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9586B1 - 냉장고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9586B1
KR101139586B1 KR1020100004726A KR20100004726A KR101139586B1 KR 101139586 B1 KR101139586 B1 KR 101139586B1 KR 1020100004726 A KR1020100004726 A KR 1020100004726A KR 20100004726 A KR20100004726 A KR 20100004726A KR 101139586 B1 KR101139586 B1 KR 101139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air
compartment
refrigerator
temperature
evapo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4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5113A (ko
Inventor
김동석
김주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4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9586B1/ko
Priority to PCT/KR2010/009626 priority patent/WO2011081499A2/en
Priority to EP10841331.1A priority patent/EP2519792B1/en
Priority to US13/520,067 priority patent/US20120272670A1/en
Publication of KR20110085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5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9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9586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저장 공간을 구비하는 캐비닛과, 상기 저장 공간을 좌우 방향으로 각각 냉동실과 냉장실로 구획하며, 내부에 냉기 유로를 포함하는 함몰부가 형성되는 베리어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함몰부의 일측에 수용되어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와, 상기 함몰부의 다른 일측에 수용되어, 상기 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를 상기 냉기 유로로 강제 유동하는 송풍 유니트와, 상기 냉기 유로의 단부에 제공되어, 상기 냉장실 쪽으로의 냉기 공급을 제어하는 댐퍼 및 압축기를 포함하는 냉동 사이클을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이고, 상기 냉동실 온도가 만족 상태에 있고, 상기 냉장실 온도가 불만족 상태에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압축기의 구동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댐퍼가 개방되며, 상기 송풍 유니트가 구동하여 상기 증발실의 냉기가 상기 냉장실로 직접 안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의 제어 방법{Controlling method for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로서, 냉동사이클을 통하여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와 사용자의 기호가 다양해 짐에 따라 대형화 및 다기능화의 추세에 있으며, 저장공간의 구성에 따라 그 형태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통상 냉장고 내부의 저장공간은 베리어에 의해 구획되어 냉장실과 냉동실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의 배치에 따라서 그 형태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이들 냉장고 중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side by side type)의 냉장고는 냉장실과 냉동실의 각각 좌측과 우측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냉장실 도어와 냉동실 도어에 의해 개별적으로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의 냉장고는 통상 냉장실 및/또는 냉동실의 후방에 증발기가 구비되어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로 냉기를 공급하도록 구성되었으나, 증발기가 장착되는 공간만큼 고내의 내부 용적이 줄어드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베리어 내부에 증발기가 장착되는 냉장고에서, 효과적인 고내 온도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냉장고의 냉기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방법은, 저장 공간을 구비하는 캐비닛과, 상기 저장 공간을 좌우 방향으로 각각 냉동실과 냉장실로 구획하며, 내부에 냉기 유로를 포함하는 함몰부가 형성되는 베리어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함몰부의 일측에 수용되어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와, 상기 함몰부의 다른 일측에 수용되어, 상기 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를 상기 냉기 유로로 강제 유동하는 송풍 유니트와, 상기 냉기 유로의 단부에 제공되어, 상기 냉장실 쪽으로의 냉기 공급을 제어하는 댐퍼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이고, 상기 냉동실 온도가 만족 상태에 있고, 상기 냉장실 온도가 불만족 상태에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압축기의 구동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댐퍼가 개방되며, 상기 송풍 유니트가 구동하여 상기 함몰부에 의하여 정의되는 증발실의 냉기가 상기 냉장실로 직접 안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에 따르면, 증발기가 수용된 베리어에서 냉동실측 단열층의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반면 냉장실측 단열층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어, 냉장실의 과냉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증발기의 위치를 냉동실 측으로 하여 전체적인 배리어의 두께를 최소화하면서 상기 냉장실 측의 단열 성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베리어 내부에 댐퍼가 장착되고, 상기 댐퍼의 개폐 시기와 냉동 사이클의 작동 시기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고내 온도 제어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며, 냉동 사이클 구동에 따른 소비 전력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베리어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I-I'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베리어의 함몰부 형상을 보여주는 베리어 측면도.
