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5951B1 - 산화물 분산 강과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산화물 분산 강과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5951B1
KR100615951B1 KR1019990036407A KR19990036407A KR100615951B1 KR 100615951 B1 KR100615951 B1 KR 100615951B1 KR 1019990036407 A KR1019990036407 A KR 1019990036407A KR 19990036407 A KR19990036407 A KR 19990036407A KR 100615951 B1 KR100615951 B1 KR 100615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ide
steel
less
dispersed
grai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6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2796A (ko
Inventor
나카지마히로시
토리즈카시로우
츄자키카네아키
나가이코토부
Original Assignee
독립행정법인 물질•재료연구기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독립행정법인 물질•재료연구기구 filed Critical 독립행정법인 물질•재료연구기구
Publication of KR20000022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27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5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5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 Manufacture Of Alloys Or Alloy Compounds (AREA)

Abstract

본 출원의 발명은 산화물 분산 강과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출원의 발명은 산화물이 균일하고 미세하게 분산하고, γ립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는 산화물 분산 강과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γ역 온도로 가열된 때의 γ립의 성장을 억제함을 과제로 하고, 그 해결수단은 탄소강에서 산화물을 입자경 1㎛ 이하이고, 입자간격 6㎛ 이하로 미세하고도 균일하게 분산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출원 발명에 의해 과산화물이 균일하고도 미세하게 분산한 산화물 분산 강이 제공된다. γ역 온도에서의 가열에 의해 γ립의 성장이 억제되고, 탄소강의 고강도화를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탄소강, 산화물 분산 강

Description

산화물 분산 강과 그의 제조방법{Oxides dispersion steel and making process thereof}
도 1은 실시예 1에서 용강의 생성에 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용강의 과냉응고에 대해 개념적으로 도시한 시간-온도 그래프,
도 3은 과냉응고한 시료의 조직을 도시한 도면 대용 주사형 전자현미경사진,
도 4는 제작한 시료를 1200℃에서 가열한 때의 가열온도와 γ입경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도 5는 제작한 시료를 가열과 함께 그 도중에 압연가공한 때의 γ입경을 가열 및 가공시간의 관계로 도시한 그래프이다.
*부호의 설명*
1 : 탄망로(爐)
2 : 슬래그(Slag)
3 : 용강(溶鋼)
4 : 도가니
5 : 흑연히터
6 : 열전대
본 출원의 발명은 산화물 분산 강과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출원의 발명은 산화물이 균일하고 미세하게 분산하고, γ립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는 산화물 분산 강과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탄소강의 고강도화에는 페라이트(α)립의 미세화가 필요로 된다. 그 실현은 변태전의 오스테나이트(γ)립의 성장을 어떻게 억제하고, 가공시의 변태저항을 경감하는가가 1조건으로 되어 있다. γ역 온도에서의 γ립의 성장을 억제하는 한 방책으로써 압연가공에 의해 γ립을 미세화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렇지만, 이 경우에는 γ립을 소요입자경으로 하기에 수회의 압연가공이 필요하고, 결코 효율이 양호하다고 말하기 어렵다. 그래서, 탄소강의 조직내에 산화물을 분산시키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탄소강의 조직내에 산화물을 분산시키는 방법으로써는 소정 입경을 갖는 산화물 분말을 용강중에 직접 첨가하던가, 금속분말을 혼합하고, 와이어(Wire)상으로 하여 첨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렇지만, 이들 어느 방법에 있어서도 산화물 분말의 합체·응질이 일어나기 쉽고, 조대한 2차입자로 되므로 산화물은 조직중에 균일하고도 미세하게는 분산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발명은 이상과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된 것으로, 산화물의 균일하 고도 미세한 분산을 실현하고, γ립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는 산화물 분산 강과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출원의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써, 탄소강에 있어서, 산화물은 입자경 1㎛ 이하이고, 입자간격 6㎛ 이하에서 미세하고도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물 분산 강을 제공한다(청구항 1).
본 출원의 발명에 있어서는 산화물 분산 강은 질량%로 C를 0.8% 이하, Si를 0.5% 이하, Mn을 3.0% 이하, S를 0.02% 이하 함유하고, 게다가, Ti, Mg, Al중 어느 하나이상을 0.3% 이하 함유하는 화학조성을 가지는 것을 양호한 태양의 하나로써 하고 있다(청구항 2).
