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3894B1 - 피복된 과산소 화합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피복된 과산소 화합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3894B1
KR100623894B1 KR1019990027426A KR19990027426A KR100623894B1 KR 100623894 B1 KR100623894 B1 KR 100623894B1 KR 1019990027426 A KR1019990027426 A KR 1019990027426A KR 19990027426 A KR19990027426 A KR 19990027426A KR 100623894 B1 KR100623894 B1 KR 100623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fluidized bed
active oxygen
sodium percarbonate
co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7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1570A (ko
Inventor
베르트슈-프란크비르기트
베베르스도르프마르틴
카이저로타르
콜렌라이너
오페르딕크랄프
샤이베미카엘
Original Assignee
데구사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구사 아게 filed Critical 데구사 아게
Publication of KR20000011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1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3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3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5/00Peroxides; Peroxyhydrates; Peroxyacids or salts thereof; Superoxides; Ozonides
    • C01B15/055Peroxyhydrates; Peroxyacids or salts thereof
    • C01B15/10Peroxyhydrates; Peroxyacids or salts thereof containing 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5/00Peroxides; Peroxyhydrates; Peroxyacids or salts thereof; Superoxides; Ozonides
    • C01B15/005Stabilisation of the solid compounds subsequent to the preparation or to the crystallisation, by additives or by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 B01J2/16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by suspending the powder material in a gas, e.g. in fluidised beds or as a falling curtai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5/00Peroxides; Peroxyhydrates; Peroxyacids or salts thereof; Superoxides; Ozonides
    • C01B15/055Peroxyhydrates; Peroxyacids or salts thereof
    • C01B15/10Peroxyhydrates; Peroxyacids or salts thereof containing carbon
    • C01B15/106Stabilisation of the solid compounds, subsequent to the preparation or to the crystallisation, by additives or by co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lanulating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동상 피복에 의해, 피복된 과산소 화합물들, 특히 과탄산나트륨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사상 유입 트레이가 사용되고, 방사상 유입 트레이의 통로 개구들에 의해 유동 가스가 수평면에 대해 측정하여 35˚ 이하의 각도의 개구 영역에서 방향 유도된 국부적인 스트림들의 형태로 출현하게 되고, 방사상 유입 트레이 속에 스프레이 노즐들이 배열되어 있고, 스프레이 노즐의 펄스가 유동 가스의 펄스와 동일한 방향으로 향하는 유동상 반응기를 사용하여, 활성 산소 안정성이 증가된 피복된 과산소 화합물을 수득할 수 있다. 환형 반응기의 유입 기재가 터빈 블레이드처럼 중첩된 라멜라로 이루어지고 유동상의 회전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는 노즐들을 갖는 환형 반응기가 바람직하다.
피복된 과탄산나트륨, 유동상 반응기, 활성 산소 안정성, 유동 가스, 분무 노즐

Description

피복된 과산소 화합물의 제조방법{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coated peroxygen compound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피복 장치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활성 산소에 대한 안정성이 증가된 피복된 과산소 화합물들, 특히 피복된 과탄산나트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활성 산소 화합물로도 불리우는 다수의 과산소 화합물들, 예를 들면, 과탄산나트륨(2Na2CO3·3H2O2) 및 과붕산나트륨 1수화물 및 사수화물은 세제 조성물, 표백 조성물 및 세정 조성물들에서 활성 산소 성분으로서 사용된다. 고온 다습한 환경 및 세제 및 세정 조성물들의 다양한 성분들의 존재하의 과탄산나트륨의 불충분한 저장 안정성으로 인해, 과탄산나트륨은 활성 산소(Oa)의 손실에 대하여 안정화시켜야 한다. 본질적인 안정화 원리는 안정화 작용을 갖는 성분들로 이루어진 피복물로 과탄산나트륨 입자들을 둘러싸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과탄산나트륨의 코어에 하나 이상의 층들로 도포되는 각종 물질들 및 물질 배합물들이 과탄산나트륨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제안되었다. 피복 성분들의 예는 수화물-형성 무기 화합물들, 예를 들면, 황산나트륨, 황산마그네슘, 알칼리 금속 탄산염 및 중탄산염 및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 붕산염 및 유기 카복실산, 예를 들면, 지방산 및 시트르산의 알칼리 금속 및 마그네슘 염이다. 현재, 과탄산나트륨 및 기타 과산소 화합물들의 피복은 대개 피복 성분들의 용액을 유동상 중에서 시드에 도포하고 물을 증발 제거하는 유동상 공정으로 수행된다[참조: DE-OS 24 17 572, DE-PS 26 22 610, WO 95/02555 및 WO 97/19890].