도 6은 도 5의 Ⅱ-Ⅱ' 따라 절개되는 절개 사시도.
도 7은 상기 베리어의 냉기 유동상태를 냉동실 측에서 본 도면.
도 8은 상기 베리어의 냉기 유동상태를 냉장실 측에서 본 도면.
도 9는 도 4의 A 부분의 확대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20)에 의해 그 외형이 형성된다.
상기 캐비닛(10)은 베리어(100)에 의해 좌우 양측으로 구획되어 각각 냉동실(30)과 냉장실(40)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냉장실(40)과 냉동실(30)의 내측에는 다수의 서랍과 선반들이 구비되어 내부에 다양한 식품들이 수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20)는 상기 냉장실(40)과 냉동실(30)을 각각 차폐하는 냉장실 도어(24) 및 냉동실 도어(2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24)와 냉동실 도어(22)는 각각 상기 캐비닛(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실 도어(24)와 냉동실 도어(22)의 배면에는 식품의 수납을 위한 다수의 바스켓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냉장실 도어(24)와 냉동실 도어(22)에는 아이스 메이커와 디스펜서, 홈바 등이 필요에 따라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리어(100)는 캐비닛(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저장공간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좌우 양측에 각각 냉동실(30)과 냉장실(40)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베리어(100) 내부에는 상기 냉동실(30)과 냉장실(40) 사이에 열교환이 일어나지 않도록 단열재(후술함)가 충진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베리어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베리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I-I'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베리어의 함몰부 형상을 보여주는 베리어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Ⅱ-Ⅱ' 따라 절개되는 절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베리어(100)는 상기 캐비닛(10)의 내측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내부에는 증발기(110)와 송풍 유니트(130)가 장착된다.
상기 베리어(100)는 상기 냉장실(40)과 냉동실(30)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15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150)의 내측에는 단열재(300)가 발포 충진된다. 상기 단열재(300)는 상기 베리어(100)의 내부공간 전체에 고르게 충진된다.
한편, 상기 베리어(100)의 좌측면, 즉 상기 냉동실(30) 냉기에 노출되는 면에 함몰부(20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함몰부(200)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증발기(110)와 송풍 유니트(130)가 수용된다.
상세히, 상기 함몰부(200)는 냉기 생성을 위한 증발기(110)가 수용되는 증발기 수용부(210)와. 상기 송풍 유니트(130)를 수용하는 송풍 유니트 수용부(220)와, 상기 증발기(110)에서 생성되는 냉기를 상기 냉장실(40)과 냉동실(30)로 공급하기 위한 냉기 유로(230)를 포함한다.
상기 증발기 수용부(210)는 상기 베리어(100)의 하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증발기(110)를 완전히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증발기(110)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상기 증발기(110)의 두께보다 더 깊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증발기 수용부(210)는, 상기 증발기(11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베리어(10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충분한 깊이만큼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110)는 상기 증발기 수용부(210)에 별도의 고정 부재 또는 고정 구조에 의해 고정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발기 수용부(210)의 하단에는 냉기 입구(212)가 형성된다. 상기 냉기 입구(212)는 상기 냉장실(40) 내부의 냉기가 상기 증발기(110) 쪽으로 되돌아가기 위한 통로로서, 상기 증발기 수용부(210)의 후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기 입구(212)에는 흡입 그릴(214)이 형성되어, 냉장실 내부 또는 냉장고 외부에서 유입되는 이물질이 상기 증발기 수용부(21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 수용부(210)의 바닥에는 제상 운전시 발생하는 제상수를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팬(drain pan)(12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팬(120)은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캐비닛(10)의 기계실과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팬(120)은 별도의 부재로 제공되어 상기 증발기(110)의 하측에 대응하는 상기 증발기 수용부(210) 바닥에 장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함몰부(200)의 