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1306B1 - 광주사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광주사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1306B1
KR100611306B1 KR1020050063780A KR20050063780A KR100611306B1 KR 100611306 B1 KR100611306 B1 KR 100611306B1 KR 1020050063780 A KR1020050063780 A KR 1020050063780A KR 20050063780 A KR20050063780 A KR 20050063780A KR 100611306 B1 KR100611306 B1 KR 100611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light
deflector
light sources
scan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3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수
장경남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3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1306B1/ko
Priority to US11/385,764 priority patent/US20070013763A1/en
Priority to CNA2006101064025A priority patent/CN1896795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1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1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02B26/12Scanning systems using multifaceted mirrors
    • G02B26/125Details of the optical system between the polygonal mirror and the image plan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correction, e.g. distorsion, aberration
    • G02B27/0031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correction, e.g. distorsion, aberration for scanning purpo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0Picture reproducers
    • H04N1/506Reproducing the colour component signals picture-sequentially, e.g. with reproducing heads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in the subscanning di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25Providing a more compact apparatus, e.g. sheet discharge tray in co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13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oscillating or rotating mirrors
    • H04N1/1135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oscillating or rotating mirrors for the main-scan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2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the sheet-feed movement or the medium-advance or the drum-rotation movement as the slow scanning component, e.g. arrangements for the main-sc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2Image hardcopy reproduc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Optical Scanning Systems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Laser Beam Printer (AREA)

Abstract

복수의 감광체에 광을 동시 결상하는 복수의 광원을 구비하는 광주사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광주사장치는, 복수의 광원, 광원에서 출사된 광을 각각 다른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제1광편향기, 및 제1광편향기에서 편향된 광의 오차를 보정하는 복수의 주사렌즈, 및 주사렌즈를 통과한 광을 각각 복수의 피주사면으로 반사하는 복수의 반사미러를 구비하는 제1광학계; 및 복수의 광원, 광원에서 출사된 광을 각각 다른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제2광편향기, 및 제2광편향기에서 편향된 광의 오차를 보정하는 복수의 주사렌즈, 및 주사렌즈를 통과한 광을 각각 복수의 피주사면으로 반사하는 복수의 반사미러를 구비하는 제2광학계;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광학계는 적어도 제1 및 제2광편향기가 각각 다른 평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및 제2주사광학계의 제1 및 제2광편향기를 각각 다른 평면에 배치하도록 함으로써, 광주사장치의 전체 폭 뿐만 아니라 감광체와 광주사장치 사이의 간격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광주사장치의 크기 및 그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광주사장치, 광편향기, 평면, 대칭, 배치, 폭, 크기, 감소

Description

광주사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laser scanning unit and image formingg apparatus hav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텐덤형 칼라 화상형성장치의 개략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한 화상형성장치의 광주사장치의 평면도 및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텐덤형 칼라 화상형성장치의 개략도.
도 4a 및 도 4b는 도 3에 도시한 화상형성장치의 광주사장치의 단면도 및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프린터 120: 화상형성유닛
121C, 121M, 121Y, 121BK: 감광체 125C, 125M, 125Y, 125BK: 현상기
141: 화상전사벨트 200: LSU
230, 280: 주사광학계 231, 233, 281, 283: 반도체 레이저
235, 237, 285, 287: 콜리메이터렌즈 240, 242, 290, 292: 실린더렌즈
244, 245, 294, 295: 입사각보정 미러 247, 297: 광편향기
250, 252, 300, 302: 주사렌즈 255, 257, 305, 306: 반사미러
313, 315: 광로변경 미러
본 발명은 프린터, 복사기 등과 같은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는 광주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감광드럼과 같은 복수의 감광체에 광을 동시 결상하는 복수의 광원을 구비하는 광주사장치(Laser scanning unit; 이하 'LSU'라함) 및 그것을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텐덤(Tandem)형 칼라 화상형성장치는 병렬로 배치된 복수의 광학계를 갖는 LSU와 복수의 현상기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유닛, 및 화상형성유닛에 의해 각각 다른 색의 현상제화상을 형성하는 복수의 감광체를 구비한다.
이러한 텐덤형 칼라 화상형성장치는 하나의 감광체를 여러번 회전시켜 칼라 화상을 형성하는 일반 칼라 화상형성장치와 비교하여, 복수의 감광체를 일회전하여 화상을 형성하므로, 고속으로 원하는 칼라 화상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종래의 텐덤형 칼라 화상형성장치(1)를 도시한다.
이 텐덤형 칼라 화상형성장치(1)는 LSU(8)와 4 개의 드럼형상의 감광체(1C, 1M, 1Y, 1BK)를 구비한다.
LSU(8)는 각각의 감광체(1C, 1M, 1Y, 1BK)에 레이저 빔을 주사하도록 2열로 병렬 배치된 제1 및 제2주사광학계(9, 30)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주사광학계(9, 30)는 광학케이스(17)에 일체로 수납되어 있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주사광학계(9, 30)는 광학케이스(17)의 주 주사방향의 양단부에서 연결부(19)로 연결되고 있고, 연결부(19)의 사이의 중앙부분은 관통공간(11)이 배치되어 있다. 관통공간(11)은, 주사시 온도상승에 의해 제1 및 제2주사광학계(9, 30)의 구성부품이 기구적인 변형을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 제1 및 제2주사광학계(9, 30)가 광학적 성능을 초기상태로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설치된다. 광학케이스(17)는 고정구(18)에 의해 네 모서리의 네 부분이 고정되어 있다.
제1 및 제2주사광학계(9, 30)의 각각에서는 화상정보를 토대로 광변조되어 반도체 레이저(11a, 11b)로부터 출사된 레이저 빔이 회전다면경(12)에 의해 각각 다른 방향으로 주사된다. 회전다면경(12)은 4 개의 반사면을 구비하며, 모터(16)에 의해 회전한다. 회전다면경(12)과 모터(16)는 광편향기를 구성한다.
