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2115B1 - 바디 페인팅용 스텐실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바디 페인팅용 스텐실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2115B1
KR100622115B1 KR1020050039990A KR20050039990A KR100622115B1 KR 100622115 B1 KR100622115 B1 KR 100622115B1 KR 1020050039990 A KR1020050039990 A KR 1020050039990A KR 20050039990 A KR20050039990 A KR 20050039990A KR 100622115 B1 KR100622115 B1 KR 100622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stencil
disc
shape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9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종혁
Original Assignee
안종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종혁 filed Critical 안종혁
Priority to KR1020050039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21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2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2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C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R REPRODUCTION OF PRINTING SURFACES
    • B41C1/00Forme preparation
    • B41C1/14Forme preparation for stencil-printing or silk-screen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N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FOR SURFACES USED IN PRINTING MACHINES FOR PRINTING, INKING, DAMPING, OR THE LIKE; PREPARING SUCH SURFACES FOR USE AND CONSERVING THEM
    • B41N1/00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therefor
    • B41N1/24Stencils; Stencil materials; Carriers therefor
    • B41N1/241Stencils; Stencil materials; Carrie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N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FOR SURFACES USED IN PRINTING MACHINES FOR PRINTING, INKING, DAMPING, OR THE LIKE; PREPARING SUCH SURFACES FOR USE AND CONSERVING THEM
    • B41N1/00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therefor
    • B41N1/24Stencils; Stencil materials; Carriers therefor
    • B41N1/242Backing sheets; Top sheets; Intercalated sheets, e.g. cushion sheets; Release layers or coatings; Means to obtain a contrasting image, e.g. with a carbon sheet or coat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12Production of screen printing forms or similar printing forms, e.g. stenci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6Processing photosensitive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바디 페인팅용 스텐실의 제조방법은, 망사 등 물질 투과성이 우수한 소재에, 불투과성 물질로 특정 모양을 결착시키는 원판 제작단계, 접착판 위에 상기 원판 제작단계를 통해 특정 모양이 결착된 원판을 밀착하여 겹친 후, 겹쳐진 상기 원판 위쪽에서 수지를 도포하는 제 1 차 수지 도포단계, 도포된 상기 수지가 고화되기 전에 상기 접착판으로부터 서둘러 상기 원판을 제거하고, 상기 접착판의 상기 수지가 도포된 면에 망사 등 물질 투과성이 우수한 바탕천을 밀착하여 겹치는 바탕천 결합단계, 상기 바탕천 결합단계 후, 상기 접착판 상에 결착된 수지가 이루는 모양과 상기 원판 상의 모양이 겹쳐지도록 상기 원판을 상기 바탕천 위에 겹치고, 겹쳐진 상기 원판 위쪽에서 수지를 재차 도포하는 제 2 차 수지 도포단계 및 상기 제 2 차 수지 도포단계 후 2차로 도포된 수지가 고화되기 전에 상기 원판을 제거하는, 원판 제거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제조 및 대량 생산이 용이하고, 미세한 모양의 표현이 가능하며, 제조 단계에서의 불량률을 크게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많은 회수 반복적으로 사용하여도 손상이 적은 바디 페인팅용 스텐실을 제공할 수 있다.
스텐실, 문신, 헤나, 바디 페인팅, 일회용 문신, 패션 문신

Description

바디 페인팅용 스텐실의 제조방법 {Method for producing Body-painting Stencil Paper}
도 1은 바디 페인팅을 위한 종래 스텐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스텐실의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f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디 페인팅용 스텐실의 원판 제작단계를 단계별로 도시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판 제작단계 후의 스텐실 제조 방법을 단계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 주요 부호의 설명>
1: 투과천 2: 실크스크린용제
5: 원판 10: 스텐실
20: 접착판 30: 투광성 필름
35: 도안 41: 1차 수지
42: 2차 수지 50: 감광기
100: 바탕천
본 발명은 바디 페인팅용 스텐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조 및 대량 생산이 용이하고, 미세한 모양의 구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바디 페인팅용 스텐실을 제공하기 위한, 바디 페인팅용 스텐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정 모양을 대상물 표면에 표현하기 위해, 모양 부분을 잘라 낸 두꺼운 종이, 천 등을 대상물에 덮은 후 각종 잉크 등의 염료를 대상물에 도포함으로써, 모양 외의 부분에 염료가 착색되는 것을 차단하여 오려낸 모양만이 대상물 상에 착색되도록 하는 기법을 스텐실 기법이라 하는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스텐실(stencil)이라는 용어는 스텐실 페이퍼의 준말로서, 상술한 내용 중 모양 부분을 잘라 낸 두꺼운 종이, 천 등을 의미한다.
