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8410B1 - 이중효용 흡수식 냉동기 - Google Patents

이중효용 흡수식 냉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8410B1
KR100608410B1 KR1020050024617A KR20050024617A KR100608410B1 KR 100608410 B1 KR100608410 B1 KR 100608410B1 KR 1020050024617 A KR1020050024617 A KR 1020050024617A KR 20050024617 A KR20050024617 A KR 20050024617A KR 100608410 B1 KR100608410 B1 KR 100608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ution
heat exchanger
discharged
dual
intermediate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4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철
박찬우
조현욱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4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8410B1/ko
Priority to CNB2006100547254A priority patent/CN100476317C/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8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8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5/00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 F25B15/02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without inert gas
    • F25B15/06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without inert gas the refrigerant being water vapour evaporated from a salt solution, e.g. lithium brom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25B39/026Evaporators specially adapted for sorption typ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7Relating to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technolog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62Absorption based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orption Type Refrigeration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효용 흡수식 냉동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고온 열교환기로부터 배출된 중간용액과 흡수기로부터 배출된 묽은 용액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중효용 흡수식 냉동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이중효용 흡수식 냉동기는, 고온 열교환기와 저온 재생기를 연결하고 그 내부에는 중간 용액이 흐르는 도관 상에 설치되고, 흡수기로부터 배출된 묽은 용액과 중간 용액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 유니트를 구비한다.
이중효용 흡수식 냉동기, 열교환, 플래싱, 폭비등

Description

이중효용 흡수식 냉동기{Absorption chiller of double effect}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중효용 흡수식 냉동기를 나타낸 개략적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효용 흡수식 냉동기를 나타낸 개략적 구성도.
도 3는 도 2의 흡수식 냉동기의 열교환 유니트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효용 흡수식 냉동기를 나타낸 개략적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흡수기 30 : 저온 열교환기
40 : 고온 열교환기 50 : 고온 재생기
60 : 저온 재생기 70 : 응축기
80 : 증발기 90 : 열교환 유니트
10, 100, 100a : 이중효용 흡수식 냉동기
본 발명은 이중효용 흡수식 냉동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고 온 열교환기로부터 배출된 중간용액과 흡수기로부터 배출된 묽은 용액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중효용 흡수식 냉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중효용 흡수식 냉동기는 재생기와 열교환기를 두 개씩 구비하는 냉동기로서, 흡수액이 하나의 회로를 따라 순환된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흡수액은, 흡수기(20) → 저온 열교환기(30) → 고온 열교환기(40) → 고온 재생기(50) → 고온 열교환기(40) → 저온 재생기(60) → 저온 열교환기(30) → 흡수기(20)를 순환한다. 또한, 냉매는, 흡수기(20) → 저온 열교환기(30) → 고온 열교환기(40) → 고온 재생기(50) → 저온 재생기(60)의 전열관(62) → 응축기(70) → 증발기(80) → 흡수기(20)를 순환한다. 아울러, 저온 재생기(60)의 용액에 포함된 냉매는 전열관(62)을 통과하는 고온의 냉매 증기(D)에 의하여 증발되어 응축기(70)로 유입되기도 한다. 한편, 이중효용 흡수식 냉동기(10)에서 통상적으로 흡수액으로는 리튬브로마이드(LiBr) 용액이 사용되고, 냉매로는 물이 사용된다.
상기 흡수기(20)에서는 저온 재생기(60)로부터 이동된 진한 용액(A)이 분무되고, 진한 용액(A)의 분무 과정에서 냉매 증기가 진한 용액(A) 속에 포함된다. 즉, 냉매 증기가 진한 용액(A) 속에 포함되어 진한 용액(A)이 묽은 용액(C)으로 된다. 이 과정에서 냉각수(F)는 냉매 증기의 흡수열을 냉각시킨다. 본 명세서에서 '묽은 용액'이라 함은 흡수액에 냉매가 상대적으로 많이 포함된 용액을 뜻하고, '진한 용액'이라 함은 흡수액에 냉매가 상대적으로 작게 포함된 용액을 뜻하며, '중간 용액'은 묽은 용액 농도와 진한 용액 농도의 중간 농도를 가지는 용액을 뜻한다.
