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8656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78656A KR20110078656A KR1020090135516A KR20090135516A KR20110078656A KR 20110078656 A KR20110078656 A KR 20110078656A KR 1020090135516 A KR1020090135516 A KR 1020090135516A KR 20090135516 A KR20090135516 A KR 20090135516A KR 20110078656 A KR20110078656 A KR 2011007865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vaporator
- motor assembly
- cold air
- fan motor
- barrie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1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2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claims 2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3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057 refrig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45 dietary chan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87 fo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을 냉장실과 냉동실로 구획하며, 내부에 단열재 구비되는 베리어; 상기 베리어의 냉동실 측에서 함몰되며, 증발기와 팬 모터 어셈블리가 수용되는 함몰부; 상기 함몰부를 냉동실 측에서 차폐하는 베리어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함몰부는, 상기 증발기가 수용되는 증발기 수용부와, 상기 증발기 수용부의 상측에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가 수용되는 팬 모터 어셈블리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냉장고, 베리어, 증발기, 단열
Description
본 발명은 냉장고 서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로서,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와 사용자의 기호가 다양해 짐에 따라 대형화 및 다기능화의 추세에 있으며, 저장공간의 구성에 따라 그 형태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통상 냉장고 내부의 저장공간은 베리어에 의해 구획되어 냉장실과 냉동실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의 배치에 따라서 그 형태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게 된다.
이들 냉장고 중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side by side type)의 냉장고는 냉장실과 냉동실의 각각 좌측과 우측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냉장실 도어와 냉동실 도어에 의해 개별적으로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의 냉장고는 통상 냉장실 및/또는 냉동실의 후방에 증발기가 구비되어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로 냉기를 공급하도록 구성되었으나, 증발기가 장착되는 공간만큼 고내의 내부 용적이 줄어드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9849호에는 고내 공간을 냉장실과 냉동실로 구획하는 베리어의 내부에 증발기와 냉기순환팬이 구비되는 냉장고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냉장고에서는 상기 증발기와 냉기순환팬이 장착된 상기 베리어의 단열이 이루어 지지 않아 냉장실의 온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 베리어 내부의 좁은 공간에서 유동되는 냉기의 순환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실시 예의 목적은 베리어의 단열 성능을 유지하면서 고내 용적율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실시 예의 다른 목적은 베리어의 단열 성능을 유지하면서 냉기의 흐름을 원할하게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을 냉장실과 냉동실로 구획하며, 내부에 단열재 구비되는 베리어; 상기 베리어의 냉동실 측에서 함몰되며, 증발기와 팬 모터 어셈블리가 수용되는 함몰부; 상기 함몰부를 냉동실 측에서 차폐하는 베리어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함몰부는, 상기 증발기가 수용되는 증발기 수용부와, 상기 증발기 수용부의 상측에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가 수용되는 팬 모터 어셈블리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다른 측면에서의 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을 단열된 두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며, 구획된 각 공간의 일측 평면을 형성하는 베리어; 상기 베리어에 함몰되며, 증발기와 팬 모터 어셈블리가 수용되는 함몰부; 상기 함몰부를 차폐하는 베리어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함몰부는, 상기 증발기가 수용되는 증발기 수용부; 상기 증발기 수용부 상방에서 상기 증발기 수용부보다 더 함몰 형성되며,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가 수용되는 팬 모터 어셈블리 수용부;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 수용부의 상방에 형성되며, 냉기를 저장공간으로 안내하기 위한 유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는, 단열재가 충진되는 베리어에 형성되는 함몰부의 증발기 수용부가 팬 모터 어셈블리 수용부와 단차지게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증발기가 장착되어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부분에 단열재가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냉장실 내부의 온도 변화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그리고, 증발기의 위치를 냉동실 측으로 하여 전체적인 배리어의 두께를 최소화하면서 상기 냉장실 측의 단열 성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팬 모터 어셈블리 수용부가 더 함몰되어 증발기의 냉기가 송풍팬으로 유입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여 냉기의 유동성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리어에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 수용부와 냉기 유동부가 함몰 형성됨으로써 상기 베리어 내의 냉기 흐름을 보다 원할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베리어의 전체 구조를 간결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20)에 의해 그 외형이 형성된다.
