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2102B1 - 압연롤용 쵸크 자동 착탈장치 및 그의 방법 - Google Patents

압연롤용 쵸크 자동 착탈장치 및 그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2102B1
KR100622102B1 KR1020060041432A KR20060041432A KR100622102B1 KR 100622102 B1 KR100622102 B1 KR 100622102B1 KR 1020060041432 A KR1020060041432 A KR 1020060041432A KR 20060041432 A KR20060041432 A KR 20060041432A KR 100622102 B1 KR100622102 B1 KR 100622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ke
moving
hydraulic cylinder
clamp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1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법성
이기범
Original Assignee
(주)삼우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우기계 filed Critical (주)삼우기계
Priority to KR1020060041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21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2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2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08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e.g. using C-hooks; Replacing roll chocks on roll sh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8/00Maintaining rolls or rolling equipment in effective cond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08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e.g. using C-hooks; Replacing roll chocks on roll shafts
    • B21B31/10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e.g. using C-hooks; Replacing roll chocks on roll shafts by horizontally displacing, i.e. horizontal roll chan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08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e.g. using C-hooks; Replacing roll chocks on roll shafts
    • B21B31/10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e.g. using C-hooks; Replacing roll chocks on roll shafts by horizontally displacing, i.e. horizontal roll changing
    • B21B31/103Manipulators or carriag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21B38/02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for measuring flatness or profile of strips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의 상부에 형성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적치대의 하부에 적치된 압연롤의 쵸크를 착탈하기 위한 하부 디쵸킹수단과, 상기 하부 디쵸킹수단의 상부에 형성되어 적치대의 상부에 적치된 압연롤의 쵸크를 착탈하기 위한 상부 디쵸킹수단으로 구성되는 공지의 압연롤용 쵸크 착탈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부 일측에는 운전실을 설치하고 하부에는 다수개의 주행바퀴를 구비하며 상기 주행바퀴의 일측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동모터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형성되어 지면에 설치된 고정 브라켓과 고정하기 위한 락킹부재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전방과 후방을 연결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몸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의 로드에 형성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일측에 형성되는 회전기어와 상기 회전기어와 서로 맞물림되어 상기 몸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고정기어와 상기 브라켓의 타측에 형성하되 상기 회전기어보다 상대적으로 피치원지름이 큰 증속기어와 상기 증속기어와 맞물림되며 상부는 상기 하부 디쵸킹수단의 몸체와 결합하는 이송기어로 구성되는 전후진 이동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 디쵸킹수단은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부에 안착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다수개의 레일지지구를 구비하고 하부 중앙에는 상기 전후진 이동부재가 연결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측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지지대와, 상기 수직지지대의 상부에 각각 형성되는 가이드레일 및 이송기어와, 상기 몸체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보조몸체와, 상기 보조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쵸크의 외측에 결합하는 클램프를 착탈하기 위한 클램프 착탈부재와, 상기 수직지지대의 양측에 형성하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를 구비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사이에 연결되는 결합구를 양측에 형성하고 전방에는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쵸크를 하부에서 지지하면서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쵸크 지지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디쵸킹수단은 상부에는 수직방향으로 개방되도록 승하강 절개부를 형성하되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부에 안착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다수개의 레일지지구를 구비하고 하부 양측에는 상기 이송기어와 맞물림되도록 구동기어를 설치하며 상기 구동기어의 사이에는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연결축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축의 일측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동모터가 부설되는 몸체와, 상기 승하강 절개부에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되 내부에는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이동축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축의 일측에는 전방에 걸림돌기를 구비한 쵸크 지지구를 설치하며 타측에는 브라켓을 형성하고 상기 브라켓의 외측에는 상기 쵸크 지지구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를 설치하며 상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소정길이를 갖는 가이드축을 구비한 가이드블록과, 상기 몸체의 상부에 설치하되 상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소정길이를 갖는 가이드기어를 형성하고 하부에는 가이드레일을 구비하는 커버와, 상기 가이드레일의 하부에 형성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쵸크의 외측에 결합하는 클램프를 착탈하기 위한 클램프 착탈부재와, 외측에는 상기 가이드축을 연결하되 상부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기어와 맞물림되어 