상기 묽은 용액(C)은 흡수기(20)로부터 배출된 후 저온 열교환기(30)에서 저 온 재생기(60)로부터 배출된 진한 용액(A)과 열교환을 하여 그 온도가 상승된다. 이어서, 묽은 용액(C)은 고온 열교환기(40)에서 고온 재생기(50)로부터 배출된 중간 용액(B)과 열교환을 한 후, 고온 재생기(50)로 유입된다.
상기 고온 재생기(50)에 유입된 묽은 용액(C)은 가열 부재(미도시)에 의하여 소정 온도로 가열된다. 가열된 묽은 용액(C)은 냉매 증기(D)와 중간 용액(B)으로 분리된다. 중간 용액(B)은 고온 열교환기(40)로 배출되고, 냉매 증기(D)는 저온 재생기(60)로 배출된다.
상기 중간 용액(B)은 고온 열교환기(40)에서 묽은 용액(C)과 열교환을 한 후, 저온 재생기(60)에 유입된다. 저온 재생기(60)에 유입된 중간 용액(B)은 전열관(62) 내부를 흐르는 냉매 증기(D)에 의하여 가열된다. 즉, 중간 용액(B)에 포함된 냉매는 기화되어 응축기(70)로 유입된다. 또한, 전열관(62)을 통과한 냉매 증기(D)도 응축기(70)로 유입된다. 응축기(70)로 유입된 냉매 증기는 냉각수(F)에 의하여 냉각되어 액화된다.
액화된 냉매(E)는 증발기(80)로 유입된 후, 분무되어 기화되면서 냉수(G)를 냉각시킨다. 이와 같이, 증발기(80)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냉수(G)는 건물 등의 냉방에 사용된다.
냉수(G)를 냉각하면서 증발된 냉매는 흡수기(20)로 유입된다. 흡수기(20)에서 냉매는 분무되는 진한 용액(A)에 포함된다. 즉, 진한 용액(A)은 냉매를 포함하게 되어 묽은 용액(C)으로 된다.
한편, 고온 재생기(50)에서 중간 용액(B)으로부터 분리된 냉매 증기(D)는 전 열관(62)을 통과하면서 저온 재생기(60)에 수용된 용액을 가열한 후 응축기(70)에 유입된다. 이 과정에서 저온 재생기(60)의 용액 중의 냉매는 그 일부분이 기화되어 응축기(70)로 유입된다.
응축기(70)에서 액화된 냉매(E)는 증발기(80)에서 분무되어 냉수(G)를 냉각시키면서 기화된다. 기화된 냉매 즉, 냉매 증기는 흡수기(20)로 유입된 후 분무되는 진한 용액(A)에 포함된다.
이러한 흡수액과 냉매의 순환 과정 중 중간 용액(B)이 저온 재생기(60)에 유입되는 과정에서는 중간 용액(B)의 포화압력과 저온 재생기(60)의 포화압력의 차이로 인하여 플래싱(flashing) 현상과 폭비등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즉, 중간 용액(B)에 포함된 흡수액이 저온 재생기(60)의 입구에서 갑자기 기화된다. 또한, 흡수액이 급격하게 기화되면서 흡수액의 액적이 폭발적으로 튀게 된다. 기화된 흡수액 즉, 흡수액 증기 중의 일부와 흡수액 액적 중의 일부는 응축기(70)에 유입되어 냉매와 혼합된다. 즉, 냉매가 오염되어 냉각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생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흡수기(20)로부터 배출된 묽은 용액(C)은 저온 열교환기(30)와 고온 열교환기(40)를 경유하여 고온 재생기(50)로 유입된다. 묽은 용액(C)이 저온 열교환기(30)에서 저온 재생기(60)로부터 배출된 진한 용액(A)과 열교환을 하고, 고온 열교환기(40)에서 고온 재생기(50)로부터 배출된 중간 용액(B)과 열교환을 하는 것은 고온 재생기(50)의 가열 부재(미도시)가 묽은 용액(C)을 소정 온도로 가열할 때 가열 부하를 낮추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묽은 용액(C)과 중간 용액(B), 또는 묽은 용액(C)과 진한 용액(A)과의 열교환이 더욱 효율적으로 이 루어진다면 고온 재생기(50)에서의 가열 부하를 더욱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저온 재생기에서의 플래싱 현상과 폭비등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중효용 흡수식 냉동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흡수기로부터 배출된 묽은 용액과 고온 열교환기로부터 배출된 중간 용액 사이의 열교환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이중효용 흡수식 냉동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효용 흡수식 냉동기는, 고온 열교환기와 저온 재생기를 연결하고 그 내부에는 중간 용액이 흐르는 도관 상에 설치되고, 저온 열교환기에서 상기 고온 열교환기 쪽으로 배출된 묽은 용액과 상기 중간용액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 유니트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효용 흡수식 냉동기는, 고온 열교환기와 저온 재생기를 연결하고 그 내부에는 중간 용액이 흐르는 도관 상에 설치되고, 흡수기로부터 배출된 묽은 용액 중 일부와 상기 중간용액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 유니트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열교환 유니트는, 그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셀 부재; 및 상기 중공에 소정 개수가 설치된 튜브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용액은 상기 튜브 부재 또는 셀 부재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흐르고, 상기 묽은 용액은 상기 튜브 부재 또는 셀 부재 중 나머지 어느 하나를 통하여 흐른다.