바닥 자체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드레인 팬(120)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증발기 수용부(210)의 상측에는 상기 송풍 유니트 수용부(2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 유니트 수용부(220)에 배치되는 상기 송풍 유니트(130)는, 모터(132)와, 송풍팬(134) 및 쉬라우드(136)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모터(132)는 상기 송풍팬(134)의 구동을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기 모터가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132)의 회전축에 상기 송풍팬(134)이 장착된다. 상기 송풍팬(134)은 회전축 방향으로 공기를 유입하여 반경 방향으로 토출하는 원심팬이 사용될 수 있으며, 송풍 능력이 우수한 터보팬이 사용될 수 있다. 터보팬이 적용됨으로써 상기 베리어(100) 두께의 박형화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쉬라우드(136)는 상기 증발기(110)를 통과한 냉기가 상기 송풍팬(134)으로 유입되도록 가이드하도록 기능한다. 상기 송풍 유니트(130)의 장착 구조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송풍 유니트 수용부(220)의 양측에는 냉기 안내부(222)가 형성된다. 상기 냉기 안내부(222)는 상기 증발기 수용부(210) 측의 냉기가 상기 쉬라우드(136)의 중심 쪽으로 향하도록 가이드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냉기 안내부(222)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송풍 유니트 수용부(220)의 하단은 상기 증발기 수용부(210)의 상단과 동일한 폭을 가지며, 상기 송풍 유니트 수용부(220)의 상단은 아래에서 설명할 냉기 유로(230)의 하단과 동일한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냉기 안내부(222)는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냉기 안내부(222)를 따라서 이동하는 냉기가 상기 쉬라우드(136)의 중심 쪽으로 안내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송풍 유니트 수용부(220)는 상기 증발기 수용부(210) 및 아래에서 설명할 냉기 유로(230)보다 더 함몰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쉬라우드(136)의 입구측 면은 상기 송풍 유니트 수용부(220)의 면으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 수용부(210)로부터 상승하는 냉기는 상기 송풍 유니트 수용부(220)와 상기 쉬라우드(136)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통해서 상기 쉬라우드(136)의대략 중심에 형성된 오리피스(137) 쪽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증발기 수용부(210)와 상기 송풍 유니트 수용부(220)는 함몰된 깊이가 다르므로, 서로 단차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 수용부(210)와 상기 송풍 유니트 수용부(220)에 대응하는 상기 베리어(100) 내부의 단열재(300) 두께도 서로 다르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증발기 수용부(210)는 상대적으로 상기 송풍 유니트 수용부(220)보다 덜 함몰되므로, 상대적으로 상기 증발기 수용부(210)에 대응하는 상기 단열재(300)의 두께는 더 두껍게 된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110) 측으로부터 냉기가 열전도에 의하여 상기 냉장실(40) 쪽으로 전달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송풍 유니트 수용부(220)는 상대적으로 상기 증발기 수용부(210)보다 더 함몰되므로, 상기 송풍 유니트(130) 쪽으로 냉기의 원할한 유동 통로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 유니트 수용부(220)에 대응하는 상기 단열재(300)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기는 하지만 상기 증발기(110)측 보다 상대적으로 온도가 더 높은 송풍 유니트(130)측의 단열은 충분히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증발기 수용부(210)와 상기 송풍 유니트 수용부(220)의 단차진 부분은 연결부(240)에 의해서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240)는 상기 증발기 수용부(210)와 상기 송풍 유니트(130)의 경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 수용부(210) 내측의 냉기가 상기 송풍 유니트 수용부(220)의 내측으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송풍 유니트 수용부(220)의 상방에는 냉기 유로(230)가 형성된다. 상기 냉기 유로(230)는 상기 쉬라우드(136)의 토출구(139)로 토출되는 냉기를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30)로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베리어(100)의 상부까지 연장 형성된다. 