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4784B1 - 코인 회전형 선별기 - Google Patents

코인 회전형 선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4784B1
KR100614784B1 KR1020000060887A KR20000060887A KR100614784B1 KR 100614784 B1 KR100614784 B1 KR 100614784B1 KR 1020000060887 A KR1020000060887 A KR 1020000060887A KR 20000060887 A KR20000060887 A KR 20000060887A KR 100614784 B1 KR100614784 B1 KR 100614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rail
roller
sorter
s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0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1944A (ko
Inventor
아베히로시
다나카요시노부
Original Assignee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81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1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4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4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3/00Sorting a mixed bulk of coins into denominations
    • G07D3/12Sorting coins by means of stepped deflectors
    • G07D3/128Rotary de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00Coin inlet arrangements; Coins specially adapted to operate coin-freed mechanisms
    • G07F1/02Coin slo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Co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체 선별기의 크기를 가능한한 감소시키기 위해 개발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합성 수지 성형 제품을 사용하여 전체 선별기를 경량화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본 발명은 직립된 정사각형의 두꺼운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베이스부(20)와, 상기 베이스부 상에 배치되며, 투입된 코인을 직립시키며 회전시키기 위한 레일(22) 및, 상기 레일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회전하는 코인의 상부 에지를 안내하며, 홈을 갖는 롤러(32)를 포함하는 코인 회전형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코인 회전형 선별기, 베이스부, 레일, 롤러, 슈트체, 프리즘, 홈

Description

코인 회전형 선별기{Coin Rolling Type Select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전방면의 상부로부터 경사지게 본 개략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전방 입면도.
도 3은 도 1의 실시예를 후방의 하부로부터 경사지게 본 개략 사시도.
도 4는 도 1의 후방도.
도 5는 도 1의 실시예의 일부를 제거하여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전방 입면도.
도 7은 도 5를 상부로부터 본 단면도.
도 8은 도 5를 상부로부터 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방 입면도.
도 10은 도 9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방 입면도.
도 12는 도 11을 우측의 약간 하부로부터 본 개략 단면도.
도 13a는 제 3 실시예의 주요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b는 제 3 실시예의 주요부를 도시한 전방 입면도.
도 14a는 종래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b는 종래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5는 제 2 종래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방 입면도.
도 16은 도 15를 좌측으로부터 본 개략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베이스부 22 : 레일
32 : 롤러 33 : 홈
본 발명은 투입된 코인의 진위 여부를 회전에 의해 선별하기 위한 코인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빠찡고 슬롯이라 칭하는 슬롯 머신과 같은 게임기에 사용되는 회전형 코인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원에 사용되는 용어 '코인'은 현재 유통되는 소형의 디스크형 코인을 포함한다. 또한, 본원에 사용되는 용어 '코인'은 게임에 사용되는 디스크형 메달 및 토큰 등을 포함한다.
종래, 코인 회전형 선별기는 메달 게임기 및 빠찡고 슬롯 머신 등에 사용된다. 예를 들면, 코인 회전형 선별기는 본 출원인에 허여된 일본 실용신안 출원 평4-23240호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일본 실용신안 출원 평4-23240호에 개시된 회전형 선별기는 일본 실용신안 공개 평6-25963호로 일반에 공개되었다. 상 기 일본 실용신안 출원 평4-23240호에 개시된 회전형 선별기는 미국특허 제 5,293,981호로 허여되었다.
일본 실용신안 출원 평4-23240호에 개시된 회전형 선별기는 도 14a에 개략 사시도로, 도 14b에 단면도로 도시한다.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한 회전형 선별기에서, 코인은 상부 지불 마우스(1) 내로 투입된다. 투입된 코인은 대형 프레임(4)의 하부 에지에 형성된 직선형 레일(7) 상에 회전하며 낙하된다. 코인(A)이 진품이면, 박판 가이드(thin plate guide)(10)와 도어 보드(5)(도 14b의 단면도 참조) 사이에 유지함으로써 회전이 더욱 계속된다. 코인(A)이 위조품이며, 작은 직경을 가지면, 코인(A)은 낙하되며, 가이드(10) 또는 도어 보드(5)로부터 배출된다.
