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9376B1 - 조립식 가열 조리기 - Google Patents

조립식 가열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9376B1
KR100619376B1 KR1020050042871A KR20050042871A KR100619376B1 KR 100619376 B1 KR100619376 B1 KR 100619376B1 KR 1020050042871 A KR1020050042871 A KR 1020050042871A KR 20050042871 A KR20050042871 A KR 20050042871A KR 100619376 B1 KR100619376 B1 KR 100619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assembly
lower case
exhaust
cooker
s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2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시히로 스즈키
나오야 스기야마
아키히로 이와하라
토키오 이치노세
토시오 코이케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미쓰비시덴끼 홈기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미쓰비시덴끼 홈기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9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9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0Arrangements for mounting stoves or ranges in particular lo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8Foundations or supports plates; Legs or pillars; Casings;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과제
2분할한 조리기 본체의 배선 접속 누락을 확실하게 방지함과 함께, 싱크대에의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한, 조립식 가열 조리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조립식 가열 조리기(1)는 상면에 배치된 천판체(12)와, 내부에 발열체(5)를 마련한 상면 개구 구멍(94)에 삽입하는 삽입 부분(3A)을 구비하는 상케이스 조립체(3)와, 가열실(32)을 가지며, 삽입 부분(3A)의 상면에서의 투영 영역과 같거나 그것보다 작은 외형으로 되는 하케이스 조립체(4)와, 하케이스 조립체(4)와 상케이스 조립체(3)를 가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구(42)에 의해 구성되고, 상케이스 조립체(3)와 하케이스 조립체(4)를 상면 개구 구멍(94)으로부터 연결구(42)에 의해 연결한 채로 수납 구멍부(93)에 수납하고, 천판체(12)가 상면 개구 구멍(94)을 덮고 상케이스 조립체(3)와 하케이스 조립체(4)를 지지한 상태에서, 하케이스 조립체(4)를 앞면 개구 구멍(96)측으로 가동시켜 수납 구멍부(93)에 조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립식 가열 조리기, 싱크대

Description

조립식 가열 조리기{AN ASSEMBLY HEATING APPLIANCE FOR COOKING}
도 1은 본 실시예에서의 조립식 가열 조리기를 조립한 싱크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예에서의 조립식 가열 조리기를 수납 구멍부에 조립하기 이전의 싱크대의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예에서의 상케이스 조립체로부터 하케이스 조립체를 전방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도시한 조립식 가열 조리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실시예에서의 조리기 본체의 하케이스 조립체를 후방으로 이동하고, 상케이스 조립체의 바로 아래에 하케이스 조립체를 위치시킨 상태를 도시한 조립식 가열 조리기의 사시도.
도 5는 본 실시예에서의 조립식 가열 조리기의 조립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실시예에서의 조리기 본체를 싱크대의 수납 구멍부에 수납한 상태를 도시한 조립식 가열 조리기의 종단 측면도.
도 7은 본 실시예에서의 조리기 본체의 하케이스 조립체를 싱크대의 앞면 개구 구멍에 끼워 넣은 상태를 도시한 조립식 가열 조리기의 종단 측면도.
도 8은 본 실시예에서의 조립식 가열 조리기의 상케이스 조립체와 하케이스 조립체를 가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구의 사시도.
도 9는 연결구로 연결한 조리기 본체(일부)의 주요부 확대도.
도 10은 연결 상태를 도시한 연결구의 측면도.
도 11은 본 실시예에서의 조립식 가열 조리기를 구성하는 상케이스 조립체와 하케이스 조립체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의 사시도.
도 12는 조리기 본체를 싱크대에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종래의 조립식 가열 조리기의 측면도.
도 13은 조리기 본체를 싱크대에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종래의 조립식 가열 조리기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열 조리기 2 : 조리기 본체
3 : 상케이스 조립체 3A : 상케이스
4 : 하케이스 조립체 4A : 하케이스
5 : 발열체 6 : 저항 코일
7 : 유도 코일 8 : 서클 라인
8A : 화력 표시부 1O : 배기구
12 : 천판체 14 : 천판
16 : 테두리체 18 : 천면 조작부
19 : 앞면 조작부 2O : 제어 기판실
20A : 제어 기판실 22 : 송풍기
24 : 배기 상풍로체 24A : 흡기구멍
26 : 연통 간극 28 : 배기 하풍로체
28A : 흡기구멍 32 : 가열실
34 : 서랍 36 : 도어
36A : 손잡이 38 : 트레이
40 : 가열체 42 : 연결구
44 : 상레일 44A : 상고정편
44B : 상슬라이드편 44C : 상단차부
46 : 하레일 46A : 하고정편
46B : 하슬라이드편 46C : 하단차부
48 : 고정부 48A : 돌기
48B : 구멍부 49 : 고정 부재
5O : 고정판 51 : 이동 구멍
52 : 관통 구멍 52A : 가동편
54 : 손잡이 56 : 고정 구멍
90 : 싱크대 92 : 싱크
93 : 수납 구멍부 94 : 상면 개구 구멍
96 : 앞면 개구 구멍
기술 분야
본 발명은, 싱크대에 조립됨과 함께 하부에 가열실이 마련된 조립식 가열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의 가열 조리기, 특히 싱크대의 수납 구멍부에 조립하고 삶는 물건이나 굽는 물건 등의 피가열물을 가열 조리하는 조립식 가열 조리기는, 조리기 본체의 중량이 약 2Okg 강함도 있는 무거운 것이었다. 이 무거운 조리기 본체를, 상면에 마련된 상면 개구 구멍부와 앞면에 마련된 앞면 개구 구멍부로 이루어지는 싱크대의 수납 구멍부에 작업자가 한 사람이 들어올려서 조립하고 있었다. 도 12는 종래의 가열 조리기(100)이다. 해당 조립식의 가열 조리기(100)를 싱크대(190)에 조립하는 경우, 작업자가 양손으로 조리기 본체(102)의 상면에 마련된 천판체(112)의 양측을 쥐고, 조리기 본체(102)의 앞부분을 하방으로 아래로 기울여 경사시킨다.
이 상태에서, 싱크대(190)의 상면 개구 구멍(194)으로부터 수납 구멍부(193) 내로 조리기 본체(102)를 삽입한다. 다음에, 앞면 조작부가 마련된 조리기 본체(102)의 앞면 하부측을 수납 구멍부(193)의 앞측에 형성된 앞면 개구 구멍(196)에 맞추어서 끼워 넣은 후 조리기 본체(102)의 후부을 하방으로 회전시킨다(도면중 화살표). 이와 같이 하여, 싱크대(190)의 수납 구멍부(193)에 조리기 본체(102)를 조립하고 있다(특개평11-121155호 공보 참조).
