(53), 네트워크 I/F부(54), HDD(Hard Disk Drive)(55), RAM(56) 및 CPU(Central Processing Unit)(57)를 버스(58)로 접속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입력 장치(51)는 키보드 등의 입력용 디바이스이고, 출력 장치(52)는 디스플레이 등의 출력용 디바이스이다. 디스크 제어 I/F부(53)는, SCSI(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보드 등의 디스크 제어용 디바이스로서, 감시 대상으로 되는 디스크 장치나 스토리지 장치가 접속된다.
또한, 네트워크 I/F부(54)는, 도 4에 도시한 통신부(2)에 대응하여, 컴퓨터(50)의 감시 대상으로 되는 장치가 LAN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됨과 함께, 컴퓨터(50)가 제공하는 감시 정보를 표시하는 감시 단말기도 마찬가지로 하여 접속된다.
HDD(55)에는, 감시 정보 제공 프로그램(55a)이 사전에 기억되어 있어, CPU(57)가, HDD(55)의 감시 정보 제공 프로그램(55a)을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시 정보 제공 프로그램(55a)은 감시 정보 제공 프로세스(57a)로서 기능하도록 된다. 그리고, 감시 정보 제공 프로세스(57a)가 기능하면, RAM(56) 상에는, 현재값 데이터(56a) 및 대표값 데이터(56b)가 기억된다.
그런데, 상기한 감시 정보 제공 프로그램(55a)에 대해서는, 반드시 사전에 HDD(55)에 기억시켜 둘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컴퓨터(50)가 판독 가능한 플렉시블 디스크(FD), CD-ROM, 광 자기 디스크 등의 「가반용의 물리 매체」, 또는, 공중 회선, 인터넷, LAN, WAN 등을 통해 컴퓨터(50)에 접속되는 「다른 컴퓨터(또는 서버)」 등에 프로그램을 기억시켜 두고, 컴퓨터(50)가 이들로부터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
(부기 1)
감시 대상의 동작 상황을 나타내는 현재값을 소정의 감시 간격마다 취득하여 소정의 감시 기간에 대한 감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그 감시 정보를 감시 단말기에 제공하는 감시 정보 제공 장치로서,
상기 현재값을 시계열로 기억하는 소정 수의 현재값 버퍼와, 상기 감시 기간 에 포함되는 소정의 구간에 속하는 상기 현재값에 기초하여 산출된 구간 대표값을 시계열로 기억하는 소정 수의 구간 대표값 버퍼를 갖는 기억 수단과,
상기 현재값이 취득되었을 때에, 상기 현재값 버퍼 및 상기 구간 대표값 버퍼에의 데이터 저장 제어를 행하는 기억 제어 수단과,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현재값 및 상기 구간 대표값에 기초하여 상기 감시 기간의 기간 대표값을 산출하는 산출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정보 제공 장치.
(부기 2)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데이터 및/또는 상기 산출 수단이 산출한 상기 기간 대표값을 포함한 상기 감시 정보를 마크업 언어에 의해 생성하는 감시 정보 생성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된 감시 정보 제공 장치.
(부기 3)
상기 기억 제어 수단은, 상기 기억 수단이 갖는 모든 상기 현재값 버퍼에 상기 현재값이 기억되었다면, 그 현재값에 기초하여 최신 구간의 구간 대표값을 산출하고, 그 최신 구간의 구간 대표값을 상기 구간 대표값 버퍼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된 감시 정보 제공 장치.
(부기 4)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상기 구간 대표값 및 상기 산출 수단이 산출하는 상기 기간 대표값은, 각각, 구간 평균값 및 기간 평균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된 감시 정보 제공 장치.
(부기 5)
상기 기억 제어 수단은, 상기 구간 대표값 버퍼가 1개인 경우에, 상기 감시 기간에 포함되는 모든 상기 구간에서 그 구간 대표값 버퍼의 값을 취한 것으로 하여 상기 기간 평균값을 산출하여 그 구간 대표값 버퍼에 저장하고, 상기 산출 수단은, 그 구간 대표값 버퍼의 값을 그대로 상기 기간 대표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4에 기재된 감시 정보 제공 장치.
(부기 6)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상기 구간 대표값 및 상기 산출 수단이 산출하는 상기 기간 대표값은, 각각, 구간 최대값 및 기간 최대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된 감시 정보 제공 장치.