바람직하게, 상기 셀 부재는, 상기 튜브가 설치되고 상기 묽은 용액 또는 중간 용액 중 어느 하나의 유입구와 유출구가 형성된 열전달부; 및 상기 열전달부와는 분리되고, 상기 튜브를 통하여 이동된 상기 묽은 용액 또는 중간 용액 중 나머지 어느 하나가 배출되는 용액 배출구가 형성된 배출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묽은 용액은 열전달부를 통하여 흐르고, 상기 중간 용액은 상기 튜브 부재를 통하여 이동된 후, 상기 용액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며, 상기 배출부에는 상기 중간 용액으로부터 분리된 냉매 증기가 배출되는 증기 배출구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셀 부재는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용액의 이동 속도를 늦추기 위하여 열전달부에 설치된 배플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효용 흡수식 냉동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효용 흡수식 냉동기를 나타낸 개략적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열교환 유니트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이중효용 흡수식 냉동기(100)는 고온 열교환기(40)로부터 배출된 중간 용액(B)과 저온 열교환기(30)로부터 배출된 묽은 용액(C)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 유니트(90)를 구비한다.
상기 열교환 유니트(90)는 고온 열교환기(40)와 저온 재생기(60)를 연결하는 도관(42) 상에 설치된다. 도관의 내부에는 중간 용액(B)이 흐른다.
상기 열교환 유니트(90)는 내부에 중공(91)이 형성된 셀 부재(92) 및, 중공(91)에 설치된 튜브 부재(98)를 구비한다.
상기 셀 부재(92)는 유입부(93)와, 열전달부(94) 및, 배출부(95)로 구획된다.
상기 유입부(93)에는 유입 구멍(93a)이 형성된다. 유입 구멍(93a)에는 도관(42)이 연결되어 고온 열교환기(40)로부터 배출된 중간 용액(B)이 유입 구멍(93a)을 통하여 유입된다.
상기 열전달부(94)에는 묽은 용액(C)이 유ㆍ출입되는 유입구(94a)와 유출구(94b)가 형성된다. 즉, 저온의 묽은 용액(C)이 유입구(94a)를 통하여 유입되어 튜브 부재(98)의 내부를 흐르는 고온의 중간 용액(B)과 열교환을 한 후, 유출구(94b)를 통하여 배출된다. 튜브 부재(98)에 관해서는 후술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열전달부(94)는 그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이동 속도를 늦 추는 배플(94c)을 구비한다. 배플(94c)은 열전달부(9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유체의 이동 속도를 늦춤으로써 중간 용액(B)과 묽은 용액(C) 사이의 열교환이 일어날 수 있는 시간을 증가시킨다.
