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7889B1 - 광선총을 이용한 사격시스템 - Google Patents

광선총을 이용한 사격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7889B1
KR100617889B1 KR1020040096781A KR20040096781A KR100617889B1 KR 100617889 B1 KR100617889 B1 KR 100617889B1 KR 1020040096781 A KR1020040096781 A KR 1020040096781A KR 20040096781 A KR20040096781 A KR 20040096781A KR 100617889 B1 KR100617889 B1 KR 100617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target
gun
ray
shoo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6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7739A (ko
Inventor
이종원
Original Assignee
이종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원 filed Critical 이종원
Priority to KR1020040096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7889B1/ko
Publication of KR20060057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7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7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7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3/00Adaptations for training; Gun simulators
    • F41A33/02Light- or radiation-emitting guns ; Light- or radiation-sensitive guns; Cartridges carrying light emitting sources, e.g. la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3/00Aiming or laying means
    • F41G3/26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 F41G3/2616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using a light emitting device
    • F41G3/2622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using a light emitting device for simulating the firing of a gun or the trajectory of a projectile
    • F41G3/2655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using a light emitting device for simulating the firing of a gun or the trajectory of a projectile in which the light beam is sent from the weapon to the targ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5/00Target indicating systems; Target-hit or score detecting systems
    • F41J5/02Photo-electric hit-detect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5/00Target indicating systems; Target-hit or score detecting systems
    • F41J5/18Targets having hit-indicating means actuated or moved mechanically when the target has been hit, e.g. discs or fl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저 또는 직진성이 우수한 가시광 또는 눈에 보이지 않은 파장의 짧은 펄스광을 발생하는 광선총으로 표적에 광선을 발사하고, 발사된 광선을 표적에 설치된 광센서로 검출하며, 광선이 검출된 지점들로부터 광선의 중심에 인접한 발광소자에서 광선이 맞은 위치를 표적 상에 표시하여 주는 광선총을 이용한 사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일반 사격 연습장이나 기타 사격과 관련된 시설물에 설치되어 실제 총알의 발사 없이 빛을 이용한 광선총으로 연습사격 또는 사격게임 등을 위한 것으로, 레이저 또는 직진성이 우수한 가시광 또는 눈에 보이지 않은 파장(적외선 또는 자외선)을 가진 짧은 펄스광을 발사하는 광선총과, 광선총으로부터 발사된 광선이 도달하는 표적을 구비하고, 표적에는 광선총에 의하여 발사된 광선을 검출하는 광센서가 일정한 간격과 형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설치된 광센서에서 검출된 광에 기초하여 상기 광선총에서 발사된 광선이 도달한(맞은)위치를 표시하여 주는 발광소자(LED 등)를 구비함으로써 광선총을 이용하여 사격 연습, 사격연습장 또는 게임사격장 등을 설계 제작할 수 있어 소음을 줄이고, 총알 구매에 따른 비용절감 등을 이루는데 그 특징이 있다.
광선총, 광센서와 발광소자가 부착된 표적, 펄스광

Description

광선총을 이용한 사격시스템{A gunshot system using a ray gun}
도1 ; 광선의 크기와 표적에 정삼각형으로 배열된 광센서와의 크기비교도.
도2 ; 한 개의 광센서가 빛을 감지하는 경우, 두개의 광센서가 빛을 감지하는 경우 및 세 개의 광센서가 빛을 감지하는 경우를 구별하여 표시하는 구성도.
도3 ; 본 발명에 따른 표적을 3개의 광센서로 정삼각형으로 구성한 도면.
도4 ; 본 발명에 따른 표적을 7개의 광센서를 사용하여 정삼각형 6개를 붙여 정6각형으로 구성한 도면.
도5 ; 본 발명에 따른 표적을 19개의 광센서로 광선총에서 발사된 광선을 73개 영역으로 표적을 나누어 구성한 도면.
도6 ; 광센서의 위치를 정사각형으로 구성하여 표적을 구성한 도면.