또한, 본 출원의 발명은, 상기 산화물 분산 강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용강을 그 표면을 응고핵으로 되는 물질과 접촉시키지 않고 유지·냉각하고, 과냉각상태로 된 용강에서 산화물을 정출(晶出)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물 분산 강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도 있다(청구항 3). 이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용강을 비접촉 용해·응고에 의해 냉각하고(청구항 4), 또는, 복수의 산화물로 되는 슬래그로 둘러싸는(청구항 5), 혹은 상기 슬래그내로 유입하는(청구항 6) 것에 의해 냉각하고, 과냉각상태로 하는 것을 양호한 태양으로 하고 있다.
[발명의 실시의 형태]
본 출원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에 대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과냉응고(過冷凝固)에 의해 급냉응고와 비교하여 응고속도가 개선되고, 2차 탈산생 성물, 즉 산화물의 정출장소인 덴드라이트수(樹)사이의 거리가 단축하는 것을 찾아내고, 정출산화물사이의 거리 및 입경의 제어가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과냉응고에 의한 산화물간의 거리는 아래의 시험식에 따른다. 즉,
D = (1.15×106 / (800ΔT+8000))0.5
여기서, D : 산화물간 거리(㎛), ΔT : 과냉도(K)이다.
과냉상태란 물질이 액체상태로 있으면서 융점이하의 온도로 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본 출원 발명에서는, 과냉상태는 용강표면을 예컨대, 내화재, 주형(鑄型)등의 응고핵으로 되는 물질과 접촉시키지 않고 유지·냉각함에 의해 실현되고, 구체적으로는 용강의 비접촉 용해·응고 또는 용강을 복수의 산화물로 되는 슬래그로 둘러쌓고, 혹은 그 슬래그내로 유입함에 의해 실현된다. 이때, 용강온도는 융점이하로 된다. 용강을 비접촉 용해·응고하는 경우에는, 예컨대, 1㎑ 이상의 고주파 자장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압에 의해 용강을 중력에 반하여 부유시켜 비접촉상태에 두고, 용강표면을 방사냉각과 함께 기체냉각하는 등으로 하여 냉각하는 것이 예시된다.
그리고, 과냉상태로 된 용강에서는 미세한 입자경을 갖는 산화물이 상기 식에 따른 간격으로 정출한다. 그 결과, 산화물이 조직중에 균일하고 미세하게 분산하게 된다.
본 출원의 발명에 있어서, 산화물의 균일하고 미세한 분산에 관하여 입자경 1㎛ 이하, 입자간격 6㎛ 이하로 규정하고 있지만, 이는 이하의 점에 기초한다.
입자경은 파괴란 관점에서 규정하고 있다. 즉, 입자경이 1㎛ 이하인 한 산화물이 파괴의 기점으로 될 염려는 없다. 입자간격은 입자물의 분산밀도를 실질적으로 의미하지만, 이는 가열에 의해 성장하는 γ립의 허용되는 입자경에 기하여 규정하고 있다. 즉, 입자간격 6㎛ 이하는 γ역 온도에서 성장하는 γ립의 입자경이 60㎛ 이하로 되는 체적율에 상당한다.
이러한 산화물 분산 강의 화학조성에 대해서는, 질량%로 C를 0.8% 이하, Si를 0.5% 이하, Mn을 3.0% 이하, S를 0.02% 이하, 게다가, Ti, Mg, Al중 어느 하나이상을 0.3% 이하 함유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예시된다. 이들 원소내에 Ti, Mg, Al이 산화물 생성원소이고, 또, 탄소강에 분산시키는 산화물의 생성원소로써 통상 선택되는 원소이기도 하다. 이들 원소는 배합량의 30% 정도가 산화물로 된다. 이 때문에, 질량%로 0.3% 이하의 배합량이란 산화물이 입자경 1㎛ 이하 입자간격 6㎛ 이하로 되는 때의 양에 필적한다.
더구나, 상기 수치규정에 있어서 상한만이 명시되어 있지만, 이는 0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하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입자경, 입자간격 및 질량%는 한없이 0에 접근하는 것이기는 해도 0으로 되는 것은 실제로는 없기 때문이다.