공지된 과탄산나트륨의 유동상 피복에서, 피복 성분 0.5 내지 25중량%를 도포한다. 피복량이 증가함에 따라, 안정성은 증가하나 활성 산소 함량은 감소한다. 따라서, 세제에서 우수한 안정성을 유지하면서도 피복된 과탄산나트륨에서의 피복 성분들의 함량을 감소시키는 것에 관심이 모아졌다. 유동상 피복이 기타 피복 공정, 예를 들면, 혼합기에서의 피복에 이은 건조 공정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입증되었으나,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통상의 유입 기재(inflow base), 예를 들면, 천공된 형태 또는 시브(sieve) 형태의 기재 또는 소위 코니듀르보덴(ConidurbodenR)이 장착된 유동상 반응기를 사용한 피복이 불연속 공정 및 연속 공정 모두에서 불충분하다는 것을 염색 실험에 의해 입증하였다. 그 자체가 활성 산소 화합물의 안정성 면에서 불충분함을 나타내는 이러한 결점은, 낮은 활성 산소 함량이라는 댓가를 치르더라도, 보다 두꺼운 피복 층을 도포하여야만 극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동상에서 활성 산소 화합물들, 특히 과탄산나트륨을 피복하는 방법으로서, 일정 피복량에 대하여 이미 공지된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더 높은 저장 안정성을 얻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 따르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하나 이상의 피복 성분들을 포함하는 수용액을 유동상 챔버 속에서 과산소 화합물의 입자들에 분무하는 단계 및 30 내지 70℃의 유동상 온도 범위에서 챔버의 유입 기재를 통해 유동하는 유동 가스를 사용하여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유동상 피복에 의해 활성 산소 안정성이 증가된 피복된 과산소 화합물들, 특히 피복된 과탄산나트륨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방사상 유입 트레이(radial inflow tray)가 사용되고, 방사상 유입 트레이의 통로 개구들에 의해, 유동 가스가 수평면에 대해 측정하여 35˚이하의 각도의 개구 영역에서 방향 유도된 국부적인 스트림들의 형태로 출현하게 되고, 방사상 유입 트레이 속에 스프레이 노즐들이 배열되어 있고, 방사상 유입 트레이의 펄스가 스프레이 노즐의 펄스와 동일한 방향으로 향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청구범위의 종속항들은 본 발명의 방법의 바람직한 양태들에 관한 것이다.
특히 바람직한 양태에 따라, 피복은 터빈 블레이드들 처럼 중첩된 라멜라들로 이루어진 유입 기재와 유동상의 회전 방향으로 유입 기재 속에 정렬되어 있는 노즐들이 장착된 환형 반응기에서 불연속적으로 수행한다. 국부적인 스트림들의 강력한 스핀에 의해, 당해 반응기에서 내용물들이 완전히 혼합되고, 입자들이 노즐들의 분무 콘(spray cone) 속으로 반복적으로 통과하도록 강제된다.
특허청구범위에 따르는 특징을 갖는 유동상 장치들을 사용하여, 일정 피복량에 대해 놀라울 정도로 높은 저장 안정성을 놀라운 방식으로 달성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유일한 피복제로서 황산나트륨만을 사용하여, 황산나트륨 3 내지 7중량%의 피복량으로 과붕산나트륨 1수화물의 안정성 수준을 성취할 수 있다. 피복될 물질의 평균 입자 직경이 작을 수록, 선택되는 피복량이 더 많아지며, 피복될 물질의 평균 입자 직경이 클수록, 선택되는 피복량이 더 적어진다.