(부기 7)
상기 기억 제어 수단은, 상기 구간 최대값을 기억하기 위한 상기 구간 대표값 버퍼가 1개인 경우에, 그 구간 대표값 버퍼의 값을 유지하는 기간을 나타내는 최대값 유지 기간이 만료될 때까지 그 구간 대표값 버퍼의 값을 유지하고, 상기 현재값이 취득되었을 때에, 그 구간 대표값 버퍼의 값과, 상기 현재값 버퍼의 값을 대비함으로써, 새로운 구간 대표값을 그 구간 대표값 버퍼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6에 기재된 감시 정보 제공 장치.
(부기 8)
상기 기억 제어 수단은, 상기 현재값이 취득될 때마다 상기 구간 대표값 버퍼의 값을 감소시키고, 감소시킨 그 구간 대표값 버퍼의 값과, 상기 현재값 버퍼의 값을 대비함으로써, 새로운 구간 대표값을 그 구간 대표값 버퍼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7에 기재된 감시 정보 제공 장치.
(부기 9)
상기 감시 기간에 포함되는 상기 구간의 개수를 사전에 정해진 개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감시 정보 제공 장치.
(부기 10)
상기 감시 기간 및 상기 감시 간격에 기초하여 상기 기억 수단이 갖는 버퍼 수가 최소로 되도록, 상기 감시 기간에 포함되는 상기 구간의 개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감시 정보 제공 장치.
(부기 11)
상기 기억 수단은, 감시 대상마다의 상기 현재값 버퍼 및 상기 구간 대표값 버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감시 정보 제공 장치.
(부기 12)
상기 감시 정보 생성 수단은, 상기 마크업 언어에 의해 그래프화한 상기 감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2에 기재된 감시 정보 제공 장치.
(부기 13)
감시 대상의 동작 상황을 나타내는 현재값을 소정의 감시 간격마다 취득하여 소정의 감시 기간에 대한 감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그 감시 정보를 감시 단말기에 제공하는 감시 정보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현재값을 시계열로 기억하는 소정 수의 현재값 버퍼와, 상기 감시 기간 에 포함되는 소정의 구간에 속하는 상기 현재값에 기초하여 산출된 구간 대표값을 시계열로 기억하는 소정 수의 구간 대표값 버퍼를 갖는 기억 공정과,
상기 현재값이 취득되었을 때에, 상기 현재값 버퍼 및 상기 구간 대표값 버퍼에의 데이터 저장 제어를 행하는 기억 제어 공정과,
상기 기억 공정에 기억된 상기 현재값 및 상기 구간 대표값에 기초하여 상기 감시 기간의 기간 대표값을 산출하는 산출 공정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정보 제공 방법.
(부기 14)
상기 기억 공정에 기억된 상기 데이터 및/또는 상기 산출 공정이 산출한 상기 기간 대표값을 포함한 상기 감시 정보를 마크업 언어에 의해 생성하는 감시 정보 생성 공정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3에 기재된 감시 정보 제공 방법.
(부기 15)
상기 기억 제어 공정은, 상기 기억 공정이 갖는 모든 상기 현재값 버퍼에 상기 현재값이 기억되었다면, 그 현재값에 기초하여 최신 구간의 구간 대표값을 산출하고, 그 최신 구간의 구간 대표값을 상기 구간 대표값 버퍼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3에 기재된 감시 정보 제공 방법.
(부기 16)
상기 기억 공정에 기억되는 상기 구간 대표값 및 상기 산출 공정이 산출하는 상기 기간 대표값은, 각각, 구간 평균값 및 기간 평균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3에 기재된 감시 정보 제공 방법.
(부기 17)
상기 기억 제어 공정은, 상기 구간 대표값 버퍼가 1개인 경우에, 상기 감시 기간에 포함되는 모든 상기 구간에서 그 구간 대표값 버퍼의 값을 취한 것으로 하 여 상기 기간 평균값을 산출하여 그 구간 대표값 버퍼에 저장하고, 상기 산출 공정은, 그 구간 대표값 버퍼의 값을 그대로 상기 기간 대표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6에 기재된 감시 정보 제공 방법.