코인(A)이 위조품이며, 큰 직경을 가지면, 코인(A)은 회전하지 않으며 가이드(10) 등에 의해 정지된다. 이 경우, 도어 보드(5)가 스프링(도시 않음)에 대항하여 이동되면, 아암(11)은 힌지 샤프트(8)에 의해 또한 이동된다. 따라서, 가이드(10) 등에 의해 정지된 코인은 낙하된다.
매우 개선된 회전형 선별기가 본 출원인에 허여된 일본 특허 출원 평10-324355호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일본 특허 출원 평10-324355호에 개시된 회전형 선별기는 일본 특허 공개 2000-123217호로 일반에 공개되었다.
상기 일본 특허 출원 평10-324355호에 개시된 회전형 선별기는 도 15에 전방 입면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또한 도 16은 도 15를 좌측으로부터 본 개략 단면도이다. 상기 일본 특허 출원 평10-324355호에 개시된 회전형 선별기는 도 16에 도시한 상태에서 사용된다. 즉, 회전형 선별기는 한쌍의 롤러(53,55)에 의해 거친 단면의 V형 소형 홈(56)을 형성함으로써 사용된다. 이 상태에서, 코인(C)은 선별기의 상부 개구부(21)로 투입된다. 투입된 코인(C)은 원호형 통로(22)(도 15 참조)에 의해 안내되며 회전된다.
다음, 선별된 상기 코인(C)이 진품이면, 원호형 통로(22)를 통과한다. 즉, 진품 코인(C)의 하부 에지는 원호형 통로(22)에 의해 안내된다. 유사하게, 진품 코인(C)의 상부 에지는 한쌍의 롤러(53,55)의 소형 홈(56)에 의해 안내된다. 따라서, 코인(C)이 진품 코인이면, 원호형 통로(22)를 원활하게 통과한다. 또한, 본 예에서, 한쌍의 롤러(53,55)는 회전 가능하다. 이 결과, 진품 코인(C)은 원활하고 신속하게 원호형 통로(22)를 통과한다.
개구부(21) 내에 투입된 코인이 위조품이면, 원호형 통로(22)를 통과하지 않는다. 즉, 투입된 코인의 직경이 작으면, 코인은 소형 홈(56)의 상부로부터 일탈되어 낙하된다. 또한, 작은 직경의 코인이 진동하면, 상기 코인의 외관은 증가하며 마치 진품 코인인 것처럼 된다. 이 경우, 스프링(57)이 상기 코인 상에 작용한다(도 16 참조).
즉, 스프링(57)이 코인의 진동을 흡수한다. 이 결과, 작은 직경의 코인은 낙하되며 한쌍의 롤러(53,55)로부터 배출된다. 개구부(21) 내에 투입된 코인의 직경이 크면, 원호형 통로(22)를 또한 통과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큰 직경의 코인의 상부 에지는 롤러(53,55)를 타격하며 정지된다. 이 경우, 힌지 샤프트(32)의 상부 주위의 도어(31)를 개폐함으로써, 큰 직경의 코인은 낙하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코인 회전형 선별기는 측방향으로 대형인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하면, 종래의 회전형 코인 선별기의 크기가 일반적으로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종래의 회전형 코인 선별기는 모든 부품이 거의 금속이기 때문에 무겁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즉, 본 발명은 전체 선별기의 크기를 가능한한 감소시키기 위해 개발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합성 수지 성형 제품을 사용하여 전체 선별기를 경량화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코인 선별의 변화에 따른 크기 변화를 단순화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본 발명은 코인 회전형 선별기에 관한 것이며, 상기 코인 회전형 선별기는 직립된 대략 정사각형의 두꺼운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베이스부(20)와, 상기 베이스부 상에 배치되며 투입된 코인을 직립시키며 회전시키기 위한 레일(22) 및, 상기 레일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회전하는 코인의 상부 에지를 안내하며 홈을 갖는 롤러(32)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코인 회전형 선별기에서, 상기 레일은 가느다란 금속이며 상기 베이스부 상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코인 회전형 선별기에서, 상기 롤러는 수지 성형 제품이며 상기 베이스부 상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실시예의 형태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전방면의 상부로부터 경사지게 본 개략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전방 입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실시예를 후방의 하부로부터 경사지게 본 개략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의 후방도이며, 도 5는 도 1의 실시예의 일부를 제거하여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전방 입면도이며, 도 7은 도 5를 상부로부터 본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5를 상부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회전형 선별기는 직립 형상의 플랫 박스이다(도 1 참조). 본 실시예에서, 대략 5각형인 커버체(50)는 대략 정사각형인 베이스부(20)의 상부의 지점(51)에서 선회된다.
