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5746B1 - 직렬 접속된 메모리 셀(cfram)을 갖는 강유전성판독/기록 메모리 - Google Patents

직렬 접속된 메모리 셀(cfram)을 갖는 강유전성판독/기록 메모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5746B1
KR100615746B1 KR1020017000423A KR20017000423A KR100615746B1 KR 100615746 B1 KR100615746 B1 KR 100615746B1 KR 1020017000423 A KR1020017000423 A KR 1020017000423A KR 20017000423 A KR20017000423 A KR 20017000423A KR 100615746 B1 KR100615746 B1 KR 100615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ies
ferroelectric
transistor
memory
ferroelectric capac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0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3482A (ko
Inventor
로니 슈나이더
게오르크 브라운
Original Assignee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아게 filed Critical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010053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3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5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5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2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ferroelectric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각각의 메모리 셀의 강유전성 커패시터에 직렬 접속되는 트랜지스터 또는 저항을 갖는, 직렬 접속된 강유전성 메모리 셀에 관한 것이다. 그로 인해 액세스 시간이 허용할 수 없을 정도로 증가하지 않아도, 주소 지정된 메모리 셀의 판독 또는 기록에 의해 형성되는, 직접 주소 지정이 되지 않은 메모리 셀의 강유전성 커패시터에서 간섭 펄스가 실제로 주소 지정이 되지 않은 메모리 셀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방식으로 감소된다.