(부기 18)
상기 기억 공정에 기억되는 상기 구간 대표값 및 상기 산출 공정이 산출하는 상기 기간 대표값은, 각각, 구간 최대값 및 기간 최대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3에 기재된 감시 정보 제공 방법.
(부기 19)
상기 기억 제어 공정은, 상기 구간 최대값을 기억하기 위한 상기 구간 대표값 버퍼가 1개인 경우에, 그 구간 대표값 버퍼의 값을 유지하는 기간을 나타내는 최대값 유지 기간이 만료될 때까지 그 구간 대표값 버퍼의 값을 유지하고, 상기 현재값이 취득되었을 때에, 그 구간 대표값 버퍼의 값과, 상기 현재값 버퍼의 값을 대비함으로써, 새로운 구간 대표값을 그 구간 대표값 버퍼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8에 기재된 감시 정보 제공 방법.
(부기 20)
상기 기억 제어 공정은, 상기 현재값이 취득될 때마다 상기 구간 대표값 버퍼의 값을 감소시키고, 감소시킨 그 구간 대표값 버퍼의 값과, 상기 현재값 버퍼의 값을 대비함으로써, 새로운 구간 대표값을 그 구간 대표값 버퍼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9에 기재된 감시 정보 제공 방법.
(부기 21)
상기 감시 기간에 포함되는 상기 구간의 개수를 사전에 정해진 개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3∼2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감시 정보 제공 방법.
(부기 22) 상기 감시 기간 및 상기 감시 간격에 기초하여 상기 기억 공정이 갖는 버퍼 수가 최소로 되도록, 상기 감시 기간에 포함되는 상기 구간의 개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3∼2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감시 정보 제공 방법.
(부기 23)
상기 기억 공정은, 감시 대상마다의 상기 현재값 버퍼 및 상기 구간 대표값 버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3∼2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감시 정보 제공 방법.
(부기 24)
상기 감시 정보 생성 공정은, 상기 마크업 언어에 의해 그래프화한 상기 감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4에 기재된 감시 정보 제공 방법.
(부기 25)
감시 대상의 동작 상황을 나타내는 현재값을 소정의 감시 간격마다 취득하여 소정의 감시 기간에 대한 감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그 감시 정보를 감시 단말기에 제공하는 감시 정보 제공 프로그램을 수납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감시 정보 제공 프로그램은,
상기 현재값을 시계열로 기억하는 소정 수의 현재값 버퍼와, 상기 감시 기간 에 포함되는 소정의 구간에 속하는 상기 현재값에 기초하여 산출된 구간 대표값을 시계열로 기억하는 소정 수의 구간 대표값 버퍼를 갖는 기억 수순과,
상기 현재값이 취득되었을 때에, 상기 현재값 버퍼 및 상기 구간 대표값 버퍼에의 데이터 저장 제어를 행하는 기억 제어 수순과,
상기 기억 수순에 기억된 상기 현재값 및 상기 구간 대표값에 기초하여 상기 감시 기간의 기간 대표값을 산출하는 산출 수순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부기 26)
상기 감시 정보 제공 프로그램은,
상기 기억 수순에 기억된 상기 데이터 및/또는 상기 산출 수순이 산출한 상기 기간 대표값을 포함한 상기 감시 정보를 마크업 언어에 의해 생성하는 감시 정보 생성 수순을 더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25에 기재된 기록 매체.
(부기 27)
상기 기억 제어 수순은, 상기 기억 수순이 갖는 모든 상기 현재값 버퍼에 상기 현재값이 기억되었다면, 그 현재값에 기초하여 최신 구간의 구간 대표값을 산출하고, 그 최신 구간의 구간 대표값을 상기 구간 대표값 버퍼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25에 기재된 기록 매체.
(부기 28)
상기 기억 수순에 기억되는 상기 구간 대표값 및 상기 산출 수순이 산출하는 상기 기간 대표값은, 각각, 구간 평균값 및 기간 평균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25에 기재된 기록 매체.
(부기 29)
상기 기억 제어 수순은, 상기 구간 대표값 버퍼가 1개인 경우에, 상기 감시 기간에 포함되는 모든 상기 구간에서 그 구간 대표값 버퍼의 값을 취한 것으로 하여 상기 기간 평균값을 산출하여 그 구간 대표값 버퍼에 저장하고, 상기 산출 수순은, 그 구간 대표값 버퍼의 값을 그대로 상기 기간 대표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28에 기재된 기록 매체.