유동상 반응기(1)는 유동상 챔버(2), 공기 흡입 박스(3), 무풍 공간(calming space)으로서 작용하는 상부 파트(4), 중첩 라멜라로 이루어진 유입 기재(7), 유입 기재 아래로 연장되는 중앙 공기 흡입 파이프(5), 유동 가스의 펄스에 상응하게 정렬된 분무 노즐(8), 피복 생성물에 대한 배출 장치(6) 및 피복되지 않은 생성물로 반응기를 충전시키기 위한 공급 장치(9)를 포함함다. 또한, 유동 가스는 중앙 공기 흡입 파이프 대신 공기 흡입 박스로 직접 공급될 수 있다. 도 1에서, 환형 유입 기재를 구성하는 라멜라, 및 노즐들을 도면상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하여,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라멜라의 중첩물 및 노즐의 바람직한 정렬이 반응기를 관통하는 부분에서 서로 대응한다고 설명한 것과는 다르게 도시되어 있다. 유동상 형성 및 건조를 위한 공기 Lw는 팬(14)을 사용하여 흡입시키고, 필터(15)에서 정제한 다음, 댐퍼 레지스터에서 온도를 조절하고, 공기 흡입 파이프(5)를 통해 유입 기재 아래로 통과시킨다. 반응기로부터 발생되는 가스로부터의 분진을 필터(17)에서 제거하고, 가스를 폐 가스 팬(18)을 사용하여 댐프 폐 가스 LF로서 외부 환경으로 방출한다. 또한, 당해 공정은 폐 가스 팬(배기 팬)만을 사용하여 작동시킬 수도 있다. 피복될 물질(P)을 라인(19) 및 공급 장치(9)를 통해 반응기에 공급한다. 피복제(C)를 함유하는 용액을 공동 모터(10)에 의해 구동되는 펌프(11)를 사용하여 탱크(19)로부터 라인(12)을 통해 노즐(8)로 공급한다. 미세기후를 달성하기 위한 분무 공기 및 공기 LM을 동시에 라인(13)을 통해 3방향 2성분 노즐들로 공급한다. 노즐의 중앙 파이프가 피복 용액으로 충전되면, 노즐의 중앙 파이프 주위에, 분무 공기에 의한 환상 갭이 배열되고, 미세기후 공기에 의한 최외곽 환상 갭이 배열된다. 명확한 도시를 위해, 공기 라인들 및 연합된 펌프를 갖는 노즐들 모두가 도 1에 도시되지 않았다. 피복된 물질(PC)은 배출 장치(6)를 통해 반응기로부터 제거된다.
유입 기재의 구성 및 노즐들의 연합된 배열로 이루어지는 구성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징이다. 유동 가스에 대한 통로 개구들은 가능한 한 강한 수평 성분이 공기 스트림에서 생성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국부적인 스트림들은 바람직하게는 방향 유도된 유입 기재 개구들 또는 갭들로부터 제트-형으로 발생되어야 한다. 개구들은 편리하게는 편평한 중첩 라멜라로부터 형성되는 갭의 형태로 구성되어야 한다. 유입 기재의 특히 바람직한 양태는 DE-PS 제38 39 723호에 공지되어 있다 - 반응기의 하부 파트는 구형 형태로 구성된다. 작동 상태에서, 라멜라의 수평면에 대한 각은 5 내지 35˚, 특히 5 내지 25˚이다. 라멜라는 축 대칭으로 배열되고, 반응기를 비우기 위해 수직으로 위치할 수 있다. 또는, 반응기를 유입 기재 위에 배열된 측면 테이크-오프(laternal take-off)를 통해 비울 수도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 따라, 노즐들은 DE-PS 제38 06 537호에 공지된 바와 같은 3방향 2성분 노즐이다. 이러한 노즐은 분무될 피복 용액용 및 분무 공기용 채널 이외에, 당해 노즐 주위에 배열된 환상 채널을 포함하며, 이러한 환상 채널은 분무 콘 내에/분무 콘 주위에 미세기후를 생성시킬 목적으로 특정 온도 및 수분 함량을 갖는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것으로서, 너무 빠른 증발 및 특히 노즐 상의 외피 형성을 피하는 것을 의미한다. 통상의 2성분 노즐들을 피복 용액을 분무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으나, 스프레이 노즐의 펄스는 유동상 가스의 펄스 방향으로 향해야 된다. 상기 문헌에서는, 분무된 용액의 펄스 벡터가 가스의 펄스 벡터와 동일해서는 안되며, 단지 동일한 방향으로 향해 있다. 노즐의 축은 바람직하게는 라멜라의 기울기에 거의 평행하다. 노즐 팁이 중첩 라멜라 밖에 위치하도록 라멜라 사이의 노즐들을 콘테이너 축에 대해 거의 방사상으로 가스 유동 방향으로 배열시키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의 방법은 피복된 과산소 화합물들을 제조하는데, 특히 과탄산나트륨(2Na2CO3·3H2O2)을 피복하는데 적합하다. 현재 과붕산나트륨 1수화물이 피복되지 않은 형태로 세제 조성물, 표백 조성물 및 세정 조성물들에 사용되는 반면, 종종 과탄산나트륨의 피복이, 허용되는 저장 안정성을 달성하는데 필수적인 것으로 보인다. 놀랍게도,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은, 입자 스펙트럼에 따르면, 약 3 내지 7중량%의 소량의 피복 물질로도 참조 물질로서의 피복되지 않은 과붕산나트륨 1수화물의 저장 안정성에 도달하거나 이를 능가하는 저장 안정성을 달성할 수 있다. 착색된 피복 용액들을 사용하여 입증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은 시브 형태 또는 천공된 형태의 기재 또는 코니듀르보덴이 장착된 유동상 반응기들 속에서 피복된 과탄산나트륨에 비해 사실상 보다 균일하게 피복되므로, 보다 안정한 생성물을 제공한다. 물론, 과붕산나트륨 1수화물의 저장 안정성은 예를 들면, 상기한 물질들의 그룹으로부터의 안정화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의 배합물로의 피복에 의해 증가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다음 실시예에 의해 추가로 설명된다.
