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1819B1 - 기록장치, 기록방법 및 매체 - Google Patents

기록장치, 기록방법 및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1819B1
KR100611819B1 KR1020047000660A KR20047000660A KR100611819B1 KR 100611819 B1 KR100611819 B1 KR 100611819B1 KR 1020047000660 A KR1020047000660 A KR 1020047000660A KR 20047000660 A KR20047000660 A KR 20047000660A KR 100611819 B1 KR100611819 B1 KR 100611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stream
recording
recorded
image
st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0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6996A (ko
Inventor
하마모토야스오
미야시타미츠히로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16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6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1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1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7921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for more than one processing mod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3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ersonal Computer [P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8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 H04N21/4184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providing storage capabilities, e.g. memory sti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7Providing Remote input by a user located remotely from the client device, e.g. at 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61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reading from or writing on a magnetic storage medium, e.g. hard disk driv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7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modulating an analogue carrier signal to encode digital information or demodulating it to decode digital information, e.g. ADSL or cable mod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 H04N21/4325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by playing back content from the storage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9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for generating different ver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2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5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7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 G11B2020/10592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multichannel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62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20/10935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a time constraint must be met
    • G11B2020/10953Concurrent recording or playback of different streams or files
    • G11B2020/10962Concurrent recording or playback of different streams or files wherein both recording and playback take place simultaneousl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20/10935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a time constraint must be met
    • G11B2020/10981Recording or reproducing data when the data rate or the relative speed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is variabl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7/00Conversion of a code where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given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to a code where the same, similar or subset of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different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 H03M7/30Compression; Expansion; Suppression of unnecessary data, e.g. redundancy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4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fitting data in a restricted space on the screen, e.g. EPG data in a rectangular gr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4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image parameters, e.g. image brightness, contr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1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disk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04N5/85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on disc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07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static stores, e.g. storage tubes or semiconductor 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H04N9/8227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t least another television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종래 기록한 영상 ·음성을 저용량의 메모리매체로 간단히 휴대하거나 옥외에서 시청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입력된 영상신호를 이용하여, (1) 제 1 비트스트림 및 (2) 제 1 비트스트림이 갖는 비트레이트 미만의 비트레이트를 갖는 제 2 비트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한 압축스트림 생성수단(4)과, 생성된 제 1 비트스트림 및 생성된 제 2 비트스트림을 소정의 매체에 기록하기 위한 기록변조수단(14)과, 기록된 제 1 비트스트림을 출력하기 위한 제 1 디지털 인터페이스(21)와, 기록된 제 2 비트스트림을 출력하기 위한, 소정의 소형 메모리장치를 접속하는 것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갖는 제 2 디지털 인터페이스(22)를 구비한 기록재생장치이다.
기록장치, 비트스트림, 디지털 인터페이스, 압축스트림, 기록변조수단

Description

기록장치, 기록방법 및 매체{RECORDING APPARATUS, RECORDING METHOD, PROGRAM, AND MEDIUM}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영상신호를 원반형상 기록매체에 기록재생하기 위한 기록장치, 기록방법 및 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압축된 오디오·비디오(AV)신호를 하드디스크장치나 광디스크장치 등의 원반형상 기록미디어를 이용하여 기록재생하는 기록재생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기록재생장치의 블록도인 도 12를 참조하여 종래의 기록재생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에서 101은 아날로그 입력단자, 102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수단, 103은 압축수단, 104는 비트스트림 생성수단, 105는 기록용 버퍼, 106은 기록변조수단, 107은 제어수단, 108은 원반형상 기록장치(하드디스크장치), 109는 재생복조수단, 110은 재생용 버퍼, 111은 복원수단, 112는 표시용 메모리 수단, 113은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수단, 114는 아날로그 출력단자, 115는 디지털 인터페이스, 116은 디지털 입출력단자이다.
다음에, 종래의 기록재생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에서는 입 력이 영상신호라고 설명하고 있지만, 통상은 영상신호에 동기한 음성신호도 동시에 처리된다.
기록시의 동작에 대하여 우선 설명하고, 재생시의 동작에 대하여 다음에 설명한다.
기록시의 동작 ; 아날로그 입력단자(101)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영상신호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수단(102)에 의해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된다. 통상의 텔레비전 신호의 경우, 샘플링 주파수는 14.3MHz 등이 이용된다.
다음으로, 디지털 영상신호는 압축수단(103)에서 압축이 실시된다. 압축방식으로서는 MPEG2 압축이 널리 이용되고 있고, 압축 후의 비트레이트는 수Mbps 정도이다.
다음으로, 압축영상신호는 비트스트림 생성수단(104)에서 에러정정부호(ECC) 등이 부가되어 기록용 비트스트림으로 된다.
다음으로, 기록용 비트스트림은 기록용 버퍼(105)에 축적되고, 기록변조수단(106)에서 기록에 적합한 변조가 행해진 후에 원반형상 기록장치(108)에 기록된다.
또, 원반형상 기록장치(108)는 통상, 기록시의 디스크의 회전을 위한 준비시간이 필요하게 되므로, 그것을 감소시키기 위해 기록버퍼(105)가 필요하게 된다. 기록버퍼(105)로부터의 판독과, 원반형상 기록장치(108)의 기록헤드는 제어수단(107)에 의해 동기적으로 제어된다.
재생시의 동작 ; 재생시에는 원반형상 기록장치(108)로부터 재생된 신호가 재생복조수단(109)에 의해 기록시에 변조된 신호를 원상태로 되돌린다.
원상태로 복귀된 신호는 일단 재생용 버퍼(110)에 축적된 후, 에러정정 등의 처리가 행해져 복원수단(111)에 입력된다.
복원수단(111)은 기록시에 압축수단(103)에 의해 실시된 화상압축의 반대의 처리를 행하여 디지털 영상신호를 복원한다.
복원된 영상신호는 표시용 메모리수단(112)에 프레임단위로 축적되고,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수단(113)에서 아날로그 영상신호로 변환되며, 아날로그 출력단자(114)에 출력된다.
이상에서는 종래의 기록재생장치의 기록/재생 중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또, 기록매체로서 원반형상 기록장치(108)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상술한 기록과 재생을 동시에 하는 등의 종래의 테이프에 의한 기록방식에 의해서는 얻을 수 없는 장점을 얻을 수 있고, 원반형상 기록장치를 이용하여 AV 신호를 기록재생하는 장치가 발표 또는 상품화되어 있다.
또, 상술한 압축수단(103)의 직후나 복원수단(111)의 직전의 디지털신호를 디지털 인터페이스(115)를 통하여 디지털 입출력단자(116)에서 입출력하면, 디지털 압축신호를 직접 다른 AV 기기와의 사이에서 교환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영상신호의 기록 및 재생은 가정 내에서 대화면의 텔레비전 세트와 접속하여 시청할 수 있는 수준의 화질을 확보하기 위해, 비트레이트가 수Mbps 이상인 MPEG2를 이용하여 행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상술한 종래의 기록재생장치에서는 기록된 데이터량이 매우 많기 때 문에, 기록한 영상·음성을 간단히 휴대하여 모바일환경 등으로부터 시청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예를 들어, 기록한 영상·음성을 저용량의 메모리매체로 간단히 휴대하여 옥외에서 시청하거나 전화회선 등의 저속회선을 통해 원격지에서 시청할 수 있는 기록장치, 기록방법 및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 1 발명은, 외부로부터 입력된 영상신호를 이용하여, (1) 제 1 비트스트림 및 (2) 상기 제 1 비트스트림이 갖는 비트레이트 미만의 비트레이트를 갖는 제 2 비트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한 생성수단과,
상기 생성된 제 1 비트스트림 및 상기 생성된 제 2 비트스트림을 소정의 매체에 기록하기 위한 기록수단과,
상기 기록된 제 1 비트스트림을 출력하기 위한 제 1 비트스트림 출력수단과,
상기 기록된 제 2 비트스트림을 출력하기 위하여 소정의 소형 메모리장치를 접속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갖는 제 2 비트스트림 출력수단을 구비한 기록장치이다.
제 2 발명은, 상기 제 2 비트스트림이 갖는 비트레이트는 상기 소형 메모리장치의 기록용량을 고려하여 결정되어 있는 제 1 발명의 기록장치이다.
제 3 발명은, 적어도 상기 기록된 제 2 비트스트림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표의 내용에 기초하는 표시를 행하기 위한 표시수단과, 상기 표시의 결과를 이용하 여, 상기 기록된 제 2 비트스트림 내에서 소정의 제 2 비트스트림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 2 비트스트림 출력수단은 상기 선택된 제 2 비트스트림을 출력하는 제 1 발명의 기록장치이다.
제 4 발명은, 상기 기록된 제 1 비트스트림 및 상기 기록된 제 2 비트스트림의, 사용자에 의해 시청된 시청완료범위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수단을 구비한 제 1 발명의 기록장치이다.
제 5 발명은, 상기 기록된 제 1 비트스트림은 상기 제 1 비트스트림 출력수단으로부터 출력되어, 상기 사용자에 의한 시청에 이용되고,
상기 관리수단은 상기 제 1 비트스트림의 상기 사용자에 의해 시청된 시청완료범위를 관리하고 있으며,
상기 제 2 비트스트림 출력수단은 그 제 1 비트스트림의 생성에 이용된 영상신호를 이용하여 생성된 제 2 비트스트림의, 상기 관리되어 있는 제 1 비트스트림의 시청완료범위 이외의 시청미완료범위를 출력하는 제 4 발명의 기록장치이다.
제 6 발명은, 상기 기록된 제 2 비트스트림은 상기 제 2 비트스트림 출력수단으로부터 출력되어, 상기 사용자에 의한 시청에 이용되며,
상기 관리수단은 상기 제 2 비트스트림의 상기 사용자에 의해 시청된 시청완료범위를 관리하고 있으며,
상기 제 1 비트스트림 출력수단은 그 제 2 비트스트림의 생성에 이용된 영상신호를 이용하여 생성된 제 1 비트스트림의, 상기 관리되어 있는 제 2 비트스트림 의 시청완료범위 이외의 시청미완료범위를 출력하는 제 4 발명의 기록장치이다.
제 7 발명은, 상기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1) 제 1 비트스트림을 이용한 화상 또는 (2) 복수개의 제 2 비트스트림을 각각 이용한 복수개의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화상표시수단과, 상기 복수개의 제 2 비트스트림을 각각 이용한 복수개의 화상표시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기록된 제 2 비트스트림 내에서 소정의 제 2 비트스트림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화상표시수단은 그 선택된 제 2 비트스트림의 생성에 이용된 영상신호를 이용하여 생성된 제 1 비트스트림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비트스트림을 이용한 화상을 표시하는 제 1 발명의 기록장치이다.
