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9100B1 - 물수건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물수건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9100B1
KR100609100B1 KR1020050013799A KR20050013799A KR100609100B1 KR 100609100 B1 KR100609100 B1 KR 100609100B1 KR 1020050013799 A KR1020050013799 A KR 1020050013799A KR 20050013799 A KR20050013799 A KR 20050013799A KR 100609100 B1 KR100609100 B1 KR 100609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wet towel
unit
frame
tow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3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숙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화성물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화성물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화성물산
Priority to KR1020050013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9100B1/ko
Priority to PCT/KR2006/000562 priority patent/WO2006088334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9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9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26Mechanically-driven towel dispensers, e.g. with storing devices for soiled tow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66Wet wip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66Wet wipes
    • A47K2010/3273Wet wipes moistened just before use
    • A47K2010/328Wet wipes moistened just before use by spra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dy Washing Hand Wipe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단을 물수건으로 형성시키는 물수건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물수건 공급장치의 프레임은 전면과 후면을 갖고, 내부 공간을 갖는다. 원단 수납 유니트는 프레임의 내부 공간의 앞측 상부에 배치되고, 원단이 롤형태로 감기어 수용된다. 원단 가이딩 유니트는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서 원단 수납 유니트의 후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가이딩 롤러를 구비하여 원단 수납 유니트의 원단을 잡아 당겨서 이송시킨다. 원단 절단 유니트는 원단 가이딩 유니트에 의해 이송되는 원단을 정해진 길이로 절단한다. 물수건 형상 형성 유니트는 프레임의 후면에 착탈구가 형성되고, 원단 절단 유니트에 의해 절단되어 원단 가이딩 유니트에 의해 이송된 원단을 이송시키면서 정해진 형상으로 형성한다. 물수건받이는 프레임의 전면 하측에 형성되는 물수건 배출구를 통해 프레임의 내측으로 결합되어 물수건 형상 형성 유니트로부터 이송되는 물수건이 적재된다. 이때 물수건 형상 형성 유니트의 카트리지는 착탈구를 통해 결합되어 제 1 회동롤러가 원단 수납 유니트의 하측에 위치되고, 제 2 회동롤러가 원단 가이딩 유니트의 가이딩 롤러와 접속되도록 하므로써 원단 수납 유니트에 수용된 원단이 원단 가이딩 유니트에 의해 프레임의 후측으로 이동된 후 물수건 형상 형성 유니트에 의해 원단 수납 유니트의 하측에서 이송되면서 정해진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Description

물수건 공급장치{WET TOWEL FEEDER}
도 1a 및 도 1b는 통상 제공되고 있는 형상에 따른 물수건의 종류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물수건 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다이어그램;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수건 공급장치의 주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수건 공급장치에서 물수건 형상 형성 유니트의 접이형 카트리지의 일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수건 공급장치에서 물수건 형상 형성 유니트의 롤형 카트리지의 일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수건 공급장치의 전면의 일례를 보여주는 사시도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수건 공급장치의 후면의 일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물수건 공급장치 20 : 프레임
22 : (프레임) 내부 공간 24 : (프레임) 전면
26 : (프레임) 후면 28 : 물수건 배출구
30 : 원단 수납 유니트 32 : 원단
34 : 원단롤러 40 : 원단 가이딩 유니트
42 : 제 1 가이딩롤러 44 : 가이딩 플레이트
46 : 제 2 가이딩롤러 50 : 원단 절단 유니트
52 : 고정 절단날 54 : 회동 전단날
60 : 물 분사 유니트 62 : 온수 분사노즐
64 : 냉수 분사노즐 70 : 살균 유니트
72 : 자외선 LED 80 : 물수건 형상 형성 유니트
82 : 제 1 구동체 84 : 제 2 구동체
85 : 착탈구 86 : 제 1 서포팅 가이드
90 : 롤형 카트리지 94 : 서포팅 플레이트
95 : 제 2 서포팅 가이드 97 : 제 1 회동롤러
98 : 제 2 회동롤러 100 : 벨트
102 : 비드 104 : (비드) 최고점
106 : (비드) 회하점 110 : 롤링 플레이트
120 : 접이형 카트리지 122 : 제 3 회동롤러
124 : 레버 플레이트 150 : 물수건받이
160 : 물받이