도7 ; 도 4와 같이 구성한 광센서로부터 검출된 광선을 표적에 나타내어 주기 위한 발광소자의 위치를 표시한 도면.
도8 ; 도 4와 같이 구성한 광센서로부터 검출된 광선을 표적에 나타내어 주기 위한 발광소자의 위치를 외곽으로 배치한 도면.
도9 ; 도 5와 같이 구성한 광센서로부터 검출된 광선을 표적에 나타내어 주기 위한 발광소자를 표시한 도면.
도10 ; 본 발명에 따라 19개의 광센서를 표적에 부착 설치하고 표적에 점수 별 영역을 부여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
도11 ;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실제 광원의 직경과 광센서간의 간격에 따른 각각의 점수별 영역의 범위를 예시한 도면.
도12 ; 본 발명에 따라 설계 제작된 광선총을 이용한 실내사격장 시스템 및 배치도(하나의 실시 예).
도13 ; 본 발명에 따라 설계 제작된 광선총을 이용한 개략적인 구성도(하나의 구체적인 예).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1 ; 표적에 도달한 광선의 크기 2 ; 광원의 중심
3 ; 광센서의 위치
본 발명은 레이저 또는 직진성이 우수한 가시광 또는 눈에 보이지 않은 파장(적외선 또는 자외선)을 가진 짧은 펄스광을 발사하는 광선총과, 광선총에 의하여 발사된 광선을 검출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과 형태로 설치된 광센서와, 설치된 광센서에서 검출된 광에 기초하여 상기 광선총에서 발사된 광선이 도달한 위치를 표시하여 주는 발광소자(LED, 소형램프 등)를 구비한 광선총을 이용한 사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공개특허 특1992-0016813에서 레이저를 이용한 자동사격 조준장치와 대한민국공개특허번호 특2000-0068017에서 관측 및 조준시스템에서 광선을 이용한 관측 및 조준시스템을 구현하고 있으나, 이들은 사격전에 조준이 정확하게 이루어졌는지를 알 수 있는 조준 장치 및 시스템으로 실제적으로 광선총과 표적을 구비하고 사격 연습이나 사격 게임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한 것이 아니므로 소음을 줄이거나 총알 낭비를 막을 수 있는 장치나 시스템과는 무관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연습장에 설치된 종이 재질로 이루어진 표적에 직접 사격을 하고 총알이 표적에 정확하게 맞았는지를 만원경이나 카메라를 통하여 모니터 상에서 확인하는 수단은 있었으나, 표적에 광센서와 발광 소자를 설치하여 광선총의 발사와 동시에 총알(광선)이 맞은 위치를 정확하게 표시하여 주는 수단이 없어서 광선총을 이용한 사격연습장이나 광선총을 이용하여 사격과 관련된 게임을 이용자들이 흥미를 가지고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에는 광선총으로 표적을 향하여 광선을 발사하였다 하더라도 표적에 광선총이 맞은 위치를 정확하게 검출하여 정확하게 표시하여 주는 수단이 없어서 사수가 매번 총알(광선)을 발사할 때의 자세의 잘못이나 흔들림의 방향 등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맞은 위치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알 수 없으므로 흥미롭게 게임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안출 된 것으로, 실제 총알의 발사 없이 짧은 펄스 광선을 발생하는 광선총으로 실제의 사격 연습, 사격 연습장 및 게임 사격장 등을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 레이저 또는 직진성이 우수한 가시광 또는 눈에 보이지 않은 파장(적외선 또는 자외선)을 가진 짧은 펄스광을 발사하는 광선총과, 광선총으로부터 발사된 짧은 광선이 도달하는 표적을 구비하고, 표적에는 광선총에 의하여 발사된 광선을 검출하는 광센서가 일정한 간격과 형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설치된 광센서에서 검출된 광에 기초하여 상기 광선총에서 발사된 광선이 표적에 도달한(맞은) 위치를 정확하게 표시하여 주는 발광소자(LED 등)를 구비한 광선총에서 발사된 펄스광을 감지하여 표시하는 표적을 구비한 광선총을 이용한 사격시스템를 구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광선총에서 발사된 광선이 표적에 형성되는 광선의 크기와 광센서가 형성하는 공간(정삼각형 또는 정사각형)을 일정 크기(수치)로 제한하여 필요한 위치에 발광 소자를 설치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광선이 도달한 위치를 표시하여 줌으로써 사수들이 사선에서 총알(광선)을 