상기 쉬라우드(136)의 토출구(139) 폭은 상기 냉기 유로(230)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기 유로(230)는 상기 송풍 유니트 수용부(220)의 개구된 상단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기 유로(230)는 상기 송풍 유니트 수용부(220)보다 덜 함몰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냉기 유로(230)와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단열재(300) 두께는 상기 송풍 유니트 수용부(220)와 대응하는 위치의 단열재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냉기 유로(230)를 따라 흐르는 냉기가 열전도에 의하여 상기 냉장실(40)로 전달되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냉기 유로(230)는 아래에서 설명할 베리어 커버(400)에 의해 차폐되는 것에 의해 온전한 냉기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기 유로(230)의 상단에는 냉기 출구(232)가 형성된다. 상기 냉기 출구(232)는 상기 베리어(100)의 상부 중앙에 위치되며, 상기 냉장실(40) 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기 출구(232)에는 토출되는 냉기의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출구 그릴(234)이 더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기 출구(232) 측에는 냉기 분배 장치(140)가 구비된다. 상기 냉기 분배장치(140)는 상기 냉기 유로(230)에서 공급되는 냉기를 상기 냉기 출구(232)로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냉기 출구(232)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기 분배장치(140)는 댐퍼와 같은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냉기 출구(232)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냉기 분배장치(140)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냉기 유로(230)를 통해 안내되는 냉기 일부는 상기 냉기 출구(232)로 토출되어 상기 냉장실로 유입된다. 반면, 상기 냉기 분배장치(140)가 닫혀있는 경우, 상기 냉기 유로(230)를 통해 안내되는 냉기는 전부 상기 냉동실(30) 측으로만 토출된다.
한편, 상기 함몰부(200)는 베리어 커버(400)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베리어 커버(400)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함몰부(200)를 차폐하여 상기 베리어(100)의 좌측면 일부 즉, 상기 냉동실(30)의 내측 벽면 일부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베리어 커버(400)는 상기 베리어(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베리어(100)의 측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베리어 커버(400)는 전체가 하나의 판재로 형성될 수도 있는 반면, 필요에 따라서는 다수의 부분으로 나누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증발기 수용부(210)를 커버하는 부분과, 상기 송풍 유니트(130) 및 냉기 유로(230)를 커버하는 부분으로 나뉘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베리어 커버(400)가 장착된 면과 대향되는 상기 베리어(100)의 우측면 또한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매끈한 평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냉장실(40)의 내측 벽면 일부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베리어(100)의 양측면은 모두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110)와 대응하는 상기 베리어 커버(400)의 배면에는, 상기 증발기(110)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의 장착 가이드(420)가 형성되어, 상기 증발기(110)의 고정을 보조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증발기 수용부(210)와 대응하는 상기 베리어 커버(400)의 하단에는 냉기 입구(430)가 형성된다. 상기 냉기 입구(430)는 냉동실 냉기가 유입되는 부분으로, 상기 냉동실(30)의 냉기가 상기 증발기 수용부(210)로 유입되도록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기 유로(230)와 대응하는 상기 베리어 커버(400)의 상부에는 다수의 냉기 출구(410)가 형성된다. 상기 냉기 출구(410)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냉기 유로(230)를 따라 상승하는 냉기가 상기 냉동실(30)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베리어 커버(400)의 양측단에는 상기 베리어 커버(400)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단(coupling end)(440)이 더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단(440)에는 스크류와 같은 체결 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베리어 커버(400)가 상기 베리어(100) 좌측면에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장착단(440)에 대응하는 상기 베리어(100)의 측면은 함몰되어 상기 장착단(440)이 상기 베리어(100)의 좌측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상기 베리어의 냉기 유동상태를 냉동실 측에서 본 도면이고, 도 8은 상기 베리어의 냉기 유동상태를 냉장실 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냉장고(1)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냉장고(1) 내부의 냉동 사이클이 구동한다. 상기 냉동 사이클의 구동으로 상기 증발기(110)와 접촉하는 공기가 냉각되어 냉기가 생성된다.
