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3825B1 - 원격조종 낚시용 무인보트 및 그 원격조종장치 - Google Patents

원격조종 낚시용 무인보트 및 그 원격조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3825B1
KR100623825B1 KR1020000004285A KR20000004285A KR100623825B1 KR 100623825 B1 KR100623825 B1 KR 100623825B1 KR 1020000004285 A KR1020000004285 A KR 1020000004285A KR 20000004285 A KR20000004285 A KR 20000004285A KR 100623825 B1 KR100623825 B1 KR 100623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t
remote control
fishing
light
transmi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4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6555A (ko
Inventor
코우다요시하루
코우다코지로
Original Assignee
코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코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76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6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3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3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5/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B63B45/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devices being intended to indicate the vessel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14Fish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2Devices for casting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5/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B63B45/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devices being acou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1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 B63H21/17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by electric mo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88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5/96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locating fis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03Transmission of data between radar, sonar or lidar systems and remote st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5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5/00
    • G01S7/521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035/006Unmanned surface vessels, e.g. remotely controlled
    • B63B2035/008Unmanned surface vessels, e.g. remotely controlled remotely contro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1/00Signalling devices
    • B63B2201/04Illuminating
    • B63B2201/08Electric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1/00Signalling devices
    • B63B2201/18Son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02Initiating means for steering, for slowing 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or for dynamic anchoring
    • B63H2025/028Initiating means for steering, for slowing 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or for dynamic anchoring using remote control means, e.g. wireless contro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조종에 의해서 낚시를 즐기는 것이 가능한 원격조종 낚시용 무인보트 및 그 원격조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조작자가 원격조종장치(2)를 조작해서 수면상에서 보트를 전진하거나 방향을 전환한다. 또한 조작자가 원격조종장치(2)로부터 측심기를 동작시켜 측정된 수심 및 수저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원격조종장치(2)의 모니터(41)에 표시한다. 최적위치가 구해지면 조작자가 원격조종장치(2)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낚시바늘을 수중에 투하한다.
원격조종, 무인보트, 측심기, 낚시줄/바늘, 어군탐지부

Description

원격조종 낚시용 무인보트 및 그 원격조종장치{REMOTE CONTROL UNMANNED FISHING BOAT AND DEVICE FOR REMOTE CONTROL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조종 낚시용 무인보트의 개략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조종 낚시용 무인보트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조종 낚시용 무인보트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선저커버를 저면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조종 낚시용 무인 보트의 원격조종장치의 외관도이다.
도 6은 원격조종장치의 내부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모니터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위치정보출력수단의 진행방향검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진행방향검출장치의 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진행방향검출장치 및 원격조종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이다.
도 11은 위치검출장치 및 원격조종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모니터에 있어서 진행방향 및 위치 표시의 일례이다.
도 13은 낚시줄을 착탈가능하게 장착하는 장착위치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장착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a) 는 대기중의 장착장치의 상태를 도시한다. (b)는 주로 고기를 유사 먹이등으로 낚는 경우의 장착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c)는 낚시줄을 임의의 장소에서 낙하시켜서 고기를 낚는 경우의 장착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배터리(18)의 잔량을 검출하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보트 2: 원격조종장치
3: 선체하부 4: 선체상부
5: 선저커버 7: 초음파송수신기
8: 무선용송신기 9: 무선용수신기
10: 추진동력원 11: 키
13: 낚시줄 14: 장착장치
15: 표시등 17: 위치정보출력수단
18: 배터리 21: 스크류
23: 진행방향검출장치 26: 조타장치
28: 모터 36: 리프팅 핸들
41: 모니터 42A-42D: 조작버튼
47: 계측부 48: 위치방향연산부
62: 자침 68: 광전도체
71: 위치검출회로 81: 차광부재
82: 부하 스프링
본 발명은 원격조종에 의해서 낚시를 즐기는 것이 가능한 원격조종 낚시용 무인보트 및 그 원격조종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낚시용 측심기(fishing grade depth sounder) 또는 어군탐지기는 유인의 낚시배에 모터를 탑재하고 수면에 설치한 부이(buoy)에 측심부 또는 어군탐지부를 그 모터에 유선으로 접속해서 부이 주변의 수심 또는 어군위치를 그 모터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모터와 측심부 또는 어군탐지부는 유선으로 접속되어 있으므로, 낚시를 하는 사람으로부터 멀리떨어진 장소의 수심 또는 어군위치를 측정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부이에는 동력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측심부 또는 어군탐지부를 임의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다.
더욱이 모터에 의해서 수심 또는 어군위치가 확인되었다고 하여도, 사람이 낚시바늘을 최적위치에 놓는 것은 상당히 어렵다.
