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5692B1 - 차량의 휠체어 수납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휠체어 수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5692B1
KR100615692B1 KR1020000009143A KR20000009143A KR100615692B1 KR 100615692 B1 KR100615692 B1 KR 100615692B1 KR 1020000009143 A KR1020000009143 A KR 1020000009143A KR 20000009143 A KR20000009143 A KR 20000009143A KR 100615692 B1 KR100615692 B1 KR 100615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chair
vehicle
main body
slider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9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8183A (ko
Inventor
카메다후지오
Original Assignee
닛신 지도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신 지도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신 지도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58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8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5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5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209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with storage means for unused wheelchair or stretc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42Carriers characterised by means to facilitate loading or unloading of the load, e.g. rollers, tracks, or the like
    • B60R9/0426Carriers characterised by means to facilitate loading or unloading of the load, e.g. rollers, tracks, or the like for small vehicles, e.g. invalid chairs, perambul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4/00Material or article handling
    • Y10S414/134Handicapped person handl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휠체어 수납장치는 신체장애자의 휠체어를 차량의 지붕에 배치된 수납공간에 접은 상태로 수납한다. 이 장치는 접혀진 휠체어를 수납하는 수납부를 포함하는 본체와, 본체를 차량의 지붕에 부착하는 부착수단과, 본체와 차량의 승강구 위쪽의 위치 사이를 전후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더와, 상기 승강구로부터 휠체어를 승강시키는 리프트 상에 설치된 리프트 수단과, 상기 리프트 수단에 의해 승강되는 휠체어를 접기 위한 상기 리프트 수단과 연결되는 휠체어 접는 수단과, 상기 접혀진 휠체어를 지지하는 휠체어 홀더와, 상기 휠체어를 갖는 휠체어 홀더를 회전하므로써 수납부에 맞추어지도록 휠체어의 자세를 변경하는 자세변경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의 휠체어 수납장치{Wheel chair storage apparatus of car}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휠체어 수납장치의 제 1실시예의 그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휠체어 수납장치의 실시예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회전 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의 휠체어 수납장치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4는 차량의 지붕으로부터 이동된 슬라이더를 도시하는, 본 발명에 의한 휠체어 수납장치의 제 1실시예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5는 휠체어 홀더에 삽입되고 매달려 있는 휠체어를 도시하는, 본 발명에 의한 휠체어 수납장치의 제 1실시예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6은 벨트를 감아올리므로써 슬라이더에 수납되고 있는 휠체어를 지지하는 휠체어 홀더를 도시하는, 본 발명에 의한 휠체어 수납 장치의 제 1실시예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7은 휠체어 수납장치에 완전히 수납된 휠체어를 도시하는, 본 발명에 의한 휠체어 수납장치의 제 1실시예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휠체어 수납장치의 제 2실시예의 그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실시예가 어떻게 동작되는지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1'. 휠체어 수납장치 2. 부착 부재
3. 지지부재 4. 축
5. 본체 6. 가이드 레일
7. 슬라이더 7a. 종방향 빔
8. 수납공간 9. 랙
10. 리프트 모터 10a. 권취 드럼
11. 슬라이더 구동모터 12. 휠체어 홀더
12a. 구멍 13. 벨트
14. 축 15. 개구부
16. 커버 17. 인장코일 스프링
20. 휠체어 20a. 리프트 벨트
24,25. 가이드 레일 26. 모터
26a. 회전축 27. 본체
A. 차량 B. 승강구
본 발명은 신체장애자에 의해 사용되는 휠체어를 자동차 등의 차량의 지붕에 수납하는 휠체어 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휠체어의 사용자가 자동차 등의 차량을 운전할 때, 휠체어를 접어서 뒤좌석이나, 짐 싣는 곳이나, 차량의 조수석에 두어야 했다. 휠체어는 상당히 무겁고 짐스러워서 이와 같은 휠체어를 접어서 싣는 동작은 힘든 작업이다. 이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 접혀진 휠체어를 자동차 등의 차량의 지붕에 마련된 수납공간에 수납하는 다양한 장치가 지금까지 제안되어 왔다. 일본 실용공보평3-12598이 이와 같은 제안 중 하나이다.
일본 실용공보평3-12598은 접혀진 휠체어를 수납하기 위해 차량의 지붕에 설치된 케이스 본체와, 케이스 본체에 설치되고 휠체어의 사용자에게 접근가능한 차량의 지붕과 문 사이에 신장 및 수축될 수 있는 제 1, 제 2 및 제 3레일을 포함하는 레일부로 구성되는 차량의 휠체어 수납장치를 기재하고 있다. 접혀진 휠체어는 최저부에 위치한 제 3레일과 결합되어 지고 제 1, 제 2 및 제 3레일을 수축하므로써 케이스 본체에 수납된다.
그런데, 일본 실용공보평3-12598에 나타난 휠체어 수납장치는 다음의 문제를 수반한다.
(1) 이 휠체어 수납장치는 휠체어를 수납할 때 신장되고 수축되어야 하는 복수의 레일을 포함하므로, 이 장치는 쉽게 고장나고 비용이 들게하는 다소 복잡한 구성을 가진다. 또한, 높은 위치를 차지하는 원박스(one-box)형 차량의 경우에, 4개 또는 그 이상의 레일을 포함하는 다른 형의 장치가 설치되어야 하고 따라서 사용자는 새로운 차량을 구입할 때 새로운 장치를 구입해야만 한다. 다시 말해, 장치의 적용성이 한정된다.
