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8843B1 - 비틀림 진동 댐퍼 - Google Patents

비틀림 진동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8843B1
KR100598843B1 KR1020030089550A KR20030089550A KR100598843B1 KR 100598843 B1 KR100598843 B1 KR 100598843B1 KR 1020030089550 A KR1020030089550 A KR 1020030089550A KR 20030089550 A KR20030089550 A KR 20030089550A KR 100598843 B1 KR100598843 B1 KR 100598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guide
disposed
annular chamber
coil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9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6520A (ko
Inventor
정재훈
지태한
송영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9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8843B1/ko
Priority to JP2004153658A priority patent/JP2005172216A/ja
Priority to DE102004027149A priority patent/DE102004027149B4/de
Priority to CNB2004100479281A priority patent/CN100371625C/zh
Priority to US10/882,117 priority patent/US7484434B2/en
Publication of KR20050056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6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8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8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16F15/131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the rotating system comprising two or more gyratory masses
    • F16F15/133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the rotating system comprising two or more gyratory masses using springs as elastic members, e.g. metallic springs
    • F16F15/134Wound springs
    • F16F15/1343Wound springs characterised by the spring mounting
    • F16F15/13438End-caps for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16F15/131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the rotating system comprising two or more gyratory masses
    • F16F15/133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the rotating system comprising two or more gyratory masses using springs as elastic members, e.g. metallic springs
    • F16F15/134Wound springs
    • F16F15/1343Wound springs characterised by the spring mounting
    • F16F15/13453Additional guiding means for sp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1Elements
    • Y10T74/2121Flywheel, motion smoothing-type
    • Y10T74/2128Damping using swinging masses, e.g., pendulum type,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1Elements
    • Y10T74/2121Flywheel, motion smoothing-type
    • Y10T74/2131Damping by absorbing vibration force [via rubber, elastomeric material,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비틀림 진동 댐퍼는, 엔진 크랭크축의 회전축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엔진 크랭크축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2 이상의 부분으로 분할되는 환형 체임버를 형성하는 제1질량체; 상기 제1질량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클러치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2질량체; 및 상기 제1질량체와 상기 제2질량체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댐핑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댐핑유닛은, 상기 환형 체임버의 상기 분할된 부분에 직렬로 차례로 배치되는 복수의 코일 스프링; 상기 환형 체임버의 상기 분할된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코일 스프링 중 양끝단의 코일 스프링의 외측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엔드 가이드; 및 상기 이웃하는 코일 스프링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질량체와 상기 제2질량체의 상대 회전량에 비례하는 마찰력이 발생하도록 상기 코일 스프링의 압축에 대응하여 상기 제1질량체와 마찰되도록 구성되는 마찰부재를 포함한다.
비틀림 진동 댐퍼, 마찰, 상대 회전, 가이드, 쐐기, 코일 스프링, 접시 스프링

Description

비틀림 진동 댐퍼{A TORSIONAL VIBRATION DAMPER}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비틀림 진동 댐퍼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2는 도1의 비틀림 진동 댐퍼의 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3 및 도4는 도1의 비틀림 진동 댐퍼의 드라이브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5 및 도6은 도1의 비틀림 진동 댐퍼의 마찰부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7 및 도8은 도1의 비틀림 진동 댐퍼의 엔드 가이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9 및 도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비틀림 진동 댐퍼의 마찰부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11 및 도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비틀림 진동 댐퍼의 마찰부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13 및 도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비틀림 진동 댐퍼의 마찰부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비틀림 진동 댐퍼(torsional vibration damper)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엔진 출력축과 변속기 입력축 사이의 동력전달과정에서 발생하는 비틀림 진동을 저감하기 위하여 비틀림 진동 댐퍼(또는, 이중 질량 플라이휠)가 사용된다.
비틀림 진동 댐퍼는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1차 질량체와, 2차 질량체, 및 그 사이에 배치되는 댐핑유닛(damping unit)을 포함한다.
1차 질량체는 엔진의 출력축에 연결되고, 2차 질량체는 클러치 디스크를 통해서 변속기의 입력축에 연결된다.
1차 질량체와 2차 질량체는 서로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댐핑유닛을 통해서 연결된다. 일반적으로는 엔진이 차량의 바퀴를 구동하나 관성 주행 상태에서는 엔진이 차량의 관성력에 의해서 구동되므로, 1차 질량체와 2차 질량체는 양방향으로 상대 회전이 가능하여야 한다.
엔진이 비교적 높은 레벨의 토크를 발생하고 특정 변속단에서 차량이 구동되는 경우, 비틀림 진동 댐퍼의 1차 질량체와 2차 질량체는 상대 회전의 한계에 접근한다. 그리고, 엔진의 토크가 불규칙하면, 1차 질량체와 2차 질량체의 상대 회전을 제한하는 구조체에 1차 질량체나 2차 질량체가 부딪히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비틀림 진동 댐퍼는 비교적 큰 댐핑 효과를 가지도록 설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종래의 비틀림 진동 댐퍼는, 1차 질량체와 2차 질량체 사이의 상대 회전의 정도나 그 회전속도에 따라 작동 토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1차 질량체와 2차 질량체의 상대 회전각에 따라 그 댐핑 특성이 가변되는 비틀림 진동 댐퍼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비틀림 진동 댐퍼는,
엔진 크랭크축의 회전축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엔진 크랭크축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2 이상의 부분으로 분할되는 환형 체임버를 형성하는 제1질량체;
상기 제1질량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클러치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2질량체; 및
상기 제1질량체와 상기 제2질량체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댐핑유닛;
상기 제2질량체에 결합되며, 상기 제1질량체와 상기 제2질량체 사이의 상대 회전이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댐핑유닛을 압축하도록 구성되는 드라이브 플레이트;
를 포함하고,
상기 댐핑유닛은,
상기 환형 체임버의 상기 분할된 부분에 직렬로 차례로 배치되는 복수의 코일 스프링;
상기 환형 체임버의 상기 분할된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코일 스프링 중 양끝단의 코일 스프링의 외측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엔드 가이드; 및
상기 이웃하는 코일 스프링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질량체와 상기 제2질 량체의 상대 회전량에 비례하는 마찰력이 발생하도록 상기 코일 스프링의 압축에 대응하여 상기 제1질량체와 마찰되도록 구성되는 마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마찰부재는,
그 양측으로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질량체의 중심부를 향해 돌출되는 제1돌출부가 구비되는 외측 가이드;
상기 외측 가이드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그 양측으로 제3경사면과 제4경사면이 형성되도록 상기 외측 가이드를 향해 돌출되는 제2돌출부가 구비되는 내측 가이드;
상기 외측 가이드와 상기 내측 가이드의 사이에 배치되며, 그 일단은 상기 코일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그 다른 일단에는 상기 제1경사면 및 제3경사면과 각각 접촉하는 제1경사부가 구비되는 제1작동기; 및
상기 제1작동기와 마주보도록 상기 외측 가이드와 상기 내측 가이드의 사이에 배치되며, 그 일단은 상기 코일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그 다른 일단에는 상기 제2경사면 및 상기 제4경사면과 각각 접촉하는 제2경사부가 구비되는 제2작동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돌출부는 상기 제1질량체의 중심에 가까워질수록 그 폭이 점차로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돌출부는 상기 제1질량체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폭이 점차로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돌출부의 폭이 좁아지는 비율과 상기 제2돌출부의 폭이 좁아지는 비 율은 서로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돌출부의 폭이 좁아지는 비율이 상기 제2돌출부의 폭이 좁아지는 비율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제1작동기와 상기 제2작동기가 서로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상기 제1작동기와 상기 제2작동기 사이에 개재되는 조절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라이브 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댐핑유닛이 압축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상기 제1작동기를 지지하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외측 끝단부는 상기 제1작동기에 접촉하고 그 내측 끝단부는 상기 제1작동기에 접촉하지 아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라이브 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댐핑유닛이 압축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상기 제2작동기를 지지하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외측 끝단부는 상기 제2작동기에 접촉하고 그 내측 끝단부는 상기 제2작동기에 접촉하지 아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라이브 플레이트의 외주면에는 상기 댐핑유닛을 압축하기 위한 2 이상의 압축핀이 형성되며, 상기 2 이상의 압축핀은 그 폭이 서로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라이브 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댐핑유닛이 압축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상기 엔드 가이드를 지지하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외측 끝단부는 상기 엔드 가이드에 접촉하고 그 내측 끝단부는 상기 엔드 가이드에 접촉하지 아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작동기와 상기 제2작동기를 지지하는 상기 코일 스프링이 압축되는 경우, 상기 외측 가이드는 상기 환형 체임버의 외벽에 밀착되고 상기 내측 가이드는 상기 환형 체임버의 내벽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찰부재는,
그 일측은 상기 코일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고 그 다른 일측에는 제1경사면이 형성되는 제1 외측 가이드;
