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4984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34984B1 KR102434984B1 KR1020180051073A KR20180051073A KR102434984B1 KR 102434984 B1 KR102434984 B1 KR 102434984B1 KR 1020180051073 A KR1020180051073 A KR 1020180051073A KR 20180051073 A KR20180051073 A KR 20180051073A KR 102434984 B1 KR102434984 B1 KR 1024349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ace
- cold air
- storage
- evaporator
- grill pa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25D17/065—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with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5—Air flow control arrang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7—Evaporator fan uni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6—Removing frost
- F25D21/08—Removing frost by electric heat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3—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with air guid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7—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air duc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8—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ans
- F25D2317/0681—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 내에 구비되며, 상기 저장실 내부에 냉기를 공급하는 증발기; 상기 저장실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저장실의 내부를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부재; 상기 상부 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 공간에서의 냉기의 순환을 위한 상부 토출구 및 상부 흡입구가 형성되는 그릴팬 어셈블리; 상기 그릴팬 어셈블리와 연결되며, 냉기를 공급하는 송풍팬이 수용되는 에어 가이드; 상기 하부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증발기 및 에어 가이드를 수용하며, 상기 하부 공간에서의 냉기의 순환을 위한 하부 토출구 및 하부 흡입구가 형성되는 그릴팬 커버; 상기 에어 가이드에 구비되며, 상기 그릴팬 어셈블리로 냉기가 공급되는 유로를 개폐하는 상부 댐퍼; 및 상기 에어 가이드에 구비되며, 상기 그릴팬 커버로 냉기가 공급되는 유로를 개폐하는 하부 댐퍼를 포함하며, 상기 그릴팬 커버의 전방에는 인출 가능한 서랍구조의 수납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그릴팬 커버에는 상기 수납부재를 향하여 개구되는 수납부재 토출구와, 상기 수납부재 토출구로 냉기를 토출하는 수납부재 팬이 구비되어, 상기 상부 댐퍼와 하부 댐퍼 및 수납부재 팬의 구동에 의해 상기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 및 수납부재가 서로 다른 온도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를 위해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최근의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 및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특히, 와인, 샴페인과 같은 주류의 소비와 기호가 증대됨에 따라 주류의 종류에 따라 저장에 적합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12755호에서와 같이 인케이스에 의해 저장실의 공간을 형성하고 인케이스에 열교환기의 배관을 부착하여 직접냉각 방식으로 저장실을 냉각할 수 있는 냉장고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저장실을 복수로 구성하고, 각각의 저장실에 열교환기의 배관이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서로 다른 저장 온도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적정 저장 온도가 다른 주류를 적합한 저장실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직접 냉각 방식의 냉장고에서는 열교환기의 배관 배치에 따라 저정실 내부의 온도 편차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으며, 다수의 저장실을 구현하게 되는 경우 각각의 저장실 마다 열교환기의 배관을 배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하나의 증발기로 고내의 3개 공간을 독립적으로 온도제어 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간접 냉각 방식으로 구획된 공간에 각각 냉기를 공급하여 다른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하나의 증발기 및 팬을 이용하여 고내의 구획된 칸이 서로 다른 온도로 냉각되며, 각각의 칸이 정온성을 유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하나의 증발기로 저장되는 다양한 주류의 적정 저장 조건에 따라 적합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복수의 구획된 칸을 냉각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서로 다른 온도로 냉각 유지되는 구획된 공간의 공기가 증발기로 유입되어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구조의 변경 없이 주류의 저장과 일반적인 냉장 식품의 저장 용도로 전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히터의 배치에 의해 저장공간의 구획된 각 공간을 독립적으로 가열 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동일 구조로 와인 냉장고와 일반 냉장고의 온도를 모두 구현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 내에 구비되며, 상기 저장실 내부에 냉기를 공급하는 증발기; 상기 저장실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저장실의 내부를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부재; 상기 상부 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 공간에서의 냉기의 순환을 위한 상부 토출구 및 상부 흡입구가 형성되는 그릴팬 어셈블리; 상기 그릴팬 어셈블리와 연결되며, 냉기를 공급하는 송풍팬이 수용되는 에어 가이드; 상기 하부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증발기 및 에어 가이드를 수용하며, 상기 하부 공간에서의 냉기의 순환을 위한 하부 토출구 및 하부 흡입구가 형성되는 그릴팬 커버; 상기 에어 가이드에 구비되며, 상기 그릴팬 어셈블리로 냉기가 공급되는 유로를 개폐하는 상부 댐퍼; 및 상기 에어 가이드에 구비되며, 상기 그릴팬 커버로 냉기가 공급되는 유로를 개폐하는 하부 댐퍼를 포함하며, 상기 그릴팬 커버의 전방에는 인출 가능한 서랍구조의 수납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그릴팬 커버에는 상기 수납부재를 향하여 개구되는 수납부재 토출구와, 상기 수납부재 토출구로 냉기를 토출하는 수납부재 팬이 구비되어, 상기 상부 댐퍼와 하부 댐퍼 및 수납부재 팬의 구동에 의해 상기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 및 수납부재가 서로 다른 온도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그릴팬 어셈블리는, 전면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 공간으로 냉기가 공급되는 상부 유로를 따라서 복수의 상부 토출구가 개구되는 프론트 파트와; 상기 프론트 파트와 결합되어 후면을 형성하는 리어 파트; 상기 프론트 파트와 리어 파트의 이격된 사이 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 유로를 구성하는 분지된 복수의 후방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 형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후방 유로 내측에 히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히터는 상기 상부 유로의 하단에서 상기 상부 토출구의 사이 영역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증발기는 상기 하부 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증발기는 상기 하부 공간의 후벽면을 형성하는 그릴팬 커버에 의해 차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장실의 배면에는 상기 상부 토출구와 상기 증발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연결하여, 상기 상부 공간의 공기를 상기 증발기 하부로 회수하는 리턴덕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그릴팬 커버의 후방에는 상기 에어 가이드의 일측과 상기 하부 토출구를 연결하여 상기 하부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하부 댐퍼에 의해 개폐되는 로어 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어 덕트의 내부에 히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히터는, 상기 상부 공간의 좌우 양측면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상부 히터와, 상기 하부 공간의 좌우 양측면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하부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히터는 상기 그릴팬 커버의 후방 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그릴팬 커버의 후방 공간에는, 상기 증발기에 착상된 성에를 제거하기 위한 제상 히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히터는 상기 증발기의 후방 및 상기 하부 공간의 후벽면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획부재의 둘레는 상기 저장실의 내측면과 접하여 기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송풍팬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수납부재 팬이 구동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캐비닛에는, 상기 저장실과 구획되며, 하부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하부 저장실이 더 형성되며, 상기 하부 저장실에는 상기 하부 저장실의 냉각을 위한 하부 증발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제안되는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는, 도어에 개폐되는 하나의 저장실 내부를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으로 구획하고, 상부 유로와 하부 유로 및 이를 개폐하는 상부 덕트와 하부 덕트에 의해 독립적인 온도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별도의 저장실이 아닌 하나의 저장실 내부에서 구획된 영역이 서로 다른 온도로 제어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상기 하부 공간에는 수납부재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수납부재로 별도의 냉기를 제공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서 하나의 저장실에서 최대 3 개의 다른 저장 온도 영역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서로 다른 저장 특성을 가지는 식품을 하나의 저장실 내에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레드 와인, 화이트 와인, 샴페인과 같이 다른 저장 온도를 가지는 주류를 하나의 저장실에 구현된 다른 온도 영역에 저장 가능하게 되어 저장 성능과 사용 편의성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실에는 하나의 증발기가 구비되며, 하나의 증발기로 복수의 영역을 독립적인 온도로 냉각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증발기 개수를 최소화하여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증발기에 의해 차지되는 저장 용량의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실은 냉기의 공급에 의한 간접 냉각 방식으로 냉각되므로, 주류의 보관을 위한 와인 셀러와 같이 이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냉장고와 같이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간단히 전환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예컨데, 상기 구획부재를 제거하고, 상기 하부 댐퍼가 닫힌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 댐퍼를 개방하여 운전을 지속하게 되는 경우 상기 저장실의 전체 영역을 설정온도로 냉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냉장고의 냉장실과 같이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이때에도 상기 수납부재는 별도의 수납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 및 수납부재에는 각각 독립적인 토출구와 흡입구가 제공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상부 공간와 하부 공간 및 수납부재에는 독립적인 냉기 공급을 통한 독립적인 온도 유지가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실의 배면에는 리턴덕트가 구비되어 상부 공간의 회수된 공기를 상기 증발기 측으로 향하도록 함으로서 상부 공간의 냉기가 다른 공간으로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냉각 효율이 보다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댐퍼와 하부 댐퍼는 동시에 개방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상기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으로의 냉기 혼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상기 송풍팬과 팬의 구동 또한 동시에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상기 상부 공간 또는 하부 공간의 냉기와 상기 수납부재의 냉기가 서로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은 냉기 혼입의 방지로 냉각 효율의 개선은 물론 각 공간에서의 정온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실에 구비되는 히터에 의해 상기 저장실을 가열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저장실 내부를 보다 높은 온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증발기에서 공급되는 차가운 냉기를 가열하여 상기 저장실 내부가 보다 높은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냉동실, 냉장실은 물론 와인 저장실, 김치 저장 및 숙성실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이러한 다양한 공간의 활용 용도는 별도의 구조 변경 없이 가능하게 되므로 제조 비용의 절감은 물론, 사용자의 보다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다수의 구획된 공간 중 상기 히터의 구동에의해 가열된 공기는 일부의 저장 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저장실 내 구획된 공간을 각각 다른 온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열된 공기는 순환 과정에서 다른 공간으로의 유입 또는 증발기측에서의 다른 공간의 공기와 혼합되는 것이 방지되어 상기 저장실 내의 각 공간의 온도 유지 상태가 급격하게 불안정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서랍 도어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냉장고의 저장실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그릴팬 어셈블리와 그릴팬 커버가 분해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그릴팬 어셈블리 및 어퍼 덕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저장실의 정면도이다.
도 7은 상기 어퍼 덕트의 배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8은 상기 저장실의 배면도이다.
도 9는 상기 저장실의 배면과 리턴 덕트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저장실로부터 구획부재와 수납부재가 분리된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기 그릴팬 커버와 로어 덕트 및 수납부재 팬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그릴팬 어셈블리 및 그릴팬 커버의 내부 구조를 보인 절결사시도이다.