그러나, 싱크대의 수납 구멍부에 조리기 본체를 삽입할 때, 무거운 조리기 본체를 비스듬하게 경사시키고, 싱크대의 앞쪽측으로부터 손의 팔굼치를 뻗어서 상면 개구 구멍 내로 삽입함과 함께, 조리기 본체의 앞면 하부측을 앞면 개구 구멍에 삽입하여야 한다. 이 경우, 조리기 본체를 싱크대의 상면 개구 구멍으로부터 수납 구멍부로 삽입할 때, 조리기 본체를 싱크대에 충돌시켜 상처 등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삽입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가열 조리기의 조립 작업시에는 작업자의 양손, 특히 조리기 본체를 비스듬히 유지하여 싱크대에 삽입하기 위해, 양 손목에 막대한 부담이 가하여져, 매우 곤란한 설치 작업으로 되어 있다.
그래서,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리기 본체의 대단한 설치 작업을 해결할 수 있는, 조립식의 가열 조리기가 제안되어 있다. 도 13은 종래의 조립식 가열 조리기(100)의 측면도이고, 이 조립식의 가열 조리기(100)는 조리기 본체(102)를 2분할하여 상부의 상부 유닛(103)과 하부의 하부 유닛(104)으로 나누고 있다. 그리고, 조리기 본체(102)를 싱크대(190)에 조립하는 경우는 2분할한 한쪽의 상부 유닛(103)을 싱크대(190)의 상면 개구 구멍(194)으로부터 수납 구멍부(193) 내로 삽입하고, 다른쪽의 하부 유닛(104)을 싱크대(190)의 앞면측으로부터 앞면 개구 구멍(196) 내로 삽입하고 있다. 다음에, 하부 유닛(104)의 앞부분이 앞면 개구 구멍(196)의 앞면보다 소정 치수 노출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부 유닛(103)과 하부 유닛(104)의 배선 접속을 행함에 의해, 가열 조리기(102)의 조립 작업을 경감하고 있다(특개평6-68967호 공보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싱크대에의 가열 조리기의 조립 작업을 경감하고 있지만, 가열 조리기는 제조시에 상부 유닛과 하부 유닛을 배선 접속하여 전기적 검사가 행하여지고 있다. 그러나, 2분할한 한쪽의 상부 유닛을 싱크대의 상방 에서부터 상면 개구 구멍에 삽입하고, 다른쪽의 하부 유닛을 싱크대의 앞면측에서부터 앞면 개구 구멍에 삽입하여 조립하는 경우, 제조시에 접속한 상부 유닛과 하부 유닛과의 배선 접속을 일단 벋기고, 싱크대에 조립한 후 다시 배선 접속하여야 한다. 이 때문에, 상부 유닛과 하부 유닛과의 배선 접속에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상부 유닛과 하부 유닛으로 2분할한 조리기 본체를, 각각 싱크대에 조립하고 나서 다시 배선 접속하는 경우, 상부 유닛과 하부 유닛과의 배선 접속을 잊거나, 또는, 어중간한 배선 접속 등도 고려되어 안전성에 대한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2분할한 조리기 본체의 배선 접속 누락을 확실하게 방지함과 함께, 싱크대에의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한, 조립식 가열 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조립식 가열 조리기는 싱크대에 형성된 상면 개구 구멍과 앞면 개구 구멍을 갖는 수납 구멍부에 수납하여 조립하는 조립식 가열 조리기에 있어서, 상면에 배치되는 천판체와, 내부에 유도 코일이나 저항 코일 등으로 이루어지는 발열체를 마련한 상기 상면 개구 구멍에 삽입하는 삽입 부분을 구비하는 상케이스 조립체와, 가열실을 가지며, 상기 상케이스 조립체 삽입 부분의 상면에서의 투영 영역과 같거나 그보다 작은 외형으로 되는 하케이스 조립체와, 해당 하케이스 조립체와 상기 상케이스 조립체를 가동(可動)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구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상케이스 조립체와 상기 하케이스 조립체를 상기 상면 개구 구멍으로부터 상기 연결구에 의해 연결한 채로 상기 수납 구멍부에 수납하고, 상기 천판체가 상기 상면 개구 구멍을 덮고 상기 상케이스 조립체 와 상기 하케이스 조립체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하케이스 조립체를 상기 앞면 개구 구멍측으로 가동시켜 상기 수납 구멍부에 조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립식 가열 조리기에 의하면, 하케이스 조립체를 후퇴시킨 상태에서, 해당 하케이스 조립체는 싱크대의 상면 개구 구멍 내에 위치하는 상케이스 조립체 하방의 투영 영역 내에 위치시키고 있다. 이로써, 조리기 본체를 상면 개구 구멍으로부터 늘어뜨리면 싱크대의 수납 구멍부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상면 개구 구멍 내에 수납한 조리기 본체의 하케이스 조립체를 전방으로 이동하면, 하케이스 조립체의 앞면측을 싱크대의 앞면 개구 구멍에 끼워 넣을 수 있기 때문에, 상케이스 조립체와 하케이스 조립체를 분리하지 않고 싱크대에 조리기 본체를 조립할 수 있다. 이로써, 싱크대의 수납 구멍부에 조리기 본체를 조립한 때, 상케이스 조립체와 하케이스 조립체의 배선 접속을 행할 필요도 없고 보다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조리기 본체를 비스듬하게 하여 싱크대에 조립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양 손목에 부담이 가지 않는다.
제 1의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서의 조립식 가열 조리기(1)를 조립한 싱크대(90)의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예에서의 조립식 가열 조리기(1)를 수납 구멍부(93)에 조립하기 이전의 싱크대(90)의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예에서의 상케이스 조립체(3)로부터 하케이스 조립체(4)를 전방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도시한 조립식 가열 조리기(1)의 사시도, 도 4 는 본 실시예에서의 조리기 본체(2)의 하케이스 조립체(4)를 후방으로 이동하고, 상케이스 조립체(3)의 바로 아래에 하케이스 조립체(4)를 위치시킨 상태를 도시한 조립식 가열 조리기(1)의 사시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싱크대(90)의 상면 일측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싱크(92)가 마련되어 있고, 이 싱크(92)의 곁에는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마련된 수납 구멍부(93)(도 2에 도시) 내에 가열 조리기(1)가 조립되어 있다. 그 수납 구멍부(93)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싱크대(90)의 상면측에 형성된 상면 개구 구멍(94)과, 앞면측(사용자측)에 형성된 앞면 개구 구멍(96)을 갖고 있다.