상기 캐비닛(10)은 전방으로 개구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베리어(100)에 의해 좌우 양측으로 구획되어 각각 냉동실(40)과 냉장실(30)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냉장실(30)과 냉동실(40)의 내측에는 다수의 서랍과 선반들이 구비되어 내부에 다양한 식품들이 수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20)는 상기 냉장실(30)과 냉동실(40)을 각각 차폐할 수 있도록 각각 냉장실(30)의 개구된 전면과 대응하는 냉장실 도어(22)와, 냉동실(40)의 개구된 전면과 대응하는 냉동실 도어(24)로 구성된다.
상기 냉장실 도어(22)와 냉동실 도어(24)는 각각 상기 캐비닛(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냉장실 도어(22)와 냉동실 도어(24)의 회동에 의해 상기 냉장실(30)과 냉동실(40)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실 도어(22)와 냉동실 도어(24)의 배면에는 식품의 수납을 위한 다수의 바스켓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냉장실 도어(22)와 냉동실 도어(24)에는 아이스 메이커와 디스펜서, 홈바 등이 필요에 따라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리어(100)는 캐비닛(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저장공간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좌우 양측에 각각 냉동실(40)과 냉장실(30)을 형성하게 된다. 그 리고, 상기 베리어(100)는 상기 냉동실(40)과 냉장실(30) 사이에 열교환이 일어나지 않도록 단열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베리어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베리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1의 I-I'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실시예에 의한 베리어의 함몰부 형상을 보인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5의 Ⅱ-Ⅱ' 절결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베리어(100)는 상기 캐비닛(10)의 내측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내부에는 증발기(110)와 팬 모터 어셈블리(130)가 장착된다.
상기 베리어(100)는 상기 냉장실(30)과 냉동실(40)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인 케이스(15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되며, 상기 인 케이스(150)의 내측에는 발포액이 충진되어 단열재(300)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단열재(300)는 상기 베리어(100)의 내부공간 전체에 고르게 충진된다.
한편, 상기 베리어(100)에는 상기 냉동실(40)측에서 함몰되는 함몰부(200)가 형성된다. 상기 함몰부(200)는 상기 베리어(100)의 일측면이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냉동실(40) 측으로 개구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함몰부(200)는 아래에서 설명할 증발기(110)와 팬 모터 어셈블리(13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세히, 상기 함몰부(200)는 냉기를 생성하기 위한 증발기(110)가 수용되는 증발기 수용부(210)와. 냉기의 순환을 위한 팬 모터 어셈블리(130)를 수용하는 팬 모터 어셈블리 수용부(220)와, 상기 증발기(110)에서 생성되는 냉기를 상기 냉장실(30)과 냉동실(40)로 공급하기 위한 냉기 유동부(2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 수용부(210)는 상기 베리어(100)의 하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증발기(110)를 완전히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증발기(110)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상기 증발기(110)의 두께보다 더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110)는 상기 증발기 수용부(210)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도록 냉매관(112)이 상하 동일 연장선상에 일렬로 배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좌우 양측에 헤더가 구비되고, 상기 헤더의 사이에 냉매의 유동통로를 형성하는 냉매관이 구비되는 멀티 플로우 채널 방식의 열교환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증발기 수용부(210)는 상기 증발기(110)의 장착시 상기 증발기(110)가 베리어(10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충분한 깊이만큼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110)는 상기 증발기 수용부(210)에 별도의 고정 부재 또는 고정 구조에 의해 고정 장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 수용부(210)의 하단에는 냉기 입구(212)가 형성된다. 