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6247B1 - 압연기 - Google Patents
압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26247B1 KR100626247B1 KR1020040072361A KR20040072361A KR100626247B1 KR 100626247 B1 KR100626247 B1 KR 100626247B1 KR 1020040072361 A KR1020040072361 A KR 1020040072361A KR 20040072361 A KR20040072361 A KR 20040072361A KR 100626247 B1 KR100626247 B1 KR 1006262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lling
- roll
- rolled material
- rolls
- rolling mill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06—Pinch roll s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21B39/06—Pushing or forcing work into pa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21B39/10—Arrangement or installation of feeding rollers in rolling stan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75/00—Mill drive parameters
- B21B2275/02—Spe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75/00—Mill drive parameters
- B21B2275/02—Speed
- B21B2275/04—Roll spe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75/00—Mill drive parameters
- B21B2275/02—Speed
- B21B2275/04—Roll speed
- B21B2275/05—Speed difference between top and bottom ro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압연기의 상하 한 쌍의 워크 롤 근방의 입구측에, 압연재의 선단부를 상기 워크 롤(3) 사이로 안내하는 상하 한 쌍의 핀치 롤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스티커를 사용하는 일없이 압연재의 표면에 흠집을 가능한 한 발생시키지 않고 그 선단부를 압연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압연재의 단부를 적합하게 압연할 수 있는 압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압연기로서 (1) 압연재를 워크 롤에 통판할 때에, 통판에 지장이 없도록 롤 갭을 개방해 두고, (2) 압연재가 압연기를 통과한 후에, 유압 압하 장치에 의해 롤 갭을 소정의 값으로 하고, (3) 이 압연재를 출구측의 릴에 권취하고, (4) 압연하고, (5) 압연재의 후단부가 입구측 릴을 제거하였을 때에 압연재의 후단부측 부분을 장력 부가 장치로 일정 장력을 부여하도록 한 것이 있다(일본 특허 공개 평10-263613호 공보 참조).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압연재를 워크 롤(압연 롤)에 통판할 때에 롤 갭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압연재의 선단부는 여전히 압연되지 않아 이 선단부가 스크랩이 되는 점이 지적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압연재의 선단부가 압연되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는 스티커라고 불리는 안내 수단에 의해 압연재 선단부를 끼워 넣는 것과 동시에 소정의 롤 갭으로 설정된 상하 워크 롤 사이로 안내하여 압연하도록 하고 있었다.
한편, 종래의 장력 부가 장치로서 상하 한 쌍의 장력 패드를 이용하여 압연재의 후단부를 끼워 넣어 장력을 부여하도록 하고 있었다. 또한, 상기 스티커를 장력 패드로서도 활용하여, 압연재의 선단부 압연과 후단부 압연을 겸하는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압연재의 선단부 압연과 후단부 압연을 한 경우, 스티커 및 장력 패드는 모두 단순히 압연재를 끼워 넣어 압박할 뿐이므로, 이들이 압연재(판재)를 상하로부터 압박함으로써 그 표면에 흠집이 발생되기 쉽게 되어 있었다(압연을 안정시키기 위해서는, 선단부 혹은 후단부 장력을 크게 할 필요가 있지만, 크게 하면 할수록 압연재 표면에 흠집이 생기기 쉬워짐).
압연재 표면에 흠집이 생기면, 경미한 흠집이라면 다음 패스 이후의 압연에 의해 흠집이 없어지지만, 어느 정도 이상의 흠집인 경우 흠집의 휨 부분이 다음 패스의 압연에 의해 압입 흠집이 되어, (흠집이 남아 제품이 되지 않음) 수율 저하가 되고 있었다.
일반적으로 압연재로의 흠집 발생을 경감시키기 위해, 압연재에 접촉하는 부분(패드부)에는 나무 부재 혹은 나무 부재 상에 무명 천 등을 감은 것, 혹은 MC 나일론(Mono Cast Nylon)과 같이 압연재보다도 경도가 낮은 재료를 사용한다.
