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6260B1 - 롤러 테이블의 스트립 사이드 가이드 장치 - Google Patents

롤러 테이블의 스트립 사이드 가이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6260B1
KR100646260B1 KR1020050117479A KR20050117479A KR100646260B1 KR 100646260 B1 KR100646260 B1 KR 100646260B1 KR 1020050117479 A KR1020050117479 A KR 1020050117479A KR 20050117479 A KR20050117479 A KR 20050117479A KR 100646260 B1 KR100646260 B1 KR 100646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guide
gate
roller table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7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50117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62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6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6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21B39/12Arrangement or installation of roller tables in relation to a roll st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롤러 테이블의 스트립 사이드 가이드 장치는, 열연 라인으로부터 가공되어 배출되는 스트립을 안정적으로 이송 및 이 스트립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으로서, 열연 라인에서 가공되어 롤러들 위로 배출되는 스트립을 가이드 하도록 적어도 상기 롤러들의 길이 방향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트립의 진행 방향으로 구비되는 가이드; 상기 가이드에 승강 구조로 결합되는 게이트; 상기 게이트에 연결되는 제1 액추에이터; 상기 게이트의 상기 스트립 반대측에 구비되어 회전 구동되는 원추판; 및 상기 원추판을 상기 스트립 쪽으로 전진 및 후진시키도록 상기 원추판에 연결되는 제2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열연, 롤러 테이블, 사이드, 가이드, 게이트, 스트립

Description

롤러 테이블의 스트립 사이드 가이드 장치 {strip side guider for roller table}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 테이블의 스트립 사이드 가이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2는 게이트로 스트립의 사이드를 가이드 하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3은 도2의 Ⅲ-Ⅲ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4는 원추판으로 스트립의 사이드를 가이드 하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5는 도4의 Ⅴ-Ⅴ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6은 종래기술에 따른 롤러 테이블의 스트립 사이드 가이드 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롤러 테이블의 스트립 사이드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열연 라인으로부터 가공되어 배출되는 스트립을 안정적으로 이송하는 롤러 테이블의 스트립 사이드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연 라인으로부터 가공된 스트립은 롤러 테이블을 활주하여 권 취기로 이동되어 권취된다. 즉 롤러 테이블은 이와 같이 열연 라인의 후미에 구비되어 스트립을 안정적으로 가이드 하여 권취기로 가이드 한다.
이를 위하여,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 테이블은 스트립의 진행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롤러들(91)과 스트립(92)의 진행 방향 양측에 사이드 가이드 장치(93)를 구비한다.
이 사이드 가이드 장치(93)는 스트립(92)과 맞닿는 부분에 내면에 라이너(93a)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롤러들(91) 위를 활주하는 스트립(92)은 이의 폭 방향 양쪽 끝에 구비되는 라이너(93a)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권취기로 가이드 된다.
이 사이드 가이드 장치(93)는 라이너(93a)를 구비하여 스트립(92)의 진행 방향으로 향하면서 롤러들(91) 상에 고정 설치되어 있으므로 활주하는 스트립(92)의 폭 방향 유동에 대해서는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한다.
따라서, 롤러들(91) 상을 활주하는 스트립(92)은 그 양끝으로 사이드 가이드 장치(93)의 라이너(93a)와 마찰되면서, 이 라이너(93a)를 마모시키고 또한 라이너(93a)에 충돌되어 크랙 및 칩을 발생시킨다.