본 발명은 낚시를 하는 사람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장소의 수심 또는 어군위치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자유자재로 측정장소를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더욱이 낚시바늘을 최적위치에 떨어뜨리는 것이 가능한 원격조종 낚시용 무인보트 및 그 원격조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심을 측정하는 측심기, 상기 측심기에 의해 측정된 수심 및 수저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특정 전파에 의해 송신하는 제 1 송신기와, 보트를 유지시키는 추진동력원과, 상기 보트를 조타하는 조타장치와, 낚시줄을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는 장착장치와, 상기 측심기, 상기 추진동력원, 상기 조타장치, 상기 장착장치의 조작에 관한 특정 전파를 수신해서 이것을 동작시키는 제 1 수신기가 탑재된 원격조종 낚시용 보트를 구성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트의 원격조종장치를 상기 제 1 수신기로, 상기 측심기, 상기 추진동력원, 상기 조타장치, 상기 장착장치의 조작에 관한 특정 전파를 송신하는 제 2 송신기와, 상기 제 2 송신기에 상기 측심기, 상기 추진동력원, 상기 조타장치, 상기 장착장치에 관한 조작신호를 출력하는 조작신호출력수단과, 상기 제 1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수심 및 수저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가지는 측정전파를 수신하는 제 2 수신기와, 상기 제 2 수신기가 수신하는 신호에 의해서 수심 및 수저의 상태를 표시하는 모니터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해안 등에 있어서, 조작자가 원격조종장치를 조작해서 추진동력원의 조작에 관한 특정 전파를 송신하고, 수면상에서 보트를 전진시키거나 후퇴시키고 동시에 조타장치에도 조작에 관한 특정 전파를 송신하는 것에 의해서 보트를 방향전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조작자가 원격조종장치로부터 측심기의 조작신호를 송신하는 것에 의해 측심기를 동작시켜 측정된 수심 및 수저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제 1 송신기로부터 송신시킨다. 이 수심 및 수저의 상태에 관한 정보는 원격조종장치에 송신시켜 보트바로 아래의 수심이 어느 정도인지 및 수저의 상태가 어떻게 되어 있는지가 모니터에 표시된다.
조작자는 이 모니터를 보면서 보트를 이동시키고, 최적의 위치가 보이면 원격조종장치를 조작해서 장착장치의 조작에 관한 특정 전파를 송신하고 장착장치를 동작시켜 낚시바늘을 그 위치에 떨어뜨린다.
이하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조종 낚시용 무인 보트의 개략 구성도이며, 도 2는 이 보트의 사시도이며, 도 3은 이 보트의 정면도이며, 도 4는 선저커버를 저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트(1)는 선체하부(3), 선체상부(4), 선체하부(3)에 취부된 선저커버(5)로 구성되며, 선체하부(3)와 선체상부(4)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선체하부(3)와 선체상부(4)는 패킹(16)을 거쳐서 방수구조로 되어 있다. 선저커버(5)는 스크류(21)에 해초나 쓰레기 등의 부유물이 감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 취부되어 있으며, 그 전부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물을 취입하도록 복수의 취수공(6) 및 후술의 초음파송신기(7)의 초음파를 보내기 위한 홀(25)이 개구되며, 그 후부는 스크류(21)와 원통상의 키(rudder;11)를 덮도록 개구되어 있다.
선체하부(3)의 전방측에는 측심용의 초음파송수신기(7)와 이 초음파송수신기(7)의 동작을 제어하는 한편 이 초음파송수신기(7)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후술의 원격조종장치(2)에 송신하기 위한 무선용수신기(9) 및 무선용송신기(8)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초음파송수신기(7)는 측심기 또는 어군탐지기로서 또는 무선용수신기(9)는 제 1 수신기로서 그리고 무선용송신기(8)는 제 1송신기로서 각각 기능한다.
또한 선체하부(3)의 후방측에는 추진동력원(10)과 샤프트(27)를 거쳐서 모터(28)에 의해 조타되는 원통상의 키(11)를 가지는 조타장치(26)와 이 추진동력원(10)과 조타장치(26)를 특정의 전파에 의해 조작하는 무선용송수신기(12)가 배치되어 있다. 더욱이 선체하부(3)의 최후부에는 낚시줄(13)를 착탈가능하게 장착하는 장착장치(14)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장착장치(14)도 무선용송수신기(12)에 의해 조작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무선용송수신기(12)는 장착장치(14)가 낚시줄에 고기가 걸린 것을 검출하고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무선용송수신기(12)도 무선용수신기(9)와 같이 제 1 수신기로서 기능한다.
더욱이 선체하부(3)에는 보트의 위치와 진행방향을 특정의 전파로 출력하는 위치정보출력수단(17)이 설치되어 있다. 위치정보출력수단(17)은 보트(1)의 진행방향 및 위치를 검출한다. 위치정보출력수단(17)은 보트(1)의 진행방향을 검출하기 위해 진행방향검출장치(23)를, 보트(1)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위치검출장치(24)를 가진다.
또한 선체상부(4)에는 야간에 있어서도 원격조작하는 보트(1)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하도록 하는 표시등(15)이 취부되어 있다. 이 표시등(15)은 LED나 램프로 되며, 안테나(29)(도 2 참조)의 선단 및 리프팅 핸들(36)(도 2 참조)에 취부되어 있다.
추진동력원(10)은 보트(1)의 선체하부(3)의 거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는 배터리(18)와 이 배터리(18)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19)와 모터(19)의 샤프트(20)를 거쳐 보트(1) 외부에 취부되는 스크류(21)와 전술의 선저커버(5)로 이루어진다. 또한 배터리(18)에는 그 잔량을 검출하기 위해 배터리검출부(22)가 접속되어 있다. 검출결과는 무선용송수신기(12)에 의해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조종 낚시용 무인보트의 사시도이다.
선체상부(4)에는 후술하는 원격조종장치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함과 동시에 해당 원격조종장치에 전파를 송신하는 안테나(29)가 취부되어 있다. 또한 이 보트(1)는 상당히 작은 것이므로 잔교(棧橋)나 낚시배 등으로부터 리프트가 용이하도록 리프팅 바(35)의 선단부에 걸려지는 리프팅 핸들(3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선체하부(3)에는 각 모니터 및 송수신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18)(도 1 참조)가 설치되어 있는데, 선체상부(4)에는 그 배터리(18)를 충전하기 위한 콘센트(방수형)(38)가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배터리(18)의 충전은 상용 전원을 이용해서 그 콘센트(38)를 거쳐 행해진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조종낚시용 무인보트를 원격조작하는 원격조종장치의 외관도이다.