상하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한 회전기어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기어의 사이에는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서 수평방향으로 연결축을 구비하며 상부 중앙에는 상기 커버와 연결되어 상기 쵸크 지지구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가 구비된 승하강 몸체로 구성되는 압연롤용 쵸크 자동 착탈장치 및 이동수단의 구동모터를 구동시켜 지면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서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쵸크를 분리하기 위한 압연롤이 적치된 적치대의 위치로 이동한 후 락킹부재를 동작시켜 지면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 브라켓에 고정하는 공정과, 전후진 이동부재를 동작시켜 하부 디쵸킹수단과 상부 디쵸킹수단을 쵸크의 하부까지 전진하는 공정과, 유압실린더를 동작시켜 쵸크 지지구를 상승시켜 쵸크의 하부와 맞닿아 지지하는 공정과, 유압실린더를 동작시켜 클램프 착탈부재를 전진시켜 쵸크의 외측에 결합된 클램프를 밀착시켜 고정력을 해지하는 공정과, 전후진 이동부재의 동작으로 하부 디쵸킹수단과 상부 디쵸킹수단을 후진시켜 쵸크와 클램프를 분리하는 공정과, 락킹부재를 동작시켜 지면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 브라켓과 분리한 후 구동모터를 구동시켜 지면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서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쵸크를 조립하기 위한 압연롤이 적치된 적치대의 위치로 이동하는 공정과, 전후진 이동부재의 동작으로 하부 디쵸킹수단과 상부 디쵸킹수단을 전진시켜 압연롤의 외경에 쵸크를 조립하는 공정과, 클램프 착탈부재의 구동모터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압연롤의 외경에 쵸크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를 조립하는 공정과, 유압실린더를 동작시켜 클램프 착탈부재를 후진하는 공정과, 유압실린더를 동작시켜 쵸크 지지구를 하강하는 공정과, 전후진 이동부재를 동작시켜 하부 디쵸킹수단과 상부 디쵸킹수단을 후진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압연롤용 쵸크 자동 착탈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압연롤과 쵸크를 일련적인 장치 및 공정에 의한 자동으로 착탈할 수 있으므로 작업시간을 단축시켜 착탈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압연롤과 쵸크는 물론 동시에 클램프의 착탈작업을 연속적인 장치 및 공정에 의해 자동화함으로써 전체적인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종래의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쵸크와 클램프의 착탈작업을 진행해야 하는 복잡함과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작업을 통해서 발생하던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작업환경에 따라서 2단 적치된 압연롤의 쵸크를 동시에 착탈할 수 있음은 물론 상황에 따라서 1단 적치된 압연롤의 쵸크만을 착탈할 수 있으므로 활용범위 및 사용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압연롤, 롤, 쵸크, 2단, 듀얼, 디쵸킹, 자동, 착탈, 조립, 분리, 장치, 방법

Description

압연롤용 쵸크 자동 착탈장치 및 그의 방법{An apparatus and its method of automatically assembling and separating a chock bearing for rolling roll}
도 1 - 일반적인 압연롤과 쵸크의 결합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2 - 일반적인 압연롤과 쵸크의 결합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
도 3 - 본 발명 압연롤용 쵸크 자동 착탈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4 - 본 발명 압연롤용 쵸크 자동 착탈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5 - 본 발명 압연롤용 쵸크 자동 착탈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6 - 본 발명에 있어서 이동수단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7 - 본 발명에 있어서 이동수단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8 - 본 발명에 있어서 이동수단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종단면도.
도 9 - 본 발명에 있어서 전후진 이동부재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10 - 본 발명에 있어서 하부 디쵸킹수단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11 - 본 발명에 있어서 하부 디쵸킹수단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12 - 본 발명에 있어서 하부 디쵸킹수단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13 - 본 발명에 있어서 하부 디쵸킹수단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종단면도.
도 14 - 본 발명에 있어서 상부 디쵸킹수단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15 - 본 발명에 있어서 상부 디쵸킹수단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16 - 본 발명에 있어서 상부 디쵸킹수단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17 - 본 발명에 있어서 상부 디쵸킹수단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
도 18 - 본 발명에 있어서 클램프 착탈부재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
도 19 내지 도 30 - 본 발명 압연롤용 쵸크 자동 착탈장치를 이용한 쵸크 자동 착탈방법을 공정별로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압연롤 20: 쵸크(Roll chock bearing)
30: 클램프(Clamp) 40: 적치대(Skid)
100: 본 발명 압연롤용 쵸크 자동 착탈장치(듀얼 디쵸킹 머신)
1000: 이송수단
1100: 몸체 1110: 운전실
1200: 주행바퀴 1300: 구동모터
1400: 락킹부재 1410: 유압실린더
1420: 브라켓 1421: 힌지축
1430: 고정구 1440: 고정 브라켓
1500: 가이드레일
1600: 전후진 이동부재
1610: 유압실린더 1620: 브라켓
1630: 회전기어 1640: 고정기어
1650: 증속기어 1660: 이송기어
2000: 하부 디쵸킹수단
2100: 몸체 2110: 레일지지구
2200: 수직지지대 2210: 가이드레일
2220: 이송기어 2300: 보조몸체
2310: 가이드레일
2400: 클램프 착탈부재 2410: 몸체
2411: 레일지지구 2420: 유압실린더
2430: 회전모터 2440: 지지대
2450: 회전링 2460: 스프링
2470: 밀착링
2500: 브라켓 2510: 유압실린더
2600: 쵸크 지지구 2610: 결합구
2620: 걸림돌기
3000: 상부 디쵸킹수단
3100: 몸체 3110: 승하강 절개부
3120: 레일지지구 3130: 구동기어
3140: 연결축
3200: 가이드블록 3210: 이동축
3220: 쵸크 지지구 3221: 걸림돌기
3230: 브라켓
3240: 유압실린더 3250: 가이드축
3300: 커버 3310: 가이드기어
3320: 가이드레일
3400: 승하강 몸체 3410: 회전기어
3420: 연결축 3430: 유압실린더
3500: 클램프 착탈부재 3510: 몸체
3511: 레일지지구 3520: 유압실린더
3530: 회전모터 3540: 지지대
3550: 회전링 3560: 스프링
3570: 밀착링
본 발명은 압연롤용 쵸크 자동 착탈장치 및 그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연롤의 양측에 형성된 쵸크의 착탈작업을 일련적인 장치 및 공정에 의해서 순차적으로 진행할 수 있으므로 쵸크의 착탈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쵸크의 착탈작업을 연속적인 공정에 의해 자동화함으로써 전체적인 작업능률 및 활용범위를 극대화할 수 있는 압연롤용 쵸크 자동 착탈장치 및 그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연롤은 제철산업에서 냉연 강판을 생산하기 위한 압연기(Mill)에 설치되어 강판(슬래브)의 이송속도와 압하율을 조절하여 다양한 규격을 갖는 냉연 강판을 생산하게 된다.
