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0296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0296B1
KR100610296B1 KR1019980039898A KR19980039898A KR100610296B1 KR 100610296 B1 KR100610296 B1 KR 100610296B1 KR 1019980039898 A KR1019980039898 A KR 1019980039898A KR 19980039898 A KR19980039898 A KR 19980039898A KR 100610296 B1 KR100610296 B1 KR 100610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door
ice maker
refrigerator
compar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9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0143A (ko
Inventor
마사시 도요시마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30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01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0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02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25D23/126Water coo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122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the refrigerator is characterised by a water tank for the water/ice dispen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02Refrigerators including a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2Sensors detecting door opening

Abstract

급수 탱크의 탈착을 검출하는 별도의 스위치를 이용하지 않고 자동 제빙기에 으한 제빙 운전을 재개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냉장고(1)는 단열 하우징 부재(6) 내에 냉동실(13)과 냉장실(11)을 구획 형성하고, 냉동실(13) 내에는 자동 제빙기(21)를 설치하는 동시에, 냉장실(11) 내에는 급수 탱크(52)를 설치하고, 상기 급수 탱크(52)로부터 자동 제빙기(21)에 급수하여 제빙하는 제빙 동작을 실행하는 것으로서, 냉장실(11)의 개구를 개폐 가능하게 폐색하는 도어와, 이 도어의 개폐를 검출하는 도어 개폐 검출 수단과, 자동 제빙기(21)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제어 수단은 급수 탱크(52)로부터의 급수의 유무를 검출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급수 탱크(52)로부터의 급수가 없는 경우 자동 제빙기(21)의 제빙 동작을 정지시키며 도어 개폐 검출 수단이 도어의 개폐를 검출한 시점으로부터 소정 기간 후에 자동 제빙기(21)의 제빙 동작을 재개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동실 내부에 자동 제빙기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이러한 종류의 냉장고는, 예를 들어 일본 실용 신안 공고 평6-12301호 공보(F25D23/00)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단열 하우징 부재 내에 냉동실과 냉장실이 구성되어 있는 데, 최근에는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냉동실 내부에 항상 얼음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자동 제빙기가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이 자동 제빙기는 냉장실 내에 배치된 급수 탱크로부터 펌프에 의해 급수되고, 냉동실 내의 냉기를 이용하여 제빙을 행하는 것인 데, 급수 탱크 내의 물이 비어 있게 되는 경우 냉장실로부터 급수 탱크를 취출하고(그 때, 급수 탱크는 급수 파이프로부터 떼어내는), 주수한 후 다시 냉장실 내에 설치하여 급수 파이프에 접속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종래에는 급수 탱크가 설치된 위치에 검출 스위치를 설치하여 관련된 급수 탱크의 탈착을 검출하고, 자동 제빙기에 의한 제빙 운전을 재개시키는 방식이 채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이 검출 스위치는 급수 탱크의 후방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물 등의 침입이 고려된다. 그로 인해, 접점이 노출된 스위치를 사용할 수 없으며, 리드 스위치 및 홀 IC 등으로 구성된 고가의 비접촉식 스위치를 이용해야만 하므로, 비용 상승이 문제가 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급수 탱크의 탈착을 검출하는 별도의 스위치를 이용하지 않고 자동 제빙기에 의한 제빙 운전을 재개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냉장고는 단열 하우징 부재 내에 냉동실과 냉장실을 구획 형성되고, 냉동실 내에는 자동 제빙기를 설치하는 동시에, 냉장실 내에는 급수 탱크를 설치하고, 상기 급수 탱크로부터 자동 제빙기에 급수하여 제빙하는 제빙 동작을 실행하는 것으로서, 냉장실의 개구를 개폐 가능하게 폐색하는 도어와, 이 도어의 개폐를 검출하는 도어 개폐 검출 수단과, 자동 제빙기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제어 수단은 급수 탱크로부터의 급수의 유무를 검출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급수 탱크로부터의 급수가 없는 경우는 자동 제빙기의 제빙 동작을 정지시키고 도어 개폐 검출 수단이 도어의 개폐를 검출한 경우에 먼저 급수 파이프 히터를 온으로 하고, 이 검출한 시점으로부터 소정 기간 후에 자동 제빙기의 제빙 동작을 재개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열 하우징 부재 내에 냉동실과 냉장실을 구획 형성되고, 냉동실 내에는 자동 제빙기를 설치하는 동시에, 냉장실 내에는 급수 탱크를 설치하고, 상기 급수 탱크로부터 자동 제빙기에 급수하여 제빙하는 제빙 동작을 실행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냉장실의 개구를 개폐 가능하게 폐색하는 도어와, 이 도어의 개폐를 검출하는 도어 개폐 검출 수단과, 자동 제빙기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제어 수단은 급수 탱크로부터의 급수 유무를 검출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급수 탱크로부터의 급수가 없는 경우는 자동 제빙기의 제빙 동작을 정지시키고, 도어 개폐 검출 수단이 도어의 개폐를 검출한 시점으로부터 소정 기간 후에, 자동 제빙기의 제빙 동작을 재개하도록 하였으므로, 종래 이용되고 있던 급수 탱크의 탈착 검지용 스위치를 이용하지 않고 자동 제빙기의 제빙 동작을 재개시킬 수 있으며, 현저한 비용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빙 동작의 재개시에 급수 파이프의 동결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제2항에 개시된 발명의 냉장고는 상기에다가 급수 탱크 내의 물을 자동 제빙기에 공급하는 펌프와, 이 펌프의 통전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제어 수단은 이 펌프를 소정 기간 운전하여 자동 제빙기에 급수하는 동시에, 전류 검출 수단의 출력을 기초로 하여 펌프의 통전 전류가 소정치로 저하한 경우에 강제적으로 상기 펌프를 정지하는 것이다.
청구항 제2항에 개시된 발명에 따르면, 상기에다가 급수 탱크 내의 물을 자동 제빙기에 공급하는 펌프와, 이 펌프의 통전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제어 수단은 이 펌프를 소정 기간 운전하여 자동 제빙기에 급수하는 동시에, 전류 검출 수단의 출력을 기초로 하여 펌프의 통전 전류가 소정치로 저하된 경우에 강제적으로 상기 펌프를 정지시킴으로써, 도어가 개폐되어도 급수 탱크가 주수되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의 펌프의 공운전을 신속하게 정지하고, 공운전에 의한 소음 발생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에, 도면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서술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냉장고의 정면도, 도2는 단열 도어를 제거한 냉장고의 정면도, 도3은 용기 등을 제거한 마찬가지로 단열 도어를 제거한 냉장고의 정면도, 도4는 본 발명의 냉장고의 종단측면도, 도5는 냉장고의 또 하나의 종단측면도, 도6은 냉장고의 또 다른 하나의 종단측면도이다.