한편, 가열 조리기(1)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자 형상의 상케이스 조립체(3)와, 이것 역시 상자 형상의 하케이스 조립체(4)로 조리기 본체(2)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케이스 조립체(3)는 싱크대(90) 내에 마련된 수납 구멍부(93)의 상면 개구 구멍(94)에 끼워 넣어지고, 하케이스 조립체(4)는 싱크대(90)의 수납 구멍부(93)의 앞면 개구 구멍(96)에 끼워 넣어진다. 이 때, 하케이스 조립체(4)의 앞면측은 앞면 개구 구멍(96)에 같은 면, 또는 약간 노출, 또는 약간 오목한 상태로 조립된다.
조리기 본체(2)를 구성하는 상케이스 조립체(3)와 하케이스 조립체(4)는, 상하 케이스 조립체(3, 4)의 대략 네모퉁이에 마련된 연결구(42)로 가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케이스 조립체(3)와 하케이스 조립체(4)가 연결구(42)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케이스 조립체(3)와 하케이스 조립체(4)가 일체로 구성됨과 함께, 하케이스 조립체(4)는 상케이스 조립체(3)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 도록 되어 있다. 해당 하케이스 조립체(4)가 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하케이스 조립체(4)는 상케이스 조립체(3)에 대해 소정 치수 전방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도 3 화살표(L)).
즉, 조리기 본체(2)를 상케이스 조립체(3)와 하케이스 조립체(4)로 2분할하고, 이 양자를 연결구(42)에서 일체로 구성함과 함께, 상케이스 조립체(3)에 대해 하케이스 조립체(4)를 가동 자유롭게 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상케이스 조립체(3)의 상면에 마련된 천판체(12)의 대략 중앙 양측을 잡고, 싱크대(90)의 바로 위로부터 조리기 본체(2)를 수납 구멍부(93)에 삽입하고, 하케이스 조립체(4)를 앞면 개구 구멍(96)측으로 끌어당겨서 이동시키면, 조리기 본체(2)를 싱크대(90)에 조립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연결구(42)에 관해서는 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가열 조리기(1)는, 하케이스 조립체(4)를 후방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케이스 조립체(3)의 대략 바로 아래에 하케이스 조립체(4)가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도 4). 즉, 하케이스 조립체(4)는 상케이스 조립체(3)와 동등, 또는, 그것보다도 작게 형성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상케이스 조립체(3)와 하케이스 조립체(4)와는 연결구(42)에 이동 자유롭게 연결하고 있고, 하케이스 조립체(4)를 후방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하케이스 조립체(4)는 상케이스 조립체(3)가 하방으로 투영한 상케이스 조립체(3)의 투영 범위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돌출하지 않는 영역 내에 들어가는 크기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하케이스 조립체(4)를 후부측에 이동시키고, 상케이스 조립체(3)의 대략 바로 아래에 하케이스 조립체(4)를 위치시킨 상태에서는, 조리기 본체(2)를 싱크대(90)의 상면 개구 구멍(94)으로부터 수납 구멍부(93) 내로 삽입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로써, 싱크대(90)에 조립한 가열 조리기(1)의 서비스나 메인티넌스시에 하케이스 조립체(4)를 눌러서 후퇴시키고, 상케이스 조립체(3) 하방의 영역 내에 하케이스 조립체(4)를 위치시키면, 조리기 본체(2)를 위로 들어올리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조리기 본체(2)를 싱크대(90)의 수납 구멍부(93)로부터 빼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케이스 조립체(3)와 하케이스 조립체(4)를 연결구(42)로 이동 자유롭게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상케이스 조립체(3) 하방의 상케이스 조립체(3) 영역 내에 하케이스 조립체(4)를 배치할 수 있다. 이로써, 조리기 본체(2)를 싱크대(90)의 수납 구멍부(93)에 바로 위로부터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싱크대(90)의 수납 구멍부(93)에 수납한 조리기 본체(2)를 바로 위로 들어올리는 것만으로 조리기 본체(2)를 수납 구멍부(93)로부터 간단히 빼낼 수 있다. 이로써, 싱크대(90)의 수납 구멍부(93)에 가열 조리기(1)의 조립 및 떼어내는 등의 작업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조리기 본체(2)를 곧바로 위로 들어올릴 수 있기 때문에, 양 손목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일도 없어진다. 이로써, 싱크대(90)의 수납 구멍부(93)에 조리기 본체(2)를 조립할 때나 떼어낼 때, 손목을 손상하거나 조리기 본체(2)를 싱크대(90)에 충돌시켜서 상처가 나게 하는 부적당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도 5에 본 실시예에서의 조립식 가열 조리기(1)의 조립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케이스 조립체(3)를 상자 형상으로 형성된 상케이스(3A)와, 이 상케이스(3A)의 상면에 마련된 천판체(12)로 구성하고 있 다. 천판체(12)는 예를 들면 내열 유리와 같은 비자성재로 이루어지는 평판 형상의 천판(14)과, 이 천판(14) 주위에 마련된 테두리체(16)로 구성되어 있다.
상면 개구 구멍(94)에의 삽입 조립 부분인 상케이스(3A)는, 싱크대(90)의 상면 개구 구멍(94) 내로 삽입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천판체(12)는 상케이스(3A)보다 약간 크게 형성됨과 함께, 상면 개구 구멍(94)보다도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리기 본체(2)를 싱크대(90)에 조립할 때, 상케이스 조립체(3)의 상케이스(3A)가 상면 개구 구멍(94) 내에서 수납 구멍부(93) 내로 삽입되고, 천판체(12)는 상면 개구 구멍(94) 주위에 걸려 수납 구멍부(93) 내로 상케이스 조립체(3)가 낙하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천판(14)의 하면측(상케이스 조립체(3) 내)에는 대략 밀착하여 소용돌이 형상으로 감긴 저항 코일(6)이나, 유도 코일(7)(전자 유도 가열 코일) 등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발열체(5)가 배설되어 있다. 해당 천판(14) 상면에는 해당 천판(14) 상면에 냄비나 프라이팬 등의 조리기를 정확하게 재치할 수 있도록, 각 발열체(5)에 대응하여 각각 거의 원형의 서클 라인(8)이 인쇄되어 있다.
