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2802B1 - 난연성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 Google Patents

난연성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2802B1
KR100612802B1 KR1020027001794A KR20027001794A KR100612802B1 KR 100612802 B1 KR100612802 B1 KR 100612802B1 KR 1020027001794 A KR1020027001794 A KR 1020027001794A KR 20027001794 A KR20027001794 A KR 20027001794A KR 100612802 B1 KR100612802 B1 KR 100612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assium
sodium
sulfonate
phosphonate
molding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1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6569A (ko
Inventor
제임스 와이. 제이. 정
시바람 크리쉬난
윈프리드 지. 폴
Original Assignee
바이엘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엘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바이엘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20026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6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2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28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41Compounds containing sulfur bound to oxygen
    • C08K5/42Sulfonic acids;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43Compounds containing sulfur bound to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300/22Thermoplastic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08L2666/04Macromolecular compounds according to groups C08L7/00 - C08L49/00, or C08L55/00 - C08L57/00;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1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및 절대첨가량의 안정화제 및 염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이 개시된다. 이 조성물은 스플레이(splay)가 없으며 난연 특성이 향상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안정화제는 폴리(알킬 메타크릴레이트)와 플루오르화 폴리올레핀의 물리적 혼합물이며, 염은 퍼플루오로알칸 술폰산, 방향족 술피미드 또는 방향족 술폰산의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이다.
폴리카르보네이트, 난연성, 안정화제, 염

Description

난연성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Flame Retardant Polycarbonate Composition}
본 발명은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 더욱 구체적으로는 난연성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미국특허 제3,028,365호 (1962년 4월)의 발행 이후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는 사출성형, 압출 및 필름 형성을 비롯한 광범위한 용도에 적합한 열가소성 수지로서 공지 및 인정되었다. 이들 폴리카르보네이트의 화학적 성질, 합성, 특성 및 용도가 문헌 [Chemistry and Physics of Polycarbonates, Schnell, Interscience, 1964] 및 [Polycarbonates, Christopher and Fox, Reinhold, 1962]에서 집중적으로 검토되었다.
폴리카르보네이트가 일부 고유의 내화성을 갖기는 하나, 자가소화성, 심지어 난연성이 요구되므로 이러한 특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수많은 시도가 있었다. 두가지 일반적인 접근법이 수행되었다.
그중 하나의 접근이 할로겐, 특히 브롬 또는 염소의 충분량을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에 첨가하는 것이다. 할로겐은 미국특허 제3,751,400호 및 제3,334,154호에서와 같이 폴리카르보네이트 중합체 사슬에 의해, 또는 미국특허 제3,382,207호에서와 같이 단량체 화합물에 의해 첨가될 수 있다. 그러나, 충분량의 할로겐의 존재가 폴리카르보네이트의 특성에 해로운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러한 해로운 효과를 극복하기 위해 미국특허 제3,647,747호 및 제3,733,295호에 많은 첨가제들이 제안되었다.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TFE)을 함유하는 난연성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이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미국특허 제4,391,935호에는 또한 특정 염을 포함하는 이들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미국특허 제3,294,871호에는 열가소성 중합체를 PTFE의 라텍스와 혼합하여 PTFE 및 열가소성 중합체의 실질적으로 균질한 분산 혼합물을 생성하고, 이로부터 휘발물을 제거함으로써 조성물을 회수하는 것을 포함하는 PTFE 및 열가소성 중합체를 함유하는 성형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들 중합체 폴리카르보네이트는 제3단 제6행 내지 제8행에 열거되어 있다. 개시된 조성물들은 충격강도, 용융지수, 마찰계수, 낮은 수분 투과성 및 증가된 HDT 면에서 유리한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미국특허 제3,005,795호에는 미분된 미소섬유 및 서브미소섬유상 입자의 형태로 PTFE 수지를 함유하는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폴리카르보네이트는 적합한 매트릭스로서 제3단 제18행 내지 제19행에 개시되어 있다. 폴리카르보네이트 10 내지 40 %를 첨가하여 PTFE 수지의 성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미국특허 제3,290,412호에 개시되어 있다.
미국특허 제3,723,373호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에 PTFE 에멀젼을 첨가하여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프랑스특허 제1,412,767호에는 PTFE의 성형성과 결부된 문제점들이 제시되어 있다.
문헌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 Lontz et al., Vol. 44, No. 8 (1952) p1800]에는 PTFE의 특성을 형성하는 필름의 일반적인 분산 특성이 기재되어 있다. 전해질 또는 다른 용매들의 첨가에 의해, 또는 다른 방법에 의해 분산물을 응집시키는 것 또한 개시되어 있다.