(부기 30)
상기 기억 수순에 기억되는 상기 구간 대표값 및 상기 산출 수순이 산출하는 상기 기간 대표값은, 각각, 구간 최대값 및 기간 최대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25에 기재된 기록 매체.
(부기 31)
상기 기억 제어 수순은, 상기 구간 최대값을 기억하기 위한 상기 구간 대표값 버퍼가 1개인 경우에, 그 구간 대표값 버퍼의 값을 유지하는 기간을 나타내는 최대값 유지 기간이 만료될 때까지 그 구간 대표값 버퍼의 값을 유지하고, 상기 현재값이 취득되었을 때에, 그 구간 대표값 버퍼의 값과, 상기 현재값 버퍼의 값을 대비함으로써, 새로운 구간 대표값을 그 구간 대표값 버퍼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30에 기재된 기록 매체.
(부기 32)
상기 기억 제어 수순은, 상기 현재값이 취득될 때마다 상기 구간 대표값 버퍼의 값을 감소시키고, 감소시킨 그 구간 대표값 버퍼의 값과, 상기 현재값 버퍼의 값을 대비함으로써, 새로운 구간 대표값을 그 구간 대표값 버퍼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31에 기재된 기록 매체.
(부기 33)
상기 감시 기간에 포함되는 상기 구간의 개수를 사전에 정해진 개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25∼3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기록 매체.
(부기 34)
상기 감시 기간 및 상기 감시 간격에 기초하여 상기 기억 수순이 갖는 버퍼 수가 최소로 되도록, 상기 감시 기간에 포함되는 상기 구간의 개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25∼3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기록 매체.
(부기 35)
상기 기억 수순은, 감시 대상마다의 상기 현재값 버퍼 및 상기 구간 대표값 버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25∼3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기록 매체.
(부기 36)
상기 감시 정보 생성 수순은, 상기 마크업 언어에 의해 그래프화한 상기 감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26에 기재된 기록 매체.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재값을 시계열로 기억하는 소정 수의 현재값 버퍼와, 감시 기간에 포함되는 소정의 구간에 속하는 현재값에 기초하여 산출된 구간 대표 값을 시계열로 기억하는 소정 수의 구간 대표값 버퍼를 갖고, 현재값이 취득되었을 때에, 현재값 버퍼 및 구간 대표값 버퍼에의 데이터 저장 제어를 행하며, 기억된 현재값 및 구간 대표값에 기초하여 감시 기간의 기간 대표값을 산출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시스템 감시에 수반되는 리소스 소비를 억제하면서, 실용상 충분한 감시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억된 상기 데이터 및/또는 산출한 기간 대표값을 포함한 감시 정보를 마크업 언어에 의해 생성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감시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모든 현재값 버퍼에 현재값이 기억되었다면, 이들 현재값에 기초하여 최신 구간의 구간 대표값을 산출하고, 산출한 최신 구간의 구간 대표값을 구간 대표값 버퍼에 저장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리소스 소비를 억제하면서 정밀도가 높은 구간 대표값을 순차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억되는 구간 대표값 및 산출하는 기간 대표값은, 각각, 구간 평균값 및 기간 평균값이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리소스 소비를 억제하면서 실용상 충분한 평균값을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구간 대표값 버퍼가 1개인 경우에, 감시 기간에 포함되는 모든 구간에서 이 구간 대표값 버퍼의 값을 취한 것으로 하여 기간 평균값을 산출하여 구간 대표값 버퍼에 저장하고, 산출 수단은, 구간 대표값 버퍼의 값을 그대로 상기 기간 대표값으로 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최소의 버퍼 구성이어도 실용상 충분한 평균값을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억되는 구간 대표값 및 산출하는 기간 대표값은, 각각, 구간 최대값 및 기간 최대값이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리소스 소비를 억제하면서 실용상 충분한 최대값을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구간 최대값을 기억하기 위한 구간 대표값 버퍼가 1개인 경우에, 이 구간 대표값 버퍼의 값을 유지하는 기간을 나타내는 최대값 유지 기간이 만료될 때까지 이러한 구간 대표값 버퍼의 값을 유지하고, 현재값이 취득되었을 때에, 구간 대표값 버퍼의 값과, 현재값 버퍼의 값을 대비함으로써, 새로운 구간 대표값을 구간 대표값 버퍼에 저장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최대값의 고정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재값이 취득될 때마다 구간 대표값 버퍼의 값을 감소시키고, 감소시킨 구간 대표값 버퍼의 값과, 현재값 버퍼의 값을 대비함으로써, 새로운 구간 대표값을 구간 대표값 버퍼에 저장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최대값의 고정 문제를 해소하면서 실제의 최대값의 추이에 가까운 최대값을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감시 기간에 포함되는 구간의 개수를 사전에 정해진 개수로 