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2739B1 - 자동차용 콘솔 암레스트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콘솔 암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2739B1
KR100622739B1 KR1020050059210A KR20050059210A KR100622739B1 KR 100622739 B1 KR100622739 B1 KR 100622739B1 KR 1020050059210 A KR1020050059210 A KR 1020050059210A KR 20050059210 A KR20050059210 A KR 20050059210A KR 100622739 B1 KR100622739 B1 KR 100622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rest
console box
cam
console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9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정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9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27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2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2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9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7Mid-cons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2Seats or parts thereof
    • B60R2011/0014Arm-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콘솔 암레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수용공간이 형성된 콘솔박스와; 상기 콘솔박스의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고, 탑승자의 팔이 안착되는 암레스트와; 상기 콘솔박스와 상기 암레스트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암레스트가 상기 콘솔박스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을 지지하며, 상기 암레스트와 일체로 회동하는 지지브래킷과; 상기 지지브래킷과 상기 콘솔박스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캠과; 상기 지지브래킷과 상기 콘솔박스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암레스트가 소정 각도 개방될 때 상기 캠과 접촉하여 상기 암레스트의 처짐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암레스트의 처짐이 방지됨으로써 탑승자가 수용공간 내의 물품을 용이하게 인출 가능하므로 사용상 편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콘솔 암레스트{CONSOLE ARM REST FOR VEHICLE}
도 1은 종래의 콘솔 암레스트에서 암레스트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콘솔 암레스트의 암레스트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콘솔 암레스트에서 캠과 스토퍼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자동차용 콘솔 암레스트 10 : 콘솔박스
10a : 수용공간 20 : 암레스트
31 : 힌지축 34 : 지지브래킷
35 : 캠 40 : 스토퍼
본 발명은, 자동차용 콘솔 암레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암 레스트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콘솔 암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는 소형의 물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110a)이 형성된 콘솔박스(110)가 마련되어 있고, 콘솔박스(110)의 상부에는 수용공간(110a)을 개폐하며 통상의 경우 운전자가 팔을 안착시킬 수 있는 암레스트(120)가 장착되어 있다. 이 때, 콘솔박스(110)와 암레스트(120)의 사이에는 암레스트(120)를 콘솔박스(11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부(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암레스트(120)에 의해 수용공간(110a)이 폐쇄될 경우에는 운전자는 암레스트(120)에 팔을 올려놓음으로써 피로감을 덜 수 있고, 암레스트(120)에 의해 수용공간(110a)이 개방될 경우에는 탑승자는 소정의 물품을 콘솔박스(110)에 보관할 수 있어 물품이 분실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자동차용 콘솔 암레스트에 있어서는, 탑승자가 수용공간으로부터 물품을 인출하기 위해 암레스트를 개방할 때 암레스트의 자중에 의해 암레스트가 처지게 되므로 탑승자의 편익을 도모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암레스트의 처짐을 방지하여 사용상 편리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수용공간이 형성된 콘솔박스와; 상기 콘솔박스의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고, 탑승자의 팔이 안착되는 암레스트와; 상기 콘솔박 스와 상기 암레스트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암레스트가 상기 콘솔박스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을 지지하며, 상기 암레스트와 일체로 회동하는 지지브래킷과; 상기 지지브래킷과 상기 콘솔박스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캠과; 상기 지지브래킷과 상기 콘솔박스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암레스트가 소정 각도 개방될 때 상기 캠과 접촉하여 상기 암레스트의 처짐을 방지하는 스토퍼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는 탄성 재질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캠은 상기 지지브래킷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암레스트가 소정 각도 개방될 때 상기 캠과 상기 스토퍼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암레스트의 처짐이 방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콘솔 암레스트의 암레스트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콘솔 암레스트(1)는 상측에 수용공간(10a)이 형성된 콘솔박스(10)와, 콘솔박스(10)의 상부에 장착되어 탑승자의 팔을 안착시킬 수 있는 암레스트(20)와, 콘솔박스(10) 및 암레스트(20)의 후방에 마련되어 암레스트(20)가 콘솔박스(10)에 대해 회동 개폐되도록 지지하는 힌지부(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콘솔박스(10)와 암레스트(20)의 전방에는 암레스트(20)를 콘솔박스(10)와 걸림유지 또는 걸림해제시키는 래치장치(미도시)가 마련될 수도 있다.