커버체(50)는 중공의 합성 수지 성형 제품이며, 도 5는 상기 커버체(50)를 제거하여 도시하고 있다. 코인은 선별기의 상부 코너에 형성된 개구부(21)로부터 적용된다. 또한, 코인의 직경에 비례하여 조정 가능한 가이드부(19)는 스크류에 의해 인접 개구부(21)에 고정된다. 개구부(21)로부터 배출된 코인은 하향 만곡된 레일(22)(도 5 참조)에 의해 출구(24)로 안내된다. 즉, 선별기의 상부 코너로부터 배출된 코인은 가장 이격된 하부 코너를 향해 직립되며 회전한다.
다음, 선별기의 상부 코너로부터 배출된 코인의 회전이 정지될 때, 상기 코인은 최근접 하부 코너에 낙하된다. 즉, 개구부(21)로부터 배출된 코인의 회전이 정지될 때, 상기 코인은 하부의 배제판(cancel board)(28) 내로 낙하된다. 또한, 가느다란 금속 레일(22)은 수지 성형 제품인 베이스부(2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베이스부(20)의 상부 코너로부터 가장 이격된 하부 코너로 하향 만곡된 좁은 홈 내에는, 레일(22)이 탄성력에 저항하며 고정된다. 개구부(21)에 인접한 베이스부(20) 상에는, 약간 대형의 대략 부채꼴 형상인 오목부를 갖는 윈도우(23)가 개방되어 있다(도 6 참조).
다음, 상기 윈도우(23)의 하부 에지부 부근에는, 약간 대형의 대략 십자형인 배제판(25)이 지점(26)에서 선회된다(도 3 참조). 또한, 배제판(25)의 수평 단부인 초승달 형상 부품(25M)이 윈도우(23)를 개폐하도록 배치된다. 수지 성형 제품인 배제판(25)은 장치 내에 적재된 코인을 분리 및 배제시킨다. 배제판(25)의 L형상 상부 단부(25T)의 선단부에는, 돌출부(25P)가 형성된다(도 9 참조). 상기 돌출부(25P)는 스프링에 대항하여 커버체(50)를 개폐시키기 위한 작동부로서 사용된다.
또한, 배제판(25)의 상부 단부(25T)는 베이스부(20) 상에 홈을 갖는 각형성 케이스(25C) 내로 대부분 삽입된다. 부채꼴 형상 윈도우(23)의 접촉 지점인 베이스부(20)에서, 금속 돌출 샤프트(31)가 커버체(50)를 향해 고정된다. 도 3의 상부에 도시한 대략 L형상인 배제 레버(27)는 적합하게 배치된 수지 성형 제품이다. 상기 배제 레버(27)는 돌출 샤프트(31)의 외측 단부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 레버(27)가 돌출 샤프트(31) 주위로 회전할 때, 배제판(25)은 피봇 샤프트(26)의 중심선에서 회전한다.
이 결과, 윈도우(23)는 초승달 형상 부품(25M)에 의해 개폐된다. 돌출 샤프트(31)의 내부 단부 상에는, 수지 성형 제품인 롤러(32)가 회전 가능하며 착탈 가 능하게 장착된다. 다음, 롤러(32)의 외측 단부에서의 전체 주변부 상에는, 단면이 대략 U형상을 갖는 홈(33)이 형성된다(도 5 참조). 상기 홈(33)은 레일(22)을 하향 회전시키는 직립 코인의 주변 에지부의 상부를 안내한다. 또한, 홈(33)의 외측 상부면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코인의 에지는 롤러(32)의 홈(33) 내로 안내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커버체(50)는 대략 5각형인 중공의 수지 성형 제품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커버체(50)의 상부는 피봇 샤프트(51) 및 스프링에 의해 베이스부(20)의 상부에서 개방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약간 소형의 J형상 압박 부품(53)이 각각의 상부에서의 커버체(50) 상의 지점(55)에서 선회된다(도 2의 우측 참조). 수지 성형 제품인 압박 부품(53)은 커버체(50) 내로 요동(swing)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압박 부품(53)은 코인의 진동이 흡수되도록 베이스부(20) 상을 통과하는 코인을 약간 압박한다.