본 발명은 물수건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롤형태로 감긴 원단을 이송시키면서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고 물을 흡수시켜서 일회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물수건을 즉석해서 제공하기 위한 물수건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위생이 강조된 일회용 물수건이 보급되면서 필요시 물수건을 바로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물수건 공급장치가 다양한 형태로 제안되어 식당, 페스트푸드점, 사무실 등에서 편리하게 물수건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20-0172911 "물수건제조기"는 타올 롤러, 이 타올 롤러에서 풀려나가는 타올을 평편하게 하는 평편 롤러 및 평편 지지대, 타올을 이송하는 메인 롤러, 이 메인 롤러의 곡면위에 대응하도록 연장되게 형성되고 고무링과 맞물리는 보조롤러를 구비하여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보조롤러를 메인롤러의 곡면에 밀착시켜 그 사이의 타올을 안정적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타올 안내부, 앞칼날 회전기어와 동축적으로 연결되며, 앞칼날을 구비한 앞칼날 고정축, 앞칼날이 1회전할 때마다 이송되는 타올을 자르도록 상호작용하는 뒷칼날, 앞칼날 회전기어에 연결되어 앞칼날 고정축을 회전시키고 앞칼날 회전기어에 의하여 동력을 전달받은 메인 롤러를 회전시키는 메인 모터, 잘려진 타올에 물을 분사하여 물수건을 형성하는 물분사수단, 컨베이어 모터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물수건을 이송하는 컨베이어 벨트 및 컨베이어 벨트 구동축, 및 컨베이어 벨트 장력 유지부의 내면에 부착 연결되어 물수건을 둥그렇게 말리게 하는 돌기판을 포함하는 물수건 제조기를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물수건 공급장치는 타올을 기계내부에서 엉키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송하고 간단하 구조에 의하여 물수건을 말아 감는 자동적으로 살균된 물수건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0-0000095 "드럼형 물수건 제조기"는 각 구성요소를 설치하기 위한 본체를 포함하며, 시트재를 소정 길이로 절단하고 감아서 제조하는 물수건 제조기로서, 마찰돌기를 가지는 고무 로울러를 드럼의 외표면 전체에 걸쳐서 장착하고 본체에 고정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 중앙의 샤프트 상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드럼과, 이 드럼은 구동수단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피동기어가 구비되며, 마찰발생을 위한 다수개의 봉형상 돌기 및 장방형 돌기를 가지며 드럼의 외표면 약 3/4면을 덮는 부위에 설치되는 마찰용 고정패드와, 이 고정패드의 말단부에 탄성적으로 설치되는 유동 플레이트와, 물수건의 감김 형태를 여러 가지로 가변하기 위하여 고무 로울러와 고정패드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하여 고정패드에 텐션조절부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물수건 공급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물수건 공급장치는 물수건을 감기 위한 방식을 2개의 회전축을 가지는 컨베이어 벨트 방식에서 1개의 회전축을 가지는 고무로울러 드럼방식으로 개선함으로써, 비용 절감, 소음 및 부하를 감소시키고 정확하게 말아져서 물수건이 제조되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0422303호 "일회용 물수건 제조장치"는 원단 롤 고정부와; 원단 롤에 감겨진 원단을 강제 이송하는 이송롤러와; 이 이송롤러에 의해 이송되어 오는 원단에 물을 분사하여 적시면서 절취선을 따라 절취한 후 두루마리식으로 말아 배출하는 콘베이어장치와; 이 콘베이어장치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장치,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일회용 물수건 제조장치에 있어서, 콘베이어장치는 소정 거리를 두고 나란히 배치되는 구동롤러와 종동롤러; 이 구동롤러와 종동롤러에 동시에 거치되는 콘베이어 벨트; 이 콘베이어 벨트 상부에 배치되는 물분사부; 콘베이어 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원단의 선단이 말려지게 하는 엠보싱 패드; 이 엠보싱 패드에 의해 말려진 원단을 압박하여 장력을 생성함으로써 절취선을 따라 절취하는 장력 패드; 이 장력 패드에 의해 절취되어 말려진 원단을 유도하여 배출하는 배출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물수건 공급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물수건 공급장치는 원단이 정상 공급되지 않는 경우 경고신호를 발하여 바로 조치를 취하게 할 수 있고, 원단에 물을 골고루 적실 수 있으며, 콘베이어장치의 콘베이어 벨트와 패드가 직접 마찰되지 않게 구성되어 패드가 쉽게 마모되지 않음으로써 패드를 자주 교체해주지 않아도 되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 제안되고 있는 물수건 공급장치는 원단을 이송시키면서 절단하고 물을 흡수시켜 롤형태 등으로 형성하여 주므로써 음식점 등에서 물수건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 물수건 공급장치는 최종적으로 물수건의 형상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물수건의 형상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고 흐트러지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즉 종래 제안되고 있는 물수건 공급장치는 물수건의 형상을 형성하는 부분에서 벨트로 물수건을 이송(이송방식에는 컨베이어방식과 롤러방식이 제안되고 있으나, 모 두 벨트를 적용시키고 있다)시키면서 롤형태로 물수건의 형상을 형성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이송과정에서 물수건의 좌우가 비틀어지거나 어긋나 완전한 롤형태가 형성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불완전한 형상의 형성을 극복하고자 이송길이를 길게 하고 복잡한 구조를 갖게 되므로 길고 복잡한 이송구조에 물수건이 끼어 작동이 중지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물수건의 형상이 비교적 짧은 이송구간에서 이루어지도록 하여 이송구조를 간단하게 하면서도 안정적으로 물수건의 완전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는 물수건 공급장치 및 그를 위한 벨트를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5-0013478 호(출원일자 2005. 2. 18.)를 통해 제안하여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였다.
