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5785B1 - 마그네트론 구동용 승압 변압기 및 마그네트론 구동용전원의 변압기 - Google Patents

마그네트론 구동용 승압 변압기 및 마그네트론 구동용전원의 변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5785B1
KR100625785B1 KR1020017001868A KR20017001868A KR100625785B1 KR 100625785 B1 KR100625785 B1 KR 100625785B1 KR 1020017001868 A KR1020017001868 A KR 1020017001868A KR 20017001868 A KR20017001868 A KR 20017001868A KR 100625785 B1 KR100625785 B1 KR 100625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magnetic
transformer
circuit
magnetr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1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9643A (ko
Inventor
신이치 사카이
마코토 미하라
카즈오 사카모토
토요츠구 마츠쿠라
요즈오 이시무라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116792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357617A/ja
Priority claimed from JP11167921A external-priority patent/JP3061052B1/ja
Priority claimed from JP369873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43622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69874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46818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99009837U external-priority patent/JP3069979U/ja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79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9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5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5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42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urpose of modifying, or compensating for, electric characteristics of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6Circuits
    • H05B6/662Aspects related to the boost transforme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9/00Variable transformers or inductances not covered by group H01F21/00
    • H01F29/14Variable transformers or inductances not covered by group H01F21/00 with variable magnetic bi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08High-leakage transformers or induc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2Coils wound on non-magnetic supports, e.g. formers
    • H01F2005/025Coils wound on non-magnetic supports, e.g. formers wound on coaxial arrangement of two or more for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2038/003High frequency transformer for microwave ove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6Fastening parts of the core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the core on casing or support
    • H01F27/263Fastening parts of the core togeth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Abstract

1차 권선(1)과 2차 권선(2)들은 주 자기 회로(13)를 형성하는 자성체와 동심으로 층이 지고 1차 권선(1)과 2차 권선(2) 사이에 배치된 부 자기 회로(14)의 자기 저항이 조정되는 것에 의하여, 임의의 결합 계수를 가지는 동심의 적층 권선형 변압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마그네트론 구동용 승압 변압기 및 마그네트론 구동용 전원의 변압기{Magnetron drive step-up transformer and transformer of magnetron drive power supply}
본 발명은 전자 레인지와 같이 마그네트론을 이용하여 유전 가열을 행하는 고주판 가열 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스위칭 전원을 이용하여 마그네트론을 구동구동하기 위한 승압 구성, 보다 상세하게는 마그네트론을 구동하기 위하여 대전력의 전원을 상업용 전원으로부터 고주파, 고전압원으로 변환하기 위하여 인버터를 포함하는 변압기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전자 레인지와 같은 유전 가열을 행하도록 마그네트론을 이용하는 고주파 히터의 마그네트론 구동용 승압 변압기에 관한 것이고, 특히 마그네트론 필라멘트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 전류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PS의 단락의 실행을 방지하는 변압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이러한 종류의 스위칭 전원을 이용한 마그네트론 구동용 승압 변압기로서,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권선(1), 2차 권선(2), 및 U형 자성체(4,5)들과 동축선 상에서 나란하게 배치되는 히터 권선(3)을 포함하는 승압 변압기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종종 대전력을 취급하는 마그네트론 구동 전원의 경우에, 전압 공진에 근거한 제로 볼트 스위칭 기술(ZVS 기술)의 사용이 전력 반도체의 부하를 경감하는데 주류를 이루었으며; 승압 변압기 결합 계수는 공진 전압을 제공하도록 0.6 내지 0.85의 범위에 설정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동심 적층 권선형 변압기(권선들 사이의 결합이 강하기 때문에 결합 계수가 0.9 또는 그 이상)를 사용하는 것이 어렵다.
그러나, 관련 기술의 기술된 구성에서, 마그네트론의 보다 높은 출력을 만들기 위한 하나의 시도는, 승압 변압기의 주축으로 흐르는 피크 전류가 보다 증가되고 그러므로 승압 변압기로 사용되는 자성체들이 쉽게 포화되는 상황에 쉽게 처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원의 소형화를 추구하는데 있어서 병목 현상을 유발하는 자성체의 사이즈 업, 즉 변압기의 대형화가 필요하다.
도 23은 관련 기술에 있어서 승압 변압기의 외관도이다. 도면에서, 도면 부호 201은 수지로 만들어진 보빈을 지시하며, 보빈 주위에는 1차 권선(202), 2차 권선(203), 1차 및 2차 권선들이 단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단락 방지 권선(204), 및 마그네트론의 캐소드를 강력하기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히터 권선(205)이 감겨진다. 2차 권선(203)이 감겨지는 보빈(201)의 부분은 파티션(206)들에 의하여 4개의 권선홈들로 분할된다. 먼저, 2차 권선은 1차 권선 주변에 감겨지고, 소정 양의 권선의 달성으로, 나머지 권선이 2차 권선 주위에 감겨진다 소정양의 권선의 달성으로, 나머지 권선이 3차 권선 주위에 감겨진다. 그런 다음, 나머지 권선이 4차 권선 쥐위에 감겨져서, 2차 권선의 분할 권선이 완성된다. 그러므로, 정렬된 권 선이 각 권선 홈에 수용되지 않고 부분적인 권선 부조가 발생하면, 2차 권선이 감겨지는 분할 홈들은 수지로 절연되므로, 2차 권선 부분들 사이에 방전이 발생하는 위험이 배제될 수 있다. 2차 권선이 권선 분할들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2차 권선 상에서 동 손실에 의하여 발생되는 열은 권선 홈들로 분산되어 방전되어서, 우수한 방전 특징, 즉 온도 상승을 억제하는 이점이 제공될 수 있다. 도면 부호 207은 페라이트 등으로 만들어지는 코어를 지시한다. 코어(207)는 1차 권선(202)의 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 에너지를 2차 권선(203)으로 전달하기 위한 자기 회로를 제공한다. 코어(207)와 권선들을 절연시키기 위하여 수지 코어 커버(208)가 부착된다. 지금까지 관련 기술의 승압 변압기가 기술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승압 변압기가 나란하게 배치되는 1차 및 2차 권선을 포함하기 때문에, 냉각을 위한 노출 면적을 확장하기 위해 1차 권선(202)의 권선 폭의 넓히거나 또는 양호한 방전성을 제공하기 위한 노출 면적을 넓히기 위해 2차 권선(203)의 권선폭을 넓히거나 또는 2차 권선(203)의 분할 수를 증가시키는 방법은 양호한 방전성 및 온도 성능을 제공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전자 레인지와 함께 승압 변압기를 사용하도록, 출력 증가는 신속한 가열을 위하여 불가결한 요소이며, 출력을 증가시키도록 변압기로 전달된 에너지는 또한 성장하고 온도 상승은 절연성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억제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양호한 방전성을 제공하도록, 변압기는 넓혀지고 사이즈 업되어야만 되며; 이러한 것이 문제이다.
아울러, 지금까지, 이러한 종류의 인버터 전원 유닛, 마그네트론을 구동하기 위한 고전압 전원을 위하여, 심사되지 않은 일본국 특허 공개 평5-121159호는 싱글 단자형의 모놀리식 전압 공진 인버터를 게시한다. 인버터 전원 유닛은 인버터에 의하여 고주파수로 변환된 전원을 승압 변압기를 통하여 고전압으로 변환하여 배전압 정류 회로로 마그네트론을 구동하는데 적절한 고직류 전원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서, 승압 변압기는 인버터에 의하여 고주파수로 전원을 변환시키는 것에 의하여 최소화될 수 있고 회로 소자가 싱글 보드에 형성되어서, 소형의 경량인 마그네트론 구동 전원(인버터 전원)이 제공될 수 있다.
관련 기술에서 기술된 구성에서, 마그네트론의 보다 높은 출력을 만들기 위한 시도는 승압 변압기의 1차 측으로 흐르는 피크 전류가 보다 증가되어, 승압 변압기로 사용되는 자성체가 쉽기 포화되는 상황에 쉽게 놓인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원의 소형화를 추구하는데 있어서 병목 현상을 유발하는 자성체의 사이즈 업, 즉 변압기의 대형화가 필요하다.
또한, 지금까지, 상업적인 전원을 마그네트론을 구동하기 위한 고주파수, 고전압 전원으로 변환하기 위한 인버터 전원을 위하여, 심사되지 않은 일본국 특허 공개 평5-121159호는 싱글 단자형의 모놀리식 전압 공진 인버터를 개시한다. 인버터 전원 유닛은 인버터에 의하여 고주파수로 변환된 전원을 승압 변압기기를 통하여 고전압으로 변환하여 다중 전압 정류를 이용하는 고전압 회로 또는 정류 회로 마그네크론을 구동하는데 적절한 고직류 전압을 발생시키는 것에 의하여, 승압 변압기가 인버터에 의하여 고주파수로 전원을 변환하는 것에 의하여 최소화될 수 있고 회로 소자가 싱글 보드에 형성되어서, 소형의 경량인 마그네트론 구동 전원(인 버터 전원)이 제공될 수 있다.
도 24는 관련 기술에서 마그네트론 구동용 승압 변압기 유닛의 승압 변압기(408)의 측면도이다. 도면에서, 도면 부호 401은 수지로 만들어진 보빈을 지시하고, 보빈 주위에는 1차 권선(402), 2차 권선(403), 및 마그네트론의 캐소드를 가열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히터 권선(404)이 감겨진다. 도면 부호 405는 페라이트 등의 자성체로 만들어지는 코어를 지시한다. 코어(405)는 1차 권선(402)의 전류에 의하여 발생된 자기 에너지를 2차 권선(403)으로 전달하기 위한 자기 회로의 기능을 제공한다. 권선들은 단자핀(406)들에 감겨지고 딥 납땜(dip soldering)된다. 단자핀(406)들은 인쇄회로 기판(407)에 만들어진 구멍들에 삽입되어 딥 납땜된다.
한편, 도 25는 전자 레인지를 포함하는 전자기 조리기, 쌀 조리기 등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형적인 모놀리식 전압 공진형 인버터인 마그네트론 구동용 승압 변압기 유닛의 회로도의 예이다.
전파 정류 회로(400)는 상업적인 전원(409)을 단방향 전원으로 변환한다. 초크 코일(416) 및 평활 콘덴서(417)로 이루어진 정류 필터(413)는 전류를 평활하게 하고 노이즈의 누설 및 진입을 차단한다. 승압 변압기(408)의 1차 측 및 공진 콘덴서(414)로부터 관찰된 인덕턴스는 공진 회로를 만든다. 도면 부호 415는 IGBT(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와 FWD(순방향 다이오드)로 만들어지는 스위칭 소자를 도시한다. 부분들은 스위칭 회로의 인버터부(416)을 만들고; 정류 필터(413)의 직류 전원은 스위칭 소자(415)에 의하여 빠르게 스위칭되어, 고주파수 전원으로 변환 된다. 고주파 전원은 승압 변압기(408)에 의하여 고주파수 고전압 전원으로 변환되고, 또한 고전압 다이오드(417,418) 및 마이크로파 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마그네트론(421)을 구동하기 위한 고전압 콘덴서(419)로 만들어지는 반파형 배전 회로(420)에 의하여 고직류 전압으로 더욱 변환된다.