각 서클 라인(8)의 앞부분(사용자측)에는 화력 표시부(8A)가 마련되어 있고, 이 화력 표시부(8A)에는 천판(14) 상면에 재치된 피가열물에의 가열 출력의 상황이 표시된다. 또한 이 화력 표시부(8A)에 피가열물의 온도나 조리 시간 등도 표시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상케이스 조립체(3)의 앞부분(테두리체(16)의 앞부분)에는 타이머 설정이나 저항 코일(6) 및 유도 코일(7) 등의 가열량을 조작하는 복수의 조작 버튼을 구비한 천면 조작부(18)가 마련되어 있다. 이 천면 조작부(18)는 각 발열체(5)에 대응하여 마련됨과 함께, 테두리체(16)의 폭방향 일측에서부터 타측에 걸쳐서 마련되어 있다.
상케이스 조립체(3) 내에는 상자체로 형성된 제어 기판실(20)이 마련되어 있고, 이 제어 기판실(20)에는 기판에 전원부나 다양한 전자 소자, 또는 마이크로컴퓨터 등이 부착된 제어 장치(도시 생략)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 장치는 천면 조작부(18)의 조작 버튼이 조작되고, 저항 코일(6) 및 유도 코일(7)에 상용 교류 전원이 통전되면, 조작 내용에 따라 각 발열체(5)의 가열/정지 등의 출력 제어, 또는 타이머 제어 등을 행하고, 피가열물의 가열 제어를 행한다. 또한, 조립식 가열 조리기(1)에는 100V 내지 200V의 상용 교류 전원이 통전되어 있다.
상케이스 조립체(3)의 후부(테두리체(16)의 후부)에는 배기구(10)가 마련되어 있다. 이 배기구(10)는 조리기 본체(2) 내의 가열된 공기 및 가열실(32)(도 5에 도시) 내에서 고기나 생선 등의 피가열물을 가열 조리할 때, 그것들로부터 발생한 연기나 증기, 또는 냄새 등을 조리기 본체(2)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케이스 조립체(3) 내에는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소정의 풍량을 통과 가능한 배기 상풍로체(24)가 마련되어 있다.
배기 상풍로체(24)의 일단은 배기구(10)에 연통하고, 배기 상풍로체(24)의 타단은 상케이스 조립체(3)의 후부보다 소정 치수 앞측에 위치하여 하방(하케이스 조립체(4)측)으로 개구하고 있다. 배기 상풍로체(24)에는 해당 배기 상풍로체(24)의 타단측(상류측)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일단측(하류측)을 향하여 송풍하고, 배기구(10)로부터 배출하는 송풍기(22)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하케이스 조립체(4)는 상자 형상의 하케이스(4A)를 갖고 있고, 그 내부에는 가열실(32)이 마련됨과 함께 앞면에는 앞면 조작부(19)가 마련되어 있다. 해당 가열실(32)은 하케이스 조립체(4)의 좌측, 앞면 조작부(19)는 가열실(32)의 곁(실시예에서는 가열실(32)의 우측)에 마련되어 있다. 이 앞면 조작부(19)는 하케이스 조립체(4)의 앞면에 마련되고, 천면 조작부(18)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조작 버튼이나 전원 스위치 등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앞면 조작부(19)는 천면 조작부(18)와 마찬가지로 발열체(5)의 가열량이나 타이머 조작 등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가열실(32)에는 전방측(사용자)으로부터 출입 자유로운 서랍(34)이 마련되어 있고, 내부에는 전기 저항체로 이루어지는 가열체(40)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서랍(34)은 가열실(32)의 앞면 개구를 폐색 자유롭게 폐색하는 도어(36)와, 피가열물을 재치하는 트레이(38)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열체(40)에 상용 교류 전원이 통전되어 발열함에 의해 가열실(32) 내에 삽입된 피가열물의 가열 조리가 행하여진다. 또한, 36A는 서랍(34)을 가열실(32)에 출납하기 위한 손잡이로서, 이 손잡이(36A)는 도어(36)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하케이스 조립체(4) 내에도 제어 기판실(20)과 마찬가지의 상자체로 형성된 제어 기판실(20A)(도 5에 도시)이 마련되어 있다. 이 제어 기판실(20A)도 기판에 전원부나 다양한 전자 소자, 또는 마이크로컴퓨터 등이 부착된 제어 장치(도시 생략)가 마련되어 있다. 제어 장치는 앞면 조작부(19)의 조작 버튼이 조작되고, 저항 코일(6) 및 유도 코일(7)에 상용 교류 전원이 통전되면, 조작 내용에 따 라 각 발열체(5)의 가열/정지 등의 출력 제어, 또는 타이머 제어 등을 행하고, 피가열물의 가열 제어를 행한다. 또한, 제어 기판실(20, 20A)은 어느 한쪽이라도 무방하다. 이 경우, 천면 조작부(18)와 앞면 조작부(19)를 연동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 두면 좋다.
또한, 하케이스 조립체(4) 내의 가열실(32) 후부에는 통형상의 배기 하풍로체(28)가 마련되어 있고, 이 배기 하풍로체(28)는 상기 배기 상풍로체(24)와 거의 동등한 풍량이 통과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 배기 하풍로체(28)의 일단은 전방의 가열실(32)에 연통하고, 타단은 하케이스 조립체(4)의 후부에 위치하여 상방(상케이스 조립체(3)측)으로 개구하고 있다.