Description

직렬 접속된 메모리 셀(CFRAM)을 갖는 강유전성 판독/기록 메모리{FERROELECTRIC READ/WRITE MEMORY HAVING SERIES-CONNECTED STORAGE CELLS(CFRAM)}
본 발명은 메모리 셀당 하나의 강유전성 커패시터 및 하나 이상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기록-/판독 메모리에 관한 것이다. 강유전성 메모리에는 2 개의 논리 상태를 저장하기 위해 유전체의 전기 분극의 잔류 자기 상태가 이용된다. 이 경우, 다른 셀들의 분극이 동일한 비트라인 또는 워드라인에 영향을 미치는 상이한 효과가 나타나며, 상황에 따라 상기 셀들의 저장된 정보가 손상된다. 분극화된 커패시터에 고정 전위가 인가되지 않으면, 기판에 대한 누설 전류에 따라 분극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전압이 발생한다. 즉, 커패시터가 판독되지 않거나 기록되지 않을 경우, 상기 커패시터의 양측을 모두 가능한한 동일한 전위에 고정시켜야 한다.
"1997 VLSI 회로에 관한 심포지엄"을 위한 "Digest of Technical"의 83 ~ 84 페이지에는 다수의 메모리 셀 또는 강유전성 커패시터가 직렬 접속되고 각각의 커패시터는 각각의 관련 트랜지스터에 의해 단락될 수 있는 강유전성 메모리가 공지되어 있다. 상기 강유전성 메모리에 의해 강유전성 커패시터의 두 전극이 동일한 전위에 고정되는데, 이는 상기 강유전성 커패시터가 판독되지 않거나 기록되지 않는 경우에도 일정하다. 셀이 판독되거나 기록되면, 해당 트랜지스터는 차단된다. 또한 비트라인에는 상기 비트라인에 연결될 수 없는 커패시터 플레이트에서의 전압과 확실히 차이가 있는 전압이 인가된다. 상기 두 전압의 차이에 의해 강유전성 커패시터가 포화 상태까지 충전된다. 그러는 동안에 메모리 셀로 구성된 직렬 회로 내 또는 선택된 메모리 셀 블록내의 다른 모든 트랜지스터는 도통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충전 전류 또는 방전 전류가 메모리 셀 블록의 나머지 커패시터를 단락시키는 트랜지스터에 의해 선택된 셀 커패시터를 통해 흐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스위치 온 된 트랜지스터의 온-저항에 의해 전압이 강하하고, 상기 전압은 관련 강유전성 커패시터에도 인가되며, 상기 강유전성 커패시터의 분극 및 방전 전류 또는 충전 전류의 방향에 따라 분극이 촉진되거나 약화된다. 후자의 경우 상기 전압 강하가 간섭 펄스로서 발생하며, 상기 간섭 펄스는 진폭 및/또는 주파수가 충분할 때 강유전성 커패시터의 저장된 정보가 손상될 정도로 분극을 변동시킨다. 가능한한 많은 강유전성 메모리 셀의 직렬 접속에 의해 전류 경로의 전체 저항이 증가되고 전류의 크기가 감소됨으로써 선택되지 않은 메모리 셀의 강유전성 커패시터에 나타나는 바람직하지 않은 간섭 펄스가 줄어든다. 그러나 이는 판독 및 기록되는 강유전성 커패시터의 충전 및 방전 과정이 훨씬 더 오랫동안 지속된다는 단점을 갖는다. 이러한 이유로 전술한 선행 기술에서는 다수의 메모리 셀 블록에 예컨대 16 개의 개별 셀로 구성된 직렬 회로가 제공된다. 이 경우 매우 큰 트랜지스터 면적 또는 매우 높은 전하 캐리어 이동성이 요구됨으로써 트랜지스터의 온-저항이 임의로 감소될 수 없기 때문에 간섭 펄스가 종종 극도로 높게 나타나며 데이터 손실이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택되지 않은 메모리 셀의 강유전성 커패시터에 나타나는 간섭 전압 및 회로 기술에 드는 비용이 가능한한 낮은, 직렬 접속된 메모리 셀을 갖는 강유전성 기록-/판독 메모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제 1항의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개선예는 추가 항들에 제시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더 자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강유전성 기록-/판독 메모리의 제 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강유전성 기록-/판독 메모리의 제 2 실시예.
도 3은 공지된 메모리 셀에서의 간섭 전압의 시간 다이어그램.
도 4는 도 1에 따른 메모리에서의 간섭 전압의 시간 다이어그램.
도 5는 도 2에 따른 메모리에서의 간섭 전압의 시간 다이어그램.
본 발명에 따라 각각의 메모리 셀의 강유전성 커패시터에 저항 또는 특정하게 트리거링되는 트랜지스터가 직렬 접속되고, 상기 방식으로 각각의 주소 지정된 메모리 셀의 판독에 의해 형성되는 간섭 펄스가 직접 주소 지정이 되지 않은 메모리 셀의 강유전성 커패시터에서 감소되거나 제거되며, 이 때 액세스 시간은 허용할 수 없을 정도로 증가되지는 않는다.
도 1에는, 제 1 실시예가 직렬 접속된 강유전성 메모리 셀을 갖는 메모리 블록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4 개의 메모리 셀로 구성된 직렬 회로는 워드라인(WL0)에 의해 트리거링되는 선택 트랜지스터(M10)를 통해 비트라인(BL)에 연결될 수 있다. 직렬 접속된 모든 4 개의 메모리 셀은 예컨대 제 1 메모리 셀(Z1)처럼 설계된다. 상기 셀(Z1)은 강유전성 커패시터(ZF11), 거기에 직렬 접속된 저항(R1)을 포함하며, 상기 직렬 접속에 트랜지스터(M11)가 병렬 접속되고, 상기 트랜지스터(M11)의 게이트가 워드라인(WL1)에 연결된다. 상응하는 방식으로 다른 3 개의 셀 내에도 추가 강유전성 커패시터(ZF12 ... ZF14), 추가 저항(R2 ... R4) 및 추가 트랜지스터(M12 ... M14)가 제공 및 연결되며, 추가 워드라인(WL2 ... W4)에 의해 트리거링될 수 있다. 비트라인(BL)은 트랜지스터(M11 ... M14)로 구성된 직렬 회로 및 선택 트랜지스터(M10)에 의해 통상 약 VDD/2의 전압 레벨을 갖는 노드(PL)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트랜지스터(M10 ... M14)는 바람직하게는 공통 기판 단자(벌크)를 포함한다.
워드라인(WL0)에서의 적절한 신호에 의해 선택된 블록의 셀이 비트라인(BL)에서 판독될 수 있다. 예컨대 셀(Z1)이 판독되면 워드라인(WL2 ... WL4)이 대응하는 신호를 받음으로써 상기 트랜지스터(M12 ... M14)가 도통되고, 선택되지 않은 셀, 즉 이 경우 강유전성 커패시터 및 저항으로 구성된 각각의 직렬 회로가 상기 트랜지스터들에 의해 연결되며, 트랜지스터(M11)는 워드라인(WL1)에서의 신호에 의해 차단되는 방식으로 트리거링된다. 이로써 비트라인(BL)이 선택 트랜지스터(M10), 저항(R1), 강유전성 커패시터(ZF11) 및 컨덕턴스 트랜지스터(M12 ... M14)를 통해 전압 레벨(PL)에 연결된다. 상기 트랜지스터(M12 ... M14)의 온-저항에 의해 야기된 전압 강하가 각각의 강유전성 커패시터 및 그에 속하는 저항으로 구성된 직렬 회로(예컨대 ZF12 및 R2) 양단에 발생한다. 그럼으로써 고유의 강유전성 커패시터(ZF12 ... ZF14) 양단의 간섭 전압(V12 ... V14)이 셀(Z1)의 판독 전류로 인해 선행 기술에 비해 훨씬 감소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강유전성 커패시터에 직렬 접속된 저항들(R1 ... R2)이 추가 트랜지스터(M31 ... M34)로 대체된다는 점에서 도 1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상기 추가 트랜지스터(M31 ... M34)의 게이트 단자는 워드라인(WL1 ... WL4)에서의 신호에 따라 제어 장치(CTRL)에 의해 트리거링될 수 있다. 트랜지스터(M10)에 의해 비트라인에 연결되는 셀(Z1) 대신, 여기서는 트랜지스터(M20)에 의해 비트라인과 연결되고, 트랜지스터(M31)와 직렬 접속되는 강유전성 커패시터(ZF21)를 가지며, 상기 직렬 회로가 트랜지스터(M21)에 의해 연결될 수 있는 셀(Z1')이 제공된다. 상응하는 방식으로 도 1의 트랜지스터(M12 ... M14)가 도 2에서는 (M22 ... M44)로 표시되며, 도 1의 커패시터(ZF12 ... ZF14)가 도 2에서는(ZF22 ... ZF24)로 표시된다. 그밖에도 상기 강유전성 커패시터(ZF22 ... ZF24) 양단에 간섭 전압(V22 ... V24)이 인가된다.
바람직하게는 모든 트랜지스터의 기판 단자가 공통 단자(벌크)에 연결된다.
동작은 도1의 장치의 경우와 유사하며, 예컨대 트랜지스터(M31)와 같이 선택된 셀의 커패시터에 직렬 접속된 트랜지스터가 제어 장치(CTRL)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예컨대 트랜지스터(M32 ... M34)와 같이 선택되지 않은 셀의 커패시터에 직렬 접속된 트랜지스터들은 상기 유닛(CTRL)에 의해 아직은 차단되지 않도록 트리거링된다.
예컨대 트랜지스터(M32 ... M34)와 같이 선택되지 않은 셀의 커패시터에 직렬 접속된 트랜지스터가 완전히 차단된다면, 불완전하게 차단된 트랜지스터보다 간섭 펄스가 더 커지게 될 것이다. 왜냐하면 상기 트랜지스터의 확산 커패시턴스, 게이트-소스-커패시턴스 및 드레인-소스 커패시턴스가 강유전성 커패시터와 함께 용량 분압기를 형성하게 되기 때문이다.
도 3에는 직렬 접속된 저항 또는 트랜지스터 없이, 강유전성 커패시터가 직접 각각의 트랜지스터에 병렬 접속되는 경우의 간섭 전압(V02 ... V04)이 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나 있다. 여기서는 간섭 전압이 예컨대 약 - 0.4 볼트이며, 이것은 통상의 강유전성 커패시터의 보자 전압(coercitive voltage) 크기이다.
도 4에는 선택되지 않은 메모리 셀의 강유전성 커패시터(ZF12 ... ZF14)에서의 간섭 전압(V12 ... V14)이 시간 다이어그램 내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 1의 저항(R1 ... R4)은 예컨대 100 kΩ 이하의 범위에 있다. 상기 간섭 전압(V12 ... V14)은 각각 - 0.1 볼트 미만의 값을 가지며, 이는 일반적인 강유전성 커패시터에서의 보자 전압보다 훨씬 더 작다.
도 2에 따른 강유전성 커패시터에 각각 직렬 접속되는 트랜지스터를 갖는 강유전성 메모리의 경우에 있어서, 도 5에는 선택되지 않은 메모리 셀의 강유전성 커패시터에서의 간섭 전압(V22 ... V24)이 도시되며, 상기 간섭 전압의 값은 역시 강유전성 커패시터에 직렬 접속된 저항을 갖는 메모리의 경우보다 훨씬 더 작다. 이 때 액세스 시간에 있어서 시간 손실은 상기 방식의 공지된 강유전성 메모리보다 더 나쁘지는 않다.

