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8830B1 - 오일링이 내장된 듀얼 매스 플라이휠 - Google Patents

오일링이 내장된 듀얼 매스 플라이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8830B1
KR100638830B1 KR1020050021670A KR20050021670A KR100638830B1 KR 100638830 B1 KR100638830 B1 KR 100638830B1 KR 1020050021670 A KR1020050021670 A KR 1020050021670A KR 20050021670 A KR20050021670 A KR 20050021670A KR 100638830 B1 KR100638830 B1 KR 100638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ring
flywheel
dual mass
mass flywheel
drive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1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0044A (ko
Inventor
김동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진클러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진클러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진클러치
Priority to KR1020050021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8830B1/ko
Publication of KR20060100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0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8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8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86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 thermost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87Hand-held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03Cataplasms, poultices or compresses, characterised by their contents; Bags therefor
    • A61F2007/0204Cataplasms, poultices or compresses, characterised by their contents; Bags therefor containing clay, mud, fango, sand, kaolin clay, volcanic or other inorganic granular sol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의 그리스나 오일이 균일하게 분포하도록 하는 오일링이 내장된 듀얼 매스 플라이휠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제 1, 2 플라이휠(400, 100), 및 상기 제 1, 2 플라이휠(400, 100) 사이에 조립되는 커버(200)와 피동판(300)으로 구성된 듀얼 매스 플라이휠에 있어서, 피동판(300)의 양면중 어느 한 일면의 둘레에 함몰 형성된 오일링 저널부(340); 오일링 저널부(340)에 안착되어 회전 가능한 오일링(330); 및 오일링(330)이 오일링 저널부(340) 상에서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하는 일방향 회전수단이 제공된다.
듀얼, 매스, 플라이휠, 그리스, 스프링, 누설, 방지, 오일링, 저널

Description

오일링이 내장된 듀얼 매스 플라이휠{Dual mass flywheel embedding with oil ring}
도 1은 종래의 듀얼 매스 플라이휠(10)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듀얼 매스 플라이휠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듀얼 매스 플라이휠중 원주 스프링(500)이 조립된 제 1 플라이휠(400)의 평면도,
도 4는 도 3과 같은 상태에서 피동판(300)이 조립된 상태의 평면도,
도 5는 도 2중 피동판(300)의 A-A부분에 대한 반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링이 내장된 듀얼 매스 플라이휠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중 피동판(300)의 확대 사시도,
도 8은 도 7중 B-B부분에 대한 반단면도와 부분 확대도,
도 9는 도 6에서, 제 1 플라이휠(400), 원주스프링(500) 및 오일링이 구비된 피동판(300)이 조립된 상태의 평면도,
도 10은 도 8과 도 9에 도시된 오일링(330)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듀얼 매스 플라이휠, 100 : 제 2 플라이휠,
110 : 제 1 리벳구멍, 120 : 클러치 커버 취부공,
200 : 커버, 210 : 커버 고정부,
300 : 피동판, 310 : 피동판 테일,
320 : 제 2 리벳구멍, 330 : 오일링,
332 : 널링부, 334 : 내치차,
336 : 상면, 338 : 와이어,
340 : 오일링 저널부, 400 : 제 1 플라이휠,
410 : 스토퍼, 420 : 외측유동로,
430 : 내측유동로, 440 : 지지부공간,
450 : 치차, 460 : 제 3 리벳구멍,
470 : 클러치축 연결공, 500 : 원주스프링,
510 : 스프링 지지부, 520 : 제 1 스프링,
530 : 제 2 스프링.
본 발명은 오일링이 내장된 듀얼 매스 플라이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의 그리스나 오일이 균일하게 분포하도록 하는 오일링이 내장된 듀얼 매스 플라이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내부에는 엔진과 트랜스미션 사이에 클러치가 구비된다. 이러한 클러치는 엔진의 회전력을 트랜스미션쪽으로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클러치에는 회전 관성 모멘트를 크게 하기 위하여 플라이휠이 장착되는데 이러한 플라이휠중 하나가 듀얼 매스 플라이휠(일명, 이중 질량 플라이휠이라고도 함)이다.