이러한 압연롤(10)은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대형 베어링 유닛인 쵸크(20)가 조립되고 양측 끝단에는 쵸크(20)의 분리방지 및 고정을 위한 클램프(30)가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데, 이는 사용목적과 용도에 따라서 워크롤(Work roll), 백업롤(Back up roll) 등으로 구분되며 냉연 강판의 생산량 및 작업시간에 따라서 주기적으로 외경의 연마작업을 통해서 냉연 강판의 생산품질을 균일하게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압연롤(10)은 연마작업을 위해서 양측에 조립된 쵸크(20)를 분리한 후 Roll Shop으로 이송되어 보수 및 연마작업을 진행하게 되며, 분리된 쵸크(20)는 별도의 저장공간에 보관되어 연마작업이 완료된 압연롤(10)의 양측에 조 립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 압연롤(10)과 쵸크(20)를 조립 및 분리하기 위한 착탈작업이 작업자가 작업도구 및 호이스트(Hoist)를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이루어졌으나, 이는 작업자의 개인 숙련도 및 경험치에 따라서 압연롤(10)과 쵸크(20)의 착탈효율 및 작업시간이 결정되는 비능률적인 폐단을 갖게 되었다.
또한, 중량물인 압연롤(10)과 쵸크(20)를 착탈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부주의 및 실수로 인해 지면으로 추락하여 작업자의 신변을 위협할 뿐만 아니라 작업공간이 협소한 쵸크(20)의 사이에 들어가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클램프(30)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중량물인 쵸크(20)가 이동 및 추락하여 작업자의 신체 일부가 협착(狹窄)하게 되는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상부 쵸크를 착탈하기 위한 좌우 한 쌍의 상부 쵸크 대차와, 하부 쵸크를 착탈하기 위한 좌우 한 쌍의 하부 쵸크 대차와, 상기 상하부 쵸크 대차를 각각 탑재한 좌우 한 쌍의 주행 대차와, 상기 주행 대차를 각각 Y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Y방향 구동수단과, 상기 상하부 쵸크 대차를 각각 X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X방향 구동수단과, 상하부 쵸크 지지수단을 각각 승강시키기 위한 상하 유압유닛 구동수단으로 구성되는 일본공개특허 제2004-237329호 "롤용 쵸크 착탈장치 및 쵸크의 착탈방법"이 안출된 바가 있다.
그러나 상기한 "롤용 쵸크 착탈장치 및 쵸크의 착탈방법"은 상부와 하부 쵸크를 착탈할 수는 있으나, 압연롤에게서 쵸크를 조립 및 분리하기 위해서 선행되는 클램프의 착탈과정이 별도의 작업장치 및 공정을 통해서 개별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과정이 복잡하고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착탈시간이 지연되므로 작업능률 저하 및 사용상의 한계를 갖게 되었다.
특히 상기한 "롤용 쵸크 착탈장치 및 쵸크의 착탈방법"은 클램프와 쵸크를 개별적으로 관리 및 착탈하는 방식으로 이는 서로 규격이 다른 수많은 쵸크의 착탈과정에서 클램프와 쵸크가 쉽게 바뀌게 되므로 작업효율 및 활용범위가 극히 제한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따라서 압연롤과 양측에 조립된 쵸크는 물론 동시에 클램프를 자동으로 착탈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자가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쵸크의 착탈작업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능률 및 사용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압연롤의 양측에 조립된 쵸크를 일련적인 장치 및 공정에 의해서 자동으로 착탈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능률 및 착탈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압연롤용 쵸크 자동 착탈장치 및 그의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압연롤과 쵸크를 일련적인 장치 및 공정에 의해서 착탈시킬 수 있음은 물론 동시에 쵸크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를 효율적으로 착탈할 수 있으므로 사용효율 및 활용범위를 극대화할 수 있는 압연롤용 쵸크 자동 착탈장치 및 그의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 압연롤용 쵸크 자동 착탈장치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 압연롤용 쵸크 자동 착탈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압연롤용 쵸크 자동 착탈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압연롤용 쵸크 자동 착탈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압연롤용 쵸크 자동 착탈장치(100)는 지면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의 상부에 형성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적치대의 하부에 적치된 압연롤의 쵸크를 착탈하기 위한 하부 디쵸킹수단과, 상기 하부 디쵸킹수단의 상부에 형성되어 적치대의 상부에 적치된 압연롤의 쵸크를 착탈하기 위한 상부 디쵸킹수단으로 구성되는 공지의 압연롤용 쵸크 착탈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1000)은 상부 일측에는 운전실(1110)을 설치하고 하부에는 다수개의 주행바퀴(1200)를 구비하며 상기 주행바퀴(1200)의 일측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동모터(1300)를 형성한 몸체(1100)와, 상기 몸체(110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형성되어 지면에 설치된 고정 브라켓(1440)과 고정하기 위한 락킹부 재(1400)와, 상기 몸체(1100)의 상부에 전방과 후방을 연결하는 가이드레일(1500)과, 상기 몸체(1100)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 디쵸킹수단을 전방과 후방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전후진 이동부재(1600)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 디쵸킹수단(2000)은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레일(1500)의 상부에 안착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다수개의 레일지지구(2110)를 구비하고 하부 중앙에는 상기 전후진 이동부재(1600)가 연결되는 몸체(2100)와, 상기 몸체(2100)의 양측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지지대(2200)와, 상기 수직지지대의 상부에 각각 형성되는 가이드레일(2210) 및 이송기어(2220)와, 상기 몸체(210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보조몸체(2300)와, 상기 보조몸체(2300)의 상부에 형성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쵸크(20)의 외측에 결합하는 클램프(30)를 착탈하기 위한 클램프 착탈부재(2400)와, 상기 수직지지대(2200)의 양측에 형성하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2510)를 구비한 브라켓(2500)과, 상기 브라켓(2500)의 사이에 연결되는 결합구(2610)를 양측에 형성하고 전방에는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2620)를 구비하여 상기 쵸크(20)를 하부에서 지지하면서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쵸크 지지구(2600)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디쵸킹수단(3000)은 상부에는 수직방향으로 개방되도록 승하강 절개부(3110)를 형성하되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레일(2210)의 상부에 안착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다수개의 레일지지구(3120)를 구비하고 하부 양측에는 상기 이송기어(2220)와 맞물림되도록 구동기어(3130)를 설치하며 상기 구동기어(3130)의 사이에는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연결축(3140)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축(3140)의 일측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동모터(3150)를 부설한 몸체(3100)와, 상기 승하강 절개부(3110)에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되 내부에는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이동축(3210)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축(3210)의 일측에는 전방에 걸림돌기(3221)를 구비한 쵸크 지지구(3220)를 설치하며 타측에는 브라켓(3230)을 형성하고 상기 브라켓(3230)의 외측에는 상기 쵸크 지지구(3220)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3240)를 