상기 배출부(95)에는 중간 용액(B)이 배출되는 용액 배출구(95a)가 형성된다. 유입 구멍(93a)을 통하여 유입되고 튜브 부재(98)를 거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진 중간 용액(B)은 용액 배출구(95a)를 통하여 배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출부(95)에는 중간 용액(B)으로부터 분리된 냉매 증기(D)가 배출되는 증기 배출구(95b)가 형성된다. 유입부(93)와 튜브 부재(98)를 통과하면서 플래싱 현상에 의해 냉매 증기(D)가 흡수액으로부터 분리되고, 분리된 냉매 증기(D)는 증기 배출구(95b)를 통하여 저온 재생기(60)로 배출된다. 증기 배출구(95b)에는 감압 밸브 등과 같은 감압 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튜브 부재(98)는 유입부(93)와 배출부(95)를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즉, 유입 구멍(93a)을 통하여 유입된 중간 용액(B)은 튜브 부재(98)를 통하여 배출부(95)로 이동된다. 튜브 부재(98)는 열전달이 잘 이루어질 수 있는 금속 등의 소재를 이용하여 제조된다.
한편, 도 2 및 도 3은 유입부(93)와, 열전달부(94) 및, 배출부(95)로 구획된 셀 부재(92)를 나타내고 있으나, 셀 부재는 열전달부(94) 및, 배출부(95)로 구획될 수도 있다. 즉, 도관(42)이 튜브 부재(98)와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은 중간 용액(B)이 튜브 부재(98)를 통하여 이동되고, 묽은 용액(C)이 열전달부(94)를 통하여 이동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지만, 중간 용액 (B)이 열전달부(94)를 통하여 이동되고 묽은 용액(C)이 튜브 부재(98)를 통하여 이동될 수도 있다. 아울러, 도 2 및 도 3은 셀 부재(92)의 중공(91)에 튜브 부재(98)가 설치된 열교환 유니트(90)를 나타내고 있으나, 열교환 유니트는 판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판형 열교환기(plate type heat exchanger)는 냉동 공조 등에 있어서 널리 사용되는 열교환기이다.
상기 고온 재생기(50)와, 고온 열교환기(40)와, 저온 재생기(60)와, 응축기(70)와, 증발기(80)와, 흡수기(20) 및, 저온 열교환기(30)에 관해서는 전술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효용 흡수식 냉동기를 나타낸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이중효용 흡수식 냉동기(100a)는 고온 열교환기(40)로부터 배출된 중간 용액(B)과 흡수기(20)로부터 배출된 묽은 용액(C) 중 일부와의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 유니트(90)를 구비한다.
상기 열교환 유니트(90)는 고온 열교환기(40)와 저온 재생기(60)를 연결하는 도관(42) 상에 설치된다. 도관(42)의 내부에는 중간 용액(B)이 흐른다.
흡수기(20)로부터 배출된 묽은 용액(C) 중 일부가 상기 중간 용액(B)과 열교환 한다. 즉, 흡수기(20) 배출구와 연결된 도관을 저온 열교환기(30)의 전방에서 분기하여 묽은 용액(C) 중 일부를 열교환기 유니트(90)의 유입구(94a)로 흐르게 한다. 유입구(94a)로 유입된 묽은 용액(C)은 열전달부(94)를 통과하며 중간 용액(B)과 열교환을 한다. 열전달부(94)를 통과한 묽은 용액(C)은 유출구(94b)를 통하여 배출된 후, 고온 열교환기(40)의 전방에서 저온 열교환기(30)를 통과한 묽은 용액(C)과 합류하게 된다.
그러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효용 흡수식 냉동기(10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묽은 용액(C)이 흡수기(20)로부터 배출된 후 저온 열교환기(30)에서 저온 재생기(60)로부터 배출된 진한 용액(A)과 열교환을 하여 그 온도가 상승된다. 이어서, 묽은 용액(C)은 유입구(94a)를 통하여 열전달부(94)에 유입된 후, 튜브 부재(98)를 통하여 이동되는 중간 용액(B)과 열교환을 한다.
이러한 열교환에 의하여 묽은 용액(C)은 그 온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고온 재생기(50)의 가열 부하가 그 만큼 줄어들기 때문에 냉각 효율이 상승된다.
고온 열교환기(40)를 경유한 묽은 용액(C)은 고온 재생기(50)로 유입된 후, 가열 부재(미도시)에 의하여 소정 온도로 가열되어 냉매의 일부는 기화되어 냉매 증기(D)로 된다. 묽은 용액(C)은 냉매가 증발됨에 따라 중간 용액(B)이 된다.