따라서, 소형 스프링(56)이 커버체(50)와 압박 부품(53) 사이에 배치된다(도 2 참조). 피봇 샤프트(55) 상에는, 약간 대형의 Γ-형상 가압 부품(57)이 또한 요동 가능하게 연장되어 있다. 수지 성형 제품인 상기 가압 부품(57)은 그의 돌출부(54)에 의해 베이스부(20)에 대해 롤러(32)를 약간 가압한다. 다시 말하면, 롤러(32)는 가압 부품(57)의 중앙부에서 돌출부(54)에 의해 정확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소형 스프링(58)은 가압 부품(57)과 커버체(50) 사이에 배치된다(도 2 참조).
기다란 가압 부품(57)은 상기 스프링(58)에 의해 커버체(50)로부터 해방된다. 즉, 커버체(50)가 배제시에 개폐될지라도, 가압 부품(57)은 정지된다. 따라 서, 코인은 커버체(50)가 개폐될지라도, 가압 부품(57)에 의해 배제 로드(28)로 안내된다. 소형의 구형체(spherical body)(59)는 커버체(50)의 중앙 내부에 배치된다(도 2 참조). 상기 구형체(59)는 베이스부(20)에 접근 가능하게 배치된다.
구형체(59)는 진품 코인의 두께에 비례하여 코인 통로의 폭을 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3의 좌하부에 도시한 소형의 직사각형체는 솔레노이드(61)이다. 솔레노이드(61)의 플런저 상에는, 소형의 타원형 링크(62)가 선회된다. 또한, 링크(62)의 선단부에는, 수직 샤프트(63)가 선회된다. 다음, 수직 샤프트(63)의 하부 단부에는, 합성 수지 성형 제품인 대략 F형상의 게이트(65)가 고정된다. 게이트(65)의 하부 베이스 단부는 베이스부(20) 상의 지점(66)에서 선회된다(도 4 참조). 게이트(65)의 상부 선단부(67)는 레일(22) 상부로 자유롭게 돌출된다(도 7 및 도 8 참조).
상기 피봇 샤프트(26) 상에는, 대략 활(bow) 형상인 서브 게이트(72)가 또한 힌지 연결된다(도 3 참조). 또한, 소형 스프링(도시 않음)은 수지 성형 제품인 서브 게이트(72)와 배제부(25) 사이에 배치된다. 다음, F형상 게이트(65)의 중앙부는 서브 게이트(72)의 베이스 단부(71)에 자유롭게 접촉한다. 따라서, 솔레노이드(61)가 여기될 때, 게이트(65)는 스프링에 대항하여 피봇 샤프트(66) 주위로 회전된다. 이 결과, 게이트(65)의 상부 선단부(67)는 레일(22)의 높은 위치로부터 이격된다.
동시에, 게이트(65)의 중앙부는 서브 게이트(72)의 베이스 단부(71)와 접촉하며, 상기 서브 게이트를 이동시킨다(도 7의 점선 참조). 따라서, 투입된 코인은 게이트(72,67)에 의해 정지되지 않고 레일(22)을 통과한다. 즉, 솔레노이드(61)가 여기될 때, 코인은 레일(22) 상을 회전하며 출구(24)로 안내된다. 또한, 출구(24)로 안내된 코인은 예를 들면 현금 보관 박스(도시 않음) 내에 저장된다. 솔레노이드(61)가 여기되지 않을 때, 스프링이 작동되며, 게이트(65)는 피봇 샤프트(66) 주위로 회전된다.
이 결과, 게이트(65)의 상부 선단부(67)는 레일(22) 상부에 배치된다(도 8 참조). 동시에, 게이트(65)의 중앙부는 서브 게이트(72)의 베이스 단부(71)로부터 분리된다. 서브 게이트(72)는 자유로워지며 스프링(도시 않음)의 작용에 의해 레일(22)의 상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개구부(21)로부터 배출된 코인은 서브 게이트(72)(도 5 참조)에 의해 배제 로드(28)로 안내된다. 따라서, 게이트(65)의 상부 선단부(67)는 코인에 의해 손상되지 않는다. 투입된 코인이 서브 게이트(72)의 지점을 통과할 때, 상기 코인은 배제된다.