실시예 1 내지 6
축적 과립화(build-up granulation)에 의해 생성된 과탄산나트륨을 편평하게 배치된 중첩 가이드 플레이트(=라멜라)들로 이루어진 링 및 유동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된 3개의 분무 노즐이 장착된 환형의 실험실 유동상 장치(HKC 5, Huttlin, Steinen)를 사용하여 황산나트륨으로 피복한다.
dp 50이 0.60mm인 과탄산나트륨(= NaPc 1)을 실시예 1 내지 5에서 사용하고, dp 50이 0.45mm인 과탄산나트륨(= NaPc 2)을 실시예 6에서 사용한다. NaPc 1 및 NaPc 2의 시브(sieve) 분석치[시브(mm) 위에 남은 양(%)]는 다음과 같다:
시브 (mm) 1.4 1.25 1.0 0.8 0.7 0.6 0.5 0.4 0.3 0.2 0.1 나머지
NaPc 1 5 2 6 11 6 19 17 19 11 4 0 0
NaPc 2 1 2 4 7 4 11 11 20 22 15 2 0
피복은 Na2SO4 수용액 20중량%로 수행한다. 피복된 생성물들 및 필터 분진의 분석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피복제의 약 2/3가 피복물에서 회수되고 약 1/3이 필터에서 회수된다. 약간의 피복 층이 피복 및 건조 동안 연마에 의해 명백히 마모된다.
반응기에 과탄산나트륨 5kg을 충전시키고, 공기를 사용하여 유동화를 수행한다. 분무 동안, 유동상 온도 범위를 30 내지 65℃로 유지시킨다. 분무 종결시, 후-건조를 약 70℃의 유동상 온도에서 수행한다.
작동 조건 및 기후 시험을 포함하는 분석은 표 1로부터 알 수 있다. 비교 목적으로, 시판되는 과붕산나트륨 1수화물 및 피복되지 않은 과탄산나트륨을 항상 기후 시험에서 함께 시험한다.
기후 시험 공정: 저장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해, 각각 동일한 활성 산소 함량을 갖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피복된 과탄산나트륨, 및 비교 목적의, 피복되지 않은 출발 물질 및 시판되는 과붕산나트륨 1수화물을 세제 혼합물에서 저장하고 활성 산소 함량을 개시 값에 대하여 시간의 함수[= Oa 보유율(%)]로 측정한다:
포스페이트 비함유 세제 분말, 제올라이트 함유 세제 분말, 활성화제 TAED 및 시험할 과산소 화합물을, 혼합물이 5% TAED를 포함하고 Oa 함량이 약 2.35중량%가 되도록 하는 양으로 혼합한다. 세제의 조성(중량%)은 다음과 같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1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8
제올라이트 A 36
소다 10
Na 실리케이트 3
수분을 포함하는 나머지 31
미립자 혼합물 800g을, 방수제로 함침되고 접착되어 있는 시판되는 E1 세제 팩 중에서 기후적으로 조절된 캐비넷에서 30℃ 및 80% 상대 습도에서 저장한다. 샘플 날짜 - 4주 및 8주 후 -에 대하여 하나의 팩을 저장한다. 활성 산소(Oa) 함량은 통상의 방법으로 과망간산법 칼륨 적정에 의해 측정하고, 미립자의 활성 산소(Oa) 보유율(%)은 초기 활성 산소(Oa) 함량, 및 4주 및 8주 후 활성 산소(Oa) 함량으로부터 측정한다.