회전다면경(12)에 의해 주사된 레이저 빔(B1, B2)은 각각 1매의 제1주사렌즈 (13a, 13b)를 투과하고, 반사미러(14a, 14b)에 의해 방향을 전환하여, 2매의 제2주사 또는 에프쎄타렌즈(15a, 15b)를 투과한 후 각각의 감광체(1C, 1M, 1Y, 1BK) 위에 결상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텐덤형 칼라 화상형성장치(1)는 LSU(8)가 2개의 회전다면경(12)을 사용하고 각각의 회전다면경(12)에 2개의 레이저 빔을 동시에 주사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회전다면경(12)의 수를 감소시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텐덤형 칼라 화상형성장치(1)는, 제1 및 제2 주사광학계(9, 30)가 광학케이스(17)의 주 주사방향의 양단부에서 연결부(17)로 연결되고 연결부 (19)사이의 중앙부분은 주사시 온도상승을 방지하기 위해 관통공간(11)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LSU(8)의 폭 및 감광체(1C, 1M, 1Y, 1BK)와 제1 및 제2주사광학계(9, 30) 사이의 거리가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LSU(8)의 크기가 커지게 되고, 그에 따라 컴팩트한 텐덤형 칼라 화상형성장치(1)를 구현할 수 없게 된다.
또, 종래의 텐덤형 칼라 화상형성장치(1)는, 제1 및 제2주사렌즈(13a, 13b; 15a, 15b)사이에 광경로를 전환하는 반사미러(14a, 14b)를 사용하는 구조를 가지므로, 반사미러(14a, 14b)의 면정도(面精度)에 따라 결상성능이 좌우된다. 따라서, 면정도를 높이기 위해 면정도가 우수한 반사미러(14a, 14b)를 사용할 경우, 제작코스트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텐덤형 칼라 화상형성장치(1)는 제1 및 제2주사광학계(9, 30)가 4개의 반사면을 구비하는 회전다면경(12)을 사용하므로, 주사속도를 높이기 위해 회전다면경(12)의 회전속도를 높이더라도, 주사속도를 상승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및 제2주사광학계의 제1 및 제2광편향기를 각각 다른 평면에 배치하도록 함으로써 폭과 크기를 감소시키도록 한 광주사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1 및 제2주사광학계의 반사미러를 1매의 주사렌즈와 감광체 사이에 설치함으로써 반사미러의 면정도에 의한 화상품질 저하를 최소화 한 광주사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 및 제2주사광학계의 광원에서 및 제1 및 제2광편향기에 입사되는 레이저 빔의 각도 및/또는 광원의 설치각도를 소정 조건을 만족하도록 함으로써 구성을 단순화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광주사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광주사장치는, 복수의 광원, 복수의 광원에서 출사된 광을 각각 다른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제1광편향기, 및 제1광편향기에서 편향된 광의 오차를 보정하는 복수의 주사렌즈, 및 복수의 주사렌즈를 통과한 광을 각각 복수의 피주사면으로 반사하는 복수의 반사미러를 구비하는 제1광학계; 및 복수의 광원, 복수의 광원에서 출사된 광을 각각 다른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제2광편향기, 및 제2광편향기에서 편향된 광의 오차를 보정하는 복수의 주사렌즈, 및 복수의 주사렌즈를 통과한 광을 각각 복수의 피주사면으로 반사하는 복수의 반사미러를 구비하는 제2광학계;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광학계는 적어도 제1 및 제2광편향기가 각각 다른 평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및 제2광학계에서부터 광이 주사되는 복수의 피주사면 중 인접한 세 개의 피주사면의 중심간의 간격(2 x P)은 제1 및 제2 광학계 중 하나에서부터 피주사면 사이의 거리(L) 및/또는 제1 및 제2광편향기의 중심 사이의 간격(C) 보다 크게 설정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 및 제2광학계 중 적어도 하나는 인접한 피주사 면의 중심 사이의 간격(P)이 동일하게 되도록 광경로를 변경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로변경 미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광편향기는 상응하는 복수의 광원에서 출사된 광을 각각 다른 방향으로 동시 편향시키며, 상응하는 복수의 광원의 각각에서 제1광편향기에 입사되는 광의 입사각도간의 각도(A)는 제1광편향기의 분할된 한 반사면의 각도의 2배로 설정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광편향기는 상응하는 복수의 광원에서 출사된 광을 각각 다른 방향으로 동시 편향시키며, 상응하는 복수의 광원의 각각에서 제2광편향기에 입사되는 광의 입사각도간의 각도(A)는 제2광편향기의 분할된 한 반사면의 각도의 2배로 설정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1 및 복수의 광원의 각각과 제1 및 제2광편향기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입사각보정 미러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광학계의 복수의 광원은 광원 상호간의 주사방향의 배치각도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및 제2광학계의 복수의 광원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발광점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광학계의 복수의 주사렌즈는 각각 1 매의 플라스틱 비대칭 구면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복수의 감광체; 및 복수의 광원, 복수의 광원에서 출사된 광을 각각 다른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제1광편향기, 및 제1광편향기에서 편향된 광의 오차를 보정하는 복수의 주사렌즈, 및 복수의 주사렌즈를 통과한 광을 각각 복수의 감광체 중 제1군의 감광 체로 반사하는 복수의 반사미러를 구비하는 제1광학계; 및 복수의 광원, 복수의 광원에서 출사된 광을 각각 다른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제2광편향기, 및 제2광편향기에서 편향된 광의 오차를 보정하는 복수의 주사렌즈, 및 복수의 주사렌즈를 통과한 광을 각각 복수의 감광체 중 제2군의 감광체로 반사하는 복수의 반사미러를 구비하는 제2광학계를 가지는 광주사장치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광학계는 적어도 제1 및 제2광편향기가 각각 다른 평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수의 감광체 중 인접한 세 개의 감광체의 중심간의 간격(2 x P)은 제1 및 제2 광학계 중 하나에서부터 감광체 사이의 거리(L) 및/또는 제1 및 제2광편향기의 중심 사이의 간격(C) 보다 크게 설정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 및 제2광학계 중 적어도 하나는 인접한 감광체의 중심 사이의 간격(P)이 동일하게 되도록 광경로를 변경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로변경 미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광편향기는 상응하는 복수의 광원에서 출사된 광을 각각 다른 방향으로 동시 편향시키며, 상응하는 복수의 광원의 각각에서 제1광편향기에 입사되는 광의 입사각도간의 각도(A)는 제1광편향기의 분할된 한 반사면의 각도의 2배로 설정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광편향기는 상응하는 복수의 광원에서 출사된 광을 각각 다른 방향으로 동시 편향시키며, 상응하는 복수의 광원의 각각에서 제2광편향기에 입사되는 광의 입사각도간의 각도(A)는 제2광편향기의 분할된 한 반사면의 각도의 2배로 설정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1 및 제2광학계의 복수의 광원의 각각과 제1 및 제2광편향기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입사각보정 미러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광학계의 복수의 광원은 광원 상호간의 주사방향의 배치각도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및 광학계의 복수의 광원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발광점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광학계의 복수의 주사렌즈는 각각 1 매의 플라스틱 비대칭 구면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광주사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주사장치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는 컴퓨터(도시하지 않음), 스캐너(도시하지 않음) 등에서 전송된 화상정보를 내부적으로 처리하여 인쇄를 수행하는 텐덤형 칼라 전자사진방식 프린터(100)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텐덤형 전자사진방식 프린터(100)는 급지유닛(110), 화상형성유닛(120), 전사유닛(140), 용지가이드유닛(160), 정착유닛(180), 배지유닛(190), 및 클리닝유닛(195)를 구비한다.