그러나 반대로, 패드부를 연질재로 함으로써 패드의 손모가 심해지므로 여러 코일의 압연 후에 교환할 필요가 있어(1 시프트에 수회의 교환이 필요해짐), 패드재의 준비 및 교환 작업에 의해 시간이 낭비되므로 생산성이 저하되어 있었다.
선단부 압연을 행하는 경우, 상부 스티커를 하강시키고 하부 스티커를 상승시켜 상하 패드부에서 압연재의 선단부를 협지한 후에 스티커를 전진시켜 압연재의 선단부를 워크 롤 사이까지 이송하고 있었지만, 이들 일련의 동작을 연속하여 행하는 것은 곤란하고, 통상은 도중에서 일단 정지하기 때문에 그 만큼 생산성이 저하되어 있었다.
또한, 일단 정지함으로써 압연재의 표면에 흠집(스톱 마크)이 발생되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압연재를 워크 롤 사이로 물려 들어가게 한 순간에 워크 롤에 의해 압연재가 인장됨으로써 스티커가 압연재의 이송 방향(출구측)으로 인장되어 버려, 순간적으로 스티커에 무리한 힘이 부가되므로, 스티커의 가이드 부분(전진하기 위한 가이드)에 마모를 일으켜 스티커 가이드부의 수명이 짧아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스티커를 사용하는 일없이 압연재의 표면에 흠집을 가능한 한 발생시키지 않고 그 선단부를 압연할 수 있는 압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압연재의 표면에 흠집을 가능한 한 발생시키는 일없이, 압연재의 미처리시에 그 후단부측에 장력을 부여하여 압연할 수 있도록 한 압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하에 기술적 수단을 강구하였다.
즉, 압연기의 상하 한 쌍의 워크 롤 입구측에 압연재의 선단부를 상기 워크 롤 사이로 안내하는 상하 한 쌍의 핀치 롤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연재의 미처리시에 압연재의 후단부에 장력을 부여하기 위해 상기 핀치 롤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하의 핀치 롤은 접근 이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하의 핀치 롤은 이송 속도를 각각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하의 핀치 롤은 강철제이며, 그 축심을 압연재의 이송 방향으로 오프셋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압연기는 가역식 냉간 압연기이며, 상기 압연기의 밀 하우징 내에 상기 핀치 롤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티커를 사용하는 일없이 압연재의 표면에 흠집을 가능한 한 발생시키지 않고 그 선단부를 압연할 수 있다.
또한, 압연재의 후단부측 표면에 흠집을 가능한 한 발생시키는 일없이, 압연재의 미처리시에 후단부측에 장력을 부여하여 압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강재의 냉간[조(粗)] 압연, 열간 압연 등에 이용하는 가역식 압연기, 탠덤 압연기 등에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최량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압연기(1)의 예로서 가역식 냉간 압연기(1)를 도시하고 있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연기(1)는 소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의 릴(2) 사이에 상하 한 쌍의 워크 롤(압연 롤)[3(3U, 3L)]을 수용한 밀 하우징(4)을 배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각 릴(2)과 밀 하우징(4) 사이에는 디프렉터 롤(5)이 1개씩 배치되어 있다. 한 쪽 릴(2)에는 압연재(6)(스트립)가 권취되어 있고, 이 압연재(6)는 각 릴(2) 사이를 왕복할 때에 각 릴(2)과 밀 하우징(4) 사이에서 상기 각 디프렉터 롤(5)에 지지된다.
상하 한 쌍의 워크 롤(3)은 구동 모터에 의해 정역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각 워크 롤(3)은 상하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어 원하는 롤 갭을 형성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워크 롤(3)은 상하 한 쌍의 백업롤(7)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각 백업롤(7)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압연재(6)는 한 쪽 릴(2)로부터 조출된 후, 한 쪽 디프렉터 롤(5)을 거쳐서 밀 하우징(4) 내로 이송되고, 워크 롤(3)에 의해 압연된 후 다른 쪽 디프렉터 롤(5)을 거쳐서 다른 쪽 릴(2)에 권취된다. 이 행정을 복수회 반복함으로써 압연재(6)는 소정의 두께로 압연된다.