상기 냉기 입구(212)는 상기 냉장실(30) 내부의 냉기가 유입되는 통로로서, 상기 증발기 수용부(210)의 후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기 입구(212)의 외측에는 입구 그릴(214)이 형성되어 외부에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냉기 입구(212)는 상기 냉장실(30) 내부에 구비되는 서랍 등이 구비되는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냉장실 도어(22)의 개방시 외측에서 노출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 수용부(210)의 하면에는 제상운전시 발생하는 제상수를 배출하기 위한 제상수 안내부재(12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제상수 안내부재(120)는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캐비닛(10)의 기계실과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상수 안내부재(120)는 별도의 부재로 성형되어 상기 증발기(110)의 하방에 대응하는 상기 증발기 수용부(210) 하측에 장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함몰부(200)의 하단이 상기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상수 안내부재(120)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증발기 수용부(210)의 상방에는 팬 모터 어셈블리 수용부(220)가 형성된다.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 수용부(220)는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130)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 수용부(220)에 배치되는 팬 모터 어셈블리(130)는, 모터(132)와 송풍팬(134) 그리고, 쉬라우드(136)로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모터(132)는 상기 송풍팬(134)의 구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기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132)의 회전축에 상기 송풍팬(134)이 장착된다. 상기 송풍팬(134)은 회전축 방향으로 유입되는 냉기를 원주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는 원심팬이 사용되며, 송풍 능력이 우수한 터보팬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132)와 송풍팬(134)은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 수용부(220)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상기 송풍팬(134)이 장착된 상기 모터(132)는 별도 의 장착부재를 통해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 수용부(220)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 수용부(220)에는 쉬라우드(136)가 구비된다. 상기 쉬라우드(136)는 상기 송풍팬(134)으로의 냉기 유입 및 상기 송풍팬(134)으로부터 토출되는 냉기를 안내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쉬라우드(136)는 내측에 상기 송풍팬(134)을 수용하게 되며, 상기 송풍팬(134)의 회전 중심방향에 유입구(137)가 개구되고,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냉기 유동부 방향으로 토출구(139)가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나머지 부분은 차폐되어 상기 유입구(137)를 통해 유입되는 냉기가 상기 송풍팬(134)을 통해 상기 토출구(139)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쉬라우드(136)는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 수용부(220)에 장착될 수도 있고, 아래에서 설명할 베리어 커버(400)에도 장착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상기 베리어 커버(400)에 상기 쉬라우드(136)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134)과 결합된 상기 모터(132)는 상기 쉬라우드(136)의 내측에서 고정 장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 수용부(220)의 양측에는 냉기 안내부(222)가 더 형성된다. 상기 냉기 안내부(222)는 상기 증발기 수용부(210)측의 냉기가 상기 쉬라우드(136)의 내측으로 모두 향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냉기 안내부(222)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 수용부(220)의 하단은 상기 증발기 수용부(210)의 상단과 동일한 폭을 가지며,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 수용부(220)의 상단 은 아래에서 설명할 냉기 유동부(230)의 하단과 동일한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 수용부(220)의 상단은 상기 쉬라우드(136)의 토출구(139) 폭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냉기 안내부(222)는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냉기 안내부(222)를 따라서 이동되는 냉기가 상기 쉬라우드(136) 내측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 수용부(220)는 상기 증발기 수용부(210) 및 아래에서 설명할 냉기 유동부(230) 보다 더 함몰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 수용부(220)는 상기 쉬라우드(136)와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 수용부(210) 측으로부터 유동되는 냉기는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 수용부(220)와 상기 쉬라우드(136)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통해서 상기 유입구(137) 측으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증발기 수용부(210)와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 수용부(220)는 함몰된 깊이가 다르므로, 서로 단차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 수용부(210)와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 수용부(220)에 대응하는 상기 베리어(100) 내부의 상기 단열재(300) 두께도 서로 다르게 된다.