발사할 때 발생하는 자세의 잘못이나 흔들림의 방향 등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자세를 교정하는데 사용할 수 있고, 사격에 흥미를 가진 사격장 이용자들이 보다 즐겁게 이용할 수 있게 하는데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광선총을 발사할 때마다 실제 총소리와 동일한 음을 발생시켜 실제 상황과 동일하게 하여 연습할 수 있게 구성되어 흥미를 배가시킬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소음의 발생을 줄이기 위하여 총성을 없앨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표적에 설치된 광센서와 발광 소자의 위치에 따라 점수를 부여하여 이를 사수가 위치한 장소 옆 또는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위치 에 모니터(표시패널)를 설치하여 실시간으로 본인 및 상대편의 점수를 나타내어 줌으로써 사격연습을 위한 자나 게임을 위한 자들에게 흥미를 배가시켜 주는데 있고, 실제로 총알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경제적인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사격장 설비 시에 소음 방지 등의 부가시설이 필요하지 않아서 경제적인 손실을 줄이는데 있고, 또한 표적을 모터나 로봇을 이용하여 움직이도록 구성하여 보다 흥미를 더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정 크기를 가진 펄스 광선을 총알로 사용하고, 광선이 도달하는 표적에 설치된 광센서와 발광 소자를 일정간격으로 효율적으로 배치하여 표적을 구현하므로 광센서 및 발광소자로 구성되는 표적의 설계 제작에 따른 비용을 크게 절감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레이저 또는 직진성이 우수한 가시광 또는 눈에 보이지 않은 파장(적외선 또는 자외선)을 가진 짧은 펄스광을 발사하는 광선총과, 광선총에 의하여 발사된 광선을 검출하는 광센서가 일정한 간격과 형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설치된 광센서에서 검출된 광에 기초하여 상기 광선총에서 발사된 광선이 도달한(맞은) 위치를 표시하여 주는 발광소자(LED, 소형램프 등)를 구비한 펄스광을 감지하여 표시하는 표적을 구비한 광선총을 이용한 사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공개특허 특1992-0016813에서 레이저를 이용한 자동사격 조준장치와 대한민국공개특허 특2000-0068017에서 관측 및 조준시스템에서 광선을 이용한 관측 및 조준시스템을 구현하고 있으나, 이들은 사격전에 조준이 정확하게 이루어졌는지를 알 수 있는 조준 장치 및 시스템을 구현한 것이 대부분이고, 또한 종래에는 연습장에 설치된 종이 재질로 이루어진 표적에 직접 사격을 하고 총알이 표적에 정확하게 맞았는지를 망원경이나 카메라를 통하여 모니터 상에서 확인하는 수단은 있었으나, 표적(목표물, 타켓)에 광센서와 발광 소자를 설치하여 광선총의 발사와 동시에 광선이 맞은 위치를 정확하게 표시하여 주는 수단이 없어서 광선총을 이용한 사격연습장의 설치나 광선총을 이용하여 사격과 관련된 게임을 원하는 자들에게 흥미를 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에는 광선총으로 표적을 향하여 광선을 발사하였다 하더라도 표적에 광선총이 맞은 위치를 정확하게 검출하여 정확하게 표시하여 주는 수단이 없어서 사수가 매번 총알(광선)을 발사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자세의 잘못이나 흔들림의 방향 등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맞은 위치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알 수 없으므로 흥미로운 게임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안출된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광선총은 레이저 또는 직진성이 우수한 가시광 또는 눈에 보이지 않은 파장(적외선 또는 자외선)을 가진 짧은 펄스광을 일반 총과 동일하게 방아쇠를 이용하여 격발하고 격발에 의하여 표적으로 발사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광선총으로부터 발사된 짧은 광선이 도달하는 표적에는 광선총에 의하여 발사된 광선을 검출하는 광센서들이 일정한 간격과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광센서는 광선총에서 발사되는 광선의 파장을 고려하여 광선총의 파장에 비교적 감응이 우수한 것을 선택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설치된 광센서들에 의하여 검출된 광에 기초하여 광선총에서 발사된 광선이 표적에 도달한(맞은) 위치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표시하여 주는 발광소자(LED, 소형램프 등)를 정해진 방식에 의하여 설치 고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적에 부착되는 광센서의 배열의 구조는 크게 두 가지로 설계 제작된다. 