한편, 전원은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히터 권선(404)으로부터 마그네트론(421)의 필라멘트로 공급되는 것에 의하여, 전자들의 여자를 촉진시킨다. 제어 회로(422)는 인버터부(416)를 제어하고, 마그네트론(421)으로부터 발생된 마이크로파 에너지의 양은 스위칭 소자(415)를 제어하는 것에 의하여 제어된다. 마그네트론(421)으로부터 고주파 노이즈의 누설을 차단하도록, 필라멘트로의 전원 공급선은 초크 코일(423)들이 제공된다. 싱글 단자형의 모놀리식 전압 공진에 유사한 이러한 인버터 시스템에서, 제어 회로(422)는 일반적으로 마그네트론(421)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하여 스위칭 소자(415)의 유도 시간을 변화시킨다.
제어 기술에 따라서, 음식물에 주어지는 에너지는 필요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고, 음식을 데우기 위한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이것은 종래의 철심형 변압기에 의하여 제공될 수 없는 특징이며; 동시에, 인버터의 작업 주파수가 변한다. 전원이 낮게 됨으로써, 흐르는 마그네트론 전류의 유도 시간이 짧게 되고, 2차 권선의 전압이 1차 권선과 비교하여 상당히 낮게 된다. 그러므로, 히터 구너선이 2차 권선보다 가능한 강하게 1차 권선과 결합되면, 전원 제어시에 마그네트론(421)의 캐소드로 흐르는 전류가 덜 변화된다. 도 24에 도시된 변압기에서와 같이, 히터 권선(404)이 1차 권선(402)과 2차 권선(403) 사이에 제공된다. 이 때, 마그네트론의 애노드-캐소드 전압(ebm)과 필라멘트 전류(If)의 시간변화는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고, If는 전원 제어에 의하여 비교적 덜 변화된다.
If는 보다 낮은 시간에 보다 높은 주파수에 의하여 유발되는 초크 코일(423)의 인덕턴스 성분에 의하여 유발되는 전원 전달 감쇄와 2차 권선의 결합 때문에 보다 낮은 출력으로 강하되는 경향이 있지만, 모eld(moding)을 위하여 유익하고 전원을 낮추도록 고주파 출력을 좁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안전이란 관점을 고려하여, 2차 회로에서 가장 높은 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히터 권선(404)은 1차 권선(402)에 밀접하게 되고, 구성은 극히 PS의 단락의 관점으로부터 극히 위험하다. 특히, 2 차측은 고전압, 그러므로 캐비닛 새시가 2 차측의 접지 전위에 있는 전자 레인지의 회로 소자에 있으며, 새시가 접지되지 않으면, PS의 단락이 발생하였을 때, 캐비닛은 약 4㎸ 내지 7㎸의 고전압으로 유동하고; 구성은 사용자에게 극히 위험하다.
안전이란 관점을 강조하여, 위험한 히터 권선이 1차 권선(402)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 PS의 단락의 위험이 거의 회피될 수 있으며, 구성이 안전하다.
그러나, 도 27에 도시된 필라멘트 저류(If)의 시간 변화에 비추어, If의 값은 전원 제어에 응하여 극히 낮게 되는 경향이 있으며; 이러한 것은 마그네트론의 모딩의 관점에서 극히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므로, 안전성과 성능 사이에 흥정이 발생한다.
아울러, 지금까지, 스위칭 전원을 사용하는 이러한 종류의 마그네트론 구동 용 승압 변압기에 있어서, 1차 권선(501), 2차 권선(502), 및 히터 권선(503)들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보빈(504)에 감겨져 U형 자성체(505,506)들과 동일한 축선에서 나란하게 배치되었다. 1차 권선 단부 부분(507)은 보빈(504)의 1차 권선(501)에 인접하여 보빈 플랜지 부분(508)에 배치되었으며, 고전위에 있는 2차 권선 단부 부분(509) 및 히터 권선 단부 부분(510)들은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권선(501)과 1차 권선 단부 부분(509)의 절연 구조를 고려하여 보빈(504)의 히터 권선(503)에 인접하여 보빈 플랜지(511)에 배치되었다. 1차 권선 단부 부분(507), 2차 권선 단부 부분(509), 및 히터 권선 부분(510)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공(513)들이 인쇄회로 기판(512)에 만들어지며, 인쇄회로 기판 상에는 고전압 회로, 마그네트론 히터 및 스위칭 회로들이 승압 변압기를 고정하기 위하여 인쇄 배선되고; 단부 부분들이 삽입된 후에, 납땜 고정 및 인쇄 배선이 수행된다.
관련 기술에서 기술된 마그네트론 구동용 승압 변압기는 하나의 보빈에 감겨질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권선이 감겨진다는 이점을 가지지만; 승압 변압기가 인쇄회로 기판 상에 납땜되어 고정되고 배선되는 상태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를 내포한다: 상업적인 전원에 접속된 스위칭 회로에 인쇄 배선된 1차 권선 단부 부분과, 고전위에 있는 고전압 회로 및 마그네트론 히터에 인쇄 배선된 2차 권선 단부 부분 및 히터 권선 단부 부분들은 인쇄회로 기판의 후면 및 전면의 여백 부분에 연결된다. 먼지가 인쇄회로 기판 상에 퇴적되거나 또는 해안가에서의 염 공기로 인하여 인쇄회로 기판 상에 이슬 응축이 발생하면, 여백 방전 때문에 고전위에서의 2차 권선 단부 부분 또는 히터 권선 단부 부분으로부터 1차 권선 단부 부분으로의 고전 압 단락의 가능성이 있다.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시 접지와 동일한 전위에 인쇄 배선된 동박 부분은 인쇄회로 기판(510)의 동박 인쇄측 상에서 1차 권선 단자 부분(507), 2차 권선 단자 부분(509), 및 히터 권선 단자 부분(510) 사이의 한 지점에서 인쇄되고, 고전위에 있는 2차 권선 단자 부분(509) 또는 히터 권선 단자 부분(510)으로부터의 방전은 동박 부분(515)으로 가이드되고, 1차 권선 단자 부분(507)에 대한 고전압 단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새시 접지에 접속된다. 전도성 금속 부분(516)이 인쇄회로 기판(514)의 부품 장착측 상에서 1차 권선 단바 부분(5070), 2차 권선 단자 부분(509) 및 히터 권선 단자 부분(510) 사이의 한 지점에 배치되고, 금속 부분(516)이 새시 접지와 동일한 전위가 되도록 인쇄 배선되는 것에 의하여, 2차 권선 단자 부분(509) 또는 히터 권선 단자 부분(516)으로부터의 방전은 금속 부분(516)으로 가이드되고, 1차 권선 단자 부분(507)에 대한 고전압 단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새시 접지에 접속된다. 전도성 금속 부분(517)이 그 구조 때문에 배치될 수 없으면, 인쇄회로 기판(517)은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권선 단자 부분(507), 2차 권선 단자 부분(509) 및 히터 권선 단자 부분(510) 사이의 여백 거리를 제공하도록 슬릿(518)이 형성되는 것에 의하여, 고전위에 있는 2차 권선 단자 부분(509) 또는 히터 권선 단자 부분(510)으로부터 1차 권선 단자 부분(507)으로의 여백 방전이 슬릿(518)의 존재로 발생하기 어렵게 된다.
그러나, 인쇄회로 기판의 부품 장착측 상에서 여백 방전을 실행하는 것에 의하여 고전위에 있는 2차 권선 단자 부분 또는 히터 권선 부분으로부터 1차 권선 단 자 부분으로의 고전압 단락을 방지하도록, 금속 부분은 마그네트론 구동용 승압 변압기의 1차 권선 단자 부분, 2차 권선 단자 부분 및 히터 권선 단자 부분 사이의 한 위치에 배치될 필요가 있거나, 또는 인쇄회로 기판은 슬릿이 형성될 필요가 있다. 금속 부분을 배치하도록, 금속 부분과 권선들 사이에 절연이 제공되어야만 하며, 그러므로, 마그네트론 구동용 승압 변압기는 높이 방향으로 확장되고; 이것이 문제이다. 슬릿을 형성하도록, 1차 권선 단자 부분, 2차 권선 단자 부분 및 히터 권선 단자 부분을 배치하기 위한 보빈 플랜지를 교차하는 거리, 즉 마그네트론 구동용 승압 변압기의 보빈의 권선폭 방향은 확장되어여야만 되고, 인쇄회로 기판에 슬릿이 형성되기 때문에, 낙강 또는 진동으로 인한 인쇄회로 기판을 파손시키는 위험이 증가되고: 이것 또한 문제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문제를 해결하도록, 1차 권선 및 2차 권선들은 주 자기 회로를 형성하는 자성체에 대해 동심으로 감겨진 층이며, 부 자기 회로를 형성하는 자성체는 1차 및 2차 권선 사이에 배치되는 것에 의하여, 누설자속이 발생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1차 권선과 2차 권선 사이에 배치되는 부 자기 회로는 1차 권선과 2차 권선 사이의 누설량을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어떤 필요한 결합 계수도 동심 적층 권선형 변압기에 제공될 수 있다.
권선들 사이에 강한 결합을 가지는 동심 적층 권선형 변압기는 큰 전류에 대해서도 자성체가 포화되는 것을 어렵게 만드는 특징으로 가지며, 결과적으로 승압 변압기가 보다 높은 출력에 대해서도 효과적으로 소형화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제 3 양태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라서, 부 자기 회로의 존재로 필요에 따라서 결합 계수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동심 적층 권선형 변압기는 ZVS 기술을 채택하는 마그네트론 구동용 승압 변압기를 제공할 수 있으며, 자성체가 보다 높은 출력으로 포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소형화된 전원이 이용될 수 있다.
제 4, 제 5 또는 제 6 양태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라서, 누설 자속량은 어떤 필요한 결합 계수를 제공하기 위하여 조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심으로 1차 권선이 외측에 그리고 2차 권선이 내측에 배치되며, 1차 권선과 2차 권선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는 변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 7, 제 8 또는 제 9 양태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라서, 1차 권선의 보빈의 내측에 2차 권선을 배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공간 요인이 상당히 줄어들 있다. 더욱이, 공기층이 1차 권선과 2차 권선의 절연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1차 권선 및 2차 권선 사이에 제공되어서, PS 등의 단락의 불안전한 모드가 발생하는 것을 어렵게 하고, 수십 암페어의 전류가 흐르고 많은 열을 발생시키는 1차 권선의 전체가 외부 대기로 노출되므로, 냉각 성능이 상당히 개선되고, 높은 출력의 전자 레인지가 소형의 승압 변압기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문제를 해결하도록, 마그네트론 구동용 승압 변압기는 1차 권선, 그 사이에 소정의 틈새를 가지고 1차 권선 내측에 배치되는 2차 권선, 및 1차 권선과 2차 권선 사이에 누설 자속을 발생시키기 위한 부 자기 회로를 포함하며, 부 자기 회로는 1차 권선 및 2차 권선의 한 쪽 외측 단부에 배치되고 1차 권선 및 2차 권선 사이의 반대편 단부에 배치되는 E 자 형상의 자성체를 포함한다.