먼저, 도 7을 참조하여 냉동실(30)로 냉기가 공급되는 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냉동실(30)로의 냉기 공급을 위해서는 상기 모터(132)의 구동에 의해 상기 송풍팬(134)을 구동시키게 된다. 상기 송풍팬(134)의 구동으로 상기 냉기 입구(430)로 유입되는 상기 냉동실(30)의 냉기는 상기 증발기(110)에서 열교환되어 더욱 차가운 냉기 상태가 되고, 상기 송풍팬(134)의 구동에 따라 상방으로 이동한다.
상기 증발기 수용부(210)에서 상방으로 이동하는 냉기는 상기 연결부(240)를 따라 상기 송풍 유니트 수용부(220) 내측으로 이동하며, 상기 냉기 안내부(222)의 안내에 의해 상기 쉬라우드(136)의 오리피스(137)로 유입된다.
상기 쉬라우드(136)로 유입된 냉기는 상기 쉬라우드(136)의 토출구(139)로 토출되어 상기 냉기 유로(230)로 안내된다. 상기 냉기 유로(230)로 안내되는 냉기는 상기 베리어 커버(400)에 형성된 냉기 출구(410)를 통해서 상기 냉동실(30)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냉기 출구(410)는 상하로 다수 개가 형성되어 있으며, 다수 개의 상기 냉기 출구(410)를 통해 냉기가 상기 냉동실(30) 내부에 고르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배출된 냉기는 상기 냉동실(30)의 내부를 냉각시키게 되며, 상기 송풍팬(134)이 구동되는 동안 상기 냉기 입구(430)를 통해 상기 냉동실(30) 내부의 냉기가 다시 유입되면서 순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기 출구(232)에 구비되는 냉기 분배장치(140)는 닫혀 있는 상태가 되므로 상기 냉장실(40) 측으로는 냉기가 공급되지 않고, 상기 냉동실(30)로만 냉기가 공급된다.
한편, 증발기 수용부(210)와 송풍 유니트 수용부(220) 및 냉기 유로(230)는 비교적 두께가 얇은 플라스틱 소재의 상기 베리어 커버(400)에 의해 차폐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110) 자체의 냉기 또는 상기 함몰부(200) 내부에서 이동하는 냉기는 상기 베리어 커버(400)를 통한 열전도에 의해 상기 냉동실(30) 냉기와 열교환할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냉장실(40)로 냉기가 공급되는 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냉장실(40)로의 냉기 공급을 위해서는 상기 모터(132)의 구동에 의해 상기 송풍팬(134)을 구동시키게 된다. 상기 송풍팬(134)의 구동으로 상기 냉기 입구들(430,212)을 통하여 유입되는 상기 냉동실(30) 및 냉장실(40)의 냉기는 상기 증발기(110)에서 열교환되어 더욱 차가운 냉기 상태가 되고, 상기 송풍팬(134)의 구동에 따라 상방으로 이동한다.
상기 증발기 수용부(210)에서 상방으로 이동하는 냉기는 상기 연결부(240)를 따라 상기 송풍 유니트 수용부(220) 내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냉기 안내부(222)의 안내에 의해 상기 쉬라우드(136)의 오리피스(137)로 유입된다.
상기 쉬라우드(136)로 유입된 냉기는 상기 쉬라우드(136)의 토출구(139)로 토출되어 상기 냉기 유로(230)로 안내된다. 상기 냉기 유로(230)로 안내되는 냉기는 상기 베리어 커버(400)에 형성되는 냉기 출구(410)를 통해서 상기 냉동실(30)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냉기 유로(230)를 통해 안내되는 냉기는 상기 냉기 유로(230) 상단에 형성된 상기 냉기 분배장치(140)까지 공급된다. 상기 냉장실(40)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상태에서는 상기 냉기 분배장치(140)가 개방된다. 따라서, 상기 냉기 분배장치(140)를 통해서 상기 냉기 출구(232)로 냉기가 토출된다.