이로 인하여 열연 가공을 완료한 스트립(92)의 품질이 저하되고, 소정의 주기별로 마모되는 라이너(94)의 교체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열연 라인으로부터 가공되어 배출되는 스트립을 안정적으로 이송 및 이 스 트립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롤러 테이블의 스트립 사이드 가이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 테이블의 스트립 사이드 가이드 장치는,
열연 라인에서 가공되어 롤러들 위로 배출되는 스트립을 가이드 하도록 적어도 상기 롤러들의 길이 방향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트립의 진행 방향으로 구비되는 가이드;
상기 가이드에 승강 구조로 결합되는 게이트;
상기 게이트에 연결되는 제1 액추에이터;
상기 게이트의 상기 스트립 반대측에 구비되어 회전 구동되는 원추판; 및
상기 원추판을 상기 스트립 쪽으로 전진 및 후진시키도록 상기 원추판에 연결되는 제2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는 상기 스트립의 폭 방향 양쪽에 각각 구비되는 제1 가이드와 제2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와 상기 제2 가이드는 서로 마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는, 상기 스트립의 진행 방향을 따라 인입 쪽에 배치되어 상기 게이트의 일측이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인입 가이드 부재와, 상기 인입 가이드 부재에 마주하도록 배출 쪽에 배치되어 상기 게이트의 다른 일측을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배출 가이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는, 상기 인입 가이드 부재의 채널과 상기 배출 가이드 부재의 채널에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와, 상기 한 쌍의 결합부 사이에서 상기 인입 가이드 부재와 상기 배출 가이드 부재의 상기 스트립 쪽 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는 마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액추에이터는 신축 작용하는 실린더로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는 상기 가이드에 고정되고, 상기 실린더의 로드는 상기 게이트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원추판은 꼭지점이 상기 스트립의 상방에 위치하고, 원추면이 상기 스트립의 폭 방향 끝에 맞닿을 수 있다.
상기 원추면의 상기 스트립 쪽 선은 상기 스트립의 폭 방향 끝과 선 접촉하할 수 있다.
상기 원추판의 중심선은 상기 스트립 면에 연장하는 수평 방향 선과 소정의 각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원추판은 연결부를 개재하여 모터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액추에이터는 실린더로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의 로드는 상기 연결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 테이블의 스트립 사이드 가이드 장치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롤러 테이블의 스트립 사이드 가이드 장치는 열연 라인 으로부터 가공되어 배출되어 나오는 스트립(2)을 안정적으로 가이드 하여 권취기(4)에 권취할 수 있도록 열연 라인(미도시)의 후방에 구비된다.
이 롤러 테이블은 스트립(2)의 진행 방향(AA)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롤러들(6)과, 이 스트립(2)의 진행 방향(AA) 양측에 구비되는 스트립 사이드 가이드 장치(8)를 구비한다.
이 스트립 사이드 가이드 장치(8)는 가이드(10), 게이트(20), 제1 액추에이터(30), 원추판(40), 및 제2 액추에이터(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이 스트립 사이드 가이드 장치(8)는 열연 라인으로부터 배출되는 스트립(20)이 일반 강일 때 게이트(20)로 스트립(20)을 가이드하고, 배출되는 스트립(20)이 스테인레스 강일 때 원추판(40)으로 스트립(20)을 가이드 한다.
즉, 강성이 작은 스트립(2)을 가이드 할 때에는 스트립(2)과 장치(8)와의 마찰 및 충격에도 크게 문제가 되지 않으므로 가이드(10) 및 게이트(20)로 스트립(2)을 가이드 할 수 있다.
그러나, 강성이 큰 스트립(2)을 가이드 할 때에는 스트립(20)과 이 장치(8)와의 마찰 및 충격이 크게 문제가 될 수 있으므로 회전하는 원추판(40)으로 스트립(20)을 가이드 하여 마찰 및 충격을 최소화 할 수 있게 한다. 또한,강성이 작은 스트립(2)을 가이드 할 때에도 원추판(40)을 사용할 수 있다.
먼저, 가이드(10)는 롤러들(6)의 길이 방향 양측에 배치되어 스트립(2)의 진행 방향(AA)으로 구비된다. 이 가이드(10)는 롤러들(6)의 길이 방향 일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롤러들(6)의 길이 방향 다른 측에는 본 실시예와 다른 구성의 가이드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가이드(10)에 대하여, 스트립(2)의 폭 방향에 대한 구성과 스트립(2)의 진행 방향(AA)에 대한 구성으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이 스트립(2)의 폭 방향에 대하여 보면, 가이드(10)는 스트립(2)의 폭 방향 양쪽(롤러들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임)에 각각 구비되는 제1 가이드(11)와 제2 가이드(12)로 구성된다.
이 제1 가이드(11)와 제2 가이드(12)는 서로 마주 배치되어 스트립(2)의 폭 방향 양쪽을 동시에 가이드 한다. 이때, 롤러들(6) 위를 활주하는 스트립(2)은 가이드(10)가 스트립(2)의 폭 방향 한 쪽에만 구비되는 경우에 비하여 보다 안정된 상태로 유도될 수 있다.
