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2541B1 - 관이음과, 그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관이음과, 그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2541B1
KR100612541B1 KR1020000034120A KR20000034120A KR100612541B1 KR 100612541 B1 KR100612541 B1 KR 100612541B1 KR 1020000034120 A KR1020000034120 A KR 1020000034120A KR 20000034120 A KR20000034120 A KR 20000034120A KR 100612541 B1 KR100612541 B1 KR 100612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s
flange
hole
joint
pipe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4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2629A (ko
Inventor
구와타다데유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젠
Publication of KR20010092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2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2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2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composition of the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관이음(pipe joint)에 관한 것으로, 탄성재로서 이루어진 중공(中空)의 통 형상의 이음 본체의 내부에 환상(環狀)의 보강재를 매설하고, 이 보강재는 축 방향으로 착탈(着脫)이 가능하게 장착된 지지 레버(support lever)로 지지되어 있어서, 이음 본체에 유체에 의한 내압이 걸리더라도, 이음 본체가 팽창하는 일이 없고, 큰 반력(反力)이 발생해서 배관에 바람직하지 않는 부담이 걸리는 일이 없으며, 또한 접속용 플랜지가 탈락하거나, 사용 온도 범위가 좁다는 등의 일이 없다.

Description

관이음과, 그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PIPE JOINT,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관이음의 실시형태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선 2-2에 의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조 장치의 금형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3의 심봉(心棒)의 분해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이음 본체 2-1, 2-2: 플랜지
3: 나사 구멍 4: 관통 구멍
6: 보강재 7: 지지 레버
8: 너트 10: 금형
11-1, 11-2: 측판 12: 통 형상체
13: 심봉 14: 플랜지 세트 핀
15, 17: 멈춤 나사 16-1, 16-2: 보강재 세트 핀
18: 고무 링 19: 주입 구멍
20: 공간 21: 안내 핀
22: 환상(環狀) 홈 23: 나사부
24-1, 24-2: 제1, 제2심봉 부재 25: 아치
27: 공기 빼는 구멍 28, 29: 지지 링
31: 경사면
본 발명은 유체 유통용(流通用)의 배관을 연결하기 위한 관이음(pipe joint)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 종류의 관이음은, 이음 본체를 고무와 내압력 증강용의 합성 수지(樹脂) 등으로서 이루어지는 보강층(補强層)을 여러 장 중첩시킨 것으로 이루어져, 양쪽 개구부에 접속용 플랜지(flange)가 부착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것은, 이음 본체에 유체에 의한 내압이 걸리면, 이음 본체가 팽창하여 신장하는 성질에 의해, 큰 반발력이 발생하여 배관에 좋지 않은 부담이 걸리고, 또한 접속용 플랜지가 탈락하고, 더욱이 보강층이 고온에 약하기 때문에, 사용 온도의 범위가 좁아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관이음이 갖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이음 본체에 유체에 의한 내압이 걸리더라도 이음 본체가 팽창하는 일이 없고, 큰 반발력이 발생하여 배관에 바람직하지 않은 부담을 