한편 통상 사용되고 있는 물수건 공급장치는 도 1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종 물수건의 형상을 롤형상으로 말아서 제공되고 있으며, 최근 일본에서는 도 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종 물수건의 형상이 여러 겹 꺾인 형상으로 접어서 제공되는 물순건 공급장치가 제공되어 다양한 형상의 물수건을 제공하므로써 서비스의 질을 높이고자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물수건 공급장치는 단일 형상의 물수건을 형성하여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고객의 취향에 맞추기 위해서는 별개의 물수건 공급장치를 제공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통상 물수건은 물수건 공급장치를 음식점 등의 사용장소에 바로 설치하여 고객에게 제공하는 경우도 있고, 물수건 공급업체에서 물수건을 제작하여 비닐 봉지 등에 넣어 공급하는 경우가 있는데, 고객의 취향에 따라 물수건의 형상을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롤형상으로 말아서 공급하 는 물수건 공급장치와 여러 겹 꺾인 형상으로 접어서 공급하는 물수건 공급장치를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 물수건 공급장치는 통상 150분의 물수건을 공급할 수 있는 원단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장치의 용량은 물수건의 사용이 많은 대형 음식점이나 사업장에서는 원단의 점검이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단가 상승의 원인이 되고 있다. 물론 종래 물수건 공급장치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방법이 있으나 음식점 등과 같이 사용처에 물수건 공급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그 크기에 제한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제안된 것으로, 먼저 롤형상의 물수건과 여러 겹 꺾인 형상의 물수건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물수건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통상의 물수건 공급장치와 외부 크기의 증가를 최소화하면서 롤형상의 물수건과 여러 겹 꺾인 형상의 물수건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더 큰 용량의 원단을 수용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물수건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원단을 물수건으로 형성시키는 물수건 공급장치에 있어서, 전면과 후면을 갖고, 내부 공간을 갖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의 앞측 상부에 배치되고, 원단이 롤형태로 감기어 수용되는 원단 수납 유니트와;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원 단 수납 유니트의 후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가이딩 롤러를 구비하여 상기 원단 수납 유니트의 원단을 잡아 당겨서 이송시키기 위한 원단 가이딩 유니트와; 상기 원단 가이딩 유니트에 의해 이송되는 원단을 정해진 길이로 절단하기 위한 원단 절단 유니트와; 상기 프레임의 후면에 착탈구가 형성되고, 상기 원단 절단 유니트에 의해 절단되어 상기 원단 가이딩 유니트에 의해 이송된 원단을 이송시키면서 정해진 형상으로 형성하기 위한 물수건 형상 형성 유니트 및; 상기 프레임의 전면 하측에 형성되는 물수건 배출구를 통해 상기 프레임의 내측으로 결합되어 상기 물수건 형상 형성 유니트로부터 이송되는 물수건이 적재되는 물수건받이를 포함하되; 상기 물수건 형상 형성 유니트는 앞측의 제 1 회동롤러와 뒤측의 제 2 회동롤러에 지지되면서 회동되는 벨트가 결합된 카트리지를 구비하고,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착탈구를 통해 결합되어 상기 제 1 회동롤러가 상기 원단 수납 유니트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회동롤러가 상기 원단 가이딩 유니트의 가이딩 롤러와 접속되도록 하므로써 상기 원단 수납 유니트에 수용된 원단이 상기 원단 가이딩 유니트에 의해 상기 프레임의 후측으로 이동된 후 상기 물수건 형상 형성 유니트에 의해 상기 원단 수납 유니트의 하측에서 이송되면서 정해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전면 하측에 형성된 물수건 배출구로 나아가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물수건 공급장치에서 상기 물수건 형상 형성 유니트는 상기 프레임 내부 공간의 후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원단 가이딩 유니트의 가이딩 롤러와 접속되고, 상기 제 2 회동롤러와 접속되는 제 1 구동체와,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제 1 구동체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제 2 구동체 및, 상기 착탈구로부터 상기 제 2 구동체를 지나 상기 원단 수납 유니트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 1 서포팅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물수건 형상 형성 유니트의 카트리지는 양측면에 상기 제 1 및 제 2 회동롤러가 회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서포팅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서포팅 플레이트의 각 외면에는 상기 제 1 서포팅 가이드와 결합되는 제 2 서포팅 가이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벨트가 결합된 제 1 및 제 2 회동롤러의 사이에서 상기 벨트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원단이 이송되는 