고온 재생기(50)로부터 배출된 중간 용액(B)은 고온 열교환기(40)에서 묽은 용액(C)과 열교환을 한 후, 유입 구멍(93a)을 통하여 열교환 유니트(90)에 유입된다. 유입 구멍(93a)을 통하여 유입된 중간 용액(B)은 튜브 부재(98)를 통하여 이동되면서 열전달부(94)의 묽은 용액(C)과 열교환을 한다. 이 때, 배플(94c)은 묽은 용액(C)의 이동 속도를 느리게 하여 열교환 시간이 길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이동 중에 중간 용액(B)에 포함된 냉매 중의 일부는 기화되어 냉매 증기(D)로 된다. 냉매 증기(D)는 증기 배출구(95b)를 통하여 배출된 후 저온 재생기(60)로 이동된다. 중간 용액(B)은 용액 배출구(95a)를 통하여 배출되어 저온 재생기(60)로 이동된다.
저온 재생기(60)로 배출된 냉매 증기(D)는 응축기(70)로 이동된 후 냉각수(F)에 의하여 냉각된다. 한편, 중간 용액(B)은 저온 재생기(60)에 수용되고 전열관(62) 내부를 흐르는 냉매 증기(D)에 의하여 가열되어 그 내부에 포함된 냉매 중의 일부가 기화된다. 기화된 냉매는 응축기(70)에 유입된다.
한편, 중간 용액(B)은 열교환 유니트(90)를 통과하면서 그 온도가 낮아지고, 그 내부에 포함된 냉매 중의 일부가 기화되어 별도의 도관을 통하여 저온 재생기(60)로 배출됨으로써 저온 재생기(60)의 입구에서 발생될 수 있는 플래싱 현상과 폭비등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저온 재생기(60)의 입구에서 중간 용액(B)이 폭발적으로 기화되면서 흡수액의 액적이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흡수액의 액적 또는 흡수액의 증기가 응축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냉매가 오염되어 냉각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응축기(70)와, 증발기(80) 및, 흡수기(20)에서의 과정은 전술한 이중효용 흡수식 냉동기(10)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효용 흡수식 냉동기(100a)의 작동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흡수기(20)로부터 배출된 묽은 용액(C) 중 일부가 유입구(94a)를 통하여 열전달부(94)에 유입된다. 열전달부(94)에 유입된 묽은 용액(C)은 튜브 부재(98)를 통하여 이동되는 중간 용액(B)과 열교환을 한다. 열교환기 유니트(90)에서 열교환을 마친 묽은 용액(C)은 유출구(94b)를 통하여 배출된 후 고온 열교환기(40)의 전방에서 저온 열교환기(30)를 통과한 묽은 용액(C)과 합류하게 된다.
이러한 열교환에 의하여 묽은 용액(C)은 그 온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고온 재생기(50)의 가열 부하가 그 만큼 줄어들기 때문에 냉각 효율이 상승된다. 그 이하의 과정은 전술한 도 2의 냉동기(100)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중효용 흡수식 냉동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저온 재생기에서의 플래싱 현상과 폭비등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흡수기에서 배출된 묽은 용액과 고온 열교환기로부터 배출된 중간 용액 사이의 열교환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Claims (6)

  1. 고온 열교환기와 저온 재생기를 연결하고 그 내부에는 중간 용액이 흐르는 도관 상에 설치되고, 저온 열교환기에서 상기 고온 열교환기 쪽으로 배출된 묽은 용액과 상기 중간용액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 유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효용 흡수식 냉동기.