예를들어, 이상에 나타내는 본 출원의 발명에 의하여 탄소강의 조직중에 산화물을 균일하고도 미세하게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가열에 수반하여 γ립의 성장이 억제되고, γ입경을 축소시킬 수 있다. 페라이트립의 미세화에 과해지는 조건이 완화되어 예컨대, γ립을 보다 미세화하기 위해 압연가공할 때의 가공량(횟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표 1
화학조성 (질량%) C Si Mn P S Ti
0.15 0.19 1.51 0.019 0.02 0.08
표 1에 나타낸 화학조성을 가지는 강을 SiO2, Al2O3, Na2O 등의 혼합산화물 분말 또는 과립내에 매설하고, 무산화 분위기중에서 도 1에 도시한 탄망로(1)에 의해 용해하고, 액상선 온도보다도 50℃ 높은 온도로 가열하여 1차 탈산생성물이 유리상의 혼합산화물, 즉 슬래그(2)에 흡착될때까지 방치했다. 이어서, 용강(3)을 슬래그(2)에 둘러싼 채의 상태로 과냉응고시켰다. 이때의 용강의 온도는 융점의 차, 즉 도 2에 도시한 과냉도(ΔT)는 40K로 했다.
게다가, 도 1의 도면중 부호 4는 도가니, 5는 흑연히터, 6은 열전대를 나타내고 있다.
이렇게 하여, 과냉응고를 행한 주편(鑄片)은, 도 3에 그 주사형 전자현미경 사진을 나타낸 바와 같이, 정출한 산화물의 평균입자경은 1㎛이고, 평균입자간격은 5.4㎛이었다. 이 산화물이 평균입자경 및 평균입자간격은 두께 10㎝의 주편 중심부에서도 동일하였다. 산화물은 균일하고도 미세하게 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 과냉응고한 주편에서 가열에 의한 γ립의 성장에 대하여 조사했다. 즉, 주편을 1200℃에서 10000초까지 각 시간으로 유지한 후에 냉각한 때의 γ입경을 측정했다. 그 결과가 도 4에 도시한 그래프이다. 후술하는 비교예 1과의 대비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γ립의 성장이 억제되고 있는 것이 확인된다. 또한, 과냉응고한 주편을 용접 열영향부와 거의 같은 가열조건으로 되는 1400℃에서 1초간 유지후에 급냉한 경우에는 γ입경은 75㎛이고, γ립의 성장이 억제되었다.
더구나, γ립의 미세화에 유효로 되는 압연가공을 하고, 이어서 가열한 때의 γ립의 성장에 대해서도 조사했다. 즉, 1회째의 가공까지는 주편을 1200℃로 유지하고, 그 후, 4회 압연가공을 하고, 최종 가공후에는 750℃로 유지했다. 도 5에 도시한 그래프는 그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본 도 5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압연가공에 의해 γ립은 축소하지만, 과냉응고한 주편인 경우에는 1회의 압연가공에서 γ립은 입경 40㎛ 이하로 미세화한다. 후술하는 비교예 1에 비해 γ립의 미세화가 효율적으로 행해질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비교예 1)
표 1에 도시한 화학조성을 가지는 강을 슬래그에 둘러싸아 냉각하고 과냉각이 생기지 않는 상태에서 응고시켰다. 주편 표면에서 10㎜에 위치하는 정출한 산화물의 입자경은 1㎛ 보다 크고, 평균입자간격은 17㎛이었다.
이 주편에 관해서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가열에 의한 γ립의 성장을 조사했다. 즉, 주편을 1200℃에서 10000초까지 각 시간으로 유지한 후에 급냉한 때의 γ입경을 측정했다. 그 결과는 도 4에 묶어서 나타냈다. γ립의 성장은 과냉응고한 주편에 비해 크다. 이렇게, 크게 성장한 γ립을 가공 열처리에 의해 변형하고, 그 입계에서 α립을 발생시키기에 필요로 되는 가공량은 상기 실시예 1에 나타낸 과냉응고재의 대략 3배로 된다. 이는 가공을 위해 보다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고, 또, 대형의 가공장치를 필요로 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 주편을 용접 열영향부와 거의 같은 가열조건으로 되는 1400℃에서 1초간 유지후에 급냉한 경우에는 γ입경은 215㎛이나 되고, 실시예 1의 과냉응고재의 경우의 대략 3배이었다.
더구나,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압연가공을 행하고 이어서 가열한 때의 γ립의 성장에 대해서도 조사했다. 그 결과는 도 5에 그래프로 묶어서 나타냈다. 본 도 5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γ립은 크게 성장하고 실시예 1의 과냉응고재에서 얻은 40㎛ 이하로 하기에는 압연가공이 4회 필요하였다.