플라이휠의 후단부 굽힘진동에 의한 영향은 엔진의 럼블 소음뿐만 아니라, 차량 실내소음에도 매우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대개 250 ~ 400 Hz에서 동력기관의 전체 진동뿐만 아니라 구동축의 진동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듀얼 매스 플라이 휠을 적용하여 크랭크 축 후단부의 굽힘진동을 개선시키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듀얼 매스 플라이휠(10)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에 치차(450)가 일체로 형성된 제 1 플라이휠(400)의 내부에는 제 2 플라이휠(100)이 끼워지고, 양자는 리벳으로 조립된다. 이를 위해, 제 1 플라이휠(400)의 내경영역에는 다수의 제 3 리벳구멍(460)이 형성되어 있고, 제 2 플라이휠(100)의 내경영역에도 다수의 제 1 리벳구멍(110)이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듀얼 매스 플라이휠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듀얼 매스 플라이휠(10)의 내부는 크게 제 2 플라이휠(100), 커버(200), 피동판(300), 제 1 플라이휠(400)로 구성된다.
제 2 플라이휠(100)은 제 1 플라이휠(400)의 내부에 삽입되며, 회전 관성 모멘트를 크게 하기 위하여 중량 있는 금속으로 제작된다. 그리고, 제 2 플라이휠(100)의 둘레에는 클러치 커버와 연결하기 위한 클러치 커버 취부공(120)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플라이휠(100)의 내경영역에는 리벳 연결을 위한 제 1 리벳구멍(110)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커버(200)는 환형 디스크 형상이며, 서로 마주보는 양측에 한쌍의 커버고정 정부(21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커버고정부(210)는 프레스 가공을 통해 함몰 형성됨으로서 제작된다. 가공된 커버 고정부(210)는 추후 설명하는 스토퍼(410) 위에 삽입된다. 이러한 커버(200)의 외경 둘레는 제 1 플라이휠(400)의 내경과 일체로 용접된다. 이는 내부의 그리스 등이 원심력에 의해 흘러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피동판(300)은 대략 환형 디스크 형상이며, 커버(200)의 일측에 구비된다. 서로 마주보는 양단에 피동판 테일(310)이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피동판 테일(310)은 추후 설명하는 스토퍼(410) 위에 삽입된다. 피동판(300)의 내경 영역에는 리벳이 관통되는 제 2 리벳구멍(320)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제 1 플라이휠(400)은 외경 둘레에 치차(45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 관성 모멘트를 크게 하기 위하여 중량 있는 금속으로 제작된다. 제 1 플라이휠(400)의 내부중 바닥면에는 지지부 공간(440)이 환형으로 함몰 형성되고 있고, 이러한 지지부공간(440)에는 복수개의 원주스프링(500)이 삽입된다. 원주스프링(500)은 지지부공간(440) 내부에서 탄성력을 이기고 압축되면서 원주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 1 플라이휠(400)의 바닥면 중심영역에는 클러치축(미도시)과의 연결을 위한 복수의 클러치축 연결공(470)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플라이휠(400)의 바닥중 원주영역은 원주스프링(500)이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환형의 지지부공간(44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지지부공간(440)중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는 한쌍의 스토퍼(410)가 돌출되어 있다. 한쌍의 스토퍼(410)의 외측과 내측은 각각 그리스나 오일이 이동할 수 있는 외측유동로(420)와 내측유동로(430)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스토퍼(410)를 중심으로 8개의 원주 스프링(500)이 4개씩 한 셋트를 이루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부공간(440)과 원주스프링(500) 주변의 각 빈공간에는 그리스나 오일이 주입된다.
원주스프링(500)은 크게 한쌍의 스프링 지지부(510)와 한쌍의 코일 스프링(520, 5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프링 지지부(510)는 합성수지재로서, 한쌍의 코일 스프링(520, 530)의 양단을 지지한다. 그리고, 스프링 지지부(510)는 지지부 공간(440) 내부에서 움직일 수 있는 크기를 가지고 있으며, 제 1 플라이휠(400)과의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외경에 다수의 그리스홈(부재번호 미부여)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마찰력이 증대되면 엑셀을 밟을 때 동력계통이 진동하면서 충격을 발생시키는 쇼크 저크(Shork jerk) 현상이 완화된다.
또한, 한 쌍의 코일 스프링(520, 530)은 다시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제 1 스프링(520)과, 이러한 제 1 스프링(520)의 내부에 삽입되는 작은 직경의 제 2 스프링(530)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한쌍의 스프링 지지부(510) 사이에는 제 1, 2 스프링(520, 530)이 병렬로 연결된다. 이는 협소한 공간내에서 최대의 탄성력을 얻기 위함이다.