상기 제1 외측 가이드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그 일측은 상기 코일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고 그 다른 일측에는 제2경사면이 형성되는 제2 외측 가이드; 및
상기 제1 외측 가이드 및 상기 제2 외측 가이드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경사면과 접촉하는 제3경사면 및 상기 제2경사면과 접촉하는 제4경사면이 형성되는 돌출부가 구비되는 내측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질량체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폭이 점차로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제1 외측 가이드와 상기 제2 외측 가이드가 서로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상기 제1 외측 가이드와 상기 제2 외측 가이드 사이에 개재되는 조절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라이브 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댐핑유닛이 압축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외측 가이드를 지지하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외측 끝단부는 상기 제1 외측 가이드에 접촉하고 그 내측 끝단부는 상기 제1 외측 가이드에 접촉하지 아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라이브 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댐핑유닛이 압축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상기 제2 외측 가이드를 지지하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외측 끝단부는 상기 제2 외측 가이드에 접촉하고 그 내측 끝단부는 상기 제2 외측 가이드에 접촉하지 아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라이브 플레이트의 외주면에는 상기 댐핑유닛을 압축하기 위한 2 이상의 압축핀이 형성되며, 상기 2 이상의 압축핀은 그 폭이 서로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라이브 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댐핑유닛이 압축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상기 엔드 가이드를 지지하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외측 끝단부는 상기 엔드 가이드에 접촉하고 그 내측 끝단부는 상기 엔드 가이드에 접촉하지 아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외측 가이드와 상기 제2 외측 가이드를 지지하는 상기 코일 스프링이 압축되는 경우, 상기 제1 외측 가이드와 상기 제2 외측 가이드는 상기 환형 체임버의 외벽에 밀착되고 상기 내측 가이드는 상기 환형 체임버의 내벽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찰부재는,
그 양측으로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질량체의 중심부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가 구비되는 외측 가이드;
그 일측은 상기 코일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고 그 다른 일측에는 상기 제1경사면과 접촉하는 제3경사면이 형성되는 제1 내측 가이드; 및
그 일측은 상기 코일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고 그 다른 일측에는 상기 제2경 사면과 접촉하는 제4경사면이 형성되는 제2 내측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질량체의 중심에 가까워질수록 그 폭이 점차로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제1 내측 가이드와 상기 제2 내측 가이드가 서로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상기 제1 내측 가이드와 상기 제2 내측 가이드 사이에 개재되는 조절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라이브 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댐핑유닛이 압축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내측 가이드를 지지하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외측 끝단부는 상기 제1 내측 가이드에 접촉하고 그 내측 끝단부는 상기 제1 내측 가이드에 접촉하지 아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라이브 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댐핑유닛이 압축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상기 제2 내측 가이드를 지지하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외측 끝단부는 상기 제2 내측 가이드에 접촉하고 그 내측 끝단부는 상기 제2 내측 가이드에 접촉하지 아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라이브 플레이트의 외주면에는 상기 댐핑유닛을 압축하기 위한 2 이상의 압축핀이 형성되며, 상기 2 이상의 압축핀은 그 폭이 서로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라이브 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댐핑유닛이 압축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상기 엔드 가이드를 지지하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외측 끝단부는 상기 엔드 가이드 에 접촉하고 그 내측 끝단부는 상기 엔드 가이드에 접촉하지 아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내측 가이드와 상기 제2 내측 가이드를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이 압축되는 경우, 상기 외측 가이드는 상기 환형 체임버의 외벽에 밀착되고 상기 제1 내측 가이드와 상기 제2 내측 가이드는 상기 환형 체임버의 내벽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찰부재는,
외측 가이드;
상기 외측 가이드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질량체의 중심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경사부가 구비되는 외측 쐐기;
상기 외측 가이드와 상기 외측 쐐기 사이에 개재되는 제1탄성유닛;
상기 외측 쐐기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외측 쐐기를 향해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경사부가 구비되는 내측 쐐기;
상기 내측 쐐기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내측 가이드;
상기 내측 쐐기와 상기 내측 가이드 사이에 개재되는 제2탄성유닛;
상기 외측 쐐기와 상기 내측 쐐기 사이에 배치되며, 그 일단은 상기 코일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그 다른 일단에는 상기 제1경사부 및 상기 제2경사부와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제3경사부가 구비되는 제1작동기; 및
상기 제1작동기와 마주보도록 상기 외측 쐐기와 상기 내측 쐐기 사이에 배치되며, 그 일단은 상기 코일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그 다른 일단에는 상기 제1경사부 및 상기 제2경사부와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제4경사부가 구비되는 제2작동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경사부는 상기 제1질량체의 중심에 가까워질수록 그 폭이 점차로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경사부는 상기 제1질량체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폭이 점차로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경사부의 폭이 좁아지는 비율과 상기 제2경사부의 폭이 좁아지는 비율은 서로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경사부의 폭이 좁아지는 비율이 상기 제2경사부의 폭이 좁아지는 비율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탄성유닛과 상기 제2탄성유닛은, 각각 접시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라이브 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댐핑유닛이 압축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상기 제1작동기를 지지하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외측 끝단부는 상기 제1작동기에 접촉하고 그 내측 끝단부는 상기 제1작동기에 접촉하지 아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라이브 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댐핑유닛이 압축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상기 제2작동기를 지지하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외측 끝단부는 상기 제2작동기에 접촉하고 그 내측 끝단부는 상기 제2작동기에 접촉하지 아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라이브 플레이트의 외주면에는 상기 댐핑유닛을 압축하기 위한 2 이상의 압축핀이 형성되며, 상기 2 이상의 압축핀은 그 폭이 서로 다른 것이 바람직 하다.
상기 드라이브 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댐핑유닛이 압축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상기 엔드 가이드를 지지하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외측 끝단부는 상기 엔드 가이드에 접촉하고 그 내측 끝단부는 상기 엔드 가이드에 접촉하지 아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작동기와 상기 제2작동기를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이 압축되는 경우, 상기 외측 가이드는 상기 환형 체임버의 외벽에 밀착되고 상기 내측 가이드는 상기 환형 체임버의 내벽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질량체와 상기 제2질량체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부쉬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환형 체임버의 일부 또는 전부에는 윤활오일이 채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질량체에 결합되며, 상기 제1질량체와 상기 제2질량체 사이의 상대 회전이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댐핑유닛을 압축하도록 구성되는 드라이브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1 내지 도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비틀림 진동 댐퍼(torsional vibration damper)(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비틀림 진동 댐퍼(100)는, 차량의 엔진(도시하지 않음)과 변속기(도시하지 않음) 사이에 개재되어 양자 사이의 동력전달과정에서 발생하는 비틀림 진동(torsional vibration)을 감쇠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비틀림 진동 댐퍼(100)는, 차량의 엔진과 변속기 사이뿐만 아니라, 임의의 동력 전달부에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차 질량체(primary mass)(101)는 엔진 크랭크축(1)의 회전축(X)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엔진 크랭크축(1)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2차 질량체(103)는 1차 질량체(101)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1차 질량체(101)에 체결되며, 클러치(3)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1차 질량체(101)의 중앙 부분에는 허브(105)가 리벳(107)에 의해 결합되고, 2차 질량체(103)는 한 쌍의 부쉬(109, 111)에 의해 허브(10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2차 질량체(103)는 1차 질량체(10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결국, 두 개의 부쉬(109, 111)에 의해 1차 질량체(101)와 2차 질량체(103)가 연결됨으로써, 각각의 부쉬(109, 111)에 걸리는 비틀림 스트레스가 저감되고 그 결과 부쉬(109, 111)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질량체(101)는 원형의 플레이트의 형상을 가진다.
1차 질량체(101)의 끝단에는 그 반경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수직 연장부(113)가 구비되고, 그 수직 연장부(113)에는 일정한 폭의 커버(cover)(115)가 결합된다. 따라서, 1차 질량체(101)의 외주를 따라 환형 체임버(ring-shaped chamber)(117)가 형성된다.
환형 체임버(117)는 1차 질량체(101)에 형성된 제1돌출부(119)와 커버(115)에 형성된 제2돌출부(121)에 의해 2 이상의 부분으로 분할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환형 체임버(117)가 2개의 부분으로 분리된 경우이나, 환형 체임버가 3 이상의 부분으로 분리되어도 무방하다.
환형 체임버(117)의 일부 또는 전부는 윤활오일로 채워진다.
이때, 제1돌출부(119)와 제2돌출부(121)는 환형 체임버(117)의 반경방향의 중앙부분에 형성됨으로써, 제1돌출부(119)와 제2돌출부(121)의 양측으로는 윤활유 통로(123, 125)가 형성된다. 윤활유가 윤활유 통로(123,125)를 통해서 분할된 환형 체임버(117)의 분할된 부분 사이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윤활유가 환형 체임버(117)의 분할된 부분 중 어느 한 부분에 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차 질량체(101)의 외주에는 링기어(ring gear)(127)가 형성된다. 이 링기어(127)는 엔진을 기동하는 스타트 모터(start motor)(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된다.
환형 체임버(117)의 분할된 각 부분에는 댐핑유닛(129)(damping unit)(129)이 각각 배치된다.
