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4248B1 - 편광판 이형필름 - Google Patents

편광판 이형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4248B1
KR100604248B1 KR1020030088118A KR20030088118A KR100604248B1 KR 100604248 B1 KR100604248 B1 KR 100604248B1 KR 1020030088118 A KR1020030088118 A KR 1020030088118A KR 20030088118 A KR20030088118 A KR 20030088118A KR 100604248 B1 KR100604248 B1 KR 100604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stretching
polarizing plate
release film
transmit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8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5173A (ko
Inventor
김상필
전해상
이문복
강창원
Original Assignee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8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4248B1/ko
Publication of KR20050055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5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4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42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02F1/133638Waveplates, i.e. plates with a retardation value of lambda/n

Landscapes

  • Polarising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광판, 위상차 편광판 또는 위상차판의 한쪽 표면에 접착층을 형성시키고, 상기 접착층의 표면에 투명한 이축배향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베이스필름으로 한 이형필름을 형성시킨 적층체에 사용되는 편광판 이형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실질적으로 간섭광의 색을 나타내지 않으면서, 교차니콜법에 의해 이물질 또는 결함을 발견하기 위한 시각검사를 용이하게 하고, 특히 대화면의 액정디스플레이(LCD)에 있어서 이물질의 간과 가능성을 줄여 이물질 시각검사의 정확도를 높임으로써 불량품의 출현을 방지할 수 있는 편광판 이형필름에 관한 것이다.
편광판 이형필름, 광학적 특성, 경화형 실리콘 수지, 교차니콜법

Description

편광판 이형필름{POLARIZED LIGHT BOARD RELEASE FILM}
도 1은 자외선/가시광선 분광기(Ultra Violet Visible Spectr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한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 이형필름의 광투과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 이형필름을 사용한 적층체의 구조와 시각검사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편광판 2 : 접착층
3 : 실리콘 이형층 4 :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5 : 편광판 6 : 광확산판
7 : 광원 8 : 검사자
본 발명은 편광특성을 개선시킨 적층체(laminate)에 사용되는 편광판 이형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편광판, 위상차편광판 또는 위상차판의 한쪽 표면에 접착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착층의 표면에 이형필름이 적층되어 있는 적층체에서, 편광특성이 우수하여 이물질 또는 결함을 용이하게 시각적으로 검사할 수 있는 이형필름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고성능 고화질의 대형화면 칼라 액정디스플레이(LCD)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이에 관한 기술이 획기적으로 발전해오고 있다. 이러한 액정디스플레이(LCD)는 브라운관(CRT)에 비해 경량화와 저에너지 소비화가 가능한 특징이 있다. 이로 인해, 노트북, 개인용 컴퓨터와 워드프로세스용 디스플레이로서 액정디스플레이(LCD)를 널리 사용하고 있고, 보급 속도도 빨라 액정디스플레이(LCD) 산업이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액정디스플레이의 계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비용의 합리화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특히 대 화면의 박막저항기(TFT, 액티브매트릭스)방식 또는 수퍼 트위스트 네마틱(supper twist nematic:STN)방식에서 불량제품이 많아짐에 따라 수율을 향상시켜 비용을 감소시키는 것이 시급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액정디스플레이(LCD)에서, 편광판, 위상차편광판 및 위상차판은 액정디스플레이(LCD)에서 일정한 투과광을 제공하고 투과광의 칼라 색조를 변화시키기 위해서 필수적이고 중요한 부품들이다. 또한 이들 판에 있어서, 안정한 품질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이며, 공정검사, 품질검사, 출하검사에 대한 기준도 점점 더 까다로워지고 있다. 편광판, 위상차편광판 및 위상차판은 편광기재의 한쪽 표면에 접착층을 형성시키고 그 다음 상기 접착층에 이형 필름을 적층시킴으로써 제조된 적층체의 롤을 원하는 크기로 다이-절단함으로써 각각 액정디스플레이(LCD)에 제공된 다. 이들 필름의 검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항목은 이물질의 함입 및 접착여부를 검사하는 것이다. 이물질의 콘트롤은 편광판의 제조단계에서 뿐만 아니라 이형 필름으로 접착-적층하는 단계, 다이-절단단계, 그리고 에이징, 출하 및 포장단계에 이르기까지 모든 단계에서 중요하다. 그러나, 최종검사단계에서 수행되는 이물질 검사는 교차니콜법을 활용한(두 개의 편광판의 연신축을 직각으로 교차시키고, 이형필름을 그 사이에 위치시켜 투과광으로 이물질을 관찰하는 방법) 조작자에 의한 시각적 검사이다. 특히, 대화면의 액정디스플레이(LCD)에서, 이형 필름에 사용된 기재인 이축 배향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광학적 이방성 때문에 정확한 시각 검사가 방해 받는다. 따라서, 이물질의 함입은 상당히 자주 간과될 수 밖에 없는 실정이었다.