실시예 번호 유동상 온도 (℃) 피복(Na2SO4) 양1) 지속 시간(분) 피복된 과탄산나트륨 중의 Na2SO4 함량(%) 기후 시험 활성 산소(Oa) 보유율(%) 4주 후 8주 후
Pbmh2) NaPc 1 88 86 67 45
1 2 3 4 5 60 44 65/463) 45 60 5 26 5 26 5 27 7 38 3 28 3.3 3.6 3.3 4.8 1.6 97 86 93 91 97 87 98 90 94 85
6 49 25 5.1 95 87
1) 사용된 과탄산나트륨(NaPc)을 기준으로 한, 분무 용액으로서 사용한 Na2SO4의 양; 네번째 칸은 분석학적으로 측정된 실제 함량을 나타낸다
2) Pbmh = 과붕산나트륨 1수화물
3) 65℃에서 시작하여 10분 후 46℃로 낮춤
공정과 관련한 연마된 물질(분진)은 사용한 황산나트륨 및 피복된 물질에서 발견한 황산나트륨의 양의 차이로 함유된다. 상기 결과들은 적은 피복 양으로 과붕산나트륨 1수화물의 저장 안정성에 도달하거나 이를 능가하는 매우 우수한 저장 안정성을 달성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실시예 7 내지 10
평균 입자 크기 dp 50이 0.41mm인 과탄산나트륨 유동상 분무 과립(= NaPc 3)을 Na2SO4 용액 20중량%를 사용하여 황산나트륨으로 피복한다. 피복은 파일롯 규모의 반응기(반응기 HKC 800, Huttlin)로 도 1에 따르는 장치에서 수행한다. 터빈형으로 배열된 라멜라로 이루어진 유입 기재에,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공동 축상에 탑재된 18개의 펌프 헤드(호스 펌프)를 사용하여 Na2SO4 용액 및 분무 공기 및 미세기후 공기가 공급되는 18개의 노즐을 배열시킨다. 공기 흡입 및 폐 공기 팬을 사용하여 반응기에서 1,000Pa의 감압을 형성시킨다.
사용한 과탄산나트륨인 NaPc 3의 시브 분석은 다음과 같다:
시브 (mm) 1.25 1 0.8 0.7 0.6 0.5 0.4 0.3 0.2 0.1 나머지
NaPc 3 1 3 2 8 12 25 28 16 3 1
표 2는 필수 작동 매개 변수 및 Na2SO4 분석 및 기후 시험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라 피복된 과탄산나트륨이 소량의 효율적인 피복량 - 약 3 내지 5중량% - 으로 과붕산나트륨 1수화물의 저장 안정성에 근접하거나 이를 능가함을 보여준다.
실시예 번호 홀드 업 (hold up) (kg) 유동상 온도 (℃) 피복 양(%)3) 지속 시간(분) 피복된 과산산나트륨 중의 Na2SO4의 실제 함량 기후 시험 활성 산소(Oa) 보유율(%) 4주 후 8주후
비교 Pbmh1) NaPc 32) 88 86 56 32
7 8 9 10 250 300 400 300 45 40 43 40 5 37 5 32 5 43 7.0 45 2.2 3.1 4.9 90 83 89 82 88 83 91 90
1) 피복되지 않은 과붕산나트륨 1수화물
2) 피복되지 않은 과탄산나트륨 = B7 내지 B10에 대한 출발 물질
3) 사용된 과탄산나트륨을 기준으로 분무되는 양에 상응
비교 실시예
유입 기재로서의 천공된 형태의 기재(직경 20cm, 메쉬 폭 0.71mm) 및 당해 천공된 형태의 기재 위 10cm에 온도 탐침 및 25cm에 노즐을 갖추고 분무 방향이 유동 가스에 대한 향류인 시판되는 실험실용 유동상 건조기(유형 T2, Aeromatic)에 과탄산나트륨 4,750g을 충전시킨다. 과탄산나트륨은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 1 내지 3에 사용된 물질과 입자 크기 스펙트럼이 동일하다. 노즐 공기를 개방하고, 4bar의 예비 압력을 설정한다.
과탄산나트륨을 유동 공기(250 내지 300m3/h)를 사용하여 유동시키고, (팽창된) 유동상의 높이는 약 20cm이다. 유동상 세트 온도는 60℃로 세팅한다. 공기 유입 온도는 95℃로 세팅한다. 60℃의 유동상 온도에 도달하면, 황산나트륨(20중량% 용액으로서) 250g을 노즐(3성분 노즐, Schlick no. 946)을 사용하여 분무한다. 호스 펌프의 공급 속도는 유동상 온도 범위가 50 내지 60℃로 유지되도록 선택한다. 공급 종결시, 피복된 과탄산나트륨을 유동상 온도 70℃에서 30분 동안 추가로 건조시킨다. 전체 실험 지속 기간 동안, 필터 세정은 3분 마다 매회 10초 동안 작동시킨다.