댐핑유닛(129)은 1차 질량체(101)와 2차 질량체(103)를 탄성적으로 연결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비틀림 진동 댐퍼(100)의 댐핑유닛(129)은 1차 질량체(101)와 2차 질량체(103)의 상대 회전각에 따라 그 댐핑 특성이 변하는 특성을 가진다.
이하에서는, 환형 체임버(117)의 분할된 부분을 단순히 환형 체임버(117)로 칭하기로 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핑유닛(129)은, 한 쌍의 엔드 가이드(end guide)(131, 133)와, 환형 체임버(117)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개의 코일 스프링(coil spring)(135, 137, 139, 141)과, 마찰부재(friction member)(143)를 포함한다.
복수의 코일 스프링(135, 137, 139, 141)은 환형 체임버(117) 내에 직렬로 차례로 배치된다.
엔드 가이드(131, 133)는 환형 체임버(117)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복수의 코일 스프링(135, 137, 139,141) 중 양끝단에 위치하는 코일 스프링(135, 141)의 외측단을 각각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마찰부재가 3개인 경우이나, 그 개수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함은 물론이다.
엔드 가이드(131, 133)는 환형 체임버(117)를 분리하는 제1돌출부(119)와 제2돌출부(121)에 의해 지지된다.
한편,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질량체(103)에는 드라이브 플레이트(145)가 고정 결합되며, 드라이브 플레이트(145)는 댐핑유닛(129)을 압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브 플레이트(145)는 전체적으로 링(ring)의 형상을 가지며, 그 외주면의 서로 대칭되는 지점에는 제1압축핀(first compression fin)(147)과 제2압축핀(second compression fin)(149)이 각각 형성된다.
1차 질량체(101)와 2차 질량체(103) 사이의 상대 회전이 발생하면, 제1압축핀(147)과 제2압축핀(149)이 환형 체임버(117)의 분할된 부분에 배치되어 있는 댐핑유닛(129)을 각각 압축함으로써 댐핑이 이루어진다.
이때, 도2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압축핀(147)과 제2압축핀(149)의 폭(width)을 달리함으로써, 순차적으로 댐핑이 일어나게 한다.
2차 질량체(103)와 1차 질량체(101) 사이에 상대 회전이 발생하는 경우, 압축핀(147, 149)이 댐핑유닛(129)을 압축하면서 환형 체임버(117) 내를 회전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비틀림 진동이 감쇠된다.
코일 스프링(135, 137, 139, 141) 각각의 내부에는 보조 코일 스프링(auxiliary coil spring)(151, 153, 155, 157)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5 및 도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의한 비틀림 진동 댐퍼(100)의 마찰부재(143)에 대해서 설명한다.
마찰부재(143)는, 외측 가이드(outer guide)(159)와, 내측 가이드(inner guide)(161)와, 제1작동기(first operator)(163)와, 제2작동기(second operator)(165)를 포함한다.
외측 가이드(159)와 내측 가이드(161)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외측 가이드(159)의 중심부에는 1차 질량체(101)의 중심부, 즉, 내측 가이드(161)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167)가 형성된다.
이 돌출부(167)의 양측에서는 경사면(slanted surface)(169, 171)이 형성된다.
유사하게, 내측 가이드(161)의 중심부에는 외측 가이드(159)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173)가 형성된다.
이 돌출부(173)의 양측에는 경사면(slanted surface)(175, 177)이 형성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작동기(163)와 제2작동기(165)는 서로 마주보도록 외측 가이드(159)와 내측 가이드(161)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
제1작동기(163)의 일단은 코일 스프링(137)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그 다른 일단에는 경사부(179)가 구비된다.
제1작동기(163)의 경사부(179)의 외측 경사면(179a)은 외측 가이드(159)의 경사면(169)과 접촉하고, 그 내측 경사면(179b)은 내측 가이드(161)의 경사면(175)과 접촉한다.
유사하게, 제2작동기(165)의 일단은 코일 스프링(139)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그 다른 일단에는 경사부(181)가 구비된다.
제2작동기(165)의 경사부(181)의 외측 경사면(181a)은 외측 가이드(159)의 경사면(171)과 접촉하고, 그 내측 경사면(181b)은 내측 가이드(161)의 경사면(177)과 접촉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가이드(159)의 돌출부(167)는 1차 질량체(101)의 중시에 가까울수록 그 폭(width)이 점차로 좁아지도록 형성되며, 내측 가이드(161)의 돌출부(173)는 외측 가이드(159)를 향할수록 점차로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외측 가이드(159)의 돌출부(167)의 폭이 좁아지는 비율과 내측 가이드(161)의 돌출부(173)의 폭이 좁아지는 비율은 서로 상이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외측 가이드(159)와 내측 가이드(161)에서의 히스테리시스를 조절할 수 있다.
특히,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가이드(159)의 돌출부(167)의 폭이 좁아지는 비율이 내측 가이드(161)의 돌출부(173)의 좁아지는 비율보다 더 크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1차 질량체(101)와 2차 질량체(103) 사이에 상대 회전이 발생하여 코일 스프링(137, 139)이 압축되면, 그 힘이 제1작동기(163)와 제2작동기(165)로 전달된다. 따라서, 제1작동기(163)와 제2작동기(165)는 외측 가이드(159)의 경사면(169, 171)과 내측 가이드(161)의 경사면(175, 177)을 타고 서로 접근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외측 가이드(159)는 환형 체임버(117)의 외측으로 밀리게 되고, 내측 가이드(161)는 환형 체임버(117)의 내측으로 밀리게 된다. 따라서, 외측 가이드(159)는 환형 체임버(117)의 외벽(199)과 접촉하고 내측 가이드(161)는 환형 체임버(117)의 내벽(198)과 접촉하게 되어 마찰이 생긴다.
1차 질량체(101)와 2차 질량체(103) 사이의 상대 회전각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마찰부재(143)와 환형 체임버(117)의 외벽(199) 및 내벽(198), 즉, 마찰부재(143)와 1차 질량체(101)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대 회전각에 비례하는 댐핑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코일 스프링(137)에 접촉하는 제1작동기(163)의 접촉면(183)을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코일 스프링(137)이 압축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코일 스프링(137)의 끝단면(185)과 제1작동기(163)의 접촉면(183)이 설정된 각(A)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드라이브 플레이트(145)에 의해 댐핑유닛(129)이 압축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제1작동기(163)를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137)의 외측 끝단부는 제1작동기(163)에 접촉하고 그 내측 끝단부는 제1작동기(163)에 접촉하지 아니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코일 스프링(137)이 압축되는 경우, 그 바깥 부분이 먼저 압축되므로 코일 스프링(137)의 중심 부분이 1차 질량체(101)의 중심부분으로 향하도록 휘어지게 된다. 따라서, 비틀림 진동 댐퍼(100)의 회전 중 원심력에 의한 코일 스프링(137)의 휘어짐이 상쇄된다.
제2작동기(165)와 코일 스프링(139)도 동일한 구조로 연결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서로 마주보는 제1 및 제2 작동기(163, 165) 사이에는 조절 스프링(187)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작동기(163, 165)가 조절 스프링(187)에 의해 서로 탄성 지지됨으로써, 일정 토크 이상에서 제1 및 제2 작동기(163, 165)가 서로 접근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일정 토크 이상에서만 마찰력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외측 가이드(159)의 외주면(189)에는 제1홈(191)과 제2홈(19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홈(191)은 환형 체임버(117)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제2홈(193)은 제1홈(191)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제1홈(191)은 윤활유 통로의 역할을 하고, 제2홈(193)은 환형 체임버(117)의 외벽(199)에 형성된 윤활유 막을 긁어 윤활유 막의 두께가 일정하게 형성되도록 한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141)에 접촉하는 엔드 가이드(133)의 코일 스프링 수용홀(182)의 접촉면(184)을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코일 스프링(141)이 압축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코일 스프링(141)의 끝단면(186)과 접촉면(184)이 설정된 각(G)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드라이브 플레이트(145)에 의해 댐핑유닛(129)이 압축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엔드 가이드(133)를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141)의 외측 끝단부는 접촉면(184)에 접촉하고 그 내측 끝단부는 접촉면(184)에 접촉하지 아니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7 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드 가이드(133)의 외주면(192)에는 환형 체임버(117)의 원주방향을 따라 제1홈(194)이 형성되고, 이 제1홈(194)에 수직인 방향으로 제2홈(196)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홈은 윤활유 통로의 역할을 하고, 제2홈은 윤활유 막을 긁어 윤활유 막의 두께가 일정하게 형성되도록 한다.
다른 하나의 엔드 가이드(131)도 이 엔드 가이드(133)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할 다른 실시예들은 마찰부재 이외의 부분은 상기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 에서는 다른 실시예들의 마찰부재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별도로 표시되지 아니한 도1 내지 도6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9 및 도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비틀림 진동 댐퍼의 댐핑유닛의 마찰부재(211)에 대해 설명한다.
마찰부재(211)는, 제1 외측 가이드(first outer guide)(213)와, 제2 외측 가이드(second outer guide)(215)와, 내측 가이드(inner guide)(217)를 포함한다.