또한, 이하 한 쪽 릴(2)로부터 다른 쪽 릴(2)로 압연재(6)가 이송되는 방향을 이송 방향 또는 전후 방향이라 하고, 이 이송 방향에 직교하는 도1(또는 도3)의 지면 관통 방향을 횡방향 또는 압연재(6)의 폭 방향이라 한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 하우징(4) 내에 있어서 워크 롤(3)의 근방 위치에 압연재(6)를 끼워 넣는 핀치 롤 장치(8)가 배치되어 있다. 핀치 롤 장치(8)는 밀 하우징(4) 외부 또는 밀 하우징(4) 내부에 설치된 제어 장치(9)에 의해 그 위치 또는 회전 속도 등을 변경 가능하게 제어된다.
도면예에서는, 핀치 롤 장치(8)는 워크 롤(3)의 전후 양측에 배치된 전후 쌍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워크 롤(3)은 밀 하우징(4) 내에 있어서 전후 방향에서 핀치 롤 장치(8)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핀치 롤 장치(8)는 압연재(6)(스트립)를 끼워 넣는 상하 한 쌍의 핀치 롤[10(10U, 10L)]과, 핀치 롤(10)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 수단(11)과, 핀치 롤(10)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위치 변경 수단(12)을 갖고 있다.
한편, 밀 하우징(4)의 상부 및 하부에는 그 횡방향의 측벽(13) 내면 끼리를 연결하도록 상하 한 쌍의 프레임[14(14U, 14L)]이 설치되어 있고, 각 프레임(14)은 각 핀치 롤 장치(8)를 지지하고 있다. 상기 프레임(14)은 강철제로, 사각 기둥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프레임(14U, 14L)에는 핀치 롤(10)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위치 변경 수단(12)(승강 수단)으로서 상하 한 쌍의 유압 실린더[15(15U, 15L)]가 고정되어 있다. 이 유압 실린더(5)는 프레임(14)의 측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쌍의 판형 블래킷(16)에 협지 고정되어 있다.
밀 하우징(4)의 횡방향의 측벽(13) 사이에는, 각 프레임(14U, 14L)에 지지되어 상하로 슬라이드하는 상하 한 쌍의 슬라이드 프레임[17(17U, 17L)]이 설치되어 있다. 각 슬라이드 프레임(17U, 17L)은 핀치 롤(10)과 이 핀치 롤(10)의 구동 수단(11)을 지지하고 있다. 이 슬라이드 프레임(17)은 상기 유압 실린더(15)를 거쳐서 상기 상하의 프레임[14(14U, 14L)]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14)의 폭 방향 각 기초부에는 슬라이드 프레임(17)을 상하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 홈(18)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17)의 횡방향 양단부에는 상기 안내 홈(18)에 결합하는 슬라이드판(19)이 설치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판(19)에는 염색재(HBsC3: High Strength Brass Casting의 일종)를 사용하고 있다.
슬라이드 프레임(17)은 슬라이드판(19)이 상기 가이드 홈(18)과 결합하여 상기 유압 실린더(15)를 작동시킴으로써, 전후 방향 또는 횡방향의 위치를 규제하면서 상하로 슬라이드하도록 되어 있다.
상부 슬라이드 프레임(17U)은 통형의 본체부(20)와, 본체부(20)의 하부에 설치된 상부 핀치 롤(10U)의 하우징부(21)를 갖는다.
상부 슬라이드 프레임(17U)의 하부에 설치된 상기 하우징부(21)는 직사각형의 수평 판부(22)와, 이 수평 판부(22)의 길이 방향 각 단부로부터 각각 하방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한 쌍의 롤 지지판부(23)를 갖는다. 각 롤 지지판부(23)에는 베어링(24)이 1개씩 설치되어 있고, 상부 핀치 롤(10U)의 양단부에 형성된 축부(25)가 베어링(24)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부 핀치 롤(10U)은 상부 슬라이드 프레임(17U)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상부 유압 실린더(15U)의 로드(26)의 선단부는 상부 슬라이드 프레임(17U)의 속이 빈 형상의 본체부(20) 내를 통해, 수평 판부(22) 상면의 길이 방향 중도부에 연결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부 슬라이드 프레임(17U)은 상기 상부 유압 실린더(15U)를 거쳐서 상부 프레임(14U)에 지지된다. 또한, 이 상부 유압 실린더(15U)를 상기 제어 장치(9)를 거쳐서 동작시킴으로써 상부 슬라이드 프레임(17U)은 상부 프레임(14U)의 안내 홈(18)을 거쳐서 승강할 수 있다.