그 하나는광센서의 배열을 정삼각형 (혹은 그에 준하는 삼각형) 구조로 하는 방법과 다른 하나는 정사각형 (혹은 그에 준하는 사각형) 구조로 형성하는 방법으로 설치하는 것이다. 광센서가 배치되는 삼각형의 크기와 광선의 크기와의 관계에 관하여 살펴보면, 광선의 크기는 광선총에 의하여 발사된 광선이 광센서가 배열된 표적에 닿았을 때 발생하는 광원의 크기이며, 이 원의 크기는 도1에서와 같이 광센서가 표적에 배열된 정삼각형보다 크고, 두개의 정삼각형을 한 변에 붙여놓은 마름모형의 꼭지 점을 모두 포함하지는 못하는 정도로 설계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선의 크기(1)와 광센서의 위치(3)에 기초하여 표적을 설계 제작하는 구성수단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2에서는 한 개의 광센서가 빛을 감지하는 경우와 두개의 광센서가 빛을 감지하는 경우 및 3개의 광센서가 빛을 감지하는 경우를 구별하여 표시하는 구성에 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2에서 좌측의 도면은 하나의 광센서가 광선총에서 발사된 광선을 검출한 경우이고, 중간도면은 두개의 광센서가 광선총에서 발사된 광선을 검출한 경우이며, 맨 우측 도면은 3개의 광센서가 빛을 감지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표적을 3개의 센서로 정삼각형의 형성하여 구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3개의 광센서에 의하여 구분될 수 있는 영역은 모두 7개가 발생하며, 발생한 7개의 영역 모두 또는 이중 몇 개를 합하여 발광소자들을 배치하여 광선총에 의하여 발사된 광선이 도달한 위치를 나타낼 수 있는 표적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표적의 중앙부분에는 광선총이 맞은 위치를 나타내는 발광 소자(LED)를 서로 구별되게 다양한 색깔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4는 7개의 광센서를 사용하여 정삼각형 6개를 붙여 정6각형으로 표적을 구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4에 설치된 7개의 광센서를 사용할 경우에 25개의 서로 달리 구분될 수 있는 영역이 나타나게 되고 각각의 영역에 발광소자를 설치하여 표시하여 주거나 이중 몇 개씩을 합하여 표적을 구성할 수도 있다. 도 5는 19개의 광센서로 광선총에서 발사된 광선을 73개 영역으로 표적을 나눌 수 있음을 나타내고, 각각의 영역에 발광소자를 부착설치하거나 또는 이중 몇 개씩을 합하여 표적을 구성할 수도 있는 것에 관하여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본 발명에 따른 표적물은 삼각형, 육각형 또는 또 다른 형태로 계속 확대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선총 사격장은 사선과 표적의 거리에 상관없이 광선의 크기와 광센서가 형성하는 삼각형의 크기는 상기 기재한 크기 비율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광센서의 위치를 정사각형으로 구성하여 표적을 구성하는 것에 관하여 도시하고 있다. 좌측도면에서는 정사각형으로 설치된 광센서와 광선의 크기와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광원의 크기는 광센서들이 형성한 정사각형을 포함하며 5개의 광센서를 포함하지는 않는다. 중앙에 위치한 도면은 9개의 광센서를 사용하여 정사각형으로 설치 부착하여 표적을 구성하고, 광선총에 의하여 발사된 광선이 표적에 도달하였을 경우에 형성될 수 있는 영역을 도시한 것이다. 맨 우측 도면은 25개의 광센서를 사용하여 정사각형으로 센서를 설치 부착하여 표적을 구성하고, 광선총에 의하여 발사된 광선이 표적에 도달하였을 경우에 형성될 수 있는 영역을 도시한 것이다. 형성된 영역에는 광선이 표적에 도달한 위치를 알려주는 발광 소자를 각각의 영역에 부착설치하거나 또는 이중 몇 개씩을 합하여 표적을 구성할 수 있다. 