제 10 양태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라서, 1차 권선, 그 사이에 소정의 틈새를 가지고 1차 권선 내측에 배치되는 2차 권선, 및 1차 권선과 2차 권선 사이에 누설 자속을 발생시키기 위한 부 자기 회로를 포함하며, 부 자기 회로는 1차 권선 및 2차 권선의 한 쪽 외측 단부에 배치되고 1차 권선 및 2차 권선 사이의 반대편 단부에 배치되는 E형 자성체를 포함하는 것에 의하여, 공간 요인이 상당히 줄어들 수 있다. 더욱이, 공기층이 1차 권선과 2차 권선의 절연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1차 권선 및 2차 권선 사이에 제공되어서, PS 등의 단락의 불안전한 모드가 발생하는 것을 어렵게 하고, 수십 암페어의 전류가 흐르고 많은 열을 발생시키는 1차 권선의 전체가 외부 대기로 노출되므로, 냉각 성능이 상당히 개선되고, 높은 출력의 전자 레인지가 소형의 승압 변압기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1차 권선과 2차 권선 사이에 배치된 부 자기 회로는 필요에 따라서 결합 계수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동심 적층 권선형 변압기는 전압 공진 기술을 사용하여 마그네트론 구동용 승압 변압기를 제공할 수 있으며, 보다 높은 출력으로 자성체가 포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소형화된 전원이 이용될 수 있다.
제 11 양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라서, E형 자성체의 두께 및 틈새는 부 자기 회로의 자력을 조정하는 것에 의하여 결합 계수가 0.7 내지 0.9로 설정되도록 결정된다. 그러므로, E형 자성체의 두께가 검사되면, 포화되지 않은 자력을 구비한 안정한 영역이 설정될 수 있고, E형 자성체의 틈새가 조정되며, 결합 계수는 0.7 내 지 0.9로 조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E형 자성체의 두께에 응하는 외부 보빈의 최적 치수의 구멍이 결정되고, 작고 콤팩트한 승압 변압기가 제공될 수 있다.
제 12 양태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라서, 부 자기 회로의 틈새에 배치되는 스페이서는 외부 보빈과 일체로 성형되는 것에 의하여, E형 자성체의 반대편 단부를 삽입하기 위한 구멍의 깊이로 작은 스페이서를 부착하는 어려움이 배제되고, E형 자성체는 구명은 양측으로부터 삽입되는 것에 의하여, E형 자성체들의 양쪽 단부들은 서로 직접 접촉하지 않게 되고, 수지 스페이서가 E형 자성체의 양쪽 단부들 사이에 배치되며; 귀에 거슬리는 비정상적인 소리가 발생되지 않고, 다시 스페이서가 삽입될 필요가 없고, 즉 작업성이 양호하다.
문제를 해결하도록, 본 발명에서, 승압 변압기는 1차 권선, 2차 권선 및 히터 권선의 세 형태의 권선들, 1차 권선으로부터 다른 권선으로 자속으로서 스위칭 회로의 전원을 전달하기 위한 자성체, 1차 권선이 감겨지는 외부 보빈, 및 2차 권선 및 히터 권선이 감겨지는 내부 보빈을 포함하며, 내부 보빈은 외부 보빈 내측에 배치되고, 권선들은 자성체의 금속 회로에 대하여 동심 적층으로 감겨진다.
본 발명에 따라서, 1차 권선을 포함하는 외부 보빈에 2차 권선 및 히터 권선을 포함하는 내부 보빈이 투피스 구조로 삽입되어서, PS의 단락이 안전한 구조에서 극히 발생하기 어렵고, 히터 권선은 단지 1차 권선 바로 아래에 존재하므로, 1차 권선과 히터 권선 사이의 자기 결합이 크고, 전원 제어시에 자속 변화가 작으며, 또한 필라멘트로 흐르는 전류에 있어서의 변화가 줄어든다. 그러므로, 필라멘트 전류(If)에서의 변화가 감소되고 모딩이 낮은 출력으로 일어나기 어려운 안정한 성능 을 가지는 마그네트론 구동용 승압 변압기 유닛이 제공될 수 있다.
제 13 양태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라서, 마그네트론, 마그네론에 구동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승압 변압기, 및 승압 변압기의 1차 측에 연결되는 스위칭 회로를 포함하고, 승압 변압기는 1차 권선, 2차 권선 및 히터 권선의 세 형태의 권선들, 1차 권선으로부터 다른 권선으로 자속으로서 스위칭 회로의 전원은 전달하기 위한 자성체, 1차 권선이 감겨지는 외부 보빈, 및 2차 권선과 히터 권선이 감겨지는 내부 보빈을 포함하며, 내부 보빈은 외부 보빈의 내측에 배치되고 권선들이 자성체의 자기 회로에 대해 동심 적층으로 감겨지는 마그네트론 구동용 승압 변압기 유닛이 제공된다.
그러므로, 1차 권선과 2차 권선들의 절연이 향상되고, 전원 변화시에 필라멘트 전류에서의 진동이 감소되어 모딩이 일어나기 어렵게 된다.
제 14 양태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라서, 권선들은 주 자기 회로를 형성하는 자성체에 대해 동심 적층으로 감겨지고, 외부 보빈과 부 자기 회로를 형성하는 자성체들은 1차 권선, 2차 권선 및 히터 권선들 사이에 있다.
그러므로, 부 자기 회로는 필요에 따라서 결합 계수를 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공진 전압의 여자가 강렬하게 되고, 안정한 제로 전압 스위칭이 실현될 수 있으며,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손실이 상당히 감축될 수 있다.
문제를 해결하도록, 본 발명에서, 제 1 권선, 제 2 권선, 및 제 3 권선들은 자기 회로를 형성하는 자성체에 대하여 2개 이상의 보빈들 주위에 감겨지고, 보빈들은 권선들의 단자 부분들을 적절한 위치에 구비하고, 보빈들중 하나는 자성체와 접촉하는 자성체 접지의 단자 부분을 구비하고, 제 1 권선의 단자 부분들과 제 2 권선 및 제 3 권선들의 단자 부분들은 자성체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승압 변압기의 권선 단자 부분들은 인쇄회로 기판에 납땜되어 고정되며, 제 1 권선은 스위칭 회로에 접속되고, 제 2 및 제 3 권선들은 고전압 회로 및 마그네트론의 히터에 접속되고, 자성체 접지의 단자 부분은 새시 접지에 접속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먼지가 인쇄회로 기판에 퇴적되고 이슬 응축이 해안가에서 염 공기로 인하여 인쇄회로 기판에 발생되고, 고전위에 있는 고전압 회로 및 마그네트론의 히터에 접속되는 제 2 및 제 3 권선들의 단자 부분들로부터 스위칭 회로에 접속되는 제 1 권선의 탄자 부분의 방향으로 여백 방전이 용이하게 발생하는 상태로 들어가면, 제 2 및 제 3 권선들의 단자 부분은 자성체를 사이에 두고 제 1 권선의 단자 부분과 마주하여서, 방전이 제 2 및 제 3 권선들의 단자 부분들로부터 자성체로 발생하고, 전류는 자성체로부터 자성체 접지 단자를 통하여 접속된 새시 접지로 흘러, 스위칭 회로에 접속된 제 1 권선의 단자 부분에 대한 고전압 단락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구성은 관련 기술에서와 같이 새시 접지와 동일한 전위가 되도록 인쇄회로 기판 상에서의 제 1 권선의 단자 부분, 제 2 및 제 3 권선들의 단자 부분들 사이의 한 지점에 전도성 금속 부분을 배치할 필요성을 제거하고, 또한 인쇄회로 기판상에서 제 1 권선의 단자 부분, 제 2 및 제 3 권선의 단자 부분들 사이의 한 위치에 슬릿을 제공하여 여백 거리를 확장시킬 필요성이 제거되고; 승압 변압기 또는 인쇄회로 기판이 소형화될 수 있으며, 강도 또한 낙하 또는 진동으로 인하여 인쇄회로 기판의 파손에 대하여 증가될 수 있다.
즉, 승압 변압기는 출력이 크게 만들어질지라도 소형화될 수 있으며, 전원 공급이 소형화될 수 있다.
제 15 양태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라서, 마그네트론, 마그네트론에 고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고전압 회로, 마그네트론의 히터 및 고전압 회로에 구동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승압 변압기, 승압 변압기의 1차 측에 접속되는 스위칭 회로, 및 승압 변압기를 고정하기 위하여 고전압 회로, 마그네트론의 히터, 및 스위칭 회로가 인쇄 배선되는 인쇄회로 기판을 포함하며, 승압 변압기의 제 1 권선, 제 2 권선 및 제 3 권선들이 자기 회로를 형성하는 자성체에 대하여 2개 이상의 보빈드 주위에 동심 적층으로 감겨지며, 보빈들은 플랜지 부분이 권선들의 단자 부분들을 가지도록 적절한 위치들에 배치되며, 보빈들중 하나는 자성체와 접촉하는 자성체 접지의 단자 부분이 구비되고, 제 1 권선의 단자 부분, 제 2 및 제 3 권선들의 단자 부분들은 자성체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승압 변압기의 권선 단자 부분들은 인쇄회로 기판에 납땜되어 고정되고, 제 1 권선은 스위칭 회로에 접속되고, 제 2 및 제 3 권선들은 고전압 회로 및 마그네트론의 히터에 접속되고, 자성체 접지의 단자 부분은 새시 접지에 접속되는 마그네트론 구동용 승압 변압기 유닛이 제공된다.
그러므로, 먼지가 인쇄회로 기판에 퇴적되거나 또는 이슬 응축이 해안가에서 염 공기로 인하여 인쇄회로 기판에 발생하여, 고전위에 있는 고전압 회로 및 마그네트론의 히터에 접속된 제 2 및 제 3 권선들의 단자 부분들로부터 스위칭 회로에 접속된 제 1 권선의 단자 부분의 방향으로 여백 방전이 용이하게 발생하는 상황에 진입되면, 제 2 및 제 3 권선들의 단자 부분들이 자성체를 사이에 두고 제 1 권선의 단자 부분과 마주하여서, 방전이 제 2 및 제 3 권선들의 단자 부분으로부터 자성체로 발생하고, 전류는 자성체로부터 자성체 접지 단자를 통하여 연결된 새시 접지로 흘러; 스위칭 회로에 접속된 제 1 권선의 단자 부분에 대한 고전압 단락이 방지될 수 있다.