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간이한 구성에 의해 리소스 소비를 억제하면서 실용상 충분한 감시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 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감시 기간 및 감시 간격에 기초하여 버퍼 수가 최소로 되도록, 이러한 감시 기간에 포함되는 구간의 개수를 변경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리소스 소비를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감시 대상마다의 현재값 버퍼 및 구간 대표값 버퍼를 갖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복수의 감시 대상의 감시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마크업 언어에 의해 그래프화한 감시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송신처의 감시 단말기의 리소스 소비를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정보 제공 장치, 감시 정보 제공 방법 및 감시 정보 제공 프로그램은, 시스템 감시에 수반되는 리소스 소비를 억제하면서, 실용상 충분한 감시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감시 정보 제공 처리에 유용하고, 특히, 서버 장치에서의 감시 정보 제공 처리에 바람직하다.

Claims (20)

  1. 감시 대상의 동작 상황을 나타내는 현재값을 소정의 감시 간격마다 취득하여 소정의 감시 기간에 대한 감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그 감시 정보를 감시 단말기에 제공하는 감시 정보 제공 장치로서,
    상기 현재값을 시계열로 기억하는 소정 수의 현재값 버퍼와, 상기 감시 기간 에 포함되는 소정의 구간에 속하는 상기 현재값에 기초하여 산출된 구간 대표값을 시계열로 기억하는 소정 수의 구간 대표값 버퍼를 갖는 기억 수단과,
    상기 현재값이 취득되었을 때에, 상기 현재값 버퍼 및 상기 구간 대표값 버퍼에의 데이터 저장 제어를 행하는 기억 제어 수단과,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현재값 및 상기 구간 대표값에 기초하여 상기 감시 기간의 기간 대표값을 산출하는 산출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정보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데이터 및/또는 상기 산출 수단이 산출한 상기 기간 대표값을 포함한 상기 감시 정보를 마크업 언어에 의해 생성하는 감시 정보 생성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정보 제공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제어 수단은, 상기 기억 수단이 갖는 모든 상기 현재값 버퍼에 상기 현재값이 기억되었다면, 그 현재값에 기초하여 최신 구간의 구간 대표값을 산출하고, 그 최신 구간의 구간 대표값을 상기 구간 대표값 버퍼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정보 제공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상기 구간 대표값 및 상기 산출 수단이 산출하는 상기 기간 대표값은, 각각, 구간 평균값 및 기간 평균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정보 제공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제어 수단은, 상기 구간 대표값 버퍼가 1개인 경우에, 상기 감시 기간에 포함되는 모든 상기 구간에서 그 구간 대표값 버퍼의 값을 취한 것으로 하여 상기 기간 평균값을 산출하여 그 구간 대표값 버퍼에 저장하고, 상기 산출 수단은, 그 구간 대표값 버퍼의 값을 그대로 상기 기간 대표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정보 제공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상기 구간 대표값 및 상기 산출 수단이 산출하는 상기 기간 대표값은, 각각, 구간 최대값 및 기간 최대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 시 정보 제공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제어 수단은, 상기 구간 최대값을 기억하기 위한 상기 구간 대표값 버퍼가 1개인 경우에, 그 구간 대표값 버퍼의 값을 유지하는 기간을 나타내는 최대값 유지 기간이 만료될 때까지 그 구간 대표값 버퍼의 값을 유지하고, 상기 현재값이 취득되었을 때에, 그 구간 대표값 버퍼의 값과, 상기 현재값 버퍼의 값을 대비함으로써, 새로운 구간 대표값을 그 구간 대표값 버퍼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정보 제공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제어 수단은, 상기 현재값이 취득될 때마다 상기 구간 대표값 버퍼의 값을 감소시키고, 감소시킨 그 구간 대표값 버퍼의 값과, 상기 현재값 버퍼의 값을 대비함으로써, 새로운 구간 대표값을 그 구간 대표값 버퍼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정보 제공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기간에 포함되는 상기 구간의 개수를 사전에 정해진 개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정보 제공 장치.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기간 및 상기 감시 간격에 기초하여 상기 기억 수단이 갖는 버퍼 수가 최소로 되도록, 상기 감시 기간에 포함되는 상기 구간의 개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정보 제공 장치.