급지유닛(110)은 용지와 같은 화상수용매체(S)를 급지하기 위한 것으로, 급지카세트(111), 픽업롤러(112), 레지스트롤러(114), 및 이송롤러(116)를 구비한다. 급지카세트(111)는 장치본체(101)의 하부에 장착된다. 급지 카세트(111)에 적재된 화상수용매체(S)는 픽업롤러(112)에 의해 픽업되어 레지스트롤러(114) 및 이송롤러(116)로 이송된다.
화상형성유닛(120)은 급지유닛(110) 상부에 배치되고, 화상수용매체(S)에 소정의 칼라, 즉 각각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및 블랙(BK)의 현상제화상을 형성한다.
화상형성유닛(120)은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121C, 121M, 121Y, 121BK)를 구비한다.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121C, 121M, 121Y, 121BK)는 후술하는 전사유닛(140)의 화상전사벨트(141)에 대향하여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121C, 121M, 121Y, 121BK)는, 각각 알루미늄제 실린더의 외주면에 유기 광도전층(organic photoconductive layer)이 코팅되어 있고, 양단부가 플랜지에 의해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된 OPC 드럼(organic photoconductive drum)으로 구성된다.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121C, 121M, 121Y, 121BK)는 전사유닛(140)의 1차 전사롤러(144, 145, 146, 147)에 의해 화상전사벨트(141)와 일정 압력으로 접촉하여 닙을 형성하도록 배치되고, 도시하지 않는 구동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기어트레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121C, 121M, 121Y, 121BK)의 주위에는 각각 제1, 제2, 제3, 및 제4대전기(123C, 123M, 123Y, 123BK), 제1, 제2, 제3, 및 제4현상기(125C, 125M, 125Y, 125BK), 제1, 제2, 제3, 및 제4제전기(122C, 122M, 122Y, 122BK) 및 제1, 제2, 제3, 및 제4클리닝부(127C, 127M, 127Y, 127BK)가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제1, 제2, 제3, 및 제4대전기(123C, 123M, 123Y, 123BK)는 도전성롤러로 구성된다. 각각의 제1, 제2, 제3, 및 제4대전기(123C, 123M, 123Y, 123BK)는 상응하는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121C, 121M, 121Y, 121BK)의 표면과 접촉하고,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의 제어에 의해 대전 바이어스 전원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소정의 대전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되어 상응하는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121C, 121M, 121Y, 121BK)의 표면에 소정의 대전전위를 형성한다.
각각의 제1, 제2, 제3, 및 제4현상기(125C, 125M, 125Y, 125BK)는 정전잠상이 형성된 상응하는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121C, 121M, 121Y, 121BK)의 표면에 상응하는 칼라의 현상제를 부착시켜 가시적인 현상제화상으로 현상하는 것으로, 현상제 수용부(126), 현상롤러(130), 및 현상제 공급롤러(128)를 구비한다.
현상제 수용부(126)는 토너와 같은 소정 극성의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및 블랙(BK)의 현상제를 수용하고 있다.
현상롤러(130)는 상응하는 제1, 제2, 제3, 또는 제4감광체(121C, 121M, 121Y, 또는 121BK)와 맞물려 회전하면서 후술하는 LSU(200)에 의해 제1, 제2, 제3, 또는 제4감광체(121C, 121M, 121Y, 또는 121BK)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부착하여 현상하는 것으로,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121C, 121M, 121Y, 또는 121BK)의 표면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감광체(121C, 121M, 121Y, 121BK)를 구동하는 기어트레인과 연결된 동력전달기어(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현상롤러(130)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현상 바이어스 전원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현상제 공급롤러(128) 보다 낮은 소정의 현상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다.
현상제 공급롤러(128)는 현상롤러(130)와의 전위차를 이용하여 현상롤러(130)로 현상제를 공급하는 것으로, 현상롤러(130)의 일측면 하부와 접촉하여 닙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및 블랙(BK)의 현상제는 현상제 수용부(126) 내에서 교반롤러(129)에 의해 현상제 공급롤러(128)와 현상롤러(130) 사이의 하부 공간으로 이송된다.
또한, 현상제 공급롤러(128)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현상제공급 바이어스 전원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현상롤러(130) 보다 높은 소정의 현상제공급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다. 따라서, 현상제 공급롤러(128)와 현상롤러(130) 사이의 하부 공간의 현상제는 현상제 공급롤러(128)에 의해 전하를 주입받아 전하를 띄게 되면서 상대적으로 전위가 낮은 현상롤러(130)에 부착되어 현상제 공급롤러(128)와 현상롤러(130) 사이의 닙으로 이동된다.