이 원격조종장치(2)에는 보트(1)의 무선용수신기(9)를 향해서 전파를 출력함과 동시에 무선용송신기(8)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하는 안테나(40)와 수저의 상태 및 어군의 위치를 표시함과 동시에 보트(1)의 위치와 진행방향을 표시하는 모니터(41)와 측심용의 초음파송수신기(7)의 조작신호를 출력하는 조작버튼(42A)과 추진동력원(10)의 조작신호를 출력하는 조작버튼(42B)과 조타장치(26)의 조작신호를 출력하는 조작버튼(42C)과 장착장치(14)의 조작신호를 출력하는 조작버튼(42D)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이 원격조종장치(2)의 내부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버튼(42A-42D)의 조작신호에 의해 초음파송수신기(7), 무선용수신기(9) 및 무선용송수신기(12)와 교신하며, 초음파송수신기(7), 추진동력원(10), 조타장치(26), 장착장치(14)의 동작을 제어하는 송신부(45)와 무선용송신기(8)와 교신하며, 무선용송신기(8)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46)와 수신부(46)에 의해 수신된 신호에 의해서 수심 및 어군을 계측하는 계측부(47)와 위치정보출력수단(17)로부터의 신호에 의해서 보트(1)의 위치를 연산함과 동시에 보트의 진행방향도 연산하는 위치방향연산부(48)와 낚시줄의 부하 및 배터리의 감소를 알려주는 알람부(49)가 설치되어 있다. 계측부(47) 및 위치방향연산부(48)의 연산결과는 모니터(41)에 의해서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된다. 여기서, 송신부(45)는 제 2 송신기로, 수신부(46)는 제 2 수신기로 각각 기능한다.
도 8은 진행방향검출장치(23)의 사시도이며, 도 9는 진행방향검출장치(23)의 단면도이다.
이 진행방향검출장치(23)는 광원(60)과 N극, S극를 가지는 자침(磁針)(62)과 자침(62)의 지지축(64)을 중심으로하는 일정의 반경의 원주상으로 일정간격으로 홀(65,65,....)이 개구되어 있는 판(67)과 판(67)의 각 홀(65)로부터의 광의 유무에 의해 진행방향을 연산하는 위치검출회로(71)로 구성된다. 자침(62)은 지자기의 영향을 받아서 항상 남극을 가르킨다. 이 자침(62)의 선단부분은 일단이 불투명물질, 타단이 투명물질로 되어 있으며, 그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홀(65)에 광원(60)에 의해서 위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차단하여 그림자를 만들도록 원형으로되어 있다. 그래서 위치검출회로(71)는 불투명물질에 의해서 완전히 그늘지게되어 있는 홀과 투명물질에 의해서 다소 그늘지게 되어 있는 홀을 검출하는 것에 의해 보트(1)의 진행방향을 인식할 수 있다.
판(67)은 선체하부(3)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보트(1)가 정북으로 진행하고 있는 경우는 자침(62)에 의해서 홀(65)에 의해 홀(65A)과 홀(65B)에 그림자가 생기도록 취부되어 있다. 이와 같이 미리 기준으로 되는 방향과 그 방향에 대해서 그늘지는 홀의 위치를 구하여 두면, 어느 홀이 그늘지는지를 알면 보트(1)의 대략의 진행방향을 알 수 있다. 또한 위치검출회로(71)는 어느 홀이 그늘지는가를 홀의 아래에 있는 광전도체(68)의 전기저항으로 인식한다. 결국 광전도체(68)는 광이 닿는 때와 광이 차단되는 때에 있어서 전기저항이 변화한다. 위치검출회로(71)는 어느 홀의 전기저항이 크게 변화한가를 인식하고 저항이 크게 변화한 홀을 불투명물질(예를 들면 N극측)로 차광되는 홀로 인식한다. 또한 위치검출회로(71)는 어느 홀의 전기저항이 작게 변화한가를 인식하고 저항이 작게 변화한 홀을 투명물질(예를 들면 S극측)로 작게 차광된 홀로 인식한다. 그래서 이들의 홀이 기준의 홀(예를 들면 65A)로부터 얼마만큼 벗어난 위치에 있는가를 판단하는 것으로 보트의 진행방향을 인식하고 있다. 위치검출회로(71)에서 인식된 진행방향은 무선용송신기(8)에 송신되며, 전파로서 출력된다. 그래서 진행방향은 원격조종장치(2)의 모니터(41)로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광전도체(68)를 이용하든가 포토다이오드 등의 수광소자를 이용하여도 좋다.
도 10은 진행방향검출장치(23) 및 원격조종장치(2)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진행방향검출장치(23)는 광전도체(68), 위치검출회로(71) 및 무선용송신기(8)를 가진다. 위치검출회로(71)는 복수의 광전도체(68) 중에서 저항이 변화하고 있는 광전도체(68)의 위치를 검출한다. 더욱이 위치검출회로(71)는 저항이 변화하고 있는 광전도체(68)의 위치에 의거해서 상기의 방법으로 보트(1)의 진행방향을 인식한다. 보트(1)의 진행방향에 관한 신호는 무선용송신기(8)로부터 원격조종장치(2)의 안테나(40)로 송신된다. 안테나(40)에서 수신된 신호는 위치방향연산부(48)에서 연산되며, 모니터(41)에서 화상으로서 표시된다.
도 11은 위치검출장치(24) 및 원격조종장치(2)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위치정보출력수단(17)에서 위치검출은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GPS와 같은 원리로 동작하는 것이다.
위치검출장치(24)는 위치안테나(51), 전파수신부(52), 위치연산부(53) 및 위치송신부(54)를 가진다. 원격조종장치(2)는 안테나(40), 위치방향연산부(48) 및 모 니터(41)를 구비한다.