제 16 양태에서와 같은 마그네트론 구동용 승압 변압기 유닛에서, 제 2 구너선의 단자 부분과 자성체 사이의 공간 거리는 제 1 권선의 단자 부분과 제 2 권선의 단자 부분 사이의 공간 거리보다 작게 만들어지고, 제 3 권선의 단자 부분과 자성체 사이의 공간 거리는 제 1 권선의 단자 부분과 제 3 권선의 단자 부분 사이의 공간 거리보다 작게 만들어진다. 고전압 단락을 방지하는 효과가 보다 크게 만들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마그네트론 구동용 승압 변압기를 사용하는 마그네트론 구동 전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면 부호 6은 마그네트론, 8은 승압 변압기, 및 9는 스위칭 회로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의 승압 변압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면 부호 1은 1차 권선, 2는 2차 권선, 11 및 12는 자성체들, 13은 주 자기 회로, 및 14는 부 자기 회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의 승압 변압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서의 승압 변압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서의 승압 변압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의 마그네트론 구동 전원의 변압기의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면 부호 202는 1차 권선, 203은 2차 권선, 및 212는 공간 절연층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의 마그네트론 구동 전원의 변압기의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마그네트론 구동 전원의 주요부의 회로도이다;
도 9a는 누설 자속이 클 때 반도체 스위칭 소자의 전압 및 전류 발생의 파형도이며, 도 9b는 누설 자속이 작을 때 반도체 스위칭 소자의 전압 및 전류 발생의 파형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변압기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의 마그네트론 구동용 승압 변압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면 부호 315는 1차 권선, 316은 2차 권선, 318 및 319는 E형 자성체, 320은 주 자기 회로, 321은 부 자기 회로, 322는 외부 보빈, 324는 공간, 328 및 329는 각각 E형 자성체의 한 쪽 단부, 330 및 331은 E형 자성체의 다른 쪽 단부, 및 333은 틈새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변압기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에서의 마그네트론 구동용 승압 변압기 유닛의 승압 변압기의 측 단면도이며, 도면 부호 402는 1차 권선, 403은 2차 권선, 404는 히터 권선, 405는 코어(자성체), 408은 승압 변압기, 424는 내부 보빈, 425는 외부 보빈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마그네트론 구동용 승압 변압기 유닛의 필라멘트 전류 및 애노드-캐소드 전압의 시간 변화 및 전원 제어 특성을 도시한 특성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14 실시예에서의 마그네트론 구동용 승압 변압기 유닛의 승압 변압기의 측단면도이며, 도면 부호 402는 1차 권선, 403은 2차 권선, 424는 내부 보빈, 425는 외부 보빈, 428은 주 자기 회로, 및 429는 부 자기 회로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승압 변압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a는 도 15에 도시된 승압 변압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17b는 도 15에 도시된 승압 변압기의 외관을 도시한 측면도; 도 17c는 도 15에 도시된 승압 변압기의 외관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15 실시예에서의 마그네트론 구동용 승압 변압기의 회로도이며, 도면 부호 519는 마그네트론, 520은 고압 배압 정류 회로부, 521은 승압 변압기, 522는 스위칭 회로, 523은 새시 접지, 및 524는 DC 전원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15 실시예에 있어서의 승압 변압기의 단면도이며, 도면 부호 525는 1차 보빈, 526은 1차 권선, 527은 2차 보빈, 528은 2차 권선, 529는 히터 권선, 530 및 531은 각각 E형 자성체, 및 532는 주 자기 회로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15 실시예에서의 승압 변압기의 단면도이며, 525는 1 차 보빈, 527은 2차 보빈, 531은 E형 자성체, 533은 1차 권선 단부 부분, 534는 2차 권선 단자 부분, 535는 히터 권선 단자 부분, 536은 자성체 접지 단자 부분, 537은 인쇄회로 기판, 및 538은 삽입공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16 실시예에서의 승압 변압기의 단면도이며, 도면 부호 531은 E형 자성체, 533은 1차 권선 단자 부분, 534는 2차 권선 단자 부분, 535는 히터 권선 단자 부분, 및 537은 인쇄회로 기판이다;
도 22는 관련 기술에서의 승압 변압기의 개략도이다;
도 23은 관련 기술에서의 마그네트론 구동 전원의 변압기의 구성을 도시한 외관도이다;
도 24는 관련 기술에서의 마그네트론 구동용 승압 변압기 유닛의 승압 변압기의 단면도이다;
도 25는 도 24에 도시된 마그네트론 구동용 승압 변압기 유닛의 회로도이다;
도 26은 또 다른 관련 기술에서의 마그네트론 구동용 승압 변압기 유닛의 승압 변압기의 단면도이다;
도 27은 도 13에서의 마그네트론 구동용 승압 변압기의 필라멘트 전류와 애노드-캐소드 전압의 시간 변화와 전원 제어 특성을 도시한 특성도이다;
도 28은 관련 기술에서의 마그네트론 구동용 승압 변압기의 단면도이다;
도 29는 관련 기술에서의 마그네트론 구동용 승압 변압기의 단면도이다;
도 30은 또 다른 관련 기술에서의 마그네트론 구동용 승압 변압기의 단면도이다;
도 31은 또 다른 관련 기술에서의 마그네트론 구동용 승압 변압기의 단면도이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마그네트론 구동용 승압 변압기(8)를 사용하는 마그네트론 구동 전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승압 변압기(8)의 구성의 단면도이다.
마그네트론 구동 전원은 마그네트론(6), 배전압 정류를 위한 고압 배압 정류 회로(7), 마그네트론(6)을 승압하기 위한 승압 변압기(8), 승압 변압기(8)의 1차 측에 접속된 스위칭부(9), 및 DC 전원(10)을 가진다.
승압 변압기(8)는 1차 권선(1), 2차 권선(2), 히터 권선(3), 및 E형 자성체(11,12)들로 이루어지고, 1차 권선(1) 및 2차 권선(2)은 주 자기 회로(13)에 대해 동심 적층으로 감겨진다.
부 자기 회로(14)는 1차 권선(1)과 2차 권선(2) 사이에 위치된다. 전원이 1차 측으로부터 2차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고려하여, 1차 권선(1)으로부터 주 자기 회로(13)와 부 자기 회로(14)에서 2차 권선(2)으로 전력이 전달되지만, 부 자기 회로(14)에서는 전력이 2차 권선(2)으로 전달되지 않고, 누설 자속이 만들어지도록 시도되었다.
그러므로, 부 자기 회로(14)의 자기 저항이 조정되는 것에 의하여, 1차 권선(1)과 2차 권선(2) 사이의 결합 계수가 어떤 필요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기술된 실시예에서, 1차 권선(1)은 외측에 배치되고 2차 권선(2)은 내측에 배치되지만; 1차 권선(1)이 내측에 배치되고 2차 권선(2)이 외측에 배치되면, 물론 유사한 이점이 제공될 수 있다. 히터 권선(3)은 어떤 필요한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 2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의 승압 변압기의 개략도이다. 이전에 도 2를 참조하여 기술된 것들과 동일한 부품들은 도 3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로 지시되며, 다시 상세하게 기술되지 않는다.
도 3에서, E형 자성체(11,12)의 부 자기 회로(14) 부분의 면적은 점선 부분으로부터 실선 부분으로 작게 하면, 부 자기 회로(14)의 자기 저항은 틈새(15)가 일정한 것으로 가정하여 증가되고; 결과적으로, 1차 권선(1) 및 2차 권선(2)의 결합 계수가 크게 된다.
그러므로, 부 자기 회로의 단면적이 증가되거나 또는 감소되는 것에 의하여, 결합 계수를 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제 3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서의 승압 변압기의 개략도이다. 전에 도 2를 참조하여 기술된 것들과 동일한 부품들은 도 4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로 지시되며, 다시 상세하게 기술되지 않는다.
도 4에서, E형 자성체(11,12)의 부 자기 회로(14) 부분의 길이는 점선으로부터 실선으로 짧게 만들어지면, 틈새(15)는 크게 되고, 부 자기 회로(14)의 자기 저 항은 증가되며; 결과적으로, 1차 권선(1)과 2차 권선(2)의 결합 계수는 크게 된다.
그러므로, 부 자기 회로의 다리 길이(즉, 틈새)가 증가되거나 또는 감소되는 것에 의하여, 결합 계수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 2 및 제 3 실시예들은 말할 필요도 없이 두 실시예들을 특징들에 근거하여 결합 계수를 조정하기 위하여 결합될 수 있다.
(제 4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서의 승압 변압기의 개략도이다.
도 5에서, 승압 변압기(8)는 1차 권선(1), 2차 권선(2), 히터 권선(3), E형 자성체(11), 및 I자 형상의 자성체(16)로 이루어지며, 1차 권선(1)과 2차 권선(2)은 주 자기 회로(13)에 대하여 동심 적층으로 감겨진다.
부 자기 회로(14)는 1차 권선(1)과 2차 권선(2) 사이에 제공된다. 제 2 및 제 3 실시예에서와 같이, 한 쪽 또는 양쪽의 면적, 및 부 자기 회로(14)의 자성체의 다리 부분의 길이가 I자 형상의 자성체와의 결합 지점에서 증가되거나 감소되는 것에 의하여, 결합 계수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다양한 자성체들이 임의로 결합되는 것에 의하여, 결합 계수는 용이하게 조정될 수 있다.
(제 5 실시예)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는 점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도시하도록 그 한 쪽으로부터 마그네트론 구동 전원의 변압기의 단면도이다. 변압기(209)는 1차 권선(202)이 감겨지는 외부 보빈(210), 2차 권선(203)이 감겨지는 내부 보빈(211)을 포함하며, 내부 보빈(211)은 동심 권선 구조로서 외부 보빈(210)의 내경 내로 슬라이드된다. 내부 보빈(211)이 외부 보빈(210)내로 삽입되는 것으로, 외부 보빈(210)은 1차 권선(202)과 2차 권선(203)을 절연한다. 아울러, 2차 권선(203)은 그 보빈 주위에 전체적으로 감겨지지 않는 것에 의하여, 공간 절연층(212)이 형성된다. 더욱이, 인버터 작업을 정확하게 만들도록, 2개의 코어(207)들이 틈새(213)를 가지고 내부 보빈(211)의 내경 내로 삽입된다.
이 구성에 따라서, 고주파수의 대용량 전류가 흘러 많은 열을 발생시키는 1차 권선(202)은 외부 대기중으로 노출되는 확장된 면적을 가지며, 냉각 수단의 냉각 팬의 바람이 전체 표면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취하여, 냉각 효과를 크게 개선한다. 한편, 승압 변속기 때문에, 2차 권선(203)은 1차 권선(202) 보다 많은 수의 권선수를 가지지만, 1차 권선(202)보다 열을 적게 발생하여서, 2차 권선(203)이 밀폐 밀봉 상태에서 외부 보빈(210)에 수용되고 냉각풍에 노출되지 않을지라도 큰 온도 상승이 발생하지 않는다. 더욱이, 공간 절연층(212)은 1차 권선의 열이 2차 권선과 간섭되어 온도를 비정상적으로 상승시키는 상황을 피하기 위한 열 절연 효과를 나타낸다.