제1 외측 가이드(213)의 일측은 코일 스프링(219)에 의해 지지되고, 그 다른 일측에는 경사면(slanted surface)(221)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외측 가이드(213)의 일측에 코일 스프링 수용홀(coil spring receiving hole)(223)을 형성하고, 이 코일 스프링 수용홀(223)에 코일 스프링(219)이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외측 가이드(215)의 일측은 코일 스프링(225)에 의해 지지되고, 그 다른 일측에는 경사면(slanted surface)(227)이 형성된다.
이때, 제2 외측 가이드(215)의 일측에 코일 스프링 수용홀(coil spring receiving hole)(229)을 형성하고, 이 코일 스프링 수용홀(229)에 코일 스프링(225)이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외측 가이드(215)는 환형 체임버(117)의 원주방향을 따라 제1 외측 가이드(213)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내측 가이드(217)는 제1 외측 가이드(213)와 제2 외측 가이드(215)와 마주보 도록 배치된다.
내측 가이드(217)의 중심부분에는 제1 외측 가이드(213)와 제2 외측 가이드(215)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231)가 형성된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돌출부(231)의 양측에는 각각 경사면(233, 235)이 형성된다.
도면상 좌측의 경사면(233)은 제1 외측 가이드(213)의 경사면(221)과 접촉하고, 도면상 우측의 경사면(235)은 제2 외측 가이드(215)의 경사면(227)과 접촉한다.
즉,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231)는 1차 질량체(101)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폭이 점차로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코일 스프링(219, 225)이 압축되면, 그 압축력에 의해 제1 외측 가이드(213)와 제2 외측 가이드(215)가 서로 접근하게 된다. 이때, 제1 외측 가이드(213)는 내측 가이드(217)의 돌출부(231)의 좌측의 경사면(233)을 타고 이동하고, 제2 외측 가이드(215)는 내측 가이드(217)의 돌출부(231)의 우측의 경사면(235)을 타고 이동한다. 결과적으로, 제1 외측 가이드(213)와 제2 외측 가이드(215)는 환형 체임버(117)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동하고, 내측 가이드(217)는 환형 체임버(117)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제1 외측 가이드(213)와 제2 외측 가이드(215)가 환형 체임버(117)의 외벽(199)에 밀착되면서 마찰력이 발생하고, 내측 가이드(217)는 환형 체임버(117)의 내벽(198)에 밀착되면서 마찰력이 발생한다.
결국, 코일 스프링(219, 225)의 압축 정도에 비례하는 댐핑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서로 마주보는 제1 및 제2 외측 가이드(213, 215) 사이에는 조절 스프링(237)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외측 가이드(213, 215)가 조절 스프링(237)에 의해 서로 탄성적으로 지지됨으로써, 일정 토크 이상에서 제1 및 제2 외측 가이드(213, 215)가 서로 접근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일정 토크 이상에서만 마찰력이 발생하게 된다.
코일 스프링(219)에 접촉하는 제1 외측 가이드(213)의 접촉면(239)을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코일 스프링(219)이 압축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코일 스프링(219)의 끝단면(241)과 제1 외측 가이드(213)의 접촉면(239)이 설정된 각(B)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드라이브 플레이트(145)에 의해 댐핑유닛(129)이 압축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제1 외측 가이드(213)를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219)의 외측 끝단부는 제1 외측 가이드(213)에 접촉하고 그 내측 끝단부는 제1 외측 가이드(213)에 접촉하지 아니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코일 스프링(219)이 압축되는 경우, 그 바깥 부분이 먼저 압축되므로 코일 스프링(219)의 중심부분이 1차 질량체(101)의 중심부분으로 향하도록 휘어지게 된다. 따라서, 비틀림 진동 댐퍼(100)의 회전 중 원심력에 의한 코일 스프링(219)의 휘어짐이 상쇄된다.
제2 외측 가이드(215)와 코일 스프링(225)의 연결도 이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제1 외측 가이드(213)의 외주면(outer surface)(243)에는 환형 체임 버(117)의 원주방향을 따라 제1홈(first groove)(245)이 형성되고, 제2 외측 가이드(215)의 외주면(247)에도 환형 체임버(117)의 원주방향을 따라 제2홈(second groove)(249)이 형성된다.
한편, 제1 외측 가이드(213)의 외주면(243)에는 제1홈(245)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제3홈(third groove)(251)이 형성되고, 제2 외측 가이드(215)의 외주면(247)에는 제2홈(249)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제4홈(fourth groove)(253)이 형성된다.
제1홈(245)과 제2홈(249)은 윤활유 통로로 역할을 하고, 제3홈(251)과 제4홈(253)은 환형 체임버(117)의 외벽(199)에 형성된 윤활유 막을 긁어 윤활유 막의 두께가 일정하게 형성되도록 한다.
도11 및 도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비틀림 진동 댐퍼의 댐핑유닛의 마찰부재(311)에 대해 설명한다.
마찰부재(311)는, 외측 가이드(outer guide)(313)와, 제1 내측 가이드(first inner guide)(315)와, 제2 내측 가이드(second inner guide)(317)를 포함한다.
외측 가이드(313)의 중간 부분에는 제1질량체(101)의 중심부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319)가 형성된다.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319)의 양측에는 각각 경사면(321, 323)이 형성된다.
제1 내측 가이드(315)의 일측은 코일 스프링(325)에 의해 지지되고, 그 다른 일측에는 경사면(slanted surface)(327)이 형성된다.
유사하게, 제2 내측 가이드(317)의 일측은 코일 스프링(329)에 의해 지지되 고, 그 다른 일측에는 경사면(331)이 형성된다.
제2 내측 가이드(317)는 환형 체임버(117)의 원주방향을 따라 제1 내측 가이드(315)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1 내측 가이드(315)의 경사면(327)은 외측 가이드(313)의 돌출부(319)의 도면상 좌측의 경사면(321)에 접촉하고, 제2 내측 가이드(317)의 경사면(331)은 외측 가이드(313)의 돌출부(319)의 도면상 우측의 경사면(323)에 접촉한다.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319)는 1차 질량체(101)의 중심으로 가까워질수록 그 폭이 점차로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코일 스프링(325, 329)이 압축되면, 그 압축력에 의해 제1 내측 가이드(315)와 제2 내측 가이드(317)가 서로 접근하게 된다. 이때, 외측 가이드(313)는 제1 내측 가이드(315)의 경사면(327)과 제2 내측 가이드(317)의 경사면(331)을 타고 이동하게 된다. 결국, 외측 가이드(313)는 환형 체임버(117)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1 내측 가이드(315)와 제2 내측 가이드(317)는 환형 체임버(117)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외측 가이드(313)가 환형 체임버(117)의 외벽(199)에 밀착되면서 마찰력이 발생하고, 제1 내측 가이드(315)와 제2 내측 가이드(317)가 환형 체임버(117)의 내벽(198)에 밀착되면서 마찰력이 발생한다.
결국, 1차 질량체(101)와 2차 질량체(103)의 상대 회전각, 즉, 코일 스프링(325, 329)의 압축 정도에 비례하는 댐핑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서로 마주보는 제1 및 제2 내측 가이드(315, 317) 사이에는 조절 스프링(333)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내측 가이드(315, 317)가 조절 스프링(333)에 의해 서로 탄성적으로 지지됨으로써, 일정 토크 이상에서 제1 및 제2 내측 가이드(315, 317)가 서로 접근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일정 토크 이상에서만 마찰력이 발생한다.
코일 스프링(325)에 접촉하는 제1 내측 가이드(315)의 접촉면(335)을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코일 스프링(325)이 압축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코일 스프링(325)의 끝단면(337)과 제1 내측 가이드(315)의 접촉면(335)이 설정된 각도(C)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드라이브 플레이트(145)에 의해 댐핑유닛(129)이 압축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제1 내측 가이드(315)를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325)의 외측 끝단부는 제1 내측 가이드(315)에 접촉하고 그 내측 끝단부는 제1 내측 가이드(315)에 접촉하지 아니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코일 스프링(325)이 압축되는 경우, 그 바깥 부분이 먼저 압축되므로 코일 스프링(325)의 중심부분이 1차 질량체(101)의 중심을 향해 휘어지게 된다. 따라서, 비틀림 진동 댐퍼(100)의 회전 중 원심력에 의한 코일 스프링(325)의 휘어짐이 상쇄된다.
제2 내측 가이드(317)와 이를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329)의 연결도 이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외측 가이드(313)의 외주면(outer surface)(339)에는 제1홈(first groove)(341)과 제2홈(second groove)(343)이 형성된다.
제1홈(341)은 환형 체임버(117)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제2홈(343)은 제1홈(341)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제1홈(341)은 윤활유 통로로 역할을 하고, 제2홈(343)은 환형 체임버(117)의 외벽(199)에 형성된 윤활유 막을 긁어 윤활유 막의 두께가 일정하게 형성되도록 한다.
도13 및 도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비틀림 진동 댐퍼의 댐핑유닛의 마찰부재(411)에 대해 설명한다.