(2) 휠체어를 접고 레일부와 결합하는 동작은 차량 외부의 동작이다. 따라서, 비가 오면 휠체어 뿐만 아니라 휠체어 주인 자신도 젖는다. 이것은 휠체어 주인의 건강에도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그런데, 휠체어 주인과 휠체어를 보호하기 위한 방수 시트(sheet)를 제공하는 것은 장치의 구성상 곤란하다.
(3) 상기 휠체어 수납장치는 신장 및 수축될 수 있는 복수의 레일을 포함하는 레일부로 구성되므로, 다소 커진다. 다시 말해, 차량에 부착되는 위치가 한정되고 휠체어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는 문으로부터 멀어져서 휠체어를 수납하는 동작에 큰 불편함을 준다.
종래 기술의 상기 문제점 및 다른 문제점들에 비추어, 본 발명의 첫번째 목적은 따라서 그 구성을 변경하지 않고도 다른 높이를 갖는 다양한 유형의 차량에 적용할 수 있고 낮은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는 간단한 구성을 갖는 휠체어 수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휠체어를 쉽게 수납되고 회수되도록 하고 휠체어 주인과 휠체어 모두를 비에 대해 보호하기 위해 간단한 방식으로 방수 시트 또는 커버가 부착될 수 있는 휠체어 수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휠체어의 사용자가 접근가능한 차량의 문에 따라 휠체어의 수납작업위치(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기 위해 휠체어를 그대로 두고 또 차량으로부터 휠체어에 올라타는 위치)를 이동하도록 된 휠체어 수납장치를 제공하 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첫번째 목적은, 신체장애자의 휠체어를 차량의 지붕에 설치된 수납공간에 접힌 상태로 수납하도록 된 것으로서, 접힌 휠체어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를 포함하는 본체와, 본체를 차량의 지붕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수단과, 본체와 차량의 승강구 위쪽의 위치 사이에 전후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더와, 상기 승강구로부터 휠체어를 승강하기 위한 리프트에 설치된 리프트 수단과, 상기 리프트 수단에 의해 승강되는 휠체어를 접기 위한 상기 리프트 수단과 연결되는 휠체어 접는 수단과, 상기 접힌 휠체어를 지지하는 휠체어 홀더와, 상기 휠체어를 갖는 휠체어 홀더를 회전하므로써 수납부에 맞추어지도록 휠체어의 자세를 변경하는 자세변경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휠체어 수납장치를 제공하므로써 달성된다. 상기 휠체어 접는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그 대향단이 휠체어의 양 측면에 연결되어서 그 중간에서 당겨질 때 상기 휠체어를 매달리게 하도록 함께 접혀지는 벨트 또는 와이어이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차량의 승강구 위쪽의 위치까지 차량에 대해 수평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이동되고, 휠체어 접는 수단의 벨트 또는 와이어는 휠체어를 수직방향으로 승강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러면, 휠체어는 승강될 때 접혀져서 수납부에 수납될 때까지 휠체어 홀더와 함께 회전된다. 휠체어 수납장치는 어떤 비교할만한 종래의 장치보다도 간단한 구성을 가지고 거의 오작동이 없다. 이와 같은 휠체어 수납장치는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첫 번째 목적은 또한 신체장애자의 휠체어를 차량의 지붕에 설치된 수납 공간에 접힌 상태로 수납하도록 된 것으로서, 접힌 휠체어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를 포함하는 본체와, 본체를 차량의 지붕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수단과, 휠체어를 수납하기 위한 위치와 차량의 승강구 바로 위의 위치 사이에서 상기 본체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과, 상기 승강구로부터 휠체어를 승강하기 위한 리프트상에 설치된 리프트 수단과, 상기 리프트 수단에 의해 상승되는 휠체어를 접기 위한 상기 리프트 수단과 연결된 휠체어 접는 수단과, 상기 접힌 휠체어를 지지하는 휠체어 홀더와, 상기 휠체어를 갖는 휠체어 홀더를 회전하므로써 수납부에 맞추어지도록 휠체어의 자세를 변경하는 자세변경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휠체어 수납장치를 제공하므로써 달성될 수 있다. 상기 휠체어 접는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그 대향단이 휠체어의 양 측면에 연결되어서 그 중간에서 당겨질 때 상기 휠체어를 매달리게 하도록 함께 접혀지는 벨트 또는 와이어이다.
상기한 슬라이더를 생략한 구성은 본 발명에 의한 휠체어 수납장치의 구성을 더 간단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두번째 목적은 방수커버가 있는 상기 슬라이더를 제공하므로써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수 커버는 신축성이 있는 재료로 만들어진다.
이 구성에 의하면, 슬라이더가 본체와 차량의 승강구 위쪽의 위치 사이에서 수평으로 이동하도록 되거나, 본체가 휠체어를 수납하기 위한 위치와 차량의 승강구 바로 위의 위치 사이에서 회전 수단에 의해 회전되도록 될 때, 휠체어의 사용자 는 슬라이더나 본체 중 하나에 방수 커버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서 휠체어의 사용자 뿐만 아니라 휠체어 자체도 비나 눈에 의해 젖는 것에 대해 보호될 수 있다.