정치, 사회적 분위기의 변화에 따라 문화적 다양화, 다변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과거 터부시되던 문신 등도 개성 표현의 방식으로서 자리잡아 관련 상품들 역시 패션 상품의 하나로 활발히 거래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특정 문양 등을 사용자의 피부 표면에 표현하는 최근의 패션 문신 등은, 영구적으로 피부 표면에 모양이 남는 과거의 문신들과는 달리, 스티커 등을 이용해 피부상에 특정 문양 등의 접착, 탈착이 가능한 형식을 취하거나, 피부 표면에서 1주일 정도 동안 착색이 지속되는 헤나(henna) 등의 염료를 이용해 바디 페인팅 방식으로 문양 등을 그려 넣는 형태로, 일정 기간 동안만 지속되고 제거가 용이하도록 한 일회성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일회성 패션 문신을 사용자 피부에 구현하는 한 방법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스텐실을 이용한 바디 페인팅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상기 방법을 위한 종래의 스텐실을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스텐실(10')은, 일면에 접착성분이 결착되고, 접착성분이 결착된 상기 일면이 접착판(20')에 부착된 형태로 제공되는데, 사용자는 상기 스텐실(10')을 접착판(20')으로부터 분리한 후, 스텐실(10')에 표현된 문양을 그려 넣고자 하는 피부의 부위에 접착시키고, 접착된 스텐실(10') 위로 헤나 등의 염료를 도포하는 방식으로 피부 표면에 일회성 문신을 그려넣을 수 있다.
상기한 종래의 스텐실(10')은, 통상 일면이 접착면으로 형성되어 접착판(20')에 접착된 시트지의 타면을, 그리고자 하는 문양의 외곽선을 따라 미세 칼날을 이용해 절단하고, 핀 등을 이용해 절단된 외곽선 안쪽의 시트지 부분을 제조자가 일일히 제거함으로써, 스텐실(10')의 문양 부분만이 염료가 통과될 수 있는 형태가 되도록 제조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방식에 의한 스텐실(10')의 제조는, 완전 자동화가 어려워 대량 생산이 어렵고, 제조자로 하여금 상당한 정도의 노동량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수작업에 의한 불량 발생 가능성이 높으며, 특히, 칼날에 의해 모양을 오려내야 하므로 미세한 형태의 그림을 표현하는 것이 어렵고, 미세한 모양으로 절단된 시트지의 안쪽 부분을 수작업으로 들어내는 과정에서의 손상 가능성 역시 높은 단 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스텐실(10')을 사용자가 사용함에 있어서도, 특히 미세한 문양이 표현된 스텐실(10')일수록, 스텐실(10')을 접착판(20')으로부터 떼어내는 과정에서의 손상 가능성이 높으며, 최초에 손상 없이 떼어내 사용했다 하더라도 한번 사용한 후 재사용을 위해 접착, 탈착이 반복되는 과정 중에 쉽게 손상되어 반복적인 사용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피부에 접착한 후 염료 등을 가하는 과정에서 미세하게 표현된 부분의 모양이 흐트러져, 모양이 깔끔하게 표현되지 않는 경우가 빈번한 단점이 있었다.