도 4는 도 3과 같은 상태에서 피동판(300)이 조립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2중 피동판(300)의 A-A부분에 대한 반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동판(300)의 피동판 테일(310)은 스토퍼(410) 위에 놓여진다. 그리 고, 원심력에 의하여 원주스프링(500)이 한쪽으로 압축되면 피동판 테일(310)에 의해 피동판(300)도 조금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듀얼 매스 플라이휠(10)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조립된다. 우선, 조립과정에서 원주스프링(500)을 조립한 다음 지지부 공간(440)을 회전시키면서 그리스를 투입한다. 이는 기어의 중립상태(아이들링 상태)에서 낮은 마찰력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그러면 원심력에 의해 외곽에 골고루 분포하게 된다. 그 다음, 피동판(300)과 커버(200)를 닫고, 커버(200)의 외곽 둘레를 제 1 플라이휠(400)과 용접하여 고정한다. 그러면, 원심력에 의해 그리스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듀얼 매스 플라이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는다. 이론적으로는 투입된 그리스는 원심력에 의해 지지부공간(440)의 내부에 균일하게 분포하여야 한다. 그러나, 고속회전과 저속회전이 반복되면서 원주 스프링(500)은 원심력에 의한 압축과 복원을 반복하게 된다. 이는 원주스프링(500)이 환형의 지지부공간(440) 내부에서 왕복 주행운동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원주 스프링(500)이 왕복 주행운동을 함에 따라 균일하게 분포하던 그리스가 특정 위치에 모여드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그리스의 뭉침 현상은 플라이휠의 사용기간이 늘어나면서 더욱 심화된다. 그 결과, 어느 시점부터는 뭉쳐진 그리스가 커버(200)의 내경을 통해 유출되는 현상을 유발한다. 이와 같이 유출되는 그리스는 인접한 클러치에 침투하여 클러치 마찰면의 마찰작용을 저하시키는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그리스의 뭉침 현상을 완화하기 위하여 종래의 기술에서는 그리스의 뭉침이 주로 스토퍼(410) 주변에서 많이 발생한다는 점을 착안하여 스토퍼(410)의 반경방향 외측과 내측에 외측유동로(420)와 내측유동로(430)를 각각 형성하였다. 이와 같은 유동로(420, 430)의 형성으로 인해 뭉쳐진 그리스가 반대쪽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설계변경은 매우 국부적인 해결책이 될 뿐이어서 앞서 지적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은 완전히 해결될 수 없었다. 따라서, 그리스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다각적인 연구와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듀얼 매스 플라이휠 내부에 존재하는 그리스가 일정하게 분포하도록 하여 그리스의 외부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오일링이 내장된 듀얼 매스 플라이휠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제 1, 2 플라이휠(400, 100), 및 상기 제 1, 2 플라이휠(400, 100) 사이에 조립되는 커버(200)와 피동판(300)으로 구성된 듀얼 매스 플라이휠에 있어서,
상기 피동판(300)의 양면중 어느 한 일면의 둘레에 함몰 형성된 오일링 저널부(340); 및
상기 오일링 저널부(340)에 안착되어 회전 가능한 오일링(330);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링이 내장된 듀얼 매스 플라이휠에 의해 달성될 수 있 다.
그리고, 오일링(330)은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오일링(330)은 합성수지재로 성형되고 내부에 회전관성을 키우기 위한 금속 와이어(338)가 더 내장될 수 있다.
아울러, 오일링(330)의 반경방향 외면은 그리스의 유동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널링 가공된 널링부(332)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오일링(330)이 상기 오일링 저널부(340) 상에서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하는 일방향 회전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앞서 기술된 일방향 회전수단은 오일링(330)의 반경방향 내면에 둘레를 따라 반복적으로 형성된 내치차(334)일 수 있다.
또한, 오일링(330)의 반경방향 폭은 3 mm ~ 10 mm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 도면들과 관련되어 설명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종래기술과 동일부재에 대해서는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부재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링이 내장된 듀얼 매스 플라이휠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에 치차(450)가 일체로 형성된 제 1 플라이휠(400)의 내부에는 제 2 플라이휠(100)이 끼워지고, 양자는 리벳으로 조립된다. 이를 위해, 제 1 플라이휠(400)의 내경영역에는 다수의 제 3 리벳구멍(460)이 형성되어 있고, 제 2 플라이휠(100)의 내경영역에도 다수의 제 1 리벳구멍(110)이 형성되어 있다.