또한, 방수 시트가 신축성이 있는 재료로 만들어지면, 휠체어와 휠체어 홀더의 윤곽에 따라 그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커버와 휠체어 홀더 및 휠체어 자체가 서로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슬라이더 내에 공간을 마련할 필요가 없다. 그러면, 휠체어 수납장치의 높이는 최소화되어 전체 제조 비용을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의 세 번째 목적은 위에서 설명한 슬라이더와 부가적으로 휠체어를 수납하기 위한 위치와 차량의 승강구 바로 위의 위치 사이에서 상기 차량에 대해 상기 본체를 회전시키는 회전 수단을 포함하는 휠체어 수납장치를 제공하므로써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 수단은 상기 본체를 상기 부착수단에 회전가능하게 부착하는데 사용되는 축과, 상기 축의 축선에 대해 편심되게 설치되어 상기 부착 수단에 부착되는 스토퍼(stopper)와, 수납 공간으로 복귀하는 방향으로 상기 본체를 항상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에는 상기 스토퍼와 당접하는 당접부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슬라이더는 본체로부터 이동되어, 결과적으로 그 당접부는 스토퍼에 맞닿게 된다. 그리고나서, 슬라이더가 더 이동될 때, 슬라이더 자체와 본체는 모두 축 주위를 회전하도록 구동된다. 스토퍼와 축에 대해 적절한 상대적인 위치들을 선택하므로써, 휠체어의 사용자가 그를 통해 차량 안으로 이 동시키는 차량의 승강구 바로 위의 위치에 슬라이더를 놓을 수 있다. 회전 수단이 상기 구성 요소를 포함하도록 하므로써 본체를 회전시키는 특정 구동 수단을 설치할 필요를 배제할 수 있어, 회전 수단의 구성을 간소화하고 제조비용을 감소시킨다.
또한, 슬라이더는 승강구 바로 위에 위치될 수 있으므로, 휠체어의 사용자와 휠체어 자체 모두가 비나 눈에 의해 젖는 것을 막는 효과가 확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번째 목적은 슬라이더를 사용하지 않고도 달성될 수 있음은 이해될 것이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설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도 1 및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휠체어 수납 장치의 제 1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개략 평면도이고 도 2는 개략 정면도이다. 다음 설명에서, "전후" 또는 "세로 방향"의 표현은 차량에 대해 상대적으로 사용되는 동시에(예를 들어, 도 1에서 상하), "좌우" 또는 "양측 방향"도 또한 차량에 대해 상대적으로 사용된다(예를 들어, 도 1의 좌우).
지지부재(3, 3)는 차량(A)의 양측 레일을 따라 차량(A)에 부착되어 세로 방향으로 연재한다. 지지부재(3, 3)는 본 발명에 의한 휠체어 수납장치에 대해 특별히 설계되어도 좋지만, 시판되는 스키 캐리어 또는 시판되는 수화물 캐리어의 지지부재가 본 발명의 목적에 아무 문제없이 사용될 수도 있다. 차량(A)의 지붕에 좌우로 연재하는 격자형 부착부재(2)는 지지부재(3, 3)에 부착된다. 그리고나 서, 접힌 휠체어(20)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8)을 갖는 장치 본체(5)가 부착부재(2)에 부착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차량(A)의 지붕에 휠체어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 수단은 부착부재(2)와 지지부재(3, 3)를 포함한다.
본체(5)도 또한 격자형 형상을 가지고, 측방향으로 연재하는 중앙의 횡빔(5a)을 포함한다. 랙(rack)(9)은 중앙의 횡빔(5a)에 그 길이를 따라 부착된다. 본체(5)는 부가적으로 랙(9)에 평행한 가이드 레일(6, 6)로서의 전후 횡빔(6, 6)을 포함한다. 그리고, 또한 격자형 형상을 갖는 슬라이더(7)는 측방향으로(도 1에 화살표 A로 표시된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 하도록 가이드 레일(6, 6)을 따라 설치된다. 가이드 레일(6, 6)에는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더(7)가 전후로 매끄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롤러 또는 베어링이 설치된다.
슬라이더(7)는 슬라이더(7)의 좌단을 따라 종방향으로 이어지는 좌측 종방향빔(7a)을 가지고, 슬라이더 구동 모터(11)는 이 좌측 제로방향빔(7a)에 고정된다. 피니온(pinion)(11a)은 슬라이더 구동 모터(11)의 회전축에 부착되고 랙(9)과 결합하여 지지된다. 따라서, 슬라이더 구동 모터(11)가 동작될 때, 피니온(11a)은 랙(9)과 결합하여 지지된 채로 슬라이더(7)를 이동시키기 위해 랙(9)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된다. 슬라이더(7)를 전후로 측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다면 선형 모터 또는 어떤 다른 기존의 선형 구동기구로 랙과 피니온 조합체를 대체하여도 좋음은 물론이다.
슬라이더 구동모터(11)를 포함하는 슬라이더 구동기구에는 바람직하게는 브레이크 기구가 설치되어 휠체어(20)가 적절하게 수납되거나 차량(A)이 주행 또는 정지할 때 슬라이더(7)가 갑작스럽게 이동하지 않도록 한다. 슬라이더 구동모터(11)의 구동 동작은 바람직하게는 운전석 근처에 위치한 핸드 스위치에 의해 제어되어 휠체어의 사용자가 휠체어를 수납할 때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핸드 스위치는 원격 제어부에 의해 조작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핸드 스위치는, 차량(A)의 엔진이 구동되고 있거나 차량(A)의 키스위치가 켜져있을 때 및 차량이 주행중일 때는 작동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랙은 바람직하게는 그 양단부 근방에 리미트 스위치나 근접 스위치 등의 검출 수단이 설치되어 가이드 레일(6, 6)의 좌단 또는 우단에 도달한 슬라이더(7)가 검출되고, 슬라이더(7)가 그 단에 도달하면 슬라이더 구동모터(11)의 동작이 자동적으로 정지되도록 된다.
