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0853B1 - 비틀림 진동 댐퍼 - Google Patents

비틀림 진동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0853B1
KR100610853B1 KR1020040063308A KR20040063308A KR100610853B1 KR 100610853 B1 KR100610853 B1 KR 100610853B1 KR 1020040063308 A KR1020040063308 A KR 1020040063308A KR 20040063308 A KR20040063308 A KR 20040063308A KR 100610853 B1 KR100610853 B1 KR 100610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annular chamber
coil springs
disposed
fric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3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4675A (ko
Inventor
지태한
송영래
정재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3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0853B1/ko
Priority to JP2005122978A priority patent/JP4904484B2/ja
Priority to DE602005013031T priority patent/DE602005013031D1/de
Priority to EP05011365A priority patent/EP1626198B1/en
Priority to EP08160339A priority patent/EP1975459B1/en
Priority to DE602005024463T priority patent/DE602005024463D1/de
Priority to ES08160339T priority patent/ES2353568T3/es
Priority to US11/200,780 priority patent/US7364511B2/en
Publication of KR20060014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4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0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0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16F15/131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the rotating system comprising two or more gyratory masses
    • F16F15/133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the rotating system comprising two or more gyratory masses using springs as elastic members, e.g. metallic springs
    • F16F15/134Wound springs
    • F16F15/1343Wound springs characterised by the spring mounting
    • F16F15/13453Additional guiding means for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16F15/131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the rotating system comprising two or more gyratory masses
    • F16F15/139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the rotating system comprising two or more gyratory masses characterised by friction-damp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30Flywhe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1Elements
    • Y10T74/2121Flywheel, motion smoothing-type
    • Y10T74/2131Damping by absorbing vibration force [via rubber, elastomeric material,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비틀림 진동 댐퍼는, 엔진 크랭크축의 회전축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엔진 크랭크축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2이상의 부분으로 분할되는 환형 체임버를 형성하는 제1질량체; 상기 제1질량체에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클러치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2질량체; 및 상기 환형 체임버의 분할된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제1질량체와 상기 제2질량체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댐핑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댐핑유닛은, 상기 환형 체임버의 분할된 부분에 직렬로 차례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코일 스프링; 상기 환형 체임버의 분할된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제1질량체와 상기 제2질량체의 상대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개의 코일 스프링을 압축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개의 코일 스프링 중 양끝단의 코일 스프링의 외측단을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엔드 가이드; 및 상기 코일 스프링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환형 체임버의 외벽과 마찰을 일으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외주면이 구비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마찰부재의 외주면에는 오일홈이 형성되고, 상기 오일홈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환형 체임버의 원주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틀림 진동, 제1질량체, 제2질량체, 코일 스프링

Description

비틀림 진동 댐퍼{TORSIONAL VIBRATION DAMPER}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비틀림 진동 댐퍼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2는 도1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비틀림 진동 댐퍼의 드라이브 플레이트의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비틀림 진동 댐퍼의 드라이브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비틀림 진동 댐퍼의 마찰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6은 도5의 마찰장치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오일홈의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7은 도5의 마찰장치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오일홈의 변형된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8은 도5의 마찰장치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오일홈의 다른 변형된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비틀림 진동 댐퍼의 마찰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10은 도9의 B-B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비틀림 진동 댐퍼의 마찰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12는 도11의 C-C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비틀림 진동 댐퍼의 마찰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14는 도13의 마찰장치가 적용된 비틀림 진동 댐퍼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15는 도13의 마찰장치의 내주면에 형성된 오일홈의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1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비틀림 진동 댐퍼의 마찰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17은 도16의 D-D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차량의 비틀림 진동 댐퍼(torsional vibration damper)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엔진과 변속기 사이에 배치되는 비틀림 진동 댐퍼("이중질량 플라이휠"이라고도 함)는,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질량체와 제2질 량체, 및 양자 사이에 배치되는 댐핑유닛(damping unit)을 포함한다. 제1질량체는 엔진의 출력축에 연결되고, 제2질량체는 클러치(clutch)를 통하여 변속기의 입력축에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제1질량체는 환형 체임버(ring-shaped chamber)가 형성되고, 댐핑유닛은 이 환형 체임버 내에 배치된다. 이때, 댐핑유닛은 제1질량체와 제2질량체 사이에 상대회전이 발생하는 경우에, 제1질량체와 제2질량체에 의해 압축될 수 있도록 환형 체임버에 배치된다.
댐핑유닛은, 제1질량체의 환형 체임버에 차례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코일 스프링과, 이 코일 스프링 사이에 배치되며 제1질량체의 환형 체임버의 내면과 마찰을 발생하도록 형성되는 마찰부재를 포함한다.
환형 체임버에는 마찰부재와 환형 체임버의 내벽 사이의 윤활작용을 하는 윤활오일이 채워진다.
종래의 비틀림 진동 댐퍼는 마찰부재의 마찰면과 환형 체임버의 내면 사이의 윤활작용이 효과적으로 수행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고 또한 마찰부재의 양측으로 윤활오일이 균일하게 배분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나아가, 종래의 비틀림 진동 댐퍼는 마찰부재와 코일 스프링의 마찰로 인해 마찰부재가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로 인하여 종래의 비틀림 진동 댐퍼는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효과적인 윤활작용이 가능하고 아울러 코일 스프링에 의한 마찰부재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비틀림 진동 댐퍼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비틀림 진동 댐퍼는,
엔진 크랭크축의 회전축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엔진 크랭크축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2이상의 부분으로 분할되는 환형 체임버를 형성하는 제1질량체;
상기 제1질량체에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클러치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2질량체; 및
상기 환형 체임버의 분할된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제1질량체와 상기 제2질량체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댐핑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댐핑유닛은,
상기 환형 체임버의 분할된 부분에 직렬로 차례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코일 스프링;
상기 환형 체임버의 분할된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제1질량체와 상기 제2질량체의 상대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개의 코일 스프링을 압축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개의 코일 스프링 중 양끝단의 코일 스프링의 외측단을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엔드 가이드; 및
상기 코일 스프링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환형 체임버의 외벽과 마찰을 일으 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외주면이 구비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마찰부재의 외주면에는 오일홈이 형성되고, 상기 오일홈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환형 체임버의 원주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일홈은 상기 환형 체임버의 원주방향과 예각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일홈은 상기 환형 체임버의 원주방향에 대해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일홈은 "V"자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일홈은, 상기 환형 체임버의 원주방향에 대해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제1홈과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비틀림 진동 댐퍼는,