설치하며 상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소정길이를 갖는 가이드축(3250)을 구비한 가이드블록(3200)과, 상기 몸체(3100)의 상부에 설치하되 상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소정길이를 갖는 가이드기어(3310)를 형성하고 하부에는 가이드레일(3320)을 구비하는 커버(3300)와, 상기 가이드레일(3320)의 하부에 형성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쵸크(20)의 외측에 결합하는 클램프(30)를 착탈하기 위한 클램프 착탈부재(3500)와, 외측에는 상기 가이드축(3250)을 연결하되 상부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기어(3310)와 맞물림되어 상하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한 회전기어(3410)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기어(3410)의 사이에는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서 수평방향으로 연결축(3420)을 구비하며 상부 중앙에는 상기 커버(3300)와 연결되어 상기 쵸크 지지구(322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3430)를 구비한 승하강 몸체(340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동수단(1000)은 지면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압연롤(10)이 적치된 적치대(40)의 설치위치와 대응되도록 고정하여 쵸크(20)와 클램프(30)의 착탈효율을 증대시킴은 물론 상기 하부 디쵸킹수단(2000)과 상부 디 쵸킹수단(3000)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쵸크(20)와 클램프(30)의 착탈작업을 유도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상기 이동수단(1000)은 지면 또는 적치대(40)에 설치되는 별도의 감지센서 등을 통해서 정확한 이동 및 정지위치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상기 이동수단(1000)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서 이동수단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있어서 이동수단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있어서 이동수단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종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있어서 전후진 이동부재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구동모터(1300)는 상기 주행바퀴(1200)를 회전시켜 레일을 따라서 이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설치범위 및 작업환경에 따라서 공지의 다양한 모터를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전원이 필요치않으며 정확한 위치제어가 용이한 유압모터를 사용하였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1300)와 주행바퀴(1200)의 동력전달방식에 대한 상세한 내부구조(도면) 및 작동원리는 당업계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공지기술이므로 본 발명에서 상세한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락킹부재(1400)는 압연롤(10)이 적치된 적치대(40)와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하여 정확한 쵸크(20)와 클램프(30)의 착탈작업을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110)의 일측에 설치되는 유압실린 더(1410)와, 상기 유압실린더(1410)의 로드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1110)의 일측에 고정된 브라켓(1420)의 힌지축(1421)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지면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 브라켓(1440)과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143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 브라켓(1440)은 적치대(40)에 적치되어 있는 압연롤(20)의 중심위치와 대응되도록 지면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락킹부재(1400)는 압연롤(10)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이동수단(1000)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므로 쵸크(20) 및 클램프(30)의 효율적인 착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전후진 이동부재(1600)는 본 발명에 있어서 중요한 구성으로, 이는 종래와 같이 유압실린더의 동작으로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던 획일적인 구조를 탈피하여 짧은 행정거리를 갖는 유압실린더(1610)를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상기 하부 디쵸킹수단(2000)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110)의 일측에 설치되는 유압실린더(1610)와, 상기 유압실린더(1610)의 로드에 형성되는 브라켓(1620)과, 상기 브라켓(1620)의 일측에 형성되는 회전기어(1630)와, 상기 회전기어(1630)와 맞물림되어 상기 몸체(1110)의 일측에 설치되는 고정기어(1640)와, 상기 브라켓(1620)의 타측에 형성하되 상기 회전기어(1630)보다 상대적으로 피치원지름이 큰 증속기어(1650)와, 상기 증속기어(1650)와 맞물림되며 상부는 상기 하부 디쵸킹수단(2000)의 몸체(2100)와 결합되는 이송기어(1660)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유압실린더(1610)의 작동으로 상기 회전기어(1630)가 회전하면 서 상기 고정기어(1640)와 맞물리면서 전진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증속기어(1650)는 상기 회전기어(1630)보다 피치원지름이 크기 때문에 상기 회전기어(1630)의 회전에 비례하여 상대적으로 행정거리가 증가하게 되므로, 결국 유압실린더(1610)의 행정거리가 짧더라도 상기 이송기어(1660)의 상부에 결합한 상기 하부 디쵸킹수단(2000)을 전후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회전기어(1630)와 증속기어(1650)의 피치원지름에 따라서 행정거리를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기어(1630)와 증속기어(1650)의 피치원지름은 작업환경 및 설치범위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전후진 이동부재(1600)는 종래와 같이 쵸크(20)의 착탈을 위한 하부 디쵸킹수단(2000)의 이동거리와 대응되는 행정거리를 갖는 유압실린더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결과적으로 행정거리가 길어질수록 발생하는 유압실린더의 파손 및 손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행정거리가 길수록 발생하는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견고하고 정확하게 상기 하부 디쵸킹수단(2000)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므로 쵸크(20)의 착탈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부 디쵸킹수단(2000)은 적치대(40)의 하부에 적치된 압연롤(10)의 쵸크(20)와 클램프(30)를 효율적으로 착탈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상기 하부 디쵸킹수단(2000)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은 본 발명에 있어서 하부 디쵸킹수단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있어서 하부 디쵸킹수단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있어서 하부 디쵸킹수단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있어서 하부 디쵸킹수단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종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처럼 상기 하부 디쵸킹수단(2000)은 하부에 상기 이송기어(1660)가 결합한 상태이므로 상기 유압실린더(1610)의 동작으로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며, 하부 양측에는 원활한 이동범위를 확보하기 위한 레일지지구(2110)가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레일(1500)을 따라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레일지지구(2110) 및 가이드레일(1500)은 하중에 대한 지지력 및 내구성을 갖으며 협소한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공지의 LM가이드를 사용하였다.