냉장고(1)는 강판으로 된 외부 하우징(2)과, ABS 등의 경질 수지로 된 내부 하우징(3) 사이에 발포 폴리우레탄 등의 단열재(4)를 현장 발포 방식으로 충전하여 이루어진 전방면 개구의 단열 하우징 부재(6)로 구성되어 있다. 이 단열 하우징 부재(6)의 내부는 상부 구획벽(8), 중간 구획벽(7) 및 하부 구획벽(9)에 의해 상하 4개의 실로 구획되어 있으며, 상부 구획벽(8)의 상방을 냉장실(11), 하부 구획벽(9)의 하방을 야채실(12), 상부 구획벽(8)과 중간 구획벽(7) 사이를 빙온실(10), 중간 구획벽(7)과 하부 구획벽(9) 사이를 냉동실(13)로 하고 있다. 그리고, 중간 구획벽(7)과 하부 구획벽(9)의 중간에 있어서의 개구 모서리에는 구획 전방 부재(15)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냉장실(11)의 전방면 개구는 여닫이식 단열 도어(14, 14)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폐색되는 동시에, 냉동실(13) 및 야채실(12)은 상면 개구의 용기(16A, 17A, 18A)를 구비한 서랍식 단열 도어16, 17[냉동실(13)은 이들 상하 2단], 18에 의해 각각 개폐 가능하게 폐색되어 있다. 그리고, 빙온실(10)도 상면 개구의 용기(19A)를 구비한 서랍식 단열 도어(19)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폐색되어 있다.
또한, 냉동실(13)의 상부 좌측 구석부에는 자동 제빙기(2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자동 제빙기(21)는 도시되지 않은 제빙 접시와, 이 제빙 접시를 회전시켜 비트는 제빙기 모터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냉동실(13)의 안 쪽은 구획판(22) 및 냉각기 전방판(23)에서 앞뒤로 구획되고, 냉각기 전방판(23)의 후방측에 냉각실(24)이 구획 형성되어 있으며, 이 냉각실(24) 내에 냉각기(26)가 세로로 설치되어 있다. 이 냉각기(26)의 중앙 상방에는 송풍기(29)가 설치되어 있으며, 냉각기(26)의 하방에는 서리 제거 히터(3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구획판(22)의 상부 및 중앙부에는 복수의 냉동실 토출구(13A, …)가 형성되는 동시에, 구획판(22)의 하부 좌우에는 냉동실 흡입구(13B, 13B)가, 또한 이들 사이의 하부 중앙부에도 냉동실 흡입구(13C, 13C)가 인접하게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편, 냉각기 전방판(23)은 구획판(22)의 후방측에 약간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으며, 그 상부에는 송풍기(29)의 팬(32)이 대면하는 그릴(23A)이 형성되어 있다. 팬(32)의 전방측 구획판(22)과 냉각기 전방판(23) 사이의 공간은 상기 냉동실(13A, …)에 연통되어 있다. 냉각기 전방판(23)의 하부 중앙부에는 개구(23B)가 형성되고, 상기 냉동실 흡입구(13C, 13C)와 냉각실(24) 내에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냉동실 흡입구(13B, 13B)는 냉각기 전방판(23)의 하단부를 경유하여 냉각실(24)의 최하부에 연통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냉각기(26)는 도11 내지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설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알루미늄 박판으로 된 핀(27, …)과, 이들 핀(27, …)을 관통하는 냉매 배관(28)으로 이루어지는 소위 플레이트 핀형의 열교환기이며, 냉각기(26) 하단부의 핀 밀도(피치)는 소하게 되고, 또 중앙부를 제외한 좌우 전후부의 핀 밀도도 소하게 되어 있다.
즉, 각 핀(27, …)의 상하 치수는 2장 내지 3장의 핀(27, …)이 연속하여 짧게, 그들을 사이에 둔 좌우의 핀(27)이 길게 구성되고, 중앙부에 있어서는 짧은 핀(27)의 상하 치수가 한 장 간격으로 더욱 짧아져 있다. 그리고, 좌우에 위치하는 각 핀(27, …)의 전후 폭도 한 장 간격으로 좁게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냉각기(26)의 하부 모서리부에는 핀 밀도가 소한 영역(26A)이, 또 중앙부에는 영역(26A)으로부터 연속하여 상승되며, 상하에 있어서의 중앙부보다 약간 하부까지 연장되는 핀 밀도가 소한 영역(26B)이, 또한 좌우의 전후 모서리[냉기가 유통하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핀(27)의 모서리부가 위치하는 냉각기(26)의 외측 부분]에도 핀 밀도가 소한 영역(26C, …)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영역(26B)은 상기 송풍기(29)의 하방에 대응하는 동시에 상기 개구(23B)는 이 영역(26B)의 전방측에 대응하고 있다(도8).
송풍기(29)의 상방에는 중간 구획벽(7) 내에 삽입된 성형 단열재(38)의 후방부를 상하로 관통하는 형태로 안내 덕트(39)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안내 덕트(39)의 하부는 팬(32) 전방의 공간에 연통되고, 상부에는 성형 단열재(41) 내에 구성된 분기 덕트(42)가 연통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 분기 덕트(42)는 냉장실용 배플(43)과 빙온실용 배플(44)을 구비한 모터 댐퍼(46)를 경유하여 한 쪽은 냉장실 배면 덕트(47)에, 다른 쪽은 빙온실 덕트(48)에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용 배플(43)은 냉장실 배면 덕트(47)의 입구에 빙온실용 배플(44)은 빙온실 덕트(48)의 입구에 위치하고 있다.
냉장실(11) 안 쪽에는 내부 하우징(3) 배면과 간격을 두고 배면 덕트판(49)이 부착되어 있으며, 이 배면 덕트판(49)과 내부 하우징(3) 사이에 상하로 연장되는 상기 냉장실 배면 덕트(47)가 형성되어 있다. 배면 덕트판(49)의 전방면에는 냉장실 토출구(11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냉장실(11) 내에는 선반(51, …)이 복수의 단으로 가설되어 있다. 또한, 냉장실(11) 배면의 배면 덕트판(49)의 좌우 구석부에는 냉장실 후방 흡입구(6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냉장실 후방 흡입구(61)는 빙온실(10) 배면판(62)의 후방측 성형 단열재(38, 41) 측방에 형성된 귀환 덕트(63) 상부에 연통되어 있다.