상부 슬라이드 프레임(17U)에 있어서, 하우징부(21)의 상방에는 상부 핀치 롤(10U)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 수단(11)으로서 유압 모터(2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유압 모터(27)는 하부 슬라이드 프레임(17L)에도 설치되어 있어 상하 한 쌍으로 되어 있다.
상부 유압 모터(27U)는 상부 슬라이드 프레임(17U)의 워크 롤(3)측의 측외면에 형성된 모터 수납부(28)에 수용되어 있다.
이 상부 유압 모터(27U)의 축의 선단부에는 구동 스프로킷(29)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부 핀치 롤(10U)의 일단부의 축부(25) 선단부는 쌍의 롤 지지판부(23) 중 한 쪽을 관통하여 하우징부(21) 밖으로 돌출되어 있고, 이 선단부에 종동 스프로킷(30)이 설치되어 있다.
구동 스프로킷(29)과 종동 스프로킷(30)에는 무단부형의 체인(31)이 권취되어 있고, 유압 모터(27)로부터의 회전 동력을 상기 체인(31)을 거쳐서 구동 스프로킷(29)으로부터 종동 스프로킷(30)으로 전달함으로써, 상부 핀치 롤(10U)은 정역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유압 모터(27)는 상기 제어 장치(9)에 조립된 유압 회로에 의해, 구동, 프리 러닝(공회전), 후방 장력 1[대장력 : 압연재(6)의 판 두께가 두꺼운 경우], 후방 장력 2[소장력 : 압연재(6)의 판 두께가 얇은 경우]의 4 종류의 회전 모드를 절환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유압 모터(27)는 회전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부 핀치 롤(10U)이 압연재(6)와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되어 공회전하는 경우에는, 종동 스프로킷(30), 무단부형 체인(31), 구동 스프로킷(29)을 거쳐서 상부 유압 모터(27)가 공회전한다.
또한, 하부 슬라이드 프레임(17L)은 상부 슬라이드 프레임(17U)과 동일한 구성, 즉 상기 구성의 상부 슬라이드 프레임(17U)의 상하를 반대로 한 상태에서 하부 핀치 롤(10L)을 승강시키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하부 핀치 롤(10L)과 하부 유압 모터(27L)의 위치 관계, 하부 슬라이드 프레임(17L)의 본체부(20)와 하우징부(21)의 위치 관계 등은 모두 상부 슬라이드 프레임(17U)인 경우와 상하 반대로 되어 있다. 또한, 하부 슬라이드 프레임(17L)은 하부 프레임(14L)에 고정된 하부 유압 실린더(15L)을 거쳐서 상하로 슬라이드한다.
상기 핀치 롤(10)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핀치 롤(10)은 롤 직경이 약 300 ㎜가 되고, 그 표면은 고주파 담금질을 시공하여 표면 경도를 상승시키고 있다.