방향으로 증가되는 기울기를 갖도록 하여 상기 이송되는 원단이 롤형태로 감기어 롤형상의 물수건을 형성하도록 하는 롤링 플레이트를 갖는 롤형 카트리지 및; 상기 벨트가 결합된 제 1 및 제 2 회동롤러의 사이에서 상기 서포팅 플레이트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 2 구동체에 접속되는 제 3 회동롤러와, 상기 제 3 회동롤러에 결합되어 상기 벨트의 상부로 회동되어 상기 이송되는 원단이 접히는 형태로 접어 접이형상의 물수건을 형성하도록 하는 레버 플레이트를 갖는 접이형 카트리지를 구비하여, 상기 롤형 카트리지와 접이형 카트리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카트리지의 벨트는 상기 원단과 접촉되는 상면상에는 상기 원단이 이송되는 방향으로 연속되어 형성되되 상기 원단이 이송되는 방향으로 최고점을 갖고 상기 최고점으로부터 연장되는 양측이 상기 최고점보다 뒤측에 위치되도록 양 끝단에 최하점을 갖는 비드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물수건 형상 형성 유니트의 전단에 물 분사 유니트와 살균 유니트가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원단 절단 유니트에서 절단되어 상기 물수건 형상 형성 유니트에 이송된 원단에 물을 분사한 후 살균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물수건 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물수건 공급장치(10)는 프레임(20), 원단 수납 유니트(30), 원단 가이딩 유니트(40), 원단 절단 유니트(50), 물 분사 유니트(60), 살균 유니트(70) 및 물수건 형상 형성 유니트(80)로 이루어진다. 이때 원단 수납 유니트(30)는 원단이 롤형태로 감기어 수용된다. 원단 가이딩 유니트(40)는 원단 수납 유니트(30)의 원단을 잡아 당겨서 이송시킨다. 이와 같은 원단 가이딩 유니트(40)는 원단이 원단 수납 유니트(30)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특징으로 이루어진 물수건 형상 형성 유니트(80)까지 이송되도록 한다. 원단 절단 유니트(50)는 원단 가이딩 유니트(40)에 의해 이송되는 원단을 정해진 길이로 절단되도록 하여 정해진 길이로 절단된 원단이 물수건 형상 형성 유니트(80)로 이송되도록 한다.
물수건 형상 형성 유니트(80)는 원단 절단 유니트(50)에 의해 절단되어 원단 가이딩 유니트(40)에 의해 이송된 원단을 이송시키면서 정해진 형상으로 형성한다. 이와 같은 원단 가이딩 유니트(40)는 절단되어 이송된 원단을 사용하기 편리한 형상으로 형성한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물수건 공급장치(10)는 최종적으로 형성되는 물수건의 형상에는 제한되지 않는다. 즉 필요에 따라 물수건의 형상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후술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 이 물수건 형상 형성 유니트(80)는 롤형 카트리지(90)와 접이형 카트리지(120)를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필요에 따라 접히는 형상, 롤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물수건 공급장치(10)는 특별히 설계된 원단 이송구조를 가지므로써 프레임(20)의 크기를 최소화하여 전체적인 크기를 줄이면서 대용량(물수건 500개 제조분량)의 원단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물수건 공급장치(10)는 특별히 설계된 물수건 형상 형성 유니트(80)의 조립구조를 가지므로써 롤형 물수건과 접이형 물수건을 하나의 물수건 공급장치에서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물수건 공급장치(10)는 절단된 원단을 가장 효과적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구조를 갖는 벨트를 구비하도록 하므로써 원단의 이송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최종적으로 물수건의 형상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물수건의 형상이 흐트러지지 않고 완전한 형태로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원단의 이송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이송길이를 상대적으로 짧게 할 수 있으므로 이송구조를 비교적 단순하게 구성할 수 있어 오작동을 줄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3a 내지 도 7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2 내지 도 7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일반적인 물수건 공급장치(제조장치)의 기술적 내용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이 분야의 종사자들 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들이므로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또한 도면의 도시에 있어서 조립부분 또는 연결부분의 크기와 형상이 약간 차이나 보이거나 다른 도면과의 치수차이는 단지 도시상 차이일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거나 변경하는 것은 아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수건 공급장치의 주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물수건 공급장치(10)는 프레임(20), 원단 수납 유니트(30), 원단 가이딩 유니트(40), 원단 절단 유니트(50), 물수건 형상 형성 유니트(80), 물수건받이(15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프레임(20)은 전면(24)과 후면(26)을 갖고, 내부 공간(22)을 갖는다. 원단 수납 유니트(30)는 프레임(20)의 내부 공간(22)의 앞측 상부에 배치되고, 원단(32)이 원단롤러(34)에 롤형태로 감기어 수용된다.