듀얼 매스 플라이휠(10)의 내부는 크게 제 2 플라이휠(100), 커버(200), 피동판(300), 제 1 플라이휠(400)로 구성된다.
제 2 플라이휠(100)은 제 1 플라이휠(400)의 내부에 삽입되며, 회전 관성 모멘트를 크게 하기 위하여 중량 있는 금속(예를 들어, 스틸)으로 제작된다. 그리고, 제 2 플라이휠(100)의 둘레에는 클러치 커버와 연결하기 위한 클러치 커버 취부공(120)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플라이휠(100)의 내경영역에는 리벳 연결을 위한 제 1 리벳구멍(110)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커버(200)는 환형 디스크 형상이며, 서로 마주보는 양측에 한쌍의 커버고정부(21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커버고정부(210)는 프레스 가공을 통해 함몰 형성됨으로서 제작된다. 가공된 커버 고정부(210)는 추후 설명하는 스토퍼(410) 위에 삽입된다. 이러한 커버(200)의 외경 둘레는 제 1 플라이휠(400)의 내경과 일체로 용접된다. 이는 내부의 그리스 등이 원심력에 의해 흘러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피동판(300)은 대략 환형 디스크 형상이며, 커버(200)의 일측에 구비된다. 서로 마주보는 양단에 피동판 테일(310)이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피동판 테일(310)은 추후 설명하는 스토퍼(410) 위에 삽입된다. 피동판(300)의 내경 영역에 는 리벳이 관통되는 제 2 리벳구멍(320)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피동판(300)의 구체적인 형상은 도 7과 도 8에서 하기로 한다.
제 1 플라이휠(400)은 외경 둘레에 치차(45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 관성 모멘트를 크게 하기 위하여 중량 있는 금속(예를 들어, 스틸)으로 제작된다. 제 1 플라이휠(400)의 내부중 바닥면에는 지지부 공간(440)이 환형으로 함몰 형성되고 있고, 이러한 지지부공간(440)에는 복수개의 원주스프링(500)이 삽입된다. 원주스프링(500)은 지지부공간(440) 내부에서 탄성력을 이기고 압축되면서 원주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 1 플라이휠(400)의 바닥면 중심영역에는 클러치축(미도시)과의 연결을 위한 복수의 클러치축 연결공(470)이 형성되어 있다.
도 7은 도 6중 피동판(300)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중 B-B부분에 대한 반단면도와 부분 확대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동판(300)의 원주 둘레에는 오일링 저널부(34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오일링 저널부(340)는 평활한 수직면과 수평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오일링(330)은 이러한 오일링 저널부(340) 상에 그대로 얻혀진다. 따라서, 오일링(330)은 오일링 저널부(340) 상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커버(200)가 상면에 조립되기 때문에 오일링(330)이 빠지지는 않는다. 이러한 오일링(330)과 오일링 저널부(340) 사이에는 그리스에 의한 유막이 형성되어 원활한 윤활이 가능하다. 오일링(330)의 구체적인 형상에 대해서는 도 10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도 6에서, 제 1 플라이휠(400), 원주스프링(500) 및 오일링(330)이 구비된 피동판(300)이 조립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된 상태에서 오일링(330)은 화살표방향(도 9를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상대 회전이 가능하다. 이러한 회전은 엔진의 회전변동이 플라이휠에 전해지는 고주파 진동에 의해 일어나게 된다. 또한, 오일링(330)의 형상을 반대로 하여 시계방향의 회전이 일어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은 도 8과 도 9에 도시된 오일링(330)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의 오일링(330)은 플라스틱 소재나 세라믹, 실리콘 소재 등을 사출하여 제작한다. 오일링(330)의 내부에는 원주 둘레를 따라 금속재의 와이어(338)가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와이어(338)는 인서트 사출 등을 통해 제작할 수 있으며, 플라스틱 소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무겁기 때문에 오일링(330)의 회전관성 모멘트를 증가시키게 된다. 이러한 오일링(330)의 반경방향 폭은 3 mm ~ 10 mm 일 수 있다. 만약, 3mm 보다 작다면 그리스의 이송 배분 효과가 미미하고, 10 mm 이상이면 회전하는 오일링(330)과 고정된 커버(200) 사이에 간섭이 있을 수 있다.