상세히, 상기 증발기 수용부(210)는 상대적으로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 수용부(220)보다 덜 함몰되므로, 상대적으로 상기 증발기 수용부(210)에 대응하는 상기 단열재(300)의 두께는 더 두껍게 된다. 따라서, 온도가 더 낮은 상기 증발기(110) 측의 단열이 보다 잘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 수용부(220)는 상대적으로 상기 증발기 수용부(210)보다 더 함몰되므로, 상대적으로 상기 증발기 수용부(210)에 대응하는 상기 단열재(300)의 두께는 더 얇게 된다.
따라서,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130)의 장착시 냉기의 원할한 유동 통로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 수용부(220)에 대응하는 상기 단열재(300)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기는 하지만 상기 증발기(110)측 보다 상대적으로 더 온도가 높은 팬 모터 어셈블리(130)측의 단열은 충분히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증발기 수용부(210)와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 수용부(220)의 단차진 부분은 연결부(240)에 의해서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240)는 상기 증발기 수용부(210)와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130)의 경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 수용부(210) 내측의 냉기가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 수용부(220)의 내측으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 수용부(220)의 상방에는 냉기 유동부(230)가 형성된다. 상기 냉기 유동부(230)는 상기 쉬라우드(136)의 토출구(139)에서 토출되는 냉기를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40)로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베리어(100)의 상부까지 연장 형성된다.
상기 냉기 유동부(230)는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 수용부(220)의 개구된 상단의 폭과 대응하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거나, 상기 쉬라우드(136)의 토출구(139) 폭과 대응하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기 유동부(230)는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 수용부(220)보다 덜 함몰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냉기 유동부(230)와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단열재(300) 두께는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 수용부(220)와 대응하는 위치의 단열재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냉기 유동부(230)는 아래에서 설명할 베리어 커버(400)에 의해 차폐되는 것에 의해 냉기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기 유동부(230)의 상단에는 냉기 출구(232)가 형성된다. 상기 냉기 출구(232)는 상기 베리어(100)의 상부 중앙에 위치되며, 상기 냉장실(30) 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기 출구(232)에는 토출되는 냉기의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출구 그릴(234)이 더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기 출구(232)와 대응하는 상기 냉기 유동부(230)에는 냉기 분배장치(140)가 구비된다. 상기 냉기 분배장치(140)는 상기 냉기 유동부(230)에서 공급되는 냉기를 상기 냉기 출구(232)로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냉기 출구(232)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냉기 분배장치(140)는 댐퍼와 같은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냉기 출구(232)측으로의 통로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냉기 분배장치(140)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냉기 유동부(230)를 통해 안내되는 냉기는 상기 냉기 출구(232)로도 토출되어 상기 냉장실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반면에, 상기 냉기 분배장치(140)가 닫혀있는 경우, 상기 냉기 유동부(230)를 통해 안내되는 냉기는 상기 냉기 출구(232)측으로는 토출되지 않고 상기 냉동실(40) 측으로만 토출된다.
힌편, 상기 함몰부(200)는 베리어 커버(400)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베리어 커버(400)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함몰부(200)를 차폐하여 상기 베리어(100)의 측면 일부 즉, 상기 냉동실(40)의 내측 벽면 일부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베리어 커버(400)는 상기 베리어(10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베리어(100)의 측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베리어 커버(400)는 전체가 하나의 판재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다수의 부분으로 나누어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부분으로 나뉘어진 경우에는 상기 증발기 수용부(210)를 커버하는 부분과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220) 및 냉기 유동부(230)를 커버하는 부분으로 나뉘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베리어 커버(400)가 장착된 면과 대향되는 상기 베리어(100)의 측면 또한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냉장실(30)의 내측 벽면 일부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베리어(100)의 양측면은 모두 평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110)와 대응하는 상기 베리어 커버(400)의 배면은 상기 증발기(110)와 접하여 상기 증발기(110)를 밀착 고정시킬 수 있으며, 상기 증발기(110)와 대응하는 형상의 장착 가이드(420)가 형성되어 상기 증발기(110)의 고정을 보조할 수도 있다.