제막시 종방향과 횡방향에서의 기계적 열적특성이 균형잡힌 이형필름용 베이스필름으로서, 이축 배향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필름, 특히 이축 배향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 사용되어왔다. 그리고 상기 필름의 결정 배향 주축의 방향은 필름의 종방향 또는 횡방향과 일치하지 않으며, 거의 양방향의 중간에 있다. 또한, 상기 필름의 결정 배향 주축의 방향은 필름 횡(폭)방향의 위치에 의해 크게 변화한다. 이러한 변화는 보잉(bowing)현상에 의해 일어나고, 중심에서 보다 양 끝쪽으로 갈수록 점차 커진다.
한편, 편광판, 위상차편광판 그리고 위상차판은 일축 배향된 편광필름을 사용하여 만들고, 그 배향축의 방향은 보통 종방향이다. 긴 편광판 또는 위상차판이 롤상의 이형필름과 적층될 때, 양 필름의 배향축의 방향은 이탈되고, 이형필름의 폭방향의 결정 배향 주축은 중심으로부터 폭방향으로 확장된 범위에서 점차 변화한다. 특히 이탈은 양끝으로 갈수록 점점 커진다. 이런 이유로 수득한 적층체의 교차 니콜법에 의한 이물질의 시각검사에서, 간섭광의 색이 발생하며, 이러한 발생의 정도는 양끝에서 더욱더 심해진다.
적층체의 폭이 좁을 경우, 즉 액정디스플레이가 소형크기일 경우에는, 이물질의 시각검사는 간섭광의 색이 약간 존재하더라도 어느 정도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적층체의 폭이 클 경우, 즉 액정디스플레이가 대화면일 경우에는, 시각검사에 의해 모든 이물질을 조사하는 것이 극히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표시성능, 색조, 콘트라스트, 외래 물질의 함유 등의 광학 평가를 비롯한 액정표시장치에 대한 편광판의 검사 공정에 있어서 목측 또는 확대경으로 검사할 때 결함있는 제품의 간과 또는 검출 실패를 방지하려는 시도가 계속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폴리에스테르 기재 필름의 광학적 비등방성으로 인하여 이형 필름에 함유된 외래 물질을 검출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검사시 편광판으로부터 이형 필름을 일시적으로 박리시키고 검사 후에 이형 필름을 다시 편광판에 부착시키는 등 작업성이 매우 열악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형필름과 편광판, 위상차 편광판 또는 위상차판을 적층시킴으로써 수득되는 편광특성이 개선된 적층체를 제공하기 위해, 편광판, 위상차 편광판 또는 위상 차판으로 적층되었을 때, 실질적으로 간섭광의 색을 나타내지 않으면서, 교차니콜법에 의해 이물질의 시각검사를 용이하게 하고 특히 대화면의 액정디스플레이(LCD) 검사시 이물질 또는 결함의 간과 가능성을 줄이고 이물질 시각검사의 정확도를 높임으로써 불량품의 출현을 방지할 수 있는 편광판 이형필름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 이형필름은 편광판, 위상차 편광판 또는 위상차판의 한쪽 표면에 형성된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의 표면에 투명한 이축배향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베이스필름으로 한 이형필름을 형성시킨 적층체에 사용되는 편광판 이형필름으로서, 상기 편광판 이형필름의 광학적 특성이 가시광선 영역 420nm부터 760nm 사이의 파장에서 하기 조건(1) 내지 (4)를 모두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평균 전광투과율(Mean :
Figure 112003046595646-pat00001
) ≥ 85 % ........... (1)
전광투과율 변동 범위(Range : R) ≤ 5 % .......... (2)
전광투과율 평균 편차(Standard Deviation :σ) ≤ 1.5 % .......... (3)
전광투과율 첨도(Kurtosis) ≥ -2 .......... (4)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 이형필름은 상기 투명한 이축배향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최소한 한쪽 표면에 경화형 실리콘 수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사용된 폴리에스테르는 호모폴 리에스테르 또는 코폴리에스테르일 수 있다. 호모폴리에스테르로서는, 방향족 디카르복시산과 지방족 글리콜의 중축합반응에 의해 수득한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방향족 디카르복시산의 예는 테레프탈산, 2,6-나프탈렌 디카르복시산 등을 포함한다. 지방족 글리콜의 예는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1,4-시클로헥산 디메탄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호모폴리에스테르의 전형적인 예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 디카르복시레이트(PE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코폴리에스테르로서는, 상기 성분 이외에 제3 성분을 30몰% 이하의 양으로 함유하는 공중합체를 예시할 수 있다. 