이 경우에도, 코인은 게이트(65)의 상부 선단부(67)에 의해 배제 로드(28)로 확실하게 안내된다. 즉, 솔레노이드(61)가 오프될 때, 레일(22) 상을 이동하는 진품 코인은 또한 정지되며 낙하된다. 레일(22)의 하부 단부 부근에는, 코인을 카운팅하는 센서(S)가 적합하게 배치된다(도 6 참조). 상기 센서(S)는 예를 들면 레일(22)을 통과하는 코인을 자기적으로 및 광학적으로 검출한다.
[제 1 실시예]
본 실용예의 회전형 선별기는 솔레노이드(61)가 온 상태에서 상술한 구성 부 품으로 구성된 것이 사용된다. 즉, 게이트(65)의 상부 선단부(67)와 서브 게이트(72)는 레일(22)의 높은 위치로부터 제거되며, 선별기가 사용된다(도 7 참조). 상기 상태에서, 코인이 개구부(21) 내에 적용될 때, 코인은 직립하며 레일(22)을 따라 회전한다. 따라서, 직립 및 회전하는 코인이 진품이면, 코인은 레일(22)을 통과한다. 즉, 코인이 선별된 코인이면, 코인은 레일(22)을 통과한다. 다시 말하면, 회전하는 코인의 하부 에지는 레일(22)에 의해 안내되며, 상부 에지는 롤러(32)의 홈(22)에 의해 안내된다(도 5 참조).
따라서, 코인이 진품인 경우, 코인은 레일(22)을 원활하게 통과하며 하향으로 더욱 회전된다. 또한, 이 경우 롤러(32)가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진품 코인은 원활하고 신속하게 통과된다. 따라서, 각각의 스프링(56,58)은 각각 소정의 약한 탄성을 갖는다(도 2 참조). 또한, 개구부(21) 내로 투입된 코인이 진품이 아니며 작은 직경을 갖는 경우, 레일(22)을 통과하지 않는다. 이 경우, 코인의 하부 에지가 레일(22)에 의해 안내될지라도, 코인의 상부 에지는 안내되지 않는다.
따라서, 작은 직경의 코인은 레일(22)로부터 일탈되며, 커버체(50) 내로, 즉 배제 로드(28) 내로 낙하된다. 또한, 작은 코인이 진동하여 외관의 직경이 증가되면, 코인은 마치 진품인 것처럼 된다. 이 경우, 코인의 진동은 스프링(56)에 의해 흡수된다. 따라서, 코인의 직경이 작을 때, 코인은 확실히 배제되어 롤러(32)로부터 배출된다. 또한, 개구부(21) 내로 투입된 코인이 진품이 아니며 큰 직경을 갖는 경우, 기다란 레일(22)을 통과하지 않는다.
큰 코인의 하부 에지가 레일(22)에 의해 안내될지라도, 상기 코인의 상부 에 지는 롤러(33)에 의해 타격된다. 다시 말하면, 코인의 직경이 클 때, 코인은 레일(22)과 롤러(32) 사이에 접촉하게 되며 회전하지 않는다. 이 경우, 배제부(25)는 피봇 샤프트(26) 주위로 이동되며, 다음 코인은 배제 로드(28) 내로 낙하된다. 즉, 초승달 형상 보드(25M)는 배제부(25)의 작동에 의해 이동된다. 동시에, 작동 부품(25P)에 의해 커버체(50)는 개폐된다(도 11 참조). 또한, 롤러(32) 상의 홈(33)의 가이드 슬로프(guide slope)는 본 제 1 실시예에서는 한 개이지만, 두 개의 가이드 슬로프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롤러(32)의 외측 단부에서의 전체 주변부 상에는, 단면이 대략 U형상을 갖는 홈(33)이 형성된다(도 5 참조). 상기 홈(33)은 레일(22)을 회전하며 하강하는 직립 코인의 주변 에지의 상부를 안내한다. 따라서, 홈(33)은 단면이 대략 V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홈(33)은 단면이 대략 L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홈(33)의 외측 상부면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코인의 에지는 롤러(32)의 홈(33) 내로 안내된다. 따라서, 롤러(32) 상의 홈(33)의 가이드 슬로프의 수는 두 개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선별 코인이 변화될 때, 단지 롤러(32) 변화로만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선별 코인의 직경이 변화될 때, 롤러(32)의 대체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선별 코인의 두께가 변화될 때, 롤러(32)의 대체로 행할 수 있다. 솔레노이드(61)는 사용중에 여기되며 문제가 발생할 때 여기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이 경우, 개구부(21) 내로 투입된 코인이 진품일지라도 코인은 배제된다.