도 13은 상기 로어 덕트를 통한 냉기 배출 구조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4는 상기 저장실의 하부 공간에서의 냉기 공급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는 상기 하부 공간에서의 냉기 공급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히터의 배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히터의 배치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히터의 배치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9는 상기 히터의 배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0은 상기 냉장고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의 흐름을 보인 블럭도이다.
도 21은 상기 저장실 내부의 전체적인 냉기 순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은 상기 냉장고 내부 온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상기 구획부재가 제거된 상태의 상기 냉장고 내부 온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은 상기 저장실 내부 중 상부 공간의 냉각 운전시의 냉기 순환 상태를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상기 저장실 내부 중 하부 공간의 냉각 운전시의 냉기 순환 상태를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은 상기 수납부재의 냉각 운전시의 냉기 순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서랍 도어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냉장고의 저장실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그릴팬 어셈블리와 그릴팬 커버가 분해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그릴팬 어셈블리 및 어퍼 덕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저장실의 정면도이다.
도 7은 상기 어퍼 덕트의 배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8은 상기 저장실의 배면도이다.
도 9는 상기 저장실의 배면과 리턴 덕트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저장실로부터 구획부재와 수납부재가 분리된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기 그릴팬 커버와 로어 덕트 및 수납부재 팬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그릴팬 어셈블리 및 그릴팬 커버의 내부 구조를 보인 절결사시도이다.
도 13은 상기 로어 덕트를 통한 냉기 배출 구조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4는 상기 저장실의 하부 공간에서의 냉기 공급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는 상기 하부 공간에서의 냉기 공급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히터의 배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히터의 배치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히터의 배치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9는 상기 히터의 배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0은 상기 냉장고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의 흐름을 보인 블럭도이다.
도 21은 상기 저장실 내부의 전체적인 냉기 순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은 상기 냉장고 내부 온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상기 구획부재가 제거된 상태의 상기 냉장고 내부 온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은 상기 저장실 내부 중 상부 공간의 냉각 운전시의 냉기 순환 상태를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상기 저장실 내부 중 하부 공간의 냉각 운전시의 냉기 순환 상태를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은 상기 수납부재의 냉각 운전시의 냉기 순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서랍 도어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의 개구된 전면을 차폐하는 도어(2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 내부의 저장공간은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캐비닛(10) 내부의 저장 공간은 상하로 구획되어 상부 저장실(11)과 하부 저장실(12)로 나뉘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저장실(11)과 상기 하부 저장실(12)에는 각각 상부 증발기(13)와 하부 증발기(14)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 상기 상부 저장실(11)과 하부 저장실(12)을 냉각하기 위한 냉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 저장실(11)과 하부 저장실(12)은 각각 설정된 온도로 유지될 수 있으며, 독립적으로 냉각 운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저장실(12)의 후방에는 기계실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기계실에는 상기 상부 증발기(13)와 하부 증발기(14)와 연결되는 압축기(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상기 상부 저장실(11)을 개폐하는 상부 도어(21)와 상기 하부 저장실(12)을 개폐하는 하부 도어(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도어(21)는 상기 캐비닛(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상부 저장실(11)을 개폐한다. 상기 상부 도어(21)의 일부는 복수의 투명 패널이 이격 배치되어 단열 공간을 형성하며, 동시에 고내를 투시 가능하도록 하는 투시부(211)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도어(22)는 서랍식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저장실(12)에는 복수의 하부 도어(22)가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상부 저장실(11)의 내부에는 구획부재(16)가 구비되어 상기 상부 저장실(11)을 다시 상부 공간(111)과 하부 공간(112)으로 구획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공간(112)에는 서랍식으로 인출입되는 수납부재(17)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공간(111)과 하부 공간(112)에는 다수의 선반(113)이 구비되어 식품이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선반(113)은 탈착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에 장착되어 식품을 수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납부재(17)는 전후 방향으로 인출 가능한 서랍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재(17)는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는 드로워 커버(17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수납부재(17)가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납부재(17)는 상기 하부 공간(112)과 독립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공간(111)과 하부 공간(112) 및 수납부재(17)는 분리된 영역을 형성하게 되며, 따라서 사용자는 각각의 공간에 적합한 식품을 수납 가능하게 된다. 특히, 상기 상부 공간(111)과 하부 공간(112) 및 수납부재(17)의 냉각 온도를 다르게 유지하여 서로 다른 저장 온도를 가지는 식품들을 상기 상부 도어(21)에 의해 개폐되는 하나의 상부 저장실(11) 내부에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상부 공간(111)에는 저장 온도가 높은 레드 와인이 저장될 수 있고, 상기 하부 공간(112)에는 상대적으로 저장 온도가 낮은 화이트 와인이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수납부재(17)에는 저장 온도가 가장 낮은 샴페인이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저장실(11)의 후벽면에는 냉기가 토출되는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 증발기(13)의 배치 공간을 형성하는 그릴팬 어셈블리(200) 및 그릴팬 커버(3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그릴팬 어셈블리(200)와 그릴팬 커버(300)에 의해 상기 상부 공간(111)과 하부 공간(112) 및 수납부재(17)의 내부로 독립적인 냉기 공급이 가능하게 되며, 상기 상부 공간(111)과 하부 공간(112) 및 수납부재(17)는 다른 저장 온도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하나의 상기 상부 저장실(11) 내에서 다른 저장 온도를 요구하는 식품의 저장이 가능하며, 특히 하나의 상기 상부 증발기(13)에서 제공하는 냉기를 각각의 공간에 공급되도록 하여 상기 상부 저장실(11) 내부에 다른 저장 온도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상부 저장실(11)의 내부 구조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상부 저장실(11)은 저장실(11)로, 상부 증발기(13)는 증발기(13)로 상부 도어(21)는 도어(21)로 부르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부 저장실(11)과 하부 저장실(12)이 구비된 냉장고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좌우로 저장 공간이 배치되는 냉장고 또는 저장실이 하나만 구비되는 냉장고 등 냉장고의 형태에 관계없이 적용 가능할 것이다.
도 3은 상기 냉장고의 저장실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캐비닛(10)은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케이스(101)와, 상기 저장실(11)을 형상하는 이너 케이스(102)를 포함하며, 상기 아웃 케이스(101)와 이너 케이스(102)의 사이에는 단열재(103)가 채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실(11)의 내부는 구획부재(16)에 의해 상하 분리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구획부재(16)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실(11)의 후면또는 양측면에 고정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획부재(16)의 둘레는 상기 저장실(11)의 내측면과 완전히 밀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구획부재(16)의 둘레 중 상기 이너 케이스(102)와 접하는 면에는 실링부재가 배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구획부재(16)에 의해 상기 상부 공간(111)과 하부 공간(112)은 분리되어 냉기의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획부재(16)는 단열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공간(111)과 하부 공간(112)의 사이의 열교환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획부재(16) 상방의 상부 공간(111)에는 상하 방향으로 다수의 선반(113)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선반(113)에 의해 상기 상부 공간(111)은 상하 방향으로 다수의 구역으로 나눠질 수 있으며, 상기 선반(113)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상부 공간(111)을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획부재(16) 하방의 하부 공간(112)에는 상기 수납부재(1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재(17)는 상기 저장실(11)의 바닥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실(11)의 양측면과 상기 저장실(11)의 후면과 접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재(17)는 드로워(171)와 드로워 커버(1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로워(171)는 식품이 수납되는 저장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저장실(11)의 내측에서 전후 방향으로 인출입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로워 커버(172)는 상기 저장실(11)의 내측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드로워(171)가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드로워(171)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재(17)의 높이는 상기 구획부재(16)의 하단보다 더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공간(112) 중 상기 수납부재(17)의 상면과 상기 구획부재(16)의 하며 사이의 공간은 독립된 저장 공간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수납부재(17)의 상면 즉, 상기 드로워 커버(172)의 상면에는 별도의 트레이(173)가 안착되거나, 상기 드로워 커버(172) 상면의 형상이 상기 트레이(173)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173)는 병 모양의 주류가 안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도록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11) 내부에 제공되는 각각의 독립된 공간이 보다 명확하게 구분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공간(111)을 제 1 공간, 상기 하부 공간(112) 또는 상기 하부 공간(112) 중 상기 수납부재(17)와 구획부재(16) 사이의 공간을 제 2 공간 그리고, 상기 수납부재(17) 내부의 공간을 제 3 공간이라 부를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장실(11) 내측의 후벽면은 그릴팬 어셈블리(200)와 그릴팬 커버(300)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구획부재(16)를 기준으로 상기 상부 공간(111)은 상기 그릴팬 어셈블리(200)에 의해 후벽면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공간(112)은 상기 그릴팬 커버(300)에 의해 후벽면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릴팬 어셈블리(200) 및 상기 그릴팬 커버(300)에는 상기 상부 공간(111)과 하부 공간(112) 및 수납부재(17)로 냉기를 안내하기 위한 유로 및 냉기의 토출을 위한 토출구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상기 그릴팬 어셈블리(200)와 상기 그릴팬 커버(300)의 구조에 관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그릴팬 어셈블리와 그릴팬 커버가 분해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그릴팬 어셈블리(200)의 하부에 그릴팬 커버(300)가 구비되며, 상기 그릴팬 커버(300)의 내측에 상기 증발기(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그릴팬 커버(300)의 장착으로 상기 증발기(13)가 차폐될 수 있으며, 상기 증발기(13)는 상기 그릴팬 커버(30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13)는 상기 저장실(11) 내부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그릴팬 어셈블리(200) 및 상기 그릴팬 커버(300)에 제공되는 냉기의 유동 통로를 통해 상기 상부 공간(111)과 하부 공간(112) 및 수납부재(17)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냉기의 공급을 위해 상기 그릴팬 어셈블리(200)의 하부에는 송풍팬(430) 및 에어 가이드(4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430)에 의해 상기 증발기(13)에서 생성된 냉기의 강제적인 유동이 발생될 수 있으며, 상기 송풍팬(430)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는 상기 그릴팬 어셈블리(200)와 상기 그릴팬 커버(300)에 의해 상기 상부 공간(111)과 하부 공간(112)으로 각각 안내될 수 있다.