제 8 발명은, 상기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1) 제 1 비트스트림을 이용한 화상의 표시 및 (2) 복수개의 제 2 비트스트림을 각각 이용한 복수개의 화상의 표시를 동시에 행하기 위한 화상표시수단을 구비한 제 1 발명의 기록장치이다.
제 9 발명은, 상기 제 2 비트스트림 출력수단은 유선 및/또는 무선을 이용하는 소정의 통신망으로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갖는 제 1 발명의 기록장치이다.
제 10 발명은, 외부로부터 입력된 영상신호를 이용하여, (1) 제 1 비트스트림 및 (2) 상기 제 1 비트스트림이 갖는 비트레이트 미만의 비트레이트를 갖는 제 2 비트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제 1 비트스트림 및 상기 생성된 제 2 비트스트림을 소정의 매체에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기록된 제 1 비트스트림을 출력하는 단계와,
소정의 소형 메모리장치를 접속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기록된 제 2 비트스트림을 출력하는 단계를 구비한 기록방법이다.
제 11 발명은, 제 10 발명의 기록방법의, 외부로부터 입력된 영상신호를 이용하여, (1) 제 1 비트스트림 및 (2) 상기 제 1 비트스트림이 갖는 비트레이트 미만의 비트레이트를 갖는 제 2 비트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제 1 비트스트림 및 상기 생성된 제 2 비트스트림을 소정의 매체에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기록된 제 1 비트스트림을 출력하는 단계와, 소정의 소형 메모리장치를 접속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기록된 제 2 비트스트림을 출력하는 단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매체로서, 컴퓨터에 의해 처리 가능한 매체이다.
삭제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의 기록재생장치의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의 기록재생장치의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서의 기록재생장치의 블록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서의 기록재생장치의 블록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서의 기록재생장치의 블록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서의 기록재생장치의 블록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의 선택화면의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의 압축설정화면 1의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의 압축설정화면 2의 개념도.
도 10의 (a)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서의 화상멀티화면(선택전)의 개념도.
도 10의 (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서의 화상화면(선택후)의 개념도.
도 11의 (a)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서의 화상멀티화면(교체전)의 개념도.
도 11의 (b)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서의 화상화면(교체후)의 개념도.
도 12는 종래의 기록재생장치의 블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아날로그 입력단자 2 :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수단
3 : 입력단자 4 : 압축스트림 생성수단
5 : 제 1 압축수단 6 : 제 1 비트스트림 생성수단
7 : 제 2 압축수단 8 : 제 2 비트스트림 생성수단
9, 10 : 출력단자 11 : 제 1 기록용 버퍼
12 : 제 2 기록용 버퍼 13, 18 : 스위치
14 : 기록변조수단 15 : 제 1 제어수단
16 : 원반형상 기록재생장치 17 : 재생복조수단
19 : 제 1 재생용 버퍼 20 : 제 2 재생용 버퍼
21 : 제 1 디지털 인터페이스 22 : 제 2 디지털 인터페이스
23 : 제 1 디지털 입출력단자 24 : 제 2 디지털 입출력단자
25 : 제 1 복원수단 26 : 표시용 메모리수단
27 :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수단 28 : 아날로그 출력단자
29 : 관리표 기록재생수단 30 : 리모트 컨트롤수단
31 : 제 2 제어수단 32 : 표시용 표처리수단
33 : 커서 표시수단 34 : 플래쉬 메모리수단
35 : 제 1 시청시간 판단수단 36 : 제 2 시청시간 판단수단
37 : 제 2 복원수단 38 : 접속수단
39 : 무선전송 40 : 제 1 휴대단말
41 : 제 2 휴대단말 42 : 제 1 인터넷 프로바이더
43 : 제 2 인터넷 프로바이더 44 : 제 3 인터넷 프로바이더
45 : 인터넷 46 : 제 4 인터넷 프로바이더
47 : 제 1 고정단말 48 : 기록장치
이하에,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처음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의 기록재생장치의 블록구성도인 도 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기록재생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에 상술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고레이트의 압축스트림과 동시에 기록을 행하고 있는 저레이트의 압축스트림을 이용하여, 종래에는 불 가능하던 소거 가능한 저용량 기록미디어를 이용한 동화상의 휴대가 가능해진다.
도 1에서 1은 아날로그 입력단자로, 아날로그 영상신호(이하, 음성도 포함함)가 입력된다. 2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수단으로, 아날로그 입력단자(1)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한다. 4는 압축스트림 생성수단으로, 입력단자(3), 제 1 압축수단(5), 제 1 비트스트림 생성수단(6), 출력단자(9), 제 2 압축수단(7), 제 2 비트스트림 생성수단(8), 출력단자(10)로 구성되어 있다. 11은 제 1 기록용 버퍼로, 제 1 비트스트림을 일시적으로 축적한다. 12는 제 2 기록용 버퍼로, 제 2 비트스트림을 일시적으로 축적한다. 13은 스위치로, 11, 12의 기록용 버퍼의 출력을 선택한다. 14는 기록변조수단으로, 원반형상 기록재생장치(16)에서 기록 및 재생하기 위해 기록스트림에 적절한 변조를 행한다. 17은 재생복조수단으로, 기록시에 기록변조수단(14)에서 변조된 신호를 원상태로 되돌린다. 18은 스위치로, 재생된 스트림을 제 1 재생용 버퍼(19)와 제 2 재생용 버퍼(20)로 배분한다. 15는 제 1 제어수단으로, 버퍼(11, 12, 19, 20)의 판독/기입과 원반형상 기록재생장치(16)에서의 기록재생 타이밍을 제어하여 동기를 실현한다. 25는 제 1 복원수단으로, 압축스트림 생성수단(4)에 의해 생성된 제 1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화상을 복원한다. 26은 표시용 메모리 수단으로, 프레임단위로 화상을 축적하고,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수단(27)으로 출력한다. 28은 아날로그 출력단자로, 재생된 아날로그화상을 출력한다. 21은 제 1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제 1 비트스트림의 입출력을 행한다. 23은 제 1 디지털 입출력단자이다. 22는 제 2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제 2 비트스트림의 입출력을 행한다. 24는 제 2 디지털 입출력단자이다. 34는 제 2 디지털 입출력단자(24)에 접속된 플래쉬 메모리수단이다.
또, 압축스트림 생성수단(4)을 포함하는 수단은 본 발명의 생성수단을 포함하는 수단에 대응하고, 기록변조수단(14)을 포함하는 수단은 본 발명의 기록수단을 포함하는 수단에 대응하며, 제 1 디지털 인터페이스(21)를 포함하는 수단은 본 발명의 제 1 비트스트림 출력수단을 포함하는 수단에 대응하고, 제 2 디지털 인터페이스(22)를 포함하는 수단은 본 발명의 제 2 비트스트림 출력수단을 포함하는 수단에 대응한다. 또, 본 실시예의 기록재생장치는 본 발명의 기록장치에 대응한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기록재생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본 실시예의 기록재생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기록방법 및 기록재생방법의 일실시예에 대해서도 설명한다(이하의 실시예에서도 동일함).
아날로그 입력단자(1)로부터 입력된 영상신호(휘도신호 Y, 색차신호 Cb, Cr)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수단(2)에서 디지털신호로 변환된다. Y : Cr : Cb = 4:2:2, Y를 8비트, 14.3MHz로 샘플링하면 전체 비트레이트는 약 230Mbps 정도가 된다.
이 디지털신호는 처음에 압축스트림 생성수단(4)에 입력되고, 제 1 압축수단(5)과 제 1 비트스트림 생성수단(6)과 제 2 압축수단(7) 및 제 2 비트스트림 생성수단(8)을 이용하여 제 1과 제 2의 2종류의 압축 비트스트림으로 변환된다.
제 1 비트스트림은 고비트레이트의 스트림이고, 제 2 비트스트림은 저비트레이트의 스트림이며, 각각 독립하여 화상을 재구성할 수 있는 스트림이다. 예를 들어, 제 1 압축수단은 현재 방송방식의 표준으로 되어 있는 MPEG2 방식의 압축으로 3Mbps∼12Mbps 정도, 제 2 압축수단은 보다 고압축율을 달성하기 위해 MPEG4 방식의 압축으로, 32Kbps∼384Kbps 정도의 압축을 행하는 수단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비트레이트가 수십배 내지 100배 정도 다른 2종류의 압축을 행하는 수단을 갖는다.
제 1 및 제 2 압축수단(5, 7)에서 압축된 데이터는 다음에 제 1 및 제 2 비트스트림 생성수단(6, 8)에 입력되어 기록용 헤더나 에러정정부호가 부가된 스트림으로 되고, 출력단자(9, 10)에 각각 출력된다. 각각의 스트림은 일단 제 1 및 제 2 기록용 버퍼(11, 12)에 축적되고, 스위치(13)를 거쳐 기록용 변조수단(14)에서 기록재생하기 위하여 적절한 변조가 이루어진 후에 원반형상 기록재생장치(16)에 기록된다.
15는 제 1 제어수단으로, 제 1 및 제 2 기록용 버퍼의 판독과, 스위치(13)의 전환, 원반형상 기록재생장치(16)에서의 기록타이밍을 동기시켜 제어한다. 이렇게 하여, 제 1 비트스트림 및 제 2 비트스트림이 원반형상 기록재생장치(16)에 누락없이 기록된다.
재생시는, 예를 들어 제 1 비트스트림을 재생한다면, 스위치(18)를 제 1 재생용 버퍼(19)측으로 설정하고, 제 1 제어수단(15)을 이용하여 원반형상 기록재생장치(16)로부터의 제 1 비트스트림의 판독타이밍과 제 1 재생용 버퍼(19)의 기입타이밍을 동기시켜 제어하고, 제 1 재생용 버퍼(19)에 기입한다. 제 2 비트스트림을 재생한다면, 스위치(18)를 제 2 재생용 버퍼(20)측으로 설정하고, 제 1 제어수단을 이용하여 원반형상 기록재생장치(16)로부터의 제 2 비트스트림의 판독타이밍과 제 2 재생용 버퍼(20)의 기입타이밍을 동기시켜 제어하고, 제 2 재생용 버퍼(20)에 기입한다.
이 때, 제 1 제어수단(15)으로 적절히 타이밍제어를 행하면, 제 1, 제 2 비트스트림을 기입하면서, 동시에 양스트림을 재생하는 것이나, 기록완료된 다른 스트림을 재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1 재생용 버퍼(19)로부터 판독된 제 1 비트스트림은 제 1 복원수단(25)에 의해 압축 이전의 화상으로 복원되고, 표시용 메모리수단(26)에 프레임단위로 축적되며,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수단(27)을 통하여 아날로그 출력단자(28)에 재생화상이 출력된다. 이 화상은 고레이트의 MPEG2이기 때문에, 가정 내의 대화면 텔레비전 세트로 시청하기에 충분한 품질을 갖고 있다.