마찰부재(411)는, 외측 가이드(outer guide)(413)와, 외측 쐐기(outer wedge)(415)와, 제1탄성유닛(first elastic unit)(417)과, 내측 쐐기(inner wedge)(419)와, 내측 가이드(inner guide)(421)와, 제2탄성유닛(second elastic unit)(423)과, 제1작동기(first operator)(425)와, 제2작동기(second operator)(427)를 포함한다.
외측 쐐기(415)는 외측 가이드(413)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1차 질량체(101)의 중심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되는 경사부(429)가 구비된다.
외측 쐐기(415)의 경사부(429)의 양측에는 각각 경사면(431, 433)이 형성되고, 경사부(429)는 1차 질량체(101)의 중심에 가까워질수록 그 폭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외측 가이드(413)와 외측 쐐기(415) 사이에는 제1탄성유닛(417)이 개재된다. 제1탄성유닛(417)은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부재로 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접시 스프링(disc spring)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측 가이드(413)와 외측 쐐기(415)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1탄성유닛(417)의 탄성력을 조절함으로써, 마찰부재(411)에 의한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다.
내측 쐐기(419)는 외측 쐐기(415)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내측 쐐기(419)에는 외측 쐐기(415)를 향해 연장되어 형성되는 경사부(435)가 구비된다.
내측 쐐기(419)의 경사부(435)의 양측에는 각각 경사면(437, 439)이 형성되고, 경사부(435)는 1차 질량체(101)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폭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외측 쐐기(415)의 경사부(429)의 폭이 좁아지는 비율과 내측 쐐기(419)의 경사부(435)의 폭이 좁아지는 비율은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외측 쐐기(415)의 경사부(429)의 폭이 좁아지는 비율이 내측 쐐기(419)의 경사부(435)의 폭이 좁아지는 비율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내측 가이드(421)는 내측 쐐기(419)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내측 가이드(421)와 내측 쐐기(419) 사이에는 제2탄성유닛(423)이 개재된다. 제2탄성유닛(423)은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부재로 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접시 스프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작동기(425)는 외측 쐐기(415)와 내측 쐐기(419) 사이에 배치된다.
제1작동기(425)의 일단은 코일 스프링(441)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그 다른 일단에는 외측 쐐기(415)의 경사부(429) 및 내측 쐐기(419)의 경사부(435)와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경사부(443)가 구비된다.
제1작동기(425)의 경사부(443)의 양측에는 각각 경사면(445, 447)이 형성되며, 외측의 경사면(445)은 외측 쐐기(415)의 경사면(431)과 접촉하고 내측의 경사면(447)은 내측 쐐기(419)의 경사면(437)과 접촉한다.
제2작동기(427)는 제1작동기(425)와 마주보도록 외측 쐐기(415)와 내측 쐐기(419) 사이에 배치된다.
제2작동기(427)의 일단은 코일 스프링(449)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그 다른 일단에는 외측 쐐기(415)의 경사부(429) 및 내측 쐐기(419)의 경사부(435)와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경사부(451)가 구비된다.
제2작동기(427)의 경사부(451)의 양측에는 각각 경사면(453, 455)이 형성되며, 외측의 경사면(453)은 외측 쐐기(415)의 경사면(433)과 접촉하고 내측의 경사면(455)은 내측 쐐기(419)의 경사면(439)과 접촉한다.
1차 질량체(101)와 2차 질량체(103) 사이에 상대 회전이 발생하여 코일 스프링(441, 449)이 압축되면, 그 힘이 제1작동기(425)와 제2작동기(427)로 전달된다.
제1작동기(425)와 제2작동기(427)에 압축력이 작용하면, 제1작동기(425)와 제2작동기(427)가 외측 쐐기(415)의 경사부(429)와 내측 쐐기(419)의 경사부(435)에 접촉하면서 서로 근접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외측 쐐기(415)는 외측으로 밀리게 되고, 내측 쐐기(419)는 내측으로 밀리게 된다. 결과적으로, 외측 가이드(413)는 환형 체임버(117)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내측 가이드(421)는 환형 체임버(117)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외측 가이드(413)가 환형 체임버(117)의 외벽(199)과 밀착되면서 마찰력이 발생하고, 내측 가이드(421) 가 환형 체임버(117)의 내벽(198)과 밀착되면서 마찰력이 발생한다.
1차 질량체(101)와 2차 질량체(103) 사이의 상대 회전각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마찰부재(411)와 환형 체임버(117)의 내벽(199), 즉, 마찰부재(411)와 1차 질량체(101)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대 회전각에 비례하는 댐핑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코일 스프링(441)에 접촉하는 제1작동기(425)의 접촉면(457)을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코일 스프링(441)이 압축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코일 스프링(441)의 끝단면(459)과 제1작동기(425)의 접촉면(457)이 설정된 각(D)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드라이브 플레이트(145)에 의해 댐핑유닛(129)이 압축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제1작동기(425)를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441)의 외측 끝단부는 제1작동기(425)에 접촉하고 그 내측 끝단부는 제1작동기(425)에 접촉하지 아니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코일 스프링(441)이 압축되는 경우, 그 바깥 부분이 먼저 압축되므로 코일 스프링(441)의 중심부분이 1차 질량체(101)의 중심부분으로 향하도록 휘어지게 된다. 따라서, 비틀림 진동 댐퍼(100)의 회전 중 원심력에 의한 코일 스프링(441)의 휘어짐이 상쇄된다.
제2작동기(427)와 코일 스프링(449)도 동일한 방식으로 연결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외측 가이드(413)의 외주면(outer surface)(461)에는 제1홈(463)과 제2홈(465)이 형성된다.
제1홈(463)은 환형 체임버(117)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제2홈(465)은 제1홈(463)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제1홈(463)은 윤활유 통로의 역할을 하고, 제2홈(465)은 환형 체임버(117)의 외벽(199)에 형성된 윤활유 막을 긁어 윤활유 막의 두께가 일정하게 형성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또는 수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비틀림 진동 댐퍼는 1차 질량체와 2차 질량체의 상대 회전각의 크기에 따르는 댐핑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Claims (4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엔진 크랭크축의 회전축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엔진 크랭크축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2 이상의 부분으로 분할되는 환형 체임버를 형성하는 제1질량체;
    상기 제1질량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클러치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2질량체; 및
    상기 제1질량체와 상기 제2질량체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댐핑유닛;
    상기 제2질량체에 결합되며, 상기 제1질량체와 상기 제2질량체 사이의 상대 회전이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댐핑유닛을 압축하도록 구성되는 드라이브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댐핑유닛은,
    상기 환형 체임버의 상기 분할된 부분에 직렬로 차례로 배치되는 복수의 코일 스프링;
    상기 환형 체임버의 상기 분할된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코일 스프링 중 양끝단의 코일 스프링의 외측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엔드 가이드; 및
    상기 이웃하는 코일 스프링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질량체와 상기 제2질량체의 상대 회전량에 비례하는 마찰력이 발생하도록 상기 코일 스프링의 압축에 대응하여 상기 제1질량체와 마찰되도록 구성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마찰부재는,
    그 양측으로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질량체의 중심부를 향해 돌출되는 제1돌출부가 구비되는 외측 가이드;
    상기 외측 가이드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그 양측으로 제3경사면과 제4경사면이 형성되도록 상기 외측 가이드를 향해 돌출되는 제2돌출부가 구비되는 내측 가이드;
    상기 외측 가이드와 상기 내측 가이드의 사이에 배치되며, 그 일단은 상기 코일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그 다른 일단에는 상기 제1경사면 및 제3경사면과 각각 접촉하는 제1경사부가 구비되는 제1작동기; 및
    상기 제1작동기와 마주보도록 상기 외측 가이드와 상기 내측 가이드의 사이에 배치되며, 그 일단은 상기 코일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그 다른 일단에는 상기 제2경사면 및 상기 제4경사면과 각각 접촉하는 제2경사부가 구비되는 제2작동기
    를 포함하고,
    상기 드라이브 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댐핑유닛이 압축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상기 제1작동기를 지지하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외측 끝단부는 상기 제1작동기에 접촉하고 그 내측 끝단부는 상기 제1작동기에 접촉하지 아니하는 비틀림 진동 댐퍼.