또한, 제1 가이드(11)와 제2 가이드(12)를 스트립(2)의 진행 방향(AA)을 따라 서로 어긋나게 배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스트립(2)의 진행 방향(AA)에 대하여 보면, 가이드(10)는 스트립(2)의 진행 방향(AA)을 따라 배치되는 인입 가이드 부재와 배출 가이드 부재로 구성된다. 여기서는 가이드(10)가 제1 가이드(11)와 제2 가이드(12)를 포함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면, 가이드(10)는 인입 가이드 부재(11a, 12a)와 배출 가이드 부재(11b, 12b)로 구성된다.
즉, 제1 가이드(11)는 인입 가이드 부재(11a)와 배출 가이드 부재(11b)를 구비하고, 이와 같이 제2 가이드(11)는 인입 가이드 부재(12a)와 배출 가이드 부재(12b)를 구비한다. 또한, 인입 가이드 부재들(11a, 12a)은 서로 마주하고, 이와 같 이 배출 가이드 부재들(11b, 12b)도 서로 마주한다.
기본적으로, 인입 가이드 부재들(11a, 12a)은 인입 쪽에서 스트립(2)을 가이드하고, 배출 가이드 부재들(11b, 12b)은 배출 쪽에서 스트립(2)을 가이드 한다.
인입 가이드 부재들(11a, 12a)은 스트립(2)의 진행 방향(AA)에 대하여 인입 쪽에서 게이트(20)의 일측을 지지하여 게이트(20)의 승강을 안내한다. 그리고 배출 가이드 부재들(11b, 12b)은 스트립(20)의 진행 방향(AA)에 대하여 배출 쪽에서 게이트(20)의 다른 일측을 지지하여 게이트의 승강을 안내한다.
이를 위하여, 인입 가이드 부재들(11a, 12a)은 게이트(20)의 승강을 안내하는 채널(11c, 12c)을 구비하고, 또한 배출 가이드 부재들(11b, 12b)도 게이트(20)의 승강을 안내하는 채널(11d, 12d)을 구비한다.
서로 마주하는 채널(11c)과 채널(11d) 사이에 제1 게이트(21)가 삽입되어 승강 작용하고, 또한 서로 마주하는 채널(12c)과 채널(12d) 사이에 제2 게이트(22)가 삽입되어 승강 작용한다.
즉, 게이트(20)는 제1 가이드(11)에 결합되는 제1 게이트(21)와 제2 가이드(12)에 결합되는 제2 게이트(22)를 포함한다. 이 제1 게이트(21) 및 제2 게이트(22)는 서로 마주하여 스트립(2)의 폭 방향 양쪽 끝을 가이드 한다.
이 게이트(20)는 결합부와 마찰부를 구비한다. 여기서는 제1 게이트(21)와 제2 게이트(22)를 포함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1, 제2 게이트(21, 22)는 각각 한 쌍의 결합부(21a, 22a)와 마찰부(21b, 22b)로 구성된다.
즉, 제1 게이트(21)는 결합부(21a)와 마찰부(21b)로 구성된다. 이 결합부 (21a)는 제1 가이드(11)의 인입 가이드 부재(11a)와 배출 가이드 부재(11b)에 형성되는 각 채널(11c, 11d)에 결합된다. 마찰부(21b)는 두 결합부들(21a) 사이에서 인입 가이드 부재(11a)와 상기 배출 가이드 부재(11b)의 스트립(2) 쪽 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여 활주하는 스트립(2)과 마찰되면서 스트립(2)을 가이드 한다.
또한, 제2 게이트(22)는 결합부(22a)와 마찰부(22b)로 구성된다. 결합부(22a)는 제2 가이드(12)의 인입 가이드 부재(12a)와 배출 가이드 부재(12b)에 형성되는 각 채널(12c, 12d)에 결합된다. 마찰부(22b)는 두 결합부들(22a) 사이에서 인입 가이드 부재(12a)와 상기 배출 가이드 부재(12b)의 스트립(2) 쪽 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여 활주하는 스트립(2)과 마찰되면서 스트립(2)을 가이드 한다.