한편, 상기 가이드레일(2210) 및 이송기어(2220)는 상기 상부 디쵸킹수단(3000)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회전력 전달과 가이드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클램프 착탈부재(2400)는 본 발명에 있어서 중요한 구성으로 상기 쵸크(20)를 착탈하기 위해서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는 클램프(30)의 분리작업을 위한 구성으로, 이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몸체(2300)의 상부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2310)과, 상기 가이드레일(2310)을 따라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다수개의 레일지지구(2411)를 하부에 구비한 몸체(2410)와, 후단은 상기 보조몸체(2300)에 결합하고 선단은 상기 몸체(24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유압실린더(2420)와, 상기 몸체(2410)의 상부에 형성되는 회전모터(2430)와, 상기 회전모터(2430)의 전방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지지대(2440)와, 상기 지지대(2440)의 선단에 형성되는 회전링(2450)과, 상기 회전링(2450)의 일측에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다수개의 스프링(2460)과, 상기 스프링(246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클램프(30)의 일측에 돌출되어 있는 돌기를 밀착하여 고정력을 해지하기 위한 밀착링(2470)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유압실린더(2420)의 동작으로 상기 밀착링(2470)이 전진하게 되고, 이때 상기 밀착링(2470)이 클램프(30)의 일측에 돌출되어 있는 돌기를 밀착하게 되면 압연롤(10)과의 고정력이 해지되므로 결과적으로 쵸크(20)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레일지지구(2411) 및 가이드레일(2310)은 하중에 대한 지지력 및 내구성을 갖으며 협소한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공지의 LM가이드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클램프(30)에 대한 상세한 내부구조(도면) 및 작동원리는 본 출원인이 실용신안등록 제0367350호로 등록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음은 물론 당업계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공지기술이므로 본 발명에서 상세한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특히 상기 회전링(2450)과 밀착링(2470)은 내부에 빈 원환(圓環)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클램프(30)의 착탈작업시 발생하는 상기 압연롤(10)과의 간섭 및 충돌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회전모터(2430)는 클램프(30)의 조립과정에서 필요한 구성으로, 이는 상기 회전모터(2430)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하면서 압연롤(10)의 외경에 형성된 결합홈(키홈)의 위치와 클램프(30)의 정확한 조립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쵸크 지지구(2600)는 쵸크(20)의 하부를 지지하여 착탈하기 위한 구성으로, 즉 상기 유압실린더(2510)의 동작으로 상승하여 쵸크(20)를 하부에서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전후진 이동부재(1600)의 동작으로 후진하게 되므로 상기 쵸크(20)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쵸크 지지구(2600)의 전방에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2620)는 쵸크 지지구(2600)의 후진하는 과정에서 쵸크(20)를 끌어당기면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쵸크 지지구(2600)의 상부에는 쵸크(20)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미도시 됨)가 설치되어 상기 유압실린더(2510)의 동작으로 상승하는 과정에서 상기 쵸크(20)가 근접 또는 맞닿게 되면 유압실린더(2510)의 동작을 자동으로 정지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 디쵸킹수단(2000)은 적치대(40)의 하부에 적치된 압연롤(10)의 클램프(30)를 착탈함과 동시에 쵸크(20)를 하부에서 지지하면서 효율적으로 착탈할 수 있으므로 이로 인해 쵸크(20)와 클램프(30)의 착탈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 디쵸킹수단(3000)은 적치대(40)의 상부방향에 적치된 압연롤(10)의 쵸크(20)와 클램프(30)를 효율적으로 착탈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상기 상부 디쵸킹수단(3000)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4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부 디쵸킹수단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부 디쵸킹수단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에 있어서 상부 디쵸킹수단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에 있어서 상부 디쵸킹수단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에 있어서 클램프 착탈부재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상부 디쵸킹수단(3000)은 평소에는 상기 하부 디쵸킹수단(2000)과 수직방향으로 대응되도록 위치하여 상부와 하부에 적치된 쵸크(20)를 동시에 착탈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 또는 하부에 적치된 압연롤(10)의 쵸크(20)만을 착탈할 경우 상기 구동모터(3150)를 동작시켜 후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 디쵸킹수단(3000)은 일측에 형성된 구동모터(3150)의 회전으로 상기 하부 디쵸킹수단(2000)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레일(2210) 및 이송기어(2220)를 따라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쵸크 지지구(3220)는 쵸크(20)의 하부를 지지하여 착탈함은 물론 쵸크(20)의 규격 및 형태에 따라서 내측 또는 외측으로 간격을 조절하여 착탈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즉 상기 유압실린더(3430)의 동작으로 선단부의 로 드가 전진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유압실린더(3430)의 로드는 상기 커버(3300)의 상부에 연결되고 유압실린더(3430)의 몸체는 상기 승하강몸체(3400)와 결합한 상태이므로 상기 유압실린더(3430)를 동작시키면 상기 유압실린더(3430)의 몸체와 결합한 승하강 몸체(3400)가 상부방향으로 상승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가이드축(3250)의 하부에 형성된 상기 쵸크 지지구(3220)를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쵸크 지지구(3220)의 전방에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3221)는 쵸크(20)를 분리하기 위해서 후진하는 과정에서 상기 쵸크(20)를 끌어당기면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쵸크 지지구(3220)의 상부에는 쵸크(20)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미도시 됨)가 설치되어 상기 유압실린더(3430)의 동작으로 상승하는 과정에서 상기 쵸크(20)가 근접 또는 맞닿게 되면 자동으로 정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이동축(3210)은 쵸크 지지구(3220)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가이드역할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브라켓(3230)의 