위치안테나(51)는 위성의 전파를 수신한다. 위성의 전파는 전파수신부(52)를 거쳐 신호로서 위치연산부(53)에 송신된다. 위치연산부(53)는 신호에 의해서 보트(1)의 위치를 연산한다. 연산된 위치신호는 위치송신부(54)로부터 원격조종장치(2)의 안테나(40)로 송신된다. 안테나(40)에서 수신된 신호는 위치방향연산부(48)에서 연산되어서 모니터(41)로 표시된다.
도 12는 모니터(41)에 있어서의 진행방향 및 위치 표시의 례이다. 도 12에 있어서의 표시는 도 7에 있어서의 모니터(41)의 표시의 좌상부에 표시된다.
표시에는 보트(1)의 진행방향을 방위자석과 같이 표시하는 방위표시부(70)와 보트(1)의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표시부(72)가 있다.
방위표시부(70)에는 방위자석의 화상이 표시되며, 침(73)의 방위에 의해서 보트(1)의 진행방향을 알 수 있다. 또한 위치표시부(72)에는 위도와 경도가 표시되어 있으므로 보트(1)의 위치를 알 수 있다.
또한 위치표시부(72)의 표시는 경위도의 정보와 예를 들면 지도의 정보를 조합해서 지도상에 보트(1)의 위치를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도 13은 낚시줄(13)을 착탈가능하게 장착하는 장착장치(14)의 사시도이다.
장착장치(14)는 개폐자재한 후크부(80)와, 차광부재(81)와, 부하 스프링(82)과, 전자석(83)과 발광소자(84)와 수광소자(85)와 스프링(86) 및 상기 수광소자의 수광에 의한 신호를 송신하는 부하송신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부하송신수단으로는 상기 원격조종 낚시용 무인보트의 무선용송수신기(12)가 기능한다.
후크부(80)는 전자석(83)에 감응하는 부재로 되어 있다. 또한 후크부(80)는 전자석(83)에 전원이 입력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스프링(86)에 의해서 닫힌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 후크부(80)가 닫힌 상태에서는 낚시줄(13)은 후크부(80)로부터 빠지게된다. 차광부재(81)는 부하 스프링(82)에 부하가 걸리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발광소자(84)로부터의 광이 수광소자(85)에 도달하지 않도록 그들 사이에 위치한다. 부하 스프링(82)은 일단이 선체에 고정되어 있으며, 타단이 차광부재(81)에 취부되어 있다.
또한 원격조종 낚시용 무인보트에 사용을 위한 원격조종장치는 상기 부하송신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수광소자의 수광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는 제 3 수신기와, 상기 제 3 수신기의 수신에 의해서 상기 장착장치의 부하를 표시하는 모니터와, 상기 제 3 수신기의 수신에 의해서 경보를 발하는 알람 장치와, 상기 전자석에 자성을 부여하기 위한 신호를 송신하는 제 3 송신기를 구비한다.
도 14(a), (b) 및 (c)는 장착장치(14)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a)는 대기중의 장착장치(14)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b)는 주로 고기를 가짜 미끼 등으로 낚는 장착장치(14)의 부하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c)는 낚시 줄(13)을 임의의 장소에서 낙하시켜 고기를 낚는 경우의 장착장치(14)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고기를 가짜 미끼 등으로 낚는 경우의 장착장치(14)의 동작을 도 14(a) 및 (b)와 관련하여 설명한다.
낚시 줄(13)의 팁에는 가짜 미끼 또는 미끼가 취부되어 있으며, 그 가짜 미끼등을 끌면서 보트(1)는 진행한다. 낚시 줄에 고기가 걸리지 않아 부하 스프링(82)에 부하가 걸리지 않은 경우는 도 1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광부재(81)가 발광소자(84)와 수광소자(85)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발광소자(84)로부터의 광은 수광소자(85)에는 도달하지 않는다. 또한 후크부(80)는 양측에 있는 전자석(83)에 전원이 입력되지 않으므로 스프링(86)의 장력에 의해서 닫힌 그대로 있다.
그러나 낚시 줄(13)의 가짜 미끼 등에 고기가 걸려 부하 스프링(82)에 부하가 걸리면 부하 스프링(82)이 신장하고 동시에 차광부재(81)가 발광소자(84)와 수광소자(85)의 사이에서 이동하므로 수광소자(85)가 광을 수광하게 된다. 수광소자(85)가 수광한 것을 검지하면 무선용송수신기(12)는 원격조종장치(2)에 신호를 송신한다. 알람장치(49)는 신호를 화상으로 변환하고 배터리(18)의 잔량을 모니터(41)에 표시한다. 이 경우 배터리(18)의 잔량이 일정의 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알람장치(49)가 모니터(41)에서 잔량을 표시함과 동시에 경보를 발하여도 좋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원격조종 낚시용 보트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수면상에 보트(1)를 띄우고 조작자는 해안 또는 선상에서 원격조종장치(2)를 조작해서 보트(1)를 이동시킨다.
보트(1)를 추진시키는 경우에는 조작버튼(42B)을 소정회수 누른다. 조작버튼(42B)을 누르면 송신부(45)에 조작신호가 출력되며, 송신부(45)로부터는 추진동력원(10)을 동작시키기 위해 특정 전파의 신호가 출력된다. 이 특정 전파의 신호에 의해서 추진동력원(10)이 동작해서 보트(1)가 전진한다.