각각의 제전부(122C, 122M, 122Y, 122BK)는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121C, 121M, 121Y, 121BK)의 표면에 대전된 대전전위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제전램프로 구성된다.
각각의 제1, 제2, 제3, 및 제4크리닝부(127C, 127M, 127Y, 127BK)는 상응하는 제1, 제2, 제3, 및 제4 감광체(121C, 121M, 121Y, 121BK)가 1 주기 회전후 그 표면에 잔류된 잔류 현상제를 제거하는 것으로, 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31)와 감광체 폐현상제수용부(132)를 구비한다.
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31)는 상응하는 감광체(121C, 121M, 121Y, 또는 121BK)와 일정압력으로 접촉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감광체 폐현상제수용부(132)는 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31)에 의해 감광체(121C, 121M, 121Y, 또는 121BK)로부터 클리닝되어 제거된 폐현상제를 저장하고, 상응하는 제1, 제2, 제3, 및 제4 대전기(123C, 123M, 123Y, 또는 123BK)와 제1, 제2, 제3, 및 제4 제전기(122C, 122M, 122Y, 또는 122BK)를 도시하지 않는 격벽에 의해 구획하여 내장하고 있다.
이러한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121C, 121M, 121Y, 121BK), 제1, 제2, 제3, 및 제4 대전기(123C, 123M, 123Y, 123BK), 제1, 제2, 제3, 및 제4 현상기(125C, 125M, 125Y, 125BK), 제1, 제2, 제3, 및 제4제전기(122C, 122M, 122Y, 122BK), 및 제1, 제2, 제3, 및 제4 크리닝부(127C, 127M, 127Y, 127BK)는 각각 일체로 모듈화된 4 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로 장치본체(101) 착탈할 수 있게 설치된다.
모듈화된 4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아래에는 LSU(200)가 배치되어 있다.
LSU(200)는 제1, 제2, 제3, 및 제4 대전기(123C, 123M, 123Y, 123BK)에 의해 소정전위로 대전된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121C, 121M, 121Y, 121BK)의 표면에 컴퓨터, 스캐너 등으로부터 입력되는 화상신호에 따라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대전전위 보다 낮은 소정의 전위의 저전위부를 갖는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LSU(200)는 광학케이스(210)에 고정된 제1 및 제2주사광학계(230, 280)를 구비한다.
도 4a, 및 도 4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주사광학계(230)는 화상신호에 따라 제1 및 제3감광체(121C, 121Y)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것으로, 제1 및 제2반도체 레이저(231, 233), 제1 및 제2콜리메이터렌즈(235, 237), 제1 및 제2실린더렌즈(240, 242), 제1광편향기(247), 제1 및 제2주사 또는 에프쎄타(fθ)렌즈(250, 252), 및 제1 및 제2반사미러(255, 257; 도 4b에는 점선으로 도시함)를 포함한다.
제1주사광학계(230)는 LSU(200)를 컴팩트하게 구성하기 위하여 다음식(1)과 같이,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121C, 121M, 121Y, 121BK) 중 인접한 세 개의 감광체의 중심간의 간격(2 x P)이 제1주사광학계(230)의 구성요소, 특히 제1광편향기(247)가 배치된 제1평면(249)에서부터 감광체(121C, 121M, 121Y, 121BK) 사이의 거리(L) 보다 크게 되도록 배치된다.
2 x P > L ----------------------(1)
제1 및 제2반도체 레이저(231, 233)는 광원으로 사용되며, 화상신호를 담은 레이저 빔을 출사시킨다. 제1 및 제2반도체 레이저(231, 233)는 광학케이스(210)에 수직으로 설치된 인쇄회로기판(234)에 소정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제1 및 제2반도체 레이저(231, 233)는 각각 하나의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LD)로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제1 및 제2반도체 레이저(231, 233)는 각각 복수의 LD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콜리메이터렌즈(235, 237)는 제1 및 제2반도체 레이저(231, 233)에서 출사되는 레이저 빔을 평형광으로 만들어준다. 제1 및 제2 콜리메이터렌즈(235, 237)는 각각 제1 및 제2 콜리메이터렌즈 고정브라켓(236, 238)에 의해 광학케이스(210)에 고정되어 있다.
제1 및 제2실린더렌즈(240, 242)는 제1 및 제2콜리메이터렌즈(235, 237)를 통해 출사되는 평행광을 부 주사방향에 대해 수평방향의 선형광으로 만들어 준다. 제1 및 제2실린더렌즈(240, 242)는제1 및 제2 실린더렌즈 고정브라켓(241, 243)에 의해 광학케이스(210)에 고정되어 있다.
제1 및 제2실린더렌즈(240, 242)를 통과한 수평방향의 선형광은 각각 제1 및 제2입사각보정 미러(244, 245)에 의해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은 각도(A)를 이루도록 제1광편향기(247)로 입사된다.
제1광편향기(247)는 제1회전다면경(248)과 제1스캐닝모터(250)로 구성된다.
제1회전다면경(248)은 제1 및 제2실린더렌즈(240, 242)를 통과한 수평방향의 선형광을 등선속으로 동시 편향시키기 위한 것으로, 인쇄속도를 높이기 위해 6 개로 분할된 반사면(248a)과 40mm 이하의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제1캐닝모터(250)는 제1회전다면경(248)을 등속도로 회전시키도록 제1회전다면경(248)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실린더렌즈(240, 242)를 통과한 수평방향의 선형광을 주 주사방향의 평면에서 서로 대칭되게 편향시키기 위해, 수평방향의 선형광이 제1 및 제2입사각보정 미러(244, 245)에 의해 제1회전다면경(248)에 입사되는 입사각도간의 각도(A)는 다음 식(2)과 같이 제1회전다면경(248)의 한 반사면(248a)의 각도의 2배로 설정된다.
A = (360/N) x 2 --------------------------(2)
여기서, N은 제1회전다면경(248)의 반사면(248a)의 수
즉, 본 실시예의 제1회전다면경(248)의 경우와 같이 반사면(248a)이 6 개일 경우, 수평방향의 선형광이 제1 및 제2입사각보정 미러(244, 245)에 의해 제1회전다면경(248)에 입사되는 입사각도간의 각도(A)는 120˚이다.