아울러, 전기적인 고장에 의해 유발되는 PS의 단락과, 2차 권선상에서의 고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전자 레인지의 승압 변압기에 대한 가장 치명적인 변수를 위하여, 외부 보빈(210)의 권선면 바닥의 수지 두께 및 공간 절연층(212)의 2중 절연 구조가 제공되고, 그러므로, 신뢰성이 크게 향상된다. 이와 관련하여, 1차 권 선(202)은 고주파수의 대용량 전류에 의해 유발되는 스킨 효과 또는 근접효과와 같은 고주파수 고유의 동 손실에 있어서의 증가를 방지하기 위한 리츠선(Litz wire)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단선 또는 비틀린 몇 개의 선들의 리츠선 권선이 2차 권선으로서 사용된다.
코어에 틈새를 구비한 자기 누설 형태의 변압기가 전자 레인지의 승압 변압기로서 사용된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사용하는 마그네트론 구동 전원의 작동이 도 8을 참조하여 간단하게 기술된다. 전파 정류기 스택(215, 단방향 전원부)은 상업적인 전원(214)을 단방향 전원으로 변환한다. 단방향 전원을 정류하여 평활화 하기 위한 정류 필터부(226)는 초크 코일(216)과 평활 콘덴서(217)를 포함한다. 정류 필터부(226)에 의해 제공되는 DC 전압은 인버터부(217)에 의하여 고주파 전력으로 변환된다.
DC 전압은 반도체 스위칭 소자(218)가 온 됨으로써 승압 변압기(209)의 1차 측에 적용된다. 동시에, 전류는 누설 인덕턴스로 흐르고, 여자 인덕턴스 및 에너지가 축적된다. 일반적으로,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IGBT)가 반도체 스위칭 소자(218)로서 사용된다.
반도체 스위칭 소자(218)는 1회 후에 오프되고, 공진이 공진 콘덴서의 탱크 회로에서 발생하고, 인덕턴스 성분과 공진 전압이 변압기의 1차측에서 발생한다. AC 전압이 온 및 오프 사이클에 따라서 승압 변압기(209)에 적용된다. 스위칭 제어 회로(222)는 반도체 스위칭 소자(218)에 온/오프 신호를 보낸다.
온 및 오프 사이클이 빠르게 되는 것에 의하여, 고주파수의 AC 전압이 승압 변압기(209)의 1차 측에 적용된다. 그러므로, 상업적인 전원은 고주파수의 전원으로 변환된다. 콘덴서(219) 및 다이오드(220,221)들로 이루어지는 반파 배전압 회로로서 이행되는 고전압 회로(228)는 2차 고주파수의 고전압을 높은 DC 전압으로 변환하여 마그네트론(222)에 전압을 인가한다. 반파 배전압 회로의 작업이 공지되었으며, 그러므로, 상세한 작업 원리는 기술되지 않는다. 마그네트론(222)의 캐소드는 히터 권선(205)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때문에 고온으로 되고, 전자들이 여자되어 마이크로파를 발생시킨다.
누설 자속이 코어의 틈새(213)에 제공되는 것에 의하여, 인버터의 작업이 변한다. 도 9a 및 도 9b들은 반도체 스위칭 소자(218)의 컬렉터-에미터 전압(Vce)과 전류(Ic)의 파형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9a는 누설 인덕턴스가 코어에 제공되는 틈새(213)와 함께 큰 상태를 도시한다. 전류가 Ic의 음측으로 흐를 때, 전류는 IGBT가 배치된 플라이 휠 다이오드(FWD)로 흐르고; 전류가 Ic의 양측으로 흐를 때, 전류는 IGBT로 흐른다. 여자에서, IGBT가 온일 때, 전류는 램프(ramp) 파형처럼 성장하고, IGBT가 일시에 오프될 때 공진 모드가 진입된다. 공진 전압이 음측으로 스윙할 때, 다시 전류는 FWD로 흐른다. 그 동안 IGBT가 온되면, 제로 전압 스위칭이 달성될 수 있으며, 과잉 부하가 IGBT상에 배치되지 않는다.
도 9b는 누설 인덕턴스가 작은 상태를 도시한다. 이 때, 공진 회로의 여자는 감쇄되고, Vce는 제로 전압 이하로 떨어지지 않고, 여자는 점선으로 지시된 바와 같은 상승 모드로의 전이를 만든다. 이 때, IGBT가 온되면, Vce 전압을 유지하는 상태로 온되어서, 하드 스위칭이 발생하고, 여자 전류가 흐르고 IGBT 상에서의 부 하가 성장하여 발열 고장이 일부의 경우에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관점으로부터, 이러한 하드 스위칭을 이끄는 현상은 2차 권선이 1차 권선 바로 아래 배치되어 권선들 사이의 자기 에너지의 직접적인 전송이 많고 밀접한 결합이 발생하여 도 9b에 도시된 상태가 쉽게 진입되기 때문에 누설 인덕턴스가 적절하지 않으면 발생한다. 그러나, 공간 절연층이 권선들을 물리적으로 분리하기 위하여 1차 및 2차 권선들 사이에 제공되는 것에 의하여, 열등한 결합 상태에 가깝게 되고, 도 9a에 도시된 상태가 진입되고, 하드 스위칭에 의하여 유발되는 IGBT 상에서의 과잉 부하가 발생하지 않는다.
(제 6 실시예)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마그네트론 구동용 전원의 변압기를 도시한다. 2차 권선(203)이 감겨지는 내부 보빈(211)은 4개의 부분으로 분할되고; 권선이 한 쪽 단부에서 시작하면, 권선은 다른 쪽 단부에서 종료한다. 이러한 경우에, 2차 권선이 감겨지는 부분들은 수지로 절연되므로, 2차 권선(203)들 부분 사이에서 전기적인 고장이 만들어지는 위험이 배제될 수 있다. 2차 권선이 권선 분할들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2차 권선(203)에서 동 손실에 의해 발생되는 열은 권선 홈들로 분산되어 방열되어서, 우수한 방열 특성, 즉 온도 상승을 억제하는 이점이 제공될 수 있다.
공간 절연층(212)이 제공된다. 그러므로, 정렬된 권선이 각 권선홈에 수용되고 부분적인 권선 혼란이 발생하면, 2차 권선이 감겨지는 분할 홈들은 수지로 절연되고, 그러므로, 권선(203)들의 부분들 사이에서 전기 고장을 만드는 위험이 배제 될 수 있으며, 물론 덧붙여 공간 절연층(212)은 2차 권선(203)과 1차 권선의 열이 간섭하여 온도를 비정상적으로 상승시키는 상황을 피하기 위하여 열 절연 효과를 나타낸다. 아울러, 전기적인 고장에 의하여 유발되는 PS의 단락, 2차 권선 상에서 고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전자 레인지의 승압 변압기에 대해 가장 치명적인 변수를 위하여, 외부 보빈(210)의 권선 전면 바닥의 수지 두께 및 공간 절연층(212)의 2중 절연 구조가 제공되고, 그러므로, 신뢰성이 크게 향상된다.
(제 7 실시예)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된다. 도 10에서, 1차 권선이 감겨지는 외부 보빈(210)과, 2차 권선(211)이 감겨지는 내부 보빈(211)들이 분리된 조각으로서 제공되고, 내부 보빈은 외부 보빈의 내경 내로 슬라이드 삽입된다. 도면 부호 225는 삽입 스토퍼이며, 이것에 의하여, 내부 보빈(211)과 외부 보빈(210)의 삽입 상태에서 임시 고정이 가능하게 될 수 있으며, 코어(207)의 추후 삽입시에 보빈이 부착되도록 작업성의 저하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부품들은 별도로 제작되어 조립될 수 있으며, 내부 보빈 주위의 권선 및 외부 보빈 주위의 권선들은 동시에 취급될 수 있고, 제조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끼워 삽입하는 것에 의하여, 1차 및 2차 권선들 사이의 상대 위치 관계가 간단한 구조에 따라서 정확하게 결정될 수 있고, 변압기의 전기 특성에서의 진동이 줄어든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의 마그네트론 구동용 승압 변압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은 승압 변압기를 사용하는 마그네트론 구동용 전원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변압기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에서, 마그네트론 구동 전원은 마그네트론(6), 배전압 정류 회로(7), 마그네트론(6)에 승압된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승압 변압기(8), 승압 변압기(8)의 추측에 연결된 스위칭 회로(9), 및 DC 전원 회로(10)를 가진다.
도 11에서, 승압 변압기(8)는 1차 권선(315), 2차 권선(316), 히터 권선(317), 및 E형 자성체(318,319)로 이루어지고, 1차 권선(315)과 2차 권선(316)들은 주 자기 회로(320)에 대해 동심 적층으로 감겨진다. 부 자기 회로(321)는 1차 권선(315)과 2차 권선(316) 사이에 존재한다. 1차 측으로부터 2차 측으로의 전력 전달을 고려하여, 주 자기 회로(320) 및 부 자기 회로(321)에서 1차 권선(315)으로부터 2차 권선(316)으로 전력을 전달하는 시도가 만들어졌지만, 전력은 부 자기 회로(321)에서 2차 권선(3160으로 전달되지 않고, 누설 자속이 만들어진다. 그러므로, 부 자기 회로(321)의 자기 저항이 조정되는 것에 의하여, 1차 권선(315)과 2차 권선(316) 사이의 결합 계수가 어떤 필요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승압 변압기(8)는 1차 권선(315)이 감겨지는 외부 보빈(322)과 2차 권선(316)이 감겨지는 내부 보빈(323)을 포함한다.
도 12에서와 같이, 내부 보빈(323)은 동심의 권선 구조로서 외부 보빈(322)의 내경 내로 슬라이드된다. 내부 보빈(323)이 외부 보빈(322) 내로 슬라이드되는 것으로, 외부 보빈(322)은 1차 권선(315)과 2차 권선(316)을 절연한다. 아울러, 2차 권선(316)은 그 보빈 주윙에 전체적으로 감기지 않는 것에 의하여, 절연층과 같은 공간(324)이 형성된다. 더욱이, 인버터 작업을 정확하게 만들도록, E형 자성체(318, 319)의 중심 단부(326, 327)들이 틈새(325)를 두고 내부 보빈(323)의 내경으로 삽입된다. E형 자성체(318, 319)의 한 쪽 단부들은 1차 권선(315)의 외측에 위치되고, E형 자성체(318, 319)의 다른 쪽 단부들은 2차 권선(315)과 외부 보빈(322) 사이에 위치되며, 1차 권선(315)은 외부 보빈에 감겨지고 더욱이 E형 자성체(318, 319)를 삽입하기 위하여 외부 보빈(322)의 구멍(332)에 삽입된다.
다음에, 부 자기 회로(3231)에 대하여 자기 특성에 관련된 E형 자성체(318, 319)의 치수는 본 발명의 마그네트론 구동용 승압 변압기의 크기를 결정하는 변수들중 하나로서 논의된다. 부 자기 회로(321)는 결합 계수가 인버터 특성으로부터 약 0.7 내지 0.9로 설정되도록 결정된다. 부 자기 회로(321)를 형성하는 E형 자성체(318, 319)의 두께(t1 및 t2)가 검사되면, 자기 포화되지 않은 안정한 면적이 설정될 수 있다. 부 자기 회로(321)를 형성하는 E형 자성체(318, 319)의 틈새(333)가 조정되면, 결합 계수는 0.7 내지 0.9로 조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E형 자성체(318, 319)의 두께(t1 및 t2)에 응하는 최적 치수의 구멍(332)이 결정되고, 작고 콤팩트한 승압 변압기가 제공될 수 있다.