원단 가이딩 유니트(40)는 프레임(20)의 내부 공간(22)에서 원단 수납 유니트(30)의 후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가이딩 롤러(42, 46)를 구비하여 원단 수납 유니트(30)의 원단(32)을 잡아 당겨서 이송시킨다. 이와 같은 원단 가이딩 유니트(40)는 제 1 가이딩롤러(42), 가이딩 플레이트(44) 및 제 2 가이딩롤러(46)를 구비하여 원단 수납 유니트(30)의 원단(32)을 잡아 당겨서 이송시킨다. 원단 가이딩 유니트(40)는 통상의 물수건 공급장치의 원리를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원단(32)이 원단 수납 유니트(30)로부터 물수건 형상 형성 유니트(80)까지 이송되도록 한다. 원단 절단 유니트(50)는 고정 절단날(52)과 회동 전단날(54)를 구비하여 원단 가이딩 유니트(40)에 의해 이송되는 원단(32)을 정해진 길이로 절단되도록 하여 정해진 길이로 절단된 원단이 물수건 형상 형성 유니트(80)로 이송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수건 공급장치(10)는 물수건 형상 형성 유니트(80)의 전단에 물 분사 유니트(60)와 살균 유니트(70)를 순차적으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물수건 공급장치(10)는 원단 절단 유니트(50)에서 절단되어 물수건 형상 형성 유니트(80)에 이송된 원단에 물을 분사한 후 살균하도록 하므로써 살균력을 높이므로써 더욱 깨끗한 상태의 물수건이 공급되도록 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물수건 공급장치(10)는 통상 물수건 공급장치와 달리 물이 흡수된 원단을 정해진 형상으로 형성하기 전에 최종적으로 살균하도록 하므로써 원단과 흡수된 물이 최종적으로 살균처리되어 제품화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물 분사 유니트(60)는 온수 분사노즐(62)과 냉수 분사노즐(64)을 구비하여 기온 또는 계절에 따라 물수건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을 것이고, 살균 유니트(70)는 자외선 LED(72)를 사용하여 그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물수건 형상 형성 유니트(80)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프레임(20)의 후면(26)에 착탈구(85)가 형성되고, 원단 절단 유니트(50)에 의해 절단되어 원단 가이딩 유니트(40)에 의해 이송된 원단(32)을 이송시키면서 정해진 형상으로 형성한다. 이와 같은 물수선 형상 형성 유니트(80)는 앞측의 제 1 회동롤러(97)와 뒤측의 제 2 회동롤러(98)에 지지되면서 회동되는 벨트(100)가 결합된 카트리지 즉 롤형 카트리지(90)와 접이형 카트리지(12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 두 종류의 카트리지(90, 120)는 착탈구(85)를 통해 결합되어 제 1 회동롤러(97)가 원단 수납 유니트(30)의 하측에 위치되고, 제 2 회동롤러(98)가 원단 가이딩 유니트(40)의 가이딩 롤러{본 실시예에서는 제 2 가이딩롤러(46)}와 접속되도록 하므로써 원단 수납 유니트(30)에 수용된 원단(32)이 원단 가이딩 유니트(40)에 의해 프레임(20)의 후측으로 이동된 후 물수건 형상 형성 유니트(80)에 의해 원단 수납 유니트(30)의 하측에서 이송되면서 정해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도 6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프레임(20)의 전면(24) 하측에 형성된 물수건 배출구(28)로 나아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수건 공급장치(10)의 물수건 형상 형성 유니트(80)는 제 1 구동체(82), 제 2 구동체(84), 제 1 서포팅 가이드(86)를 구비하여, 롤형 카트리지(90)와 접이형 카트리지(120)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제 1 및 제 2 구동체(82, 84)는 모터 등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회동되는 기어 등으로 카트리지(90, 120)에 접속되어 벨트(100)를 이송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구동체(82)는 프레임(20) 내부 공간(22)의 후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원단 가이딩 유니트(40)의 가이딩 롤러(46)와 접속되고, 제 2 회동롤러(98)와 접속된다. 제 2 구동체(84)는 프레임(20)의 내부 공간(22)에서 제 1 구동체(82)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제 1 서포팅 가이드(86)는 착탈구(85)로부터 제 2 구동체(84)를 지나 원단 수납 유니트(30)의 하측으로 연장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맞추어 롤형 카트리지(90)와 접이형 카트리지(120)는 양측면에 제 1 및 제 2 회동롤러(97, 98)가 회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서포팅 플레이트(94)를 구비하고, 이 서포팅 플레이트(94)의 각 외면에는 제 1 서포팅 가이드(86)와 결합되는 제 2 서포팅 가이드 (95)가 설치된다.