또한, 냉장실(11)의 좌측 하부 구석부에는 상기 자동 제빙기(21)에 급수하기 위한 급수 탱크(52)가 수납되어 있다. 이 급수 탱크(52)는 도17 내지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전후로 가늘고 길게 개구된 탱크 본체(53)와, 이 탱크 본체(53)의 상면 개구를 폐색하는 커버(54)와, 이 커버(54)에 부착된 덮개 부재(56)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커버(54)의 전방부에는 직사각형의 오목 함몰부(54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오목 함몰부(54A)의 바닥면에도 또한 직사각형의 주입구(5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덮개 부재(56)는 후방 모서리 양측의 힌지부(56A, 56A)를 주입구(57) 후방의 커버(54)에 회전 가능하게 저어널되어 상기 주입구(57)를 개폐 가능하게 폐색한다.
이 덮개 부재(56)는 오목 함몰부(54A)의 내면 형상에 따른 오목 함몰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그에 의해 덮개 부재(56)에는 충분히 손가락을 걸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54)의 후방부에는 흡수통부(54B)가 탱크 본체(53) 내에 강하하고 있으며, 이 흡수통부(54B)는 커버(54) 후방 단부에 있어서 후방에 개구하는 연결부(54B)에 연통되어 있다.
이와 같은 급수 탱크(52)를 설치할 때에는 전방으로부터 냉장실(11) 내에 삽입하고, 그 안 쪽에 설치된 급수 파이프(59)에 연결부(54C)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시킨다. 이 급수 파이프(59)는 상기 자동 제빙기(21)에 연통되어 있으며, 탱크 본체(53) 내의 물은 흡수통부(54B)로부터 흡입되어 연결부(54C), 급수 파이프(59)를 경유하여 자동 제빙기(21)의 상기 제빙 접시에 공급되고, 그 곳에서 제빙 동작이 행해진다. 생성된 얼음은 냉동실(13) 내에 저장된다.
이와 같은 제빙 동작에 의해 탱크 본체(53) 내의 물이 고갈된 경우에 급수 탱크(52)를 냉장실(11) 내부로부터 꺼내야 하는 데, 이 경우는 오목하게 함몰된 덮개 부재(56) 내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걸어서 잡아당김으로써, 용이하게 급수 탱크(52)를 꺼낼 수 있다.
그리고, 덮개 부재(56)를 바로 앞에서 위로 회전시켜 주입구(57)를 개방하고, 물을 탱크 본체(53) 내에 보충하는 것인 데, 이 경우에도 덮개 부재(56)는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으므로 주입 작업 역시 용이해진다. 그리고, 보충 후에 덮개 부재(56)를 폐색하여 들어 옮기는 데, 이 경우, 덮개 부재(56)는 커버(54)의 오목 함몰부(54A)의 내면에 따라서 위치하며, 주입구(57)를 폐색하고 있으므로(도19) 주입구(57)로부터 반송시의 요동 등에 의해 물이 누설되어 버리는 일 역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구획벽(8)은 도14 및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질 수지로 된 상부판(66), 하부판(67) 및 이들 상부판(66)의 하면에 따라서 설치된 성형 단열재(68)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성형 단열재(68)와 하부판(67) 사이에 상기 빙온실 덕트(48)가 구성되어 있다. 빙온실 덕트(48)는 하부판(67) 상면에 세워 설치된 한 쪽이 막힌 형상의 격벽(69)에 의해 후방부의 입구(48A)로부터 전방으로 넓게 개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그 중도부 및 전방부에 위치하는 하부판(67)에는 빙온실 토출구(71, …)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격벽(69)의 전방부 및 우측의 하부판(67)에는 격벽(72 내지 74)이 세워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에 의해 빙온실 덕트(48)의 외측 상부 구획벽(8) 내에는 2조의 냉장실 흡입 덕트(77, 78)가 좌우로 나란히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판(66)의 전방부에는 좌우로 냉장실 전방 흡입구(79, 81)가 형성되어 있으며, 좌측의 냉장실 전방 흡입구(79)는 좌측의 냉장실 흡입 덕트(77)의 입구부(77A)에, 또한 우측의 냉장실 전방 흡입구(81)는 우측의 냉장실 흡입 덕트(78)의 입구부(78A)에 각각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각 냉장실 흡입 덕트(77, 78)의 후방 단부는 상기 귀환 덕트(63)에 연통되어 있다.
이 경우, 좌측의 냉장실 흡입 덕트(77)의 통로 단면적은 우측의 냉장실 흡입 덕트(78)의 통로 단면적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흡입부(77A)도 흡입부(78A)보다도 확장되어 있다(도15). 여기에서, 각 냉장실 흡입 덕트(77, 78)는 빙온실 덕트(48)의 전방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우회하여 형성되어 있으므로, 좌측의 냉장실 흡입 덕트(77)의 통로 길이는 우측의 냉장실 흡입 덕트(78)의 통로 길이보다도 길다.
그리고, 격벽(72)과 격벽(69) 사이에는 폭이 좁은 연통로(8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연통로(83)에 의해 빙온실 덕트(48)의 전방 단부와 냉장실 흡입 덕트(77)의 흡입부(77A)는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빙온실(10)의 배면판(62) 우측에는 빙온실 흡입구(84)가 형성되고, 귀환 덕트(63)에 연통되어 있다.
한편, 성형 단열재(38)의 우측에는 야채실 덕트 부재(86)의 상단부가 연결되고, 냉각실(24)의 우측을 하방으로 강하하고 있으며, 그 내부에 야채실 덕트(87)를 구성하고 있다. 이 야채실 덕트(87)의 상단부는 상기 귀환 덕트(63)에 연통되는 동시에, 하단부는 야채실(12) 우측 안 쪽 상부의 야채실 토출구(88)에 개구하고 있다.
하부 구획벽(9) 내에는 야채실 흡입 덕트(9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야채실 흡입 덕트(91)는 야채실(12)의 내부 상면에 개구한 야채실 흡입구(92)에서 개구하고, 또 냉각실(24)의 하단부에 연통되어 있다.