주는 일이 없으며, 또한 접속용 플랜지가 탈락하거나, 사용 온도의 범위가 좁아지는 등의 일이 없는 관이음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탄성재로서 이루어지는 중공(中空)의 통(筒) 형상의 이음 본체의 내부에 환상(環狀)의 보강재를 매설하고, 이 보강재는 축 방향에 착탈이 가능하게 장착된 지지 레버(support lever)로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보강재에는 관통 구멍이 설치되고, 이 관통 구멍에 지지 레버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 레버가 이음 본체의 양(兩) 측면부(側面部)의 내부에 매설되어 있는 플랜지의 한쪽의 플랜지에 설치된 나사 구멍에 일단(一端)이 나사 장착되어 있어서, 이음 본체의 축 방향의 연장 방지 부재를 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플랜지에는 다른 연결 부재를 결합하는 나사 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1쌍의 측판(側板)과, 이 양(兩) 측판 사이에 배치되는 통 형상체와, 한쪽의 측판의 내면에 돌출 설치되어, 그 선단(先端)이 다른 쪽의 측판의 내면에 걸어 맞추는 통 형상의 심봉을 구비하고, 상기 양 측판 및 통 형상체의 내면과 심봉의 외면에서 성형 공간이 형성되고, 양 측판에는 복수의 플랜지 세트 핀(flange set pin)과 보강재 세트 핀이 착탈이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금형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단(基端)이 양 측판에 착탈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제2심봉 부재에 의해 심봉이 구성되고, 이 양 심봉 부재의 접합부에는 아치형의 고무 링(ring)이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양 측판에 부착된 플랜지 세트 핀으로 플랜지를, 또한 보강재 세트 핀으로 보강재를 각각 소정의 위치에 유지하고, 양 측판의 내면 사이에 심봉을 부착하여, 양 측판 사이에 배치된 플랜지 및 보강재를 덮어 싸서 통 형상체를 배치하고, 그 양단(兩端)을 양 측판의 내면에 맞닿게 해서, 양 측판과, 통 형상체, 및 심봉 사이에 성형용 공간을 형성하여 형(型) 마감을 하고, 이 성형용 공간에 합성 고무를 주입하여 관이음을 성형하고, 그 후 형 열기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1, 도 2는, 관이음에 대한 발명의 제1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관이음은 합성 고무와 같이 되어서 탄성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중공의 통 형상으로 되어 있는 이음 본체(1)를 갖추고 있다. 이 이음 본체(1)는 양 개구부의 내부에 접속용 플랜지(2-1, 2-2)를 매설하고, 이 접속용 플랜지(2-1, 2-2)는, 각각 복수 개(이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나사 구멍(3)과, 이 나사 구멍(3)과 동일 원주 상으로서, 그 중간에 위치한 단부(段付) 구멍(5)을 갖고, 나사 구멍(3) 및 단부 구멍(5)은 외부와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양 접속용 플랜지(2-1, 2-2) 사이의 이음 본체(1) 내에, 금속판 등으로 이루어진 경질 환상의 보강재(6)가 매설되어 있다. 이 보강재(6)에는 관통 구멍(4)이 설치되어 있어, 이 관통 구멍(4)에 축 방향으로 매설된 지지 레버(7)가 관통하여 보강재(6)를 지지하고 있다. 지지 레버(7)는 나사 막대에 의해 구성되며, 그 두부(頭部) 및 선단(先端)의 나사부는 단부 구멍(5) 내에 수용되고, 나사부는 한쪽의 플랜지(2-2)의 단부 구멍(5) 내에서 너트(8)로 나사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지지 레버(7)는 그 두부(頭部) 및 너트(8)에 의해, 이음 본체(1)의 축 방향으로의 연장을 억지(抑止)하는 연장 방지 부재를 겸하게 된다.
도 3은, 관이음 제조 장치의 발명으로서 금형(10)의 실시형태의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금형(10)은 1쌍의 측판(11-1, 11-2)과, 이 측판(11-1, 11-2) 사이에 배치되는 통 형상체(12)와, 한쪽 측판(11-1)의 내면에 돌출 설치되어, 그 선단이 다른 쪽의 측판(11-2)의 내면에 걸어 맞추어지는 통 형상의 심봉(13)을 구비하고 있다. 심봉(13)은 멈춤 나사(17)에 의해 측판(11-1)에 착탈이 가능하게 부착된다.