Claims (3)

  1. 직렬 접속된 다수의 메모리 셀들(Z1)을 갖는 강유전성 기록-/판독 메모리로서,
    상기 메모리 셀들(Z1) 각각은 강유전성 커패시터(ZF11), 저항(R1) 및 트랜지스터(M11)를 포함하고,
    상기 저항(R1)은 상기 강유전성 커패시터(ZF11)에 직렬 접속되고, 상기 트랜지스터(M11) 각각은 상기 강유전성 커패시터(ZF11) 및 저항(R1)으로 각각 구성된 직렬 회로에 병렬 접속되며, 상기 트랜지스터(M11)의 게이트는 각각의 워드라인(WL1)과 연결되는, 강유전성 기록-/판독 메모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R1) 각각은 각각의 추가 트랜지스터(M31)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워드라인에 의해 공급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추가 트랜지스터(M31)의 전도도가 제어가능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성 기록-/판독 메모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워드라인(WL1) 각각에 의해 공급되는 신호에 의해 메모리 셀(Z1')이 선택됨으로써 상기 신호에 따라 선택된 메모리 셀의 각각의 추가 트랜지스터(M31)를 도통시키고, 선택되지 않은 메모리 셀의 다른 모든 추가 트랜지스터(M32...M34)가 바로 차단되지는 않도록 상기 추가 트랜지스터(M32...M34)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CTR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성 기록-/판독 메모리.
KR1020017000423A 1998-07-10 1999-07-01 직렬 접속된 메모리 셀(cfram)을 갖는 강유전성판독/기록 메모리 KR1006157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30963.5 1998-07-10
DE19830963 1998-07-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3482A KR20010053482A (ko) 2001-06-25
KR100615746B1 true KR100615746B1 (ko) 2006-08-25

