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8336B1 - 용지 구김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용지 구김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8336B1
KR100618336B1 KR1020050005686A KR20050005686A KR100618336B1 KR 100618336 B1 KR100618336 B1 KR 100618336B1 KR 1020050005686 A KR1020050005686 A KR 1020050005686A KR 20050005686 A KR20050005686 A KR 20050005686A KR 100618336 B1 KR100618336 B1 KR 100618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guide
roller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5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4929A (ko
Inventor
정경식
홍성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5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8336B1/ko
Publication of KR20060084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4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8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8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pring in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5/0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5/02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per Feed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Abstract

용지 구김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용지 구김 방지장치 및 화상형성장치는 복수개의 롤러를 구비한 정착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용지를 배지유닛으로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및 롤러와 맞물려 회동하도록 가이드에 설치되며, 가이드와 롤러를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들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정착된 인쇄용지를 배지유닛으로 안내 하는 가이드와 히팅롤러 사이의 간격이 근접된 상태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가이드와 히팅롤러가 서로 간섭하여 히팅롤러가 파손되거나, 정착된 용지가 히팅롤러가 감기는 랩잼 또는 아코디언잼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 용지 가이드, 용지걸림방지, 잼발생방지, 가이드부재

Description

용지 구김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PAPER JAM PREVENT APPARATUS FOR 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의 일부분을 발췌하여 나타낸 개략 단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배지부 측에서 용지 구김이 발생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용지 구김 방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히팅롤러 20; 가압롤러
30; 정착유닛 40; 제 1 용지 가이드
50; 제 2 용지 가이드 60; 아이들 롤러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지유닛에서 발생되는 용지 구김을 방지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 구김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정전잠상을 이용하여 가시화된 화상을 형성하는 것으로, 현상제가 전사된 인쇄용지에 열과 압력을 가하는 정착유닛에 의해 전사된 화상이 정착된다.
도 1은 이와 같은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는 인쇄용지에 전사된 가시화상을 히팅롤러(1)와 가압롤러(2)로 구성된 정착유닛(3)을 통과시켜 정착한다. 정착유닛(3)을 통과하면서 가시화상이 정착된 인쇄용지는 제 1 및 제 2 용지 가이드(5)(6)로 형성된 용지 이송로를 통해 배지유닛(7)으로 이송되어 화상형성장치 외부로 배출된다.
그런데, 정착유닛(3)은 고온 고압을 이용하여 가시화상을 정착한다. 따라서, 인쇄용지는 정착과정 중에 용지의 두께 또는 수분 함유량 등의 조건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랩잼(wrap-jam, A) 또는 아코디온잼(accordion-jam, B)과 같은 용지 구김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랩잼(A)은 정착유닛(3)에서 배출된 인쇄용지가 정상적인 용지 배출경로를 따라 배출되지 못하고 제 1 용지 가이드(5)와 히팅롤러(1) 사이에 형성된 갭으로 정착된 인쇄용지가 진입하여, 이 진입한 인쇄용지가 히팅롤러(1)에 감겨 발생되는 것이며, 아코디온잼(B)은 정착유닛(3)에서 배출된 인쇄용지가 제 1 용지 가이드(5)의 끝단에 걸리면서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지게 구겨지는 현상이다.
이와 같은 랩잼과 아코디온잼을 줄이기 위해서는 제 1 용지 가이드(5)와 히팅롤러(1)를 최대한 근접시켜, 정착된 인쇄용지가 이 들 사이의 갭으로 진입하지 않도록 하면된다. 그러나, 제 1 용지 가이드(5)를 히팅롤러(1)와 지나치게 근접시 킬 경우, 화상형성장치 작동 중에 제 1 용지 가이드(5)와 히팅롤러(1)가 서로 간섭하면서, 히팅롤러(1)의 표면이 긁히는 것과 같은 부품파손이 일어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정착유닛을 통과한 인쇄용지에서 발생되는 랩잼 또는 아코디언잼을 방지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구김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용지 구김 방지장치는 복수개의 롤러를 구비한 정착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용지를 배지유닛으로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및 상기 롤러와 맞물려 회동하도록 상기 가이드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와 상기 롤러를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들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는 끝단이 상기 롤러와 0.3 ~ 0.5mm 사이의 간격으로 이격된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는 제 1 용지 가이드 및 제 2 용지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용지 가이드의 끝단에 상기 아이들 롤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아이들 롤러는 내열성을 가지는 테플론(teflon) 재질로 형성된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급지유닛, 현상유닛, 복수개의 롤러를 구비 하는 정착유닛 및 배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정착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용지를 배지유닛으로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및 상기 롤러와 맞물려 회동하도록 상기 가이드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와 상기 롤러를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들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정착된 인쇄용지를 배지유닛으로 안내 하는 가이드와 히팅롤러 사이의 간격이 근접된 상태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정착된 인쇄용지가 히팅롤러가 감기는 랩잼 또는 아코디언 잼 발생과 같은 용지구김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용지 구김 방지장치는 히팅롤러(10)와 가압롤러(20)로 구성된 정착유닛(30)의 상부에 설치된 제 1 및 제 2 용지 가이드(40)(50) 및 적어도 하나의 아이들 롤러(60)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용지 가이드(40)(50)는 정착유닛(30)에서 고온고압으로 정착된 인쇄용지를 배지유닛(70)으로 가이드 한다. 즉, 가시화상이 형성된 인쇄용지는 히팅롤러(10)와 가압롤러(20)를 통과하면서 고온 고압에 의해 화상이 정착된다. 그리고, 정착이 완료된 인쇄용지는 제 1 및 제 2 용지 가이드(40)(50)에 의해 형성된 용지 이송로를 따라 배지유닛(70)을 통해 화상형성장치 외부로 배출된다.