또, 제 1 재생용 버퍼(19)는 제 1 디지털 인터페이스(21)를 통하여 제 1 디지털 입출력단자(23)에 출력된다. 이 단자는 다른 AV 기기(예를 들면, STB 등)에 디지털 접속할 때에 이용한다. 제 1 디지털 인터페이스(21)는, 예를 들어 IEEE1394 시리얼버스 등이 표준이지만 다른 인터페이스 수단이어도 된다.
제 2 재생용 버퍼(20)는 제 2 디지털 인터페이스(22)를 통하여 제 2 디지털 입출력단자(24)에 출력된다. 이 단자에 접속된 소거 가능한 플래쉬 메모리수단(34)에 MPEG4 압축된 저레이트 화상을 기입할 수 있다.
플래쉬 메모리수단(34)은, 예컨대 콤팩트 플래쉬, 스마트 미디어, SD 카드, 메모리 스틱 등이 있다. 플래쉬 메모리수단(34)의 용량을 64MB, MPEG4 스트림을 128Kbps로 한 경우, 1시간 정도의 동화상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게 된다. 이 플래쉬 메모리수단(34)과 PDA 등의 콤팩트한 재생장치를 휴대하면 옥외 등에서의 시청 이 가능해진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예에 의하면, 고레이트의 압축스트림과 동시에 기록을 행하고 있는 저레이트의 압축스트림을 이용하여, 종래 불가능하던 소거 가능한 저용량 기록미디어를 이용한 동화상의 휴대가 가능해진다.
또, 제 1 및 제 2 디지털 입출력단자(23, 24)를 입력단자로서 이용하면, 각각 제 1, 제 2 압축완료된 디지털화상의 원반형상 기록재생장치(16)로의 기록도 가능하다. 각각의 스트림은 제 1 및 제 2 디지털 인터페이스(21, 22)를 통하여 압축 비트스트림 생성수단(4) 내의 제 1 및 제 2 비트스트림 생성수단에 입력되어 있고, 본 발명에서는 압축완료된 디지털화상을 외부로부터 입력하여 기록재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2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의 기록재생장치의 블록구성도인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기록재생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에 상술하는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에 의하면, 상술한 제 1 실시예의 효과에 추가하여, 화면표시를 이용하여 간단히 제 2 비트스트림을 플래쉬 메모리수단(34)에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2에서 1은 아날로그 입력단자로, 아날로그 영상신호(이하, 음성도 포함함)가 입력된다. 2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수단으로서 아날로그 입력단자(1)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한다. 4는 압축스트림 생성수단으로, 입력단자(3), 제 1 압축수단(5), 제 1 비트스트림 생성수단(6), 출력단자(9), 제 2 압축수단(7), 제 2 비트스트림 생성수단(8), 출력단자(10)로 구성되어 있다. 11은 제 1 기록용 버퍼로, 제 1 비트스트림을 일시적으로 축적한다. 12는 제 2 기록용 버퍼로, 제 2 비트스트림을 일시적으로 축적한다. 13은 스위치로, 11,12의 기록용 버퍼의 출력을 선택한다. 14는 기록변조수단으로, 원반형상 기록재생장치(16)에서 기록재생하기 위해 기록스트림에 적절한 변조를 행한다. 17은 재생복조수단으로, 기록시에 기록변조수단(14)에서 변조된 신호를 원상태로 되돌린다. 18은 스위치로, 재생된 스트림을 제 1 재생용 버퍼(19)와 제 2 재생용 버퍼(20)로 배분한다. 15는 제 1 제어수단으로, 버퍼(11, 12, 19, 20)의 판독/기입과 원반형상 기록재생장치(16)에서의 기록재생 타이밍을 제어하여 동기를 실현한다. 25는 제 1 복원수단으로, 압축스트림 생성수단(4)에 의해 생성된 제 1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화상을 복원한다. 26은 표시용 메모리 수단으로, 프레임단위로 화상을 축적하고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수단(27)으로 출력한다. 28은 아날로그 출력단자로, 재생된 아날로그 화상을 출력한다. 21은 제 1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제 1 비트스트림의 입출력을 행한다. 23은 제 1 디지털 입출력단자이다. 22는 제 2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제 2 비트스트림의 입출력을 행한다. 24는 제 2 디지털 입출력단자이다. 34는 제 2 디지털 입출력단자(24)에 접속된 플래쉬 메모리수단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29는 원반형상 기록재생장치(16)의 기록내용을 나타내는 관리표를 기록재생하는 수단, 30은 외부로부터 기록재생장치를 컨트롤하는 리모트 컨트롤수단, 31은 리모트 컨트롤수단(30)의 지시에 기초하여 화면표시와, 압축레이트, 기록재생을 제어하는 제 2 제어수단, 32는 원반형상 기록재생장치(16)에 기록되어 있는 관리표를 화면 상에 표시하는 표시용 표처리수단, 33은 제 2 제어수단(31)의 지시에 기초하여 화면 상에 커서를 표시하는 커서표시수단이다.
또, 표시용 표처리수단(32)을 포함하는 수단은 본 발명의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수단에 대응하며, 커서표시수단(33)을 포함하는 수단은 본 발명의 선택수단을 포함하는 수단에 대응한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기록재생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아날로그 입력단자(1)로부터 입력된 영상신호(휘도신호 Y, 색차신호 Cb, Cr)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수단(2)에서 디지털신호로 변환된다. Y : Cr : Cb = 4:2:2, Y를 8비트, 14.3MHz로 샘플링하면 전체의 비트레이트는 약 230Mbps 정도가 된다. 이 디지털신호는 처음에 압축스트림 생성수단(4)에 입력되고, 제 1 압축수단(5)과 제 1 비트스트림 생성수단(6)과 제 2 압축수단(7) 및 제 2 비트스트림 생성수단(8)을 이용하여, 제 1과 제 2의 2종류의 압축 비트스트림으로 변환된다. 제 1 비트스트림은 고비트레이트의 스트림이고, 제 2 비트스트림은 저비트레이트의 스트림이며, 각각 독립하여 화상을 재구성할 수 있는 스트림이다. 예를 들어, 제 1 압축수단은 현재의 방송방식의 표준으로 되어 있는 MPEG2 방식의 압축으로, 3Mbps∼12Mbps 정도, 제 2 압축수단은 더욱 고압축율을 달성하기 위해 MPEG4 방식의 압축으로, 32 Kbps∼384Kbps 정도의 압축을 행하는 수단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비트레이트가 수십배 내지 100배 정도 다른 2종류의 압축을 행하는 수단을 갖는다.
제 1 및 제 2 압축수단(5, 7)으로 압축된 데이터는 다음에 제 1 및 제 2 비트스트림 생성수단(6, 8)에 입력되고, 기록용 헤더나 에러정정부호가 부가된 스트림으로 되어, 출력단자(9, 10)에 각각 출력된다. 각각의 스트림은 일단 제 1 및 제 2 기록용 버퍼(11, 12)에 축적되고, 스위치(13)를 거쳐 기록용 변조수단(14)에서 기록재생하기 위해 적절한 변조가 이루어진 후에 원반형상 기록재생장치(16)에 기록된다. 15는 제 1 제어수단으로, 제 1 및 제 2 기록용 버퍼의 판독과, 스위치(13)의 전환, 원반형상 기록재생장치(16)에서의 기록타이밍을 동기시켜 제어한다. 이렇게 하여, 제 1 비트스트림 및 제 2 비트스트림이 원반형상 기록재생장치(16)에 누락없이 기록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관리표 기록재생수단(29)은 제 1 제어수단(15)에 지시를 부여하는 동시에, 기록된 컨텐츠를 통합 관리하는 관리표를 기록변조수단(14)에 제공하고, 원반형상 기록재생장치(16)의 특정한 영역에 관리표를 기록한다.
재생시는, 예를 들어 제 1 비트스트림을 재생한다면, 스위치(18)를 제 1 재생용 버퍼(19)측으로 설정하고, 제 1 제어수단(15)을 이용하여 원반형상 기록재생장치(16)로부터의 제 1 비트스트림의 판독타이밍과 제 1 재생용 버퍼(19)의 기입타이밍을 동기시켜 제어하며, 제 1 재생용 버퍼(19)에 기입한다. 제 2 비트스트림을 재생한다면, 스위치(18)를 제 2 재생용 버퍼(20)측으로 설정하고, 제 1 제어수단(15)을 이용하여 원반형상 기록재생장치(16)로부터의 제 2 비트스트림의 판독타이밍과 제 2 재생용 버퍼(20)의 기입타이밍을 동기시켜 제어하고 제 2 재생용 버퍼(20)에 기입한다.
이 때, 제 1 제어수단(15)으로 적절히 타이밍제어를 행하면, 제 1, 제 2 비트스트림을 기입하면서, 동시에 양스트림을 재생하는 것이나, 기록완료된 다른 스트림을 재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1 재생용 버퍼(19)로부터 판독된 제 1 비트스트림은 제 1 복원수단(25)에 의해 압축 이전의 화상으로 복원되고, 표시용 메모리수단(26)에 프레임단위로 축적되며,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수단(27)을 통하여 아날로그 출력단자(28)에 재생화상이 출력된다. 이 화상은 고레이트의 MPEG2이기 때문에, 가정 내의 대화면 텔레비전 세트로 시청하기에 충분한 품질을 갖고 있다.
또, 제 1 재생용 버퍼(19)는 제 1 디지털 인터페이스(21)를 통하여 제 1 디지털 입출력단자(23)에 출력된다. 이 단자는 다른 AV 기기(예를 들면 STB 등)에 디지털 접속할 때에 이용한다. 제 1 디지털 인터페이스(21)는 예를 들어, IEEE1394 시리얼버스 등이 표준이지만 다른 인터페이스 수단이어도 된다.
제 2 재생용 버퍼(20)는 제 2 디지털 인터페이스(22)를 통하여 제 2 디지털 입출력단자(24)에 출력된다. 이 단자에 접속된 소거 가능한 플래쉬 메모리수단(34)에 MPEG4 압축된 저레이트 화상을 기입할 수 있다. 플래쉬 메모리수단(34)은 예컨대, 콤팩트 플래쉬, 스마트 미디어, SD 카드, 메모리 스틱 등이 있다. 가령, 플래쉬 메모리수단(34)의 용량을 64MB, MPEG4 스트림을 128Kbps로 한 경우, 1시간 정도의 동화상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게 된다. 이 플래쉬 메모리수단(34)과 PDA 등의 콤팩트한 재생장치를 휴대하면 옥외 등에서의 시청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리모트 컨트롤수단(30)을 이용하여 적외선 등의 무선통신으로, 제 2 제어수단(31)에 지시를 부여한다. 제 2 제어수단(31)은 제 1 제어수단(15)에 원반형상 기록재생장치(16)로부터 기록완료된 관리표를 판독하도록 지시를 부여한다. 판독된 관리표는 재생복조수단(17)을 거쳐 표시용 표처리수단(32)에서 화면표시용 데이터로 정형되고, 표시용 메모리수단(26)에 관리표를 표시한다.