독일공보 DE-OS 33 22 260호에는 ABS와 공침전되어 폴리카르보네이트에 첨가된 PTFE가 개시되어 있다. 관련 기술이 PTFE 및 ABS의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는 EP-OS 0,154,138호, 폴리아미드 및 PTFE의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는 DE-OS 34 17 476호, 및 PTFE와 공침전된 ABS의 시스템에 관한 DE-OS 34 18 750호에 개시되어 있다. DE-OS 34 20 002호, DE-OS 34 22 862호, DE-OS 35 12 638호 (EP-OS 0,174,493호와 같음), DE-OS 29 48 439호 및 미국특허 제4,208,489호 또한 관련이 있다.
미국특허 제3,940,455호에는 탄성중합체를 용매에 용해시키고 PTFE를 혼입하여 현탁액을 형성하고, 이어서 이 현탁액을 비용매와 혼합시킴으로써 공침전하여 테플론 (Teflon, 등록상표)을 탄성 탄화수소에 혼입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공침전물은 향상된 물리적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개시되어 있다.
또한, 미국특허 제4,753,994호에 폴리카르보네이트와 플루오로중합체의 공침전물을 함유하는 난연성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열가소성 SAN 공중합체에 의해 캡슐화된 플루오로중합체 수지 입자를 함유하는 난연성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는 EP 899 303호도 관련이 있다. 미국특허 제5,773,493호에는 PTFE와 같은 첨가제를 열가소성 중합체에 분산시키는 방법 및 성형 조성물의 제조시 상기 방법의 생성물의 용도가 기재되어 있다.
발명의 개요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및 절대첨가량의 안정화제 및 염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이 조성물은 스플레이(splay)가 없으며, 난연성이 향상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안정화제는 폴리(알킬 메타크릴레이트)와 플루오르화 폴리올레핀의 물리적 혼합물이며, 염은 퍼플루오로알칸 술폰산, 방향족 술피미드 또는 방향족 술폰산의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이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및 절대첨가량의 안정화제(Stabilizer) 및 염(Salt)을 포함한다. 안정화제 및 염의 전체 첨가량은 조성물의 중량에 대해 약 0.65 내지 4.0 %이며, 단, 예를 들어, 염의 양이 0.1 % 이하이면, 안정화제의 양은 0.5 %를 넘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UL-94 표준에 따른 가연성 등급이 1/16" 두께의 시험편에서 적어도 V-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그로부터 성형된 물품이 실질적으로 스플레이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플레이란 일반적으로 성형 물품의 유동 방향을 따라 은-백 줄무늬로서 나타나는 표면 결함을 의미한다. 스플레이는 특히 어둡거나 짙은 색상의 조성물의 성형 물품 표면에 뚜렷이 나타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조에 적합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는 호모폴리카르보네이트 및 코폴리카르보네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이다.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일반적으로 10,000 내지 200,000, 바 람직하게는 20,000 내지 80,000이며, 300 ℃에서 ASTM D-1238에 따른 용융유동율은 약 1 내지 약 65 g/10 분,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15 g/10 분이다. 이들은 예를 들어 중축합에 의해 포스겐과 같은 탄산 유도체 및 디히드록시 화합물로부터 공지된 2상 계면 공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본원에서 참고로 인용된 독일공보 제2,063,050호; 제2,063,052호; 제1,570,703호; 제2,211,956호; 제2,211,957호 및 제2,248,817호; 프랑스특허 제1,561,518호; 및 문헌 [H.Schnell, "Chemistry and Physics of Polycarbonates", Interscience Publishers, New York, New York, 1964] 참조).
본원에서, 본 발명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제조에 적합한 디히드록시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 또는 2에 상응한다.
Figure 112002004213309-pct00001
Figure 112002004213309-pct00002
식들 중, A는 탄소원자 1 내지 8개의 알킬렌기, 탄소원자 2 내지 8개의 알킬리덴기, 탄소원자 5 내지 15개의 시클로알킬렌기, 탄소원자 5 내지 15개의 시클로알킬리덴기, 카르보닐기, 산소원자, 황원자, -SO- 또는 -SO2 또는 화학식
Figure 112002004213309-pct00003
의 라디칼이며;
e 및 g는 모두 0 내지 1의 수이며;
Z는 F, Cl, Br 또는 C1-C4 알킬이며, 수 개의 Z 라디칼이 하나의 아릴 라디칼로 치환되는 경우 이들은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으며;
d는 0 내지 4의 정수이며;
f는 0 내지 3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실시에 유용한 디히드록시 화합물에는 히드로퀴논, 레소르시놀, 비스-(히드록시페닐)-알칸, 비스-(히드록시페닐)-에테르, 비스-(히드록시페닐)-케톤, 비스-(히드록시페닐)-술폭시드, 비스-(히드록시페닐)-술피드, 비스-(히드록시페닐)-술폰, α,α-비스-(히드록시페닐)-디이소프로필벤젠 및 이들의 핵-알킬화 화합물, 및 디히드록시디페닐 시클로알칸이 있다. 이들 및 기타 적합한 방향족 디히드록시 화합물의 예는 본원에서 참고로 인용한 미국특허 제5,227,458호; 제5,105,004호; 제5,126,428호; 제5,109,076호; 제5,104,723호; 제5,086,157호; 제3,028,356호; 제2,999,835호; 제3,148,172호; 제2,991,273호; 제3,271,367호 및 제2,999,846호에 더 기재되어 있다.