그리고, 측판(11-1, 11-2)과 통 형상체(12)와 심봉(13)에 의해, 이음 본체(1)의 성형용 공간(20)이 형성된다. 양(兩) 측판(11-1, 11-2)에는, 플랜지(2-1, 2-2)의 단부 구멍(5)에 나사 장착되는 나사부(23)가 있는 플랜지 세트 핀(14)이, 착탈이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양 측판(11-1, 11-2)에는, 선단이 이음 본체(1)의 성형 시(時)에 공간(20) 내에 고정되는 보강재(6)의 관통 구멍(4)에 끼워 들어가는 보강재 세트 핀(16)이, 멈춤 나사(15)에 의해 착탈이 가능하게 나사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심봉(13)은 착탈이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진 제1, 제2심봉 부재(24-1, 24-2)에 의해 구성되어, 양(兩) 심봉 부재(24-1, 24-2)의 접합부에는, 아치형의 고무 링(18)이 끼워져 있다. 19는 고무 주입 구멍, 21은 안내 핀, 27은 공기 빼는 구멍을 나타낸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음 본체(1) 내의 아치(25)가 1개이기 때문에, 고무 링(18)이 1개로 되어 있으나, 이음 본체(1)의 길이에 상응해서 아치(25)의 수(數)가 증가하면, 고무 링(18)도 이에 따라 수가 많아지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와 같은 금형(10)에 의해, 본 발명의 관이음을 성형함에 있어서, 금형(10)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우선 플랜지 세트 핀(14)을 측판(11-1, 11-2)의 장착용 구멍에 끼워 넣고, 플랜지(2-1, 2-2)의 나사 구멍(3)에 플랜지 세트 핀(14) 선단의 나사부(23)를 장착하여, 플랜지(2-1, 2-2)를 양(兩) 측판(11-1, 11-2)에 부착한다.
그 다음에 보강재 세트 핀(16-1, 16-2)을 양 측판(11-1, 11-2)에 부착하게 된다. 이 보강재 세트 핀(16-1, 16-2)의 부착에 있어서는, 보강재 세트 핀(16-1, 16-2)의 두부(頭部)를 측판(11-1, 11-2)의 장착용 구멍에 끼워 넣어, 선단부를 플랜지(2-1, 2-2)의 관통 구멍(4)에 삽입 통과시킨 후에, 멈춤 나사(15)로 측판(11-1, 11-2)에 고정시킨다.
이어서 심봉(13)을, 측판(11-1)에 부착할 때에는, 심봉 부재(24-1)의 기단(基端) 면(面)을 플랜지(2-1)의 내측 면에 맞닿게 한 뒤에, 멈춤 나사(17)로 심봉 부재(24-1)를 양 측판(11-1, 11-2)에 부착한다. 그 다음, 심봉 부재(24-1)의 선단으로부터, 지지 링(28), 고무 링(18), 지지 링(29) 및 심봉 부재(24-2)를 차례로 끼워 넣게 된다.
이 때, 사용되는 지지 링(28, 29)은, 심봉 부재(24-1, 24-2)에 맞닿는 면의 하부 개구 가장자리가 바깥을 향한 경사면(31)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서, 공기 빼기가 원활하게 실행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한 것에서, 한쪽의 측판(11-1)에 보강재(6)의 관통 구멍(4)을 보강재 세트 핀(16-1)의 선단에 끼워 넣음으로써 부착한다. 이와 같이 양 측판(11-1, 11-2)을 합체(合體)되도록 맞댐으로써, 보강재 세트 핀(16-2)을 보강재(6)의 관통 구멍(4)에 끼워 맞추고, 이렇게 해서 보강재(6)를 소정의 위치에 안정시켜, 심봉(13)의 선단이 측판(11-2)의 환상 홈(22)에 끼워 맞추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구조체에 통 형상체(12)를 끼워 줌으로써, 도 3에 나타낸 상태의 금형(10)이 조립된다.
이와 같은 금형을 구비한 제조 장치에 의해, 본 발명의 관이음을 제조함에 있어서는, 주입 구멍(19)으로부터 공간(20) 내에 고무 원료를 주입하며, 이 때 보강재(6)는, 상기와 같이 보강재 세트 핀(16-1, 16-2)에 의해, 소정의 위치에 안정시켜 유지된다. 이것을 마친 후에 가황(加黃) 공정을 거쳐서 제품이 완성된 후, 플랜지 세트 핀(14)을 플랜지(2-1, 2-2)로부터 떼어 내고, 또한 멈춤 나사(15)를 풀어, 보강재 세트 핀(16-1, 16-2)을 뽑아낸다.