상기 냉기 출구(232)를 통해서 상기 냉장실(40)의 내부로 공급되는 냉기는 상기 냉장실(40)의 내부를 냉각시키게 되며, 상기 송풍팬(134)이 구동하는 동안 상기 냉기 입구(212)를 통해 상기 냉장실(40)의 냉기가 다시 유입되면서 순환하게 된다.
도 9는 도 4의 A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송풍 유니트(130)는 상기 베리어 커버(400)에 고정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모터(132)는 모터 마운트(135)에 의하여 상기 베리어 커버(400)에 고정되고, 상기 모터(132)로부터 회전축(132a)이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132a)에는 상기 송풍팬(134)이 연결된다. 상기 송풍팬(134)은, 원추 형태의 허브(134a)와, 상기 허브(134a)의 외주면에 배열되는 다수의 블레이드(134b) 및 상기 블레이드(134b)의 상단에 형성되는 벨마우스(134c)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쉬라우드(136)는 상기 송풍팬(134)을 수용하는 형태로 상기 베리어 커버(400)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쉬라우드(136)에 형성되는 상기 오리피스(137)의 가장자리는 상기 송풍팬(134) 쪽으로 라운드져서, 상기 벨마우스(134c)의 내측에 끼워진다. 따라서, 상기 냉기 안내부(220)로 이동하는 냉기가 부드럽게 상기 송풍팬(134)으로 안내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오리피스(137)가 형성된 상기 쉬라우드(136)의 면은 상기 냉기 안내부(220)와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 수용부(210)로부터 이동한 냉기가 상기 오리피스(137)를 통하여 상기 송풍팬(134)의 회전축(132a)과 평행하게 상기 송풍팬(134)으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상기 베리어 커버(400)는 상기 송풍 유니트(130)와 한 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베리어 커버(400)를 분리하면 상기 송풍 유니트(130)가 함께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송풍 유니트(130)의 수리가 필요할 경우, 상기 베리어 커버(400)를 분리하면 되므로, 제품 수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고내 온도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분배 방치(140)의 일 예로서 댐퍼가 장착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 분배 장치(140)는 댐퍼(140)로 정의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압축기(미도시) 정지, 송풍팬(134) 정지 및 댐퍼(140) 폐쇄 상태(10)를 기본 전제로 하여 설명한다.
상세히, 냉장고의 제어부(미도시)에서는 상기 냉동실(30)과 냉장실(40)에 장착된 온도 센서(미도시)를 통하여 냉장실 및 냉동실의 고내 온도를 감지하도록 한다(S11). 그리고,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온도 센서들에 의하여 감지된 냉장실 및 냉동실 온도를 수신한다. 그리고, 냉장실 온도(TR)가 불만족 상태(TR>Ta+dT, Ta: 냉장실 설정 온도, dT:설정 편차(differential))인지 및 냉동실 온도(TF)가 불만족 상태(TF>Tb+dT, Tb:냉동실 설정 온도, dT:설정 편차)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2,S13,S20).
만일, 냉장실(40)과 냉동실(30) 모두 불만족 상태라고 판단되면, 압축기와 송풍팬(134)을 구동하고, 상기 댐퍼(140)가 개방되도록 하여(S14), 냉기가 상기 냉장실(40)과 냉동실(30)로 동시에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냉기가 상기 냉장실(40)과 냉동실(30)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주기적으로 고내 온도를 감지하며, 먼저 냉장실 온도(TR)가 만족 상태(TR≤Ta-dT)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한다(S15). 만일 냉장실 온도가 만족 상태에 도달한 경우에는 상기 댐퍼(140)를 폐쇄하고(S16), 만족 상태에 도달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계속하여 댐퍼(140)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냉장실 온도가 만족 상태에 도달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댐퍼를 폐쇄하는 것과 함께 냉동실 온도(TF)가 만족 상태(TF≤Tb-dT)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7). 그리고, 냉동실 온도가 만족 상태에 도달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압축기와 송풍팬(134)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한다(S18). 본 플로차트에서는 냉장실과 냉동실이 만족 상태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순차적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기술되어 있으나, 고내 온도 감지는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음을 밝혀 둔다. 그리고, 고내 온도 감지가 동시에 이루어짐에 따라 댐퍼의 개폐 여부와 압축기 및 송풍기의 동작 상태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냉장고 전원이 오프 되었는지 여부(S19)에 따라 상기 제어 과정이 반복 수행되거나 종료된다.