상기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실크스크린 기법 등을 응용하여 원판을 제작한 후, 제작된 원판을 반복적으로 사용하여 물질 투과성이 우수한 망사천 등이 사이에 개재된 스텐실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대량 생산이 가능하며,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 시 미세한 모양의 표현이 자유로우며, 반복적으로 수회 사용하여도 쉽게 손상되지 않고, 피부상에 모양이 정확히 표현되는 바디 페인팅용 스텐실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바디 페인팅용 스텐실의 제조방법은, 망사 등 물질 투과성이 우수한 소재에, 불투과성 물질로 특정 모양을 결착시키는 원판 제작단계, 접착판 위에 상기 원판 제작단계를 통해 특정 모양이 결착된 원판을 밀착하여 겹친 후, 겹쳐진 상기 원판 위쪽에서 수지를 도포함으로써, 상 기 수지가, 상기 원판 상에 표현된 특정 모양을 제외한 부분만을 투과하여 해당 형태로 상기 접착판 상에 결착되는 제 1 차 수지 도포단계, 상기 제 1 차 수지 도포단계 후, 도포된 상기 수지가 고화되기 전에 상기 접착판으로부터 서둘러 상기 원판을 제거하고, 상기 접착판의 상기 수지가 도포된 면에 망사 등 물질 투과성이 우수한 바탕천을 밀착하여 겹치는 바탕천 결합단계, 상기 바탕천 결합단계 후, 상기 접착판 상에 결착된 수지가 이루는 모양과 상기 원판 상의 모양이 겹쳐지도록 상기 원판을 상기 바탕천 위에 겹치고, 겹쳐진 상기 원판 위쪽에서 수지를 재차 도포하는 제 2 차 수지 도포단계 및 상기 제 2 차 수지 도포단계 후 2차로 도포된 수지가 고화되기 전에 상기 원판을 제거하는, 원판 제거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원판 제작단계는, 실크 스크린 기법을 응용하여, 망사 등 물질 투과성이 우수한 투과천에 감광액를 포함한 실크스크린용제를 고르게 결착시키는 감광액 도포단계, 불투광성 염료로 투광성 필름상에 특정 모양을 역상으로 그리는 도안단계, 상기 감광액 도포단계를 통해 실크스크린용제가 고르게 결착된 투과천 위에, 특정 모양이 역상으로 그려진 상기 투광성 필름을 겹쳐 밀착시키는 필름 밀착단계, 상기 필름 밀착단계를 통해 필름이 밀착된 투과천에 일정 시간 동안 빛을 조사하는 감광단계 및 상기 감광단계를 거친 투과천에 물을 가함으로써 비감광 부분의 실크스크린용제를 씻어내는 세척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 1 차 수지 도포단계시 사용되는 수지는 접착용제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제 2 차 수지 도포단계시 사용되는 수지는 각종 색상을 내는 다양한 색소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바디 페인팅용 스텐실의 제조방법을,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텐실(10)을 도시한다. 상기 스텐실(10)은 한쪽면이 접착면으로 형성되어 접착판(20)에 접착된 상태로 제조되어 판매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사용시 피부에의 접착 및 탈착이 용이하며, 사용 후 다시 스텐실(10)을 접착판(20)에 붙여 보관함으로써 반복적인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2를 통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스텐실은 본 발명의 특수한 구성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종래 스텐실과는 달리 염료 등이 투과되는 모양 부분에 망사와 같은 투과성 소재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본 발명에 따른 스텐실(10)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크게 원판 제작단계, 제 1 차 수지 도포단계, 바탕천 결합단계, 제 2 차 수지 도포단계 및 원판 제거단계를 거치게 되며, 이하에서 본 고안에 따른 바디 페인팅용 스텐실의 제조방법을 상기 단계별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디 페인팅용 스텐실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원판은, 액체나 겔 상태의 물질 등이 투과될 수 있는 망사와 같은 소재에, 사용자가 스텐실을 이용하여 피부에 표현하고자 하는 도형과 동일한 형태의 도형을 결착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즉, 건조되거나 굳으면 물질이 투과되기 어려운 성질을 갖는 각종 수지 등을 이용해 망사 등에 특정 도형을 그리는 등의 방법으로 원판을 제작하는데, 붓이나 각종 도구에 상기 수지 등을 묻혀 직접 망사 등에 모양을 그려 넣을 수도 있으나, 점도가 높은 통상의 수지들의 특성상, 상기한 방법으로는 미세한 모양을 표현하는 데에 한계가 있으므로, 도 3a 내지 도 3f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원판 제작단계에는 실크스크린 기법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a 내지 도 3f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디 페인팅용 스텐실의 원판(5) 제작단계를 단계별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3a는 물질 투과성이 좋도록 씨줄, 날줄 형태의 직물로 형성된 망사와 같은 형태의 투과천(1)을 도시한다.
도 3a에 도시된 상기 투과천(1)은 천연, 혹은 합성 섬유를 소재로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소재에 특히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나, 염료나 각종 수지 성분이 용이하게 투과될 수 있을 정도로 성기게 짜여진 한편, 후술할 실크스크린용제가 고르게 도포, 결착될 수 있을 정도의 밀도를 가지도록 짜여진 것이 바람직하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과천(1)에 실크스크린용제(2)를 도포하는 단계가 진행되는데, 상기 실크스크린용제(2)는 감광액을 포함하여 제조된다.