  8. 엔진 크랭크축의 회전축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엔진 크랭크축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2 이상의 부분으로 분할되는 환형 체임버를 형성하는 제1질량체;
    상기 제1질량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클러치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2질량체; 및
    상기 제1질량체와 상기 제2질량체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댐핑유닛;
    상기 제2질량체에 결합되며, 상기 제1질량체와 상기 제2질량체 사이의 상대 회전이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댐핑유닛을 압축하도록 구성되는 드라이브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댐핑유닛은,
    상기 환형 체임버의 상기 분할된 부분에 직렬로 차례로 배치되는 복수의 코일 스프링;
    상기 환형 체임버의 상기 분할된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코일 스프링 중 양끝단의 코일 스프링의 외측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엔드 가이드; 및
    상기 이웃하는 코일 스프링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질량체와 상기 제2질량체의 상대 회전량에 비례하는 마찰력이 발생하도록 상기 코일 스프링의 압축에 대응하여 상기 제1질량체와 마찰되도록 구성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마찰부재는,
    그 양측으로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질량체의 중심부를 향해 돌출되는 제1돌출부가 구비되는 외측 가이드;
    상기 외측 가이드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그 양측으로 제3경사면과 제4경사면이 형성되도록 상기 외측 가이드를 향해 돌출되는 제2돌출부가 구비되는 내측 가이드;
    상기 외측 가이드와 상기 내측 가이드의 사이에 배치되며, 그 일단은 상기 코일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그 다른 일단에는 상기 제1경사면 및 제3경사면과 각각 접촉하는 제1경사부가 구비되는 제1작동기; 및
    상기 제1작동기와 마주보도록 상기 외측 가이드와 상기 내측 가이드의 사이에 배치되며, 그 일단은 상기 코일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그 다른 일단에는 상기 제2경사면 및 상기 제4경사면과 각각 접촉하는 제2경사부가 구비되는 제2작동기
    를 포함하고,
    상기 드라이브 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댐핑유닛이 압축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상기 제2작동기를 지지하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외측 끝단부는 상기 제2작동기에 접촉하고 그 내측 끝단부는 상기 제2작동기에 접촉하지 아니하는 비틀림 진동 댐퍼.
  9. 엔진 크랭크축의 회전축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엔진 크랭크축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2 이상의 부분으로 분할되는 환형 체임버를 형성하는 제1질량체;
    상기 제1질량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클러치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2질량체; 및
    상기 제1질량체와 상기 제2질량체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댐핑유닛;
    상기 제2질량체에 결합되며, 상기 제1질량체와 상기 제2질량체 사이의 상대 회전이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댐핑유닛을 압축하도록 구성되는 드라이브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댐핑유닛은,
    상기 환형 체임버의 상기 분할된 부분에 직렬로 차례로 배치되는 복수의 코일 스프링;
    상기 환형 체임버의 상기 분할된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코일 스프링 중 양끝단의 코일 스프링의 외측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엔드 가이드; 및
    상기 이웃하는 코일 스프링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질량체와 상기 제2질량체의 상대 회전량에 비례하는 마찰력이 발생하도록 상기 코일 스프링의 압축에 대응하여 상기 제1질량체와 마찰되도록 구성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마찰부재는,
    그 양측으로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질량체의 중심부를 향해 돌출되는 제1돌출부가 구비되는 외측 가이드;
    상기 외측 가이드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그 양측으로 제3경사면과 제4경사면이 형성되도록 상기 외측 가이드를 향해 돌출되는 제2돌출부가 구비되는 내측 가이드;
    상기 외측 가이드와 상기 내측 가이드의 사이에 배치되며, 그 일단은 상기 코일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그 다른 일단에는 상기 제1경사면 및 제3경사면과 각각 접촉하는 제1경사부가 구비되는 제1작동기; 및
    상기 제1작동기와 마주보도록 상기 외측 가이드와 상기 내측 가이드의 사이에 배치되며, 그 일단은 상기 코일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그 다른 일단에는 상기 제2경사면 및 상기 제4경사면과 각각 접촉하는 제2경사부가 구비되는 제2작동기
    를 포함하고,
    상기 드라이브 플레이트의 외주면에는 상기 댐핑유닛을 압축하기 위한 2 이상의 압축핀이 형성되며, 상기 2 이상의 압축핀은 그 폭이 서로 다른 비틀림 진동 댐퍼.
  10. 엔진 크랭크축의 회전축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엔진 크랭크축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2 이상의 부분으로 분할되는 환형 체임버를 형성하는 제1질량체;
    상기 제1질량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클러치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2질량체; 및
    상기 제1질량체와 상기 제2질량체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댐핑유닛;
    상기 제2질량체에 결합되며, 상기 제1질량체와 상기 제2질량체 사이의 상대 회전이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댐핑유닛을 압축하도록 구성되는 드라이브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댐핑유닛은,
    상기 환형 체임버의 상기 분할된 부분에 직렬로 차례로 배치되는 복수의 코일 스프링;
    상기 환형 체임버의 상기 분할된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코일 스프링 중 양끝단의 코일 스프링의 외측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엔드 가이드; 및
    상기 이웃하는 코일 스프링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질량체와 상기 제2질량체의 상대 회전량에 비례하는 마찰력이 발생하도록 상기 코일 스프링의 압축에 대응하여 상기 제1질량체와 마찰되도록 구성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마찰부재는,
    그 양측으로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질량체의 중심부를 향해 돌출되는 제1돌출부가 구비되는 외측 가이드;
    상기 외측 가이드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그 양측으로 제3경사면과 제4경사면이 형성되도록 상기 외측 가이드를 향해 돌출되는 제2돌출부가 구비되는 내측 가이드;
    상기 외측 가이드와 상기 내측 가이드의 사이에 배치되며, 그 일단은 상기 코일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그 다른 일단에는 상기 제1경사면 및 제3경사면과 각각 접촉하는 제1경사부가 구비되는 제1작동기; 및
    상기 제1작동기와 마주보도록 상기 외측 가이드와 상기 내측 가이드의 사이에 배치되며, 그 일단은 상기 코일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그 다른 일단에는 상기 제2경사면 및 상기 제4경사면과 각각 접촉하는 제2경사부가 구비되는 제2작동기
    를 포함하고,
    상기 드라이브 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댐핑유닛이 압축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상기 엔드 가이드를 지지하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외측 끝단부는 상기 엔드 가이드에 접촉하고 그 내측 끝단부는 상기 엔드 가이드에 접촉하지 아니하는 비틀림 진동 댐퍼.
  11. 삭제
  12. 엔진 크랭크축의 회전축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엔진 크랭크축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2 이상의 부분으로 분할되는 환형 체임버를 형성하는 제1질량체;
    상기 제1질량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클러치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2질량체; 및
    상기 제1질량체와 상기 제2질량체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댐핑유닛;
    상기 제2질량체에 결합되며, 상기 제1질량체와 상기 제2질량체 사이의 상대 회전이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댐핑유닛을 압축하도록 구성되는 드라이브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댐핑유닛은,
    상기 환형 체임버의 상기 분할된 부분에 직렬로 차례로 배치되는 복수의 코일 스프링;
    상기 환형 체임버의 상기 분할된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코일 스프링 중 양끝단의 코일 스프링의 외측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엔드 가이드; 및
    상기 이웃하는 코일 스프링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질량체와 상기 제2질량체의 상대 회전량에 비례하는 마찰력이 발생하도록 상기 코일 스프링의 압축에 대응하여 상기 제1질량체와 마찰되도록 구성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마찰부재는,
    그 일측은 상기 코일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고 그 다른 일측에는 제1경사면이 형성되는 제1 외측 가이드;
    상기 제1 외측 가이드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그 일측은 상기 코일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고 그 다른 일측에는 제2경사면이 형성되는 제2 외측 가이드; 및
    상기 제1 외측 가이드 및 상기 제2 외측 가이드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경사면과 접촉하는 제3경사면 및 상기 제2경사면과 접촉하는 제4경사면이 형성되는 돌출부가 구비되는 내측 가이드
    를 포함하는 비틀림 진동 댐퍼.
  13. 제12항에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질량체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폭이 점차로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비틀림 진동 댐퍼.
  14. 제12항에서,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제1 외측 가이드와 상기 제2 외측 가이드가 서로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상기 제1 외측 가이드와 상기 제2 외측 가이드 사이에 개재되는 조절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비틀림 진동 댐퍼.
  15. 제12항에서,
    상기 드라이브 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댐핑유닛이 압축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외측 가이드를 지지하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외측 끝단부는 상기 제1 외측 가이드에 접촉하고 그 내측 끝단부는 상기 제1 외측 가이드에 접촉하지 아니하는 비틀림 진동 댐퍼.
  16. 제15항에서,
    상기 드라이브 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댐핑유닛이 압축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상기 제2 외측 가이드를 지지하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외측 끝단부는 상기 제2 외측 가이드에 접촉하고 그 내측 끝단부는 상기 제2 외측 가이드에 접촉하지 아니하는 비틀림 진동 댐퍼.
  17. 제12항에서,
    상기 드라이브 플레이트의 외주면에는 상기 댐핑유닛을 압축하기 위한 2 이상의 압축핀이 형성되며, 상기 2 이상의 압축핀은 그 폭이 서로 다른 비틀림 진동 댐퍼.
  18. 제12항에서,
    상기 드라이브 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댐핑유닛이 압축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상기 엔드 가이드를 지지하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외측 끝단부는 상기 엔드 가이드에 접촉하고 그 내측 끝단부는 상기 엔드 가이드에 접촉하지 아니하는 비틀림 진동 댐퍼.
  19. 제12항에서,
    상기 제1 외측 가이드와 상기 제2 외측 가이드를 지지하는 상기 코일 스프링이 압축되는 경우, 상기 제1 외측 가이드와 상기 제2 외측 가이드는 상기 환형 체임버의 외벽에 밀착되고 상기 내측 가이드는 상기 환형 체임버의 내벽에 밀착되는 비틀림 진동 댐퍼.