그리고, 배기 하풍로체(28)의 타단과 상기 배기 상풍로체(24)의 타단은, 하케이스 조립체(4)가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호 맞닿아서 연통하도록 되어 있다. 이들 배기 하풍로체(28)의 타단 개구와 배기 상풍로체(24)의 타단 개구는, 상하 함께 수평으로 개구, 또는 비스듬하게 개구하고, 하케이스 조립체(4)가 전방으로 이동한 때 상호 연통하도록 되어 있다. 이로써, 가열실(32) 내는 배기 하풍로체(28), 배기 상풍로체(24), 배기구(10)를 통하여 조리기 본체(2)의 외부에 연통하도록 되어 있다. 즉, 송풍기(22)가 운전되면, 가열실(32)의 피가열물로부터 발생한 연기나 증기 또는 냄새 등은 배기 하풍로체(28) 및 배기 상풍로체(24)를 통하여 배기구(10)로부터 조리기 본체(2)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6은 조리기 본체(2)를 싱크대(90)의 수납 구멍부(93)에 수납한 상태를 도시한 조립식 가열 조리기(1)의 종단 측면도, 도 7은 조리기 본체(2)의 하케 이스 조립체(4)를 싱크대(90)의 앞면 개구 구멍(96)에 끼워 넣은 상태를 도시한 조립식 가열 조리기(1)의 종단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어느 것이나, 서랍(34)은 가열실(32)로부터 빼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하케이스 조립체(4)가 전방으로 이동되고, 배기 상풍로체(24)와 배기 하풍로체(28)의 타단이 상호 연통한 상태에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기 상풍로체(24)와 배기 하풍로체(28)의 맞닿는 개소에 소정 간격의 연통 간극(26)이 마련되어 있다. 이 연통 간극(26)에 의해 배기 상풍로체(24) 및 배기 하풍로체(28)와, 상케이스 조립체(3) 내 및 하케이스 조립체(4) 내가 연통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배기 상풍로체(24)는 제어 기판실(20)에, 배기 하풍로체(28)는 제어 기판실(20A)에 각각 연통로(도시 생략)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하케이스 조립체(4)를 상케이스 조립체(3)의 바로 아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싱크대(90)의 상면 개구 구멍(94)으로부터 수납 구멍부(93)에 조리기 본체(2)를 삽입한다. 이로써, 조리기 본체(2)는 상케이스 조립체(3)에 마련한 테두리체(16)에 의해 매달린다. 이때는, 아직도 상케이스 조립체(3)에 마련한 배기 상풍로체(24)의 타단과, 하케이스 조립체(4)에 마련한 배기 하풍로체(28)의 타단은 연통하고 있지 않다.
다음에, 가열실(32)의 전방 개구 연부(緣部) 등을 가지며, 하케이스 조립체(4)를 수납 구멍부(93)의 앞부분(앞면 개구 구멍(96)측)으로 이동하고, 하케이스 조립체(4)의 앞면을 앞면 개구 구멍(96)에 같은 면, 또는 약간 노출, 또는 약간 오목한 상태로 설치한다. 즉, 하케이스 조립체(4)의 앞면을 앞면 개구 구멍(96)의 소 정 위치까지 이동하면, 배기 상풍로체(24)와 배기 하풍로체(28)의 타단이 연통하고, 가열실(32)과 조리기 본체(2)의 외부가 연통한다. 또한, 서랍(34)은 조리기 본체(2)를 싱크대(90)에 조립한 후에 가열실(32)에 부착하고 있지만, 최초부터 부착하여 두어도 좋다.
그리고, 송풍기(22)가 운전되면, 가열실(32) 내의 가열된 공기 및 피가열물로부터 발생한 연기나 증기 또는 냄새 등이 배기구(10)로부터 조리기 본체(2)의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케이스 조립체(3)나 하케이스 조립체(4) 내 및 제어 기판실(20, 20A) 내의 가열된 공기가 배기구(10)로부터 조리기 본체(2)의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배기 상풍로체(24)의 하류측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탈연(脫煙) 기능이나 소취(消臭) 기능을 갖는 탈연 촉매와 촉매 가열 히터 및 탈연 팬 등을 구비한 탈연 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배기구(10)로부터는 클린한 공기가 배기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종래 가열실(32)에서 구운 고기나 생선으로부터 나온 연기나 증기 또는 냄새 등은 배기 풍로를 통하여 배기구로부터 배출하고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배기 통로를, 상케이스 조립체(3)에 마련한 배기 상풍로체(24)와 하케이스 조립체(4)에 마련한 배기 하풍로체(28)로 분할하고 있다. 그리고, 하케이스 조립체(4)의 이동에 연동하여, 배기 하풍로체(28)를 배기 상풍로체(24)에 연통하도록 하고 있다. 이로써, 조리기 본체(2)를 상케이스 조립체(3)와 하케이스 조립체(4)로 분할하여도, 가열실(32)로부터 조리기 본체(2)의 외부에 용이하게 배기 풍로를 연통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가열실(32)의 연기나 증기 또는 냄새 등을 확실하게 배기구 (10)로부터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배기구(10)를 향하여 송풍하는 송풍기(22)를 배기 상풍로체(24)에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가열실(32)에서 발생한 연기나 증기 또는 냄새 등을 확실하게 조리기 본체(2)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배기 상풍로체(24) 및 배기 하풍로체(28)를 제어 기판실(20, 20A) 및 상하 케이스 조립체(3, 4) 내에 연통하고 있기 때문에, 제어 기판실(20, 2OA) 및 상하 케이스 조립체(3, 4) 내를 냉각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
또한, 배기 상풍로체(24)에 상케이스 조립체(3) 내로 연통하는 흡기구멍(24A) 및 배기 하풍로체(28)에 하케이스 조립체(4)로 연통하는 흡기구멍(28A)을 마련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의 흡기구멍(24A, 28A)으로부터 하케이스 조립체(4) 내 및 상케이스 조립체(3) 내의 가열된 공기를, 상하 풍로체(24, 28)로부터 조리기 본체(2) 밖으로 배출하여 냉각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제어 기판실(20, 20A)을 마련하지 않고, 해당 제어 기판실(20, 20A) 내에 마련한 전자 부품으로 형성된 제어 기판으로 이루어지는 제어체를 직접 상케이스 조립체(3), 하케이스 조립체(4) 내에 마련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도 8에 조립식 가열 조리기(1)의 상케이스 조립체(3)와 하케이스 조립체(4)를 가동 가능하게 연결한 연결구(42)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연결구(42)는 상케이스 조립체(3)의 하면 네모퉁이에 용접 또는 코킹 등으로 고정되는 상레일(44)과, 하케이스 조립체(4)의 상면 네모퉁이에 용접 또는 코킹 등으로 고정되는 하레일(46)로 구성하고 있다. 양 레일(44, 46)은 소정 두께의 금속판으로 계단 형상으 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상레일(44)은 상케이스 조립체(3)의 양측 하면에 고정되는 상고정편(44A)과, 이 상고정편(44A)과 평행하게 마련된 상슬라이드편(44B)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슬라이드편(44B)은 상단차부(44C)를 통하여 상고정편(44A)보다 소정 치수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상고정편(44A)은 조리기 본체(2)의 앞면측에서 보아 상케이스 조립체(3)의 양측 하면에 고정되고, 상슬라이드편(44B)은 상고정편(44A)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치수 연장된 상단차부(44C)를 통하여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하레일(46)은 조리기 본체(2)의 앞면측에서 보아, 하케이스 조립체(4)의 양측 상면에 고정되는 하고정편(46A)과, 이 하고정편(46A)과 평행하게 마련된 하슬라이드편(46B)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슬라이드편(46B)은 하단차부(46C)를 통하여 하고정편(46A)보다 소정 치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하고정편(46A)은 조리기 본체(2)의 앞면측에서 보아 하케이스 조립체(3)의 양측 상면에 고정되고, 하슬라이드편(46B)은 하고정편(46A)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치수 연장된 하단차부(46C)를 통하여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도 9는 연결구(42)로 연결한 조리기 본체(2)의 주요부 확대도, 도 1O는 연결 상태를 도시한 연결구(42)의 측면도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연결구(42)는 상케이스 조립체(3)에 고정된 각 상레일(44)의 상슬라이드편(44B)상에, 하케이스 조립체(4)에 고정된 각 하레일(46)의 하슬라이드편(46B)이 가동 자유롭게 재치된다. 즉, 조리기 본체(2)는 연결구(42)로 하케이스 조립체(4)가 상케이스 조립체(3)에 매달린 상태에서, 하케이스 조립체(4)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 다.