다음에, 부 자기 회로(321) 및 주 자기 회로(320)을 형성하는 E형 자성체(318, 319)를 위하여, 페라이트들이 서로 접촉되거나 또는 틈새(325,333) 등에서 서로로부터 분리되어, 스위칭 회로(9)의 작업동안 귀에 거슬리는 금속음을 만든다. 그러므로, 수지 스페이서(334 및 335)들이 각각 틈새(325,333)에 삽입된다. 수지 외부 보빈(322)이 부 자기 회로(321)에 존재하는 수지 스페이서(335)에 인접하여 존재하기 때문에, 수지 스페이서(335)는 수지 외부 보빈(322)과 함께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수지 스페이서(335)는 외부 보빈(322)과 일체로 성형되는 것에 의 하여, 구멍(332)의 깊이로 작은 스페이서를 부착하는 어려움이 배제되고, E형 자성체(318, 319)들이 구멍(332)의 양측으로부터 삽입되는 것에 의하여, E형 자성체(318, 319)의 양쪽 단부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지 않고, 수지 스페이서(335)가 E형 자성체(318, 319)의 양쪽 단부(330 및 331)들 사이에 배치되어; 작업성이 보다 좋게 되고, 더욱이 말할 필요도 없이, 비정상적인 귀에 거슬리는 음이 발생되지 않는다.
다음에, 마그네트론 구동용 승압 변압기의 작동 및 기능이 기술된다. 이 구성에 따라서, 고주파수의 대용량의 전류가 흐르고 큰 열을 발생시키는 1차 권선은 외부 대기로 노출되는 큰 면적을 가지며, 냉각 수단의 냉각 팬의 바람이 전체 표면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취하여, 냉각 효과를 상당하게 개선한다. 한편, 승압 변압기 때문에, 2차 권선(316)은 1차 권선(315)보다 많은 수의 권선수를 가지지만, 1차 권선(315)보다 적은 열을 발생시켜서, 2차 권선(316)이 밀봉 상태로 외부 보빈(322)에 수용되고 냉각풍에 노출되지 않을지라도 많은 온도 상승이 발생하지 않는다. 더욱이, 공간(324)은 1차 권선(315)이 2차 권선(316)과 간섭하여 비정상적으로 온도를 상승시키는 상태를 피하기 위하여 열 절연을 설명할 수 있다.
아울러, 전기적인 고장에 의하여 유발되는 PS의 단락, 2차 권선 상에서의 고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전자 레인지의 승압 변압기에 대해 가장 치명적인 변수를 위하여, 외부 보빈(322)의 권선 전면 바닥의 수지 두께와 공간(324)의 2중 절연 구조가 제공되고, 그러므로, 신뢰성이 크게 향상된다. 이러한 연결에 있어서, 1차 권선(315)은 고주파수의 대용량 전류에 의하여 유발되는 스킨 효과 또는 근접 효과 와 같이 고주파수 고유의 동 손실에서의 증가를 방지하기 위하여 리츠 선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단선 또는 비틀린 몇 개의 선들의 리츠선 권선이 2차 권선으로서 사용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마그네트론 구동용 승압 변압기는 1차 권선, 및 외측에 배치된 1차 권선과 동심으로 내측에 배치되는 2차 권선을 가지며, 1차 권선과 2차 권선 사이에 제공되는 소정의 공간을 가져서, 큰 전류가 흐르고 많은 열을 발생시키는 1차 권선은 대기중으로 많이 노출될 수 있으며, 그러므로, 온도 성능(냉각 성능)이 향상될 수 있으며, 1차 권선과 2차 권선 사이에 제공되는 공기층의 공간 때문에, 2차 권선의 온도 성능이 또한 1차 측으로부터 2차 측으로 열을 전도하여 권선 온도를 상승시킴이 없이 개선될 수 있다.
1차 권선 및 2차 권선의 전기 절연은 공기층의 공간을 제공하는 것에 의하여 보다 향상될 수 있으며; 보다 많은 개선 효과가 안전성에서 만들어질 수 있다.
1차 권선의 보빈이 2차 권선의 보빈의 내경으로 슬라이드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어서, 부품들이 별도로 제조되어 조립되고, 내부 보빈에 감겨진 권선과 외부 보빈에 권선이 동시에 작업되어, 제조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끼우고 삽입하는 것에 의하여, 1차 및 2차 권선들 사이의 상대 위치 관계는 용이하고 정확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변압기의 전기 특성에 있어서의 변화가 줄어든다.
(제 9 실시예)
도 13은 일측으로부터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의 마그네트론 구동용 승압 변 압기의 측단면도이다. 이전에 도 24를 참조하여 기술된 것들과 동일한 부분들은 도 13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로 인용되며, 다시 상세하게 기술되지 않는다.
2차 권선(403)과 히터 권선(404)들은 하나의 조각으로 만들어진 내부 보빈(424)에 감겨진다. 1차 권선(402)이 감겨지는 외부 보빈(425)은 내부 보빈(424)이 외부 보빈의 내경에 슬라이드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진다. 아울러, 코어(405)의 다리는 내부 보빈(424)의 내경에 슬라이드된다. 코어(405)는 투피스로 만들어지고 코어(405)의 다리 쌍들의 바닥의 마주하는 거리가 조정되는 것에 의하여, 인버터 작동이 안정한 승압 변압기의 1차 권선(402)과 2차 권선(403) 사이의 결합 계수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권선들 사이에 많은 양의 직접 전달 자속 때문에 0.9 이하로 결합 계수를 낮추는 것은 어렵다.
이러한 동심의 다층 구조가 채택되는 것에 의하여, 1차 권선(402)과 히터 권선(404) 사이의 결합 계수가 상승될 수 있으며, 전원 제어시에 필라멘트 전류(If)에서의 변화가 도 14에서와 같이 줄어들 수 있으므로, 인버터의 전원 제어 특징이 마그네트론의 모딩 현상을 일으킴이 없이 출력을 낮추도록 낮추어질 수 있으며, 음식물은 낮은 출력으로 가열될 수 있고; 출력이 낮으면 잘 마무리될 수 없는 가열 조리 메뉴가 실현될 수 있다.
승압 변압기(408)의 1차 및 2차 권선들은 별도의 보빈들에 감겨지고, 전자 레인지의 승압 변압기(408)에 치명적인 PS의 단락이 극히 발생하기 어려우며, 매우 안전한 전자 레인지가 제공될 수 있다.
이 예에서, 2차 권선(403)과 히터 권선(404)들은 내부 보빈(424)에 감겨지 고, 1차 권선(402)은 외부 보빈(405)에 감겨진다. 역으로, 1차 권선(402)이 내부 보빈(424)에 감겨지고 2차 권선(403) 및 히터 권선(404)들이 외부 보빈(425)에 감겨지면, 동일한 이점이 제공될 수 잇다. 노이즈의 냉각 성능과 방사 성능이 선택을 위하여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 이전의 구성이 채택된다.
(제 10 실시예)
도 15는 일측으로부터의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의 마그네트론 구동용 승압 변압기 유닛의 승압 변압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24 및 도 13을 참조하여 이전에 기술된 것들과 동일한 부분들은 도 15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로 인용되며, 다시 상세하게 기술되지 않는다.
마그네트론 구동 전원은 전파 정류 회로(410) 및 DC 전원을 발생시키기 위한 정류 필터(413), 직류 전원을 고주파수 전원으로 변환하기 위한 스위칭 회로의 인버터부(416), 및 고주파수 전원을 고 DC 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배전압 정류 회로로 만들어진다.
승압 변압기(408)는 1차 권선(402), 2차 권선(403), 히터 권선(404), 및 E형 자성체(426,427, E형 코어들)들로 이루어지고, 1차 권선(402), 2차 권선(403), 및 히터 권선(404)들은 주 자기 회로(428)에 대하여 동심 적층으로 감겨진다.
부 자기 회로(429)는 1차 권선(402)과 2차 권선(403) 사이에 존재한다.
1차 측으로부터 2차 측으로의 전원 전달을 고려하여, 주 자기 회로(428)와 부 자기 회로(429)에서 1차 권선(402)으로부터 2차 권선(403)으로 전원을 전달하도록 시도되었지만, 전원은 부 자기 회로(429)에서 2차 권선(403)으로 전달되지 않 고, 누설 자속이 만들어진다.
그러므로, 부 자기 회로(429)의 자기 저항이 조정되는 것에 의하여, 1차 권선(402)과 2차 권선(403) 사이의 결합 계수가 어떤 필요한 값으로도 설정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서 제 1 실시예에의 기술에서 적용된 바와 같이, 공진 전압의 여자를 증강하기 위하여 부 자기 회로(429)에서 결합 계수가 조정되지 않고 스위칭 소자(415)의 스위칭 손실이 안정한 제로 전압 스위칭으로 감소되지 않으면, 일부 인버터 기술은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형태의 인버터 기술 때문에, 본 발명의 기술을 사용하는 결합 계수 조정이 극히 효과적이다.
도 16은 실시예의 승압 변압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2차 권선(403)과 히터 권선(404)이 감겨지는 내부 보빈(424)은 1차 권선(402)이 감겨지는 외부 보빈(425)의 내경 내로 삽입된다. E형 코어(426, 427)들의 중심축들은 상부 및 바닥으로부터 내부 보빈(424)의 내경 내로 삽입되고, 코어 클립(430)은 두 코어의 측부들로부터 삽입되고, 응력이 고정을 위한 탄성력에 의하여 상부 및 바닥으로부터 코어들에 적용된다. E형 코어(426,427)들 사이의 공간은 코어 틈새(431)의 수단에 의하여 조정되어 유지된다.
승압 변압기(408)의 외관이 도 17a 내지 도 17c에 보다 정확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17a는 완성된 제품의 외관의 사시도; 도 17b는 완성된 제품의 외관의 측면도; 및 도 17c는 완성된 제품의 외관의 평면도이다.
(제 11 실시예)
도 18은 본 발명의 마그네트론 구동용 승압 변압기를 사용하는 마그네트론 구동용 승압 변압기 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 및 도 20은 승압 변압기의 단면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그네트론 구동 전원은 마그네트론(519), 배전압 정류를 위한 고압 배압 정류 회로부(52), 마그네트론(519)에 승압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승압 변압기(521), 승압 변압기(521)의 1차 측에 접속된 스위칭 회로부(523), 및 DC 전원(524)으로 이루어진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압 변압기(521)는 1차 보빈(525)에 감겨진 1차 권선(526), 2차 보빈(527)에 감겨진 2차 권선(528) 및 히터 권선(529), E형 자성체(530,531)들로 이루어지고, 2차 권선(528) 및 히터 권선(529)들은 주 자기 회로(532)에 대해 동심 적층으로 감겨진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보빈(525)은 1차 권선 단자 부분(533)이 제공되고, 2차 보빈(527)은 2차 권선 단자 부분(534) 및 히터 권선 단자 부분(535)이 제공되며; 1차 권선 단자 부분(533), 2차 권선 단자 부분(534), 및 히터 권선 단자 부분(535)들은 E형 자성체(531)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E형 자성체(531)와 접촉되는 자성체 접지 단자(536)가 제공된다. 승압 변압기(521)는 인쇄회로 기판(537)에 만들어진 삽입공(538)으로 삽입되는 단자 부분이 납땜되어 고정되고 1차 권선(526)은 스위칭 회로(523)에 접속되며, 2차 권선(528)은 고압 배압 정류 회로부(52)에 접속되고, 히터 권선(529)은 마그네트론(519)의 히터에 접속되고, E형 자성체(531)의 자성체 접지 단자 부분(536)은 새시 접지(522)에 접속된다.