복수개의 부분으로 분할되는 환형 체임버를 형성하는 제1질량체;
상기 제1질량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질량체; 및
상기 제1질량체의 환형 체임버의 분할된 부분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제1질량체와 상기 제2질량체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댐핑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댐핑유닛 각각은,
상기 환형 체임버의 분할된 부분에 직렬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코일 스프링; 및
상기 이웃하는 코일 스프링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환형 체임버의 외벽과 마찰을 일으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외주면이 구비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마찰부재의 외주면에는 오일홈이 형성되고, 상기 오일홈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환형 체임버의 원주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비틀림 진동 댐퍼는,
엔진 크랭크축의 회전축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엔진 크랭크축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2이상의 부분으로 분할되는 환형 체임버를 형성하는 제1질량체;
상기 제1질량체에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클러치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2질량체; 및
상기 환형 체임버의 분할된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제1질량체와 상기 제2질량체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댐핑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댐핑유닛은,
상기 환형 체임버의 분할된 부분에 직렬로 차례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코일 스프링;
상기 환형 체임버의 분할된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제1질량체와 상기 제2질량체의 상대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개의 코일 스프링을 압축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개의 코일 스프링 중 양끝단의 코일 스프링의 외측단을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엔드 가이드; 및
상기 코일 스프링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환형 체임버의 내면과 마찰을 일으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마찰부재에는 상기 코일 스프링을 수용하는 코일 스프링 수용홀이 구비 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 수용홀의 내면 중 적어도 일부에는 내마모층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마모층은, 상기 마찰부재의 재질 보다 마모에 더 강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비틀림 진동 댐퍼는,
복수개의 부분으로 분할되는 환형 체임버를 형성하는 제1질량체;
상기 제1질량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질량체; 및
상기 제1질량체의 환형 체임버의 분할된 부분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제1질량체와 상기 제2질량체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댐핑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댐핑유닛 각각은,
상기 환형 체임버의 분할된 부분에 직렬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코일 스프링; 및
상기 코일 스프링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환형 체임버의 내면과 마찰을 일으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마찰부재에는 상기 코일 스프링을 수용하는 코일 스프링 수용홀이 구비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 수용홀의 내면 중 적어도 일부에는 내마모층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비틀림 진동 댐퍼는,
엔진 크랭크축의 회전축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엔진 크랭크축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2이상의 부분으로 분할되는 환형 체임버를 형성하는 제1 질량체;
상기 제1질량체에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클러치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2질량체; 및
상기 환형 체임버의 분할된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제1질량체와 상기 제2질량체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댐핑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댐핑유닛은,
상기 환형 체임버의 분할된 부분에 직렬로 차례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코일 스프링;
상기 환형 체임버의 분할된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제1질량체와 상기 제2질량체의 상대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개의 코일 스프링을 압축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개의 코일 스프링 중 양끝단의 코일 스프링의 외측단을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엔드 가이드; 및
상기 이웃하는 코일 스프링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환형 체임버의 내면과 마찰을 일으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마찰부재에는 상기 코일 스프링을 수용하는 코일 스프링 수용홀이 구비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과의 마찰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코일 스프링 수용홀을 형성하는 측벽 중 적어도 일부는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비틀림 진동 댐퍼는,
복수개의 부분으로 분할되는 환형 체임버를 형성하는 제1질량체;
상기 제1질량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질량체; 및
상기 제1질량체의 환형 체임버의 분할된 부분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제1질량체와 상기 제2질량체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댐핑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댐핑유닛 각각은,
상기 환형 체임버의 분할된 부분에 직렬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코일 스프링; 및
상기 이웃하는 코일 스프링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환형 체임버의 내면과 마찰을 일으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마찰부재에는 상기 코일 스프링을 수용하는 코일 스프링 수용홀이 구비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과의 마찰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코일 스프링 수용홀을 형성하는 측벽 중 적어도 일부는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비틀림 진동 댐퍼는,
엔진 크랭크축의 회전축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엔진 크랭크축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2이상의 부분으로 분할되는 환형 체임버를 형성하는 제1질량체;
상기 제1질량체에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클러치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2질량체; 및
상기 환형 체임버의 분할된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제1질량체와 상기 제2질량체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댐핑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댐핑유닛은,
상기 환형 체임버의 분할된 부분에 직렬로 차례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코일 스프링;
상기 환형 체임버의 분할된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제1질량체와 상기 제2질량체의 상대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개의 코일 스프링을 압축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개의 코일 스프링 중 양끝단의 코일 스프링의 외측단을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엔드 가이드; 및
상기 이웃하는 코일 스프링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환형 체임버의 내벽과 마찰을 일으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내주면이 구비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마찰부재의 내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은, 상기 환형 체임버의 내벽의 말단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상기 환형 체임버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은, 상기 환형 체임버의 내벽과 마주하는 위치에서 상기 환형 체임버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홈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비틀림 진동 댐퍼는,
복수개의 부분으로 분할되는 환형 체임버를 형성하는 제1질량체;
상기 제1질량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질량체; 및
상기 제1질량체의 환형 체임버의 분할된 부분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제1질량체와 상기 제2질량체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댐핑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댐핑유닛 각각은,
상기 환형 체임버의 분할된 부분에 직렬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코일 스프링; 및
상기 이웃하는 코일 스프링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환형 체임버의 내벽과 마찰을 일으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내주면이 구비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마찰부재의 내주면에는,
상기 환형 체임버의 내벽의 말단부와 마주하는 위치 및 상기 환형 체임버의 내벽과 마주하는 위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위치에서 상기 환형 체임버의 원주방향을 따라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비틀림 진동 댐퍼는,
엔진 크랭크축의 회전축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엔진 크랭크축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2이상의 부분으로 분할되는 환형 체임버를 형성하는 제1질량체;
상기 제1질량체에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클러치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2질량체; 및
상기 환형 체임버의 분할된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제1질량체와 상기 제2질량체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댐핑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댐핑유닛은,
상기 환형 체임버의 분할된 부분에 직렬로 차례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코일 스프링;
상기 환형 체임버의 분할된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제1질량체와 상기 제2질 량체의 상대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개의 코일 스프링을 압축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개의 코일 스프링 중 양끝단의 코일 스프링의 외측단을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엔드 가이드; 및