코폴리에스테르의 디카르복시산 성분의 예는 이소프탈산, 프탈산, 테레프탈산, 2,6-나프탈렌 디카르복시산, 아디프산, 세바스산, 옥시카르복시산, 예컨대 p-옥시벤조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디카르복시산 성분은 단독으로 또는 2개 이상의 혼합물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코폴리에스테르의 글리콜 성분의 예는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부탄 디올, 1,4-시클로헥산 디메탄올, 네오펜틸 글리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글리콜 성분은 단독으로 또는 2개 이상의 혼합물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기재된 폴리에스테르는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단위체를 80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90몰% 이상 함유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단위체를 보통 80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90몰% 이상 함유하는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우수한 미끄럼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입자들을 함유한다. 혼합된 입자의 종류는 이들 부가된 입자가 폴리에스테 르 필름에 우수한 미끄럼 특성을 부여하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혼합된 입자의 특정 예는 실리카,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탄산바륨, 황산칼슘, 인산칼슘, 인산마그네슘, 산화실리콘, 카올린, 산화알루미늄, 산화티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입자를 배합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임의의 공지된 적합한 방법을 본 발명에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입자는 폴리에스테르 생산 공정의 임의 단계에서 부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중축합 반응은 에스테르화 단계에서 입자를 부가한 후 또는 에스테르교환반응을 완료한 후에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입자를 통기 혼련 압출기를 이용하여 에틸렌 글리콜 또는 물에 분산시켜 제조한 슬러리와 폴리에스테르 원료를 배합하는 방법, 폴리에스테르 원료를 건조 입자와 배합하는 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필요에 따라 산화방지제, 열 안정화제, 윤활제, 염료 및 안료와 같은 다양한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형 필름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일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지만, 본 설명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이형 필름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상술한 폴리에스테르의 원료를 다이를 통하여 시트로 용융 압출한 다음 냉각 롤(회전 냉각 드럼)에 의해 냉각 및 고화시켜 미연신 필름을 수득한다. 여기서 시트의 표면 펑탄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시트와 회전 냉각 드럼 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는바, 이를 위해 정전 고정법 및/또는 액체 피복 접착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연신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한 연신 방법으로서는 순차 이축 연신법 또는 동시 이축 연신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순차 이축 연신법에서, 상기 미연신 필름을 먼저 롤-형 연신기 또는 텐터-형 연신기를 이용하여 일 방향으로 연신시킨다. 이때 연신 온도는 통상 60 내지 130℃,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20℃이다. 연신비는 통상 2.0 내지 8배,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배이다. 이렇게 수득한 일축 연신된 필름을 상기 제1 연신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신시킨다. 연신 온도는 통상 90 내지 140℃,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35℃이다. 연신비는 통상 2.0 내지 8배,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배이다. 계속하여, 이렇게 수득한 필름을 다시 한번 제1연신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재연신을 시킨다. 이때의 연신 온도는 통상 100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105 내지150℃이다. 연신비는 통상 2.0 내지 8배,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배이다. 또한 이렇게 제조되어진 필름을 제2연신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제4연신 단계를 수행하는데, 이때의 연신 온도는 통상 120 내지 160℃,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50℃이다. 연신비는 통상 2.0 내지 6배,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배이다. 인장하 또는 30% 이하 이완 조건하에, 190 내지 245℃의 온도에서 열처리시키는 것에 의해 이축 연신 필름을 수득한다.