그 때의 화면의 구성예를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의 선택화면의 개념도인 도 7에 나타낸다. 또, 도 7에는 기록된 컨텐츠가 8개 타이틀 표시되어 있는 형태가 나타나 있다.
제 2 제어수단(31)은 커서표시수단(33)을 제어하여 화면 상에 커서도 표시하고 있다. 표시된 커서는 리모트 컨트롤수단(30)에 의해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고, 도 7의 예에서는 타이틀 6을 선택하고 있는 형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수단(30)과 화면표시를 이용하여 기록완료된 타이틀을 선택하면, 동시에, 제 2 제어수단(31)은 다시 제 1 제어수단(15)에 지시를 부여하고, 선택된 타이틀에 해당하는 기록완료된 제 2 비트스트림을 재생하고, 제 2 재생용 버퍼(20), 제 2 디지털 인터페이스(22), 제 2 디지털 입출력단자(24)를 거쳐 플래쉬 메모리수단(34)에 저레이트의 스트림을 기록한다.
또, 제 2 제어수단(31)은 기록시에는 압축레이트나 기록시각을 압축스트림 생성수단(4)에 지시하는 역할도 한다. 이것도 앞서의 플래쉬 메모리수단(34)으로의 전송지시와 마찬가지로, 리모트 컨트롤수단(30)을 이용하여 화면표시에 의해 설정을 행한다.
그 때의 화면의 구성예를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의 압축설정화면 1의 개념도인 도 8에 나타낸다. 또, 도 8은 압축설정화면 1을 나타내고 있고, 상단이 기록시각, 하단이 기록시의 압축레이트이다.
여기에서는 12Mbps를 지시하고 있지만, 이것은 고비트레이트의 스트림인 제 1 비트스트림의 레이트를 설정하는 예이고, 저비트레이트의 스트림인 제 2 비트스트림의 레이트도 마찬가지로 지시를 행한다. 이 경우, 화면표시가 32Kbps, 64Kbps, 128Kbps, 256Kbps 등의 저레이트가 된다.
제 2 제어수단(31)은 압축스트림 생성수단(4)에 제 1 및 제 2 비트스트림의 레이트를 앞서의 레이트로 제어하도록 지시한다. 압축스트림 생성수단(4)은 지시에 기초하여 레이트 제어된 스트림을 생성한다.
또, 플래쉬 메모리수단(34)은 예컨대, 32MB, 64MB, 128MB, 256MB와 같이 기록용량을 미리 알고 있는 경우가 많고, 이 용량에 해당하도록 제 2 비트스트림의 레이트를 제어하는 것이 이용자의 사용편의성 향상으로 이어진다.
그 때의 화면의 구성예를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의 압축설정화면 2의 개념도인 도 9에 나타낸다.
예컨대, 앞서의 레이트를 지정하는 방법에서는 256MB의 플래쉬 메모리수단(34)으로 2시간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싶은 경우, 사용자가 기록레이트를 계산(이 예에서는 (256 ×23 ×103Kb) / (2 ×3600초) = 약 284Kbps)하여 설정해야 한다. 또, 계산결과와 동일한 기록레이트를 설정할 수 없는 경우 등(예컨대, 앞서의 계산의 284Kbps라는 레이트를 선택할 수 없고, 32Kbps, 64Kbps, 128Kbps, 256Kbps, 384Kbps의 설정밖에 없는 경우, 256Kbps를 선택하게 됨), 플래쉬 메모리수단(34)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없는 경우가 생긴다.
이러한 경우를 개선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용량과 기록시간을 지시함으로써 기록용량에 적합한 레이트로 자동제어를 행한다. 이 예에서는 제 2 제어수단(31)의 지시에 의해 압축스트림 생성수단(4)이 시간과 용량으로부터 레이트를 계산하고, 284Kbps로의 레이트제어를 자동적으로 행하여 제 2 비트스트림을 생성한다.
이렇게 하여, 제 2 실시예에 의하면, 상술한 제 1 실시예의 효과에 추가하여 화면표시를 이용하여 간단히 제 2 비트스트림을 플래쉬 메모리수단(34)에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압축시의 레이트나 시간의 지시도 화면표시를 이용하여 간단히 설정 할 수 있게 되어 기록용량과 기록시간을 지시함으로써 플래쉬 메모리수단(34)의 용량에 적합하도록 레이트를 제어하기 때문에, 이용자가 복잡한 계산을 할 필요가 없게 되어 사용편의성이 향상된다.
(제 3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서의 기록재생장치의 블록구성도인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기록재생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에서 상술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술한 본 제 1 실시예∼제 2 실시예의 효과에 추가하여, 제 1, 제 2 비트스트림의 시청한 시각을 관리함으로써, 한쪽 스트림을 도중까지 시청하였을 때, 계속되는 부분만을 다른 한쪽 스트림으로 시청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3에서 1은 아날로그 입력단자로, 아날로그 영상신호(이하, 음성도 포함함)가 입력된다. 2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수단으로, 아날로그 입력단자(1)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한다. 4는 압축스트림 생성수단으로, 입력단자(3), 제 1 압축수단(5), 제 1 비트스트림 생성수단(6), 출력단자(9), 제 2 압축수단(7), 제 2 비트스트림 생성수단(8), 출력단자(10)로 구성되어 있다. 11은 제 1 기록용 버퍼로, 제 1 비트스트림을 일시적으로 축적한다. 12는 제 2 기록용 버퍼로, 제 2 비트스트림을 일시적으로 축적한다. 13은 스위치로, 11, 12의 기록용 버퍼의 출력을 선택하다. 14는 기록변조수단으로, 원반형상 기록재생장치(16)에서 기록재생하기 위해 기록스트림에 적절한 변조를 행한다. 17은 재생복조수단으로, 기록시에 기록변조수단(14)에서 변조된 신호를 원상태로 되돌린다. 18은 스위치로, 재생된 스트림을 제 1 재생용 버퍼(19)와 제 2 재생용 버퍼(20)로 배분한다. 15는 제 1 제어수단으로, 버퍼(11, 12, 19, 20)의 판독/기입과 원반형상 기록재생장치(16)에서의 기록재생 타이밍을 제어하여 동기를 실현한다. 25는 제 1 복원수단으로, 압축스트림 생성수단(4)에 의해 생성된 제 1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화상을 복원한다. 26은 표시용 메모리 수단으로, 프레임단위로 화상을 축적하고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수단(27)으로 출력한다. 28은 아날로그 출력단자로, 재생된 아날로그 화상을 출력한다. 21은 제 1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제 1 비트스트림의 입출력을 행한다. 23은 제 1 디지털 입출력단자이다. 22는 제 2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제 2 비트스트림의 입출력을 행한다. 24는 제 2 디지털 입출력단자이다. 34는 제 2 디지털 입출력단자(24)에 접속된 플래쉬 메모리수단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29는 원반형상 기록재생장치(16)의 기록내용을 나타내는 관리표를 기록재생하는 수단, 30은 외부에서 본 실시예의 기록재생장치를 컨트롤하는 리모트 컨트롤수단, 31은 리모트 컨트롤수단(30)의 지시에 기초하여 화면표시와, 압축레이트, 기록재생을 제어하는 제 2 제어수단, 32는 원반형상 기록재생장치(16)에 기록되어 있는 관리표를 화면 상에 표시하는 표시용 표처리수단, 33은 제 2 제어수단(31)의 지시에 기초하여 화면 상에 커서를 표시하는 커서표시수단이다. 35는 제 1 시청시간 판단수단, 36은 제 2 시청시간 판단수단이다.
또, 제 1 디지털 인터페이스(21)를 포함하는 수단은 본 발명의 제 1 비트스트림 출력수단을 포함하는 수단에 대응하고, 제 1 시청시간 판단수단(35) 및 제 2 시청시간 판단수단(36)을 포함하는 수단은 본 발명의 관리수단을 포함하는 수단에 대응한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기록재생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아날로그 입력단자(1)로부터 입력된 영상신호(휘도신호 Y, 색차신호 Cb, Cr)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수단(2)에서 디지털신호로 변환된다. Y : Cr : Cb = 4:2:2, Y를 8비트, 14.3MHz로 샘플링하면 전체의 비트레이트는 약 230Mbps 정도가 된다. 이 디지털신호는 처음에 압축스트림 생성수단(4)에 입력되고, 제 1 압축수단(5)과 제 1 비트스트림 생성수단(6)과 제 2 압축수단(7) 및 제 2 비트스트림 생성수단(8)을 이용하여, 제 1과 제 2의 2종류의 압축 비트스트림으로 변환된다. 제 1 비트스트림은 고비트레이트의 스트림이고, 제 2 비트스트림은 저비트레이트의 스트림이며, 각각 독립하여 화상을 재구성할 수 있는 스트림이다. 예를 들어, 제 1 압축수단은 현재 방송방식의 표준으로 되어 있는 MPEG2 방식의 압축으로 3Mbps∼12Mbps 정도, 제 2 압축수단은 더욱 고압축율을 달성하기 위해 MPEG4방식의 압축으로 32Kbps∼384Kbps 정도의 압축을 행하는 수단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비트레이트가 수십배 내지 100배 정도 다른 2종류의 압축을 행하는 수단을 갖는다.
제 1 및 제 2 압축수단(5, 7)에서 압축된 데이터는 다음에 제 1 및 제 2 비트스트림 생성수단(6, 8)에 입력되고, 기록용 헤더나 에러정정부호가 부가된 스트림으로 되어 출력단자(9, 10)에 각각 출력된다. 각각의 스트림은 일단 제 1 및 제 2 기록용 버퍼(11, 12)에 축적되고, 스위치(13)를 거쳐 기록용 변조수단(14)에서 기록재생하기에 적절한 변조가 이루어진 후에 원반형상 기록재생장치(16)에 기록된다. 15는 제 1 제어수단으로, 제 1 및 제 2 기록용 버퍼의 판독과, 스위치(13)의 전환, 원반형상 기록재생장치(16)에서의 기록타이밍을 동기시켜 제어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 1 비트스트림 및 제 2 비트스트림이 원반형상 기록재생장치(16)에 누락없이 기록된다. 그리고, 관리표 기록재생수단(29)은 제 1 제어수단(15)에 지시를 부여하는 동시에, 기록된 컨텐츠를 통합 관리하는 관리표를 기록변조수단(14)에 제공하고, 원반형상 기록재생장치(16)의 특정한 영역에 관리표를 기록한다.