일측에 형성된 유압실린더(3240)의 동작으로 상기 쵸크 지지구(3220)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기어(3310)와 회전기어(3410)는 상기 유압실린더(3430)의 동작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승하강몸체(3400)의 원활한 이동 및 승하강 속도를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즉 상기 가이드기어(3310)와 회전기어(3410)가 서로 맞물림된 상태이므로 상기 승하강 몸체(340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한쪽 방향으로 경사지는 문제를 사전에 방지하여 효율적인 작동효율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기어(3410)는 상기 가이드기어(3310)의 양측에서 서로 맞물림하도록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램프 착탈부재(3500)는 본 발명에 있어서 중요한 구성으로, 상기 쵸크(20)를 착탈하기 위해서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는 클램프(30)의 분리작업을 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3300)의 하부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3320)과, 상기 가이드레일(3320)을 따라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다수개의 레일지지구(3511)를 상부에 구비한 몸체(3510)와, 튜브(몸체)는 상기 커버(3300)의 일측에 결합하고 로드는 상기 몸체(3510)의 일측에 결합하는 유압실린더(3520)와, 상기 몸체(3510)의 하부에 형성되는 회전모터(3530)와, 상기 회전모터(3530)의 전방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지지대(3540)와, 상기 지지대(3540)의 선단에 형성되는 회전링(3550)과, 상기 회전링(3550)의 일측에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다수개의 스프링(3560)과, 상기 스프링(356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클램프(30)의 일측에 돌출되어 있는 돌기를 밀착하여 고정력을 해지하기 위한 밀착링(3570)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유압실린더(3520)의 동작으로 상기 밀착링(3570)이 전진하게 되고, 이때 상기 밀착링(3570)이 클램프(30)의 일측에 돌출되어 있는 돌기를 밀착하게 되면 압연롤(10)과의 고정력이 해지되므로 결과적으로 쵸크(20)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레일지지구(3511) 및 가이드레일(3320)은 하중에 대한 지지력 및 내구 성을 갖으며 협소한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공지의 LM가이드를 사용하였다.
이때 상기 클램프(30)에 대한 상세한 내부구조(도면) 및 작동원리는 본 출원인이 실용신안등록 제0367350호로 등록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음은 물론 당업계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공지기술이므로 본 발명에서 상세한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회전링(3550)과 밀착링(3570)은 내부에 빈 원환(圓環)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클램프(30)의 착탈작업시 발생하는 상기 압연롤(10)과의 간섭 및 충돌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특히 상기 회전모터(3530)는 클램프(30)의 조립과정에서 필요한 구성으로, 이는 상기 회전모터(3530)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하면서 압연롤(10)의 외경에 형성된 결합홈(키홈)의 위치와 클램프(30)의 정확한 조립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 디쵸킹수단(3000)은 적치대(40)의 상부에 적치된 압연롤(10)의 클램프(30)를 착탈함과 동시에 쵸크(20)를 하부에서 지지하면서 효율적으로 착탈할 수 있으므로 이로 인해 쵸크(20)와 클램프(30)의 착탈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압연롤용 쵸크 자동 착탈방법을 각 공정별로 나누어 첨부한 도면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9 내지 도 30은 본 발명 압연롤용 쵸크 자동 착탈장치를 이용한 쵸크 자동 착탈방법을 공정별로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동수단(1000)의 구동모터(1300)를 구동시켜 지면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서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쵸크(20)를 분리하기 위한 압연롤(20)이 적치된 적치대(40)의 위치로 이동한 후 락킹부재(1400)를 동작시켜 지면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 브라켓(1440)에 고정하는 공정과,
전후진 이동부재(1600)를 동작시켜 하부 디쵸킹수단(2000)과 상부 디쵸킹수단(3000)을 쵸크(30)의 하부까지 전진하는 공정과,
유압실린더(2510,3430)를 동작시켜 쵸크 지지구(2600,3220)를 상승시켜 쵸크(30)의 하부와 맞닿아 지지하는 공정과,
유압실린더(2420,3520)를 동작시켜 클램프 착탈부재(2400,3500)를 전진시켜 쵸크(20)의 외측에 결합된 클램프(30)를 밀착시켜 고정력을 해지하는 공정과,
전후진 이동부재(1600)의 동작으로 하부 디쵸킹수단(2000)과 상부 디쵸킹수단(3000)을 후진시켜 쵸크(20)와 클램프(30)를 분리하는 공정과,
락킹부재(1400)를 동작시켜 지면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 브라켓(1440)과 분리한 후 구동모터(1300)를 구동시켜 지면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서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쵸크(20)를 조립하기 위한 압연롤(20)이 적치된 적치대(40)의 위치로 이동하는 공정과,
전후진 이동부재(1600)의 동작으로 하부 디쵸킹수단(2000)과 상부 디쵸킹수단(3000)을 전진시켜 압연롤(10)의 외경에 쵸크(20)를 조립하는 공정과,
클램프 착탈부재(2400,3500)의 구동모터(2430,3530)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압연롤(10)의 외경에 고정하여 쵸크(20)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30)를 조립하는 공정과,
유압실린더(2420,3520)를 동작시켜 클램프 착탈부재(2400,3500)를 후진하는 공정과,
유압실린더(2510,3430)를 동작시켜 쵸크 지지구(2600,3220)를 하강하는 공정과,
전후진 이동부재(1600)를 동작시켜 하부 디쵸킹수단(2000)와 상부 디쵸킹수단(3000)을 후진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쵸크 지지구(2600,3220)를 상승시켜 쵸크(30)의 하부와 맞닿아 지지하는 공정 전에 유압실린더(3240)를 동작시켜 쵸크(20)의 규격 및 형태에 따라서 쵸크 지지구(3220)의 간격을 내측 또는 외측방향으로 조절하는 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포함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압연롤과 쵸크를 일련적인 장치 및 공정에 의한 자동으로 착탈할 수 있으므로 작업시간을 단축시켜 착탈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압연롤과 쵸크는 물론 동시에 클램프의 착탈작업을 연속적인 장치 및 공정에 의해 자동화함으로써 전체적인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종래의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쵸크와 클램프의 착탈작업을 진행해야 하는 복잡함과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작업을 통해서 발생하던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작업환경에 따라서 2단 적치된 압연롤의 쵸크를 동시에 착탈할 수 있음은 물론 상황에 따라서 1단 적치된 압연롤의 쵸크만을 착탈할 수 있으므로 활용범위 및 사용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7)