또한, 팬 모터 어셈블리 수용부(220)와 대응하는 상기 베리어 커버(400)의 배면은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 수용부(220)의 상기 냉동실(40)측 개구된 부분을 차폐하여 냉기가 상기 쉬라우드(136)의 유입구(137)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냉기 유동부(230)와 대응하는 상기 베리어 커버(400)의 배면은 상기 냉기 유동부(230)의 상기 냉동실(40) 측 개구된 부분을 차폐하여 냉기가 유동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증발기 수용부(210)와 대응하는 상기 베리어 커버(400)의 하단에는 커버 입구(430)가 형성된다. 상기 커버 입구(430)는 냉기가 유입되는 부분으로 상기 냉동실(40)의 냉기가 상기 증발기 수용부(210)로 유입되도록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기 유동부(230)와 대응하는 상기 베리어 커버(400)의 상부에는 다수의 커버 출구(410)가 형성된다. 상기 커버 출구(410)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냉기 유동부(230)를 통해 유동되는 냉기가 상기 냉동실(40)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베리어 커버(400)의 양측단에는 상기 베리어 커버(400)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440)가 더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440)에는 결합부재가 체결되어 상기 베리어 커버(400)를 상기 베리어(100) 측면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440)와 대응하는 상기 베리어(100)의 측면은 함몰되어 상기 장착부(440) 또한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상기 베리어의 냉기 유동상태를 냉동실 측에서 본 도면이다. 그리고, 도 8은 상기 베리어의 냉기 유동상태를 냉장실 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냉장고(1)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냉장 고(1) 내부의 냉동 사이클이 구동된다. 상기 냉동 사이클의 구동으로 상기 증발기(110)에서는 냉기가 발생된다.
우선, 도 7을 참조하여 냉동실(40)로 냉기가 공급되는 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냉동실(40)로의 냉기 공급을 위해서는 상기 모터(132)의 구동에 의해 상기 송풍팬(134)을 구동시키게 된다. 상기 송풍팬(134)의 구동으로 상기 커버 입구(430)로 유입되는 상기 냉동실(40)의 냉기는 상기 증발기(110)에서 열교환되어 더욱 차가운 냉기 상태가 되고, 상기 송풍팬(134)의 구동에 따라 상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증발기 수용부(210)에서 상방으로 이동되는 냉기는 상기 연결부(240)를 따라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 수용부(220) 내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냉기 안내부(222)의 안내에 의해 상기 쉬라우드(136)의 유입구(137)로 유입된다.
상기 쉬라우드(136)로 유입된 냉기는 상기 쉬라우드(136)의 토출구(139)로 토출되어 상기 냉기 유동부(230)로 안내된다. 상기 냉기 유동부(230)로 안내되는 냉기는 상기 베리어 커버(400)에 형성되는 커버 출구(410)를 통해서 상기 냉동실(40)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커버 출구(410)는 상하로 다수개가 형성되어 있으며, 다수개의 상기 커버 출구(410)를 통해 냉기가 상기 냉동실(40) 내부에 고르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배출된 냉기는 상기 냉동실(40)의 내부를 냉각시키게 되며, 상기 송풍팬(134)이 구동되는 동안 상기 커버 입구(430)를 통해 상기 냉동실(40)의 냉기가 다시 유입되면서 순환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기 출구(232)에 구비되는 냉기 분배장치(140)는 닫혀 있는 상태가 되므로 상기 냉장실(30) 측으로는 냉기가 공급되지 않고, 상기 냉동실(40)로만 냉기가 공급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증발기 수용부(210)와 팬 모터 어셈블리 수용부(220) 및 냉기 유동부(230)는 비교적 두께가 얇은 플라스틱 소재의 상기 베리어 커버(400)에 의해 차폐되고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110) 자체의 냉기 또는 상기 함몰부(200) 내부에서 이동되는 냉기는 상기 베리어 커버(400)에 의해 상기 냉동실(40)의 내측으로 직접 전도에 의해 전달될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냉장실(30)로 냉기가 공급되는 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냉장실(30)로의 냉기 공급을 위해서는 상기 모터(132)의 구동에 의해 상기 송풍팬(134)을 구동시키게 된다. 상기 송풍팬(134)의 구동으로 상기 커버 입구(430)와 냉기 입구(212)로 유입되는 상기 냉동실(40) 및 냉장실(30)의 냉기는 상기 증발기(110)에서 열교환되어 더욱 차가운 냉기 상태가 되고, 상기 송풍팬(134)의 구동에 따라 상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증발기 수용부(210)에서 상방으로 이동되는 냉기는 상기 연결부(240)를 따라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 수용부(220) 내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냉기 안내부(222)의 안내에 의해 상기 쉬라우드(136)의 유입구(137)로 유입된다.
