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3112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3112A
KR20190013112A KR1020170097152A KR20170097152A KR20190013112A KR 20190013112 A KR20190013112 A KR 20190013112A KR 1020170097152 A KR1020170097152 A KR 1020170097152A KR 20170097152 A KR20170097152 A KR 20170097152A KR 20190013112 A KR20190013112 A KR 20190013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or
flow path
cool air
blowing fan
ai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7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4627B1 (ko
Inventor
김지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7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4627B1/ko
Priority to DE102018212562.7A priority patent/DE102018212562A1/de
Priority to US16/050,630 priority patent/US10837693B2/en
Publication of KR20190013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3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4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4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7Evaporator fa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25D11/02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with two or more 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6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mounting refrigerating machinery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25B39/022Evaporators with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5B39/024Evaporators with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with elements constructed in the shape of a hollow pan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5/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evaporator circuits, e.g. for varying refrigerating capa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3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with air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5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return
    • F25D2317/0651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return through the botto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 F25D2317/0665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from the to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7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air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8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ans
    • F25D2317/0681Details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외형을 형성하는 아웃 케이스와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이너 케이스에 장착되는 롤 본드 타입의 증발기; 상기 저장공간의 내측 벽면을 형성하며, 내부에 상기 증발기의 수용 및 냉기 유동을 위한 열교환 공간을 형성하는 증발기 커버모듈; 상기 저장공간의 내측 상면에서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의 상단과 연통되며, 고내측 하방으로 냉기를 토출하는 냉기 공급모듈; 상기 냉기 공급모듈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상기 냉기 공급모듈을 통해 토출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 { Refrigerator }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를 위해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최근의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 및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냉장고가 배치되는 공간의 가구 또는 벽면과 일체감을 가질 수 있도록 냉장고 도어에 가구 또는 벽면과 동일한 패널이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빌트인 타입의 냉장고가 개발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6-0132770호에는 빌트인 타입의 냉장고가 개시되어 있으며, 특히 하나의 증발기를 이용하여 복수의 공간으로 냉기를 공급하는 구조의 냉장고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조의 냉장고에서는 복수의 공간 중 비교적 크기가 큰 냉장실의 경우 효과적인 냉각이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가 발생되며, 각각의 공간의 온도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그리고, 단일 냉동 사이클로 복수의 공간을 냉각하는 경우 냉동 사이클 내에 냉매량이 많아지게 되며, 이는 사이클의 비대화 및 안전 및 환경규제를 만족할 수 없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복수의 핀타입의 증발기를 배치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증발기로 인한 고내 저장 공간의 손실이 발생될 수 있으며, 독립적인 팬, 모터 등의 배치로 인한 추가적인 고내 저장 공간의 손실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저장 용량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복수의 저장공간을 독립적이고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빌트인 타입의 냉장고의 열부하 침투를 최소화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고내 전체 영역에서 균일한 냉각이 가능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제상수 배출 및 냉각 공기 유동이 원활하도록 롤본드 증발기가 배치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외형을 형성하는 아웃 케이스와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이너 케이스에 장착되는 롤 본드 타입의 증발기; 상기 저장공간의 내측 벽면을 형성하며, 내부에 상기 증발기의 수용 및 냉기 유동을 위한 열교환 공간을 형성하는 증발기 커버모듈; 상기 저장공간의 내측 상면에서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의 상단과 연통되며, 고내측 하방으로 냉기를 토출하는 냉기 공급모듈; 상기 냉기 공급모듈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상기 냉기 공급모듈을 통해 토출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냉기 공급모듈은, 상기 송풍팬에 의해 흡입 및 토출되는 냉기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 형성부와; 상기 유로 형성부를 수용하며, 하면에 토출구가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와; 상기 냉기 유로의 일부를 차폐하도록 상기 유로 형성부에 장착되는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송풍팬은 회전축 방향으로 흡입하여 원주방향으로 토출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저장공간의 상면과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유로 형성부는, 하방에 배치되며,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과 연통되는 하부 유로와; 상기 하부 유로의 상방에 배치되며,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는 상부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송풍팬은 상부 유로와 하부 유로가 연통되는 연통홀 상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유로 형성부는, 상기 유로 형성부의 하부를 형성하며, 상기 송풍팬과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사이의 하부 유로를 연결하는 로어 파트와, 상기 유로 형성부의 상부를 형성하며, 상기 송풍팬과 상기 토출구 사이의 상부 유로를 형성하는 어퍼 파트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로어 파트에는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과 연통되는 입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입구부의 내측에는 증발기 커버모듈로부터 유입되는 냉기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는 안내면이 더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냉기 공급모듈의 하면에는 고내를 밝히기 위한 조명장치가 장착되는 조명장치 장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조명장치 장착부의 외측면은 상기 입구부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대응하는 형상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냉기 유동을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유로 형성부의 전단에는 상기 냉기 공급모듈 전단에 형성되는 프론트 토출구와 연통되는 프론트 아웃렛이 형성되고, 상기 유로 형성부의 좌우측단에는 상기 냉기 공급모듈의 좌우측단에 형성되는 사이드 토출구와 연통되는 사이드 아웃렛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사이드 아웃렛은 상기 냉기 유로 덕트의 전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어퍼 파트에는, 양측의 상기 유로 덕트의 후단을 연결하고 상기 송풍팬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라운드 또는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송풍팬에서 토출되는 냉기를 상기 프론트 아웃렛과 상기 사이드 아웃렛으로 안내하는 토출 안내면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프론트 아웃렛에는 토출되는 냉기를 분배하도록 상기 프론트 아웃렛의 개구를 구획하는 분배부가 연장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어퍼 파트와 로어 파트는 상기 사이드 아웃렛의 양단을 기준으로 단차지게 형성된 토출 안내면을 형성하며, 상기 토출 안내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토출 공기를 상기 프론트 아웃렛과 상기 사이드 아웃렛으로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유로 형성부에는 상기 송풍팬이 장착되는 팬 브라켓이 형성되며, 상기 팬 브라켓은, 상기 로어 파트의 개구를 차폐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송풍팬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오리피스가 형성되는 쉬라우드와, 상기 쉬라우드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토출 안내면에 접하는 브라켓 둘레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유로 형성부에는 상기 연통홀을 차폐하도록 팬 브라켓이 장착되며, 상기 팬 브라켓은, 상기 송풍팬을 향하여 공기가 유입되는 오리피스와; 상기 오리피스의 둘레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송풍팬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지지하는 팬 서포터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유로 형성부에는 상면에는 상기 상부 유로의 개구 둘레를 따라 단차지게 형성되는 상부 케이스 장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캐이스는 상기 상부 유로의 개구된 상면과 상기 송풍팬을 모두 차폐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이너 케이스는 금속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저장공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을 