재생시는 예를 들어, 제 1 비트스트림을 재생한다면, 스위치(18)를 제 1 재생용 버퍼(19)측으로 설정하고, 제 1 제어수단(15)을 이용하여 원반형상 기록재생장치(16)로부터의 제 1 비트스트림의 판독타이밍과 제 1 재생용 버퍼(19)의 기입타이밍을 동기시켜 제어하여 제 1 재생용 버퍼(19)에 기입한다. 제 2 비트스트림을 재생한다면, 스위치(18)를 제 2 재생용 버퍼(20)측으로 설정하고, 제 1 제어수단(15)을 이용하여 원반형상 기록재생장치(16)로부터의 제 2 비트스트림의 판독타이밍과 제 2 재생용 버퍼(20)의 기입타이밍을 동기시켜 제어하여 제 2 재생용 버퍼(20)에 기입한다.
이 때, 제 1 제어수단(15)으로 적절히 타이밍제어를 행하면, 제 1, 제 2 비트스트림을 기입하면서, 동시에 양스트림을 재생하는 것이나, 기록완료된 다른 스트림을 재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1 재생용 버퍼(19)로부터 판독된 제 1 비트스트림은 제 1 복원수단(25)에 의해 압축 이전의 화상으로 복원되고, 표시용 메모리수단(26)에 프레임단위로 축적되며,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수단(27)을 통하여 아날로그 출력단자(28)에 재생화상이 출력된다. 이 화상은 고레이트의 MPEG2이기 때문에, 가정 내의 대화면 텔레비전 세트로 시청하기에 충분한 품질을 갖고 있다.
또, 제 1 재생용 버퍼(19)는 제 1 디지털 인터페이스(21)를 통하여 제 1 디지털 입출력단자(23)에 출력된다. 이 단자는 다른 AV 기기(예를 들면, STB 등)에 디지털 접속할 때에 이용한다. 제 1 디지털 인터페이스(21)는 예를 들어, IEEE1394 시리얼버스 등이 표준이지만 다른 인터페이스 수단이어도 된다.
제 2 재생용 버퍼(20)는 제 2 디지털 인터페이스(22)를 통하여 제 2 디지털 입출력단자(24)에 출력된다. 이 단자에 접속된 소거 가능한 플래쉬 메모리수단(34)에 MPEG4 압축된 저레이트 화상을 기입할 수 있다. 플래쉬 메모리수단(34)은 예를 들어, 콤팩트 플래쉬, 스마트 미디어, SD 카드, 메모리 스틱 등이 있다. 가령, 플래쉬 메모리수단(34)의 용량을 64MB, MPEG4 스트림을 128Kbps로 한 경우, 1시간 정도의 동화상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게 된다. 이 플래쉬 메모리수단(34)과 PDA 등의 콤팩트한 재생장치를 휴대하면 옥외 등에서의 시청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리모트 컨트롤수단(30)을 이용하여 적외선 등의 무선통신으로 제 2 제어수단(31)에 지시를 부여한다. 제 2 제어수단(31)은 제 1 제어수단(15)에 원반형상 기록재생장치(16)로부터 기록 완료된 관리표를 판독하도록 지시를 부여한다. 판독된 관리표는 재생복조수단(17)을 거쳐 표시용 표처리수단(32)에서 화면표시용 데이터로 정형되고, 표시용 메모리수단(26)에 관리표를 표시한다. 그 때의 화면의 구성예를 도 7에 나타낸다. 도 7은 기록된 컨텐츠가 8개 타이틀 표시되어 있는 형태이다. 또, 제 2 제어수단(31)은 커서표시수단(33)을 제어하여 화면 상에 커서도 표시하고 있다. 표시된 커서는 리모트 컨트롤수단(30)에 의해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도 7의 예에서는 타이틀 6을 선택하고 있는 형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수단(30)과 화면표시를 이용하여 기록완료된 타이틀을 선택하면, 동시에 제 2 제어수단(31)은 다시 제 1 제어수단(15)에 지시를 부여하고, 선택된 타이틀에 해당하는 기록완료된 제 2 비트스트림을 재생하고, 제 2 재생용 버퍼(20), 제 2 디지털 인터페이스(22), 제 2 디지털 입출력단자(24)를 거쳐 플래쉬 메모리수단(34)에 저레이트의 스트림을 기록한다.
또, 제 2 제어수단(31)은 기록시에는 압축레이트나 기록시각을 압축스트림 생성수단(4)에 지시하는 역할도 한다. 이것도, 앞서의 플래쉬 메모리수단(34)으로의 전송지시와 마찬가지로, 리모트 컨트롤수단(30)을 이용하여 화면표시에 의해 설정을 행한다. 도 8은 압축설정화면 1을 나타내고 있고, 상단이 기록시각, 하단이 기록시의 압축레이트이다. 이 예에서는 12Mbps를 지시하고 있지만, 이것은 고비트 레이트의 스트림인 제 1 비트스트림의 레이트를 설정하는 예이지만, 저비트레이트의 스트림인 제 2 비트스트림의 레이트도 마찬가지로 지시를 행한다. 이 경우, 화면표시가 32Kbps, 64Kbps, 128Kbps, 256Kbps 등의 저레이트가 된다. 제 2 제어수단(31)은 압축스트림 생성수단(4)에 제 1 및 제 2 비트스트림의 레이트를 앞서의 레이트로 제어하도록 지시한다. 압축스트림 생성수단(4)은 지시에 기초하여 레이트제어된 스트림을 생성한다.
또, 플래쉬 메모리수단(34)은 예를 들어, 32MB, 64MB, 128MB, 256MB와 같이 기록용량을 미리 알고 있는 경우가 많고, 이 용량에 해당하도록 제 2 비트스트림의 레이트를 제어하는 것이 이용자의 사용편의성 향상으로 이어진다. 도 9는 그 때의 화면표시예이다.
예컨대, 앞서의 레이트를 지정하는 방법에서는, 256MB의 플래쉬 메모리수단(34)으로 2시간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싶은 경우, 사용자가 기록레이트를 계산(이 예에서는 (256 ×23 ×103Kb) / (2 ×3600초) = 약 284Kbps)하여 설정해야 한다. 또, 계산결과와 동일한 기록레이트를 설정할 수 없는 경우 등(예컨대, 앞서의 계산의 284Kbps라는 레이트를 선택할 수 없고, 32Kbps, 64Kbps, 128Kbps, 256Kbps, 384Kbps의 설정밖에 없는 경우, 256Kbps를 선택하게 된다), 플래쉬 메모리수단(34)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없는 경우가 생긴다.
이러한 경우를 개선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용량과 기록시간을 지시함으로써, 기록용량에 적합한 레이트로 자동제어를 행한다. 이 예에서는 제 2 제어수단(31)의 지시에 의해, 압축스트림 생성수단(4)이 시간과 용량으로부터 레이트를 계산하고, 284Kbps로의 레이트제어를 자동적으로 행하여 제 2 비트스트림을 생성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또 제 1 시청시간 판단수단(35)과 제 2 시청시간 판단수단(36)에 의해 이용자가 시청한 시간을 이용하여 제 1 비트스트림과 제 2 비트스트림을 연계시키는 기능을 실현한다.
예를 들어, 상술한 본 제 1 실시예∼제 2 실시예에서와 같이, 이용자가 제 1 비트스트림을 시청하고 있다고 한다.
이 때, 제 1 시청시간 판단수단(35)은 이용자가 어떤 제 1 비트스트림을 어디까지 시청했는지를 감시한다. 예컨대, 이용자가 3시간의 길이를 가지는 특정한 제 1 비트스트림을 2시간까지 시청하고 시청을 중단하였다고 한다. 제 1 시청시간 판단수단(35)은 이것을 감시하여 관리표 기록재생수단(29)에 어떤 스트림을 어디까지 시청하였는지를 통지한다.
관리표 기록재생수단(29)은 이 정보를 관리표에 추가한다. 이후에 이용자가 동일한 스트림을 시청하는 경우, 자동적으로 계속되는 부분(2시간째 이후)부터 재생을 시작한다.
또, 도중까지 시청한 제 1 비트스트림에 대응하는 제 2 비트스트림을 플래쉬 메모리수단(34)에 기록하려고 한 경우, 앞서의 관리표를 기초로 자동적으로 대응하는 제 2 비트스트림의 계속되는 부분만(2시간째 이후)을 기록한다.
또, 반대로 특정한 제 2 비트스트림을 플래쉬 메모리수단(34)을 이용하여 옥외에서 도중까지 시청한 경우, 그 플래쉬 메모리수단(34)을 제 2 디지털 입출력단자(24)에 접속하면 제 2 시청시간 판단수단(36)은 어디까지 시청하였는지의 정보를 플래쉬 메모리수단(34)로부터 인출하여 관리표 기록재생수단(29)에 지시하여 이 정보를 관리표에 추가한다. 이용자가 대응하는 제 1 비트스트림을 시청하는 경우, 자동적으로 제 2 비트스트림으로 시청한 시간에 계속되는 시간으로부터, 해당하는 제 1 비트스트림을 재생한다. 이 때는 제 2 비트스트림을 옥외에서 재생한 기기가 어디까지 시청하였는지를 플래쉬 메모리 수단(34)에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술한 본 제 1 실시예∼제 2 실시예의 효과에 추가하여, 제 1, 제 2 비트스트림의 시청한 시각을 관리함으로써, 한쪽 스트림을 도중까지 시청하였을 때, 계속되는 부분만을 다른 한쪽 스트림으로 시청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 4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서의 기록재생장치의 블록구성도인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기록재생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단, 기록측은 상술한 본 제 1 실시예∼제 3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간단히 나타내기 위해 재생측만을 도시함).
또, 이하에 상술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기록완료된 복수의 제 2 비트스트림(저레이트)을 동시에 재생함으로써, 기록완료된 컨텐츠의 내용파악을 용이하게 하고, 그 멀티화면을 이용하여 시청하고 싶은 컨텐츠를 선택한 후에는 고화질의 대응하는 제 1 비트스트림을 시청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4에서 16은 원반형상 기록재생장치, 17은 재생복조수단으로, 기록시에 변조된 신호를 원상태로 되돌린다. 18은 스위치로, 재생된 스트림을 제 1 재생용 버퍼(19)와 제 2 재생용 버퍼(20)로 배분한다. 15는 제 1 제어수단으로, 버퍼(19, 20)의 판독/기입과 원반형상 기록재생장치(16)에서의 기록재생 타이밍을 제어하여 동기를 실현한다. 25는 제 1 복원수단으로, 제 1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화상을 복원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37은 제 2 복원수단으로, 제 2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복수의 화상을 동시에 복원한다.