다음에, 작동 및 기능이 기술된다. 1차 보빈(525)은 1차 권선 단자 부분(533)이 제공되고, 2차 보빈(527)은 2차 권선 단자 부분(534) 및 히터 권선 단자 부분(535)이 제공되고, 1차 권선 단자 부분(533), 2차 권선 단자 부분(534) 및 히터 권선 단자 부분535)은 E형 자성체(531)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다음에, E형 자성체(531)와 접촉되는 자성체 접지 단자 부분(536)이 제공된다. 그러므로, 먼지가 인쇄회로 기판에 퇴적되거나 또는 이슬 응축이 해안가에서 염 공기로 인하여 인쇄회로 기판에 발생하고 또한 여백 방전이 고압 배압 정류 회로부(520)에 접속된 2차 권선 단자 부분(534) 및 히터 권선 단자 부분(535) 및 고전위에 있는 마그네트론(519)의 히터로부터 스위칭 회로부(523)에 접속된 1차 권선 단자 부분(533)의 방향으로 용이하게 발생하는 상황이 용이하게 진입되면, E형 자성체(531)는 1차 권선 단자 부분(533), 2차 권선 단자 부분(534) 및 히터 권선 단자 부분(535)들 사이에 끼워지고, 더욱이, E형 자성체(531)의 자성체 접지 단자 부분(536)은 새시 접지(522)에 접속되어서, 전류는 2차 권선 단자 부분(534) 또는 히터 권선 단자 부분(535)으로 흐르거나 또는 자성체 접지 단자 부분(536)을 통하여 새시 접지(522)로 흘러, 스위칭 회로부(523)에 접속된 1차 권선 단자 부분(533)에 대한 고전압 단락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기술에 있어서, 1차 권선(526)은 외측에 배치되고, 2차 권선(528) 및 히터 권선(529)들은 내측에 배치되며; 1차 권선(526)이 내측에 배치되고 2차 권선(528) 및 히터 권선(529)이 외측에 배치되면, 말할 것도 없이 유사한 효과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기술에 있어서, 한 쌍의 E형 자성체들이 채택되거나 또는 자성체 가 단면에 있어서 직사각형이지만, 한 쌍의 EI형 자성체들이 채택되거나 자성체가 원형 또는 타원형이면, 동일한 단자 부분 및 자성체 구성에 채택되면 말할 것도 없이 유사한 이점이 제공된다.
(제 12 실시예)
도 21은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의 마그네트론 구동용 승압 변압기를 도시한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여 이전에 기술된 것들과 동일한 부분은 도 21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로 인용되며, 다시 상세하게 기술되지 않는다.
도 21에서, 1차 권선 단자 부분(533), 2차 권선 단자 부분(534) 및 히터 권선 단자 부분(535) 사이에 놓여진 공간 거리는 A 치수이고, 2차 권선 단자 부분(534)과 E형 자성체(531) 사이의 공간 거리는 B 치수이며, B 치수는 A 치수의 절반보다 작게 만들어진다.
다음에, 작동 및 기능이 기술된다. B 치수는 A 치수의 절반보다 작게 만들어진다. 그러므로, 먼지가 인쇄회로 기판에 퇴적되거나 또는 이슬 응축이 해안가에서 염 공기로 인하여 인쇄회로 기판에 발생하고 또한 여백 방전이 고압 배압 정류 회로부(520)에 접속된 2차 권선 단자 부분(534) 및 히터 권선 단자 부분(535) 및 고전위에 있는 마그네트론(519)의 히터로부터 스위칭 회로부(523)에 접속된 1차 권선 단자 부분(533)의 방향으로 용이하게 발생하는 상황이 용이하게 진입되면, 전류는 2차 권선 단자 부분(534) 또는 히터 권선 단자 부분(535)으로부터 E형 자성체(531)로 보다 쉽게 흐르거나 또는 자성체 접지 단자 부분(536)을 통하여 새시 접지(522)로 흘러, 스위칭 회로부(523)에 접속된 1차 권선 단자 부분(533)에 대한 고전압 단 락을 방지하는 효과를 증가시킨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승압 변압기에 따라서, 1차 권선과 2차 권선 사이에 배치된 부 자기 회로의 존재로 1차 권선과 2차 권선 사이의 누설양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동심 적층 권선형 변압기기 어떤 필요한 결합 계수를 제공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동심 적층 권선형 변압기에 따라서, 권선들 사이의 결합 계수가 강하여서, 자성체가 대용량의 전류에 대해서도 포화되지 않게 만들어질 수 있으며; 승압 변압기는 큰 출력을 제공하도록 소형화될 수 있다.
어떤 필요한 결합 계수는 부 자기 회로의 자성체의 면적, 길이(틈새 길이) 등을 조정하는 것에 의하여 제공될 수 있고, 승압 변압기의 구조 및 절연에 응하여 필요한 자성체 형상을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최적의 승압 변압기 형상이 제조될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이, 제 7 또는 제 8 양태에 따라서, 변압기는 외측에 배치된 1차 권선과, 내측에서 1차 권선과 동심으로 배치되는 2차 권선을 가지며 1차 권선과 2차 권선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가져서, 대용량의 전류가 흐르고 많은 열을 발생시키는 1차 권선이 대기중에 많이 노출될 수 있으므로, 온도 성능(냉각 성능)이 향상되고, 1차 권선과 2차 권선 사이에 제공되는 공간(공기층) 때문에, 2차 권선의 온도 성능 또한 권선 온도를 상승시키는 1차측에서의 2차측으로 열을 전도함이 없이 개선될 수 있다.
1차 권선과 2차 권선의 전기 절연은 공기층을 제공하는 것에 의하여 보다 향상될 수 있으며; 보다 개선적인 효과가 또한 안전성에 있어서 만들어질 수 있다.
제 9 양태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라서, 1차 권선의 보빈은 2차 권선의 보빈의 내경 내로 슬라이드 삽입되어 끼워져서, 부품들이 별도로 제조되어 조립되고, 내부 보빈에 감겨진 권선 및 외부 보빈에 감겨진 권선들은 동시에 취급될 수 있으며, 제조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끼워 삽입하는 것에 의하여, 1차 및 2차 권선들 사이의 상대 위치 관계가 용이하고 정확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변압기의 전기 특성에 있어서의 변화가 줄어든다.
상기된 바와 같이, 제 10 내지 제 12 양태들중 어느 것에 청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라서, 공간 변수가 상당히 줄어든다.
상기된 바와 같이, 제 13 양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라서, 상업적인 전원의 전압을 구비한 승압 변압기의 1차 회로와 접지 전위로서 캐비닛 금속 새시를 가지는 2차 회로의 전기 절연 강도가 제공된 크게 신뢰할 수 있는 마그네트론 구동용 승압 변압기 유닛이 제공될 수 있고, 1차 권선과 히터 권선 사이의 자기 결합이 증가되고, 필라멘트 전류에 있어서의 변화가 인버터의 전원 제어시에도 줄어들 수 있고, 마그네트론은 저출력으로부터 고출력으로 모딩을 유발하지 않는다.
제 14 양태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라서, 작동이 부 자기 회로를 포함하는 누설 자속형 승압 변압기 때문에 높은 결합 계수로 비정상적으로 기능하지 않는 어떤 필요한 결합 계수를 가지는 승압 변압기가 또한 인버터를 위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어떤 인버터와 호환될 수 있는 진보된 범용 다양성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서, 여백 방전이 고전압 회로에 접속된 제 2 및 제 3 권선들 단자 부분들 및 고전위에 있는 마그네트론의 히터로부터 스위칭 회로에 접속된 제 1 권선의 단자 부분의 방향으로 용이하게 발생하는 상황이 용이하게 진입되면, 제 2 및 제 3 권선들의 단자 부분들이 자성체를 사이에 두고 제 1 권선의 단자 부분과 마주하여서, 제 2 및 제 3 권선들의 단자 부분들로부터 자성체로 방전이 발생하여, 전류가 자성체로부터 자성체 접지 단자를 통하여 접속된 새시 접지로 흘러, 스위칭 회로에 접속된 제 1 권선의 단자 부분에 대한 고전압 단락을 방지하는 효과를 만든다.

Claims (16)

  1. 마그네트론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승압 변압기와,
    상기 승압 변압기의 1차측에 접속되는 스위칭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승압 변압기는 상기 승압 변압기의 1차 권선 및 2차 권선을 동심으로 층 권취하기 위한 주 자기 회로와,
    1차 권선과 2차 권선 사이의 적어도 일부분에 누설 자속을 발생시키기 위한 부 자기 회로를 포함하는 마그네트론 구동용 승압 변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자기 회로 및 부 자기 회로는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E형 자성체를 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되는 마그네트론 구동용 승압 변압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자기 회로 및 부 자기 회로는 서로 마주하는 E형 자성체와 I형 자성체를 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되는 마그네트론 구동용 승압 변압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 자기 회로를 형성하는 자성체는 필요한 누설 자속양에 응하여 변화되는 자기 저항을 가지는 마그네트론 구동용 승압 변압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저항은 자성체의 단면적에 근거하여 변화되는 마그네트론 구동용 승압 변압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저항은 자성체들 사이의 틈새에 근거하여 변화되는 마그네트론 구동용 승압 변압기.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1차 권선과,
    그 사이에 소정의 틈새를 두고 상기 1차 권선 내측에 배치되는 2차 권선과,
    상기 1차 권선과 상기 2차 권선 사이에 누설 자속을 발생시키기 위한 부 자기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부 자기 회로는 상기 1차 권선 및 상기 2차 권선의 한 쪽 단부 외측에 배치되는 E형 자성체를 포함하는 마그네트론 구동용 승압 변압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E형 자성체의 두께 및 틈새는 결합 계수가 상기 부 자기 회로의 자력을 조정하는 것에 의하여 0.7 내지 0.9로 설정되도록 결정되는 마그네트론 구동용 승압 변압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부 자기 회로의 틈새에 배치되는 스페이서는 외부 보빈과 일체로 성형되는 마그네트론 구동용 승압 변압기.