오일링(330)의 반경방향 내면에는 내치차(334)가 한 원주방향을 따라 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내치차(334)는 치형 물림을 하는 것이 아니라 오일링 저널부(340)의 수직벽과 맞닿은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내치차(334)는 직각 삼각형 형상이나 일측으로 기울어진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듀얼 매스 플라이휠에 미세한 (회전)진동이 전해지면, 오일링(330)이 상대적인 진동을 하게 된다. 이 때, 내치차(334)에 의해 일방향 움직임의 마찰력과 반대방향 움직임의 마찰력이 차이나게 된다. 이러한 차이가 지속되면 오일링(330)은 상대 회전을 하게 된다. 즉, 내치차 (334)가 양방향 진동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을 차이나게 하는 것이다.
널링부(332)는 오일링(330)의 반경방향 외면에 가공되어 있다. 이러한 널링부(332)는 외면의 표면 거칠기를 매우 거칠게 하는 효과가 있어서, 점착되어 있는 그리스를 원주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용이하도록 한다. 즉, 오일링(330)이 회전함에 따라 널링부(332)에 묻어 있던 그리스는 널링부(332)가 없을 때에 비해 더 많이 이동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듀얼 매스 플라이휠의 조립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제 1 플라이휠(400)에 8개의 원주스프링(500)을 위치시킨다. 그 다음, 제 1 플라이휠(400)을 회전시키면서 그리스를 주입한다. 그러면, 그리스가 원심력에 의해 지지부 공간(440)과 원주스프링(500) 내부의 빈공간을 채우면서 충진된다.
그 다음, 도 7에 도시된 피동판(300)을 제 1 플라이휠(400)에 조립하여 도 9와 같은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 때, 피동판 테일(310)이 스토퍼(410) 위에 놓이도록 한다. 그리고, 피동판(300)의 오일링 저널부(340)에 오일링(330)을 얹져 놓는다.
그 다음, 커버(200)를 덮고, 커버(200)의 둘레면과 제 1 플라이휠(400)의 내경면을 용접한다. 그리고, 제 2 플라이휠(100)을 조립한 다음, 제 1, 2, 3 리벳구멍(110, 320, 460)을 공통적으로 관통하도록 리벳(미도시)을 체결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매스 플라이휠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조립된 듀얼 매스 플라이휠의 동작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듀얼 매스 플라이휠의 사용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공장에서 출하되던 상태와 달리 플라이휠 내부의 그리스는 일부에서 뭉치게 된다. 그러나, 플라이휠에 가해지는 미세하고 지속적이며 고주파 성격의 진동에 의해 오일링(330)은 피동판(300)에 대해 상대 운동(예를 들어, 회전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이 때, 일방향 상대 회전으로 일어나는 마찰력(오일링과 오일링 저널부 사이의 마찰력)과 반대방향 상대회전으로 일어나는 마찰력(오일링과 오일링 저널부 사이의 마찰력) 사이에는 차이가 발생한다. 이는 오일링(330)의 내벽에 돌출된 비대칭 내치차(334)에 기인한다. 이러한 마찰력의 대소 차이로 인하여 오일링(330)은 마찰력이 작은 방향으로 미세하게 상대 회전하게 된다. 또는 마찰력이 작은 방향으로 더 많이 상대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현상이 지속되면서, 피동판(300)에 대해 오일링(330)은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때, 널링부(332)에 묻은 그리스가 함께 이동한다. 즉, 뭉쳐 있는 그리스속을 오일링(330)이 통과하면서 널링부(332)에 그리스가 묻게 되고, 이렇게 묻은 그리스는 다른 영역으로 이동하여 자연스럽게 다른 영역에 묻게 된다. 따라서, 그리스의 뭉침현상이 해소되고, 비교적 균일한 그리스의 분포가 달성된다.
본 발명에 개시된 듀얼 매스 플라이휠은 용량과 크기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오일링의 크기와 갯수도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일방향 회전수단으로 내치차를 예로 들었으나, 반드시 이에 국한할 필요없이, 폴과 래칫, 톱니치형 등과 같이 당업자에게 익숙한 다양한 일방향 회전수단 들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오일링을 피동판(300)의 상면에 위치시켰으나, 피동판(300)의 하면에 위치시킬 수도 있고, 피동판(300)의 양면에 위치시킬 수도 있다.