분석에 따르면, 이러한 방법으로 안정화된 피복된 물질은 4.2중량% Na2SO4를 포함하고, 기후 시험에서 세제 혼합물에서 4주 후 88% 및 8주 후 79%의 활성 산소 보유율을 나타낸다. 또한, 과붕산나트륨 1수화물에 대하여 동일한 기후 시험을 하면, 통상 4주 후 90% 및 8주 후 88%의 활성 산소 보유율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은 적은 피복량으로도 시브 형태 또는 천공된 형태의 기재 또는 코니듀르보덴이 장착된 유동상 반응기에서 피복된 과탄산나트륨과 비교하여 사실상 보다 균일하게 피복되므로 활성 산소에 대해 보다 안정한 피복된 과산소 화합물을 제공한다.

Claims (10)

  1. 피복 성분 또는 피복 성분들을 포함하는 수용액을 유동상 챔버 속에서 과산소 화합물의 입자들에 분무하는 단계 및 30 내지 70℃의 유동상 온도 범위에서 챔버의 유입 기재(flow base)를 통해 유동하는 유동 가스를 사용하여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유동상 피복에 의해 활성 산소 안정성이 증가된 피복된 과산소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방사상 유입 트레이(radial inflow tray)가 사용되고, 방사상 유입 트레이의 통로 개구들에 의해 유동 가스가 수평면에 대해 측정하여 35˚미만의 각도의 개구 영역에서 방향 유도된 국부적인 스트림들의 형태로 출현하게 되고, 방사상 유입 트레이 속에 스프레이 노즐들이 배열되어 있고, 스프레이 노즐의 펄스가 유동 가스의 펄스와 동일한 방향으로 향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과산소 화합물이 과탄산나트륨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상 피복에 의해 활성 산소 안정성이 증가된 피복된 과산소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배치식 공정을 위해, 터빈 블레이드처럼 중첩된 라멜라로 이루어진 환형 유입 기재 및 유동상의 회전 방향으로 유입 기재 속에 정렬되어 있는 노즐이 장착된 반응기를 사용하는, 유동상 피복에 의해 활성 산소 안정성이 증가된 피복된 과산소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피복 용액을 분무하기 위해, 액체를 위한 중앙 개구를 갖는 노즐, 당해 노즐의 개구 주위에 배열된 스프레이 가스를 위한 환상 갭 및 미세기후 가스용 최외곽 환상 갭을 사용하는, 유동상 피복에 의해 활성 산소 안정성이 증가된 피복된 과산소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과탄산나트륨 코어에 대한 피복량이 2 내지 7중량%가 되도록 피복 용액을 분무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상 피복에 의해 활성 산소 안정성이 증가된 피복된 과산소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과탄산나트륨 코어에 대한 피복량이 3 내지 5중량%가 되도록 피복 용액을 분무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상 피복에 의해 활성 산소 안정성이 증가된 피복된 과산소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7. 제1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되고, 활성 산소 안정성이, 피복되지 않은 과붕산나트륨 1수화물의 활성 산소 안정성과 동일하거나 그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3 내지 7중량%의 황산나트륨으로 피복된 과탄산나트륨.
  8. 제7항에 따르는 과탄산나트륨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조성물.
  9. 제7항에 따르는 과탄산나트륨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표백제 조성물.
  10. 제7항에 따르는 과탄산나트륨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 조성물.