물수건받이(150)는 도 6a 및 6b와 같이, 프레임(20)의 전면(24) 하측에 형성되는 물수건 배출구(28)를 통해 프레임(20)의 내측으로 결합되어 물수건 형상 형성 유니트(80)로부터 이송되는 물수건이 적재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물수건받이(150)는 특별히 설계된 구조를 갖는다. 즉 본 실시예에서 물수건받이(150)는,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커버의 기능도 하고, 형성된 물수건을 수용하도록 하는데, 물수건의 수용시 종래와 달리 내부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즉 전술한 원단 이송구조에 의해 프레임(20)의 내부 공간(22)에서 전면 하측은 상대적으로 여유가 있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이 공간에 물수건받이(150)가 삽입되도록 하므로써 물수건받이(150)가 외부로 돌출되었을 때 자주 발생되는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은 프레임(20)의 내부 벽면 상에 돌기(156)를 형성하고, 물수건이 수용되는 공간(152)을 이루는 측벽상에 돌기(156)가 결합되는 걸림홈(154)을 형성하므로써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수건 공급장치에서 물수건 형상 형성 유니트의 접이형 카트리지의 일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수건 공급장치에서 물수건 형상 형성 유니트의 롤형 카트리지의 일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도 3a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카트리지는 롤형 카트리지(90)와 접이형 카트리지(120)를 구비하여 롤형 카트리지(90)와 접이형 카트리지(120)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접이형 카트리지(12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벨트(100)가 결합된 제 1 및 제 2 회동롤러(97, 98)의 사이에서 서포팅 플레이트(94)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제 2 구동체(84)에 접속되는 제 3 회동롤러(122)와, 이 제 3 회동롤러(122)에 결합되어 벨트(100)의 상부로 회동되어 이송되는 원단이 접히는 형태로 접어 접이형상의 물수건을 형성하도록 하는 레버 플레이트(124)를 갖는다. 미설명 부호 126, 128, 130, 132는 접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레버(126, 128)와 센서(128, 132)이다. 이와 같은 레버(126, 128)와 센서(128, 132)는 일반적으로 콘베이어의 멈춤, 진행 동작을 레버 플레이트(124)의 동작에 응용한 것이다.
롤형 카트리지(9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벨트(100)가 결합된 제 1 및 제 2 회동롤러(97, 98)의 사이에서 벨트(10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원단(32)이 이송되는 방향으로 증가되는 기울기를 갖도록 하여 이송되는 원단(32)이 롤형태로 감기어 롤형상의 물수건을 형성하도록 하는 롤링 플레이트(110)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물수건 형상 형성 유니트(80)의 카트리지(90, 120)는 원단 절단 유니트(50)에 의해 절단되어 원단 가이딩 유니트(40)에 의해 이송된 원단을 이송시키면서 정해진 형상으로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90, 1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물수건 형상 형성 유니트(80)에 적용되는 벨트(100)와 연계되므로 그 설치구간이 비교적 짧게 된다. 이와 같은 물수건 형상 형성 유니트(80)의 하부에는 물받이(160)가 설치되어 원단에 흡수되고 남은 물이 수용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수건 공급장치(10)의 벨트(100)는 특별히 형성된 비드(102)를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벨트(100)는 원단 수납 유니트(30)에서 원단 가이딩 유니트(40)에 의해 이송되고 원단 절단 유니트(50)에 의해 정해진 길이로 절단된 원단을 이송시키면서 정해진 형상으로 형성하기 위한 물수건 형상 형성 유니트(80)의 제 1 및 제 2회동롤러(97, 98)에 양측이 지지되어 회동되면서 원단을 이송시킨다. 이와 같은 벨트(100)는 원단과 접촉되는 상면과 회동롤러(97, 98)와 접촉되는 하면을 갖고, 상면과 하면은 폐곡선을 이룬다. 상면상에는 원단이 이송되는 방향으로 연속되어 형성되되 원단이 이송되는 방향으로 최고점(104)을 갖고 이 최고점(104)으로부터 연장되는 양측이 최고점(104)보다 뒤측에 위치되도록 양 끝단에 최하점(106)을 갖는 비드(102)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벨트(100)에 형성되는 비드(102)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아래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비드(102)는 'V'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지만, '물결무늬' 형상 또는 'W'의 형상을 갖도록 하여 적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벨트(100)는 기본적으로 원단이 이송되는 방향으로 연속되어 형성되고, 원단이 이송되는 방향으로 최고점(104)을 갖고 이 최고점(104)으로부터 연장되는 양측이 최고점(104)보다 뒤측에 위치되도록 양 끝단에 최하점(106)이 형성되도록 하지만, 그 형상에 있어서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비드(102)는 기본적으로 벨트(10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도록 하지만, 음각의 형태로도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수건 공급장치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물수건 공급장치에 의하면, 비교적 좁은 공간에서도 효과적인 원단 이송구조를 가지므로써 프레임의 크기를 최소화하여 전체적인 크기를 줄이면서 대용량(물수건 