상기 구획 전방 부재(15)는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질 수지로 된 본체(93)와, 이 본체(93) 내에 설치된 성형 단열재(94)와, 강판으로 된 전방판(96)과, 그 이면에 부착된 결로 방지용 고온 냉매 배관(97)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체(93)의 하부벽은 전방부(93A)가 낮고 후방부(93B)가 단차형으로 높아진 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이 전방부(93A)의 후방 단부에는 그 하면보다도 약간 위에 후방부(93B)의 하측과 간격을 두고 후방으로 돌출된 결합부(93C)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결합부(93C)에는 밀봉 부재(98)의 기부(98A)가 후방으로부터 결합하여 부착되고, 그 연질 핀 부재(98B)는 전방 하방으로 돌출된다.
이 밀봉 부재(98)의 연질 핀 부재(98B)는 단열 도어(17)가 폐쇄된 상태에서, 용기(17A)의 전방 모서리 후방면에 밀착하여 밀봉하는 것인데, 이 경우, 밀봉 부재(98)의 기부(98A) 하면은 본체(93)의 전방부(93A) 하면과 대략 동일 높이의 면이 된다. 즉, 밀봉 부재(98)의 기부(98A), 혹은 그 부착 부분[구획 전방 부재(15)에 형성되는]이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으므로, 용기(17A)가 걸리는 일도 없으며, 그 만큼 용기(17A)의 상하 치수를 확대하여 유효 용적을 확장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구조는 다른 구획벽(7, 8, 9)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104는 냉장실(11) 내의 온도를 검출하는 냉장실 온도 센서로서, 배면 덕트판(49)에 부착되고, 106은 빙온실(10) 내의 온도를 검출하는 빙온실 온도 센서로서, 하부판(67)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단열 하우징 부재(6)의 하부에는 기계실(99)이 구성되어 있으며, 이 기계실(99) 내 후방부에는 상기 냉각기(26)와 이미 알려진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101)나 도시되지 않은 응축기, 기계실 송풍기 등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단열 도어(18)의 하부측에는 기계실(99)의 전방 단부에 위치하여 킥 플레이트(102)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 킥 플레이트(102)에는 기계실(99) 내부로 통풍하기 위한 흡기구(103)가 천공되어 있다.
다음에, 도20은 냉장고(1) 제어 장치(108)의 전기 회로의 블록도를 나타내고 있다. 제어 장치(108)는 널리 쓰이고 있는 마이크로 컴퓨터(110)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마이크로 컴퓨터(110)에는 냉동실(13) 내의 온도를 검출하는 냉동실 온도 센서(109; F 센서), 상기 냉장실 온도 센서(104; R 센서), 상기 빙온실 온도 센서(106; H 센서), 냉장고(1)가 설치된 주위의 외기 온도를 검출하는 외기 온도 센서(111), 자동 제빙기(21)의 상기 제빙 접시의 온도를 검출하는 ICE 센서(112), 온도 설정용의 볼륨 등으로 이루어지는 설정 회로(113), 후술하는 각 모터의 통전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 회로(114) 및 각 단열 도어(14, 14, 16, 17, 18, 19)의 개폐를 검출하는 복수의 도어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도어 스위치 회로(116)의 출력이 입력된다.
그리고, 마이크로 컴퓨터(110)의 출력에는 압축기(101)를 구동하는 DC 모터로 이루어진 압축기 모터(101M)가 드라이버(122)를 거쳐서 접속되고, 송풍기(29)를 구동하는 DC 모터로 이루어진 송풍기 모터(29M)가 드라이버(123)를 거쳐서 접속되고, 상기 기계실 송풍기를 구동하는 DC 모터로 이루어진 기계실 송풍기 모터(117)가 드라이버(124)를 거쳐서 접속되고, 상기 자동 제빙기(21)의 제빙 접시를 회전시키는 DC 모터로 이루어진 제빙기 모터(21M)가 드라이버(126)를 거쳐서 접속되고, 상기 급수 탱크(52)로부터 자동 제빙기(21)의 제빙 접시에 급수하는 펌프를 구동하는 DC 모터로 이루어진 펌프 모터(118)가 드라이버(127)를 거쳐서 접속되고, DC 모터로 이루어진 상기 모터 댐퍼(46)의 댐퍼 모터(46M)가 드라이버(128)를 거쳐서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로 컴퓨터(110)의 출력에는 DC 전원으로 구동되는 릴레이 회로(129)가 접속되고, 이 릴레이 회로(129)에는 상기 서리 제거 히터(31), 상기 급수 파이프(59)의 주위에 설치된 급수 파이프 히터(119)나, 그 밖의 동결 혹은 결로 방지용 히터(121)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으로 동작을 설명한다. 마이크로 컴퓨터(110)는 냉동실 온도 센서(109)의 출력을 기초로 하여 냉동실(13) 내의 온도가 소정의 상한 온도에 달하고 있는 경우에 압축기 모터(101M), 기계실 송풍기 모터 (117) 및 송풍기 모터(29M)를 구동한다. 이로써, 압축기(101), 송풍기(29)가 운전되면, 냉각기(26)에서 냉각된 냉각실(24) 내의 냉기는 송풍기(29)의 팬(32)에 의해 상방으로 흡입되고, 전방의 냉동실 토출구(13A, …)로부터 냉동실(13) 내로 불어 내어진다.
그리고, 냉동실(13) 내부의 용기(16A, 17A) 내를 순환하여 냉각한 후, 냉기는 하부의 냉동실 흡입구(13B, 13B, 13C, 13C)로부터 냉각실(24) 내로 귀환한다. 마이크로 컴퓨터(110)는 냉동실(13) 내의 온도가 소정의 하한 온도로 저하하였다면 압축기 모터(101M), 기계실 송풍기 모터(117) 및 송풍기 모터(29M)를 정지시킨다. 이에 의해, 냉동실(13)은 설정 온도[-20℃(도) 정도]로 유지된다.