상기 그릴팬 어셈블리(200) 중 상기 저장실(11)의 내측으로 노출되는 전면에는 정화장치(201), 상부 토출구(204), 습도조절장치(202), 상부 온도센서(203)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공간(111)의 하단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상부 공간(111)의 냉기를 회수하여 상기 증발기(13) 측으로 안내하는 상부 흡입구(20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릴팬 어셈블리(200)의 하방에는 에어 가이드(4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에어 가이드(400)는 상기 그릴팬 어셈블리(200)의 하단과 연결되며, 상기 하부 공간(112)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공간(112)의 영역 즉 상기 그릴팬 커버(300)에 의해 차폐되는 부분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 가이드(400)에는 송풍팬(430)이 장착되어 상기 증발기(13)에서 생성된 냉기를 상기 저장실(11)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증발기(13)는 상기 에어 가이드(40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그릴팬 커버(30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 가이드(400)의 전면에는 상기 증발기(13)를 향하여 개구된 쉬라우드(411)가 형성되어 상기 송풍팬(430)의 구동시 상기 증발기의 냉기가 상기 에어 가이드(400)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그릴팬 커버(300)는 상기 증발기(13) 및 상기 에어 가이드(400)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릴팬 커버(300)의 노출된 전면에는 하부 토출구(321)와 하부 온도센서(350), 수납부재 토출구(331), 팬 장착부(330), 수납부재 온도센서(39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릴팬 커버(300)의 하단에는 상기 하부 공간(112) 내부의 냉기가 회수되는 하부 흡입구(341)가 형성되는 흡입 안내부(340)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그릴팬 어셈블리(200) 및 그릴팬 커버(300)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상기 그릴팬 어셈블리 및 어퍼 덕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상기 저장실의 정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그릴팬 어셈블리(200)는 전면부 형상을 형성하는 프론트 파트(210)와 상기 프론트 파트(210)와 후방으로 이격 배치되는 리어 파트(220) 그리고, 상기 프론트 파트(210)와 리어 파트(220)의 사이에 구비되어 후방 유로(260)를 형성하는 유로 형성부재(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파트(210)는 상기 상부 공간(111)의 후벽면 크기와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파트(210)의 둘레는 상기 저장실(11)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10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파트(210)의 상단에는 조명장치(240)가 장착되는 조명장치 장착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명장치(240)는 상기 저장실(11) 내부 특히, 상기 상부 공간(111)을 밝히기 위한 것으로,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저장실(11)을 전체적으로 밝힐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조명장치(240)는 상기 상부 공간(111)의 후벽면 및 상면이 형성하는 모서리 부분에 위치될 수 있으며, 전방 및 하방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명장치(240)는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엘이디가 케이스(24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241) 또는 상기 케이스(241)를 차폐하는 커버에 의해 반사되어 면광의 형태로 상기 저장실(11) 내부를 밝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파트(210) 상부 중앙에는 정화장치 장착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화장치 장착부(212)는 상기 저장실(11) 내부의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정화장치(201)가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정화장치(201)와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개구되거나 함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파트(210)의 중앙부에는 상부 온도센서 장착부(2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온도센서 장착부(213)는 상기 상부 공간(111)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상부 온도센서(203)가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파트(210)에는 다수의 상부 토출구(20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토출구(204)는 상기 프론트 파트(2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그릴팬 어셈블리(200) 내부의 후방 유로(260)와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토출구(204)는 좌우 또는 상하로 이격되어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공간(111) 내부로 고르게 냉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파트(210)의 일측에는 습도조절장치 장착부(2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습도조절장치(202)는 상기 저장실(11) 내부의 습도 조절을 위한 것으로, 상기 습도조절장치 장착부(214)에 장착되며, 상기 캐비닛(10)을 관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습도조절장치(202)는 상기 저장실(11)의 내부와 상기 캐비닛(10)의 외측이 서로 연통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실 내부의 냉기 유출은 최소화 하면서 외부 공기 중의 수분이 유입되어 상기 저장실(11)의 내부가 설정된 습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와인과 같이 저장을 위한 습도가 중요한 식품의 보관에 효과적일 수 있도록 상기 습도조절장치(202)에 의해 적정 습도 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물론, 상기 습도조절장치(202)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외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완전히 차단된 상태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프론트 파트(210)의 하단에는 상기 상부 공간의 냉기가 상기 증발기 측으로 회수되기 위한 상부 흡입구(205)가 개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파트(210)의 하단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지지리브(2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리브(215)는 상기 구획부재(16)의 후단을 지지하도록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파트(210)의 전면에는 외장 플레이트(2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장 플레이트(250)는 상기 저장실(11)의 후벽면 외관을 형성하게 되며,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장실(11)의 후벽면 뿐만 아니라 양측면과 상하면 또한 스테인레스 소재로 된 별도의 플레이트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저장실(11)의 내측면 전체는 스테인레스 소재로 형성되는 내장을 한층 더 고급스럽게 함은 물론, 상기 저장실(11) 전체가 다수의 금속 플레이트를 통한 전도에 의해 고르게 냉각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외장 플레이트(250)에는 상기 상부 토출구(204)와, 정화장치 장착부(212), 습도조절장치 장착부(214), 온도센서 장착부(213) 그리고 상부 흡입구(205)와 대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크기의 개구(251,252,253,254,255)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파트(210)의 후방에는 상기 판상의 리어 파트(22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어 파트(220)는 상기 프론트 파트(210)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프론트 파트(210)의 내측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로 형성부재(230)에 의해서 상기 프론트 파트(210)와 이격될 수 있다. 즉, 상기 프론트 파트(210)와 리어 파트(220)의 이격된 사이에 상기 유로 형성부재(230)가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유로 형성부재(230)에 의해서 상기 그릴팬 어셈블리(200) 내부에 후방 유로(260)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유로 형성부재(230)는 상기 그릴팬 어셈블리(200)의 하단에서 상단까지 냉기가 공급될 수 있는 후방 유로(260)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프론트 파트(210)와 리어 파트(220)의 사이 간격과 대응하는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유로 형성부재(230)는 중앙에 배치되는 제 1 부재(231)와 상기 제 1 부재(231)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이격 배치되는 제 2 부재(232) 및 제 3 부재(233)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로 형성부재(230)에 의해 상기 저장실(11)의 후벽면에는 좌우 한쌍으로 배치된 상기 후방 유로(260)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후방 유로(260)는 하단이 상기 에어 가이드(400)와 연통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부재(231)에 의해 좌우 양측으로 분지되어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 1 부재(231)는 하단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좌우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좌우 양측면은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냉기의 유동이 원활한 형상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부재(231)의 상부에는 상기 정화장치(201)가 배치될 수 있도록 함몰된 정화장치 함몰부(231a)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제 1 부재(231)에는 상기 저장실(11)의 공기가 상기 정화장치를 출입하도록 하는 유로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부재(232)와 제 3 부재(233)는 상기 후방 유로(260)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부재(231)의 좌우 양측으로 이격되며, 상기 제 1 부재(231)와 마주보는 일측면은 대응하는 형상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후방 유로(260)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프론트 파트(210)에 형성된 상부 토출구(204)는 상기 한쌍으로 분지된 상기 후방 유로(260)를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후방 유로(260)를 따라서 상방으로 유동되는 냉기 중 일부는 상기 상부 토출구(204)를 통해서 상기 상부 공간(111) 내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토출구(204)는 상기 후방 유로(260)와 대응하는 양측에 위치되고, 상기 후방 유로(260)를 따라 다수개가 상하 이격 배치되어 상기 상부 공간에 고르게 냉기를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3 부재(233)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상부 흡입구(205)와 대응하는 관통구(233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구(233a)는 아래에서 설명할 리턴 덕트(500)와 연통되어 상기 저장실(11)에서 회수되는 냉기가 상기 증발기(13)의 하방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단.
그리고, 상기 유로 형성부재(230)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후방 유로(260)의 후면에는 단열시트(2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열시트(290)는 상기 후방 유로(260)의 형상과 대응하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리어 파트(220)의 전면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열시트(290)는 단열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후방 유로(260)의 내부를 따라 유동되는 냉기의 열 손실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 3 부재(233)의 하단에는 상기 에어 가이드(40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송풍팬(430)에 의해 강제 유동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233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부(233b)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송풍팬(430)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에어 가이드(400)는 상기 프론트 파트(210)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기 에어 가이드(400)의 내부에 송풍팬(430) 및 상부 댐퍼(440) 및 하부 댐퍼(45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송풍팬(430)의 구동시 상기 상부 댐퍼(440) 및 하부 댐퍼(450)의 동작에 따라 상기 상부 공간(111) 및 하부 공간(112)으로의 선택적인 냉기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상세히, 상기 에어 가이드(400)는 프론트 케이스(410)와 리어 케이스(420)로 구성되며, 상기 프론트 케이스(410)와 리어 케이스(42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상기 송풍팬(430)과 상기 상부 댐퍼(440) 및 하부 댐퍼(45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430)은 축방향으로 흡입하여 원주방향으로 토출하는 원심팬 또는 터보팬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댐퍼(440) 및 하부 댐퍼(450)는 상기 상부 공간(111) 및 하부 공간(112)으로 향하는 냉기의 유동 통로를 개폐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에어 가이드(400)는 상면이 개구될 수 있으며, 개구된 상면은 상기 후방 유로와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구된 상면은 상기 에어 가이드(400) 및 상기 상부 댐퍼(44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댐퍼(440)의 개폐에 의해 상기 후방 유로(260)로의 냉기 공급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410)의 전면 중 상기 송풍팬(430)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쉬라우드(411)가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송풍팬(430)의 구동시 프론트 케이스(410) 전방의 공기는 상기 쉬라우드(411)를 통해서 상기 에어 가이드 내측으로 흡입될 수 있으며, 상기 송풍팬(430)의 원주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쉬라우드(411)와 떨어진 상기 프론트 케이스(410)의 전면 일측에는 덕트 홀(412)이 개구될 수 있다. 상기 덕트 홀(412)은 상기 로어 덕트(360)와 연통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 공간(112)으로 공급되는 냉기의 입구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덕트 홀(412)에는 상기 하부 댐퍼(450)가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송풍팬(430)이 구동되고 상기 하부 댐퍼(450)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냉기가 상기 로어 덕트(360)를 향하여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리어 케이스(420)에는 상기 송풍팬(430) 및 상기 송풍팬(430)의 구동을 위한 모터가 조립된 상태로 장착되는 팬모터 장착부(42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팬모터 장착부(421)를 기준으로 일측에는 상부 댐퍼 장착부(422)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는 하부 댐퍼 장착부(4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댐퍼 장착부(422)와 하부 댐퍼 장착부(423)는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송풍팬의 구동 및 상기 상부 댐퍼 또는 하부 댐퍼의 개폐 상태에 따라 상기 에어 가이드(400) 내부의 서로 마주보는 일측 또는 타측에서 냉기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유로 형성부재(230)는 상기 프론트 파트(210)의 상단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유로 형성부재(230)의 상단은 상기 덕트 연결부재(27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덕트 연결부재(270)는 상기 이너 케이스(102)의 상면에 배치되는 어퍼 덕트(280) 및 상기 후방 유로(260)와 연결되어 상기 어퍼 덕트(280)와 상기 후방 유로(260)가 연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유로 형성 부재(30)의 상단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덕트 연결부재(270)는 상기 후방 유로(260) 및 상기 어퍼 덕트(280)와 연결되는 한쌍의 유로부(271)와 상기 한쌍의 유로부(271)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2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부(271)는 상기 후방 유로(260) 및 상기 어퍼 덕트(280)의 사이를 연결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부가 중공되도록 형성되어 따라서 냉기의 유동 경로 일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덕트 연결부재(270)는 상기 이너 케이스(102)를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이너 케이스(102) 내측의 그릴팬 어셈블리(200) 상단과 상기 이너 케이스(102) 외측의 상기 어퍼 덕트(280) 후단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어퍼 덕트(280)는 한쌍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덕트 연결부재(270)에 양측의 상기 어퍼 덕트(280)가 좌우로 배치된 상기 후방 유로(260)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덕트(280)는 상기 상부 공간(111)의 후단에서 전단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덕트(280) 또한 상기 상부 공간(111)의 내측으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어퍼 덕트(280)와 상기 후방 유로(260)를 포함하여 상부 유로라고 부를 수 있다.