상기 코일 스프링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코일 스프링을 수용하는 코일 스프링 수용홀이 형성되고, 상기 환형 체임버의 내면과 마찰을 일으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찰면이 구비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마찰부재에는 상기 코일 스프링 수용홀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마찰면까지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일통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마찰면은, 상기 환형 체임버의 외벽과 마찰을 일으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외주면과 상기 환형 체임버의 내벽과 마찰을 일으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내주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일통로는, 상기 코일 스프링 수용홀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외주면까지 연장되는 제1오일통로와 상기 코일 스프링 수용홀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내주면까지 연장되는 제2오일통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비틀림 진동 댐퍼는,
복수개의 부분으로 분할되는 환형 체임버를 형성하는 제1질량체;
상기 제1질량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질량체; 및
상기 제1질량체의 환형 체임버의 분할된 부분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제1질량체와 상기 제2질량체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댐핑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댐핑유닛 각각은,
상기 환형 체임버의 분할된 부분에 직렬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코일 스프링; 및
상기 코일 스프링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코일 스프링을 수용하는 코일 스프링 수용홀이 형성되고, 상기 환형 체임버의 내면과 마찰을 일으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찰면이 구비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마찰부재에는 상기 코일 스프링 수용홀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마찰면까지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일통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비틀림 진동 댐퍼는,
엔진 크랭크축의 회전축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엔진 크랭크축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2이상의 부분으로 분할되는 환형 체임버를 형성하는 제1질량체;
상기 제1질량체에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클러치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2질량체; 및
상기 환형 체임버의 분할된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제1질량체와 상기 제2질량체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댐핑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댐핑유닛 각각은,
상기 환형 체임버의 분할된 부분에 직렬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코일 스프링; 및
상기 이웃하는 코일 스프링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환형 체임버의 내면과 마 찰을 일으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마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마찰장치는,
그 일단에는 상기 이웃하는 코일 스프링 중 어느 하나를 수용하는 제1 코일 스프링 수용홀이 형성되고 다른 일단에는 제1경사면이 구비되는 외측 쐐기형 마찰부재; 및
그 일단에는 상기 이웃하는 코일 스프링 중 다른 하나를 수용하는 제2 코일 스프링 수용홀이 형성되고 다른 일단에는 상기 제1경사면과 면접촉하는 제2경사면이 구비되는 내측 쐐기형 마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외측 쐐기형 마찰부재에는 상기 제1 코일 스프링 수용홀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제1경사면까지 연장되는 제1오일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 쐐기형 마찰부재에는 상기 제2 코일 스프링 수용홀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제2경사면까지 연장되는 제2오일통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비틀림 진동 댐퍼는,
복수개의 부분으로 분할되는 환형 체임버를 형성하는 제1질량체;
상기 제1질량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질량체; 및
상기 제1질량체의 환형 체임버의 분할된 부분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제1질량체와 상기 제2질량체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댐핑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댐핑유닛 각각은,
상기 환형 체임버의 분할된 부분에 직렬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코일 스프링; 및
상기 이웃하는 코일 스프링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환형 체임버의 내면과 마찰을 일으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마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마찰장치는,
그 일단에는 상기 이웃하는 코일 스프링 중 어느 하나를 수용하는 제1 코일 스프링 수용홀이 형성되고 다른 일단에는 제1경사면이 구비되는 외측 쐐기형 마찰부재; 및
그 일단에는 상기 이웃하는 코일 스프링 중 다른 하나를 수용하는 제2 코일 스프링 수용홀이 형성되고 다른 일단에는 상기 제1경사면과 면접촉하는 제2경사면이 구비되는 내측 쐐기형 마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외측 쐐기형 마찰부재에는 상기 제1 코일 스프링 수용홀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제1경사면까지 연장되는 제1오일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 쐐기형 마찰부재에는 상기 제2 코일 스프링 수용홀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제2경사면까지 연장되는 제2오일통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비틀림 진동 댐퍼(10)는 제1질량체(11), 제2질량체(13), 및 댐핑유닛(33)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비틀림 진동 댐퍼(10)는 차량의 엔진(도시되지 아니함)과 변속기(도시되지 아니함) 사이에 개재되어 동력전달과정에서 발생하는 비틀림 진동을 감쇠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비틀림 진동 댐퍼(10)는 차량의 엔진과 변속기 사 이뿐만 아니라 임의의 동력전달부에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질량체(11)는 엔진 크랭크축(12)의 회전축(X)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엔진 크랭크축(12)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2질량체(13)는 제1질량체(11)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변속기의 입력축(16)에 연결되는 클러치(14)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1질량체(11)의 중앙 부분에는 허브(15)가 리벳(또는, 볼트)(17)에 의해 결합되고, 제2질량체(13)가 부싱(bushing)(또는, 베어링)(19a, 19b)에 의해 허브(1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제2질량체(13)는 제1질량체(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두 개의 부싱(19a, 19b)이 사용됨으로써, 각각의 부싱(19a, 19b)에 걸리는 비틀림 스트레스가 저감될 수 있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질량체(11)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을 가진다.
제1질량체(11)에는 환형 체임버(ring-shaped chamber)(25)가 형성된다. 제1질량체(11)의 끝단에는 반경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연장부(21)가 구비되고 그 수직연장부(21)에는 일정한 폭을 가지는 커버(cover)(23)가 결합됨으로써, 제1질량체(11)에 환형 체임버(25)가 형성된다. 환형 체임버(25)를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환형 체임버(25)를 형성하는 다양한 방법이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환형 체임버(25)는 2이상의 부분으로 분할된다. 예를 들어, 환형 체임버(25)는 제1질량체(11)에 형성된 제1돌출부(27) 및/또는 커버(23)에 형성된 제2돌출부(29)에 의해 2이상의 부분으로 분할될 수 있다. 도2에는 환형 체임버(25)가 2개의 부분으로 분할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환형 체임버(25)가 3개 이상의 부분으로 분할되어도 무방함은 물론이다.
환형 체임버(25)의 일부 또는 전부는 윤활오일로 채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돌출부(27) 및 제2돌출부(29)를 형성함에 있어서, 환형 체임버(25)의 반경 방향의 중앙부분에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제1 및 제2 돌출부(27, 29)의 양측으로 윤활유 통로(127, 129)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환형 체임버(25)의 분할된 부분은 윤활유 통로(127, 129)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윤활유가 윤활유 통로(127, 129)를 통해서 환형 체임버(25)의 분할된 부분 사이를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윤활유가 환형 체임버(25)의 분할된 부분들에 골고루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제1질량체(11)의 외주에는 링기어(ring gear)(31)가 구비된다. 링기어(31)는 엔진을 기동하는 스타트 모터(start motor)(도시되지 아니함)에 의해 구동된다.
환형 체임버(25)의 분할된 각 부분에는 제1질량체(11)와 제2질량체(13)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댐핑유닛(33)이 각각 배치된다.
이때, 댐핑유닛(33)은 제1돌출부(27) 및/또는 제2돌출부(29)에 지지된 상태로 환형 체임버(25)의 분할된 부분에 배치된다.
이하에서는, 환형 체임버(25)의 분할된 부분을 단순히 환형 체임버로 칭하기 로 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핑유닛(33)은, 환형 체임버(25)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개의 코일 스프링(35, 37, 39, 41)과, 코일 스프링(35, 37, 39, 41) 사이에 배치되는 마찰장치(43)를 포함한다. 또한, 댐핑유닛(33)은, 복수개의 코일 스프링(35, 37, 39, 41) 중 최외측의 코일 스프링(35, 41)의 외측을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엔드 가이드(49, 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찰장치(43)는 댐핑유닛(33)의 댐핑값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므로 히스테리시스 장치라고도 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마찰장치라고 한다.
엔드 가이드(49, 51)는 그 외측면이 각각 환형 체임버(25)를 분할하는 제1 및 제2 돌출부(27, 29)에 의해 지지되도록 배치된다.
복수개의 코일 스프링(35, 37, 39, 41)은 한 쌍의 엔드 가이드(49, 51)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환형 체임버(25) 내에 직렬로 차례로 배치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코일 스프링(35, 37, 39, 41) 각각의 내부에는 보조 코일 스프링(53, 55, 57, 59)을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보조 코일 스프링(53, 55, 57, 59)이 구비됨으로써, 순차적인 댐핑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엔드 가이드(49, 51)는 환형 체임버(25)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복수개의 코일 스프링(35, 37, 39, 41) 중 양끝단에 위치하는 코일 스프링(35, 41)의 외측단을 각각 지지한다.