적합한 비스페놀의 또다른 예로는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페놀 A), 2,4-비스-(4-히드록시페닐)-2-메틸부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α,α'-비스-(4-히드록시페닐)-p-디이소프로필벤젠, 2,2-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메탄, 2,2-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술피드, 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술폭시드, 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술폰, 디히드록시벤조페논, 2,4-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α,α'-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p-디이소프로필벤젠) 및 4,4'-술포닐 디페놀이 있다.
특히 바람직한 방향족 비스페놀의 예로는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및 1,1-비스-(4-히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이 있다.
가장 바람직한 비스페놀은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페놀 A)이다.
본 발명의 폴리카르보네이트는 1종 이상의 적합한 비스페놀로부터 유도된 구조 단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적합한 수지로는 페놀프탈레인 기재 폴리카르보네이트, 코폴리카르보네이트 및 터폴리카르보네이트, 예컨대 미국특허 제3,036,036호 및 제4,210,741호에 기재된 것들이며, 모두 본원에서 참고로 인용된다.
본 발명의 폴리카르보네이트는 소량, 예를 들어 폴리히드록시 화합물을 (비 스페놀에 대해) 0.05 내지 2.0 몰%로 그 내부에서 축합함으로써 분지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예는 독일공보 제1,570,533호; 제2,116,974호 및 제2,113,374호; 영국특허 제885,442호 및 제1,079,821호, 및 미국특허 제3,544,514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폴리히드록시 화합물의 일부 예로는 플로로글루시놀; 4,6-디메틸-2,4,6-트리-(4-히드록시페닐)-헵탄; 1,3,5-트리-(4-히드록시페닐)-벤젠; 1,1,1-트리-(4-히드록시페닐)-에탄; 트리-(4-히드록시페닐)-페닐메탄; 2,2-비스-[4,4-(4,4'-디히드록시디페닐)]-시클로헥실-프로판; 2,4-비스-(4-히드록시-1-이소프로필리딘)-페놀; 2,6-비스-(2'-디히드록시-5'-메틸벤질)-4-메틸페놀; 2,4-디히드록시벤조산; 2-(4-히드록시페닐)-2-(2,4-디히드록시페닐)-프로판 및 1,4-비스-(4,4'-디히드록시트리페닐메틸)-벤젠이 있다. 다른 다작용성 화합물의 예로는 2,4-디히드록시벤조산, 트리메스산, 시아누르산 클로라이드 및 3,3-비스-(4-히드록시페닐)-2-옥소-2,3-디히드로인돌이 있다.
상기 언급한 중축합 공정 외에, 본 발명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제조를 위한 다른 방법으로는 균질상 중에서의 중축합 및 에스테르교환반응이 있다. 적합한 방법이 본원에서 참고로 인용된 미국특허 제3,028,365호; 제2,999,846호; 제3,153,008호 및 제2,991,273호에 개시되어 있다.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제조에 바람직한 방법은 계면 중축합 방법이다.
본원에서 참고로 인용된 미국특허 제3,912,68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폴리카르보네이트를 형성하는 또다른 합성법이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는 예를 들면, ASTM D-1238에 따른 용융 유동 지수 (MFR)가 각각 약 16.5 내지 24, 13 내지 16, 7.5 내지 13.0 및 3.5 내지 6.5 g/10 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각각의 분자량이 상이한 비스페놀 기재 호모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인 마크롤론 (Makrolon) 2400, 마크롤론 2600, 마크롤론 2800 및 마크롤론 3100 수지로 시판되는 것들이 있다. 이들은 모두 미국 펜실바니아주 피츠버그 소재의 바이엘 코포레이션사 제품이다.
본 발명의 실시에 적합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는 공지되어 있으며, 그 구조 및 제조 방법은 예를 들어, 본원에서 참고로 인용된 미국특허 제3,030,331호; 제3,169,121호; 제3,395,119호; 제3,729,447호; 제4,255,556호; 제4,260,731호; 제4,369,303호, 제4,714,746호 및 제5,227,458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안정화제는 폴리(알킬 메타크릴레이트)와 플루오르화 폴리올레핀의 물리적 혼합물이다. 적합한 안정화제는 폴리(알킬 메타크릴레이트)의 에멀젼과 플루오르화 폴리올레핀의 에멀젼을 블렌딩하여 제조된다. 생성된 에멀젼의 혼합물은 이어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응집 또는 동결 건조되거나, 분무 건조되어 안정화제를 형성한다.