  1. 지면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의 상부에 형성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적치대의 하부에 적치된 압연롤의 쵸크를 착탈하기 위한 하부 디쵸킹수단과, 상기 하부 디쵸킹수단의 상부에 형성되어 적치대의 상부에 적치된 압연롤의 쵸크를 착탈하기 위한 상부 디쵸킹수단으로 구성되는 공지의 압연롤용 쵸크 착탈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부 일측에는 운전실을 설치하고 하부에는 다수개의 주행바퀴를 구비하며 상기 주행바퀴의 일측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를 형성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형성되어 지면에 설치된 고정 브라켓과 고정하기 위한 락킹부재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전방과 후방을 연결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몸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의 로드에 형성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일측에 형성되는 회전기어와 상기 회전기어와 맞물림되어 상기 몸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고정기어와 상기 브라켓의 타측에 형성하되 상기 회전기어보다 상대적으로 피치원지름이 큰 증속기어와 상기 증속기어와 맞물림되며 상부는 상기 하부 디쵸킹수단의 몸체와 결합하는 이송기어로 구성되는 전후진 이동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 디쵸킹수단은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부에 안착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다수개의 레일지지구를 구비하고 하부 중앙에는 상기 전후진 이동부재가 연결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측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지지대와, 상기 수직지지대의 상부에 각각 형성되는 가이드레일 및 이송기어와, 상기 몸체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보조몸체와, 상기 보조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쵸크의 외측에 결합하는 클램프를 착탈하기 위한 클램프 착탈부재와, 상기 수직지지대의 양측에 형성하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를 구비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사이에 연결되는 결합구를 양측에 형성하고 전방에는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쵸크를 하부에서 지지하면서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쵸크 지지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디쵸킹수단은 상부에는 수직방향으로 개방되도록 승하강 절개부를 형성하되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부에 안착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다수개의 레일지지구를 구비하고 하부 양측에는 상기 이송기어와 맞물림되도록 구동기어를 설치하며 상기 구동기어의 사이에는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연결축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축의 일측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동모터가 부설되는 몸체와, 상기 승하강 절개부에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되 내부에는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이동축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축의 일측에는 전방에 걸림돌기를 구비한 쵸크 지지구를 설치하며 타측에는 브라켓을 형성하고 상기 브라켓의 외측에는 상기 쵸크 지지구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를 설치하며 상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소정길이를 갖는 가이드축을 구비한 가이드블록과, 상기 몸체의 상부에 설치하되 상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소정길이를 갖는 가이드기어를 형성하고 하부에는 가이드레일을 구비하는 커버와, 상기 가이드레일의 하부에 형성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쵸크의 외측에 결합하는 클램프를 착탈하기 위한 클램프 착탈부재와, 외측에는 상기 가이드축을 연결하되 상부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기어와 맞물림되어 상하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한 회전기어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기어의 사이에는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서 수평방향으로 연결축을 구비하며 상부 중앙에는 상기 커버와 연결되어 상기 쵸크 지지구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가 구비된 승하강 몸체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롤용 쵸크 자동 착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재는 상기 몸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의 로드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일측에 고정된 브라켓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지면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 브라켓과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롤용 쵸크 자동 착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착탈부재는 상기 보조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다수개의 레일지지구가 하부에 구비된 몸체와, 후단은 상기 보조몸체에 결합하고 선단은 상기 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모터의 전방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선단에 형성되는 회전링과, 상기 회전링의 일측에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다수개의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일측에 형성되는 밀착링으로 구성 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롤용 쵸크 자동 착탈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착탈부재는 상기 커버의 하부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다수개의 레일지지구가 상부에 구비된 몸체와, 상기 커버의 일측에 튜브를 결합하고 로드는 상기 몸체의 일측에 결합하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모터의 전방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선단에 형성되는 회전링과, 상기 회전링의 일측에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다수개의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일측에 형성되는 밀착링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롤용 쵸크 자동 착탈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쵸크 지지구의 상부에는 쵸크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가 더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롤용 쵸크 자동 착탈장치.