핀치 롤(10)은 금속제(예를 들어, 강철제) 및 고무제 등의 다양한 재료로 형성 가능하지만, 이 중 보다 강도가 높은 강철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핀치 롤(10)을 강철제로 함으로써, 고무제 등으로 형성된 것보다도 핀치 롤(10)의 수명을 길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가령, 핀치 롤(10)을 고무제 롤로 한 경우에는, 압연재(6)와 접촉하는 부분에서 고무가 박리되어 손상이 진행되고, 경질의 고무를 사용하였다고 해도 그 수명은 생산량 및 압연재(6)의 재질에 따라 그 예상이 곤란하지만 강철제 롤의 10분의 1 정도가 된다. 예를 들어, 고무제 롤과 강철제 롤에 대해 롤 직경 등의 여러 가지를 동일하게 하여 양자를 비교한 경우, 고무제 롤은 최대 1개월 정도의 주기로 핀치 롤(10)을 교환할 필요가 있지만, 강철제 롤은 1년 정도는 교환하지 않고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고무 롤을 사용한 경우, 고무의 표면 변형에 의해 강철제 롤보다도 압연재(6)의 횡방향으로 힘이 작용할 가능성이 높아, 압연재(6)의 옆으로 어긋남을 발생시키기 쉬워진다. 압연재(6)의 옆으로 어긋남이 발생되면, 압연 작업측과 구동측의 압연력의 밸런스가 흐트러져, 압연재(6)의 폭 방향의 휨 발생 등 제품 품질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있다.
상하 한 쌍의 핀치 롤(10U, 10L)은, 압연기(1)의 상하 한 쌍의 워크 롤(3) 근방의 입구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하 핀치 롤(10U), 10L)은 그 축심이 압연재(6)의 이송 방향으로 오프셋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압연재(6)가 상하 핀치 롤러(10U, 10L)에 의해 보다 많은 접촉 면적에서 압박되어, 압연재(6)의 반송 상태가 안정된다. 상하 핀치 롤(10)의 축심을 압연재(6)의 이송 방향에 일치시켜 압연재(6)를 협지한 경우, 제작상의 오차 및 압연재(6)로부터 핀치 롤러(10)의 이송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의 불균일에 의해 상하 핀치 롤(10U, 10L)이 크로스(교차)하는 경우가 있고, 이 때 압연재(6)가 폭 방향으로 사행하여 압연재(6)를 안정적으로 압박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핀치 롤(10)을 오프셋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어, 이 점에서 유리하다. 이러한 상하 핀치 롤의 오프셋을 갖게 하는 경우에는, 조업 전에 상하 핀치 롤을 이송 방향에서 전후하도록 배치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은 핀치 롤 장치(8)의 구성에 의해, 각 핀치 롤(10U, 10L)은 별개 독립된 구동 수단(11)에 의해 각각 따로따로 회전 구동되고, 또한 별개 독립된 위치 변경 수단(12)(승강 수단)에 의해 따로따로 승강된다. 따라서, 상하 핀치 롤(10U, 10L)은 압연재(6)를 워크 롤(3) 사이로 이송하는 이송 속도를 따로따로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하 핀치 롤(10U, 10L)은 상기 위치 변경 수단(12)을 거쳐서 각각 독립하여 상호 접근 이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각 핀치 롤 장치(8)는 밀 하우징(4) 내로 이송되어 온 압연재(6)의 선단부를 압연하는 경우(이하, 선단부 압연이라 함), 또는 압연재(6)의 후단부를 압연하는 경우(이하, 후단부 압연이라 함)에 작동한다.
선단부 압연을 행하는 경우에는, 압연재(6)(판재)가 상하 핀치 롤(10U, 10L) 사이를 통과한 직후에 유압 실린더(15)를 거쳐서 핀치 롤 1개를 승강시켜 압연재(6)(판재)를 협지하고, 또한 유압 모터(27)를 구동 모드로서 압연재(6)의 선단부를 상하의 워크 롤(3) 사이로 이송한다.
상하 워크 롤(3) 사이에 압연재(6)의 선단부가 맞물린 순간에 상하 핀치 롤(10U, 10L)을 개방하고[상부 핀치 롤(10U)을 상방으로 올리고 하부 핀치 롤(10L)을 하방으로 내려, 압연재(6)에 닿지 않도록 함], 이와 동시에 회전 모드를 공회전 모드로 한다. 이에 의해, 핀치 롤(10)에는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아 핀치 롤(10)의 수명을 길게 유지할 수 있다.