보강재 세트 핀(16-1, 16-2)을 떼어 내서 형성된 도 1에 나타난 관통 구멍(9)에, 지지 레버(7)를 삽입 통과시켜 그 선단의 단부 구멍(5) 내에 위치하는 나사부에 너트(8)를 나사 장착하여, 완성된 관이음을 얻게 된다.
이와 같은 관이음을 사용하여, 도시(圖示)를 생략한 유체 유통용의 배관에 접속시키는 경우에는, 배관 접속용 플랜지를 양 측판(11-1, 11-2)에 맞닿게 하여, 연결 볼트를 이 플랜지의 관통 구멍을 통해서 플랜지(2-1, 2-2)의 나사 구멍(3)에 나사 장착함으로써, 이 관이음을 배관에 접속시켜 배관 끼리 연결하게 된다.
이렇게 해서 배관에 접속된 본 발명의 관이음은, 탄성 고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를 흐르는 유체에 의한 내압(內壓)이 걸려서 축 방향으로 연장하려는 일이 있어도, 지지 레버(7)가 내압에 저항해서 연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 레버(7)가 노화되거나, 예상한 것보다 큰 내압이 걸리게 되는 경우에는, 더욱 강력한 지지 레버(7)와 교환해서 이에 대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관이음에 있어서,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은, 탄성재로서 이루어지는 중공(中空)의 통 형상의 이음 본체의 내부에 환상의 보강재를 매설하고, 이 보강재는 축 방향으로 착탈이 가능하게 장착된 지지 레버로 지지되어 있으며, 보강재에는 관통 구멍이 설치되어, 이 관통 구멍에 지지 레버가 삽입되어 있으며, 지지 레버는 이음 본체의 양(兩) 측면부의 내부에 매설되어 있는 플랜지의 한쪽 플랜지에 설치된 나사 구멍에 일단(一端)이 나사 장착되어 있어, 이음 본체의 축 방향의 연장 방지 부재를 겸하게 되어 있으므로, 접속용 플랜지의 나사 구멍에 볼트를 나사에 넣는다고 하는 간단한 조작으로 배관 끼리를 연결시켜, 내부를 흐르는 유체에 의한 내압이 걸리더라도, 보강재에 의해 탄성재로서 이루어지는 이음 본체가 연장되거나 팽창하거나 하는 일이 없으며, 전체가 탄성재에 의해 피복되어 있으므로, 접속 시에 개스킷(gasket)과 같은 역할을 담당하고, 또한 사용 온도의 범위가 넓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은, 관이음 제조 장치로서, 1쌍의 측판(側板)과, 이 양 측판 사이에 배치된 통 형상체와, 한쪽 측판의 내면에 돌출 설치되어, 그 선단이 다른 쪽 측판의 내면에 걸어 맞추어지는 통 형상의 심봉을 구비하고, 상기 양 측판 및 통 형상체의 내면과 심봉의 외면으로 성형 공간이 형성되며, 양 측판에는 복수의 플랜지 세트 핀 및 보강재 세트 핀이 착탈이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금형을 구비하고 있으며, 청구항 6에 기재한 발명은, 기단(基端)이 양 측판에 착탈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제2심봉 부재에 의해 심봉이 구성되며, 이 양 심봉 부재의 접합부에는 아치형의 고무 링이 끼워져 있으므로, 고무의 주입 시에 플랜지나 보강재가 변위(變位)하는 일이 없이, 소정의 위치에 정확하게 유지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7에 기재한 발명은, 관이음의 제조 방법으로서, 양 측판에 부착된 플랜지 세트 핀으로 플랜지를, 또한 보강재 세트 핀으로 보강재를 각각 소정의 위치에 유지하고, 양 측판의 내면 사이에 심봉을 부착하여, 양 측판 사이에 배치된 플랜지 및 보강재를 덮어 싸서 통 형상체를 배치하고, 그 양단(兩端)을 양 측판의 내면에 맞닿게 해서, 양 측판, 통 형상체 및 심봉 사이에 성형용 공간을 형성하여 형(型) 마감을 하고, 이 성형용 공간에 합성 고무를 주입하여 관이음을 성형하고, 그 후 형 열기를 실행하므로, 간단한 작업에 의해 플랜지 및 보강재를 정확하게 소정의 위치에 차지할 위치를 정할 수 있고, 게다가 제품의 형 뽑기가 용이하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탄성재(彈性材)로서 이루어진 중공(中空)의 통(筒) 형상의 이음 본체(1)의 양 측면 내부에는 플랜지(2-1, 2-2)를, 각각의 중간 내부에는 보강재(6)를 각각 매설하고,