형성하는 판재가 서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하부 케이스에는, 금속 소재의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 케이스의 하면에 결합되어 하면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증발기 커버 모듈은, 상기 저장공간의 후벽면을 형성하며, 하단에 상기 저장공간의 냉기를 흡입하는 흡입구가 형성된 리어 플레이트; 상기 리어 플레이트의 배면에 부착되며, 상기 롤본드 증발기를 전방에 차폐하는 제 1 단열재; 상기 제 1 단열재와 이격되며, 상기 이너케이스에 부착되어 상기 롤본드 증발기를 후방에서 차폐하는 제 2 단열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단열재와 제 2 단열재의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 상기 열교환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증발기 커버의 배면에는 상기 증발기의 양단과 각각 접하여 흡입되는 냉기가 모두 상기 증발기를 거치도록 상기 열교환 공간의 양단을 형성하는 한쌍의 사이드 덕트가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캐비닛은 냉장실과 냉동실을 포함하며, 상기 냉장실에는 상기 증발기가 구비되고, 상기 냉동실에는 핀타입 증발기가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증발기과 핀타입 증발기는 각각의 압축기와 연결되어 독립된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고내 냉각을 위한 롤본드 타입의 증발기와 상기 롤본드 증발기가 수요되어 냉기 유로를 형성하는 증발기 커버모듈이 배면에 배치되고, 고내 상면에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과 결합되며 냉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송풍팬이 구비되는 냉기 공급모들이 구비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고내측에 냉기의 공급을 위한 증발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줄일 수 있으며, 줄어든 증발기의 수용 공간만큼 저장 공간이 확장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고내측으로 냉기를 토출하는 냉기 공급모듈을 고내 상면에 배치하여 전후 방향의 저장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냉기 공급 모듈은 하면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송풍팬의 수용 및 유로의 확보가 가능하면서 시각적으로 고내 공간이 넓어 보이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냉기 공급모듈의 내측에는 터보팬 구조의 송풍팬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송풍팬은 고내 공간의 상면과 회전축이 수직하게 교차되고, 바닥면이 수평하게 배치되어 최소 공간을 차지하면서도 냉기의 원활한 유동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저장공간을 가지는 냉장고에 복수의 냉동사이클을 독립적으로 구성하고,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고 저장공간이 큰 냉장실을 냉각하는데 롤 본드 차입의 증발기를 배치하고, 온도가 낮고 저장공간이 작은 냉동실을 냉각하는 데에는 핀 타입의 열교환기를 배치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냉각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각각의 공간을 완전히 독립된 상태로 냉각시킬 수 있으며, 원하는 온도 상태로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냉장실 공간을 독립적으로 냉각시킴과 동시에 저장공간을 보다 늘릴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고내측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 전체가 금속 소재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간단한 구조로 냉장고의 제조가 가능하게 되며, 고내측 외관을 보다 고급스럽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조에서 고내 후벽면에 롤본드 타입의 증발기를 배치할 경우 저장공간이 아닌 이너 케이스의 후벽면 측으로 상기 증발기의 냉기가 전달되어 냉각 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나, 증발기 커버모듈에 배치되는 판상의 단열재에 의해 후방으로 전달되는 냉기를 차단하여 열 손실을 방지하고 냉각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기 공급모듈은 상기 고내 상면에서 냉기를 하방으로 토출하되 전단과 양측단에서 하방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고내측 벽면에 냉기의 벽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냉장고 벽면을 통한 열부하 침투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벽체 또는 가구에 매립되는 빌트인 타입의 냉장고에서 고내와 고외측의 열교환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상기 냉기 공급모듈과 더불어 롤본드 타입의 증발기가 후벽면에 배치됨으로써, 냉장실 전체 면에 냉기의 벽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열부하의 침투를 방지함은 물론 고내측을 입체적으로 냉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증발기는 상기 협소한 폭을 가지는 열교환 공간의 내부에서 증발기 고정부재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열교환 공간 내측면과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최소 두께의 열교환 공간에서도 제상수의 용이한 배출은 물론, 냉기의 유동을 가능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냉장고의 일부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냉장고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기 공급모듈과, 증발기 커버모듈이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냉기 공급모듈과 증발기 커버모듈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냉기 공급모듈의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냉기 공급모듈을 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냉기 공급모듈을 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과 롤본드 증발기의 결합 구조를 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과 롤본드 증발기의 결합 구조를 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과 롤본드 증발기가 결합된 상태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증발기 고정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4의 A부 확대 도면이다.
도 15는 상기 냉장고의 냉장실에서의 냉기 유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6은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과 냉기 공급모듈에서의 냉기 유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7은 상기 냉기 공급모듈 내부의 냉기 유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8은 상기 냉장실의 내측의 냉각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냉장고의 일부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실내에 배치되는 가구(2) 또는 외장이 형성된 벽체의 사이에 일체감 있게 장착될 수 있는 빌트인(Built-in) 타입의 냉장고 일 수 있다.
상기 냉장고(1)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주변의 가구(2)들과 일체감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냉장고(1)의 전면 외관이 가구와 동일 재질 또는 동일한 질감을 가지는 패널(3)에 의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는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패널(3)들이 상기 냉장고(1) 주변의 가구(2)들의 전면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는 전체적으로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1)과, 상기 캐비닛(11)의 개구된 전면을 차폐하는 도어(21,22,23)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21,22,23)는 상기 패널(3)이 장착된 상태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기 패널(3)과 상기 도어를 별개의 구성으로 정의할 수도 있다.
상기 저장공간은 상기 캐비닛(11)의 내부에서 다수개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저장공간은 상부의 냉장실(12)과, 하부의 냉동실(13) 그리고, 냉장실(12)과 냉동실(13)의 사이에 제공되는 절환실(1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12)은 냉장 영역의 온도로 유지될 수 있고, 상기 냉동실(13)은 식품의 냉동 저장을 위해 영하의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환실(14)은 냉기의 선택적인 유동에 의해 냉장실(12)과 냉동실(13)로 전환 사용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설정된 온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본 실시 예와 같은 저장공간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두개 이상의 저장공간으로 구획되는 다양한 저장공간의 구성을 가지는 냉장고에 적용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한편, 상기 도어는 상기 저장공간들을 각각 독립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냉장실 도어(21)와, 냉동실 도어(22) 그리고 절환실 도어(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의 구성 또한 상기 저장공간의 구성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데, 상기 냉장실 도어(21)는 상기 냉장실(12)을 차폐할 수 있도록 한쌍의 도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1)는 좌우 양측에 한쌍이 구비될 수 있으며, 힌지장치(15)에 의해 상기 캐비닛(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냉장실(12)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쌍의 상기 냉장실 도어(21)는 좌우 양측이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며, 따라서 하나의 상기 냉장실(12)을 한쌍의 상기 냉장실 도어(21)를 이용하여 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상기 힌지장치(15)는 상기 냉장실 도어(21)의 상단과 하단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냉장실 도어(21)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냉장고(1)는 상기 가구(2)의 형태로 설치되는 빌트인(Built-in) 타입의 냉장고이므로, 상기 힌지장치(15)는 상기 냉장실 도어(21)가 개폐될 때 상기 패널(3)이 인접되는 가구(2)와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쌍의 상기 냉장실 도어(21)의 사이에는 차폐장치(24)가 구비될 수 있으며, 한쌍의 상기 냉장실 도어(21)가 닫힌 상태에서 한쌍의 상기 냉장실 도어(21)의 사이를 차폐하여 상기 냉장실(12) 내부의 냉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
한편, 상기 냉동실 도어(22) 및 절환실 도어(23)는 상기 냉동실(13)과 절환실(14)을 슬라이딩 인출입되면서 개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도어(22) 및 절환실 도어(23)에는 수납부재가 결합되어 서랍과 같은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냉동실 도어(22)는 상기 캐비닛(11) 내측에 구비되는 레일과 같은 인출입 장치와 직 간접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서랍과 함께 인출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1)와 냉동실 도어(22) 및 절환실 도어(23)의 전면에는 상기 패널(3)이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냉장고(1)가 설치되었을 때 상기 패널(3)에 의해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3)이 상기 냉장실 도어(21)와 냉동실 도어(22) 및 절환실 도어(23)들의 전면에 부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각각의 도어 사이의 간격이 매우 근접하게 되어 외부에서 볼 때 냉장고(1)가 아닌 가구(2)의 일부인 것처럼 보일 수 있다.