또한, 상케이스 조립체(3)(상케이스(3A))의 하면에 노치를 넣고, 이 노치를 계단 형상으로 하방으로 절곡하여 상슬라이드편(44B)과 마찬가지의 상슬라이드편을 형성한다. 또한, 하케이스 조립체(4)(하케이스(4A))의 상면에 노치를 넣고, 이 노치를 계단 형상으로 상방으로 절곡하여, 하레일(46)의 하슬라이드편(46B)과 마찬가지의 하레일을 형성한 연결구를 마련하여도 무방하다. 이로써, 연결구(42)를 각별히 마련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가열 조리기(1)의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어 편리하다.
본 실시예에서의 연결구(42)에는 고정부(48)(본 발명의 고정 부재에 상당)를 마련하고 있다. 이 고정부(48)는 각 상레일(44)의 상슬라이드편(44B)으로부터 상케이스 조립체(3)측으로 소정 치수 돌출하어 마련된 돌기(48A)와, 하레일(46)의 하슬라이드편(46B)을 관통하여 마련된 구멍부(48B)로 구성되어 있다(도 8에 도시). 해당 돌기(48A)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고, 구멍부(48B) 내로 끼워 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고정부(48)는 상슬라이드편(44B)에 돌출한 돌기(48A)를 마련하고, 하슬라이드편(46B)에 관통하는 구멍부(48B)를 마련하고 있지만, 고정부(48)는 상슬라이드편(44B)에 관통하는 구멍부를 마련함과 함께, 하슬라이드편(46B)에 돌출하는 돌기를 마련하여도 좋다.
그리고, 조리기 본체(2)는 고정부(48)의 상케이스 조립체(3)가 싱크대(90)의 상면 개구 구멍(94)에 끼워 넣어지고, 하케이스 조립체(4)가 싱크대(90)의 앞면 개구 구멍(96)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구멍부(48B)는 돌기(48A) 내에 끼워 맞춤한 다(도 10에 도시). 이로써, 고정부(48)는 로크되고, 상케이스 조립체(3)에 대해 하케이스 조립체(4)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여 버리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 10 화살표(L)는 하케이스 조립체(4)가 후방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하케이스 조립체(4)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구멍부(48B)에 돌기(48A)가 끼워 맞추어지기까지의 치수(도 3의 화살표(L)와 같음)를 나타내고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싱크대(90)의 수납 구멍부(93) 내에 수납한 하케이스 조립체(4)를 소정 치수 전부측(前部側)으로 가동시키면, 돌기(48A)가 구멍부(48B)에 끼워 맞추어진다. 이로써, 고정부(48)가 고정되고, 상케이스 조립체(3)와 하케이스 조립체(4)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여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서랍(34)을 가열실(32)로 출입하거나, 앞면 조작부(19)에 마련된 조작 버튼이나 전원 스위치 등의 조작 등의 가벼운 힘으로는 구멍부(48B)는 돌기(48A)로부터 탈출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편리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고정부(48)는 구멍부(48B)를 반구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구멍부(48B)가 돌기(48A) 내로 끼워 맞추어 로크하고 있는 상태에서, 하레일(46)이 고정된 하케이스 조립체(4)를 후부 방향으로 강하게 누르면 구멍부(48B)는 돌기(48A)로부터 탈출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가열 조리기(1)의 수리나 메인티넌스시에는 하케이스 조립체(4)를 후부 방향으로 강하게 눌러서 로크하고 있는 돌기(48A)와 구멍부(48B)를 이탈시키고, 하케이스 조립체(4)를 상케이스 조립체(3)의 바로 아래로 이동시킨다. 이 상태에서, 조리기 본체(2)를 들어올리면, 싱크대(90)의 수납 구멍부(93)로부터 용이하 게 조리기 본체(2)를 취출할 수 있다. 이로써, 조리기 본체(2)의 수리나, 메인티넌스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3, 도 4에서는 서랍(34)의 손잡이(36A)를 하케이스 조립체(4)로부터 전방으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도시하고 있지만, 서랍(34)은 조리기 본체(2)가 싱크대(90)에 조립된 후 가열실(32)에 삽입되기 때문에, 손잡이(36A)가 하케이스 조립체(4)보다 전방으로 돌출하고 있어도 전혀 문제는 없다.
제 2의 실시예.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조립식 가열 조리기(1)는 전술한 실시예와 거의 같은 구성을 갖고 있다. 이하, 다른 부분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와 같은 부분에는 이것과 같은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의 조립식 가열 조리기(1)의 고정 부재(49)를 도시하고 있다. 조리기 본체(2)는 연결구(42)에 의해 하케이스 조립체(4)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고정 부재(49)를 마련하고 있다. 고정 부재(49)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케이스 조립체(3)에 부착되고, 상하이동 자유로운 고정판(50)과, 이 고정판(50)을 동작시키는 손잡이(54)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판(50)은, 금속판 또는 합성 수지판으로 구성되고, 상케이스 조립체(3)의 하부 부근에 마련되어 있다. 손잡이(54)는 상케이스 조립체(3)의 앞면측에 위치하여 고정판(50)에 부착되어 있다. 고정판(50)에는 상케이스(3A)에 마련된 이동 구멍(51)을 관통하여 절곡되고, 하방에 연장하는 가동편(52A)이 마련되어 있다. 가동편(52A)의 하단은 상케이스(3A) 바닥면에 형성된 관통 구멍(52)을 관통하여 소정 치수 하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그리고, 상케이스(3A) 하면의 관통 구멍(52)을 관통하여 하방으로 소정 치수 돌출하고 있는 가동편(52A)의 하단은, 손잡이(54)를 상방으로 동작시켜서 고정판(50)을 상승시킴에 의해 상승하여 상케이스(3A)의 하면과 대략 같은 면으로 된다. 또한, 손잡이(54)를 떼면 고정판(50)은 자중으로 낙하하고, 가동편(52A) 하단은 하케이스(4A)에 마련된 관통 구멍(52)보다 소정 치수 하방으로 돌출한다.