  11.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수단은, 감시 대상마다의 상기 현재값 버퍼 및 상기 구간 대표값 버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정보 제공 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정보 생성 수단은, 상기 마크업 언어에 의해 그래프화한 상기 감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정보 제공 장치.
  13. 감시 대상의 동작 상황을 나타내는 현재값을 소정의 감시 간격마다 취득하여 소정의 감시 기간에 대한 감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그 감시 정보를 감시 단말기에 제공하는 감시 정보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현재값을 시계열로 기억하는 소정 수의 현재값 버퍼와, 상기 감시 기간에 포함되는 소정의 구간에 속하는 상기 현재값에 기초하여 산출된 구간 대표값을 시계열로 기억하는 소정 수의 구간 대표값 버퍼를 갖는 기억 공정과,
    상기 현재값이 취득되었을 때에, 상기 현재값 버퍼 및 상기 구간 대표값 버 퍼에의 데이터 저장 제어를 행하는 기억 제어 공정과,
    상기 기억 공정에 기억된 상기 현재값 및 상기 구간 대표값에 기초하여 상기 감시 기간의 기간 대표값을 산출하는 산출 공정
    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정보 제공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공정에 기억된 상기 데이터 및/또는 상기 산출 공정이 산출한 상기 기간 대표값을 포함한 상기 감시 정보를 마크업 언어에 의해 생성하는 감시 정보 생성 공정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정보 제공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제어 공정은, 상기 기억 공정이 갖는 모든 상기 현재값 버퍼에 상기 현재값이 기억되었다면, 그 현재값에 기초하여 최신 구간의 구간 대표값을 산출하고, 그 최신 구간의 구간 대표값을 상기 구간 대표값 버퍼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정보 제공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공정에 기억되는 상기 구간 대표값 및 상기 산출 공정이 산출하는 상기 기간 대표값은, 각각, 구간 평균값 및 기간 평균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정보 제공 방법.
  17. 감시 대상의 동작 상황을 나타내는 현재값을 소정의 감시 간격마다 취득하여 소정의 감시 기간에 대한 감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그 감시 정보를 감시 단말기에 제공하는 감시 정보 제공 프로그램을 수납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감시 정보 제공 프로그램은,
    상기 현재값을 시계열로 기억하는 소정 수의 현재값 버퍼와, 상기 감시 기간 에 포함되는 소정의 구간에 속하는 상기 현재값에 기초하여 산출된 구간 대표값을 시계열로 기억하는 소정 수의 구간 대표값 버퍼를 갖는 기억 수순과,
    상기 현재값이 취득되었을 때에, 상기 현재값 버퍼 및 상기 구간 대표값 버퍼에의 데이터 저장 제어를 행하는 기억 제어 수순과,
    상기 기억 수순에 기억된 상기 현재값 및 상기 구간 대표값에 기초하여 상기 감시 기간의 기간 대표값을 산출하는 산출 수순
    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정보 제공 프로그램은,
    상기 기억 수순에 기억된 상기 데이터 및/또는 상기 산출 수순이 산출한 상기 기간 대표값을 포함한 상기 감시 정보를 마크업 언어에 의해 생성하는 감시 정보 생성 수순을 더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제어 수순은, 상기 기억 수순이 갖는 모든 상기 현재값 버퍼에 상기 현재값이 기억되었다면, 그 현재값에 기초하여 최신 구간의 구간 대표값을 산출하고, 그 최신 구간의 구간 대표값을 상기 구간 대표값 버퍼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수순에 기억되는 상기 구간 대표값 및 상기 산출 수순이 산출하는 상기 기간 대표값은, 각각, 구간 평균값 및 기간 평균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KR1020050046645A 2005-01-06 2005-06-01 감시 정보 제공 장치, 감시 정보 제공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06292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01794 2005-01-06
JP2005001794A JP4700969B2 (ja) 2005-01-06 2005-01-06 監視情報提供装置、監視情報提供方法および監視情報提供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0847A KR20060080847A (ko) 2006-07-11
KR100629289B1 true KR100629289B1 (ko) 2006-09-28

Family

ID=36228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6645A KR100629289B1 (ko) 2005-01-06 2005-06-01 감시 정보 제공 장치, 감시 정보 제공 방법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472188B2 (ko)
EP (1) EP1679600A3 (ko)
JP (1) JP4700969B2 (ko)
KR (1) KR100629289B1 (ko)
CN (1) CN10044015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15571B2 (en) * 2007-03-16 2011-09-06 Google Inc. Registering an event
JP4659850B2 (ja) * 2008-04-10 2011-03-30 富士通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監視プログラム、ネットワーク監視方法およびネットワーク監視装置
US8787202B2 (en) * 2010-06-22 2014-07-22 George W. Kuriyan Method and system using wireless packet data networks architecture for remote process control and process monitoring applications