즉 조작버튼(42B)을 소정회수 누르면 원격조종장치(2)로부터 보트(1)를 추진시키는 신호가 출력된다. 이 신호는 보트(1)의 무선용수신기(9)에 의해 수신되며, 배터리(18)에 의해서 모터(19)가 회전한다. 이 회전은 샤프트(20)을 거쳐 스크류(21)에 전달되며, 물이 압출된다. 이 경우에는 선체하부(3)에 취부되어 있는 선저커버(5)의 취수공(6)으로부터 물이 흡입되며, 스크류(21)를 향해서 유입된 물이 스크류(21)에 의해서 압출된다. 압출된 물은 조타장치(26)의 원통상의 키(11)의 원통내를 통해서 후방으로 흐르게된다. 이 물의 압출된 힘의 반작용으로 보트(1)가 전진한다. 또한 보트(1)를 후퇴시키는 경우에는 조작버튼(42B)을 소정수 누른다. 이것에 의해서 모터(19)의 회전방향이 변한다.
또한 보트가 전진 또는 후퇴할 시에는 선저커버(5)에 의해서 해초나 쓰레기등의 부유물이나 낚시줄이 스크류(21)에 걸리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보트(1)를 조타하는 경우에는 조작버튼(42C)를 소정회수 누른다. 조작버튼(42C)가 눌러지면, 송신부(45)에 조작신호가 출력되며, 송신기(45)로부터는 조타장치(26)를 동작시키기 위해 특정 전파신호가 출력된다. 이 특정 전파신호에 의해서 조타장치(26)가 동작하고 원통상의 키(11)가 좌우로 회동되어 보트(1)의 방향이 제어된다.
즉 조작버튼(42C)을 소정회수 누르면 원격조종장치(2)로부터 보트(1)를 조타시키는 신호가 출력(누른 회수에 대응해서 우조타, 좌조타의 신호가 출력)된다. 이 신호는 보트(1)의 무선용수신기(9)에 의해서 수신되며, 배터리(18)에 의해서 모터(28)가 회전한다. 이 회전은 기어를 거쳐서 샤프트(27)에 전달되며, 원통상의 키(11)가 서서히 지정된 각도로 회동한다. 스크류(21)에 의해서 압출된 물은 이 원통상의 키(11)의 내부를 통해서 보트(1)의 후방으로 압출되므로, 원통상의 키(11)의 회동각도에 대응한 조타가 되며, 보트(1)의 방향이 변한다.
조작버튼(42B,42C)을 조작해서 보트(1)가 소망의 장소까지 도달하면, 초음파 송수신기(7)를 동작시켜서 수저의 상태와 어군의 위치를 조사한다. 이러한 조작은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초음파 송수신기(7)를 동작시키는 경우에는 조작버튼(42A)을 누른다. 조작버튼(42A)이 눌러지면, 송신부(45)에 조작신호가 출력되며, 송신기(45)로부터는 초음파송수신기(7)를 동작시키기 위한 특정 전파의 신호가 출력된다. 이 특정 전파신호에 의해서 초음파송수신기(7)는 측정한 수저의 상태와 어군의 위치를 안테나(29)를 거쳐 출력한다.
원격조종장치(2)의 계측부(47)에서는 초음파송수신기(7)에 의해서 측정된 수저의 상태와 어군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안테나(40)를 거쳐 입력하고 이 정보를 해석해서 모니터(41)에 표시한다.
결국 초음파송수신기(7)가 동작하면 임의 시간간격으로 해저나 호저(湖低)로 지향된 초음파발신기로부터 초음파 펄스가 발신되며, 그 초음파펄스가 해저 또는 호저에 반사되며, 그 반사된 초음파 펄스가 초음파수신기에서 수신된다. 이 임의 시간간격으로 발해지는 초음파를 발신하기 위한 전기신호와, 해저 또는 호저에서 반사된 초음파를 수신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 전기신호는 무선용송신기(8)에 의해 송신된다. 이 송신된 신호는 원격조종장치(2)의 계측부(47)에 의해 수신되며, 그 수신된 신호로부터 수심과 어군의 위치를 계측하고, 이 계측결과를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니터(41)에 표시한다.
조작자는 이 모니터(41)의 화상을 보아가며 조작버튼(42B,42C)을 조작해서 보트(1)의 위치를 조정하여 낚시에 최적한 위치를 구한다. 최적 위치가 구해지면, 조작버튼(42B)를 눌러서 보트(1)를 정지시켜 조작버튼(42D)을 눌러서 낚시줄(13)을 장착장치(14)로부터 제거한다. 이에 의해 낚시바늘은 수중으로 넣어진다.
또 보트(1)로부터는 그 위치와 진행방향을 나타내는 신호가 출력되며, 위치방향연산부(48)에 의해서 그 신호가 해석되며, 도 7에 도시한 바와같이, 모니터(41)의 화면의 일부에 보트의 위치(문자표시)와 방향(화살표시)이 표시된다. 이 때문에 야간에도 보트(1)를 용이하게 조작자의 위치까지 유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원격조종 낚시용 무인보트 및 그 원격조종장치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는다.
특정 전파를 수신해서 보트의 각종 동작이 행해지므로 수면상의 보트의 전진, 후퇴, 방향회전을 원격조작에 의해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수심 및 수저의 상태를 측정하는 측심기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수심을 측정하여 수저의 상태를 알 수 있다.
특정 전파를 수신하는 것에 의해서 보트의 조작을 자유자재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수심 및 수저의 상태를 모니터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최적한 위치를 구하여 낚시바늘을 늘어뜨리는 것이 가능하며, 효과적인 낚시가 가능하다.
특정 전파를 수신해서 보트의 각종동작이 행해지므로 수면상의 보트의 전진, 후퇴, 방향회전을 원격조작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더욱이 어군탐지기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어군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특정 전파를 송신하는 것에 의해서 보트의 조작을 자유자재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어군의 위치를 모니터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최적한 위치를 구하여 낚시바늘을 늘어뜨리는 것이 가능하며, 효과적인 낚시가 가능하다.