[제 2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방 입면도이며, 도 10은 도 9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1 내지 도 8에 사용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재차 사용한다. 즉, 제 1 실시예의 부분과 동일한 제 2 실시예의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본 제 2 실시예의 특징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물고기 꼬리 형상인 슈트체(shoot body)(10)이다. 상기 슈트체(10)는 약간 탄성을 갖는 합성 수지 성형 제품이며, 베이스부(20) 상에 자유롭게 설치된다.
또한, 슈트체(10)는 베이스부(20)의 출구(24)로부터 배출된 코인을 소정의 위치로 안내하기 위해 사용된다. 슈트체(10)는 베이스 플레이트 부분(9)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부분(9) 상에 일체적으로 직립된 가이드 보드 부분(7)으로 매우 이격되어 구성되어 있다. 가느다란 베이스 플레이트 부분(9)은 출구(24)에서 레일(22)과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도 9 참조). 약간 기다란 가이드 보드 부분(7)은 베이스 플레이트 부분(9)의 한 측부에 일체적으로 직립되며, 상기 가이드 보드 부분의 하부 단부는 만곡된다. 다음, 가이드 보드 부분(7)의 상부 단부에는, 커플러 수단을 구성하는 한 쌍의 수형 부분(male division:6)이 일체로 형성된다.
각각의 수형 부분(6)은 각각 대략 중공의 삼각추 형상을 형성하는 한 쌍의 가이드 부분(5)을 갖는다. 또한, 각각의 수형 부분(6)은 한 쌍의 가이드 부분(5) 사이에 각각 약간 소형의 L형상인 후크 부분(3)을 갖는다(도 10 참조). 또한, 상기 가이드 부분(5) 및 후크 부분(3)은 각각 탄성을 갖는다. 상술한 커플러 수단을 구성하는 한 쌍의 암형 부분(female division)은 베이스부(20)의 출구(24) 부근에 각각 형성된다. 각각의 암형 부분은 한 쌍의 가이드 부분(5)을 각각 수용하는 사다리꼴 구멍(12)을 갖는다.
다음, 각각의 암형 부분은 한 쌍의 삽입된 가이드 부분(5)을 안내하는 한 쌍의 경사진 벽(13)을 각각 갖는다. 게다가, 각각의 암형 부분은 느슨하지 않게 수형 부분(6)을 유지하기 위한 정지벽(15)을 갖는다. 따라서, 슈트체(10)가 베이스부(20) 상에 설치될 때, 각각의 수형 부분(6)은 먼저 각각의 구멍(12) 내로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대략 중공의 원추 형상인 한 쌍의 가이드 부분(5)은 탄성에 대항하여 사다리꼴 구멍(12) 중 하나에 삽입된다. 따라서, 슈트체(10)는 내부 및 외부에 상관 없이 베이스부(20)에 정확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다음, 슈트체(10)를 베이스부(20)에 대해 압박함으로써, 후크 부분(3)의 선단부는 가압되며, 구멍(12) 내로 삽입된다. 다시 말하면, 슈트체(10)는 압박되며 후크 부분(3)의 선단부는 탄성에 대항하여 구멍(12) 내로 삽입된다. 후크 부분(3)의 선단부가 구멍(12) 내로 삽입될 때, 전체 수형 부분(6)은 구멍(12) 내로 대부분 삽입된다. 따라서, 구멍(12)을 관통하는 후크 부분(3)은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정지벽(15)에 파지된다. 즉, 후크 부분(3)은 정지벽(15) 상에 걸리게 되며, 슈트체(10)는 베이스부(20)로부터 느슨하지 않게 유지된다.
상기 슈트체(10)가 베이스부(20)로부터 분리될 때, 먼저 슈트체(10)는 베이스부(20)로부터 분리되기 위해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후크 부분(3)의 선단부는 탄성에 대항하여 가압에 의해 하강된다. 다시 말하면, 후크 부분(3)의 선단부는 정지벽(15)으로부터 제거되도록 압박되며 구멍(12) 내로 삽입된다. 후크 부분(3)의 선단부가 구멍(12) 내로 삽입될 때, 수형 부분(6)은 암형 부분으로부터 원활하게 분리된다. 이 결과, 슈트체(10)는 베이스부(20)로부터 분리된다(도 10 참조).