마찰장치(43)는 이웃하는 코일 스프링 사이에 배치되며, 이웃하는 코일 스프링(37, 39)의 압축에 대응하여 환형 체임버(25)의 내벽(118) 및 외벽(117) 중 어느 하나 이상과의 마찰을 통한 댐핑력(damping force)을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마찰장치(43)는 제1질량체(11)와 제2질량체(13)의 상대회전량 및 회전속도에 동시에 비례하는 댐핑효과를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질량체(13)에는 드라이브 플레이트(61)가 고정 결합된다. 즉, 드라이브 플레이트(61)는 제2질량체(13)와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드라이브 플레이트(61)는, 제1질량체(11)와 제2질량체(13) 사이의 상대회전에 대응하여, 댐핑유닛(33)을 압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브 플레이트(61)는 전체적으로 링(ring)의 형상을 가지며, 그 외주의 서로 대칭되는 지점에는 제1압축핀(first compression fin)(63)과 제2압축핀(second compression fin)(65)이 각각 구비된다.
압축핀(63, 65)의 적어도 일부분은 환형 체임버(25)의 내부에 위치하며, 압축핀(63, 65)은 환형 체임버(25) 내부를 이동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가진다. 또한, 압축핀(63, 65)은 제1질량체(11)의 환형 체임버(25)를 분할하는 제1 및 제2 돌출부(27, 29)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압축핀(63, 65)은, 비틀림 진동 댐퍼(10)에서 동력 전달이 일어나지 아니하는 동안에는 제1돌출부(27)와 제2돌출부(29)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고, 비틀림 진동 댐퍼(10)에서 동력 전달이 일어나는 동안에는 환형 체임버(25) 내부의 공간을 이동하면서 엔드 가이드(49, 51)를 가압한다.
예를 들어, 도2에서 드라이브 플레이트(61)가 제1질량체(11)에 대해서 반시 계 방향으로 상대 회전하는 경우에, 제1압축핀(63)이 엔드 가이드(49)를 가압하고 제2압축핀(65)은 환형 체임버(25)의 다른 분할된 부분에 위치하는 엔드 가이드(도시되지 아니함)를 가압한다. 이때, 다른 하나의 엔드 가이드(51)는 제1 및 제2 돌출부(27, 29)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제1질량체(11)와 드라이브 플레이트(61)에 의해 댐핑유닛(33)이 압축된다. 즉, 제1질량체(11)와 드라이브 플레이트(61)(즉, 제2질량체)의 상대회전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코일 스프링(35, 37, 39, 41)이 압축된다. 그리고, 코일 스프링(35,37, 39, 41)의 압축에 의해 마찰장치(43)가 환형 체임버(25) 내에서 이동하면서 가압되고, 그 결과 마찰장치(43)와 환형 체임버(25)의 내벽(118) 또는 외벽(117) 사이에서 마찰이 발생한다.
결과적으로, 코일 스프링(35, 37, 39, 41)의 압축 및 마찰장치(43)의 마찰에 의해 댐핑이 발생한다.
한편,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 체임버(25)의 분할된 부분에 배치되는 댐핑유닛이 순차적으로 압축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압축핀(63, 65)의 폭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폭이 더 넓은 제1압축핀(63)이 분할된 환형 체임버(25)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댐핑유닛을 먼저 압축하고, 그리고 나서 폭이 좁은 제2압축핀(65)이 다른 댐핑유닛을 압축함으로써, 순차적인 댐핑이 가능하게 된다.
결국, 그 폭이 상이한 제1 및 제2 압축핀(63, 65)에 의해 환형 체임버(25)의 분할된 부분에 배치되는 댐핑유닛이 순차적으로 압축됨으로써, 단계적인 댐핑이 일 어나며 그 결과 비틀림 진동이 더욱 감소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비틀림 진동 댐퍼(10)는 순차적인 댐핑특성이 가능하고 그 결과 보다 부드러운 댐핑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 도5 내지 도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이하, "제1실시예"라고 함)에 의한 마찰장치(43)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5는 이웃하는 코일 스프링(37, 39) 사이에 배치된 마찰장치(43)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장치(43)는 외측 쐐기형 마찰부재(73)와 내측 쐐기형 마찰부재(75)를 포함한다.
외측 쐐기형 마찰부재(73)와 내측 쐐기형 마찰부재(75)는 서로 마주보도록 이웃하는 코일 스프링(37, 39) 사이에 배치된다.
외측 쐐기형 마찰부재(73)에는 제1경사면(77)이 구비되고 내측 쐐기형 마찰부재(75)에는 제2경사면(79)이 구비된다. 외측 쐐기형 마찰부재(73)와 내측 쐐기형 마찰부재(75)는 제1경사면(77)과 제2경사면(79)이 서로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코일 스프링(37, 39)이 압축되는 경우에, 외측 쐐기형 마찰부재(73)는 환형 체임버(25)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동하고 내측 쐐기형 마찰부재(75)는 환형 체임버(25)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외측 쐐기형 마찰부재(73)의 외주면(81)과 환형 체임버(25)의 외벽(117)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고, 내측 쐐기형 마찰부재(75)의 내주면(83)과 환형 체임버(25)의 내벽(119)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게 된다.
외측 쐐기형 마찰부재(73)의 외주면(81)과 내측 쐐기형 마찰부재(75)의 외주면(85)에는 오일홈(87)이 형성된다.
도6은 도5의 외측 쐐기형 마찰부재와 내측 쐐기형 마찰부재의 외주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7 및 도8은 외측 쐐기형 마찰부재와 내측 쐐기형 마찰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오일홈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6 내지 도8을 참조하면, 오일홈의 적어도 일부분은 환형 체임버(25)의 원주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오일홈의 적어도 일부분은 환형 체임버(25)의 원주방향과 평행하거나 수직하지 아니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오일홈이 환형 체임버(25)의 원주방향과 경사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윤활오일이 환형 체임버(25) 내에 골고루 퍼지게 된다. 따라서, 균일한 윤활효과 및 댐핑특성을 얻을 수 있다.
우선,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일홈(87)은 환형 체임버(25)의 원주방향과 예각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외측 쐐기형 마찰부재(73)와 내측 쐐기형 마찰부재(75)의 환형 체임버(25) 내에서 이동 방향에 따라 윤활오일이 오일홈(87)을 따라 서로 상반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외측 쐐기형 마찰부재(73) 및 내측 쐐기형 마찰부재(75)가 도6의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윤활오일이 오일홈(87)을 따라 이동하여 외주면(81, 85)의 하단부(도6에서)로 이동하게 된다. 반대로, 외측 쐐기형 마찰부재(73) 및 내측 쐐 기형 마찰부재(75)가 도6의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윤활오일이 오일홈(87)을 따라 이동하여 외주면(81, 85)의 상단부(도6에서)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외측 쐐기형 마찰부재(73)와 내측 쐐기형 마찰부재(75)의 이동에 따라 윤활오일이 환형 체임버(25) 내를 골고루 퍼지게 되므로, 균일한 윤활효과가 얻어지게 된다. 따라서, 일정한 댐핑특성이 얻어지고 나아가 마찰장치(43)의 내마모성이 커지게 된다.