즉, 중크롬산암모늄이나 중크롬산칼륨 등과 실크스크린용 감광액을 혼합한 후 이를 특정 부분에 바르고 빛을 쬐어주면, 이 중 빛을 받은 부분은 후에 물로 씻어도 그대로 고정되는 반면, 빛을 받지 못한 부분은 물에 씻겨 나가 버리므로,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원판(5) 상에 각종 수지 등이 투과되지 않는 특정 모양 부분 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투과천(1) 전체에 실크스크린용제(2)를 고르게 결착시키는 상기 감광액 도포 단계와는 별도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광성 필름(30) 상에 불투광성 염료 등을 이용하여 도안(35)을 그리는 도안단계가 진행된다. 상기 도안 단계를 통해 상기 투광성 필름(30) 상에 그려지는 도안(35)은, 사용자가 피부에 그려 넣고자 하는 것과 동일한 모양을 표현하되, 그 모양 부분에 착색을 하는 것이 아니라, 모양 외의 부분에 역상으로 착색을 한다. 도 3c는 이러한 일례로 전갈 형태의 도안(35)이 역상으로 착색되어, 전갈 도안(35) 부분은 투광 상태를 유지하고, 그 외의 부분이 불투광성 염료로 착색된 투광성 필름(30)을 도시한다.
필름 밀착단계를 도시한 도 3d에서와 같이, 상기 도안단계를 통해 염료가 착색되어 도안(35)이 표현된 투광성 필름(30)은 상기 실크스크린 도포단계를 거친 투과천(1)위에 밀착 결합되는데, 특히, 원하지 않는 부분에 빛이 조사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투광성 필름(30)의 염료가 착색된 부분이 투과천(1)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 후,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광성 필름(30)이 밀착된 위쪽으로 감광기(50) 등을 이용하여 빛을 조사하게 되는데, 이러한 빛의 조사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기(50)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햇빛을 이용한 자연광의 조사 역시 가능하다. 감광기를 이용할 경우 통상 5분, 햇빛을 조사할 경우 통상 2~3분 정도 감광시키므로, 통상의 경우 감광단계는 수분 정도 소요된다.
상기 감광단계를 거치는 동안, 빛이 조사된 도안(35) 부분은 빛에 의해 고화 되어, 상기 필름(30)을 벗겨낸 후에 물을 가하여도 씻겨나가지 않게 되며, 반면 투광성 필름(30) 상의 불투광성 염료 부분에 가려진 영역은 물에 의해 씻겨 나가므로, 원판(5) 상에는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나 겔상의 수지 등의 물질이 투과되지 않는 도안(35)과 동일한 형태의 고화된 실크스크린용제(2) 부분이 형성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원판(5)에 모양을 형성하므로, 도구 등을 이용하여 직접 투과천(1)에 도안을 그리는 작업에 비해 다양한 모양의 표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미세한 모양을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원판 제작단계가 마무리되면, 이 후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1 차 수지 도포단계를 진행한다.
제 1 차 수지 도포단계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 수지 필름 등 매끈하고 평평한 면을 가진 접착판(20) 위에 상기 단계에서 제작된 원판을 밀착하여 겹친 후, 그 위로 수지(41)를 도포함으로써 진행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수지(41)는, 각종 고분자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겔상의 형태로 제공되어 일정 시간이 지나거나 일정 조건하에 고화될 수 있는 성질을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 후, 도 4b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바탕천(100) 결합단계를 거치는데, 바탕천(100)을 결합하기에 앞서, 우선 전 단계에서 접착판(20)에 결합되어 있던 원판(5)을 제거해야 한다. 원판(5) 제거작업은, 상기 수지(41)가 고화되기 전에 이루어져야 하며, 원판(5)이 제거된 후 접착판(20)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판(5)의 도안 형태 실크스크린용제(2)에 가려졌던 부분을 제외한 부분 에만 수지(41)가 결착된 형태가 된다.
원판(5)을 제거한 후, 수지(41)가 고화되기 전에 신속히 바탕천(100)을 수지(41)가 도포된 접착판(20)과 밀착하여 겹친다. 이렇게 함으로써, 바탕천(100)은 제 1 차 수지 도포단계에서 도포된 수지(이하 1차 수지라 함)와 전체 면에 걸쳐 결착된다.
이 후, 도 4d 및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2 차 수지 도포단계를 거친다.