표적의 크기는 광센서와 발광소자의 개수를 계속 확대 배열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7은 도 4와 같이 구성한 광센서로부터 검출된 광선을 표적에 나타내어 주기 위한 발광소자들의 위치를 표시한 것이고 도8은 도 4와 같이 구성한 광센서로부터 검출된 광선을 표적에 나타내어 주기 위한 발광소자의 위치를 외곽으로 배치하여 도시한 것이며, 도면에서 붉은색은 한 개의 광센서에서 광선을 검출한 경우를 나타내고, 녹색은 2개의 광센서에서 광선을 감지한 경우를 나타내며, 파랑색은 3개의 광센서에서 광선을 검출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9는 도 5에서와 같이 구성한 광센서로부터 검출된 광선을 표적에 나타내어 주기 위한 발광소자들의 위치를 표시한 것이며, 상기 도7과 도8에서와 동일하게 붉은색은 한 개의 광센서에서 광선을 검출한 경우이고, 녹색은 2개의 광센서에서 광선을 감지한 경우이며, 파랑색은 3개의 광센서에서 광선을 검출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10은 19개의 광센서를 표적에 부착 설치하고 상기 도5와 도9에서 도시한 광선 광센서 및 발광소자들을 이용하여 사수가 광선총으로 표적에 광선을 발사하였을 때 광선이 도달한 위치에 따라서 점수를 부여하는 방법으로 파랑색 범위 내에 위치한 발광소장에서 불이 들어오면 명중된 것으로 간주하여 가장 높은 점수를 부여하고, 다음으로 붉은색 둥근 원내에 위치한 발광소자에서 불이 들어오면 그 다음 단계의 점수를 부여하며, 그 다음 단계는 녹색 점선이고, 그 다음 단계는 붉은색 점선으로 이루어진 영역 순서로 점수를 부여하여 사격 연습자들 또는 게임을 원하는 자들에게 흥미를 배가시킬 수 있다. 도10에서 검은 실선 부분은 광센서 7개로 표적을 구성할 때 나타낼 수 있는 최대 영역을 나타내고, 검은 점선부분은 광센서 19개로 구성할 수 있는 표적의 최대 영역을 나타내고 있다.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로 본 발명에 따라 설계 제작된 표적에서, 설치된 정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광센서간의 간격)가 3.2 ㎝이고, 표적에 도달한 광선의 직경이 5.0㎝일 경우에 도11에서 명중영역의 직경은 1.7㎝정도이고, 정육각형과 유사한 형태를 가진다. 두 번째 단계의 점수 영역은 5.0㎝이며, 세 번째 단계의 점수 영역은 10㎝정도가 된다. 이들 영역을 형성하는 표적의 직경 비율은 1:3:6정도이다. 정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광센서간의 간격)가 3.2 ㎝이고, 표적에 도달한 광선의 직경이 5.5㎝일 경우에는 도11에서 명중영역의 직경은 1.4㎝이고, 두 번째 단계의 점수 영역은 5.5㎝이며, 세 번째 단계의 점수 영역은 11㎝정도이다. 이 경우에는 이들 영역을 형성하는 표적의 직경 비율은 1:4:8정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다양한 크기와 형태를 가진 표적에 형성한 광센서와 발광소자들의 배열에 기초하여 움직이는 표적을 구성할 수 있으며, 움직이는 표적은 모터, 모터와 밸트 또는 로봇 등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움직이는 표적들은 이용자들에게 더욱 흥미를 더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센서와 발광소자들은 소정의 전자회로, 마이크로프로세스 및 표시패널들이 연동하여 표적에 도달한 광선을 검출한 광센서의 개수와 위치에 따라 해당하는 발광소자를 온하고, 온상태의 발광소자가 위치한 영역에 따라 해당하는 점수를 표시패널에 표시함과 동시에 표적의 전체적인 상태를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 있다. 표시패널은 사수가 위치한 곳이나 표적이 위치한 표적의 상단부 또는 게임을 흥미롭게 하기 위하여 그룹 단위로 즐길 수 있게 기타 필요한 장소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 상에는 사격 연습장에 설치된 여러 개의 표적에 부착 설치된 광센서 및 발광소자와 연동하는 전자회로, 전원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하여 각각의 표적에 설치된 각각의 광센서 및 발광소자의 현재의 상태 및 고장 여부 점검, 사수의 점수 관리, 상호 점수 비교, 광선이 맞은 표적에 위치한 발광소자의 발광, 여러 개의 표적들을 동시에 관리하는 기능 등을 구비하고 표적을 실시간으로 점검함과 동시에 사용자와 관리자가 원하는 기능을 모니터 상에 나타내어 준다. 