한편, 오일홈은 환형 체임버(25)의 원주방향에 대해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일홈(89)은 "V"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외측 쐐기형 마찰부재(73) 및 내측 쐐기형 마찰부재(75)가 도7의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윤활오일이 오일홈(89)을 따라 이동하여 외주면(81, 85)의 중심부로 모이게 된다. 반대로, 외측 쐐기형 마찰부재(73) 및 내측 쐐기형 마찰부재(75)가 도7의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윤활오일이 오일홈(89)을 따라 이동하여 외주면(81, 85)의 중심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외측 쐐기형 마찰부재(73)와 내측 쐐기형 마찰부재(75)의 이동에 따라 윤활오일이 환형 체임버(25) 내를 골고루 퍼지게 된다.
또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일홈(91)은 환형 체임버(25)의 원주방향에 대해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제1홈(93)과 환형 체임버(25)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홈(9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홈(93)은 "V"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V"자형의 제1홈(93)과 환형 체임버(25)의 원주방향을 따라 제2홈(95)이 형 성됨으로써, 윤활오일이 보다 효과적으로 환형 체임버(25) 내에 퍼질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마찰장치(43)가 2개의 마찰부재를 포함하는 경우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마찰장치가 원심력에 의해 마찰력을 발생하는 하나의 마찰부재로 이루어져도 무방함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마찰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마찰장치 이외의 부분은 상기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마찰장치 이외의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 도9 및 도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이하, "제2실시예"라고 함)에 의한 마찰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장치(201)는 외측 쐐기형 마찰부재(203)와 내측 쐐기형 마찰부재(205)를 포함한다.
상기 제1실시예에서와 유사하게, 외측 쐐기형 마찰부재(203)와 내측 쐐기형 마찰부재(205)에는 각각 경사면이 구비되고, 외측 쐐기형 마찰부재(203)와 내측 쐐기형 마찰부재(205)는 그 경사면이 서로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외측 쐐기형 마찰부재(203)와 내측 쐐기형 마찰부재(205)는 이웃하는 코일 스프링(37, 39)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도10은 도9의 B-B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쐐기형 마찰부재(203)에는 코일 스프링을 수용하는 코일 스프링 수용홀(207)이 형성된다.
코일 스프링 수용홀(207)의 내면(209) 중 적어도 일부에는 내마모층(211)이 구비된다.
내마모층(211)은 외측 쐐기형 마찰부재(203)의 재질 보다 마모에 더 강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내마모층(211)은 금속, 플라스틱 등 내마모성이 큰 임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내마모층(211)이 코일 스프링 수용홀(207)의 내면(209)의 좌우 및 상하에 각각 구비나, 내마모층의 위치 및 개수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하면 코일 스프링 수용홀(207)의 내면(209)에 내마모층(211)이 구비됨으로써, 코일 스프링(39)과의 마찰에 의해 외측 쐐기형 마찰부재(203)가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내측 쐐기형 마찰부재(205)에도 코일 스프링 수용홀이 형성되고 이 코일 스프링 수용홀의 내면에 내마모층이 구비됨으로써, 내측 쐐기형 마찰부재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도11 및 도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이하, "제3실시예"라고 함)에 의한 마찰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장치(301)는 외측 쐐기형 마찰부재(303)와 내측 쐐기형 마찰부재(305)를 포함한다.
외측 쐐기형 마찰부재(303)와 내측 쐐기형 마찰부재(305)에는 각각 경사면이 구비되고, 외측 쐐기형 마찰부재(303)와 내측 쐐기형 마찰부재(305)는 그 경사면이 서로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외측 쐐기형 마찰부재(303)와 내측 쐐기형 마찰부재(305)는 이웃하는 코일 스프링(37, 39)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도11 및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쐐기형 마찰부재(303)와 내측 쐐기형 마찰부재(305)에는 코일 스프링 수용홀(307, 309)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코일 스프링 수용홀(307, 309)을 형성하는 측벽 중 적어도 일부는 제거된다. 코일 스프링 수용홀(307, 309)을 형성하는 측벽에는 설정된 형상의 창(window)(311, 313)이 형성됨으로써, 코일 스프링 수용홀(307, 309)을 형성하는 측벽 중 적어도 일부는 제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코일 스프링 수용홀(307, 309)을 형성하는 좌우의 측벽의 일부가 제거되나, 상하의 측벽의 일부가 제거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하면 마찰부재의 코일 스프링 수용홀을 형성하는 측벽 중 적어도 일부가 제거됨으로써, 제거된 부분과 코일 스프링 사이의 마찰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마찰부재가 코일 스프링과의 마찰에 의해 손상되는 것이 최소화된다.
이하에서, 도13 내지 도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이하, "제4실시예"라고 함)에 의한 마찰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장치(401)는 외측 쐐기형 마찰부재(403)와 내측 쐐기형 마찰부재(405)를 포함한다.
외측 쐐기형 마찰부재(403)와 내측 쐐기형 마찰부재(405)에는 각각 경사면이 구비되고, 외측 쐐기형 마찰부재(403)와 내측 쐐기형 마찰부재(405)는 그 경사면이 서로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외측 쐐기형 마찰부재(403)와 내측 쐐기형 마찰부재(405)는 이웃하는 코일 스프링(37, 39)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도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마찰장치가 적용된 비틀림 진동 댐퍼의 일부 단면도이며, 도15는 내측 쐐기형 마찰부재(405)의 내주면(407)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14 및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쐐기형 마찰부재(405)의 내주면(407)에는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된다.
내측 쐐기형 마찰부재(405)의 내주면(407)에는 환형 체임버(25)의 내벽(118)의 말단부(409, 411)와 마주하는 위치에서 제1홈(413, 415)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제1홈(413, 415)은 환형 체임버(25)의 내벽(118)의 말단부(409, 411)와 마주하도록 환형 체임버(25)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측 쐐기형 마찰부재(405)의 내주면(407)에 제1홈(413, 415)이 형성됨으로써, 내측 쐐기형 마찰부재(405)의 내주면(407)이 환형 체임버(25)의 내벽(118)의 말단부(409, 411)와 접촉하는 것이 방지되어 환형 체임버(25)의 내벽(118)과의 마찰에 의한 내측 쐐기형 마찰부재(405)의 손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내측 쐐기형 마찰부재(405)의 내주면(407)에는 환형 체임버(25)의 내벽(118)과 마주하는 위치에서 제2홈(417, 419)이 각각 형성된다. 제2홈(417, 419)도 환형 체임버(25)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측 쐐기형 마찰부재(405)의 내주면(407)에 제2홈(417, 419)이 형성됨으로써, 내측 쐐기형 마찰부재(405)와 환형 체임버(25)의 내벽(118) 사이에 윤활오일이 골고루 퍼질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 도16 및 도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이하, "제5실시예"라고 함)에 의한 마찰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마찰장치(501)는 외측 쐐기형 마찰부재(503)와 내측 쐐기형 마찰부재(505)를 포함한다.