콘솔박스(10)는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배치되며, 소정의 물품이 수용되도록 수용공간(10a)이 형성된 트레이(11)와, 트레이(11)와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콘솔박스(10)에는 후술할 캠(35)과 접촉하여 암레스트(20)의 개방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40)가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40)는 탄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탑승자가 암레스트(20)를 회동시킬 때 캠(35)과 부드럽게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스토퍼(40)가 고무재질로 이루어졌으나, 판스프링 등으로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암레스트(20)는 힌지부(30)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수용공간(10a)을 개폐하고, 탑승자의 팔이 안착될 수 있다.
힌지부(30)는 콘솔박스(10) 및 암레스트(20)에 결합되어 암레스트(20)가 콘솔박스(1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축(31)과, 힌지축(31)이 삽입되고 암레스트(20)와 일체로 회동하는 지지브래킷(34)을 포함한다. 이 때, 힌지부(30)의 후방에는 힌지부(3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커버하여 미관을 수려하게 하는 리어커버(32)가 장착되어 있다.
지지브래킷(34)은 거의 "U"자 형상으로 마련되며, 일측이 암레스트(20)와 결합되고 타측이 힌지축(31)과 결합되는 지지본체(33)와, 힌지축(31)과 인접한 부분에 형성된 캠(35)을 포함한다.
캠(35)은 암레스트(20)가 소정 각도 회동될 때 함께 회동되어 콘솔박스(10)에 형성된 스토퍼(40)와 마찰 접촉되는 형상을 가진다. 즉, 캠(35)과 스토퍼(40) 간의 마찰력에 의해 암레스트(20)는 그 회동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탑승자가 마찰력 이상의 힘을 더 가하면 암레스트(20)는 더 회동되는데 이 때에도 캠(35)과 스토퍼(40)는 계속 마찰 접촉된다. 여기서, 캠(35)은 지지본체(33)와 일체로 형성되나, 캠(35)을 별도로 제작하여 지지본체(33)에 결합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캠(35)을 지지본체(33)와 일체로 성형하여 조립공정을 단축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콘솔 암레스트(1)에서 캠(35)과 스토퍼(40)의 작동상태를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과 같이 암레스트(20)가 폐쇄된 상태에서 탑승자가 암레스트(20)를 상향 가압하면 암레스트(20)는 힌지축(31)의 축선을 중심으로 상향 회동하게 된다. 이 때, 지지브래킷(34)은 암레스트(20)와 일체로 상향 회동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레스트(20)가 대략 30도 정도 개방되었을 때 지지브래킷(34)의 캠(35)은 스토퍼(40)와 접촉하기 시작하게 되고, 30도 이상부터 캠(35)과 스토퍼(40)가 오버랩(overlap)되면서 캠(35)과 스토퍼(40) 간의 마찰력이 발생하게 된다(도 5참조). 이 때, 캠(35)과 스토퍼(40) 간의 마찰력은 암레스트(20)의 회동력과 거의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탑승자가 캠(35)과 스토퍼(40) 간의 마찰력 이상의 힘으로 암레스트(20)를 회동시키지 않는 이상 암레스트(20)는 그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암레스트(20)가 하향으로 처지지 않으므로 탑승자는 콘솔박스(10) 내의 물품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그 후, 탑승자가 도 5상태의 암레스트(20)를 상향 가압하면 캠(35)과 스토퍼(40)의 오버랩(overlap)되는 면적은 도 5에 비해 커지면서 마찰력이 증가하게 된다. 이 때, 캠(35)과 스토퍼(40) 간의 마찰력은 암레스트(20)의 회동력과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암레스트(20)가 처지지 않고 그 상태를 유지한다.
마지막으로, 탑승자가 전단계의 캠(35)과 스토퍼(40) 간의 마찰력 이상의 힘을 가하여 암레스트(20)를 상향 회동하면 도 6과 같이 암레스트(20)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 때, 스토퍼(40)는 지지본체(33)와 캠(35) 사이에 형성된 홈(32a)에 끼워지게 되어 암레스트(20)가 85도 이상으로 젖혀지지 않도록 저지한다.
또한, 탑승자가 암레스트(20)에 소정의 힘을 서서히 하향 가압하면 암레스트(20)는 그 힘에 대응하여 서서히 닫히게 됨으로써, 암레스트(20)의 자중에 의해 닫힐 때 발생하는 둔탁한 소리가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암레스트(20)가 소정 각도 이상 회동할 때 캠(35)과 스토퍼(40) 간의 마찰력에 의해 암레스트(20)의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탑승자가 콘솔박스(10) 내에서 물품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캠이 지지브래킷에 마련되어 있고 스토퍼가 콘솔박스에 마련되어 있으나, 캠이 콘솔박스에 마련되어 있고 스토퍼가 지지브래킷에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캠과 스토퍼가 오버랩(overlap)됨으로써 암레스트의 개방을 유지할 수 있는 각도가 대략 30도 ~ 85도 사이로 마련되어 있으나, 이는 캠 또는 스토퍼의 형상 또는 위치 등을 변형시킴으로써 암레스트의 개방유지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암레스트의 처짐이 방지됨으로써 탑승자가 수용공간 내의 물품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는 자동차용 콘솔 암레스트가 제공된다.