본 발명에 따른 사격연습장의 중앙 전자 제어부는 광센서, 발광소자, 신호증폭기, A/D 변환기, 메모리,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각각의 사수 및 표적을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들이 서로 연동하여 상기의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수단들은 소정의 상용의 하드웨어를 구비하고 광선을 이용한 연습 사격장에 맞도록 프로그램(소프트웨어)을 설계 제작함으로써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설치된 모니터 상에는 상기 중앙 전자제어부에서 광센서, 발광소자, 신호증폭기, A/D 변환기, 메모리,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각각의 사수 및 표적을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서로 연동하여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여 줌으로써 사격장 관리자 또는 이용자들에게 편리하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모니터 상에는 관리자 또는 이용자들의 필요에 따라 원하는 기능 및 모드를 입력할 수 있도록 터치스크린,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선총 사격시스템는 필요에 따라 관리자 모니터와 사용자 모니터를 분리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고정된 표적 또는 움직이는 표적에 설치된 광센서와 발광소자들은 상용의 무선통신장치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상기 중앙 전자제어부와 신호를 주고받으면서 제어하는 수단도 구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12와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선총을 보다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단발, 10발, 15발 또는 20발 등 사수들이 요금과 게임 방법에 따라 원하는 광선 발사의 수를 입력할 수 있고, 단발, 또는 자동 동작 모도로 전환하여 발사할 수 있으며, 영점을 잡기 위한 서비스 사격 기능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중앙 전자제어부와 연동하는 동전 투입구, 사용 중을 표시하는 표시램프, 게임을 위한 1인 모드, 1인 이상 사용할 수 있는 모드를 선택하는 수단, 새로운 시작을 위한 리세트 수단 및 처음 시작을 위한 시작수단(버튼 또는 스크린 상에서 온)을 구비하고 있다. 옆 사로에서 사격한 광선은 광선의 형태 및 크기를 인식하거나 광선에 포함되는 센서를 고려하여 점수에 반영되지 않도록 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표적에 부착된 발광소자의 점등 시간은 1내지 1.5 초 정도 또는 필요에 따라 제어가능하며, 매회 또는 합산점수를 표시할 수 있다. 도12는 본 발명에 따라 설계 제작된 광선총을 이용한 실내사격장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한 하나의 예로 다양한 형태와 구성으로 설계할 수 있다. 도13은 본 발명에 따라 설계 제작된 광선총, 표적 및 중앙 전자제어부들이 가지는 구성수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광선총에서 발사된 광선이 표적에 형성되는 광선의 크기와 광센서가 형성하는 공간(정삼각형 또는 정사각형)을 일정 크기(수치)로 제한하여 필요한 위치에 발광 소자를 설치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광선이 도달한 위치를 표시하여 줌으로써 사수들이 사선에서 총알(광선)을 발사할 때의 자세 잘못이나 흔들림의 방 향 등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자세를 교정하는데 사용할 수 있고 사격장 이용자들이 흥미를 가지고 즐겁게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작용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작용효과는 표적에 설치된 광센서와 발광 소자의 위치에 따라 점수를 부여하여 이를 사수가 위치한 장소 옆 또는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 모니터(표시패널) 상에 나타내어 줌으로써 사격연습을 위한 자나 사격 게임을 위한 자들에게 흥미를 배가시켜 주는데 있고, 실제로 총알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경제적인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사격장 설비 시에 소음 방지를 위한 부가시설이 필요하지 않아서 경제적인 손실을 줄이는데 있다.