외측 쐐기형 마찰부재(503)와 내측 쐐기형 마찰부재(505)에는 각각 경사면(504, 506)이 구비되고, 외측 쐐기형 마찰부재(503)와 내측 쐐기형 마찰부재(505)는 그 경사면이 서로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외측 쐐기형 마찰부재(503)와 내측 쐐기형 마찰부재(505)는 이웃하는 코일 스프링(37, 39)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및 내측 쐐기형 마찰부재(503, 505)의 일측에는 각각 코일 스프링 수용홀(507, 509)이 형성된다.
외측 쐐기형 마찰부재(503)에는 환형 체임버(25)의 내면 중 외벽(117)과 마찰을 일으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마찰면(511)이 구비된다.
내측 쐐기형 마찰부재(505)에는 환형 체임버(25)의 내면 중 내벽(118)과 마찰을 일으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마찰면(513)이 구비된다.
제1마찰면(511)은 외측 쐐기형 마찰부재(503)의 외주면에 해당하고, 제2마찰면(513)은 내측 쐐기형 마찰부재(505)의 내주면에 해당한다.
외측 쐐기형 마찰부재(503)에는 코일 스프링 수용홀(507)의 내면(515)으로부터 제1마찰면(511)까지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일통로(517)가 형성되고, 내측 쐐기형 마찰부재(505)에는 코일 스프링 수용홀(509)의 내면(519)으로부터 제2마찰면(513)까지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일통로(521)가 형성된다.
또한, 외측 쐐기형 마찰부재(503)에는 코일 스프링 수용홀(507)의 내면(515)으로부터 그 경사면(504)까지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일통로(523)가 형성되고, 내측 쐐기형 마찰부재(505)에는 코일 스프링 수용홀(509)의 내면(519)으로부터 그 경사면(506)까지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일통로(525)가 형성된다.
코일 스프링 수용홀의 내면과 마찰면 및 경사면을 연결하는 오일통로가 형성됨으로써, 윤활오일이 오일통로를 통하여 마찰면에 원활히 공급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효과적인 윤활이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또는 수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마찰부재의 외주면에 오일홈이 형성되므로 효과적인 윤활작용이 이루어진다.
마찰부재의 코일 스프링 수용홀의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내마모층이 구비됨으로써, 코일 스프링과의 마찰에 의한 마찰부재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마찰부재의 코일 스프링 수용홀을 형성하는 측벽 중 적어도 일부가 제거됨으로써, 코일 스프링과의 마찰에 의한 마찰부재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마찰부재의 내주면에 오일홈이 형성됨으로써, 마찰부재와 환형 체임버의 내벽 사이에서 효과적인 윤활이 이루어진다.
또한, 마찰부재의 코일 스프링 수용홀의 내면과 마찰부재의 마찰면 또는 경사면을 연결하는 오일통로가 형성됨으로써, 마찰면 및 경사면에서 효과적인 윤활이 이루어진다.

Claims (21)

  1. 엔진 크랭크축의 회전축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엔진 크랭크축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2이상의 부분으로 분할되는 환형 체임버를 형성하는 제1질량체;
    상기 제1질량체에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클러치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2질량체; 및
    상기 환형 체임버의 분할된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제1질량체와 상기 제2질량체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댐핑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댐핑유닛은,
    상기 환형 체임버의 분할된 부분에 직렬로 차례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코일 스프링;
    상기 환형 체임버의 분할된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제1질량체와 상기 제2질량체의 상대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개의 코일 스프링을 압축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개의 코일 스프링 중 양끝단의 코일 스프링의 외측단을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엔드 가이드; 및
    상기 코일 스프링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환형 체임버의 외벽과 마찰을 일으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외주면이 구비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마찰부재의 외주면에는 오일홈이 형성되고, 상기 오일홈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환형 체임버의 원주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비틀림 진동 댐퍼.
  2. 제1항에서,
    상기 오일홈은 상기 환형 체임버의 원주방향과 예각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비틀림 진동 댐퍼.
  3. 제1항에서,
    상기 오일홈은 상기 환형 체임버의 원주방향에 대해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비틀림 진동 댐퍼.
  4. 제3항에서,
    상기 오일홈은 "V"자 형상을 가지는 비틀림 진동 댐퍼.
  5. 제1항에서,
    상기 오일홈은, 상기 환형 체임버의 원주방향에 대해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제1홈과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홈을 포함하는 비틀림 진동 댐퍼.
  6. 제5항에서,
    상기 제1홈은 "V"자 형상을 가지는 비틀림 진동 댐퍼.
  7. 복수개의 부분으로 분할되는 환형 체임버를 형성하는 제1질량체;
    상기 제1질량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질량체; 및
    상기 제1질량체의 환형 체임버의 분할된 부분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제1질량체와 상기 제2질량체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댐핑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댐핑유닛 각각은,
    상기 환형 체임버의 분할된 부분에 직렬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코일 스프링; 및
    상기 이웃하는 코일 스프링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환형 체임버의 외벽과 마찰을 일으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외주면이 구비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마찰부재의 외주면에는 오일홈이 형성되고, 상기 오일홈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환형 체임버의 원주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비틀림 진동 댐퍼.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엔진 크랭크축의 회전축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엔진 크랭크축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2이상의 부분으로 분할되는 환형 체임버를 형성하는 제1질량체;
    상기 제1질량체에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클러치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2질량체; 및
    상기 환형 체임버의 분할된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제1질량체와 상기 제2질량체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댐핑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댐핑유닛은,
    상기 환형 체임버의 분할된 부분에 직렬로 차례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코일 스프링;
    상기 환형 체임버의 분할된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제1질량체와 상기 제2질량체의 상대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개의 코일 스프링을 압축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개의 코일 스프링 중 양끝단의 코일 스프링의 외측단을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엔드 가이드; 및
    상기 이웃하는 코일 스프링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환형 체임버의 내면과 마찰을 일으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마찰부재에는 상기 코일 스프링을 수용하는 코일 스프링 수용홀이 구비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과의 마찰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코일 스프링 수용홀을 형성하는 측벽 중 적어도 일부는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틀림 진동 댐퍼.
  12. 복수개의 부분으로 분할되는 환형 체임버를 형성하는 제1질량체;
    상기 제1질량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질량체; 및
    상기 제1질량체의 환형 체임버의 분할된 부분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제1질량체와 상기 제2질량체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댐핑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댐핑유닛 각각은,
    상기 환형 체임버의 분할된 부분에 직렬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코일 스프링; 및
    상기 이웃하는 코일 스프링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환형 체임버의 내면과 마찰을 일으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마찰부재에는 상기 코일 스프링을 수용하는 코일 스프링 수용홀이 구비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과의 마찰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코일 스프링 수용홀을 형성하는 측벽 중 적어도 일부는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틀림 진동 댐퍼.