압연재(6)의 선단부를 워크 롤(3) 사이로 이송하는 경우에, 압연재(6)의 선단부가 상하 방향으로 심하게 휘어 있을 때에는, 압연재(6)(판재)의 휨 방향(상하 방향의 휨)에 따라서 상하 핀치 롤(10U, 10L) 사이에 속도차를 부여함으로써, 휨을 완화 및 교정하여 상하 워크 롤 사이에 맞물리기 쉽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휨이 있는 압연재(6)의 선단부를 상하 워크 롤(3) 사이에 맞물릴 때의 맞물림 미스[워크 롤(3) 사이로의 압연재(6)의 송입이 실패되어, 압연재(6)가 워크 롤(3) 사이로 들어가지 않음]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압연재(6)가 상부 휨인 경우는 하부 핀치 롤(10L)의 이송 속도(회전수)를 상부 핀치 롤(10U)보다도 빠르게 함으로써(속도차를 부여함), 압연재(6)의 상부 휨을 완화 및 교정하면서 상하 워크 롤(3) 사이에 압연재(6)의 선단부를 이송한다. 반대로, 압연재(6)가 하부 휨인 경우는 상부 핀치 롤(10U)의 이송 속도를 하부 핀치 롤(10L)의 이송 속도보다도 빠르게 한다.
후단부 압연을 행하는 경우에는, 압연재(6)의 미처리시에 상하 핀치 롤(10U, 10L)에 의해 압연재(6)의 입구측 부분을 협지하고, 상기 제어 장치(9)에 의해 핀치 롤(10)의 유압 회로를 브레이크 회로로 절환하여 유압 모터(27)[구동 수단(11)]에 부하를 발생시키고, 이 부하를 상기 체인(31)을 거쳐서 유압 모터(27)에 연결되어 있는 핀치 롤러(10)의 회전시의 저항으로 함으로써, 후방 장력 모드로서 압연재(6)의 입구측에 후방 장력을 부가한다.
이상과 같이, 워크 롤(3) 근방의 입구측에 핀치 롤(10)을 설치하여 선단부 압연 또는 후단부 압연을 행함으로써, 핀치 롤(10)의 회전에 의해 압연재(6)를 끼워 넣었을 때의 핀치 롤(10)과 압연재(6)의 마찰력을 가능한 한 작게 할 수 있으므로, 과대한 마찰력의 발생을 방지하여 압연재(6)의 표면에 흠집 등이 가능한 한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압연재(6) 표면 흠집의 발생 빈도도 적어 제품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 사용되고 있던 스티커, 장력 패드에서는 빈번히 패드부를 교환해야만 하지만, 핀치 롤식에서는 패드부가 없어 교환의 필요가 없으므로 생산성이 높고, 또한 운전 비용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선단부 압연에 있어서 핀치 롤(10)의 승강 동작으로부터 이에 의한 압연재(6) 선단부의 끼워 넣기 동작 및 압연재(6)의 워크 롤 사이로의 송입 동작까지를 일단 정지시키는 일없이 연속하여(연속된 일련의 동작으로) 할 수 있으므로, 시간 낭비가 적고 생산성이 높다. 또한, 일단 정지시킬 수도 없으므로, 정지에 의한 롤 마크(스톱 마크)의 발생도 없어 제품 수율도 높다.
핀치 롤(10)은 선단부 압연시에는 압연재(6)의 선단부를 상하 워크 롤(3) 사이로 안내하는 것이므로, 이 워크 롤(3) 사이에 가능한 한 근접시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기 설치 공간의 관계로 밀 하우징(4) 내에 핀치 롤(10)을 설치할 수 없는 경우에는, 밀 하우징(4) 외부 근접 위치에 설치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핀치 롤(10)을 유압 모터(27)를 거쳐서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워크 롤(3)에 의한 압연재(6)의 이송 속도와의 동기도 용이해지고, 압연재(6)의 이송은 일단 정지하는 일없이 연속된 움직임의 기초로 행할 수 있으므로, 일단 정지에 의한 생산성의 저하를 초래하는 일이 없어 이 점에서 유리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선단부 압연시의 압연재 선단부의 롤 갭으로의 송입과, 후단부 압연을 1개의 핀치 롤 장치(8)로 공용 가능하게 하고 있으므로, 장치의 다기능화 및 콤팩트화 등에 공헌할 수 있어 유리한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와 같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구동 수단(11)에 대해 유압 모터[27(27U, 27L)]를 브레이크가 달린 전동 모터로 바꾸어 핀치 롤(10)의 회전수나 후방 장력 등의 회전 모드를 변경 조정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가역식 냉간 압연기(1)를 예시하였지만, 이른바 탠덤 압연기의 입구측에 핀치 롤(10)을 배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고, 또는 열간 압연기의 워크 롤(3) 근방에 핀치 롤 장치(8)를 배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압연재(6)로서는, 판재뿐만 아니라 봉형 부재를 압연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티커를 사용하는 일없이 압연재의 표면에 흠집을 가능한 한 발생시키지 않고 그 선단부를 압연할 수 있는 압연기가 제공된다.