해당 단계에서 수지(이하 2차 수지라 함)를 도포하기에 앞서, 전 단계에서 제거되었던 원판(5)을 다시 바탕천(100) 위에 겹치는데, 이 때, 원판(5) 상의 도안의 모양과 접착판(20) 및 바탕천(100)에 결합되어 있는 1차 수지(41)가 이루는 도안의 모양이 일치하도록 겹쳐야 한다.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판(5)을 겹칠 때에는, 육안으로 모양을 확인하며 겹치거나, 센서 등을 이용한 자동화 방법에 의하여 모양을 일치시켜 겹쳐지도록 할 수 있으나, 원판(5), 접착판(20) 등의 구성 요소가 특정 위치에 위치하도록 일정한 규격의 프레임을 구비할 경우, 상기 프레임을 형태에 맞춰 끼워 넣는 방식으로 각 요소에 표현된 모양을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차 수지(41)와 유사한 성분의 2차 수지(42)를, 접착판(20), 1차 수지(41), 바탕천(20) 및 원판(5)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면 위로 도포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2차 수지(42)는 원판(5)의 도안 부분을 제외한 투과 천(1) 부분을 투과하여, 하층에 적층되어 있는 1차 수지(41) 및 바탕천(100)에 결합되고, 마지막 단계로 상기 2차 수지(42)가 고화되기 전에 원판(5)을 제거하게 되면, 바탕천(100)을 사이에 개재한 채 1차 수지(41) 및 2차 수지(42)가 결착, 고화되어,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도안(35) 부분에만 수지(41, 42)가 결착되지 않은 형태의 스텐실(10)이 완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스텐실(10)은, 망사 등 투과 가능한 소재가 개재된 특정 모양의 구멍을 구비하며, 모양 외의 부분은 불투과성의 수지로 인해 막혀 있는 형태가 되므로,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스텐실(10)을 피부에 밀착시킨 후, 그 위로 헤나 등의 염료를 도포할 경우, 구멍 형태로 형성된 모양과 동일한 모양의 도안을 피부에 착색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스텐실(10)에는 바탕천(100)이 개재되어 있으므로, 해당 구성 요소가 스텐실(10)의 전체적인 구조를 지지해주는 역할을 하여, 제조시 미세한 모양의 표현을 가능하게 하며, 제조 및 사용 시 구멍으로 형성된 모양의 외곽 형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해 손상 가능성을 줄임과 동시에, 미세한 모양이더라도 외곽 형태의 흐트러짐이 없어 사용시 정확한 모양의 착색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한 제 1 차 수지 도포단계에 사용되는 1차 수지(41)에, 접착 용제 성분을 추가할 경우, 접착판(20) 상에 맞닿는 스텐실(10)의 면은 접착성을 띄게 되므로, 사용시 사용자 피부에의 접착을 돕고, 접착판(20)에의 접착, 탈착에 의한 반복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한 제 2 차 수지 도포단계에 사용되는 2차 수지(42)에 다양한 색 상의 색소 성분을 추가하여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색상이 표현된 우수한 미감의 스텐실(10)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텐실의 제조 방법은, 접착 시트를 오려 제작하는 종래의 방식에 비해 자동화가 가능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한번 제작된 원판을 반복적으로 사용하여 동일한 모양의 스텐실을 다량 제작할 수 있으므로 대량 생산이 용이하며, 실크스크린 방식 등을 응용하여 미세한 모양의 표현이 가능하고, 제조 단계에서의 불량률을 크게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탕천이 개재된 형태로 제공되어 사용이 간편하고, 많은 회수 반복적으로 사용하여도 손상이 적으며, 스텐실 상의 모양을 피부 표면에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바디 페인팅용 스텐실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면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도시되고 설명 된 실시예에 의한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망사 등 물질 투과성이 우수한 소재에, 불투과성 물질로 특정 모양을 결착시키는, 원판(5) 제작단계;
    접착판(20) 위에 상기 원판(5) 제작단계를 통해 특정 모양이 결착된 원판(5)을 밀착하여 겹친 후, 겹쳐진 상기 원판(5) 위쪽에서 수지(41)를 도포함으로써, 상기 수지(41)가, 상기 원판(5) 상에 표현된 특정 모양을 제외한 부분만을 투과하여 해당 형태로 상기 접착판(20) 상에 결착되는, 제 1 차 수지 도포단계;
    상기 제 1 차 수지 도포단계 후, 도포된 상기 수지(41)가 고화되기 전에 상기 접착판(20)으로부터 상기 원판(5)을 제거하고, 상기 접착판(20)의 상기 수지(41)가 도포된 면에 망사 등 물질 투과성이 우수한 바탕천(100)을 밀착하여 겹치는, 바탕천 결합단계;
    상기 바탕천 결합단계 후, 상기 접착판(20) 상에 결착된 수지(41)가 이루는 모양과 상기 원판(5) 상의 모양이 일치되어 겹쳐지도록 상기 원판(5)을 상기 바탕천(100) 위에 겹치고, 겹쳐진 상기 원판(5) 위쪽에서 수지(42)를 재차 도포하는, 제 2 차 수지 도포단계; 및