물론, 본 출원 발명은 이상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탄소강 및 슬래그의 화학조성, 과냉도 등의 세부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태양이 가능함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출원 발명에 의해 과산화물이 균일하고도 미세하게 분산한 산화물 분산 강이 제공된다. γ역 온도에서의 가열에 의해 γ립의 성장이 억제되고, 탄소강의 고강도화를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Claims (8)

  1. 탄소강에 있어서 직경 1㎛ 이하의 Ti, Mg 및, Al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미세 산화물 입자가 균일하게 분산되어있으되 산화물 입자 간격이 6㎛ 이하이고 상기한 Ti, Mg 및, Al 중 어느 하나 이상이 0 질량% 보다는 크고 0.3 질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하는 γ립의 성장이 억제된 산화물 분산강.
  2. 제1항에 있어서, C: 0.8 질량% 이하, Si: 0.5 질량% 이하, Mn: 3.0 질량% 이하, S: 0.02 질량% 이하로 포함하는 γ립의 성장이 억제된 산화물 분산강.
  3. 용강의 표면이 응고핵으로 되는 물질과 접촉하지 않도록 유지시키면서 용강을 냉각시키고, 과냉각상태에서의 응고 중에 용강으로부터 산화물을 정출시키는 것으로 구성되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γ립의 성장이 억제된 산화물 분산강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과냉각상태가 용강을 비접촉 상태에서 용해·응고시키는 것에 의해 달성되는 γ립의 성장이 억제된 산화물 분산강의 제조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과냉각상태가 복수의 산화물 슬래그로 용강을 둘러싸면서 달성되는 γ립의 성장이 억제된 산화물 분산강의 제조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과냉각상태가 복수의 산화물 슬래그 중에 용강을 유입시키면서 달성되는 γ립의 성장이 억제된 산화물 분산강의 제조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비접촉상태가 1 ㎑ 이상의 고주파 자기장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압(magnetic pressure)에 의해 상기한 용강을 중력에 반하여 부유시키는 것에 의해 달성되는 γ립의 성장이 억제된 산화물 분산강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한 용강 표면이 방사냉각 및 기체냉각을 통하여 강냉(强冷)되는 γ립의 성장이 억제된 산화물 분산강의 제조방법.
KR1019990036407A 1998-09-02 1999-08-30 산화물 분산 강과 그의 제조방법 KR1006159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248483 1998-09-02
JP10248483A JP2000080445A (ja) 1998-09-02 1998-09-02 酸化物分散鋼と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2796A KR20000022796A (ko) 2000-04-25
KR100615951B1 true KR100615951B1 (ko) 2006-09-18

Family

ID=17178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6407A KR100615951B1 (ko) 1998-09-02 1999-08-30 산화물 분산 강과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129791A (ko)
EP (1) EP0984072B1 (ko)
JP (1) JP2000080445A (ko)
KR (1) KR100615951B1 (ko)
CN (1) CN1099473C (ko)
DE (1) DE69905992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8613B2 (ja) * 1999-02-25 2004-06-14 独立行政法人物質・材料研究機構 溶接性に優れた鋼製厚肉材料とその製造方法
NO310980B1 (no) 2000-01-31 2001-09-24 Elkem Materials Fremgangsmate for kornforfining av stal, kornforfiningslegering for stal og fremgangsmate for fremstillingav kornforfiningslegering
US7485196B2 (en) * 2001-09-14 2009-02-03 Nucor Corporation Steel product with a high austenite grain coarsening temperature
KR100787432B1 (ko) * 2005-10-18 2007-12-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
US9999918B2 (en) 2005-10-20 2018-06-19 Nucor Corporation Thin cast strip product with microalloy addition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10071416B2 (en) * 2005-10-20 2018-09-11 Nucor Corporation High strength thin cast strip product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9149868B2 (en) * 2005-10-20 2015-10-06 Nucor Corporation Thin cast strip product with microalloy addition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8017107B2 (en) 2005-12-22 2011-09-13 Zimmer, Inc. Perfluorocyclobutane crosslinked hydrogels
US7731988B2 (en) 2007-08-03 2010-06-08 Zimmer, Inc. Multi-polymer hydrogels
DE102008053676B4 (de) * 2008-10-29 2013-03-28 Ab Skf Wasserstoffbeständiges Stahlbauteil