  13. 마그네트론과,
    상기 마그네트론에 구동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승압 변압기와,
    상기 승압 변압기의 1차측에 접속된 스위칭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승압 변압기는 1차 권선, 2차 권선, 및 히터 권선의 세 형태의 권선들과,
    상기 1차 권선으로부터 다른 권선으로 자속으로서 상기 스위칭 회로의 전원을 전달하기 위한 자성체들과,
    상기 1차 권선이 감겨지는 외부 보빈과,
    상기 2차 권선 및 상기 히터 권선이 감겨지며, 상기 외부 보빈 내측에 배치되는 내부 보빈을 포함하며,
    상기 권선들은 자성체의 자기 회로에 대해 동심 적층으로 감겨지는 마그네트론 구동용 승압 변압기 유닛.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권선들은 주 자기 회로를 형성하는 자성체에 대해 동심 적층으로 감겨지고,
    상기 외부 보빈과 부 자기 회로를 형성하는 자성체들은 상기 1차 권선, 상기 2차 권선 및 히터 권선들인 마그네트론 구동용 승압 변압기 유닛.
  15. 마그네트론과,
    상기 마그네트론에 고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고전압 회로와,
    상기 마그네트론의 히터와 상기 고전압 회로에 구동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승압 변압기와,
    상기 승압 변압기의 1차 측에 접속된 스위칭 회로와,
    상기 승압 변압기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고전압 회로, 상기 마그네트론의 히터, 및 상기 스위칭 회로들이 인쇄 배선되는 인쇄회로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승압 변압기의 제 1, 제 2 및 제 3 권선들은 주 자기 회로를 형성하는 자성체에 대하여 2개 이상의 보빈들 주위에서 동심 적층으로 감겨지고,
    상기 보빈들은 적절한 위치에 상기 권선들의 단자 부분들이 제공되며,
    상기 보빈들중 하나는 자성체와 접촉하는 자성체 접지의 단자 부분이 제공되고,
    상기 제 1 권선의 단자 부분과 상기 제 2 및 제 3 권선들의 단자 부분들은 자성체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승압 변압기의 상기 권선 단자 부부들은 상기 인쇄회로 기판에 납땜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 1 권선은 상기 스위칭 회로에 접속되고, 상기 제 2 및 제 3 권선들은 상기 고전압 회로와 상기 마그네트론의 히터에 접속되고, 상기 자성체 접지의 단자 부분은 새시 접지에 접속되는 마그네트론 구동용 승압 변압기 유닛.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권선의 단자 부분과 상기 자성체 사이의 공간 거리는 상기 제 1 권선의 단자 부분과 상기 제 2 권선의 단자 부분 사이의 공간 거리의 절반 보다 작게 만들어지고,
    상기 제 3 권선의 단자 부분과 상기 자성체 사이의 공간 거리는 상기 제 1 단자 부분과 상기 제 3 권선의 단자 부분 사이의 공간 거리의 절반 보다 작게 만들어지는 마그네트론 구동용 승압 변압기 유닛.
KR1020017001868A 1999-06-15 2000-06-15 마그네트론 구동용 승압 변압기 및 마그네트론 구동용전원의 변압기 KR1006257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167922A JP2000357617A (ja) 1999-06-15 1999-06-15 マグネトロン駆動用電源のトランス
JP1999-167921 1999-06-15
JP11167921A JP3061052B1 (ja) 1999-06-15 1999-06-15 マグネトロン駆動用昇圧トランス
JP1999-167922 1999-06-15
JP1999-369873 1999-12-27
JP1999-369874 1999-12-27
JP36987399A JP3436226B2 (ja) 1999-12-27 1999-12-27 マグネトロン駆動用昇圧トランス装置
JP36987499A JP3468186B2 (ja) 1999-12-27 1999-12-27 マグネトロン駆動用昇圧トランス装置
JP1999-9837 1999-12-27
JP1999009837U JP3069979U (ja) 1999-12-27 1999-12-27 マグネトロン駆動用昇圧トラン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9643A KR20010079643A (ko) 2001-08-22
KR100625785B1 true KR100625785B1 (ko) 2006-09-20

Family

ID=27519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1868A KR100625785B1 (ko) 1999-06-15 2000-06-15 마그네트론 구동용 승압 변압기 및 마그네트론 구동용전원의 변압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449178B1 (ko)
EP (1) EP1106036B1 (ko)
KR (1) KR100625785B1 (ko)
CN (1) CN1199207C (ko)
AU (1) AU772157B2 (ko)
DE (1) DE60004311T2 (ko)
WO (1) WO20000781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27387B2 (ja) * 2001-08-29 2007-06-06 株式会社オーク製作所 無電極ランプシステム
KR100436148B1 (ko) * 2001-12-24 2004-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렌지
KR100436149B1 (ko) * 2001-12-24 2004-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렌지
JP2003272825A (ja) * 2002-03-12 2003-09-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レンジ用電源装置
JP2004111528A (ja) * 2002-09-17 2004-04-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マグネトロン駆動用昇圧トランス
JP4240998B2 (ja) * 2002-10-28 2009-03-18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高圧放電灯点灯装置
KR100679216B1 (ko) 2002-10-28 2007-02-05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고압방전램프 점등장치 및 상기 고압방전램프 점등장치가 설치된 조명기구
JP2004319690A (ja) * 2003-04-15 2004-11-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マグネトロン駆動用の昇圧トランス及びこれを備えたトランスユニット
US20040217838A1 (en) * 2003-04-29 2004-11-04 Lestician Guy J. Coil device
WO2004097864A2 (en) * 2003-04-29 2004-11-11 Inventive Holdings Llc Coil device
DE102004011867B3 (de) * 2004-03-11 2005-08-04 Block Transformatoren Elektronik Gmbh & Co. Kg Wickelkörper für mindestens zwei Transformatoren
TW200823939A (en) * 2006-04-20 2008-06-01 Spi Electronic Co Ltd Transformer having leakage inductance control
CN101106846B (zh) * 2006-09-13 2011-09-21 阮世良 一种磁控管驱动电源及控制方法
TWI321797B (en) * 2006-10-05 2010-03-11 Delta Electronics Inc Transformer with adaptable leakage inductance
KR100819750B1 (ko) * 2006-12-21 2008-04-07 최홍현 차폐 트랜스
TWI433585B (zh) * 2007-12-03 2014-04-01 Aeon Lighting Technology Inc Three-dimensional miniaturized power supply
CN101459374B (zh) * 2007-12-11 2012-07-18 浩然科技股份有限公司 立体式小型化电源供应器
US7924134B2 (en) * 2007-12-17 2011-04-1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Inductor packaging for power converters
US8514528B2 (en) * 2008-02-27 2013-08-20 Osram Gesellschaft Mit Beschraenkter Haftung Method of protection from over-temperature and corresponding arrangement
US8614615B2 (en) 2010-12-01 2013-12-24 Power Integrations, Inc. Energy transfer assembly with tuned leakage inductance and common mode noise compensation
US8669838B2 (en) * 2012-07-03 2014-03-11 Chicony Power Technology Co., Ltd. Transformer having assembled bobbins and voltage transformation module having the transformer
DE102014202531A1 (de) * 2014-02-12 2015-08-13 Siemens Aktiengesellschaft Hochspannungstransformatorvorrichtung mit einstellbarer Streuung, Wechselrichterschaltung mit einer Hochspannungstransformatorvorrichtung und Verwendung einer Hochspannungstransformatorvorrichtung
WO2015131359A1 (zh) * 2014-03-05 2015-09-11 深圳市欣锐特科技有限公司 一种磁芯、集成磁元件、有源钳位正反激电路及开关电源
JP6547373B2 (ja) * 2015-03-31 2019-07-24 Tdk株式会社 コイル装置およびコイル装置の製造方法
JP7021675B2 (ja) * 2017-10-25 2022-02-1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コイル部品、回路基板、及び電源装置
CN108389702B (zh) * 2018-04-26 2021-08-20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变压器、供电装置和微波烹饪电器
WO2019205249A1 (zh) * 2018-04-26 2019-10-31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变压器、供电装置和微波烹饪电器
CN108365763B (zh) * 2018-04-26 2020-11-03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电子变压器和微波烹饪电器
CN113574619A (zh) * 2019-03-29 2021-10-29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漏磁变压器
US11380473B2 (en) * 2019-07-12 2022-07-05 Vishay Dale Electronics, Llc Transformer inductor combination device
US11894175B2 (en) * 2021-01-27 2024-02-06 Applied Materials, Inc. System to optimize voltage distribution along high voltage doubler str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65087A (ja) * 1988-08-30 1990-03-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高周波加熱装置
JPH0390411U (ko) * 1989-12-28 1991-09-13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82191A (ja) * 1990-07-25 1992-03-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高周波加熱装置
JPH04230988A (ja) 1990-07-26 1992-08-19 Sharp Corp インバータ電子レンジの駆動回路
JP2733817B2 (ja) * 1993-08-30 1998-03-30 昌和 牛嶋 放電管用インバーター回路
CN1177192A (zh) * 1996-05-14 1998-03-25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电子烹饪炉的高压变压器
SE9604814D0 (sv) * 1996-12-20 1996-12-20 Scanditronix Medical Ab Power modula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65087A (ja) * 1988-08-30 1990-03-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高周波加熱装置
JPH0390411U (ko) * 1989-12-28 1991-09-1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5426700A (en) 2001-01-02
CN1199207C (zh) 2005-04-27
AU772157B2 (en) 2004-04-08
EP1106036B1 (en) 2003-08-06
WO2000078100A1 (en) 2000-12-21
KR20010079643A (ko) 2001-08-22
DE60004311D1 (de) 2003-09-11
DE60004311T2 (de) 2004-01-29
CN1316173A (zh) 2001-10-03
EP1106036A1 (en) 2001-06-13
US6449178B1 (en) 2002-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5785B1 (ko) 마그네트론 구동용 승압 변압기 및 마그네트론 구동용전원의 변압기
US6982623B2 (en) Step-up transformer for magnetron driving
AU2005253503B2 (en) Planar high voltage transformer device
US7123123B2 (en) High-frequency power transformer
US7271694B2 (en) Structure of transformer
US7221252B1 (en) Transformer
WO1999059170A1 (en) Surface mounted magnetic components having sheet material windings and a power supply including such components
US20030080847A1 (en) Low voltage, high current power transformer
US11651889B2 (en) Reinforced insulation transformer and design method thereof
JP3436226B2 (ja) マグネトロン駆動用昇圧トランス装置
JPH05114471A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00357617A (ja) マグネトロン駆動用電源のトランス
JP3069979U (ja) マグネトロン駆動用昇圧トランス
JPH04338615A (ja) インバータトランス
KR102324808B1 (ko) 누전체감 제로형 전원공급장치용 트랜스포머
JP3061052B1 (ja) マグネトロン駆動用昇圧トランス
KR102324809B1 (ko) 누전체감 제로형 전원공급 장치
JP2690105B2 (ja) マグネトロン用インバータ電源
JPH0574638A (ja) 高周波加熱装置
JP2697166B2 (ja) 高周波加熱装置
JPH08115828A (ja) マグネトロン駆動用電源
JPH04284389A (ja) 誘導加熱装置
JPH0224991A (ja) 複合調理器の昇圧トランス
JPH06112063A (ja) マグネトロン駆動装置
JPH01267992A (ja) マグネトロン用電力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