    상기 제 2 차 수지 도포단계 후 2차로 도포된 수지(42)가 고화되기 전에 상기 원판을 제거하는, 원판 제거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바디 페인팅용 스텐실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 제작단계는,
    망사 등 물질 투과성이 우수한 투과천(1)에 감광액를 포함한 실크스크린용제(2)를 고르게 결착시키는 감광액 도포단계;
    불투광성 염료로 투광성 필름(30)상에 특정 모양을 역상으로 그리는 도안단계;
    상기 감광액 도포단계를 통해 실크스크린용제(2)가 고르게 결착된 투과천(1) 위에, 특정 모양이 역상으로 그려진 상기 투광성 필름(30)을 겹쳐 밀착시키는 필름 밀착단계;
    상기 필름 밀착단계를 통해 필름(30)이 밀착된 투과천(1)에 일정 시간 동안 빛을 조사하는 감광단계; 및
    상기 감광단계를 거친 투과천(1)에 물을 가함으로써 비감광 부분의 실크스크린용제(2)를 씻어내는 세척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디 페인팅용 스텐실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차 수지 도포단계시, 상기 수지(41)는 접착용제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디 페인팅용 스텐실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차 수지 도포단계시, 상기 수지(42)는 각종 색상의 색소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디 페인팅용 스텐실의 제조방법.
KR1020050039990A 2005-05-13 2005-05-13 바디 페인팅용 스텐실의 제조방법 KR100622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9990A KR100622115B1 (ko) 2005-05-13 2005-05-13 바디 페인팅용 스텐실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9990A KR100622115B1 (ko) 2005-05-13 2005-05-13 바디 페인팅용 스텐실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2115B1 true KR100622115B1 (ko) 2006-09-15

Family

ID=37631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9990A KR100622115B1 (ko) 2005-05-13 2005-05-13 바디 페인팅용 스텐실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211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1784B1 (ko) 1993-03-17 1999-08-02 아께노부 사까구찌 실크스크린 인쇄용 스텐슬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1784B1 (ko) 1993-03-17 1999-08-02 아께노부 사까구찌 실크스크린 인쇄용 스텐슬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10812A (en) Covering mask
US3680225A (en) Assembly kit for making a decorative drawing board
US20150174886A1 (en) Photosensitive stencils and methods
US4477557A (en) Stencil making and utilization methods, apparatus and articles
KR100622115B1 (ko) 바디 페인팅용 스텐실의 제조방법
DE69910963D1 (de) Verfahren zum Trocknen von Harzschichten,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arbfilterträgers unter Anwendung dieses Trocknungsverfahrens, sowie ein entsprechender Flüssigkristallbildschirm
CN108891123A (zh) 丝印网版的制作方法和丝印网版
US2241380A (en) Stencil printing
JP3857006B2 (ja) Lcdパネルの製造方法
CN111142330B (zh) 一种防穿网的网版加工方法
JP2014140448A (ja) 爪修理等に用いるシルクラップ又はファイバーラップ
JPS60146088A (ja) 捺染型紙用地材及び捺染型紙の製造法
EP0509121B1 (en) Multi-color silk screen printing method and utilization of a seal
KR101432117B1 (ko) 인쇄무늬 주위에 물체의 표면 질감이 그대로 표현되도록 하는 자외선경화수지 인쇄방법
KR100858164B1 (ko) 장식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125636B1 (ko) 재귀반사모양물을 형성하는 방법과 이에 사용되는 재귀반사시트의 구조
JPH01310990A (ja) すりガラス面上へのスクリーン印刷法
JP2001347799A (ja) 切り絵の制作技法
US1478745A (en) Stencil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JPH0648379B2 (ja) 製版用マスクの作成方法及びマスク形成フイルム
CN110154501B (zh) 一种背胶丝印网版的制造方法
JPS5882180A (ja) 時計用表示部材の製造方法
JP2788722B2 (ja) 蒔糊型の製造方法
JP6265338B2 (ja) 螺鈿調の絵柄を施した布帛の製造方法
JPH04131242A (ja) スクリーン印刷用版におけるスクリーンの張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