휠체어(20)를 상승하기 위한 리프트 모터(10)는 좌측 종방향빔(7a)에 부착되고, 벨트(13)는 리프트 모터(10)의 회전축에 부착된 권취(券取)드럼(10a) 주위에 감겨진다. 벨트(13)는 그 앞쪽단에 훅(hook)(13a)이 설치된다. 리프트 모터(10)도 또한 핸드 스위치에 의해 조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휠체어(20)는 그 좌석의 중앙에서 좌우방향으로 접혀진다. 휠체어(20)에는 그 좌석를 가로질러 횡방향으로 연재하는 리프트 벨트(20a)가 설치된다. 훅(13a)은 그 중앙에서 리프트 벨트(20a)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훅(13a)이 당겨져서 리프트 벨트(20a)와 휠체어(20)를 감아 올릴 때, 휠체어(20)는 그 자신의 무게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접혀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휠체어 접는 기구는 훅(13a)과 리프트 벨트(20a)로 구성된다.
슬라이더(7)에는 차량의 양측면과 대면하고 있어 접혀진 휠체어(20)를 수용하는 개구부(15)가 설치된다. 축(14)은 개구부(15)의 좌측 가장자리를 따라 종방향으로 이어지고 휠체어 홀더(12)는 축(14)에 의해 그 측면이 지지된다. 도 2에서 볼 때, 휠체어 홀더(12)는 휠체어(20)가 벨트(13)에 의해 들어올려 질 때 차량의 정면에서 보아 역 U자형 단면을 보여주도록 된다. 휠체어 홀더(12)는 접혀진 휠체어(20)를 수용하고 그러면 더 이상의 움직임 없이 휠체어(20)를 그 측면에서 지지한다.
역 U자형 휠체어 홀더(12)에는 그 상면에 벨트(13)가 지나가도록 하는 구멍(12a)이 설치된다. 휠체어 홀더(holder)(12)는 축(14)에 의해 그 상면에 대해 편심된 위치에서 지지되므로, 휠체어(20)가 도 2에서 휠체어 홀더(12)에 의해 수용된 후에 벨트(13)가 감겨질 때, 휠체어 홀더(12)는 축(14) 주위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결과적으로, 휠체어(20)는 거의 누워있는 편평한 자세가 취해져서 수납될 준비가 된다. 다시 말해, 벨트(13), 축(14) 및 리프트 모터(10)는 휠체어(20)의 자세를 변경시키는 자세 변경기구를 구성한다.
신축성 있는 방수커버(16)는 슬라이더(7)의 상면 전체를 덮도록 만들어져 있다. 대신에, 승강구에 위치한 휠체어(20)와 휠체어(20) 사용자가 비오는 날씨에 비에 대해 보호된다면 방수 커버(16)는 슬라이더(7)의 일부만을 덮도록 되어도 된다. 커버(16)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등의 경질성 재료로 형성되어도 되지만, 고무, 비닐 또는 폴리에틸렌 등의 유연성 재료로 만들어진 시트가 휠체어 홀더(12) 및 휠체어(20)의 전체 형상에 맞는 형상을 취할 수 있어서 휠체어 홀더(12) 및/또 는 휠체어(20)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여분의 공간 또는 탈출 공간을 제공할 필요가 없는 반면, 금속 또는 경질성 플라스틱 커버의 사용은 이와같은 공간의 제공을 필요로하므로, 상기와 같은 유연성 재료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휠체어 수납장치(1)는 간소화될 수 있고, 장치의 제조비용은 감소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A) 위의 휠체어 수납장치(1)의 위치와 휠체어(20)의 사용자가 차량(A) 안으로 들어갈 때 사용되는 차량(A)의 승강구(B)의 위치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수평 간극을 해소하기 위해 차량(A)에 대해 본체(5)와 슬라이더(7)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이 설치된다.
도 3은 이와 같은 회전수단을 포함하는 본체(5)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3에서, 도 1과 동일한 구성 부분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각각 표시하고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본체(5)는 차량(A)의 지붕에 평행한 평면에 회전가능하게 축(4)에 의해 부착부재(2)에 부착된다(회전감각은 도 3에서 화살표(Z)로 표시되어 있음). 스토퍼(18)는 횡방향 빔(5a)을 통과하는 본체(5)의 축선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설치되고 슬라이더(7)의 종방향 빔(7a)의 안쪽 양측면에 인접하도록 되어 있다. 스토퍼(stopper)(18)가 부착되는 위치는 부착부재(2)를 따라 좌우방향으로 조정가능하도록 되어 본체(5)의 각 또는 회전이 변경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장 코일 스프링(17)은 휠체어가 차량(A)위에 수납되는 위치(수납위치)쪽으로 본체(5)를 가압하도록 본체(5)와 부착부재(2) 사이에 설치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부착부재(2)에는 인장 코일 스프링(17)의 탄성력에 대항하는 상기 수납위치에 본체(5)를 지지하도록 본체(5)와 당접하는 스토퍼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슬라이더 구동모터(11)를 조작하므로써 그 수축 상태로부터 가이드 레일(6, 6)을 따라 슬라이더(7)가 이동될 때, 슬라이더(7)의 종방향 빔(7)은 슬라이더가 이동하는 도중에 스토퍼(18)와 당접한다. 슬라이더를 슬라이더 구동모터(11)에 의해 가이드 레일(6, 6)을 따라 강제로 더 이동시키면, 본체(5)와 슬라이더(7)는 도 3의 축(4) 주위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회전각은 스토퍼(18)가 부착되는 위치를 조절하므로써 변경될 수 있다.