도1은 압연기의 구성도.
도2는 밀 하우징 내를 도시한 측면도.
도3은 밀 하우징 내의 핀치 롤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압연기
2 : 릴
3 : 워크 롤
4 : 밀 하우징
5 : 디프렉터 롤
6 : 압연재
8 : 핀치 롤 장치
10 : 핀치 롤
11 : 구동 수단
12 : 위치 변경 수단
13 : 측벽
14 : 프레임
15 : 유압 실린더
16 : 블래킷
17 : 슬라이드 프레임
19 : 슬라이드 판
20 : 본체부
21 : 하우징부
22 : 수평 판부
23 : 롤 지지판부
24 : 베어링
25 : 축부
26 : 로드
27 : 유압 모터
28 : 모터 수납부
29 : 구동 스프로킷
30 : 종동 스프로킷
31 : 체인
Claims (6)
- 압연기의 상하 한 쌍의 워크 롤 입구측에 압연재의 선단부를 상기 워크 롤 사이로 구동하여 안내하는 상하 한 쌍의 핀치 롤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연재의 미처리시에 상기 압연재의 후단부에 장력을 부여하기 위해 상기 핀치 롤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의 핀치 롤은 접근 이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의 핀치 롤은 이송 속도를 각각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의 핀치 롤은 강철제이며, 그 축심을 압연재의 이송 방향으로 오프셋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 제1항에 있어서, 압연기는 가역식 냉간 압연기로, 상기 압연기의 밀 하우징 내에 상기 핀치 롤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3-00321661 | 2003-09-12 | ||
JP2003321661A JP4322074B2 (ja) | 2003-09-12 | 2003-09-12 | 圧延機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27039A KR20050027039A (ko) | 2005-03-17 |
KR100626247B1 true KR100626247B1 (ko) | 2006-09-21 |
Family
ID=34453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72361A KR100626247B1 (ko) | 2003-09-12 | 2004-09-10 | 압연기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4322074B2 (ko) |
KR (1) | KR100626247B1 (ko) |
CN (1) | CN1309492C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73906B1 (ko) * | 2007-05-02 | 2010-08-03 | 주식회사 포스코 | 후판 유도장치 |
JP2009248183A (ja) * | 2008-04-11 | 2009-10-29 | Jfe Steel Corp | 冷延鋼帯用ピンチロール |
JP5564214B2 (ja) * | 2009-08-18 | 2014-07-30 | 新日鐵住金株式会社 | 圧延用入口ローラーガイド |
EP2500114B1 (en) * | 2009-11-09 | 2015-10-14 | Primetals Technologies Japan, Ltd. | Cold rol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ld rolling |
CN102248010A (zh) * | 2011-06-22 | 2011-11-23 | 张家港市宏翔金属制品有限公司 | 轧机的导位压紧装置 |
JP5738089B2 (ja) * | 2011-06-23 | 2015-06-17 | 株式会社神戸製鋼所 | 短尺材の圧延装置及び短尺材の圧延方法 |
CN104148391A (zh) * | 2014-07-16 | 2014-11-19 | 洛阳鼎锐材料科技有限公司 | 短流程张力热轧合金钢管的设备及工艺 |
CN104259202B (zh) * | 2014-08-08 | 2016-04-13 | 邢台纳科诺尔精轧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压轧式电池极片辊压机 |
CN104190725A (zh) * | 2014-08-20 | 2014-12-10 | 成都冶金实验厂有限公司 | 一种组合式耐磨夹送辊 |
CN105478473B (zh) * | 2015-12-25 | 2017-08-11 | 中冶南方工程技术有限公司 | 可逆冷轧机第一道次闭辊缝甩尾轧制方法 |