한편, 냉장실 온도가 만족 상태에 있는 반면 냉동실 온도가 불만족 상태에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압축기와 송풍팬이 구동하도록 하되, 상기 댐퍼(140)는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여(S21), 냉기가 냉동실(30) 쪽으로만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냉기가 냉동실 쪽으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냉동실 온도가 만족 상태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S22)하고, 만족 상태에 도달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압축기와 송풍팬(134)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한다(S23). 그리고, 냉장실(40) 및 냉동실(30) 온도를 감지하는 과정(S11)이 반복 수행되도록 한다.
또한, 냉장실이 불만족 상태에 있는 반면 냉동실은 만족 상태에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송풍팬(134)이 작동하고 상기 댐퍼(140)가 개방되도록 한다(S24). 즉, 냉장실만 불만족 상태에 있는 경우, 냉동 사이클을 구동하지 않고, 상기 증발기(110)에 남아 있는 냉기가 냉장실로 순환하도록 하여 냉장실을 냉각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송풍팬(134)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냉동실 냉기의 일부가 상기 냉장실로 유입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증발기로 유입되는 냉동실 냉기는 상기 송풍팬(134)의 동작에 의하여 강제 유동하여 상기 냉동실(30) 및 상기 냉장실(40)로 나뉘어 흐르게 된다. 따라서, 상기 냉동실(30)의 냉기 일부가 상기 냉장실(40)로 유입됨으로써 냉장실(40) 온도가 낮아지게 된다.
상세히, 상기 댐퍼(140)가 개방되고, 압축기가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송풍팬(134)이 구동하는 동안, 냉장실 온도가 만족 상태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25), 만족 상태에 도달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송풍팬(134)이 정지하고 상기 댐퍼(140)가 폐쇄되도록 한다(S26).
다른 방법으로서, 상기 냉장실만 불만족 상태에 있는 경우에도 상기 압축기가 구동하도록 하여, 냉동 사이클이 작동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즉, 냉동실 냉기 및 증발기의 잔여 냉기로 냉장실을 냉각하는 경우, 냉장실 냉각 과정에서 냉동실 부하가 증가할 수 있기 때문에, 냉장실만 불만족 상태라 하더라도 냉동실을 함께 냉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냉장실이 과냉되는 경우 고내에 저장된 음식물이 동결될 위험이 있으나, 냉동실이 만족 상태에서 냉기를 더 공급해 주더라도 과냉에 의한 음식물 손상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냉장실 불만족 상태에서 냉동 사이클을 동작시켜도 무방하다고 하겠다.