  2. 고온 열교환기와 저온 재생기를 연결하고 그 내부에는 중간 용액이 흐르는 도관 상에 설치되고, 흡수기로부터 배출된 묽은 용액 중 일부와 상기 중간용액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 유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효용 흡수식 냉동기.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 유니트는,
    그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셀 부재; 및
    상기 중공에 소정 개수가 설치된 튜브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용액은 상기 튜브 부재 또는 셀 부재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흐르고, 상기 묽은 용액은 상기 튜브 부재 또는 셀 부재 중 나머지 어느 하나를 통하여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효용 흡수식 냉동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셀 부재는,
    상기 튜브가 설치되고 상기 묽은 용액 또는 중간 용액 중 어느 하나의 유입구와 유출구가 형성된 열전달부; 및
    상기 열전달부와는 분리되고, 상기 튜브를 통하여 이동된 상기 묽은 용액 또는 중간 용액 중 나머지 어느 하나가 배출되는 용액 배출구가 형성된 배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효용 흡수식 냉동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묽은 용액은 열전달부를 통하여 흐르고,
    상기 중간 용액은 상기 튜브 부재를 통하여 이동된 후, 상기 용액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며,
    상기 배출부에는 상기 중간 용액으로부터 분리된 냉매 증기가 배출되는 증기 배출구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효용 흡수식 냉동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셀 부재는,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용액의 이동 속도를 늦추기 위하여 열전달부에 설치된 배플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효용 흡수식 냉동기.
KR1020050024617A 2005-03-24 2005-03-24 이중효용 흡수식 냉동기 KR100608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4617A KR100608410B1 (ko) 2005-03-24 2005-03-24 이중효용 흡수식 냉동기
CNB2006100547254A CN100476317C (zh) 2005-03-24 2006-03-02 双效吸收式制冷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4617A KR100608410B1 (ko) 2005-03-24 2005-03-24 이중효용 흡수식 냉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8410B1 true KR100608410B1 (ko) 2006-08-02

Family

ID=37015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4617A KR100608410B1 (ko) 2005-03-24 2005-03-24 이중효용 흡수식 냉동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08410B1 (ko)
CN (1) CN100476317C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3228A (en) 1977-03-22 1980-01-15 Naoyuki Inoue Double effect absorption refrigerating system comprising
JPH0552438A (ja) * 1991-08-20 1993-03-02 Tokyo Gas Co Ltd 吸収ヒートポンプ
JP2000257976A (ja) 1999-01-07 2000-09-22 Kawasaki Thermal Engineering Co Ltd 吸収冷凍機
KR20040091867A (ko) * 2003-04-22 2004-11-02 박용묵 실리콘 카바이드 튜브가 구비된 열교환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3228A (en) 1977-03-22 1980-01-15 Naoyuki Inoue Double effect absorption refrigerating system comprising
JPH0552438A (ja) * 1991-08-20 1993-03-02 Tokyo Gas Co Ltd 吸収ヒートポンプ
JP2000257976A (ja) 1999-01-07 2000-09-22 Kawasaki Thermal Engineering Co Ltd 吸収冷凍機
KR20040091867A (ko) * 2003-04-22 2004-11-02 박용묵 실리콘 카바이드 튜브가 구비된 열교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37716A (zh) 2006-09-27
CN100476317C (zh) 2009-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29080B2 (ja) 吸収ヒートポンプ
KR101060776B1 (ko) 흡수식 냉동기
KR100608410B1 (ko) 이중효용 흡수식 냉동기
KR930005664B1 (ko) 흡수식 냉동기
US5857354A (en) Air-cooled absorption-type air conditioning apparatus with vertical heat-transfer fins
KR980010255A (ko) 공냉흡수식공조기
CN106642795B (zh) 复叠式溶液并联单效溴化锂吸收式制冷热泵机组
JP3484142B2 (ja) 2段2重効用吸収冷凍機
KR100827569B1 (ko) 히트펌프를 구비한 흡수식 냉동장치
JP2009068816A (ja) 吸収式冷凍機
JP3762217B2 (ja) 冷凍機
JP4596683B2 (ja) 吸収冷凍機
JPH0198863A (ja) 吸収冷凍装置
KR101076923B1 (ko) 난방부하 응동형 흡수식 냉온수기
JPH0379633B2 (ko)
JP2865305B2 (ja) 吸収冷凍機
JP2000018753A (ja) 吸収冷凍機
JPH11218365A (ja) 熱搬送装置
JPH05272831A (ja) 吸収式冷凍装置
JP5233716B2 (ja) 吸収式冷凍装置
JP3486382B2 (ja) 吸収冷凍機
JPH0752039B2 (ja) 空冷吸収冷温水機
JPS6135893Y2 (ko)
JP2009002540A (ja) 吸収式冷凍機
JP2003322427A (ja) 排熱投入型一二重効用吸収冷温水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