여기에서, 냉동실 흡입구(13B, 13B)로부터 유입된 냉기는 냉각기(26) 하단부의 영역(26A)으로부터 냉각기(26) 내로 유입되고, 각 핀(27, …) 사이를 상승하지만, 냉동실 흡입구(13C, 13C)로부터 유입된 냉기는 냉각기(26)의 상하에 있어서의 중앙부보다 약간 하측의 영역(26B)으로부터 냉각기(26) 내로 유입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야채실 흡입 덕트(91)에서는 냉장실(11), 빙온실(10) 및 야채실(12) 내를 순환해 온 습기가 많은 냉기가 냉각기(26) 하단부의 영역(26A)으로부터 유입되므로, 냉각기(26)의 영역(26A)에는 다량의 서리가 부착되어 성장하지만, 냉동실 흡입구(13C, 13C)로부터 유입한 냉기는 그 상방(하류측)으로부터 냉각기(26)의 핀 밀도가 소한 영역(26B)으로 유입되고, 그 후 핀 밀도가 밀한 송풍기(29) 하방의 영역으로 도입되므로, 영역(26B)으로부터 유입되는 냉기는 영역(26A)에서 성장한 서리에 의해 유통이 저해되는 일은 없다.
그리고, 냉각기(26)의 전후 좌우 모서리[냉기가 유통되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핀(27)의 모서리부가 위치되는 냉각기(26)의 외측 부분]에도 핀 밀도가 소한 영역(26C, …)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가령 영역(26A)이 서리의 성장에 의해 폐색되어 버린 경우에도, 영역(26C)이 존재하는 만큼 서리 폐색은 지연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도 영역(26C)으로부터 냉기를 냉각기(26) 내로 도입하여 열교환시킬 수 있게 되므로, 대개 핀(27)과 유통 냉기의 열교환을 유지하고, 냉각기(26)의 냉각 능력을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다.
그리고, 송풍기(29)에 대응하는 냉각기(26)의 중앙부 이외의 좌우에 있어서 영역(26C)을 구성하고 있으므로, 냉각기(26)에 있어서 냉기가 가장 잘 유통되는 부분의 핀 밀도는 전술한 바와 같이 조밀해진다. 따라서, 서리가 없는 혹은 적은 상태에 있어서의 열교환 효율을 유지하면서, 서리가 성장해 온 경우에는 영역(26B나 26C)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냉기의 유통을 유지하고, 열교환을 확보할 수 있다.
송풍기(29)로부터 불어 내어진 냉기의 일부는 안내 덕트(39)로 유입되고, 분기 덕트(42)에서 2방향으로 분류된 후, 한 쪽은 모터 댐퍼(46)의 냉장실용 배플(43)을 지나서 냉장실 배면 덕트(47)로 유입된다. 냉장실 배면 덕트(47)로 유입된 냉기는 냉장실 토출구(11A, …)로부터 냉장실(11) 내로 불어 내어지고, 내부를 순환하여 냉각한 후, 냉장실 후방 흡입구(61) 및 냉장실 전방 흡입구(79, 81)로 유입된다.
또한, 분기 덕트(42)에서 분류된 다른 쪽은 모터 댐퍼(46)의 빙온실용 배플(44)을 경유하여 빙온실 덕트(48)로 유입된다. 빙온실 덕트(48)로 유입된 냉기는 빙온실 토출구(71, …)로부터 빙온실(10) 내로 불어 내어지고, 내부를 순환하여 냉각한 후, 빙온실 흡입구(84)로 유입된다.
마이크로 컴퓨터(110)는 댐퍼 모터(46M)를 구동 제어하고, 냉장실 온도 센서(104)와 빙온실 온도 센서(106)가 각각 출력하는 냉장실(11) 내부의 온도와 빙온실(10) 내부의 온도를 기초로 하여 양 배플(43, 44)을 구동함으로써, 개·개, 개·폐, 폐·개, 폐·폐인 4종류의 상태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
즉, 마이크로 컴퓨터(110)는 냉장실 온도 센서(104)의 출력을 기초로 하여 배플(43)을 개폐하고, 냉장실(11) 내부를 설정 온도인 +5℃ 정도의 냉장 온도로 유지한다. 그리고, 빙온실 온도 센서(106)의 출력을 기초로 하여 배플(44)을 개폐하고, 빙온실(10) 내부의 용기(19A) 내부를 설정 온도인 예를 들어 0℃ 내지 -3℃ 정도의 빙온 영역으로 유지한다.
여기에서, 마이크로 컴퓨터(110)는 상기 냉장실(11)의 온도 제어에 있어서 도21의 흐름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를 실행한다. 즉, 단계 S1에서 설정 회로(113)의 냉장실 온도 설정용 볼륨(R 볼륨)에 냉장실(11)의 설정 온도(R 온도)가 설정된 것으로 하면(전압에 의해 설정), 단계 S2에서는 외기 온도 센서(111)의 출력을 기초로 하여 냉장고(1)가 설치된 외기의 온도가 낮은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예를 들어 외부 기온이 +8℃보다도 낮은 경우는 낮다고 판단하여 단계 S3으로 진행하고, 냉장실(11)의 설정 온도를 2℃ 상승시킨다. 이 후, 마이크로 컴퓨터(110)는 설정 회로(113)에서 설정된 온도보다 2℃ 높은 설정 온도로 냉장실(11)의 온도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제어에 의해 낮은 외부 기온에서 냉장실(11)의 온도 저하를 회피하고, 급수 탱크(52)의 얼어붙음을 미연에 해소할 수 있다. 따라서, 원활한 제빙 동작을 행하면서, 급수 탱크(52)의 얼어붙음 방지용 전기 히터 등을 폐지할 수 있어 부품 개수나 소비 전력의 증가에 따른 비용 상승을 회피할 수 있다. 그리고, 냉장실(11) 내의 열부하의 증가도 회피할 수 있으므로, 냉각 효율의 저하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장실 후방 흡입구(61)와 빙온실 흡입구(84)로 유입된 냉기는 그대로 귀환 덕트(63) 내로 유입되지만, 냉장실 전방 흡입구(79, 81)로부터 유입된 냉기는 냉장실 흡입 덕트(77과 78) 내를 각각 통과해 귀환 덕트(63)로 유입된다. 그리고, 빙온실 덕트(48) 내로 유입된 냉기의 일부(소량)는 빙온실(10) 내를 통과하지 않고, 연통로(83)를 통해 직접 냉장실 흡입 덕트(77) 내로 유입되고, 흡입구(79)로부터의 냉기와 합류하여 귀환 덕트(63)로 유입한다.
여기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좌측 냉장실 흡입 덕트(77)의 통로 길이는 우측 냉장실 흡입 덕트(78)의 통로 길이보다도 길다. 따라서, 동일한 통로 단면적 및 흡입부 면적에서는 냉장실 흡입 덕트(77)의 유로 저항이 냉장실 흡입 덕트(78)의 유로 저항보다 커지므로, 냉장실 전방 흡입구(79)로부터 흡입되는 냉기량은 냉장실 전방 흡입구(81)로부터 흡입되는 냉기량보다도 적어진다.