  13. 엔진 크랭크축의 회전축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엔진 크랭크축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2이상의 부분으로 분할되는 환형 체임버를 형성하는 제1질량체;
    상기 제1질량체에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클러치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2질량체; 및
    상기 환형 체임버의 분할된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제1질량체와 상기 제2질량체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댐핑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댐핑유닛은,
    상기 환형 체임버의 분할된 부분에 직렬로 차례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코일 스프링;
    상기 환형 체임버의 분할된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제1질량체와 상기 제2질량체의 상대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개의 코일 스프링을 압축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개의 코일 스프링 중 양끝단의 코일 스프링의 외측단을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엔드 가이드; 및
    상기 이웃하는 코일 스프링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환형 체임버의 내벽과 마찰을 일으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내주면이 구비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마찰부재의 내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틀림 진동 댐퍼.
  14. 제13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은, 상기 환형 체임버의 내벽의 말단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상기 환형 체임버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틀림 진동 댐퍼.
  15. 제14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은, 상기 환형 체임버의 내벽과 마주하는 위치에서 상기 환형 체임버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틀림 진동 댐퍼.
  16. 복수개의 부분으로 분할되는 환형 체임버를 형성하는 제1질량체;
    상기 제1질량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질량체; 및
    상기 제1질량체의 환형 체임버의 분할된 부분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제1질량체와 상기 제2질량체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댐핑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댐핑유닛 각각은,
    상기 환형 체임버의 분할된 부분에 직렬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코일 스프링; 및
    상기 이웃하는 코일 스프링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환형 체임버의 내벽과 마찰을 일으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내주면이 구비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마찰부재의 내주면에는,
    상기 환형 체임버의 내벽의 말단부와 마주하는 위치 및 상기 환형 체임버의 내벽과 마주하는 위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위치에서 상기 환형 체임버의 원주방향을 따라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틀림 진동 댐퍼.
  17. 엔진 크랭크축의 회전축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엔진 크랭크축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2이상의 부분으로 분할되는 환형 체임버를 형성하는 제1질량체;
    상기 제1질량체에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클러치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2질량체; 및
    상기 환형 체임버의 분할된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제1질량체와 상기 제2질량체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댐핑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댐핑유닛은,
    상기 환형 체임버의 분할된 부분에 직렬로 차례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코일 스프링;
    상기 환형 체임버의 분할된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제1질량체와 상기 제2질량체의 상대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개의 코일 스프링을 압축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개의 코일 스프링 중 양끝단의 코일 스프링의 외측단을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엔드 가이드; 및
    상기 코일 스프링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코일 스프링을 수용하는 코일 스프링 수용홀이 형성되고, 상기 환형 체임버의 내면과 마찰을 일으킬 수 있도록 형성 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찰면이 구비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마찰부재에는 상기 코일 스프링 수용홀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마찰면까지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일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틀림 진동 댐퍼.
  18. 제17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마찰면은, 상기 환형 체임버의 외벽과 마찰을 일으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외주면과 상기 환형 체임버의 내벽과 마찰을 일으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내주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일통로는, 상기 코일 스프링 수용홀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외주면까지 연장되는 제1오일통로와 상기 코일 스프링 수용홀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내주면까지 연장되는 제2오일통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틀림 진동 댐퍼.
  19. 복수개의 부분으로 분할되는 환형 체임버를 형성하는 제1질량체;
    상기 제1질량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질량체; 및
    상기 제1질량체의 환형 체임버의 분할된 부분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제1질량체와 상기 제2질량체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댐핑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댐핑유닛 각각은,
    상기 환형 체임버의 분할된 부분에 직렬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코일 스프링; 및
    상기 코일 스프링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코일 스프링을 수용하는 코일 스프링 수용홀이 형성되고, 상기 환형 체임버의 내면과 마찰을 일으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찰면이 구비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마찰부재에는 상기 코일 스프링 수용홀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마찰면까지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일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틀림 진동 댐퍼.
  20. 엔진 크랭크축의 회전축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엔진 크랭크축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2이상의 부분으로 분할되는 환형 체임버를 형성하는 제1질량체;
    상기 제1질량체에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클러치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2질량체; 및
    상기 환형 체임버의 분할된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제1질량체와 상기 제2질량체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댐핑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댐핑유닛 각각은,
    상기 환형 체임버의 분할된 부분에 직렬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코일 스프링; 및
    상기 이웃하는 코일 스프링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환형 체임버의 내면과 마찰을 일으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마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마찰장치는,
    그 일단에는 상기 이웃하는 코일 스프링 중 어느 하나를 수용하는 제1 코일 스프링 수용홀이 형성되고 다른 일단에는 제1경사면이 구비되는 외측 쐐기형 마찰부재; 및
    그 일단에는 상기 이웃하는 코일 스프링 중 다른 하나를 수용하는 제2 코일 스프링 수용홀이 형성되고 다른 일단에는 상기 제1경사면과 면접촉하는 제2경사면이 구비되는 내측 쐐기형 마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외측 쐐기형 마찰부재에는 상기 제1 코일 스프링 수용홀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제1경사면까지 연장되는 제1오일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 쐐기형 마찰부재에는 상기 제2 코일 스프링 수용홀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제2경사면까지 연장되는 제2오일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틀림 진동 댐퍼.
  21. 복수개의 부분으로 분할되는 환형 체임버를 형성하는 제1질량체;
    상기 제1질량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질량체; 및
    상기 제1질량체의 환형 체임버의 분할된 부분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제1질량체와 상기 제2질량체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댐핑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댐핑유닛 각각은,
    상기 환형 체임버의 분할된 부분에 직렬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코일 스프링; 및
    상기 이웃하는 코일 스프링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환형 체임버의 내면과 마찰을 일으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마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마찰장치는,
    그 일단에는 상기 이웃하는 코일 스프링 중 어느 하나를 수용하는 제1 코일 스프링 수용홀이 형성되고 다른 일단에는 제1경사면이 구비되는 외측 쐐기형 마찰부재; 및
    그 일단에는 상기 이웃하는 코일 스프링 중 다른 하나를 수용하는 제2 코일 스프링 수용홀이 형성되고 다른 일단에는 상기 제1경사면과 면접촉하는 제2경사면이 구비되는 내측 쐐기형 마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외측 쐐기형 마찰부재에는 상기 제1 코일 스프링 수용홀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제1경사면까지 연장되는 제1오일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 쐐기형 마찰부재에는 상기 제2 코일 스프링 수용홀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제2경사면까지 연장되는 제2오일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틀림 진동 댐퍼.