KR1019990027426A 1998-07-10 1999-07-08 피복된 과산소 화합물의 제조방법 KR1006238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30946A DE19830946A1 (de) 1998-07-10 1998-07-10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eschichteten Persauerstoffverbindungen
DE19830946.5 1998-07-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570A KR20000011570A (ko) 2000-02-25
KR100623894B1 true KR100623894B1 (ko) 2006-09-19

Family

ID=7873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7426A KR100623894B1 (ko) 1998-07-10 1999-07-08 피복된 과산소 화합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6239095B1 (ko)
EP (1) EP0970917B1 (ko)
KR (1) KR100623894B1 (ko)
CN (1) CN1281479C (ko)
AR (1) AR019755A1 (ko)
AT (1) ATE304511T1 (ko)
BR (1) BR9902669A (ko)
DE (2) DE19830946A1 (ko)
ES (1) ES2249857T3 (ko)
IL (1) IL130841A (ko)
SI (1) SI0970917T1 (ko)
SK (1) SK93099A3 (ko)
TR (1) TR199901597A3 (ko)
ZA (1) ZA99444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56201A (en) * 1999-11-13 2001-05-16 Procter & Gamble Detergent compositions
KR100366556B1 (ko) * 2000-04-26 2003-01-09 동양화학공업주식회사 세제용 입상 코티드 과탄산나트륨과 이의 제조방법
DE10130334A1 (de) * 2001-06-26 2003-01-02 Glatt Ingtech Gmbh Verfahren zum Coating von körnigen und pulverförmigen Materialien
DE10140838A1 (de) 2001-08-21 2003-03-06 Degussa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Natriumpercarbonat
EP1456336A1 (en) * 2001-12-21 2004-09-15 Novozymes A/S Salt coatings
DE10320197A1 (de) * 2002-12-20 2004-07-08 Degussa Ag Umhüllte Persauerstoffverbindungen mit kontrollierter Freisetzung,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r Verwendung
DE60308901T2 (de) 2002-12-20 2007-05-24 Degussa Gmbh Flüssige wasch- und reinigungsmittelzusammensetzung
AU2003289928A1 (en) * 2002-12-20 2004-07-14 Degussa Ag Coated peroxygen compounds with controlled release, a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ATE357497T1 (de) * 2002-12-20 2007-04-15 Henkel Kgaa Bleichmittelhaltige wasch- oder reinigungsmittel
SI1475350T1 (sl) 2003-05-07 2005-12-31 Degussa Prevlecene granule natrijevega perkarbonata z izboljsano stabilnostjo pri skladiscenju
WO2004103508A2 (de) * 2003-05-23 2004-12-02 Degussa Ag Verwendung von pulverförmigen mischungen, enthaltend wasserstoffperoxid und hydrophobiertes siliciumdioxid zur kontrollierten freisetzung von wasserstoffperoxid oder sauerstoff
DE102004054495A1 (de) 2004-11-11 2006-05-24 Degussa Ag Natriumpercarbonatpartikel mit einer Thiosulfat enthaltenden Hüllschicht
ES2317433T3 (es) 2006-07-27 2009-04-16 Evonik Degussa Gmbh Particulas envueltas de percarbonato de sodio.
ES2314833T3 (es) 2006-07-27 2009-03-16 Evonik Degussa Gmbh Particulas envueltas de percarbonato de sodio.
ES2344712T3 (es) 2006-07-27 2010-09-03 Evonik Degussa Gmbh Particulas de percarbonato sodico revestidas.
DE202006012634U1 (de) * 2006-08-16 2007-12-27 DIOSNA Dierks & Söhne GmbH Wirbelschichtanlage
CN100487066C (zh) * 2006-09-20 2009-05-13 山东天力干燥设备有限公司 过碳酸钠干燥包衣工艺
EP1905738A1 (de) * 2006-09-28 2008-04-02 Evonik Degussa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ranulatförmigem Natriumpercarbonat
PL2080544T3 (pl) 2007-12-19 2011-05-31 Evonik Degussa Gmbh Sposób wytwarzania powleczonych cząstek nadwęglanu sodowego
GB2470764B (en) * 2009-06-04 2017-09-06 Dca Consultants Ltd Oscillating flow reactor
ES2611135T3 (es) 2009-08-03 2017-05-05 Indigo Technologies Group Pty. Ltd. Activación de peróxido de hidrogeno con catalizador
DE102010028236A1 (de) 2010-04-27 2011-10-27 Evonik Degussa Gmbh Bleichmittelpartikel umfassend Natriumpercarbonat und einen Bleichaktivator
DE102013211093A1 (de) 2013-06-14 2014-12-18 Evonik Treibacher Gmbh Umhüllte Natriumpercarbonatpartikel
CN106811336A (zh) * 2015-11-30 2017-06-09 常州西品科技有限公司 家用清洁剂
CN106811315A (zh) * 2015-11-30 2017-06-09 常州西品科技有限公司 家用清洁片
CN111841453B (zh) * 2020-06-18 2022-08-23 西北大学 一种应用于热重分析的微型流化床反应装置
KR102459718B1 (ko) * 2020-10-07 2022-10-2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복합체 입자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5827A (en) 1973-04-20 1978-08-08 Interox Particulate peroxygen compounds coated with sodium sesquicarbonate or Na2 SO4 mNa2 CO3