폴리(알킬 메타크릴레이트)는 1종 이상의 C1-C15 알킬 메타크릴레이트의 호모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이다. 이들 중, 메틸-, 부틸-, 데실-, 도데실- 및 트리데실 메타크릴레이트를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적합한 플루오르화 폴리올레핀은 에멀젼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전단시 미소섬유를 형성한다. 바람직한 플루오르화 폴리올레핀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 에틸렌 (PTFE)이다. 적합한 수 중 PTFE 에멀젼은 0.05 내지 20 미크론, 바람직하게는 0.08 내지 10 미크론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가지며, 고형물 함량은 약 30 내지 70 중량%,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0 중량%이다. 적합한 PTFE 에멀젼은 듀폰사로부터 테플론(Teflon, 등록상표) 30N으로 시판되는 것이다.
적합한 안정화제는 약 5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중량%의 PTFE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적합한 안정화제는 미쓰비시 레이온사로부터 메타블렌(Metablen, 상표명) A-3000 하에 시판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적합한 염에는 퍼플루오로알칸 술포네이트의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이 있다. 이러한 염은 본원에서 참고로 인용된 미국특허 제3,775,367호, 제4,469,833호, 제4,626,563호, 제4,626,563호 및 제4,649,168호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적합한 유기산의 알칼리 금속염의 예로는 나트륨 또는 칼륨 퍼플루오로부탄 술포네이트, 나트륨 또는 칼륨 퍼플루오로메탄 술포네이트, 나트륨 또는 칼륨 2,5-디클로로벤젠 술포네이트, 나트륨 또는 칼륨 2,4,5-트리클로로벤젠-술포네이트, 나트륨 또는 칼륨 (4-클로로페닐)-포스포네이트, 나트륨 또는 칼륨 메틸포스포네이트, 나트륨 또는 칼륨 (2-페닐에틸)포스포네이트, 나트륨 또는 칼륨 펜타클로로벤조에이트, 나트륨 또는 칼륨 2,4,6-트리클로로벤조에이트, 나트륨 또는 칼륨 2,4-디클로로벤조에이트 및 리튬 페닐포스포네이트가 있다.
또한, 본원에서 참고로 인용된 미국특허 제4,469,833호에 개시된 하기 염들이 있다.
(A) 방향족 술피드의 치환 및 비치환 술폰산의 알칼리 금속염 및 알칼리 토금속염;
(B) 할로시클로지방족 방향족 술폰산의 알칼리 금속염 및 알칼리 토금속염;
(C) 헤테로시클릭 화합물의 술폰산의 알칼리 금속염 및 알칼리 토금속염;
(D) 방향족 케톤의 치환 및 비치환 술폰산의 알칼리 금속염 및 알칼리 토금속염;
(E) 단량체성 또는 중합체성 방향족 술폰산의 알칼리 금속염 및 알칼리 토금속염;
(F) 단량체성 또는 중합체성 치환 방향족 술폰산의 알칼리 금속염 및 알칼리 토금속염;
(G) 단량체성 또는 중합체성 방향족 아미드 술폰산의 알칼리 금속염 및 알칼리 토금속염;
(H) 방향족 에테르의 술폰산의 알칼리 금속염 및 알칼리 토금속염;
(I) 방향족 카르복실산의 단량체성 또는 중합체성 술폰산의 알칼리 금속염 및 알칼리 토금속염;
(J) 술폰산의 단량체성 또는 중합체성 페놀 에스테르의 알칼리 금속염 및 알칼리 토금속염.