도 7은 상기 어퍼 덕트의 배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어퍼 덕트(280)의 구조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어퍼 덕트(280)는 내부가 중공된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후단은 상기 덕트 연결부재(270)와 연결되고, 전단은 상기 저장실(11)의 상면 일측과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후방 유로(260)를 통래서 공급되는 냉기가 상기 저장실(11)의 상면을 통해서 상기 상부 공간(111)의 전반부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어퍼 덕트(280)는 높이보다 폭이 넓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냉기의 유량은 확보하면서도 상기 캐비닛(10) 상면의 단열 성능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덕트(280)는 상기 이너 케이스(102)의 상면에 고정 장착될 수 있으며, 외측면이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주입되는 발포액에 의해 형성되는 단열재(103)에 매립되어 단열이 보장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어퍼 덕트(280)는 상기 저장실(11)의 상면 전단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어퍼 덕트(280)의 전단에는 상면 토출구(28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면 토출구(281)는 상기 이너 케이스(102)를 관통하여 상기 저장실(11)의 상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면 토출구(281)에는 냉기의 토출 방향을 안내하는 그릴(282)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공간(111)의 상단 및 전단에서 상기 상부 공간(111)을 향하여 냉기가 고르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어퍼 덕트(280)의 전반부에는 확장부(283)가 형성되며, 상기 확장부(283)에서는 상기 어퍼 덕트(280)의 전단으로 갈수록 좌우 폭이 넓어지게 되어 가로 폭이 넓은 상기 상면 토출구(281)를 통해 상기 상부 공간(111)의 고른 영역에 냉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확장부(283)는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어퍼 덕트(280)를 통해서 전방으로 유동되는 공기가 상기 저장실(11)의 내측을 향해 하방으로 원활하게 유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어퍼 덕트(280)의 후단에는 상기 덕트 연결부재(270)와 연결되는 덕트 입구(28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덕트 입구(284)는 상기 덕트 연결부재(27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후방 유로(260)의 냉기가 상기 어퍼 덕트(280)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어퍼 덕트(280)가 서로 연통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상부 공간(111)은 상기 후방 유로(260)와 연통된 상부 토출구(204)에서 공급되는 냉기에 의해 상기 상부 공간(111)의 후방 영역이 냉각될 수 있으며, 상기 상면 토출구(281)에서 공급되는 냉기에 의해 상기 상부 공간(111)의 전방 영역이 냉각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상부 공간(111) 전체에 고른 냉기 공급과 냉각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상기 저장실의 배면도이다. 그리고, 도 9는 상기 저장실의 배면과 리턴 덕트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저장실(11)의 후방에는 상기 상부 공간(111)의 냉기를 상기 증발기(13) 측으로 회수하기 위한 리턴 덕트(5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턴 덕트(500)는 상부에 입구부(510)가 형성되고 하부에 출구부(520)가 형성되며, 상기 입구부(510)와 출구부(520)의 사이를 연결하여 유로를 형성하는 바디부(5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구부(510)와 출구부(520)는 다소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리턴 덕트(500)가 상기 이너 케이스(102)에 장착될 때 상기 입구부(510)와 출구부(520) 사이의 상기 바디부(530)는 상기 이너 케이스(102)로부터 이격될 수 있으며, 이격된 사이에는 발포액이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리턴 덕트(500)는 상기 입구부(510)의 크기보다 상기 출구부(520)의 크기가 더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바디부(530) 또한 상기 출구부(520)를 향할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출구부(520)를 통해서 상기 증발기(13) 측으로 유입되는 냉기는 상기 증발기(13)의 전체 영역으로 고르게 공급되어 효과적인 냉각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입구부(510)와 대응하는 상기 이너 케이스(102) 및/또는 상기 리어 케이스(420)의 일측에는 개구되어 일측에는 입구(424)가 형성된다. 상기 입구(424)는 상기 상부 흡입구(205) 및 상기 입구부(510)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구부(520)와 대응하는 상기 이너 케이스(102) 하부에는 출구(10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출구(102a)는 상기 하부 공간(112)의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출구(102a)는 상기 하부 공간(112)의 하단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증발기(13)의 하단 또는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리턴 덕트(500)에 의해서 회수되는 상기 상부 공간(111)의 냉기는 상기 증발기(13)의 하방으로 회수되어 상기 증발기(13) 상방으로 유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증발기(13)와의 효율적인 열교환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출구(102a)는 상기 하부 토출구(321) 및 수납부재 토출구(331)보다 더 하방에 배치됨으로서 상기 상부 공간(111)에서 회수된 냉기가 충분히 냉각되지 않고 상기 하부 토출구(321) 또는 수납부재 토출구(331)를 통해 상기 하부 공간(112) 또는 상기 수납부재(17)의 내측으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출구(102a)는 상기 출구부(520)의 크기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출구부(520)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출구부(520)의 위치는 상기 증발기(13)가 배치되는 공간의 중앙으로 회수되는 냉기가 상기 증발기(13)의 고른 영역에서 열교환 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출구(102a)의 하방에는 제상수 가이드(18)가 형성된다. 상기 제상수 가이드(18)는 상기 저장실(11)의 바닥면보다 더 낮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출구(102a)는 상기 제상수 가이드(18)보다 상방에 위치되어 제상수의 배출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며, 결빙에 의해 상기 출구(102a) 또는 출구(102a)의 영역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출구(102a)를 통해 회수된 상기 상부 공간(111)의 냉기는 상기 증발기(13)와 열교환 하게 되며, 상기 송풍팬(430) 및 상기 상부 댐퍼(44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상부 공간(111)으로 다시 공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하부 공간(112) 및 상기 그릴팬 커버(300)의 구조에 관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0은 상기 저장실로부터 구획부재와 수납부재가 분리된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상기 그릴팬 커버와 로어 덕트 및 수납부재 팬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하부 공간(112)은 상기 구획부재(16)의 하방의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구획부재(16)가 장착되는 상기 저장실(11) 내부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구획부재(16)의 상방을 상기 상부 공간(111) 하방을 상기 하부 공간(112)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구획부재(16)는 상기 상부 흡입구(205)와 상기 하부 토출구(321)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구획부재(16)의 상면에는 상기 상부 흡입구(205)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구획부재(16)의 하면에는 상기 하부 토출구(321)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획부재(16)는 상기 상부 흡입구(205)로 냉기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으며, 동시에 상기 하부 토출구(321)에서 토출되는 냉기를 전방으로 안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구획부재(16)의 후단이 상기 상부 흡입구(205)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 흡입구(205)의 적어도 일부를 차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획부재(16)의 후단과 상기 상부 흡입구(205)의 사이는 다소 이격되어 상부 공간(111)의 유입 통로를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서 전방에서 상기 저장실을 바라보게 될 때 상기 상부 흡입구(205)가 외부로 직접적으로 보여지지 않게 하여 외관이 보다 개선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공간(112)의 후면에는 그릴팬 커버(3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그릴팬 커버(300)는 상기 그릴팬 어셈블리(200)의 하단과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그릴팬 어셈블리(200)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그릴팬 커버(300)는 상기 그릴팬 어셈블리(200)의 하방에 상기 증발기(13) 및 상기 에어 가이드(40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그릴팬 커버(300)는 상기 구획부재(16)의 하단에서 상기 저장실(11)의 바닥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릴팬 커버(300)의 전면은 상기 수납부재(17)의 배면과 접하는 거리만큼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릴팬 커버(300)의 상단은 상기 구획부재(16)를 하방에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그릴팬 커버(300)는 경사부(311)와 수직부(312)로 구성되는 전면부(313)와, 적어도 양측면을 형성하는 양측면을 포함한 둘레면을 형성하는 둘레부(31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311)는 상기 그릴팬 커버(300)의 상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전방으로 돌출되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부(311)는 상기 수납부재(17)보다 더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부(311)의 중앙에는 상기 하부 토출구(321)가 형성되는 토출 가이드(3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 가이드(320)는 상기 경사부(311)에서 상기 구획부재(16)의 하면과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토출 가이드(320)의 연장된 단부에 하부 토출구(321)가 개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 가이드(320)에의 개구된 단부에는 다수의 그릴이 형성되어 토출되는 냉기가 고르게 분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토출구(321)는 상기 구획부재(16)와 인접하는 하방에 구비되며,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기 경사부(311)상에 형성되므로, 상기 저장실(11)의 전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구획부재(16)에 의해 가려지게 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 상기 토출 가이드(320)는 상기 구획부재(16)의 하면과 가급적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수직부(312)는 상기 경사부(311)의 하단에서 상기 그릴팬 커버(300)의 하단까지 연장 형성되며, 상기 하부 공간(112)의 바닥면과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부(312)는 상기 수납부재(17)가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납부재(17)의 배면과 인접하게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재(17)의 후면과 대응하는 상기 수직부(312) 일측에는 수납부재 토출구(3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재 토출구(331)는 상기 증발기(13)에서 생성된 냉기를 상기 수납부재(17) 내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수납부재(17)의 후면을 향하여 개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재 토출구(331)는 수납부재(17) 후면의 개구된 부분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수납부재(17)의 드로워(171)와 상기 드로워 커버(172) 사이에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수납부재 토출구(331)는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수납부재(17)의 