상술한 연신 공정중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표면처리, 즉 소위 '인-라인 코팅' 처리될 수 있다. 예컨대, 순차 연신공정의 경우, 필름의 인-라인 코팅은 제3 연신 단계를 완료한 후 및 제4 연신 단계를 개시하기 전에 실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신공정 중에 인-라인 코팅법에 의해 폴리에스테르 필름 상에 피복층을 형성하는 경우,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연신 및 표면 피복할 뿐만 아니라 연신비에 따라 수득한 피복층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적합하게 한다.
이런 과정을 통해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이형 필름의 베이스필름으로 사용한 투명한 이축 배향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자외선/가시광선 분광기로 파장 420 nm에서 760 nm사이 전투과광 특성을 측정, 평가하였을 때 하기의 특성값을 가진다.
평균 전광투과율(Mean :
Figure 112003046595646-pat00002
) ≥ 85 % ........... (1)
전광투과율 변동 범위(Range : R) ≤ 5 % .......... (2)
전광투과율 평균 편차(Standard Deviation :σ) ≤ 1.5 % .......... (3)
전광투과율 첨도(Kurtosis) ≥ -2 .......... (4)
여기서, 상기의 각각 구해진 값들은 하기와 같이 정의되어진다.
Figure 112003046595646-pat00003
우수한 밸런스를 가진 필름은 폭간 동일한 수준의 평균 투과광 값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제시되어진 가시광 파장 범위(420nm ~ 760 nm)내에서 파장에 의존하지 않고 균일한 전투과 특성을 나타낸다. 반면에 횡방향과 종방향에서의 연신비 사이의 차가 큰 필름이거나, 즉 한쪽 방향에서 높은 연신 강도를 가지고 있는 필름은 비록 일부 영역에서 투과광이 높은 수치를 나타낸다 하더라도 필름의 폭간 및 파장대별 불균일한 전투과 특성을 나타내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 제시 되어진 범위를 벗어난 특성을 보일 경우엔 하기와 같이 바람직 못한 광학적 특성을 나타내게 된다. 특히 가시광선 전투과광 특성은 비록 동일한 제조조건 즉, 횡방향과 종방향에서의 연신비 차가 적은 조건하에서 제조되어진 필름이라 할지라도 폭방향에 따라 변화 하려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서 제시되어진 방법에 의해서 측정되어진 전광투과율은 85 % 이상, 바람직하게는 87% 이상이 좋다. 이때 85%를 넘지 못하는 전투과광 특성을 보일경우, 편광판과 합지후 검사 과정에서 본 발명이 얻고자하는 충분한 광투과에 의한 원활한 검사 작업을 수행키가 어려워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형 필름용 베이스 필름에서의 전광투과율 값의 범위는 제(1)식, 이때 최대와 최소값 사이의 차의 범위는 식(2)의 조건을 각각 만족하고 또한 하기 제(3)식으로 정의된 각 파장대별 전광투과율의 평균편차는 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축 배향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복굴절 물질이다. 빛이 통과할 때 입사광은 직각으로 교차하는 진동면의 두개의 직선편광으로 전파된다. 이 두개의 직선편광(정상광과 비정상광)사이의 차이를 위상차(리타데이션:R)라 한다. 이러한 위상차 효과는 간접색으로서 편광판의 검사단계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이러한 위상차 현상은 제조되어진 필름의 폭간으로 확대되는 경향이 강할 뿐만 아니라 가시광선내 파장대별로 그 차가 다르게 발현되기에 액정디스플레이용(LCD용) 편광판을 표시성능, 색조, 콘트라스트, 외래 물질의 함유 등에 관한 광학 평가를 비롯한 검사 처리할 때 리타데이션 값의 증가와 더불어 간섭색 현상등과 같은 다양한 결점이 유발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형 필름을 구성하는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자외선/가시광선 분광기(Ultra Violet Visible Spectr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할때, 가시광선 범주 420 nm ~ 760 nm 사이에서의 전광투과율의 변동 범위(R)가 5% 이내 및 평균 편차가 1.5보다 적어야 