제1 및 제2주사렌즈(250, 252)는 각각, 제1 및 제2주사렌즈 고정브라켓(251, 253)에 의해 광학케이스(210)에 고정된다.
제1 및 제2주사렌즈(250, 252)는 부품수를 줄이고 LSU(200)의 크기를 최소화하기 위해, 각각 광축에 대해 일정한 굴절율을 가지는 1 매의 플라스틱 비대칭 구면렌즈로 구성된다.
제1 및 제2주사렌즈(250, 252)는 각각, 제1회전다면경(248)에서 반사된 등속도의 레이저 빔을 주 주사방향으로 굴절시키고, 또 회전다면경(248)에서 반사된 레이저 빔의 수차를 보정하여 제1 및 제2반사미러(255, 257)를 통해 피주사면인 제1 및 제3 감광체(121C, 121Y)의 표면상에 초점을 맞춘다.
제1 및 제2반사미러(255, 257)는 제1 및 제2주사렌즈(250, 252)를 통과한 레이저 빔을 소정의 방향으로 반사시켜 제1 및 제3 감광체(121C, 121Y)의 표면에 입사하도록 한다. 제1 및 제2반사미러(255, 257)는 각각 제1 및 제2반사미러 고정브라켓(256, 258; 도 4a 참조)에 의해 광학케이스(210)에 지지된다.
제1 및 제2수평동기미러(259, 260)는 제1 및 제2주사렌즈(250, 252)를 통과한 레이저 빔을 수평방향으로 제1 및 제2동기신호검출센서(261, 262)로 반사시킨다. 제1 및 제2수평동기미러(259, 260)는 제1 및 제2수평동기미러 고정브라켓(259a, 260a)에 의해 광학케이스(210)에 지지된다.
제1 및 제2동기신호검출센서(261, 262)는 제1 및 제2센서 고정브라켓(261a, 262a)에 의해 광학케이스(210)에 고정된다. 제1 및 제2동기신호검출센서(261, 262)는 제1 및 제2수평동기미러(259, 260)에서 반사된 광을 수광하고, 인쇄회로기판(234) 또는 별도의 인쇄회로기판(도시하지 않음)에 설치된 LSU제어회로(도시하지 않음)에 검출신호를 출력한다. 제1 및 제2동기신호검출센서(261, 262)에서 출력되는 검출신호는 LSU제어회로에 의해 제1 및 제2반도체 레이저(231, 233)의 스캐닝동기를 맞추는데 이용된다.
제1회전다면경(248)의 면각도에 따라 소정의 각도로 반사된 레이저 빔은 제1 및 제3감광체(121C, 121Y)의 표면에 주 주사방향을 따라 입사됨으로써 제1 및 제2감광체(121C, 121Y)의 표면에 소정의 칼라, 즉 각각 시안(C), 및 옐로우(Y)를 위한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또한, 제1 및 제3감광체(121C, 121Y)의 회전에 의해 주 주사방향과 직교되는 부 주사방향을 따라 화상신호에 대응되는 주사라인이 형성된다.
이때, 제1 및 제2수평동기미러(259, 260)에서 반사된 레이저 빔을 제1 및 제2동기신호검출센서(261, 262)가 인식하여 LSU제어회로에 검출신호를 출력하고, LSU제어회로는 검출신호에 따라 제1 및 제2반도체 레이저(231, 233)의 주사동기를 맞춤으로써 각 주사라인의 주사시작 위치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제2주사광학계(280)는 화상신호에 따라 제2 및 제4감광체(121M, 121BK)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것으로, 제3 및 제4반도체 레이저(281, 283), 제3 및 제4콜리메이터렌즈(285, 287), 제3 및 제4실린더렌즈(290, 292), 제2광편향기(297), 제3 및 제4주사렌즈(300, 302), 제3 및 제4반사미러(305, 306), 제3 및 제4입사각보정 미러(294, 295), 및 제3 및 제4수평동기미러(309, 310)를 포함한다.
이들 제2주사광학계(280)의 구성요소의 구성은 제1주사광학계(2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다만, 도 4a에 도시한바와 같이, 제2주사광학계(280)는 LSU(200)의 전체 폭을 줄이기 위해, 제2광편향기(297), 제3 및 제4주사렌즈(300, 302), 및 제3 및 제4반사미러(305, 306)가 제1평면(249)에서 주 주사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제2평면(308)에 배치된다.
또, 제2주사광학계(280)는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121C, 121M, 121Y, 121BK) 중 인접한 세 개의 감광체의 중심간의 간격(2 x P)이 다음식(3)과 같이 제1 및 제2광편향기(247, 297)의 중심 사이의 간격(C) 보다 크게 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x P > C -----------------------(3)
또한, 제2주사광학계(280)는 광경로를 변경하는 제1 및 제2광로변경 미러(313, 315)를 더 포함한다. 제1 및 제2광로변경 미러(313, 315)는 인접한 제3 및 제4감광체(121Y, 121BK)의 중심 사이의 간격(P)이 다른 제1, 제2 및 제3감광체(121C, 121M, 121Y) 사이의 간격(P)과 동일하게 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LSU(200)는 제1 및 제2주사광학계(230, 280)의 제1 및 제2광편향기(247, 297)를 각각 다른 평면(249, 308)에 배치하도록 함으로써, LSU(200)의 전체 폭 뿐만 아니라 감광체(121C, 121M, 121Y, 121BK)와 LSU(200) 사이의 간격도 감소시킬수 있다. 따라서, LSU(200)의 크기 및 그에 따른 프린터(100)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LSU(200)는 제1 및 제2주사광학계(230, 280)의 제1, 제2, 제3 및 제4반사미러(255, 257, 305, 306)를 1매의 제1, 제2, 제3 및 제4주사렌즈(250, 252, 300, 302)와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121C, 121M, 121Y, 121BK) 사이에 각각 설치함으로써 반사미러(255, 257, 305, 306)의 면정도에 의한 화상품질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LSU(200)는 제1주사광학계(230)의 제1 및 제2반도체 레이저(231, 233)와 제2주사광학계(280)의 제3 및 제4반도체 레이저(281, 283)에서 각각 제1 및 제2광편향기(247, 297)에 입사되는 레이저 빔의 입사각도 간의 각도(A)를 제1 및 제2광편향기(247, 297)의 제1 및 제2회전다면경(248, 298)의 한 반사면(248a, 298a)의 각도의 2배로 설정하고, 제1, 제2, 제3 및 제4실린더렌즈(240, 242, 290, 292)와 제1 및 제2광편향기(247, 297) 사이에 각각 제1, 제2, 제3 및 제4입사각보정 미러(244, 245, 294, 295)를 배치하여 제1, 제2, 제3 및 제4반도체 레이저(231, 233, 281, 283)의 주사방향 배치각도가 평행하게 되도록 구성함으로서, 구성이 단순화하게 되고, 이에따라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전사유닛(140)은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121C, 121M, 121Y, 121BK)에 형성된 현상제화상을 화상수용매체(S)에 전사하는 것으로, 화상전사벨트(141), 4개의 1차 전사롤러(144, 145, 146, 147), 및 2차 전사롤러(149)를 구비한다.