내측으로 냉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상기 수납부재(17)의 후면에 상기 수납부재 토출구(331)와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수납부재 토출구(331)와 연통되는 개구를 형성하여 냉기가 유입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312)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커버 돌출부(33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돌출부(330)는 상기 수납부재(17)와 접하는 지점까지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돌출부(330)상에 상기 수납부재 토출구(331)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납부재 토출구(331)는 상기 수납부재(17)와 사실상 연통된 상태로 외부로 냉기 누설 없이 상기 수납부재(17) 내측으로 냉기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ㄹ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312)와 상기 수납부재(17)의 후면의 사이는 상기 커버 돌출부(330)의 돌출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하부 토출구(321)에서 토출되는 냉기는 상기 수직부(312)와 상기 납부재의 사이를 포함하여 상기 하부 공간(112)의 내부에서 전체에 냉기의 고른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돌출부(330)의 배면은 수납부재 팬 어셈블리가 수용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크기로 함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납부재 팬 어셈블리의 동작시 상기 증발기(13)의 냉기는 상기 수납부재 토출구(331)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수직부(312)의 일측에는 하부 온도센서(350)가 장착되는 하부 온도센서 장착부(2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온도센서(350)는 상기 하부 공간(112) 내부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공간(112)이 적정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312)의 하단에는 흡입 안내부(34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흡입 안내부(340)에 상기 하부 흡입구(341,34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흡입구(341,342)는 상기 수직부(312) 하단에서 돌출되는 흡입 안내부(34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 안내부(340)는 상기 수직부(312)의 하단에서 돌출되되 상기 수납부재(17)에 의해 간섭되지 않는 정도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흡입구(341,342)는 상기 흡입 안내부(340)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 1 흡입구(341)와, 상기 흡입 안내부(340)의 하단이 상기 저장실(11)의 바닥면과 이격되어 제 2 흡입구(34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납부재(17) 후방과 상기 그릴팬 커버(300) 사이의 공간으로 하부 공간(112)의 냉기를 상기 제 1 흡입구(341)를 통해 회수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공간(112)의 바닥면으로 유동되는 냉기 또한 상기 제 2 흡입구(342)를 통해 상기 증발기(13) 측으로 회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납부재(17)가 구비되는 상기 하부 공간(112)의 하부 또는 후방에 냉기의 정체 없이 상기 증발기(13)가 배치되는 상기 그릴팬 커버(300)의 후방으로 냉기가 회수될 수 있게 되며, 상기 하부 공간(112) 내부의 냉기 정체를 방지하여 상기 하부 공간(112) 전체의 온도 분포를 고르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그릴팬 커버(300)의 후방에는 상기 하부 토출구(321)로 냉기를 안내하기 위한 로어 덕트(3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로어 덕트(360)는 상기 하부 댐퍼(450)와 연결되어 상기 송풍팬(430)에 의해 공급되는 냉기가 상기 하부 토출구(321)로 향할 수 있도록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로어 덕트(360)는 상기 하부 공간(112)으로의 냉기 공급을 가능하게 하므로 하부 덕트라 부를 수 있다.
상기 로어 덕트(360)는 상기 하부 댐퍼(450)와 연결되도록 연장되는 유입부(361)와 상기 하부 토출구(321)와 연결되는 유출부(36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부(361)와 유출부(362)는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유출부(362)는 상기 유입부(361)의 연장된 단부에서 측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으며, 전방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출부(362)는 상기 하부 토출구(321)의 영역을 지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유출부(362)의 전면에는 상기 그릴팬 커버(300)의 상기 토출 가이드(320) 배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테두리(36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하부 토출구(321)는 상기 유출부(362)의 내측 영역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로어 덕트(360)를 통해 안내되는 냉기는 모두 상기 하부 토출구(321)를 통해 토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그릴팬 커버(300)의 후방에는 수납부재 팬 어셈블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재 팬 어셈블리는 수납부재 팬(370)과 상기 팬 케이스(3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 케이스(380)는 상기 수납부재 팬(370)이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돌출부(330)의 내측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팬 케이스(380)는 상기 수납부재 토출구(331)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팬 케이스(380)는 후면이 개구되며, 상기 수납부재 팬(370)이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재 팬(370)은 박스팬과 같은 구조를 가지며, 후방에 위치된 상기 증발기(13)의 냉기를 상기 수납부재 팬(370)의 축방향으로 유동시켜 전방으로 송풍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납부재 팬(370)의 구동시 후방에 위치된 상기 증발기(13)의 냉기가 상기 수납부재 팬(370)에 의해 상기 하부 토출구(321)를 통과하여 상기 수납부재(17)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그릴팬 커버(300)의 내부 구성과 각 구성들의 결합 관계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 보기로 한다.
도 12는 상기 그릴팬 커버의 내부 구조를 보인 절결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3은 상기 로어 덕트를 통한 냉기 배출 구조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그릴팬 커버(3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그릴팬 커버(300)의 후방에는 상기 에어 가이드(40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 가이드(400)는 상기 그릴팬 커버(300)의 후면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13)는 상기 에어 가이드(400)와 상기 그릴팬 커버(300)의 사이 또는 상기 에어 가이드(400)의 하방에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재 팬 어셈블리는 상기 증발기(13) 전방의 상기 그릴팬 커버(300)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송풍팬(430)이 구동되면, 상기 에어 가이드(400)를 통해 상기 상부 공간(111) 또는 하부 공간(112)으로의 냉기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재 팬(370)이 구동되면 상기 수납부재(17)의 내측으로 냉기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상세히, 상기 에어 가이드(400)의 내부에는 송풍팬(430)이 구비되며, 상기 송풍팬(430)은 상기 쉬라우드(411)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430)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 중 일측에는 상부 댐퍼(440)가 구비되고, 다른 일측에는 하부 댐퍼(4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댐퍼(440)는 좌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에어 가이드(400)의 상단 즉, 상기 후방 유로(260)의 하단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댐퍼(440)의 개폐 여부에 따라서 상기 에어 가이드(400)측의 냉기가 상기 후방 유로(260)를 향하게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댐퍼(450)는 우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에어 가이드(400)에 형성된 덕트 홀(412)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댐퍼(450)의 개폐 여부에 따라서 상기 에어 가이드(400)와 상기 로어 덕트(360)는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에어 가이드(400)측의 냉기가 상기 하부 공간(112)으로 유동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덕트 홀(412)은 상기 하부 공간(112)에서 우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토출구(321)는 상기 하부 공간(112)의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덕트(360)는 상기 덕트 홀(412)과 상기 하부 토출구(321)를 연결하여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로어 덕트(360)의 유입부(361)는 상기 에어 가이드(400)의 전면과 접하고 상기 덕트 홀(412)과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입부(361)로부터 절곡되어 측방으로 연장되는 유출부(362)는 상기 그릴팬 커버(300)의 배면과 접하고 상기 하부 토출구(321)와 연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입부(361)의 개구된 후단은 상기 덕트 홀(412)의 크기와 같거나 더 크게 형성되며, 상기 전방으로 연장될수록 그 단면적이 줄어들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입부(361)는 라운드 또는 경사진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유출부(362)는 상기 유입부(361)의 단부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유출부(362) 내측의 유로는 상기 유입부(361)에 중공된 유로의 단부보다는 다소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입부(361)를 통과하는 공기는 상기 유출부(362)의 단부까지 유동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토출구(321)의 전체 영역에서 고르게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댐퍼(440)와 하부 댐퍼(450)는 감지되는 고내의 온도에 따라서 동작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공간(111)과 하부 공간(112)이 적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공간(111)과 하부 공간(112)은 서로 다른 온도를 가지므로, 상기 상부 공간(111)과 하부 공간(112)의 공기가 섞이지 않도록 상기 상부 댐퍼(440)와 하부 댐퍼(450)는 상기 제어부(19)에 의해 교번으로 개폐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상기 상부 댐퍼(440)와 하부 댐퍼(450)가 모두 개폐된 상태가 되어 상부 공간(111)과 하부 공간(112)에 동시에 냉기를 공급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에어 가이드(400)의 후면은 상기 이너 케이스(102)와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케이스(102)의 배면에는 케이스 함몰부(102b)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리턴 덕트(50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케이스 함몰부(102b)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4는 상기 저장실의 하부 공간에서의 냉기 공급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하부 공간(112)의 냉각을 위해 상기 하부 댐퍼(450)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송풍팬(430)이 구동되면, 상기 증발기(13)에서 냉각된 공기는 상기 쉬라우드(411)를 통해 유입된 후 상기 로어 덕트(360)를 통과하여 상기 하부 토출구(321)로 토출된다.
상기 하부 토출구(321)는 상기 구획부재(16)의 하면과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구획부재(16)의 하면과 수평한 방향을 향하도록 개구된다. 따라서 상기 덕트 토출구(163)에서 토출되는 냉기는 상기 구획부재(16)의 하면을 지나도록 배출되며, 상기 구획부재(16)의 하면을 따라서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 토출구(321)에서 토출되는 냉기는 상기 구획부재(16)의 하면을 따라 상기 하부 공간(112)의 전반부까지 유동될 수 있게 되어, 상기 하부 공간(112) 전체 영역에 고른 냉기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공간(112)의 전방까지 유동된 공기는 상기 하부 공간(112)의 바닥까지 유동된다.