500개 제조분량)의 원단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물수건 공급장치는 특별히 설계된 물수건 형상 형성 유니트의 조립구조를 가지므로써 롤형 물수건과 접이형 물수건을 하나의 물수건 공급장치에서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물수건 공급장치는 절단된 원단을 가장 효과적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구조를 갖는 벨트를 구비하도록 하므로써 원단의 이송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최종적으로 물수건의 형상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물수건의 형상이 흐트러지지 않고 완전한 형태로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원단의 이송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이송길이를 상대적으로 짧게 할 수 있으므로 이송구조를 비교적 단순하게 구성할 수 있어 오작동을 줄일 수 있다.

Claims (5)

  1. 원단을 물수건으로 형성시키는 물수건 공급장치에 있어서,
    전면과 후면을 갖고, 내부 공간을 갖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의 앞측 상부에 배치되고, 원단이 롤형태로 감기어 수용되는 원단 수납 유니트와;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원단 수납 유니트의 후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가이딩 롤러를 구비하여 상기 원단 수납 유니트의 원단을 잡아 당겨서 이송시키기 위한 원단 가이딩 유니트와;
    상기 원단 가이딩 유니트에 의해 이송되는 원단을 정해진 길이로 절단하기 위한 원단 절단 유니트와;
    상기 프레임의 후면에 착탈구가 형성되고, 상기 원단 절단 유니트에 의해 절단되어 상기 원단 가이딩 유니트에 의해 이송된 원단을 이송시키면서 정해진 형상으로 형성하기 위한 물수건 형상 형성 유니트 및;
    상기 프레임의 전면 하측에 형성되는 물수건 배출구를 통해 상기 프레임의 내측으로 결합되어 상기 물수건 형상 형성 유니트로부터 이송되는 물수건이 적재되는 물수건받이를 포함하되;
    상기 물수건 형상 형성 유니트는 앞측의 제 1 회동롤러와 뒤측의 제 2 회동롤러에 지지되면서 회동되는 벨트가 결합된 카트리지를 구비하고,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착탈구를 통해 결합되어 상기 제 1 회동롤러가 상기 원단 수납 유니트의 하측 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회동롤러가 상기 원단 가이딩 유니트의 가이딩 롤러와 접속되도록 하므로써 상기 원단 수납 유니트에 수용된 원단이 상기 원단 가이딩 유니트에 의해 상기 프레임의 후측으로 이동된 후 상기 물수건 형상 형성 유니트에 의해 상기 원단 수납 유니트의 하측에서 이송되면서 정해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전면 하측에 형성된 물수건 배출구로 나아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수건 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수건 형상 형성 유니트는 상기 프레임 내부 공간의 후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원단 가이딩 유니트의 가이딩 롤러와 접속되고, 상기 제 2 회동롤러와 접속되는 제 1 구동체와,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제 1 구동체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제 2 구동체 및,
    상기 착탈구로부터 상기 제 2 구동체를 지나 상기 원단 수납 유니트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 1 서포팅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물수건 형상 형성 유니트의 카트리지는 양측면에 상기 제 1 및 제 2 회동롤러가 회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서포팅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서포팅 플레이트의 각 외면에는 상기 제 1 서포팅 가이드와 결합되는 제 2 서포팅 가이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수건 공급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벨트가 결합된 제 1 및 제 2 회동롤러의 사이에서 상기 벨트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원단이 이송되는 방향으로 증가되는 기울기를 갖도록 하여 상기 이송되는 원단이 롤형태로 감기어 롤형상의 물수건을 형성하도록 하는 롤링 플레이트를 갖는 롤형 카트리지 및;
    상기 벨트가 결합된 제 1 및 제 2 회동롤러의 사이에서 상기 서포팅 플레이트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 2 구동체에 접속되는 제 3 회동롤러와, 상기 제 3 회동롤러에 결합되어 상기 벨트의 상부로 회동되어 상기 이송되는 원단이 접히는 형태로 접어 접이형상의 물수건을 형성하도록 하는 레버 플레이트를 갖는 접이형 카트리지를 구비하여, 상기 롤형 카트리지와 접이형 카트리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결합시켜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수건 공급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의 벨트는 상기 원단과 접촉되는 상면상에는 상기 원단이 이송되는 방향으로 연속되어 형성되되 상기 원단이 이송되는 방향으로 최고점을 갖고 상기 최고점으로부터 연장되는 양측이 상기 최고점보다 뒤측에 위치되도록 양 끝단에 최하점을 갖는 비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수건 공급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수건 형상 형성 유니트의 전단에 물 분사 유니트와 살균 유니트가 순 차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원단 절단 유니트에서 절단되어 상기 물수건 형상 형성 유니트에 이송된 원단에 물을 분사한 후 살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수건 공급장치.