SG190883A1 (en) * 2010-11-26 2013-07-31 Heung Seob Koo Representative-value calculating device and method
CN104995605B (zh) * 2013-08-07 2018-07-10 富士电机株式会社 监视方法和计算机装置
CN105138447A (zh) * 2015-09-09 2015-12-09 浪潮电子信息产业股份有限公司 一种Reboot测试过程中监测硬盘和内存的实现方法
US11140242B2 (en) * 2017-12-15 2021-10-05 New Relic, Inc. System for processing coherent data
CN115374065B (zh) * 2022-10-25 2023-02-28 山东捷瑞数字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云平台日志记录监控的文件清理方法及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4132A (ja) 2000-03-30 2001-12-14 Fujitsu Ltd リアルタイムモニ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96531A (en) * 1991-02-05 1997-12-09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Image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combining image displayed with high resolution and image displayed with low resolution
JPH0619753A (ja) * 1992-07-06 1994-01-28 Nec Ic Microcomput Syst Ltd プログラム開発支援装置
US5664106A (en) * 1993-06-04 1997-09-02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Phase-space surface representation of server computer performance in a computer network
JPH076062A (ja) 1993-06-21 1995-01-10 Fujitsu Ltd Cpuの稼働率測定方法
US5940130A (en) * 1994-04-21 1999-08-17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Video transcoder with by-pass transfer of extracted motion compensation data
JP2907063B2 (ja) * 1995-05-24 1999-06-21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総符号量制御を行なう動画像符号化装置
US5929916A (en) * 1995-12-26 1999-07-27 Legall; Didier J. Variable bit rate encoding
JPH1011878A (ja) * 1996-06-28 1998-01-16 Toshiba Corp ディスク装置及び同装置におけるモニター値保存制御方法
US5850443A (en) * 1996-08-15 1998-12-15 Entrust Technologies, Ltd. Key management system for mixed-trust environments
US6721941B1 (en) * 1996-08-27 2004-04-13 Compuware Corporation Collection of timing and coverage data through a debugging interface
US6009079A (en) * 1997-04-25 1999-12-28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for measuring HDT-NIU availability
CN1138402C (zh) * 1997-05-22 2004-02-11 冲电气工业株式会社 传真通信装置及其方法
US6285466B1 (en) * 1998-05-20 2001-09-04 Oki Electric Industry Co. Ltd. Facsimile communication system
US6574587B2 (en) * 1998-02-27 2003-06-03 Mci Communication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xtracting and forecasting computing resource data such as CPU consumption using autoregressive methodology
US6026139A (en) * 1998-06-16 2000-02-15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frequency distribution representation using integrated counter-based instrumentation
US6513065B1 (en) * 1999-03-04 2003-01-28 Bmc Software, Inc. Enterpris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which includes summarization having a plurality of levels of varying granularity
JP3278636B2 (ja) 1999-06-08 2002-04-30 エヌイーシーシステム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Cpu使用率算出方式、cpu使用率算出方法およびcpu使用率算出用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3309834B2 (ja) * 1999-07-16 2002-07-29 日本電気株式会社 Atm交換装置及びセルバッファ使用率監視方法
US6535906B1 (en) * 1999-07-27 2003-03-18 Nortel Networks Limited System for controlling the effect of transmitting a document across a packet based network
JP2001142746A (ja) * 1999-11-11 2001-05-25 Nec Software Chubu Ltd 計算機システムの負荷監視装置
JP2002078200A (ja) * 2000-08-22 2002-03-15 Toshiba Corp 監視制御装置及び記憶媒体
JP2002083113A (ja) 2000-09-07 2002-03-22 Zeon Joho System Kk コンピュータネットワークの価値評価方法
US6664964B1 (en) * 2000-11-10 2003-12-16 Emc Corporation Correlation criteria for logical volumes