Claims (12)

  1. 광선총에서 발사된 펄스 형태의 광선을 감지하는 광센서와 광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광을 표시하는 발광소자를 구비한 광선총을 이용한 사격시스템에 있어서,
    표적에 부착 설치되며, 상기 광선총에서 발사된 광선이 표적에 닿았을 때의 광선의 직경 크기를 고려하여 정삼각형 또는 정사각형으로 구성하되, 정삼각형으로 구성할 경우에는 표적에 닿은 광선의 직경이 두개의 삼각형이 이루는 마름모의 한 꼭지점이 포함되지 않도록 구성하고, 정사각형으로 구성할 경우에는 표적에 닿은 광선의 직경이 정사각형으로 구성된 네 개의 광센서를 포함하나 5개의 광센서가 포함되지 않도록 구성된 광센서와,
    상기 광센서에서 검출된 신호에 기초하여 광선의 크기와 광센서의 간격을 고려하여 광선총에서 발사된 광선이 맞은 위치를 표적 상에 표시하여 주는 발광소자와,
    상기 광선총, 광센서 및 발광소자들이 서로 연동하도록 제어하는 중앙 전자 제어부를 구비한 광선총을 이용한 사격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정삼각형으로 형성된 표적 상에는 광선총에서 발사된 광선이 맞은 위치를 표적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직경의 크기를 달리하여 서로 다른 점수대를 형성하도록 광센서를 부착 설치한 표적을 구비한 광선총을 이용한 사격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전자 제어부는 표시패널와, 광센서와, 발광소자와, 메모리와,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사수 및 표적을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들이 서로 연동하여 사격 연습장 관리자와 이용자들에게 광센서 및 발광소자의 이상유무 및 사수들의 점수를 표시하는 수단을 구비한 광선총을 이용한 사격시스템.
  8.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표적에 부착된 광센서와 발광소자는 상기 중앙 전자제어부와의 통신이 무선으로 이루어지는 수단을 더 구비한 광선총을 이용한 사격시스템.
  9. 광선총에서 발사된 펄스의 광선을 감지하는 광센서와 광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광을 표시하는 발광소자가 부착된 움직이는 표적을 구비한 광선총을 이용한 사격시스템에 있어서,
    움직이는 표적은 모터, 모터와 밸트를 연동시킨 구성 및 로봇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구성되고,
    상기 움직이는 표적에 부착 설치되며, 상기 광선총에서 발사된 광선이 표적에 닿았을 때의 광선의 직경 크기를 고려하여 정삼각형 또는 정사각형으로 구성하되, 정삼각형으로 구성할 경우에는 표적에 닿은 광선의 직경이 두개의 삼각형이 이루는 마름모의 한 꼭지점이 포함되지 않도록 구성하고, 정사각형으로 구성할 경우에는 표적에 닿은 광선의 직경이 정사각형으로 구성된 네 개의 광센서를 포함하나 5개의 광센서가 포함되지 않도록 구성된 광센서와,
    상기 광센서에서 검출된 신호에 기초하여 광선의 크기와 광센서의 간격을 고려하여 광선총에서 발사된 광선이 맞은 위치를 표적 상에 표시하여 주는 발광소자와,
    상기 광선총, 광센서 및 발광소자들이 서로 연동하도록 제어하는 중앙 전자 제어부를 구비한 광선총을 이용한 사격시스템.