  20. 엔진 크랭크축의 회전축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엔진 크랭크축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2 이상의 부분으로 분할되는 환형 체임버를 형성하는 제1질량체;
    상기 제1질량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클러치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2질량체; 및
    상기 제1질량체와 상기 제2질량체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댐핑유닛;
    상기 제2질량체에 결합되며, 상기 제1질량체와 상기 제2질량체 사이의 상대 회전이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댐핑유닛을 압축하도록 구성되는 드라이브 플레이트;
    를 포함하고,
    상기 댐핑유닛은,
    상기 환형 체임버의 상기 분할된 부분에 직렬로 차례로 배치되는 복수의 코일 스프링;
    상기 환형 체임버의 상기 분할된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코일 스프링 중 양끝단의 코일 스프링의 외측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엔드 가이드; 및
    상기 이웃하는 코일 스프링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질량체와 상기 제2질량체의 상대 회전량에 비례하는 마찰력이 발생하도록 상기 코일 스프링의 압축에 대응하여 상기 제1질량체와 마찰되도록 구성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마찰부재는,
    그 양측으로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질량체의 중심부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가 구비되는 외측 가이드;
    그 일측은 상기 코일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고 그 다른 일측에는 상기 제1경사면과 접촉하는 제3경사면이 형성되는 제1 내측 가이드; 및
    그 일측은 상기 코일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고 그 다른 일측에는 상기 제2경사면과 접촉하는 제4경사면이 형성되는 제2 내측 가이드
    를 포함하는 비틀림 진동 댐퍼.
  21. 제20항에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질량체의 중심에 가까워질수록 그 폭이 점차로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비틀림 진동 댐퍼.
  22. 제20항에서,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제1 내측 가이드와 상기 제2 내측 가이드가 서로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상기 제1 내측 가이드와 상기 제2 내측 가이드 사이에 개재되는 조절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비틀림 진동 댐퍼.
  23. 제20항에서,
    상기 드라이브 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댐핑유닛이 압축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내측 가이드를 지지하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외측 끝단부는 상기 제1 내측 가이드에 접촉하고 그 내측 끝단부는 상기 제1 내측 가이드에 접촉하지 아니하는 비틀림 진동 댐퍼.
  24. 제23항에서,
    상기 드라이브 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댐핑유닛이 압축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상기 제2 내측 가이드를 지지하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외측 끝단부는 상기 제2 내측 가이드에 접촉하고 그 내측 끝단부는 상기 제2 내측 가이드에 접촉하지 아니하는 비틀림 진동 댐퍼.
  25. 제20항에서,
    상기 드라이브 플레이트의 외주면에는 상기 댐핑유닛을 압축하기 위한 2 이상의 압축핀이 형성되며, 상기 2 이상의 압축핀은 그 폭이 서로 다른 비틀림 진동 댐퍼.
  26. 제20항에서,
    상기 드라이브 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댐핑유닛이 압축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상기 엔드 가이드를 지지하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외측 끝단부는 상기 엔드 가이드에 접촉하고 그 내측 끝단부는 상기 엔드 가이드에 접촉하지 아니하는 비틀림 진동 댐퍼.
  27. 제20항에서,
    상기 제1 내측 가이드와 상기 제2 내측 가이드를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이 압축되는 경우, 상기 외측 가이드는 상기 환형 체임버의 외벽에 밀착되고 상기 제1 내측 가이드와 상기 제2 내측 가이드는 상기 환형 체임버의 내벽에 밀착되는 비틀 림 진동 댐퍼.
  28. 엔진 크랭크축의 회전축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엔진 크랭크축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2 이상의 부분으로 분할되는 환형 체임버를 형성하는 제1질량체;
    상기 제1질량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클러치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2질량체; 및
    상기 제1질량체와 상기 제2질량체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댐핑유닛
    상기 제2질량체에 결합되며, 상기 제1질량체와 상기 제2질량체 사이의 상대 회전이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댐핑유닛을 압축하도록 구성되는 드라이브 플레이트;
    를 포함하고,
    상기 댐핑유닛은,
    상기 환형 체임버의 상기 분할된 부분에 직렬로 차례로 배치되는 복수의 코일 스프링;
    상기 환형 체임버의 상기 분할된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코일 스프링 중 양끝단의 코일 스프링의 외측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엔드 가이드; 및
    상기 이웃하는 코일 스프링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질량체와 상기 제2질량체의 상대 회전량에 비례하는 마찰력이 발생하도록 상기 코일 스프링의 압축에 대응하여 상기 제1질량체와 마찰되도록 구성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마찰부재는,
    외측 가이드;
    상기 외측 가이드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질량체의 중심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경사부가 구비되는 외측 쐐기;
    상기 외측 가이드와 상기 외측 쐐기 사이에 개재되는 제1탄성유닛;
    상기 외측 쐐기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외측 쐐기를 향해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경사부가 구비되는 내측 쐐기;
    상기 내측 쐐기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내측 가이드;
    상기 내측 쐐기와 상기 내측 가이드 사이에 개재되는 제2탄성유닛;
    상기 외측 쐐기와 상기 내측 쐐기 사이에 배치되며, 그 일단은 상기 코일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그 다른 일단에는 상기 제1경사부 및 상기 제2경사부와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제3경사부가 구비되는 제1작동기; 및
    상기 제1작동기와 마주보도록 상기 외측 쐐기와 상기 내측 쐐기 사이에 배치되며, 그 일단은 상기 코일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그 다른 일단에는 상기 제1경사부 및 상기 제2경사부와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제4경사부가 구비되는 제2작동기
    를 포함하는 비틀림 진동 댐퍼.
  29. 제28항에서,
    상기 제1경사부는 상기 제1질량체의 중심에 가까워질수록 그 폭이 점차로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경사부는 상기 제1질량체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폭이 점차로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비틀림 진동 댐퍼.
  30. 제29항에서,
    상기 제1경사부의 폭이 좁아지는 비율과 상기 제2경사부의 폭이 좁아지는 비율은 서로 다른 비틀림 진동 댐퍼.
  31. 제30항에서,
    상기 제1경사부의 폭이 좁아지는 비율이 상기 제2경사부의 폭이 좁아지는 비율보다 더 큰 비틀림 진동 댐퍼.
  32. 제28항에서,
    상기 제1탄성유닛과 상기 제2탄성유닛은, 각각 접시 스프링인 비틀림 진동 댐퍼.
  33. 제28항에서,
    상기 드라이브 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댐핑유닛이 압축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상기 제1작동기를 지지하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외측 끝단부는 상기 제1작동기에 접촉하고 그 내측 끝단부는 상기 제1작동기에 접촉하지 아니하는 비틀림 진동 댐퍼.
  34. 제28항에서,
    상기 드라이브 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댐핑유닛이 압축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상기 제2작동기를 지지하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외측 끝단부는 상기 제2작동기에 접촉하고 그 내측 끝단부는 상기 제2작동기에 접촉하지 아니하는 비틀림 진동 댐퍼.
  35. 제28항에서,
    상기 드라이브 플레이트의 외주면에는 상기 댐핑유닛을 압축하기 위한 2 이상의 압축핀이 형성되며, 상기 2 이상의 압축핀은 그 폭이 서로 다른 비틀림 진동 댐퍼.
  36. 제28항에서,
    상기 드라이브 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댐핑유닛이 압축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상기 엔드 가이드를 지지하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외측 끝단부는 상기 엔드 가이드에 접촉하고 그 내측 끝단부는 상기 엔드 가이드에 접촉하지 아니하는 비틀림 진동 댐퍼.
  37. 제28항에서,
    상기 제1작동기와 상기 제2작동기를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이 압축되는 경우, 상기 외측 가이드는 상기 환형 체임버의 외벽에 밀착되고 상기 내측 가이드는 상기 환형 체임버의 내벽에 밀착되는 비틀림 진동 댐퍼.
  38. 엔진 크랭크축의 회전축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엔진 크랭크축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2 이상의 부분으로 분할되는 환형 체임버를 형성하는 제1질량체;
    상기 제1질량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클러치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2질량체; 및
    상기 제1질량체와 상기 제2질량체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댐핑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댐핑유닛은,
    상기 환형 체임버의 상기 분할된 부분에 직렬로 차례로 배치되는 복수의 코일 스프링;
    상기 환형 체임버의 상기 분할된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코일 스프링 중 양끝단의 코일 스프링의 외측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엔드 가이드; 및
    상기 이웃하는 코일 스프링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질량체와 상기 제2질량체의 상대 회전량에 비례하는 마찰력이 발생하도록 상기 코일 스프링의 압축에 대응하여 상기 제1질량체와 마찰되도록 구성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질량체와 상기 제2질량체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부쉬가 배치되는 비틀림 진동 댐퍼.