상기 쉬라우드(136)로 유입된 냉기는 상기 쉬라우드(136)의 토출구(139)로 토출되어 상기 냉기 유동부(230)로 안내된다. 상기 냉기 유동부(230)로 안내되는 냉기는 상기 베리어 커버(400)에 형성되는 커버 출구(410)를 통해서 상기 냉동실(40)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커버 출구(410)는 상하로 다수개가 형성되어 있으며, 다수개의 상기 커버 출구(410)를 통해 냉기가 상기 냉동실(40) 내부에 고르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배출된 냉기는 상기 냉동실(40)의 내부를 냉각시키게 되며, 상기 송풍팬(134)이 구동되는 동안 상기 커버 입구(430)를 통해 상기 냉동실(40)의 냉기가 다시 유입되면서 순환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기 유동부(230)를 통해 안내되는 냉기는 상기 냉기 유동부(230) 상단의 상기 냉기 분배장치(140)까지 공급된다. 상기 냉장실(30)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상태에서는 상기 냉기 분배장치(140)가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냉기 분배장치(140)를 통해서 상기 냉기 출구(232)로 냉기가 토출된다.
상기 냉기 출구(232)를 통해서 상기 냉장실(30)의 내부로 공급되는 냉기는 상기 냉장실(30)의 내부를 냉각시키게 되며, 상기 송풍팬(134)이 구동되는 동안 상기 냉기 입구(212)를 통해 상기 냉장실(30)의 냉기가 다시 유입되면서 순환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베리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I-I'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의한 베리어의 함몰부 형상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7의 Ⅱ-Ⅱ' 절결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베리어의 냉기 유동상태를 냉동실 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8은 상기 베리어의 냉기 유동상태를 냉장실 측에서 본 도면이다.
Claims (14)
-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상기 저장공간을 냉장실과 냉동실로 구획하며, 내부에 단열재 구비되는 베리어;상기 베리어의 냉동실 측에서 함몰되며, 증발기와 팬 모터 어셈블리가 수용되는 함몰부;상기 함몰부를 냉동실 측에서 차폐하는 베리어 커버를 포함하며,상기 함몰부는,상기 증발기가 수용되는 증발기 수용부와,상기 증발기 수용부의 상측에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가 수용되는 팬 모터 어셈블리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단열재는 발포 충진되며,상기 함몰부와 대응하는 부분을 포함한 상기 베리어의 내부 전체에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 수용부는 상기 증발기 수용부보다 더 함몰되어 형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단열재는,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 수용부보다 상기 증발기 수용부가 더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는 회전 중심에서 원주방향으로 보내는 원심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함몰부는,상기 증발기가 수용부와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 수용부를 경사지게 연결하는 연결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증발기는 상기 베리어의 중앙에서 상기 냉동실 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상기 저장공간을 단열된 두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며, 구획된 각 공간의 일측 평면을 형성하는 베리어;상기 베리어에 함몰되며, 증발기와 팬 모터 어셈블리가 수용되는 함몰부;상기 함몰부를 차폐하는 베리어 커버를 포함하며,상기 함몰부는,상기 증발기가 수용되는 증발기 수용부;상기 증발기 수용부 상방에서 상기 증발기 수용부보다 더 함몰 형성되며,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가 수용되는 팬 모터 어셈블리 수용부;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 수용부의 상방에 형성되며, 냉기를 저장공간으로 안내하기 위한 유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8 항에 있어서,상기 함몰부와 대응하는 부분을 포함한 상기 베리어의 전체에는 단열재가 발포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8 항에 있어서,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 수용부의 양측면에는,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증발기측 냉기를 상기 유로부로 안내하는 냉기 안내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8 항에 있어서,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 