Family

ID=7873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0423A KR100615746B1 (ko) 1998-07-10 1999-07-01 직렬 접속된 메모리 셀(cfram)을 갖는 강유전성판독/기록 메모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697279B2 (ko)
EP (1) EP1099222B1 (ko)
JP (1) JP2002520764A (ko)
KR (1) KR100615746B1 (ko)
CN (1) CN1154115C (ko)
DE (1) DE59905208D1 (ko)
TW (1) TW434539B (ko)
WO (1) WO200000339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13451B2 (ja) * 2000-08-23 2007-05-09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記憶装置
JP2008102982A (ja) * 2006-10-17 2008-05-01 Toshiba Corp 強誘電体メモリ
JP2008108355A (ja) * 2006-10-25 2008-05-08 Toshiba Corp 強誘電体半導体記憶装置及び強誘電体半導体記憶装置の読み出し方法
JP6749021B2 (ja) * 2015-05-15 2020-09-02 国立大学法人東北大学 抵抗変化型素子を備えた記憶回路
DE102018215881B3 (de) * 2018-09-19 2020-02-06 Siemens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Koppeln zweier Gleichstromnetz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20782B1 (en) * 1996-06-10 2001-11-20 Kabushiki Kaisha Toshib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various systems mounting them
JP3766181B2 (ja) * 1996-06-10 2006-04-12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記憶装置とそれを搭載したシステム
DE19724449B4 (de) * 1996-06-10 2004-04-22 Kabushiki Kaisha Toshiba, Kawasaki Halbleiterspeichereinrichtung
US5892728A (en) * 1997-11-14 1999-04-06 Ramtron International Corporation Column decoder configuration for a 1T/1C ferroelectric memory
US5898609A (en) * 1998-05-29 1999-04-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Ferroelectric memory having circuit for discharging pyroelectric char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9905208D1 (de) 2003-05-28
CN1308763A (zh) 2001-08-15
CN1154115C (zh) 2004-06-16
JP2002520764A (ja) 2002-07-09
TW434539B (en) 2001-05-16
US6697279B2 (en) 2004-02-24
EP1099222B1 (de) 2003-04-23
US20010015906A1 (en) 2001-08-23
WO2000003396A3 (de) 2000-02-24
EP1099222A2 (de) 2001-05-16
KR20010053482A (ko) 2001-06-25
WO2000003396A2 (de) 2000-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7598B1 (ko) 강유전성 캐패시터의 비파괴 판독
KR100293622B1 (ko) 강유전체기억장치
US5541871A (en) Nonvolatile ferroelectric-semiconductor memory
US5680344A (en) Circuit and method of operating a ferrolectric memory in a DRAM mode
US761651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n imprint-stabilized reference voltage for use in a ferroelectric memory device
KR100324594B1 (ko)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KR100212488B1 (ko) 강유전체 메모리장치 및 그 검사방법
US5703804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5592409A (en) Nonvolatile memory
US5822258A (en) Circuit and method for testing a memory device with a cell plate generator having a variable current
EP1187140A2 (en) Method for driving semiconductor memory
EP0530792A2 (en) Bit line and cell plate clamp circuit particularly for a DRAM
KR19980040236A (ko) 다이내믹 램에서의 테스트 시간 절감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6671199B2 (en) Data storage method for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semiconductor device equipped with many of th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emiconductor device
KR100500623B1 (ko) 강유전체 메모리
KR100615746B1 (ko) 직렬 접속된 메모리 셀(cfram)을 갖는 강유전성판독/기록 메모리
US5623440A (en) Multiple-bit random access memory cell
KR100579749B1 (ko) 2-트랜지스터/2-커패시터 타입의 메모리 셀로 구성된 집적메모리
KR100458356B1 (ko) 각각 하나의 강유전성 메모리 트랜지스터를 갖는 메모리셀을 포함하는 집적 메모리
KR100796847B1 (ko) 강유전체 메모리 효과를 가진 메모리 셀을 포함한 집적 반도체 메모리
KR19980087512A (ko) 하나의 메모리셀에 다수비트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반도체 기억장치
US6639824B1 (en) Memory architecture
US6584009B1 (en) Memory integrated circuit with improved reliability
JPH0822692A (ja) 半導体記憶装置
US6445607B2 (en) Method for operating an integrated memo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