이와 같은 흡입 냉기량이 냉장실(11)의 좌측과 우측이 상이하면, 냉장실(11) 내부 전방부의 냉각 효과가 좌우로 치우쳐 버리고, 실시예에서는 우측보다도 좌측이 냉각되지 않는 데, 전술한 바와 같이 좌측의 냉장실 흡입 덕트(77)의 통로 단면적을 우측의 냉장실 흡입 덕트(78)의 통로 단면적보다도 크게 형성하고, 흡입부(77A)도 흡입부(78A)보다 확장하여 형성하고 있으므로, 양 덕트(77, 78)의 유로 저항이 대략 균일화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냉장실 전방 흡입구(79, 81)로의 냉기 유입량이 대략 균일화되어, 냉장실(11) 내부를 균일하게 냉각할 수 있다.
다음에, 귀환 덕트(63) 내로 유입된 냉기는 야채실 덕트(87)로 유입되고, 그 곳을 하강하여 야채실 토출구(88)로부터 야채실(12) 내부로 토출된다. 그리고, 야채실(12) 내부를 순환하고, 용기(18A) 내부를 간접적으로 냉각한 후, 야채실(92)로부터 흡입되고, 하부 구획벽(9) 내에 형성된 야채실 흡입 덕트(91) 내부를 경유하여 냉각실(24) 내부의 최하부로 귀환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냉각기(26)의 영역(26A)으로 다시 유입된다.
이에 의해, 용기(18A) 내부의 야채는 건조가 방지된 상태에서 3 내지 5℃ 정도의 온도로 냉장 유지되는 데, 전술한 바와 같이 귀환 덕트(63)에는 연통로(83)로부터의 냉기, 즉 빙온실(10)이나 냉장실(11) 내부를 경유하지 않은 저온의 냉기[냉각기(26)에서 냉각된 그대로의 냉기]가 유입되고 있으므로, 가령 냉장실(11)이나 빙온실(10) 내부의 부하가 커지며, 냉기 온도가 상승한 바와 같은 경우에도 야채실(12) 내부의 냉각 능력은 확보된다.
다음에, 도22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마이크로 컴퓨터(110)에 의한 자동 제빙기(21)의 제어 동작을 설명한다. 마이크로 컴퓨터(110)는 제빙 동작을 개시하기에 앞서, 우선 단계 S4에서 냉동실(13)의 설정 온도를 1℃ 상승시킨다. 이것은 냉동실 온도 센서(109)가 자동 제빙기(21)의 근방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이다.
즉, 자동 제빙기(21)에 제빙용 물이 공급되면, 그 근방의 냉동실 온도 센서(109)에 온도 영향을 부여하기 위해 냉동실 온도 센서(109)는 실제보다도 높은 온도를 검출한다. 그로 인해, 그 상태에서는 냉동실(13) 내부가 과냉각 상태로 되어 버리므로, 제빙 동작을 행하고 있는 동안 마이크로 컴퓨터(110)는 냉동실(13)의 설정 온도를 상승시키는 것이다.
다음에, 마이크로 컴퓨터(110)는 단계 S5에서 제빙 동작을 실행한다. 이 제빙 동작에서는 마이크로 컴퓨터(110)는 제빙 접시에 공급된 물을 냉동실(13) 내부의 냉기에 의해 동결시키고, ICE 센서(112)가 검출하는 온도가 예를 들어 -11℃에 달한 후 40분이 경과하였다면 제빙기 모터(21M)를 구동하고, 제빙 접시를 회전시켜 탈빙하는 것이다. 그리고, 마이크로 컴퓨터(110)는 급수 파이프 히터(119)를 온(ON)시켜 급수 파이프(59)의 동결을 방지한다.
다음에 마이크로 컴퓨터(110)는 단계 S6에서 펌프 모터(118)를 예를 들어 5초간(제빙 접시가 만수가 되는 시간) 구동하고, 펌프에 의해 급수 탱크(52) 내의 물을 급수 파이프(59)를 거쳐서 제빙 접시에 공급한다. 그리고, 단계 S7에서 ICE 센서(112)의 출력을 기초로 하여 제빙 접시의 온도가 6℃ 상승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제빙 접시에 +3℃ 정도의 물이 공급되고, 온도가 6℃ 상승하였다면, 단계 S4로 복귀하여 냉동실(13)의 설정 온도를 1℃ 상승시키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단계 S5 내지 단계 S6을 실행한다. 이상을 반복하여 얼음을 생성해 간다.
여기에서, 이와 같은 제빙 동작에 의해 급수 탱크(52) 내부가 전술한 바와 같이 비어 있게 된 경우, 단계 S6의 급수 동작으로는 펌프가 물을 흡입할 수 없게 되므로, 펌프 모터(118)의 부하는 가벼워지며, 통전 전류는 저하된다. 마이크로 컴퓨터(110)는 전류 검출 회로(114)의 출력을 기초로 하여 이와 같은 펌프 모터(118)의 통전 전류가 소정치로 저하된 경우, 5초 경과 전이라도 바로 펌프 모터(116)를 강제로 정지시킨다(약 1.5초에서 정지시킨다).
이로써, 급수시의 공운전에 의한 펌프의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제빙 접시에 급수되지 않으면 ICE 센서(112)에서 검출된 온도도 상승하지 않으므로, 단계 S7에서는 아니오가 되며, 단계 S8로 진행한다. 단계 S8에서는 이와 같은 무급수 상태가 2회째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이 경우는 1회째이므로 단계 S5 내지 S7을 반복한다. 그리고, 2회째에 있어서도 급수가 이루어지지 않으며, 단계 S7로부터 단계 S8로 온 경우는 다음 단계 S8로부터 단계 S9로 진행하고 마이크로 컴퓨터(110)는 급수 탱크(52)가 비었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단계 S10에서 급수 파이프 히터(119)를 오프(OFF)로 하고, 냉동실(13)의 설정 온도를 통상 상태로 설정한다. 그리고, 단계 S12에서 도어 스위치 회로(116)의 출력을 기초로 하여 냉장실(11)의 단열 도어(14)가 개폐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후, 개폐되기까지 이를 반복하고, 제빙 동작은 정지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단열 도어(14)를 개방하고, 급수 탱크(52)에 전술한 바와 같이 주수하여 냉장실(11) 내에 설치해 단열 도어(14)를 폐쇄하면, 마이크로 컴퓨터(110)는 단열 도어(14)의 개폐에 의해 단계 S12로부터 단계 S13으로 진행하고, 스스로 타이머에 20분을 설정한다.