  10. 삭제
  11. 청구항9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전자 제어부는 표시패널와, 광센서와, 발광소자와, 메모리와,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사수 및 표적을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들이 서로 연동하여 사격 연습장 관리자와 이용자들에게 광센서 및 발광소자의 이상유무 및 사수들의 점수를 표시하는 수단을 구비한 광선총을 이용한 사격시스템.
  12. 삭제
KR1020040096781A 2004-11-24 2004-11-24 광선총을 이용한 사격시스템 KR100617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6781A KR100617889B1 (ko) 2004-11-24 2004-11-24 광선총을 이용한 사격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6781A KR100617889B1 (ko) 2004-11-24 2004-11-24 광선총을 이용한 사격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7739A KR20060057739A (ko) 2006-05-29
KR100617889B1 true KR100617889B1 (ko) 2006-09-08

Family

ID=37153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6781A KR100617889B1 (ko) 2004-11-24 2004-11-24 광선총을 이용한 사격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78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6737B1 (ko) * 2012-02-07 2014-11-28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전차사격 표적틀용 프레임 유닛
KR101421437B1 (ko) * 2012-06-26 2014-07-23 김정헌 모의 사격용 타겟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7880A (ko) * 2000-07-19 2002-01-29 박원우 적외선을 이용한 가상 사격장에서의 가상 탄착점 위치를찾는 방법
KR20020034140A (ko) * 2002-04-17 2002-05-08 남석우 사격훈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격훈련 방법
KR20030074228A (ko) * 2002-03-05 2003-09-19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표적 장치에서의 득점 및 착탄 위치에 대한 표시 제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7880A (ko) * 2000-07-19 2002-01-29 박원우 적외선을 이용한 가상 사격장에서의 가상 탄착점 위치를찾는 방법
KR20030074228A (ko) * 2002-03-05 2003-09-19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표적 장치에서의 득점 및 착탄 위치에 대한 표시 제어
KR20020034140A (ko) * 2002-04-17 2002-05-08 남석우 사격훈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격훈련 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20007880
1020020034140
102003007422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7739A (ko) 2006-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51061B2 (en) Pattern testing board and system
US9915508B2 (en) Laser trainer target
US5980254A (en) Electronically controlled weapons range with return fire
US10532275B2 (en) Laser activated moving target
JP4682986B2 (ja) ダーツゲーム装置
US6293869B1 (en) Shooting game target with graphic image display device
US8356818B2 (en) Durable target apparatus and method of on-target visual display
US5566951A (en) Method and apparatus enabling archery practice
JP2008246174A (ja) 面発光装置及びその装置を用いた球技用遊戯装置
EP1342979A1 (en) Display control for score and impact position in target device
KR100617889B1 (ko) 광선총을 이용한 사격시스템
CN218129872U (zh) 足球训练靶及应用其的足球训练系统
KR20080001067A (ko) 광선총과 스크린을 이용한 사격장치
JPH05172495A (ja) 光線銃玩具
KR100626253B1 (ko) 전자 경기 시스템, 전자 경기 방법, 서버 및 컴퓨터프로그램
JP2866573B2 (ja) クレー射撃用屋外表示盤
JP2019027661A (ja) 射撃訓練システム
JP2007247939A (ja) 標的システム
US9052162B1 (en) Indoor long range shooting gallery
KR102142214B1 (ko) 빙고타겟게임시스템
KR20220049034A (ko) 멀티플레이어, 멀티스포츠 인도어 게임 시스템 및 방법
JPH1147432A (ja) 射撃ゲーム装置
KR20190081324A (ko) 드론볼을 이용한 게임 방법 및 이를 위한 운영시스템.
JP4203769B2 (ja) 着弾点の表示装置、および射撃システム
IE930366A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electronic shooting gam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