이제, 휠체어(20)가 상기 구성을 갖는 휠체어 수납장치(1)에 어떻게 수납되는지를 도 2와 4∼7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휠체어(20)를 장치에 수납하기 위해, 휠체어(20)는 승강구(B) 근방에 놓여지고, 슬라이더 구동모터(11)는 핸드 스위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슬라이더(7)가 가이드 레일(6, 6)을 따라 차량(A)의 우측으로 주행하도록 조작된다. 리프트 모터(10)는 슬라이더(7)가 차량(A)의 지붕으로부터 돌출하여 리미트 스위치(도시되지 않음)에 당접하는 그 끝위치까지 구동될 때 정지된다.
이 장치에 도 3에 도시된 회전 수단이 설치되면, 승강구(B)(휠체어(20)가 위치하는)와 차량(A)의 휠체어(20) 수납위치 사이에 간극이 있더라도 슬라이더는 본체(5)와 함께 원하는 각만큼 회전하여 휠체어(20) 바로 위에 슬라이더(7)의 개구부(15)가 위치되도록 구동될 수도 있다.
그리고나서, 도 2를 참조하면, 리프트 모터(10)는 권취 드럼(10a)으로부터 벨트(13)를 풀도록 핸드 스위치에 의해 조작된다. 결과적으로, 벨트(13)의 앞쪽단의 훅(13a)이 강하된다. 그리고나서, 벨트(13)가 감아올려지면, 슬라이더(7)에 수납된 휠체어 홀더(12)는 그 자신의 무게에 의해 축(14) 주위로 회전되어, 휠체어(20) 쪽으로 역 U자형 윤곽으로 돌려진다. 그리고나서, 휠체어의 사용자는 강하된 훅(13a)을 잡고 휠체어(20)의 좌석에 설치된 리프트 벨트(20a)의 중심점을 지지하도록 한다.
그리고나서, 리프트 모터(10)는 이 상태하에 핸드 스위치(도시되지 않음)를 조작하므로써 역으로 구동된다. 결과적으로, 휠체어(20)는 벨트(13)가 권취 드럼(10a)에 의해 감길 때 들어올려진다. 그리고나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체어(20)는 들어올려질 때(도 5에 화살표(Y)로 표시된 방향) 그 무게에 의해 그 측면으로부터 자동적으로 접혀져서 휠체어 홀더(12)에 완전히 접혀진 상태로 삽입된다.
휠체어(20)가 휠체어 홀더(12)에 삽입된 후에, 리프트 모터(10)는 그 동작을 계속하여 벨트(13)가 휠체어 홀더(12)의 상면을 권취 드럼(10a) 쪽으로 당겨서 도 6에서 화살표(U)로 표시한 바와 같은 방향으로 휠체어 홀더(12)를 축(14) 주위로 회전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휠체어(20)는 편평하게 눕게되고 개구부(15)를 통해 슬라이더(7)로 넣는다. 휠체어(20)가 슬라이더(7) 안으로 완전히 넣어지면, 리프트 모터(10)의 동작은 리프트 모터의 리미트 스위치 또는 로드 스위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자동적으로 정지된다.
슬라이더 구동모터(11)가 핸드 스위치(도시되지 않음)를 조작하므로써 역방향으로 구동될 때, 슬라이더(7)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A)의 지붕까지 이 동되어 휠체어를 수납된 상태에 둔다.
휠체어 수납장치(1)로부터 휠체어(20)를 꺼내기 위해서는 상기 과정이 역으로 되어야 한다.
(실시예 2)
이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도 8과 9를 참고로 설명할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휠체어(20)는 차량(A)의 승강구(B)로부터 후방의 위치에 수납된다. 부착부재(2)에는 다른 곡률 반경으로 편심되게 설치된 한쌍의 원호형 가이드 레일(24, 25)이 설치되어 본체(27)가 가이드 레일(24, 25)에 의해 지지되는 동시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납위치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도 9에서 화살표(Z)에 의해 그 회전방향이 표시됨) 휠체어 리프트 위치(승강구(B)) 사이에서 왕복 회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휠체어 수납장치(1')의 본체(27)에는 상술된 제 1실시예와 같이 왕복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더를 설치하여도 좋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 1실시예 본체의 슬라이더(7)를 슬라이더 구동모터(11)(도 1참조)를 제거하는 것 이외에는 제 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 1실시예의 슬라이더(7)와 동일하게 되어 있는 본 실시예의 구성부재가 제 1실시예와 동일한 참조부호에 의해 도 8 및 도 9에 표시되어 있으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실시예의 본체(27)는 차량(A)에 따라서 어느 정도 폭을 가지며, 단지 승강구(B)의 상방까지 회전시키므로써 차량(A)으로부터 우측으로 부분 돌출하도록 되어 있고, 개구부(15)가 승강구(B) 바로 위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본체(27)는 부착부재의 전방에 부착되는 모터(26)의 회전축(26a)에 연결된다. 회전축(26a)은 원호형의 가이드 레일(24, 25)의 중심에 위치되고, 회전축(26a)과 본체(27)는 일체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일반적으로 키에 의해 본체(27)에 연결되어 있다. 모터(26)의 구동은 제 1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핸드 스위치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되어도 좋고, 또 리미트 스위치 등의 검출수단에 의해 자동적으로 정지시켜도 좋다. 또한, 본체(27)는 스토퍼에 의해 필요 이상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본 실시예의 휠체어 수납장치(1)의 구성에서는 제 1실시예의 슬라이더(7)의 사용을 생략함으로써, 휠체어 수납장치(1)의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1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리미트 스위치나 스토퍼의 위치를 적절하게 이동시키고 핸드 스위치에 의해 모터(26)를 적절하게 구동시킴으로써, 본체(27)의 개구부(15)의 위치를 조절하여 승강구(B) 바로 위쪽에 위치시킬 수 있다.