CN111872126B (zh) * | 2020-08-06 | 2021-04-20 | 龙口市龙蓬精密铜管有限公司 | 一种具有速度调节与轧辊自动切换功能的热轧机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218201A (ja) * | 1983-05-20 | 1984-12-08 | Mitsubishi Heavy Ind Ltd | ストリツプ先端加工用圧延装置 |
JPS6475102A (en) * | 1987-09-16 | 1989-03-20 | Kawasaki Steel Co | Width rolling equipment for thin slab |
US5105638A (en) * | 1990-07-12 | 1992-04-21 | Mitsubishi Jukogyo Kabushiki Kaisha | Method and machine for rolling a metal workpiece at a reduced rolling load |
JP3342331B2 (ja) * | 1996-12-25 | 2002-11-05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熱間圧延設備 |
JPH11197732A (ja) * | 1998-01-14 | 1999-07-27 | Mitsubishi Heavy Ind Ltd | 圧延機における蛇行防止方法及び装置 |
-
2003
- 2003-09-12 JP JP2003321661A patent/JP4322074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
- 2004-09-10 CN CNB2004100784852A patent/CN1309492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09-10 KR KR1020040072361A patent/KR10062624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27039A (ko) | 2005-03-17 |
JP4322074B2 (ja) | 2009-08-26 |
CN1309492C (zh) | 2007-04-11 |
JP2005088019A (ja) | 2005-04-07 |
CN1593800A (zh) | 2005-03-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26247B1 (ko) | 압연기 | |
KR100696148B1 (ko) | 박막 재료 가공 기계를 위해 감겨진 박막 재료를 지지하고구동하는 모듈 | |
JP4472958B2 (ja) | 順送りプレス加工装置 | |
JP4890283B2 (ja) | 鋼帯巻取り装置のダブルベルト式ベルトラッパー | |
KR20200045349A (ko) | 테이블 롤러 연마장치 | |
KR20110005644U (ko) | 냉장고 도어용 강판의 제조 장치 | |
CN213079534U (zh) | 一种压辊气压自动调节装置 | |
KR100646260B1 (ko) | 롤러 테이블의 스트립 사이드 가이드 장치 | |
KR20040040883A (ko) | 압연설비의 후판 안내용 높이 가변형 브리지 장치 | |
CN217458150U (zh) | 一种自动卸料的整平收卷机 | |
KR20030020047A (ko) | 롤연마기의 샌딩블록 우드 교환장치 | |
JP2002336909A (ja) | オフセット量可変式ピンチロール装置 | |
JPH10338395A (ja) | シート分割巻取装置 | |
JP3301576B2 (ja) | レベラ | |
JP2506412B2 (ja) | 冷間圧延設備の入側案内装置 | |
CN215435518U (zh) | 一种用于电池片表面栅线印刷前作位置调整的调整装置 | |
CN217017978U (zh) | 一种精轧机出口板坯导向机构 | |
JP2005060749A (ja) | 帯状メッキ品の昇降機構を備えたメッキ装置およびメッキ方法 | |
CN220509858U (zh) | 一种电磁线圈卷绕装置 | |
CN220095751U (zh) | 一种相片纸压纹装置 | |
CN218024430U (zh) | 一种具有压合机构的带钢收卷装置 | |
CN215697049U (zh) | 三辊卷板机 | |
JPH0734937B2 (ja) | 冷間ロール成形装置 | |
CN211366403U (zh) | 一种tpu流延机用的磁回复收卷装置 | |
JPH081488A (ja) | 面取り用研削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812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