26은 표시용 메모리 수단으로, 프레임단위로 화상을 축적하고,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수단(27)으로 출력한다. 28은 아날로그 출력단자로, 재생된 아날로그 화상을 출력한다. 21은 제 1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제 1 비트스트림의 입출력을 행한다. 23은 제 1 디지털 입출력단자이다. 22는 제 2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제 2 비트스트림의 입출력을 행한다. 24는 제 2 디지털 입출력단자이다. 34는 제 2 디지털 입출력단자(24)에 접속된 플래쉬 메모리수단이다. 그리고, 30은 외부에서 본 실시예의 기록재생장치를 컨트롤하는 리모트 컨트롤수단, 31은 리모트 컨트롤수단(30)의 지시에 기초하여 화면표시와 재생을 제어하는 제 2 제어수단, 33은 제 2 제어수단(31)의 지시에 기초하여 화면 상에 커서를 표시하는 커서표시수단이다.
또, 제 2 복원수단(37)을 포함하는 수단은 본 발명의 화상표시수단을 포함하는 수단에 대응하며, 커서표시수단(33)을 포함하는 수단은 본 발명의 선택수단을 포함하는 수단에 대응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서의 화상멀티화면(선택전)의 개념도인 도 10의 (a) 및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서의 화상화면(선택후)의 개념도인 도 10의 (b)를 주로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기록재생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제 2 비트스트림을 제 2 복원수단(37)을 이용하여 동시에 디코드하고 멀티화면을 구성한다(도 10의 (a)에서는 제 1부터 제 9의 9개 화면을 표시함).
복수의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은 제 1 제어수단(15)에 의해 스위치(18)를 제 2 재생용 버퍼(20)측으로 설정하고, 제 1 제어수단(15)을 이용하여 원반형상 기록재생장치(16)로부터의 복수의 제 2 비트스트림의 판독타이밍과 제 2 재생용 버퍼(20)의 기입타이밍을 동기시켜 제어하여, 제 2 재생용 버퍼(20)에 복수의 제 2 비트스트림을 기입한다.
다음에, 제 2 재생용 버퍼(20)로부터 판독된 복수의 제 2 비트스트림은 제 2 복원수단(37)에 의해 동시에 복수의 화면을 복원한다. 표시용 메모리수단(26)에 복수의 화면을 기입하고,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수단(27)을 통하여 아날로그 출력단자(28)에 재생화상이 출력된다.
제 2 비트스트림은 제 1 비트스트림과 같은 고레이트의 스트림이 아니기 때문에, 이러한 동시재생이 실현 가능하다. 예컨대, 6Mbps의 제 1 비트스트림을 9개 재생하기 위해서는 54Mbps의 재생능력이 원반형상 기록재생장치(16)에는 필요하게 되지만, 128Kbps의 제 2 비트스트림이라면 9개 재생하더라도 1.152Mbps의 스트림 재생이 되어 용이하게 실현 가능하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 2 비트스트림을 이용함으로써, 멀티화면재생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고, 기록한 내용을 간단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 리모트 컨트롤수단(30)과 제 2 제어수단(31)과 커서표시수단(33)을 이용함으로써, 표시된 복수화면으로부터 대화면으로 시청하고 싶은 화면을 간단히 선택할 수 있다. 선택 후에는 대응하는 제 1 비트스트림을 판독하도록 제 1 제어수단(15)을 통해 원반형상 기록재생장치(16)를 제어하고 대응하는 제 1 비트스트림을 복원하여 재생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0의 (a)에서 제 5 저레이트 화상을 선택하고, 도 10의 (b)에서 대응하는 제 5 고레이트 화상을 재생한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예에 의하면, 기록완료된 복수의 제 2 비트스트림(저레이트)을 동시에 재생함으로써, 기록완료된 컨텐츠의 내용파악을 용이하게 하고, 그 멀티화면을 이용하여 시청하고 싶은 컨텐츠를 선택한 후에는 고화질의 대응하는 제 1 비트스트림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제 5 실시예)
다음에, 본 실시예의 기록재생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에 상술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대화면에서 고품질 화상을 보면서, 소화면에서 기록내용을 체크하는 것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의 기록재생장치는 상술한 본 제 4 실시예의 기록재생장치(도 4 참조)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즉, 도 4에서 16은 원반형상 기록재생장치, 17은 재생복조수단이고, 기록시에 변조된 신호를 원상태로 되돌린다. 18은 스위치로, 재생된 스트림을 제 1 재생용 버퍼(19)와 제 2 재생용 버퍼(20)로 배분한다. 15는 제 1 제어수단으로, 버퍼(19, 20)의 판독/기입과 원반형상 기록재생장치(16)에서의 기록재생 타이밍을 제어하여 동기를 실현한다. 25는 제 1 복원수단으로, 제 1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화상을 복원한다. 37은 제 2 복원수단으로, 제 2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복수의 화상을 동시에 복원한다. 26은 표시용 메모리 수단으로 프레임단위로 화상을 축적하고,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수단(27)으로 출력한다. 28은 아날로그 출력단자로, 재생된 아날로그 화상을 출력한다. 21은 제 1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제 1 비트스트림의 입출력을 행한다. 23은 제 1 디지털 입출력단자이다. 22는 제 2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제 2 비트스트림의 입출력을 행한다. 24는 제 2 디지털 입출력단자이다. 34는 제 2 디지털 입출력단자(24)에 접속된 플래쉬 메모리수단이다. 그리고, 30은 외부에서 실시예의 기록재생장치를 컨트롤하는 리모트 컨트롤수단, 31은 리모트 컨트롤수단(30)의 지시에 기초하여 화면표시와 재생을 제어하는 제 2 제어수단, 33은 제 2 제어수단(31)의 지시에 기초하여 화면 상에 커서를 표시하는 커서표시수단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서의 화상멀티화면(교체전)의 개념도인 도 11의 (a) 및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서의 화상화면(교체후)의 개념도인 도 11의 (b)를 주로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기록재생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비트스트림과 복수의 제 2 비트스트림을 제 1 및 제 2 복원수단(25, 37)을 이용하여 동시에 디코드하여 멀티화면을 구성한다(도 11의 (a)에서는, 제 1 비트스트림(도면중 제 4 고레이트 화상에 대응)과 3개의 제 2 비트스트림(도면중, 제 1, 제 2, 제 3의 저레이트 스트림에 대응)을 동시 표시함).
복수의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은 앞에서의 순서를 조합하여 하나의 제 1 비트스트림과 복수의 제 2 비트스트림을 동시에 복원한다.
제 1 비트스트림에 관해서는 제 1 제어수단(15)에 의해 스위치(18)를 제 1 재생용 버퍼(19)측으로 설정하고, 제 1 제어수단(15)을 이용하여, 원반형상 기록재생장치(16)로부터의 제 1 비트스트림의 판독타이밍과 제 1 재생용 버퍼(19)의 기입타이밍을 동기시켜 제어하여, 제 1 재생용 버퍼(19)에 제 1 비트스트림을 기입한다.
다음에, 제 1 재생용 버퍼(19)로부터 판독된 제 1 비트스트림은 제 1 복원수단(25)에 의해 화면을 복원한다. 그리고, 표시용 메모리수단(26)에 화면을 기입한다.
제 2 비트스트림에 대해서는 제 1 제어수단(15)에 의해 스위치(18)를 제 2 재생용 버퍼(20)측으로 설정하고, 제 1 제어수단(15)을 이용하여 원반형상 기록재생장치(16)로부터의 복수의 제 2 비트스트림의 판독타이밍과 제 2 재생용 버퍼(20)의 기입타이밍을 동기시켜 제어하고, 제 2 재생용 버퍼(20)에 복수의 제 2 비트스트림을 기입한다.
다음에, 제 2 재생용 버퍼(20)로부터 판독된 복수의 제 2 비트스트림은 제 2 복원수단(37)에 의해 동시에 복수의 화면을 복원한다. 표시용 메모리수단(26)에 복수의 화면을 기입한다.
표시용 메모리수단(26)으로의 기입위치를 적절하게 제어하면, 도 11의 (a)의 화면을 재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수단(27)을 통하여 아날로그 출력단자(28)에 재생화상이 출력된다.
다음에, 이 화면을 리모트 컨트롤수단(30)을 이용함으로써 대화면과 소화면을 용이하게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도 11의 (a)에서 제 2 저레이트 화상을 선택하면 제 4 고레이트 화상과 제 2 저레이트 화상이 도 11의 (b)와 같이 교체된다. 이 때, 대화면에서는 제 2 고레이트 화상을 재생하고, 소화면에서는 제 4 저레이트 화상이 재생된다. 이것은 제 1 제어수단(15)을 이용하여 재생하는 스트림을 교체하는 것에 의해 실현된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예에 의하면, 대화면에서 고품질 화상을 보면서, 소화면에서 기록내용을 체크하는 것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 재생스트림을 교체하는 것에 의해, 화면의 교체도 간단히 행할 수 있고, 대화면에서는 고레이트 스트림, 소화면에서는 저레이트 스트림을 재생하므로, 화질면으로도 만족한 재생을 얻을 수 있다.
(제 6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서의 기록재생장치의 블록구성도인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기록재생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간단히 나타내기 위해 재생측만을 도시함).
또, 이하에 상술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원격지에서 공중회선을 통해 화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도 5에서 16은 원반형상 기록재생장치, 17은 재생복조수단으로, 기록시에 변조된 신호를 원상태로 되돌린다. 18은 스위치로, 재생된 스트림을 제 1 재생용 버퍼(19)와 제 2 재생용 버퍼(20)로 배분한다. 15는 제 1 제어수단으로 버퍼(19, 20)의 판독/기입과 원반형상 기록재생장치(16)에서의 기록재생 타이밍을 제어하여 동기를 실현한다. 21은 제 1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제 1 비트스트림의 입출력을 행한다. 23은 제 1 디지털 입출력단자이다. 22는 제 2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제 2 비트스트림의 입출력을 행한다. 24는 제 2 디지털 입출력단자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38은 공중회선으로의 접속수단, 39는 무선통신, 40은 제 1 휴대단말이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기록재생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디지털 입출력단자(24)에 앞에서의 플래쉬 메모리수단(34) 대신에 공중회선으로의 접속수단을 접속하고 있다. 예컨대, 이것은 공중전화회선에 접속하기 위한 모뎀이다.
제 1 휴대단말은 예컨대, PHS를 내장한 휴대단말이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록재생장치와 휴대단말을 무선으로 접속하여 기록된 제 2 비트스트림을 원격지에서 시청할 수 있다.
제 2 비트스트림을 예컨대, PHS의 데이터 전송방식인 PIAFS(32Kbps, 64Kbps) 정도로 해두면 실현 가능하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예에 의하면, 원격지에서 공중회선을 통해 화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제 7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서의 기록재생장치의 블록구성도인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기록재생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여기서도, 간단히 나타내기 위해 재생측만을 도시함).