화상전사벨트(141)는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121C, 121M, 121Y, 121BK)에 형성된 현상제화상을 화상수용매체(S)로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 구동롤러(143) 및 피동롤러(144)에 의해 매체이송 방향(도 3의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 도록 설치되어 있다.
화상전사벨트(141)의 표면에는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121C, 121M, 121Y, 121BK)에 형성된 현상제화상이 전사될 수 있도록 유기 광도전층(organic photoconductive layer)이 코팅되어 있다.
각각의 1차 전사롤러(144, 145, 146, 147)는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121C, 121M, 121Y, 121BK)에 형성된 현상제화상이 화상전사벨트(141)로 전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화상전사벨트(141)의 내측에서 화상전사벨트(141)를 상응하는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121C, 121M, 121Y, 121BK)에 대하여 일정압력으로 가압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1차 전사롤러(144, 145, 146, 147)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전사 바이어스 전원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소정의 1차 전사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다.
2차 전사롤러(149)는 화상전사벨트(141)에 전사된 현상제화상을 화상수용매체(S)에 전사하는 것으로, 화상수용매체(S)를 구동롤러(143)에 대하여 소정압력으로 압착하도록 배치된다. 2차 전사롤러(149)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전사 바이어스 전원부에 의해 소정의 2차 전사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다. .
용지가이드유닛(160)은 화상수용매체(S)가 급지유닛(110)의 이송롤러(116)에 의해 전사유닛(140)으로 진입할 때 화상수용매체(S)를 화상전사벨트(141)와 2차 전사롤러(149) 사이의 닙으로 가이드하는 이송가이드부(161)를 구비한다. 이송가이드부(161)는 2차 전사롤러(149)의 샤프트(149a)를 지지하는 이동프레임(150)에 설치된 고정브라켓(도시하지 않음)에 고정된다.
정착유닛(180)는 화상수용매체(S)에 전사된 현상제화상을 정착하기 위한 것으로, 가열롤러(181)와 가압롤러(183)를 구비한다. 가열롤러(181)는 고온의 열에 의해 현상제화상을 화상수용매체(S)에 정착하도록 내부에 히터(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고 있다. 가압롤러(183)는 화상수용매체(S)를 가압하도록 탄성가압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가열롤러(181)에 대해 가압되도록 설치된다.
배지유닛(190)은 현상제화상이 정착된 화상수용매체(S)를 배출 트레이(194)로 배지하기 위한 것으로, 배지롤러(191)와 백업롤러(193)를 구비한다.
클리닝유닛(195)은 화상전사벨트(141)의 일측에 배치되고, 벨트클리닝 블레이드(196)와 벨트폐현상제 수용부(197)를 구비한다.
벨트클리닝 블레이드(196)는 피동롤러(144)의 일측에서 화상전사벨트(141)에 대하여 일정 압력으로 가압하도록 설치된다. 벨트클리닝 블레이드(196)는 화상전사벨트(141)가 1 주기회전후 그 표면에 잔류된 폐현상제를 클리닝하여 제거하고, 벨트폐현상제 수용부(197)는 화상전사벨트(141)에서 제거된 폐현상제를 수용하여 저장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의 LSU(200)는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121C, 121M, 121Y, 121BK)에 형성된 현상제화상을 화상수용매체(S)에 바로 전사하지 않고 화상전사벨트(141)를 통해 화상수용매체(S)에 전사하는 텐덤형 전자사진방식 프린터(100)에 적용되는 것으로 예시 및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의 LSU(200)는, 동일한 구성과 원리로 다른 화상형성장치, 예를들면,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121C, 121M, 121Y, 121BK)에 형성된 현상제화상을 화상수용매체(S)에 바로 전사하는 텐덤형 칼라 화상형성장치(도시하지 않음)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의 LSU(200)는 단면인쇄를 수행하는 텐덤형 전자사진방식 프린터(100)에 적용되는 것으로만 예시 및 설명하였지만, 양면인쇄를 수행하는 텐덤형 칼라 화상형성장치(도시하지 않음)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텐덤형 전자사진방식 프린터(100)의 동작을 도 3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컴퓨터 또는 제어판넬을 통해 프린트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는 컴퓨터, 스캐너 등 외부에서 입력되는 화상신호에 따라 LSU제어회로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제1, 제2, 제3, 및 제4반도체 레이저(231, 233, 281, 283)를 통해 레이저 빔을 출사하도록 한다.