    상기 이음 본체(1), 상기 보강재(6) 및 상기 양쪽 플랜지(2-1, 2-2)에 축 방향으로 연통하는 관통 구멍을 설치하고, 한쪽 플랜지(2-1)의 관통 구멍의 개구부에는 복수 개의 단부 구멍(5)을, 다른 쪽 플랜지(2-2)의 관통 구멍의 개구부에서의 상기 단부 구멍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나사 구멍(3)을 설치하고, 각 관통 구멍을 관통하여 이음 본체(1) 내에 지지 레버(7)를 착탈 가능하게 삽입하고,
    상기 지지 레버(7)에 의해 상기 보강재(6)를 상기 이음 본체(1)에 지지하고, 상기 지지 레버(7)의 두부는 한쪽의 플랜지(2-1)의 단부 구멍(5)에 받쳐지고, 상기 지지 레버(7)의 선단은 다른 쪽의 플랜지(2-2)에 설치된 나사 구멍(3) 내에서 너트(8)로 나사 장착되어, 상기 이음 본체(1)의 축 방향의 연장 방지 부재를 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1쌍의 측판(側板)(11-1, 11-2)과, 상기 양 측판(11-1, 11-2) 사이에 배치된 통 형상체(12)와, 한쪽의 측판(11-1)의 내면에 돌출 설치되어 그 선단(先端)이 다른 쪽의 측판(11-2)의 내면에 걸어 맞추어지는 통 형상의 심봉(心棒)(13)을 갖추고, 상기 양 측판(11-1, 11-2) 및 통 형상체(12)의 내면과 심봉(13)의 외면으로 성형 공간(20)을 형성하고, 양 측판(11-1. 11-2)에는 복수의 플랜지 세트 핀(flange set pin)(14) 및 보강재 세트 핀(16-1, 16-2)이 착탈이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금형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의 제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심봉(13)은, 기단(基端)이 양 측판(11-1, 11-2)에 착탈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제2심봉 부재(24-1, 24-2)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양 심봉 부재(24-1, 24-2)의 접합부에는, 아치형의 고무 링(ring)(18)이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의 제조 장치.
  7. 양 측판(11-1, 11-2)에 부착된 플랜지 세트 핀(14)으로 플랜지(2-1, 2-2)를, 또한 보강재 세트 핀(16-1, 16-2)으로 보강재(6)를 각각 소정의 위치에 유지시키고, 양 측판(11-1, 11-2)의 내면 사이에 심봉(13)을 부착하고, 양 측판(11-1, 11-2) 사이에 배치된 플랜지(2-1, 2-2) 및 보강재(6)를 덮어 싸서 통 형상체(12)를 배치하고, 그 양단(兩端)을 양 측판(11-1, 11-2)의 내면에 맞닿게 하여, 양 측판(11-1, 11-2), 통 형상체(12) 및 심봉(13) 사이에 성형용 공간(20)을 형성하여 형(型) 마감을 하고, 상기 성형용 공간(20)에 합성 고무를 주입하여 관이음을 성형하고, 그 후 형 열기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의 제조 방법.