하며, 본 범위를 넘는 경우에는 편광판과 이형 필름과의 사이에서 크로스니콜 상태(소광 상태)와 더불어 불균일한 색 간섭효과가 발생하기 때문에, 광학적인 검사를 할 때는 이물질 혼입을 간과하기 쉽게 되는 등의 불량을 일으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연구에 따르면,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파장별 투과광 특성 중 평균 투과광 대비 파장별 퍼짐 특성에 의해서도 시각 검사시 발생하는 위상차 및 간섭광 색상의 정도가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게 되어 하기와 같이 가시광선 측정 범위내 파장대별 전투과광율 값의 분포가 평균 전투과광값 대비 어느 정도 분포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측도로 첨도(kurtosis)의 개념을 도입, 적용하였으며, 그 결과 제조되어진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전투과광 특성이 하기와 같은 범주내에 들었을 경우 액정디스플레이용 편광판의 검사 단계에서 이형 필름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광학적 비등방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불균일한 편광과 같은 문제가 크게 개선됨을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광투과율 첨도(Kurtosis) ≥ -2 .......... (4)
여기서 계산되어진 첨도의 값이 양(+)의 방향으로 커질수록 평균 투과광에 근접한 퍼짐의 분포를 나타냄을 의미한다. 전광투과율의 첨도 값이 -2보다 작을 때 간섭광의 농도는 급격히 증가하며 따라서 간섭광의 색이 너무 진하게 발현되어 시 각 검사하는데 큰 장애를 주는 것을 알아내었다. 그 결과, 전광투과율 첨도 영역은-2 이상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한 첨도값의 범위는 양(+)의 값 이상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요구조건을 입증하기 위해 복굴절을 가진 투명한 필름의 가시광선 영역(420 nm ~ 760 nm)에서의 전광투과율의 첨도 계산식을 아래와 같이 나타내었다.
Figure 112003046595646-pat00004
여기서, n은 측정된 투과광율(%) 데이터 수이고,
Figure 112003046595646-pat00005
는 특정 파장(i)에서의 투과광율(%)을 나타내며,
Figure 112003046595646-pat00006
는 420 nm ~ 760 nm 사이에서의 평균 투과광율(%)을 나타내고
Figure 112003046595646-pat00007
는 420 nm ~ 760 nm 사이에서의 투과광율 표준 편차를 나타낸다.
이렇게 제조되어진 투명한 이축 배향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한면에 경화형 실리콘 수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투명한 이축 배향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높은 이형 특성을 나타내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경화형 실리콘 수지로서는, 경화형 실리콘 수지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수지, 또는 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또는 알키드 수지와 같은 유기 수지를 그라프트 중합반응시켜 수식된 실리콘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경화형 실리콘 수지는 부가반응형, 축합반응형, 자외선 경화형, 전자빔 경화형, 비용매형 등과 같은 임의의 경화 유형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상에 이형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역전 롤 피복법, 그라비아 피복법, 바 피복법 및 독터 블레이드 피복법과 같은 공지된 피복법이 이용될 수 있으 며, 각종 실리콘 경화방법은 아래에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다.
축합 반응계의 실리콘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말단에 -OH기를 가지고 있는 폴리디메틸실록산과 말단에 -H기를 가지는 폴리디메틸실록산(히드로젠 실란)을 유기주석촉매 (예컨대, 유기주석 아실레이트의 촉매)의 존재하에서 축합반응시켜 3차원 가교구조를 형성한 수지를 들 수 있다.