상기 수납부재(17)의 전방에서 하방으로 유동되는 공기는 상기 수납부재(17)의 하방과 상기 저장실(11)의 바닥면과의 이격된 사이를 통해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흡입구(341,342) 중 상기 제 2 흡입구(342)를 통해서 상기 그릴팬 커버(300)의 후방으로 유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공간(112)의 후단에서 하방으로 유동되는 공기는 상기 수납부재(17)와 상기 그릴팬 커버(300) 사이의 공간으로 유동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흡입구(341,342) 중 상기 제 1 흡입구(341)를 통해서 상기 그릴팬 커버(300)의 후방으로 유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공간(112) 내부의 냉기는 상기 수납부재(17)의 배치에도 불구하고 특정 영역에서 적체되지 않고 상기 증발기(13)가 수용된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증발기(13)에 의해 재차 냉각된 후 다시 공급될 수 있게 되어 상기 하부 공간의 고른 냉각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하부 공간(112)의 보다 고른 냉각을 위해서 다른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도 15는 상기 하부 공간에서의 냉기 공급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구획부재(16)의 하방에는 구획부재 유로(16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획부재(16) 유로는 상기 구획부재(16)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구획부재(16)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상기 구획부재(16)와 별도로 구성되어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구획부재 유로(161)는 구획부재 덕트(16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획부재 덕트(162)는 상기 구획부재(16)의 하면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구획부재(16)의 하면과 대응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구획부재 덕트(162)의 후단은 개구될 수 있으며, 상기 그릴팬 커버(300)와 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획부재 덕트(162)의 개구된 후단은 상기 하부 토출구(321)와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획부재 덕트(162)의 하면에는 다수의 덕트 토출구(16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덕트 토출구(163)는 다수개가 전후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으며, 상기 구획부재(16)의 하방 전체에 고르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획부재 덕트(162)를 따라서 유동되는 냉기가 상기 하부 공간(112)의 상면에서 상기 하부 공간(112) 전체로 고르게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그릴팬 커버(300)와 인접한 상기 하부 공간(112)의 후반부는 물론 전체 영역에서 고르게 냉기 공급이 가능하며, 하부 공간(112) 내에서 온도 편차가 발생되지 않고 고른 냉각이 가능하게 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히터의 배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상기 저장실(11)의 내부 공간의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히터(6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11)의 내부에 와인이 보관되는 경우 대략 6℃~18℃의 온도를 유지할 필요가 있으며, 김치의 저장시에도 김치의 숙성을 위해 상온에 근접한 온도의 유지가 필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인의 경우 화이트 와인과 레드 와인의 경우 각각 6℃~11℃ 그리고 12℃~18℃의 온도가 적정 보관온도이다. 하지만, 상기 증발기(13)에서 제공되는 냉기에 의해 상기 저장실(11)을 냉각하게 되는 경우 위와 같은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상기 증발기(13)에서 공급되는 저온의 공기는 영하의 온도 또는 대략 7℃ 이하의 온도 유지에 적합하게 되어 와인 저장 또는 김치의 숙성이 어려울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의 해결을 위해 상기 냉장고(1)에는 히터(6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터(620)는 상기 증발기(13)에서 생성되는 냉기를 가열하여 상기 저장실(11) 내부로 공급되는 냉기의 온도를 원하는 온도로 상승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히터(620)는 상기 증발기(13)와 인접한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터(620)는 증발기가 수용되는 상기 그릴팬 커버(300)의 후방 공간 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증발기(13)와 열교환되는 주위의 공기를 가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히터(620)의 배치를 위해 별도의 공간을 형성할 필요 없이 상기 증발기(13)와 상기 이너 케이스(102) 사이의 공간을 이용함으로써 부가적인 구성이 필요하지 않으며, 고내 공간의 저장 용량 손실 또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히터(620)의 위치는 상기 증발기(13)의 후면과 상기 이너 케이스(102)의 후벽면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히터(620)의 구동에 의한 열기가 직접적으로 상기 하부 공간(112)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히터(620)는 와이어 형상의 시즈히터(Sheath heater)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발열 가능하며, 상기 증발기(13)와 인접 배치 가능한 다른 발열수단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히터(640)는 상기 증발기(13)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상히터(610)와는 별도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13)에 결빙된 성에를 제거하기 위한 제상운전과는 별개로 상기 증발기(13)를 통과하면서 냉각되는 냉기를 가열하여 상기 저장실(11)로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 히터(620)의 동작은 상기 상부 댐퍼(440) 또는 하부 댐퍼(450)의 동작과 조합되어 상기 송풍팬(430)의 구동시 상기 상부 공간(111) 또는 하부 공간(112)으로의 가열된 냉기 공급이 가능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상부 공간(111)과 하부 공간(112)을 원하는 온도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예컨데, 상기 상부 공간(111)은 레드 와인의 저장에 적합한 12℃~18℃ 유지를 위해서, 상기 상부 댐퍼(440)가 개방되고 상기 송풍팬(430)이 구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상부 공간(111)으로 가열된 공기가 지속적으로 공급되어 적정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하부 공간(112)은 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상부 공간(111)은 화이트 와인의 저장에 적합한 6℃~11℃ 유지를 위해서, 상기 하부 댐퍼(450)가 개방되고 상기 송풍팬(430)이 구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하부 공간(112)으로 가열된 공기가 지속적으로 공급되어 적정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는 전술한 실시 예와 달리 상기 히터의 다른 배치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히터의 다른 배치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히터를 제외한 다른 구성은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의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히터의 배치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저장실(11)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102)의 외측면에는 히터(6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터(630)는 상기 이너 케이스(102)의 외측면에 부착되며, 상기 이너 케이스(102)를 직접 가열할 수 있다.
상기 히터(630)는 와이어 형상의 시즈히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열선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면상의 발열체로 구성되거나 전원공급에 의해 발열되는 다른 구조의 가열 수단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히터(630)는 상부 히터(631)와 하부 히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이 독립적으로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히터(631) 및 하부 히터(632)는 알루미늄 테이프와 같은 열전달 부재에 의해 상기 이너 케이스(102)의 외측면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이너 케이스(102)의 양측면 전체 영역에서 고르게 열이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히터(631)는 상기 상부 공간(111)과 대응하는 이너 케이스(102)의 양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히터(631)는 상기 상부 공간(111)의 상하 방향 중앙의 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 공간(111)을 고르게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히터(632)는 상기 하부 공간(112)과 대응하는 이너 케이스(102)의 양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히터(632)는 상기 하부 공간(112)의 상하 방향의 중앙의 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 공간(111)을 고르게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공간(111)과 하부 공간(112)은 상기 송풍팬(430)의 구동시 상기 증발기(13)에서 공급되는 냉기가 상기 상부 댐퍼(440) 또는 하부 댐퍼(450)의 동작에 따라 각각 상부 유로 또는 하부 유로를 통해서 상기 상부 공간(111)과 하부 공간(112)으로 공급되어 냉각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공간(111)과 하부 공간(112) 내부로의 냉기의 공급과는 별개로 상기 상부 히터(631)와 하부 히터(632)는 독립적인 구동이 가능하며. 따라서, 상기 상부 히터(631)와 하부 히터(632)의 가열에 의해 상기 상부 공간(111)과 하부 공간(112)은 와인의 저장에 적합한 6℃~18℃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김치 숙성에 필요한 상온에 근접한 온도로 유지하는 것 또한 가능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는 전술한 실시 예와 달리 상기 히터의 다른 배치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히터(620,630)의 다른 배치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히터를 제외한 다른 구성은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의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히터의 배치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19는 상기 히터의 배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저장실(11) 내부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상부 유로와 하부 유로 상에는 히터(6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터(640)는 시즈히터와 같은 와이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전원 공급에 의해 발열되는 다른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히터(640)는 상부 히터(641)와 하부 히터(642)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 상기 상부 유로와 하부 유로상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공간(111)과 하부 공간(112)의 내측으로 공급되는 냉기를 가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상부 히터(641)는 상기 후방 유로(26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히터(641)는 분지된 상기 후방 유로(260)의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히터(641)는 적어도 상기 후방 유로(260)보다는 더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후방 유로(260)를 통해 상방으로 유동되는 공기는 상기 후방 유로(260) 또는 상기 어퍼 유로(280)를 통해 상기 상부 공간(111)으로 토출되기 전에 가열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히터(641)는 상기 후방 유로(260)의 일부 영역에 구비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복수의 영역에 복수개가 구비되어 상기 후방 유로(260)를 통과하는 공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하부 히터(642)는 상기 로어 덕트(36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히터(642)는 상기 로어 덕트(360)를 지나 상기 하부 토출구(321)로 공급되는 냉기를 가열할 수 있도록 상기 로어 덕트(36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히터(641)와 하부 히터(642)는 각각 독립적인 구동이 가능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상부 공간(111) 및 하부 공간(112)으로 공급되는 냉기를 가열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상부 공간(111)과 하부 공간(112)의 온도 상승이 필요한 경우, 저온의 증발기 냉기의 공급을 통해서는 상기 상부 공간(111)과 하부 공간(112)의 온도를 상승킬 수 없게 되며, 상기 상부 히터(641)와 하부 히터(642)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여 공급함으로써 상기 상부 공간(111)과 하부 공간(112)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예컨데, 상기 상부 공간(111)은 레드 와인의 저장에 적합한 12℃~18℃ 유지를 위해서, 상기 상부 댐퍼(440)가 개방되고 상기 송풍팬(430)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댐퍼(440)를 지나 상기 후방 유로(260)를 지나는 냉기는 상기 상부 히터(641)의 가동에 의해 가열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 공간(111)으로 가열된 공기가 지속적으로 공급되어 적정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하부 공간(112)은 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상부 공간(111)은 화이트 와인의 저장에 적합한 6℃~11℃ 유지를 위해서, 상기 하부 댐퍼(450)가 개방되고 상기 송풍팬(430)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댐퍼(450)를 지나 상기 로어 덕트(360)를 지나는 냉기는 상기 하부 히터(642)의 가동에 의해 가열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 공간(112)으로 가열된 공기가 지속적으로 공급되어 적정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냉장고(1)의 동작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0은 상기 냉장고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의 흐름을 보인 블럭도이다. 그리고, 도 21은 상기 저장실 내부의 전체적인 냉기 순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22은 상기 냉장고 내부 온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저장실(11)은 상기 저장실(11) 후방에 구비되는 하나의 상기 증발기(13)에 의해 상기 저장실(11) 내부가 냉각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저장실(11)의 내부는 상기 상부 공간(111)과 하부 공간(112) 및 수납부재(17)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으로 나뉘어질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의 공간에 하나의 상기 증발기(13)에서 공급되는 냉기가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공간(111)에는 상부 온도센서(203)가 구비되고, 하부 공간(112)에는 하부 온도센서(35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재(17)의 내측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수납부재 온도센서(390) 또한 더 구비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상기 수납부재(17)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상기 수납부재 온도센서(390)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설정된 시간 동안 냉기가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온도센서(203)와 하부 온도센서(350) 및 수납부재 온도센서(390)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19)는 상기 상부 댐퍼(440)와 하부 댐퍼(450) 그리고 송풍팬(430) 및 수납부재 팬(370)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9)의 제어에 의해 상기 상부 공간(111)과 하부 공간(112) 및 수납부재(17)의 내측 공간은 각각 독립적인 냉기 공급과 독립적인 온도 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상부 온도센서(203)에 의해 상기 상부 공간(111)의 온도가 불만족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9)는 상기 송풍팬(430)을 구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13)에서 생성되는 냉기는 상기 송풍팬(43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쉬라우드(411)를 통해 상기 에어 가이드(400)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댐퍼(440)의 개방시 상기 상부 댐퍼(440)를 통과하여 상기 후방 유로(260)를 따라 유동되며, 상기 상부 토출구(204)를 통해 상부 공간으로 냉기가 토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방 유로(260)를 따라서 유동되는 일부의 냉기는 상기 어퍼 덕트(280)를 통해서 상기 상부 공간(111)의 상면 전방에서 하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공간(111)은 전방 및 후방에서 토출되는 냉기에 의한 고른 냉각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공간(111)의 내측으로 유입된 냉기 중 하방으로 이동된 냉기는 상기 구획부재(16)의 상면을 따라 유동되어 상기 상부 흡입구(205)를 통해서 상기 리턴 덕트(500)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리턴 덕트(500)는 유입된 냉기를 상기 증발기(13)의 하방 또는 상기 증발기(13)의 후방에서 토출하게 된다. 상기 증발기(13)는 상기 리턴 덕트(500)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를 재차 냉각하게 된다.