수용부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유로부는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 수용부의 상단의 개구된 폭과 대응하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8 항에 있어서,상기 유로부의 상단에는 저장공간을 냉기를 토출하기 위해 상기 베리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냉기 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8 항에 있어서,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 수용부는 상기 유로부보다 더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35516A KR20110078656A (ko) | 2009-12-31 | 2009-12-31 | 냉장고 |
EP10841331.1A EP2519792B1 (en) | 2009-12-31 | 2010-12-31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US13/520,304 US20130086936A1 (en) | 2009-12-31 | 2010-12-31 | Refrigerator |
PCT/KR2010/009625 WO2011081498A2 (en) | 2009-12-31 | 2010-12-31 | Refrigerator |
PCT/KR2010/009626 WO2011081499A2 (en) | 2009-12-31 | 2010-12-31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US13/520,094 US20120285193A1 (en) | 2009-12-31 | 2010-12-31 | Refrigerator |
US13/520,067 US20120272670A1 (en) | 2009-12-31 | 2010-12-31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PCT/KR2010/009627 WO2011081500A2 (en) | 2009-12-31 | 2010-12-31 | Refrigerator |
EP10841332.9A EP2519793B1 (en) | 2009-12-31 | 2010-12-31 | Refriger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35516A KR20110078656A (ko) | 2009-12-31 | 2009-12-31 | 냉장고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78656A true KR20110078656A (ko) | 2011-07-07 |
Family
ID=44918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35516A KR20110078656A (ko) | 2009-12-31 | 2009-12-31 | 냉장고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078656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32548B1 (ko) * | 2010-01-21 | 2012-04-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KR20180129472A (ko) * | 2017-05-26 | 2018-12-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
2009
- 2009-12-31 KR KR1020090135516A patent/KR2011007865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32548B1 (ko) * | 2010-01-21 | 2012-04-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KR20180129472A (ko) * | 2017-05-26 | 2018-12-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519792B1 (en)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670086B1 (ko) | 냉장고 | |
EP2519793B1 (en) | Refrigerator | |
KR20080014559A (ko) | 냉장고 | |
CN110440504B (zh) | 一种冰箱 | |
KR20180129472A (ko) | 냉장고 | |
KR20190013112A (ko) | 냉장고 | |
KR101132455B1 (ko) | 냉장고 | |
KR101132548B1 (ko) | 냉장고 | |
KR101260559B1 (ko) | 냉장고 | |
KR101132452B1 (ko) | 냉장고 | |
KR101132540B1 (ko) | 냉장고 | |
KR20110078656A (ko) | 냉장고 | |
KR101048222B1 (ko) | 냉장고 | |
CN110440513B (zh) | 一种冰箱 | |
CN211739628U (zh) | 一种冰箱 | |
CN211739629U (zh) | 一种冰箱 | |
CN210772966U (zh) | 一种冰箱 | |
KR101132551B1 (ko) | 냉장고 | |
KR101079433B1 (ko) | 냉장고 | |
KR101132448B1 (ko) | 냉장고 | |
KR101191600B1 (ko) | 냉장고 | |
KR101132481B1 (ko) | 냉장고의 얼음 디스펜스장치 | |
CN115218594B (zh) | 冰箱 | |
KR102465316B1 (ko) | 냉장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