JP2002373109A (ja) * 2001-06-13 2002-12-26 Nec Corp データ先読みシステムおよび先読み方法
JP3909232B2 (ja) * 2001-10-09 2007-04-25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磁気記録データのデータ復調方法
US7219034B2 (en) * 2001-09-13 2007-05-15 Opnet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s for display of time-series data distribution
JP3862548B2 (ja) * 2001-11-02 2006-12-27 沖電気工業株式会社 エコーキャンセラ
US7356079B2 (en) * 2001-11-21 2008-04-08 Vixs Systems Inc. Method and system for rate control during video transcoding
JP2003271557A (ja) * 2002-03-18 2003-09-26 Fujitsu Ltd 障害情報分析方法
CN100547560C (zh) * 2002-06-10 2009-10-0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机群监控系统和方法
US6975963B2 (en) * 2002-09-30 2005-12-13 Mcdat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toring and reporting network performance metrics using histograms
GB2402504A (en) * 2002-11-12 2004-12-08 Advanced Risc Mach Ltd Processor performance calculation
JP2004234557A (ja) * 2003-01-31 2004-08-19 Hitachi Ltd データ管理方法、コントローラ、及びプログラム
CN1270240C (zh) * 2003-12-10 2006-08-16 中国科学院计算技术研究所 一种大规模机群系统的监控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4132A (ja) 2000-03-30 2001-12-14 Fujitsu Ltd リアルタイムモニ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79600A2 (en) 2006-07-12
CN100440159C (zh) 2008-12-03
JP4700969B2 (ja) 2011-06-15
KR20060080847A (ko) 2006-07-11
EP1679600A3 (en) 2009-07-15
US20060150029A1 (en) 2006-07-06
CN1801111A (zh) 2006-07-12
US7472188B2 (en) 2008-12-30
JP2006190109A (ja) 200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9289B1 (ko) 감시 정보 제공 장치, 감시 정보 제공 방법 및 기록 매체
CN108874640B (zh) 一种集群性能的评估方法和装置
Zhang et al. A task-level adaptive MapReduce framework for real-time streaming data in healthcare applications
US8868541B2 (en) Scheduling resource crawls
US8417817B1 (en) Preventing server overload
CN107911399B (zh) 一种基于负载预测的弹性伸缩方法及系统
US959466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llecting log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servers
US20150149554A1 (en) Automatic capture of detailed analysis information based on remote server analysis
WO2010028028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managing energy usage
US8977773B2 (en) System and method for a rate control technique for a light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 over MQSeries (LoM) server
CN109272348B (zh) 活跃用户数量确定方法及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US8781876B2 (en) Computer product, charge calculating apparatus, and charge calculating method
Ravindra et al. Latency aware elastic switching-based stream processing over compressed data streams
US9208591B2 (en) Providing user controlled ability to determine data level of detail in a graph
US20090217282A1 (en) Predicting cpu availability for short to medium time frames on time shared systems
US8930589B2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monitoring memory access
CN111028931B (zh) 医疗数据处理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JP2006331135A (ja) クラスタシステムの性能予測装置、性能予測方法及び性能予測プログラム
JP5555109B2 (ja) サービス時間予測装置及びサービス時間予測方法
JP5537453B2 (ja) サーバ、及び情報処理方法
JP3842219B2 (ja) サーバ、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オブジェクトの管理方法、サーバ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3929981B2 (ja) グリッドシステムにおける決済情報算出方法、グリッド仲介装置、グリッド仲介プログラム
CN113626175B (zh) 数据处理的方法和装置
US11182452B2 (en) Web acceleration via learning
KR20230055575A (ko) 사설망과 공용망을 위한 범용 대규모 멀티 클라우드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