도 4는 상기 냉장고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캐비닛(11)은 외측면을 형성하는 아웃 케이스(101)와 상기 아웃 케이스(101)와 이격되며, 내측면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10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102)는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내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102)의 배치로 인해 고내측을 바라볼 때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으며 고내측이 한층 더 냉각된 모습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도에 의해 고내 전체 영역이 냉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아웃 케이스(101)와 이너 케이스(102)의 사이에는 단열재(103)가 충진될 수 있으며, 고내측과 고외측을 단열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너 케이스(102)와 아웃 케이스(101)의 사이에는 상기 단열재(103)의 성형을 위해 발포액을 주입하기 전에 상기 이너 케이스(102)와 아웃 케이스(101) 양측을 지지하도록 장착하는 스페이서(10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104)는 상기 이너 케이스(102)와 아웃 케이스(101)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하여 전체적인 형상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캐비닛(11)의 내부에는 상부와 하부에 두개의 베리어(11,11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베리어(11,111)에 의해 각각 절환실(14)과 냉동실(13)이 구획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1)의 하단 즉, 상기 냉동실(13)의 하방에는 기계실(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16)은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161,162)와 응축기(미도시)를 비롯한 전장부품들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61,162)는 2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냉동실(13)을 냉각하기 위한 제 1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제 1 압축기(161)와, 상기 냉장실(12)을 냉각하기 위한 제 2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제 2 압축기(162)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냉동실(13)과 냉장실(12)은 각각 독립된 냉동사이클에 의해 개별적으로 냉각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냉동사이클로 분리 구성함으로써 각각의 공간을 독립적이고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분리된 냉동사이클로 구성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압축기(161,162)를 적정 용량으로 설계할 수 있게 되어 압축기(161,162)의 크기 특히 높이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기계실(16)이 차지하는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캐비닛(11) 내부의 저장 공간의 용량을 최대화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냉동사이클을 분리함으로써 각각의 냉동사이클 내부에 제공되는 냉매량을 줄임으로써, 폭발성이 있는 냉매를 보다 안전하게 사용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 냉동실(13)의 후방에는 상기 제 1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제 1 증발기(13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증발기(134)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핀 튜브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핀튜브 증발기라 부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후방에는 냉동실 그릴팬(133)이 형성되며, 상기 냉동실 그릴팬(133)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부에 상기 제 1 증발기(134)와 냉동실 송풍팬(13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 송풍팬(135)에 의해 상기 냉동실 그릴팬(133)을 통과하여 상기 냉동실 증발기(134)의 냉기가 상기 냉동실(13) 내부로 냉기의 집중적인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냉동실(13)의 내부에는 상기 냉동실 도어(22)와 함께 인출입 가능한 냉동실 서랍(131)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13)의 내부에는 얼음을 만드는 제빙장치(13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환실(14)의 내부에는 상기 절환실 도어(23)와 함께 인출입 가능한 절환실 서랍(14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환실(14)의 후방에는 절환실 그릴팬(142)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환실 그릴팬(142)의 후방에는 상기 제 1 증발기(134)가 구비되는 공간과 연통되는 절환실 덕트(111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환실 덕트(111a)는 상기 제 1 증발기(134)의 냉기가 상기 절환실(14)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절환실 덕트(111a)에는 댐퍼(14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댐퍼(143)는 상기 절환실 덕트(111a)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댐퍼(143)의 개도 또는 개폐에 따라서 상기 절환실(14) 내부로의 냉기 공급을 선택적으로 조절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댐퍼(143)에 의해 상기 절환실(14) 내부는 설정된 온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절환실 덕트(111a) 또는 상기 절환실 그릴팬(142)이 형성하는 공간에는 절환실 송풍팬(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환실 송풍팬에 의해 상기 절환실(14) 내부로의 냉기 공급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환실 송풍팬은 상기 댐퍼(143)의 동작과 연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상기 절환실(14)은 열전 소자 또는 냉동사이클에 의한 별도의 독립적인 냉각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냉장실(12)의 후면에는 증발기 커버모듈(400)이 구비된다.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은 상기 냉장실(12)의 후면을 형성하며, 동시에 상기 이너 케이스(102)의 후면과의 사이에 제 2 증발기(500)가 구비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 2 증발기(500)는 롤본드 타입의 증발기로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증발기(500)는 롤본드 증발기 또는 판상형 증발기라 부를 수 있다. 상기 제 2 증발기(500)는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과 이너 케이스(102)의 사이에서 각각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2 증발기(500)가 수용된 공간을 따라 이동되는 공기를 냉각할 수 있다.
상기 냉장실(12)의 상면에는 냉기 공급모듈(3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에는 냉장실 송풍팬(370)이 구비되어 냉장실(12) 내부의 냉기 공급을 강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은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과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냉장실(12) 내부의 공기는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의 내측을 지나면서 냉각되고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을 통해 상기 냉장실(12)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12) 상면에는 냉장고(1)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모듈(123)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23)과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에는 고내측을 밝히기 위한 조명장치(124,12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12)에는 다수의 선반(121)과 서랍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냉장실 도어(21)의 배면에는 도어 바스켓(212)이 구비되어 고내에 다양한 수납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기 공급모듈과, 증발기 커버모듈이 결합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상기 냉기 공급모듈과 증발기 커버모듈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은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과 서로 결합되어 냉기가 공급되는 유로가 연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은 상기 냉장실(12)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냉장실(12)의 상면 적어도 일부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은 상기 냉장실(12)의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냉장실(12)의 후면 적어도 일부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은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의 하면 후단과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된 상태에서 각각 상기 냉장실(12)의 상면과 후면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과 냉기 공급모듈(300)은 내부가 서로 연통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과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을 따라서 냉기의 유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은 상기 냉장실(12)의 후면과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하단에 흡입구(411)가 형성되어 상기 냉장실(12) 내부의 공기가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의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의 내측에는 상기 제 2 증발기(50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은 상기 냉장실(12)의 상면과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냉장실 송풍팬(37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송풍팬(370)은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과 인접하는 후측에 위치되며, 따라서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의 하면에는 다수의 토출구(317,318)가 형성되어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을 통해 안내되는 냉기가 상기 냉장실(12)의 내측으로 토출된다.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은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이 상기 냉장실(12) 내측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냉장실(12)의 상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의 장착에 의해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의 하면 후단과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의 상단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냉기 공급모듈의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상기 냉기 공급모듈의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상기 냉기 공급모듈을 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9는 상기 냉기 공급모듈을 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은 외형을 형성하는 하부 케이스(310)와 상부 케이스(390) 그리고, 상기 상부 케이스(390)와 하부 케이스(310)의 사이의 유로 형성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310)는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면을 형성하는 베이스(311)와 상기 베이스(311)의 양측면과 전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테두리(3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311)의 전단과 양측단에는 각각 냉기가 토출되는 토출구(317,31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317,318)는 상기 베이스(311) 전단의 프론트 토출구(317)와 상기 베이스 양측단의 사이드 토출구(31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토출구(317)와 사이드 토출구(318)는 그릴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토출구(317)는 상기 베이스(311) 전단의 일측단에서 타측단까지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론트 토출구(317)에서 토출되는 냉기는 상기 냉장실(12)의 상면 전단에서 하방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토출구(318)는 상기 베이스(311)의 양측단에 구비되되 상기 전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사이드 토출구(318)는 상기 프론트 토출구(317)의 양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베이스(311)의 대략 중앙 지점까지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장실(12)의 상면 양측단의 전반부에서 하방으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311)에는 