  39. 엔진 크랭크축의 회전축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엔진 크랭크축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2 이상의 부분으로 분할되는 환형 체임버를 형성하는 제1질량체;
    상기 제1질량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클러치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2질량체; 및
    상기 제1질량체와 상기 제2질량체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댐핑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댐핑유닛은,
    상기 환형 체임버의 상기 분할된 부분에 직렬로 차례로 배치되는 복수의 코일 스프링;
    상기 환형 체임버의 상기 분할된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코일 스프링 중 양끝단의 코일 스프링의 외측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엔드 가이드; 및
    상기 이웃하는 코일 스프링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질량체와 상기 제2질량체의 상대 회전량에 비례하는 마찰력이 발생하도록 상기 코일 스프링의 압축에 대응하여 상기 제1질량체와 마찰되도록 구성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환형 체임버의 일부 또는 전부에는 윤활오일이 채워지는 비틀림 진동 댐퍼.
  40. 엔진 크랭크축의 회전축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엔진 크랭크축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2 이상의 부분으로 분할되는 환형 체임버를 형성하는 제1질량체;
    상기 제1질량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클러치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2질량체; 및
    상기 제1질량체와 상기 제2질량체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댐핑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댐핑유닛은,
    상기 환형 체임버의 상기 분할된 부분에 직렬로 차례로 배치되는 복수의 코일 스프링;
    상기 환형 체임버의 상기 분할된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코일 스프링 중 양끝단의 코일 스프링의 외측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엔드 가이드; 및
    상기 이웃하는 코일 스프링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질량체와 상기 제2질량체의 상대 회전량에 비례하는 마찰력이 발생하도록 상기 코일 스프링의 압축에 대응하여 상기 제1질량체와 마찰되도록 구성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2질량체에 결합되며, 상기 제1질량체와 상기 제2질량체 사이의 상대 회전이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댐핑유닛을 압축하도록 구성되는 드라이브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비틀림 진동 댐퍼.
KR1020030089550A 2003-12-10 2003-12-10 비틀림 진동 댐퍼 KR100598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9550A KR100598843B1 (ko) 2003-12-10 2003-12-10 비틀림 진동 댐퍼
JP2004153658A JP2005172216A (ja) 2003-12-10 2004-05-24 ねじれ振動ダンパー
DE102004027149A DE102004027149B4 (de) 2003-12-10 2004-06-03 Torsionsschwingungsdämpfer
CNB2004100479281A CN100371625C (zh) 2003-12-10 2004-06-09 扭转振动缓冲器
US10/882,117 US7484434B2 (en) 2003-12-10 2004-06-30 Torsional vibration damp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9550A KR100598843B1 (ko) 2003-12-10 2003-12-10 비틀림 진동 댐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6520A KR20050056520A (ko) 2005-06-16
KR100598843B1 true KR100598843B1 (ko) 2006-07-11

Family

ID=34651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9550A KR100598843B1 (ko) 2003-12-10 2003-12-10 비틀림 진동 댐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484434B2 (ko)
JP (1) JP2005172216A (ko)
KR (1) KR100598843B1 (ko)
CN (1) CN100371625C (ko)
DE (1) DE102004027149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169171B (zh) * 2006-10-26 2011-09-07 卢克摩擦片和离合器两合公司 扭转振动减振器
KR100984193B1 (ko) * 2007-09-29 2010-09-28 한국전력공사 비틀림 진동흡수용 커플링 댐퍼
DE102008059263A1 (de) * 2007-12-19 2009-06-25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Drehschwingungsdämpfer
JP5098825B2 (ja) * 2008-06-03 2012-12-12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トルク変動吸収装置
KR100973153B1 (ko) * 2008-07-02 2010-07-30 주식회사평화발레오 토션댐퍼플라이휠
JP5151810B2 (ja) * 2008-08-27 2013-02-2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ダンパ装置
CN101832358B (zh) * 2010-03-26 2011-11-09 北京工业大学 控制结构多维振动的陀螺减振阻尼器及其制作方法
JP5500225B2 (ja) * 2012-09-11 2014-05-2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ダンパ装置
KR101406656B1 (ko) * 2012-12-10 2014-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듀얼 매스 플라이휠
US10393222B2 (en) * 2014-04-01 2019-08-27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Centrifugal pendulum
JP2017048884A (ja) * 2015-09-03 2017-03-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ダンパー
US9841060B2 (en) * 2015-10-20 2017-12-12 Valeo Embrayages Torsional vibration damper for hydrokinetic torque coupling device with inner and outer elastic damping members connected in series
US10060504B2 (en) * 2016-04-21 2018-08-28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Centrifugal pendulum absorber including springs fixed to circumferential edges of masses
CN110621906B (zh) * 2017-05-17 2021-07-30 舍弗勒技术股份两合公司 具有离心力摆的无盖的双质量飞轮
US11236800B2 (en) 2018-03-19 2022-02-01 Exedy Corporation Damper device
JP7179628B2 (ja) * 2018-03-19 2022-11-29 株式会社エクセディ ダンパ装置
CN110439968B (zh) * 2018-05-04 2023-04-07 南京法雷奥离合器有限公司 扭转减振阻尼系统
US10837485B2 (en) 2018-05-07 2020-11-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a crankshaft stabilizing device
DE102018207837A1 (de) * 2018-05-18 2019-11-21 Audi Ag Zweimassenschwungrad
DE102018222514B4 (de) 2018-12-20 2022-08-04 Audi Ag Antriebseinrichtung
JP7252781B2 (ja) * 2019-02-22 2023-04-05 株式会社エクセディ ダンパ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93252B1 (fr) * 1986-01-22 1990-09-07 Valeo Volant amortisseur pour transmission,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JPS647945A (en) * 1986-11-27 1989-01-11 Toshiba Electric Equip Ultraviolet-ray irradiation device
JPS647946A (en) * 1987-06-29 1989-01-11 Daishiro Fujishima Method for preventing discoloration of plated decorative article
FR2620502B1 (fr) * 1987-09-10 1989-12-08 Valeo Dispositif amortisseur de torsion
US5156067A (en) * 1988-04-01 1992-10-20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Torsional damper type flywheel device
FR2641048B1 (ko) * 1988-12-28 1991-03-08 Valeo
EP0478106A3 (en) * 1990-09-19 1992-11-19 Borg-Warner Automotive Transmission And Engine Components Corporation Long travel damper
DE4128868A1 (de) * 1991-08-30 1993-03-04 Fichtel & Sachs Ag Zweimassenschwungrad mit gleitschuh
DE4141723C2 (de) * 1991-12-20 1999-12-16 Mannesmann Sachs Ag Torsionsschwingungsdämpfer mit Leerlauffederung
FR2721084B1 (fr) * 1994-06-08 1996-08-23 Valeo Embrayage de verrouillage, notamment pour véhicules automobiles.
JPH10141472A (ja) * 1996-11-07 1998-05-29 Exedy Corp ダンパー機構
JP3717091B2 (ja) * 1997-02-28 2005-11-16 株式会社エクセディ 摩擦抵抗発生機構
DE19733334B4 (de) * 1997-08-01 2009-01-22 Zf Sachs Ag Torsionsschwingungsdämpfer
CN1112525C (zh) * 1998-03-25 2003-06-25 卢克摩擦片和离合器有限公司 扭转振荡阻尼器
DE19830432A1 (de) * 1998-07-08 2000-01-13 Rohs Voigt Patentverwertungsge Verfahren zur Dämpfung von Torsionsschwingungen sowie Torsionsschwingungsdämpfer
JP3739670B2 (ja) * 2001-05-17 2006-01-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原動機のフライホイール装置
KR100452260B1 (ko) 2002-04-12 2004-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진동감쇠장치
JP4016398B2 (ja) * 2003-03-20 2007-12-05 現代自動車株式会社 ねじれ振動ダンパー
KR100598845B1 (ko) * 2004-07-06 2006-07-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비틀림 진동 댐퍼
KR100614444B1 (ko) * 2004-08-11 2006-08-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비틀림 진동 댐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484434B2 (en) 2009-02-03
DE102004027149B4 (de) 2007-06-06
KR20050056520A (ko) 2005-06-16
DE102004027149A1 (de) 2005-07-14
CN100371625C (zh) 2008-02-27
CN1626848A (zh) 2005-06-15
US20050126332A1 (en) 2005-06-16
JP2005172216A (ja) 2005-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8843B1 (ko) 비틀림 진동 댐퍼
US7204761B2 (en) Torsional vibration damper
KR100598845B1 (ko) 비틀림 진동 댐퍼
US7364511B2 (en) Torsional vibration damper
EP1626197B1 (en) Torsional vibration damper
GB2085552A (en) Damper Disc
US4269296A (en) Two-stage coaxial spring damper
EP1686285B1 (en) A torsional vibration damper
KR100264702B1 (ko) 마찰생성 메커니즘을 가지는 댐퍼 메커니즘
KR100452260B1 (ko) 진동감쇠장치
KR100569144B1 (ko) 차량의 비틀림 진동 댐퍼
JPH062048Y2 (ja) ト−シヨナルダンパ付フライホイ−ル
JP3264294B2 (ja) 捩じり振動減衰装置
WO2022190685A1 (ja) クラッチ装置およびこれに用いるクラッチアウター
KR100471254B1 (ko) 이중 질량 플라이휠
JPH054460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