Claims (3)

  1. 수용공간이 형성된 콘솔박스와;
    상기 콘솔박스의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고, 탑승자의 팔이 안착되는 암레스트와;
    상기 콘솔박스와 상기 암레스트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암레스트가 상기 콘솔박스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을 지지하며, 상기 암레스트와 일체로 회동하는 지지브래킷과;
    상기 지지브래킷과 상기 콘솔박스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캠과;
    상기 지지브래킷과 상기 콘솔박스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암레스트가 소정 각도 개방될 때 상기 캠과 접촉하여 상기 암레스트의 처짐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콘솔 암레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탄성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콘솔 암레스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상기 지지브래킷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암레스트가 소정 각도 개방될 때 상기 캠과 상기 스토퍼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암레스트의 처짐이 방지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콘솔 암레스트.
KR1020050059210A 2005-07-01 2005-07-01 자동차용 콘솔 암레스트 KR100622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9210A KR100622739B1 (ko) 2005-07-01 2005-07-01 자동차용 콘솔 암레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9210A KR100622739B1 (ko) 2005-07-01 2005-07-01 자동차용 콘솔 암레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2739B1 true KR100622739B1 (ko) 2006-09-11

Family

ID=37624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9210A KR100622739B1 (ko) 2005-07-01 2005-07-01 자동차용 콘솔 암레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27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25177B2 (en) 2019-08-22 2022-01-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console assembl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834U (ja) * 1992-09-11 1994-04-15 秀樹 古屋仲 クリップ付メガネおよび該メガネに使用するクリップ
KR0132607Y1 (ko) * 1994-09-23 1998-12-15 전성원 완충용 클립을 구비한 콘솔 박스
KR19990027444A (ko) * 1997-09-30 1999-04-15 양재신 트레이 내장용 콘솔박스의 힌지구조
JP2000185601A (ja) 1998-12-24 2000-07-04 Toyoda Gosei Co Ltd コンソールボックス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834U (ja) * 1992-09-11 1994-04-15 秀樹 古屋仲 クリップ付メガネおよび該メガネに使用するクリップ
KR0132607Y1 (ko) * 1994-09-23 1998-12-15 전성원 완충용 클립을 구비한 콘솔 박스
KR19990027444A (ko) * 1997-09-30 1999-04-15 양재신 트레이 내장용 콘솔박스의 힌지구조
JP2000185601A (ja) 1998-12-24 2000-07-04 Toyoda Gosei Co Ltd コンソールボックス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25177B2 (en) 2019-08-22 2022-01-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console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8075B2 (en) Seat assembly having an armrest
US20070013202A1 (en) Vehicle interior accessory having a pivotable door
CN108263291B (zh) 车门
US10137840B2 (en) Vehicle interior component
US7758102B2 (en) Interior folding armrest for automotive vehicle door
JP6716113B2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などの蓋体用のヒンジ機構
KR100622739B1 (ko) 자동차용 콘솔 암레스트
US20090295183A1 (en) Articulating bins
JP4376271B2 (ja) オーバーヘッドコンソール装置
JP4429005B2 (ja) 蓋装置及び収納装置
JP6799991B2 (ja) 回動体装置及び収納装置
JP5916076B2 (ja) 可動装置
JP4244464B2 (ja) 二段収納容器
JP5266398B2 (ja) 車両用室内トリム部品のヒンジアッセンブリー
JP2011251617A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5691496B2 (ja) 車両用シートのアームレスト
JP5158773B2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KR102213708B1 (ko) 자동차의 암레스트용 힌지장치
JP7356405B2 (ja) テーブルユニット
JP5813490B2 (ja) 車両用収納装置
KR20190016732A (ko) 콘솔 암레스트의 힌지 구조
JP2004114970A (ja) グローブボックスの開速度緩和構造
JP3752856B2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のドア開閉機構
JP4906533B2 (ja) オーバーヘッドコンソール装置
US20230175300A1 (en) Door closing shock absorber and door mechanism provided with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3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