상기 증발기(13)에 의해 냉각된 공기는 다시 상기 에어 가이드(400)의 내측으로 유입되고, 상기 상부 댐퍼(440)와 후방 유로(260) 및 어퍼 덕트(280)를 통해 상기 상부 공간(111)의 내측으로 도출되어 냉기의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상부 공간(111)을 지속적으로 냉각하게 된다. 상기 상부 온도센서(203)에서 상기 상부 공간(111)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 이하로 낮아진 것을 감지하게 되면, 상기 송풍팬(430)은 정지된다.
한편, 상기 하부 온도센서(350)에서 상기 하부 공간(112)의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더 높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송풍팬(430)을 구동시키고 상기 하부 댐퍼(450)를 개방시키게 된다.
상기 송풍팬(43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증발기(13)에서 생성된 냉기는 상기 쉬라우드(411)를 통해 상기 에어 가이드(400) 내측으로 유입되고, 개방된 상기 하부 댐퍼(450)를 지나서 상기 로어 덕트(360)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로어 덕트(360)를 통해 냉기는 상기 하부 토출구(321)로 향하게 되며, 상기 하부 토출구(321)에서 토출되는 냉기는 전방으로 유동되면서 상기 하부 공간을 냉각시키게 된다.
상기 하부 공간(112)의 내측으로 토출된 공기는 상기 하부 공간(112)을 냉각시킨 후 상기 수납부재(17)의 하방 또는 후방의 이격된 공간을 통해서 상기 하부 흡입구(341,342)로 회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흡입구(341,342)로 유입되는 냉기는 상기 그릴팬 커버(300) 내측의 증발기(13)측으로 향하게 되며, 상기 증발기(13)를 지나면서 다시 냉각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13)를 지나 냉각된 냉기는 다시 상기 에어 가이드(400)와, 하부 댐퍼(450), 로어 덕트(360)를 통해서 다시 상기 하부 공간(112)으로 공급되면서 순환될 수 있다.
상기 냉기의 순환 공급으로 상기 하부 공간(112)은 지속적으로 냉각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공간(112)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 이하가 되면 상기 송풍팬(430)의 구동은 정지된다.
한편, 상기 하부 공간(112)은 상기 상부 공간(111)의 하방에 위치된 공간으로 구획부재(16)에 의해 구획되어 있으나, 상기 상부 공간(111)의 냉기가 일부 유입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공간(112)은 구조의 특성상 하방으로 이동되는 냉기가 위치되는 공간이므로 상기 상부 공간(111) 보다 더 낮은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공간(111)은 상기 하부 공간(112)의 상방에 위치되고, 구조의 특성상 상기 하부 공간(112)으로 토출되는 냉기가 상방으로 유동되지는 않으므로 상기 하부 공간(112)과 높은 온도를 유지하면서 독립적인 냉각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수납부재(17) 내부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 되거나, 상기 수납부재(17) 내부의 냉각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수납부재 팬(370)이 구동된다. 상기 수납부재 팬(370)은 상기 증발기의 전방에 위치되며, 축방향으로 공기를 송풍하게 되므로, 상기 증발기(13)에서 생성된 냉기를 상기 수납부재(17)를 향하여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수납부재(17)의 개구와 수납부재 토출구(331)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므로, 상기 수납부재 팬(37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수납부재(17)를 향하는 냉기는 실질적으로 상기 하부 공간(112)의 다른 영역으로 누설되지 않고 모두 상기 수납부재(17)의 내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재(17)의 내부는 상대적으로 좁은 공간이며, 상기 드로워 커버(172)에 의해 닫혀진 공간의 내측에 공급되는 냉기로 인해 상기 하부 공간(112)보다 더 낮은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재(17)의 내부로 유입된 냉기는 별도로 마련된 토출구가 없이 상기 드로워(171)와 상기 드로워 커버(172) 사이의 공간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흡입구(341,342)를 통해서 회수되어 상기 증발기(13)에 의해 재차 냉각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재(17)의 내측으로 지속적인 냉기 공급으로 상기 수납부재(17)의 내측은 다른 공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온도로 그리고 빠른 속도로 냉각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재(17)의 내부가 설정 온도 이하게 되거나, 설정된 시간 또는 조건을 만족하게 되면 상기 수납부재 팬(370)의 구동은 중지되고 상기 수납부재(17)의 냉각을 완료하게 된다.
상기 수납부재(17)는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수납부재 토출구(331)와 상기 하부 흡입구(341)를 전방에서 가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수납부재(17)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수납부재 토출구(331)와 상기 하부 흡입구(34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수납부재(17)는 상기 하부 공간(112)의 바닥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수납부재(17)의 상단은 적어도 상기 수납부재 토출구(331)보다 더 상방에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공간(111)과 하부 공간(112)의 온도를 와인의 저장에 적합한 온도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히터(640)를 구동시키게 된다. 상기 히터(640)는 상기 상부 댐퍼(440)와 하부 댐퍼(450)의 동작에 의해 상기 상부 공간(111)과 하부 공간(112)으로 공급되는 냉기를 가열하여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공간(111)과 하부 공간(112)으로 공급되어 상기 증발기(13) 측으로 회수되는 공기는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하여, 각각의 공간이 독립적인 냉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히터(640)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다른 공간으로 유입되는 경우 저장 온도의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상기 히터(640)의 가동시에는 반드시 독립적인 냉기의 순환 구조가 보장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상기 저장실(11)의 내부에 저장된 식품에 따른 고내 온도의 상태를 도 2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저장실(11)의 상부 공간에 화이트 와인이 보관되는 경우에는 상기 상부 공간(111)으로 냉기 공급을 위해 상기 하부 댐퍼(450)는 닫히고 상부 댐퍼(440)는 열린 상태에서 상기 송풍팬(430)이 구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공간(111)의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높다면 상기 히터(640)는 구동되지 않지만, 상기 상부 공간(111)의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더 낮다면 상기 히터(640)가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공간(111)은 화이트 와인의 보관에 적합한 6℃~11℃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저장실(11)의 하부 공간에 레드 와인이 보관되는 경우에는 상기 하부 공간(112)으로 냉기 공급을 위해 상기 상부 댐퍼(440)는 닫히고 하부 댐퍼(450)는 열린 상태에서 상기 송풍팬(430)이 구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 공간(112)의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다면 상기 히터(640)는 구동되지 않지만, 상기 하부 공간(112)의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더 낮다면 상기 히터(640)가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공간(112)은 레드 와인의 보관에 적합한 12℃~18℃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실(11)의 하부 공간(112) 중 상기 수납부재(17)의 내측에 샴페인이 보관되는 경우에는, 상기 상부 댐퍼(440)와 하부 댐퍼(450)는 모두 닫히고, 상기 송풍팬(430)은 구동이 정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재 팬(37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증발기(13)의 냉기가 상기 수납부재 토출구(331)를 통해 상기 수납부재(17)의 내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납부재(17)의 내부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더 낮다면 상기 히터(640)가 구동될 수도 있으며, 상기 수납부재(17)의 내부 온도는 샴페인의 저장에 적합한 4℃~5℃로 유지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 저장실(12)은 상기 하부 저장실(12)의 냉각을 위한 하부 증발기(11)에 의해 냉각될 수 있으며, 냉장 또는 냉동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냉장에 적합한 1℃~7℃ 또는 냉동에 적합한 -23℃~-15℃를 유지할 수 있다.