제1 액추에이터(30)는 상기와 같은 게이트(20)에 연결되어 이를 승강시킨다. 여기서 제1 액추에이터(30)는 제1 게이트(21)와 제2 게이트(22) 각각에 연결되는 제11 액추에이터(31)와 제12 액추에이터(32)로 구성된다.
도1에서 제11 액추에이터(31) 측은 나타나지 않으므로 제12 액추에이터(32)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12 액추에이터(32)는 일례로써 신축 작용하는 실린더(32a)로 형성된다. 이 실린더(32a)는 제2 가이드(12)에 고정되고, 로드(32b)는 제2 게이트(22)에 연결된다. 즉 제12 액추에이터(32)에서 실린더(32a)는 제2 가이드(12)의 인입 가이드 부재(12a)와 배출 가이드 부재(12b)에 고정되고, 로드(32b)는 브래킷(32c)을 개재하여 제2 게이트(22)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12 액추에이터(32)에서 실린더(32a)의 신축 작동에 의하여 로드(32b)가 인입 인출되면서 제2 게이트(22)가 제2 가이드(12)에서 승강 작동된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열연 가공된 스트립(2)이 일반 강일 경우, 제1 액추에이터(30) 즉, 제11 액추에이터(31)와 제12 액추에이터(32)는 하강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제11 액추에이터(31)와 제12 액추에이터(32) 각각에 연결되는 제1 게이트(21)와 제2 게이트(22)는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때 스트립(2)은 제1 가이드(11)와 이에 구비되는 제1 게이트(21) 및 제2 가이드(12)와 이에 구비되는 제2 게이트(22)에 의하여 가이드 된다.
한편, 도4 및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열연 가공된 스트립(2)이 스테인레스 강일 경우, 제1 액추에이터(30) 즉, 제11 액추에이터(31)와 제12 액추에이터(32)는 상승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제1 게이트(21) 및 제2 게이트(22)도 상승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원추판(40)은 이와 같은 상승 상태에서 스트립(2)과의 적을 마찰 및 적은 충돌로써 스트립(2)을 가이드 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원추판(40)은 회전 구동 가능한 구조로 구비되며, 게이트(20) 상승시 스트립(2) 쪽으로 나와서 스트립(2)을 가이드 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즉 원추판(40)은 게이트(20)를 사이에 두고 스트립(2)의 반대쪽에 구비된다.
여기서 예를 들어 설명하면, 원추판(40)은 제1 원추판(41)과 제2 원추판(42)으로 구성된다. 제1 원추판(41)은 회전 구동되도록 연결부(43)를 개재하여 제1 모터(44)에 연결된다. 제2 원추판(42)은 회전 구동되도록 연결부(45)를 개재하여 제2 모터(46)에 연결된다.
상기 각 연결부(43, 45)는 제1, 제2 원추판(41, 42)을 각각 제1, 제2 모터(44, 46)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제1, 제2 원추판(41, 42)을 스트립(2) 측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게 한다.
스트립(2)을 가이드 할 때, 이 제1, 제2 원추판(41, 42)은 스트립(2)의 진행 방향(AA)으로 회전 구동되어 스트립(2)과의 마찰 및 충격을 최소화한다.
이를 위하여, 제1, 제2 원추판(41, 42)은 꼭지점(41a, 42a)이 스트립(2)의 상방에 위치되게 하고, 원추면(41b, 42b)이 스트립(2)의 폭 방향 끝에 맞닿게 위치한다.
따라서 제1, 제2 원추판(41, 42)이 회전 구동되면, 이들 원추면(41b, 42b)의 스트립(2) 쪽 선은 스트립(2)의 폭 방향 끝과 선 접촉한다. 즉 직선 방향으로 활주하는 스트립(2)은 회전하는 제1, 제2 원추판(41, 42)과 연속적으로 선 접촉하면서 가이드 된다.
또한, 제1, 제2 원추판(41, 42)의 중심선(41c, 42c)은 스트립(2) 면에 연장하는 수평 방향 선(HL)과 소정의 각(BB)을 유지한다.