그 밖에 오일링과 오일링 저널부도 니들 베어링 등으로 대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듀얼 매스 플라이휠 내부에 존재하는 그리스가 일정하게 분포하도록 하여 그리스의 외부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듀얼 매스 플라이휠이 장기간 사용되어도 성능의 저하가 없이 일정한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클러치로의 그리스 누출이 없기 때문에 클러치의 안전작동에도 커다란 공헌을 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 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Claims (7)

  1. 제 1, 2 플라이휠(400, 100), 및 상기 제 1, 2 플라이휠(400, 100) 사이에 조립되는 커버(200)와 피동판(300)으로 구성된 듀얼 매스 플라이휠에 있어서,
    상기 피동판(300)의 양면중 어느 한 일면의 둘레에 함몰 형성된 오일링 저널부(340); 및
    상기 오일링 저널부(340)에 안착되어 회전 가능한 오일링(330); 으로 구성되고,
    상기 오일링(330)은 합성수지재로 성형되고 내부에 회전관성을 키우기 위한 금속 와이어(338)가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링이 내장된 듀얼 매스 플라이휠.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링(330)의 반경방향 외면은 그리스의 유동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널링 가공된 널링부(332)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링이 내장된 듀얼 매스 플라이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링(330)이 상기 오일링 저널부(340) 상에서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하는 일방향 회전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링이 내장된 듀얼 매스 플라이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회전수단은 상기 오일링(330)의 반경방향 내면에 둘레를 따라 반복적으로 형성된 내치차(33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링이 내장된 듀얼 매스 플라이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링(330)의 반경방향 폭은 3 mm ~ 10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링이 내장된 듀얼 매스 플라이휠.
KR1020050021670A 2005-03-16 2005-03-16 오일링이 내장된 듀얼 매스 플라이휠 KR100638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1670A KR100638830B1 (ko) 2005-03-16 2005-03-16 오일링이 내장된 듀얼 매스 플라이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1670A KR100638830B1 (ko) 2005-03-16 2005-03-16 오일링이 내장된 듀얼 매스 플라이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0044A KR20060100044A (ko) 2006-09-20
KR100638830B1 true KR100638830B1 (ko) 2006-10-26

Family

ID=37631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1670A KR100638830B1 (ko) 2005-03-16 2005-03-16 오일링이 내장된 듀얼 매스 플라이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88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160B1 (ko) * 2006-08-30 2008-02-19 주식회사평화발레오 우레탄 스프링을 사용하는 이중 질량 플라이휠
KR101114380B1 (ko) * 2009-09-23 2012-0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듀얼 매스 플라이휠
KR101510328B1 (ko) * 2009-10-06 2015-04-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듀얼 매스 플라이휠
KR101386865B1 (ko) * 2012-11-26 2014-04-17 평화크랏치공업 주식회사 듀얼 매스 플라이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0044A (ko) 2006-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45969B2 (ja) フライホイール
JP2818364B2 (ja) ねじり振動を減衰する装置
US3232597A (en) Dampers
EP1378683A2 (en) Flywheel device for prime mover
JPH09242825A (ja) トーショナルダンパ
US7364511B2 (en) Torsional vibration damper
US5370581A (en) Torsion damping device, especially for a motor vehicle
KR100598845B1 (ko) 비틀림 진동 댐퍼
KR100638830B1 (ko) 오일링이 내장된 듀얼 매스 플라이휠
US5935008A (en) Flywheel assembly having a damper mechanism that includes a friction hysterisis generating device
JPH01220745A (ja) 自動車用振動吸収型二重フライホイール
KR20220027063A (ko) 비틀림 진동 댐퍼
KR100614444B1 (ko) 비틀림 진동 댐퍼
EP0308829A2 (en) Torque variation absorbing device
KR100638831B1 (ko) 오일링이 내장된 듀얼 매스 플라이휠
KR101011111B1 (ko) 댐퍼플라이휠
KR100638832B1 (ko) 오일링이 내장된 듀얼 매스 플라이휠
KR102606635B1 (ko) 자동차용 원심력 진자 및 구동 어셈블리
JPH0533813Y2 (ko)
JP5074961B2 (ja) 車両用遠心クラッチ装置
JP3264292B2 (ja) 捩じり振動減衰装置
KR100569144B1 (ko) 차량의 비틀림 진동 댐퍼
KR102501221B1 (ko) 엘라스토머 베어링을 갖는, 특히 자동차용 진자 댐핑 장치
CN107869551A (zh) 尤其用于机动车的传扭装置
JPH1182630A (ja) トルク伝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