베이스 플레이트(32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20)는 상기 이너 케이스(102)와 동일한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냉장실(12)의 내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의 하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20)는 판상의 스테인레스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프론트 토출구(317) 및 상기 사이드 토출구(318)와 대응하는 영역은 절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20)가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냉장실(12)의 상면을 형성하되 상기 프론트 토출구(317)와 사이드 토출구(318)가 노출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20)의 양단에는 절곡부(32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절곡부(321)는 상기 베이스(311)의 테두리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20)가 상기 베이스(311)에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20)의 후단은 아래에서 설명할 라이트 커버(314)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20)의 중앙 일측에는 센서 홀(3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 홀(322)과 대응하는 상기 베이스(311)의 일측에는 센서 장착부(31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 장착부(319)는 상기 냉장실(12) 내부의 온도 측정을 위한 온도 센서가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311)의 내측에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서포팅 보스(315)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포팅 보스(315)는 상기 유로 형성부(33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팬 브라켓(360)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서포팅 보스(315)는 상기 팬 브라켓(36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팬 브라켓(360)의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로 형성부(330)는 상기 베이스(311)의 내측을 채울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311)에 장착되어 냉기의 유동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유로 형성부(330)는 단열 가능한 스티로폼과 같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성형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311)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유로 형성부(330)는 전체적으로 어퍼 파트(340)와 로어 파트(35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파트(340)는 상기 유로 형성부(330)의 상부를 형성하며 상기 베이스(311)의 상부 공간을 채우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로어 파트(350)는 상기 유로 형성부(330)의 하부를 형성하며 상기 베이스(311)의 하부 공간을 채우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유로 형성부(330)가 상기 하부 케이스(310)에 장착되었을 때 상부 유로(333)와 하부 유로(332)를 형성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상부 유로(333)와 하부 유로(332)는 연통홀(331)에 의해 서로 연통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세히, 상기 어퍼 파트(340)는 상기 유로 형성부(330)의 상부 둘레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방으로 개구된 상부 유로(333)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어퍼 파트(340)의 후단부는 상기 베이스(311)의 후단부보다 더 후방으로 돌출되며, 따라서 상기 베이스(311)의 후단부와 상기 어퍼 파트(340)의 사이에는 입구부(34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입구부(341)는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의 개구된 상단이 삽입되거나 서로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을 따라 상방으로 유동되는 냉기가 상기 유로 형성부(330)의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구부(341)의 하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수직하게 상방으로 향하는 냉기가 상기 입구부(341)의 라운드진 안내면(341a)을 따라서 유동되어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어퍼 파트(340)에는 토출 안내면(34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 안내면(342)은 상기 냉장실 송풍팬(370)에 의해 송풍되는 냉기가 상기 프론트 토출구(317)와 사이드 토출구(318)로 향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상기 토출 안내면(342)은 상기 상부 유로(333)의 후측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양측에 배치되는 상기 사이드 토출구(318) 후단의 사이를 소정의 곡률로 연결하게 된다. 이때, 상기 토출 안내면(342)은 상기 냉장실 송풍팬(370)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 안내면(342)의 일부는 상기 연통홀(331)의 일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어퍼 파트(340)의 전단에는 프론트 오프닝(34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오프닝(343)은 상기 상부 유로(333)의 전단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론트 토출구(317)와 연통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오프닝(343)의 대략 중앙에는 상기 프론트 오프닝(343)을 통과하는 공기를 분산시키는 분배부(343a)가 후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배부(343a)는 상기 프론트 오프닝(343)을 구획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양측면이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파트(340)의 양측단에는 사이드 오프닝(34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오프닝(344)은 상기 상부 유로(333)의 양측단 일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사이드 토출구(318)와 연통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어 파트(350)는 상기 유로 형성부(330)의 하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로 유입되는 냉기가 상기 냉장실 송풍팬(370)을 거쳐서 상기 프론트 토출구(317)와 사이드 토출구(318)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상세히, 상기 로어 파트(350)는 상기 상부 유로(333)의 공간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형성되며, 상기 어퍼 파트(340)와 상기 베이스(311)의 사이 공간을 채울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로 형성부(33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로어 파트(350)는 상면은 상기 상부 유로(333)를 형성하고, 하면은 상기 베이스(311)와 접하여 상기 하부 케이스(310)를 채우게 된다.
이때, 상기 로어 파트(350)의 전단과 양측단은 상기 프론트 오프닝(343)과 사이드 오프닝 까지 연장되어, 상기 프론트 오프닝(343)이 상기 프론트 토출구(317)와 연통되고, 사이드 오프닝(344)이 사이드 토출구(318)와 연통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파트(350)의 후단은 상기 연통홀(331)의 전반부를 형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어 파트(350)의 후단은 전방으로 라운드진 형태로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유로(332)의 일부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로어 파트(350)의 후단과 상기 토출 안내면(342)에 의해 상기 연통홀(33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통홀(331)은 중앙에서 양측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고, 양단에서 서로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통홀(331)은 중앙에 상기 냉장실 송풍팬(370)이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통홀(331)의 둘레를 따라서 상기 서포팅 보스(315)가 관통되는 보스 홀(33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스 홀(335)을 통과하여 상방으로 연장된 상기 서포팅 보스(315)의 상단은 상기 팬 브라켓(360)과 스크류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팬 브라켓(360)은 상기 연통홀(331)을 차폐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팬 브라켓(360)은 상기 연통홀(331)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쉬라우드(361)와, 상기 쉬라우드(361)의 둘레를 형성하는 브라켓 테두리(3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쉬라우드(361)의 외측을 따라서 다수의 브라켓 결합부(36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결합부(365)는 상기 로어 파트(350)에 형성된 보스 홀(335)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보스 홀(335)을 관통하는 상기 서포팅 보스(315)의 상단과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쉬라우드(361)의 중앙에는 오리피스(36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리피스(363)는 상기 냉장실 송풍팬(370)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실질적인 공기의 흡입 통로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오리피스(363)의 둘레는 벨마우스와 같은 형상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공기의 흡입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오리피스(363)의 외측에는 팬 서포터(36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팬 서포터(364)는 상기 냉장실 송풍팬(370)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송풍팬 결합부(371)와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냉장실 송풍팬(370)은 터보팬과 같은 구조를 가지며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원주 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도록 중앙에 팬모터(380)가 장착되며, 원주방향으로 다수의 블레이드(372)가 배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오리피스(363)를 통해 흡입되는 하부 유로의 공기는 상기 냉장실 송풍팬(370)에 의해 둘레방향으로 토출되면서 상기 상부 유로(333)의 내측으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팬 브라켓(360)에는 상기 쉬라우드(361)의 후단을 따라서 상기 브라켓 테두리(362)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테두리(362) 상기 토출 안내면(342)에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 테두리(362)의 상단을 따라서 수직하게 돌축된 브라켓 결합부(36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결합부(365)는 상기 어퍼 파트(340)의 보스 홀(335)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상기 서포팅 보스(315)의 상단과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팬 브라켓(360)과 상기 냉장실 송풍팬(370)은 상기 상부 유로(333) 상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유로 형성부(33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으며, 상기 상부 케이스(39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390)는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의 상면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유로 형성부(330)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390)는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유로(333)를 차폐하게 되고, 상기 상부 유로(333)상에 배치된 상기 팬 브라켓(360)과 냉장실 송풍팬(370)을 차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유로 형성부(330)의 상면에는 상기 상부 케이스(39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된 상기 상부 케이스 장착부(34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 장착부(345)에 상기 상부 케이스(390)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상부 케이스(390)의 상면은 상기 유로 형성부(330)의 상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은 상기 냉장실(12)의 내부에 장착될 때 상기 상부 케이스(390)와 상기 유로 형성부(330)의 상면이 이너 케이스(102)의 상면과 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의 좌우 양측단은 상기 이너 케이스(102)의 좌우 양측면과 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의 후단,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입구부(341)는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과 접하여 상기 냉기가 유동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세 살펴보기로 한다.