[제 3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방 입면도이며, 도 12는 도 11을 우측의 약간 하부로부터 본 개략 단면도이며, 도 13a는 제 3 실시예의 주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3b는 제 3 실시예의 주요부를 도시한 전방 입면도이다. 또한, 도 1 내지 도 8에 사용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재차 사용한다. 즉, 제 1 실시예의 부분과 동일한 제 3 실시예의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본 제 3 실시예의 특징은 대략 루프(roof) 형상을 갖는 프리즘이다(도 13 참조). 상기 프리즘은 투명의 합성 수지 성형 제품이며, 직사각형 박판인 장착 보드 부분(P0)을 갖는다. 장착 보드 부분(P0)의 단부에는, 대략 직각 삼각형 형상의 단부면을 갖는 제 1 반사 부분(P1)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제 1 반사 부분(P1)의 선단부 에지에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인 단부면을 갖는 제 2 반사 부분(P2)이 일체로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루프 형상의 제 2 반사 부분(P2)은 직사각형 장착 보드 부분(P0)의 중앙부 상부에 배치된다. 즉, 루프 형상의 제 2 반사 부분(P2)은 통로(PS)를 가지며 장착 보드 부분(P0)에 배치된다. 프리즘 장착 보드 부분(P0)은 탄성력에 저항하여 약간 대형의 전자 회로용 기판(CB) 상에 설치된다(도 16 참조). 기판(CB)은 3개의 발광기(light emitter)(LE) 및 3개의 광검출기(photodetector)(R1,R2,R3)를 기판 표면 상에 노출시킨다.
상기 3개의 발광기(LE)는 제 1 반사 부분(P1)에 광을 각각 복사한다. 각각의 발광기로부터 복사된 광은 먼저 제 1 반사 부분(P1)에 의해 각각 반사된다. 제 1 반사 부분(P1)에 의해 반사된 광은 제 2 반사 부분(P2)에서 재차 반사된다. 제 2 반사 부분(P2)에 의해 반사된 각각의 광은 통로(PS)를 각각 통과한다. 통로(PS)를 통과한 각각의 광은 광검출기(R1,R2,R3)에서 각각 검출된다. 또한, 프리즘을 갖는 기판(CB)은 탄성력에 저항하여, 롤러(32) 부근의 베이스부(20) 상에 설치된다 (도 11 참조).
진품 코인이 레일(22)의 상부로부터 직립되며 회전될 때, 코인의 상부 에지는 통로(PS)를 통과한다. 진품 코인이 통로(PS)를 통과할 때, 코인은 코인의 카운팅을 위해 두 개의 광검출기(R1,R2)를 통과한다. 제 3 광검출기(R3)는 오류 등에 의한 부정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제 3 광검출기(R3)가 무언가를 검출하면, 예를 들면 상기 선별기가 설치된 장치(도시 않음)는 정지된다. 프리즘을 갖는 기판(CB) 하부에 도시한 기다란 Z형상 부재는 부정 방지용 금속 플레이트(MT)이다.
상기 금속 플레이트(MT)는 고정되므로 상부 단부는 프리즘 통로(PS)를 형성할 수 있다(도 12 참조). 커버체(50)가 배제시에 개방될 때, 금속 플레이트(MT)는 통로(PS) 부근의 이격을 방지한다. 다시 말하면, 금속 플레이트(MT)를 설치함으로써, 코인 카운팅용 광검출기(R1,R2)는 외부로부터 작동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지 단일 구성 부품을 조합함으로써, 전체 선별기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지 단일 구성 부품을 조합함으로써, 전체 선별기를 경량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선별된 코인의 크기는 코인 안내용 롤러만을 변화시킴으로써 용이하게 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일은 착탈 가능하므로, 레일은 오염이 발생할지라도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다.

Claims (3)

  1. 직립된 정사각형의 두꺼운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베이스부(20)와,
    상기 베이스부 상에 배치되며, 투입된 코인을 직립시키며 회전시키기 위한 레일(22) 및,
    상기 레일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회전하는 코인의 상부 에지를 안내하며, 홈을 갖는 롤러(32)를 포함하는 코인 회전형 선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가느다란 금속이며 상기 베이스부 상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회전형 선별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수지 성형 제품이며 상기 베이스부 상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회전형 선별기.