보트의 진행방향에 관한 정보를 특정 전파로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보트의 조작자는 보트를 직접 볼 수 없어도 보트를 조작할 수 있다.
보트의 진행방향외에 더욱이 위치도 검출하여 특정 전파로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보트의 조작자는 보다 정확히 보트를 직접 볼 수 없어도 조작할 수 있다.
보트에 표시등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보트가 시각적으로 확인이 쉽게된다.
보트에 리프팅 핸들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수면의 보트를 간단히 리프트할 수 있다.
회전자침을 이용해서 진행방향을 검출하므로, 복잡한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간단히 어림의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보트의 진행방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해서 모니터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시각적으로 보트의 진행방향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보트를 직접보지않고 조작함에 편리하다.
보트의 진행방향과 위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 모니터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간단히 보트의 진행방향과 위치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래서 조작자는 모니터를 보면서 원격조종장치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서 보트를 조작자의 위치까지 유도할 수 있다.
선저커버의 전방에 복수의 취수공이 개구하여 있으므로, 선저커버의 내부에 물만을 취수할 수 있다. 따라서 선저커버의 내부에 해초등이 진입하지 않게 된다.
스크류가 선저커버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취수공으로부터 취입된 물은 원통상의 키로부터 선저커버의 외부에 제트류(jet flow)로되어 압출된다. 또한 원통상의 키는 모니터에 의해 좌우로 회동자재하므로 원통상의 키를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압출하는 수류의 방향이 변화하며, 보트를 조타할 수 있다. 더욱이 스크류는 선저커버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해초나 부유물 등이 걸리지 않게 된다.
후크부에 낚시줄이 걸려 있으며, 후크부와 함께 보트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차광부재가 발광수단과 수광수단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당기는 낚시(drag fishing)를 행할 경우에는 고기가 낚시바늘에 걸린 것을 수광수단이 수광한 것으로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 검출을 출력할 수 있다. 더욱이 조작자가 원격조종장치를 보아 적당한 장소에 낚시바늘을 늘어뜨린 경우에는 원격조작에 의해서 낚시줄을 투하할 수 있다.
보트의 낚시줄에 고기가 걸렸다는 정보를 수신하고 고기가 걸린 것을 모니터에서 표시해서 조작자가 알게하는 것이 가능하며, 더욱이 알람에 의해서 경보를 발할 수 있다. 따라서 시청각적으로 조작자에게 고기가 걸린 것을 알릴 수 있다.
보트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에 배터리의 잔량을 검출하는 배티리검출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더욱이 그 배터리의 잔량의 정보를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배터리의 잔량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며, 모니터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조작자는 배터리의 잔량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배터리의 잔량에 의해서 조작자에게 알람으로 경고할 수 있다.


Claims (17)

  1. 수심 및 수저의 상태를 측정하는 측심기와,
    상기 측심기에 의해서 측정된 수심 및 수저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특정 전파에 의해 송신하는 제 1 송신기와,
    보트를 추진시키는 추진동력원과,
    상기 보트를 조타하는 조타장치와,
    낚시줄을 착탈가능하게 장착하는 장착장치와,
    상기 측심기, 상기 추진동력원, 상기 조타장치, 상기 장착장치의 조작에 관한 특정 전파를 수신해서 이들을 동작시키는 제 1 수신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작에 의해서 고기를 낚는 원격조종 낚시용 무인보트.
  2. 제 1항의 원격조종 낚시용 무인보트에 사용을 위한 원격조종장치로서, 상기 제 1수신기에 상기 측심기, 상기 추진동력원, 상기 조타장치, 상기 장착장치의 조작에 관한 특정 전파를 송신하는 제 2 송신기와,
    상기 제 2 송신기에 상기 측심기, 상기 추진동력원, 상기 조타장치, 상기 장착장치에 관한 조작신호를 출력하는 조작신호출력수단과,
    상기 제 1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수심 및 수저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가지는 특정 전파를 수신하는 제 2 수신기와,
    상기 제 2 수신기가 수신하는 신호에 의해서 수심 및 수저의 상태를 표시하는 모니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종장치.
  3. 어군을 탐지하는 어군탐지기와,
    상기 어군탐지기에 의해서 측정된 어군에 관한 정보를 특정 전파에 의해 송신하는 제 1 송신기와,
    보트를 추진시키는 추진동력원과,
    상기 보트를 조타하는 조타장치와,
    낚시줄을 착탈가능하게 장착하는 장착장치와,
    상기 어군탐지기, 상기 추진동력원, 상기 조타장치, 상기 장착장치의 조작에 관한 특정 전파를 수신해서 이들을 동작시키는 제 1 수신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작에 의해서 고기를 낚는 원격조종 낚시용 무인보트.
  4. 제 3항의 원격조종 낚시용 무인보트에 사용을 위한 원격조종장치로서,
    상기 제 1수신기에 상기 어군탐지기, 상기 추진동력원, 상기 조타장치, 상기 장착장치의 조작에 관한 특정 전파를 송신하는 제 2 송신기와,
    상기 제 2 송신기에 상기 어군탐지기, 상기 추진동력원, 상기 조타장치, 상기 장착장치에 관한 조작신호를 출력하는 조작신호출력수단과,
    상기 제 1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수심 및 수저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가지는 특정 전파를 수신하는 제 2 수신기와,
    상기 제 2 수신기가 수신하는 신호에 의해서 수심 및 수저의 상태 및 어군의 위치를 표시하는 모니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종장치.
  5. 제 1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보트에는 이 보트의 진행방향에 관한 정보를 특정 전파로 출력하는 진행방향검출장치가 추가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종 낚시용 무인보트.