휠체어(20)를 휠체어 수납장치(1)에 수납하기 위해서는, 우선 모터(26)를 구동시켜서 본체(27)의 개구부(15)를 승강구(B) 바로 위에 이동시킨다. 그리고, 제 1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휠체어(20)를 들어 올려서 그 자세를 변경하여 개구영역(15)내에 수용한다. 그 후, 모터(26)를 역으로 구동시켜서 본체(27)를 도 8에 나타낸 수납위치까지 이동하도록 회전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터(26)의 회전축(26a)을 차량의 중심을 통과하는 세로축상에 위치시키고, 가이드 레일(24, 25)을 적당하게 배치함으로써 본체(27)를 차량(A)의 좌측이나 우측을 향하여 적절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휠체어를 접는 수단은 훅(13a)과 리프트 벨트(20a)에 의한 구성으로 설명하였지만, 훅(13a)을 벨트(13)의 선단에 부착되어 분기된 훅에 의해 대신함으로써 훨체어(20)를 훅에 의해 그 대향 양단측에 걸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휠체어(20)를 들어올려질 때 양단측으로부터 접혀질 것이다.
본체(5)를 차량(A)에 대하여 소망의 회전각에 의해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의 구성도 상술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대신에, 회전수단은 모터와 랙(rack)과 피니온(pinion) 기구 또는 실린더로 구성되어도 된다. 마찬가지로, 슬라이더(7)를 왕복시키는 수단은 대신에 실린더나 선형 모터로 구성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실시예 중 하나의 자세변경수단은 벨트(13)와 축(14) 및 리프트 모터(10)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훨체어(20)와 훨체어 홀더(12) 모두를 회전하도록 구동시킬 수 있는 것이면 어떤 원하는 형태로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벨트가 권취될 때 훨체어 홀더(12)가 슬라이더(7)의 내부로 끌려 들어가서 그 자세를 변경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 중 하나에서 훨체어 홀더(12)를 축(14) 주위로 회전하여 그 자세를 변경하고 수납부에 대해 측면이 면하도록 하였지만, 휠체어 홀더(12)가 들어올려 질 때 축의 이동과 훨체어 홀더(12)의 자세를 변경을 쉽게 하기 위하여 연결기구에 의해 축을 지지하는 구성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훨체어 홀더(12)의 이동이 커버에 의해 방해받지 않도록 방수커버를 리프트하는 구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지지부재(3, 3)에 대하여 부착부재(2)를 회전가능하게 부착함으로써, 훨체어 수납장치(1)를 반전시키킬 수 있어, 훨체어의 사용자는 운전석에 위치된 승강구로부터 승차하고, 조수석에 위치된 승강구로부터 하차할 수 있게 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이 훨체어 수납장치는 좌측에 운전좌석을 갖는 차량과 우측에 운전좌석을 갖는 차량 모두에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장치의 적용범위를 한층 넓힐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훨체어 수납장치는 간단한 구성을 가지는 동시에 낮은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오작동이 없이 신뢰성 있게 동작된다. 또한, 훨체어를 벨트나 와이어(wire)를 사용하여 상하로 리프트하기 때문에, 상기 장치는 높이에 관계없이 어떤 종류의 차량에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훨체어 수납장치는, 승강구 위에서 왕복운동하는 슬라이더 및/또는 승강구 바로 위쪽 위치까지 들어올려지는 본체위에 단지 커버를 설치하므로써 훨체어와 훨체어 사용자 모두가 비에 젖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명백하게, 이와 같은 방수 수단은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체가 회전하도록 될 때, 차량 위에 휠체어를 수납하는 위치가 승강구와 수직으로 놓여지지 않더라도 휠체어를 수용하는 장치의 개구부는 승강구 바로 위에 놓여질 수 있다.


Claims (8)

  1. 신체장애자의 휠체어(20)를 차량(A)의 지붕에 설치된 수납부(8)에 접힌 상태로 수납하도록 된 휠체어 수납장치(1, 1‘)있어서,
    접힌 휠체어(20)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8)를 포함하는 본체(5)와,
    상기 본체(5)를 차량(A)의 지붕에 본체를 부착하는 부착수단(2)과,
    본체와 차량의 승강구(B) 위쪽의 위치 사이에서 전후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더(7)와,
    상기 승강구로부터 휠체어를 들어올리기 위한 리프트에 설치된 리프트 수단(10, 10a, 13)과,
    상기 리프트 수단에 의해 들어올려지는 휠체어를 접기 위한 상기 리프트 수단과 연결된 휠체어 접는 수단(13a, 20a)과,
    상기 접힌 휠체어를 지지하기 위한 휠체어 홀더(12)와,
    상기 휠체어를 갖는 휠체어 홀더를 회전시킴으로써 수납부에 맞추어지도록 휠체어의 자세를 변경하는 자세변경수단(10, 13, 14)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수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를 덮기 위한 방수 커버(1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수납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휠체어를 수납하는 위치와 차량의 승강구 바로위의 위치 사이에서 차량에 대해 본체를 회전시키는 회전 수단(4, 1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수납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수단에 상기 본체를 회전가능하게 부착하는데 사용되는 축(4)과, 상기 축의 축선에 대해 편심되게 설치되고 상기 부착 수단에 부착된 스토퍼(18)와, 상기 본체를 수납 공간으로 복귀하는 방향으로 계속해서 가압하는 가압수단(17)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더에는 상기 스토퍼와 맞닿는 당접부(7a)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수납장치.