부가 반응계의 실리콘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말단에 비닐기를 도입시킨 폴리디메틸실록산과 히드로젠 실란을 백금촉매의 존재하에 반응시켜 3차원 가교구조를 형성한 수지를 들 수 있다.
자외선 경화계에 있어서 실리콘수지의 가장 기본적인 예로서는, 통상의 실리콘고무 가교반응과 동일한 라디칼 반응에 의해 수득한 수지, 아크릴기를 도입시킴으로써 광경화 반응시켜 수득한 수지, 자외선으로 오늄염을 분해하여 강산을 발생시키고 상기 강산에 의해 에폭시기를 분열시켜 가교된 수지 그리고 비닐실록산과 티올의 부가반응에 의해 가교된 수지를 들 수 있다. 전자선은 자외선보다도 강한 에너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자외선 경화에서처럼 개시제를 사용하지 않고 라디칼에 의해 가교반응이 일어난다.
본 발명의 이축연신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한 이형필름이 적층된 적층체에서는 교차니콜법에 의한 이물질의 시각검사에서 광폭의 경우에도 폭간 광간섭색이 발생하지 않아 용이하게 이물질 또는 결함을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서 개선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특히 편광필림, 위상차판 및 위상차판으로서, 대화면의 TFT(액티트매트릭스)방식과 STN(슈퍼트위스트네매틱)방식이 바람직하 기는 하지만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및 비교예]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100 중량부 및 에틸렌글리콜 60 중량부에 에스테르 교환촉매로서 아세트산망간 4수화물염을 첨가하고, 에스테르 교환반응시킨 후, 트리메틸포스페이트를 첨가하여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종료시킨다. 이어서, 삼산화안티몬을 첨가한 후, 계속해서 고온 고진공 하에서 중축합반응을 실시하여 고유점도 0.62의 폴리에스테르 폴리머를 얻는다. 이어서, 폴리에스테르 폴리머를 압출기로 용융하고, 다이스에서 30 ℃로 유지되어 있는 회전냉각 드럼상으로 압출하고, 정전 밀착법을 이용하여 용융 폴리머를 회전냉각 드럼에 밀착시켜 급랭하여 미연신 필름으로 한다. 이 미연신 필름을 표 1에 제시되어진 것과 같은 조건으로 종, 횡방향 연신 및 열고정하여 두께 38 ㎛의 투명한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는다. 이러한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쪽 면에 하기에 나타내는 방법으로 조제한 조액을 10g/㎡(습윤 상태)의 도포량으로 도포하고, 180 ℃ ~ 235 ℃의 온도에서 1분간 가열건조 및 경화시켜 이형층의 두께가 0.1 ㎛인 이형 필름을 제조한다. 이때 사용된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형 필름의 특성을 표 1에 나타낸다. 그리 고, 이때 사용된 조액은 비닐기를 갖는 폴리디메틸실록산과 폴리하이드로젠실록산으로 이루어지는 부가반응 타입의 경화형 실리콘을 수분산 형태로 용해시키고, 그리고 실리콘 수지를 상기 경화형 실리콘에 대하여 고형분비 12 중량%의 양으로 배합하여 전체 고형분 농도가 3 %인 용액으로 하고, 이 용액에 백금 촉매를 첨가하여 조액을 완성한다.