도 23은 상기 구획부재가 제거된 상태의 상기 냉장고 내부 온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구획부재(16)가 제거된 상태에서는 상기 상부 공간(111)과 하부 공간(112)이 구획되지 않은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댐퍼(45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송풍팬(430)이 구동되면 상기 저장실(11)의 내부 전체로 냉기의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저장실(11)의 내부 전체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온도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저장실(11) 전체를 일반적인 냉장고의 냉장실과 같은 하나의 저장 공간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저장실(11) 전체를 냉장실 용도 또는 김치 보관을 위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에는 전술한 실시 예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으므로 히터를 구동시키지 않고 송풍팬(430)에 의해 상기 증발기(13)의 냉기를 상기 저장실(11) 내측으로 공급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실(11)이 냉장실의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저장실(11)은 식품의 냉장 저장에 적합한 1℃~7℃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실(11)이 김치 저장실(11)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저장실(11)은 김치의 저장에 적합한 -2℃~-1℃로 유지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수납부재(17)가 상기 저장실(11) 내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11) 내부에 별도의 수납 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수납부재의 내부에는 육류, 유제품 또는 다른 식품이 수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재(17)의 내부에 냉기 공급을 통해 상기 수납부재(17) 내부를 독립된 온도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저장실(12)은 상기 하부 저장실(12)의 냉각을 위한 하부 증발기(11)에 의해 냉각될 수 있으며, 냉장 또는 냉동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냉장에 적합한 1℃~7℃ 또는 냉동에 적합한 -23℃~-15℃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저장실이 김치 저장을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김치의 저장에 적합한 -2℃~-1℃로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냉장고(1) 내부의 각 저장 공간의 온도를 전환하여 유지할 수 있으므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상기 냉장고(1)를 상기 구획부재(16)의 배치 및 상부 댐퍼(440)와 하부 댐퍼(450)의 동작, 상기 송풍팬(430)과 수납부재 팬(370)의 동작 조절을 통해서 일반적인 냉장고에서 부터, 주류 또는 와인의 저장에 적합한 와인셀러, 또는 김치 저장에 적합한 김치냉장고 등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저장실(11)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상부 공간(111)과 하부 공간(112) 및 수납부재(17)는 적어도 어느 하나가 독립적으로 냉각 운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공간의 독립된 운전 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4은 상기 저장실 내부 중 상부 공간의 냉각 운전시의 냉기 순환 상태를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상부 공간(111)의 냉각을 위한 운전 상태에서는 상기 하부 공간(112) 및 상기 수납부재(17)의 냉각 운전이 중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공간(111)의 냉각시에는 상부 공간(111)의 냉기만이 상기 그릴팬 커버(300) 내부의 공간으로 유입되어 상기 증발기(13)와 열교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 공간(112) 및 수납부재(17) 내부 공간의 공기의 유입 또는 혼합이 방지될 수 있다. 그로 인해 상기 상부 공간(111)의 냉각은 빠르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하부 공간(112) 및 수납부재(17)의 온도가 의도하지 않게 변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상부 공간(111)의 냉각을 위해 송풍팬(430)이 구동되는 상태에서는 상기 상부 댐퍼(440)만이 개방되고 상기 하부 댐퍼(450)는 닫힌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430)의 구동시 상기 수납부재 팬(370)은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송풍팬(430)에 의해 강제 유동되는 공기는 상기 상부 댐퍼(440)를 통해서 상기 후방 유로(260) 및 어퍼 덕트(280)로만 공급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공간(112) 및 수납부재(17) 내측 공간으로의 냉기 유동은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독립적인 냉각 운전으로 상기 상부 공간(111)으로의 냉기 공급이 집중될 수 있게 되며, 상기 상부 공간(111)의 온도를 빠르게 설정 온도로 냉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25는 상기 저장실 내부 중 하부 공간의 냉각 운전시의 냉기 순환 상태를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하부 공간(112)의 냉각을 위한 운전 상태에서는 상기 상부 공간(111) 및 상기 수납부재(17)의 냉각 운전이 중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공간(112)의 냉각시에는 하부 공간(112)의 냉기만이 상기 그릴팬 커버(300) 내부의 공간으로 유입되어 상기 증발기(13)와 열교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 공간(111) 및 수납부재(17) 내부 공간의 공기의 유입 또는 혼합이 방지될 수 있다. 그로 인해 상기 하부 공간(112)의 냉각은 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상부 공간(111) 및 수납부재(17)의 온도가 의도하지 않게 변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하부 공간(112)의 냉각을 위해 송풍팬(430)이 구동되는 상태에서는 상기 하부 댐퍼(450)만이 개방되고 상기 상부 댐퍼(440)는 닫힌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430)의 구동시 상기 수납부재 팬(370)은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송풍팬(430)에 의해 강제 유동되는 공기는 상기 하부 댐퍼(450)를 통해서 상기 로어 덕트(360)로만 공급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공간(111) 및 수납부재(17) 내측 공간으로의 냉기 유동은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독립적인 냉각 운전으로 상기 하부 공간(112)으로의 냉기 공급이 집중될 수 있게 되며, 상기 하부 공간(112)의 온도를 빠르게 설정 온도로 냉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26은 상기 수납부재의 냉각 운전시의 냉기 순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수납부재(17) 내부 공간의 냉각을 위한 운전 상태에서는 상기 상부 공간(111) 및 상기 하부 공간(112)의 냉각 운전이 중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 공간(111) 및 하부 공간(112)의 공기가 상기 증발기(13)측으로 유입 또는 혼합되어 열교환 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로 인해 상기 수납부재(17) 내부 공간의 냉각은 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상부 공간(111) 및 하부 공간(112)의 온도가 의도하지 않게 변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수납부재(17)의 냉각을 위해 상기 수납부재 팬(370)이 구동되는 상태에서는 상기 상부 댐퍼(440)와 하부 댐퍼(450) 모두 닫힌 상태가 되고, 상기 송풍팬(430) 또한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납부재 팬(370)에 의해 강제 유동되는 공기는 전방으로 유동되어 상기 수납부재(17)의 내부로만 공급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공간(111) 및 하부 공간(112) 내측으로의 냉기 유동은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독립적인 냉각 운전으로 상기 수납부재(17)로의 냉기 공급이 집중될 수 있게 되며, 상기 수납부재(17) 내부 공간의 온도를 빠르게 설정 온도로 냉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19)
- 저장실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 내에 구비되며, 상기 저장실 내부에 냉기를 공급하는 증발기;
상기 저장실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저장실의 내부를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부재;
상기 상부 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 공간에서의 냉기의 순환을 위한 상부 토출구 및 상부 흡입구가 형성되는 그릴팬 어셈블리;
상기 그릴팬 어셈블리와 연결되며, 냉기를 공급하는 송풍팬이 수용되는 에어 가이드;
상기 하부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증발기 및 에어 가이드를 수용하며, 상기 하부 공간에서의 냉기의 순환을 위한 하부 토출구 및 하부 흡입구가 형성되는 그릴팬 커버;
상기 에어 가이드에 구비되며, 상기 그릴팬 어셈블리로 냉기가 공급되는 유로를 개폐하는 상부 댐퍼; 및
상기 에어 가이드에 구비되며, 상기 그릴팬 커버로 냉기가 공급되는 유로를 개폐하는 하부 댐퍼를 포함하며,
상기 그릴팬 커버의 전방에는 인출 가능한 서랍구조의 수납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그릴팬 커버에는 상기 수납부재를 향하여 개구되는 수납부재 토출구와, 상기 수납부재 토출구로 냉기를 토출하는 수납부재 팬이 구비되어,
상기 상부 댐퍼와 하부 댐퍼 및 수납부재 팬의 구동에 의해 상기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 및 수납부재가 서로 다른 온도로 유지되는 냉장고.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팬 어셈블리는,
전면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 공간으로 냉기가 공급되는 상부 유로를 따라서 복수의 상부 토출구가 개구되는 프론트 파트와;
상기 프론트 파트와 결합되어 후면을 형성하는 리어 파트;
상기 프론트 파트와 리어 파트의 이격된 사이 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 유로를 구성하는 분지된 복수의 후방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 형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후방 유로 내측에 히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상부 유로의 하단에서 상기 상부 토출구의 사이 영역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는 상기 하부 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증발기는 상기 하부 공간의 후벽면을 형성하는 그릴팬 커버에 의해 차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의 배면에는 상기 상부 토출구와 상기 증발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연결하여, 상기 상부 공간의 공기를 상기 증발기 하부로 회수하는 리턴덕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팬 커버의 후방에는 상기 에어 가이드의 일측과 상기 하부 토출구를 연결하여 하부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하부 댐퍼에 의해 개폐되는 로어 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 덕트의 내부에 히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상부 공간의 좌우 양측면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상부 히터와,
상기 하부 공간의 좌우 양측면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하부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그릴팬 커버의 후방 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그릴팬 커버의 후방 공간에는,
상기 증발기에 착상된 성에를 제거하기 위한 제상 히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증발기의 후방 및 상기 하부 공간의 후벽면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재의 둘레는 상기 저장실의 내측면과 접하여 기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수납부재 팬이 구동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에는,
상기 저장실과 구획되며, 하부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하부 저장실이 더 형성되며,
상기 하부 저장실에는 상기 하부 저장실의 냉각을 위한 하부 증발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1073A KR102434984B1 (ko) | 2018-05-03 | 2018-05-03 | 냉장고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1073A KR102434984B1 (ko) | 2018-05-03 | 2018-05-03 | 냉장고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27027A KR20190127027A (ko) | 2019-11-13 |
KR102434984B1 true KR102434984B1 (ko) | 2022-08-22 |
Family
ID=68535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51073A KR102434984B1 (ko) | 2018-05-03 | 2018-05-03 | 냉장고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3498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944771B (zh) * | 2019-11-26 | 2023-09-29 | 青岛海尔特种电冰柜有限公司 | 风冷设备的控制方法及风冷设备 |
KR20210156162A (ko) | 2020-06-17 | 2021-12-2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냉장고 |
CN116294359A (zh) * | 2023-03-22 | 2023-06-23 | 山东青果食品有限公司 | 一种蔬菜包装间风冷灭菌控制装置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137593A (ja) | 2009-12-28 | 2011-07-14 | Sanyo Electric Co Ltd | 保冷庫 |
CN107763937A (zh) | 2017-11-30 | 2018-03-06 |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 冰箱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79164B1 (ko) * | 2000-10-16 | 2003-04-08 |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 김치냉장고 및 그의 운전제어방법 |
KR20020077958A (ko) * | 2001-04-03 | 2002-10-18 | 엘지전자주식회사 | 김치 냉장고의 김치 숙성방법 |
KR100751134B1 (ko) * | 2004-11-09 | 2007-08-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와인셀러의 구조 |
KR101140711B1 (ko) * | 2006-03-17 | 2012-05-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냉장고 및 그 운전제어방법 |
-
2018
- 2018-05-03 KR KR1020180051073A patent/KR10243498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137593A (ja) | 2009-12-28 | 2011-07-14 | Sanyo Electric Co Ltd | 保冷庫 |
CN107763937A (zh) | 2017-11-30 | 2018-03-06 |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 冰箱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27027A (ko) | 2019-11-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90448B1 (ko) | 냉장고 | |
KR101670086B1 (ko) | 냉장고 | |
KR102463792B1 (ko) | 냉장고 | |
KR102434984B1 (ko) | 냉장고 | |
US10837693B2 (en) | Refrigerator | |
KR102375122B1 (ko) | 냉장고 | |
KR101132455B1 (ko) | 냉장고 | |
US11946685B2 (en) | Refrigerator | |
KR20110085597A (ko) | 냉장고 | |
KR101694663B1 (ko) | 냉장고 | |
KR101048222B1 (ko) | 냉장고 | |
KR101260559B1 (ko) | 냉장고 | |
KR102465316B1 (ko) | 냉장고 | |
KR20140124115A (ko) | 냉장고 | |
KR101191600B1 (ko) | 냉장고 | |
WO2017061159A1 (ja) | 冷蔵庫 | |
CN219511092U (zh) | 一种冷藏室和冰箱 | |
KR20110085589A (ko) | 냉장고 | |
KR101132551B1 (ko) | 냉장고 | |
KR20110078656A (ko) | 냉장고 | |
KR20030018840A (ko) | 냉장고의 냉기공급구조 | |
KR20070075835A (ko) | 냉장고. | |
KR200292004Y1 (ko) | 냉장고 | |
KR0117034Y1 (ko) | 냉장고의 냉기분포장치 | |
KR100823914B1 (ko) | 냉장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