도 10은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과 롤본드 증발기의 결합 구조를 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과 롤본드 증발기의 결합 구조를 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장실(12)의 내부 후측면에는 증발기 커버모듈(4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은 상기 냉장실(12)의 배면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제 2 증발기(500)가 장착되는 공간 및 냉기 유동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은 상기 리어 플레이트(410)와, 제 1 단열재(440) 제 2 단열재(450) 그리고 사이드 덕트(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리어 플레이트(410)는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냉장실(12)의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리어 플레이트(410)는 상기 이너 케이스(102)와 동일하게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어 플레이트(410)의 하부에는 흡입구(4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411)는 상기 리어 플레이트(410)를 관통하는 다수의 홀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그릴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흡입구(411) 상에는 공기 정화 모듈(420)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정화 모듈(420)은 필터 또는 촉매에 의한 공기의 정화가 가능한 구성으로 상기 흡입구(411)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리어 플레이트(410)는 상기 판상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양측면이 절곡되어 상기 리어 플레이트(410)가 상기 이너 케이스(102)의 배면과 이격된 열교환 공간(460)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 공간(460)은 상기 제 1 단열재(440)와 제 2 단열재(450)의 사이 공간으로 상기 제 2 증발기(500)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리어 플레이트(410)의 양측단에 상부 절곡부(321)와 하부 절곡부(3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절곡부(321)는 후방으로 절곡되되 절곡된 양단이 상기 이너 케이스(102)의 양측면과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절곡부(321)와 상기 이너 케이스(102)의 측면의 사이에는 상기 냉장실(12)에 배치되는 선반(121)이 장착되는 선반 장착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선반 장착부재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다수의 장착홀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에 캔틸레버 타입의 상기 선반(121)을 장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절곡부(321)는 후방으로 절곡되되 상기 이너 케이스(102)의 양측면과 접하는 상태에서 후방으로 절곡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 절곡부(321) 사이의 폭은 상기 하부 절곡부(321) 사이의 폭보다 더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 절곡부(321)의 외측면은 상기 상부 절곡부(321)의 외측면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돌출된 거리는 상기 선반 장착부재의 돌출 거리와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절곡부(321)의 높이는 상기 선반 장착부재의 길이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선반 장착부재의 하단에서 상기 리어 플레이트(410)의 하단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어 플레이트(410)의 내측 좌우 양측에는 사이드 덕트(4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덕트(430)는 상기 리어 플레이트(410) 후방의 공간 중 좌우 양측을 차폐하여 사이에 상기 제 2 증발기(500)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덕트(430)는 발포 폼과 같은 단열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성형된 상태에서 상기 리어 플레이트(410)에 조립 장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덕트(430)는 상기 리어 플레이트(410) 및 제 1 단열재(440)가 모두 결합된 상태로 상기 냉장실(12)의 내부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상기 사이드 덕트(430)의 사이 간격은 상기 제 2 증발기(500)의 폭과 대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덕트(430)에 의해 상기 리어 플레이트(410) 후방의 공간은 좌우 폭은 상기 제 2 증발기(500)의 폭과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열교환 공간(460)을 통과하는 공기는 모두 상기 제 2 증발기(500)를 통과하여 효과적으로 냉각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사이드 덕트(430)는 상기 리어 플레이트(410)를 따라서 상하로 연장되며, 일측은 상기 리어 플레이트(410)의 상부 절곡부(321) 및 하부 절곡부(321)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타측은 상기 제 2 증발기(500)가 수용되는 상기 열교환 공간(460)의 측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사이드 덕트(430)의 후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덕트 패스(43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덕트 패스(432)는 상기 사이드 덕트(430)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함몰 형성되며, 상기 냉장실(12)측으로 안내되는 물 공급 배관 또는 전선들이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덕트(430)의 두께는 상기 상부 절곡부(321) 및 상기 하부 절곡부(321)의 높이와 대응하는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이너 케이스(102)와 접하여 상기 제 2 증발기(500)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정의하게 된다.
한편, 상기 사이드 덕트(430)의 상단에는 단차지게 형성되는 덕트 결합부(4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덕트 결합부(431)는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과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의 결합시 상기 유로 형성부(330)의 입구부(341)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과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은 상기 냉장실(12)의 내부에서 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과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 사이의 유로 또한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리어 플레이트(410)의 배면에는 제 1 단열재(44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단열재(440)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두께가 얇은 단열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단열재(440)는 진공 단열재로 형성되거나, 고밀도의 폼 소재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 1 단열재(440)는 상기 흡입구(411)의 상단에서 상기 리어 플레이트(410)의 상단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사이드 덕트(430)에 양단이 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 1 단열재(440)의 장착으로 상기 제 2 증발기(500)에서 발생되는 냉기가 상기 리어 플레이트(410)를 통해 대량으로 전도되어 고내 온도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제 1 단열재(440)가 배치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증발기(500)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리어 플레이트(410)의 구조상의 특징으로 인해 상기 제 2 증발기(500)에 의해 냉각되어 영하의 온도가 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리어 플레이트(410)의 표면에 결빙이 발생하거나 상기 냉장실(12)의 내측 후반부를 과도하게 냉각하게 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제 1 단열재(440)에 의해 상기 제 2 증발기(500)에서 발생되는 냉기가 상기 리어 플레이트(410)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상기 리어 플레이트(410)가 결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단열재(440)의 후방에는 제 2 증발기(5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증발기(500)는 상기 사이드 덕트(430)와 상기 제 1 단열재(440)가 형성하는 상기 열교환 공간(460)의 내부에 구?횔 수 있다.