이와 같은 원추판(40)은 게이트(20)가 상승되어 가이드(10)가 개방되는 경우에 작동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제2 액추에이터(50)는 원추판(40)을 게이트(20)의 후방에서 스트립(2) 측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도록 구성되어 원추판(40)에 연결된다.
여기서 제2 액추에이터(50)는 제1 원추판(41)과 제2 원추판(42) 각각에 연결되는 제21 액추에이터(51)와 제22 액추에이터(52)로 구성된다.
제21, 22 액추에이터(51, 52)는 일례로써 신축 작용하는 실린더(51a, 52a)로 형성된다. 이 실린더(51a, 52a)는 고정되고(미도시), 로드(51b, 52b)는 제1, 제2 원추판(41, 42)의 연결부(43, 45)에 각각 연결된다.
따라서, 제21, 22 액추에이터(51, 52)에서 실린더(51a, 52a)의 신축 작동에 의하여 로드(51b, 52b)가 인입 인출되면서 제1, 제2 원추판(41, 42)을 전진 또는 후진시킨다.
스트립(2) 쪽으로 전진된 제1, 제2 원추판(41, 42)은 스트립(2)의 폭 방향 양쪽 끝에서 스트립(2)과 맞닿은 상태로 회전 구동되면서 스트립(2)의 배출을 자연스럽게 가이드 하게 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롤러 테이블의 스트립 사이드 가이드 장치는 가이드에 게이트를 승강 구조로 구비하고, 이 게이트의 후방에 회전하는 원추판을 구비하여, 일반 강일 때 게이트로 스트립을 가이드 하고, 강도가 높은 스테인레스 강일 때 게이트를 상승시키고 회전하는 원추판을 스트립으로 가이드 하여, 스트립과 가이드 장치 즉, 원추판과의 충돌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롤러 테이블의 스트립 사이드 가이드 장치에 의하면, 원추판이 회전하면서 스트립을 가이드 하므로 원추판과 스트립과의 마찰 및 충격을 최소화하여 크랙의 발생을 방지하고, 또한 스트립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열연 라인에서 가공되어 롤러들 위로 배출되는 스트립을 가이드 하도록 적어도 상기 롤러들의 길이 방향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트립의 진행 방향으로 구비되는 가이드;
    상기 가이드에 승강 구조로 결합되는 게이트;
    상기 게이트에 연결되는 제1 액추에이터;
    상기 게이트의 상기 스트립 반대측에 구비되어 회전 구동되는 원추판; 및
    상기 원추판을 상기 스트립 쪽으로 전진 및 후진시키도록 상기 원추판에 연결되는 제2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롤러 테이블의 스트립 사이드 가이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스트립의 폭 방향 양쪽에 각각 구비되는 제1 가이드와 제2 가이드를 포함하는 롤러 테이블의 스트립 사이드 가이드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와 상기 제2 가이드는 서로 마주 배치되는 롤러 테이블의 스트립 사이드 가이드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스트립의 진행 방향을 따라 인입 쪽에 배치되어 상기 게이트의 일측이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인입 가이드 부재와,
    상기 인입 가이드 부재에 마주하도록 배출 쪽에 배치되어 상기 게이트의 다른 일측을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배출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롤러 테이블의 스트립 사이드 가이드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는,
    상기 인입 가이드 부재의 채널과 상기 배출 가이드 부재의 채널에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와,
    상기 한 쌍의 결합부 사이에서 상기 인입 가이드 부재와 상기 배출 가이드 부재의 상기 스트립 쪽 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는 마찰부를 포함하는 롤러 테이블의 스트립 사이드 가이드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추에이터는 신축 작용하는 실린더로 형성되는 롤러 테이블의 스트립 사이드 가이드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상기 가이드에 고정되고, 상기 실린더의 로드는 상기 게이트에 연결되는 롤러 테이블의 스트립 사이드 가이드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추판은 꼭지점이 상기 스트립의 상방에 위치하고, 원추면이 상기 스트립의 폭 방향 끝에 맞닿는 롤러 테이블의 스트립 사이드 가이드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원추면의 상기 스트립 쪽 선은 상기 스트립의 폭 방향 끝과 선 접촉하는 롤러 테이블의 스트립 사이드 가이드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추판의 중심선은 상기 스트립 면에 연장하는 수평 방향 선과 소정의 각을 유지하는 롤러 테이블의 스트립 사이드 가이드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추판은 연결부를 개재하여 모터에 연결되는 롤러 테이블의 스트립 사이드 가이드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 액추에이터는 실린더로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의 로드는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는 롤러 테이블의 스트립 사이드 가이드 장치.