또한, 사카린, N-(p-톨릴술포닐)-p-톨루엔술피미드, N-(N'-벤질아미노카르보닐)술파닐이미드, N-(페닐카르복실)술파닐이미드, N-(2-피리미디닐)술파닐이미드, N-(2-티아졸릴)술파닐이미드의 알칼리 금속염 및 본원에서 참고로 인용된 미국특허 제4,254,015호에 개시된 술피미드의 기타 염을 비롯한 방향족 술피미드 염 형태가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조는 종래 방법 및 당업계에 공지된 공정에 따른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필수성분인 염 및 안정화제 외에, 당업계에 그 작용이 인지되어 있는 충전제, 강화제, 안료, 염료, 산화방지제, 열 안정화제, UV 광흡수제 및 금형이형제와 같은 다른 첨가제들이 공지된 작용량으로 첨가될 수 있다.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기술하나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며,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는한 모든 부 및 백분율은 중량 기준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하기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여 그 특성을 평가하였다. 표에서 나타낸 성분 (양은 중량%로서 나타냄)은 종래 방법으로 처리한 것이며, 시험편은 하기 종래 방법 및 관행에 따라 성형하였다. 조성물 제조에 사용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는 ASTM D 1238에 따른 용융유동율 (MFR)이 약 10 g/10분인 바이엘사 제품인 비스페놀-A 기재의 마크롤론(Makrolon) 2608 폴리카르보네이트였다. 하기 기재된 조성물에 사용된 안정화제는 메타블렌 A-3000이었으며, 사용된 염은 칼륨 퍼플루오로부탄 술포네이트였다. 성분의 양은 조성물의 중량에 대한 %로서 나타낸다. 모든 조성물은 소량의 종래의 금형이형제 및 카본블랙을 포함하며, 이들은 본 발명의 조성에 결정적인 것은 아니다. 60도 광택 값 (Gloss)은 ASTM D 2457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가연성 등급 (Flammability)은 1/16"에서 UL-94에 따라 측정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조성물들은 다양한 양의 안정화제 및 염을 포함한다. 표 1에 나타낸 조성물들은 일정한 양, 즉 0.1 %의 염에서 다양한 양의 안정화제를 포함한다.
실시예 1(비교예) 2 3 4 5
성분
폴리카르보네이트 97.95 97.45 96.95 96.45 95.95
안정화제 0.5 1.0 1.5 2.0 2.5
0.1 0.1 0.1 0.1 0.1
특성
MFR 13.3 15.3 17.8 14.6 17
광택 104 102 103 102 101
가연성 V-2 V-0 V-0 V-0 V-0

하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두 0.2 중량%의 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상응하는 세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7 8 9 10
성분
폴리카르보네이트 97.85 97.35 96.85 96.35 95.85
안정화제 0.5 1.0 1.5 2.0 2.5
0.2 0.2 0.2 0.2 0.2
특성
MFR 13.8 15.7 19.3 13.9 18.2
광택 103 103 103 102 101
가연성 V-0 V-0 V-0 V-0 V-0

하기 표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두 0.3 중량%의 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상응하는 세트를 제조하여 평가하였다.
실시예 11 12 13 14 15
성분
폴리카르보네이트 97.75 97.25 96.75 96.25 95.75
안정화제 0.5 1.0 1.5 2.0 2.5
0.3 0.3 0.3 0.3 0.3
특성
MFR 13.7 15.6 14.1 13.6 13.2
광택 104 103 101 102 100
가연성 V-0 V-0 V-0 V-0 V-0

본 발명의 범주 외의 상응하는 조성물에 대해 본 발명의 조성물과 비교하기 위한 실험을 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에 나타낸다.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안정화제 및 염은 상기 기재된 바와 같으며, 금형이형제 및 안료도 마찬가지이다. 그 결과를 표 4에 요약한다.
실시예 16 17(비교예) 18(비교예) 19(비교예)
성분
폴리카르보네이트 96.3 94.3 92.3 90.3
안정화제 2.0 4.0 6.0 8.0
0.25 0.25 0.25 0.25
특성
MFR 15.9 11.2 12.7 10.5
광택 (평균) 102 90 79 66
가연성 V-0 V-1 실패 실패

본 발명이 예시의 목적으로 상기에 상세히 기재되었으나, 이러한 구체적인 예는 단지 그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며, 청구의 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범주 및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들에 의해 변형이 가능함이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0)

  1.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및 절대첨가량(additive, positive amount)의 안정화제 및 염을 포함하며, 상기 안정화제 및 염의 전체 첨가량은 조성물 중량에 대해 약 0.65 내지 4.0 %이고, 단, 염의 양이 0.1 % 이하이면, 안정화제의 양은 0.5 % 초과이고, 안정화제는 폴리(알킬메타크릴레이트)와 플루오르화 폴리올레핀의 물리적 혼합물 (플루오르화 폴리올레핀은 물리적 혼합물의 중량에 대해 약 5 내지 30 %)이며, 염은 퍼플루오로알칸 술폰산의 알칼리 금속염, 퍼플루오알칸 술폰산의 알칼리 토금속염, 방향족 술피미드의 알칼리 금속염, 방향족 술폰산의 유기 알칼리 금속염 및 방향족 술폰산의 알칼리 토금속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플루오르화 폴리올레핀이 상기 물리적 혼합물의 중량에 대해 약 10 내지 20 %를 구성하는 성형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가 비스페놀 A 기재 호모폴리카르보네이트인 성형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폴리(알킬 메타크릴레이트)가 1종 이상의 C1-C15-알킬 메타크릴레이트의 호모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인 성형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폴리(알킬 메타크릴레이트)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데실 메타크릴레이트, 도데실 메타크릴레이트 및 