  6.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트에는 이 보트의 위치와 진행방향에 관한 정보를 특정 전파로 출력하는 위치정보출력수단이 추가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종 낚시용 무인보트.
  7.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트에는 이 보트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알려주기 위한 표시등이 추가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종 낚시용 무인보트.
  8.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트에는 이 보트를 수면상에 내리거나 수면으로부터 리프트하기 위한 리프팅 핸들이 추가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종 낚시용 무인보트.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진행방향검출장치는 한쪽의 선단부가 N극으로 다른 쪽의 선단부가 S극으로 자화되며,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자침과,
    상기 회전자침의 하측에 설치된 광전도체와,
    상기 회전자침 및 상기 광전도체를 위로부터 조사하는 광원과,
    상기 광전도체로부터의 전기신호에 의해서 진행방향을 검지하는 위치검출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종 낚시용 무인보트.
  10. 제 5항의 원격조종 낚시용 무인보트에 사용을 위한 원격조종장치로서, 상기 원격조종장치는 상기 위치검출회로로부터 출력된 상기 보트의 진행방향에 관한 정보에 의해서 상기 보트의 진행방향을 상기 모니터에 표시하는 진행방향검출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종장치.
  11. 제 6항의 원격조종 낚시용 무인보트에 사용을 위한 원격조종장치로서, 상기 원격조종장치는 상기 위치정보출력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보트의 위치와 진행방향에 관한 정보에 의해서 상기 보트의 현재위치와 상기 보트의 진행방향을 상기 모니터에 표시하는 위치검출장치 및 진행방향검출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종장치.
  12.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동력원은 배터리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샤프트를 거쳐서 보트외부에 설치되는 스크류와,
    상기 보트의 선체하부에 상기 스크류를 덮도록 취부되며, 복수의 취수공이 개구되어 있는 선저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종 낚시용 무인보트.
  13.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타장치는 모터의 샤프트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원통상의 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종 낚시용 무인보트.
  1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장치는 자성에 의해서 개폐가능하게 보트의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한 후크부와,
    상기 후크부의 개폐를 행하는 전자석과,
    상기 후크부와 함께 보트의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차광부재와,
    상기 차광부재의 이동전에는 광을 송수신하지 못하며, 상기 차광부재의 이동후는 상기 차광부재로 차광되지 않고 광의 송수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발광수단 및 수광수단과,
    낚시 줄의 가짜 미끼 등에 고기가 걸려 부하가 걸리면 신장하여 동시에 상기 차광부재가 상기 발광수단 및 수광수단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하여 상기 수광수단이 광을 수광하도록 하는 부하스프링, 및
    상기 수광수단의 수광에 의해서 신호를 송신하는 부하송신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종 낚시용 무인보트.
  15. 제 14항의 원격조종 낚시용 무인보트에 사용을 위한 원격조종장치로서,
    상기 부하송신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수광수단의 수광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는 제 3 수신기와,
    상기 제 3 수신기의 수신에 의해서 상기 장착장치의 부하를 표시하는 모니터와,
    상기 제 3 수신수단의 수신에 의해서 경보를 발하는 알람장치와,
    상기 전자석에 자성을 부여하기 위한 신호를 송신하는 제 3 송신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종장치.
  16.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전력의 공급을 행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검출하는 배터리검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원격조종 낚시용 무인보트.
  17. 제 16항의 무인원격조종 낚시용 무인보트에 사용을 위한 원격조종장치로서,
    배터리의 잔량치의 정보에 의해서 배터리의 잔량을 표시하는 모니터와,
    상기 배터리의 잔량치의 정보에 의해서 경고를 발하는 알람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종장치.
KR1020000004285A 1999-01-29 2000-01-28 원격조종 낚시용 무인보트 및 그 원격조종장치 KR1006238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22708 1999-01-29
JP2270899 1999-01-29
JP11-350536 1999-12-09
JP35053699A JP3640852B2 (ja) 1999-01-29 1999-12-09 遠隔操縦釣り用無人ボートおよびその遠隔操縦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6555A KR20000076555A (ko) 2000-12-26
KR100623825B1 true KR100623825B1 (ko) 2006-09-12

Family

ID=26359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4285A KR100623825B1 (ko) 1999-01-29 2000-01-28 원격조종 낚시용 무인보트 및 그 원격조종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023830B1 (ko)
JP (1) JP3640852B2 (ko)
KR (1) KR100623825B1 (ko)
CN (1) CN1147224C (ko)
AU (1) AU760474B2 (ko)
DE (1) DE6000718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0110A (ja) * 2001-06-26 2003-01-07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の表示装置
CN1151717C (zh) * 2001-03-28 2004-06-02 曾兆明 无线遥控电子数码钓鱼用具
KR20030054568A (ko) * 2001-12-26 2003-07-02 김동호 경정장 결빙방지 방법 및 장치
JP3939710B2 (ja) 2004-06-04 2007-07-04 コデン株式会社 遠隔操縦無人ボート
KR100711319B1 (ko) * 2005-09-21 2007-04-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낚시 시스템 및 방법
US7854087B1 (en) * 2006-11-29 2010-12-21 Aslam Pervez Remotely operable bait deploying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CN101782780B (zh) * 2010-01-15 2011-07-06 汤晓东 无线遥控钓鱼船
WO2011103716A1 (zh) * 2010-02-25 2011-09-01 深圳市瑞益弘科技有限公司 智能无线遥控钓鱼船
JP2014202656A (ja) * 2013-04-08 2014-10-27 日本無線株式会社 埋設物探査装置
CN103760564A (zh) * 2013-04-23 2014-04-30 苏州爱思索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无线遥控巡游探鱼器
CN103569325B (zh) * 2013-10-24 2016-07-06 孙勇宏 一种自动感应钓鱼船
CN103858837B (zh) * 2014-03-13 2016-02-24 重庆远钓科技有限公司 无人值守钓鱼系统及方法
CN104236552A (zh) * 2014-09-30 2014-12-24 金华雅奇电子科技有限公司 智能钓鱼地图系统
JP6479418B2 (ja) * 2014-10-31 2019-03-06 古野電気株式会社 遠隔操舵システム、遠隔操作装置、及び遠隔操舵方法
CN104808211A (zh) * 2014-12-12 2015-07-29 南阳理工学院 一种用于测量鱼游动轨迹的探测器
KR101564876B1 (ko) * 2014-12-19 2015-10-30 주식회사 워터앤에코바이오 원격 수질측정 장치, 원격 수질측정 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
KR101655650B1 (ko) * 2015-02-02 2016-09-07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상 부유물 수거장치
US10661867B2 (en) 2016-02-18 2020-05-26 Powervision Tech Inc. Underwater drone with capacity of fishing, rapidly moving and wireless remote control
WO2017140096A1 (zh) * 2016-02-18 2017-08-24 北京臻迪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无人船及系统
ES2638221B1 (es) * 2016-04-18 2018-07-25 Murali Krishnan JEYAPALAN Dispositivo transportador por radiocontrol de los aparejos de pesca lejos de la costa para la pesca con caña.