그리고, 급수 파이프 히터(119)를 다시 온(ON)으로 하고, 단계 S15에서 상기 타이머를 카운트하여 단계 S16에서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가 20분에 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달하고 있지 않으면 단계 S15로 복귀하여 이를 반복한다.
단열 도어(14)의 개폐로부터 20분이 경과하면, 마이크로 컴퓨터(110)는 단계 S16으로부터 단계 S6으로 진행하여 펌프 모터(118)를 5초간 구동하고, 펌프에 의해 급수 탱크(52) 내부의 물을 급수 파이프(59)를 거쳐서 제빙 접시에 공급한다. 그리고, 단계 S7에서 ICE 센서(112)의 출력을 기초로 하여 제빙 접시의 온도가 6℃ 상승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급수 탱크(52)에 주수가 이루어지고, 이 급수 탱크(52)로부터 자동 제빙기(21)의 제빙 접시에 급수가 행해진 경우, 마이크로 컴퓨터(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계 S7로부터 단계 S4로 복귀하여 냉동실(13)의 설정 온도를 1℃ 상승시키고, 단계 S5로부터 단계 S6을 실행하여 얼음 생성을 개시한다.
이와 같이, 자동 제빙기(21)의 제빙 동작의 재개를 냉장실(11)의 단열 도어(14)의 개폐후 20분 경과 후에 행하도록 하므로, 종래 이용되고 있던 급수 탱크(52)의 탈착 검지용 스위치가 불필요해지며, 비용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단열 도어(14)가 개폐되어도 급수 탱크(52)가 주수되지 않은 경우 단계 S5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펌프의 공운전이 행해지게 되는 데, 전술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 컴퓨터(110)는 펌프 모터(118)의 통전 전류의 저하에 의해 펌프 모터(118)를 강제로 정지시키므로, 소음 문제는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상 상세하게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단열 하우징 본체 내에 냉동실과 냉장실을 구획 형성하고, 냉동실 내부에는 자동 제빙기를 설치하는 동시에, 냉장실 내에는 급수 탱크를 설치하고, 상기 급수 탱크로부터의 자동 제빙기에 급수하여 제빙하는 제빙 동작을 실행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냉장실의 개구를 개폐 가능하게 폐색하는 도어와, 이 도어의 개폐를 검출하는 도어 개폐 검출 수단과, 자동 제빙기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제어 수단은 급수 탱크로부터의 급수의 유무를 검출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급수 탱크로부터의 급수가 없는 경우 자동 제빙기의 제빙 동작을 정지시키고, 도어 개폐 검출 수단이 도어의 개폐를 검출한 경우에 먼저 급수 파이프 히터를 온으로 하고, 이 검출한 시점으로부터 소정 기간 후에 자동 제빙기의 제빙 동작을 재개하도록 하였으므로, 종래 이용되고 있던 급수 탱크의 탈착 검지용 스위치를 이용하지 않고도 자동 제빙기의 제빙 동작을 재개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며, 현저한 비용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빙 동작의 재개시에 급수 파이프의 동결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제2항에 개시된 발명에 따르면, 상기에다가 급수 탱크 내부의 물을 자동 제빙기에 공급하는 펌프와, 이 펌프의 통전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제어 수단은 이 펌프를 소정 기간 운전하여 자동 제빙기에 급수하는 동시에, 전류 검출 수단의 출력을 기초로 하여 펌프의 통전 전류가 소정치로 저하된 경우 강제로 상기 펌프를 정지시키도록 하였으므로, 도어가 개폐되어도 급수 탱크가 주수되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의 펌프의 공운전을 신속하게 정지시키고, 공운전에 의한 소음 발생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냉장고의 정면도.
도2는 단열 도어를 제거한 본 발명의 냉장고의 정면도.
도3은 용기 등을 제거한 마찬가지로 단열 도어를 제거한 냉장고의 정면도.
도4는 본 발명의 냉장고의 종단측면도.
도5는 본 발명의 냉장고의 또 하나의 종단측면도.
도6은 본 발명의 냉장고의 또 다른 하나의 종단측면도.
도7은 본 발명의 냉장고 냉동실의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냉장고 냉동실 안 쪽 구획판의 투시 정면도.
도9는 본 발명의 냉장고 냉각기 하부의 확대 종단측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냉장고 냉각기 하부의 또 하나의 확대 종단측면도.
도11은 본 발명의 냉장고 냉각기의 정면도.
도12는 본 발명의 냉장고 냉각기의 평면도.
도13은 본 발명의 냉장고 냉각기의 측면도.
도14는 본 발명의 냉장고 상부 구획벽의 분해 사시도.
도15는 본 발명의 냉장고 상부 구획벽 부분의 평단면도.
도16은 본 발명의 냉장고 구획 전방 부재의 종단측면도.
도17은 본 발명의 냉장고의 자동 제빙기용 급수 탱크의 분해 사시도.
도18은 본 발명의 냉장고의 자동 제빙기용 급수 탱크의 종단측면도.
도19는 본 발명의 냉장고의 자동 제빙기용 급수 탱크의 종단정면도.
도20은 본 발명의 냉장고 제어 장치의 전기 회로의 블록도.
도21은 마이크로 컴퓨터의 프로그램을 도시한 흐름도.