KR1020000060887A 2000-02-15 2000-10-17 코인 회전형 선별기 KR1006147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36091A JP4235723B2 (ja) 2000-02-15 2000-02-15 転動式コインセレクタ
JP2000-036091 2000-02-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1944A KR20010081944A (ko) 2001-08-29
KR100614784B1 true KR100614784B1 (ko) 2006-08-25

Family

ID=18560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0887A KR100614784B1 (ko) 2000-02-15 2000-10-17 코인 회전형 선별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235723B2 (ko)
KR (1) KR100614784B1 (ko)
AU (1) AU766271B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6767B1 (ko) 2017-03-13 2018-05-10 (주)에이텍티앤 동전감별 모듈의 동전걸림 방지기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7198A (ko) * 1987-10-06 1989-06-19 이께베 이와요 주화 분류장치
KR920003215A (ko) * 1990-07-16 1992-02-29 이께베 이와오 동전선별장치
KR920005030A (ko) * 1990-08-10 1992-03-28 이께베 이와오 경화 선별 장치
KR920013172U (ko) * 1990-12-29 1992-07-27 박태원 동전투입기
KR930007270Y1 (ko) * 1986-11-25 1993-10-15 가부시기가이샤 닛고오 푸란도 전착도장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154782C3 (de) * 1971-11-04 1974-10-31 National Rejectors Inc. Gmbh, 2150 Buxtehude Anordnung zum Führen von Münzen in einer Münzprüfvorrichtung
US4544058A (en) * 1984-04-04 1985-10-01 Nathan Choderker Coin acceptor
US5293781A (en) * 1987-11-09 1994-03-15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Tunnel effect measuring systems and particle detector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7270Y1 (ko) * 1986-11-25 1993-10-15 가부시기가이샤 닛고오 푸란도 전착도장장치
KR890007198A (ko) * 1987-10-06 1989-06-19 이께베 이와요 주화 분류장치
KR920003215A (ko) * 1990-07-16 1992-02-29 이께베 이와오 동전선별장치
KR920005030A (ko) * 1990-08-10 1992-03-28 이께베 이와오 경화 선별 장치
KR920013172U (ko) * 1990-12-29 1992-07-27 박태원 동전투입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6767B1 (ko) 2017-03-13 2018-05-10 (주)에이텍티앤 동전감별 모듈의 동전걸림 방지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1944A (ko) 2001-08-29
JP2001229431A (ja) 2001-08-24
AU1669201A (en) 2001-08-16
AU766271B2 (en) 2003-10-09
JP4235723B2 (ja) 2009-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08215A1 (en) "money item dispensing apparatus"
US7666076B2 (en) Coin fee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biasing a release of coins
JP2002282413A (ja) 遊技機の投入メダル検知装置
US5931732A (en) Apparatus for dispensing disks
JP3864388B2 (ja) 円板体選別装置
KR100614784B1 (ko) 코인 회전형 선별기
JP4161600B2 (ja) 投入メダル選別装置
US6595343B1 (en) Coin rolling-type selector
JP3547125B2 (ja) メダルセレクタ
JP2008148728A (ja) 投入メダル選別装置及び遊技機
JP4258751B2 (ja) 転動式コインセレクタ
US6283267B1 (en) Coin selector assembly
JP2002263257A (ja) 遊技機の投入メダル選別装置
JP2002260048A (ja) 遊技機の投入メダル選別装置
JP6182766B2 (ja) コインセレクタ
JP2534816B2 (ja) 硬貨リジェクト装置
JP2002248210A (ja) 遊技機の投入メダル選別装置
JP7127829B2 (ja) 遊技機
JPH0947551A (ja) パチンコ機の球タンク
KR940003712Y1 (ko) 주화 송출 장치의 출구 장치
JP2001006011A (ja) メダル選別装置
JP6303645B2 (ja) 遊技機のメダル選別装置および遊技機
JP2000306133A (ja) ホッパー型コイン払出し装置のコイン払出し用可動誘導体
JP2002172203A (ja) 遊技機の投入メダル選別装置
JP2000123217A (ja) コイン転動式のセレ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