상기 제 2 증발기(500)는 겹치도록 서로 접합되는 한쌍의 판재(510)에 의해 냉매 유로(520)가 형성되는 롤본드 타입의 증발기로, 상기 열교환 공간(46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판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증발기는 롤본드(Roll bond) 타입의 증발기 구조의 특성상 그 두께가 얇으며, 판상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증발기는 상기 열교환 공간(460)의 좌우 폭과 대응하는 폭을 가지며, 상기 흡입구(411)보다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구(411)로 유입된 냉기는 상기 제 2 증발기(500)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되면서 냉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증발기(500)의 외측면에서 돌출되는 냉매 유로(520)의 형상은 양단이 다수회 반복적으로 절곡되는 사행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매 유로(520)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 배치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상기 열교환 공간(460) 내부의 유속을 느리게 하여 상기 열교환 공간(460)의 내측을 따라 유동되는 공기가 한층 더 냉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증발기(500)에는 다수의 증발기 홀(511)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 홀(511)은 상기 제 2 증발기(500)의 고정 장착을 위한 스크류(537)가 체결되는 홀로, 아래에서 설명할 증발기 고정부재(530)와 대응하는 위치에 다수개가 관통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단열재(450)는 상기 제 1 단열재(440)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단열재(440)와 같이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단열재(450)는 상기 제 2 증발기(500)와 대응하는 크기 또는 더 큰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제 2 증발기(500)를 후방에서 가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단열재(450)는 상기 이너 케이스(102)의 외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 2 단열재(450)는 상기 제 2 증발기(500)의 냉기가 후방의 상기 이너 케이스(102) 후면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열교환 공간(460)의 후면을 형성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단열재(450)에 의해 후방으로 향하는 냉기는 상기 제 2 단열재(450)에 의해 차단될 수 있으며, 상기 이너 케이스(102)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특히, 상기 이너 케이스(102)는 금속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제 2 단열재(450)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이너 케이스(102)를 통해서 냉각 공간이 아닌 다른 공간에 냉기가 불필요하게 누출될 수 있으나, 상기 제 2 단열재(450)에 의해서 누출되는 냉기를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 2 단열재(450)에는 다수의 단열재 홀(45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열재 홀(451)은 상기 제 2 증발기(500)의 고정 장착을 위한 증발기 고정부재(530)가 삽입되도록 개구되며, 상기 증발기 홀(511)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이 상기 냉장실(12) 내측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증발기(500)는 상기 제 1 단열재(440)와 제 2 단열재(450)의 사이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단열재(440)와 제 2 단열재(450)는 설정된 간격을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증발기(500)에 의해 냉각되는 공기의 원활한 유동이 가능하게 된다.
도 12는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과 롤본드 증발기가 결합된 상태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증발기 고정부재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4는 도 4의 A부 확대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의 후방에는 증발기 고정부재(5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 고정부재(530)는 상기 제 2 증발기(500)가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의 내측에서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증발기 고정부재(530)는 상기 제 2 증발기(500)의 전체적인 고정 및 상기 제 2 증발기(500)와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의 간격유지를 유지를 위해서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단과 하단 및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제 2 증발기(500)를 고정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증발기 고정부재(530)는 상기 제 2 증발기(500)의 상단과 하단에서는 각각 좌우 양측단에 한쌍이 배치되고, 상기 제 2 증발기(500)의 중앙에는 상하방향으로 한쌍이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증발기(500)는 상기 증발기 고정부재(530)에 의해 전체면이 안정적인 고정 장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증발기 고정부재(530)에 의해 상기 제 2 증발기(500)는 상기 열교환 공간(460)의 내측에서 설정된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즉, 조립과정 중 또는 사용 중 상기 제 2 증발기(500)의 위치가 변화되거나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의 변형에 의해 상기 열교환 공간(460)의 내벽과 상기 제 2 증발기(50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증발기(500)의 제상시 물방울이 발생되더라도 제 2 증발기(500)와 상기 열교환 공간(460)의 내벽 사이에 맺히지 않고 하방으로 흘러내릴 수 있게 된다. 또한, 냉기의 유동시 발생될 수 있는 유로 저항이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 제 2 증발기(500)의 외측면과 상기 열교환 공간(460) 사이의 간격은 표면장력에 의해 제상수가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정도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상기 증발기 고정부재(530)에 의해 상기 제 2 증발기(500)는 상기 열교환 공간(460)의 내측면과 설정된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증발기 고정부재(530)는 상기 이너 케이스(102)의 후방에서 상기 이너 케이스(102)를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단열재(450)와 상기 제 2 증발기(500)를 차례로 관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증발기(500)는 상기 증발기 고정부재(530)에 의해서 상기 이너 케이스(102)에 지지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증발기 고정부재(530)는 상기 제 2 단열재(450)에 장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증발기 고정부재(530)는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보스부(531)와 지지판(533) 그리고 핸들(5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스부(531)는 상기 증발기 고정부재(530)의 전반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지지판(533)의 중앙에서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보스부(531)는 상기 이너 케이스(102)와 상기 제 2 단열재(450)를 관통하여 상기 제 2 증발기(500)를 지지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스부(531)의 전면 중앙에는 보스 홀(335)이 형성되며, 상기 증발기 홀(511)을 관통하는 스크류(537)가 상기 보스부 홀(532)에 체결되어 상기 제 2 증발기(500)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보스부(531)의 연장된 길이에 따라서 상기 제 2 증발기(500)와 상기 제 1 단열재(440) 및 제 2 단열재(450) 사이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스부(531)는 상기 제 2 증발기(500)가 상기 제 1 단열재(440)와 제 2 단열재(450) 사이의 대략 중앙에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533)은 상기 보스부(531)의 후단에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보스부(531)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이너 케이스(102)와 접하는 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지지판(533)은 상기 이너 케이스(102)와 면접촉 가능한 다양한 형상이 가능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 고정부재(530)의 장착시 상기 이너 케이스(102)의 배면에 접착 가능하게 된다.
상기 핸들(534)은 상기 지지판(533)의 중앙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지판(533) 중앙의 핸들 축(535)과 상기 핸들 축(535)의 외측면에서 상방과 하방으로 연장되는 핸들 리브(53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 리브(536)는 상기 핸들 축(535)의 외측면에서 상기 지지판(533)의 외측단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손으로 용이하게 쥘 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핸들(534)은 돌출되는 상기 핸들 축(535)에서 연장되는 핸들 리브(536) 구조로 되어 있어 사용자가 상기 핸들(534)을 쥐고 상기 보스부(531)를 상기 이너 케이스(102) 및 제 2 단열재(450)를 관통하도록 삽입하고, 조립 작업 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핸들(534)은 단열재(103)가 형성되는 상기 이너 케이스(102)와 아웃 케이스(101)의 사이 공간으로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단열재(103)의 성형을 위한 발포액의 주입시 상기 핸들(534)의 외측면은 상기 단열재(103)에 묻히게 되어 상기 증발기 고정부재(530)는 탈거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동작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5는 상기 냉장고의 냉장실에서의 냉기 유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6은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과 냉기 공급모듈에서의 냉기 유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7은 상기 냉기 공급모듈 내부의 냉기 유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8은 상기 냉장실의 내측의 냉각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냉동사이클의 동작에 의해 상기 냉장고(1)의 저장공간 내부는 설정된 온도로 냉각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냉장실(12)의 내부를 설정 온도로 냉각을 위해서 상기 제 2 압축기(162) 및 제 2 증발기(500)를 포함하는 냉동사이클이 동작된다. 그리고,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 내부에 구비된 냉장실 송풍팬(370)이 구동되면 상기 냉장실(12) 내부의 냉각 공기의 유동이 개시되어 고내를 냉각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2 압축기(162)의 구동시 상기 제 2 증발기(500)는 저온 상태가되며, 냉기 생성이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냉장실 송풍팬(370)이 구동하게 되면,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을 통해 냉기를 흡입하고,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을 통해 냉기를 토출하게 된다.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의 흡입구(411)는 상기 냉장실(12)의 하단 영역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냉장실(12) 하부의 냉기를 흡입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 내측의 열교환 공간(460)을 따라서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열교환 공간(460)의 내부에는 상기 제 2 증발기(500)가 배치되며, 상기 열교환 공간(460)을 따라서 상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충분히 냉각된 후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의 내측으로 유입된다.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 내측으로 유입된 냉기는 상기 냉장실 송풍팬(370)에 의해 강제 유동되며,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의 토출구(317,318)를 통해서 하방으로 토출된다. 이때,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은 상기 냉장실(12)의 상면에 배치되며, 상기 냉장실(12)의 하방을 향하여 냉기를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의 프론트 토출구(317)의 위치는 상기 냉장실(12) 내부의 선반(121) 및 서랍과 상기 냉장실 도어(21) 내측의 도어 바스켓(212)의 사이와 동일 연장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에 의해 토출되는 냉기는 상기 냉장실(12) 및 냉장실(12) 도어에 배치되는 수납부재들 또는 상기 수납부재들에 수납된 식품에 의해 막힘 없이 상기 냉장실(12)의 바닥을 향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냉장실(12) 내부의 냉기는 상기 냉장실(12)의 바닥에서 상기 냉장실(12)의 후벽면을 통해 상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냉장실(12)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이동된 후 다시 상기 냉장실(12)의 바닥을 향해 이동되며 순환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냉장실(12) 내부의 전체적인 냉각이 가능하게 된다.