[표 1]
제막 조건
제1연신 제2연신 제3연신 제4연신
온도 연신비 온도 연신비 온도 연신비 온도 연신비
실시예 1 118 1.2 135 3.1 120 1.05 190 1.8
실시예 2 118 1.15 135 3.3 120 1.02 190 2.2
실시예 3 120 1.2 140 3.0 125 1.1 195 1.75
비교예 1 120 2.2 135 3.5 120 1.25 190 1.5
비교예 2 118 2.2 130 3.5 125 1.25 190 1.3
비교예 3 118 2.5 140 2.0 135 1.5 195 1.3
[실험예]
광특성 평가실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에 따른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광특성을 평가하였다. 측정 기기 UV/VIS (Ultra Violet Visible Spectrometer)와 UNICAM(UV2-100)를 사용하여 50mm × 50mm 크기의 sheet를 파장 420 nm ~ 760 nm 범위에서 투과광 측정하였다. 도 1은 자외선/가시광선 분광기(Ultra Violet Visible Spectr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광투과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이러한 평가를 바탕으로 상기 식을 이용하여, 평균 전광투과율
Figure 112003046595646-pat00008
, 전광투과율 변동 범위 R, 전광투과율 평균 편차 σ 및 전광투과율 첨도를 각각 구하였다. 이들 값을 표 4에 나타내었다.
광간섭의 영향 평가실험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 이형필름을 사용한 적층체의 구조와 시각검사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인 도 2에서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에 따른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시트 1500 mm × 700 mm 를 사용하여 시각검사(교차니콜하에서 광간섭의 영향)를 행하였다. 이러한 시각검사를 실시한 다음 광간섭의 발생상황을 표 2의 평가기준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이러한 평가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2]
평가 광간섭의 발생상황
양호 광간섭이 일어나지 않음.
약간불량 광간섭이 있으나 검사가 가능
불량 광간섭이 발생하여 검사가 불가능
이형 필름의 검사 용이성의 평가실험
외래 물질이 부착된 접착층을 통하여 이형 필름과 편광판을 서로 부착시켜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사용되어진 이형필름 시트 크기는 1500mm × 700 mm 이다. 수득한 적층체에 이형 필름의 측면으로부터 광을 조사하여 표 3의 평가기준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이러한 평가결과를 또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3]
평가 검사 용이성
양호 검사가능(실질적으로 이용가능)
약간불량 경우에 따라 검사하기 어려운 때 있음(실질적으로 이용불가능)
불량 검사 불가 (실질적으로 이용불가능)
[표 4]
필름 광특성 결과 시각 검사 결과
Figure 112003046595646-pat00009
R σ 첨도 광간섭 영향 이물질 검사 용이성
실시예 1 92 3 1.0 1 양호 양호
실시예 2 91 3 0.9 2 양호 양호
실시예 3 90 1 1.3 0 양호 양호
비교예 1 91 6 1.8 -2.5 불량 약간 불량
비교예 2 84 7 2.1 -3 불량 불량
비교예 3 90 8 3 -5 불량 불량
본 명세서는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 이형필름의 몇몇 실시예를 바탕으로 설명한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 이형필름에 의하면, 편광판, 위상차 편광판 또는 위상차판에 적층되었을 때, 실질적으로 간섭광의 색을 나타내지 않으면서, 교차니콜법에 의해 이물질 또는 결함의 발견을 위한 시각검사를 용이하게 하고, 특히 대화면의 액정디스플레이(LCD)에 있어서 이물질의 간과 가능성을 줄이고 그 결과 이물질 시각검사의 정확도를 높여 불량품의 출현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삭제
  2. 편광판, 위상차 편광판 또는 위상차판의 한쪽 표면에 형성된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의 표면에 투명한 이축배향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베이스필름으로 한 이형필름을 형성시킨 적층체에 사용되는 편광판 이형필름으로서,
    상기 편광판 이형필름의 광학적 특성이, 자외선/가시광선 분광기(Ultra Violet Visible Spectr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할 때, 가시광선 영역 420 nm부터 760 nm 사이의 파장에서 하기 조건(1) 내지 (3), 즉
    평균 전광투과율(Mean :
    Figure 712006001539891-pat00010
    ) ≥ 85 % ...........(1)
    전광투과율 변동 범위(Range : R) ≤ 5 % .......... (2)
    전광투과율 평균 편차(Standard Deviation :σ) ≤ 1.5 % .......... (3)
    을 모두 만족하고,
    상기 편광판 이형필름의 상기 가시광선 영역 420 nm부터 760 nm 사이의 파장에서 파장대별 전투과광율 값의 분포가 평균 전투과광값 대비 어느 정도 분포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측도인 첨도(Kurtosis)가 하기의 조건(4), 즉
    전광투과율 첨도(Kurtosis) ≥ -2 .......... (4)
    를 만족하며, 여기서 상기 전광투과율 첨도는 아래의 계산식, 즉