  6. 압연롤용 쵸크 자동 착탈장치를 이용한 압연롤용 쵸크 자동 착탈방법에 있어서,
    이동수단의 구동모터를 구동시켜 지면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서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쵸크를 분리하기 위한 압연롤이 적치된 적치대의 위치로 이동한 후 락킹부재를 동작시켜 지면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 브라켓에 고정하는 공정과,
    전후진 이동부재를 동작시켜 하부 디쵸킹수단과 상부 디쵸킹수단을 쵸크의 하부까지 전진하는 공정과,
    유압실린더를 동작시켜 쵸크 지지구를 상승시켜 쵸크의 하부와 맞닿아 지지하는 공정과,
    유압실린더를 동작시켜 클램프 착탈부재를 전진시켜 쵸크의 외측에 결합된 클램프를 밀착시켜 고정력을 해지하는 공정과,
    전후진 이동부재의 동작으로 하부 디쵸킹수단과 상부 디쵸킹수단을 후진시켜 쵸크와 클램프를 분리하는 공정과,
    락킹부재를 동작시켜 지면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 브라켓과 분리한 후 구동모터를 구동시켜 지면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서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쵸크를 조립하기 위한 압연롤이 적치된 적치대의 위치로 이동하는 공정과,
    전후진 이동부재의 동작으로 하부 디쵸킹수단과 상부 디쵸킹수단을 전진시켜 압연롤의 외경에 쵸크를 조립하는 공정과,
    클램프 착탈부재의 구동모터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압연롤의 외경에 쵸크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를 조립하는 공정과,
    유압실린더를 동작시켜 클램프 착탈부재를 후진하는 공정과,
    유압실린더를 동작시켜 쵸크 지지구를 하강하는 공정과,
    전후진 이동부재를 동작시켜 하부 디쵸킹수단과 상부 디쵸킹수단을 후진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롤용 쵸크 자동 착탈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를 동작시켜 상기 쵸크 지지구를 상승시켜 쵸크의 하부와 맞닿아 지지하는 공정 전에 쵸크의 규격 및 형태에 따라서 상기 쵸크 지지구의 간격을 내측 또는 외측방향으로 조절하는 공정이 더 포함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롤용 쵸크 자동 착탈방법.
KR1020060041432A 2006-05-09 2006-05-09 압연롤용 쵸크 자동 착탈장치 및 그의 방법 KR100622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432A KR100622102B1 (ko) 2006-05-09 2006-05-09 압연롤용 쵸크 자동 착탈장치 및 그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432A KR100622102B1 (ko) 2006-05-09 2006-05-09 압연롤용 쵸크 자동 착탈장치 및 그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2102B1 true KR100622102B1 (ko) 2006-09-11

Family

ID=37624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1432A KR100622102B1 (ko) 2006-05-09 2006-05-09 압연롤용 쵸크 자동 착탈장치 및 그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21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329B1 (ko) * 2002-06-07 2008-04-28 주식회사 포스코 백업롤용 오토클램프 자동 장탈착장치
KR102207878B1 (ko) 2019-07-22 2021-01-27 주식회사 삼우에코 압연롤의 롤 쵸크 자동 착탈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711A (en) 1979-06-29 1981-01-23 Kobe Steel Ltd Roll chock rearranger for rolling mill
JPH081216A (ja) * 1994-06-21 1996-01-09 Astec:Kk ロールチョック着脱装置
JPH0824981A (ja) * 1994-07-11 1996-01-30 Aichi Steel Works Ltd 山形鋼の製造方法
KR20030094706A (ko) * 2002-06-07 2003-12-18 주식회사 포스코 백업롤용 오토클램프 자동 장탈착장치
JP2004237329A (ja) 2003-02-06 2004-08-26 Kohan Kogyo Kk ロール用チョック着脱装置及びチョックの着脱方法
KR100514793B1 (ko) * 2001-09-07 2005-09-14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롤용 클램프링의 자동착탈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711A (en) 1979-06-29 1981-01-23 Kobe Steel Ltd Roll chock rearranger for rolling mill
JPH081216A (ja) * 1994-06-21 1996-01-09 Astec:Kk ロールチョック着脱装置
JPH0824981A (ja) * 1994-07-11 1996-01-30 Aichi Steel Works Ltd 山形鋼の製造方法
KR100514793B1 (ko) * 2001-09-07 2005-09-14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롤용 클램프링의 자동착탈장치
KR20030094706A (ko) * 2002-06-07 2003-12-18 주식회사 포스코 백업롤용 오토클램프 자동 장탈착장치
JP2004237329A (ja) 2003-02-06 2004-08-26 Kohan Kogyo Kk ロール用チョック着脱装置及びチョックの着脱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329B1 (ko) * 2002-06-07 2008-04-28 주식회사 포스코 백업롤용 오토클램프 자동 장탈착장치
KR102207878B1 (ko) 2019-07-22 2021-01-27 주식회사 삼우에코 압연롤의 롤 쵸크 자동 착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18970B2 (ja) ロック解除装置、ロック装置、バッテリ交換移動プラットフォーム及び高速バッテリ交換システム
KR100622102B1 (ko) 압연롤용 쵸크 자동 착탈장치 및 그의 방법
CN101927949B (zh) 电磁制动平移式卷板夹钳
JP2010102896A (ja) バッテリ搭載車
CN218362933U (zh) 一种钢筋焊接定位设备
KR20150001693U (ko) 케이블 드럼 거치대
CN218665045U (zh) 一种便携式吊装钢架
CN105448510B (zh) 一种变压器装配工装
JP3416251B2 (ja) 多段圧延機のロール組替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ロール組替装置並びに多段圧延機
KR100743078B1 (ko) 압연롤용 쵸크 자동 착탈장치의 하부 디쵸킹 부재
CN115650041A (zh) 一种城市轨道交通电客车转向架的检测维护工作台
KR100743074B1 (ko) 압연롤용 쵸크 자동 착탈장치의 상부 디쵸킹 부재
CN214166464U (zh) 一种钢卷翻转用翻卷机
JP5236431B2 (ja) ブラダー反転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ブラダーのタイヤ加硫装置への取付け方法
JP2007076771A (ja) 昇降装置
CN211247803U (zh) 一种具有防倾翻功能的钢卷上料装置
JP5748884B1 (ja) マグネット固定式コンパクトフライス及び移動式加工法
KR101670614B1 (ko) 차량 탈부착용 리프트
JP4374239B2 (ja) クローラベルト着脱用台車
CN102975780B (zh) 工程车辆及其备胎架
CN219546615U (zh) 一种铜卷液压托举装置
KR20020054410A (ko) 백업롤 초크 조립장치
KR200270881Y1 (ko) 압연스탠드 내 절손롤 인출장치
CN210619710U (zh) 一种带装卸料功能的运输车
JP3503554B2 (ja) 圧延機スピンドル交換方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バックアップロールシフ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