KR1020040063308A 2004-08-11 2004-08-11 비틀림 진동 댐퍼 KR100610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3308A KR100610853B1 (ko) 2004-08-11 2004-08-11 비틀림 진동 댐퍼
JP2005122978A JP4904484B2 (ja) 2004-08-11 2005-04-20 ねじれ振動ダンパー
DE602005013031T DE602005013031D1 (de) 2004-08-11 2005-05-25 Torsionsschwingungsdämpfer
EP05011365A EP1626198B1 (en) 2004-08-11 2005-05-25 Torsional vibration damper
EP08160339A EP1975459B1 (en) 2004-08-11 2005-05-25 Torsional vibration damper
DE602005024463T DE602005024463D1 (de) 2004-08-11 2005-05-25 Drehschwingungsdämpfer
ES08160339T ES2353568T3 (es) 2004-08-11 2005-05-25 Amortiguador de vibraciones de torsión.
US11/200,780 US7364511B2 (en) 2004-08-11 2005-08-09 Torsional vibration damp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3308A KR100610853B1 (ko) 2004-08-11 2004-08-11 비틀림 진동 댐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4675A KR20060014675A (ko) 2006-02-16
KR100610853B1 true KR100610853B1 (ko) 2006-08-09

Family

ID=35005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3308A KR100610853B1 (ko) 2004-08-11 2004-08-11 비틀림 진동 댐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364511B2 (ko)
EP (2) EP1626198B1 (ko)
JP (1) JP4904484B2 (ko)
KR (1) KR100610853B1 (ko)
DE (2) DE602005013031D1 (ko)
ES (1) ES2353568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111B1 (ko) 2008-09-19 2011-01-25 주식회사평화발레오 댐퍼플라이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32915A1 (en) * 2008-09-19 2010-03-25 Pyong Hwa Valeo Co., Ltd. Damper flywheel
KR101510328B1 (ko) * 2009-10-06 2015-04-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듀얼 매스 플라이휠
DE112010004907A5 (de) * 2009-12-21 2012-10-31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Dämpfungseinrichtung
KR101155608B1 (ko) 2010-10-15 2012-06-13 한국파워트레인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용 토션 댐퍼
EP2636922B1 (en) * 2010-11-02 2016-04-27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Torque variation absorption device
DE112012001511A5 (de) * 2011-03-31 2014-01-23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Fliehkraftpendeleinrichtung
KR101386865B1 (ko) * 2012-11-26 2014-04-17 평화크랏치공업 주식회사 듀얼 매스 플라이휠
KR101400592B1 (ko) * 2012-12-27 2014-05-27 평화크랏치공업 주식회사 듀얼 매스 플라이휠
CN103423374B (zh) * 2013-08-05 2015-11-04 刘行 一种定向做功提速飞轮
US11236800B2 (en) * 2018-03-19 2022-02-01 Exedy Corporation Damper device
CN110439968B (zh) * 2018-05-04 2023-04-07 南京法雷奥离合器有限公司 扭转减振阻尼系统
CN116673509A (zh) * 2023-05-05 2023-09-01 哈尔滨理工大学 一种内置磁流变弹性体减振镗杆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0679A (ja) * 1995-03-28 1996-10-15 Exedy Corp プレート部材およびダンパーディスク組立体
KR20040037781A (ko) * 2002-10-30 2004-05-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진동 감쇠 댐퍼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2837A (ja) * 1984-01-23 1985-08-12 Matsushita Seiko Co Ltd 分離形個別空気調和装置
JPS6260722A (ja) * 1985-09-10 1987-03-17 Tokyo Shokai:Kk 薬剤容器の供給装置
FR2652399B1 (fr) * 1989-09-26 1994-06-24 Valeo Dispositif amortisseur de torsion a patins de frottement,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EP0478106A3 (en) * 1990-09-19 1992-11-19 Borg-Warner Automotive Transmission And Engine Components Corporation Long travel damper
DE4128868A1 (de) * 1991-08-30 1993-03-04 Fichtel & Sachs Ag Zweimassenschwungrad mit gleitschuh
US6408999B2 (en) * 1993-07-09 2002-06-25 Luk Getriebe-Systeme Gmbh Hydrokinetic torque converter and lockup clutch therefor
JPH08254246A (ja) * 1995-03-17 1996-10-01 Exedy Corp コイルスプリング及びダンパー装置
JP3438034B2 (ja) * 1996-02-19 2003-08-18 光洋シーリングテクノ株式会社 フリクションダンパ
JP3717091B2 (ja) * 1997-02-28 2005-11-16 株式会社エクセディ 摩擦抵抗発生機構
DE19730000A1 (de) * 1997-07-12 1999-01-14 Mannesmann Sachs Ag Torsionsschwingungsdämpfer mit einer Dämpfungseinrichtung
JP2000320614A (ja) * 1999-05-13 2000-11-24 Nissan Motor Co Ltd 動力伝達装置
DE19958813A1 (de) * 1999-06-22 2000-12-28 Mannesmann Sachs Ag Abstützelement und ein dieses enthaltender Torsionsschwingungsdämpfer
JP4016398B2 (ja) * 2003-03-20 2007-12-05 現代自動車株式会社 ねじれ振動ダンパ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0679A (ja) * 1995-03-28 1996-10-15 Exedy Corp プレート部材およびダンパーディスク組立体
KR20040037781A (ko) * 2002-10-30 2004-05-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진동 감쇠 댐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8270679 *
1020040037781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111B1 (ko) 2008-09-19 2011-01-25 주식회사평화발레오 댐퍼플라이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904484B2 (ja) 2012-03-28
US20060053961A1 (en) 2006-03-16
DE602005024463D1 (de) 2010-12-09
US7364511B2 (en) 2008-04-29
JP2006052834A (ja) 2006-02-23
EP1626198B1 (en) 2009-03-04
EP1626198A2 (en) 2006-02-15
KR20060014675A (ko) 2006-02-16
EP1975459B1 (en) 2010-10-27
EP1626198A3 (en) 2006-03-22
ES2353568T3 (es) 2011-03-03
EP1975459A1 (en) 2008-10-01
DE602005013031D1 (de) 2009-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04484B2 (ja) ねじれ振動ダンパー
JP4016398B2 (ja) ねじれ振動ダンパー
KR100598845B1 (ko) 비틀림 진동 댐퍼
JP4632200B2 (ja) ねじれ振動ダンパー
KR100598843B1 (ko) 비틀림 진동 댐퍼
KR19990029578A (ko) 피스톤 기관의 크랭크샤프트를 위한 진동 댐퍼
EP0898665B1 (en) A device for isolating torque fluctuations
KR100527443B1 (ko) 비틀림 진동 댐퍼
KR101011111B1 (ko) 댐퍼플라이휠
RU2561155C2 (ru) Демпфер крутильных колебаний
KR100638830B1 (ko) 오일링이 내장된 듀얼 매스 플라이휠
KR100452260B1 (ko) 진동감쇠장치
KR100569144B1 (ko) 차량의 비틀림 진동 댐퍼
JP4681719B2 (ja) ベルト式無段変速機
KR100638831B1 (ko) 오일링이 내장된 듀얼 매스 플라이휠
KR19980063325A (ko) 무단변속기
JPH11247938A (ja) ダンパ付きフライホイール
KR100638832B1 (ko) 오일링이 내장된 듀얼 매스 플라이휠
JPS64514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