이 때, 제 1 용지 가이드(40)는 히팅롤러(10)와 최대한 근접되게 설치되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용지 가이드(40)의 끝단과 히팅롤러(10) 사이의 갭(d)은 0.3 ~ 0.5mm의 범위 내에서 형성된다. 만일 이 갭(d)이 0.5mm 보다 크 면, 정착된 용지가 히팅롤러(10) 외주면에 감기는 랩잼(wrap-jam)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 갭(d)이 0.3mm 보다 작으면, 제 1 용지 가이드(40)의 끝단이 장치의 흔들임 또는 충격 등과 같은 외부 요인에 의해 히팅롤러(10)를 충격하여, 히팅롤러(10)의 표면을 긁어 히팅롤러(10)를 파손하는 것과 같은 장치 고장을 유발할 수 있다.
아이들 롤러(6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용지 가이드(40)와 히팅롤러(10)가 서로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 것으로, 제 1 용지 가이드(40)와 히팅롤러(10) 사이의 갭(d)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즉, 아이들 롤러(60)는 제 1 용지 가이드(40)의 끝단에 히팅롤러(10)와 맞물려 히팅롤러(10)에 종동하도록 설치되어, 제 1 용지 가이드(40)를 히팅롤러(10)에 대하여 일정 갭(d)을 유지하도록 지지한다. 그리고, 아이들 롤러(60)는 섭씨 180도 이상의 고온 상태의 히팅롤러(10)의 표면에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내열성이 우수한 재질로 구비되어야 하는데, 바람직하게는 테플론(teflon) 재질의 롤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아이들 롤러(60)는 1개가 히팅롤러(10) 전체와 맞물려 회동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도 있고, 복수개가 동일 회동축상에 일정 간격을 가지도록 설치되어 히팅롤러(10)와 맞물려 회동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용지 구김 방지장치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미도시된 현상유닛에서 가시화상이 형성된 인쇄용지는 정착유닛(30)에서 인쇄된 화상이 정착된다. 정착된 인쇄용지는 용지 자체의 수분 등에 의해 변형이 일어나면서 끝단에 컬(curl)이 발생되는데, 이 컬이 발생된 인쇄용지의 끝단은 제 1 용지 가이드(40)의 끝단에 접촉된다. 이 때, 제 1 용지 가이드(40)의 끝단은 히팅롤러(10)와 0.3 ~ 0.5mm의 작은 갭(d)을 가지고 있으므로, 컬이 발생된 인쇄용지는 이 갭(d) 안쪽으로 말려들어가지 않고, 제 1 용지 가이드(40)을 따라 이동하면서 배지유닛(70)으로 전달된다.
그리고, 아이들 롤러(60)는 히팅롤러(10)와 접촉된 상태로, 히팅롤러(10)의 회전에 종동회전하며, 제 1 용지 가이드(40)가 히팅롤러(10)에 대해 일정한 갭(d)을 가지도록 지지한다. 따라서, 제 1 용지 가이드(40)는 외부 충격이나 장치 동작중에 발생되는 진동과 같은 외부 요인이 발생되더라도 히팅롤러(10)와 간섭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동작되는 용지 구김 방지장치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로, 용지 구김 방지장치의 구성 및 동작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용지 가이드(40)가 히팅롤러(10)와 최대한 근접된 위치에 설치되므로, 제 1 용지 가이드(40)와 히팅롤러(10) 사이의 갭으로 정착된 인쇄용지가 진입하여 발생되는 랩잼이나, 제 1 용지 가이드(40)의 끝단에 정착유닛(30)에서 인쇄화상이 정착된 인쇄용지가 걸리면서 발생되는 아코디언잼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아이들 롤러(60)가 제 1 용지 가이드(40)와 히팅롤러(10) 사이의 갭(d)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때문에, 화상형성장치의 작동중에 제 1 용지 가이드(40)와 히팅롤러(10)가 서로 간섭하면서 히팅롤러(10)가 긁히는 것과 같은 장치파손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정착된 인쇄용지를 배지유닛으로 안내 하는 가이드와 히팅롤러 사이의 간격이 근접된 상태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정착된 인쇄용지가 히팅롤러가 감기는 랩잼 또는 아코디언 잼 발생과 같은 용지구김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복수개의 롤러를 구비한 정착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용지를 배지유닛으로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및
    상기 롤러와 맞물려 회동하도록 상기 가이드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와 상기 롤러를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들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 구김 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끝단이 상기 롤러와 0.3 ~ 0.5mm 사이의 간격으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 구김 방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제 1 용지 가이드 및 제 2 용지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용지 가이드의 끝단에 상기 아이들 롤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 구김 방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 롤러는,
    내열성을 가지는 테플론(teflon)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 구김 방지장치.
  5. 급지유닛, 현상유닛, 복수개의 롤러를 구비하는 정착유닛 및 배지유닛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착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용지를 배지유닛으로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및
    상기 롤러와 맞물려 회동하도록 상기 가이드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와 상기 롤러를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들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50005686A 2005-01-21 2005-01-21 용지 구김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100618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5686A KR100618336B1 (ko) 2005-01-21 2005-01-21 용지 구김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5686A KR100618336B1 (ko) 2005-01-21 2005-01-21 용지 구김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4929A KR20060084929A (ko) 2006-07-26
KR100618336B1 true KR100618336B1 (ko) 2006-09-01