또한, 하케이스(4A)의 상면에는 하방으로 오목한 고정 구멍(56)이 마련되어 있고, 이 고정 구멍(56)은 고정판(50)의 가동편(52A) 하단을 삽입 가능한 크기를 나타내고 있다. 해당 고정 구멍(56)은 상케이스 조립체(3)가 싱크대(90)의 상면 개구 구멍(94)에 끼워 넣어지고, 하케이스 조립체(4)를 전방으로 인출하여, 가열 조리기(1)가 싱크대(90)의 수납 구멍부(93)에 조립된 상태에서, 고정판(50)의 가동편(52A) 하단을 삽입할 수 있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하케이스(4A)의 상면을 하방으로 오목하게 함에 의해 고정 구멍(56)을 형성하였지만, 고정 구멍(56)은 하케이스(4A)의 상면을 오목하게 하지 않고, 고정판(50)의 가동편(52A) 하단을 삽입할 수 있다면 관통 구멍이라도 무방하다.
즉, 고정 부재(49)는 하케이스 조립체(4)를 싱크대(90)의 앞면 개구 구멍(96)을 향하여 인출하고, 하케이스 조립체(4)를 앞부분 방향 소정 위치까지 이동하여 싱크대(90)의 수납 구멍부(93)에 조립한 상태에서, 상케이스 조립체(3)와 하케이스 조립체(4)가 전후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하지 않고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손잡이(54)는 상케이스 조립체(3)가 싱크대(90)의 상면 개구 구멍(94)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도, 싱크대(90)의 앞면측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 다.
이러한, 가열 조리기(1)의 수리나 메인티넌스시는 손잡이(54)를 위로 올리면 고정판(50)(가동편(52A))을 고정 구멍(56)으로부터 빼낼 수 있다. 그리고, 하케이스 조립체(4)를 상케이스 조립체(3)의 바로 아래로 이동하고, 싱크대(90)의 수납 구멍부(93)으로부터 조리기 본체(2)를 들어올려서 취출하면, 수리나, 메인티넌스를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싱크대(90)의 수납 구멍부(93)에 수납한 하케이스 조립체(4)를, 수납 구멍부(93)의 앞면 개구 구멍(96)측으로 이동하는 것만으로, 고정판(50)의 가동편(52A)을 고정 구멍(56)에 삽입할 수 있다. 이로써, 상케이스 조립체(3)와 하케이스 조립체(4)가 고정되고,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여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가열실(32) 내로 삽입한 서랍(34) 또는 앞면 조작부(19)의 조작 버튼의 조작시 등에, 하케이스 조립체(4)가 앞면 개구 구멍(96)의 후부측으로 이동하여 버리는 등의 부적합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열 조리기(1)의 서비스나 메인티넌스시 등에, 싱크대(90)로부터 조리기 본체(2)를 빼낼 때, 손잡이(54)를 조작하여 고정판(50)을 들어올리면, 가동편(52A)을 고정 구멍(56)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그리고, 하케이스 조립체(4)를 싱크대(90)의 후부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테두리체(16)를 손으로 쥐고 상케이스 조립체(3)를 들어올리면, 싱크대(90)로부터 조리기 본체(2)를 간단하게 빼낼 수 있다. 이로써, 가열 조리기(1)의 서비스나 메인티넌스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배기구(10)를 천판체(12)에 마련하였지만, 배기구(10)는 천판체(12)로 한정되지 않고, 상케이스 조립체(3)에 마련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배기구(10)를 상케이스 조립체(3) 및 하케이스 조립체(4)의 쌍방에 각각 마련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상케이스 조립체(3) 또는 하케이스 조립체(4)에 마련한 배기구에 연통하는 배기 상풍로체(24) 및 배기 하풍로체(28)에 각각 송풍기를 마련하면 좋다.
본 발명의 조립식 가열 조리기에 의하면, 하케이스 조립체를 후퇴시킨 상태에서, 해당 하케이스 조립체는 싱크대의 상면 개구 구멍 내에 위치하는 상케이스 조립체 하방의 투영 영역 내에 위치시키고 있다. 이로써, 조리기 본체를 상면 개구 구멍으로부터 늘어뜨리면 싱크대의 수납 구멍부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상면 개구 구멍 내에 수납한 조리기 본체의 하케이스 조립체를 전방으로 이동하면, 하케이스 조립체의 앞면측을 싱크대의 앞면 개구 구멍에 끼워 넣을 수 있기 때문에, 상케이스 조립체와 하케이스 조립체를 분리하지 않고 싱크대에 조리기 본체를 조립할 수 있다. 이로써, 싱크대의 수납 구멍부에 조리기 본체를 조립한 때, 상케이스 조립체와 하케이스 조립체의 배선 접속을 행할 필요도 없고 보다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조리기 본체를 비스듬하게 하여 싱크대에 조립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양 손목에 부담이 가지 않는다.