US20110277886A1 (en) 2010-02-20 2011-11-17 Nucor Corporation Nitriding of niobium steel and product made thereb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3828A (ja) * 1991-11-05 1993-05-21 Nkk Corp 鋼塊の鋳造方法
JPH0813024A (ja) * 1994-06-23 1996-01-16 Sumitomo Metal Ind Ltd 酸化物分散鋼の製造法
JPH093590A (ja) * 1995-06-21 1997-01-07 Nippon Steel Corp 酸化物分散強化フェライト系耐熱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81990A (en) * 1987-04-03 1989-11-21 Inland Steel Company Steel product with globular manganese sulfide inclusions
JPH0448048A (ja) * 1990-06-15 1992-02-18 Sumitomo Metal Ind Ltd 溶接熱影響部靭性の優れた鋼材及びその製法
JPH05322451A (ja) * 1992-05-28 1993-12-07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コールドクルーシブルレビテーション溶解方法
JP2978038B2 (ja) * 1993-08-16 1999-11-15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酸化物系介在物超微細分散鋼
JP3556968B2 (ja) * 1994-06-16 2004-08-25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高炭素系高寿命軸受鋼
JP3462928B2 (ja) * 1995-03-24 2003-11-05 新日本製鐵株式会社 微細酸化物を分散した鋼材
JP3408385B2 (ja) * 1996-04-17 2003-05-19 新日本製鐵株式会社 溶接熱影響部靭性の優れた鋼
JPH1068011A (ja) * 1996-08-26 1998-03-10 Sumitomo Metal Ind Ltd 酸化物分散鋼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3828A (ja) * 1991-11-05 1993-05-21 Nkk Corp 鋼塊の鋳造方法
JPH0813024A (ja) * 1994-06-23 1996-01-16 Sumitomo Metal Ind Ltd 酸化物分散鋼の製造法
JPH093590A (ja) * 1995-06-21 1997-01-07 Nippon Steel Corp 酸化物分散強化フェライト系耐熱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080445A (ja) 2000-03-21
DE69905992D1 (de) 2003-04-24
EP0984072A1 (en) 2000-03-08
EP0984072B1 (en) 2003-03-19
CN1290764A (zh) 2001-04-11
DE69905992T2 (de) 2003-11-13
US6129791A (en) 2000-10-10
KR20000022796A (ko) 2000-04-25
CN1099473C (zh) 2003-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1465B1 (ko) 강의 결정립 미세화 방법, 강의 결정립 미세화 합금 및 그 합금의 제조 방법
CN103890209B (zh) 轴承钢及其制造方法
KR100615951B1 (ko) 산화물 분산 강과 그의 제조방법
JP6078216B2 (ja) オーステナイト粒粗化温度が高い鋼材及びその製造方法
US5972129A (en) Process for smelting a titanium steel and steel obtained
US20030106395A1 (en) Agglomerates containing iron and at least one further element of groups 5 or 6 of the periodic system
US2867555A (en) Nodular cast iron and process of manufacture thereof
JP4317467B2 (ja) 鋳片、圧延鋳鉄、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533129B1 (ko) 고순도 페로보론, 철기 비정질 합금용 모합금 및 철기비정질 합금 및 그들의 제조방법
JPH04132642A (ja) 結晶化スラグの製造方法
US3189492A (en) Cast iron of high magnetic permeability
JP4171779B2 (ja) 酸化物分散鋼の製造方法
JP4796994B2 (ja) 耐アルミニウム溶湯溶損性鋳鉄の製造方法及び耐アルミニウム溶湯溶損性鋳鉄
JPS6321728B2 (ko)
CA2147614C (en) Continuous-cast and steel product having dispersed fine particles
CN115029610B (zh) 一种铁铜合金的制备方法
US5534084A (en) Continuous-cast slab and steel product having dispersed fine particles
JP2001152289A (ja) 鋼線用線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2508252A1 (d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gusseisen-schmelze fuer gusstuecke mit stark unterschiedlichen materialanhaeufungen und hoher thermischer beanspruchung, wie zylinderkoepfe fuer fahrzeugmotoren od. dgl.
US155136A (en) Improvement in the manufacture of steel by the open-hearth process
RU2196187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сплава со свободным и связанным углеродом
JPH04314844A (ja) 低温靭性に優れた鋼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4259349A (ja) 熱間鍛造時に組織が粗大化しない熱鍛非調質鋼の製造方法
JPH066747B2 (ja) 磁束密度の高く鉄損の低い一方向性珪素鋼板の製造方法
JPH04272119A (ja) 酸化物系介在物を無害化した鋼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