제1, 제2, 제3, 및 제4반도체 레이저(231, 233, 281, 283)를 통해 출사된 레이저 빔은 제1, 제2, 제3, 및 제4콜리메이터렌즈(236, 237, 285, 287), 제1, 제2, 제3, 및 제4실린더렌즈(240, 242, 290, 292), 제1 및 제2광편향기(247, 297), 제1, 제2, 제3, 및 제4주사렌즈(250, 252, 300, 302), 및 제1, 제2, 제3 및 제4반사미러(255, 257, 305, 306)를 통과 한 후,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121C, 121M, 121Y, 121BK)의 표면에 주 주사방향으로 동시 입사되고, 그 결과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121C, 121M, 121Y, 121BK)의 표면에는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및 블랙(BK)의 현상제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이어서,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121C, 121M, 121Y, 121BK)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은 각각 제1, 제2, 제3, 및 제4현상기(125C, 125M, 125Y, 125BK)에 의해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및 블랙(BK)의 현상제화상으로 가시상화된다.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121C, 121M, 121Y, 121BK)와 화상전사벨트(141)가 회전함에 따라,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121C, 121M, 121Y, 121BK)의 표면에 형성된 현상제화상은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121C, 121M, 121Y, 121BK)와 화상전사벨트(141) 사이의 닙으로 이동되고, 1차 전사롤러(144, 145, 146, 147)에 의해 화상전사벨트(141)에 인가되는 소정의 1차 전사 바이어스 전압과 압력에 의해 화상전사벨트(141)로 중첩적으로 전사된다.
그리고, 전사후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121C, 121M, 121Y, 121BK)의 표면에 잔류하는 현상제는 제1, 제2, 제3, 및 제4클리닝부(127C, 127M, 127Y, 127BK)의 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31)에 의해 제거되어 감광체 폐현상제수용부(132)에 수거된다. 또, 토너가 제거된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121C, 121M, 121Y, 121BK)는 다음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다시 제1, 제2, 제3 및 제4대전기(122C, 122M, 122Y, 122BK)에 의해 소정전위로 대전된다.
한편, 화상수용매체(S)는 급지 카세트(111)에 적재되어 있다가 픽업롤러(112)에 의해 1장씩 차례로 픽업된 후, 레지스트롤러(114)와 이송롤러(116)에 의해 화상신호 출력타이밍에 동기되어 화상전사벨트(141)와 2차 전사롤러(149) 사이의 닙으로 이송된다.
화상수용매체(S)가 화상전사벨트(141)와 2차 전사롤러(149) 사이의 닙을 통과하는 동안, 화상수용매체(S)에는 2차 전사롤러(149)에 인가된 2차 전사 바이어스 전압에 의해 화상전사벨트(141)로 중첩전사된 현상제화상이 전사된다.
그리고, 전사후 화상전사벨트(141)에 잔류하는 현상제는 화상전사벨트(141)가 회전함에 따라 클리닝유닛(195)의 벨트클리닝 블레이드(196)에 의해 제거되어 벨트폐현상제 수용부(197)로 수거된다.
그 후, 화상수용매체(S)가 정착유닛(180)에 도달하면, 화상수용매체(S)에 전사된 현상제화상은 정착유닛(180)의 가열롤러(181)와 가압롤러(183)에 의해 인가되는 소정의 열과 압력에 의해 화상수용매체(S)에 영구화상으로 정착된다.
현상제화상이 영구화상으로 정착된 후, 화상수용매체(S)는 배지유닛(190)의 배지롤러(191)에 의해 배지 트레이(194)로 배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주사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는 제1 및 제2주사광학계의 제1 및 제2광편향기를 각각 다른 평면에 배치하도록 함으로써, 광주사장치의 전체 폭 뿐만 아니라 감광체와 광주사장치 사이의 간격도 감소시킬수 있다. 따라서, 광주사장치의 크기 및 그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광주사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는 제1 및 제2주사광학계의 제1, 제2, 제3 및 제4반사미러를 1매의 제1, 제2, 제3 및 제4주사렌즈와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 사이에 각각 설치함으로써 반사미러의 면정도 에 의한 화상품질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광주사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는 제1주사광학계의 제1 및 제2반도체 레이저와 제2주사광학계의 제3 및 제4반도체 레이저에서 각각 제1 및 제2광편향기에 입사되는 레이저 빔의 입사각도 간의 각도(A)를 제1 및 제2광편향기의 한 반사면의 각도의 2배로 설정하고, 제1, 제2, 제3 및 제4실린더렌즈와 제1 및 제2광편향기 사이에 각각 제1, 제2, 제3 및 제4입사각보정 미러를 배치하여 제1, 제2, 제3 및 제4반도체 레이저의 주사방향 배치각도가 평행하게 되도록 구성함으로서, 구성이 단순화하게 되고, 이에따라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사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16)

  1. 복수의 광원, 상기 광원에서 출사된 광을 각각 다른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제1광편향기, 및 상기 제1광편향기에서 편향된 광의 오차를 보정하는 복수의 주사렌즈, 및 상기 주사렌즈를 통과한 광을 각각 복수의 피주사면으로 반사하는 복수의 반사미러를 구비하는 제1광학계; 및
    복수의 광원, 상기 광원에서 출사된 광을 각각 다른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제2광편향기, 및 상기 제2광편향기에서 편향된 광의 오차를 보정하는 복수의 주사렌즈, 및 상기 주사렌즈를 통과한 광을 각각 복수의 피주사면으로 반사하는 복수의 반사미러를 구비하는 제2광학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광학계는 적어도 상기 제1 및 제2광편향기가 각각 다른 평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광학계에서부터 광이 주사되는 상기 복수의 피주사면 중 인접한 세 개의 피주사면의 중심간의 간격(2 x P)은 상기 제1 및 제2 광학계 중의 하나에서부터 상기 피주사면 사이의 거리(L)와 상기 제1 및 제2광편향기의 중심 사이의 간격(C) 중 적어도 하나 보다 크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광학계 중 적어도 하나는 인접한 상기 피주 사면의 중심 사이의 간격(P)이 동일하게 되도록 광경로를 변경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로변경 미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편향기는 상응하는 상기 복수의 광원에서 출사된 광을 각각 다른 방향으로 동시 편향시키며, 상응하는 상기 복수의 광원의 각각에서 상기 제1광편향기에 입사되는 광의 입사각도간의 각도(A)는 상기 제1광편향기의 분할된 한 반사면의 각도의 2배로 설정되며;
    상기 제2광편향기는 상응하는 상기 복수의 광원에서 출사된 광을 각각 다른 방향으로 동시 편향시키며, 상응하는 상기 복수의 광원의 각각에서 상기 제2광편향기에 입사되는 광의 입사각도간의 각도(A)는 상기 제2광편향기의 분할된 한 반사면의 각도의 2배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광학계의 복수의 광원의 각각과 상기 제1 및 제2광편향기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입사각보정 미러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광학계의 복수의 광원은 광원 상호간의 주사방향의 배치각도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광학계의 복수의 광원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발광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광학계의 상기 복수의 주사렌즈는 각각 1 매의 플라스틱 비대칭 구면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장치.