도22는 마찬가지로 마이크로 컴퓨터의 프로그램을 도시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냉장고
6 : 단열 하우징 부재
7 : 중간 구획벽
8 : 상부 구획벽
9 : 하부 구획벽
10 : 빙온실(氷溫室)
11 : 냉장실
11A : 냉장실 토출구
12 : 야채실
13 : 냉동실
13A : 냉동실 토출구
13B, 13C : 냉동실 흡입구
14 : 단열 도어
21 : 자동 제빙기
21M : 제빙기 모터
24 : 냉각실
26 : 냉각기
46 : 모터 댐퍼
48 : 빙온실 덕트
52 : 급수 탱크
63 : 귀환 덕트
77, 78 : 냉장실 흡입 덕트
79, 81 : 냉장실 전방 흡입구
87 : 야채실 덕트
104 : 냉장실 온도 센서
108 : 제어 장치
110 : 마이크로 컴퓨터
112 : ICE 센서
113 : 설정 회로
114 : 전류 검출 회로
116 : 도어 스위치 회로
118 : 펌프 모터
119 : 급수 파이프 히터

Claims (2)

  1. 단열 하우징 부재 내에 냉동실과 냉장실을 구획 형성하고, 상기 냉동실 내에는 자동 제빙기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냉장실 내에는 급수 탱크를 설치하고, 상기 급수 탱크로부터 상기 자동 제빙기에 급수하여 제빙하는 제빙 동작을 실행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냉장실의 개구를 개폐 가능하게 폐색하는 도어와, 이 도어의 개폐를 검출하는 도어 개폐 검출 수단과, 상기 자동 제빙기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이 제어 수단은 상기 급수 탱크로부터의 급수의 유무를 검출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급수 탱크로부터의 급수가 없는 경우 상기 자동 제빙기의 제빙 동작을 정지시키고 상기 도어 개폐 검출 수단이 상기 도어의 개폐를 검출한 경우에 먼저 급수 파이프 히터를 온으로 하고, 이 검출한 시점으로부터 소정 기간 후에 상기 자동 제빙기의 제빙 동작을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급수 탱크 내의 물을 자동 제빙기에 공급하는 펌프와, 이 펌프의 통전 통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제어 수단은 이 펌프를 소정 기간 운전하여 자동 제빙기에 급수하는 동시에, 상기 전류 검출 수단의 출력을 기초로 하여 상기 펌프의 통전 전류가 소정치로 저하된 경우는 강제적으로 상기 펌프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19980039898A 1997-09-26 1998-09-25 냉장고 KR1006102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79791A JPH11101538A (ja) 1997-09-26 1997-09-26 冷蔵庫
JP97-279791 1997-09-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143A KR19990030143A (ko) 1999-04-26
KR100610296B1 true KR100610296B1 (ko) 2006-11-30

Family

ID=17615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9898A KR100610296B1 (ko) 1997-09-26 1998-09-25 냉장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11101538A (ko)
KR (1) KR100610296B1 (ko)
CN (1) CN1112558C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1741A1 (ko) * 2018-10-02 2020-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WO2020071744A1 (ko) * 2018-10-02 2020-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WO2020122443A1 (en) * 2018-12-12 2020-06-18 Lg Electronics Inc. Ice machine
US11874043B2 (en) 2018-10-02 2024-01-16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48935C (zh) * 2003-03-21 2007-11-14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电冰箱
US7266951B2 (en) 2004-10-26 2007-09-11 Whirlpool Corporation Ice making and dispensing system
US7284390B2 (en) 2005-05-18 2007-10-23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with intermediate temperature icemaking compartment
US7568357B2 (en) 2005-05-18 2009-08-04 Maytag Corporation Freeze tolerant waterline valve for a refrigerator
US7726148B2 (en) 2005-05-18 2010-06-01 Maytag Corporation Refrigerator ice compartment seal
US7607312B2 (en) 2005-05-27 2009-10-27 Maytag Corporation Insulated ice compartment for bottom mount refrigerator with temperature control system
JP2007100998A (ja) * 2005-09-30 2007-04-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冷蔵庫
JP4902296B2 (ja) * 2006-09-01 2012-03-21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JP4740072B2 (ja) * 2006-09-01 2011-08-03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JP5588604B2 (ja) * 2008-05-30 2014-09-10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AU2009343710B2 (en) * 2009-04-01 2012-08-30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having ice making device
CN103292535B (zh) * 2013-05-02 2015-12-02 海信容声(广东)冰箱有限公司 一种翻冰控制方法及其冰箱
CN104279806A (zh) * 2013-07-12 2015-01-14 苏州三星电子有限公司 一种冰箱制冰装置进水状态的自动检测方法以及结构
JP6460819B2 (ja) * 2015-02-09 2019-01-30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CN107120882B (zh) * 2017-03-08 2019-08-27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冰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0402A (ja) * 1993-02-19 1994-10-28 Mitsubishi Electric Corp 自動製氷装置及び自動製氷装置用給水タンク
JPH0743057A (ja) * 1993-08-02 1995-02-10 Sanyo Electric Co Ltd 製氷装置
KR950006959Y1 (ko) * 1992-07-07 1995-08-23 최준식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 부품의 적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959Y1 (ko) * 1992-07-07 1995-08-23 최준식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 부품의 적재장치
JPH06300402A (ja) * 1993-02-19 1994-10-28 Mitsubishi Electric Corp 自動製氷装置及び自動製氷装置用給水タンク
JPH0743057A (ja) * 1993-08-02 1995-02-10 Sanyo Electric Co Ltd 製氷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1741A1 (ko) * 2018-10-02 2020-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WO2020071744A1 (ko) * 2018-10-02 2020-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AU2019352419B2 (en) * 2018-10-02 2023-03-30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11874043B2 (en) 2018-10-02 2024-01-16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WO2020122443A1 (en) * 2018-12-12 2020-06-18 Lg Electronics Inc. Ice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2558C (zh) 2003-06-25
JPH11101538A (ja) 1999-04-13
KR19990030143A (ko) 1999-04-26
CN1215147A (zh) 1999-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0296B1 (ko) 냉장고
US7036334B2 (en) Refrigerator having temperature controlled chamber
EP2519792B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00064716A1 (en) Refrigerator with ice maker
JP3540571B2 (ja) 冷蔵庫
EP2035761A1 (en) Refrigerator having a temperature controlled compartment
JP3904866B2 (ja) 冷蔵庫
KR101480458B1 (ko) 냉장고
JPH11101544A (ja) 冷蔵庫
KR100451341B1 (ko) 냉장고의 냉기공급장치
JP4293875B2 (ja) 自動製氷機付き冷蔵庫の貯水装置
KR100334917B1 (ko) 냉장고
JPH11101566A (ja) 冷蔵庫
KR20060053952A (ko) 냉장고
JP3883668B2 (ja) 冷蔵庫
KR100414269B1 (ko) 냉장고의 냉기 공급장치
JP2005241246A (ja) 冷蔵庫
JP3524741B2 (ja) 冷蔵庫
JP4201807B2 (ja) 冷蔵庫
JP2005283119A (ja) 冷蔵庫
KR100498385B1 (ko) 냉장고의 냉기공급장치
JP2003028551A (ja) 冷蔵庫
KR101139586B1 (ko)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100570535B1 (ko) 냉장고의 덕트패널
JPS608294Y2 (ja) 冷凍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