CN105947149B (zh) * 2016-05-31 2017-09-29 广东海洋大学 一种鱼类水下活动监测船
JP2018078814A (ja) * 2016-11-15 2018-05-2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水中移動体及びプログラム
GB201707391D0 (en) * 2017-05-11 2017-06-21 Innorian Ltd Article for use in water
WO2019129068A1 (zh) * 2017-12-27 2019-07-04 北京臻迪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多功能涉水机器人及其系统
CN109521775A (zh) * 2018-12-28 2019-03-26 珠海市汉图达科技有限公司 一种无人艇自动返航控制系统及方法
CN112180379A (zh) * 2019-07-03 2021-01-05 中联智科高新技术有限公司 一种鱼类数据统计分析系统
JP7126997B2 (ja) * 2019-08-29 2022-08-29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撒餌の分布を出力可能な撒餌収容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17033A (ja) * 1987-06-20 1988-12-26 Hiroshi Naka 遠隔操作による模型船用魚釣り装置
KR970026810A (ko) * 1995-11-25 1997-06-24 윤경기 로봇 보트와 무선 컨트롤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13839A (ja) * 1988-10-22 1990-04-26 Inter Nitsukusu Kk 釣用うき
US5086581A (en) * 1989-07-21 1992-02-11 Barra Charles L Electronic fishing bobber
FR2666198A1 (fr) * 1990-08-28 1992-03-06 Lazzari Jean Marc Automate telecommande pour peche a la ligne.
US5154016A (en) * 1991-01-03 1992-10-13 Lazy Fisherman Incorporated Remote control angling devices
US5201884A (en) * 1991-12-12 1993-04-13 Nicholas Mike W Aquatic locator apparatus
US5363587A (en) * 1993-07-28 1994-11-15 Nordling Carl E Remote control fishing boat remote troller
US5581932A (en) * 1995-03-27 1996-12-10 Bell; Stanley Radio-controlled trolling vesse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17033A (ja) * 1987-06-20 1988-12-26 Hiroshi Naka 遠隔操作による模型船用魚釣り装置
KR970026810A (ko) * 1995-11-25 1997-06-24 윤경기 로봇 보트와 무선 컨트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6555A (ko) 2000-12-26
AU760474B2 (en) 2003-05-15
DE60007185D1 (de) 2004-01-29
DE60007185T2 (de) 2004-09-16
JP3640852B2 (ja) 2005-04-20
CN1147224C (zh) 2004-04-28
EP1023830B1 (en) 2003-12-17
JP2000284042A (ja) 2000-10-13
AU1362400A (en) 2000-08-03
CN1265364A (zh) 2000-09-06
EP1023830A1 (en) 2000-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3825B1 (ko) 원격조종 낚시용 무인보트 및 그 원격조종장치
US6520105B2 (en) Remote control unmanned fishing boat and device for remote control thereof
US11573566B2 (en) Castable sonar devices and operations in a marine environment
US20230259128A1 (en) Unmanned vehicle control and operation in a marine environment
CN106240774B (zh) 一种无人船及系统
US8154953B1 (en) Remote controlled fish locating system
US4995010A (en) Depth finding-trolling system
US4805337A (en) Fish sonar body
CN106530660A (zh) 一种水下无人船控制系统
AU2019201190B2 (en) System for dangerous current identification, characterization, alerting and for distressed swimmer location and assistance
US20110138675A1 (en) Radio controlled fish finding lure float
JPH1020382A (ja) 水中観察装置
JP2771443B2 (ja) 流出油探知方法
KR100731784B1 (ko) 낚시용 탐지장치
US20230358885A1 (en) Sonar steering for lures
GB2392599A (en) Bite Alarm
US20220028240A1 (en) System for dangerous current identification, characterization, alerting and for distressed swimmer location and assistance
JP2002286841A (ja) 釣り具用魚群探知機
EP3650889A2 (en) Castable sonar devices and operations in a marine environment
US10081411B1 (en) Signaling apparatus and system to identify and locate marine objects and hazards
JP5964381B2 (ja) 落水事故監視方法および落水事故監視システム
KR20140115939A (ko) 낚시용 릴, 및 낚시 정보 표시 시스템
KR102376028B1 (ko) 침수감지 모바일단말기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구조신호 발송방법
JPH04187040A (ja) 釣用うき
AU2018200143A1 (en) A buoy mar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