Family

ID=37174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5686A KR100618336B1 (ko) 2005-01-21 2005-01-21 용지 구김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83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20617B2 (ja) * 2016-03-15 2019-12-1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搬送制御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6781A (ja) 1983-10-03 1985-05-01 Fuji Xerox Co Ltd 定着装置
JPH0749633A (ja) * 1993-06-01 1995-02-21 Oki Electric Ind Co Ltd 定着装置
JPH10333465A (ja) 1997-05-27 1998-12-1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H1195587A (ja) * 1997-09-17 1999-04-09 Oki Data Corp 電子写真プリン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6781A (ja) 1983-10-03 1985-05-01 Fuji Xerox Co Ltd 定着装置
JPH0749633A (ja) * 1993-06-01 1995-02-21 Oki Electric Ind Co Ltd 定着装置
JPH10333465A (ja) 1997-05-27 1998-12-1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H1195587A (ja) * 1997-09-17 1999-04-09 Oki Data Corp 電子写真プリン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4929A (ko) 2006-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47200A1 (en) Recording medium transporting direction switching mechanism,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561369B1 (ko) 화상형성장치
JP4677853B2 (ja)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8971731B2 (en) Recording material conve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418171B2 (ja) 印刷システム
KR100618336B1 (ko) 용지 구김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JP4908944B2 (ja) 画像形成装置
JP4637597B2 (ja) 両面印刷装置
JP4277222B2 (ja) 排出ローラ装置
JP2007310129A (ja) 画像形成装置
JP5549161B2 (ja) 画像形成装置
JP4902392B2 (ja) ガイドコロ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719638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116279B2 (ja) 画像形成装置
JP5025523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0247982A (ja) 画像形成装置
KR100544457B1 (ko) 양면인쇄기기의 페이퍼잼 방지장치
JP2007191267A (ja) 画像形成装置
KR20080080812A (ko) 배지 가이드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JP4062268B2 (ja) 画像形成装置
JP3740298B2 (ja) 画像形成装置
JP2023163652A (ja) 画像形成装置
JP2001305903A (ja) 定着装置及びこれ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KR200151935Y1 (ko) 잉크젯 프린터의 배지장치
CN115707642A (zh) 片材输送装置和图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