KR1020050117479A 2005-12-05 2005-12-05 롤러 테이블의 스트립 사이드 가이드 장치 KR100646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7479A KR100646260B1 (ko) 2005-12-05 2005-12-05 롤러 테이블의 스트립 사이드 가이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7479A KR100646260B1 (ko) 2005-12-05 2005-12-05 롤러 테이블의 스트립 사이드 가이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6260B1 true KR100646260B1 (ko) 2006-11-23

Family

ID=37712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7479A KR100646260B1 (ko) 2005-12-05 2005-12-05 롤러 테이블의 스트립 사이드 가이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62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4841B1 (ko) * 2010-07-29 2012-11-26 현대제철 주식회사 런아웃 테이블용 냉각장치
KR101204840B1 (ko) * 2010-07-29 2012-11-26 현대제철 주식회사 런아웃 테이블용 냉각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6361U (ko) * 1997-12-19 1999-07-15 이구택 스트립용 사이드 가이드장치
KR20040004907A (ko) * 2002-07-06 2004-01-16 주식회사 포스코 위치 가변형 사이드가이드 장치
KR20040088760A (ko) * 2003-04-11 2004-10-20 주식회사 포스코 롤러 테이블의 사이드 가이드에 장착된 유동형 스트립유도장치
KR20060005212A (ko) * 2004-07-12 2006-01-17 한영환 압연소재 센터링용 사이드 가이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6361U (ko) * 1997-12-19 1999-07-15 이구택 스트립용 사이드 가이드장치
KR20040004907A (ko) * 2002-07-06 2004-01-16 주식회사 포스코 위치 가변형 사이드가이드 장치
KR20040088760A (ko) * 2003-04-11 2004-10-20 주식회사 포스코 롤러 테이블의 사이드 가이드에 장착된 유동형 스트립유도장치
KR20060005212A (ko) * 2004-07-12 2006-01-17 한영환 압연소재 센터링용 사이드 가이드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4841B1 (ko) * 2010-07-29 2012-11-26 현대제철 주식회사 런아웃 테이블용 냉각장치
KR101204840B1 (ko) * 2010-07-29 2012-11-26 현대제철 주식회사 런아웃 테이블용 냉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6260B1 (ko) 롤러 테이블의 스트립 사이드 가이드 장치
KR100626247B1 (ko) 압연기
CN207982127U (zh) 剪切机的进料保护装置
US3913369A (en) Entry and delivery guides for cold rolling mills
CN215797444U (zh) 一种具有可调节功能的分条机多条带导向机构
CN214610673U (zh) 一种涂布机用新型储料架
KR101726072B1 (ko) 스트립 유도 장치
CN214516857U (zh) 一种钢带导向机构
JP4511765B2 (ja) オフセット量可変式ピンチロール装置
CN211003843U (zh) 一种便于卸料的分切复卷机
CN106345859A (zh) 一种板材滚动式送料折弯工作台
JP3045473B2 (ja) 熱間圧延設備のコブル持上げ装置
JP4062697B2 (ja) ベルトラッパーとその運転方法
KR200204907Y1 (ko) 강판 후진장치의 구조
CN218893011U (zh) 一种热轧卷取机侧导装置
KR20040040883A (ko) 압연설비의 후판 안내용 높이 가변형 브리지 장치
KR100887076B1 (ko) 스트립 선단부 라운딩장치
KR100854366B1 (ko) 위치 가변형 사이드가이드 장치
CN113460760B (zh) 一种可检测电池铝箔表面质量的分切机
CN214263224U (zh) 一种可移动的导体压延机构
KR101398888B1 (ko) 스트립 선단부 라운딩 장치
CN218963358U (zh) 一种新式刷辊升降结构
CN216264132U (zh) 一种切管机的切管下料装置
CN219669192U (zh) 一种两端独立升降伸缩皮带机
CN212449879U (zh) 一种裁切式不停机收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