따라서, 상기 송풍팬(134)이 구동하고 댐퍼(140)가 개방됨과 동시에 압축기가 구동하여 증발기(110)의 온도가 낮아지도록 하고, 상기 증발기(110)에 의하여 생성되는 냉기가 상기 냉동실(30)과 냉장실(40)로 나뉘어 흐르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40) 온도가 만족 상태에 도달하면 냉기 공급이 중단되도록 할 수 있다. 냉장실 내부의 설정 온도는 대략 영상 3-5도이므로, 공급되어야 할 냉기의 양이 많지 않다. 다시 말하면, 냉장실을 만족 상태로 냉각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냉동실 냉각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짧다. 따라서, 냉동실이 만족인 상태에서 냉기를 더 공급하더라도 무방하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저장 공간을 구비하는 캐비닛과, 상기 저장 공간을 좌우 방향으로 각각 냉동실과 냉장실로 구획하며, 내부에 냉기 유로를 포함하는 함몰부가 형성되는 베리어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함몰부의 일측에 수용되어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와, 상기 함몰부의 다른 일측에 수용되어, 상기 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를 상기 냉기 유로로 강제 유동하는 송풍 유니트와, 상기 냉기 유로의 단부에 제공되어, 상기 냉장실 쪽으로의 냉기 공급을 제어하는 댐퍼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이고,
    상기 냉동실 온도가 만족 상태에 있고, 상기 냉장실 온도가 불만족 상태에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압축기의 구동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댐퍼가 개방되며, 상기 송풍 유니트가 구동하여 상기 함몰부에 의하여 정의되는 증발실의 냉기가 상기 냉장실로 직접 안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실 온도가 불만족 상태에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압축기가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실 온도는 만족 상태에 있고, 상기 냉동실 온도만 불만족 상태에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댐퍼는 폐쇄되어 상기 냉장실로의 냉기 공급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TR>Ta+dT(TR:냉장실 감지 온도, Ta:냉장실 설정 온도, dT:설정 편차); 및
    TF>Tb+dT(TF:냉동실 감지 온도, Tb:냉동실 설정 온도, dT:설정 편차)일 때, 상기 냉장실 온도 및 냉동실 온도는 각각 불만족 상태라고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TR≤Ta-dT; 및
    TF≤Tb-dT일 때, 상기 냉장실 및 상기 냉동실로의 냉기 공급이 각각 중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1020100004726A 2009-12-31 2010-01-19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101139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726A KR101139586B1 (ko) 2010-01-19 2010-01-19 냉장고의 제어 방법
PCT/KR2010/009626 WO2011081499A2 (en) 2009-12-31 2010-12-31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0841331.1A EP2519792B1 (en) 2009-12-31 2010-12-31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3/520,067 US20120272670A1 (en) 2009-12-31 2010-12-31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726A KR101139586B1 (ko) 2010-01-19 2010-01-19 냉장고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113A KR20110085113A (ko) 2011-07-27
KR101139586B1 true KR101139586B1 (ko) 2012-04-27

Family

ID=44921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4726A KR101139586B1 (ko) 2009-12-31 2010-01-19 냉장고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958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3092A (ja) * 1995-10-16 1997-05-02 Matsushita Refrig Co Ltd 冷蔵庫
KR20040056735A (ko) * 2002-12-24 2004-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050060199A (ko) * 2003-12-16 2005-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 방법
KR100817328B1 (ko) * 2006-12-01 2008-03-2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의 냉기 순환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3092A (ja) * 1995-10-16 1997-05-02 Matsushita Refrig Co Ltd 冷蔵庫
KR20040056735A (ko) * 2002-12-24 2004-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050060199A (ko) * 2003-12-16 2005-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 방법
KR100817328B1 (ko) * 2006-12-01 2008-03-2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의 냉기 순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113A (ko) 201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19792B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75403B1 (ko) 제빙장치 및 이를 갖는 냉장고
US8336330B2 (en) Refrigerator with icemaker compartment having an improved air flow
KR100889821B1 (ko) 온도조절 챔버를 구비한 냉장고
EP3534094B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20016929A (ko) 냉장고
KR101132455B1 (ko) 냉장고
KR101480458B1 (ko) 냉장고
TWI678506B (zh) 電冰箱
KR101132548B1 (ko) 냉장고
EP3896368B1 (en) Refrigerator
KR101139586B1 (ko)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101132452B1 (ko) 냉장고
KR101260559B1 (ko) 냉장고
KR101132540B1 (ko) 냉장고
KR101132554B1 (ko) 냉장고
KR101048222B1 (ko) 냉장고
KR100414269B1 (ko) 냉장고의 냉기 공급장치
KR101132481B1 (ko) 냉장고의 얼음 디스펜스장치
KR101132551B1 (ko) 냉장고
KR101191600B1 (ko) 냉장고
KR20110078656A (ko) 냉장고
KR101079433B1 (ko) 냉장고
CN110440513B (zh) 一种冰箱
CN110440504B (zh) 一种冰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