도 16을 참조하여 상기 냉장실(12)의 상부 영역에서의 냉기 유동 상태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의 상단은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의 하단과 결합된 상태로, 상기 열교환 공간(460)의 내측에서 상방으로 유동되는 냉기는 상기 입구부(341)를 통해서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의 상단을 지난 냉기는 상기 입구부(341)를 통해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 내부의 상기 하부 유로(332)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하부 유로(332)와 연통되는 상기 입구부(341)의 내측면에는 안내면(34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면(341a)은 라운드진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직 상방으로 연장 및 개구되는 열교환 공간(460)의 상단과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하부 유로(332)를 연결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을 통해 상방으로 유동되는 냉기는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의 내측으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면(341a)과 마주보는 방향의 상기 하부 케이스(110)에는 조명장치(125)가 장착되는 조명장치 장착부(31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조명장치 장착부(313)는 상기 안내면(341a)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곡면을 가지도록 함몰되어 상기 안내면(341a)과 함께 냉기의 유입을 보다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부 유로(332)는 상기 유로 형성부(330)의 어퍼 파트(340)와 상기 하부 케이스(310)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냉장실 송풍팬(370)의 하방의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입구부(341)를 통해 유입된 냉기는 상기 냉장실 송풍팬(370)의 하방에서 상기 냉장실 송풍팬(370)의 내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송풍팬(370)은 중심방향으로 흡입하여 원주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원심팬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터보팬과 같은 고 풍량의 팬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냉장실 송풍팬(370)은 회전축이 상하로 배치되고 바닥면이 상기 냉장실의 상면과 수평하도록 배치되어 설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장실 송풍팬(370)의 회전에 의해 축방향으로 흡입된 공기는 원주방향으로 토출되며, 상기 상부 유로(333)를 따라서 전방으로 이동된 후 상기 토출구(317,318)를 통해서 하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 내부에서의 냉기 유동을 도 1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냉장실 송풍팬(37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냉장실 송풍팬(370)의 축방향으로 흡입된 냉기는 원주방향으로 토출된다.
이때, 상기 냉장실 송풍팬(370)에 의해 송풍되는 냉기 중 일부는 상기 토출 안내면(342)을 따라서 유동되며, 상기 토출 안내면(342)을 따라서 상기 사이드 토출구(318)로 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송풍팬(370)에 의해 송풍되는 나머지 냉기는 상기 상부 유로(333)를 따라서 전방으로 유동되며, 상기 프론트 토출구(317)로 향하게 된다. 즉, 상기 냉장실 송풍팬(370)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토출되는 냉기는 상기 상부 유로(333)를 따라 유동된 후 상기 프론트 토출구(317)와 사이드 토출구(318)를 통해 토출 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장실(12) 내부의 냉각을 위한 냉기의 유동을 살펴보면, 상기 냉장실(12) 하단에서 상기 흡입구(411)를 통해 흡입되는 냉기는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 내부의 상기 열교환 공간(460)을 따라서 상방으로 유동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 공간(460)의 상단에서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의 후단으로 유입되는 냉기는 상기 냉장실 송풍팬(37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상부 유로(333)를 통해 상기 사이드 토출구(318)와 프론트 토출구(317)로 향하게 된다.
상기 프론트 토출구(317)와 사이드 토출구(318)는 상기 냉장실(12)의 상면 전단부와 전반부의 양측면에 각각 위치되며, 상기 냉장실(12)의 내측을 향하여 냉기를 토출하게 된다. 그리고, 하방으로 토출되는 냉기는 상기 냉장실(12)의 하단에서 다시 상기 흡입구(411) 측으로 유동된다.
이와 같이, 상기 프론트 토출구(317)와 사이드 토출구(318)에서 토출되는 냉기는 상기 냉장실(12)의 전단과 양측단을 따라 하방으로 유동되면서 냉기의 벽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냉장실(12) 내부 전체를 입체적으로 냉각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에 의해 차폐되는 상기 제 2 증발기(500)에서 발생되는 냉기는 대부분 상기 제 1 단열재(440)에 의해 차단되지만, 일부의 냉기는 상기 제 1 단열재(440)를 지나 외측으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장실(12)의 후벽면은 상기 제 2 증발기(500)의 온도와 같은 극저온 상태는 아니지만, 상기 냉장실(12)의 냉각에 필요한 적정 온도의 냉기가 상기 제 1 단열재(440)를 지나 상기 냉장실(12) 후벽면을 직접 냉각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도 1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장실(12)은 상면과 하면, 전면과 좌우 양측면은 물론 후면까지 냉각 가능하게 되며, 상기 냉장실(12)의 내측면 전체가 입체적으로 냉각 가능하게 될 수 있다.