또, 이하에 상술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원격지에서 공중회선을 통해 복수의 휴대단말로부터 화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도 6에서 16은 원반형상 기록재생장치, 17은 재생복조수단으로, 기록시에 변조된 신호를 원상태로 되돌린다. 18은 스위치로, 재생된 스트림을 제 1 재생용 버퍼(19)와 제 2 재생용 버퍼(20)로 배분한다. 15는 제 1 제어수단으로, 버퍼(19, 20)의 판독/기입과 원반형상 기록재생장치(16)에서의 기록재생 타이밍을 제어하여 동기를 실현한다. 21은 제 1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제 1 비트스트림의 입출력을 행한다. 23은 제 1 디지털 입출력단자이다. 22는 제 2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제 2 비트스트림의 입출력을 행한다. 24는 제 2 디지털 입출력단자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38은 공중회선으로의 접속수단, 39는 무선통신, 40, 41은 휴대단말, 47은 고정단말, 48은 기록장치이다. 42, 43, 44, 46은 인터넷 프로바이더, 45는 인터넷이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기록재생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디지털 입출력단자(24)에 앞에서의 플래쉬 메모리수단(34) 대신에 공중회선으로의 접속수단(38)을 접속하고 있다. 예컨대, 이것은 공중전화회선에 접속하기 위한 모뎀이다.
제 1, 제 2 휴대단말(40, 41)은 예컨대, PHS를 내장한 휴대단말이다. 이들의 접속수단 및 휴대단말은 인터넷 프로바이더(42, 43, 44)를 통하여 인터넷에 접속하 고 있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록재생장치와 복수의 휴대단말을 무선(PHS)으로 접속하여, 기록된 제 2 비트스트림을 복수의 휴대단말로 원격지에서 시청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단말마다 다른 화상을 시청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대용량의 기록장치(48)가 접속된 고정단말(47)이 인터넷 프로바이더(46)를 통하여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고정단말(47)로부터 인터넷을 통하여 본 기록재생장치의 제 2 비트스트림에 액세스하여 스트림을 선택한 후에 대응하는 제 1 비트스트림을 기록장치(48)에 다운로드하여 시청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원반형상 기록매체(16)에 기록된 제 1 비트스트림이 제 2 디지털 입출력단자(24)에 출력하도록 스위치(18)를 제 2 재생용 버퍼(20)측으로 설정하고, 원래의 제 2 비트스트림을 출력하는 시스템에 제 1 비트스트림을 출력하면 된다(이 경우, 원래의 제 2 비트스트림을 출력하기 위한 시스템은 공중회선과의 접속을 위해 이용되는 것임).
이렇게 하여, 본 실시예에 의하면, 원격지에서 공중회선을 통해 복수의 휴대단말로부터 화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또, 대용량의 기록장치가 접속된 단말이라면, 원격지로부터 제 1 비트스트림을 다운로드하고, 고화질화상을 시청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제 1 실시예∼제 7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다.
또, 발명에는 상술한 본 발명의 기록장치의 전부 또는 일부 수단(또는, 장치, 소자, 회로, 부 등)의 기능을 컴퓨터에 의해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컴퓨터와 협동하여 동작하는 프로그램이 포함된다. 물론, 컴퓨터는 CPU 등의 순수한 하드웨어에 한정되지 않고, 펌웨어나 OS, 또 주변기기를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 다.
또, 본 발명에는 상술한 본 발명의 기록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또는, 공정, 동작, 작용 등)의 동작을 컴퓨터에 의해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컴퓨터와 협동하여 동작하는 프로그램이 포함된다.
또, 본 발명의 일부 수단(또는, 장치, 소자, 회로, 부 등), 본 발명의 일부 단계(또는, 공정, 동작, 작용 등)는 그들의 복수의 수단 또는 단계 내의 몇가지 수단 또는 단계를 의미하거나 또는 하나의 수단 또는 단계 내의 일부 기능 또는 일부 동작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일부 장치(또는, 소자, 회로, 부 등)는 각각 복수의 장치 내의 몇가지 장치를 의미하거나, 또는 하나의 장치 내의 일부 수단(또는, 소자, 회로, 부 등)을 의미하거나, 또는 하나의 수단 내의 일부 기능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에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도 발명에 포함된다. 또, 발명의 프로그램의 한 이용형태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되고, 컴퓨터와 협동하여 동작하는 형태여도 된다. 또, 발명의 프로그램의 한 이용형태는 전송매체를 통하여 전송되고, 컴퓨터에 의해 판독되며, 컴퓨터와 협동하여 동작하는 형태여도 된다. 또, 기록매체로서는 ROM 등이 포함되고, 전송매체로서는 인터넷 등의 전송매체, 광·전파·음파 등이 포함된다.
또, 본 발명의 구성은 소프트웨어적으로 실현해도 되고, 하드웨어적으로 실현해도 된다.
또, 본 발명에는 상술한 본 발명의 기록장치의 전부 또는 일부 수단의 전부 또는 일부 기능을 컴퓨터에 의해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갖고 있는 매체이며,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하고 또한 판독된 상기 프로그램이 상기 컴퓨터와 협동하여 상기 기능을 실행하는 매체가 포함된다.
또, 본 발명에는 상술한 본 발명의 기록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의 전부 또는 일부 동작을 컴퓨터에 의해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갖고 있는 매체이며,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하고 또한 판독된 상기 프로그램이 상기 컴퓨터와 협동하여 상기 동작을 실행하는 매체가 포함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입력된 화상신호를 원반형상 기록매체에 기록재생하는 기록재생장치로서, 입력된 동일한 영상신호로부터 단독으로 영상을 구성할 수 있는 제 1 기록 비트스트림과, 비트레이트가 상기 제 1 기록 비트스트림 이하이고, 또한 단독으로 영상을 구성할 수 있는 제 2 기록 비트스트림을 동시 생성하는 생성수단과, 상기 제 1과 제 2 기록 비트스트림을 상기 원반형상 기록매체에 동시에 기록하는 기록수단과, 상기 제 1 기록 비트스트림을 적어도 출력하는 제 1 입출력수단과, 상기 제 2 비트스트림을 적어도 출력하는 제 2 입출력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이다.
또,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상기 제 2 입출력수단은 소형 메모리장치가 접속 가능한 인터페이스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술한 기록재생장치이다.
또,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상기 원반형상 기록매체에 기록된 상기 비트스트림을 관리하는 관리표와, 상기 관리표의 내용을 표시디바이스에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표시내용을 선택하는 선택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수단과 상기 선택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비트스트림을 상기 원반형상 기록매체와 상기 제 2 입출력수단 사이 또는 상기 원반형상 기록매체와 제 2 입출력수단에 접속된 소형 메모리장치 사이에서 복제 또는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술한 기록재생장치이다.
또,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상기 원반형상 기록매체에 기록완료된 상기 제 1 기록 비트스트림 또는 상기 제 2 기록 비트스트림의 시청완료된 시간을 관리하는 관리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비트스트림을 복수회로 나누어 시청할 경우, 자동적으로 전회에 시청한 다음 부분부터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술한 기록재생장치이다.
또,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상기 제 1 기록 비트스트림을 도중까지 시청완료하고, 상기 제 1 기록 비트스트림과 동일한 영상신호로부터 생성한 제 2 기록 비트스트림을 상기 원반형상 기록매체와 상기 제 2 입출력수단 사이, 또는 상기 원반형상 기록매체와 제 2 입출력수단에 접속된 소형 메모리장치 사이에서 복제 또는 이동 또는 시청할 경우, 자동적으로 이미 시청완료된 영상의 다음 부분부터 상기 제 2 기록 비트스트림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술한 기록재생장치이다.
또,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상기 제 2 기록 비트스트림을 도중까지 시청완료하고, 상기 제 2 기록 비트스트림과 동일한 영상신호로부터 생성한 제 1 기록 비트스트림을 시청할 경우, 자동적으로 이미 시청완료된 영상의 다음 부분부터 상기 제 1 기록 비트스트림을 재생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술한 기록재생장치이다.
또,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상기 원반형상 기록매체에 기록완료된 복수의 상기 제 2 기록 비트스트림을 동시에 판독하고, 복수의 화상을 동시에 생성하는 화상 생성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술한 기록재생장치이다.
또,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상기 원반형상 기록매체에 기록완료된 복수의 상기 제 2 기록 비트스트림을 동시에 판독하고, 복수의 화상을 동시에 생성하는 화상생성수단과, 상기 제 1 기록 비트스트림을 판독하여 화상을 생성하는 수단과, 상기 동시에 표시된 복수의 화상으로부터 1화상을 선택하는 수단과,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제 2 기록 비트스트림과 동일한 영상신호로부터 생성된 상기 제 1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화상을 생성하는 생성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술한 기록재생장치이다.
또,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상기 원반형상 기록매체에 기록완료된 복수의 상기 제 2 기록 비트스트림과 상기 제 1 기록 비트스트림을 동시에 판독하고, 복수의 화상을 복수의 상기 제 2 기록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생성하는 것과 함께, 상기 제 1 기록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화상을 생성하고, 제 1 기록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생성된 화상은 대형 크기로, 제 2 기록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생성된 화상은 소형 크기로 합성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술한 기록재생장치이다.
또,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상기 소형 크기로 합성표시된 화상 중 하나를 선택하는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선택 후에, 선택된 제 2 기록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생성된 영상을 대형 크기로 표시된 영상과 동일한 입력영상신호로부터 생성된 제 2 기록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복원한 영상과 교체하고, 대형 크기로 표시된 영상을 상기 선택된 제 2 기록 비트스트림과 동일한 입력영상신호로부터 생성된 제 1 기록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복원한 영상과 교체표시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술한 기록재생장치이다.
또,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상기 입출력단자에 접속된 접속수단을 통하여 공중회선으로부터 제 1 또는 제 2 기록 비트스트림을 취득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술한 기록재생장치이다.
또,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소형 메모리장치는 소거 가능한 반도체 메모리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술한 기록재생장치이다.
또,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소형 메모리장치는 소거 가능한 하드디스크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술한 기록재생장치이다.
또,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소거 가능한 반도체 메모리장치는 플래쉬 ROM으로 구성된 메모리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술한 기록재생장치이다.
또,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플래쉬 ROM으로 구성된 메모리장치는 SD 메모리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술한 기록재생장치이다.
또,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플래쉬 ROM으로 구성된 메모리장치는 콤팩트 플래쉬 메모리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술한 기록재생장치이다.
또,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플래쉬 ROM으로 구성된 메모리장치는 메모리 스틱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술한 기록재생장치이다.