  5. 신체장애자의 휠체어를 차량의 지붕에 설치된 수납 공간에 접힌 상태로 수납하도록 된 휠체어 수납장치에 있어서,
    접힌 휠체어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를 포함하는 본체와,
    본체를 차량의 지붕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수단과,
    휠체어를 수납하는 위치와 차량의 승강구 바로 위의 위치 사이에서 상기 본체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과,
    상기 승강구로부터 휠체어를 들어올리기 위한 리프트에 설치된 리프트 수단과,
    상기 리프트 수단에 의해 들어올려지는 휠체어는 접기 위한 상기 리프트 수단과 연결되는 휠체어 접는 수단과,
    상기 접힌 휠체어를 지지하는 휠체어 홀더와,
    상기 휠체어를 갖는 휠체어 홀더를 회전시키므로써 수납부에 맞추어지도록 휠체어의 자세를 변경하는 자세변경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수납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5)를 덮기 위한 방수 커버(1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수납장치.
  7. 제 2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커버는 신축성이 있는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수납장치.
  8.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휠체어 접는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그 대향단이 휠체어의 양측면에 연결되어 그 중심에서 당겨질 때 상기 휠체어를 걸도록 함께 접혀지는 벨트 또는 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수납장치.
KR1020000009143A 1999-02-25 2000-02-24 차량의 휠체어 수납장치 KR1006156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048354A JP2000237238A (ja) 1999-02-25 1999-02-25 車両の車椅子格納装置
JP99-048354 1999-02-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8183A KR20000058183A (ko) 2000-09-25
KR100615692B1 true KR100615692B1 (ko) 2006-08-25

Family

ID=12801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9143A KR100615692B1 (ko) 1999-02-25 2000-02-24 차량의 휠체어 수납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273668B1 (ko)
EP (1) EP1031336B1 (ko)
JP (1) JP2000237238A (ko)
KR (1) KR100615692B1 (ko)
AT (1) ATE270536T1 (ko)
AU (1) AU759218B2 (ko)
CA (1) CA2299492C (ko)
DE (1) DE60011950T2 (ko)
DK (1) DK1031336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4033A (ko) 2017-12-19 2019-06-27 (주)화담알앤알 차량용 휠체어 적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40847B1 (en) * 2001-05-21 2006-05-09 Kinedyne Corporation Electro mechanical webbed pre-tensioning wheelchair securement system
US7374390B2 (en) * 2001-05-25 2008-05-20 Integrated Vision, Inc. Lift mechanism for a seating device
SE0202961L (sv) * 2002-10-04 2003-07-22 Charlotte Selle Andersson Takboxanordning
US20060280583A1 (en) * 2004-09-27 2006-12-14 Settelmayer Joseph J Top rack with side load descent mechanism
US20070030350A1 (en) * 2005-08-04 2007-02-08 Ervin Wagner Remote inspection apparatus for vehicles
GB2442462B (en) * 2006-10-07 2010-05-19 Barry Alfred Morgan Wheel chair and transport system for the same
US7992682B2 (en) 2007-12-21 2011-08-09 Michael Paul Ziaylek Ladder storing apparatus for use with an emergency vehicle
EP2098203A1 (en) * 2008-03-06 2009-09-09 Freedom of Movement cvba Universal lift for transporting a load into and out of a vehicle
JP5251363B2 (ja) * 2008-08-27 2013-07-31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車両用車椅子格納装置
JP5083126B2 (ja) * 2008-08-27 2012-11-28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車両用車椅子格納装置
JP5029548B2 (ja) * 2008-09-17 2012-09-19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車椅子吊上げ用ベルト
JP5201100B2 (ja) * 2008-11-05 2013-06-05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車椅子吊り装置
USD630268S1 (en) * 2009-11-25 2011-01-04 John Cunningham Remote controlled vehicle
IT1397412B1 (it) * 2009-12-30 2013-01-10 Guidosimplex S R L Sistema elettromeccanico per il caricamento di una carrozzina per portatori di handicap su di un veicolo.
GB2492169B (en) * 2011-06-24 2017-05-24 Bri-Stor Systems Ltd Storage rack assembly
US8985933B2 (en) 2012-06-05 2015-03-24 Michael P. Ziaylek Remote equipment storage apparatus with a downwardly extendable retrieval position
US9161873B2 (en) * 2012-06-20 2015-10-20 Jary Edward Tindall System and method for extricating a victim
USD729142S1 (en) 2013-05-10 2015-05-12 Michael P. Ziaylek Remote equipment storage apparatus for an emergency vehicle
KR101460906B1 (ko) * 2013-07-31 2014-11-12 주식회사 프로모텍 차량용 휠체어 리프팅 장치
WO2015016797A1 (en) * 2013-08-01 2015-02-05 Heksagon Muhendislik Ve Tasarim Anonim Sirketi A ramp system
US9937088B2 (en) * 2015-04-30 2018-04-10 Store-Easy, LLC Automotive wheelchair storage device
JP6489033B2 (ja) * 2016-01-29 2019-03-27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車両用車椅子格納装置
CN106427805A (zh) * 2016-09-29 2017-02-22 中国北方车辆研究所 一种上下推拉式车顶储物箱
DE202017100264U1 (de) * 2017-01-19 2017-03-22 Reschwitzer Saugbagger Produktions Gmbh Vorrichtung zur Aufnahme und zum Transport von Bauteilen, insbesondere Schläuchen oder Rohren, Materialsammelbehälter für ein Fahrzeug sowie Saugbagger mit einer solchen Vorrichtung
US10239461B1 (en) * 2018-01-30 2019-03-26 Il Shik Yoon Apparatus for supporting carrier using roof bar
CN113273834B (zh) * 2021-05-28 2022-09-13 宁波天立灯饰有限公司 一种多功能公园排椅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91300412A (en) * 1913-01-06 1913-09-18 Harold Wade Improved Process of Casting.