KR1020000034120A 2000-03-22 2000-06-21 관이음과, 그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1006125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80364A JP3398861B2 (ja) 2000-03-22 2000-03-22 管継手、そ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2000-80364 2000-03-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2629A KR20010092629A (ko) 2001-10-26
KR100612541B1 true KR100612541B1 (ko) 2006-08-11

Family

ID=18597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4120A KR100612541B1 (ko) 2000-03-22 2000-06-21 관이음과, 그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1) JP3398861B2 (ko)
KR (1) KR100612541B1 (ko)
CN (1) CN1162636C (ko)
HK (1) HK1038785B (ko)
ID (1) ID29690A (ko)
MY (1) MY128357A (ko)
TW (1) TW46474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91915B (zh) * 2009-06-25 2014-12-17 丁慈鑫 用于支撑沉井结构的外支撑体系及其施工方法
CN102661457A (zh) * 2012-03-23 2012-09-12 宁波天生密封件有限公司 中子束窗密封装置
DE102015223874A1 (de) 2015-12-01 2017-06-01 Minimax Gmbh & Co. K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Flanschrohlings und eines Flansches
CN105689653A (zh) * 2016-01-19 2016-06-22 大丰市洪联铸钢有限责任公司 一种高温耐水压组合式法兰的铸造工艺
CN107575698A (zh) * 2017-09-30 2018-01-12 江苏联禹智能工程有限公司 一种建筑工程专用加强管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4137U (ko) * 1978-07-14 1980-01-29
JP3064321U (ja) * 1999-05-24 2000-01-14 トーゼン産業株式会社 管継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4137U (ko) * 1978-07-14 1980-01-29
JP3064321U (ja) * 1999-05-24 2000-01-14 トーゼン産業株式会社 管継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2636C (zh) 2004-08-18
MY128357A (en) 2007-01-31
JP3398861B2 (ja) 2003-04-21
ID29690A (id) 2001-09-27
CN1314560A (zh) 2001-09-26
JP2001263559A (ja) 2001-09-26
TW464741B (en) 2001-11-21
HK1038785B (zh) 2005-02-08
KR20010092629A (ko) 2001-10-26
HK1038785A1 (en) 2002-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83486B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ett speciellt i roerskarvar anvaendbart taetningsstycke och form foer framstaellning av taetningsstycket.
KR100612541B1 (ko) 관이음과, 그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US11396142B2 (en) Disposable mold core, method for producing a component, and the component itself
JP2544839B2 (ja) 導管を修理する方法およびその方法に使用する装置
FI65481C (fi) Saett foer gjutning av ett av betong bestaoende roerstycke
US4352652A (en) Apparatus for molding plastic pipe fitting with internal groove therein
KR100728309B1 (ko) 관 연결구 일체형 맨홀 구조체 및 그 제조장치
JPH07290496A (ja) ルーズフランジ付き内面樹脂ライニング管の製造方法
JPH09109160A (ja) 曲りゴムホース用マンドレル
JP7128797B2 (ja) 柱体成形用型枠および組立式コンクリート柱用の柱体の製造方法
JPH1086123A (ja) コンクリート製構造物における同心円筒孔の成形方法
JP4070286B2 (ja) 型枠用アンカ支持具
KR20000012730A (ko) 다분할 세그멘트 및 그 제조 방법
JP3228014B2 (ja) コンクリート成形体の角孔成形用中型
CA1198262A (en) Quick-strip groove former
JP2009184235A (ja) コンクリート成形体の貫通孔成形型
JP3229150B2 (ja) ダクト形成用ゴムホース製シース型およびダクト形成方法
JPH0521401Y2 (ko)
JPH08199691A (ja) インサート器具
JP3438522B2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孔成形用中型
JPH08229904A (ja) 中空孔を有するコンクリート成形体の製造方法及びコンクリート成形体の中空孔成形用中型
US148189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ulcanizing annular tubes
JPH08142188A (ja) 管継手成形用金型
JP3038127U (ja) 多孔管及び多孔管の成形装置
JPH07279424A (ja) コンクリート打設用化粧型枠と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