FR2226460B1 (ko) * 1973-04-20 1976-12-17 Interox
JPS53960B2 (ko) * 1974-03-23 1978-01-13
LU72575A1 (ko) 1975-05-23 1977-02-10
DE2748783C3 (de) * 1977-10-31 1985-07-11 Degussa Ag, 6000 Frankfurt Verfahren zum Stabilisieren von Natriumpercarbonat
US4171280A (en) * 1977-11-03 1979-10-16 The Clorox Company Powder percarbonate bleach and formation thereof
US4260508A (en) * 1979-08-15 1981-04-07 The Clorox Company Stabilized alkali metal percarbonate powder bleach
DE3806537A1 (de) 1988-03-01 1989-09-14 Herbert Huettlin Duesenbaugruppe fuer apparaturen zum granulieren, pelletieren und/oder dragieren
DE3839723C1 (ko) 1988-11-24 1989-07-20 Herbert 7853 Steinen De Huettlin
JP2918991B2 (ja) * 1990-05-25 1999-07-12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漂白洗浄剤組成物
GB9126296D0 (en) * 1991-12-11 1992-02-12 Unilever Plc Sodium percarbonate
DE4324104C2 (de) * 1993-07-17 1997-03-20 Degussa Umhüllte Natriumpercarbonatpartikel,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DE4435817A1 (de) * 1993-12-29 1996-04-11 Solvay Interox Gmbh Beschichtete Alkalimetallperoxosalz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E9400653D0 (sv) * 1994-02-25 1994-02-25 Eka Nobel Ab Blekmedel
DE19544293C2 (de) * 1995-11-28 1998-01-29 Degussa Umhüllte Natriumpercarbonatpartikel und deren Verwendung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0030203000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239095B1 (en) 2001-05-29
BR9902669A (pt) 2000-03-08
EP0970917A1 (de) 2000-01-12
CN1281479C (zh) 2006-10-25
TR199901597A2 (xx) 2000-02-21
IL130841A0 (en) 2001-01-28
ATE304511T1 (de) 2005-09-15
CN1241532A (zh) 2000-01-19
IL130841A (en) 2002-08-14
KR20000011570A (ko) 2000-02-25
EP0970917B1 (de) 2005-09-14
SK93099A3 (en) 2000-05-16
DE59912541D1 (de) 2005-10-20
DE19830946A1 (de) 2000-01-13
SI0970917T1 (sl) 2006-02-28
TR199901597A3 (tr) 2000-02-21
ZA994444B (en) 2000-01-13
AR019755A1 (es) 2002-03-13
ES2249857T3 (es) 2006-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3894B1 (ko) 피복된 과산소 화합물의 제조방법
US4756844A (en) Controlled-release composition having a membrane comprising submicron particles
US4105827A (en) Particulate peroxygen compounds coated with sodium sesquicarbonate or Na2 SO4 mNa2 CO3
US2768095A (en) Process of coating finely divided solid material
US6058624A (en) Spray drying method and apparatus and cleaning method for such an apparatus
EP2756065B1 (en) Encapsulates
WO2006128901A1 (en) Coated sodium percarbonate particles, process for their production, their use and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US3650961A (en) Process for preparing particulate products having preferentially internally concentrated core components
US6270801B1 (en) Apparatus and a method for treating particulate materials
JPS5824361B2 (ja) 被覆によって安定化された過炭酸ナトリウムの微粒子
KR20070028470A (ko) 코팅된 과탄산나트륨 입자, 이들의 제조 방법, 이들의용도, 및 이를 함유한 세제 조성물
US7241433B2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coated granular sodium percarbonate, and product obtainable by the process
CH628003A5 (fr) Perborate de sodium solide superoxyde et procede pour sa fabrication.
EP0681557B1 (en) A method for preparing sodium percarbonate particles with improved stability
EP1159390B2 (en) Process for producing coated detergent particles
KR100321534B1 (ko) 용해속도가 빠른 내마모성 과탄산나트륨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과탄산나트륨
US5632965A (en)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stabilized sodium percarbonate
JPH0662998B2 (ja) 過酸素洗濯用漂白剤
EP1227063B1 (en)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sodium percarbonate granules having enhanced stability
CA2233622C (en) Encapsulated bleach particles
RU2448898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гранулированного перкарбоната натрия
SU1698601A1 (ru) Сушилка дл суспензий и пастообразных материал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