KR1020050013799A 2005-02-18 2005-02-18 물수건 공급장치 KR100609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3799A KR100609100B1 (ko) 2005-02-18 2005-02-18 물수건 공급장치
PCT/KR2006/000562 WO2006088334A1 (en) 2005-02-18 2006-02-18 Wet towel fee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3799A KR100609100B1 (ko) 2005-02-18 2005-02-18 물수건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9100B1 true KR100609100B1 (ko) 2006-08-08

Family

ID=36916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3799A KR100609100B1 (ko) 2005-02-18 2005-02-18 물수건 공급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09100B1 (ko)
WO (1) WO2006088334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3665U (ko) * 1997-09-26 1999-04-15 강봉래 물수건 제조기
KR19990014535U (ko) * 1997-10-06 1999-05-06 이두평 물수건 공급장치
KR20000020997U (ko) * 1999-05-18 2000-12-15 정지달 즉석 물수건제조기
KR20010010003A (ko) * 1999-07-15 2001-02-05 이종국 물수건 즉석 제조기
KR20040076604A (ko) * 2003-02-26 2004-09-01 가부시끼가이샤 후지 덴쟈이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
KR20050100939A (ko) * 2004-04-16 2005-10-20 맥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일회용 물수건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9620A (ja) * 1989-09-13 1991-04-24 Hoshizaki Electric Co Ltd 巻きおしぼり製造装置の散水方法
JPH07178002A (ja) * 1993-12-24 1995-07-18 Shinmeiwa Ribitetsuku Kk タオルの自動ロール巻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3665U (ko) * 1997-09-26 1999-04-15 강봉래 물수건 제조기
KR19990014535U (ko) * 1997-10-06 1999-05-06 이두평 물수건 공급장치
KR20000020997U (ko) * 1999-05-18 2000-12-15 정지달 즉석 물수건제조기
KR20010010003A (ko) * 1999-07-15 2001-02-05 이종국 물수건 즉석 제조기
KR20040076604A (ko) * 2003-02-26 2004-09-01 가부시끼가이샤 후지 덴쟈이 두루말이 물수건 제조장치
KR20050100939A (ko) * 2004-04-16 2005-10-20 맥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일회용 물수건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88334A1 (en) 2006-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7410B2 (en) Apparatus for discharging tissue
US6314971B1 (en) Dispenser for cleaning paper
US9926166B2 (en) Tape dispenser with improved wetting system
KR100848134B1 (ko) 물수건 제조장치
MXPA00011365A (es) Surtidor de toalla de papel.
JP2001070194A (ja) 濡れタオル自動供給装置
JP3590954B1 (ja) 湿タオル供給装置
US20070012713A1 (en) Heated towel dispenser
KR100609100B1 (ko) 물수건 공급장치
KR100609099B1 (ko) 물수건 공급장치 및 그를 위한 벨트
JP2004129863A (ja) 有料おしぼり製造装置
JP4092123B2 (ja) メダル洗浄装置
KR100321864B1 (ko) 물수건 즉석 제조기
KR20040034504A (ko) 물수건 제조장치
KR200180460Y1 (ko) 물수건 제작기
JP4991169B2 (ja) 巻きおしぼり製造装置
JP3081592B2 (ja) 巻おしぼり製造装置
KR200420502Y1 (ko) 클리어 래핏용 디스펜서의 점착테이프 부착장치
JP3081580B2 (ja) 巻おしぼり製造装置
CN215709633U (zh) 一种皮带式磨板机出料防卷板掉板机构
KR100542835B1 (ko) 일회용 물수건 제조장치
KR19990026112A (ko) 물수건 제조기
JP5261759B2 (ja) 巻きおしぼり製造装置
JP2003192218A (ja) 湿潤ティッシュ供給装置
JPH051799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