트리데실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성형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물리적 혼합물이 폴리(알킬 메타크릴레이트)의 에멀젼과 플루오르화 폴리올레핀의 에멀젼의 건조된 블렌딩인 성형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플루오르화 폴리올레핀의 에멀젼의 평균 입자 크기가 0.05 내지 20 미크론인 성형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플루오르화 폴리올레핀의 에멀젼의 평균 입자 크기가 0.08 내지 10 미크론인 성형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염이 나트륨 퍼플루오로부탄 술포네이트, 칼륨 퍼플루오로부탄 술포네이트, 나트륨 퍼플루오로메탄 술포네이트, 칼륨 퍼플루오로메탄 술포네이트, 나트륨 2,5-디클로로벤젠 술포네이트, 칼륨 2,5-디클로로벤젠 술포네이트, 나트륨 2,4,5-트리클로로벤젠 술포네이트, 칼륨 2,4,5-트리클로로벤젠 술포네이트, 나트륨 (4-클로로페닐)포스포네이트, 칼륨 (4-클로로페닐)포스포네이트, 나트륨 메틸포스포네이트, 칼륨 메틸포스포네이트, 나트륨 (2-페닐에틸)포스포네이트, 칼륨 (2-페닐에틸)포스포네이트, 나트륨 펜타클로로벤조에이트, 칼륨 펜타클로로벤조에이트, 나트륨 2,4,6-트리클로로벤조에이트, 칼륨 2,4,6-트리클로로벤조에이트, 나트륨 2,4-디클로로벤조에이트, 칼륨 2,4-디클로로벤조에이트 및 리튬 페닐포스포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성형 조성물.
  10. 비스페놀-A 기재의 호모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및 절대 첨가량의 안정화제 및 염을 포함하며, 상기 안정화제 및 염의 전체 첨가량은 조성물 중량에 대해 약 0.65 내지 4.0 %이고, 단, 염의 양이 0.1 % 이하이면, 안정화제의 양은 0.5 % 초과이고, 안정화제는 1종 이상의 C1-C15-알킬메타크릴레이트의 호모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와 플루오르화 폴리올레핀의 물리적 혼합물 (플루오르화 폴리올레핀은 물리적 혼합물의 중량에 대해 약 10 내지 20 %)이며, 염은 나트륨 퍼플루오로부탄 술포네이트, 칼륨 퍼플루오로부탄 술포네이트, 나트륨 퍼플루오로메탄 술포네이트, 칼륨 퍼플루오로메탄 술포네이트, 나트륨 2,5-디클로로벤젠 술포네이트, 칼륨 2,5-디클로로벤젠 술포네이트, 나트륨 2,4,5-트리클로로벤젠 술포네이트, 칼륨 2,4,5-트리클로로벤젠 술포네이트, 나트륨 (4-클로로페닐) 포스포네이트, 칼륨 (4-클로로페닐)포스포네이트, 나트륨 메틸포스포네이트, 칼륨 메틸포스포네이트, 나트륨 (2-페닐에틸)-포스포네이트, 칼륨 (2-페닐에틸)-포스포네이트, 나트륨 펜타클로로벤조에이트, 칼륨 펜타클로로벤조에이트, 나트륨 2,4,6-트리클로로벤조에이트, 칼륨 2,4,6-트리클로로벤조에이트, 나트륨 2,4-디클로로벤조에이트, 칼륨 2,4-디클로로벤조에이트 및 리튬 페닐포스포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
KR1020027001794A 1999-08-09 2000-08-04 난연성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KR1006128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371,137 1999-08-09
US09/371,137 US6180702B1 (en) 1999-08-09 1999-08-09 Flame retardant polycarbonate composi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6569A KR20020026569A (ko) 2002-04-10
KR100612802B1 true KR100612802B1 (ko) 2006-08-18

Family

ID=23462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1794A KR100612802B1 (ko) 1999-08-09 2000-08-04 난연성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180702B1 (ko)
EP (1) EP1214378B1 (ko)
JP (1) JP2003506553A (ko)
KR (1) KR100612802B1 (ko)
CN (1) CN1142981C (ko)
AU (1) AU6524000A (ko)
BR (1) BR0013111A (ko)
CA (1) CA2381294A1 (ko)
DE (1) DE60019315T2 (ko)
ES (1) ES2240138T3 (ko)
HK (1) HK1049495A1 (ko)
TW (1) TW527398B (ko)
WO (1) WO200101095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644B1 (ko) 2002-08-05 2010-07-06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그라프트 중합체로 개질된 난연성 폴리카르보네이트 성형배합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18787A1 (de) * 2001-04-17 2002-10-24 Bayer Ag Flammwidrige und anti-elektrostatisch ausgerüstete Polycarbonat-Formmassen
US6462111B1 (en) 2001-12-10 2002-10-08 General Electric Company Translucent flame retardant polycarbonate compositions
US20030111415A1 (en) * 2001-12-10 2003-06-19 General Electric Company Solution filtration method for polycarbonate purification
DE10247777A1 (de) * 2002-10-14 2004-04-22 Bayer Ag Flammgeschützte Polycarbonate und Polyestercarbonate
KR100520456B1 (ko) * 2002-11-15 2005-10-11 제일모직주식회사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N100417690C (zh) * 2004-02-27 2008-09-10 日本电气株式会社 阻燃性树脂组合物
JP2006028389A (ja) * 2004-07-20 2006-02-02 Teijin Chem Ltd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US20080014446A1 (en) * 2004-10-07 2008-01-17 General Electric Company Window shade and a multi-layered article,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ITMI20051397A1 (it) * 2005-07-21 2007-01-22 Solvay Solexis Spa Polveri fini di fluoropolimeri