Claims (6)

  1. 싱크대에 형성된 상면 개구 구멍과 앞면 개구 구멍을 갖는 수납 구멍부에 수납하여 조립하는 조립식 가열 조리기에 있어서,
    상면에 배치되는 천판체와 후부에 배치되는 배기구와, 내부에 유도 코일이나 저항 코일 등에 의해 이루어지는 발열체를 마련한 상기 상면 개구 구멍에 삽입하는 삽입 부분을 구비하는 상케이스 조립체와,
    가열실을 가지며, 상기 상케이스 조립체 삽입 부분의 상면에서의 투영 영역과 같거나 그것보다 작은 외형으로 되는 하케이스 조립체와,
    해당 하케이스 조립체와 상기 상케이스 조립체를 가동 가능하게 연결한 연결구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상케이스 조립체와 상기 하케이스 조립체를 상기 상면 개구 구멍으로부터 상기 연결구에 의해 연결한 채로 상기 수납 구멍부에 수납하고, 상기 천판체가 상기 상면 개구 구멍을 덮고서 상기 상케이스 조립체와 상기 하케이스 조립체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하케이스 조립체를 상기 앞면 개구 구멍측으로 가동시켜서 상기 수납 구멍부에 조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열 조리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케이스 조립체에 대한 상기 하케이스 조립체의 이동을 저지하는 고정 부재를, 상기 각 케이스의 어느 한쪽 내지 양쪽에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식 가열 조리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케이스 조립체에 마련되고, 일단이 상기 배기구에 연통하는 배기 상풍로체와,
    상기 하케이스 조립체에 마련되고, 일단이 상기 가열실에 연통하는 배기 하풍로체를 구비하고,
    상기 배기 상풍로체와 상기 배기 하풍로체의 타단은, 상기 하케이스 조립체가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호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열 조리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상풍로체에는, 상기 배기구를 향하여 송풍하는 송풍기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열 조리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의 상류측의 상기 배기 상풍로체의 일부를, 상기 상케이스 조립체 내부에 연통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열 조리기.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상풍로체와 상기 배기 하풍로체의 각 타단은, 연통시에 있어서 상기 가열 조리기의 본체 내로 연통하는 연통 간극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열 조리기.
KR1020050042871A 2005-04-06 2005-05-23 조립식 가열 조리기 KR1006193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09582 2005-04-06
JP2005109582A JP4522903B2 (ja) 2005-04-06 2005-04-06 組込み式加熱調理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9376B1 true KR100619376B1 (ko) 2006-09-06

Family

ID=37078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2871A KR100619376B1 (ko) 2005-04-06 2005-05-23 조립식 가열 조리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522903B2 (ko)
KR (1) KR100619376B1 (ko)
CN (1) CN100527907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705B1 (ko) 2006-12-29 2008-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빌트 인 조리기기 및 그의 설치 장치
JP5268435B2 (ja) * 2008-06-04 2013-08-21 株式会社東芝 加熱調理器
CN102697382B (zh) * 2012-05-18 2014-11-05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嵌入式蒸炉及采用该嵌入式蒸炉的灶具
JP6229152B2 (ja) * 2013-07-31 2017-11-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組込み型加熱調理器
JP6129128B2 (ja) * 2014-08-18 2017-05-17 リンナイ株式会社 組込式加熱調理器
JP6419003B2 (ja) * 2015-03-27 2018-11-07 三菱電機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CN106196182B (zh) * 2016-08-11 2019-01-04 宁波神力燃具有限公司 整体嵌入式灶具及安装方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73502U (ko) 1980-10-24 1982-05-06
JPH0587354A (ja) * 1991-09-30 1993-04-06 Toshiba Corp 加熱調理機器の取付構造
JPH062864A (ja) * 1992-06-19 1994-01-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調理家具組込式調理器
JPH062863A (ja) * 1992-06-19 1994-01-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調理家具組込式調理器
JPH0668967A (ja) * 1992-08-18 1994-03-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組み込み式加熱調理器
JPH07248121A (ja) * 1994-03-14 1995-09-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組み込み式加熱調理器
JPH10302948A (ja) 1997-04-30 1998-11-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組み込み式加熱調理器
JP2001208357A (ja) 2000-01-31 2001-08-03 Harman Co Ltd ビルトイン式調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76398B1 (fr) * 1985-01-18 1989-03-31 Europ Equip Menager Appareil electromenager combine comportant un four et une table de cuisson
JP2544737Y2 (ja) * 1991-07-29 1997-08-20 サンウエーブ工業株式会社 グリル付き電気こんろの排気構造
JPH05251165A (ja) * 1992-03-04 1993-09-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誘導加熱調理器
CN2388742Y (zh) * 1999-08-02 2000-07-19 蔡周旋 电连接器
JP4040508B2 (ja) * 2003-03-20 2008-01-30 パロマ工業株式会社 ビルトイン式コンロ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73502U (ko) 1980-10-24 1982-05-06
JPH0587354A (ja) * 1991-09-30 1993-04-06 Toshiba Corp 加熱調理機器の取付構造
JPH062864A (ja) * 1992-06-19 1994-01-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調理家具組込式調理器
JPH062863A (ja) * 1992-06-19 1994-01-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調理家具組込式調理器
JPH0668967A (ja) * 1992-08-18 1994-03-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組み込み式加熱調理器
JPH07248121A (ja) * 1994-03-14 1995-09-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組み込み式加熱調理器
JPH10302948A (ja) 1997-04-30 1998-11-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組み込み式加熱調理器
JP2001208357A (ja) 2000-01-31 2001-08-03 Harman Co Ltd ビルトイン式調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292188A (ja) 2006-10-26
CN1849021A (zh) 2006-10-18
JP4522903B2 (ja) 2010-08-11
CN100527907C (zh) 2009-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9376B1 (ko) 조립식 가열 조리기
EP0875723B1 (en) Microwave oven
EP1793174B1 (en) Electric oven with a door assembly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an oven
KR100901890B1 (ko) 조리기기
JP4244952B2 (ja) 誘導加熱調理器
CN111520775B (zh) 加热烹调器
EP1937124B1 (en) Control cabinets for food precessing systems
JP4936833B2 (ja) グリル装置
JP6370158B2 (ja) 加熱調理器の操作装置
KR100862112B1 (ko) 조리기기
KR20050081374A (ko) 전기오븐의 록킹구조
KR100717454B1 (ko) 오븐 및 오븐의 제어 장치
JP2008005955A (ja) 加熱調理器および電磁誘導調理器
JP2003208969A (ja) 加熱調理器
JP7086791B2 (ja) 加熱調理器
AU2004282482B2 (en) Air flow passage of microwave oven
KR100437415B1 (ko) 토스터 겸용 전자레인지의 토스터도어 조립체
KR20040059674A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냉각팬 장착구조
KR100813720B1 (ko) 오븐의 제어 장치
JP2006346478A (ja) 加熱調理器
KR0127642Y1 (ko) 가스오븐렌지의 오븐트레이 걸림장치
KR20040022992A (ko) 전기압력밥솥의 공기 흡입구
JP5182155B2 (ja) 加熱調理器
KR920001341Y1 (ko) 가열 조리기
JP2003125945A (ja) 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