  9.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복수의 감광체; 및
    복수의 광원, 상기 광원에서 출사된 광을 각각 다른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제1광편향기, 및 상기 제1광편향기에서 편향된 광의 오차를 보정하는 복수의 주사렌즈, 및 상기 주사렌즈를 통과한 광을 각각 상기 복수의 감광체 중 제1군의 감광체로 반사하는 복수의 반사미러를 구비하는 제1광학계; 및 복수의 광원, 상기 광원에서 출사된 광을 각각 다른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제2광편향기, 및 상기 제2광편향기에서 편향된 광의 오차를 보정하는 복수의 주사렌즈, 및 상기 주사렌즈를 통과한 광을 각각 상기 복수의 감광체 중 제2군의 감광체로 반사하는 복수의 반사미러를 구비하는 제2광학계를 가지는 광주사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광학계는 적어도 제1 및 제2광편향기가 각각 다른 평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광체 중 인접한 세 개의 감광체의 중심간의 간격(2 x P)은 상기 제1 및 제2 광학계 중 하나에서부터 상기 감광체 사이의 거리(L)와 상기 제1 및 제2광편향기의 중심 사이의 간격(C) 중 적어도 하나 보다 크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광학계 중 적어도 하나는 인접한 감광체의 중심 사이의 간격(P)이 동일하게 되도록 광경로를 변경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로변경 미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편향기는 상응하는 상기 복수의 광원에서 출사된 광을 각각 다른 방향으로 동시 편향시키며, 상응하는 상기 복수의 광원의 각각에서 상기 제1광편향기에 입사되는 광의 입사각도간의 각도(A)는 상기 제1광편향기의 분할된 한 반사면의 각도의 2배로 설정되며;
    상기 제2광편향기는 상응하는 상기 복수의 광원에서 출사된 광을 각각 다른 방향으로 동시 편향시키며, 상응하는 상기 복수의 광원의 각각에서 상기 제2광편향기에 입사되는 광의 입사각도간의 각도(A)는 상기 제2광편향기의 분할된 한 반사면의 각도의 2배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광학계의 상기 복수의 광원의 각각과 상기 제1 및 제2광편향기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입사각보정 미러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광학계의 복수의 광원은 광원 상호간의 주사방향의 배치각도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광학계의 상기 복수의 광원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발광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광학계의 복수의 상기 주사렌즈는 각각 1 매의 플라스틱 비대칭 구면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50063780A 2005-07-14 2005-07-14 광주사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100611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3780A KR100611306B1 (ko) 2005-07-14 2005-07-14 광주사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US11/385,764 US20070013763A1 (en) 2005-07-14 2006-03-22 Laser scann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NA2006101064025A CN1896795A (zh) 2005-07-14 2006-07-14 激光扫描单元和具有该激光扫描单元的成像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3780A KR100611306B1 (ko) 2005-07-14 2005-07-14 광주사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1306B1 true KR100611306B1 (ko) 2006-08-10

Family

ID=37594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3780A KR100611306B1 (ko) 2005-07-14 2005-07-14 광주사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70013763A1 (ko)
KR (1) KR100611306B1 (ko)
CN (1) CN189679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714B1 (ko) * 2009-04-01 2011-03-07 쓰리디이미징앤시뮬레이션즈(주) 디지털 엑스레이 영상 획득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74596B2 (ja) * 2011-02-15 2013-08-28 シャープ株式会社 光走査装置
JP6319961B2 (ja) * 2013-07-24 2018-05-09 キヤノン株式会社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179314B2 (ja) * 2013-09-24 2017-08-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走査光学装置
JP2016126268A (ja) * 2015-01-08 2016-07-11 キヤノン株式会社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8132643A (ja) * 2017-02-15 2018-08-23 キヤノン株式会社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113985420B (zh) * 2021-12-28 2022-05-03 四川吉埃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斜45°激光雷达扫描光路误差补偿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0523A (ja) * 1999-03-30 2000-10-10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2228956A (ja) * 2001-01-31 2002-08-14 Ricoh Co Ltd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714B1 (ko) * 2009-04-01 2011-03-07 쓰리디이미징앤시뮬레이션즈(주) 디지털 엑스레이 영상 획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013763A1 (en) 2007-01-18
CN1896795A (zh) 2007-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36267B2 (ja)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9035988B2 (en) Light source driving device, light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0256397A (ja) 光学走査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918439B2 (ja) 光書込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611306B1 (ko) 광주사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US6856335B2 (en) Optical scanning device for scanning plural surface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optical scanning device
JP4557825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6030912A (ja) 画像形成装置及び走査ユニット
KR100565051B1 (ko) 광주사유닛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US744679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3974565B2 (ja) 電子写真方式画像形成装置の光走査ユニットおよび電子写真方式画像形成装置
KR101814121B1 (ko)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
JP2006038912A (ja) 画像形成装置及び走査ユニット
US7518771B2 (en) Optical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quipped with the same
US8872874B2 (en) Light scanning unit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9035982B2 (en) Optical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same
JP5712709B2 (ja)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7412946B2 (ja) 光学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8049119A (ja)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898605B2 (ja) 光書込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10218871B2 (en) Light scann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10039419A (ja) 光学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610875B2 (ja)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2036492A (ja) 光走査装置、画像形成装置
JP4807190B2 (ja)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