GB191500139A (en) * 1915-01-04 1915-07-22 Albert John Gurney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Apparatus for Mechanically Operating Railway Points and Switches.
US4412689A (en) * 1981-04-30 1983-11-01 Lee Byron D Folding support frame for stroller or the like
US4440540A (en) * 1977-02-24 1984-04-03 David Gottlieb Apparatus for lifting a wheelchair onto the roof of an automobile
GB2139178A (en) * 1983-04-26 1984-11-07 David Leslie Walker Wheelchair stowage apparatus for motor vehicle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00082A (en) * 1948-01-16 1952-06-10 Birdie V Sumner Boatloading device for automobile tops
US3878955A (en) * 1969-12-05 1975-04-22 Per E C Udden Wheel-chair transport device for a passenger car
US3608759A (en) * 1969-12-24 1971-09-28 Lawrence A Spurgeon Car top carrier
US4484851A (en) * 1977-02-24 1984-11-27 David Gottlieb Apparatus for lifting a wheelchair onto the roof of an automobile
US4242030A (en) * 1978-08-24 1980-12-30 Clement Clyde H Self-loading car-top carrier for wheelchairs or similar sized loads
US4376611A (en) * 1981-06-04 1983-03-15 Koop Bruce H Car top carrier for wheelchair
US4544321A (en) * 1983-10-26 1985-10-01 John Lanier Apparatus for moving a wheelchair into and out of an automobile
US4682719A (en) * 1984-01-30 1987-07-28 Pivot Manufacturing Company Vehicle top carrier
JPH0312598A (ja) 1989-06-12 1991-01-21 Asuku:Kk 放射線防護用手袋
DE4412689C2 (de) * 1994-04-13 1999-11-18 Wilhelm Saar Rollstuhldachkoffer
US5535929A (en) * 1994-07-13 1996-07-16 Neill; James M. Tip-off baggage carrier apparatu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91300412A (en) * 1913-01-06 1913-09-18 Harold Wade Improved Process of Casting.
GB191500139A (en) * 1915-01-04 1915-07-22 Albert John Gurney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Apparatus for Mechanically Operating Railway Points and Switches.
US4440540A (en) * 1977-02-24 1984-04-03 David Gottlieb Apparatus for lifting a wheelchair onto the roof of an automobile
US4412689A (en) * 1981-04-30 1983-11-01 Lee Byron D Folding support frame for stroller or the like
GB2139178A (en) * 1983-04-26 1984-11-07 David Leslie Walker Wheelchair stowage apparatus for motor vehicl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4033A (ko) 2017-12-19 2019-06-27 (주)화담알앤알 차량용 휠체어 적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011950T2 (de) 2005-09-08
ATE270536T1 (de) 2004-07-15
CA2299492C (en) 2005-09-20
KR20000058183A (ko) 2000-09-25
AU1949400A (en) 2000-08-31
AU759218B2 (en) 2003-04-10
DK1031336T3 (da) 2004-11-01
CA2299492A1 (en) 2000-08-25
US6273668B1 (en) 2001-08-14
EP1031336A1 (en) 2000-08-30
EP1031336B1 (en) 2004-07-07
DE60011950D1 (de) 2004-08-12
JP2000237238A (ja) 2000-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5692B1 (ko) 차량의 휠체어 수납장치
US6206449B1 (en) Side-to-side truck cover system
US5380144A (en) Deployable vehicle access ramp
US20030052505A1 (en) Side-to-side truck cover system
JP2008534358A (ja) 自動車用積荷スペースカバー
US6276742B1 (en) Roof and body mounted apparatus for covering automobile windshields
WO1997026176A9 (en) Vehicular clothing protector
US6050198A (en) Travelling mechanism of a rail-movable lifting device
KR101423323B1 (ko) 차량용 휠체어 이동 장치
US6168225B1 (en) Apparatus for covering automobile windshields
JP4924887B2 (ja) 車両用昇降装置
JP2007167110A (ja) 車両用シート
KR100439018B1 (ko) 화물차량 적재함의 자동덮개장치 및 그 개폐방법
KR20020010331A (ko) 자동차의 루프랙 장치
JP4046113B2 (ja) ワイヤハーネスの支持構造
US4113127A (en) Vehicle top loading mechanism
JP4166518B2 (ja) 自動車用サンバイザー装置
KR0119970B1 (ko) 자동차의 절첩식 리어시트구조
EP0495664A1 (en) Vehicle with raisable/lowerable roof
JP3927020B2 (ja) 乗用車用車椅子格納装置
KR200191648Y1 (ko) 차량의 스패어타이어 보관기구
KR102155856B1 (ko) 자동차용 시트의 이동 레일 구조체
JP3781359B2 (ja) 車両用ドア
KR101759173B1 (ko) 차량용 휠체어 가이드 장치
GB2251829A (en) Vehicle with raisable/lowerable ro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