    Figure 712006001539891-pat00013
    에 의해 계산되며, 이 계산식에서 n은 측정된 투과광율(%) 데이터 수이고,
    Figure 712006001539891-pat00014
    는 특정 파장(i)에서의 투과광율(%)을 나타내며,
    Figure 712006001539891-pat00015
    는 420 nm ~ 760 nm 사이에서의 평균 투과광율(%)을 나타내고
    Figure 712006001539891-pat00016
    는 420 nm ~ 760 nm 사이에서의 투과광율 표준 편차를 나타내는 것이며,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폴리에스테르 원료를 다이를 통하여 시트로 용융 압축하고 냉각 및 고화시켜 미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수득하는 단계와;
    상기 미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연신 온도 70 내지 120 ℃, 연신비 2.5 내지 4 배로 제 1 방향으로 연신시키는 제 1 연신단계와;
    이렇게 수득된 일축 연신된 필름을 연신 온도 100 내지 135 ℃, 연신비 2.5 내지 4 배로 상기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으로 연신시키는 제 2 연신단계와;
    계속하여 이렇게 수득된 이축 연신된 필름을 연신 온도 105 내지 150 ℃, 연신비 2.5 내지 4 배로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신시키는 제 3 연신단계와;
    이렇게 수득된 필름을 연신온도 110 내지 150 ℃, 연신비 2.5 내지 3 배로 상기 제 2 방향으로 연신시키는 제 4 연신단계; 및
    인장하 또는 30& 이하 이완 조건하에, 190 내지 245 ℃의 온도에서 열처리하는 단계를 통하여 수득되며,
    상기 투명한 이축배향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최소한 한쪽 표면에 경화형 실리콘 수지층이 더 피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이형필름.
KR1020030088118A 2003-12-05 2003-12-05 편광판 이형필름 KR1006042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8118A KR100604248B1 (ko) 2003-12-05 2003-12-05 편광판 이형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8118A KR100604248B1 (ko) 2003-12-05 2003-12-05 편광판 이형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5173A KR20050055173A (ko) 2005-06-13
KR100604248B1 true KR100604248B1 (ko) 2006-07-24

Family

ID=37250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8118A KR100604248B1 (ko) 2003-12-05 2003-12-05 편광판 이형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424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5173A (ko) 2005-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614815B (zh) 折叠型显示器和移动终端设备
JP4918944B2 (ja) 二軸配向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フィルムを用いた偏光板
JP4644916B2 (ja) 偏光フィルム貼り合わせ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US5677024A (en) Laminate having improved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and release film used therefor
JP3403859B2 (ja) 離型フイルム
JP2009012254A (ja) 離型フィルム
WO2009084180A1 (ja) 偏光板用離型フィルム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偏光特性の改善された積層体
KR20110054990A (ko) 이형필름용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이형필름
JPH09314782A (ja) 離型フイルム
CN101946196B (zh) 离型膜
JP4691842B2 (ja) 偏光フィルム貼り合わせ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DE60122229T2 (de) Trennfilm
JP2003231214A (ja) 離型フイルム
JP4639435B2 (ja) 離型フィルム用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07101026A (ja) 偏光特性の改善された積層体およびそのための離型フイルム
JP2002182037A (ja) 離型フイルムの製造方法
JP2004042318A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TW202200685A (zh) 偏光鏡保護用聚酯薄膜、偏光板及液晶顯示裝置
JP2009199024A (ja) 離型フィルム
JP2002189125A (ja) 偏光フィルム貼り合わせ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0217160B1 (ko) 편광특성을 개선시킨 적층체 및 그를 위한 이형필림
KR100604248B1 (ko) 편광판 이형필름
JP7151067B2 (ja) 検査支持体用着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検査支持体および遮光部材
JP2004299344A (ja) 離型フィルム
JP2003327719A (ja) 離型フィルム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14