Claims (20)

  1. 외형을 형성하는 아웃 케이스와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이너 케이스에 장착되는 롤 본드 타입의 증발기;
    상기 저장공간의 내측 벽면을 형성하며, 내부에 상기 증발기의 수용 및 냉기 유동을 위한 열교환 공간을 형성하는 증발기 커버모듈;
    상기 저장공간의 내측 상면에서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의 상단과 연통되며, 고내측 하방으로 냉기를 토출하는 냉기 공급모듈;
    상기 냉기 공급모듈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상기 냉기 공급모듈을 통해 토출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공급모듈은,
    상기 송풍팬에 의해 흡입 및 토출되는 냉기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 형성부와;
    상기 유로 형성부를 수용하며, 하면에 토출구가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와;
    상기 냉기 유로의 일부를 차폐하도록 상기 유로 형성부에 장착되는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은 회전축 방향으로 흡입하여 원주방향으로 토출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저장공간의 상면과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형성부는,
    하방에 배치되며,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과 연통되는 하부 유로와;
    상기 하부 유로의 상방에 배치되며,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는 상부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송풍팬은 상부 유로와 하부 유로가 연통되는 연통홀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형성부는,
    상기 유로 형성부의 하부를 형성하며, 상기 송풍팬과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사이의 하부 유로를 연결하는 로어 파트와,
    상기 유로 형성부의 상부를 형성하며, 상기 송풍팬과 상기 토출구 사이의 상부 유로를 형성하는 어퍼 파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 파트에는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과 연통되는 입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입구부의 내측에는 증발기 커버모듈로부터 유입되는 냉기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는 안내면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공급모듈의 하면에는 고내를 밝히기 위한 조명장치가 장착되는 조명장치 장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조명장치 장착부의 외측면은 상기 입구부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대응하는 형상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냉기 유동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형성부의 전단에는 상기 냉기 공급모듈 전단에 형성되는 프론트 토출구와 연통되는 프론트 아웃렛이 형성되고,
    상기 유로 형성부의 좌우측단에는 상기 냉기 공급모듈의 좌우측단에 형성되는 사이드 토출구와 연통되는 사이드 아웃렛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아웃렛은 상기 냉기 유로 덕트의 전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어퍼 파트에는,
    양측의 상기 유로 덕트의 후단을 연결하고 상기 송풍팬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라운드 또는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송풍팬에서 토출되는 냉기를 상기 프론트 아웃렛과 상기 사이드 아웃렛으로 안내하는 토출 안내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아웃렛에는 토출되는 냉기를 분배하도록 상기 프론트 아웃렛의 개구를 구획하는 분배부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파트와 로어 파트는 상기 사이드 아웃렛의 양단을 기준으로 단차지게 형성된 토출 안내면을 형성하며,
    상기 토출 안내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토출 공기를 상기 프론트 아웃렛과 상기 사이드 아웃렛으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형성부에는 상기 송풍팬이 장착되는 팬 브라켓이 형성되며,
    상기 팬 브라켓은,
    상기 로어 파트의 개구를 차폐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송풍팬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오리피스가 형성되는 쉬라우드와,
    상기 쉬라우드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토출 안내면에 접하는 브라켓 둘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형성부에는 상기 연통홀을 차폐하도록 팬 브라켓이 장착되며,
    상기 팬 브라켓은,
    상기 송풍팬을 향하여 공기가 유입되는 오리피스와;
    상기 오리피스의 둘레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송풍팬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지지하는 팬 서포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형성부에는 상면에는 상기 상부 유로의 개구 둘레를 따라 단차지게 형성되는 상부 케이스 장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캐이스는 상기 상부 유로의 개구된 상면과 상기 송풍팬을 모두 차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케이스는 금속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저장공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을 형성하는 판재가 서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에는,
    금속 소재의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 케이스의 하면에 결합되어 하면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 커버 모듈은,
    상기 저장공간의 후벽면을 형성하며, 하단에 상기 저장공간의 냉기를 흡입하는 흡입구가 형성된 리어 플레이트;
    상기 리어 플레이트의 배면에 부착되며, 상기 롤본드 증발기를 전방에 차폐하는 제 1 단열재;
    상기 제 1 단열재와 이격되며, 상기 이너케이스에 부착되어 상기 롤본드 증발기를 후방에서 차폐하는 제 2 단열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단열재와 제 2 단열재의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 상기 열교환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 커버의 배면에는 상기 증발기의 양단과 각각 접하여 흡입되는 냉기가 모두 상기 증발기를 거치도록 상기 열교환 공간의 양단을 형성하는 한쌍의 사이드 덕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냉장실과 냉동실을 포함하며,
    상기 냉장실에는 상기 증발기가 구비되고,
    상기 냉동실에는 핀타입 증발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과 핀타입 증발기는 각각의 압축기와 연결되어 독립된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70097152A 2017-07-31 2017-07-31 냉장고 KR102344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152A KR102344627B1 (ko) 2017-07-31 2017-07-31 냉장고
DE102018212562.7A DE102018212562A1 (de) 2017-07-31 2018-07-27 Kühlschrank
US16/050,630 US10837693B2 (en) 2017-07-31 2018-07-31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152A KR102344627B1 (ko) 2017-07-31 2017-07-31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3112A true KR20190013112A (ko) 2019-02-11
KR102344627B1 KR102344627B1 (ko) 2021-12-30

Family

ID=65004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7152A KR102344627B1 (ko) 2017-07-31 2017-07-31 냉장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837693B2 (ko)
KR (1) KR102344627B1 (ko)
DE (1) DE10201821256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51118A1 (ko) * 2019-06-11 2020-12-17 주식회사 위니아대우 냉장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09612A (zh) * 2019-02-26 2020-09-01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防止送风风道下坠的冰箱
KR20220007293A (ko) * 2020-07-10 2022-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1084A (en) * 1993-11-24 1996-03-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sterilizer and deodorizer for a refrigerator
KR19980013764A (ko) * 1996-08-02 1998-05-15 김광호 냉장고
KR19980083037A (ko) * 1997-05-12 1998-12-05 배순훈 에어커튼생성장치를 갖는 냉장고
KR20110085601A (ko) * 2010-01-21 2011-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60023105A (ko) * 2014-08-21 201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60027877A (ko) * 2014-09-02 2016-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60641A (en) * 1996-12-28 1999-10-05 Lg Electronics Inc. Cold air circulation device of refrigerator
DE10155369B4 (de) * 2000-11-22 2010-06-24 Lg Electronics Inc. Gerät für die Kaltluftpassage eines Kühlschranks
WO2005031224A2 (en) * 2003-09-26 2005-04-07 Ssw Holding Company, Inc. Cooling tubes for shelving
KR20070074860A (ko) * 2006-01-10 2007-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8863537B2 (en) * 2006-07-13 2014-10-21 Whirlpool Corporation Single evaporator refrigeration system for multi-compartment refrigerator appliance with isolated air flows
KR100690702B1 (ko) 2006-11-27 2007-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빌트인 타입 냉장고의 냉기 토출장치
KR101390448B1 (ko) * 2007-02-26 2014-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20006699A (ko) * 2010-07-13 2012-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JP6254404B2 (ja) * 2013-09-24 2017-12-27 アクア株式会社 遮蔽装置およびそれを有する冷蔵庫
KR102168630B1 (ko) * 2013-11-05 2020-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냉각 사이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1084A (en) * 1993-11-24 1996-03-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sterilizer and deodorizer for a refrigerator
KR19980013764A (ko) * 1996-08-02 1998-05-15 김광호 냉장고
KR19980083037A (ko) * 1997-05-12 1998-12-05 배순훈 에어커튼생성장치를 갖는 냉장고
KR20110085601A (ko) * 2010-01-21 2011-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60023105A (ko) * 2014-08-21 201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60027877A (ko) * 2014-09-02 2016-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51118A1 (ko) * 2019-06-11 2020-12-17 주식회사 위니아대우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4627B1 (ko) 2021-12-30
DE102018212562A1 (de) 2019-01-31
US20190032989A1 (en) 2019-01-31
US10837693B2 (en) 2020-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0086B1 (ko) 냉장고
KR101390448B1 (ko) 냉장고
US20130086936A1 (en) Refrigerator
EP2519793B1 (en) Refrigerator
KR20130114850A (ko) 냉장고 및 그 제조 방법
US20210095910A1 (en) Refrigerator
US10837693B2 (en) Refrigerator
KR102375122B1 (ko) 냉장고
KR102434984B1 (ko) 냉장고
KR101132455B1 (ko) 냉장고
KR102463792B1 (ko) 냉장고
KR101132548B1 (ko) 냉장고
CN211739628U (zh) 一种冰箱
US20210404725A1 (en) Ice maker assembly for a cooling device
CN210772966U (zh) 一种冰箱
CN211739629U (zh) 一种冰箱
KR101260559B1 (ko) 냉장고
KR101132452B1 (ko) 냉장고
KR101132540B1 (ko) 냉장고
KR101132554B1 (ko) 냉장고
KR20110078656A (ko) 냉장고
US20230122785A1 (en) Refrigerator
CN218410369U (zh) 制冰机及制冷设备
EP3929512B1 (en) Refrigerator for preventing air supply duct from falling down
KR200292004Y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