US7622504B2 (en) * 2006-12-20 2009-11-24 MCS Laboratories, Inc. Esters of 2-phenylalkanenitriles and antifung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KR100962389B1 (ko) * 2008-05-14 2010-06-10 제일모직주식회사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US8445568B2 (en) * 2008-09-25 2013-05-21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Flame retardant thermoplastic composition and articles formed therefrom
US8492476B2 (en) * 2009-02-09 2013-07-23 Mitsubishi Engineering-Plastics Corporation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and formed product thereof
TWI577530B (zh) 2010-07-14 2017-04-11 科思創德意志股份有限公司 製造複合色料之方法與設備
EP2898362A1 (de) * 2012-09-24 2015-07-29 LIMO Patentverwaltung GmbH & Co. KG Vorrichtung zur erzeugung einer linienförmigen intensitätsverteilung einer laserstrahlung in einer arbeitsebene
CN103772945B (zh) * 2014-01-24 2016-01-20 南通红石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聚碳酸酯复合塑料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33523A (ko) 1957-12-10 1900-01-01
GB1045533A (en) 1963-02-21 1966-10-12 Gen Electric Flame-resistant polycarbonate compositions
US3290412A (en) 1963-10-31 1966-12-06 Gen Electric Molding compounds prepared from mixtures of polytetrafluoroethylene and resinous polycarbonates
US3294871A (en) 1964-09-15 1966-12-27 American Cyanamid Co Poly (tetrafluoroethylene)-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US3382207A (en) 1965-09-30 1968-05-07 Gen Electric Flame-retardant polycarbonates
US3647747A (en) 1970-04-15 1972-03-07 Gen Electric High temperature molding flame retardant polycarbonate composition
US3940455A (en) 1970-08-31 1976-02-2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Hydrocarbon polymers
US3751400A (en) 1971-07-29 1973-08-07 Gen Electric High ignition temperature polymers substituted with halogen substituted aromatic groups
US3723373A (en) 1971-10-04 1973-03-27 American Cyanamid Co 0.1% to about 2.0% by weight polytetrafluoroethylene emulsion modifi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with improved processing characteristics
US4391935A (en) 1974-08-09 1983-07-05 General Electric Company Flame retardant polycarbonate composition
US4208489A (en) 1977-01-29 1980-06-17 Bayer Aktiengesellschaft Polycarbonate molding compositions with improved flame-repellency
US4220583A (en) 1978-12-06 1980-09-02 General Electric Company Translucent, flame-retardant polycarbonate compositions
DE2931172A1 (de) * 1979-08-01 1981-02-19 Bayer Ag Verwendung von alkali- und erdalkalisalzen alkylsubstituierter aromatischer sulfonsaeuren, phosphonsaeuren und sauerer phosphonsaeureester als interne antistatika fuer polycarbonat, insbesondere fuer polycarbonatfolien
US4506046A (en) * 1983-05-27 1985-03-19 General Electric Company Flame retardant polycarbonate compositions
DE3322260A1 (de) 1983-06-21 1985-01-03 Bayer Ag, 5090 Leverkusen Formmassen mit flammwidrigen eigenschaften
US4473685A (en) * 1983-07-28 1984-09-25 General Electric Company Flame retardant non-dripping polycarbonate compositions exhibiting improved thick section impact
DE3403975A1 (de) 1984-02-04 1985-08-14 Bayer Ag, 5090 Leverkus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bs-formmassen mit verbessertem brandverhalten
DE3417476A1 (de) 1984-05-11 1985-11-14 Bayer Ag, 5090 Leverkusen Polyamid-formmassen mit hohen zaehigkeiten
DE3418750A1 (de) 1984-05-19 1985-11-21 Bayer Ag, 5090 Leverkusen Thermoplastische formmassen auf basis von polyalkylenterephthalat, polycarbonat und polymerisat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DE3420002A1 (de) 1984-05-29 1985-12-05 Bayer Ag, 5090 Leverkusen Tetrafluorethylenpolymerisat enthaltende polymerisatpulverkompositionen
DE3422862A1 (de) 1984-06-20 1986-01-02 Bayer Ag, 5090 Leverkusen Thermoplastische formmassen auf basis von polyalkylenterephthalat und polymerisat sow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DE3562922D1 (en) 1984-08-17 1988-06-30 Bayer Ag Thermoplastic moulding masses with flame-retarding properties