또,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플래쉬 ROM으로 구성된 메모리장치는 PC 카드형 메모리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술한 기록재생장치이다.
또,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상기 제 2 기록 비트스트림은 상기 소형 메모리수단의 기록용량에 사이즈를 맞추어 부호량을 제어하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술한 기록재생장치이다.
또,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제 2 입출력수단은 무선 입출력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술한 기록재생장치이다.
또,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상술한 발명의 전부 또는 일부 수단의 전부 또는 일부 기능을 컴퓨터에 의해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지는 정보집합체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예를 들어 종래에 불가능하던 기록완료된 화상을 소거 가능한 저용량 기록미디어로 갖고 다닌다는 것, 화면표시를 이용하여 간단히 소거 가능한 저용량 기록미디어에 기록하는 것, 압축시의 레이트나 시간의 지시도 화면표시를 이용하여 간단히 설정하는 것, 가정 내에서 시청한 이후의 것을 옥외에서 시청하는 것 또는 그 반대, 화상의 동시재생에 의해 기록완료된 콘텐츠의 내용파악·선택을 용이하게 하는 것, 대화면으로 고품질 화상을 보면서 소화면으로 기록내용을 체크하는 것, 원격지에서 공중회선을 통해 화상을 시청하는 것, 원격지에서 고화질화상을 다운로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예를 들어, 기록한 영상 ·음성을 저용량의 메모리매체로 간단히 휴대하고, 옥외에서 시청하거나, 전화회선 등의 저속회선을 통해 원격지에서 시청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12)

  1. 외부로부터 입력된 영상신호를 이용하여, (1) 제 1 비트스트림 및 (2) 상기 제 1 비트스트림이 갖는 비트레이트 미만의 비트레이트를 갖는 제 2 비트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한 생성수단과,
    상기 생성된 제 1 비트스트림 및 제 2 비트스트림을 소정의 매체에 기록하기 위한 기록수단과,
    상기 기록된 제 1 비트스트림을 출력하기 위한 제 1 비트스트림 출력수단과,
    상기 기록된 제 2 비트스트림을 출력하기 위한 소정의 소형 메모리장치를 접속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갖는 제 2 비트스트림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비트스트림이 갖는 비트레이트는 상기 소형 메모리장치의 기록용량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기록된 제 2 비트스트림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표의 내용에 기초하는 표시를 행하기 위한 표시수단과, 상기 표시의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기록된 제 2 비트스트림 내에서 소정의 제 2 비트스트림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수단을 구비 하며,
    상기 제 2 비트스트림 출력수단은 상기 선택된 제 2 비트스트림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된 제 1 비트스트림 및 제 2 비트스트림의, 사용자에 의해 시청된 시청완료범위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된 제 1 비트스트림은 상기 제 1 비트스트림 출력수단으로부터 출력되어 상기 사용자에 의한 시청에 이용되고,
    상기 관리수단은 상기 제 1 비트스트림의 상기 사용자에 의해 시청된 시청완료범위를 관리하고 있으며,
    상기 제 2 비트스트림 출력수단은 그 제 1 비트스트림의 생성에 이용된 영상신호를 이용하여 생성된 제 2 비트스트림의, 상기 관리되어 있는 제 1 비트스트림의 시청완료범위 이외의 시청미완료범위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된 제 2 비트스트림은 상기 제 2 비트스트림 출력수단으로부터 출력되어 상기 사용자에 의한 시청에 이용되며,
    상기 관리수단은 상기 제 2 비트스트림의 상기 사용자에 의해 시청된 시청완료범위를 관리하고 있으며,
    상기 제 1 비트스트림 출력수단은 상기 제 2 비트스트림의 생성에 이용된 영상신호를 이용하여 생성된 제 1 비트스트림의, 상기 관리되어 있는 제 2 비트스트림의 시청완료범위 이외의 시청미완료범위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1) 제 1 비트스트림을 이용한 화상 또는 (2) 복수개의 제 2 비트스트림을 각각 이용한 복수개의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화상표시수단과, 상기 복수개의 제 2 비트스트림을 각각 이용한 복수개의 화상표시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기록된 제 2 비트스트림 내에서 소정의 제 2 비트스트림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화상표시수단은 그 선택된 제 2 비트스트림의 생성에 이용된 영상신호를 이용하여 생성된 제 1 비트스트림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비트스트림을 이용한 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1) 제 1 비트스트림을 이용한 화상 및 (2) 복수개의 제 2 비트스트림을 각각 이용한 복수개의 화상을 동시에 표시하기 위한 화상표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비트스트림 출력수단은 유선 및/또는 무선을 이용하는 소정의 통신망으로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10. 외부로부터 입력된 영상신호를 이용하여, (1) 제 1 비트스트림 및 (2) 상기 제 1 비트스트림이 갖는 비트레이트 미만의 비트레이트를 갖는 제 2 비트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제 1 비트스트림 및 상기 생성된 제 2 비트스트림을 소정의 매체에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기록된 제 1 비트스트림을 출력하는 단계와,
    소정의 소형 메모리장치를 접속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기록된 제 2 비트스트림을 출력하는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방법.
  11. 삭제
  12. 제 10항의 기록방법의, 외부로부터 입력된 영상신호를 이용하여, (1) 제 1 비트스트림 및 (2) 상기 제 1 비트스트림이 갖는 비트레이트 미만의 비트레이트를 갖는 제 2 비트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제 1 비트스트림 및 상기 생성된 제 2 비트스트림을 소정의 매체에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기록된 제 1 비트스트림을 출력하는 단계와, 소정의 소형 메모리장치를 접속하는 것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기록된 제 2 비트스트림을 출력하는 단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매체로서, 컴퓨터에 의해 처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KR1020047000660A 2001-07-25 2002-07-19 기록장치, 기록방법 및 매체 KR1006118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24759A JP2003037817A (ja) 2001-07-25 2001-07-25 記録装置、記録再生装置、記録方法、記録再生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媒体
JPJP-P-2001-00224759 2001-07-25
PCT/JP2002/007338 WO2003010961A1 (en) 2001-07-25 2002-07-19 Recording apparatus, recording method, program, and mediu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6996A KR20040016996A (ko) 2004-02-25
KR100611819B1 true KR100611819B1 (ko) 2006-08-11

Family

ID=19057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0660A KR100611819B1 (ko) 2001-07-25 2002-07-19 기록장치, 기록방법 및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40247291A1 (ko)
EP (1) EP1420584A4 (ko)
JP (1) JP2003037817A (ko)
KR (1) KR100611819B1 (ko)
CN (1) CN1275464C (ko)
WO (1) WO20030109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49345B2 (ja) * 2005-01-24 2011-08-17 パイオニア株式会社 配信装置及び方法、受信装置及び方法、配信システム、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9033369A (ja) 2007-07-26 2009-02-12 Sony Corp 記録装置、再生装置、記録再生装置、撮像装置、記録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090259324A1 (en) * 2008-04-11 2009-10-15 Himax Technologies Limited Broadcast devices
US10721517B2 (en) * 2015-03-20 2020-07-21 Liuzhou Guitong Technology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synchronously reproducing multimedia multi-information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54959A (ja) * 1991-02-05 1992-09-10 Sony Corp 記録媒体の再生装置
US5592675A (en) * 1992-01-08 1997-01-07 Hitachi, Ltd. Computer controlled method and system capable of preserving information representing plural work states and recovering the work states
US5377051A (en) * 1993-01-13 1994-12-27 Hitachi America, Ltd. Digital video recorder compatible receiver with trick play image enhancement
JP3041184B2 (ja) * 1994-03-16 2000-05-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ィジタル情報記録装置及び記録再生装置
JP3089160B2 (ja) * 1994-05-20 2000-09-18 シャープ株式会社 ディジタル記録再生装置
JP3172635B2 (ja) * 1994-07-14 2001-06-04 シャープ株式会社 ディジタル記録再生装置
JP3472659B2 (ja) * 1995-02-20 2003-12-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映像供給方法および映像供給システム
JP2000209580A (ja) * 1999-01-13 2000-07-28 Canon Inc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2001078166A (ja) * 1999-09-06 2001-03-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番組提供システム
JP2001101849A (ja) * 1999-09-28 2001-04-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ディスク装置
JP4239318B2 (ja) * 1999-09-29 2009-03-18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方法及び記録再生装置
JP4170545B2 (ja) * 1999-12-09 2008-10-22 株式会社東芝 映像表示システムおよびこのシステムで用いられる端末装置
JP4284826B2 (ja) * 2000-04-04 2009-06-24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映像信号再生装置及び映像信号再生方法
JP2001350483A (ja) * 2000-04-05 2001-12-21 Suns K:Kk データ配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データ配信サーバ
JP2003032617A (ja) * 2001-07-17 2003-01-31 Victor Co Of Japan Ltd データ記録再生装置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6996A (ko) 2004-02-25
EP1420584A4 (en) 2007-11-14
JP2003037817A (ja) 2003-02-07
EP1420584A1 (en) 2004-05-19
CN1550103A (zh) 2004-11-24
CN1275464C (zh) 2006-09-13
WO2003010961A1 (en) 2003-02-06
US20040247291A1 (en) 2004-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56112C (zh) 数据管理方法
US8014759B2 (en) Information processor
JP4191042B2 (ja) モバイルハンドヘルド装置用にビデオ番組を記録及び表示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7313317B2 (en) Portable image recording apparatus
KR100611819B1 (ko) 기록장치, 기록방법 및 매체
JP2006050531A (ja) 情報記録装置
JP2003179852A (ja) 映像音声データ記録再生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ディスク装置
CN100474912C (zh) 再压缩和再记录记录数据的图像记录和再现装置及其方法
JPH08237592A (ja) 実時間映像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ビデオライブラリシステム
JP2005303336A (ja) 映像信号記録装置および映像信号再生装置
JPH10336585A (ja) 動画像記録/再生装置および動画像記録/再生方法
CN1312651B (zh) 视频设备,尤其是录像机,及用于该视频设备的方法
JP2001126405A (ja) ビットストリーム記録/又は再生装置
KR101370912B1 (ko) 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JP2004140678A (ja) データストリーム記録再生装置
JPH09214955A (ja) 画像データのエンコード/デコードシステム
JPH02230587A (ja) 画像および音声の編集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0770905B1 (ko) 디지털 방송녹화 재생 장치 및 방법
JP2008147993A (ja) 映像記録装置内蔵テレビ
CN1518352A (zh) 支持下载播放的多功能影碟机
JP2004186905A (ja) 撮像装置
JP2004274449A (ja) 情報記録装置および情報記録装置における状態表示方法
JP2002142196A (ja) 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再生方法
JP2005167457A (ja) 映像記録装置および記録媒体
JP2000217075A (ja) 動画像再生装置と動画像再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