DE3442281A1 (de) * 1984-11-20 1986-05-22 Bayer Ag, 5090 Leverkus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tetrafluorethylenpolymerisathaltigen, flammwidrigen polycarbonatformmassen
US4753994A (en) 1986-12-02 1988-06-28 Mobay Corporation Flame retardant polycarbonate compositions
US4749738A (en) * 1986-12-19 1988-06-07 General Electric Company Polycarbonate compositions exhibiting improved wear resistance
EP0483510A3 (en) * 1990-10-31 1992-09-02 General Electric Company Polycarbonate compositions with improved appearance and flammability characteristics
US5280070A (en) * 1992-06-01 1994-01-18 Enichem S.P.A. Polycarbonate-polymethyl methacrylate blends
WO1994007956A1 (en) * 1992-10-07 1994-04-14 General Electric Company Flame resistant thermoplastic blends having reduced drippage
US5521230A (en) 1992-11-17 1996-05-28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of dispersing solid additives in polymers and products made therewith
US5478874A (en) * 1993-07-27 1995-12-26 Teijin Chemicals Ltd. Flame-retardant aromatic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DE4328656A1 (de) * 1993-08-26 1995-03-02 Bayer Ag Flammwidrige, spannungsrißbeständige Polycarbonat-ABS-Formmassen
JP3272985B2 (ja) * 1996-07-31 2002-04-08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ポリテトラフルオロエチレン含有混合粉体の製造方法
JP3682148B2 (ja) * 1997-05-08 2005-08-10 三菱エンジニアリング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JPH10310707A (ja) * 1997-05-13 1998-11-24 Mitsubishi Rayon Co Ltd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11140296A (ja) 1997-08-29 1999-05-25 General Electric Co <Ge> ポリカーボネート成形組成物
JPH11181265A (ja) * 1997-12-18 1999-07-06 Kanegafuchi Chem Ind Co Ltd ポリカーボネート系樹脂組成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644B1 (ko) 2002-08-05 2010-07-06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그라프트 중합체로 개질된 난연성 폴리카르보네이트 성형배합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67807A (zh) 2002-09-04
ES2240138T3 (es) 2005-10-16
BR0013111A (pt) 2002-05-07
TW527398B (en) 2003-04-11
DE60019315D1 (de) 2005-05-12
WO2001010957A1 (en) 2001-02-15
CN1142981C (zh) 2004-03-24
DE60019315T2 (de) 2006-03-09
CA2381294A1 (en) 2001-02-15
KR20020026569A (ko) 2002-04-10
JP2003506553A (ja) 2003-02-18
AU6524000A (en) 2001-03-05
US6180702B1 (en) 2001-01-30
EP1214378A1 (en) 2002-06-19
HK1049495A1 (zh) 2003-05-16
EP1214378B1 (en) 2005-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2802B1 (ko) 난연성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EP0023291B1 (de) Stabilisierte thermoplastische Formmassen auf Basis von Polycarbonaten, ABS-Polymeren und Phosphiten
KR100962389B1 (ko)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WO2006093542A1 (en) Flame retardant polycarbonate composition
EP2673318B1 (en) Flame retardant, thermoplastic polycarbonate molding compositions
CA2065914C (en) Flame retardant polycarbonate composition having improved impact strength
US5124377A (en) Flame retardant polycarbonate composition having improved impact strength
JP6646396B2 (ja) 難燃性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US4880864A (en) Thermoplastic polycarbonates and blends with enhanced flame retardant properties
KR100837855B1 (ko) 투명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US6995212B2 (en) Flame retardant, thermoplastic polycarbonate molding compositions
CA2149198A1 (en) Melt-stable, pigmented polycarbonate composition
KR101117377B1 (ko) 난연성의 열가소성 폴리카르보네이트 성형 조성물
KR100523738B1 (ko) 난연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CA2054857A1 (en) Flame retardant polycarbonate compositions
JP2005068379A (ja) 難燃性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JP2003055542A (ja) 難燃性ポリカーボネート系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